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4190B1 - 소형화 가능한 커넥터 - Google Patents

소형화 가능한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4190B1
KR100734190B1 KR1020060029787A KR20060029787A KR100734190B1 KR 100734190 B1 KR100734190 B1 KR 100734190B1 KR 1020060029787 A KR1020060029787 A KR 1020060029787A KR 20060029787 A KR20060029787 A KR 20060029787A KR 100734190 B1 KR100734190 B1 KR 100734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cam
card connector
cam mechanism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9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5676A (ko
Inventor
다카미츠 와다
게이스케 나카무라
아키라 기무라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05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5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4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4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01R13/63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by mechanical pressure, e.g. spring force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카드에 접속되는 카드 커넥터에 있어서, 카드를 배출 방향으로 배출하기 위해, 소정 평면을 따라 움직일 수 있는 배출 부재가 제공된다. 이 배출 부재는 카드와 접촉하는 카드 접촉부와 캠-피구동부를 갖는다. 상기 배출 부재는 가력 부재에 의해 배출 방향으로 당겨진다. 또한, 상기 배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소정 평면을 따라 움직일 수 있는 캠 기구가 제공된다. 상기 캠 기구는 지지 부재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소정 위치에 위치한다. 상기 캠 기구는, 상기 캠-피구동부와 협력하여 상기 배출 부재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캠부를 가진다.

Description

소형화 가능한 커넥터{CONNECTOR WHICH CAN BE REDUCED IN SIZE}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카드 커넥터를 기판 및 카드와 함께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카드와 카드 커넥터의 프레임 부분을 제거한 상태에서의 도 1 의 카드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3 은 위에서 내려다 본 도 1 의 카드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는 아래서 올려다 본 도 1 의 카드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는 도 1 의 카드 커넥터에서 그 카드 커넥터의 커버를 부분적으로 잘라낸 상태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6 은 카드가 삽입될 때, 도 1 ~ 도 5 의 카드 커넥터의 작동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6a 는 도 6 의 요부의 확대도이다.
도 7 은 카드가 배출되는 제 1 단계에서의 도 1 ~ 도 5 의 카드 커넥터의 작동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7a 는 도 7 의 요부의 확대도이다.
도 8 은 카드가 배출되는 중간 단계에서의 도 1 ~ 도 5 의 카드 커넥터의 작동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8a 는 도 8 의 요부의 확대도이다.
도 9 는 카드가 배출되는 최종 단계에서의 도 1 ~ 도 5 의 카드 커넥터의 작동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9a 는 도 9 의 요부의 확대도이다.
도 10 은 카드가 삽입되는 제 1 단계에서의 도 1 ~ 도 5 의 카드 커넥터의 작동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0a 는 도 10 의 요부의 확대도이다.
도 11 은 카드가 삽입되는 중간 단계에서의 도 1 ~ 도 5 의 카드 커넥터의 작동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1a 는 도 11 의 요부의 확대도이다.
도 12 는 카드가 완전히 삽입되기 약간 전 단계에서의 도 1 ~ 도 5 의 카드 커넥터의 작동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2a 는 도 12 의 요부의 확대도이다.
도 13 은 카드가 완전히 삽입되기 바로 직전 단계에서의 도 1 ~ 도 5 의 카드 커넥터의 작동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3a 는 도 13 의 요부의 확대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베이스 하우징 2: 베이스 컨택트(base contact)
3: 위치결정 부재(locator) 5: 컨택트
6: 제 1 스프링 7: 제 2 스프링
20: 프레임부 24: 회전축
25: 홈(recess) 30: 하우징
40: 커버 50: 하트형 캠
60: 배출 부재
100: 메모리 카드 101: 기부(base portion)
102: 카드 커넥터 110: 기판
본 발명은 카드를 접속하는데 사용되는 카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현재, IC 카드 또는 메모리 카드로 보통 불리는 각종의 카드가 전자 장치에 사용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이들 카드는 전자 장치에 장착되어 있거나 연결되어 있는 카드 커넥터에 취부가 가능하도록 삽입된다.
일본 특허출원공개공보 NO. 2001-267013호에는, 예컨대, 이러한 종류의 카드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이 카드 커넥터는 전자 장치에 장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통상 직사각형 형상의 인슐레이터, 이 인슐레이터에 고정된 복수의 컨택트(contacts), 삽입 방향 및 카드를 배출시키기 위한 제거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인슐레이터에 연결된 배출 레버, 그리고 배출 방향, 즉, 제거 방향으로 이 배출 레버에 계속하여 힘을 가하기 위한 스프링을 포함한다. 상기 배출 레버에는 하트형 캠이 제공되어있다. 한편, 상기 인슐레이터는 상기 하트형 캠과 결합하는 캠 종동자를 갖고 있다. 상기 하트형 캠은 캠 그루브(groove)를 갖는다.
상기 캠 그루브는, 캠 종동자의 역방향으로의 운동을 막기 위해 복수의 단차 형상(step)이 제공된 바닥을 갖고 또한, 상기 캠 종동자의 정상적인 전방 운동을 가능케 하기 위해 각 단차부의 전방에는 경사가 제공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하트형 캠은 상기 단차부에 따라서 그 두께가 증가한다.
또한, 상기 캠 종동자를 하트형 캠에 대해 누르는 스프링 역시 필요하다. 그러므로 상기 하트형 캠, 캠 종동자, 그리고 스프링을 포함하는 캠 기구 전체의 두께를 줄이기가 곤란하다.
카드가 삽입되면, 배출 레버에 회전 토오크가 가해진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작동하는 중에, 상기 레버와 다른 부재를 사이에 마찰이 발생하여 작동감이 떨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캠 기구의 두께를 줄일 수 있는 카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재들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켜 작동감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프링력을 줄일 수가 있어서 하우징 강도에 있어서의 충분한 여유를 보장하고, 각 부재의 변형을 감소시켜 다른 부재와의 마찰을 억제하고 작동감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작동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작동시 충돌음을 용이하게 크게 할 수 있는 카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의 설명을 따른다면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카드에 접속되는 카드 커넥터로서, 상기 카드를 배출 방향으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카드와 접촉하는 카드 접촉부와 캠-피구동부를 갖고 소정 평면을 따라 움직일 수 있는 배출 부재, 상기 배출 부재를 배출 방향으로 당기는 가력 부재, 상기 배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소정 평면을 따라 움직일 수 있는 캠 기구, 그리고 상기 캠 기구를 탄성 지지하여 그 캠 기구를 소정 위치에 위치시키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캠 기구는, 상기 캠-피구동부와 협력하여 상기 배출 부재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캠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커넥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카드에 접속되는 카드 커넥터로서, 상기 카드를 배출시키기 위해 그 카드에 접촉하는 배출 부재, 상기 배출 부재를 카드 배출 방향으로 당기는 탄성 부재, 그리고 상기 배출 부재의 캠-피구동부와 결합하는 캠부를 갖는 캠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캠부는 카드 삽입시에는 카드 결합 위치에 상기 배출 부재가 고정되도록 하고, 카드 배출시에는 상기 배출 부재의 고정이 해제되도록 하며, 상기 캠 기구는 회전축과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여, 상기 캠 기구가 그 회전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캠 기구가 소정 위치에 있도록 이 캠 기구에 힘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커넥터가 제 공된다.
도 1 ~ 도 5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카드 커넥터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도면에 나타낸 카드 커넥터에 참조 부호 (102) 를 붙여 설명한다. 카드 커넥터 (102) 는 전자 장치에 내장된 기판 (110) 위에 장착되며, 메모리 카드 (100) 를 접속하기 위해 사용된다. 카드 커넥터 (102) 는, 기판 (110) 위의 소정 위치에 자동적으로 장착되는 기부(base portion) (101) 와, 이 기부 (101) 에 결합되어 기판 (110) 에 고정되는 프레임부 (20) 를 포함한다. 기부 (101) 는 기판 (110) 에 납땜되어 있는 다수의 금속제 베이스 컨택트 (2) 를 포함하고, 수지제의 베이스 하우징 (1) 은 베이스 컨택트 (2) 를 압입에 의해 고정 지지하고 있다.
프레임부 (20) 는 기판 (110) 에 장착된 기부 (101) 를 덮으며, 수지제의 위치결정 부재(locator) (3), 금속으로 된 복수의 컨택트 (5), 수지로 된 하우징 (30), 금속으로 된 커버 (40), 수지로 만들어져서 캠부의 역할을 하는 하트형 캠 (50), 금속으로 만들어져서 카드 (100) 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 부재의 역할을 하는 레버 (60), 탄성 부재인 제 1 스프링 (6), 그리고 지지 부재인 제 2 스프링 (7) 을 포함한다. 하우징 (30) 은 회전축 (24) 의 역할을 하는 돌출부를 갖는다. 하트형 캠 (50), 이 하트형 캠 (50) 의 회전 구멍 (51) 에 결합되는 회전축 (24), 그리고 제 2 스프링 (7) 이 조합되어 캠 기구를 형성한다. 도 4 에 나타낸 바 와 같이, 위치결정 부재 (3) 는, 고정되어질 하우징 (30) 의 U자 형상부 (21a) 에 압입되는 좌,우 돌출부 (3a) 를 갖는다.
컨택트 (5) 는 하우징 (30) 의 구멍(도시하지 않음)에 압입되는 압입부 (5a) 및 (5b) 를 가져서, 하우징 (30) 에 고정될 수 있다. 하트형 캠 (50) 의 회전 구멍 (51) 이 하우징 (30) 의 회전축 (24) 에 결합하므로 하트형 캠 (50) 이 회전가능하다.
제 2 스프링 (7) 은 코일체 (7c) 를 갖는 코일 스프링이다. 코일체 (7c) 의 일단에는 하우징 (30) 의 돌출부 (26) 와 결합하는 훅(hook) (7a) 이 구비되어 있으며, 타단에는 하트형 캠 (50) 의 돌출부 (52) 와 결합하는 훅 (7b) 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하트형 캠 (50) 은 제 2 스프링 (7) 으로부터 계속적으로 인장력을 받게 되어 기울어짐이나 경사짐이 없는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즉, 화살표 (A) 로 표시한 배출 방향 또는 제거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위치).
레버 (60) 는 하우징 (30) 의 원통형 돌출부의 회전축 (27) 에 결합되는 구멍 (61) 을 가져서 소정 평면에서 회전 가능하다. 레버 (60) 는, 메모리 카드 (100) 가 배출 및 삽입될 때, 그 메모리 카드 (100) 와 결합하거나 접촉하는 카드 접촉부 또는 카드 배출부 (62) 를 갖는다.
제 1 스프링 (6) 은 텐션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고, 그 양단에는 훅 (6a), (6b) 이 형성되어 있다. 훅 (6a) 은, 레버 (60) 의 회전 말단에 있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스프링 부착부 (63) 에 결합되고, 훅 (6b) 은 하우징 (30) 의 원통형 돌출부 (28) 에 결합된다. 레버 (60) 는 제 1 스프링 (6) 으로부터 계속하여 인 장력을 받아서 회전축 (27) 을 중심으로 하여 배출 방향 (A) 으로 가압된다. 따라서 제 1 스프링 (6) 은 배출 방향 (A) 으로 레버 (60) 를 밀어내는 가력 부재의 역할을 한다.
하트형 캠 (50) 은, 상기 소정 평면에 대해 평행한 바닥면을 가지며 단차가 없는 함몰부 (50a) 를 포함하고, 이 함몰부 (50a) 에는 돌출부 (50b) 가 배치되어 대략 하트 형상의 윤곽을 형성하고 있다. 돌출부 (50b) 는, 돌출부 (52) 에 가까운 말단부에 형성된 홈(recess) (58) 을 갖는다.
커버 (40) 는 좌측 및 우측 구멍 (41) 과 안내부 (42) 를 갖는다. 상기 좌측 및 우측 구멍 (41) 은 하우징 (30) 의 돌출부 (29) 에 맞춰 결합되고, 안내부 (42) 는 슬릿부 (31) 에 결합되어 커버 (40) 가 고정되게 된다.
레버 (60) 는 카드 배출부 (62) 를 가지며, 이 카드 배출부 (62) 는 하우징 (30) 에 있는 홈 (25) 의 선단 부근에 형성된 회전 구멍 (51) 에 가까운 쪽에 형성되어 있다. 이 부분에서의 위치 관계는 아래와 같은 레버 비로 표현될 수 있다.
g×e=h×f...(1),
여기서 g 는 카드를 제거하는 힘을, e 는 회전축 (27) 과 카드 배출부 (62) 사이의 거리를, h 는 배출 방향 (A) 으로 제 1 스프링 (6) 에 의해 레버 (60) 에 가해지는 힘을, 그리고 f 는 회전축 (27) 과 스프링 부착부 (63) 사이의 거리를 나 타낸다. 실제적으로, 카드 (100) 를 배출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만족되어야 한다.
g×e〈h×f
따라서, 카드 (100) 를 배출하는 데 필요한 회전 토크는 증가하게 된다.
도 6 ~ 도 13B 를 참조하여, 도 3 에 나타낸 카드 커넥터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6 및 도 6a에서, 메모리 카드 (100) 가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레버 (60) 에는 제 1 스프링 (6) 에 의해 하우징 (30) 의 회전축 (27) 둘레를 중심으로 배출 방향 (A) 으로 힘이 가해진다. 그러나 캠 종동자인 레버 (60) 의 돌출부 (64) 가 하트형 캠 (50) 의 홈 (58) 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레버 (60) 의 카드 배출부 (62) 는 배출 방향 (A) 으로 더 이상 회전할 수 없다. 따라서 메모리 카드 (100) 는 자신의 초기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 2 스프링 (7) 에 의해 하트형 캠 (50) 에는 시계 방향 (C) 으로 회전력이 가해진다.
도 7 및 도 7a 를 참조하면, 메모리 카드 (100) 가 배출되려고 한다. 도 6 및 도 6a 에 도시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메모리 카드 (100) 는 삽입 방향 (B) 으로 최심부의 위치까지 밀어넣어 진다. 메모리 카드 (100) 가 삽입 방향 (B) 으로 안쪽으로 밀어 넣어지면, 레버 (60) 의 카드 배출부 (62) 가 눌려져 레버 (60) 는 인슐레이터 (30) 의 회전축 (27) 을 중심으로 하여 삽입 방향 (B) 으로 회전되 게 된다. 그리고나서, 레버 (60) 의 돌출부 (64) 는 하트형 캠 (50) 의 홈 (58) 에서 분리되어 돌출부 (57) 를 넘어 이동한다. 그러나 제 2 스프링 (7) 에 의해 당겨지는 하트형 캠 (50) 은, 시계 방향 (C) 으로 회전되어 기울어짐 없는 위치를 유지한다. 레버 (60) 의 돌출부 (64) 는 하트형 캠 (50) 의 벽 (55) 과 충돌하게 된다. 이때, 충돌음이 발생되며 하트형 캠 (50) 은 회전을 멈추게 된다.
도 8 및 도 8a 를 참조하면, 메모리 카드 (100) 가 배출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7 및 도 7a 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메모리 카드 (100) 는 하우징 (30) 의 벽 (32) 과 충돌하게 되고, 메모리 카드 (100) 를 미는 힘이 감소하게 된다. 이때, 제 1 스프링 (6) 에 의해 배출 방향 (A) 으로 레버 (60) 에 힘이 가해지게 되어, 레버 (60) 가 하우징 (30) 의 회전축 (27) 둘레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카드 배출부 (62) 를 통해 메모리 카드 (100) 가 배출되게 된다. 하트형 캠 (50) 은 제 2 스프링 (7) 에 의해 끌어 당겨져서 시계 방향 (C) 으로 회전하게 되어 하트형 캠 (50) 은 기울어짐 없는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레버 (60) 의 돌출부 (64) 는 하트형 캠 (50) 의 돌출부 (57) 의 좌측을 지나가게 된다. 레버 (60) 가 배출 방향 (A) 으로 이동되면, 하트형 캠 (50) 은 레버 (60) 의 돌출부 (64) 에 의해 눌려지고, 시계 방향 (C) 으로 회전된다.
도 9 및 도 9a 를 참조하면, 메모리 카드 (100) 가 완전히 배출된다.
제 1 스프링 (6) 에 의해 배출 방향 (A) 으로 힘을 받는 레버 (60) 는 하우징 (30) 의 벽 (32) 과 충돌하고, 레버 (60) 는 회전을 멈추게 된다. 메모리 카드 (100) 도 역시 멈추게 된다. 이때, 하트형 캠 (50) 은 제 2 스프링 (7) 으로부터의 힘의 작용하에 반시계 방향 (D) 으로 회전되어 기울어짐 없는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도 10 및 도 10a 를 참조하면, 메모리 카드 (100) 가 삽입된다. 메모리 카드 (100) 가 삽입되면, 레버 (60) 가 카드 배출부 (62) 를 통해 하우징 (30) 의 회전축 (27) 을 중심으로 삽입 방향 (B) 으로 회전된다. 이때, 레버 (60) 의 돌출부 (64) 는 하트형 캠 (50) 의 벽 (59) 과 충돌하여 하트형 캠 (50) 은 하우징 (30) 의 회전축 (24) 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도 11 및 도 11a 를 참조하면, 메모리 카드 (100) 가 도 10 및 도 10a 와 마찬가지의 유사한 방식으로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도 역시, 돌출부 (64) 는 하트형 캠 (50) 의 벽 (59) 과 충돌하게 된다. 하트형 캠 (50) 은 회전축 (24) 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반시계 방향 (D) 으로 최대 변위를 가지게 된다.
도 12 및 도 12a 를 참조하면, 메모리 카드 (100) 는 완전히 삽입되기 직전의 상태에 있다. 도 11 및 도 11a 에서, 레버 (60) 의 돌출부 (64) 가 하트형 캠 (50) 의 돌출부 (56) 를 지나가게 되면, 하트형 캠 (50) 은 최대의 변위로 반시계 방향 (D) 으로 회전축 (24) 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된다. 하트형 캠 (50) 은 제 2 스프링 (7) 에 의해 잡아 당겨져서 기울어짐 없는 위치를 유지하기 때문에, 하트형 캠 (50) 은 시계 방향 (C) 으로 회전된다. 그리고나서, 하트 형 캠 (50) 의 벽 (54) 은 레버 (60) 의 돌출부 (64) 와 충돌하여 충돌음을 발생시킨다.
도 13 및 도 13a 를 참조하면, 메모리 카드 (100) 는 초기 위치로 되돌아오 기 직전에 완전히 삽입된다. 도 12 및 도 12a 에 도시된 상태에 있는 메모리 카드 (100) 가 삽입 방향 (B) 으로 밀어 넣어지면, 메모리 카드 (100) 는 하우징 (30) 의 벽 (32) 과 충돌하게 된다. 작동자의 붙잡음이 느슨하여지면, 메모리 카드 (100) 는 배출 방향 (A) 으로 이동된다. 그 이유는 레버 (60) 가 제 1 스프링 (6) 에 의해 배출 방향 (A) 으로 계속 잡아 당겨져서 인슐레이터 (30) 의 회전축 (27) 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기 때문으로 따라서 메모리 카드 (100) 는 레버 (60) 의 카드 배출부 (62) 를 통해 배출 방향 (A) 으로 밀어내어진다. 결과적으로, 하트형 캠 (50) 의 벽 (54) 과 충돌하는 레버 (60) 는 배출 방향 (A) 으로 회전된다. 하트형 캠 (50) 이 제 2 스프링 (7) 의 작용하에 시계 방향 (C) 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레버 (60) 의 돌출부 (64) 는 하트형 캠 (50) 의 돌출부 (57) 와 충돌하게 되어 충돌음을 발생시킨다. 레버 (60) 는 배출 방향 (A) 으로 이동하여 도 6 및 도 6a 에 나타낸 상태로 된다. 따라서 메모리 카드 (100) 는 초기 위치로 이동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캠의 바닥에 단차(step)가 형성되지 않으며 레버는 회전 운동만을 수행하면 된다. 그러므로 캠 종동자를 누르기 위한 스프링이 필요하지 않다. 그러므로 카드 커넥터를 얇은 두께로 설계할 수 있다.
레버에 가해지는 모멘트는 스프링에 의해 가해지는 회전 토오크와 메모리 카드에 의해 가해지는 회전 토오크를 포함한다. 각각의 토오크는 레버의 회전 지지점을 중심으로 발생된다. 그러므로, 레버의 이동 경로가 안정적이며, 레버와 다른 부재들 사이의 마찰이 감소된다. 따라서, 작동감이 양호하여 지게 된다.
도 5 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레버는 그 회전 지지점 가까운 쪽에 카드 배출부와 스프링 부착부를 갖는데, 이 스프링 부착부는 카드 배출부 외측에 형성되어 레버가 배출 방향으로 계속하여 힘을 받을 수 있다. 이 부분에서 상기 식 (1) 의 관계가 도출된다. 식 (1) 으로부터:
h=g×e/f...(2).
e/f 는 1 보다 작으므로, h<g 이다. 따라서 h 는 작은 값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스프링력을 작게 설계할 수 있으므로 인슐레이터의 강도에 있어서의 충분한 여유를 확보할 수 있다. 스프링력을 줄임으로써, 레버 또는 인슐레이터의 변형 또는 뒤틀림이 억제되어 다른 부재와의 마찰이 감소되고 작동감에 불쾌함이 따르지 않는다.
작동감을 결정하는 인자 중의 하나는 하트형 캠의 벽과 레버의 돌출부 사이의 충돌에 의해 발생되는 충돌음의 크기이다. 이 충돌음이 크면, 작동감이 양호하여 진다. 전술의 카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하트형 캠은 스프링의 사용으로 잡아 당겨지고 있어, 레버의 돌출부는 하트형 캠의 벽과 충돌하여 충돌음을 발생시킨다. 인슐레이터의 강도가 충분한 경우에는, 스프링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하트형 캠의 회전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서 레버의 돌출부와의 충돌음을 간단히 크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을 그 바람직한 실시형태와 연관시켜 설명하였지만,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에서 각종의 방식으로 본 발명에 수정을 가할 수가 있다. 전술의 카드 커넥터는 전자 장치용의 카드 커넥터에 적용할 수 있거나 디지털 카메라, 휴대형 단말기, 그리고 노트북 형태의 개인용 컴퓨터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카드 커넥터를 본 발명에 따른 구성과 같이 하면, 캠의 바닥에 단차가 형성되지 않으며 레버는 회전 운동만을 수행하면 된다. 그러므로 캠 종동자를 가압하기 위한 스프링이 필요하지 않아서 카드 커넥터를 두께가 얇도록 설계할 수 있으며, 또한 작동감이 양호한 카드 커넥터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3)

  1. 카드에 접속되는 카드 커넥터로서,
    상기 카드를 배출 방향으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카드와 접촉하는 카드 접촉부와 캠-피구동부를 갖고 소정 평면을 따라 움직일 수 있는 배출 부재,
    상기 배출 부재를 배출 방향으로 당기는 가력 부재,
    상기 배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소정 평면을 따라 움직일 수 있는 캠 기구, 그리고
    상기 캠 기구를 탄성 지지하여 그 캠 기구를 소정 위치에 위치시키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캠 기구는, 상기 캠-피구동부와 협력하여 상기 배출 부재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캠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와 캠-피구동부는, 카드가 삽입될 때는 서로 결합하여 카드가 끼워 맞추어지는 카드 결합 위치에 상기 배출 부재를 고정시키고, 카드가 배출될 때는 캠 기구의 운동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상기 배출 부재의 고정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캠 기구는 상기 소정 평면에 수직인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캠 기구의 일단에 배치되며, 스프링을 갖는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캠 기구의 타단에 인장력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커넥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는 상기 소정 평면에 대해 평행한 바닥면을 가지며 단차가 없는 함몰부를 포함하고, 이 함몰부에는 돌출부가 배치되어 하트 형상의 윤곽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커넥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일단은 카드 배출측에 있고, 타단은 카드 삽입측에 있으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타단 근처에서 캠-피구동부를 수용하기 위해 형성된 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커넥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부재는 자신의 일단을 지지점으로 하여 상기 소정 평면을 따라 회전가능하고, 상기 가력 부재는 상기 배출 부재의 타단과 결합하는 인장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커넥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캠-피구동부는 상기 배출 부재의 양단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커넥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접촉부는 상기 캠-피구동부와 배출 부재의 타단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커넥터.
  11. 제 1 항에 있어서, 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배출 부재, 가력 부재, 캠 기구, 그리고 지지 부재는 이 하우징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커넥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복수의 도전성 컨택트와, 이 도전성 컨택트를 상기 하우징에 대해 배치하는 위치결정 부재(locator)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커넥터.
  13. 카드에 접속되는 카드 커넥터로서,
    상기 카드를 배출시키기 위해 그 카드에 접촉하는 배출 부재,
    상기 배출 부재를 카드 배출 방향으로 당기는 탄성 부재, 그리고
    상기 배출 부재의 캠-피구동부와 결합하는 캠부를 갖는 캠 기구를 포함하고 , 상기 캠부는 카드 삽입시에는 카드 결합 위치에 상기 배출 부재가 고정되도록 하고, 카드 배출시에는 상기 배출 부재의 고정이 해제되도록 하며,
    상기 캠 기구는 회전축과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여, 상기 캠 기구가 그 회전 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캠 기구가 소정 위치에 있도록 이 캠 기구에 힘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커넥터.
KR1020060029787A 2005-03-31 2006-03-31 소형화 가능한 커넥터 KR1007341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01847 2005-03-31
JP2005101847A JP4076180B2 (ja) 2005-03-31 2005-03-31 カード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5676A KR20060105676A (ko) 2006-10-11
KR100734190B1 true KR100734190B1 (ko) 2007-07-02

Family

ID=37071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9787A KR100734190B1 (ko) 2005-03-31 2006-03-31 소형화 가능한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179104B2 (ko)
JP (1) JP4076180B2 (ko)
KR (1) KR100734190B1 (ko)
CN (1) CN100511863C (ko)
TW (1) TWI29078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03514B1 (fr) * 2006-07-04 2008-10-17 Oberthur Card Syst Sa Boitier pour clef electronique et systeme comportant un tel boitier
JP4992685B2 (ja) * 2007-11-30 2012-08-08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メモリカードコネクタ
FR2954571B1 (fr) * 2009-12-21 2014-07-11 Sagem Comm Boitier destine a recevoir un disque dur extractible et comprenant une came basculante pour extraire ce disque dur
JP5870812B2 (ja) * 2012-03-29 2016-03-01 富士通株式会社 カード用コネクタ、および、電子機器
CN103022807B (zh) 2012-12-12 2015-05-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自弹式端口固定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4726A (ja) 1998-02-05 1999-08-17 Alps Electric Co Ltd Ic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KR20000035040A (ko) * 1998-10-19 2000-06-26 사까이 히데끼 카드용 전기커넥터
JP2001291553A (ja) 2000-04-05 2001-10-19 Tyco Electronics Amp Kk カード用コネクタ
KR20040019903A (ko) * 2002-08-29 2004-03-06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메모리카드 커넥터의 삽발기구
KR20050020671A (ko) * 2003-08-20 2005-03-04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83917B2 (ja) 2000-03-16 2003-03-1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プッシュ−プッシュ式カード用コネクタ
US6739890B2 (en) * 2000-04-12 2004-05-25 Molex Incorporated Card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ejection device
JP2002042964A (ja) * 2000-07-24 2002-02-08 Molex Inc カード用コネクタ
JP4028231B2 (ja) * 2001-12-28 2007-12-26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カード用コネクタのエジェクト機構
JP2004047275A (ja) * 2002-07-11 2004-02-12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カードイジェクト機構を備えたコネクタ
TW553533U (en) * 2002-08-23 2003-09-11 Hon Hai Prec Ind Co Ltd Card connector
JP4033759B2 (ja) * 2002-11-15 2008-01-16 三洋電機株式会社 投入物が装着される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4726A (ja) 1998-02-05 1999-08-17 Alps Electric Co Ltd Ic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KR20000035040A (ko) * 1998-10-19 2000-06-26 사까이 히데끼 카드용 전기커넥터
JP2001291553A (ja) 2000-04-05 2001-10-19 Tyco Electronics Amp Kk カード用コネクタ
KR20040019903A (ko) * 2002-08-29 2004-03-06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메모리카드 커넥터의 삽발기구
KR20050020671A (ko) * 2003-08-20 2005-03-04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179104B2 (en) 2007-02-20
JP4076180B2 (ja) 2008-04-16
KR20060105676A (ko) 2006-10-11
TWI290783B (en) 2007-12-01
US20060223352A1 (en) 2006-10-05
TW200642200A (en) 2006-12-01
CN1848543A (zh) 2006-10-18
CN100511863C (zh) 2009-07-08
JP2006286270A (ja) 2006-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57781B1 (en) A card connector for an electronic device and a contact used therein
US6776640B2 (en) Card connector apparatus with locking mechanism for locking a card to mounting position
US6609919B2 (en) Card connector
EP1577827B1 (en) Card connector in which a braking force is varied during a card ejecting process
JP3274794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
KR100734190B1 (ko) 소형화 가능한 커넥터
JP2008053124A (ja) カード用コネクタ
JP2003243090A (ja) カード用コネクタ
JP2001326028A (ja) ロック装置付きカード用コネクタ
JP2003115354A (ja) カード用コネクタ
JPH07272793A (ja) カードコネクタ及びそのカード排出機構
US6027351A (en) Card connector
JP4808743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
US6145747A (en) Memory card and card connector and assembly thereof
JP4425715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4502699B2 (ja) カードコネクタ
JP2004178824A (ja) 情報記録媒体の固定機構
JP4177703B2 (ja) Icカード用コネクタ
JP4429876B2 (ja) カードコネクタ
US20050095886A1 (en) Card connector having an eject mechanism easy to operate and assuring reliable movement
JP4079867B2 (ja) カードコネクタ
JP4237992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2004319273A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2002151205A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GB2330934A (en) Ejector for a card rea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