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8300A - 차량용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표시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50028300A KR20050028300A KR1020040065479A KR20040065479A KR20050028300A KR 20050028300 A KR20050028300 A KR 20050028300A KR 1020040065479 A KR1020040065479 A KR 1020040065479A KR 20040065479 A KR20040065479 A KR 20040065479A KR 20050028300 A KR20050028300 A KR 2005002830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 electric
- light source
- face
- guide plat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7/00—Dashboard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8—Structurally-combined illumina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Details Of Measuring Devices (AREA)
Abstract
차량용 표시장치의 구성에 대한 연구를 거듭하여 선명한 시야를 갖는 차량용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광 다이오드(5)에 의하여 투과 조명되는 문자반(2) 위에 겹쳐지게 배치되는 도광판(3)에 도광판(3) 내의 발광 다이오드(4a~4e)로부터 빛을 운전자의 인식방향으로 반사하는 반사면(31a~31e)을 만들고, 그 위에 발광 다이오드(4a~4e)를 문자반(2)의 운전자 피 인식범위 외에 배치하였다.
이에 따라서 소등된 반사면(31a~31e)은 거의 완전하게 보이지 않게되고, 그 대신에 문자반(2)이 인식되므로 종래의 차량용 표시장치에 있어서 소등된 세그먼트도 문자반에서 독립된 의장으로써 명확하게 어두운 색으로 인식되고, 차량용 표시장치의 시야가 저하하는 문제를 해결하고 선명한 시야를 갖는 연료계(A)를 실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차 등에 채용하기에 적합한 차량용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표시장치의 시야를 갱신하기 위한 일환으로, 정보량 표시를 일반적인 지침에 의지하는 바 그래프 모양으로 표시하는 것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차량용 표시장치로써, 복수의 세그먼트를 갖추고 그 복수의 세그먼트에 의하여 정보량을 바 그래프 모양으로 표시하고, 세그먼트의 일부 또는 동일 평면상의 세그먼트에 대응하는 부분을 항상 표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 실 개시 62-96520호 공보 참조)
위의 구성에 의하면, 정보량의 많고 적음을 바 높이의 고저(高低)로 지시함으로써 차량용 표시장치의 시야를 선명하게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구성의 차량용 표시장치에서는, 문자반의 전용 광원에 의하여 투과 조명됨과 동시에, 세그먼트는 예를 들면 세그먼트 모양의 발광 다이오드 문자반 위에 배치하는 구성, 또는 문자반 위에 인쇄 등으로 형성된 전용 광원에 의하여 직접 투과 조명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위에서 기술한 종래의 차량용 표시장치에서는 정보량의 크고 적음에 맞추어서 발광 표시되는 세그먼트 개수를 증감시켜서 정보량을 지시하고 있다.
이 경우, 문자반 위에서 발광 표시되지 않는 세그먼트는 어두운 색, 예를 들면 검은색으로 보이고, 세그먼트 주위의 문자반과는 명확하게 다른 것으로 식별된다.
바꾸어 말하면, 이러한 세그먼트는 발광 표시되든지 되지 않든지에 관계 없이 전체 수가 문자반에서 독립된 별개의 표시 영역으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정보량을 지시하는 기능은 다 할 수 있지만, 통상적인 계기 등과 비슷하게 시야를 갖게 되고, 문자반으로써 선명도가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위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차량용 표시장치의 구성에 대한 연구를 거듭한 것으로써 선명한 시야를 갖는 차량용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위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기술적인 수단을 채용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되어 있는 차량용 표시장치는 투광성 재료로 이루어진 표시 의장부를 갖춘 문자반과, 문자반의 표면측 또는 뒤측에 겹치게 배치되어 있는 도광판과, 문자반의 뒤쪽에 배치되어 있는 문자반을 투과 조명하기 위한 제1 광원과, 도광판 내에 빛이 입사되도록 배치되는 제2 광원과, 도광판에 형성된 전기 도광판 내로 진행하는 제2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운전자의 인식 방향으로 반사하는 반사면을 갖추고, 제2 광원은 운전자의 인식 방향에서의 문자반을 인식할 수 없는 범위 외측에 배치되며, 제1 광원을 점등시키면 문자반이 발광 표시되고, 제1 광원 점등중에 제2 광원을 점등시키면 문자반을 배경으로 반사면이 인식 가능하게 발광 표시되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종래의 차량용 표시장치에 있어서, 문자반 위에 형성되는 정보량 표시용의 복수 세그먼트 및 광원 문자반의 운전자로부터 눈으로 인식될 수 있는 범위인 피 인식범위 내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복수 세그먼트는 그 전체 수가 발광 표시되든지 되지 않든지에 상관없이 문자반 위에서 독립된 별개의 표시 영역으로써 인식해버리게 되고, 문자반의 선명도가 부족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되어 있는 차량용 표시장치에서는, 반사면은 제2 광원이 점등시키면 그 빛을 반사해서, 종래의 차량용 표시장치에서의 정보량 표시용의 세그먼트로써 인식된다.
한편, 제2 광원을 소등할 때는, 반사면 즉 세그먼트는 보이지 않고 반사면을 투과해서 문자반이 인식된다.
바꾸어 말하면, 제2 광원을 소등할 때에는 세그먼트 자체가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인식된다.
더구나 제2 광원은 운전자의 인식방향에 있어서 문자반 피 인식범위의 외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제2 광원으로부터의 빛이 문자반(2)을 투과해서 직접 운전자의 인식방향으로 진행하여 운전자를 현혹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발광 표시되는 세그먼트만 인식되며, 발광 표시 되지 않는 세그먼트 부분에 있어서는 문자반을 인식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서 보다 선명한 차량용 표시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되어 있는 차량용 표시장치는, 반사면은 서로 인접한 곳에 복수의 개수로 설치되며, 또한 제2 광원은 복수로 반사면마다 설치되고, 도광판의 주위에 2개의 제2 광원에서의 빛의 입사면 사이에는 제2 광원으로의 빛의 진행 방향에 깊이를 갖는 홈이 만들어져 있으며, 이 홈에는 차광성 재료로 이루어진 차광부재(部材)가 감합(嵌合)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서, 점등시키는 제2 광원의 개수를 조정하여 발광 표시되는 반사면의 개수를 조정함으로써 표시되는 정보량의 많고 적음을 지시할 수 있다.
또한, 도광판에 차광부재를 만듦으로써, 어느 반사면에 대응하는 제2 광원으로부터 빛이 인접하는 발광 표시되지 않는 반사면으로 새어나와서 입사되고, 발광 표시되는 반사면과 소등되는 반사면과의 경계가 불명확하게 인식되고, 그로인하여 차량용 표시장치의 선명도가 저하되어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기재되어 있는 차량용 표시장치에 있어서는, 여러개의 반사면 중에서 적어도 한 가지에는 그에 대응하는 제2 광원의 발광색을 여러 종류로 설정하고 필요에 맞추어서 제2 광원의 발광색을 교체가 가능한 것으로 구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표시되는 정보량이 운전자에게 주의를 촉구하는 레벨로 되었을 경우에는, 발광 표시색을 교체함으로써 운전자에게 그것을 확실하게 인식시킬 수 있으므로 눈으로 인식하는 인식성이 뛰어남과 동시에 선명한 차량용 표시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되어 있는 차량용 표시장치는, 문자반 반사면에 대응한 표시 의장을 만드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예를 들면, 인식방향에 있어서 반사면에 대응시켜서 문자반에 반사면의 윤곽선을 만들어서 발광 표시되는 반사면의 윤곽을 보다 눈에 띄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선명한 시야를 갖는 차량용 표시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표시장치를 자동차의 콤비네이션 메터(1)에 설치하는 연료계(A)(자동차의 연료 탱크 내의 잔존연료량을 지시하는 것)에 적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서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콤비네이션 메터(1)은 자동차의 운전석 앞쪽의 운전자로부터 인식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며, 각종 정보를 운전자에게 인식 가능하도록 표시하고 있다.
콤비네이션 메터(1)에는 통상적으로 연료계(A) 외에도 속도계, 회전계, 시계 등의 복수의 계기가 배치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의한 연료계(A)의 연료계(A)부의 부분 정면도이다.
도 2는 도면1의 ⅠⅠ-ⅠⅠ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도면 1의 ⅠⅠⅠ-ⅠⅠⅠ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의한 연료계(A)의 전기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문자반(2)은 투광성 재료로써 예를 들면 무색 투명한 폴리 카보네이트 수지의 평판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문자반(2)에는 도 1에 표기되어 있듯이 표시 의장부로써의 문자(21) 및 도형(22)이 만들어져 있다.
문자(21) 및 도형(22)은 문자반(2)의 표면(2a) 또는 뒤면(2b)에 반투광성 도료를 이용하여 인쇄 또는 핫 스템프 등을 설치한 것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의한 연료계(A)에서는 문자(21) 및 도형(22)의 반투광성 백색에 문자(21) 및 도형(22)을 제외한 문자반(2)의 전역을 반투광성 청색으로 형성하고 있다.
여기에서 문자(21)의 [F]는 Fu11 즉 가득찬 상태를 의미하며 [E]는 Empty 즉 빈 상태를 의미하고 있다.
또한, 문자반(2)의 뒤쪽에는 도 2에 나타나 있듯이 문자반(2)을 투과조명하기 위한 제1 광원인 발광 다이오드(5)가 만들어져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의한 연료계(A)에서는 발광 다이오드(5)로써 백색 발광 다이오드가 이용되고 있다.
문자반(2)의 전방(도 2에서의 상측)에는 도 2에 표기되어 있듯이 판(8)이 만들어져있다.
이러한 판(8)은 예를 들면 수지 또는 금속 등의 판재로 형성되어 있으며, 관통하는 구멍으로 창 부분(8a)이 있다.
창 부분(8a)을 통해서 문자반(2)이 인식된다.
즉 창 부분(8a)의 윤곽 형상이 연료계(A)의 윤곽 형상으로 되어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의한 연료계(A)에서 창 부분(8a)은 도 1에 나타나 있듯이 약선(略扇(부채))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문자반(2)의 표면(2a)측(도 2에서의 위쪽) 또한 판(8)의 뒤쪽(도 2에서의 아래쪽)에는 투광성재료, 예를 들면 무색 투명한 폴리 카보네이트 수지로 이루어진 도광판(3)이 도 2에 표기되어 있듯이 문자반(2)에 겹쳐지게 배치되어 있다.
도광판(3)은 도 1에 나타나 있듯이 연료계A의 윤곽인 창 부분(8a)의 형상에 대응하듯이 약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광판(3)의 바깥 주변쪽, 즉 부채 모양의 바깥 주변쪽에는 도광판(3) 내를 진행하는 제2 광원에서부터 빛을 운전자의 인식방향(도 1에서의 위쪽)으로 향해서 반사하는 반사면(31a~31e)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의한 연료계(A)에서는 반사면은 5개가 만들어져있다.
각 반사면(31a~31e)은 평면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도 1에 표기하듯이 서로 인접해있고, 연속해서 원호모양을 이루도록 만들어져있다.
또한, 도 1에서는 문자반(2) 위에서의 도광판(3) 및 반사면(31a~31e)을 알기 쉽도록 하기위해서 실선으로 표시하고 있지만, 운전자가 본 경우에는 도광판(3)은 무색투명으로 거의 보이지 않고 문자반(2)만 인식된다.
또한, 반사면(31a~31e)은 제2 광원 점등일 때는 발광 표시되어서 도 1에 표기한것 같은 형상으로 인식되지만, 제2 광원 소등일 때는 무색투명해서 거의 보이지 않고 문자반(2)만 인식된다.
도광판(3)의 반사면(31a~31e)의 반대쪽, 즉 부채모양에 상당하는 부분에는 도 1에 표기되어 있듯이, 뒤에 기술하는제2 광원으로부터 빛을 도광판(3) 내로 도입하기 위한 입사면(32a~32e)이 반사면(31a~31e)에 대응하도록 되어있다.
즉, 입사면(32a)으로부터 입사한 제2 광원으로부터의 빛은 도광판(3) 내로 진입해서 반사면(31a)으로 입사한다.
마찬가지로 입사면(32b)에서 입사된 빛은 반사면(31b)으로 입사되고, 입사면 (32c)에서 입사된 빛은 반사면(31c)으로 입사되고, 입사면(32d)에서 입사된 빛은 반사면(31d)으로 입사되고, 입사면(32e)에서 입사된 빛은 반사면(31e)으로 입사한다.
이러한 입사면(32a~32e)은 운전자의 인식방향에서의 문자반(2)의 피 인식범위 외측에 즉, 도 1에 표기되어 있듯이 판(8)의 창 부분(8a)의 외측에 만들어져 있다.
이에 따라서 문자반(2) 위에서는 각 반사면(31a~31e) 및 도광판(3)의 일반평면부분이 겹치게 배치되게 된다.
또한, 도광판(3)에서 옆에 마주한 두 개의 입사면 사이, 즉 입사면(32a)과 입사면(32b)사이, 입사면(32b)과 입사면(32c)의 사이, 입사면(32c)과 입사면(32d)의 사이, 입사면(32d)과 입사면(32e)의 사이에는 도 3에 표기되어 있듯이 제2 광원으로부터의 빛의 진행 방향(도 3에서의 위쪽 방향)에 깊이가 있는 홈(33)이 만들어져 있다.
각 홈(33) 내에는 도 2 및 도 3에 표기되어 있듯이 차광성 재료, 예를 들면 차광성으로 착색된 수지로 이루어진 차광부재로써 차광벽(71)이 감합되어있다.
또한, 차광벽(71)은 도 3에 표기되어 있듯이 도광판(3)의 양단(兩端)부에도 배치되어 있다.
차광벽(71)은 뒤에 기술하는 케이스(7)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차단벽(71)에 의하여 각 입사면(31a~31e)에서 입사한 제2 광원으로부터의 빛이 인접하는 입사면에 대응하는 반사면에 입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광판(3)의 뒤쪽에는 도 2 및 도 3에 표기되어 있듯이 입사면(31a~31e) 마다에 제2 광원인 발광 다이오드(4a~4e)가 입사면(32a~32e)에 빛을 입사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의한 연료계(A)에서는 발광 다이오드(4a~4d)로써 노란색 발광 다이오드가, 또한 발광 다이오드(4e)로써 노란색·적색 발광 다이오드가 이용되고 있다.
여기에서 발광 다이오드4e인 노란색·적색 발광 다이오드는 발광색을 노란색 또는 적색으로 교체 가능한 발광 다이오드이다.
이러한 발광 다이오드(4a~4e) 및 문자반(2) 조명용의 발광 다이오드(5)는 프린트 기판(6)에 장착되어 있다.
프린트 기판(6)은 예를 들면, 글래스 에폭시 프린트 기판 등으로 이루어졌으며, 콤비네이션 메터(1)의 전기회로부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프린트 기판(6)에는 발광 다이오드(4a~4e) 및 발광 다이오드(5)의 점등·소등을 제어하는 제어회로(9)가 장착되어 있다.
제어회로(9)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 컴퓨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위에 기술한 문자반(2), 도광판(3), 프린트 기판(6) 및 판(8)은 케이스(7)에 수용·유지되어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연료계(A)에서는 케이스(7)는 차광성 착색처리가 실시된 수지재료로 형성되었으며, 위에 기술한 차광벽(71)은 일체형에 의하여 만들어져있다.
다음은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연료계(A)에서의 연료계(A)의 전기회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도 4의 전기회로 구성도에 표기되어 있듯이, 연료계(A)에서의 제어회로(9)에는 밧데리(11)로부터 전력이 상시 공급되고 있다.
또한, 제어회로(9)는 이그니션(ignition)스위치(10)가 그 작동 상태(ON 또는 OFF)를 검출할 수 있도록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어회로(9)에는 해당 자동차의 연료탱크(도면에 표기하지 않음) 내의 연료 액면(液面)위치를 검출하는 액면 센서(12)가 그 검출신호를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어회로(9)에는 발광 다이오드(4a~4e), 발광 다이오드(5)가 접속되어 있다.
제어회로(9)는 액면 센서(12)에서 검출되는 신호에 근거하여 발광 다이오드(4a~4e)의 점등·소등을 제어하고 있다.
다음은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의한 연료계(A)에서의 연료계(A)의 작동에 대하여, 특히 눈으로 인식하는 인식 상태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이그니션스위치(10)가 ON되면 제어회로(9)는 그것을 감지하여 발광 다이오드(5)를 점등시킨다.
발광 다이오드(5)에서 나오는 빛은 도 2안에 있는 화살표 표시 (B)와 같이 진행하고, 그 빛에 의하여 문자반(2)은 투과조명되며, 문자(21) 및 도형(22)이 백색으로되고, 그 이외의 배경 부분이 청색으로 발광 표시된다.
동시에 제어회로(9)는 액면 센서(12)로부터의 출력신호에 근거하여 연료 탱크 내의 잔존연료량을 산출하고, 산출한 잔존연료량을 지시하도록 발광 다이오드(4a~4e)의 점등·소등을 제어한다.
즉, 연료 탱크가 가득찬 상태인 경우에는 발광 다이오드(4a~4d)가 점등 구동됨과 동시에 발광 다이오드(4e)는 노란색으로 점등 구동시킨다.
각 발광 다이오드(4a~4e)로부터의 빛은 도 2안의 화살표 표시 (C)와 같은 방향으로 진행하고, 각 반사면(31a~31e)으로 입사하고, 또한 운전자의 인식 방향으로 반사되어서 5개의 반사면 모두, 즉 반사면(31a~31e)이 노란색으로 발광 표시된다.
여기에서 발광 다이오드(4a~4e)의 구동전류치 및 발광 다이오드(5)의 구동전류치는, 반사면(31a~31e)이 파란색으로 조명되는 문자반(2)을 배경으로 하면서 또한 노란색으로 선명하게 인식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자동차가 주행을 함에따라서 연료 탱크 내의 연료가 소비되고, 연료 탱크 내의 액면 레벨이 저하하게 되면 제어회로(9)는 그것을 검지하고, 우선 도 1에서의 [F]측, 즉 가득 찬 쪽의 반사면(31a)은 발광표시되지 않게되며, 반사면(31a)의 부분은 교체되어 문자반(2)과 동일한 푸른색으로 인식된다.
즉, 노란색으로 발광 표시되는 반사면의 개수는 5개에서 반사면(31b~31e)의 4개로 감소된다.
이 때, 종래의 차량용 표시장치에서는 세그먼트는 소등되더라도 어두운 색으로 눈에 보이게 된다.
바꾸어 말하면 문자반으로부터 독립된 의장 및 색으로 인식되기 때문에 문자반의 선명도면에서 만족도가 부족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의한 연료계(A)에서는, 세그먼트인 반사면(31a~31e)을 조명하는 발광 다이오드(4a~4d)가 소등되면, 반사면(31a~31e)은 거의 완전하게 투명상태가 되고, 그 대신 문자반(2)이 파란색으로 보이게된다.
반사면(31a~31e)은 소등되면 거의 완전하게 소멸된것 같은 느낌을 인식자에게 줄 수 있다.
또한, 각 발광 다이오드(4a~4e) 및 도광판(3)의 입사면(32a~32e)은 운전자의 인식향에서의 문자반(2)의 인식범위인 판(8)의 창 부분(8a)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서 각 발광 다이오드(4a~4e) 및 도광판(3)의 입사면(32a~32e) 각각의 자체가 문자반(2)을 투과해서 운전자에게 보이게 되며, 각 각 발광 다이오드 (4a~4e)로부터의 빛이 직접 문자반(2)을 투과해서 운전자에게 보이지는 않는다.
이에 따라 선명한 시야의 연료계(A)를 실현할 수 있다.
자동차의 작동시간이 경과해서 연료 탱크 내의 액정 레벨이 더욱 저하하게되면, 제어회로(9)는 그것을 검지하고 발광 표시되는 반사면 중, 도 1에서의 [F]측, 즉 가득찬 쪽의 끝 부분에 위치하는 반사면인 반사면(31b)에 빛을 조사하고 있는 발광 다이오드(4b)를 소등시킨다.
이에 따라서 반사면(31b)는 발광표시하지 않게되며, 반사면(31b) 부분은 대신해서 문자반((2)과 동일하게 청색으로 인식된다.
즉 노란색으로 발광 표시되는 반사면 개수는 5개부터 반사면(32c~32e)의 3개로 감소한다.
이하, 연료 탱크 내의 액면 레벨이 저하함에 따라 반사면(31c)에 빛을 조사하고 있는 발광 다이오드(4)가 소등되고, 다음은 반사면(31d)에 빛을 조사하고 있는 발광 다이오드(4d)가 소등된다.
이에 따라서 발광 표시되는 반사면 개수가 1개씩 감소하고, 연료 잔량의 감소를 운전자에게 명확하게 확인시킬 수 있다.
반사면(31d)에 빛을 조사하고있는 발광 다이오드(4d)가 소등되고, 발광 표시되는 반사면 개수가 1개가 된다.
즉, 도 1에서 가장 [E]쪽, 즉 공측에 위치하는 반사면(31e)만 되면, 제어회로(9)는 반사면(31e)에 빛을 조사하고 있는 발광 다이오드(4e)의 발광색을 노란색에서 적색으로 교체한다.
그러므로 반사면(31e)은 그때까지의 노란색에서 적색으로 변해서 발광 표시된다.
이에 따라서 잔존 연료량이 감소해서 이제 곧 비게되는 상태로 된다는 것을 확실하게 운전자에게 인식시켜줄 수 있다.
이 때, 발광 다이오드(4e)의 발광색을 노란색에서 적색으로 교체함과 동시에 적당한 주기로 점멸구동하며, 반사면(31e)을 적색으로 점멸표시하게 하면 잔존 연료량이 적어졌다는 것을 효과적으로 인식시키는 것과 동시에 신속하게 급유할 것을 운전자에게 촉구할 수 있다.
이 경우, 반사면(31e)의 적색 점멸표시는 연료 탱크 내의 액면 레벨이 높아질때까지 계속된다.
이그니션스위치(10)가 OFF되면 제어회로(9)는 그것을 감지하여 발광 다이오드(4a~4e) 및 발광 다이오드(5)를 소등시킨다.
이에 따라서 문자반(2) 전면이 검은색으로 인식되고, 나아가서는 반사면(31a~31e)은 보이지 않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의한 연료계(A)에서는, 발광 다이오드(5)에 의하여 투과조명된 문자반(2) 위에 투광성 재료로 이루어진 도광판(3)을 겹쳐지게 배치함과 동시에 도광판(3)에 도광판(3) 내를 진행하는 발광 다이오드(4a~4e)로부터의 빛을 운전자의 인식방향으로 반사하는 반사면(31a~31e)을 만들고 있다.
또한, 발광 다이오드(4a~4e)를 운전자의 인식방향에서의 문자반(2)의 피 인식범위 외측으로, 즉 판(8)의 창 부분(8a)의 외측에 배치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각 발광 다이오드(4a~4e)가 점등되면, 그에 대응하여 반사면(31a~31e)이 발광 표시되고, 각 발광 다이오드(4a~4e)가 소등하면 소등된 발광 다이오드(4a~4e)에 대응하는 반사면(31a~31e)은 거의 완전하게 보이지 않게 되며, 반사면(31a~31e)이 인식된 장소는 문자반(2)으로써 인식된다.
따라서, 종래의 자동차용 표시장치에서 소등된 세그먼트도 문자반으로부터 독립된 의장으로써 명확하게 어두운 색으로 인식되어서 차량용 표시장치의 선명도가 저하하는 문제를 해결하고 선명한 시야를 갖는 연료계(A)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발광 다이오드(4a~4e)를 운전자의 인식방향과 관련하여 문자반(2)의 피 인식범위 외측에, 즉 판(8)의 창 부분(8a)의 외측에 배치했으므로 발광 다이오드(4a~4e)로부터의 빛이 문자반(2)을 투과해서 직접 운전자의 인식방향으로 진행하여 운전자를 현혹하는 문제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광판(3) 옆에 마주하고 있는 두 개의 입사면 사이에 발광 다이오드(4a~4e)가 발하는 빛의 진행방향에 깊이를 갖는 홈(33)을 만듬과 동시에 각 홈(33)내에 차광벽(71)을 감합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서, 각 입사면(32a~32e)에서 입사된 각 발광 다이오드(4a~4e)의 빛이 인접한 입사면에 대응하는 반사면에 입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입접하는 반사면의 한 쪽이 소등되고 다른 한 쪽이 발광 표시되는 경우, 발광 표시되는 반사면 조명용의 발광 다이오드로부터의 빛의 일부가 새어나와서 소등되는 반사면에 입사되고, 밝기가 옅은 발광 표시되는 선명도가 저하하는 문제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발광 다이오드(4e)로써 노란색·적색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함과 동시에, 점등되는 발광 다이오드가 발광 다이오드(4e)만 있을 때, 즉 연료잔량이 적어졌을 때에 발광 다이오드(4e)의 발광색을 그때까지의 노란색에서 적색으로 교체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서, 반사면(31e)의 발광색을 지금까지의 노란색에서 적색으로 교체해서 잔존연료량이 감소하고 얼마되지 않아서 없어질 상태라는 것을 확실하게 운전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의한 연료계(A)의 부분 단면도를 나타낸다.
이러한 변형 예에서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의한 연료계(A)에 대해서 도광판(3)의 형상 및 발광 다이오드(4a~4e)의 설치 장소를 변경하고 있다.
즉, 도 5에 표기되어 있듯이 도광판(3)을 문자반(2)의 외경부로부터 외측으로 늘리면서 발광 다이오드(4a~4e)를 문자반(2)의 외경부로부터 바깥쪽으로 설치하고 있다.
이 경우, 문자반(2)과 도광판(3)이 겹치는 부분은 각 반사면(31a~31e)으로만 한정되며 문자반(2)의 시야를 보다 선명하게 할 수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의한 연료계(A)의 다른 변형 예의 부분 단면도를 나타낸다.
다른 변형 예에서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의한 연료계(A)에 대해서 발광 다이오드(4a~4e)의 설치장소를 변경하고 있다.
즉, 도 6에 표기하고 있듯이 도광판(3)의 반사면(31a~31e)과 반대쪽 단면에 빛을 입사하도록 배치하고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프린트 기판(6)으로써 유연성을 갖는 후렉시블 프린트 기판을 이용하면 발광 다이오드(4a~4e)에 대한 전기적 접속을 용이하게 한다.
이에 따라서, 발광 다이오드(4a~4e)에서부터 반사면(31a~31e)까지의 광로(光路)길이를 단축해서 도광판(3) 내에서 빛 양의 손실을 적게하고 반사면(31a~31e)의 반사 휘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연료계(A)에서의 문자반(2)의 문자(21) 및 도형(22)을 투광성 백색으로 뒷 배경을 투광성 청색으로 각각 착색하고, 발광 다이오드(5)의 발광색을 백색으로 하고 있는데, 문자반(2)의 문자(21) 및 도형(22), 배경부분에 대한 착색층의 색 및 발광 다이오드(5)의 발광색의 적어도 한 쪽을 다른 색으로 변경해도 된다.
또한,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연료계A에서는 반사면(31a~31e)의 조명용 발광 다이오드(4a~4e)의 발광색을 노란색으로 하고 있지만, 다른 색상으로 해도 상관없다.
또한, 발광 다이오드(4e)로써의 노란색·붉은색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고 있는데, 발광 다이오드(4a~4d)와 동일한 발광색의 단일 색상 발광 다이오드로 교체해도 된다.
또한, 이상에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연료계(A)에서는 반사면(31a~31e)의 개수를 5로 하고 있지만, 5개로 한정할 필요는 없으며, 2개 이상이면 얼마라도 상관없다.
또한,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연료계(A)에서는 제1 광원 및 제2 광원으로 발광 다이오드를 준비하고 있지만,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의 적어도 한 쪽을 다른 종류의 광원, 예를 들면 전구, 방전관, EL판넬 등으로 교체해도 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용 표시장치에 있어서,여러개의 반사면중에서 그에 대응하는 제2 광원 갖추고, 필요에 맞추어 발광색을 교체할 수 있으록 구성하여,운전자에게 확실한 인식성을 갖게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인식방향에 있서서, 반사면에 대응시켜 문자반에 반사면의 윤곽선을 만들어서 반사면의 윤곽선을 보다 누에 띄도록 구성하여 선면한 시야를 갖게 해주는 효과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속도계(A)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ⅠⅠ-ⅠⅠ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ⅠⅠⅠ-ⅠⅠⅠ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 의한 속도계(A)의 전기회로 구성을 표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 의한 속도계(A)의 변형 예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 의한 속도계(A) 외의 변형 예의 부분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콤비네이션 메터(차량용 표시 장치)
2. 문자반(표시반) 21. 문자(표시 의장부)
22. 도형(표시 의장부) 3. 도광판
31a~31e. 반사면 32a~32e. 입사면
33. 홈 4a~4e. 발광 다이오드(제2 광원)
5. 발광 다이오드(제1 광원) 6. 프린트 기판
7. 케이스 71. 차광벽(차광부재)
8. 판 8a. 창 부분(피 인식범위)
9. 제어회로 10. 이그니션스위치
11. 밧데리 12. 액면 센서
A. 속도계A B, C. 빛
Claims (4)
- 투광성 재료로 이루어진 표시 의장부를 갖춘 문자반과,전기 문자반의 표면측 또는 뒤측에 겹치게 배치되어 있는 도광판과,전기 문자반의 뒤쪽에 배치되어 있는 전기 문자반을 투과 조명하기 위한 제1광원과,전기 도광판 내에 빛이 입사되도록 배치되는 제2 광원과,전기 도광판에 형성된 전기 도광판 내를 진행하는 전기 제2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운전자의 인식 방향에 반하는 반사면으로 되어있고,전기 제2 광원은 운전자가 인식 방향에서 전기 문자반의 피 인식범위의 외측에 배치되며,전기 반사면은 전기 제2 광원이 발하는 빛을 반사해서 전기 문자반을 배경으로 발광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표시 장치.
- 전기 반사면은 서로 인접한 곳에 복수의 개수로 설치되며, 전기 제2 광원은 복수의 개수로 전기 반사면마다 설치되고,전기 도광판의 주위에 2개의 전기 제2 광원에서의 빛의 입사면 사이에는 전기 제2 광원으로부터의 빛의 진행 방향에 깊이를 갖는 홈이 만들어져 있으며,전기의 홈에는 차광성 재료로 이루어진 차광부재가 감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차량용 표시 장치.
- 여러 개의 전기 반사면 중 적어도 한 개에 있어서,대응하는 전기 제2 광원의 발광색을 복수 종류 설정하고 필요에 따라 전기 제2 광원의 발광 색을 교체가 가능한 것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차량용 표시 장치.
- 전기 문자반 반사면에 대응한 표시 의장을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에 기재한 차량용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3-00326506 | 2003-09-18 | ||
JP2003326506A JP2005091218A (ja) | 2003-09-18 | 2003-09-18 | 車両用表示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28300A true KR20050028300A (ko) | 2005-03-22 |
KR100601685B1 KR100601685B1 (ko) | 2006-07-14 |
Family
ID=34456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65479A KR100601685B1 (ko) | 2003-09-18 | 2004-08-19 | 차량용 표시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2005091218A (ko) |
KR (1) | KR100601685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93961B1 (ko) * | 2008-09-02 | 2014-05-12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의 클러스터 조명 장치 |
CN109724009A (zh) * | 2017-10-31 | 2019-05-07 | 丰田自动车株式会社 | 车载照明装置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904538B2 (ja) * | 2006-07-11 | 2012-03-28 | 日本精機株式会社 | 計器装置 |
JP2008151871A (ja) * | 2006-12-14 | 2008-07-03 | Alpha Corp | インジケータ部の構造 |
JP5029521B2 (ja) * | 2008-07-08 | 2012-09-19 | 株式会社デンソー | 車両用表示装置 |
JP5445783B2 (ja) * | 2010-09-16 | 2014-03-19 | 株式会社エム・システム技研 | 発光表示部を備えた電子機器 |
JP6522351B2 (ja) * | 2015-01-22 | 2019-05-29 | 矢崎総業株式会社 | 表示装置 |
KR102277852B1 (ko) | 2016-11-08 | 2021-07-16 |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 차량용 표시 장치 |
JP6624015B2 (ja) * | 2016-11-08 | 2019-12-25 | 株式会社デンソー | 車両用表示装置 |
JP7290468B2 (ja) * | 2019-05-23 | 2023-06-13 | アズビル株式会社 | パネル計器 |
-
2003
- 2003-09-18 JP JP2003326506A patent/JP2005091218A/ja active Pending
-
2004
- 2004-08-19 KR KR1020040065479A patent/KR10060168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93961B1 (ko) * | 2008-09-02 | 2014-05-12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의 클러스터 조명 장치 |
CN109724009A (zh) * | 2017-10-31 | 2019-05-07 | 丰田自动车株式会社 | 车载照明装置 |
CN109724009B (zh) * | 2017-10-31 | 2022-03-18 | 丰田自动车株式会社 | 车载照明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05091218A (ja) | 2005-04-07 |
KR100601685B1 (ko) | 2006-07-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525446B2 (en) | Display device having decorative member on screen | |
JP4622751B2 (ja) | 車両用表示装置 | |
KR100601685B1 (ko) | 차량용 표시장치 | |
JP2007085858A (ja) | 車両用指針計器 | |
JP2004233466A (ja) | 車両用表示装置 | |
KR100660673B1 (ko) | 차량용 표시장치 | |
JP4984847B2 (ja) | 表示装置 | |
JP4186910B2 (ja) | 表示装置 | |
JP4473542B2 (ja) | 車両用表示装置 | |
JP4603467B2 (ja) | 計器用表示板およびそれを備えた指針計器 | |
JP3812540B2 (ja) | 車両用計器 | |
JP2007304066A (ja) | 車両用指針計器 | |
JP2004226364A (ja) | 車両用表示装置 | |
JP4265514B2 (ja) | 車両用指針計器 | |
JP4259480B2 (ja) | 車両用計器 | |
JP4224751B2 (ja) | 表示装置 | |
JP2006131209A (ja) | 車両用表示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車両用計器 | |
JP2005345287A (ja) | 指針計器 | |
KR100601592B1 (ko) | 차량용 표시장치 | |
JP2005258208A (ja) | 表示装置 | |
JP2005300359A (ja) | 車両用表示装置 | |
JP3501202B2 (ja) | 計器装置 | |
JP2005326183A (ja) | 表示装置 | |
CN215220177U (zh) | 车载显示装置 | |
JP2001066166A (ja) | 計器用表示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807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