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0671A -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0671A
KR20050020671A KR1020040065274A KR20040065274A KR20050020671A KR 20050020671 A KR20050020671 A KR 20050020671A KR 1020040065274 A KR1020040065274 A KR 1020040065274A KR 20040065274 A KR20040065274 A KR 20040065274A KR 20050020671 A KR20050020671 A KR 200500206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card
card
connector
housing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5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5429B1 (ko
Inventor
하라사와마사아끼
Original Assignee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20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0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5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54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06K13/0806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ejection of an inserted c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06K13/0806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ejection of an inserted card
    • G06K13/0825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ejection of an inserted card the ejection arrangement being of the push-push kin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06K13/085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locking the inserted c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5Latching arms not integral with the hous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를 들어 하우징과, 이 하우징을 덮는 커버를 구비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하우징은 카드 삽입구를 갖는 대략 상자 형상의 카드 보유 지지부와, 상기 카드 보유 지지부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메모리 카드의 선단부측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복수의 콘택트를 구비한다. 하우징은 카드 보유 지지부의 카드 삽입구에 상기 메모리 카드가 삽입되면, 이 메모리 카드의 선단부에 결합하고, 상기 메모리 카드와 함께 삽입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요동 슬라이더와, 메모리 카드가 상기 하우징의 기단부측에 도달하면, 요동 슬라이더를 내측으로 요동시켜 상기 메모리 카드의 측면의 오목부에 결합시켜 상기 메모리 카드를 보유 지지하는 로크 기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메모리 카드가 카드 삽입구측으로 이동하는 동안, 제2 갈고리가 메모리 카드의 오목부에 결합하고 있지 않으므로, 제1 갈고리를 포함하는 요동 슬라이더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 {CONNECTOR FOR MEMORY CARD}
본 발명은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SDA(SD Card Association)가 규격하는 miniSD(Secure Digital) 카드 등의 메모리 카드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메모리 카드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특히, 삽입된 메모리 카드가 장착 위치에 보유 지지되는 로크 기구가 달린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카드형의 기억 장치인 메모리 카드는 기억 매체로서 플래쉬 메모리를 채용하고 있다. 메모리 카드는 매우 소형으로, 데이터의 판독에 거의 전력을 소비하지 않는다. 그로 인해, 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는 카메라가 달린 휴대 전화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에 대표되는 휴대형 정보 기기용 기록 미디어로서 보급되고 있다.
가요성 디스크(FD)나 광자기 디스크(MO) 등의 디스크형 기억 장치에 비교하여, 이 메모리 카드는 기억 용량이 작고, 또한 고가였다. 그러나, 최근의 기술 진보나 메모리 카드를 사용하는 기기의 보급에 수반하는 양산 효과에 의해, 메모리 카드는 최대 128 MB 정도의 대기억 용량을 갖게 되어 가격이 낮아지고 있다.
또한, 이 메모리 카드는 데이터의 판독에 FD나 MO 등과 같이 구동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러한 장점이 있으므로, 메모리 카드는 소비 전력이나 휴대성이 중요시되는 디지털 카메라나 노트북 컴퓨터, 휴대 음악 플레이어용 기억 미디어로서 적합하다.
miniSD 카드의 외형은 21.5 ㎜(세로) × 20 ㎜(가로) × 1.4 ㎜(두께)인 데 반해, SD 카드의 외형이 32.2 ㎜(세로) × 24 ㎜(가로) × 2.1 ㎜(두께)이다. miniSD 카드의 외형은 SD 카드의 외형과 비교하여 용적이 약 60 % 감축되어 있다. 또한, miniSD 카드의 면상 접속 단자는 11핀인 데 반해, SD 카드의 면상 접속 단자가 9핀이라는 차이도 있다.
이와 같은 메모리 카드의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커넥터로서,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가 발명되어 있다. 이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는 하우징에 장착된 메모리 카드가 탈락 또는 인발되는 것을 방지하는 로크 기구를 구비한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3-86296호 공보).
전술한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상면 및 좌우 측면을 덮도록 부착되는 실드용 플레이트와, 삽입된 메모리 카드를 로크하는 로크 기구와, 하우징에 일체 형성된 커넥터 핀 보유 지지부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로크 기구는 메모리 카드 삽입부에 삽입된 메모리 카드에 결합하여 메모리 카드를 소정 장착 위치에 로크하는 로크 부재와, 로크 부재를 지지하는 슬라이더와, 슬라이더를 제거 방향으로 압박하는 이젝트용 코일 스프링과, 슬라이더에 형성된 하트 캠에 결합하여 슬라이더를 장착 위치에 계지하는 로크 핀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는 로크 부재와 슬라이더와 코일 스프링과 로크 핀으로 로크 기구가 형성되어 있고, 구성 부품이 많아 비용이 상승되고 있었다. 또한, 메모리 카드를 확실하게 착탈하는 것이 어려웠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로크 기구를 갖는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에 있어서 메모리 카드의 착탈이 확실하고, 또한 보다 간이한 구성의 로크 기구를 갖는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만족시키기 위해, 이하와 같은 새로운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를 발명하였다.
(1) 하우징과, 이 하우징을 덮는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메모리 카드가 삽입되는 카드 삽입구를 갖는 대략 상자 형상의 카드 보유 지지부와, 상기 카드 보유 지지부에 상기 카드 삽입구에 대향하여 설치되고 또한 상기 메모리 카드의 선단부측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복수의 콘택트를 구비하는 커넥터이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메모리 카드의 삽입 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카드 보유 지지부의 카드 삽입구에 상기 메모리 카드가 삽입되면, 이 메모리 카드의 선단부에 결합하고, 상기 메모리 카드와 함께 삽입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요동 슬라이더와, 상기 메모리 카드가 상기 하우징의 기단부측에 도달하면, 상기 요동 슬라이더를 내측으로 요동시켜 상기 메모리 카드의 측면 오목부에 결합시켜 상기 메모리 카드를 보유 지지하는 로크 기구를 구비하는 커넥터.
(2) 상기 요동 슬라이더에는 하트형의 캠 홈이 형성되고, 상기 로크 기구는 상기 요동 슬라이더를 상기 카드 보유 지지부의 내측으로 압박하는 압박 부재와, 상기 요동 슬라이더의 캠 홈에 결합된 안내 막대를 구비하고, 상기 메모리 카드가 보유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메모리 카드를 삽입 방향으로 압박하면 상기 안내 막대는 상기 캠 홈에 따라서 이동하고, 상기 요동 슬라이더는 상기 압박 부재에 의해 인장되어 상기 메모리 카드의 오목부로부터 떨어져 상기 메모리 카드의 선단부에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카드 삽입구측으로 이동하는 (1)에 기재된 커넥터.
(3) 상기 요동 슬라이더는 상기 메모리 카드의 선단부에 계지되는 제1 갈고리와, 상기 메모리 카드의 오목부에 결합하는 제2 갈고리를 구비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커넥터.
(4) 상기 캠 홈의 바닥면에는 상기 안내 막대가 역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단차가 마련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안내 막대를 상기 캠 홈의 바닥면에 압박하는 압박 접촉 부재를 구비하는 (2) 또는 (3)에 기재된 커넥터.
(5) 상기 메모리 카드는 miniSD 카드인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커넥터.
메모리 카드는 메모리 칩을 카드형의 케이스에 수납한 카드 형상으로 형성된다. 메모리 카드는 일단부측에 접속 단자가 배열된 기억 장치를 구비한다. 또한, 메모리 카드는 miniSD 카드, SD 카드 및 메모리 스틱 카드를 포함한다.
하우징은 절연성의 합성 수지재로 형성되어도 좋다. 또, 커버는 메모리 카드를 실드하기 위해 금속판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콘택트는 판 스프링 접촉자이며, 외팔보 빔이라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넥터에 메모리 카드를 삽입하면, 제1 갈고리는 메모리 카드의 선단부에 결합한다. 그 상태에서 메모리 카드를 더욱 깊게 삽입하면, 요동 슬라이더는 메모리 카드와 함께 하우징의 기단부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안내 막대가 하트형의 캠 홈 내를 이동하므로, 요동 슬라이더는 압박 부재에 저항하여 내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제2 갈고리는 메모리 카드의 측면 오목부에 결합한다. 그 후, 안내 막대의 일단부는 하트형의 캠 홈에 계지되어 요동 슬라이더는 메모리 카드를 보유 지지한다.
메모리 카드가 보유 지지된 상태에서 메모리 카드를 삽입 방향으로 누르면, 안내 막대는 캠 홈에 따라서 이동한다. 그 결과, 요동 슬라이더가 외측으로 이동하고, 제1 갈고리가 외측으로 이동하여 메모리 카드의 보유 지지 상태가 해제되는 동시에, 제2 갈고리가 메모리 카드의 오목부로부터 제거된다. 그 후, 요동 슬라이더는 압박 부재에 의해 인장되어 메모리 카드의 오목부 및 선단부에 결합한 상태에서 카드 삽입구측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이 메모리 카드가 카드 삽입구측으로 이동하는 동안, 제2 갈고리가 메모리 카드의 오목부에 결합하지 않으므로, 제2 갈고리를 포함하는 요동 슬라이더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를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이하, 커넥터라 약칭함)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 외관도이다. 도1에 있어서, 커넥터(100)는 하우징(1)과, 이 하우징(1)을 덮는 커버(2)를 구비한다.
도1에 있어서, 하우징(1)은 절연성의 합성 수지재로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커버(2)는 금속판으로 형성되고, 양 블레이드가 L자형으로 절곡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1)에 커버(2)가 덮도록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커버(2)를 하우징(1)에 부착함으로써, 메모리 카드(10)가 삽입되는 카드 삽입구(1A)와, 좁은 직육면체 형상의 카드 보유 지지부(1B)가 커넥터(100)에 형성된다. 복수의 캔틸레버 콘택트(3)는 카드 삽입구(1A)에 대향하여 하우징(1)에 배열되므로, 메모리 카드(10)의 면상 접속 단자(도시하지 않음)와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도2는 도1에 도시된 커버(2)를 제거한 상태에 있어서의 커넥터(100)의 사시 외관도이다. 도2의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 보유 지지부가 되는 상면 개방 오목부(11)는 메모리 카드(10)의 횡폭보다 약간 넓은 간격을 갖는 서로 대향하는 안내벽(11A 및 11B)을 구비하고 있다. 이 안내벽(11A 및 11B)에 메모리 카드(10)의 횡폭이 규제되어 메모리 카드(10)의 면상 접속 단자와 복수의 캔틸레버 콘택트(3)의 위치 맞춤이 가능해진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캔틸레버 콘택트(3)는 판 스프링 접촉자이며, 외팔보 빔이다. 이 복수의 캔틸레버 콘택트(3)는 메모리 카드(10)의 삽입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정렬하여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캔틸레버 콘택트(3)는 메모리 카드(10)에 배열되어 있는 면상 접속 단자측의 종연부가 근접하는 정지벽(12)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캔틸레버 콘택트(3)의 탄성부(3A)는 카드 삽입구(1A)(도1 참조)에 대향하고 있고, 캔틸레버 콘택트(3)에 있어서의 고정부(3B)의 단부는 정지벽(12)의 후방으로 연장 돌출되어 땜납 접합되는 접합 터브(3C)를 형성하고 있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커넥터(100)에 구비되는 로크 기구(1R)는 요동 슬라이더(4)를 갖고 있다. 요동 슬라이더(4)는 상면 개방 오목부(11)의 한 쪽 측부 평면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요동 슬라이더(4)는 압박 부재가 되는 인장 코일 스프링(5)에 의해 메모리 카드(10)에 대해 삽입 반대 방향으로 압박되고 있다.
한편, 상면 개방 오목부(11)의 한 쪽 측부 평면에는 하우징(1)에 있어서의 정지벽(12)측으로부터 카드 삽입구(1A)(도1 참조)측을 향해 사각 기둥형의 제1 가이드(13)를 연장 돌출시키고 있다. 제1 가이드(13)의 종단부에 원기둥형의 돌기(13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면 개방 오목부(11)의 한 쪽 측부 평면에는 제1 가이드(13)와 평행하게 사각 기둥형의 제2 가이드(14)가 형성되어 있다. 제2 가이드(14)는 제1 가이드(13)보다 상면 개방 오목부(11)의 중앙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트형의 캠 홈(4A)이 요동 슬라이더(4)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다. 안내 막대(6)의 일단부가 이 하트형의 캠 홈(4A)에 연결된다. 안내 막대(6)의 타단부가 정지벽(12)측에 회전 가능하게 보유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요동 슬라이더(4)와 안내 막대(6)는 상기 하트형의 캠 홈(4A)의 궤적에 따라 이동하여 상대 변위한다.
요동 슬라이더(4)는 메모리 카드(10)의 삽입측 구석부에 접촉되는 제1 갈고리(4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요동 슬라이더(4)는 메모리 카드(10)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10A)에 결합하는 제2 갈고리(42)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메모리 카드(10)가 카드 보유 지지부(1B)에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2 갈고리(42)는 메모리 카드(10)의 측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상면 개방 오목부(11)의 한 쪽 측부로 대피하고 있다.
또한, 도2의 우측의 안내벽(11B)측에는 메모리 카드(10)가 장착 위치에 있는 것을 전기적으로 검출하기 위해 카드 검출 스위치(7)가 설치되어 있다. 카드 검출 스위치(7)는 가동판(7A)과 고정판(7B)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판(7A)의 굴곡부가 안내벽(11B)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메모리 카드(10)가 장착 위치에 있을 때에는, 메모리 카드(10)의 측면으로 압박되어 가동판(7A)의 굴곡부의 종단부가 고정판(7B)에 접촉한다. 즉, 가동판(7A)과 고정판(7B)은 전기적으로 접속 상태가 된다.
메모리 카드(10)를 커넥터(100)로부터 제거하면, 가동판(7A)의 굴곡부는 복귀하여 가동판(7A) 및 고정판(7B)은 전기적으로 차단 상태가 된다. 또, 이들 가동판(7A) 및 고정판(7B)의 종단부는 이 커넥터(100)가 실장되는 프린트 기판의 카드 검출 회로에 접속되어 있다.
도3은 커버(2)의 사시 외관도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의 상면부에 한 쌍의 압박 접촉 부재(2A 및 2B)가 메모리 카드(10)에 인쇄된 문자 등을 마모시키지 않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이 압박 접촉 부재(2A 및 2B)는 도2에 도시된 메모리 카드(10)를 상면 개방 오목부(11)에 압박한다.
또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의 상면 후방에는 압박 접촉 부재(2C)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압박 접촉 부재(2C)는 도2에 도시된 안내 막대(6)를 하트형의 캠 홈(4A)의 바닥면에 압박한다. 또한, 커버(2)의 상면 후방에는 도2에 도시된 캔틸레버 콘택트(3)의 접촉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창(2D)이 설치되어 있다.
도4는 하우징(1)의 사시 외관도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13) 및 제2 가이드(14)는 상면 개방 오목부(11)의 바닥면으로부터 융기하여 하우징(1)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 가이드(14)의 후단부에는 도2에 도시된 안내 막대(6)의 타단부와 회전 결합하는 축 구멍(14A)이 뚫려 있다. 또한, 안내벽(11A)측에는 도2에 도시된 인장 코일 스프링(5)의 훅이 계지되는 단차식 홈(11C)이 형성되어 있다.
도5는 요동 슬라이더(4)를 표면측으로부터 본 사시 외관도이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동 슬라이더(4)의 우측에는 하트형의 캠 홈(4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캠 홈(4A)의 정상점은 V자 홈(4V)이 형성되어 있다. 또, 캠 홈(4A)의 바닥면은 안내 막대(6)(도2 참조)가 역궤적을 그리지 않도록 단차가 마련되어 있다(상세한 것은 후술).
요동 슬라이더(4)의 우측면에는 제1 갈고리(41)가 돌출되어 있고, 메모리 카드(10)의 삽입측 구석부의 형상에 적합한 L자형의 계지 홈이 요동 슬라이더(4)의 우측면과 제1 갈고리(41)로 형성되어 있다.
요동 슬라이더(4)의 우측면 상부에는 제2 갈고리(42)가 돌출되어 있다. 메모리 카드(10)에 있어서의 직사각형의 오목부(10A)(도2 참조)에 확실하게 계지하기 위해, 제2 갈고리(42)의 한 쪽 구석부는 직각으로 또는 예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갈고리(42)의 다른 쪽 구석부는 오목부(10A)의 출입을 쉽게 하기 위해 둔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동 슬라이더(4)의 상부에는 도2에 도시된 인장 코일 스프링(5)의 훅이 계지되는 단차식 홈(43)이 형성되어 있다.
도6은 요동 슬라이더(4)를 이면측으로부터 본 사시 외관도이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13)(도4 참조)에 있어서의 원기둥형의 돌기(13A)(도4 참조)가 안내되는 스폿 페이싱 긴 구멍(4B)이 요동 슬라이더(4)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있다. 스폿 페이싱 긴 구멍(4B)의 단부에는 제1 가이드(13)와 미끄럼 이동 결합하는 홈(40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홈(40B)은 종단부를 향해 V자형으로 개구되어 있다.
또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동 슬라이더(4)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오목부(4C)는 제2 가이드(14)(도4 참조)와 요동 가능하게 미끄럼 이동 결합한다. 이 오목부(4C)는 홈(40B)과 마찬가지로 종단부를 향해 V자형으로 개구되어 있다.
도7은 안내 막대(6)의 사시 외관도이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 막대(6)는 둥근 막대의 양단부가 직각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안내 막대(6)의 한 쪽의 절곡축(6A)은 도2에 도시되는 하트형의 캠 홈(4A)의 종동절(從動節)로 되어 있다. 안내 막대(6)의 다른 쪽의 절곡축(6A)은 도4에 도시된 축 구멍(14A)에 끼워 맞추어진다.
그리고, 안내 막대(6)는 축 구멍(14A)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안내 막대(6)의 중간축부(6B)가 도3에 도시된 압박 접촉 부재(2C)에 압박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커넥터(100)에의 메모리 카드(10)의 착탈 동작 및 로크 기구(1R)의 동작을 다음에 설명한다.
도8은 메모리 카드(10)를 장착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커넥터(100)의 평면도이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동 슬라이더(4)는 인장 코일 스프링(5)에 의해 도면 중 화살표 R의 방향으로 압박되어 있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동 슬라이더(4)는 하트형의 캠 홈(4A)에 안내 막대(6)가 계지되어 있으므로, 도면 중 화살표 R의 방향으로 이 이상은 이동하지 않는다. 그리고, 요동 슬라이더(4)의 제2 갈고리(42)가 안내벽(11A)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요동 슬라이더(4)는 비스듬하게 배치되어 있다.
도9는 메모리 카드(10)가 커넥터(100)에 삽입되어 메모리 카드(10)의 삽입측 구석부(10)의 삽입측 구석부가 제1 갈고리(41)에 접촉된 상태를 도시하는 커넥터(100)의 평면도이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동 슬라이더(4)는 도8과 마찬가지로 비스듬하게 배치되어 있다. 메모리 카드(10)가 면상 접속 단자를 상측으로 하여 커넥터(100)에 삽입됨으로써, 메모리 카드(10)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10A)는 제2 갈고리(42)와 결합하는 위치로 이동하고 있다.
도9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메모리 카드(10)를 도면 중 화살표 F의 방향으로 약간 삽입하면 도10에 도시된 상태가 된다.
도10은 메모리 카드(1)의 삽입측 구석부가 인장 코일 스프링(5)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제1 갈고리(41)를 압박함으로써 요동 슬라이더(4)의 경사 상태가 교정된 상태를 도시하는 커넥터(100)의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10에 있어서, 제2 갈고리(42)가 회전 이동하여 오목부(10A)에 인입하고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11은 도10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인장 코일 스프링(5)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메모리 카드(10)를 도면 중 화살표 F의 방향으로 다시 삽입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11은 커넥터(100)의 평면도이다. 도10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도11에 도시된 상태로 변화하는 과정에 있어서, 요동 슬라이더(4)는 제1 가이드(13) 및 제2 가이드(14)에 안내되어 평행 이동한다. 그리고, 요동 슬라이더(4)는 메모리 카드(10)의 삽입 동작에 추종하고 있다.
도11은 안내 막대(6)의 한 쪽의 절곡축(6A)이 하트형의 캠 홈(4A) 상의 V자 홈(4V)으로 이동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인장 코일 스프링(5)에 의해 요동 슬라이더(4)가 도면 중 화살표 R의 방향으로 압박되어 있다. 그러나 안내 막대(6)가 V자 홈(4V)에 계지되어 있으므로, 요동 슬라이더(4)는 이 상태에서 위치 고정된다.
도11은 커넥터(100)에의 메모리 카드(10)의 장착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11에 도시된 상태에 있어서, 메모리 카드(10)의 면상 접속 단자가 복수의 캔틸레버 콘택트(3)와 접촉하고 있으므로, 메모리 카드(10)의 데이터를 판독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제2 갈고리(42)가 오목부(10A)에 결합하므로, 메모리 카드(10)는 커넥터(100)로부터 진동 등으로 용이하게 제거하는 일이 없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구성된 로크 기구(1R)에 의해 메모리 카드(10)의 장착 상태를 유지한다.
도11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인장 코일 스프링(5)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메모리 카드(10)를 도면 중 화살표 F의 방향으로 다시 삽입하면, 안내 막대(6)의 한 쪽 절곡축(6A)은 V자 홈(4V)으로부터 해방되어 좌측 복귀 공정의 궤적으로 이동한다.
즉, 요동 슬라이더(4)는 하트형의 캠 홈(4A)의 궤적에 따라 이동하여 메모리 카드(10)의 오목부(10A)로부터 변위 해제된다. 그리고, 메모리 카드(10)는 인장 코일 스프링(5)의 압박력으로 도면 중 화살표 R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메모리 카드(10)가 제1 갈고리(41)에 의해 커넥터(100)로부터 꺼내게 된다.
도12는 도11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변화된 커넥터(100)의 평면도이다.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00)와 메모리 카드(10)의 위치 관계 및 로크 기구(1R)는 도10에 도시된 상태와 동일한 상태로 복귀하고 있다. 도12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메모리 카드(10)를 도면 중 화살표 R의 방향으로 인발하면, 도9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도8에 도시된 초기 상태로 복귀된다.
다음에, 하트형의 캠 홈(4A)을 갖는 요동 슬라이더(4)의 작용을 도13에 의해 설명한다. 도13의 (a)는 요동 슬라이더(4)의 평면도이다. 도13의 (b)는 도13의 (a)의 B-B 단면도이다. 도13의 (c)는 도13의 (a)의 C-C 단면도이다. 도13의 (d)는 도13의 (a)의 D-D 단면도이다. 또한, 도13의 (e)는 도13의 (a)의 E-E 단면도이다.
캠 장치는 동절(動節)이 되는 캠으로서 하트형의 캠 홈(4A)을 갖는 요동 슬라이더(4)와, 종동절로서 안내 막대(6)(도2 참조)를 구비한다. 캠 장치의 동절과 종동절은 상대 변위한다.
그리고, 실시 형태에 있어서, 요동 슬라이더(4)와 안내 막대(6)의 접촉점이 하트형의 궤적을 그리는 평면 곡선이 되고, 또한 이 접촉점은 바닥면이 단차 또는 경사면이 되는 캠 홈(4A)의 연속 궤적을 포함하는 공간 곡선으로 되어 있다. 요동 슬라이더(4) 및 안내 막대(6)는 이른바 입체 캠 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A1)은 안내 막대(6)의 절곡축(6A)에 의한 캠 홈(4A)의 궤적의 출발점이 되고, 요동 슬라이더(4)의 바닥면과 평행하는 평면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바닥면(A2)은 바닥면(A1)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경사지는 경사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절곡축(6A)이 경사면 바닥면(A2)을 지나면, 절곡축(6A)은 바닥면(A1)의 상방에 평면을 갖는 바닥면(A3)에 도달한다. 절곡축(6A)이 바닥면(A3)을 지나면 단차가 되고, 절곡축(6A)은 바닥면(A3)보다 하방에 평면을 갖는 굴곡된 바닥면(A4)에 도달한다. 즉, 안내 막대(6)의 절곡축(6A)(도11 참조)이 도10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도11에 도시된 상태로 이동하는 과정에 있어서, 바닥면(A4)에 도달한 절곡축(6A)은 바닥면(A4)으로부터 바닥면(A3)으로 복귀할 수 없다.
그리고,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축(6A)이 바닥면(A4)을 지나면 단차가 되고, 절곡축(6A)은 바닥면(A4)의 하방에 평면을 갖는 바닥면(A5)에 도달한다. 바닥면(A4)을 갖는 홈과 바닥면(A5)을 갖는 홈은 V자 홈(4V)을 형성하고 있다.
즉, 안내 막대(6)의 절곡축(6A)(도11 참조)이 도10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도11에 도시된 상태로 이동하는 과정에 있어서는, 바닥면(A5)에 도달한 절곡축(6A)은 바닥면(A4)으로 복귀할 수는 없다. 절곡축(6A)이 V자 홈(4V)에 도달한 상태는,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크 상태 또는 장착 상태이다. 절곡축(6A)이 바닥면(A1)으로부터 바닥면(A5)에 이르는 궤적은 이동(going) 행정이라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11에서도 설명된 바와 같이, 인장 코일 스프링(5)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메모리 카드(10)가 도면 중 화살표 F의 방향으로 다시 삽입되면, 안내 막대(6)의 한 쪽 절곡축(6A)은 V자 홈(4V)으로부터 해방되어 좌측의 복귀 행정의 궤적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축(6A)이 바닥면(A5)을 지나면 단차가 되고, 절곡축(6A)은 바닥면(A5)보다 하방에 평면을 갖는 바닥면(A6)에 도달한다. 즉, 복귀 행정의 궤적에 있어서, 바닥면(A6)에 도달한 절곡축(6A)(도11 참조)은 바닥면(A6)으로부터 바닥면(A5)으로 복귀할 수 없다.
또한,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A6)에 연속해서 바닥면(A6)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경사면이 되는 바닥면(A7)이 형성되어 있다. 절곡축(6A)이 경사면이 되는 바닥면(A7)을 지나면, 바닥면(A6)보다 상방에 평면을 갖는 바닥면(A8)에 도달한다. 절곡축(6A)이 바닥면(A8)을 지나면 단차가 되며, 바닥면(A8)보다 하방에 평면을 갖는 바닥면(A1)으로 복귀된다.
이와 같이, 캠 홈(4A)과 안내 막대(6)(도2 참조)의 접촉점은 하트형의 평면 궤적을 그리면서, 높이 방향으로는 부분적으로 불가역적인 궤적을 그리고 있다.
본 발명은 이 메모리 카드가 카드 삽입구측으로 이동하는 동안, 제2 갈고리가 메모리 카드의 오목부에 결합하고 있지 않으므로 요동 슬라이더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이한 구성의 로크 기구를 갖고, 메모리 카드를 확실하게 착탈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 외관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커버를 제거한 상태에 있어서의 커넥터(100)의 사시 외관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커버의 사시 외관도.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하우징의 사시 외관도.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요동 슬라이더를 표면측으로부터 본 사시 외관도.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요동 슬라이더를 이면측으로부터 본 사시 외관도.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안내 막대의 사시 외관도.
도8은 본 발명에 의한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의 평면도이고, 메모리 카드가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에 장착되기 전의 상태도.
도9는 본 발명에 의한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의 평면도이고, 메모리 카드가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에 삽입되어 메모리 카드의 삽입측 구석부가 제1 갈고리에 접촉된 상태도.
도10은 본 발명에 의한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의 평면도이고, 메모리 카드의 삽입측 구석부가 제1 갈고리를 누름으로써, 인장 코일 스프링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요동 슬라이더의 경사 상태가 교정된 상태도.
도11은 본 발명에 의한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의 평면도이고, 메모리 카드의 장착 상태도.
도12는 본 발명에 의한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의 평면도이고, 도11에 도시된 상태로부터의 변화도.
도13은 본 발명에 의한 하트형의 캠 홈을 갖는 요동 슬라이더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우징
3 : 캔틸레버 콘택트
4 : 요동 슬라이더
6 : 안내 막대
10 : 메모리 카드
11 : 상면 개방 오목부
12 : 정지벽
41 : 제1 갈고리
42 : 제2 갈고리
43 : 단차식 홈
100 : 커넥터

Claims (5)

  1. 하우징과, 이 하우징을 덮는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메모리 카드가 삽입되는 카드 삽입구를 갖는 대략 상자 형상의 카드 보유 지지부와, 상기 카드 보유 지지부에 상기 카드 삽입구에 대향하여 설치되고 또한 상기 메모리 카드의 선단부측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복수의 콘택트를 구비하는 커넥터이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메모리 카드의 삽입 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카드 보유 지지부의 카드 삽입구에 상기 메모리 카드가 삽입되면, 이 메모리 카드의 선단부에 결합하여 상기 메모리 카드와 함께 삽입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요동 슬라이더와,
    상기 메모리 카드가 상기 하우징의 기단부측에 도달하면, 상기 요동 슬라이더를 내측으로 요동시켜 상기 메모리 카드의 측면의 오목부에 결합시켜 상기 메모리 카드를 보유 지지하는 로크 기구를 구비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 슬라이더에는 하트형의 캠 홈이 형성되고,
    상기 로크 기구는 상기 요동 슬라이더를 상기 카드 보유 지지부의 내측에 압박하는 압박 부재와,
    상기 요동 슬라이더의 캠 홈에 결합된 안내 막대를 구비하고,
    상기 메모리 카드가 보유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메모리 카드를 삽입 방향으로 누르면, 상기 안내 막대는 상기 캠 홈에 따라서 이동하고, 상기 요동 슬라이더는 상기 압박 부재에 의해 인장되어 상기 메모리 카드의 오목부로부터 떨어져 상기 메모리 카드의 선단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카드 삽입구측으로 이동하는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 슬라이더는 상기 메모리 카드의 선단부에 계지되는 제1 갈고리와, 상기 메모리 카드의 오목부에 결합하는 제2 갈고리를 구비하는 커넥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캠 홈의 바닥면에는 상기 안내 막대가 역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단차가 마련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안내 막대를 상기 캠 홈의 바닥면에 압박하는 압박 접촉 부재를 구비하는 커넥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카드는 miniSD 카드인 커넥터.
KR1020040065274A 2003-08-20 2004-08-19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 KR1010354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296729 2003-08-20
JP2003296729A JP3859625B2 (ja) 2003-08-20 2003-08-20 メモリカード用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0671A true KR20050020671A (ko) 2005-03-04
KR101035429B1 KR101035429B1 (ko) 2011-05-18

Family

ID=34056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5274A KR101035429B1 (ko) 2003-08-20 2004-08-19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077705B2 (ko)
EP (1) EP1508874B1 (ko)
JP (1) JP3859625B2 (ko)
KR (1) KR101035429B1 (ko)
CN (1) CN100490255C (ko)
DE (1) DE602004015209D1 (ko)
TW (1) TWI257747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551B1 (ko) * 2005-04-07 2007-04-27 강만제 메모리카드 커넥터
KR100734190B1 (ko) * 2005-03-31 2007-07-02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소형화 가능한 커넥터
KR20140147725A (ko) * 2013-06-19 2014-12-30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카드용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81885B2 (en) * 2001-12-11 2006-01-03 Molex Incorporated Secure digital memory card socket
JP2006092775A (ja) * 2004-09-21 2006-04-06 Sony Corp コネクタ
TWM266493U (en) * 2004-10-26 2005-06-01 Carry Computer Eng Co Ltd Data access device for memory card
JP4322816B2 (ja) * 2005-01-07 2009-09-02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スロット装置
JP2006344489A (ja) * 2005-06-09 2006-12-21 Hirose Electric Co Ltd カード用ソケット
US7626826B2 (en) * 2007-01-31 2009-12-01 Sun Microsystems, Inc. Expansion card carrier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US7314389B1 (en) * 2007-02-06 2008-01-01 Northstar Systems Corp. Electronic card connector
JP5098580B2 (ja) * 2007-08-31 2012-12-12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メモリカードコネクタ及びメモリカード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5022160B2 (ja) * 2007-09-26 2012-09-12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トレイ式のカードコネクタ
JP5266893B2 (ja) * 2008-06-06 2013-08-21 Smk株式会社 メモリカード用コネクタ
JP4582214B2 (ja) 2008-06-30 2010-11-17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
CN201638988U (zh) * 2010-02-04 2010-11-17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子卡连接器
TWM405658U (en) * 2010-11-22 2011-06-11 Tyco Electronics Holdings Bermuda No 7 Ltd Card edge connector
CN102324640A (zh) * 2011-05-30 2012-01-18 张志才 一种sd卡组件
CN202712588U (zh) * 2012-06-13 2013-01-3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子卡连接器
CN103268999B (zh) * 2013-05-22 2016-01-13 苏州华之杰电讯有限公司 内存卡连接器及其制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59319B2 (ja) 1994-09-29 2004-09-02 株式会社東芝 Icカード情報処理装置
JP3074462B2 (ja) 1995-10-19 2000-08-0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多芯コネクタ駆動機構
JP3435384B2 (ja) 2000-04-10 2003-08-11 Smk株式会社 メモリーカード用コネクタ
JP3650881B2 (ja) * 2000-06-29 2005-05-25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カード用コネクタ
EP1295364A2 (en) * 2000-06-29 2003-03-26 Molex Incorporated Ic card connector
JP2002015820A (ja) 2000-06-30 2002-01-18 Mitsumi Electric Co Ltd メモリカード用コネクタ
JP2002110297A (ja) 2000-09-29 2002-04-12 Mitsumi Electric Co Ltd メモリカード用コネクタ
JP2002124343A (ja) 2000-10-13 2002-04-26 Omron Corp メモリカード用コネクタ
JP3455176B2 (ja) 2000-11-16 2003-10-14 株式会社アドバネクス 記憶媒体内蔵板状体ホルダ
JP2003006576A (ja) 2001-06-26 2003-01-1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メモリカード用ソケット
JP3783591B2 (ja) * 2001-09-07 2006-06-07 オムロン株式会社 メモリカード用コネクタ
JP2003086296A (ja) 2001-09-12 2003-03-20 Mitsumi Electric Co Ltd メモリカード用コネクタ
JP3775338B2 (ja) 2001-11-15 2006-05-17 松下電工株式会社 メモリ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187904A (ja) 2001-12-20 2003-07-04 Honda Tsushin Kogyo Co Ltd カードアダプタ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190B1 (ko) * 2005-03-31 2007-07-02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소형화 가능한 커넥터
KR100711551B1 (ko) * 2005-04-07 2007-04-27 강만제 메모리카드 커넥터
KR20140147725A (ko) * 2013-06-19 2014-12-30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카드용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85202A (zh) 2005-02-23
US7077705B2 (en) 2006-07-18
JP2005071666A (ja) 2005-03-17
DE602004015209D1 (de) 2008-09-04
CN100490255C (zh) 2009-05-20
US20050101173A1 (en) 2005-05-12
TWI257747B (en) 2006-07-01
JP3859625B2 (ja) 2006-12-20
KR101035429B1 (ko) 2011-05-18
TW200529511A (en) 2005-09-01
EP1508874A1 (en) 2005-02-23
EP1508874B1 (en) 2008-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5429B1 (ko)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
KR101035466B1 (ko)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
JP4351826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3729720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2003031284A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3823038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2008198444A (ja) カード用コネクタ
TWI250697B (en) Low profile memory card connector
JP3868918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3948938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2010049889A (ja) カード用コネクタ
JP5171541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
JP2004259051A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3827578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KR101076652B1 (ko) 커넥터 및 검출 스위치
JP2002151205A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3868772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4176524B2 (ja) 板状記憶媒体用ホルダ
JP2003045560A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2003229207A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2003234155A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2001236471A (ja) 記録媒体差込み用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