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9186A - 경사 직기 - Google Patents

경사 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9186A
KR20050009186A KR1020040054689A KR20040054689A KR20050009186A KR 20050009186 A KR20050009186 A KR 20050009186A KR 1020040054689 A KR1020040054689 A KR 1020040054689A KR 20040054689 A KR20040054689 A KR 20040054689A KR 20050009186 A KR20050009186 A KR 200500091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tension member
fixed
coupling
warp l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4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7365B1 (ko
Inventor
미슈타크레지미르
Original Assignee
칼 마이어 텍스틸마쉰넨파브릭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칼 마이어 텍스틸마쉰넨파브릭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칼 마이어 텍스틸마쉰넨파브릭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50009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91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7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73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arp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27/10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27/24Thread guide bar assemblies
    • D04B27/26Shogging device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arp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27/10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27/24Thread guide bar assembl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3/00Flat warp knitting machines

Abstract

실 안내부(2)를 포함하며 인장부재(3)에 의해 이동제어부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패턴뜨기 바(bar)(1)를 구비하는 경사(經絲) 직기가 개시된다. 상기 실 안내부 제어시 정밀도를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이동제어부는 상기 패턴뜨기 바(1)의 말단에 구동부(4)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부(4)는 드럼(8)을 구비하고 상기 드럼(8)에는 인장부재(3)의 말단이 고정되고 상기 패턴뜨기 바(1)의 일단에만 복원부(5)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경사 직기{Warp weaving machine}
본 발명은 실 안내부를 포함하며 인장부재에 의해 이동제어부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패턴뜨기 바(bar)를 구비하는 경사 직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경사 직기는 DE 199 38 871 C1에 잘 알려져 있다. 상기 알려진 패턴뜨기 바는 양단에 각각 구동부를 구비한다. 상기 두 개의 구동부는 상기 패턴뜨기바에 반대방향의 장력(tension)을 가한다. 예전에 사용된 로드(rod) 형태의 바 대신에 인장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질량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경사 직기의 작동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물론, 고속의 작동속도에서는 상기 실 안내부를 매우 정밀하게 제어하는 것이 어렵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실 안내부 제어시 정밀도를 개선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경사 직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부분사시도이며,
도 2는 변형된 패턴뜨기 바를 도시하는 확대사시도이며,
도 3은 구동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4는 실 안내부를 구비한 인장부재를 도시하며,
도 5는 커플링(coupling)을 도시하며,
도 6은 드럼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VII-VII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8은 삽입링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도 9는 드럼에 위치한 삽입링을 조정하는 도구를 도시한다.
상기 목적은, 이동제어부가 상기 패턴뜨기 바의 말단에 구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부가 드럼을 구비하고 상기 드럼에는 인장부재의 말단이 고정되고 상기 패턴뜨기 바의 일단에만 복원부가 배치되는 처음에 언급한 종류의 경사 직기에 의해 해결된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장부재는 항상, 상기 구동부와 상기 복원부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소정의 장력(tension)으로 유지된다. 구동부와 복원부가 존재함으로써, 상기 인장부재의 이동방향을 제어할 때 원칙적으로 부하가 변하지 않는다. 상기 인장부재의 이동발생에 관여하는 전체부분은 항상 동일한 방향에서 부하받는다. 이를 위해, 상기 인장부재는 상기 드럼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와 상기 인장부재는 매우 정밀하게 연결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장부재와 상기 구동부 사이의 순수한 마찰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슬라이딩 현상이 효율적으로 방지된다. 상기 드럼이 회전할 때 상기 인장부재는 상기 드럼의 외주에 보다 많이 또는 적게 감긴다. 상기 드럼의 각도위치, 즉, 높은 정밀도로 조정할 수 있는상기 구동부의 각도위치로 인해, 상기 인장부재에 고정된 실 안내부의 위치를 마찬가지로 매우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드럼의 외주는 전이방향에서 실 안내부의 최대 진행경로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인장부재는 항상 적은 권취수로 상기 드럼 위에 감기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드럼의 전체 각도위치를 위해 상기 드럼의 각도위치와 상기 실 안내부의 위치간의 정렬은 전이방향에서 정밀하게 수행된다. 상기 드럼의 직경이 이미 감겨진 상기 인장부재의 위치에 기초하여 확대되는 점프(jump) 위치의 영역에서는 정렬이 정밀하게 수행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드럼의 직경은 적어도 3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직경은 훨씬 크며 50mm 또는 심지어 60mm이다. 이미 상기 드럼의 직경이 30mm인 경우, 9cm 이상의 상대적으로 큰 최대 전이경로를 얻는다. 상기 드럼의 직경이 6cm인 경우, 직경에서는 상기 최대 전이경로는 이미 실질적으로 18cm보다 크다. 이는, 실이 그에 대응하여 멀리 전이될 수 있는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이러한 전이는 일반적으로 두 개의 스티치(stitch) 열 사이에서 수행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류의 큰 전이부를 사용함으로써 패턴을 실질적으로 자유로이 형성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상기 언급한 전이경로 주위에 위치한 직물의 가장자리를 옮길 수 있다. 예를 들어, 9cm (30mm 직경에서) 이상 또는 18cm (60mm의 드럼의 직경에서) 이상의 진폭을 가지는 회전축 형태의 패턴이 실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장부재는 그 말단과 함께 외주개구부에 의해 상기 드럼의 내부로 안내되고 고정된다. 이는, 상기 인장부재의 말단을 상기 드럼에 상대적으로 간단하게 고정할 수 있어서 상기 위치가 정의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드럼과 관련하여 상기 인장부재는 상기 드럼의 외주벽의 개구부에서 시작된다. 상기 개구부에서 상기 인장부재는 상기 드럼의 회전위치와 무관하게 더 넓게 또는 좁게 감겨진다. 또한, 상기 실시예는, 동일한 길이의 인장부재가, 상기 실 안내부와 서로 다른 간격으로 배치된 드럼을 구비한 구동부에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는, 일반적으로, 다수의 대응하는 인장부재에 의해 구동되는 다수의 실 안내부의 그룹을 구비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이 경우, 상기 구동부를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해야한다. 상기 인장부재의 말단이 상기 드럼의 내부로 더 넓게 또는 좁게 진입됨으로써, 상기 인장부재의 길이를 상기 드럼의 위치에 간단히 맞출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장부재가 상기 드럼의 내부에서 삽입링에 고정되고 상기 삽입 링은 상기 드럼에 상대적으로 서로 다른 각도위치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장부재를 상기 삽입링에 고정하고 상기 인장부재의 말단을 상기 삽입링 위에 감음으로써, 상기 인장부재에 고정된 실 안내부는 상기 원하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이는, 적어도 하나의 간단한 조정 예이다. 또다른 방식으로, 이하 설명되는 바와 같은 미세조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삽입링이 상기 드럼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삽입링을 상기 드럼의 내부에서 연속적으로 조정할 수 있으므로, 상기 실 안내부의 위치를 매우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삽입링은 회전모멘트 고정측면부를 구비한다. 상기 삽입링을 상기 드럼의 내부에서 회전하기 위한 도구가 사용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드럼은 기계를 고정하는 고정부와 함께 작용하는 회전고정부를 구비한다. 상기 드럼의 기본위치를 조정하기 위해서 고정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드럼은 상기 회전고정부가 상기 고정부에 인접할 때까지 회전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드럼은 전기적으로 작은 각도로 후퇴한다. 이렇게 도달된 위치는 이하에서 기계 영점(zero point)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상기 삽입링은, 상기 대응하는 인장부재에 고정된 실 안내부가 상기 드럼의 원하는 위치를 점유할 때까지, 다시 말해서, 예를 들어, 각각 두 개의 직기바늘 사이의 바늘 경로에 위치할 때까지 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삽입링은 상기 드럼에 고정된다.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구점의 범위를 인식하거나 상기 대응하는 인장부재의 영점을 찾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고정부는 상기 구동부에 대향하는 상기 드럼의 측면에 배치되고 고정부가 플레이트에 돌출부로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는 기계를 고정하는 베이스 위에 고정되며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구동부도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레이트로 인해 설치가 간단해진다. 상기 베이스는 한편으로는 상기 구동부를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야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베이스는 상기 플레이트를 고정할 수 있어야한다. 반드시 상기 플레이트를 사용해야하는 경우, 상기 플레이트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고정부를 소정의 한계로 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부는 전기모터와 기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부의 출구회전축에는 상기 드럼이 연결된다. 상기 전기모터는 예를 들어, 서보모터, 즉, 영구자석여기된 동기모터로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전기모터는 또한 비동기모터로형성되거나 직류모터로 형성될 수도 있다. 기본적으로, 스텝모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종류의 모터는 상대적으로 정밀한 각도위치설정을 수행할 수 있는 모터이어야한다. 물론, 대부분의 경우, 작은 각도증분(increment)에서는 인장이 없는 작동을 보장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상기 인장부재가 작은 길이로 이동할 때, 상기 모터가 기어전이부에서 확대된 각도증분을 지연하기 위해 기어부를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기어부는 구현되지않는 실시예에서 많은 비용이 소모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이와는 달리, 구현가능한 실시예에서 기어부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위치설정상의 정밀도가 감소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이동방향으로는 상기 구동부만이, 그리고 또다른 방향으로는 상기 복원부만이 사용되므로, 장력이 항상 일방향으로만 작용하여 상기 기어동작은 더 이상 간섭받지 않는다. 또한, 마찰력 및 질량이 매우 낮은 경우, 상기 기어부는 매우 낮은 조정력으로 작동할 수 있다. 여기서, 이러한 조정력은 80N보다 작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장부재는 상기 드럼의 영역에 배치되고 리본으로 형성된 제1 단면부 및, 상기 실 안내부의 영역에 배치된 제2 단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 단면부는 분리가능한 커플링(coupling)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실시예는, 상기 패턴뜨기 바를 교체하더라도 상기 구동부를 그대로 둘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러한 종류의 교체동작은 예를 들어, 상기 실 안내부의 위치설정이 또다른 패턴을 위해 변경되어야만 하는 경우에 필요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커플링만이 릴리스되고 상기 패턴뜨기 바가 이격되며 또다른 패턴뜨기 바 또는, 실 안내부를 구비한 또다른 제2 단면부가 상기 제1 단면부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커플링은 두 개의 평행하게 서로 배치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제1 커플링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두 개의 플레이트는 볼트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제2 커플링부재가 상기 볼트에서 후크(hook)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제2 커플링부재는 서로 이격되어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는 개구부에서 상기 제1 커플링부재의 플레이트에 맞물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는 달리, 어떠한 이유에서든지 항상 장력이 상기 인장부재에서 감소되면 상기 돌출부는, 상기 두 개의 커플링부재가 서로 릴리스되는 것을 보장하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본은 개구부에 의해, 상기 리본에 연결된 커플링부재로 안내되며 고리를 형성하고 상기 고리의 내측은 서로 인접하거나 상기 커플링부재에 편평하게 인접한다. 인장부하시 신장될 수 있는 상기 인장부재의 리본형태의 말단의 영역이 존재하지 않는다. 오히려, 상기 커플링의 영역에는 상기 인장부재의 원하는 조정된 길이가 유지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플링이 최대 3mm의 높이를 가진다. 상기 커플링은 매우 편평하므로, 그 편평한 측면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다수의 인장부재가 동시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플링의 폭은 상기 리본의 폭이며 최대 30%를 초과한다. 상기 커플링은 상기 리본보다 약간 넓지만 동시에 상기 커플링의 폭을 제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으므로, 다수의 인장부재를 폭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게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본은 최대 0.1mm의 공차(tolerance)를 가진다. 상기실시예는 특히, 상기 인장부재를 팽팽하게 하기 위해 고정부를 사용하는 경우에 상기 인장부재를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러한 종류의 리본은, 장력방향의 실과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매트릭스로 구성되는 플라스틱 리본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의 일부는 50% 이상이어야 한다. 상기 매트릭스는,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polyimide)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장부재가 그 길이의 일부에서 안내측면부에 안내되며 상기 안내측면부는 코팅을 구비한다. 상기 안내측면부는 상기 인장부재를 그 길이의 일부로 지지하고, 상기 인장부재가 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코팅은 상기 안내측면부와 상기 인장부재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키므로, 상기 인장부재를 이동하기 위해 작은 힘으로 다시 작동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팅은 그래파이트(graphite) 및/또는 몰리브덴이황화물을 포함하는 슬라이딩 래커(lacquer)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종류의 코팅은 특히, 상기 인장부재와 상기 안내측면부 사이의 마찰을 줄이는 데에 매우 적합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드럼과, 상기 복원부의 회전롤러는 동일평면에 위치한다. 특히, 리본형태의 단면부를 구비하는 인장부재를 사용하는 경우에, 이러한 방식으로 측면 부하, 즉, 상기 리본의 평면에 횡방향인 부하를 방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은 실 안내부(2)를 구비한 패턴뜨기 바(bar)(1)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실제로, 상기 패턴뜨기 바(1)는 실질적으로 크며, 일반적으로 상기 실 안내부(2)보다 크도록 형성된다. 상기 도면은 간소화를 위해 선택되었다.
상기 실 안내부(2)는 인장부재(3)에 고정된다. 상기 인장부재(3)는 구동부(4)와 복원부(5) 사이에서 팽팽해진다. 상기 복원부(5)는 상기 인장부재(3)의 위치와 무관하게 상기 인장부재(3)에 일정한 장력을 발생한다. 이를 위해, 상기 복원부(5)는 예를 들어, 압축공기실린더로 형성된다.
상기 구동부(4)는, 기어부(7)에 의해 드럼(8)을 구동하는 전기모터(6)를 구비한다. 상기 모터(6)는 부가적으로, 상기 모터(6)의 각도위치를 검출하는 도너(donor)(9)를 구비한다. 상기 모터(6)는 서보모터로 형성될 수 있는데, 다시 말해서, 상기 모터(6)는 영구자석여기된 로터(rotor) 및 회전필드코일을 구비한다. 상기 모터(6)를 영구자석여기된 동기모터로 특징지울 수도 있다. 원칙적으로, 비동기모터 또는 직류모터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스텝모터의 사용도 고려할 수 있다. 상기 모터(6)를 제어하는 데에 사용된 전자공학은 개략적인 설명을 위해 도시되어 있지 않다.
상기 기어부(7)는 예를 들어, 1:10 또는 1:20의 전이부를 구비하므로, 대략 1°의 상기 드럼(8)의 회전에는 대략 10°또는 20°의 모터(6)의 로터의 회전이 필요하다. 상대적으로 큰 각도증분에서 상기 모터(6)의 로터의 이동을 보다 양호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인장부재(3)는 다수의 단면부를 구비한다. 제1 단면부는 리본(10)으로 형성된다. 상기 리본(10)은 커플링(coupling)(11)에 의해, 상기 인장부재(3)의 제2 단면부를 형성하는 와이어(wire)(12)에 연결된다(도 5). 와이어 대신에 와이어 로프(wire rope) 또는 그와 유사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커플링(11)은 제1 커플링부재(15) 및 제2 커플링부재(13)를 구비한다. 상기 리본(10)은 상기 제2 커플링부재(13), 정확히 말하자면, 개구부(14)에 의해 안내되고, 고리(10a)를 형성한다. 상기 고리(10a)의 내면은 서로 인접해있거나 상기 제2 커플링부재(13)에 인접해 있으므로, 상기 와이어(12)에 대해서 상기 리본(10)의 인장부하시 신장될 수 있는 영역이 형성되지 않는다. 상기 인장부재(3)의 길이는 부하와 무관하게 변경되지 않는다.
상기 제1 커플링부재(15)는 두 개의 평행한 플레이트(16, 17)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두 개의 플레이트(16, 17)는 상기 리본(10)에 대향한 말단에서 볼트(bolt)(18)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12)와 연결된 대향하는 말단에는 유사한 볼트(19)가 배치된다. 상기 볼트(19)는, 상기 와이어(12)가 고정된 아일릿(eyelet)(20)에 의해 작용없이 안내된다.
상기 볼트(18) 뒤에는 상기 제1 커플링부재(13)의 후크(hook)(21)가 고정된다. 상기 후크(21)는 그 전단에 두 개의 돌출부(22)를 구비한다. 상기 돌출부(22)는 대응하는 개구부(23)에서 상기 플레이트(16, 17)로 진입한다. 상기 돌출부(22)는 서로 바이어스(bias)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돌출부(22)는 상기 개구부(23)로 탄력있게 진입한다. 상기 돌출부(22)는 상기 후크(21)의 선단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후크(21)가, 그 선단이 서로 이격되어 굽어진, 두 개의 연속적으로 배치된 박판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돌출부(22)는 상기 후크(21)의 선단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플링(11)은, 상기 후크(21)가 상기 볼트(18)에서 제거되면서 쉽게릴리스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커플링부재(15)는 상기 제2 커플링부재(13)에 대해 방향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사한 방식으로, 상기 제1 커플링부재(15)가 소정의 각도로 상기 제2 커플링부재(13)에 적용되는 경우, 상기 후크(21)는 상기 볼트(18) 뒤에 다시 고정될 수 있으므로, 상기 두 개의 돌출부(22)는 상기 개구부(23)에 삽입된다.
도 4는 적용된 실 안내부(2)를 구비한 인장부재(3)를 도시한다. 상기 실 안내부(2)는 샤프트(shaft)(25)를 구비한다. 상기 샤프트(shaft)(25)는 T자형 고정부(26)에 단단히 연결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샤프트(25)와 상기 고정부(26) 사이에는 곡선이동이 수행될 수 없다. 상기 샤프트(25)는 상기 인장부재(3)의 이동에 수반된다. 상기 고정부(26)의 양측에는 슬라이딩부(27, 28)가 배치된다. 도 2를 참조로 하여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부(27, 28)에 의해 상기 인장부재(3)가 상기 실 안내부(2)의 인접 샤프트에 지지될 수 있다.
도 2는 다수의 실 안내부(2)를 구비하고 도 1과 비교하여 변형된 배치 바(1')를 도시하는 확대사시도이다. 상기 다수의 실 안내부(2) 각각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인장부재(3)에 현가된다. 상기 인장부재(3)는 안내측면부(29, 30)에 안내된다. 상기 안내측면부(29, 30)는, 코팅(33)을 구비한, 상기 실 안내부의 수에 대응하는 수의 홈(nut)(31, 32)을 구비한다. 상기 코팅(33)은 그래파이트(graphite) 및/또는 몰리브덴이황화물을 포함하는 슬라이딩 래커(lacquer)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물질을 결합할 수도 있다. 상기 코팅(33)은 상기 슬라이딩부(27, 28)와 함께 마찰없이 상호작용한다. 상기 안내측면부(29, 30) 사이에는 분리벽(34)이 배치된다. 이에 상응하여, 상기 실 안내부(2)는 상기 분리벽(34)의 일측에서 그 인장부재(3)를 간섭하며, 상기 실 안내부(2)는 상기 분리벽(34)의 맞은 편에서 상호적이지 않다. 상기 슬라이딩부(27, 28) 및 상기 고정부(26)를 구비한 상기 인장부재(3)는 상기 홈(31, 32)으로 안내된다. 상기 실 안내부(2)의 샤프트(25)는 상기 안내측면부(29, 30)와 상기 분리벽(34) 사이의 공간으로 돌출한다.
상기 구동부(4)는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설치 플레이트(35)에 고정된다. 상기 설치 플레이트(35)는 각각 개구부(36)를 구비한 다수의 설치위치를 구비한다. 상기 개구부(36)를 통해 상기 기어부(7)는 적어도 출구회전축과 함께 안내될 수 있다. 상기 드럼(8)은, 예를 들어,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원추부(cone) 또는 연결부를 사용하여 상기 출구회전축에 고정된다.
상기 설치 플레이트(35)에는 고정 플레이트(37)가 고정된다. 상기 고정 플레이트(37)는 상기 각각의 구동부(4)에 대해, 고정부(38)를 형성하는 치부(tooth portion) 또는 돌출부를 구비한다. 상기 고정부(38)는 회전고정부(39)와 함께 상호작용하며, 도 6 및 도 7을 참조로 하여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고정부(39)는 상기 구동부(4)에 대향된, 상기 드럼(8)의 측면에 고정된다.
상기 리본(10)은 슬릿(slit)(40)에 의해 상기 드럼(8)의 외주벽(41)으로 안내된다. 상기 슬릿(40)은 상기 회전고정부(39)에 공간절약적으로 배치되므로, 상기 회전고정부(39)가 상기 고정부(38)에 인접하는 경우, 상기 리본(10)이 약간 적은 수의 코일로상기 드럼(8)의 외주벽(41)에 감긴다.
상기 리본(10)을 상기 드럼(8)의 내부에 고정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나사(43)를 사용하여 상기 리본(10)이 고정되는 삽입링(42)이 구비된다. 도 8에 도시된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리본(10)은 상기 삽입링(42)와 함께 주형에 부어진다.
상기 삽입링(42)은, 그 축에서 회전될 때 상기 리본(10)이 감길 수 있는 외주면(44)을 구비한다. 회전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삽입링(42)은, 그 내벽에 배치된 다수의 홈으로 이루어지는 회전모멘트 고정측면부(45)를 구비한다. 상기 회전모멘트 고정측면부(45)에는 도 9에 도시된 도구(46)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삽입링(44)은 그 내주에 순환하는 돌출부(47)를 구비한다. 상기 돌출부(47)에서 상기 드럼(8)의 내부에 배치된 디스크(disc)(48)가 압박되며, 상기 디스크(48)는 외주방향으로 동일한 형태로 분할된 세 개의 나사(49)에 의해 작용한다. 상기 나사(49)는, 상기 도구(46)가 상기 회전모멘트 고정측면부(45)에 의해 고정된다고 하더라도, 상기 도구(46)내의 개구부(50)에 의해 출입가능하다.
설치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삽입링(42)은 그 안에 고정된 리본(10)에 의해 상기 드럼(8)에 삽입된다. 그 이전에, 상기 나사(49)가 릴리스되고 상기 나사(48)는 이격된다. 상기 삽입링(42)이 삽입된 후에, 상기 디스크(48)가 삽입되고 상기 나사(49)에 의해 상기 드럼(8)에 대해 쉽게 팽팽해진다. 상기 드럼(8)은 그 회전고정부(39)와 함께 상기 고정부(38)와 반대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는 수동으로 수행되거나 상기 모터(6)의 제어하에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39)에 도달한 후에, 상기 드럼(8)은 상기 모터(6)에 의해 작은 각도로 역전된다. 따라서, 이미 위에서 수행된 바와 같이, 이하 기계 영점(zero point)으로 사용될 수 있는 상기 드럼(8)의 회전위치가 정의된다. 상기 삽입링(42)은 상기 드럼(8)의 내부에서 회전된다. 이때, 상기 리본(10)이 상기 삽입링(42)의 상기 외주면(44)에 감긴다. 여기서, 상기 리본(10)이 하나의 위치 또는 다수의 위치에서 감기는지의 여부는 알 수 없다. 상기 삽입링(42)은 반드시 상기 리본(10)의 상대적으로 큰 길이를 수용하는 위치에 있다. 상기 구동부(4)의 소정의 설치위치에서 상기 설치 플레이트(35)에 고정되는지의 여부와 무관하게 상기 동일한 리본(10)이 사용될 수 있다.
조립체(assembly)가 상기 드럼(8)에 대해 상기 삽입링(42)을 조정하므로, 그 리본(10)이 상기 드럼(8)에 존재하는 삽입링(42)에 감기는 대응하는 인장부재(3)가 고정된 실 안내부가 경사 직기의 직기바늘의 대응하는 바늘경로에 위치한다. 이러한 조정은 시각적으로 쉽게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조정동작이 수행되면, 상기 나사(49)는 고정되고 상기 삽입링(42)은 상기 드럼(8)에 고정된다. 상기 경사 직기의 나머지 작동부재에 대한 실 안내부의 조정동작을 상대적으로 간단한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실 안내부(2)의 제어동작은, 상기 리본(10)이 상기 드럼(8)의 외주에 고정되고 얽히지 않기 때문에 매우 정밀하게 수행될 수 있다. 상대적으로 큰 전이경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실 안내부(2)의 시작점과 종료점 사이의 이전은 매우 큰 값을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드럼(8)의 외주가 이에 상응하여 클 경우, 상기 전이값은 150mm 이상이다.
상기 리본(10)은 실제적으로 신장될 수 없다. 상기 리본(10)은, 장력방향으로 향한 실과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매트릭스로 구성되는 플라스틱 밴드로 형성된다. 상기 실의 일부는 50% 이상이다. 상기 플라스틱은,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polyimide)일 수 있다. 상기 리본(10)의 두께는 0.1mm 미만의 공차(tolerance)를 가지므로, 상기 밴드(10)가 상기 드럼(8)의 외주에 감기는 경우, 상기 리본(10)의 두께는 상기 실 안내부(2)의 위치설정에 실제적으로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전체 진행경로에는 상기 드럼(8)의 회전보다 적게 필요하다. 상기 리본(10)의 두께는 0.5mm 이하이다. 상기 와이어(12)도 인장부하가 발생할 때 실제적으로 신장될 수 없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처음에 언급한 종류의 경사 직기를 제공함으로써 실 안내부 제어시 정밀도를 개선할 수 있다.

Claims (19)

  1. 실 안내부를 포함하며 인장부재에 의해 이동제어부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패턴뜨기 바(bar)를 구비하는 경사 직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제어부가 상기 패턴뜨기 바의 말단에 구동부(4)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부(4)는 드럼(8)을 구비하고 상기 드럼(8)에는 인장부재(3)의 말단이 고정되고 상기 패턴뜨기 바(1)의 일단에만 복원부(5)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8)의 외주는 전이방향에서 실 안내부(2)의 최대 진행경로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직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8)의 직경은 적어도 3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직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부재(3)가 그 말단과 함께 외주개구부(40)에 의해 상기 드럼(8)의 내부로 안내되고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직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부재(3)가 상기 드럼(8)의 내부에서 삽입링(4)에 고정되고 상기 삽입링(42)은 상기 드럼(8)에 상대적으로 서로 다른 각도위치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직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링(42)은 상기 드럼(8)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직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링(42)은 회전모멘트 고정측면부(4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직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8)은 기계를 고정하는 고정부(38)와 함께 작용하는 회전고정부(3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직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고정부(39)는 상기 구동부(4)에 대향하는 상기 드럼(8)의 측면에 배치되고 고정부(36)가 플레이트(37)에 돌출부로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37)는 기계를 고정하는 베이스(35) 위에 고정되며 상기 베이스(35)에는 상기 구동부(4)도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직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4)는 전기모터(6)와 기어부(7)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부(4)의 출구회전축에는 상기 드럼(8)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직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부재(3)는 상기 드럼(8)의 영역에 배치되고 리본(10)으로 형성된 제1 단면부 및, 상기 실 안내부의 영역에 배치된 제2 단면부(12)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 단면부는 분리가능한 커플링(coupling)(11)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직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11)은 두 개의 평행하게 서로 배치된 플레이트(16, 17)를 포함하는 제1 커플링부재(15)를 구비하며 상기 두 개의 플레이트(16, 17)는 볼트(18)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제2 커플링부재(13)가 상기 볼트(18)에서 후크(hook)(21)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제2 커플링부재(13)는 서로 이격되어 돌출된 돌출부(22)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22)는 개구부(23)에서 상기 제1 커플링부재(15)의 플레이트(16, 17)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직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리본(10)은 개구부(14)에 의해, 상기 리본(10)에 연결된 커플링부재(13)로 안내되며 고리(10a)를 형성하고 상기 고리(10a)의 내측은 서로 인접하거나 상기 커플링부재(13)에 편평하게 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직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11)이 최대 3mm의 높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직기.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11)의 폭은 상기 리본(10)의 폭이며 최대 30%를 초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직기.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리본(10)은 최대 0.1mm의 공차(tolerance)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직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부재(3)는 그 길이의 일부에서 안내측면부(29, 30)에 안내되고 상기 안내측면부(29, 30)는 코팅(3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직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33)은 그래파이트(graphite) 및/또는 몰리브덴이황화물을 포함하는 슬라이딩 래커(lacquer)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직기.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8)과, 상기 복원부(5)의 회전롤러(24)는 동일평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직기.
KR1020040054689A 2003-07-16 2004-07-14 경사 직기 KR1006173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332235.3 2003-07-16
DE10332235A DE10332235B3 (de) 2003-07-16 2003-07-16 Kettenwirkmas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9186A true KR20050009186A (ko) 2005-01-24
KR100617365B1 KR100617365B1 (ko) 2006-08-28

Family

ID=33461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4689A KR100617365B1 (ko) 2003-07-16 2004-07-14 경사 직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498531B1 (ko)
JP (1) JP3978201B2 (ko)
KR (1) KR100617365B1 (ko)
CN (1) CN100478511C (ko)
DE (2) DE10332235B3 (ko)
TW (1) TWI23886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35927A (ja) * 2006-08-02 2008-02-21 Sophia Precision Corp 鍛練装置
CN100451200C (zh) * 2006-08-18 2009-01-14 王占洪 编织机牵引杆连接扣
CN201003097Y (zh) * 2007-01-29 2008-01-09 王占洪 经编机花梳栉横移传动装置
DE102009042213B3 (de) 2009-09-18 2011-03-24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Wirkmaschine
EP2623654A1 (de) * 2012-02-04 2013-08-07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Legebarrenanordnung einer Kettenwirkmaschine
CN103088543B (zh) * 2013-03-01 2015-05-13 广州市霏鸿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牵引铝轮装置
CN103266410B (zh) * 2013-05-14 2015-03-11 常州市武进五洋纺织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全成形服装生产的经编机
CN105671780A (zh) * 2016-04-01 2016-06-15 卡尔迈耶(中国)有限公司 经编机钢丝花梳精确定点归零装置
DE202022106404U1 (de) 2022-11-15 2022-11-21 Karl Mayer Stoll R&D Gmbh Kettenwirkmaschine und Musterlege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25683A1 (de) * 1979-06-19 1981-01-15 Sulzer Ag Legeschienenanschlusskupplung
DE4114012C3 (de) * 1991-04-29 1996-07-04 Liba Maschf Kettenwirkmaschine mit auf einer Legebarre angebrachten individuell bewegbaren Fadenführern
DE19938871C1 (de) * 1999-08-17 2001-05-10 Mayer Textilmaschf Kettenwirkmaschine
DE10035160B4 (de) * 2000-07-19 2004-06-03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Kettenwirkmaschine mit mindestens einer Barre
DE10041193B4 (de) * 2000-08-23 2004-07-22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Kettenwirkmaschine mit mehreren Musterlegebarr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78511C (zh) 2009-04-15
TW200513561A (en) 2005-04-16
DE502004004849D1 (de) 2007-10-18
TWI238865B (en) 2005-09-01
CN1576427A (zh) 2005-02-09
JP2005036380A (ja) 2005-02-10
EP1498531A1 (de) 2005-01-19
DE10332235B3 (de) 2005-06-16
JP3978201B2 (ja) 2007-09-19
KR100617365B1 (ko) 2006-08-28
EP1498531B1 (de) 2007-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05458B2 (ja) 糸を回転駆動される巻き取りボビンに横振り供給するための糸ガイド
KR100617365B1 (ko) 경사 직기
JP6827103B2 (ja) 中空形状織地を製作する円形織機および方法
KR0158777B1 (ko) 드레드의 장력 조절용 장치
KR860000948B1 (ko) 편물기에 있어서의 적극형 실송급장치
TW200722571A (en) Neddle loom with automatic change of the weft thread
CN112281283A (zh) 具有环绕轨道的圆织机
US4850544A (en) Yarn metering bobbin
CN111302140A (zh) 一种纱线卷绕装置及纱线卷绕工艺
US6418976B2 (en) Thread brake system with a linear electric motor for weaving looms
EP1432636B1 (en) Device and apparatus with magnetic thread-guide for winding a thread onto cylindrical supports
EP2674521B1 (en) Loom with a leno selvage forming apparatus
ATE356236T1 (de) Nadelwebmaschine mit automatischem wechsel des schussfadens
KR19990063264A (ko) 자카드 타입 제직기의 셰드 형성 장치에 케이블 요소를 설치하는 방법
EP1095893B1 (en) Weft brake, particularly for weaving looms
KR20070081808A (ko) 와인더의 트래버스 권취장치
KR100575492B1 (ko) 경사 직기
US11047074B2 (en) Weaving machine and corresponding weaving method
KR200305698Y1 (ko) 정경기
EP0808790B1 (en) Winding machine
KR20230040929A (ko) 경편기의 가이드 바 구동 장치
KR970700792A (ko) 사에 에스(s) 꼬임이나 젯트(z) 꼬임을 교대로 부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process and device for alternately giving a yarn an "s" twist or a "z" twist)
SU865136A3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рокладывани уточной нити на ткацком станке с волнообразно подвижным зевом
JPH06299438A (ja) 経糸開口が直列に配置された織機の挿入装置
SU742500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одачи нит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