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7081A - 선재 연결 금속 부품, 취부체 고정 부품 및 취부체 - Google Patents

선재 연결 금속 부품, 취부체 고정 부품 및 취부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7081A
KR20050027081A KR1020047005807A KR20047005807A KR20050027081A KR 20050027081 A KR20050027081 A KR 20050027081A KR 1020047005807 A KR1020047005807 A KR 1020047005807A KR 20047005807 A KR20047005807 A KR 20047005807A KR 20050027081 A KR20050027081 A KR 200500270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metal
wire rod
mounting
accommod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5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0692B1 (ko
Inventor
시미즈쇼하치
Original Assignee
미라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라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라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27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70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0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06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15/00Connecting wire to wire or other metallic material or objects; Connecting parts by means of wire
    • B21F15/02Connecting wire to wire or other metallic material or objects; Connecting parts by means of wire wire with wire
    • B21F15/06Connecting wire to wire or other metallic material or objects; Connecting parts by means of wire wire with wire with additional connecting elements o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5/00Implements for fastening, connecting or tensioning of wire or str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27/00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 B21F27/08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with additional connecting elements or material at cros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7/00Connect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by a part of or on one member entering a hole in the other and involving plastic deformation
    • F16B17/004Connect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by a part of or on one member entering a hole in the other and involving plastic deformation of rods or tubes mutu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26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pliable, non-resilient material, e.g. plant ti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 H02G3/0443Channels formed by wire or analogous nett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using mounting c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33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parallel relationsh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구의 연결 또는 수구의 조립시 선재 고정 작업이 용이 또는 신속하게 행하여질 수 있는 선재 연결 금속 부품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구용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은, 복수의 상기 금속 선재를 연결 또는 고정하는 때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호 나란히 배치한 상태에서 배치되는 복수의 상기 금속 선재 또는 상호 교차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상기 금속 선재를 상기 나란히 배치한 상태 또는 교차 상태에서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선재 수용부10과, 상기 선재 수용부10의 양측에 설치되고, 공구로 끼우는 것에 의해 소성 변형하며, 상기 선재 수용부10 내에 수용된 하나 또는 복수의 금속 선재를 협지하는, 적어도 한 쌍의 협지편20과, 이들 양 협지편20의 선단으로부터 바깥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공구에 의해 파지 가능한 파지편30,을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선재 연결 금속 부품, 취부체 고정 부품 및 취부체{WIRE CONNECTING FITTING, ATTACHING BODY FIXING TOOL AND ATTACHING BODY}
본 발명은 배선·배관을 지지하기 위해 금속 선재에 의해 네트로 형성되는 수구(受具)의 연결 또는 당해 수구의 조립 등에 사용되는 수구용 선재 연결 금속 부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구끼리의 연결 또는 당해 수구의 조립시 선재 고정 작업을 간이 또는 신속하게 할 수 있는 선재 연결 금속 부품에 관한 것이다. 또한, 선재에 의해 구성되는 배선·배관재용 수구에 취부체를 고정하기 위한 취부체 고정 부품에 관한 것이다. 또한, 선재에 의해 구성되는 배선·배관재용 수구에 취부되는 취부체에 관한 것이다.
배선·배관재를 지지하는 수구로서는, 사다리 유형 이외에, 도46에 도시한 것과 같이, 금속 선재를 격자형으로 용접하고 네트를 형성하여, 이 네트를 조립하여 상호 연결하는 것에 의해 수구로 하는, '메시 타입의 수구'가 현재 제안되고 있다. 이 메시 타입의 수구를 연결하기 위한 고정 금속 부품으로서, 독일 연방 공화국 출원 공개 공보 제2036325호 등에 기재된 기술에 따르면 고정 금속 부품이 제안되어 있다.
이 공보에 기재된 연결 고정 금속 부품은, 도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연결되는 관련되는, 병립되는 두 개의 금속 선재를, 2개의 금속 부품을 나사로 결합하여 끼워두는 것에 의해, 상기 수구의 연결 고정을 행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공보에 기재된 기술에 따른 연결 금속 부품에 의해 연결 고정하기 위하여는, 연결 장소에서 나사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이 나사 작업은, 드라이버 혹은 렌치 등의 공구를 돌리는 작업을 수반하는 번잡한 일이며, 특히, 연결하는 수구의 밑으로 기어들어가, 위를 향하여 무리한 자세에서 연결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는 매우 불편하다.
또한, 상기 수구가 장거리에 걸쳐 배치되는 경우에는, 필연적으로 연결 작업을 요하는 장소도 많아지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모든 연결 장소에서 번거로운 나가 작업을 해야하기 때문에, 그 작업에 장시간을 필요로 하게 되어 문제가 있다.
한편, 상기 메시 타입의 수구에 분리기 등을 취부하는 경우, 상기 사다리 타입의 수구에 분리기를 취부하기 위한 취부 금속 부품은 자형(子桁)83에 취부되는 것에 대하여, 메시 타입의 수구의 경우에는 금속 선재에 취부되기 때문에, 상기 사다리 타입의 수구로의 취부 금속 부품을 그대로 메시 타입의 수구로의 취부에 사용하는 것은 당연하지 않다. 이것은, 분리기 대신, 배선·배관재와 배선 박스 등을 취부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이러한 종류의 메시 타입의 수구에 분리기, 배선·배관재를 취부하기 위한 취부 금속 부품이 필요하게 되고, 특히, 수구는 높은 곳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취부 금속 부품은 간단하고 작업성 좋게 취부될 것이 요구된다.
또한, 상기 메시 타입의 수구에 대하여, 종래의 사다리 타입의 수구와 같이, '나사 결합'에서 분리기 혹은, 새들 등을 취부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나사 결합'을 요하는 장소는 다수에 미치기 때문에, 분리기 등의 설치에는 장시간을 요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수구는 자주 높은 장소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상기 '나사 결합'을 행하는 때에는, 때로는 작업자가 높은 장소에 설치된 상기 수구 위까지 올라가서 작업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도1은 실시예1에 따른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100a)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에 대하여 소성 변형을 실시하는 프로세스를 나타낸 제1도이다.
도3은, 상기 프로세스의 제2도이다.
도4는, 상기 프로세스의 제3도이다.
도5는, 상기 프로세스의 제4도이다.
도6은, 도1의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100a)의 사용 상태를 위쪽에서 본 도이다.
도7은, 도17의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100a)의 사용 상태를 아래쪽에서 본 도이다.
도8은, 실시예2에 따른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100c)의 사시도이다.
도9는, 도8의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100c)의 A-A선 단면도이다.
도10(a)는, 협지하는 금속 선재(A)와 직교하는 '다른 금속 선재(B1), (B2)'끼리의 사이에, 도10의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을 배치시킨 상태의 측면도이고, 한편, (b)는 벗어남 방지부에 직교하는 '다른 금속 선재B'를 수용한 상태의, 도8에 따른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100a)의 측면도이다.
도11은, 도8의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100c)의 사용 상태를 위쪽으로부터 본 도이다.
도12는, 도8의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100c)의 사용 상태를 아래쪽으로부터 본 도이다.
도13은, 도8의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100c)의 다른 사용 상태를 본 도이다.
도14는 실시예3에 따른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100d)의 사시도이다.
도15는, 도14의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100d)의 사용 상태를 위쪽으로부터 본 도이다.
도16은, 도8의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100d)의 사용 상태를 아래쪽으로부터 본 도이다.
도17은, 실시예4에 따른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100f)의 사시도이다.
도18은, 도17의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100f)의 사용 상태를 정면으로부터 본 도이다.
도19는, 도17의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100f)의 사용 상태를 배면으로부터 본 도이다.
도20은, 실시예5에 따른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100g)의 사시도이다.
도21은, 도20의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100g)의 사용 상태를 위쪽으로부터 본 도이다.
도22는, 도20의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100g)의 사용 상태를 아래쪽으로부터 본 도이다.
도23은, 실시예6에 따른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100h)의 사용 상태를 위쪽으로부터 본 도이다.
도24는, 도22의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100h)의 사용 상태를 아래쪽으로부터 본 도이다.
도25는, 수구의 직선 부분을 본 발명에 따른 선재 연결 금속 부품에 의해 연결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26은, 수구의 코너 부분을 본 발명에 따른 선재 연결 금속 부품에 의해 연결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27은, 수구의 교차 부분을 본 발명에 따른 선재 연결 금속 부품에 의해 연결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28은, 종래 기술에 따른 선재 연결 금속 부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29는, 본 발명에 따른 취부체 고정 부품의 실시예에 따른 새들31에서 케이블C를 수구에 취부한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3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선·배관재용 수구로의 취부체 고정 부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31은, 도30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배선·배관재용 수구로의 취부체 고정 부품을 위쪽으로 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3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선·배관재용 수구로의 취부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3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선·배관재용 수구로의 취부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3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선·배관재용 수구로의 취부체 고정 부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3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선·배관재용 수구로의 취부체 고정 부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36은, 도35의 취부체 고정 부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37은, 도35의 취부체 고정 부품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38은, 도35의 취부체 고정 부품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39는, 도35의 다른 취부체 고정 부품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40은, 도35의 취부체 고정 부품의 누탈방지부의 열린 각도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41은, 도35의 취부체 고정 부품의 절곡 가공 전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42는, 도40의 절입 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43은, 취부체 고정 부품의 누탈방지부를 협지 공구로 협압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44는, 도35의 취부체 고정 부품의 누탈방지부를 협압하고 분리기를 취부한 후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45는, 도35의 취부체 고정 부품의 누탈방지부를 협압하고 분리기를 취부한 후의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46은,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배선·배관재용 수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47은, 도46의 수구의 측면 테두리 선재와 연결 선재를 용접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48은, 수구의 정면도이다.
도49는,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예의 배선·배관재용 수구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50은, 도49의 배선·배관재용 수구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하의 구성을 채택한 것이다.
첫째로, 본 발명은 '선재 연결 금속 부품', '취부체 고정 부품' 및 '취부체'를 포함한다.
그리고 '선재 연결 금속 부품'은, 복수의 금속 선재를 상호 조합시켜서 이루어지는 수구의 조립에서, 또는, 당해 수구끼리의 연결 고정을 행하는 때, '나란히 배치한히 배치한 상태' 혹은 '교차 상태'에 있는 금속 선재를 연결 고정하는 것이다. 금속 선재 등의 연결 고정을 위하여, 본 발명의 선재 연결 금속 부품은, 선재 수용부10과 협지편(挾持片)20과 파지편(把持片)30을 구비한다.
이 선재 연결 금속 부품 100은, 예를 들면, '강철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된다고 여겨지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면, 어느 재질의 것을 이용하여도 좋다. 이하, 각 구성 요소마다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선재 수용부1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선재 수용부10은 금속 선재를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후술하는 협지편20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한쪽 편에 '개구'를 형성한 거의 U자 형상의 단면(거의 コ자 형상의 단면)으로 하는 것이 고려된다. 이 선재 수용부10의 폭 치수는, 수용되는 금속 선재의 수에 의해 임의로 결정되고, 당해 선재 수용부10을 형성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 선재 수용부10은 2 이상의 금속 선재를 수용한 때에, 이들의 금속 선재를 가장착한다. 그리고, 후술하는 협지편20을 소성 변형시킨 후에는, 상기 2개의 금속 선재가 이탈하지 않고 고정되게 된다.
이 분리 방지부40의 구성은, 상기 작용을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다면, 어느 구성이라도 상관없으나, 예를 들면, 도9에 도시한 구성이 고려될 수 있다. 본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 부품 100에, 2점 쇄선으로 도시한 협지하는 금속 선재를 수용시킨 상태를 도시한 모식단면도이나, 도9 중에서 상기 분리 방지부40은, 금속 부품 양측의 설치 부분의 선재 협지부20의 사이에 형성된 '커트 아웃'에 대한 잔존 부분에서, 이점쇄선으로 도시한 금속 선재(A)와 인접하는 부분이 여기에 해당한다.
또한, 분리 방지부40에는, 어떠한 확개방지수단을 설치한 것도 고려된다. 이 확개 방지 수단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상기 분리 방지부40을, 금속 선재를 내포한 상태에서, 서로 볼트 체결하는 것이 고려된다.
즉,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상호 마주보도록 설치하는 분리 방지부40에 볼트 구멍41을 형성한다. 이 볼트 구멍41에 관하여는, 어느 구성으로 하여도 좋으나, 구체적으로는, 그 일방을 삽통 구멍으로 하고, 타방을 나선 구멍으로 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그리고, 도15 또는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삽통 구멍에 확개방지 볼트42를 삽입하고, 그 선단에 인접하는 나선 구멍에 대하여 나합 내지 나감(螺嵌)하고, 상기 분리 방지부40의 외방으로의 확개불가로 하는 것이 고려된다. 물론, 상기 볼트 구멍41은, 그 일방을 나선 구멍으로 하지 않고 쌍방을 삽통 구멍으로 하고, 이들 삽통 구멍의 어느 쪽에도 확개 방지 볼트42를 삽통시키고, 또한 별개 부재인 너트에 상기 확개방지 볼트42를 끼워맞추어도 좋다.
다음 협지편20에 관해 설명한다. 이 협지편20은, 전술한 선재 수용부10과 함께 형성되며, 전술한 개구로부터 수용된 상기 금속 선재가 상기 선재 수용부10으로부터 누출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작용을 나타내는 것이라면 어떠한 구성을 채택하여도 좋으나, 구체적으로는, 전술한 선재 수용부10에 돌출편을 일체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고려된다. 본 발명에서 돌출편이라 하는 것은,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선재 수용부10의 양측에 적어도 한 쌍이 설치되고, 상기 선재 수용부10에 1 또는 2 이상의 금속 선재를 수용한 상태로 소성 변형이 실시되는 것에 의해, 상기 금속 선재의 외면을 따라 변형하는 것이다(도2 내지 도5 참조). 이 변형에 의해,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선재 수용부10의 중앙 부근에서, 한 쌍의(혹은 두 쌍 이상의) 돌출편이 서로 인접하며, 상기 선재 수용부10을 거의 폐색 상태로 하는 것이다. 이 돌출부는, 상기 작용을 나타내는 것이라면 어떤 구성이어도 좋으나, 구체적으로는, 돌출부 자신이 협지하는 금속 선재의 직경 치수 혹은 외주 치수와, 서로 대응한 치수로 형성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에는, 그 선단에 '파지편30'을 형성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이 파지편30은, 상기 돌출편을 소성 변형시키는 때, 시공 현장에서 작업자가 펜치 등의 공구에 의해 누르는 작업을 용이 또한 확실하게 하기 때문에, 상기 돌출편의 선단으로부터 바깥 방향으로 향하여 연장 형성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한 쌍(또는, 두 쌍 이상)의 돌출편이 소성 변형한 때에는, 이들 돌출편의 선단에 형성된 파지부30의 편면끼리를 거의 밀봉 상태로 하는 것에 의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상기 파지편30의 편면끼리를 거의 밀봉 상태로 하는 것에 의해, 상술한 개구의 폐색 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선재 수용부10으로부터 금속 선재가 떨어지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은, 그 단면 형상을 도2에 도시한 형태로 구성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도2에 도시한 형태는, 선재 수용부10의 양측에 설치된 협지편20을 거의 U자 형상의 단면(거의 コ자 형상의 단면)에 배치하여 개구를 형성하고, 2개의 금속 선재를 수용부10 내에 배치하고, 당해 선재 수용부10의 양측에 설치한 적어도 한 쌍의 협지편20을 소성 변형시키는 것이다.
이 협지편20은, 소성변형 시킨 후에는 선재 수용부10에 수용한 금속 선재10의 외면을 따라 변형하고, 상기 선재 수용부10을 거의 폐색시키게 된다. 이들의 협지편20을 소성 변형시키는 때에는, 당해 협지편20의 선단으로부터 바깥 방향으로 향하여 연장된 파지편30을 공구로 누르고, 상기 협지편20이 변형한 후에 당해 파지편30의 단면이 거의 밀봉 상태로 되어 상기 선재 수용부를 폐색하고, 복수의 금속 선재를 병접 상태 또는 교차 상태로서 연결 고정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재 연결 부품100은, 조합되는 금속 선재의 직경 치수에 대응하는 치수로 형성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즉, 선재 수용부10 내에 수용되는 금속 선재의 직경 치수에 대응하는 치수로서, 선재 수용부10의 폭 치수와 협지편20의 치수 등을 결정하는 것이다.
또한, 이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의 형성 치수는, 예를 들면 도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협지하는 금속 선재(A)와 직교하는 다른 금속 선재(B1)와 당해 다른 금속 선재(B1)와 평행으로 배치된 다른 금속 선재(B2)와의 간격L2와, 거의 동일한 치수L1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다른 금속선재끼리의 간격과 거의 동일한 치수로 형성된 연결 금속 부품에 의해 금속 선재를 협지하는 때에는, 당해 연결 금속 부품이 상기 평행하게 배치된 다른 금속 선재의 간격 내에 안정되게 된다. 이 때문에 당해 연결 금속 부품이, 그 협지하는 금속 선재의 축 방향으로 벗어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이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은 벗어남 방지부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이, 그 협지하는 금속 선재의 축 방향으로 벗어나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도 좋다.
이 벗어남 방지부는, 도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금속 부품이 협지하는 금속 선재와 직교하는 다른 금속 선재의 외주면에 계합하는 것에 의해, 연결 금속 부품이 협지하는 상기 금속 선재의 축 방향으로의 벗어남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이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은, 협지편20에 의해 협지되는 금속 선재와 당해 금속 선재와 직교하여 배치되어 수구를 구성하는 다른 금속 선재와의 직교 부분에 배치한 때에는, 상기 금속 선재가 선재 수용부10에 수용되고, 상기 다른 금속 선재가 상기 협지편20의 측단을 기초로서 형성된 공간부에 수용되고, 또한, 상기 다른 금속 선재가 상기 협지편20에 간섭 또는 인접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결국, 도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협지편20이 협지하는 금속 선재를 선재 수용부10 내에 수용시키는 때에, 상기 금속 선재와 직교하는 다른 금속 선재를, 상기 협지편20의 측단을 기초로 하여 형성된 공간부에 회피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채택하는 것에 의해, 금속 선재가 상기 협지편20에 인접하지 않고, 수구에 대하여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을 용이하게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선재 연결 금속 부품은, 상기와 같이 병접 상태에서의 연결 고정뿐만 아니라, 교차 상태인 금속 선재의 연결 고정도 가능하다.
즉, 복수의 금속 선재를 서로 조합시켜서 구성되는 배선·배관재용 수구에서, 상기 복수의 금속 선재를 소정의 각도로 교차한 상태에서 고정하는 것이다.
이 소정의 각도에서 교차한 상태에서 고정 가능한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은, 기술한 선재 수용부10 및 협지편20에 더하여, 특히 개구를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재 수용부10 및 협지편20에 관하여는 기술하였으므로, 본 실시 형태의 특유 사항만을 설명하고, 기술 사항과 중복 사항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우선, 본 실시 형태에서 수납 수용부10은,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의 기본부를 구성하는 것이며, 수구를 구성하는 금속 선재를 수용하고, 당해 각 금속 선재의 축 방향을 소정의 방향으로 고정하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수구를 구성하는 복수의 금속 선재를 서로 교차시킨 상태에서 연결 고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 선재 수용부10도, 교차하는 금속 선재의 각각을 수용시킬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이 선재 수용부10의 구체적인 구성으로서는, 수구를 구성하는 금속 선재를 수용할 수 있도록 단면적을 거의 U자형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그 일방측을 개구로하고, 이들 개구의 축 방향을 서로 교차시키도록 선재 수용부10을 배치 형성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당해 선재 수용부10의 폭 치수는, 상기 금속 선재의 1개분의 직경 치수와 거의 동일 치수로 형성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으나, 특별히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수용되는 금속 선재의 개수분의 직경 치수와, 거의 동일한 폭 치수에서 형성하도록 임의로 변경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의 교차시킨 상태라는 것은, 상기 복수의 금속 선재의 배치가 상호 평행하지 않은 것을 가리키는 것이고, 당해 복수의 금속 선재가 직교하여 배치되는 경우 이외, 금속 선재의 교차각이 예각 혹은 둔각인 경우 등, 넓게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선재 수용부10은, 제1 선재 수용부10a 및 제2 선재 수용부10b로 하고, 이들을 상하 이 단계로 나누어 형성하여도 좋다. 즉, 제1 선재 수용부10a에 대하여, 소정의 높이 치수를 두고, 제2 금속 선재가 수용되는 제2 선재 수용부10b를 형성한다. 제1 선재 수용부10a는 제1 금속 선재를 수용하는 것이며, 한편 제2 선재 수용부10b는 제2 금속 선재를 수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선재 수용부10을 상하 이 단계로 나누어 배치하는 것에 의해, 각 선재 수용부10과 함께 각각 형성된 협지편20이, 각 금속 선재의 선재 수용부10으로부터의 누출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선재 수용부10은, 다른 선재 수용부10과 서로 연통시켜 구성하여도 좋다. 즉, 이와 같이 선재 수용부10을 서로 연통시켜서 구성하는 것에 의해, 당해 선재 수용부10에 수용된 금속 선재와, 다른 선재 수용부10에 수용된 다른 금속 선재가, 서로 밀접하게 연결 고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각 금속 선재의 교차 부분이 밀착하는 것에 의해, 당해 교차 부분이 보다 한층 단단하게 연결 고정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각 금속 선재로부터 구성되는 수구도, 부착 강도가 향상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금속 선재의 교차 부분은, 상술한 밀접 상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금속 선재가 선재 수용부10으로부터 누탈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하는 것이라면, 상호 교차하는 금속 선재의 사이에, 약간의 간격을 개재시켜서 연결 고정하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선재 수용부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호 연통시켜서 구성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15에 도시한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은, 제1 선재 수용부10a와 제2 선재 수용부10b가 상호 연통하여 구성된 것이나. 제1 선재 수용부10a를, 제2 선재 수용부10b와 상반하는 방향으로 개구시켜서 구성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의 제조 시에, 모재가 되는 1매의 강철 플레이트에 대하여 상반하는 2 방향으로부터 상호 프레스 가공을 행하는 것에 의해, 상반하는 2 방향으로 개구하는 제1 선재 수용부10a 및 제2 선재 수용부10b를 형성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반하는 방향으로 개구하는 복수의 선재 수용부10을 구비한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에서, 수구를 구성하는 복수의 금속 선재를 연결하는 때에는, 상기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을 복수의 금속 선재의 상호 교차한 부분에 개재시키는 것에 의해 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구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전술한 선재 수용부10에, 수구를 구성하는 금속 선재를 수용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작용을 나타내는 것이라면 어떻게 형성되어도 좋으나, 구체적으로는, 상기 선재 수용부10을 단면이 거의 U자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그 일방측에 개방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은, 복수의 금속 선재의 상호 겹치는 교차 부분을 연결 고정하는 것이 된다. 이 때문에, 상기 복수의 금속 선재의 교차 부분을, 소정의 각도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은, 복수의 금속 선재로 이루어지는 수구의, 상기 금속 선재가 상호 교차하는 부분으로 되면 어느 곳에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금속 선재끼리의 교차 부분을 확실하게 연결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에 따르면, 수구의 길이 방향에 걸쳐 배치된 금속 선재(이하, 간단히 '친형'이라 칭한다)에 대하여, 직교하여 배치되는 다른 금속 선재(이하, 간단히 '자형'이라 칭한다)를 용이하게 추가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금속 선재로부터 이루어진 수구의 범용성을 또한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은, 상기 수구끼리의 연결 고정을 행함에 있어, 특히, 당해 수구의 봉기 부분에서 연결하는 실시 형태도 고려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은, 기술한 선재 수용부10 및 협지편20에 더하여, 특히 높이 조정 수단50과 회전 방지부60을 구비한 것을 구성상의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우선, 본 실시 형태에서 선재 수용부10은, 도17 내지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축 방향에 따른 형성 치수를, 당해 선재 수용부 내에 수용되는 금속 선재의 봉기 부분의 높이 치수와 거의 동일 치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당히 형성하는 것에 의해, 선재 수납부10 내에 수용되는 금속 선재의 축 방향에 대하여 생성된 벗어남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수구의 봉기 부분은, 상술한 바와 같이, 수구에 적재되는 배선 혹은 배관이, 상기 수구의 측단으로부터 흘러 넘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수구의 양측단 또는 일측단을 구성하는 금속 선재를, 약 L자형상으로 굴곡시키는 것에 의해 설치되는 부분의 것을 가리키는 것이다. 그리고, 이 봉기 부분의 상단은 상기 다름 금속 선재(B)의 측면과 결합시켜서, 폐쇄 상태로 형성하고 있다. 즉, 봉기 부분이라고 하는 것은, 선재 수용부10 내에 수용된 금속 선재(A)의 거의 L자형상으로 굴곡시킨 부분을 하단으로 하여, 상기 금속 선재(A)의 다른 금속 선재(B)의 측면과의 결합 부분을 상단으로 한 구간을 나타내는 것이다. 즉, 이 구간 내에 상기 선재 수용부10을 수용시키는 것에 의해, 당해 봉기 부분의 축 방향에 대하여 발생하는 벗어남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다음, 높이 조정 수단50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높이 조정 수단50은, 상기 선재 수용부10의 하단에 설치되고, 본 발명에 따른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 자체를 위쪽으로 밀어 올려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의 상부에 설치된 회전 방지부60을, 상기 다른 금속 선재(B)의 하면을 향하여 압압 내지는 계합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작용을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면 어느 형상이나 구성으로 하여도 좋으나, 구체적으로는, 상기 선재 수용부10의 하단으로부터 사선 방향을 향하여, 가요성을 가지는 돌출편을 연장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채택하는 것에 의해 다음과 같은 작용을 나타내게 된다. 즉, 수구의 봉기 부분에 따른 복수의 금속 선재(A)를 상기 선재 수용부10 내에 수용시킨 후, 상기 협지편20으로부터 고정을 행하는 것에 의해, 상기 돌출편이, 봉기 부분 하단의 굴곡 부분과 인접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돌출편이 수구의 봉기 부분의 굴곡 부분과 인접하는 것에 의해, 당해 돌출편이 휘어져 부세력(付勢力)을 발생시키고, 판 스프링과 같은 작용을 나타내게 된다. 이 돌출편에 발생한 부세력에 의해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 자체를 상방으로 밀어 올리는 것에 의해, 당해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의 상부(또는 호전 방지부60)를 다른 금속 선재(B)의 하면을 향하여 누르게 된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다른 금속 선재(B)는, 해당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내에 분단된 상태에서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의 상부가, 당해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 내에서 상호 분단된 다른 금속 선재(B)의 각각의 하면을 누르기 때문에, 상기 분단된 다른 금속 선재(B)끼리의, 상하 방향에 대한 벗어남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수반하여, 당해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의, 수구 봉기 부분의 상하 방향의 위치를 정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높이 조정 수단50은, 전술한 가요성을 가지는 돌출편을 선재 수용부10의 하단으로부터 사선 방향으로 연장한 것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선재 수납부10의 하단으로부터 돌출편을 수직으로 설치하고, 당해 돌출편의 선단을 경도(傾倒)시켜서 형성하여도 좋다.
그리고, 회전방지부60에 관하여 설명한다. 회전방지부60은, 다른 금속 선재(B)에 계합하여,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이 금속 선재 상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작용을 나타내는 것이라면 어느 형상 및 구성을 가지는 것이어도 좋으나, 구체적으로는, 도17 및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 방지부40과 함께 형성되고, 선재 수용부10과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고, 다른 금속 선재(B)의 배면에 계합하는 것으로 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회전방지부60이 상기 선재 수용부10과 함께 복수의 금속 선재(A) 내지 다른 금속 선재(B)를 함께 끼워 넣게 되고,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이 복수의 금속 선재(A) 위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이 회전하는 것에 의해 발생하는, 당해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의 복수의 금속 선재(A) 위의 고정 위치의 벗어남 혹은 느슨해짐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복수의 금속 선재(A) 내지 다른 금속 선재(B)를, 선재 수용부10과 회전방지부60에서 끼우는 것에 의해, 수구의 모든 폭 방향에서 생기는 벗어남과 느슨해짐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이 회전방지부60에 가요성을 부여하여도 좋다. 회전방지부60에 가요성을 부여하는 것에 의해, 회회전방지부에 외력이 부하된 경우에는 휘어져서, 부세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회전방지부60에서 발생한 부세력에 의해, 당해 회전방지부60이 다른 금속 선재(B)에 대하여 항상 누르게 되고, 상술한 회전 방지 작용을 보다 한층 효과적으로 발생시키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방지부60에 가요성을 부여하는 수단으로서는,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방회전방지부측을 선재 수용부10의 방향으로 약간 경사시킨 상태에서 형성하는 것이 고려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은, 양측에 협지편20을 마련한 부위의 단면 형상을, 도2의 단면도에 도시한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고려된다.
도2에 도시한 형태는, 선재 수용부10의 양측에 설립되는 지지편20을 단면이 거의 U자형상(단면이 거의 コ자 형상)으로 배치하고, 선재 수용부10에 따른 개구를 형성하고, 이 개구로부터 2 이상의 금속 선재를 내부에 배치하고, 이들 2 이상의 금속 선재의 외측과 상기 협지편20을 인접시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은, 조합되는 금속 선재의 직경 치수 등에 대응하는 치수로 형성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즉, 선재 수납부10 내에 수용되는 금속 선재의 직경 치수에 대응한 치수에서, 선재 수납부10의 폭 치수와 협지편20의 치수 등을 결정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각 구성 요건을 조합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이 구성되며, 당해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에 의해, 배선·배관재용 수구를, 그 봉기 부분에서 연결 고정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은, 상술한 바와 같은 수구의 연결에 이용되는 겨우 이외에, 상기 수구 자체를 조립하기 위해 복수의 금속 선재를 조합하고, 이들 복수의 금속 선재를 상호 연결하는 경우에 이용하여도 좋다.
다음, 본 발명의 취부체 고정 부품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배선·배관재 수구로의 취부체 고정구11은, 금속 선재에 의해 구성된 배선·배관재용 수구에 취부체를 고정하는 것으로서, 도29 내지 도31 및 도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취부체를 보지(保持)하는 취부체 보지부와, 상기 수구1을 구성하는 금속 선재에 탑재하기 위한 탑재부를 가지며, 상기 탑재부는, 상기 금속 선재를 수용하기 위해 개구를 가지는 소성 변형 가능한 수용부22를 구비하며, 상기 수용부22를 소성 변형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개구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상기 금속 선재를 수용부22 내에 보지한다.
여기서, 상기 탑재부는, 상기 수용부22에 의해 개구 측에 한 쌍의 근접부23을 설치하고, 상기 한 쌍의 근접부23을 상대적으로 근접시키기 위해, 상기 근접부23을 공구에 의해 파지하여 끼워 부착하고, 당해 근접부23이 상대적으로 근접할 때까지 상기 수용부22를 소성 변형하여, 상기 개구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것에 의해 상기 금속 선재를 수용부22 내에 보지시킬 수 있다.
혹은, 상기 탑재부는, 상기 수용부22에 의해 개구 측에 한 쌍의 근접부23을 설치하고, 상기 한 쌍의 근접부23이 서로 거의 밀접하게 만날 때까지 상기 수용부22를 변형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수용부22의 개구를 덮고, 상기 금속 선재를 수용부22 내에 수용하고, 취부체 고정 부품11을 상기 금속 선재에 탑재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탑재부는, 수용한 금속 선재를 수용부22 내에 요동하지 않도록 협지하기 위해, 상기 수용부22를 소성 변형시키는 것으로, 상기 수용부22에 수용한 금속 선재의 외면을 따라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취부체로서는, 예를 들면, 배선 박스61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혹은, 화장판(化粧板)51과 케이블을 고정하는 새들31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 본 발명의 다른 취부체 고정 부품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배선·배관재 수구로의 취부체 고정 부품은, 선재에 의해 구성된 수구에 취부체를 취부시키기 위한 취부체 고정 부품으로서, 도35 내지 도4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취부체로서의 분리기21을 보지하는 보지부12와, 수구1에 취부하기 위한 탑재부13을 구비하고, 상기 탑재부13이, 바깥 방향을 향하는 개구15를 가지며, 상기 수구를 구성하는 금속 선재를 상기 개구15로부터 수용 가능한 수용부14와, 소성 변형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개구15의 일부를 덮고, 상기 금속 선재의 누탈을 방지하는 누탈방지부16을 가지며, 금속 선재를 수용부14에 수용한 상태에서 자신이 경사하는 것을 방지하는 경사(傾斜)방지부17을 포함한다.
따라서, 취부체 고정 부품11을 취부체로서의 분리기21 및 수구의 측면 테두리 선재4의 금속 선재에 설비하고, 상기 취부체 고정 부품11의 좌우 한 쌍의 누탈 방지부16을 펜치 등의 협지 공구로 협압(挾壓)하는 것만으로 간단한 작업으로 취부체 고정 부품11을 수구1의 소정 위치에 취부할 수 있고, 더욱이, 분리기21을 간단히 수구1의 소정 위치에 취부할 수 있다. 이 때, 취부체 고정 부품11에는 보지부12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분리기21은 취부체 고정 부품11에 안정하게 보지된다. 또한, 상기 취부체 고정 부품11에는 경사방지부17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분리기21을 직립 자세로 보유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취부체 고정 부품11은 프레스 가공에 의해 커트 아웃(cutout)이나 커트를 형성하고, 상기 커트를 세우며, 180도로 반전 절곡 성형하는 것만으로, 간단히 분리기21을 보지하는 보지부12, 금속 선재의 누탈을 방지하는 누탈 방지부16 및 취부체 고정 부품11 자신이 경사하는 것을 방지하는 경사 방지부17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불어, 누탈방지부16에는 압압 돌기16b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취부체 고정 부품11을 단단하고 안정되게 금속 선재에 보지할 수 있다.
상기 취부체로서의 분리기21은 일정 폭의 금속 판재로 이루어지고, 취부체 고정 부품11에 의해 수구1의 재치부2 위에 부설(敷設)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도35에서, 상기 분리기21은 폭 방향의 중앙에 설치되고, 상기 재치부2를 좌우로 구획하는 것에 의해 상기 재치부2 위에 재치되는 복수의 동종 또는 이종의 케이블C를 구분하고, 정렬한다. 단, 상기 분리기21은 폭방향의 중앙에 한정되지 않고, 또한 수구1의 폭방향으로 2 이상의 분리기21을 나란히 배치하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당해 분리기21은, 상기와 같이 금속 판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금속 메시와 펀칭 메탈 등으로 형성된 판재에서 구성되어도 좋다.
다음, 본 발명의 취부체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취부체는, 선재에 의해 구성된 배선·배관재용 수구에 취부되는 것으로서, 도32 및 도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구1을 구성하는 금속 선재에 탑재하기 위한 탑재부13을 가지며, 상기 탑재부13은, 상기 금속 선재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를 가지는 소성 변형 가능한 선재 수용부를 가지며, 상기 선재 수용부를 소성 변형시키는 때, 상기 개구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것에 의해, 상기 금속 선재를 선재 수용부내에 보지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탑재부13은, 상기 선재 수용부에 의해 개구 측에 한 쌍의 근접부를 설치하고, 상기 한 쌍의 근접부를 상대적으로 접근시키기 위한 상기 근접부를 공구에 의해 파지하여 끼우고, 당해 근접부가 상대적으로 접근할 때까지 상기 선재 수용부를 소성 변형시키고, 상기 개구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것에 의해, 상기 금속 선재를 선재 수용부내에 보지하는 것이다.
혹은, 상기 탑재부13은, 상기 선재 수용부에 의해 개구 측에 한 쌍의 근접부를 설치하고, 상기 한 쌍의 근접부가 서로 거의 밀접할 때까지 상기 선재 수용부를 변형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선재 수용부 개구를 덮고, 상기 금속 선재를 선재 수용부내에 수용하고, 취부체를 상기 금속 선재에 탑재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탑재부13은, 수용한 금속 선재를 선재 수용부 내에 요동하지 않도록 협지하기 위해, 상기 선재 수용부를 소성 변형시키는 것으로, 상기 선재 수용부에 수용한 선재의 외면을 따라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취부체로서는, 예를 들면, 배선 박스61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혹은, 화장판51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수구를 설명한다.
도46 내지 도48에 도시한 수구1은, 배선·배관재인 케이블C가 재치되는 재치부2와 그 재치부2의 양단측으로부터 설치된 측벽부3으로 형성된다. 이 수구1은 재치부2를 형성하는 저부4a와 양측벽부3을 형성하는 입상부4b와 거의 コ자형으로 굴곡된 복수의 금속제 측면 테두리 선재4 각각을 길이 방향으로 측벽부3의 상단부 및 재치부2에 각각 배치된 금속제의 연결 선재7 및 측면 테두리 선재5로 연결하는 것에 의해 가로 세로의 망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측면 테두리 선재4의 입상부4b의 상단부 외측면과 상기 연결 선재7과의 이들이 교차하는 융착부8에서 용접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측면 테두리 선재4의 저부4a의 하측면과 세로의 테두리 선재5에서도 유사한 용접에 의해 연결된다.
또한, 도46 및 도48에 도시한 수구1은, 도47에 따른 수구1과 유사하게 재치부2와 그 재치부2의 양단측으로부터 설치된 측벽부3에서 형성되는 것이나, 특히, 연결 선재7을 상하로 편평화하여, 적어도 측면 테두리 선재4와 인접하는 측면은 평면으로 형성하는 것이다. 이 연결 선재7의 편평화는 공지의 수단에 의해 횡방향으로 압력을 가하여 편평하게 하여 행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선재7은 그 이외의 형상일 수 있다. 단, 편평화되면, 용접이 용이하며, 또한 그 강도도 큰 것이 얻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부재7은 측면 테두리 선재4의 입상부4b의 상단부보다 약간 상방에 돌출한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단,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입상부4b의 상단부의 근방에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측면 테두리 선재4의 양쪽 입상부4b는 그 중간부에 계단 형상으로 굴곡한 단부4c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 선재7과의 융착부8보다 하방 부분은 상단부에 대하여 단차b의 치수만큼 수구의 내측에 돌출되어 있다. 또한, 측면 테두리 선재4와 연결 선재7이 용접된 융착부8에서는 측면 테두리 선재4 및 연결 선재7 쌍방의 용출에 의해, 혹은, 측면 테두리 선재4와 연결 선재7과의 재질이 상이한 것에 의해 어느 일방만이 용출한 경우에는, 그 일방의 용출에 의해, 용출대a만큼 측면 테두리 선재4와 연결 선재7과의 인접면이 타방의 부재 측에 함입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단차b 즉 입상부4b의 상단부의 외측면과 수구의 내측에 돌출하는 단부4c보다 하방 부분의 외측면과의 치수차는 적어도 용출대a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단차b는 청구항의 굴곡 치수에 상당하는 것이다.
또한, 도48에서, L1은 융착부8에서 연결 선재7의 내측 치수를, L2는 측면 테두리 선재4의 입상부4b의 외측 치수를 나타낸다. 여기서, 연결 선재7의 내측 치수L1과 입상부4b의 외측치수L2와의 사이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b>a이기 때문에, 항상 L1>L2의 관계가 성립한다.
또한, 상기 수구1은 적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이 수구1을 서로 상하로부터 적재하는 때에는, 수구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 금속 선재에 직교하여 배치된 금속 선재(즉,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된 금속 선재)가 수구1의 길이 방향에 벗어난 상태로 적재되어 있기 때문에, 무용한 공간이 발생하지 않고, 적재한 때의 용적이 감소된다. 또한, 수구 상호간의 간섭이 없고, 개개의 수구가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이러한 겹쳐지는 구성에 따르면, 상, 하단의 수구의 지지 부재의 봉기 부분이 길이 방향으로 벗어나게 위치되고, 상단 또는 하단의 수구1의 측면 테두리 선재4의 입상부4b가 하단 또는 상단의 수구1의 연결 선재7 사이에 삽입되고, 양자가 접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연결 선재7이 상하로 위치되어 겹쳐지기 때문에, 상, 하단의 수구1이 서로 접한 상태로 겹쳐지고, 양자 사이에 무용한 공간이 발생하지 않고, 운반 및 보관시의 용적을 감소시킬수 있다.
한편, 도49는, 상기 금속 선재를 조합시켜 이루어진 수구1의 소정 위치에 롤러 부재6이 취부된 것이 측면 테두리 선재다. 상기 수구1은 금속 선재를 종횡의 네트로 용접하고, 저부와 그 양측에 설치된 측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구1의 내부에는 부로가 형성되고, 배선·배관재인 케이블이 수납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수구1의 저부의 폭 방향으로 배치된 금속 선재는 케이블이 재치되는 재치부2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재치부2의 금속 선재가 측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은 입상부4b를 형성한다. 그리고, 이 금속 선재의 측부 상단9에는 부설 방향을 따라 별도의 금속 선재가 가설(架設)되어 있다. 상기 재치부2는 소정 간격에서 부설 방향으로 배치되고, 재치부2의 금속 선재와 측부를 형성하는 입상부4b의 금속 선재에 롤러 부재6이 취부되어 있다.
이 때, 입상부4b에만 롤러 부재6을 취부한 경우에는, 도5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상부4b의 금속 선재에 케이블이 강하게 인접하고 풀-저항(pull resistance)이 크게 되는 수구1의 그 풀-저항을 작게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1)
도1로부터 도7은, 실시에1에 따른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a를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a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재 수용부10의 양측에 한 쌍의 협지편20을 설치하고, 이들 협지편20의 선단으로부터 바깥 방향으로 향하여 파지편30이 연장되어 있다. 이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a의 선재 수용부10의 폭 치수는, 2개분의 금속 선재의 직경과 거의 동일한 치수로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a에 의해 복수의 금속 선재를 연결 고정하는 때에는, 도2로부터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선재 수용부10내에 복수의 금속 선재를 수용시키고, 상기 선재 수용부10의 양측에 설치된 협지편20에 대하여 변형 처리를 행한다. 이러한 변형 처리에 의해, 상기 협지편20이 금속 선재를 단단히 협지하게 된다. 이 때, 이 협지편20에 대한 변형 처리라는 것은, 상기 협지편20의 선단으로부터 바깥 방향을 향하여 연장된 파지편30으로 펜치 등의 공구(P)를 계합시키고, 한번에(또는 단계적으로) 끼우는 것에 의해 협지편20을 소성 변형시키며, 또한, 상기 파지편30의 각각의 편면을,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의 밀접시키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이 소성 변형에 의해 상기 협지편20은, 상기 선재 수용부10 내에 수용된 복수의 금속 선재의 외면을 따라 변형하게 되고, 상기 협지편20이 상기 선재 수용부10을 거의 폐색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a의 용도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도6 또는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구끼리의 연결 고정에서, 상기 수구를 구성하는 금속 선재의, 굴곡부와 다른 굴곡부에 끼워진, 치수가 짧은 스트레이트 부분의 금속 선재를 연결 고정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실시예2)
도8로부터 도13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c를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c는, 2개의 금속 선재를 수용하는 폭 치수를 가지는 선재 수용부10의 양측에, 2 쌍의 협지편20이 설치되어 있고, 이들 두쌍의 협지편20의 사이에는 분리 방지부40이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두쌍의 협지편20의 사이에 형성된 커트 아웃에 대하여 잔존하는 부분이 상기 분리 방지부40에 상당한다.
상기 분리 방지부40은, 병렬로 배치된 2개의 금속 선재를 선재 수용부10에 수용한 때에, 상기 복수의 금속 선재를 나란히 배치한 상태에서 가조립하는 것이다. 이 가조립은, 협지편20을 소성 변형시키기 전에, 선재 수용부10 내에 수용시킨 상기 2개의 금속 선재가, 상기 분리 방지부40에 의해 잠정적으로 끼워지고, 서로 분리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c에 의해 2개의 금속 선재를 연결 고정하는 때에는, 우선 상기 2개의 금속 선재를, 서로 대향하여 설치된 협지편20의 사이의 개구로부터 선재 수용부10 내에 수용시킴과 동시에, 분리 방지부40에 의해 가조립된다. 그 후, 도2로부터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선재 수용부10의 양측에 설치된 협지편20에 대하여 변형 처리를 한다. 이러한 변형 처리에 의해, 상기 협지편20이 금속 선재를 단단히 협지하게 된다. 이 때, 이 협지편20에 대한 변형 처리는, 상기 협지편20의 선단으로부터 바깥 방향을 향하여 연장된 파지편30으로 펜치 등의 공구(P)를 계합시키고, 한번에(또는 단계적으로) 끼우는 것에 의해 협지편20을 소성 변형시키며, 또한, 상기 파지편30의 각각의 편면을,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의 밀접시키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이 소성 변형에 의해 상기 협지편20은, 상기 선재 수용부10 내에 수용된 복수의 금속 선재의 외면을 따라 변형하게 되고, 상기 협지편20이 상기 선재 수용부10을 거의 폐색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c의 용도는, 선재 수용부10과 협지편20은 연속적으로 내지는 일체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서로 나란히 배치한 상태에 있는 금속 선재를 고정한 때에도, 높은 강도를 발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c는, 벗어남 장비부에 따른 공간에 직교하는 다른 선재B가 깊숙이 파고들고, 협지편20이 협지하는 금속 선재의 축 방향으로의 벗어남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이 금속 선재(B)는, 상기 선재 협지편20이 협지하는 금속 선재(A)의 바로 하측에 배치되고, 용접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c에 따른 선재 수용부10의 폭 치수는, 금속 선재 2개분의 직경과 거의 동일한 치수로 하고, 한편, 벗어남 방지부에 따른 공간의 커트 아웃 치수는 금속 선재 1개분의 직경 치수와 거의 동일하나, 특히 이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c가 배치되는 장소로부터, 임의의 선재 수용부10의 치수, 혹은, 벗어남 방지부의 커트 아웃 치수를 변경하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c는,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협지하는 금속 선재(A)의 길이 방향으로의 형성 치수L1을, 상기 선재(A)와 직교하는 다른 금속 선재(B1)와, 당해 다른 금속 선재(B1)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금속 선재(B2)와의 간격L2와, 거의 동일한 치수로 형성되어도 좋다. 상기 치수L1으로 형성하고,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c를 상기 다른 금속 선재(B1),(B2) 사이에 수납하는 것에 의해, 협지하는 금속 선재(A)의 길이 방향으로의 벗어남 방지가 가능하게 된다. 물론, 수구에 따른 금속 선재(B1), (B2)의 조립 간격L2를,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c의 형성 치수L1에 맞추어 조립시키는 것에 의해, 벗어남 방지를 행하여도 좋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c는, 상기 벗어남 방지부에 의한 벗어남 방지 작용과, 상술한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c의 형성 치수L1을 금속 선재의 간격L2와 거의 동일하게 하는 것에 의한 벗어남 방지 작용을, 동시에 발생시키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c의 용도로서는, 도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구끼리의 연결 금속 부품으로서의 사용에서, 수구의 단부를 구성하는 금속 선재를 나란히 배치한 상태로 연결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3)
도14로부터 도16은,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따른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d를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d는, 2개의 금속 선재의 직경 치수와 거의 동일한 폭 치수를 가지는 선재 수용부10에 대하여, 그 양단에 2 쌍의 협지편20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두쌍의 협지편20의 사이에는 슬릿을 통하여 한 쌍의 분리 방지부40이 설치되어 있고, 이 분리 방지부40에는 볼트 구멍41이 형성되어 있다.
이 볼트 구멍41은, 상기 분리 방지부40이, 선재 수용부10 내에 수용된 금속선재로부터 강한 부하를 받는 경우에도 확개되고 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된 것이고, 대향하여 설치된 분리 방지부40을 연계하여 나선 결합하는, 별도의 부재에 따른 확개 방지 볼트42를 삽입하기 위한 것이다. 단, 상기 확개 방지 볼트42는 필수 구성 요건은 아니며, 본 실시예에 따른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d의 용도가, 그 정도 부하가 걸리지 않는 부위의 연결 고정되어 있는 것이라면, 확개 방지 볼트42에서 분리 방지부40을 나선 결합할 필요는 없다.
당해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d에 의해 금속 선재를 고정하는 때에는, 도15 또는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 선재(A)를, 서로 대향하여 설치된 협지편20 및 분리 방지부40의 사이의 개구로부터 선재 수용부10 내에 수용시킴과 동시에, 분리 방지부40에 의해 가조립된다. 그 후, 도2로부터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선재 수용부10의 양측에 설치된 협지편20에 대하여 변형 처리를 한다. 이러한 변형 처리에 의해, 상기 협지편20이 금속 선재를 단단히 협지하게 된다. 이 때, 이 협지편20에 대한 변형 처리는, 상기 협지편20의 선단으로부터 바깥 방향을 향하여 연장된 파지편30으로 펜치 등의 공구(P)를 계합시키고, 한번에(또는 단계적으로) 끼우는 것에 의해 협지편20을 소성 변형시키며, 또한, 상기 파지편30의 각각의 편면을,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의 밀접시키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이 소성 변형에 의해 상기 협지편20은, 상기 선재 수용부10 내에 수용된 복수의 금속 선재의 외면을 따라 변형하게 되고, 상기 협지편20이 상기 선재 수용부10을 거의 폐색하게 된다.
그리고, 도15 또는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금속 선재를 끼운 위치에서 상호 마주보는 분리 방지부40에 형성된 볼트 구멍41에 대하여, 확개 방지 볼트42를 나입(螺入)하여 고정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d는, 확개 방지 볼트42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 협지하는 금속 선재(A)에서 많은 부하가 걸리는 경우에도, 선재 수용부10이 바깥 방향으로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d의 용도는, 도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구의 코너 부분을 형성하는 금속 선재의 연결 고정에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재 수용부10과 협지편20은 연속적으로 내지는 일체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서로 나란히 배치한 상태에 있는 금속 선재를 고정한 때에도, 높은 강도를 발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c는, 벗어남 장비부에 따른 공간에 직교하는 다른 선재B가 깊숙이 파고들고, 협지편20이 협지하는 금속 선재의 축 방향으로의 벗어남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이 금속 선재(B)는, 상기 선재 협지편20이 협지하는 금속 선재(A)의 바로 하측에 배치되고, 용접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c에 따른 선재 수용부10의 폭 치수는, 금속 선재 2개분의 직경과 거의 동일한 치수로 하고, 한편, 벗어남 방지부에 따른 공간의 커트 아웃 치수는 금속 선재 1개분의 직경 치수와 거의 동일하나, 특히 이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c가 배치되는 장소로부터, 임의의 선재 수용부10의 치수, 혹은, 벗어남 방지부의 커트 아웃 치수를 변경하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c는,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협지하는 금속 선재(A)의 길이 방향으로의 형성 치수L1을, 상기 선재(A)와 직교하는 다른 금속 선재(B1)와, 당해 다른 금속 선재(B1)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금속 선재(B2)와의 간격L2와, 거의 동일한 치수로 형성되어도 좋다. 상기 치수L1으로 형성하고,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c를 상기 다른 금속 선재(B1),(B2) 사이에 수납하는 것에 의해, 협지하는 금속 선재(A)의 길이 방향으로의 벗어남 방지가 가능하게 된다. 물론, 수구에 따른 금속 선재(B1), (B2)의 조립 간격L2를,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c의 형성 치수L1에 맞추어 조립시키는 것에 의해, 벗어남 방지를 행하여도 좋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c는, 상기 벗어남 방지부에 의한 벗어남 방지 작용과, 상술한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c의 형성 치수L1을 금속 선재의 간격L2와 거의 동일하게 하는 것에 의한 벗어남 방지 작용을, 동시에 발생시키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c의 용도로서는, 도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구끼리의 연결 금속 부품으로서의 사용에서, 수구의 단부를 구성하는 금속 선재를 나란히 배치한 상태로서 연결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구끼리의 연결 고정에서, 상기 수구를 구성하는 금속 선재의, 굴곡부와 다른 굴곡부에 끼워진, 치수가 짧은 스트레이트 부분의 금속 선재를 연결 고정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실시예4)
도17로부터 도19는, 본 발명의 실시예4에 따른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f를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f는,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금속 선재의 직경 치수와 거의 동일한 폭 치수를 가지는 선재 수용부10에 대하여, 그 양단에 한 쌍의 협지편20과, 회전 방지부60을 구비한 한 쌍의 분리 방지부40이 설치되어 있고, 금속 부품100f의 최하부에는 높이 조정 수단50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f의 형성 방법은,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구의 봉기 부분의 높이 치수와 거의 동일한 치수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협지편20이 협지하는 금속 선재의 축 방향에 대한 벗어남 방지가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 방지부60이라고 하는 것은, 도17 혹은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재 수용부10과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고, 금속 선재(B)의 배면에 계합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이 회전방지부60은 상기 선재 수용부10과 함께 금속 선재(A) 및 금속 선재(B)를 끼워 넣게 되고,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f가 금속 선재(A) 위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f가 회전하는 것에 의한, 당해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f의 금속 선재(A) 위의 고정 위치의 벗어남 혹은 느슨해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높이 조정 수단50은,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f의 최하부에 설치되고, 수구의 봉기 부분의 금속 선재에 인접한 때에, 약간의 휘어짐이 발생한다. 이 휘어짐에 의해 스프링과 같은 작용이 생기고,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f 자체가 위쪽으로 밀어 올리는 작용이 생긴다. 이 때문에, 상기 봉기 부분의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f의 상하 위치가 정합시키게 된다.
당해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f는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로 수구의 봉기 부분에 사용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f에 의해 금속 선재를 고정하는 때에는, 도17 또는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 선재(A)를, 협지편20 및 분리 방지부40의 사이의 개구로부터, 선재 수용부10에 수용되고 분리 방지부40에 의해 가조립됨과 동시에, 회전 방지부60을 금속 선재(B)의 외면에 인접시킨다. 이와 동시에,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높이 조정 수단50을 금속 선재의 굴곡부 내측에 인접시키는 것에 의해,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f 자신을 위로 밀어 올리고, 상하 방향으로 대하는 위치를 정합시킨다.
그 후, 도2로부터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선재 수용부10의 양측에 설치된 협지편20에 대하여 변형 처리를 한다. 이러한 변형 처리에 의해, 상기 협지편20이 금속 선재를 단단히 협지하게 된다. 이 때, 이 협지편20에 대한 변형 처리는, 상기 협지편20의 선단으로부터 바깥 방향을 향하여 연장된 파지편30으로 펜치 등의 공구(P)를 계합시키고, 한번에(또는 단계적으로) 끼우는 것에 의해 협지편20을 소성 변형시키며, 또한, 상기 파지편30의 각각의 편면을,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의 밀접시키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이 소성 변형에 의해 상기 협지편20은, 상기 선재 수용부10 내에 수용된 복수의 금속 선재의 외면을 따라 변형하게 되고, 상기 협지편20이 상기 선재 수용부10을 거의 폐색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f의 용도는, 도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구의 봉기 부분의 연결 고정에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5)
도20으로부터 도22는, 본 발명의 실시예5에 따른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g를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g는, 도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 2단계에 걸쳐 제1 선재 수용부10a와 제2 선재 수용부10b를 가지며, 이 제2 선재 수용부10b의 양측에 각각 협지편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선재 수용부10a, 10b는, 각각 금속 선재 1개분의 직경 치수와 거의 동일한 폭 치수를 가지며, 특히, 제1 선재 수용부10a는 단면이 거의 コ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2 선재 수용부10b는 상기 제1 선재 수용부10a에 따른 하단의 중앙 부분을 기초로 하여, 각각 바깥 방향을 향하여 연장된 것이다. 이들 제2 선재 수용부10b는, 각각의 양측에 한 쌍의 협지편20이 드리워져 설치되고, 각 협지편20이 제2 선재 수용부10b에 수용된 금속 선재를 협지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g에 의해 복수의 금속 선재를 연결 고정하는 때에는, 우선 제1 선재 수용부10a 내에 금속 선재를 1개 수용시키고, 다음 제2 선재 수용부10b내로, 상기 금속 선재와 직교하고 배치되는 다른 금속 선재를 1개 수용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2 선재 수용부10b에 드리워져 설치된 각 협지편20에 대하여 변형 처리를 한다. 당해 변형 처리에 의해, 상기 협지편20이 금속 선재를 단단히 협지하게 된다. 이 때, 이 협지편20에 대한 변형 처리라는 것은, 상기 협지편20의 선단으로부터 바깥 방향을 향하여 연장된 파지편30으로 펜치 등의 공구(P)를 계합시키고, 한번에(또는 단계적으로) 끼우는 것에 의해 협지편20을 소성 변형시키며, 또한, 상기 파지편30의 각각의 편면을,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의 밀접시키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이 소성 변형에 의해 상기 협지편20은, 상기 제2 선재 수용부10b 내에 수용된 1개의 금속 선재의 외면을 따라 변형하게 되고, 상기 협지편20이 상기 제2 선재 수용부10b를 거의 폐색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g의 용도는, 도21 또는 도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로 직교하여 배치된 2개의 금속 선재의 연결 고정에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6)
도23 및 도24는, 본 발명의 실시예6에 따른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h를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h는, 도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 2단계에 걸쳐 제1 선재 수용부10a와 제2 선재 수용부10b를 가지며, 이 제2 선재 수용부10b의 양측에 각각 협지편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선재 수용부10a는, 금속 선재 1개분의 직경 치수와 거의 동일한 치수를 가지며, 단면이 거의 コ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2 선재 수용부10b는 상기 제1 선재 수용부10a에 따른 하단의 중앙 부분을 기초로 하여, 각각 바깥 방향을 향하여 연장된 것이다. 이들 제2 선재 수용부10b는, 금속 선재2개분의 직경 치수와 거의 동일한 치수를 가지며, 각각의 양측에 한 쌍의 협지편20이 드리워져 설치되고, 각 협지편20이 제2 선재 수용부10b에 수용된 금속 선재를 협지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h에 의해 복수의 금속 선재를 연결 고정하는 때에는, 우선 제1 선재 수용부10a 내에 금속 선재를 1개 수용시킨다. 그 다음 제2 선재 수용부10b내로, 상기 금속 선재와 직교하여 배치되는 다른 금속 선재를 2개 수용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2 선재 수용부10b에 드리워져 설치된 각 협지편20에 대하여 변형 처리를 한다. 당해 변형 처리에 의해, 상기 협지편20이 금속 선재를 단단히 협지하게 된다. 이 때, 이 협지편20에 대한 변형 처리라는 것은, 상기 협지편20의 선단으로부터 바깥 방향을 향하여 연장된 파지편30으로 펜치 등의 공구(P)를 계합시키고, 한번에(또는 단계적으로) 끼우는 것에 의해 협지편20을 소성 변형시키며, 또한, 상기 파지편30의 각각의 편면을,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의 밀접시키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이 소성 변형에 의해 상기 협지편20은, 상기 제2 선재 수용부10b 내에 수용된 2개의 금속 선재의 외면을 따라 변형하게 되고, 상기 협지편20이 상기 제2 선재 수용부10b를 거의 폐색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h의 용도는, 도23, 도24 또는 도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호 나란히 배치한 상태인 2개의 금속 선재의 연결 고정용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23 및 도24는, 도27에 도시한 수구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당해 도35에 도시한 수구는, 배선·배관 등이 교차하는 부분에 이용되는 수구로서, 수구(1)와 수구(2)로부터 이루어진 것이다. 즉, 수구(1)에 따른 측부의 일부분을 절단하고, 당해 수구(1)의 저부를 구성하는 금속 선재 중 가장 외측에 배치된 금속 선재의 내측주면에 대하여, 다른 수구(2)의 단부에 배치된 금속 선재의 내측주면을 걸어서 계합시키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재 연결 금속 부품100h는, 당해 계합 부분을 연결 고정하는 때에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취부체 고정 부품 및 취부체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7)
도29는, 취부체 고정 부품의 실시예에 따른 새들31을 도시한 것이다. 이 새들31은, 부설 방향으로 적절한 간격을 두고 세로 테두리 선재15에 취부되고, 케이블C를 수구1에 보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새들31은, 일정 폭의 금속 판재를 프레스 가공에 의해 절곡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금속 판재를 절곡하여 이루어진 원의 직경은, 상기 케이블C가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C가 수용되는 취부체 보지부19를 구성한다. 이 좌우 양측의 플랜지32에는 각각 사각 형상의 각구멍이 한 쌍으로 되어 설치되어 있고, 이 한 쌍의 각구멍에는, 도1에 도시한 선재 고정 금속 부품100과 거의 동일 형상의, 다른 부재에 따른 취부체 고정 부품11의 수용부22(도1의 협지편20에 상당)를 삽통시킨다. 이 후, 당해 수용부22의 선단의 근접부23(도1의 파지편30에 상당)을 협지 공구P로서 파지하여 이것을 협압하는 것에 의해, 당해 근접부23을 상호 용접시켜 수용부22의 사이의 개구의 일부 또는 전부를 덮는 것이다. 이와 같은 개구를 덮는 것에 의해 상기 새들31의 플랜지와 수구의 측면 테두리 선재4와 일체적으로 고정 가능하다.
(실시예8)
도30 및 도31은, 상기 실시예7의 다른 부재에 따른 취부체 고정 부품11에서, 화장판51을 수구1에 고정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 화장판51은 상기 수구1의 측면 테두리 선재4에 재치되고, 그 폭 방향의 거의 중앙에는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한 쌍의 각구멍5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구멍52에는 도29와 동일한 취부체 고정 부품11이 삽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각구멍52는 1변이 상기 취부체 고정 부품11의 폭과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과, 부설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이며, 측면 테두리 선재4의 간격이 수구1에 의해 다른 경우에도 대응하여 삽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도 상기 각 실시예와 동일하게 화장판41을 간단히 수구1에 취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9)
도32는, 취부체로서의 화장판51을 수구1에 고정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 화장판51은 상기 수구1의 위쪽 개구부에 취부된 것으로, 각구멍52의 3변을 커트아웃하고, 1변을 90도 절곡하여 그 절곡 부분에 세로 테두리 선재5에 취부하기 위한 탑재부13을 일체로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당해 화장판51을 상기 수구1의 위쪽 개구부에 계합시킨 후, 상기 탑재부13을 변형시키는 것에 의해, 수구1로의 화장판51의 고정이 완료한다.
(실시예10)
도33은, 취부체로서의 배선 박스61을 수구1에 고정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 배선 박스61은 상기 수구1의 측벽부3에 취부된 것이다. 상기 배선 박스61의 바닥 면에는 한 쌍의 각구멍62가 형성되고, 상기 각구멍62에는, 도32의 화장판51과 동일하게 3변을 커트아웃하고, 1변을 90도 절곡하여 그 절곡 부분을 수구1의 측면 테두리 선재4에 취부하기 위한 탑재부13을 일체로 형성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도 상기 각 실시예와 같이 배선 박스61을 간단히 수구1에 취부시킬 수 있다.
(실시예11)
도34는, 상기 실시예7 및 실시예8의 다른 부재에 따른 취부체 고정 부품11에서, 배선 박스61을 수구에 고정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 배선 박스61은 수구1의 측벽부3에 취부되는 것이며, 그 저벽부63의 거의 중앙에는 각구멍6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구멍62에는 도29 또는 도31과 동일한 취부체 고정 부품11의 탑재부13을 삽입하고, 수구1의 측면 테두리 선재4에 취부되는 것에 의해, 수구1에 취부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 먼저 배선 박스61을 수구1에 붙이고 나서, 취부체 고정 부품11을 배선 박스61의 각구멍32에 삽입하여 수구1에 취부하여도 좋다.
(실시예12)
도35 내지 도45는, 본 실시예12에 따른 취부체 고정 부품11을 도시한 것이다.
도35는 수구1에 취부체 고정 부품11을 사용하여 분리기21을 취부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상기 취부체 고정 부품11은, 도4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스 가공한 일정 폭의 금속 판재를 중앙선에서 180도 반전 굴곡하여 된 좌우대칭의 거의 U자형으로 형성된 커트16a 및 거의 U자형의 커트17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누탈 방지부16은 다음 프레스 가공에 의해 상기 커트16a를 수평 방향으로 회동하여 바깥 방향으로 들어올리는 것에 의해 간단히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도4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들어올려진 상기 누탈 방지부16의 열린 각도는 58도로 한다. 이 열린 각도로 한 것은, 위쪽으로부터 이 취부체 고정 부품11을 수직 자세로 금속 선재에 끼워 맞추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펜치 등의 협지 공구로 파지하기 쉬운 각도로 한 것이다. 또한, 상기 경사 방지부17은 거의 U자형의 커트17a를 그 기초를 중심으로 하여 상하방향으로 회동하게 90도까지 들어올리는 것에 의해 간단히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12의 배선·배관재 수구1로의 취부체 고정 부품11을 사용하여 분리기21을 형성하는데, 우선, 분리기21을 수구1의 소정 위치에 배치하는 것과 함께, 복수의 취부체 고정 부품11을 상기 분리기에 끼워 맞춘다. 다음, 취부체 고정 부품11을 그 경사 방지부17이 측면 테두리 선재4의 금속 선재의 상단과 인접할 때까지 밀어 내림과 동시에, 양측 선단부의 개구15로부터 수용부14 내에 상기 금속 선재를 수용한다. 도35는 상기 취부체 고정 부품11을 분리기21 및 측면 테두리 선재4의 금속 선재에 끼워 맞춘 직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다음, 도4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형 가능한 좌우 한 쌍의 누탈 방지부16의 선단부를 펜치 등의 협지 공구P를 사용하여 협압하고 소성 변형시키고, 최종적으로 도44 및 도4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지부12와 동일한 평면을 형성한 상태 즉 들어올리기 전의 상태로 복원시킨다. 이 상태에서 누탈 방지부16은 원호 부분이 금속 선재의 외주곡면과 일치한다. 또한, 상기 누탈방지부16의 압압 돌기16b가 측면 테두리 선재4의 금속 선재의 외주면을 강하게 누르기 때문에, 금속 선재는 수용부14내에서 대향하는 단부14a와 그 압압 돌기16b에서 단단히 보지된다.
여기서, 취부체 고정 부품11에 설치된 경사방지부17의 하면 전체는 금속 선재의 상단을 따라 인접하기 때문에, 누탈방지부16을 변형시키기 전부터 변형시킨 후에 이르기까지, 상기 취부체 고정 부품11이 좌우로 경사하는 것이 방지된다. 그 결과, 보지부12 내에서 수용된 분리기21도 좌우 어느 편 측으로 쓰러지는 것이 방지되고, 이 분리기21은 안정한 직립 자세에서 수구1 위에 보지된다.

Claims (34)

  1. 복수의 금속 선재의 조합에 의해 네트로 형성되는 수구의 연결 또는 상기 수구의 조립 등에 사용되는 선재 연결 금속 부품으로서,
    상호 나란히 배치한 상태로 배치되는 복수의 상기 금속 선재 또는 상호 교차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상기 금속 선재를 상기 나란히 배치한 상태 또는 교차 상태에서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선재 수용부와,
    상기 선재 수용부의 양측에 설치되고, 공구로 끼우는 것에 의해 소성 변형하며, 상기 선재 수용부 내에 수용된 하나 또는 복수의 금속 선재를 협지하는, 적어도 한 쌍의 협지편과,
    이들 양 협지편의 선단으로부터 바깥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공구에 의해 파지 가능한 파지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연결 금속 부품.
  2. 복수의 금속 선재의 조합에 의해 네트로 형성되는 수구의 연결 또는 상기 수구의 조립 등에 사용되는 선재 연결 금속 부품으로서,
    개구와 선재 수용부와 한 쌍의 협지편을 가지고, 단면이 거의 コ자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협지편에 설치되고, 상기 개구로부터 선재 수용부에 배치된 나란히 배치된 2개의 상기 금속 선재와 인접하고, 상기 양 선재가 분리하는 것을 방지하는 분리 방지부,를 가지고,
    상기 협지편을 소성 변형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2개의 금속 선재를 나란히 배치한 상태에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연결 금속 부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양 분리 방지부 사이에는, 이들이 바깥 방향으로 확개하는 것을 방지하는 확개 방지 볼트를 삽입하기 위한 볼트 구멍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연결 금속 부품.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협지편에 의해 협지되는 금속 선재에 대하여 직교하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다른 금속 선재의 간격과 거의 동일한 치수로서 형성되고,
    상기 다른 금속 선재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협지되는 금속 선재의 축 방향으로의 벗어남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연결 금속 부품.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협지편에 의해 협지되는 금속 선재와 직교하게 배치된 상기 수구를 구성하는 다른 금속 선재의 양 외측과 계합하고, 상기 협지되는 금속 선재의 축 방향으로의 벗어남을 방지하는 벗어남 방지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연결 금속 부품.
  6.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협지편에 의해 협지되는 금속 선재와 당해 금속 선재와 직교하게 배치되며 수구를 구성하는 다른 금속 선재와의 직교 부분에 배치된 때에,
    상기 금속 선재는 선재 수용부에 수용되고, 상기 다른 금속 선재는 상기 협지편의 측단을 기초로 하여 형성된 공간부에 수용되며, 또한, 상기 다른 금속 선재는 상기 협지편을 간섭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연결 금속 부품.
  7. 제1 금속 선재와 제2 금속 선재로부터 이루어지는 복수의 금속 선재를 서로 교차시켜 구성되는 배선·배관재용 수구의, 상기 제1 금속 선재와 상기 제2 금속 선재가 상호 겹쳐진 교차 부분을 연결하는 연결 금속 부품으로서,
    상기 제1 금속 선재를 수용하는 제1 수용부와,
    상기 제2 금속 선재를 수용하는 제2 수용부와,
    이들의 각 선재 수용부를 연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 금속 선재 및 제2 금속 선재를 각 선재 수용부에 수용시키는 개구와,
    상기 선재 수용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각 금속 선재가 상기 각 선재 수용부로부터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협지편을 가지며,
    상기 각 선재 수용부에 의해, 상기 제1 금속 선재 및 상기 제2 금속 선재가 소정의 각도로 교차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연결 금속 부품.
  8. 제 7 항에 있어서,
    제1 선재 수용부와 제2 선재 수용부는, 각각 연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연결 금속 부품.
  9. 수구를 구성하는 복수의 금속 선재를 연결하는 것에 의해, 상기 복수의 금속 선재로 구성된 수구를 연결하는 선재 연결 금속 부품으로서,
    상기 복수의 금속 선재를 수용하는 선재 수용부와,
    상기 선재 수용부와 함께 형성되고, 상기 선재 수용부에 수용되는 복수의 금속 선재가 상기 선재 수용부로부터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협지편과,
    상기 선재 수용부와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금속 선재와 직교하게 배치되는 다른 금속 선재와 인접하는 회전 방지부,를 가지며,
    상기 수구를, 봉기 부분에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연결 금속 부품.
  10. 수구를 구성하는 복수의 금속 선재를 연결하는 것에 의해, 상기 복수의 금속 선재로 구성된 수구를 연결하는 선재 연결 금속 부품으로서,
    상기 복수의 금속 선재를 수용하는 선재 수용부와,
    상기 선재 수용부와 함께 형성되고, 상기 선재 수용부에 수용되는 복수의 금속 선재가 상기 선재 수용부로부터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협지편과,
    상기 선재 수용부의 하단에 형성되고, 선재 연결 부품 자체를 위로 밀어 올려서 상기 선재 연결 금속 부품의 상부를 상기 다른 금속 선재의 하면을 향하여 누르는 높이 조정 수단과,
    상기 선재 수용부와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금속 선재와 직교하여 배치되는 다른 금속 선재와 인접하는 회전 방지부,를 가지며,
    상기 수구를, 봉기 부분에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연결 금속 부품.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선재 수용부의 하단에 형성된 높이 조정 수단은,
    상기 선재 수용부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선재 수용부 내에 수용된 복수의 금속 선재의 봉기 부분 하단의 굴곡 부분과 인접하는 것에 의해 휘어져 부세력을 발생시키고,
    이 부세력에 의해 선재 연결 금속 부품 자체를 위쪽으로 밀어 올리고, 이의 상부를 상기 복수의 금속 선재와 직교하여 배치되는 다른 금속 선재에 대하여 누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연결 금속 부품.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방지부는, 선재 수용부와 상기 회전 방지부에 의해 상기 수구를 구성하는 금속 선재를 끼워 넣는 것에 의해, 선재 연결 금속 부품의 상기 금속 선재 상에서의 회전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연결 금속 부품.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선재 수용부 내에 수용되는 금속 선재의 축 방향에 따른 선재 연결 금속 부품의 치수는, 상기 금속 선재에 의해 구성되는 수구의 봉기 부분의 높이 치수와 거의 동일한 치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연결 금속 부품.
  14. 제 1 항, 제 2 항, 제 7 항,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협지편은, 금속 선재를 수용하는 선재 수용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펜치 등의 공구로 끼우는 것에 의해 소성 변형하는 돌출편과,
    상기 돌출편의 선단으로부터 바깥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고, 펜치 등의 공구와 계합 가능한 파지편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연결 금속 부품.
  15. 제 1 항, 제 2 항, 제 7 항,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협지편은, 소성 변형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 선재 수용부 내에 수용된 금속 선재의 외면을 따라 변형하고, 상기 선재 수용부를 거의 폐색함과 동시에, 이들 협지편의 선단으로부터 바깥 방향을 향하여 연장된 파지편의 편면이 거의 밀접하게 만나며, 상기 선재 수용부 내에 수용된 금속 선재를 연결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연결 금속 부품.
  16. 선재로 구성된 배선·배관재용 수구에 취부체를 고정하기 위한 취부체 고정 부품으로서,
    상기 취부체 고정 부품은, 취부체를 보지하는 취부체 보지부와, 상기 수구를 구성하는 선재에 탑재하기 위한 탑재부를 가지고,
    상기 탑재부는, 상기 금속 선재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를 가지는 소성 변형 가능한 선재 수용부를 가지며, 상기 선재 수용부를 소성 변형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개구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상기 선재를 선재 수용부 내에 보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부체 고정 부품.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탑재부에는, 상기 선재 수용부의 개구측에 한 쌍의 근접부가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근접부를 상대적으로 근접시키기 위해, 상기 근접부를 공구에 의해 파지하여 끼우고, 상기 근접부가 상대적으로 근접할 때까지 상기 선재 수용부를 소성 변형시키며, 상기 개구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것에 의해 상기 금속 선재를 선재 수용부 내에 보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부체 고정 부품.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탑재부에는, 상기 선재 수용부의 개구측에 한 쌍의 근접부가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근접부가 서로 밀접하게 만날 때까지 상기 선재 수용부를 변형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선재 수용부 개구를 덮고, 상기 금속 선재를 선재 수용부 내에 수용하여, 취부체 고정 부품의 상기 금속 선재로의 탑재가 완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부체 고정 부품.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탑재부는, 수용한 금속 선재를 선재 수용부 내에서 요동하지 않도록 협지하기 위하여, 상기 선재 수용부를 소성 변형시키며, 상기 선재 수용부에 수용한 선재의 외면을 따라 배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부체 고정 부품.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취부체는, 배선·배관재용 박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부체 고정 부품.
  21.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취부체는, 화장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부체 고정 부품.
  22.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취부체는, 배선·배관재를 고정하는 새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부체 고정 부품.
  23. 선재로 구성되는 배선·배관재용 수구에 취부되는 취부체로서,
    상기 취부체는, 상기 수구를 구성하는 선재에 탑재하기 위한 탑재부를 가지며,
    상기 탑재부는, 상기 금속 선재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를 가지는 소성 변형 가능한 선재 수용부를 구성하며, 상기 선재 수용부를 소성 변형시키는 때, 상기 개구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것에 의해, 상기 선재를 선재 수용부 내에 보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부체.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탑재부에는, 상기 선재 수용부의 개구측에 한 쌍의 근접부가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근접부를 상대적으로 근접시키기 위해, 상기 근접부를 공구에 의해 파지하여 끼우고, 상기 근접부가 상대적으로 근접할 때까지 상기 선재 수용부를 소성 변형시키며, 상기 개구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것에 의해 상기 금속 선재를 선재 수용부 내에 보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부체.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탑재부에는, 상기 선재 수용부의 개구측에 한 쌍의 근접부가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근접부가 서로 밀접하게 만날 때까지 상기 선재 수용부를 변형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선재 수용부 개구를 덮고, 상기 금속 선재를 선재 수용부 내에 수용하여, 취부체의 상기 금속 선재로의 탑재가 완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부체.
  26.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탑재부는, 수용한 금속 선재를 선재 수용부 내에서 요동하지 않도록 협지하기 위하여, 상기 선재 수용부를 소성 변형시키며, 상기 선재 수용부에 수용한 선재의 외면을 따라 배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부체.
  27.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취부체는, 배선·배관재용 박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부체.
  28.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취부체는, 화장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부체.
  29. 선재로 구성된 배선·배관재용 수구에 취부체를 탑재하기 위한 배선·배관재 수구로의 취부체 고정 부품으로서,
    상기 취부체를 보지하는 보지부와, 상기 배선·배관재 수구를 구성하는 선재에 탑재하기 위한 탑재부를 가지며,
    상기 탑재부는, 상기 선재를 수용 가능하게 하는 개구를 가지는 선재 수용부와, 상기 선재의 누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성 변형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개구의 일부 또는 전부를 덮는 누탈방지부를 가지고,
    상기 탑재부의 누탈방지부는, 협지 공구로 협압하는 것에 의해, 선재 수용부의 개구로부터 수용되는 선재의 수용 방향에 대하여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변형하여, 상기 개구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배관재 수구로의 취부체 고정 부품.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탑재부의 누탈방지부는, 협지 공구로 협압되는 파지편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배관재 수구로의 취부체 고정 부품.
  31.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탑재부의 누탈방지부는, 협지 공구로 끼우는 것이 가능한 적어도 한 쌍의 파지편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배관재 수구로의 취부체 고정 부품.
  32.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탑재부의 누탈방지부는, 선재 수용부에 수용된 선재를 상기 선재 수용부 내에서 요동하지 않도록 협지하여 상기 선재의 누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배관재 수구로의 취부체 고정 부품.
  33.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취부체를 상기 선재에 탑재한 상태에서 또는 탑재하는 때에 자신이 경사하는 것을 방지하는 경사방지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배관재 수구로의 취부체 고정 부품.
  34.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취부체는, 배선·배관재 수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수구 내를 구분하는 칸막이 재에 의해 구성되는 분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배관재 수구로의 취부체 고정 부품.
KR1020047005807A 2001-10-18 2002-09-12 선재 연결 금속 부품, 취부체 고정 부품 및 취부체 KR1008806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20899 2001-10-18
JPJP-P-2001-00320899 2001-10-18
JP2002088074 2002-03-27
JPJP-P-2002-00088074 2002-03-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7081A true KR20050027081A (ko) 2005-03-17
KR100880692B1 KR100880692B1 (ko) 2009-02-02

Family

ID=26623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5807A KR100880692B1 (ko) 2001-10-18 2002-09-12 선재 연결 금속 부품, 취부체 고정 부품 및 취부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50029365A1 (ko)
EP (1) EP1437812A4 (ko)
JP (2) JP4148137B2 (ko)
KR (1) KR100880692B1 (ko)
TW (1) TWI299931B (ko)
WO (1) WO20030345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64792B2 (ja) * 2005-09-30 2011-04-06 未来工業株式会社 ボックス固定装置
DE202007009658U1 (de) * 2007-07-11 2007-09-06 Niedax Gmbh & Co. Kg Gitterrinne sowie Gitterrinnenverbindung
CN102269236A (zh) * 2010-06-01 2011-12-07 孙法林 Vh型一次性连接扣
JP5523947B2 (ja) * 2010-06-23 2014-06-18 株式会社東芝 洗濯機
FR2975541B1 (fr) 2011-05-19 2013-05-17 Cts Cable Tray Systems Sas Dispositif de fixation d'un troncon de chemin de cables sur un support, chemin de cables comprenant un tel dispositif et procede d'assemblage du chemin de cables
JP5847866B2 (ja) * 2014-03-11 2016-01-27 株式会社ブレスト工業研究所 メッシュトレイ用カバー止め金具
ES2559276B1 (es) * 2014-08-11 2016-07-21 Leocricio Benavente Peña Elemento de apriete para cables de mallas, y malla para la formación de taludes
IT201700024029A1 (it) * 2017-03-03 2018-09-03 Kirmed Forniture Ospedaliere S R L Dispositivo di bloccaggio
JP2019154578A (ja) * 2018-03-08 2019-09-19 株式会社オカムラ 仕切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3830A (en) * 1903-12-02 1904-06-28 Perry B Yeider Wire-fence stay-clamp.
US1853891A (en) * 1931-05-13 1932-04-12 Matthews W N Corp Clamp
US1982281A (en) * 1932-04-04 1934-11-27 Matthews W N Corp Clamp
DE1905804U (de) * 1964-08-22 1964-12-03 Gebhard Trukenbrod Spannstueck fuer eine vorrichtung zum abbinden und/oder befestigen von schlauchen, kabeln, rohren u. dgl. gegenstaenden.
US3604065A (en) * 1968-12-23 1971-09-14 Hoover Ball & Bearing Co Clip for attaching wires
DE2036325C3 (de) 1970-07-22 1974-05-22 Neuwalzwerk Bettermann Ohg, 5759 Boesperde Verschraubbare Verbindungsklammer für Gitterkabelbahnen
JPS549364Y2 (ko) * 1974-09-19 1979-05-01
JPS51149086U (ko) * 1975-05-23 1976-11-29
DE7713320U1 (de) * 1977-04-28 1977-08-04 Itw-Ateco Gmbh, 2000 Norderstedt Befestigungselement
DE3103736C2 (de) * 1981-02-04 1989-11-02 OBO Bettermann oHG, 5750 Menden Kabelbahn als Träger von elektrischen Kabeln
JPS5826170A (ja) * 1981-08-07 1983-02-16 柴田 さゆり 建築及び構築用フエンス
JPS60179755U (ja) * 1984-05-08 1985-11-29 棚橋 基 溶接金網の接続金具
JPS61103612U (ko) * 1984-12-14 1986-07-01
FR2576158A1 (fr) * 1985-01-16 1986-07-18 Krieg & Zivy Chemin de cable en treillis
JPH04347512A (ja) * 1991-05-23 1992-12-02 Kanafuji Denko Kk 2以上の溝状単位構造体からなる送配電媒体又は信号伝送媒体支持用の編成構造物及びその構築方法
JPH04347511A (ja) * 1991-05-23 1992-12-02 Kanafuji Denko Kk 2以上の単位構造体からなる送配電及び信号伝送媒体支持用の編成構造物並びにその構築方法
FR2698428B1 (fr) * 1992-11-26 1995-01-13 Krieg Zivy Ind Elément de couvercle pour élément de chemin de câbles.
JPH0735804U (ja) * 1993-12-09 1995-07-04 中央発条工業株式会社 鋼線材等の結束クリップ
FR2723270B1 (fr) * 1994-08-01 1996-10-25 Metal Deploye Sa Element de couvercle pour chemin de cables
SE509885C2 (sv) * 1996-07-08 1999-03-15 Defem System Ab Anordning vid kabelstege
DE19742095C1 (de) * 1997-09-24 1999-04-22 Bettermann Obo Gmbh & Co Kg Anordnung zur schraubenlosen Verbindung von Gitterkabelbahnen
US6061884A (en) * 1999-01-15 2000-05-16 Gs Metal Corp. Interlocking cable support tray system
JP2001131990A (ja) * 1999-11-09 2001-05-15 Katsutoshi Sakamoto アンカーボルト用止め金具
JP3803909B2 (ja) * 2001-03-12 2006-08-02 未来工業株式会社 線材固定金具
JP2002327717A (ja) * 2001-04-27 2002-11-15 Mirai Ind Co Ltd 線材連結具
JP3982202B2 (ja) * 2001-05-21 2007-09-26 未来工業株式会社 線材連結金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148137B2 (ja) 2008-09-10
KR100880692B1 (ko) 2009-02-02
EP1437812A1 (en) 2004-07-14
TWI299931B (ko) 2008-08-11
JP4543413B2 (ja) 2010-09-15
JP2008278742A (ja) 2008-11-13
WO2003034561A1 (fr) 2003-04-24
EP1437812A4 (en) 2005-04-20
US20050029365A1 (en) 2005-02-10
JPWO2003034561A1 (ja) 2005-02-03
WO2003034561A8 (fr) 2005-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31960C (en) Clamp for circular objects
US8100368B2 (en) Clamp and seismic sway brace
KR100447837B1 (ko) 전기전자기기 수납용 캐비닛의 프레임 및 그 결합구조
JP4543413B2 (ja) 取付体固定具、取付体固定具装置、及び、取付体
JP2000120235A (ja) 金属屋根用取付け金具
WO2008154564A1 (en) Clamp and seismic sway brace
JP4398812B2 (ja) 受金具
JP5356981B2 (ja) 足場用パネル連結具
JP2004019688A (ja) 空調用縦配管の固定支持装置
JP2838511B2 (ja) コンクリート埋設物
JP4174791B2 (ja) 線材連結方法、配線・配管材用受具の連結構造、及び配線・配管材用受具
JP5185215B2 (ja) ガス栓の取付金具
KR101070460B1 (ko) 파이프용 클램프
KR20030073786A (ko) 체결볼트의 고정방법
JP7415508B2 (ja) 屋根ユニットの骨組構造及び屋根ユニットの地組方法
KR102261937B1 (ko) 난간 브라켓
JP2003018721A (ja) 長さ調整用ラックカバー
JPH0973929A (ja) 避雷導線の鉄筋接続金具と避雷導線集結金具
KR200348604Y1 (ko) 가설용 클램프
JP3451487B2 (ja) 長さ調整用ラックシステム
KR200374255Y1 (ko) 원터치식 이음관
JP2023184151A (ja) パイプ用ジョイント部材
JP3084153U (ja) コンクリート柱補強機構
JPH02161070A (ja) コンクリート埋設物
JPH09121423A (ja) 配線用ボック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