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7388A -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7388A
KR20050007388A KR10-2004-7017783A KR20047017783A KR20050007388A KR 20050007388 A KR20050007388 A KR 20050007388A KR 20047017783 A KR20047017783 A KR 20047017783A KR 20050007388 A KR20050007388 A KR 200500073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indoor unit
air conditioner
refrigerant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7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5844B1 (ko
Inventor
나카니시준이치
이노우에키요시
소노모토히데히로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07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7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5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58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or o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6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refrigerant piping outside the heat exchanger within the unit ca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25Cross-flow or tangential f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음원이 되는 전동 밸브(33a) 등의 냉매 회로 부품을 실내기(93) 중에 배치한 경우에도, 실내기(93)의 외부로 음이 새어 나오기 어렵게 하는 것이다.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93)는 냉매의 응축·팽창에 의하여 공기 조화를 행하는 것이고, 실내 열교환기와 냉매 회로 부품을 구비하고 있다. 실내 열교환기는 냉매와 공기 간에서 열교환을 행하게 하는 것이고, 전측 열교환부(41)와 후측 열교환부(42)를 가지고 있다. 후측 열교환부(42)는 전측 열교환부(41)보다도 유효 길이가 짧다. 냉매 회로 부품은 냉매의 흐름을 바꾸기 위한 부품으로, 전동 밸브(33a)나 분류기(39) 등이다. 냉매 회로 부품은 전측 열교환부(41)와 후측 열교환부(42)와의 유효 길이의 차이에 의하여 생기는 스페이스(SP)에 배치된다.

Description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실내기와 실외기로 나누어진 세퍼레이트식의 공기 조화 장치에는, 1대의 실외기에 대하여 1대의 실내기만을 접속하는 페어형의 공기 조화 장치와, 1대의 실외기에 대하여 병렬로 복수의 실내기를 접속하는 멀티형의 공기 조화 장치가 존재한다.
도 1에, 페어형의 공기 조화 장치의 외관도를 도시한다. 여기에 도시하는 공기 조화 장치(81)에서는, 하나의 실외기(82)에 대하여 하나의 실내기(83)가 연관 대응되어 냉매 배관이나 전송선으로 이루어지는 접속부(89)에 의하여 양자(82, 83)가 접속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페어형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는, 팬 로터(3, fan rotor), 열교환기(4), 전장품 상자(3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구성 부품은, 전면 그릴 조립체(10), 전면 패널(11), 바닥 프레임(12) 등으로 구성되는 케이싱 내에 배치된다. 바닥 프레임(12)은 실내의 벽면에 고정되는 설치판(15)에장착되어 실내벽 등에 고정된다. 전면 그릴 조립체(10)의 상면에는 슬릿상의 상부 흡입구(10a)가 설치되고, 전면 패널(11)에도 상방 및 측방에 전면 흡입구(11a)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흡입구(10a, 11a)의 안쪽에는, 공기 청정용의 에어 필터(17)가 배치된다. 또한 전면 그릴 조립체(10)의 전면 하부에는, 팬 로터(3)에 의하여 생성된 공기류를 불어내는 취출구가 형성된다.
팬 로터(3)는 바닥 프레임(12)에 형성된 팬 수납부(12a)에 배치되며, 일단이 베어링(13)을 통하여 바닥 프레임(12)에 장착되고, 타단이 모터(14)의 회전축과 연결된다. 이 모터(14)는 모터 고정 부재(16)에 의하여 바닥 프레임(12)에 고정된다.
열교환기(4)는 팬 로터(3)의 전방, 상방 및 후부 상방을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있고, 모두 유효 길이가 (L)인 전측 열교환부(141)와 후측 열교환부(142)로 분할되어 있다. 각 열교환부(141, 142)는 좌우 양단에서 복수회 되접어 꺾인 전열관에 다수의 방열 핀(fin)이 장착된 것이고, 팬 로터(3)의 구동에 의하여 상부 흡입구(10a) 및 전면 흡입구(11a)로부터 빨아들여진 공기를 팬 로터(3) 측으로 통과시켜, 전열관의 내부를 통과하는 냉매와 공기 간에서 열교환을 행하게 하는 것이다. 열교환기(4)는 냉매 배관을 통하여 실외기로부터의 냉매 배관과 접속된다. 또한 전측 열교환부(141)의 하방에는, 전(前)드레인 팬(pan)이나 불어내는 공기의 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날개 등을 포함하는 드레인 팬 조립체(18)가 배치된다.
덧붙여 열교환기의 전측 열교환부 및 후측 열교환부의 유효 길이는, 반드시 같지 않아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 공개 2001-82795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열교환기의 전측 열교환부 및 후측 열교환부의 유효 길이를 다른 것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의 도면 1이나 도면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페어형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와, 1대의 실외기에 대하여 병렬로 복수의 실내기를 접속하는 멀티형의 공기 조화 장치에서 채용되는 실내기는, 종래 각각 다른 설계가 행해지고 있다. 이와 같은 현상에 대하여, 최근에는, 페어형의 실내기와 멀티형의 실내기 간에서 부품(parts)을 공통화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페어형과 멀티형에서는 열교환기의 스펙이 다른 것이 많지만, 케이싱의 부분 등을 공통화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페어형과 달리, 멀티형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에는, 복수의 실내기를 개별적으로 발정(發停, 시동과 정지)하거나 제어하거나 하는 것으로부터, 내부에 전동 밸브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많다. 이 전동 밸브는, 실내기의 열교환기에 흐르는 냉매량을 조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액가스 혼합 상태의 냉매가 팽창할 때 등에 비교적 큰 음을 낸다.
이 멀티형의 실내기에 특유의 부품인 전동 밸브 등의 소음원을 통상의 페어형의 케이싱 내에 배치한다고 하면, 페어형의 실내기에서 냉매 배관군이 집중적으로 배치되는 열교환기의 측방의 공간에 배치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같은 케이싱을 이용한다고 하면, 페어형의 실내기이면 소음이 나지 않아도, 멀티형의 실내기가 되면 전동 밸브 등으로부터의 소음이 실내로 새어 나오는 것이 상정된다. 이것에서는 페어형의 실내기와 멀티형의 실내기에서 케이싱 등의 부품을 공통화하는 것이어렵다.
본 발명은,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 특히, 열교환기나 냉매 회로 부품을 가지고 냉매의 응축·팽창에 의하여 공기 조화를 행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에서의 페어형의 공기 조화 장치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에서의 실내기의 조립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되는 실내기를 포함하는 멀티형의 공기 조화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멀티형의 공기 조화 장치의 냉매 회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실내기의 모터측 부분의 내부 사시도이다.
도 6은 실내기의 단면 개략도이다.
이 발명의 목적은, 소음원이 되는 전동 밸브 등의 냉매 회로 부품을 실내기중에 배치한 경우에도, 실내기 외부로 음이 새어 나오기 어려운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청구항 1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는, 냉매의 응축·팽창에 의하여 공기 조화를 행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에 있어서, 열교환기와, 냉매 회로 부품을 구비하고 있다. 열교환기는 냉매와 공기 간에서 열교환을 행하게 하는 것이고, 전측 열교환부와 후측 열교환부를 가지고 있다. 후측 열교환부는 전측 열교환부보다도 유효 길이가 짧다. 냉매 회로 부품은 냉매의 흐름을 바꾸기 위한 부품이고, 전동 팽창 밸브나 분류기 등이다. 냉매 회로 부품은 전측 열교환부와 후측 열교환부의 유효 길이의 차이에 의하여 생기는 스페이스에 배치된다.
여기에서는, 우선, 후측 열교환부의 유효 길이를 전측 열교환부의 유효 길이보다도 짧게 구성하여, 실내기의 배면측에서 소정의 스페이스를 만들어 내고 있다. 그리고 냉매의 흐름을 바꿀 때 비교적 큰 음을 내는 전동 밸브나 분류기와 같은 냉매 회로 부품을 그 스페이스에 배치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여기에서는, 소음원으로 되는 냉매 회로 부품을 실내기 내부의 배면측의 스페이스에 배치하기 때문에, 실내기의 정면측으로 새어 나오는 음의 양이 줄어들어, 실내에 있는 사람에게 불쾌감을 주는 것이 억제된다.
청구항 2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실내기에 있어서, 실외기 및 복수의 실내기를 가지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이다. 그리고 후측 열교환부의 유효 길이를 전측 열교환부보다도 짧게 한 것에 의한 스페이스에 배치되는 냉매 회로 부품은, 전동 밸브를 적어도 포함하고 있다. 전동 밸브는 복수의 실내기에 흐르게 하는 냉매의 양을 조정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는, 멀티형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에 내장되는 것이 많은 전동 밸브가, 소음을 가두기 쉬운 실내기 내부의 배면측의 스페이스에 배치된다. 전동 밸브는, 냉매량을 조정할 때 비교적 큰 소음을 내는 것이 있지만, 여기에서는 실내기의 외부로 음이 새어 나오기 어려운 상기의 스페이스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실내에 있는 사람에게 소음이 크게 들리게 되는 일이 없어진다.
청구항 3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는,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실내기에 있어서, 냉매 회로 부품이 배치되는 스페이스를 덮는 금속제 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냉매 회로 부품을 실내기 내부의 배면측의 스페이스에 배치하여 실내기의 정면측으로 새어 나오는 음의 양을 억제하는 것뿐만 아니라, 나아가 상기의 스페이스를 금속제 부재로 덮고 있다. 이 때문에, 수지제인 것이 많은 케이싱을 통과하여 실내기의 외부로 새어 나오는 레벨이 큰 소음이 냉매 회로 부품으로부터 발생한 경우에도, 금속제 부재의 차음 효과에 의하여, 그 소음이 실내기의 외부로 새어 나오는 것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는,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한 항에 기재된 실내기에 있어서, 팬 로터와, 방풍 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다. 팬 로터는 공기 조화된 공기를 실내로 보낸다. 방풍 부재는, 냉매 회로 부품이 배치되는 스페이스와 팬 로터 간에 배치된다.
후측 열교환부의 유효 길이를 전측 열교환부의 유효 길이보다도 짧게 구성하면, 일반적으로 생각하면 유효 길이가 긴 전측 열교환부에 팬 로터의 길이를 맞추게 된다. 이 때문에, 상기의 스페이스 (전측 열교환부와 후측 열교환부와의 유효 길이의 차이에 의하여 생기는 스페이스)가 팬 로터의 일부와 인접하게 된다. 이 경우에, 그 스페이스와 팬 로터 간에 아무것도 설치하지 않으면, 열교환기를 통과하지 않고 상기의 스페이스로부터 직접 팬 로터로 공기가 흘러 들어갈 우려가 있다.
이것에 대하여, 청구항 4에 관련되는 실내기에서는, 냉매 회로 부품이 배치되는 스페이스와 팬 로터 간에 방풍 부재를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열교환기를 통하지 않는 공기가 팬 로터로 흘러드는 불편을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는, 청구항 4에 기재된 실내기에 있어서, 열교환기로부터 떨어지는 드레인 수(水)를 받는 드레인 팬을 더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방풍 부재의 하단은, 드레인 팬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 드레인 팬은, 전측 열교환부의 하단의 하방이나 후측 열교환부의 하단의 하방에 배치되어 드레인 수를 받는 것이고, 종래의 실내기에서도 넓게 이용되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는, 방풍 부재의 하단이 드레인 팬까지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열교환기 등으로부터 방풍 부재로 적하한 물이, 종래부터 있는 드레인 팬으로 흐르게된다. 이것에 의하여, 방풍 부재로부터 팬 로터로 물이 떨어지는 불편을 억제할 수 있다.
<멀티형의 공기 조화 장치의 개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멀티형의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이용되는 실내기이다. 이 멀티형의 공기 조화 장치(91)는, 하나의 실외기(92)에 대해서 복수의 실내기(93 ~ 96)가 접속되는 것이다. 실외기(92)와 실내기(93 ~ 96)는, 냉매 배관이나 전송선으로 이루어지는 접속부(99a ~ 99d)에 의하여 접속되어 있다. 4대의 실내기(93 ~ 96)는, 예를 들면, 가정 내에서나 빌딩 내, 점포 내에 있어서, 각각 다른 방에 배치된다.
<멀티형의 공기 조화 장치의 냉매 회로>
이 멀티형의 공기 조화 장치(91)의 냉매 회로(190)를 도 4에 도시한다. 냉매 회로(190)는, 1대의 실외기(92)와, 실외기(92)에 병렬로 접속된 4대의 실내기(93 ~ 96)와, 냉매 배관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실외기(92)는 압축기(20), 사방 전환 밸브(21), 실외 열교환기(22), 어큐뮬레이터(23, accumulator) 등을 구비하고 있다. 압축기(20)의 토출측에는, 압축기(20)의 토출측의 토출관 온도를 검지하기 위한 토출관 서미스터(24, thermistor)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실외기(92)에는, 외기(外氣) 온도를 검지하기 위한 외기 서미스터(25)와, 실외 열교환기(22)의 온도를 검지하기 위한 실외 열교 서미스터(26)가 설치되어 있다.
각 실내기(93 ~ 96)는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하, 실내기(93 ~ 96)에 대해서, 실내기(93)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실내기(93)는, 서로 직렬로 접속된 실내 열교환기(4a) 및 전동 밸브(33a, 팽창 밸브)를 구비하고 있다. 전동 밸브(33a)는 실내 열교환기(4a)의 냉매 출구측에 설치되어 있고 실내 열교환기(4a)에 흐르는 냉매량을 조정한다. 또한 실내기(93)는, 실내 온도를 검지하기 위한 실온 서미스터(31a)와, 실내 열교환기(4a)의 온도를 검지하기 위한 실내 열교 서미스터(32a)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실내 열교환기(4a)와 전동 밸브(33a) 간의 배관에는, 실내 열교환기(4a)와 전동 밸브(33a) 간의 액관 온도를 검지하기 위한 액관 서미스터(34a)가 설치되어 있다. 실내 열교환기(4a)의 가스관측 (냉매 입구측)에는, 내부를 통과하는 냉매 온도를 검지하는 가스관 서미스터(35a)가 설치되어 있다.
다른 실내기(94, 95, 96)에 대해서도 실내기(93)와 같은 구성이며, 도 4에있어서, 실내 열교환기, 전동 밸브, 각종 서미스터에 대해서 동등한 기호를 붙이고 있다.
<실내기에서의 부품 구성 및 부품 배치>
상기와 같이, 멀티형 공기 조화 장치(91)에서 사용되는 실내기(93 ~ 96)는, 전동 밸브(33a ~ 33d)를 내장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실내기(93)를 예로 들어, 멀티형 공기 조화 장치에서 사용되는 실내기에 대해서 부품의 배치를 중심으로 하여 설명한다.
실내기(93)에서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팬 로터(3)의 전방, 상방, 및 후방의 일부를 덮는 실내 열교환기(4a)가, 주로 전측 열교환부(41) 및 후측 열교환부(42)로 구성되어 있다. 후측 열교환부(42)는, 전측 열교환부(41)보다도 유효 길이가 짧고, 그 모터(14)측의 단부(42b, 端部)가 전측 열교환부(41)의 단부(41b)보다도 실내기(93)의 폭 방향 중앙 부분 근처에 위치하고 있다 (도 5 참조). 이것에 의하여, 후측 열교환부(42)의 외측 (모터(14)측의 측방)에는, 비교적 큰 스페이스(SP)가 확보된다. 이 스페이스(SP)의 폭 치수는, 전측 열교환부(41)와 후측 열교환부(42)의 유효 길이차와 대체로 같은 치수이고, 100mm ~ 150mm로 되어 있다.
또한 실내기(93)에서는, 전측 열교환부(41)의 상단(41a)과 후측 열교환부(42)의 상단(42a)이 약간 떨어지는 구조가 채용되어 있고, 그 사이는 접속판(43)이 붙여져 있다. 이 접속판(43)은 전측 열교환부(41)와 후측 열교환부(42)를 실내 열교환기(4a)로서 일체화하는 것과 함께, 실내 열교환기(4a)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의팬 로터(3)로 전측 열교환부(41)나 후측 열교환부(42)를 통하는 일 없이 공기가 소통해 버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실내기(93)에서는, 전측 열교환부(41)와 후측 열교환부(42)의 유효 길이의 차이에 의하여 생겨난 스페이스(SP)에, 전동 밸브(33a), 전동 밸브(33a)에 접속되는 냉매 배관(133), 전동 밸브(33a)를 나온 냉매를 실내 열교환기(4a)의 각 전열 유로로 분류시키는 분류기(39) 등을 배치하고 있다. 전동 밸브(33a)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지 보수성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나아가 실내기(93)에서는, 전동 밸브(33a) 등이 배치되는 스페이스(SP)를, 금속 커버(50)와, 상하 칸막이판(44)과, 좌우 칸막이판(45)에 의하여 둘러싸고 있다. 금속 커버(50)는 스페이스(SP)의 상방을 덮는 제1 커버부(51)와, 제1 커버부(51)의 전단으로부터 전측 열교환부(41)의 전면을 따라 비스듬히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2 커버부(52)와, 제1 커버부(51)의 후단으로부터 비스듬히 하방으로 연장되어 스페이스(SP)의 후방을 덮는 제3 커버부(53)가 일체로 형성된 판금 부재이다. 이 금속 커버(50)는 주로 차음(遮音)의 목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하 칸막이판(44) 및 좌우 칸막이판(45)은, 스페이스(SP)에 흘러든 공기가 팬 로터측으로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서 설치되어 있는 금속제의 판상(板狀) 부재이다. 상하 칸막이판(44)은 팬 로터(3)의 상방에 위치하고, 팬 로터(3)의 주위의 스페이스와 전동 밸브(33a) 등이 배치되는 스페이스(SP)를 칸막이하고 있다. 좌우 칸막이판(45)은, 후측 열교환부(42)의 스페이스(SP)측의 단부(42b)로부터 수직 전방으로 연장되는대략 삼각형의 부재이고, 각 변이 후측 열교환부(42)의 단부(42b), 접속판(43)의 스페이스(SP)측의 단부, 및 상하 칸막이판(44)의 단부와 직교하도록 접하고 있다.
또한 전측 열교환부(41)의 하단의 하방에는 전드레인 팬(61)이, 후측 열교환부(42)의 하단의 하방에는 후드레인 팬(62)이 각각 배치되어 있다. 이들 드레인 팬(61, 62)은, 도 2의 종래의 바닥 프레임(12) 및 드레인 팬 조립체(18)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바닥 프레임이나 드레인 팬 조립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실내 열교환기(4a) 등으로부터 떨어지는 드레인 수를 받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실내기(93)에서는, 스페이스(SP)를 둘러싸는 상기의 상하 칸막이판(44)이나 좌우 칸막이판(45), 후측 열교환부(42)의 스페이스(SP)측의 단부(42b)가 교차하는 부분으로부터 드레인 수가 팬 로터(3)에 대해서 떨어지지 않게, 그 부분의 하방에 드레인 경로(63)를 형성하고 있다. 이 드레인 경로(63)는, 상하 칸막이판(44)과 좌우 칸막이판(45)의 교차 부분에 있어서, 금속판 (상하 칸막이판(44)의 일부, 좌우 칸막이판(45)의 일부, 혹은, 이들 칸막이판(44, 45)에 장착되는 별도의 부재)을 만곡(灣曲)시켜 단면이 포켓상이 되는 구조로 한 것이다. 이것에 의하여, 후측 열교환부(42)의 단부(42b)로부터 좌우 칸막이판(45)을 통해 내려온 드레인 수나, 압력차에 의하여 스페이스(SP)로부터 간극을 통해 상하 칸막이판(44)과 좌우 칸막이판(45)의 교차 부분으로부터 팬 로터(3)측으로 배어 나온 드레인 수가, 드레인 경로(63)로 유도되어 드레인 팬(62)으로 흘러 들어가게 된다 (도 6 참조).
<실내기의 특징>
[1]
실내기(93)에서는, 우선, 후측 열교환부(42)의 유효 길이를 전측 열교환부(41)의 유효 길이보다도 짧게 구성하고, 실내기(93)의 배면측에 있어서 소정의 스페이스(SP)를 만들어 내고 있다. 그리고 냉매의 흐름을 바꿀 때 비교적 큰 음을 내는 전동 밸브(33a)나 분류기(133)와 같은 냉매 회로 부품을, 그 스페이스(SP)에 배치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실내기(93)의 후측에 전동 밸브(33a) 등의 소음원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음의 지향성으로부터 판단하여, 실내에 있는 사람에게 들리는 소음 레벨이 작게 억제되도록 된다.
[2]
실내기(93)에서는, 전동 밸브(33a) 등의 소음원으로 되는 냉매 회로 부품을 실내기(93)의 배면측 스페이스(SP)에 배치하여 실내기(93)의 정면측으로 새어 나오는 음의 양을 억제하는 것뿐만 아니라, 나아가 스페이스(SP)를 금속 커버(43)로 덮고 있다. 따라서, 수지제인 것이 많은 케이싱을 통과하여 실내기(93)의 외부로 새어 나오는 레벨이 큰 소음이 전동 밸브(33a) 등으로부터 발생한 경우에 있어서도, 금속 커버(43)의 차음 효과에 의하여, 그 소음이 실내기(93)의 외부로 새어 나오는 것이 억제된다.
덧붙여 전동 밸브(33a)를 접착제나 고무로 덮는 종래부터의 차음 대책도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실내기(93)에서는, 후측 열교환부(42)의 유효 길이를 전측 열교환부(41)의 유효 길이보다 짧게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전측 열교환부(41)의 유효 길이에 대응하고 있는 팬 로터(3)의 길이는, 후측 열교환부(42)보다도 길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스페이스(SP)는 팬 로터(3)의 모터(14)측의 일부분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에, 스페이스(SP)와 팬 로터(3) 간에 아무것도 설치하지 않으면, 실내 열교환기(4a)의 각 열교환부(41, 42)의 어느 것도 통과하지 않고 스페이스(SP)로부터 직접 팬 로터(3)로 공기가 흘러 들어갈 우려가 있다.
이것에 대하여, 실내기(93)에서는, 전동 밸브(33a) 등이 배치되는 스페이스(SP)와 팬 로터(3) 간에 상하 칸막이판(44) 및 좌우 칸막이판(45)을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실내 열교환기(4a)를 통하지 않은 공기가 팬 로터(3)로 흘러 들어가는 불편이 억제되어 있다.
[4]
실내기(93)에서는, 상하 칸막이판(44)에 의하여 공기가 스페이스(SP)로부터 팬 로터(3)로 하강하여 오는 것을 막고, 좌우 칸막이판(45)에 의하여 공기가 스페이스(SP)로부터 전측 열교환부(41)와 후측 열교환부(42)의 단부(42b) 간을 통하여 팬 로터(3)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하 칸막이판(44) 및 좌우 칸막이판(45)의 하단이 드레인 팬(62)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후측 열교환부(42)의 단부(42b) 등으로부터 물방울이 칸막이판(44, 45)으로 흘렀을 때에도, 그 물이 드레인 팬(62)으로 흘러든다.
또한 팬 로터(3)보다 짧은 후측 열교환부(42)의 단부(42b)나 양 칸막이판(44, 45)의 교차 부분으로부터 압력차 등에 의하여 간극을 통하여 팬 로터(3)측으로 나오는 드레인 수는, 드레인 경로(63)에 의하여 드레인 팬(62)으로 유도된다. 이 때문에, 상기와 같이 스페이스(SP)를 설치하여 칸막이 판(44, 45)에 의하여 스페이스(SP)를 둘러싼 경우에도, 드레인 수가 팬 로터(3)로 떨어지는 불편이 억제된다.
[5]
실내기(93)는 전동 밸브(33a)를 구비하고 있어, 그대로 룸 에어컨 등의 페어형의 공기 조화 장치에 유용하는 것은 생각하기 어렵다. 그러나 실내기(93)의 실내 열교환기(4a)를 페어형의 실내기용 실내 열교환기와 바꿀 수 있도록 구조를 설계하고, 케이싱의 부분에 대해서 멀티형과 페어형에서 공통화를 도모하는 것은 가능하다.
예를 들면, 케이싱을 공통으로 해 두고, 업무용으로 사용되는 것이 많은 멀티형의 실내기에서는 상기의 실내기(93)와 같이 전측 열교환부와 후측 열교환부와의 유효 길이가 다른 실내 열교환기를 세트하고, 페어형의 실내기에서는 전측 열교환부와 후측 열교환부와의 유효 길이가 같은 실내 열교환기를 세트하도록 설계를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열교환기 유닛을 이용하면, 후측 열교환부의 유효 길이를 전측 열교환부의 유효 길이보다도 짧게 구성하고, 실내기의 배면측에서 소정의 스페이스를 만들어 내어, 냉매의 흐름을 바꿀 때 비교적 큰 음을 내는 전동 밸브나 분류기와 같은 냉매 회로 부품을, 그 스페이스에 배치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실내기의 정면측으로 새어 나오는 음의 양이 줄어들어, 실내에 있는 사람에게 불쾌감을 주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Claims (5)

  1. 냉매의 응축·팽창에 의하여 공기 조화를 행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에 있어서,
    전측 열교환부(41)와 후측 열교환부(42)를 가지고, 냉매와 공기 간에서 열교환을 행하게 하는 열교환기(4a)와,
    상기 냉매의 흐름을 바꾸는 냉매 회로 부품(33a, 39)
    을 구비하고,
    상기 후측 열교환부(42)는, 상기 전측 열교환부(41)보다도 유효 길이가 짧으며,
    상기 냉매 회로 부품(33a, 39)은, 상기 전측 열교환부(41)와 상기 후측 열교환부(42)와의 유효 길이의 차이에 의하여 생기는 스페이스(SP)에 배치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
  2. 제1항에 있어서,
    실외기(92) 및 복수의 실내기(93 ~ 96)를 가지는 공기 조화 장치(91)의 실내기이고,
    상기 스페이스(SP)에 배치되는 상기 냉매 회로 부품은, 적어도, 상기 복수의 실내기(93 ~ 96)에 흐르게 하는 냉매의 양을 조정하기 위한 전동 밸브(33a)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스(SP)를 덮는 금속제 부재(50)를 더 구비한,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기 조화된 공기를 실내로 보내기 위한 팬 로터(3, fan rotor)와,
    상기 스페이스(SP)와 상기 팬 로터(3) 간에 배치되는 방풍 부재(44, 45)
    를 더 구비한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4a)로부터 떨어지는 드레인 수(水)를 받는 드레인 팬(62, pan)을 더 구비하고,
    상기 방풍 부재(44, 45)는 그 하단이 상기 드레인 팬(62)까지 연장되어 있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
KR1020047017783A 2002-05-15 2003-05-06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 KR1006058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39745 2002-05-15
JP2002139745A JP3731067B2 (ja) 2002-05-15 2002-05-15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PCT/JP2003/005671 WO2003098119A1 (en) 2002-05-15 2003-05-06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7388A true KR20050007388A (ko) 2005-01-17
KR100605844B1 KR100605844B1 (ko) 2006-08-01

Family

ID=29544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7783A KR100605844B1 (ko) 2002-05-15 2003-05-06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1515095B1 (ko)
JP (1) JP3731067B2 (ko)
KR (1) KR100605844B1 (ko)
CN (2) CN1294386C (ko)
AT (1) ATE530856T1 (ko)
AU (1) AU2003235853B2 (ko)
ES (1) ES2373546T3 (ko)
WO (1) WO20030981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24179A (ja) * 2007-03-15 2008-09-25 Sanyo Electric Co Ltd 空気調和機
JP2008309444A (ja) * 2007-06-18 2008-12-25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US9267701B2 (en) * 2010-10-25 2016-02-23 Thomas L Purnell Temperature control system for a controlled environmental vault
JP6616076B2 (ja) * 2015-02-09 2019-12-04 シャープ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7244773B2 (ja) * 2021-01-22 2023-03-2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壁掛け式の空調室内機、および空気調和装置
CN113108419B (zh) * 2021-03-15 2022-06-1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多联机空调系统的控制方法
CN113432190A (zh) * 2021-07-08 2021-09-24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室内机及空调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9837A (ja) * 1993-11-12 1995-06-02 Sanyo Electric Co Ltd 空気調和機
JP3121505B2 (ja) * 1994-11-02 2001-01-09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H09280597A (ja) * 1996-04-09 1997-10-31 Hitachi Ltd 壁掛け形空気調和機
JPH10205877A (ja) * 1997-01-20 1998-08-04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JP3276918B2 (ja) * 1998-02-25 2002-04-22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4296649B2 (ja) * 1999-09-13 2009-07-1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JP2001090985A (ja) * 1999-09-27 2001-04-03 Daikin Ind Ltd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5844B1 (ko) 2006-08-01
ES2373546T3 (es) 2012-02-06
JP3731067B2 (ja) 2006-01-05
ATE530856T1 (de) 2011-11-15
AU2003235853B2 (en) 2006-07-27
WO2003098119A1 (en) 2003-11-27
AU2003235853A1 (en) 2003-12-02
EP1515095A4 (en) 2010-07-14
CN1294386C (zh) 2007-01-10
CN2723879Y (zh) 2005-09-07
CN1650134A (zh) 2005-08-03
JP2003336857A (ja) 2003-11-28
EP1515095B1 (en) 2011-10-26
EP1515095A1 (en) 2005-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2800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JP3327082B2 (ja) 一体型空気調和機
KR100605844B1 (ko)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
CN106949557B (zh) 壁挂式空调一体机
JP6848956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JPH1030827A (ja) 空気調和機
JP3332841B2 (ja) 空気調和機
CN114731086B (zh) 马达、马达组装体及空调装置
JP3257753B2 (ja) 空気調和機
JP2706383B2 (ja) 天井埋込形空気調和機
JP3900004B2 (ja) 空気調和機
CN218118090U (zh) 空调室内机
CN218065120U (zh) 空调室内机
CN115046276B (zh) 一种换气装置及空调器
JP7235994B2 (ja) 換気装置、および換気装置の組み立て方法
JP2002357338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KR100624737B1 (ko) 공기조화기
JP4552945B2 (ja) 空気調和装置
WO2005052457A1 (ja) 空気調和装置
KR200281747Y1 (ko) 벽내장형 열회수식 환기장치
JPH0356821Y2 (ko)
KR200312467Y1 (ko) 천장카세트형 에어컨의 흡입그릴 구조
KR200221819Y1 (ko) 공조기기
KR100564457B1 (ko) 공기조화기
JP2024078584A (ja) 給気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熱交換形換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