KR20050030587A - 반도체 코팅 필름용 용액 평가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코팅 필름용 용액 평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0587A
KR20050030587A KR1020040076755A KR20040076755A KR20050030587A KR 20050030587 A KR20050030587 A KR 20050030587A KR 1020040076755 A KR1020040076755 A KR 1020040076755A KR 20040076755 A KR20040076755 A KR 20040076755A KR 20050030587 A KR20050030587 A KR 200500305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ution
coating film
filter
clogging degree
fil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6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3267B1 (ko
Inventor
하나모토유키오
야마모토사토시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30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0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3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32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12Organic layers, e.g. photoresis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70Microphotolithographic 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70483Information management; Active and passive control; Testing; Wafer monitoring, e.g. pattern monitoring
    • G03F7/70605Workpiece metrology
    • G03F7/70608Monitoring the unpatterned workpiece, e.g. measuring thickness, reflectivity or effects of immersion liquid on resi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11/1002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D133/062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D133/06
    • C09D133/066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D133/06 containing -OH grou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109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 H01L21/02112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 H01L21/02118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carbon based polymeric organic or inorganic material, e.g. polyimides, poly cyclobutene or PV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109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 H01L21/02112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 H01L21/02118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carbon based polymeric organic or inorganic material, e.g. polyimides, poly cyclobutene or PVC
    • H01L21/0212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carbon based polymeric organic or inorganic material, e.g. polyimides, poly cyclobutene or PVC the material being fluoro carbon compounds, e.g.(CFx) n, (CHxFy) n or polytetrafluoroethyle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225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 H01L21/0226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 H01L21/02282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liquid deposition, e.g. spin-coating, sol-gel techniques, spray coa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12Organic layers, e.g. photoresist
    • H01L21/3127Layers comprising fluoro (hydro)carbon compounds, e.g. polytetrafluoroethyle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 H01L23/52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 H01L23/53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 H01L23/5329Insulating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terials For Photolithograph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코팅 필름용 용액을 평가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이는 평균 소공 크기 0.01 내지 0.4㎛를 갖는 필터를 통해 그 용액이 여과된 때, 반도체 코팅 필름용 용액의 클로깅 디그리를 측정하는 것, 및
그 용액으로부터 형성된 코팅 필름의 품질을 추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으로서,
여기서 클로깅 디그리는 다음의 방정식에 의해 정의된다:
클로깅 디그리 = V2 / V1
V1: 일정한 압력 및 온도에서 용액이 여과된 경우, 초기 기준점에서 여과액의 선형 속도 값 (필터 1㎠당 여과 속도 (g/(㎠·min))
V2: 초기 기준점으로부터 소정량 여과한 시점에서 여과액의 선형 속도 값
본 방법에 따라, 코팅 필름의 실질적인 형성 없이 코팅 필름의 품질이 이해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코팅 필름용 용액을 평가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도체 코팅 필름용 용액 평가 방법 {METHOD FOR EVALUATING SOLUTION FOR COATING FILM FOR SEMICONDUCTOR}
본 발명은 반도체 코팅 필름용 용액을 평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포토레지스트 패턴, 층간 유전 필름 패턴 등과 같은 반도체 코팅 필름은 용액 중에 코팅 필름 형성 성분을 함유하는 용액(코팅 필름용 용액)을 코팅시킴으로써, 건조시킴으로써 및 이후 조사(irradiation) 및 현상(development)과 같은 패터닝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최근, 집적 회로의 더 높은 집적에 대한 발전으로, 미크론 이하의 패턴 형성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이 경향과 더불어, 이전에는 결함이 만들어지는 것이 문제가 되지 않았지만 최근 얻어진 제품의 품질에 심각한 영향을 주기 때문에, 코팅 필름을 형성하는데 있어 생성된 코팅 필름 상에 결함의 감소에 대한 요구가 대두된다. 특히, KrF에 대한 포토레지스트 및 ArF에 대한 포토레지스트와 같이, 100nm 또는 그 이하의 패턴을 필요로 하는 분야에서, 이는 해결되어야 하는 긴박한 문제이다.
달리 말하면, 외부 대상과 같은 다수의 팩터가 코팅 필름 상에 결함을 생성시킴으로 인하여 제품 품질의 하락을 초래하는 것으로 제안될 수 있지만, 다만, 우연한 관계가 아직 정밀하게 이해될 수 없다. 따라서, 코팅 필름용 용액을 평가하기 위해, 코팅 필름용 용액으로부터 필름이 실질적으로 형성된 이후의 코팅 필름이 체크되어야 한다. 극단적인 경우에, 제품의 각 시리즈에 대해 코팅 필름을 형성하는 것 및 그들을 평가하는 것이 필요하며, 그것이 코팅 필름 용액의 상업적 제품에 대한 문제가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코팅 필름의 실질적인 형성 없이 코팅 필름의 품질을 이해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코팅 필름용 용액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게 되는 것인 반도체 코팅 필름용 용액의 간단한 평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목적 및 기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하였으며, 결과적으로 반도체 코팅 필름용 용액의 클로깅 디그리(Clogging Degree) 및 밀접한 상관관계를 갖는 용액으로부터 코팅 필름의 품질을 발견하였으며 그리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다음과 관련된다;
<1> 반도체 코팅 필름용 용액을 평가하는 방법으로서, 평균 소공 크기 0.01 내지 0.4㎛를 갖는 필터를 통해 그 용액이 여과된 때, 반도체 코팅 필름용 용액의 클로깅 디그리를 측정하는 것, 및
그 용액으로부터 형성된 코팅 필름의 품질을 추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으로서,
여기서 클로깅 디그리는 다음의 방정식에 의해 정의된다:
클로깅 디그리 = V2 / V1
V1: 일정한 압력 및 온도에서 용액이 여과된 경우, 초기 기준점에서 여과액의 선형 속도 값 (필터 1㎠당 여과 속도 (g/(㎠·min))
V2: 초기 기준점으로부터 소정량 여과한 시점에서 여과액의 선형 속도 값
<2> 방법 <1>에 있어서, 반도체 코팅 필름용 용액이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인 방법.
<3> 방법 <1>에 있어서, 반도체 코팅 필름용 용액이 KrF 또는 ArF용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인 방법.
<4> 방법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있어서, 필터가 트랙-에치(track-etch) 멤브레인 필터인 방법.
<5> 방법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있어서, 필터의 평균 소공 크기가 0.01 내지 0.2㎛인 방법.
<6> 방법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있어서, 초기 기준점으로부터 방출된 소정량의 여과액이 필터 1㎠ 당, 여과액 중의 고형분의 총중량으로 환산하여 0.1 내지 10 g인 방법.
바람직한 구체예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방법은 반도체 코팅 필름용 용액을 평가하는 방법으로서, 평균 소공 크기 0.01 내지 0.4㎛를 갖는 필터를 통해 그 용액이 여과된 때, 반도체 코팅 필름 용 용액의 클로깅 디그리를 측정하는 것, 및 그 용액으로부터 형성된 코팅 필름의 품질을 추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클로깅 디그리는 다음의 방정식에 의해 정의된다.
클로깅 디그리 = V2 / V1
V1: 일정한 압력 및 온도에서 용액이 여과된 경우, 초기 기준점에서 여과액의 선형 속도 값 (필터 1㎠당 여과 속도 (g/(㎠·min))
V2: 초기 기준점으로부터 소정량 여과한 시점에서 여과액의 선형 속도 값
초기 기준점에서 선형 속도는 여과 출발 이후 소정의 기간에 도달된 최대 선형 속도 값이다. 구체적으로, 방출된 여과액이 저울(중량 측정기) 상의 수집기에 수집되고, 여과액의 중량 변화가 매 1분마다 체크된다. 소정의 기간은 일반적으로 10분이다. 선형 속도는 1분 당 방출된 여과액의 무게를 유효 필터 면적으로 나눔으로써 계산되고, 이후 V1과 V2가 계산되고 그리고 클로깅 디그리가 계산될 수 있다.
클로깅 디그리의 측정시의 온도는 일반적으로 약 20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23 내지 27℃이며, 바람직하게는 ±2℃의 범위 내에서 온도가 유지된다.
필요한 여과 시간, 여과액의 선형 속도 등에 따라 압력이 결정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약 20 내지 200kPa, 바람직하게는 약 50 내지 100kPa이며, 바람직하게는 ±5%의 범위 내에서 압력이 유지된다.
V2에서 초기 기준점으로부터 방출된 소정량의 여과액은 "여과액의 중량(g) / 유효 필터 면적(㎠)"으로 표현되며 여과액의 고형분의 총중량에 대해 전환된 일반적으로 0.1 내지 10 g/㎠,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g/㎠이다. 고형분은 용매를 제외한 성분을 의미한다.
본 방법에 사용된 필터의 평균 소공 크기는 여과의 효율 및 캡쳐의 효율의 관점으로부터 0.01 내지 0.4㎛,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2㎛이다. 본 방법에서 평균 소공 크기는, 사용된 필터가 트랙-에치 멤브레인 필터인 때 주사 전자 현미경의 이미지를 이용함으로써 측정된 것을 의미한다. 평균 소공 크기는 필터가 트랙-에치 멤브레인 필터인 것을 제외한 멤브레인 필터인 때 ASTM F316-80 세공측정기(porosimeter) 시험 방법으로 측정된 것을 의미한다.
사용되는 필터로서는, 멤브레인 필터가 바람직하며, 특히 트랙-에치 멤브레인 필터가 특히 바람직하다. 트랙-에치 멤브레인 필터는 그것의 소공이 앞 표면으로부터 뒤 표면까지 멤브레인을 통해 일직선으로 관통하는 필터이다. 트랙-에치 필터는 필터 물질에 대해 전자-하전된 입자를 조사시키는 단계, 및 이어서 에칭 단계를 통해 제조될 수 있으며, 그것의 특징은 균일하고 원통형의 그리고 일직선의 소공을 갖는다는 것이다. 트랙-에치 필터의 평균 소공 크기는 정밀하고, 얻어진 클로깅 디그리 값의 높은 재현성이 얻어지는 경향이 있다.
필터에 사용되는 물질의 예로는 지방족 폴리아미드, 방향족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 설폰, 폴리설폰, 설폰화 폴리설폰,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이미드, 폴리비닐 알콜,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리드, 셀룰로스,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폴리에테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폴리에스테르, 세라믹 등을 포함한다.
이 물질 중에서도, 반도체를 코팅시키는 용액에 사용되는 용매에 대해 저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의 경우, 폴리에틸렌,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 폴리카르보네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반도체 코팅 필름의 품질은, 반도체 코팅 필름 용액을 사용하여 그것이 기재 상에 형성되었을 때, 얻어진 상기 용액의 클로깅 디그리 값으로부터 추정될 수 있다.
코팅 필름의 품질은 코팅 필름 상에 형성된 결함수에 의해 평가될 수 있다. 레지스트 조성물의 경우, 예컨대, 직경 8 인치의 통상의 반도체 기재 상에 레지스트 패턴이 형성된 때 결함수가 만약 10 이하라면, E (엑셀런트) 등급이며, 만약 그 수가 10 내지 100 이라면, F (페어) 등급이다. 만약 그 수가 100 이상이라면, B (배드)등급이다.
만약 용액의 클로깅 디그리의 측정 및 용액으로부터 형성된 코팅 필름의 평가가 선행된다면, 여과 조건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한, 용액의 클로깅 디그리와 용액으로부터 형성된 코팅 필름의 평가 사이의 밀접한 상관관계 때문에, 다른 용액으로부터 다른 코팅 필름의 품질의 측정도 클로깅 디그리를 측정함으로써 용이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코팅 필름용 용액의 평가도 수행될 수 있다.
용액의 클로깅 디그리의 측정, 그 용액으로부터 형성된 코팅 필름의 평가 및 이에 앞선 그들 사이의 상관관계를 이해함으로써, 코팅 필름을 실질적으로 형성하지 않고도, 용액의 클로깅 디그리가 소정의 값 이상인 때에 그 용액은 '합격'이고, 그 값보다 이하인 때에 그 용액은 '불합격'라는, 이런 방식으로 몇가지 표준에 합격인지 또는 불합격인지에 대해 몇가지 제품을 체크하는데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그것은 코팅 필름용 용액의 생산 시설에서 제조 단계를 체크하는 수단에 적용될 수 있다.
반도체 코팅 필름용 용액은 그것으로부터 코팅기를 사용하여 기재 상에 또는 패턴 상에 코팅되는 것을 의미한다. 그것의 예로는 조사 또는 열에 의해 패턴을 형성하는 포토레지스트 조성물, 조사 또는 열에 의한 오버코팅용 오버코팅 물질 용액, 또는 조사 또는 열에 의한 반사방지 물질 등을 포함한다.
본 방법에 사용되는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은 유기 용매 중에 광감성 또는 광감성이 없는 결합제 수지를 용해시킨 것이며, 기타 필요한 첨가제가 포함될 수 있다. 결합제 중합체가 광감성이 없는 경우, 조성물은 다른 광감성 화합물을 포함한다.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의 특정 예로는 결합제로서 노볼락 수지 및 광감제로서 o-퀴논디아지드를 포함하는 g-라인 또는 i-라인용 포지티브 포토레지스트 조성물; 결합제로서 노볼락 수지 및 광감제로서 아지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g-라인 또는 i-라인용 네거티브 포토레지스트 조성물; 결합제로서 산의 작용에 의해 분열되는 기를 갖는 비닐페놀 수지 또는 (메트)아크릴 수지 및 감광제로서 조사에 의해 산을 생성하는 산 생성기를 포함하는 KrF 또는 ArF 엑시머 레이저용 포지티브 포토레지스트 조성물; 결합제로서 노볼락 수지, 폴리비닐페놀 수지 및 (메트)아크릴 수지와 같은 알칼리 가용 수지 및 감광제로서 산 생성기 및 가교제를 포함하는 엑시머 레이저용 네거티브 포토레지스트; 광감성 결합제로서 노볼락 수지 또는 알킬 치환된 폴리설폰 수지를 포함하는 전자 빔용 포토레지스트 조성물 등을 포함한다.
게다가 본 방법은 포토레지스트 조성물 및 염료를 포함하는 알킬 치환된 착색 레지스트 조성물에 효과적으로 응용될 수 있다.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은 조성물 중에 고형분의 함량이 5 내지 50 중량%가 되도록 용매에 성분을 첨가함으로써 일반적으로 제조된다. 용매의 예로는 에틸 셀로솔브(Cellosolve) 아세테이트, 메틸 셀로솔브 아세티이트, 에틸 셀로솔브, 메틸 셀로솔브,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에테르 아세테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 부틸 아세테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에틸 피루베이트, 메틸 이소부틸 케톤, 2-헵탄온, 자일렌 등을 포함한다. 용매는 단독으로 또는 1 이상의 다른 종류와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방법에서 사용되는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은 일반적인 필터에 의해 약간 량으로 외부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예비적으로 여과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비적 여과에 사용되는 필터용 물질의 예로는 지방족 폴리아미드, 방향족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설폰, 폴리설폰, 설폰화 폴리설폰,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이미드, 폴리비닐 알콜, 폴리비닐레덴 플루오리드, 셀룰로스,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폴리에테르, 폴레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스테렌, 폴리에스테르, 세라믹 등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용액이 포토레지스트 조성물, 폴리에틸렌,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 폴리카르보네이트인 때가 바람직하다.
이들 중에서, 사용되는 용매에 높은 저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 및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이 바람직하다.
예비적 여과에서 필터의 평균 소공 크기는 클로깅 디그리의 측정에 사용된 필터의 평균 소공 크기에 좌우됨에 따라, 클로깅 디그리의 측정에 사용된 것보다 일반적으로 0.2 내지 5배.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배 더 크다. 구체적으로는, 약 0.02 내지 0.5㎛,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0.1㎛가 일반적이다.
예비적 여과는 압력 여과, 자연 여과, 감압 여과 등과 같은 종래의 여과 어떤 방법에 의해서도 행해질 수 있으며, 생산성의 관점으로부터 압력 여과가 바람직하다.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의 경우, 실리콘 웨이퍼와 같은 기재 상에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이 스핀 코팅과 같은 종래의 방법에 의해 적용된다. 기재 상에 적용되고, 이후 건조된 레지스트 필름이 패터닝을 위한 노정의 대상이 되고, 이후 블럭 분리 반응을 촉진하기 위해 열-처리되고, 이후 알칼리 현상제로 현상된다. 사용되는 알칼리 현상제는 본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알칼리 수용액 중의 하나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수산화 테트라메틸암모눔 또는 수산화 (2-히드록시에틸)트리메틸암모늄의 수용액이 빈번하게 사용된다.
층간 유전 필름 패턴 형성의 경우, 스피너(spinner)를 사용함으로써 회전에 의하여 소정의 두께로 광감성 수지를 코팅한 이후, 그것은 광감성 수지 필름을 형성하기 위해 예비 베이킹된다. 예비 베이킹 이후 광감성 수지 필름은 광 조사 방법 등에 의해 조사되고, 이후, 현상 용액으로 현상된다. 린싱, 물로 세척 및 건조 후에 소정의 수지 패턴이 얻어질 수 있다. 이후, 열처리에 의해 경화가 수행되고 가교된 수지 패턴이 얻어지게 된다.
본원에 개시된 구체예가 모든 양태의 실시예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가 전술한 명세서가 아닌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청구범위의 동등한 의미 및 범위의 모든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발명은 실시예를 통해 더 구체적으로 기재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어떤 성분의 함량 및 어떤 물질의 함량을 표현하는 데 사용된 "%" 및 "부"는 구체적으로 다른 언급이 없는 한 중량을 기본으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 사용된 어떤 물질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표준 참고 물질로서 스티렌을 사용하는 젤 투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발견된 값이다.
[실시예]
수지 합성 실시예 1 (수지 A의 합성)
4-넥(neck) 플라스크 내에 질소로 공기를 교환하면서, 2-에틸-2-아다만틸 메타크릴레이트, 3-히드록시-1-아다만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5-아크릴로일옥시-2,6-노르보르난카르보락톤을 몰비 5:2.5:2.5 (20.0부:9.5부:7.3부)로 채우고, 그리고 모든 단량체에 대해 2배 중량의 메틸 이소부틸 케톤을 첨가하여 용액을 제조하였다. 개시제로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을 모든 단량체의 몰 함량을 기초로 3.0 몰%의 비로 그 용액에 첨가하고, 그리고 그 혼합물을 80℃에서 약 8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이후, 반응 용액을 대용량의 헵탄에 쏟아서 침전을 유발시키고, 이 과정을 3회 반복하고, 이후, 침전을 건조시켰다. 결과적으로, 중량-평균 분자량 약 9,000을 갖는 공중합체가 얻어졌다. 이를 수지 A라고 부른다.
수지 합성 실시예 2 (수지 B의 합성)
(1) 350g의 폴리(히드록시스티렌) [생물 음이온 중합법으로 제조, 중량-평균 분자량(Mw):19000, 분산(Mw/Mn):1.08] (히드록시스티렌으로부터 유도된 반복 단위의 분자량을 사용함으로써 계산된 2912mmol) 및 0.053g의 p-톨루엔설폰산 1수화물을 2100g의 메틸 이소부틸 케톤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 내로 116.64g의 이소부틸 비닐 에티르를 30분 동안 적가하였다. 21℃에서 90분 동안 교반시킨 후, 교반된 혼합물 내로 0.062g의 트리에틸아민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수 분 동안 교반시켰다. 이후, 여기에 700g의 메틸 이소부틸 케톤 및 525g의 이온-교환된 물을 첨가하고 그리고 혼합물을 세척을 위해 교반시켰다. 이후, 유기 층 부분이 구분되어 액체 분리되도록 세척된 혼합물을 방치하였다. 유기 층에 다시 525g의 이온-교환된 물을 첨가하고 전술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세척 및 액체 분리가 수행되었다. 세척 및 액체 분리는 3회 더 반복되었다. 이후 유기 층을 얻고 2206g의 용매를 증발시킴으로써 농축시켰으며, 이후 농축물에 3266g의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를 첨가하였다. 그 용액을 3233g의 용매를 증발시킴으로써 농축시켜 1332g의 29% 이소부톡시에틸화 폴리 p-히드록시스티렌 용액 (고형분의 총중량: 32.9%)이 얻어졌다. 폴리(히드록시스티렌) 중의 히드록실기에 대한 이소부톡시에틸화의 속도는 1HNMR에 의해 분석되었다.
(2) 100g의 폴리(히드록시스티렌) [생물 음이온 중합법으로 제조, 중량-평균 분자량(Mw):19000, 분산(Mw/Mn):1.08] (히드록시스티렌으로부터 유도된 반복 단위의 분자량을 사용함으로써 계산된 832mmol) 및 0.016g의 p-톨루엔설폰산 1수화물을 600g의 메틸 이소부틸 케톤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 내로 19.4g의 이소부틸 비닐 에티르를 30분 동안 적가하였다. 21℃에서 3시간 동안 교반시킨 후, 교반된 혼합물 내로 0.034g의 트리에틸아민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수 분 동안 교반시켰다. 이후, 여기에 200g의 메틸 이소부틸 케톤 및 150g의 이온-교환된 물을 첨가하고 그리고 혼합물을 세척을 위해 교반시켰다. 이후, 유기 층 부분이 구분되어 액체 분리되도록 세척된 혼합물을 방치하였다. 유기 층에 다시 150g의 이온-교환된 물을 첨가하고 전술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세척 및 액체 분리가 수행되었다. 세척 및 액체 분리는 3회 더 반복되었다. 이후 유기 층을 얻고 581g의 용매를 증발시킴으로써 농축시켰으며, 이후 농축물에 944g의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를 첨가하였다. 그 용액을 888g의 용매를 증발시킴으로써 농축시켜 393g의 30% 에톡시에틸화 폴리 p-히드록시스티렌 용액 (고형분의 총중량: 30.0%)이 얻어졌다. 폴리(히드록시스티렌) 중의 히드록실기에 대한 에톡시에틸화의 속도는 1HNMR에 의해 분석되었다.
(3) 세척된 유기 층을 얻기 위해 에톡시 비닐 에테르의 함량이 28.2g으로 바뀐것을 제외하고는 반응 및 세척 및 액체 분리가 전술한 (2)와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되었다.
이후, 얻어진 유기 층을 576g의 용매를 증발시킴으로써 농축시켰으며, 이후 농축물에 983g의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를 첨가하였다. 그 용액을 924g의 용매를 증발시킴으로써 농축시켜 409g의 42% 에톡시에틸화 폴리 p-히드록시스티렌 용액 (고형분의 총중량: 30.0%)이 얻어졌다. 폴리(히드록시스티렌) 중의 히드록실기에 대한 에톡시에틸화의 속도는 1HNMR에 의해 분석되었다.
(4) 16.82g의 29% 이소부톡시에틸화 폴리 p-히드록시스티렌 용액, 34.11g의 30% 에톡시에틸화 폴리 p-히드록시스티렌 용액 및 81.88g의 42% 에톡시에틸화 폴리(p-히드록시스티렌) 용액을 채우고 혼합하여 수지 용액을 얻었다. 이를 조 수지 B라고 부른다.
수지 합성 실시예 3 (수지 C의 합성)
4-넥 플라스크 내에 질소로 공기를 교환하면서, 2-메틸-2-아다만틸 메타크릴레이트, 3-히드록시-1-아다만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α-메타크릴로일옥시-γ-부티로락톤을 몰비 5:2.5:2.5 (20.0부:10.1부:7.3부)로 채우고, 그리고 모든 단량체에 대해 2배 중량의 메틸 이소부틸 케톤을 첨가하여 용액을 제조하였다. 개시제로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을 모든 단량체의 몰 함량을 기초로 3.0 몰%의 비로 그 용액에 첨가하고, 그리고 그 혼합물을 80℃에서 약 8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이후, 반응 용액을 대용량의 헵탄에 쏟아서 침전을 유발시키고, 이 과정을 3회 반복하고, 이후, 침전을 건조시켰다. 결과적으로, 중량-평균 분자량 약 9,000을 갖는 공중합체가 얻어졌다. 이를 수지 C라고 부른다.
참조 실시예 1
합성 실시예 1에서 얻어진 25부의 조 수지 A를 75부의 2-헵탄온에 용해시켰다. 그 용액에 2.5부의 활성 탄소 (상품명: CARBORAFIN, 평균 소공 크기:30Å, 비표면적: 1500㎡/g)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4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이후,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으로 이루어진 5㎛ 필터를 사용하여 압력 여과에 의해 처리된 혼합물을 여과시켜 처리된 수지 A 용액을 얻었다.
10부의 처리된 수지 A (고형분의 총중량으로 환산됨), 0.25부의 (4-메틸페닐)디페닐설포늄 퍼플루오로부탄설포네이트, 및 0.010부의 2,6-디이소프로필아닐린을 27.1부의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27.1부의 2-헵탄온 (수지 용액으로부터의 분율 포함) 및 2.9부의 γ-부티로락톤의 혼합 용매에 용해시켜 레지스트 조성물을 얻었다. Nihon Mykrolis K.K에 의해 생산된 PTFE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으로 이루어진 0.2㎛ 필터 및 UPE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0.1㎛ 필터로 그 조성물을 여과시켜 예비적 여과된 레지스트 조성물을 얻었다.
전술한 예비적 여과된 레지스트 조성물은 다음과 같은 아이템으로 평가되었다. 그 결과는 표 1에 도시하였다.
클로깅 디그리의 측정
23℃에서, 폴리카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라운드 및 트랙-에치 멤브레인 필터 (Nomura micro Science Co., Ltd., 직경: 47mm, 평균 소공 크기: 0.05㎛, 두께: 6㎛, 소공 밀도: 6×108 소공/㎠)가 스테인레스 스틸로 이루어진 100mL 부피를 갖는 홀더 (Nihon Mykrolis K.K에 의해 생산)에 장치된 여과 장비 내로 예비적 여과된 레지스트 조성물을 쏟고, 이후 압력 여과를 100 kPa의 압력에서 출발하였다. 여과액을 저울 (중량 측정기) 상에서 수집하고, 여과액의 무게 변화를 매 1분마다 체크하였다. 여과 시간 및 방출된 여과액의 누적 중량이 측정되고 1분당 방출된 여과액의 중량을 유효 필터 면적 10.8㎠으로 나눔으로써 선형 속도가 계산되었다. 여과 출발 10분 이후에 도달된 최대 선형 속도 값을 V1 (초기 기준점에서 선형 속도)으로 정의하였다. 방출된 여과액의 누적 중량이 100g (고형분의 총중량에 대해 전환된 15g)에 도달한 지점에서 선형 속도가 측정되었으며 동일한 방식으로 계산되었으며 V2로 정의하였다.
클로깅 디그리는 V2를 V1으로 나눔으로써 계산된 값이다.
소형 입자의 수
자동 소형 입자 분석기 (KS-41 유형, Rion Co., Ltd.,에서 생산)를 사용하여, 0.2㎛ 또는 그 이상의 직경을 갖는 입자의 수가 측정되었다.
웨이퍼 결함 분석기 (KLA, KLA Tencall Co., Ltd.,에서 생산)를 사용하여, 코팅 필름에서 결함수가 측정되었다. 표 1에서, "EX"는 그 수가 10 이하를 의미하며, "FA"는 그 수가 10 내지 100을 의미하며, 그리고 "BA"는 그 수가 100 이상임을 의미한다.
참조 실시예 2
합성 실시예 2에서 얻어진 159.4부의 조 수지 B를 293부의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에 용해시켰다. 그 용액에 2.5부의 활성 탄소 (상품명: CARBORAFIN, 평균 소공 크기: 30Å, 비표면적: 1500㎡/g)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4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이후,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으로 이루어진 5㎛ 필터를 사용하여 압력 여과에 의해 처리된 혼합물을 여과시켜 처리된 수지 B 용액을 얻었다.
13.5부의 처리된 수지 B (고형분의 총중량으로 환산됨), 0.5부의 비스(시클로헥실설포닐)디아조메탄, 0.2부의 4-메틸페닐디페닐설포늄 토실레이트, 0.01부의 N-메틸디시클로헥실아민, 0.005부의 테트라메틸암모늄 히드록시드, 0.135부의 프로필렌 글리콜 1000, 0.011부의 석시미드, 0.15부의 디메틸 히단토인 및 0.15부의 디메틸이미다졸리딘온을 113.0부의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수지 용액으로부터의 분율 포함) 및 3.2부의 γ-부티로락톤의 혼합 용매에 용해시켜 레지스트 조성물을 얻었다. Nihon Mykrolis K.K에 의해 생산된 PTFE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으로 이루어진 0.1㎛ 필터 및 UPE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0.05㎛ 필터로 그 조성물을 여과시켜 예비적 여과된 레지스트 조성물을 얻었다.
전술한 예비적 여과된 레지스트 조성물은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동일한 아이템으로 평가되었다. 그 결과는 표 1에 도시하였다.
참조 실시예 3
처리된 수지 A를 조 수지 A로 바꾼것을 제외하고는 참조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 및 평가가 수행되었다. 결과는 표 1에 도시하였다.
참조 실시예 4
처리된 수지 B를 조 수지 B로 바꾼것을 제외하고는 참조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 및 평가가 수행되었다. 결과는 표 1에 도시하였다.
참조 실시예 1 참조 실시예 2 참조 실시예 3 참조 실시예 4
클로깅 디그리 1.0 0.9 0.0 0.7
소형 입자의 수>0.2㎛/mL 87 352 165 420
흡집의 수 EX EX BA FA
실시예 1
합성 실시예 3에서 얻어진 20부의 조 수지 C를 80부의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닐 에테르 아세테이트에 용해시켰다. 그 용액에 2.5부의 활성 탄소 (상품명: CARBORAFIN, 평균 소공 크기:30Å, 비표면적: 1500㎡/g)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4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이후,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으로 이루어진 5㎛ 필터를 사용하여 압력 여과에 의해 처리된 혼합물을 여과시켜 처리된 수지 C 용액을 얻었다.
10부의 처리된 수지 C (고형분의 총중량으로 환산됨), 0.2부의 (4-메틸페닐)디페닐설포늄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및 0.015부의 2,6-디이소프로필아닐린을 57.0부의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및 3.0부의 γ-부티로락톤에 용해시켜 조 레지스트 조성물을 얻었다. Nihon Mykrolis K.K에 의해 생산된 PTFE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으로 이루어진 0.1㎛ 필터 및 UPE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0.05㎛ 필터로 그 조성물을 여과시켜 예비적 여과된 레지스트 조성물을 얻었다.
예비적 여과된 레지스트 조성물의 클로깅 디그리는 참조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측정되었다. 클로깅 디그리 값은 1.0이었다. 참조 실시예 1 내지 5 (표 1)의 결과를 참조로, 그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형성된 코팅 필름의 품질의 추정이 코팅 필름상에 결함수를 추정함으로써 행해졌다. 결함수의 추정은 EX (10 이하)이며, 조성물의 품질 추정은 "엑셀런트"이었다. 추정 이후, 참조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코팅 필름이 형성된 이후 조성물이 실질적으로 평가되었다. 코팅 필름의 실제 결함은 EX (10 이하)였다. 그리고 그 조성물의 실제 평가도 엑셀런트이었다.
실시예 2
처리된 수지 C가 조 수지 C로 바뀐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성물의 실험 및 클로깅 디그리의 측정이 수행되었다. 클로깅 디그리 값은 0.5였다. 참조 실시예 1 내지 5 (표 1)의 결과를 참조로, 그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형성된 코팅 필름의 품질의 추정이 코팅 필름상에 결함수를 추정함으로써 행해졌다. 결함수의 추정은 FA (10 내지 100) 또는 BA (100 이상)이며, 조성물의 품질 추정은 페어 또는 배드이었다.
추정 이후, 참조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코팅 필름이 형성된 이후 조성물이 실질적으로 평가되었다. 코팅 필름의 실제 결함은 BA (100 이상)이었다. 그리고 그 조성물의 실제 평가도 배드이었다.
본 방법에 따라, 코팅 필름을 실질적으로 형성하지 않고도 코팅 필름의 품질이 이해될 수 있다. 반도체 코팅 필름용 용액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Claims (6)

  1. 반도체 코팅 필름용 용액을 평가하는 방법으로서, 평균 소공 크기 0.01 내지 0.4㎛를 갖는 필터를 통해 그 용액이 여과된 때, 반도체 코팅 필름용 용액의 클로깅 디그리(Clogging Degree)를 측정하는 것, 및
    그 용액으로부터 형성된 코팅 필름의 품질을 추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여기서 클로깅 디그리는 다음의 방정식에 의해 정의된다:
    클로깅 디그리 = V2 / V1
    V1: 일정한 압력 및 온도에서 용액이 여과된 경우, 초기 기준점에서 여과액의 선형 속도 값 (필터 1㎠당 여과 속도 (g/(㎠·min))
    V2: 초기 기준점으로부터 소정량 여과한 시점에서 여과액의 선형 속도 값
  2. 제1항에 있어서, 반도체 코팅 필름용 용액이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반도체 코팅 필름용 용액이 KrF 또는 ArF용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필터가 트랙-에치(track-etch) 멤브레인 필터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필터의 평균 소공 크기가 0.01 내지 0.2㎛인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초기 기준점으로부터 방출된 소정량의 여과액이 필터 1㎠ 당, 여과액 중의 고형분 총중량으로 환산하여 0.1 내지 10 g인 방법.
KR1020040076755A 2003-09-26 2004-09-24 반도체 코팅 필름용 용액 평가 방법 KR1010932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34849 2003-09-26
JPJP-P-2003-00334849 2003-09-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0587A true KR20050030587A (ko) 2005-03-30
KR101093267B1 KR101093267B1 (ko) 2011-12-14

Family

ID=34532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6755A KR101093267B1 (ko) 2003-09-26 2004-09-24 반도체 코팅 필름용 용액 평가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176143B2 (ko)
KR (1) KR101093267B1 (ko)
CN (1) CN100373571C (ko)
TW (1) TWI33691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98833A (ja) * 2006-05-01 2007-11-15 Fujifilm Corp 感光性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レリーフパターン
JP2015011292A (ja) * 2013-07-02 2015-01-19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液状感光性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CN113169217A (zh) * 2018-11-19 2021-07-23 陈鼎国 有机发光显示器件及其制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72510A (ja) * 1988-12-23 1990-07-04 Shinko Pantec Co Ltd 電気浸透脱水機の濾板
DE69208413T2 (de) * 1991-08-22 1996-11-14 Kla Instr Corp Gerät zur automatischen Prüfung von Photomaske
JP3559355B2 (ja) * 1995-06-15 2004-09-02 株式会社東芝 液中微粒子検出装置および処理装置
US6280799B1 (en) * 1998-12-28 2001-08-28 Dai Nippon Printing Co., Ltd. Viscous substance discharging method using a viscous substance dispenser and pattern forming method using a viscous substance dispenser
JP3554509B2 (ja) 1999-08-10 2004-08-18 忠弘 大見 圧力式流量制御装置における流量異常検知方法
JP4006936B2 (ja) 2000-09-22 2007-11-14 住友化学株式会社 微細粒子量の低減されたフォトレジスト組成物の製法
JP2003028782A (ja) * 2001-07-18 2003-01-29 Sumitomo Chem Co Ltd 濾過比抵抗の測定方法
KR100566840B1 (ko) * 2002-01-30 2006-04-03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성막 방법 및 성막 장치
JP4024639B2 (ja) * 2002-10-16 2007-12-19 大日本スクリーン製造株式会社 薬液ポンプ、配管システム、基板処理ユニット、基板処理装置、薬液吐出方法、配液方法および基板処理方法
KR20040084850A (ko) * 2003-03-28 2004-10-06 스미또모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화학 증폭 레지스트 조성물
KR20060051603A (ko) * 2004-09-28 2006-05-19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화학 증폭 레지스트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01716A (zh) 2005-03-30
US20050095729A1 (en) 2005-05-05
US7176143B2 (en) 2007-02-13
CN100373571C (zh) 2008-03-05
KR101093267B1 (ko) 2011-12-14
TWI336914B (en) 2011-02-01
TW200514183A (en) 2005-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837918T2 (de) Lichtabsorbierende polymere
TWI223128B (en) Antireflective composition for a deep ultraviolet photoresist
DE112011100591B4 (de) Sulfonamid-enthaltende Deckschicht- und Fotoresist-Zusatzstoff-Zusammensetzungen und Verfahren zur Verwendung
EP0444493B1 (de) Negativ arbeitendes strahlungsempfindliches Gemisch und daraus hergestelltes Aufzeichnungsmaterial
KR100948531B1 (ko) 포지티브형 레지스트 조성물의 제조 방법, 포지티브형레지스트 조성물 및 레지스트 패턴 형성 방법
KR101242320B1 (ko) 반도체 레지스트용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입자의 증가 방지방법
KR101882716B1 (ko) 감활성광선성 또는 감방사선성 수지 조성물, 그 조성물을 이용한 감활성광선성 또는 감방사선성막 및 패턴 형성 방법, 또한 전자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및 전자 디바이스
DE10063064A1 (de) Chemisch verstärkte positiv arbeitende Resistzusammensetzung
TW201420612A (zh) 感光化射線性或感放射線性樹脂組成物、抗蝕劑膜、圖案形成方法以及使用其的電子元件的製造方法以及電子元件
US4912018A (en) High resolution photoresist based on imide containing polymers
TW200424769A (en) Process for refining crude resin for resist
DE69828138T2 (de) Licht-absorbierendes polymer, zusammensetzung die licht-absorbierende beschichtungen bildet, licht-absorbierende beschichtungen und daraus hergestellte antireflektionsbeschichtungen
KR20200117995A (ko) 레지스트 조성물 및 레지스트막
EP0510447B1 (de) Negativ arbeitendes strahlungsempfindliches Gemisch und damit hergestelltes strahlungsempfindliches Aufzeichnungsmaterial
KR101093267B1 (ko) 반도체 코팅 필름용 용액 평가 방법
JP5625547B2 (ja) レジスト組成物の製造方法
TW491966B (en) Positive-working photoresist composition
JP2005123599A (ja) 半導体塗布膜用溶液の評価方法
KR100564430B1 (ko) 유기 반사 방지막 중합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함유하는 반사 방지막 조성물
KR100778244B1 (ko) ArF 포토레지스트용 유기 반사방지막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586541B1 (ko) 유기 반사 방지막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패턴 형성 방법
JPWO2008081822A1 (ja) レジスト用重合体、レジスト組成物、および微細パターンが形成された基板の製造方法
JPH08227155A (ja) ポリマー
JP2022146199A (ja) 共重合体、共重合体の製造方法、レジスト組成物及び基板の製造方法
KR19980026830A (ko) 화학증폭형 레지스트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