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2827A - 컨텐츠 관련 정보 제공 장치 및 컨텐츠 관련 정보 제공방법, 전자 게시판 시스템, 및 컴퓨터·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컨텐츠 관련 정보 제공 장치 및 컨텐츠 관련 정보 제공방법, 전자 게시판 시스템, 및 컴퓨터·프로그램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2827A
KR20050012827A KR10-2004-7021003A KR20047021003A KR20050012827A KR 20050012827 A KR20050012827 A KR 20050012827A KR 20047021003 A KR20047021003 A KR 20047021003A KR 20050012827 A KR20050012827 A KR 200500128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ntent
program
reference information
broadc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21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사즈히데키
야마모토도모유키
엔도고헤이
마쓰자키가쓰로
쓰루타야스시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12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282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content on demand, e.g. video on de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2Retrie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e.g. from a broadcast channel and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2Web browsing, e.g. WebTV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6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e-mai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communicating with other users, e.g. cha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8Transmission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 H04N21/6581Reference data, e.g. a movie identifier for ordering a movie or a product identifier in a home shopping appl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Generation or processing of descriptive data, e.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 H04N7/17309Transmission or handling of upstream communications
    • H04N7/17318Direct or substantially direct transmission and handling of requ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각 게시판은 특정 텔레비전 프로그램에 대한 논의나 정보 교환을 목적으로 하여 설치된다. 이용자는 게시판에 발언을 기록할 때, 발언이 참조하는 프로그램/장면을 특정하기 위한 참조 정보를 발언 내용과 함께 등록한다. 참조 정보는 프로그램이 방송되었을 때의 방송국 및 참조 개소가 방송된 시각으로 이루어지며, 소정 서식으로 정형(整形)하여 이용자의 단말 기기에 송신된다. 단말 장치에서는, 참조 정보에 따라 녹화 개시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프로그램 컨텐츠 내의 각 장면에 관한 코멘트 등의 정보 작성이나 이 종류의 정보 송수신 작업을 지원할 수 있다.

Description

컨텐츠 관련 정보 제공 장치 및 컨텐츠 관련 정보 제공 방법, 전자 게시판 시스템, 및 컴퓨터·프로그램 {CONTENT-RELATED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CONTENT-RELATE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ELECTRONIC BULLETIN BOAR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디지털 기술의 발달에 의해, 영상이나 음성으로 이루어지는 AV 데이터를 대량으로 축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최근에는, 수십 GB 또는 그 이상의 용량을 가지는 HDD(하드·디스크·드라이브)가 비교적 염가로 입수하는 것이 가능해져, HDD 베이스의 녹화기나,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녹화/시청 기능을 가진 퍼스널·컴퓨터(PC) 등이 등장해 오고 있다.
HDD는 기록 데이터에의 랜덤·액세스가 가능한 장치이다. 따라서, 녹화 컨텐츠를 재생할 때는 종래의 비디오·테이프의 경우와 같이, 녹화해 둔 프로그램을 단지 선두로부터 차례로 재생할 필요는 없고, 좋아하는 프로그램(또는 프로그램 중의 특정 장면이나 특정 코너)으로부터 직접 재생을 개시할 수 있다.
그러나, HDD의 대용량화에 따라, 다수의 프로그램이 축적되어 있는 경우에는, 어느 프로그램부터 최초에 보기 시작해야 하나, 이용자는 컨텐츠의 선택에 골머리를 썩게 된다. 모처럼 축적한 컨텐츠의 사장을 방지하고 유효 활용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무엇인가 시청 지원을 실행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다른 한편, 정보화가 고도로 진행된 현대 사회에서는, 다양한 정보가 디지털 화되어 네트 워크 경유에서의 공유·유통이 실현되고 있다. 따라서, 불특정 다수의 이용자 사이에서 각자의 지식이나 경험을 공유하는 것이 가능하다. 인터넷 상에서는, 다양한 전자 게시판(BBS: Bu1letin Board System)이 구축되어 있고, 불특정 다수의 이용자가 자발적으로 코멘트의 기록을 행함으로써, 동일 테마에 관한 문제점이나 의견을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텔레비전 프로그램에 관한 인터넷상의 전자 게시판은 이미 존재하고 있으며, 방송된 프로그램에 관해 일반인이 기록에 의해 비평하거나, 그것을 다른 사람이 열람할 수 있다.
그러나, 텔레비전 프로그램에 관한 전자 게시판에서, 특정 장면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려고 해도,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사정이 있다.
(1) 프로그램에 대하여 링크하는 수단이 제공되어 있지 않다.
(2) 방송 스케쥴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언제라도 시청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3) 방송된 프로그램에 대하여 권리자에게 무단으로 복제 또는 디지털화하여 사이트상에 게재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정보 제공 사이트나 전자 게시판에서는, 참조하려고 하는 프로그램이나 그 중의 특정 장면을 말로 설명하는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은 음성이나 영상 등으로 이루어지는 컨텐츠에 관련되는 정보를 네트 워크 경유로 제공하는 컨텐츠 관련 정보 제공 장치 및 컨텐츠 관련 정보 제공 방법, 전자 게시판 시스템, 및 컴퓨터·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며, 특히, 방송국 등으로 분배되는 방송 프로그램 등의 예정 시각에 따라 분배되는 컨텐츠에 관련되는 정보를 제공하는 컨텐츠 관련 정보 제공 장치 및 컨텐츠 관련 정보 제공 방법, 전자 게시판 시스템, 및 컴퓨터·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온 에어 중 또는 녹화한 프로그램 컨텐츠 내의 각 장면에 대한 발언 등의 정보를 이용자 사이에서 공유하는 것을 지원하는 컨텐츠 관련 정보 제공 장치 및 컨텐츠 관련 정보 제공 방법, 전자 게시판 시스템, 및 컴퓨터·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며, 특히, 프로그램 컨텐츠 내의 각 장면에 관한 발언 등의 정보 작성이나 이 종류의 정보 송수신 작업을 지원하는 컨텐츠 관련 정보 제공 장치 및 컨텐츠 관련 정보 제공 방법, 전자 게시판 시스템, 및 컴퓨터·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전자 게시판 시스템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게시판/프로그램 정보 데이터 베이스(131)에 기록되는 정보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게시판/발언 제시부(101)에 의해 이용자에게 제시되는 화면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발언 검색부(102)에 의해 이용자에게 제시되는 화면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발언 검색부(102)에서 발언의 검색 처리를 행하기 위한 순서를 나타낸 플로 차트이다.
도 6은 참조 정보 부호화부(103)에서 실행되는 처리 동작을 나타낸 플로 차트이다.
도 7은 참조 정보 부호화부(103)에 의해 부호화된 참조 정보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방송 스케쥴 부호화부(104)에서의 처리 동작 순서를 나타낸 플로 차트이다.
도 9는 발언 기록 처리부(105)에 의해 이용자에게 제시되는 발언 기록용 화면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발언 기록 처리부(105)에서의 처리 동작을 나타낸 플로 차트이다.
도 11은 이용자에 의한 발언의 투고에 대한 처리를 스크립트·코드에 의해 실현하기 위한 처리 동작을 나타낸 플로 차트이다.
도 12는 이용자에게 참조 정보를 입력시키기 위한 플러그인(flug-in) 실행 모듈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테이블 구조를 간략화한 발언/프로그램 정보 데이터 베이스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영상·음성 컨텐츠에 대한 관련 정보를 참조 정보와 함께 제시하는 시스템에 본 발명을 적용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온 에어 중 또는 녹화한 프로그램 컨텐츠 내의 각 장면에 대한 발언 등의 정보를 이용자 사이에서 공유하는 것을 매우 적합하게 지원하는 우수한 컨텐츠 관련 정보 제공 장치 및 컨텐츠 관련 정보 제공 방법, 전자 게시판 시스템, 및 컴퓨터·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프로그램 컨텐츠 내의 각 장면에 관한 발언 등의 정보 작성이나 이 종류의 정보 송수신 작업을 매우 적합하게 지원할 수 있는 우수한 컨텐츠 관련 정보 제공 장치 및 컨텐츠 관련 정보 제공 방법, 전자 게시판 시스템,및 컴퓨터·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자 게시판상의 발언을 읽으면서 그 발언이 참조하고 있는 프로그램 또는 장면을 PC나 가정용 비디오 녹화기상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중에서 찾아와 시청하거나, 동일하게, 특정 WWW 컨텐츠에 대하여 관련되는 프로그램이나 장면을 시청한다고 하는 구조를 실현할 수 있는, 우수한 컨텐츠 관련 정보 제공 장치 및 컨텐츠 관련 정보 제공 방법, 전자 게시판 시스템, 및 컴퓨터·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참작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제1 측면은 참조 데이터가 시계열로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컨텐츠에 대한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컨텐츠 관련 정보 제공 장치 또는 컨텐츠 관련 정보 제공 방법으로서,
컨텐츠에 대한 관련 정보를 축적하는 관련 정보 축적 수단 또는 스텝과,
상기 관련 정보가 참조하는 컨텐츠 및 이 컨텐츠 중의 데이터 참조 위치를 특정하는 참조 정보를 축적하는 참조 정보 축적 수단 또는 스텝과,
관련 정보 및/또는 참조 정보를 분배하는 정보 분배 수단 또는 스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련 정보 제공 장치 또는 컨텐츠 관련 정보 제공 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관한 컨텐츠 관련 정보 제공 장치 또는 컨텐츠 관련 정보 제공 방법에 의하면, 컨텐츠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측에서 영상이나 음성 등의 컨텐츠 복제를 갖지 않고, 컨텐츠의 특정 개소(個所)를 참조하면서 이용자에게의 정보 제공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관한 컨텐츠 관련 정보 제공 장치 또는 컨텐츠 관련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정보 분배 수단 또는 스텝에 의한 분배처가 되는 단말 기기의 설치 지역을 특정하는 수단 또는 스텝과, 이 설치 지역에 따라 분배해야 할 관련 정보 및/또는 참조 정보의 내용을 변경하는 정보 변경 수단 또는 스텝을 추가로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지역에 의한 컨텐츠의 분배 방식이나 분배 시간의 상위를 흡수할 수 있게 된다. 또, 각 지역에 적합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에서 말하는 컨텐츠란, 예를 들면 방송국이 프로그램 스케쥴에 따라 방송하는 방송 프로그램이다. 또, 참조 정보는 프로그램을 방송하는 또는 방송한 방송국을 특정하는 정보와 프로그램 중의 참조 개소가 방송되는 또는 방송된 일시를 특정하는 정보 등으로 구성되며, 특히 방송 프로그램을 참조한 정보 제공을 행할 수 있다.
또, 참조 정보는 채널 번호를 사용하여 프로그램을 방송하는 또는 방송한 방송국을 특정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참조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 기기측에서는, 방송국명이나 방송국 ID의 리스트 등 복잡한 정보를 유지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 이와 같은 리스트를 갱신하거나 유지하기 위한 기구가 불필요해지므로, 단말 기기의 설계를 보다 단순하고 저비용으로 할 수 있다.
또, 참조 정보는 프로그램의 방송 개시 일시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와 프로그램의 방송 종료 시각 또는 프로그램의 길이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경우, 프로그램의 방송 전이면 단말 기기에서 그 녹화예약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정보를 제공하는 측에서는, 프로그램의 방송 전후에 매끄럽게 정보 제공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정보 분배 수단 또는 스텝은 컨텐츠에 관련되는 정보 자원을 취급하는 WWW 사이트에 관한 URL을 참조 정보 중에 포함시켜 분배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참조 정보를 수신한 단말 기기측에서는, 컨텐츠에 관련되는 또 그 밖의 정보를 WWW 사이트에서 열람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예를 들면 참조하려고 한 컨텐츠가 녹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당해 컨텐츠를 스트리밍 분배하고 있는 사이트를 통해 시청하거나, 물건 판매 사이트를 경유하여 DVD 등 당해 컨텐츠를 수록한 기록 매체를 구입하거나 할 수 있다.
또, 상기 정보 분배 수단 또는 스텝은 분배처가 되는 단말 기기에서의 시계의 어긋남을 보정하기 위한 정보를 참조 정보 중에 포함시켜 분배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은 경우,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각 단말 기기에서 시각이 어긋나 있는 경우라도, 올바른 장면을 참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정보 분배 수단 또는 스텝은 컨텐츠 중의 참조 위치에 있어서의 컨텐츠의 특징량을 참조 정보 중에 포함시켜 분배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은 경우, 보다 정밀도가 높은 시각 보정이 가능하게 되는 외에, 녹화필(錄畵畢)의 컨텐츠 중에서 참조된 장면을 찾아낼 수 없는 경우에, 그 대신 참조 정보 중에 명시적으로 기술되어 있지 않은 컨텐츠(예를 들면, 다른 국 또는 시간대에서 재방송된 것) 중의 장면을 검색하여, 참조한다고 하는 기능을 단말 기기측에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정보 분배 수단 또는 스텝은 복수 개의 참조 정보를 통합하여 일괄해서 분배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컨텐츠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와 단말 기기 사이에서의 통신 회수를 삭감하여, 서버측의 부하를 경감하는 동시에, 단말 기기에서의 조작 리스폰스를 향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정보 분배 수단 또는 스텝은 관련 정보 및/또는 참조 정보를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프로토콜에 따라 분배하여, 이들 정보를 WWW 페이지로서 이용자에게 열람시키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은 경우, 기존 WWW의 평이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본 발명에 관한 컨텐츠 관련 정보의 제공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컨텐츠의 관련 정보나 참조 정보에 대하여 풀형의 분배 서비스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정보 분배 수단 또는 스텝은 관련 정보 및/또는 참조 정보를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프로토콜에 따라 분배하여, 이들 정보를 전자 메일로서 이용자에게 분배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전자 메일의 평이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본 발명에 관한 컨텐츠 관련 정보의 제공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컨텐츠의 관련 정보나 참조 정보에 대하여 푸시형의 분배 서비스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정보 분배 수단 또는 스텝은 참조 정보의 분배시에, 분배 메시지의 헤더에서 참조 정보인 것을 식별할 수 있는 문자열을 지정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참조 정보를 수신한 단말 기기측에서는, WWW 브라우저나 메일러의 표준적인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 종별을 판별하여, 적절한 처리를 기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참조 데이터가 시계열적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 교환을 지원하는 전자 게시판 시스템으로서,
컨텐츠에 관한 발언의 투고시에 있어서, 발언 내용과 함께 당해 컨텐츠 중에서 발언이 참조하고 있는 참조 위치를 특정하기 위한 참조 정보를 아울러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발언 내용과 참조 정보를 관련시켜 축적하는 축적 수단과,
발언 내용의 열람시에, 대응하는 참조 정보를 요구처의 단말 기기에 송신하는 송신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게시판 시스템이다.
단, 여기에서 말하는 「시스템」이란, 복수 개의 장치(또는 특정 기능을 실현하는 기능 모듈)가 논리적으로 집합한 물건을 말하며, 각 장치나 기능 모듈이 단일 하우징 내에 있는지 여부는 특히 묻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관한 전자 게시판 시스템에 의하면, 게시판상에서 영상이나 음성 등의 컨텐츠를 참조하면서 논의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 전용 단말 기기와 조합함으로써, 게시판상의 각 발언을 읽으면서 동시에, 참조되어 있는 컨텐츠를 시청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관한 전자 게시판 시스템은 정보의 제공처가 되는 단말 기기의 설치 지역을 특정하는 수단과, 이 특정된 설치 지역에 맞추어 참조 정보의 내용을 변경하는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지역에 따른 분배 방식이나 분배 시간의 상위를 흡수할 수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컨텐츠란, 예를 들면 방송국이 프로그램 스케쥴에 따라 방송하는 방송 프로그램이다. 또, 참조 정보는 프로그램을 방송하는 또는 방송한 방송국을 특정하는 정보와 프로그램 중의 참조 개소가 방송되는 또는 방송된 일시를 특정하는 정보 등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전자 게시판 시스템은 특히 방송 프로그램을 참조한 정보 제공을 행할 수 있다.
또, 참조 정보는 채널 번호를 사용하여 프로그램을 방송하는 또는 방송한 방송국을 특정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참조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 기기측에서는, 방송국명이나 방송국 ID의 리스트 등 복잡한 정보를 가질 필요가 없어진다. 또, 이와 같은 리스트를 갱신하거나 유지해 가기 위한 기구가 불필요해지므로, 단말 기기의 설계를 보다 단순 또한 저비용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송신 수단은 대응하는 발언이 기록된 게시판의 명칭을 참조 정보에 포함시켜 송신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참조 정보를 수신한 단말 기기에서 참조된 컨텐츠를 이용자에게 시청시킬 때, 동시에, 원래의 발언이 기록된 게시판의 명칭을 표시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 별도 서버에 발언을 문의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 상기 송신 수단은 대응하는 발언 내용을 참조 정보에 포함시켜 송신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참조 정보를 수신한 단말 기기에서 참조된 컨텐츠를 이용자에게 시청시킬 때, 동시에, 원래의 발언 내용을 표시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 별도 서버에 발언을 문의 필요가 없어진다.
또, 상기 송신 수단은 컨텐츠에 관련되는 정보 자원을 취급하는 장소의 식별 정보를 참조 정보 중에 포함시켜 분배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참조 정보를 수신한 단말 기기에서 컨텐츠에 관련되는 정보를 또한 WWW 사이트에서 열람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예를 들면 참조하려 하고 있는 컨텐츠가 녹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당해 컨텐츠를 스트리밍 분배하고 있는 사이트를 통해 시청하거나, 또는 당해 컨텐츠를 수록한 DVD 등의 기록 매체를 물건 판매 사이트 경유로 구입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송신 수단은 분배처가 되는 단말 기기에서의 시계의 어긋남을 보정하기 위한 정보를 참조 정보 중에 포함시켜 분배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은 경우, 각 단말 기기에서 계시하는 시각이 어긋나 있는 경우라도, 올바른 장면을 참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송신 수단은 컨텐츠 중의 참조 위치에 있어서의 컨텐츠의 특징량을 참조 정보 중에 포함시켜 분배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은 경우, 보다 정밀도가 높은 시각 보정이 가능하게 되는 외에, 녹화필의 컨텐츠 중에서 참조된 장면을 찾아낼 수 없는 경우에, 그 대신 참조 정보 중에 명시적으로 기술되어 있지 않은 컨텐츠(예를 들면, 다른 국 또는 시간대에서 재방송된 것) 중의 장면을 검색하여 재생한다고 하는 기능을 단말 기기측에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송신 수단은 복수 개의 참조 정보를 통합하여 일괄해서 분배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전자 게시판을 제공하는 서버와 단말 기기 사이에서의 통신 회수를 삭감하여, 서버측의 부하를 감소시키는 동시에, 단말 기기에서의조작 리스폰스를 향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발언의 기록시에, 참조 정보를 자동적으로 취득하는 또는 이용자에게 입력을 촉구하는 실행 코드를 요구처의 단말 기기측에 송신하거나, 요구처의 단말 기기에 사전에 저장된 참조 정보를 자동적으로 취득하는 또는 이용자에게 입력을 촉구하는 실행 코드에 대하여, 그것을 기동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단말 기기로 송신하거나 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이용자가 게시판에 발언을 기록할 때의 참조 정보의 등록 순서를 간소화하여, 보다 용이하게 게시판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송신 수단은 발언 내용 및/또는 참조 정보를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프로토콜에 따라 분배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은 경우, WWW의 평이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본 발명에 관한 전자 게시판 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컨텐츠에 관한 발언이나 참조 정보에 대하여 풀형의 분배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는 상기 송신 수단은 발언 내용 및/또는 참조 정보를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프로토콜에 따라 분배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전자 메일의 평이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본 발명에 관한 전자 게시판 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컨텐츠에 관한 발언이나 참조 정보에 대하여 푸시형의 분배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송신 수단은 참조 정보의 분배시에, 분배 메시지의 헤더에서 참조 정보인 것을 식별할 수 있는 문자열을 지정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참조 정보를 수신한 단말 기기측에서는, WWW 브라우저나 메일러의 표준적인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 종별을 판별하여, 적절한 처리를 기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게시판에서의 논의 대상이 되는 프로그램 시리즈에 대하여, 당해 시리즈의 차회 방송분의 방송 스케쥴을 특정하는 수단과, 이 방송 스케쥴을 요구처의 단말 기기에 송신하는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여, 단말 기기측에서 송신된 정보에 따라 그 프로그램의 녹화 예약을 행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또는, 게시판을 프로그램 시리즈마다 설치하여, 게시판의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 또는 게시판 내의 발언 일람을 표시하는 화면으로부터 당해 방송 스케쥴의 다운로드를 실행하는 수단을 추가로포함해도 된다. 이와 같은 경우, 녹화 예약에 관해 필요한 순서를 간략화하여, 이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발언의 대상이 되는 프로그램에 대하여, 그 재방송 스케쥴을 특정하는 수단과, 상기 재방송 스케쥴을 요구처의 단말 기기에 송신하는 수단을 추가로 포함해도 된다. 또, 상기 송신 수단은 재방송 스케쥴을 참조 정보에 포함시켜 송신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참조된 프로그램을 녹화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그 프로그램의 재방송을 녹화하고 있으면 그 해당 장면을 재송하거나, 또는 재방송의 일시가 미래인 경우에는 그 녹화 예약을 행한다고 하는 처리를 단말 기기에서 간단하게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관한 전자 게시판 시스템은 발언의 검색 조건을 지정하는 수단과, 이 지정된 검색 조건에 따라 복수 개의 게시판에 걸쳐 발언을 검색하는 수단을 추가로 포함해도 된다. 그리고, 발언 중에 포함되는, 또는 발언의기록시에 별도 지정된 키워드나, 발언을 기록한 이용자의 이름 또는 ID, 발언이 기록된 일시 등을 검색 조건으로서 사용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은 경우, 복수 개의 게시판에 걸쳐 발언의 검색을 하여, 이용자의 흥미가 있는 발언이나 그 발언이 참조하고 있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 내의 특정 장면만을 참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의 제3 측면은 참조 데이터가 시계열로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컨텐츠에 대한 관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처리를 컴퓨터·시스템상에서 실행하도록 컴퓨터 가독(可讀) 형식으로 기술된 컴퓨터·프로그램으로서,
컨텐츠에 대한 관련 정보를 축적하는 관련 정보 축적 스텝과,
상기 관련 정보가 참조하는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 중의 데이터 참조 위치를 특정하는 참조 정보를 축적하는 참조 정보 축적 스텝과,
관련 정보 및/또는 참조 정보를 분배하는 정보 분배 스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프로그램이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관한 컴퓨터·프로그램은 컴퓨터·시스템상에서 소정 처리를 실현하도록 컴퓨터 가독 형식으로 기술된 컴퓨터·프로그램을 정의한 것이다. 환언하면,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관한 컴퓨터·프로그램을 컴퓨터·시스템에 인스톨함으로써, 컴퓨터·시스템상에서는, 협동적 작용이 발휘되어,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관한 컨텐츠 관련 정보 제공 장치 또는 그 컨텐츠 관련 정보 제공 방법과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한 다른 목적, 특징이나 이점은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나첨부하는 도면에 따른 보다 상세한 설명에 의해 밝혀질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풀이한다.
먼저, 본 발명을 전자 게시판 시스템에 적용한 경우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 각 게시판은 특정 텔레비전 프로그램에 대한 논의나 정보 교환을 목적으로 하여 설치된다. 이용자는 게시판에 발언을 기록할 때, 발언이 참조하는 프로그램/장면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이하,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참조 정보」라고도 함)를 발언 내용과 함께 등록할 수 있다.
여기에서, 참조 정보는 프로그램이 방송되었을 때의 채널 번호(방송국) 및 참조 개소가 방송된 시각으로 이루어지며, 이용자가 발언 내용을 열람했을 때, 소정 서식으로 정형(整形)된 다음, 이용자의 단말 기기에 송신된다.
이와 같은 참조 정보를 분배하는 구조를 준비함으로써, 단말 장치에서는, 수신한 참조 정보에 따라 단말 기기 내에서, 녹화필(錄畵畢)의 컨텐츠로부터 해당하는 프로그램/장면의 재생을 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단, 본 발명은 서버측의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단말 기기측의 상세(詳細)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어느 프로그램이 방송되는 국, 채널, 시간대는 지역에 따라 상이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용자가 살고 있는(즉, 단말 기기가 설치되어 있는) 지역을 특정하고, 거기에 따라 참조 정보의 내용을 적절히 변환하기 위한 기구도 구비하고 있다(후술).
본 실시예에 관한 게시판 시스템에서는, 게시판상에서의 논의 대상으로 되어 있는 각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각 이용자측의 단말 기기상에 이미 녹화되어 있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그래서, 녹화 예약 조작을 반자동화하여 이용자의 수고를 경감하기 위해, 프로그램의 방송 스케쥴을 소정 서식으로 정형하여, 단말 기기측에 송신하는 기능도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도 1에는, 본 실시예에 관한 전자 게시판 시스템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전자 게시판 시스템은 이하의 각 부로 구성된다.
참조 번호 10O은 애플리케이션·서버이며,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서버(120) 또는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서버(121)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게시판 기능 실현을 위한 각 처리를 실행한다.
애플리케이션·서버(100)는 도시한 대로, 게시판/발언 제시부(101)와, 발언 검색부(102)와, 참조 정보 부호화부(103)와, 방송 스케쥴 부호화부(104)와, 발언기록 처리부(105)를 구비하고 있으며, 개개의 처리는 이들에 의해 행해진다.
게시판/발언 제시부(101)에서는, 게시판의 정보나 발언의 내용을 텍스트 또는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 형식으로 정형하여 이용자에게 제시하는 처리를 행한다.
발언 검색부(102)에서는, 게시판/프로그램 정보 데이터 베이스(131)로부터 특정 조건으로 매치하는 발언을 검색하는 처리를 행한다.
참조 정보 부호화부(103)에서는, 각 발언에 대하여 대응하는 참조 정보를 특정하여, 그 내용을 단말 설치 지역에 맞추어 적절히 변환하고, 소정 서식으로 정형한다고 하는 처리를 행한다.
방송 스케쥴 부호화부(104)에서는, 각 게시판이 대상으로 하고 있는 프로그램에 대하여 차회의 방송 스케쥴을 특정하고, 그 정보를 소정 서식으로 정형한다고 하는 처리를 행한다.
발언 기록 처리부(105)에서는, 게시판에 발언을 기록하기 위한 폼 화면을 이용자에게 제시하는 동시에, 아울러 참조 정보의 입력 조작을 보조하기 위한 스크립트·코드를 이용자측 단말 기기에 송신하는 처리를 행한다. 또, 제시된 폼 화면을 통해 이용자가 입력한 발언 내용 및 참조 정보를 게시판/프로그램 정보 데이터 베이스(131)에 등록하는 처리를 행한다.
참조 번호 120은 네트 워크상에서 HTTP 컨텐츠를 제공하는 동시에, 각 단말 기기로부터의 HTTP 리퀘스트를 받아들여 애플리케이션·서버(100)에 처리를 인도하고, 처리 결과를 돌려 주기 위한 HTTP 서버이다.
참조 번호 121은 전자 메일의 형태로 처리 리퀘스트를 받아들여 애플리케이션·서버(100)에 처리를 인도하고, 처리 결과를 전자 메일로서 배송하기 위한 SMTP 서버이다.
이용자 정보 데이터 베이스(130)는 각 이용자에 대하여 어카운트명, 패스워드, 소유 단말 종별, 단말 설치 지역, 게시판상에서의 핸들명 등의 정보를 기록해 두기 위한 데이터 베이스이다.
프로그램/게시판 정보 데이터 베이스(131)는 게시판/발언 데이터, 참조 정보, 프로그램 방송 스케쥴 등의 정보를 서로 관련시켜 기록해 두기 위한 데이터 베이스이다.
이와 같은 전자 게시판 시스템은 네트 워크상에서 구축되어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네트 워크는 이용자의 단말 기기와 본 전자 게시판 시스템을 접속하는 인터넷망과 같은 광역 네트 워크(140)와, 내부 네트 워크(141, 142) 등으로 이루어진다. 인터넷망(140)에는, 당해 시스템의 각 이용자가 사용하는 무수한 단말 장치(150)가 접속되어 있다.
내부 네트 워크(141)는 HTTP 서버(120)나 SMTP 서버(121) 등 인터넷측으로부터 직접 액세스되는 장치가 접속되어 있다. 또, 다른 쪽의 내부 네트 워크(142)에는, 애플리케이션·서버(100)나, 이용자 정보 데이터 베이스(120), 게시판/프로그램 정보 데이터 베이스(121) 등의 인터넷측으로부터 직접 액세스할 필요가 없는 장치가 접속되어 있다.
라우터 및 파이어 월 장치(F/W)(143 및 144)는 인터넷망(140)과 각 내부 네트 워크(141 및 142) 사이의 통신을 중개하여 제어한다.
도 2에는 게시판/프로그램 정보 데이터 베이스(131)에 기록되는 정보를 상세하게 나타내고 있다.
게시판 테이블(201)에서는, 각 게시판의 명칭, 및 각 게시판이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 시리즈를 기록한다.
프로그램 시리즈·테이블(202)에서는, 프로그램 시리즈의 ID를 정의하는 동시에 그 타이틀을 기록한다.
발언 테이블(203)에서는, 각 게시판에 기록된 발언의 내용, 발언자, 투고일 및 대응하는 참조 정보의 ID를 기록한다.
참조 정보 테이블(204)에서는, 각 참조 정보에 대하여, 참조하는 프로그램의 ID와 참조 개소(프로그램 선두로부터의 상대 시간)를 기록한다.
프로그램 테이블(205)에서는, 각 프로그램의 타이틀, 그 프로그램이 속하는 프로그램 시리즈의 ID, 그 프로그램이 프로그램 시리즈의 제몇 회의 방송인가를 기록한다.
방송 스케쥴·테이블(206)은 각 프로그램에 대하여, 그것이 방송될 때의 방송국 및 방송 개시/종료 일시를 기록한다. 일반적으로, 각 프로그램은 복수 개의 국/시간대에 방송되므로, 이 테이블에는 하나의 프로그램에 대하여 복수 개의 레코드가 기록되게 된다.
국(局)-지역 관련 테이블(207)은 방송국 코드, 방송국명, 지역, 채널 번호의 대응 관계를 기록한다.
도 3에는, 게시판/발언 제시부(101)에 의해 이용자에게 제시되는 화면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게시판/발언 제시부(101)의 처리는 통상의 전자 게시판 시스템의 경우와 동일하지만, 발언 일람에 더하여 이하와 같은 버튼 또는 링크를 제시하는 점이 통상의 게시판과 다르다.
참조 번호 301은 참조 정보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버튼(링크)이다. 이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참조 정보 부호화부(103)를 통해 소정 서식으로 정형된 참조 정보가 다운로드된다.
참조 번호 302는 게시판에 발언을 기록하기 위한 화면을 호출하기 위한 버튼(링크)이다. 이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발언 기록 처리부(105)를 통해 발언을 기록하기 위한 폼 화면이 이용자에게 제시된다.
참조 번호 303은 녹화 예약을 위해 차회 방송 스케쥴을 다운로드하는 버튼(링크)이다. 이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방송 스케쥴 부호화부(104)를 통해 소정 서식으로 정형된 방송 스케쥴이 다운로드된다.
도 4에는, 발언 검색부(102)에 의해 이용자에게 제시되는 화면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5에는, 발언 검색부(102)에서 발언의 검색 처리를 행하기 위한 순서를 플로 차트의 형식으로 나타내고 있다.
먼저, 발언 검색 조건의 초기화를 행한다(스텝 S1). 그리고, 도 4에 나타낸 화면상의 체크·박스(401)에서 키워드에 의한 검색이 선택되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스텝 S2). 선택되어 있으면 다음 스텝 S3으로, 선택되어 있지 않으면 차례차례 스텝 S4로 천이한다.
스텝 S3에서는, 키워드 입력 필드(402)에서 지정된 키워드에 대하여, 「텍스트 중에 그 키워드를 포함하고 있는 모든 발언을 검색한다」라고 하는 취지의 조건을 검색 조건에 추가한다. 그리고, 여기에서는 발언 내용 중에서 키워드를 검색하는 것으로 했으나, 발언 투고시에 발언 내용과는 별도로 키워드를 입력시키고, 그것을 사용하여 검색 처리를 행하도록 해도 된다.
스텝 S4에서는, 체크·박스(403)에서 발언자에 의한 검색이 선택되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그리고, 선택되어 있으면 다음 스텝 S5로, 선택되어 있지 않으면 차례차례 스텝 S6으로 천이한다.
스텝 S5에서는, 발언자 입력 필드(404)에서 지정된 발언자에 대하여, 「그 사람이 기록한 모든 발언을 검색한다」라고 하는 취지의 조건을 검색 조건에 추가한다.
스텝 S6에서는, 체크·박스(405)에서 발언 투고일에 의한 검색이 선택되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그리고, 선택되어 있으면 다음 스텝 S7로, 선택되어 있지 않으면 차례차례 스텝 S8로 천이한다.
스텝 S7에서는, 투고일 입력란(406)에서 지정된 발언 투고일의 범위에 대하여 검색 조건을 추가한다.
스텝 S8에서는, 전술한 각 스텝에 의해 설정된 검색 조건에 따라, 게시판/프로그램 정보 데이터 베이스(131)로부터 해당하는 발언의 검색을 행한다.
그리고, 데이터 베이스(131)로부터 검색된 발언에 대하여, 그것을 도 3에 나타낸 화면 구성이 되도록 HTML 형식 또는 메일 형식으로 정형하여, 이용자에게 송신한다(스텝 S9). 요구처가 되는 이용자의 단말 기기상에서는, 표준적인 브라우저 또는 메일 화면상에서 원하는 발언에 관한 검색 결과를 열람할 수 있다.
도 6에는, 참조 정보 부호화부(103)에서 실행되는 처리 동작을 플로 차트의 형식으로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이 처리에 앞서 이용자의 로그인 처리가 행해져, 단말 설치 지역 등의 이용자 정보가 이용자 정보 데이터 베이스(130)로부터 판독되어 세션 정보에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 처리 대상이 되는 발언은 도 3 화면에서 선택된다.
먼저, 세션 정보로부터 이용자의 단말 기기가 설치되어 있는 지역의 지역 코드를 판독한다(스텝 S11).
이어서, 선택된 발언에 대하여, 발언 테이블(203)로부터 게시판 ID, 발언, 및 참조 정보 ID를 취득한다(스텝 S12).
이어서, 스텝 S12에서 취득한 참조 정보 ID가 NULL인지 여부를 판정하여(스텝 S13), NULL인 경우에는 에러 처리를 행한다.
이어서, 먼저 취득한 참조 정보 ID를 기본으로, 참조 정보 테이블(204)을 참조하여, 참조 위치 및 프로그램 ID를 취득한다(스텝 S14).
이어서, 국-지역 관련 테이블(207) 및 방송 스케쥴·테이블(206)을 참조하여, 먼저 취득한 지역 코드 및 프로그램 ID로부터 그 지역에서 프로그램이 방송될 때의 채널 번호, 방송국명, 방송 개시 일시를 취득한다(스텝 S15).
이어서, 스텝 S15에서의 처리 결과에 따라, 지정 지역에서의 방송 스케쥴 유무를 판정한다(스텝 S16). 해당하는 방송 스케쥴이 없는 경우에는, 에러 처리를행한다.
이어서, 먼저 취득한 게시판 ID에 대하여, 게시판 테이블(201)을 참조하여 게시판명을 취득한다(스텝 S17).
그리고, 이상의 처리에서 취득된 방송국명, 채널 번호, 방송 개시 일시, 참조 위치, 게시판명, 발언에 대하여 소정 포맷에 따라 부호화를 행한다(스텝 S18).
마지막으로, 스텝 Sl8에서 부호화된 데이터를 요구처의 단말 기기로 향해 송신한다(스텝 S19). 이 때, HTTP 프로토콜에서의 응답 헤더부에서, 소정 문자열(예를 들면 "application/x-tzvine-jump")를 컨텐츠형(Content-Type)으로서 지정한다. 이에 따라, 수신한 단말 기기측에서는, 수신 데이터가 참조 정보를 부호화한 것이라고 판단하여, 해당하는 프로그램과 그 프로그램 내의 특정 장면 검색 및 재생 개시 등의 처리를 기동할 수 있게 된다.
도 7에는, 참조 정보 부호화부(103)에 의해 부호화된 참조 정보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참조 정보의 1행째는 데이터 종별/포맷을 판별하기 위한 문자열로 구성되어 있다. 또, 2행째에는 포맷의 판이 기록되어 있다.
3행째에는 참조하려고 하는 프로그램을 방송한 방송국의 국명이 기록되어 있다. 또, 4행째에는 참조하려고 하는 프로그램이 이용자의 단말 기기가 설치되어 있는 지역에서 방송되었을 때의 채널 번호가 기록되어 있다. 또, 5∼7행째에는 참조하려고 하는 프로그램이 방송된 일시가 기록되어 있다.
8행째에는 참조하려고 하는 장면의 방송 시각을 기술할 때의 기준 시각이 기록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낸 예에서는, 프로그램의 개시 시각을 기준 시각으로서 사용하고 있다. 또, 9행째에는 참조하려고 하는 장면의 방송 시각을, 앞의 기준 시각으로부터의 상대 시간으로서 나타내고 있다.
10행째에는 이 참조 정보가 관련된 발언이 기록된 게시판의 명칭이 기록되어 있다. 이 정보는 이용자의 단말 기기에서 해당 장면을 검색하여 재생하면 불필요하다. 단, 해당 장면의 재생시에, 게시판명도 동시에 표시하려고 한 경우에는, 이 정보를 참조 정보에 포함시켜 부호화해 둠으로써, 재차 서버에 접속할 필요가 없어진다.
11행째에는 13행째 이후 발언 내용의 행수가 기록되어 있다. 12행째는 상기 헤더 부분과 이후의 발언 내용을 분리하기 위한 공행(空行)이다.
그리고, 13행째에는 이 참조 정보가 관련된 발언의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이 정보는 단말 기기에서 해당 장면을 검색하여 재생하면 불필요하지만, 해당 장면의 재생시에 발언 내용도 동시에 표시하려고 한 경우, 이 정보를 참조 정보에 포함시켜 부호화해 둠으로써, 재차 서버에 접속할 필요가 없어진다.
도 7에 나타낸 참조 정보의 내용에 더하여, 관련되는 WWW 사이트(예를 들면, 투고자의 홈 페이지나, 참조하려고 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방송국의 공식 페이지, 해당하는 프로그램의 스트리밍 분배를 행하고 있는 사이트, DVD 등의 물건 판매를 하고 있는 사이트)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아울러 부호화하도록 해도 된다.
관련되는 WWW 사이트가 투고자의 홈 페이지인 경우, 이용자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다른 정보와 함께 각 이용자 홈 페이지의 URL도 아울러 등록해 두도록 하거나, 또는 발언의 기록시에 투고자에게 URL을 지정시키고, 그것을 발언 테이블(203) 또는 참조 정보 테이블(204)에 필드를 추가하여 기록하도록 한다. 한편, 관련되는 WWW 사이트가 각 프로그램의 공식 페이지 등인 경우에는, 프로그램 테이블(205) 또는 프로그램 시리즈·테이블(202)에 필드를 추가하여, 프로그램/프로그램 시리즈마다의 URL을 기록해 두도록 한다.
또한, 도 7에 나타낸 참조 정보의 내용에 더하여, 단말 기기에서의 시계의 어긋남을 보정하기 위한 정보를 아울러 부호화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참조 정보를 등록할 때 그 시점에서의 단말 기기와 서버와의 시각의 어긋남폭을 기록해 두고 참조 정보 중에 이 값을 포함시키도록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참조 정보를 수신한 다른 단말 기기에서는 지정된 어긋남폭분만큼 재생하는 위치를 어긋나게 한다고 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는 해당 장면의 화상/음성 데이터의 특징량(화소값의 평균이나 컬러 분포, 특정 주파수 성분 강약 등)을 부호화한 참조 정보 중에 포함시키도록 해도 된다. 이 때, 해당 장면의 특징량은 발언의 기록시에, 단말 기기측에서 계산한 다음 다른 정보와 함께 서버측에 업로드하도록한다. 업로드된 특징량은 참조 정보 테이블(204)에 필드를 추가하여 기록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단말 기기측의 시계가 어긋나 있는 경우라도, 이 특징량과 참조 정보 중에서 지정된 시각의 전후에 있어서의 장면의 특징량을 비교함으로써 어긋남을 보정하여 올바른 위치로부터 재생을 개시할 수 있게 된다. 또, 참조 정보로 지정된 프로그램이 단말 기기측에서 녹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지정된 특징량과 녹화필의 각 프로그램/장면에 대하여 계산된 특징량을 비교함으로써, 다른 국/시간대에서 재방송된 동 프로그램을 검색하고 그 대신에 재생한다고 하는 기능을 단말측에서 실장(實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7에 나타낸 참조 정보의 내용에 더하여, 참조하려고 하는 프로그램이 재방송되는 경우의 방송 스케쥴을 아울러 부호화하도록 해도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단말 기기에서는 해당 프로그램이 녹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이하와 같은 처리를 실행할 수 있게 된다.
(1) 지정된 프로그램 대신에, 그 때 방송분에서의 해당 장면을 검색하여 재생한다.
(2) 지정된 재방송 스케쥴이 미래의 일시인 경우, 그 녹화 예약을 행한다.
또, 참조 정보 중에 재방송 스케쥴을 포함시키는 경우에는, 도 6에 나타낸 플로 차트의 스텝 S15 처리에서, 방송 스케쥴·테이블(206)의 재방송 플래그가 TRUE로 되어 있는 레코드도 동시에 검색하도록한다. 그리고, 재방송의 방송 스케쥴에 대해서는 참조 정보 중에 포함시키지 않고, 이하와 같이 해도 된다.
(1) 재방송분에 대한 참조 정보를 별도 다운로드시킨다.
(2) 방송 스케쥴 부호화부(104)와 동일하게 하여, iEPG(Internet Electric Program Guide) 등의 소정 포맷에서 별도 다운로드시킨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각 발언에 대한 참조 정보를 하나씩 부호화하여 송신하는 것으로 했지만, 게시판의 모든 발언에 대하여 그 참조 정보를 일괄해서 부호화하여 송신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은텍스트·데이터에 대하여 복수 개의 데이터를 MIME(Multipurpose Internet Mail Extension) 멀티파트 형식으로 하나로 통합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서버와 단말 기기 사이에서의 통신 회수를 줄여, 서버측의 부하나 단말 기기측에서의 조작에 대한 리스폰스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에는, 방송 스케쥴 부호화부(104)에서의 처리 동작 순서를 플로 차트의 형식으로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이 처리에 앞서 이용자 단말 기기의 로그인 처리가 행해져, 단말 설치 지역 등의 이용자 정보가 이용자 정보 데이터 베이스(130)로부터 판독되어 세션 정보에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 처리 대상이 되는 게시판은 도 3에 나타낸 화면상에서 선택된다.
먼저, 세션 정보로부터 이용자의 지역 코드를 취득한다(스텝 S21). 그리고, 선택된 게시판에 대하여, 게시판 테이블(201)로부터 프로그램 시리즈 ID를 취득한다(스텝 S22).
이어서, 프로그램 테이블(205), 방송 스케쥴·테이블(206), 국-지역 관련 테이블(207)을 참조하여, 먼저 취득한 지역 코드 및 프로그램 시리즈 ID에 대하여, 그 프로그램 시리즈에 속하는 프로그램에서, 지정된 지역에서 현재 시각 이후, 가장 가까이 방송되는 것을 검색하여, 그 프로그램 타이틀, 방송 개시 시각, 방송 종료 시각, 및 방송국명을 취득한다(스텝 S23).
이어서, 스텝 S23에서의 검색 결과, 적절한 방송 스케쥴이 발견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24). 발견되지 않은 경우에는 에러 처리를 한다.
이어서, 먼저 취득한 프로그램 타이틀, 방송 개시 시각, 방송 종료 시각, 및방송국명에 대하여 소정 포맷(예를 들면, iEPG 형식 등)으로 부호화한다(스텝 S25).
그리고, 스텝 S25에 의해 부호화한 데이터를 요구처의 이용자 단말 기기에 송신하여(스텝 S26), 본처리 루틴 전체를 종료한다.
도 9에는, 발언 기록 처리부(105)에 의해 이용자에게 제시되는 발언 기록용 화면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용자는 동 도면에 나타낸 화면을 통해 이하의 조작을 행할 수 있다.
(1) 텍스트 입력 필드(901)에는 투고하는 발언의 내용을 기록한다.
(2) 체크·박스(902)를 사용하여, 투고하는 발언에 대하여 참조 정보도 아울러 등록하는지 여부를 선택한다.
(3) 풀다운·리스트(903)를 사용하여, 참조처가 되는 프로그램의 방송일을 선택한다.
(4) 수치 기록 필드(904)를 사용하여, 참조하는 장면의 위치를 프로그램 선두로부터의 상대 시각으로 입력한다.
도 10에는 발언 기록 처리부(105)에서의 처리 동작을 플로 차트의 형식으로 나타내고 있다.
먼저, 기록하려 하고 있는 발언에 참조 정보가 부가되어 있는지 여부, 즉, 도 9에 나타낸 화면 중에서 체크·박스(902)에서 참조 정보를 아울러 등록하는 것이 선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31). 부가되어 있으면 다음 스텝 S32로, 그렇지 않으면 스텝 S37의 처리로 천이한다.
스텝 S32에서는, 세션 정보로부터 이용자의 단말 기기가 설치되어 있는 지역의 지역 코드를 취득한다.
이어서, 게시판 테이블(201)을 참조하여, 기록처인 게시판이 대상으로 하고 있는 프로그램 시리즈의 ID를 취득한다(스텝 S33).
이어서, 프로그램 테이블(205), 방송 스케쥴·테이블(206), 및 국-지역 관련 테이블(207)을 참조하여, 먼저 취득한 지역 코드, 프로그램 시리즈 ID, 및, 도 9에 나타낸 화면의 풀다운·메뉴(903)에서 지정한 방송일을 기초로, 프로그램의 방송 회를 특정하여, 프로그램 테이블(205) 중의 대응하는 레코드의 ID를 취득한다(스텝 S34).
스텝 S35에서는, 스텝 S34에서 적절한 프로그램이 발견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적절한 프로그램이 발견되지 않은 경우에는 에러 처리를 한다.
이어서, 도 9에 나타낸 화면상의 입력 필드(904)에 입력된 참조 위치 및 스텝 S34에서 취득된 프로그램 ID에 대하여, 참조 정보 테이블(204)에 등록한다(스텝 S36).
그리고, 투고자의 ID, 기록하려 하고 있는 게시판의 ID, 현재 시각(투고일), 도 9 중에 나타낸 화면상의 텍스트 입력 필드(901)에서 기록된 발언 내용, 및 스텝 S36에서 참조 정보 테이블(204)에 등록된 레코드의 ID(스텝 S31로부터 천이되어 온 경우에는 NULL)에 대하여, 발언 테이블(203)에 등록한다(스텝 S37).
전술한 바와 같이, 발언의 투고에 처하여 이용자는 도 9에 나타낸 화면을 통해 참조 정보를 입력하게 되지만, 참조하려고 하는 프로그램의 방송일이나 장면의위치를 수동으로 입력하는 것은 번잡하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 9에 나타낸 화면과 함께 단말 기기가 해석/실행할 수 있는 스크립트·코드를 송신하여, 폼의 자동 입력을 행한다.
도 11에는, 이 스크립트·코드에 의해 실현되는 처리 동작을 플로 차트의 형식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처리는 서버측이 아니고 단말 기기측에서 행해지는 것에 유의하고 싶다. 이 처리에서는, 이용자가 단말 기기를 사용하여 직전에 시청하고 있던 프로그램/장면에 대해서, 그 방송일, 장면의 위치를 화면상의 각 입력 필드(903, 904)에 설정한다.
먼저, 그 단말 기기에서 직전에 시청하고 있던 프로그램/장면에 대하여, 방송일, 녹화 개시 시각, 장면의 위치(프로그램 선두로부터의 상대 위치)를 취득한다(스텝 S41). 그리고, 데이터의 취득은 단말 기기측에서 준비되어 있는 편입 함수를 호출하거나, 또는 특정 파일/메모리 영역을 참조함으로써 실현된다.
이어서, 스텝 S41에서 취득한 방송일에 대하여, 서버측에 기록되어 있던 프로그램 개시 시각을 취득한다(스텝 S42). 각 방송일에서의 프로그램 개시 시각은 서버측에서 미리 방송 스케쥴·테이블(206)로부터 판독한 다음, 이 스크립트·코드 중에 매립해 둔다.
이어서, 스텝 S42에서 지정한 방송일에서의 프로그램 개시 시각을 취득할 수 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스텝 S43). 그리고, 프로그램 개시 시각을 취득할 수 없는 경우, 즉, 지정일에서의 방송 스케쥴이 없는 경우에는, 스크립트·코드의 실행을 종료하고, 이용자 자신에게 폼의 데이터를 입력시킨다.
이어서, 먼저 취득한 프로그램 개시 시각과 녹화 개시 시각의 차분을 계산하여, 그 차분만큼 장면 위치를 보정한다(스텝 S44). 이에 따라, 단말 기기측에서의 프로그램 선두부터 녹화를 개시하고 있지 않은 경우라도, 참조 위치가 어긋나지 않고 올바른 값을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어서, 참조 정보 입력용의 폼(902∼904)에 대응하는 폼·오브젝트를 취득하여, 방송일을 폼(903)에, 장면 위치를 (904)에 설정한다(스텝 S45). 또, 체크·박스(902)를 선택된 상태로 설정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서버측 스크립트·코드를 송신하여 단말 기기에 실행시키지 않고, 미리 단말 기기측에 준비되어 있는 플러그인 등의 실행 모듈을 기동하여 참조 정보를 입력시키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낸 화면을 구성하는 HTML 소스·코드 중에 도 12에 나타낸 바와 동일 실행 모듈을 호출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시켜 둔다.
여기에서, 도시한 코드의 3행째는 기동하는 플러그인을 특정하기 위한 ID이다. 또, 4∼8행째는 실행 모듈에 건네주는 파라미터이며, 동 도면의 예에서는 대상 프로그램의 방송 스케쥴이나 발언/참조 정보를 등록할 때의 제출처 URL 등을 지정하고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각 프로그램의 방송 스케쥴이 지역마다 상이한 것을 전제로 한 것이었지만, 골든 타임의 프로그램 등 전국에서 동일 시각에 방송되는 프로그램만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발언/프로그램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서의 테이블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다.
도 13에는 테이블 구조를 간략화한 발언/프로그램 정보 데이터 베이스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동 도면에서, 프로그램 테이블(1301)에 방송 시간대와 방송국의 계열 네트 정보를 기록하는 동시에, 국-지역 관련 테이블(1302)에서 계열 네트마다의 각 지역에서의 방송국 명칭/채널 번호를 기록해 둔다. 이렇게 함으로써, 게시판의 대상이 되는 프로그램의 방송 스케쥴을 각 국마다 관리할 필요가 없어져, 서버의 운용 비용을 삭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각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대가 프로그램 시리즈를 통해 공통이라고 가정할 수 있는 경우에는, 방송 스케쥴의 정보(계열 네트, 방송 개시/종료 일시)를 프로그램 시리즈·테이블(202)로 옮김으로써, 더한층의 간략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확장된 프로그램 시리즈·테이블(202)의 방송 스케쥴과 방송 시간대가 상이한 방송 회에 대해서만, 프로그램 테이블(130l)에 방송 개시/종료 일시를 기록하도록 해도 된다.
또,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주로 HTTP 서버(120)를 통해 WWW상의 게시판으로서 본 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SMTP 서버(121)를 통함으로써 전자 메일로서 발언/참조 정보/방송 스케쥴 등을 이용자에게 분배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발언 기록 처리부(105)에 의해 발언/참조 정보가 등록된 시점에서, 발언 내용을 본문, 참조 정보 부호화부(103)에 의해 정형된 참조 정보를 첨부 파일로 하는 전자 메일을, SMTP 서버(121)를 통해 사전에 등록된 이용자에 대하여 분배하도록 하면 된다.
또,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전자 게시판 시스템에 응용한 것이다. 이용자에게 제시하고 싶은 정보와 함께 텔레비전 프로그램 등의 영상·음성 컨텐츠에 대한 참조 정보를 단말 기기에 송신하고, 단말 기기측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를 시청시킨다고 하는 기술은 게시판에 한정되지 않고 영상·음성 컨텐츠를 참조하면서 정보 제공을 실행하는 시스템 일반에 응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4에는, 이와 같은 정보 제공 서버에 본 발명을 응용한 경우의 시스템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 시스템에서는, 영상·음성 컨텐츠에 대한 관련 정보를 참조 정보와 함께 제시한다.
참조 번호 1400은 애플리케이션·서버이며, HTTP 서버(120) 또는 SMTP 서버(121)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컨텐츠 관련 정보의 제공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각 처리를 실행한다.
애플리케이션·서버(1400)는 도시한 대로, 관련 정보 제시부(1401)와, 참조 정보 부호화부(1402)와, 방송 스케쥴 부호화부(1403)를 구비하고 있다.
관련 정보 제시부(1401)는 전술한 전자 게시판 시스템에서의 게시판/발언 제시부(10l)에 상당하는 역할을 가지며, 제공하는 관련 정보를 참조 정보 취득용 버튼 내지 링크와 함께 이용자에게 제시한다. 이 때, 이용자 정보 데이터 베이스(130)에 등록되어 있는 단말 설치 지역의 정보에 따라, 지역마다 제공하는 관련 정보의 내용을 변경하도록 해도 된다.
참조 정보 부호화부(1402)는 전술한 전자 게시판 시스템에서의 참조 정보 부호화부(103)에 상당하는 기능을 가지며, 제공하는 관련 정보에 대하여 대응하는 참조 정보를 특정하고, 그 내용을 단말 설치 지역에 맞추어 적절히 변환하고, 소정 서식으로 정형한다고 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방송 스케쥴 부호화부(1403)는 전술한 전자 게시판 시스템에서의 방송 스케쥴 부호화부(104)에 상당하는 역할을 가지며, 제공하는 관련 정보가 참조하고 있는 프로그램에 대하여 그 방송 스케쥴을 특정하고, 그 정보를 소정 서식으로 정형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방송 스케쥴을 별개로 부호화하지 않고, 참조 정보 부호화부(1402)에서 참조 정보와 아울러 부호화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부호화된 참조 정보 중에 프로그램의 방송 개시/종료 시간을 포함시키도록 한다(방송국을 특정하는 정보는 이미 참조 정보 중에 포함되어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부호화된 참조 정보를 수신한 단말 기기에서는, 그것이 방송 전이면 녹화 예약을 하고, 방송 후이면 녹화필 프로그램의 재생을 개시한다고 하는 바와 같이 동작을 절환할 수 있게 되어, 프로그램의 방송 일시를 걸쳐서 연속하여 정보 제공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본 명세서 중에서는, 편의상, 이용자에게 제시하는 것은 영상·음성 컨텐츠에 대한 관련 정보인 것으로 했지만, 실제로는 제공하는 정보는 어떤 것이라도 상관없다. 예를 들면,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정보에 대하여 본 발명을 적용함으로써, 텔레비전 프로그램 등의 영상·음성 컨텐츠를 참조하면서 정보 제공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1) 배우의 소개 페이지를 제공하고, 그 페이지로부터 「최근의 출연작」으로서, 그 배우가 출연하는(또는 출연한) 프로그램에 대한 참조 정보를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한다.
(2) 상품의 소개/판매 페이지를 작성하고, 그 상품이 받아들여진 프로그램에 대한 참조 정보를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한다.
추가 보충
이상, 특정 실시예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풀이해 왔다. 그러나,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당업자가 이 실시예의 수정이나 대용을 이루어낼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즉, 예시라고 하는 형태로 본 발명을 개시해 온 것이며, 본 명세서의 기재 내용을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요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뒤에 기재한 특허 청구 범위의 란을 참작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온 에어 중 또는 녹화한 프로그램 컨텐츠 내의 각 장면에 대한 코멘트 등의 정보를 이용자 사이에서 공유하는 것을 매우 적합하게 지원하는, 우수한 컨텐츠 관련 정보 제공 장치 및 컨텐츠 관련 정보 제공 방법, 전자 게시판 시스템, 및 컴퓨터·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프로그램 컨텐츠 내의 각 장면에 관한 코멘트 등의 정보 작성이나 이 종류의 정보 송수신 작업을 매우 적합하게 지원할 수 있는, 우수한 컨텐츠 관련 정보 제공 장치 및 컨텐츠 관련 정보 제공 방법, 전자 게시판 시스템, 및 컴퓨터·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 게시판상의 발언을 읽으면서 그 발언이 참조하고 있는 프로그램 또는 장면을 PC나 가정용 비디오 녹화기상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중에서 찾아와 시청하거나, 마찬가지로, 특정 WWW 컨텐츠에 대하여 관련되는 프로그램이나 장면을 시청한다고 하는 구조를 실현할 수 있는, 우수한 컨텐츠 관련 정보 제공 장치 및 컨텐츠 관련 정보 제공 방법, 전자 게시판 시스템, 및 컴퓨터·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서버측에서 영상이나 음성 등의 컨텐츠 복제를 갖지 않고, 컨텐츠의 특정 개소를 참조하면서 이용자에게의 정보 제공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43)

  1. 참조 데이터가 시계열로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컨텐츠에 대한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컨텐츠 관련 정보 제공 장치로서,
    컨텐츠에 대한 관련 정보를 축적하는 관련 정보 축적 수단과,
    상기 관련 정보가 참조하는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 중의 데이터 참조 위치를 특정하는 참조 정보를 축적하는 참조 정보 축적 수단과,
    관련 정보 및/또는 참조 정보를 분배하는 정보 분배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련 정보 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분배 수단에 의한 분배처가 되는 단말 기기의 설치 지역을 특정하는 수단과,
    상기 설치 지역에 따라 분배해야 할 관련 정보 및/또는 참조 정보의 내용을 변경하는 정보 변경 수단
    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련 정보 제공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컨텐츠는 방송 프로그램이며,
    참조 정보는 프로그램을 방송하는 또는 방송한 방송국을 특정하는 정보와 프로그램 중의 참조 개소(個所)가 방송되는 또는 방송된 일시를 특정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련 정보 제공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참조 정보는 채널 번호를 사용하여 프로그램을 방송하는 또는 방송한 방송국을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련 정보 제공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참조 정보는 프로그램의 방송 개시 일시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와 프로그램의 방송 종료 시각 또는 프로그램의 길이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련 정보 제공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분배 수단은 컨텐츠에 관련되는 정보 자원을 취급하는 장소의 식별 정보를 참조 정보 중에 포함시켜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련 정보 제공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분배 수단은 분배처가 되는 단말 기기에서의 시계의 어긋남을 보정하기 위한 정보를 참조 정보 중에 포함시켜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관련 정보 제공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분배 수단은 컨텐츠 중의 참조 위치에 있어서의 컨텐츠의 특징량을 참조 정보 중에 포함시켜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련 정보 제공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분배 수단은 복수 개의 참조 정보를 통합하여 일괄해서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련 정보 제공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분배 수단은 관련 정보 및/또는 참조 정보를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프로토콜에 따라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련 정보 제공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분배 수단은 관련 정보 및/또는 참조 정보를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프로토콜에 따라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련 정보 제공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분배 수단은 참조 정보의 분배시에, 분배 메시지의 헤더에서 참조 정보인 것을 식별할 수 있는 문자열(文字列)을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련 정보 제공 장치.
  13. 참조 데이터가 시계열로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컨텐츠에 대한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컨텐츠 관련 정보 제공 방법으로서,
    컨텐츠에 대한 관련 정보를 축적하는 관련 정보 축적 스텝과,
    상기 관련 정보가 참조하는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 중의 데이터 참조 위치를 특정하는 참조 정보를 축적하는 참조 정보 축적 스텝과,
    관련 정보 및/또는 참조 정보를 분배하는 정보 분배 스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련 정보 제공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분배 스텝에 의한 분배처가 되는 단말 기기의 설치 지역을 특정하는 스텝과,
    상기 설치 지역에 따라 분배해야 할 관련 정보 및/또는 참조 정보의 내용을 변경하는 정보 변경 스텝
    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련 정보 제공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컨텐츠는 방송 프로그램이며,
    참조 정보는 프로그램을 방송하는 또는 방송한 방송국을 특정하는 정보와 프로그램 중의 참조 개소가 방송되는 또는 방송된 일시를 특정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련 정보 제공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참조 정보는 프로그램의 방송 개시 일시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와 프로그램의 방송 종료 시각 또는 프로그램의 길이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련 정보 제공 방법.
  17. 참조 데이터가 시계열로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컨텐츠에 대한 관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처리를 컴퓨터·시스템상에서 실행하도록 컴퓨터 가독(可讀) 형식으로 기술(記述)된 컴퓨터·프로그램으로서,
    컨텐츠에 대한 관련 정보를 축적하는 관련 정보 축적 스텝과,
    상기 관련 정보가 참조하는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 중의 데이터 참조 위치를 특정하는 참조 정보를 축적하는 참조 정보 축적 스텝과,
    관련 정보 및/또는 참조 정보를 분배하는 정보 분배 스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프로그램.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분배 스텝에 의한 분배처가 되는 단말 기기의 설치 지역을 특정하는 스텝과,
    상기 설치 지역에 따라 분배해야 할 관련 정보 및/또는 참조 정보의 내용을 변경하는 정보 변경 스텝
    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프로그램.
  19. 제17항에 있어서,
    컨텐츠는 방송 프로그램이며,
    참조 정보는 프로그램을 방송하는 또는 방송한 방송국을 특정하는 정보와 프로그램 중의 참조 개소가 방송되는 또는 방송된 일시를 특정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프로그램.
  20. 제18항에 있어서,
    참조 정보는 프로그램의 방송 개시 일시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와 프로그램의 방송 종료 시각 또는 프로그램의 길이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프로그램.
  21. 참조 데이터가 시계열적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 교환을 지원하는 전자 게시판 시스템으로서,
    컨텐츠에 관한 발언의 투고시에 있어서, 발언 내용과 함께 상기 컨텐츠 중에서 발언이 참조하고 있는 참조 위치를 특정하기 위한 참조 정보를 아울러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발언 내용과 참조 정보를 관련시켜 축적하는 축적 수단과,
    발언 내용의 열람시에, 대응하는 참조 정보를 요구처의 단말 기기에 송신하는 송신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게시판 시스템.
  22. 제21항에 있어서,
    정보의 제공처가 되는 단말 기기의 설치 지역을 특정하는 수단과,
    상기 특정된 설치 지역에 맞추어 참조 정보의 내용을 변경하는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게시판 시스템.
  23. 제21항에 있어서,
    컨텐츠는 방송 프로그램이며,
    참조 정보는 프로그램을 방송하는 또는 방송한 방송국을 특정하는 정보와 프로그램 중의 참조 개소가 방송되는 또는 방송된 일시를 특정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게시판 시스템.
  24. 제23항에 있어서,
    참조 정보는 채널 번호를 사용하여 프로그램을 방송하는 또는 방송한 방송국을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게시판 시스템.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은 대응하는 발언이 기록된 게시판의 명칭을 참조 정보에 포함시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게시판 시스템.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은 대응하는 발언 내용을 참조 정보에 포함시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게시판 시스템.
  27.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은 컨텐츠에 관련되는 정보 자원을 취급하는 장소의 식별 정보를 참조 정보 중에 포함시켜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게시판 시스템.
  28.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은 분배처가 되는 단말 기기에서의 시계의 어긋남을 보정하기 위한 정보를 참조 정보 중에 포함시켜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게시판 시스템.
  29.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은 컨텐츠 중의 참조 위치에 있어서의 컨텐츠의 특징량을 참조 정보 중에 포함시켜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게시판 시스템.
  30.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은 복수 개의 참조 정보를 통합하여 일괄해서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게시판 시스템.
  31. 제21항에 있어서,
    발언의 기록시에, 참조 정보를 자동적으로 취득하는 또는 이용자에게 입력을 촉구하는 실행 코드를 요구처의 단말 기기측에 송신하는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게시판 시스템.
  32. 제21항에 있어서,
    발언의 기록시에, 요구처의 단말 기기에 사전에 저장된 참조 정보를 자동적으로 취득하는 또는 이용자에게 입력을 촉구하는 실행 코드에 대하여, 그것을 기동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단말 기기에 송신하는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게시판 시스템.
  3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은 발언 내용 및/또는 참조 정보를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프로토콜에 따라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게시판 시스템.
  3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은 발언 내용 및/또는 참조 정보를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프로토콜에 따라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게시판 시스템.
  3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은 참조 정보의 분배시에, 분배 메시지의 헤더에서 참조 정보인 것을 식별할 수 있는 문자열을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게시판 시스템.
  36. 제23항에 있어서,
    게시판에서의 논의 대상이 되는 프로그램 시리즈에 대하여, 상기 시리즈의 차회(次回) 방송분의 방송 스케쥴을 특정하는 수단과,
    상기 방송 스케쥴을 요구처의 단말 기기에 송신하는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게시판 시스템.
  37. 제36항에 있어서,
    게시판을 프로그램 시리즈마다 설치하여, 게시판의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 또는 게시판 내의 발언 일람을 표시하는 화면으로부터 상기 방송 스케쥴의 다운로드를 실행하는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게시판 시스템.
  38. 제23항에 있어서,
    발언의 대상이 되는 프로그램에 대하여, 그 재방송 스케쥴을 특정하는 수단과,
    상기 재방송 스케쥴을 요구처의 단말 기기에 송신하는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게시판 시스템.
  39.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은 재방송 스케쥴을 참조 정보에 포함시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게시판 시스템.
  40. 발언의 검색 조건을 지정하는 수단과,
    상기 지정된 검색 조건에 따라, 복수 개의 게시판에 걸쳐 발언을 검색하는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게시판 시스템.
  41. 제40항에 있어서,
    발언 중에 포함되는, 또는 발언의 기록시에 별도 지정된 키워드를 검색 조건으로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게시판 시스템.
  42. 제40항에 있어서,
    발언을 기록한 이용자의 이름 또는 ID를 검색 조건으로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게시판 시스템.
  43. 제40항에 있어서,
    발언이 기록된 일시를 검색 조건으로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게시판 시스템.
KR10-2004-7021003A 2002-06-26 2003-06-16 컨텐츠 관련 정보 제공 장치 및 컨텐츠 관련 정보 제공방법, 전자 게시판 시스템, 및 컴퓨터·프로그램 KR200500128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86787 2002-06-26
JP2002186787A JP2004030327A (ja) 2002-06-26 2002-06-26 コンテンツ関連情報提供装置及びコンテンツ関連情報提供方法、電子掲示板システム、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PCT/JP2003/007597 WO2004003756A1 (ja) 2002-06-26 2003-06-16 コンテンツ関連情報提供装置及びコンテンツ関連情報提供方法、電子掲示板システム、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2827A true KR20050012827A (ko) 2005-02-02

Family

ID=29996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21003A KR20050012827A (ko) 2002-06-26 2003-06-16 컨텐츠 관련 정보 제공 장치 및 컨텐츠 관련 정보 제공방법, 전자 게시판 시스템, 및 컴퓨터·프로그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747696B2 (ko)
EP (1) EP1517245A4 (ko)
JP (1) JP2004030327A (ko)
KR (1) KR20050012827A (ko)
CN (1) CN100390763C (ko)
WO (1) WO20040037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66946B2 (en) * 1997-10-16 2004-07-27 Dentsu, Inc. System for granting permission of user's personal information to third party
JP2005348366A (ja) * 2004-06-07 2005-12-15 Sharp Corp コンテンツ視聴指示装置、コンテンツ視聴指示方法、コンテンツ情報サーバ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情報管理方法
JP2006048105A (ja) * 2004-07-30 2006-02-16 East Japan Railway Co 情報配信システム及び情報配信ネットワーク
US20080250452A1 (en) * 2004-08-19 2008-10-09 Kota Iwamoto Content-Related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Content-Related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 and Content-Related Information Acquisition Program
JP4670438B2 (ja) * 2005-04-01 2011-04-13 ソニー株式会社 コンテンツおよびそのプレイリストの提供方法
JP2006333398A (ja) * 2005-05-30 2006-12-07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映像配信方法及び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0723741B1 (ko) 2005-06-23 2007-05-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서의 시청자 입력 정보 처리 방법 및 장치
JP2007052594A (ja) * 2005-08-17 2007-03-01 Toshiba Corp 情報処理端末、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2007142750A (ja) * 2005-11-17 2007-06-07 National Agency For The Advancement Of Sports & Health 映像閲覧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端末並びにプログラム
JP4580885B2 (ja) * 2006-03-27 2010-11-17 株式会社東芝 シーン情報抽出方法、シーン抽出方法および抽出装置
JP2007334526A (ja) * 2006-06-14 2007-12-27 Hitachi Ltd コンテンツメタデータ登録方法、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08124861A (ja) * 2006-11-14 2008-05-29 Funai Electric Co Ltd テレビジョン放送視聴システム及びテレビジョン放送受信装置
KR20080093332A (ko) * 2007-04-16 2008-10-21 삼성전자주식회사 펌웨어의 업데이트 파일 생성 방법, 펌웨어 업데이트파일을 이용한 업데이트 방법 및 그 장치
JP5464632B2 (ja) * 2007-10-04 2014-04-09 日本電気株式会社 動画の視聴システム、文字コンテンツサーバ、動画の視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0118434A2 (en) * 2009-04-11 2010-10-14 Nicholas Smith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organizational merger and acquisition analysis
US10282481B2 (en) * 2009-07-31 2019-05-07 Oath Inc. Providing link to portion of media object in real time in social networking update
US9769414B2 (en) * 2009-10-14 2017-09-19 Thomson Licensing Automatic media asset update over an online social network
CN102693242B (zh) * 2011-03-25 2015-05-13 开心人网络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网络评论信息的共享方法和系统
JP5849463B2 (ja) * 2011-06-29 2016-01-27 ソニー株式会社 サーバ装置、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処理方法
JP5426709B2 (ja) 2012-03-13 2014-02-26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プログラム及び情報表示方法
CN102970337B (zh) * 2012-10-30 2016-05-25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获取客户端评论的方法及装置
JP5830581B1 (ja) * 2014-06-23 2015-12-09 株式会社ショーケース・ティービー 入力支援サーバ、入力支援方法及び入力支援プログラム
CN106131593A (zh) * 2016-06-28 2016-11-16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内容处理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63585B1 (en) * 1992-12-09 2002-10-08 Discovery Communications, Inc. Targeted advertisement using television delivery systems
US7168084B1 (en) * 1992-12-09 2007-01-23 Sedna Patent Servic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targeting virtual objects
JPH07147657A (ja) * 1993-11-22 1995-06-06 Systec:Kk テレビジョン番組表受信装置
JP3471526B2 (ja) 1995-07-28 2003-12-0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情報提供装置
US6931451B1 (en) * 1996-10-03 2005-08-16 Gotuit Media Corp. Systems and methods for modifying broadcast programming
US6088455A (en) * 1997-01-07 2000-07-11 Logan; James D. Methods and apparatus for selectively reproducing segments of broadcast programming
US20030093790A1 (en) * 2000-03-28 2003-05-15 Logan James D. Audio and video program recording, editing and playback systems using metadata
US7055166B1 (en) * 1996-10-03 2006-05-30 Gotuit Media Corp. Apparatus and methods for broadcast monitoring
US6006241A (en) * 1997-03-14 1999-12-21 Microsoft Corporation Production of a video stream with synchronized annotations over a computer network
US6173317B1 (en) * 1997-03-14 2001-01-09 Microsoft Corporation Streaming and displaying a video stream with synchronized annotations over a computer network
GB9712724D0 (en) * 1997-06-18 1997-08-20 Holmes Stev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action with broadcast television content
JPH1153389A (ja) 1997-08-07 1999-02-26 Toshiba Corp 画像再生方法、ビデオオンデマンドシステムおよび画像再生用記録媒体
JPH11143912A (ja) 1997-09-08 1999-05-28 Fujitsu Ltd 関連文書表示装置
JPH1188863A (ja) * 1997-09-12 1999-03-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番組情報表示装置
US7092914B1 (en) * 1997-11-06 2006-08-15 Intertrust Technologies Corporation Methods for matching, selecting, narrowcasting, and/or classifying based on rights management and/or other information
JP3418540B2 (ja) * 1997-12-26 2003-06-2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蓄積型情報放送システムと、このシステムの受信端末装置
JPH11252471A (ja) 1998-03-03 1999-09-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番組及び番組情報を放送するセンター装置と端末装置
US6961555B1 (en) * 1998-09-11 2005-11-01 L.V. Partners, L.P. System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a wireless device to a remote location on a network
AU5926499A (en) * 1998-09-15 2000-04-03 Microsoft Corporation Interactive playlist generation using annotations
US6493872B1 (en) * 1998-09-16 2002-12-10 Innovatv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ous presentation of video and audio transmissions and their interactive enhancement streams for TV and internet environments
US6760916B2 (en) * 2000-01-14 2004-07-06 Parkervision, Inc.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ducing and distributing enhanced media downstreams
JP4172079B2 (ja) * 1998-12-28 2008-10-29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ジタル放送を使用した情報システムおよび情報伝送方法
US7143428B1 (en) * 1999-04-21 2006-11-28 Microsoft Corporation Concurrent viewing of a video programming and of text communications concerning the video programming
JP4020562B2 (ja) 1999-07-07 2007-12-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情報管理装置及び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
JP2001043215A (ja) * 1999-08-02 2001-02-16 Sony Corp 文書処理装置、文書処理方法、及び記録媒体
JP4232283B2 (ja) * 1999-08-10 2009-03-04 ソニー株式会社 アクセス履歴提示方法及びアクセス履歴提示装置、資源提供方法及び資源提供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EP1122901A3 (en) * 2000-02-03 2006-07-1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event message transmission method
JP4025486B2 (ja) 2000-05-18 2007-12-19 富士通株式会社 情報視聴支援装置
JP2001344172A (ja) 2000-05-31 2001-12-14 Toshinori Inoue ネットワーク情報供給システム
JP4081966B2 (ja) 2000-07-19 2008-04-30 日本電気株式会社 放送番組受信装置及びその方法
KR20040041082A (ko) * 2000-07-24 2004-05-13 비브콤 인코포레이티드 멀티미디어 북마크와 비디오의 가상 편집을 위한 시스템및 방법
JP4296461B2 (ja) 2000-09-07 2009-07-15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再生システム、サーバ装置、端末装置、映像データ提供方法、再生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US7319992B2 (en) * 2000-09-25 2008-01-15 The Missio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a virtual reality environment
JP4438217B2 (ja) 2000-11-10 2010-03-24 ソニー株式会社 番組付加データ作成装置、映像番組編集装置及び番組付加データの作成画面表示方法
JP2002175311A (ja) * 2000-12-08 2002-06-21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映像情報登録方法、映像情報登録装置、映像情報検索方法及び映像情報検索装置
US7636931B2 (en) * 2001-08-17 2009-12-22 Igt Interactive television devices and systems
JP2003150529A (ja) 2001-11-19 2003-05-23 Hitachi Ltd 情報交換方法、情報交換端末装置、情報交換サーバ装置、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17245A1 (en) 2005-03-23
EP1517245A4 (en) 2011-01-05
JP2004030327A (ja) 2004-01-29
US7747696B2 (en) 2010-06-29
CN100390763C (zh) 2008-05-28
US20060156335A1 (en) 2006-07-13
CN1662893A (zh) 2005-08-31
WO2004003756A1 (ja) 2004-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12827A (ko) 컨텐츠 관련 정보 제공 장치 및 컨텐츠 관련 정보 제공방법, 전자 게시판 시스템, 및 컴퓨터·프로그램
US9171851B2 (en) One click web records
US804213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4304185B2 (ja) ストリーム出力装置及び情報提供装置
TW530490B (en) Interactive media guide with media guidance interface
US20170064369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television replay control
RU2368094C2 (ru) Технологии записи контента
JP4628629B2 (ja) プッシュされたデータを記録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08005998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media assets over a network
US20120089911A1 (en) Bookmarking System
US20090138441A1 (en) Additional Content Information
US20070199037A1 (en) Broadcast program content retrieving and distributing system
CN102207977A (zh) 交互式媒体指南应用程序的配置文件的管理
US20100205276A1 (en) System and method for exploiting a media object by a fruition device
US8301009B2 (en) Detaile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apparatus of personal video recorder
KR100838524B1 (ko)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재생장치 간의 멀티미디어컨텐츠 북마크 공유 방법 및 시스템
EP1901558A1 (en) Multimedia content bidirectional service system
JP4539663B2 (ja) コンテンツ関連情報提供装置及びコンテンツ関連情報提供方法、電子掲示板システム、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WO2002054773A9 (en) One click web records
JP4724788B2 (ja) エアチェックシステム、エアチェック装置及びエアチェックプログラム
JP2001326925A (ja) 番組映像の録画方法及び録画システム
KR20100005433A (ko) 방송 콘텐츠의 자막에 근거한 부가정보 제공 장치 및 방송수신 장치
JP2001144701A (ja) 情報フィルタリングシステム
US10390074B2 (en) One click web records
JP2001285813A (ja) 受信装置、送信装置、及び受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