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7054A - 차추출액의 제조법 - Google Patents

차추출액의 제조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7054A
KR20050027054A KR1020040072446A KR20040072446A KR20050027054A KR 20050027054 A KR20050027054 A KR 20050027054A KR 1020040072446 A KR1020040072446 A KR 1020040072446A KR 20040072446 A KR20040072446 A KR 20040072446A KR 20050027054 A KR20050027054 A KR 200500270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a
extract
extraction
weight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2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6010B1 (ko
Inventor
야마다야스시
Original Assignee
가오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320974A external-priority patent/JP389867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414873A external-priority patent/JP415341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414872A external-priority patent/JP3629489B1/ja
Application filed by 가오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오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27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7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6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60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163Liquid or semi-liquid tea extract preparations, e.g. gels, liquid extracts in solid caps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18Extraction of water soluble tea constitu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Tea And Coffe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칼럼(column)형의 추출기에 차잎을 넣고, 냉수 또는 온수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면서, 차잎에서의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추출율이 높으면서 또한 카페인/비중합체 카테킨류 비(比)가 원료차잎의 천연조성에 가깝고, 잡맛이 적고 풍미가 양호한 차추출액의 제조법 및 해당 차추출액을 이용한 용기저장 차음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추출액의 제조법{PREPARATION PROCESS OF TEA EXTRACT}
본 발명은 풍미가 양호한 차추출액의 제조법 및 상기 차추출액을 이용한 용기저장 차음료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용기저장 차음료의 조제로 이용하는 차추출액은 일반적으로 니더(Kneader)라 불리는 불리는 개방형의 추출조 안에 차잎 및 가열한 추출물을 투입하고, 교반한 후 추출액을 꺼내는 방법에 의해 제조되고 있다. 차잎을 뜨거운 물에서 추출할 경우, 차잎 중에 포함되는 성분의 중, 비중합체 카테킨류는 카페인보다도 추출되기 어렵다. 따라서, 이 방법에서는 추출액의 카페인/비중합체 카테킨류 비(比)가 원료차잎의 천연조성보다도 높아지게 된다. 그래서 교반 시간을 길게 하거나 온도를 올리거나 해서 추출 조건을 가혹하게 하면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추출율이 오르고, 추출액의 카페인/비중합체 카테킨류 비가 원료차잎의 그것에 근접하지만, 풍미가 손상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풍미가 양호한 차추출액을 얻는 수단으로서 철망을 설치한 차추출 탱크 안에 차잎을 퇴적시켜, 용존 산소가 제거된 0∼36도의 물을 위에서 공급하면서 추출액을 차잎 아래쪽에서 꺼내고, -1∼6도에 냉각해서 석출물(析出物)을 제거하는 방법(일본국 공개특허 2000-50799호 공보) 및 차잎에 그 2∼3배량의 물을 첨가해서 몇분간 습윤시킨 다음, 이것에 2∼5배량의 80∼95도의 열탕을 붓고 니더분을 용출시켜 농도 5∼10Brix%의 용출액으로 하고, 농후한 음료용 차액기스로 하는 방법(일본국 공개특허 평6-178651호 공보)이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일본국 공개특허 2000-50799호 공보에 기재의 방법에서는 추출 온도가 낮기 때문에, 차잎에서의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추출율이 낮고, 용기저장 차음료를 제조할 때에 경제성이 나빠진다. 또한, 일본국 공개특허 평 6-178651호 공보에 기재의 방법은 농후한 추출액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추출액의 양이 극히 적은 상태로 추출을 행하기 때문에, 차잎에 포함되는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추출율이 낮고, 용기저장 차음료를 제조할 때에 경제성이 나빠진다. 나아가 추출액의 카페인/비중합체 카테킨류 비는 원료차잎의 천연조성보다도 높아지게 된다.
한편, 종래의 니더를 이용한 개방형으로 추출조를 채용한 차추출액의 제조방법에서는 추출 작업시에 추출조로부터 증기가 흩어져 작업 환경이 악화할 뿐만아니라, 차의 향기 성분의 유실 및 산화에 의해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들의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폐쇄형의 추출조를 이용해 추출조 하부에서 불활성 가스를 뿜어냄으로써 교반 효과를 얻고자 하는 방법(일본국 공개특허 평7-23714호 공보) 및 폐쇄형의 추출조 안에 차잎과 추출물과를 공급하고, 추출조 안에서 차잎의 엑기스 부분을 추출해서 추출물에 침출한 추출액을, 추출조 밖으로 꺼내는 차의 추출방법에 있어서, 일단 추출조 밖으로 꺼내진 추출액을 다시 추출조 안으로 환류한 다음에 꺼내는 방법(일본국 공개특허 평11-103777호 공보)이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의 수단에서는 추출 효율을 올리고자 하면, 온도를 높게 하거나 시간를 길게 할 필요가 있고, 풍미가 저하하는 문제가 있있다. 더욱이 추출조 안에서 차잎이 떠올라(浮動; floating) 있기 때문에 차잎의 미세 가루나 잡맛 성분이 나기 쉽고, 풍미가 저하하는 문제가 있었다.
제1의 본 발명은, 칼럼형의 추출기에 차잎을 넣고, 45∼95도의 열수(熱水)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면서 추출액을 배출하고, 차잎에서의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추출율을 75∼100%으로 하는 차추출액의 제조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조법의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는 차추출액을 그대로 또는 희석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용기저장 차음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나아가, 제2의 본 발명은 칼럼형의 추출기에 차잎을 넣고, 냉수 또는 열수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면서 추출액을 배출해서 추출하는, 다음의 성분(A) 및 (B),
(A)비중합체 카테킨류 0.05∼0.7중량%
(B)입자경 0.2∼0.8μm의 비수용성 고형분
을 함유하고, 성분(B)과 성분(A)의 함유량의 비교 [(B)/(A)]가 0.09이하인 차추출액의 제조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제조법에 의해 얻을 수 있는 차추출액을 그대로 또는 희석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용기저장 차음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제3의 본 발명은 차의 충전량을 (시럼(serum) 내용적)/(차잎의 첨가시 용적) 비 1.0∼7.0으로 하고, 차잎을 충전한 폐쇄형의 칼럼 추출기에 냉수 또는 열수를 칼럼의 아래쪽에서 윗쪽으로 통액시키고,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추출율을 40∼100%으로 하는 비중합체 카테킨류 농도 0.05∼0.7중량%의 차추출액의 제조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제조법에 의해 얻을 수 있는 차추출액을 그대로 또는 희석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용기저장 차음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차잎에서의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추출율이 높으면서 카페인/비중합체 카테킨류 비가 원료차잎의 천연조성에 가깝고, 잡맛이 적고, 풍미가 양호한 차추출액의 제조법 및 해당 차추출액을 이용한 용기저장 차음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는 칼럼형의 추출기에 차잎을 넣고, 45∼95도의 가열물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면서 추출액을 배출하는 차추출법을 이용하고, 차잎에서의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추출율이 75∼100%가 되도록 추출을 행하면, 추출액의 카페인/비중합체 카테킨류 비가 낮아져, 원료차잎의 천연조성에 가까운 추출액이 얻을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이 차추출액은 풍미가 양호하며, 이것을 그대로 또는 희석함으로써 고농도로 비중합체 카테킨를 함유하는 용기저장 차음료가 얻을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는 칼럼형의 추출기에 차잎을 넣고, 냉수 또는 열수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면서 추출액을 배출하는 차 추출법을 이용하고, (A)비중합체 카테킨류와 (B)입자경 0.2∼0.8μm의 비수용성 고형분의 함유량의 비[(B)/(A)]가 0.09이하로 하면, 얻어진는 추출액의 잡맛이 적고 풍미가 양호함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이 차추출액을 그대로 또는 희석함으로써 고농도로 비중합체 카테킨류를 함유하는 용기저장 차음료가 얻을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나아가 본 발명자는 차잎의 충전량을 일정 범위로 하고, 폐쇄형의 칼럼 추출기를 채용해, 추출용의 물 또는 열수를 아래쪽에서 윗쪽으로 통액시키면서 또한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추출 효율을 높게 설정하고, 0.05∼0.7중량%의 고농도로 일정한 범위의 비중합체 카테킨류 농도의 차추출액을 얻게끔 컨트롤하면, 단시간으로 풍미가 양호한 차추출액을 얻을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이 차추출액은 풍미가 양호하며, 그대로 또는 희석함으로써 고농도로 비중합체 카테킨를 함유하는 용기저장 차음료가 얻을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에서 비중합체 카테킨류란 카테킨, 갈로카테킨(gallocatechin), 카테킨갈레이트(catechingallate), 갈로카테킨갈레이트(gallocatechingallate) 등의 비(非)에피체 카테킨류 및 에피카테킨(epicatechin), 에피갈로카테킨(epigallocatechin),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epigallocatechingallate) 등의 에피체 카테킨류를 모두 합친 총칭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차잎으로서는 Camellia속, 예를 들면 C.sinensis 및 C.assaimica, 야부키타종 또는 그들의 잡종에서 얻어진 차잎에서 제다(製茶)된 센차(煎茶; middle-grade green tea), 옥로(玉露茶; shaded green tea), 텐차(甛茶; powdered tea) 등의 녹차류나, 총칭해서 우롱차라 불리는 철관음(鐵觀音), 색종(色種), 황금계(黃金桂), 무이암차(武夷岩茶) 등의 반발효차나, 홍차라 불리는 다즐링(darjiling), 아삼(assam), 스리랑카 등의 발효차의 차잎을 들 수 있다. 이 중 녹차잎이 특히 좋다.
본 발명의 차추출액의 제조법에 있어서는 칼럼형의 추출기,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폐쇄형 추출 칼럼을 사용한다. 상기 추출 칼럼(3)에 차잎(4)을 충전한다. 폐쇄형의 칼럼을 사용함으로써 향기 성분을 충분하게 회수할 수 있다.
우선, 제1의 발명의 차추출액의 제조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소정량의 물을 탱크에 넣고 순환하는 방법보다도 추출용의 물을 칼럼의 한쪽에서 다른쪽으로 1패스로 통액하는 방법이 추출액이 받는 열이력(熱履歷)이 작고 열에 의한 품질 저하가 적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통액 방향은 상승류여도 하강류여도 좋다.
추출에 사용하는 물의 온도는 45∼95도, 바람직하게는 50∼85도, 특히 60∼80도의 물이 바람직하다. 온도가 45도보다도 낮으면,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추출율을 올리기 위해서 다량의 물이 필요하게 되고, 추출 시간이 길어져서 작업성 및 경제성이 나빠진다.
또한, 물의 공급유량을 칼럼의 단면적으로 나눈 값, 즉 칼럼 중의 물의 선속도(linear velocity)는 1.0∼20.0cm/min, 바람직하게는 2.0∼15.0cm/min, 특히 3.0∼10.0cm/min이 바람직하다. 선속도가 지나치게 빠르면 차잎이 압밀(壓密)되어 폐색(閉塞)하고 만다. 한편, 선속도가 지나치게 느리면 추출 공정의 시간이 길어져, 작업 효율이 저하한다.
추출을 행하고 있는 때의 팽윤한 차잎층의 높이를 상기의 선속도에서 나눈 값, 즉 차잎층 중의 물의 평균 체류시간은 0.5∼15.0min, 바람직하게는 0.7∼10.0min , 특히 0.9∼8.0min가 바람직하다. 평균 체류시간이 지나치게 짧으면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추출이 불충분하며, 지나치게 길면 추출 공정의 시간이 길어져 작업 효율이 저하한다.
추출 개시 전의 차잎의 충전 높이는 30∼500mm, 바람직하게는 40∼300mm, 특히 바람직하게는 50∼200mm가 바람직하다. 충전 높이가 지나치게 높으면 차잎층의 압력 손실이 커져 유속(流速)이 저하하게 된다. 한편, 충전 높이가 지나치게 낮으면 1회의 추출 분량크기(batch size)가 작아져 다수에 걸친 추출을 행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작업 효율이 저하한다.
추출 배율, 즉 (칼럼으로부터 나온 추출액 중량)/(차잎의 충전 중량)은 낮으면, 차추출액 중의 비중합체 카테킨류 농도는 높아지지만, 차잎에서의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추출율이 높아지지 않는다. 한편, 지나치게 높으면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추출율은 높아지지만 얻어진 차추출액 중의 비중합체 카테킨류 농도는 낮아진다. 이 추출 배율로서는 차잎에서의 추출율을 높여서 경제성을 좋게 하고, 또 카테킨 고농도 함유 음료를 제조하는 관점에서 10∼100, 바람직하게는 15∼80, 특히 20∼60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추출율(%)을 산출하기 위해서, 차잎에 포함되는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총량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 차잎을 칼럼에 충전하고, 85도의 이온교환수를 통액하면, 칼럼 출구에 있어서의 비중합체 카테킨류 및 카페인의 농도는 초기는 높지만 서서히 저하하고, 추출 배율의 70일 때에는 제로 가 되며, 차잎에서 비중합체 카테킨류 및 카페인이 모두 용출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 때 탱크 내에 얻어진 추출액 중의 비중합체 카테킨류 농도를 X(중량%)로 한다. 이 경우, 각 조건에 있어서의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추출율(%)은 다음식: (Y×추출 배율/(X×70))×100(여기에서, Y는 각 조건에 있어서의 추출액 중의 비중합체 카테킨류 농도(중량%)를 의미한다)에서 구해진다. 식의 분모가 차잎 단위량당에 포함되는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총량이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추출율이 75∼100%이 되도록 추출한다. 이 추출율이 75%미만에서는 추출액의 카페인/비중합체 카테킨류 비가 원료차잎의 천연조성의 그것보다도 높고 벗어나게 된다. 여기에서 차잎에 포함되는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총량은 원료차잎의 종류, 산지, 년도에 따라 변화하므로, 예비 추출시험으로 측정해 두면 좋다.
상기와 같이, 칼럼법에서 85도로 추출 배율의 70까지 통액했을 때에 탱크 내에 얻어진 추출액 중의 카페인/비중합체 카테킨류의 농도비가, 원료차잎의 카페인/비중합체 카테킨류 비(중량비)와 비등하다고 판단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추출액의 카페인/비중합체 카테킨류 비가 원료차잎의 카페인/비중합체 카테킨류 비의 100∼110%이 되도록 추출을 행한다. 종래의 추출법에서는 카페인보다도 비중합체 카테킨류가 추출되기 어렵기 때문에, 이것이 110%보다도 높아지며 원료차잎의 천연조성에서 벗어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차추출액 중의 카페인/비중합체 카테킨류 비(중량비)는 원료차잎 중에 포함되는 카페인/비중합체 카테킨류 비의 100∼11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108%,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105%인 것이다.
본 발명 방법에 있어서의 추출 처리시간은 상기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추출율에 의해서 결정되지만, 1패스 추출의 경우, 2∼60min, 보다 바람직하게는 3∼48min, 특히 바람직하게는 4∼28min이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차추출액은 차잎에서의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추출율이 높으면서 카페인/비중합체 카테킨류 비가 원료차잎의 천연조성에 가깝고, 잡맛이 적고 풍미가 좋으므로 그대로 또는 희석함으로써 용기저장 차음료로 할 수 있다. 이 때, 비중합체 카테킨류 농도는 0.05∼0.5중량%, 바람직하게는 0.06∼0.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7∼0.5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8∼0.4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09∼0.4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10∼0.3중량%, 최상으로 바람직하게는 0.12∼0.3중량%로 조정하는 것이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축적지방연소 촉진효과, 식사성 지방연소 촉진효과, 간장 β산화 유전자발현 촉진효과(일본국 공개특허 2002-326932호 공보) 등을 얻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용기저장 차음료 중의 카테킨갈레이트, 에피카테킨갈레이트, 갈로카테킨갈레이트 및 에피갈로카테틴갈레이트로부터 이루어지는 총칭 갈레이트체의 전비중합체 카테킨류 중에서의 비율이 35∼10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5∼98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35∼95중량%가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생리 효과의 유효성에 있어서 좋다.
다음으로, 제2의 발명의 차추출액의 제조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추출용의 물을 칼럼의 한쪽에서 다른쪽으로 1패스로 통액하는 방법이여도 좋고, 소정량의 물을 탱크에 넣고 순환하는 방법이여도 좋다. 1패스 방식쪽이, 추출액이 받는 열이력이 작고 열에 의한 품질 저하가 적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통액 방향은 상향류여도 하강류여도 좋다.
추출로 사용하는 물은 냉수라도 열수라도 좋고, 예를 들면 0∼95도, 바람직하게는 35∼95도, 특히 55∼85도의 물이 바람직하다.
또한, 물의 공급유량을 칼럼의 단면적으로 나눈 값, 즉 칼럼 중의 물의 선속도는 1.0∼20.0cm/min, 바람직하게는 2.0∼15.0cm/min, 특히 바람직하게는 3.0∼10.0cm/min이 좋다. 선속도가 지나치게 빠르면 차잎이 압밀되어 폐색하고 만다. 한편, 선속도가 너무 늦리면 추출 공정의 시간이 길어져 작업 효율이 저하한다.
추출을 행하고 있는 때의 팽윤한 차잎층의 높이를 상기의 선속도에서 나눈 값, 즉 차잎층 중의 물의 평균 체류시간은 0.5∼15.0min, 바람직하게는 0.7∼10.0min, 특히 바람직하게는 0.9∼8.0min가 좋다. 평균 체류시간이 지나치게 짧으면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추출이 불충분하며, 지나치게 길면 추출 공정의 시간이 길어져 작업 효율이 저하한다.
추출 개시 전의 차잎의 충전 높이는 30∼500mm, 바람직하게는 40∼300mm, 특히 바람직하게는 50∼200mm가 바람직하다. 충전 높이가 지나치게 높으면 차잎층의 압력손실이 커져 유속이 저하하게 된다. 한편, 충전 높이가 지나치게 낮으면 1회의 추출 분량크기가 작아지며, 다수에 걸친 추출을 행할 필요가 있어 작업 효율이 저하한다.
본 발명에서는 추출액 중의 (A)비중합체 카테킨류 농도가 0.05∼0.7중량%가 되도록 추출을 행한다. 농도가 0.05중량%미만이면, 전술의 고농도 카테킨 함유 용기저장 차음료를 만들 수 없다. 또한, 농도가 0.7중량%을 초과하는 추출액을 얻고자 하면, 추출로 사용하는 냉수 또는 열수의 양을 극히 소량으로 할 필요가 있고, 차잎에서의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추출율이 낮아 경제성이 나쁘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액이란 금속 메시(metal mesh) 등의 차잎 분리판에서 액으로부터 차잎을 제거해 실온까지 냉각한 액, 또는 계속해서 원심분리기나 나일론 메시로 차잎의 미세가루를 제거한 후의 액을 가리킨다.
차추출액 중에는 (B)입자경 0.2∼0.8μm의 비수용성 고형분이 포함되어 있다. 이것은 다당류, 단백질, 사포닌 등을 비롯한 고분자 물질이 응집 또는 결합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것이 많으면 잡맛이 강하고, 추출액의 풍미가 좋지 않다. (A)비중합체 카테킨류와 (B)입자경 0.2∼0.8μm의 비수용성 고형분의 함유량의 비교 [(B)/(A)]가 0.09이하이면 잡맛이 적어지고, 갈끔한 풍미를 가지게 된다. 추출 배율, 즉 (칼럼에서 나온 추출액 중량)/(차잎의 충전 중량)이 낮으면 차추출액 중의 비중합체 카테킨류 농도는 높아지지만, 차잎으로의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추출율이 낮어 경제성이 낮다. 한편, 지나치게 높으면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추출율은 높아지지만, 얻어진 차추출액 중의 비중합체 카테킨류 농도는 낮아진다. 이 추출 배율로서는 차잎에서의 추출율을 높여 경제성을 좋게 하고, 또 카테킨 고농도 함유 음료를 제조하는 관점에서 10∼100, 바람직하게는 12∼80, 특히 바람직하게는 15∼60이 좋다.
본 발명방법에 있어서의 추출 처리시간은 상기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추출율에 의해서 결정되지만, 1패스 추출의 경우, 2∼60min, 더욱 좋게는 3∼48min, 특히 좋게는 4∼28min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차추출액은 고농도의 비중합체 카테킨류를 함유하면서 또한 잡맛이 적고 풍미가 좋으므로 그대로 또는 희석함으로써 용기저장 차음료로 할 수 있다. 이 때, 비중합체 카테킨류 농도는 0.05∼0.5중량%, 바람직하게는 0
.06∼0.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7∼0.5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8∼0.4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09∼0.4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10∼0.3중량%, 최상으로 바람직하게는 0.12∼0.3중량%로 조정하는 것이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축적지방연소 촉진효과, 식사성 지방연소 촉진효과, 간장 β산화 유전자발현 촉진효과(일본국 공개특허 2002-326932호 공보) 등을 얻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용기저장 차음료 중의 카테킨갈레이트, 에피카테킨갈레이트, 갈로카테킨갈레이트 및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로부터 이루어지는 총칭 갈레이트체의 전비중합체 카테킨류 중에서의 비율이 35∼10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5∼98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35∼95중량%인 것이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생리 효과의 유효성에 있어서 좋다.
다음으로, 제3의 발명의 차추출액의 제조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차잎의 충전량은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추출효율의 점에서 (칼럼 내용적)/(차잎의 충전시 용적)비가 1.0∼7.0, 바람직하게는 1.0∼3.6, 특히 바람직하게는 1.0∼2.6가 좋다. 여기서 칼럼의 내용적은 도 1에서는 차잎 보유판(5, 6)의 사이의 용적이다. 이 비가 (7)를 초과하면 차잎이 부동하게 되고, 미세가루나 잡맛 성분이 나오기 때문에 차잎이 부동하지 않는 상태에서 추출을 행하는 것이 좋다. 이 비교가 낮으면 낮을수록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추출 효율이 높아진다.
추출에 사용하는 물은 냉수이여도 열수이여도 좋고, 예를 들면 0∼95도, 바람직하게는 35에서 95℃, 특히 55∼95도의 물이 바람직하다. 또한 추출로 사용하는 냉수 또는 열수에 아스코르빈산나트륨 등의 유기산 또는 유기산염류를 첨가해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추출용의 물을 칼럼의 아래쪽에서 윗쪽으로 통액한다. 물을 아래쪽에서 윗쪽으로 통액함으로써 물의 흐름 방향과 차잎에 걸리는 중력의 방향이 반대가 되기 때문에 차잎이 압밀되거나 폐색하거나 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고유속·단시간 처리가 가능하게 되고 풍미와 생산성이 향상한다. 통액은 소정량의 열이온 교환수를 탱크에 넣고 순환 공급하는 방법이여도 좋으나, 액의 열이력이 적은 1패스법 쪽이 바람직하다.
추출 배율, 즉 칼럼 1패스법의 경우, (칼럼에서 나온 추출액 중량)/(차잎의 충전 중량)은 지나치게 크면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추출율은 높아지지만 얻어진 차추출액 중의 비중합체 카테킨류 농도는 낮아지며, 한편 지나치게 작으면 얻어진 차추출액 중의 비중합체 카테킨류 농도는 높아지지만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추출율은 낮다. 이 추출 배율로서 비중합체 카테킨류 농도가 0.05∼0.7중량%의 풍미가 양호한 차추출액을 얻는 관점에서, 12∼70, 바람직하게는 15∼65, 특히 바람직하게는 20∼60이 좋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식에서 계산되는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추출율이 40∼100%가 되도록 추출한다. 이 추출율이 40%미만에서는 비중합체 카테킨류를 고농도로 함유하는 차추출액을 얻기 위해서 다량인 차잎이 필요하게 되고, 경제적이지 않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의 추출 처리시간은 상기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추출율에 의해서 결정되지만, 1패스 추출의 경우 2∼60min, 더욱 바람직하게는 3∼48min, 특히 바람직하게는 4∼28min가 좋다.
본 발명방법에 있어서는 비중합체 카테킨류 농도 0.05∼0.7중량%의 차추출액을 얻는다. 비중합체 카테킨류 농도가 0.05중량%미만에서는 고농도 카테킨 함유 음료의 제조에 이용할 수 없다. 또한 비중합체 카테킨류 농도 0.7중량%을 초과하면 저농도로 희석하여도 풍미가 저하한다.
이와 같이 해서 얻어진 차추출액은 0.05∼0.7중량%의 고농도의 비중합체 카테킨류를 함유하면서 또한 잡맛이 없고, 풍미가 좋은 때문에 그대로 또는 희석함으로써 용기저장 차음료로 할 수 있다. 이 때, 비중합체 카테킨류 농도 0.05∼0.5중량%, 바람직하게는 0.092∼0.4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1∼0.3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12∼0.3중량%로 조정하는 것이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축적지방연소 촉진효과, 식사성 지방연소 촉진효과, 간장 β산화 유전자발현 촉진효과(일본국 공개특허 2002-326932호 공보) 등을 얻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용기저장 차음료 중의 카테킨갈레이트, 에피카테킨갈레이트, 갈로카테킨갈레이트 및 에피갈로카테틴갈레이트로부터 이루어지는 총칭 갈레이트체의 전비중합체 카테킨류 중에서의 비율이 35∼10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5∼98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35∼95중량%가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생리 효과의 유효성에 있어서 좋다.
이와 같이 해서 제조된 차추출액(제1∼ 제3의 발명을 포함함)을 그대로 또는 희석해서 충전한 본 발명의 용기저장 차음료는 쓰고 떫은 맛의 억제제를 배합하면 마시기에 좋은 것이 된다. 사용하는 쓰고 떫은 맛의 억제제로서는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이 바람직하다. 사이클로덱스트린로서는 α-, β-, γ-사이클로덱스트린 및 분기 α-, β-, γ-사이클로덱스트린를 사용할 수 있다. 사이클로덱스트린는 음료 중에 0.005∼0.5중량%, 바람직하게는, 0.01∼0.3중량%를 함유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용기저장 차음료에는 차 원래의 성분에 맞추어 처방상 첨가해도 좋은 성분으로서 산화방지제, 향료, 각종 에스테르류, 유기산류, 유기산염류, 무기산류, 무기산염류, 무기염류, 색소류, 유화제, 보존료, 조미료, 감미료, 산미료, 검(gum), 기름, 비타민, 아미노산, 과즙 엑기스류, 야채 엑기스류, 꽃꿀 엑기스류, pH조정제, 품질 안정제 등의 첨가제를 단독 혹은 병용해서 배합해도 된다.
본 발명의 용기저장 차음료의 pH는 25도로 3∼7, 바람직하게는 4∼7, 특히 바람직하게는 5∼7로 하는 것이 맛(풍미) 및 카테킨류의 안정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용기저장 차음료는 축적체지방 연소 촉진, 식사성 지방연소 촉진 및 간장 β산화 유전자발현 촉진의 효과를 내기 위한 성인 1일당의 섭취량으로서는 비중합체 카테킨류로서 300mg이상, 바람직하게는 450mg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mg이상이 좋다고 되어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는 음료 1병당 483mg, 555mg 및 900mg 등의 섭취에 의해 항비만(抗肥滿) 효과나 내장지방 저감 효과가 확인되고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 2002-326932호 공보).
따라서 본 발명의 용기저장 차음료에 있어서도 성인 1일당의 섭취량으로서는비중합체 카테킨류로서 300mg이상, 바람직하게는 450mg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mg이상이 좋고, 1일당의 필요 섭취량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을 용량 350∼500mL의 용기에 충전해서 용기포장 음료로서 섭취한다.
본 발명의 용기저장 차음료에 사용되는 용기는 일반의 음료와 같이 폴리에틸렌레프탈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성형용기(소위 페트병), 금속캔, 금속상자나 플라스틱 필름과 복합한 종이용기, 병 등의 일반적인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용기저장 음료란 희석하지 않고 마실 수 있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용기저장 차음료는 예를 들면, 금속캔과 같이 용기에 충전한 후, 가열살균할 수 있는 경우에 있어서는 식품위생법에 정해진 살균조건으로 제조되지만, 페트병, 종이용기와 같은 레토르트 살균할 수 없는 것에 대해서는 미리 상기와 동등한 살균조건, 예를 들면 플레이트식 열교환기 등으로 고온 단시간 살균한 후, 일정한 온도까지 냉각해서 용기에 충전하는 등의 방법이 채용된다. 또 무균하에서 충전된 용기에 다른 성분을 배합해서 충전해도 좋다. 나아가, 산성하에서 가열살균한 후, 무균하에서 pH를 중성으로 되돌리거나, 중성하에서 가열살균한 후, 무균하에서 pH를 산성으로 되돌리는 등의 조작도 가능하다.
<실시예>
카테킨류의 측정
필터(0.8μm)에서 여과한 다음, 증류수에서 희석한 용기저장된 음료를 시마즈제작소 제품, 고속액체 크로마토그래프(형식 SCL-10Avp)를 사용해 옥타데실기 도입액체 크로마토그래프용 팩칼럼 L-칼럼 TM ODS(4.6mmφ×250mm: 재단법인 화학물질평가연구기구 제품)를 장착하고, 칼럼 온도 35도로 그래디언트(gradient)법에 의해 행하였다. 이동상 A액은 초산을 0.1mol/L함유의 증류 수용액, B액은 초산을 0.1mol/L함유의 아세토니트릴 용액으로 하고, 유량 1.0mL/분으로 송액(送液)하였다. 한편, 그래디언트 조건은 이하와 같다.
시간 A액 B액
0분 97% 3%
37분 97% 3%
43분 80% 20%
43분 80% 20%
43.5분 0% 100%
48.5분 0% 100%
시료 주입량은 10μL, UV 검출기 파장은 280nm의 조건으로 행하였다
카페인의 측정
상기 카테킨류의 측정 시에 동시에 정량(定量)하였다. 카페인의 체류시간(retention time)은 27.2분이었다.
입자경 0.2∼0.8μm의 비수용성 고형분의 측정
차추출액을 비중합체 카테킨류 농도가 0.05중량%가 되도록 이온교환수로 희석하고, 구멍 직경 0.8μm의 박막필터에서 여과해 얻은 액 100g을 구멍 직경 0.2μm의 Millipore사 제품 Omnipore membrane filter(직경 90mm)에서 흡인여과하고, 구멍 직경 0.2μm의 필터의 초기 건조중량과 여과 후의 건조중량의 차이 및 여과에 사용한 희석 추출액량에서 희석 추출액 중의 비수용성 고형분량을 계산하고, 이것에 희석 배율을 곱해서 추출액 중의 비수용성 고형분량으로 하였다. 필터는 105도로 3시간 건조시킨 후, 실온의 데시케이터(desiccator) 내에서 1시간 방냉시켜 항량값(constand weight; mg/L)을 구하였다.
추출장치
도 1에 나타내는 추출장치를 이용해서 차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추출용의 물은 펌프(1)에 의해 이온교환수 가열용 열교환기(2)를 통해서 가열되며, 추출 칼럼(3)의 아래쪽에서 윗쪽으로 또는 윗쪽에서 아랫쪽으로 통액하였다. 차잎(4)은 추출 칼럼 중의 차잎 보유판(하; 6)과 차잎보유판(상; 5)의 사이에 충전하였다. 추출액은 추출액 냉각용 열교환기(7)를 통해서 추출액 회수 탱크(8)로 회수하였다. 추출장치는 칼럼형상의 차잎 충전실 내에 차잎을 보유할 수 있는 기구를 가지고 있으면 좋다.
(실시예 1)
본발명품 1
미야자키산의 녹차잎 100g을 폐쇄형 추출 칼럼(내경 70mm, 높이 137mm)에 충전하고, 65도로 가열한 이온교환수를 칼럼 아래쪽에서 윗쪽으로 0.50L/min의 속도로 통액하였다. 이 때, 초기의 차잎충전 높이는 75mm, 선속도는 13.0cm/min, 평균 체류시간은 1.1min이었다. 추출액은 즉시 열교환기에서 25도이하로 냉각하였다. 추출액의 중량이 충전 차잎 중량의 60배가 되는 부분에서 통액을 종료하고, 탱크 내의 액을 균일하게 혼합해서 분석을 행하였다.
본발명품 2
미야자키산의 녹차잎 100g을 폐쇄형 추출 칼럼(내경 70mm, 높이 137mm)에 충전하고, 85도에 가열한 이온교환수를 칼럼 아래쪽에서 윗쪽으로 0.25L/min의 속도로 통액하였다. 이 때, 초기의 차잎충전 높이는 75mm, 선속도는 6.5cm/min, 평균 체류시간은 2.2min이었다. 추출액은 즉시 열교환기에서 25도이하로 냉각하였다. 추출액의 중량이 충전 차잎 중량의 40배가 되는 부분에서 통액을 종료하고, 탱크 내의 액을 균일하게 혼합해 분석을 하였다.
본발명품 3
미야자키산의 녹차잎 100g을 폐쇄형 추출 칼럼(내경 70mm, 높이 250mm)에 충전하고, 65도로 가열한 이온교환수를 칼럼 윗쪽에서 아래쪽으로 0.50L/min의 속도로 통액하였다. 이 때, 초기의 차잎충전 높이는 75mm, 선속도는 13.0cm/min, 평균 체류시간은 3.1min이었다. 추출액은 즉시 열교환기에서 25도이하로 냉각하였다. 추출액의 중량이 충전차잎 중량의 30배가 되는 부분에서 통액을 종료하고, 탱크 내의 액을 균일하게 혼합해 분석을 행하였다.
비교품 1
니더에 65도로 가열한 이온교환수 4320g과, 미야자키산의 녹차잎 144g을 넣고, 5분간 교반 추출하였다. 그 후 차잎 분리판에서 추출액으로부터 차잎을 제거하고, 열교환기에서 25도이하로 냉각하였다. 얻어진 추출액을 균일하게 혼합해 분석을 행하였다.
비교품 2
미야자키산의 녹차잎 100g을 폐쇄형 추출 칼럼(내경 70mm, 높이 137mm)에 충전하고, 65도로 가열한 이온교환수를 칼럼 아래쪽에서 윗쪽으로 0.25L/min의 속도로 통액하였다. 이 때, 초기의 차잎충전 높이는 75mm, 선속도는 6.5cm/min, 평균 체류시간은 2.2min이었다. 추출액은 즉시 열교환기에서 25도이하로 냉각하였다. 추출액의 중량이 충전차잎 중량의 10배가 되는 부분에서 통액을 종료하고, 탱크 내의 액을 균일하게 혼합해 분석을 행하였다.
비교품 3
미야자키산의 녹차잎 100g을 폐쇄형 추출 칼럼(내경 70mm, 높이 137mm)에 충전하고, 40도로 가열한 이온교환수를 칼럼 아래쪽에서 윗쪽으로 0.25L/minm의 속도로 통액하였다. 이 때, 초기의 차잎충전 높이는 75mm, 선속도는 6.5cm/min, 평균 체류시간은 2.2min이었다. 추출액은 즉시 열교환기에서 25도이하로 냉각하였다. 추출액의 중량이 충전차잎 중량의 117배가 되는 부분에서 통액을 종료하고, 탱크 내의 액을 균일하게 혼합해 분석을 행하였다.
비교품 4
미야자키산의 녹차잎 100g을 폐쇄형 추출 칼럼(내경 70mm, 높이 137mm)에 충전하고, 95도에 가열한 이온교환수를 칼럼 아래쪽에서 윗쪽으로 0.25L/min의 속도로 통액하였다. 이 때, 초기의 차잎충전 높이는 75mm, 선속도는 6.5cm/min, 평균 체류시간은 2.2min이었다. 추출액은 즉시 열교환기에서 25도이하로 냉각하였다. 추출액의 중량이 충전차잎 중량의 5배가 되는 부분에서 통액을 종료하고, 탱크 내의 액을 균일하게 혼합해 분석을 행하였다.
추출조건, 얻어진 추출액의 Brix, 비중합체 카테킨류 농도, 카페인 농도, 카페인/비중합체 카테킨류 비 및 추출율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본발명품의 1∼3의 차추출액은 카페인/비중합체 카테킨류 비가 원료차잎의 카페인/비중합체 카테킨류 비의 110%이하로 천연조성에 가까웠다. 비교품 1∼4에서 얻어진 차추출액은 모두 카페인/비중합체 카테킨류 비가 원료차잎의 그것의 110%를 초과하여 천연조성으로부터 벗어난 것이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얻어진 본발명품 1∼3의 차추출액을 필요에 따라 이온교환수로 희석하고, 비중합체 카테킨류 농도가 0.05∼0.338중량%가 되도록 조정해서 패트저장 녹차음료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음료는 모두 카페인/비중합체 카테킨류 비가 원료차잎의 그것에 가깝고, 풍미가 양호하였다.
(실시예 3)
본발명품 4
미야자키산의 녹차잎 100g을 폐쇄형 추출 칼럼(내경 70mm, 높이 137mm)에 충전하고, 65도로 가열한 이온교환수 3000g을 칼럼 아래쪽에서 윗쪽으로 0.5L/min의 속도로 15분간 순환 통액하였다. 이 때, 초기의 차잎충전 높이는 75mm, 선속도는
13.0cm/min, 평균 체류시간은 1.1min이었다. 추출액은 그 후 열교환기에서 25도이하로 냉각하고, 탱크 내의 액을 균일하게 혼합해 분석을 행하였다.
본발명품 5
미야자키산의 녹차잎 100g을 폐쇄형 추출 칼럼(내경 70mm, 높이 137mm)에 충전하고, 85도로 가열한 이온교환수를 칼럼 아래쪽에서 윗쪽으로 0.25L/min의 속도로 통액하였다. 이 때, 초기의 차잎충전 높이는 75mm, 선속도는 6.5cm/min, 평균 체류시간은 2.2min이었다. 추출액은 즉시 열교환기에서 25도이하로 냉각하였다. 추출액의 중량이 충전차잎 중량의 20배가 되는 부분에서 통액을 종료하고, 탱크 내의 액을 균일하게 혼합해 분석을 행하였다.
본발명품 6
미야자키산의 녹차잎 100g을 폐쇄형 추출 칼럼(내경 70mm, 높이 137mm)에 충전하고, 40도로 가열한 이온교환수를 칼럼 아래쪽에서 윗쪽으로 0.25L/min의 속도로 통액하였다. 이 때, 초기의 차잎충전 높이는 75mm, 선속도는 6.5cm/min, 평균 체류시간은 2.2min이었다. 추출액은 즉시 열교환기에서 25도이하로 냉각하였다. 추출액의 중량이 충전차잎 중량의 80배가 되는 부분에서 통액을 종료하고, 탱크 내의 액을 균일하게 혼합해 분석을 행하였다.
본발명품 7
미야자키산의 녹차잎 100g을 폐쇄형 추출 칼럼(내경 70mm, 높이 250mm)에 충전하고, 65도로 가열한 이온교환수를 칼럼 윗쪽에서 아래쪽으로 0.2L/min의 속도로 통액하였다. 이 때, 초기의 차잎충전 높이는 75mm, 선속도는 5.2cm/min, 평균 체류시간은 3.8min이었다. 추출액은 즉시 열교환기에서 25도이하로 냉각하였다. 추출액의 중량이 충전차잎 중량의 50배가 되는 부분에서 통액을 종료하고, 탱크 내의 액을 균일하게 혼합해 분석을 행하였다.
비교품 5
시즈오카산의 녹차잎 50g을 폐쇄형 추출 칼럼(내경 70mm, 높이 137mm)에 충전하고, 65도로 가열한 이온교환수 2500g을 칼럼 윗쪽에서 아래쪽으로 0.5L/min의
속도로 15분간 순환 통액하였다. 이 때, 초기의 차잎충전 높이는 35mm, 선속도는 1
3.0cm/min, 평균 체류시간은 0.8min이었다. 칼럼 내는 경사 패들날개(paddle blade)로 20r/min의 속도로 교반하였다. 추출액은 그 후 열교환기에서 25도이하로 냉각하고, 탱크 내의 액을 균일하게 혼합해 분석을 행하였다.
비교품 6
니더에 65도로 가열한 이온교환수 4320g과, 미야자키산의 녹차잎 144g을 넣고, 5분간 교반 추출하였다. 그 후 차잎 분리판에서 추출액으로부터 차잎을 제거하고, 열교환기에서 25도이하로 냉각해 균일하게 혼합해 분석을 행하였다. 얻어진 차추출액을 비중합체 카테킨류 농도가 0.05중량%가 되도록 이온교환수로 희석해 4명의 전문 패널리스트에 의해서 풍미를 평가하였다.
(평가기준)
◎: 잡맛이 없고, 풍미가 매우 양호.
○: 잡맛이 적고, 풍미가 양호.
△: 잡맛이 있고, 풍미가 다소 불량.
추출조건, 얻어진 추출액의 Brix, 비중합체 카테킨류 농도, 0.2∼0.8μm의 비수용성 고형분량 및 풍미의 평가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온도 추출 통액방법℃ 배율 Brix 비중합체 0.2∼0.8μm (B)/(A) 풍미카테킨류농도 비수용성 (mg/L)중량% 고형분mg/L /(mg/L)
본 발명품 4567 65 30 상승류 환류85 20 상승류 1패스40 80 상승류 1패스65 50 하강류 1패스 1.15 0.268 89.4 0.033 ◎1.70 0.441 220.7 0.050 ◎0.45 0.100 22.0 0.022 ◎0.88 0.201 78.4 0.039 ◎
비교품 56 65 50 하강류 교반순환65 30 니더 0.78 0.178 176.2 0.099 △1.00 0.232 234.3 0.101 △
본발명품 4∼7의 차추출액은 모두 (A)비중합체 카테킨류 농도와 (B)입자경 0.2∼0.8μm의 비수용성 고형분의 함유량의 비교[(B)/(A)]가 0.09이하이며, 잡맛이 없고, 산뜻하며 풍미는 양호하였다. 한편, 비교품 5∼6의 차추출액은 잡맛이 있고 풍미가 다소 불량하였다.
(실시예 4)
본발명품 8
미야자키산의 녹차잎 100g을 폐쇄형 추출 칼럼(내경 70mm, 높이 137mm)에 충전하고, 85도로 가열한 이온교환수를 칼럼 아래쪽에서 윗쪽으로 0.25L/min의 속도로 통액하였다. 추출액은 즉시 열교환기에서 25도이하로 냉각하였다. 추출액의 중량이 충전차잎 중량의 70배가 되는 부분에서 통액을 종료하고, 탱크 내의 액을 균일하게 혼합해 분석을 행하였다.
본발명품 9
미야자키산의 녹차잎 100g을 폐쇄형 추출 칼럼(내경 70mm, 높이 137mm)에 충전하고, 65도로 가열한 이온교환수를 칼럼 아래쪽에서 윗쪽으로 0.25L/min의 속도로 통액하였다. 추출액은 즉시 열교환기에서 25도이하로 냉각하였다. 추출액의 중량이 충전차잎 중량의 60배가 되는 부분에서 통액을 종료하고, 탱크 내의 액을 균일하게 혼합해 분석을 행하였다.
본발명품 10
미야자키산의 녹차잎 100g을 본발명품 8에서 사용한 칼럼에 충전하고, 85도로 가열한 이온교환수를 칼럼 아래쪽에서 윗쪽으로 0.25L/min의 속도로 통액하였다. 추출액은 즉시 열교환기에서 25도이하로 냉각하였다. 추출액의 중량이 충전차잎 중량의 15배가 되는 부분에서 통액을 종료하고, 탱크 내의 액을 균일하게 혼합해 분석을 행하였다.
본발명품 11
미야자키산의 녹차잎 100g을 본발명품 8에서 사용한 칼럼에 충전하고, 65도로 가열한 이온교환수를 칼럼 아래쪽에서 윗쪽으로 0.25L/min의 속도로 통액하였다. 추출액은 즉시 열교환기에서 25도이하로 냉각하였다. 추출액의 중량이 충전차잎 중량의 20배가 되는 부분에서 통액을 종료하고, 탱크 내의 액을 균일하게 혼합해 분석을 행하였다.
비교품 7
미야자키산의 녹차잎 100g을 본발명품 8로 사용한 칼럼에 충전하고, 95도에 가열한 이온교환수를 칼럼 아래쪽에서 윗쪽으로 0.25L/min의 속도로 통액하였다. 추출액은 즉시 열교환기에서 25도이하로 냉각하였다. 추출액의 중량이 충전차잎 중량의 10배가 되는 부분에서 통액을 종료하고, 탱크 내의 액을 균일하게 혼합해 분석을 행하였다.
비교품 8
니더에 65도로 가열한 이온교환수 4320g과, 미야자키산의 녹차잎 144g을 넣고, 5분간 교반 추출하였다. 그 후 차잎 분리판에서 추출액으로부터 차잎을 제거하고, 열교환기에서 25도이하로 냉각하였다. 3845g의 액이 얻어지며, 이것을 균일하게 혼합해 분석을 행하였다. 얻어진 차추출액에 대해서, 4명의 전문 패널리스트에 의해서 풍미를 평가하였다.
(평가기준)
◎: 잡맛이 없고, 풍미가 대단히 양호.
○: 잡맛이 없고, 풍미가 양호.
△: 잡맛이 있고, 풍미가 다소 불량.
×: 신선미가 부족하고, 풍미가 불량.
추출조건, 얻어진 추출액 중의 비중합체 카테킨류 농도, 추출율 및 풍미의 평가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본발명품 8∼11의 차추출액은 카테킨 농도, 추출율이 높고, 잡맛이 적고 풍미도 양호하였다. 비교품 7의 차추출액의 풍미는 신선미가 부족하고 불량하였다. 비교품 8의 차추출액은 카테킨 추출율이 낮고 잡맛이 많고, 풍미는 비교적 좋지 않았다.
(실시예 5)
표 4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추출온도 및 유속을 일정하게 하여 차잎의 충전용적을 변화시켜서 추출 효율을 검토하였다. 얻어진 차추출액에 대해서 실시예 4와 같이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본발명품 12
미야자키산의 녹차잎 100g을 폐쇄형 추출 칼럼(내경 70mm, 높이 100mm)에 충전하고, 65도로 가열한 이온교환수를 칼럼 아래쪽에서 윗쪽으로 0.25L/min의 속도로 통액하였다. 추출액은 즉시 열교환기에서 25도이하로 냉각하였다. 추출액의 중량이 충전차잎 중량의 30배가 되는 부분에서 통액을 종료하고, 탱크 내의 액을 균일하게 혼합해 분석을 행하였다.
본발명품 13
미야자키산의 녹차잎 100g을 폐쇄형 추출 칼럼(내경 70mm, 높이 137mm)에 충전하고, 65도로 가열한 이온교환수를 칼럼 아래쪽에서 윗쪽으로 0.25L/min의 속도로 통액하였다. 추출액은 즉시 열교환기에서 25도이하로 냉각하였다. 추출액의 중량이 충전차잎 중량의 30배가 되는 부분에서 통액을 종료하고, 탱크 내의 액을 균일하게 혼합해 분석을 행하였다.
본발명품 14
미야자키산의 녹차잎 100g을 폐쇄형 추출 칼럼(내경 70mm, 높이 192mm)에 충전하고, 65도로 가열한 이온교환수를 칼럼 아래쪽에서 윗쪽으로 0.25L/min의 속도로 통액하였다. 추출액은 즉시 열교환기에서 25도이하로 냉각하였다. 추출액의 중량이 충전차잎 중량의 30배가 되는 부분에서 통액을 종료하고, 탱크 내의 액을 균일하게 혼합해 분석을 행하였다.
본발명품 15
미야자키산의 녹차잎 100g을 폐쇄형 추출 칼럼(내경 70mm, 높이 274mm)에 충전하고, 65도로 가열한 이온교환수를 칼럼 아래쪽에서 윗쪽으로 0.25L/min의 속도로 통액하였다. 추출액은 즉시 열교환기에서 25도이하로 냉각하였다. 추출액의 중량이 충전차잎 중량의 30배가 되는 부분에서 통액을 종료하고, 탱크 내의 액을 균일하게 혼합해 분석을 행하였다.
비교품 9
미야자키산의 녹차잎 32g을 폐쇄형 추출 칼럼(내경 70mm, 높이 192mm)에 충전하고, 65도로 가열한 이온교환수를 칼럼 아래쪽에서 윗쪽으로 0.25L/min의 속도로 통액하였다. 추출액은 즉시 열교환기에서 25도이하로 냉각하였다. 추출액의 중량이 충전차잎 중량의 30배가 되는 부분에서 통액을 종료하고, 탱크 내의 액을 균일하게 혼합해 분석을 행하였다.
본발명품 12∼15와 같이 (칼럼의 내용적)/(차잎의 충전시 용적)비가 1.0∼3.6, 특히 1.0∼2.6의 경우에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추출효율이 높고, 풍미가 양호한 차추출액을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4에서 얻어진 본발명품 8∼11 및 상기 본발명품 12∼15의 차추출액을 필요에 맞추어 희석하고, 비중합체 카테킨 농도 0.05∼0.5중량%의 패트병 저장 차음료를 얻었다. 얻어진 음료는 모두 녹차의 풍미가 양호한 차음료이었다.
본 발명의 차추출액의 제조법에 의하면, 차잎에서의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추출율이 높으면서 카페인/비중합체 카테킨류 비가 원료차잎의 천연조성에 가깝고, 잡맛이 적고, 풍미가 양호한 용기저장 차음료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폐쇄형 칼럼 추출기를 이용한 추출방법으로 개략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의 1은 펌프, 2는 이온교환수 가열용 교환기, 3는 폐쇄형 추출 칼럼, 4는 차잎, 5는 차잎 보유판(상), 6은 차잎 보유판(하), 7은 추출액 냉각용 열교환기, 8은 추출액 회수 탱크를 나타낸다.

Claims (13)

  1. 칼럼(column)형의 추출기에 차잎을 넣고, 45도∼95도의 열수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면서 추출액을 배출해, 차잎에서의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추출율을 75∼100%으로 하는 차추출액의 제조법.
  2. 제1항에 있어서, 얻어진 차추출액 중의 카페인/비중합체 카테킨류 비가 원료차잎 중에 포함되는 카페인/비중합체 카테킨류 비의 100∼110%인 차추출액의 제조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차잎이 녹차잎인 차추출액의 제조법.
  4. 제1항 내지 3항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차추출액을 그대로 또는 희석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용기저장 차음료.
  5. 제4항에 있어서, 비중합체 카테킨류 농도가 0.05∼0.5중량%인 용기저장 차음료.
  6. 칼럼형의 추출기에 차잎을 넣고, 냉수 또는 열수(熱水)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면서 추출액을 배출해서 추출하는, 다음 성분(A) 및 (B),
    (A)비중합체 카테킨류 0.05∼0.7중량%
    (B)입자경 0.2∼0.8μm의 비수용성 고형분
    을 함유하고, 성분(B)과 성분(A)의 함유량의 비교[(B)/(A)]가 0.09이하인 차추출액의 제조법.
  7. 제6항에 있어서, 차잎이 녹차잎인 차추출액의 제조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얻어진 차추출액을 그대로 또는 희석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용기저장 차음료.
  9. 제8항에 있어서, 비중합체 카테킨류 농도가 0.05∼0.5중량%인 용기저장 차음료.
  10. 차잎의 충전량을 (칼럼의 내용적)/(차잎의 충전때용적) 비에서 1.0∼7.0으로 하고, 차잎을 충전한 폐쇄형의 칼럼 추출기에 냉수 또는 열수를 칼럼의 아래쪽에서 윗쪽으로 통액하고,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추출율을 40∼100%로 하는 비중합체 카테킨류 농도 0.05∼0.7중량%의 차추출액의 제조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차잎이 녹차잎인 제조법.
  12. 제10항 또는 11항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얻어진 차추출액을 그대로 또는 희석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용기저장 차음료.
  13. 제12항에 있어서, 비중합체 카테킨류 농도가 0.05∼0.5중량%인 용기저장 차음료.
KR1020040072446A 2003-09-12 2004-09-10 차추출액의 제조법 KR1011260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20974A JP3898678B2 (ja) 2003-09-12 2003-09-12 茶抽出液の製造法
JPJP-P-2003-00320974 2003-09-12
JPJP-P-2003-00414873 2003-12-12
JPJP-P-2003-00414872 2003-12-12
JP2003414873A JP4153415B2 (ja) 2003-12-12 2003-12-12 茶抽出液の製造法
JP2003414872A JP3629489B1 (ja) 2003-12-12 2003-12-12 茶抽出液の製造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7054A true KR20050027054A (ko) 2005-03-17
KR101126010B1 KR101126010B1 (ko) 2012-03-19

Family

ID=34139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2446A KR101126010B1 (ko) 2003-09-12 2004-09-10 차추출액의 제조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544378B2 (ko)
EP (3) EP1514476B1 (ko)
KR (1) KR101126010B1 (ko)
CN (1) CN1593176B (ko)
DE (1) DE602004012812T2 (ko)
TW (1) TWI33476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31610A1 (ko) * 2020-12-16 2022-06-23 알비시스템 주식회사 가압형 역방향 커피 추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17583C (zh) * 2000-11-17 2005-09-07 花王株式会社 包装的饮料
EP2659791B1 (en) * 2002-10-28 2017-08-02 Kao Corporation Caffeine-containing catechin compound composition
JP3590051B1 (ja) * 2003-07-30 2004-11-17 花王株式会社 容器詰飲料
TWI334766B (en) 2003-09-12 2010-12-21 Kao Corp Peiparation process of tea extract and packaged tea beverage
EP1695630B1 (en) * 2003-12-18 2011-06-22 Kao Corporation Bottled beverage
EP1891862B1 (en) * 2006-07-24 2012-04-18 Unilever PLC Beverage precursor
WO2008139725A1 (ja) * 2007-05-08 2008-11-20 Kao Corporation 還元飲料用濃縮組成物
US9022041B2 (en) * 2009-08-31 2015-05-05 Rodney Masri Tea based smoking product
CN102038050B (zh) * 2009-10-20 2013-10-02 云南天士力帝泊洱生物茶集团有限公司 一种普洱茶提取物、其组合物、制备方法和含有它们的产品
CN101933547A (zh) * 2010-07-16 2011-01-05 云南龙润茶业集团有限公司 一种泡沫茶及其制备方法
KR20150102326A (ko) * 2014-02-28 2015-09-07 (주)아모레퍼시픽 카테킨 프리 차수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CN105580932B (zh) 2014-10-22 2021-11-30 可口可乐公司 制备具有不同味道的茶叶提取物的方法
US10399006B2 (en) * 2015-03-17 2019-09-03 California Extraction Ventures, Inc. Catalyzing pressure wave extraction method and apparatus
EP3525635A4 (en) * 2016-10-17 2020-06-10 Bkon LLC SYSTEM AND METHOD FOR THE VACUUM EXTRACTION OF COLD BREWED BEVERAGES
CN110035664B (zh) 2016-11-29 2022-11-18 花王株式会社 含有非聚合物儿茶素类的组合物的制造方法
US11154157B2 (en) * 2017-08-18 2021-10-26 Starbucks Corporation Extraction cell
CN109709236A (zh) * 2019-03-14 2019-05-03 五邑大学 一种乌龙茶的鉴定方法
CN110787299A (zh) * 2019-11-06 2020-02-14 王京杭 一种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4391590A (zh) * 2022-01-21 2022-04-26 上海康识食品科技有限公司 一种茶萃取液、其制备方法及茶饮料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794566A (en) 1954-09-09 1958-05-07 Transcontinental Dev Company T Improvements in the production of tea concentrates
US2963368A (en) * 1958-05-28 1960-12-06 Kwik Kafe Coffee Processors Of Method of producing a tea concentrate
US3492126A (en) * 1966-11-09 1970-01-27 Maryland Cup Corp Soft-frozen whipped aqueous extract concentrate of coffee or tea
GB1518794A (en) * 1974-09-17 1978-07-26 Dej Internationale Research Co Tea extract
JPS59119182A (ja) 1982-12-27 1984-07-10 Toshiba Corp 復水器
JP2519443B2 (ja) * 1987-01-23 1996-07-31 リ−ドケミカル株式会社 複合多糖類、該複合多糖類を有効成分とする血糖降下剤、糖尿病予防薬及び健康食品
CH680854A5 (ko) * 1990-05-09 1992-11-30 Nestle Sa
JPH07108182B2 (ja) 1992-12-14 1995-11-22 株式会社静岡カフェイン工業所 濃厚飲用茶液の製造法
AU685073B2 (en) 1992-12-22 1998-01-15 Unilever Plc Process for manufacturing cold water soluble and chill stable ready to drink tea, and product
JP3484612B2 (ja) 1993-07-12 2004-01-06 株式会社ニッセー 茶類等の抽出方法並びに装置
JPH11103777A (ja) * 1997-10-01 1999-04-20 Asahi Inryo Kk 茶類等の抽出方法及びその装置
JP3525041B2 (ja) 1997-10-09 2004-05-10 長谷川香料株式会社 茶類飲料の製造方法
JP3452805B2 (ja) 1998-08-06 2003-10-06 株式会社日本サンガリアベバレッジカンパニー 茶抽出方法
JP2001204386A (ja) * 2000-01-24 2001-07-31 Kirin Beverage Corp 緑茶飲料及びその製造法
JP3668408B2 (ja) * 2000-04-05 2005-07-06 株式会社 伊藤園 緑茶飲料の製造方法
CN1217583C (zh) * 2000-11-17 2005-09-07 花王株式会社 包装的饮料
JP3756438B2 (ja) 2001-03-02 2006-03-15 花王株式会社 容器詰飲料
JP4890684B2 (ja) 2001-05-02 2012-03-07 株式会社Mrd パチンコ遊技機
JP3403400B1 (ja) * 2001-09-28 2003-05-06 花王株式会社 容器詰飲料
JP3590027B2 (ja) 2002-01-29 2004-11-17 花王株式会社 緑茶飲料の製造法
JP3593108B2 (ja) 2002-02-05 2004-11-24 花王株式会社 緑茶フレーバーの製造法
KR100966439B1 (ko) * 2002-02-05 2010-06-28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녹차 폴리페놀의 제조방법
TWI334766B (en) 2003-09-12 2010-12-21 Kao Corp Peiparation process of tea extract and packaged tea beverag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31610A1 (ko) * 2020-12-16 2022-06-23 알비시스템 주식회사 가압형 역방향 커피 추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43528A2 (en) 2007-01-17
EP1741343A2 (en) 2007-01-10
TWI334766B (en) 2010-12-21
EP1514476A1 (en) 2005-03-16
DE602004012812T2 (de) 2009-05-07
TW200518681A (en) 2005-06-16
EP1741343A3 (en) 2007-01-17
DE602004012812D1 (de) 2008-05-15
US7544378B2 (en) 2009-06-09
EP1514476B1 (en) 2008-04-02
EP1743528A3 (en) 2007-01-24
KR101126010B1 (ko) 2012-03-19
CN1593176B (zh) 2011-02-09
CN1593176A (zh) 2005-03-16
US20050084574A1 (en) 2005-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27054A (ko) 차추출액의 제조법
EP1361798B1 (en) Beverages containing catechins
EP2382877B1 (en) Green tea extract
JP4884003B2 (ja) 容器詰烏龍茶飲料
JP6539377B2 (ja) 容器詰飲料
JP3981108B2 (ja) 茶系飲料
JP3629489B1 (ja) 茶抽出液の製造法
JP4153415B2 (ja) 茶抽出液の製造法
JP3730243B2 (ja) 茶抽出液の製造法
JP4002290B2 (ja) 飲料の製造方法
JP3638560B2 (ja) 半発酵茶飲料、発酵茶飲料の製造法
JP2003259806A (ja) 緑茶飲料の製造法
JP3798401B2 (ja) 茶抽出液の製造法
JP3898678B2 (ja) 茶抽出液の製造法
JP5285364B2 (ja) 茶抽出液の製造法
JP4884346B2 (ja) 茶抽出液の製造方法
JP5393225B2 (ja) ポリフェノール組成物含有飲料
WO2016039420A1 (ja) 容器詰飲料
KR101167871B1 (ko) 차 추출액의 제조법
JP4504870B2 (ja) 茶抽出液の製造法
JP4778499B2 (ja) 茶系飲料用抽出液の製造方法
JP4641258B2 (ja) 半発酵茶又は発酵茶抽出液の製造法
JP2004129668A (ja) 容器詰飲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