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7371A - 변기 시트 또는 변기 덮개의 개폐 장치 및 개폐 장치의전달 유닛 - Google Patents

변기 시트 또는 변기 덮개의 개폐 장치 및 개폐 장치의전달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7371A
KR20050007371A KR10-2004-7017644A KR20047017644A KR20050007371A KR 20050007371 A KR20050007371 A KR 20050007371A KR 20047017644 A KR20047017644 A KR 20047017644A KR 20050007371 A KR20050007371 A KR 200500073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seat
opening
toilet
shaft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7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5765B1 (ko
Inventor
하야시료스케
데라다요시로
가토사토시
하시두메겐지
Original Assignee
도토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토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토기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07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73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5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57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0Devices for raising and lowering, e.g. tilting or lifting mechanisms; Collapsible or rotating seat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2Hin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변기 시트 또는 변기 덮개의 개폐 장치(31)는, 기단부(3ℓ, 4ℓ)를 중심으로 각각 회전운동해서 기복하는 변기 시트(3), 변기 덮개(4)의 회전운동 중심선(C)상에 배치된 회전운동축(17)을 가지고 변기 본체(30)에 간접적으로 고정된 개폐 제어 유닛(5)과, 이 회전운동 중심선(C)상에 배치되고 한쪽 단부가 개폐 제어 유닛(5)의 회전운동축(17)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동시에 타단부가 변기 시트(3)의 기단부(38)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출력축(12) 및 출력축(12)을 변기 시트(3)의 개방 방향으로 가압하는 비틀림 스프링(13)이 내장된 시트용 전달 유닛(9)을 구비하고 있다. 변기 시트 또는 변기 덮개의 개폐 장치(31)는 비교적 소형이고, 변기 시트, 변기 덮개를 기립 자세에서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변기 시트, 변기 덮개의 자중 토크의 대소에 대응하여 구성부품의 공통화도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변기 시트 또는 변기 덮개의 개폐 장치 및 개폐 장치의 전달 유닛{OPENING/CLOSING DEVICE FOR TOILET SEAT OR TOILET LID, AND TRANSMISSION UNIT FOR THE DEVICE}
종래의 서양식 변기는, 변기 본체의 배면 측의 림 상면부분에 변기 시트, 변기 덮개가 기립, 도복 가능하게 축지지 된 단순한 구조였는데, 최근, 온수세정 변기 시트 장치나 난방 변기 시트 장치가 장착되게 되어, 이러한 변기에서는, 상기 림 상면부분에 배치된 수납 케이스에 변기 시트, 변기 덮개가 축지지 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수납 케이스는 온수세정 기능이나 변기 시트 난방 기능을 작동, 제어하기 위한 전장부품 등을 내장하고 있기 때문에, 림 상면보다도 높게 돌출한 형상으로 해야만 하여, 그 결과, 변기 시트, 변기 덮개의 축지지 위치는 종래의 양식 변기보다도 높아지고 있다.
이와 같이 변기 시트, 변기 덮개의 축지지 위치가 높아지면, 남자가 소변을 볼 때에 변기 시트 및 변기 덮개를 기립시키고, 그대로의 자세로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어, 소변을 보는 중에 변기 시트나 변기 덮개가 도복할 우려가 있었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 온수세정 변기 시트 장치를 구비한 변기에서는, 사용자의 검출 신호 또는 리모트 컨트롤 조작 등에 의해 변기 시트, 변기 덮개를 전동으로 자동 개폐하는 자동 개폐 장치 또는 변기 시트, 변기 덮개를 완만하게 폐지하기 위한 댐퍼 장치 내에, 변기 시트, 변기 덮개를 개방 측으로 가압하는 비틀림 스프링을 설치함으로써, 자동 개폐 장치 또는 댐퍼 장치와 비틀림 스프링을 일체화 한 개폐 제어 유닛으로 하고, 이 개폐 제어 유닛을 온수세정 변기 장치의 수납 케이스 내에 고정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로 함으로써, 변기 시트, 변기 덮개를 열 수 있게 되어, 변기 시트, 변기 덮개의 개방 상태(변기 시트, 변기 덮개가 자립한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하여, 본의 아니게 닫히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그런데, 상품개발의 현장에서는, 다양한 시장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폭넓은 변형의 상품 군을 효율적으로 형성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하나의 기본 수단에 기초하여 고객의 여러 요망에 따른 여러 변형을 가진 상품을 개발해 가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온수세정 변기 시트 장치의 자동 개폐 장치나 댐퍼 장치에서도, 여러 상품 변형에 있어서의 복수 종류의 변기 시트, 변기 덮개의 자중 토크 특성의 차이에 맞추어, 각각에 맞는 자동 개폐 장치나 댐퍼 장치를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고 있다. 이 때문에, 자동 개폐 장치에서는, 예를 들면 구동 모터의 토크를 올리거나, 구동 계통의 기어의 감속비를 변경하거나, 비틀림 스프링의 수단을 변경하거나 하여, 여러 변형에 따른 상품개발이 행해지고 있다. 또, 댐퍼 장치에서도,예를 들면 댐퍼실의 용적을 증감시키거나, 비틀림 스프링의 수단을 변경하거나 하여, 여러 상품 변형에 따른 개발이 행해지고 있다.
이 때문에, 상품 변형의 증가에 따라 부품의 종류가 증가하여, 막대한 제조 코스트, 관리 코스트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부품류의 제작에도 장시간을 요하고 있다. 또, 변형이 증가함으로써, 제조시의 조립 코스트나 관리 코스트도 증대한다.
또, 종래의 온수세정 변기 시트 장치에서는, 변기 시트, 변기 덮개를 개방 측으로 가압하는 비틀림 스프링이 자동 개폐 장치 내 또는 댐퍼 장치 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비틀림 스프링의 부착 스페이스 분만큼 이들 장치가 대형화하는 것은 피할 수 없고, 온수세정 변기 시트 장치의 경량화, 컴팩트화를 저지하는 요인의 하나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비교적 소형이고, 변기 시트, 변기 덮개를 기립 자세에서 안정 유지할 수 있고, 변기 시트, 변기 덮개의 자중 토크의 대소에 대응하여 구성부품의 공통화도 도모할 수 있는 변기 시트 또는 변기 덮개의 개폐 장치 및 이 개폐 장치를 구성하는 전달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서양식 변기에 장착되는 변기 시트 또는 변기 덮개의 개폐 장치 및 당해 개폐 장치를 구성하는 전달 유닛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인 변기 시트 또는 변기 덮개의 개폐 장치를 탑재한 온수세정 변기 시트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도 4는 도 1에 도시하는 온수세정 변기 시트 장치에 있어서의 변기 덮개 및 변기 시트의 제거 방법을 도시하는 설명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하는 온수세정 변기 시트 장치의 변기 시트 및 변기 덮개의 좌측 기단부를 수납 케이스로부터 이탈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하는 온수세정 변기 시트 장치의 변기 덮개 및 변기 시트의 우측기단부를 수납 케이스로부터 이탈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의 화살표 Q방향으로 본 측면도이고, 도 8은 수납 케이스로부터 이탈시킨 변기 시트의 우측 기단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9는 수납 케이스로부터 이탈시킨 변기 시트와 변기 덮개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0∼도 11은 수납 케이스로부터 이탈시킨 변기 시트의 좌측 기단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2 및 도 13은 수납 케이스로부터 이탈시킨 변기 시트의 우측 기단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4는 수납 케이스로부터 이탈시킨 변기 덮개의 좌측 기단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5는 수납 케이스로부터 이탈시킨 변기 덮개의 우측 기단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에서의 화살표 P로 나타내는 부분의 수직단면도이고, 도 17은 시트용 전달 유닛 부근을 도시하는 분해 단면도이고, 도 18(a)는 시트용 전달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8(b)는 도 18(a)에서의 화살표 R방향으로 본 도면이다.
도 19는 변기 시트 자중 토크가 상이한 2종류의 변기 시트 장치(제품 A 및 제품 B)에서의 「변기 시트 회전운동 각도」와 「변기 시트 자중 토크」와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고, 도 20은 제품 A, B에서의 각각의 「변기 시트 회전운동 각도」와 시트용 전달 유닛의 「스프링 토크」와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고, 도 21은 제품 A, B 각각의 「변기 시트 회전운동 각도」와, 변기 시트 자중 토크와 시트용 전달 유닛의 스프링 토크와의 「합성 토크」와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22는 1개의 개폐 제어 유닛 또는 댐퍼 유닛과 복수의 전달 유닛과 복수 종류의 변기 시트(변기 덮개)와의 조합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인 전달 유닛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인 전달 유닛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5는 도 16에 도시하는 변기 시트 또는 변기 덮개 개폐 장치에서의 개폐 제어 유닛 대신에 댐퍼 유닛을 배치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26은 도 25에서의 일부 생략 Y-Y선 단면도이다.
도 27은 변기 시트 및 변기 덮개의 우측 기단부의 시트용 전달 유닛을 개폐 제어 유닛에 걸어맞춤시키는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28은 상기 시트용 전달 유닛을 개폐 제어 유닛에 걸어맞춤시키는 수순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29, 도 30은 상기 시트용 전달 유닛을 개폐 제어 유닛에 걸어맞춤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변기 시트 또는 변기 덮개의 개폐 장치는, 기단부를 중심으로 회전운동해서 기복하는 변기 시트 또는 변기 덮개의 회전운동 중심선상에 배치된 축체를 갖고 변기 본체 또는 변기 시트의 기단부에 간접적으로 고정된 개폐 제어 유닛과, 상기 회전운동 중심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개폐 제어 유닛의 축체에 연결된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을 상기 변기 시트 또는 변기 덮개의 개방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갖는 전달 유닛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변기 시트 또는 변기 덮개의 개폐 동작을 담당하는 개폐 제어 유닛과, 변기 시트 또는 변기 덮개를 개방 방향으로 가압하는 전달 유닛을 별체화할 수 있기 때문에,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고, 변기 시트 또는 변기 덮개를 기립 자세로 안정 유지할 수 있고, 변기 시트, 변기 덮개의 자중 토크의 대소에 대응하여 구성부품의 공통화도 도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개폐 제어 유닛을 상기 변기 본체에 간접적으로 고정하고, 상기 전달 유닛을 상기 변기 시트 또는 변기 덮개의 기단부에 배치하여 상기 회전축의 한쪽 단부를 상기 개폐 제어 유닛의 축체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상기 전달 유닛을 변기 시트 또는 변기 덮개와 함께 상기 개폐 제어 유닛으로부터 이탈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청소 등의 때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 개폐 제어 유닛을 변기 측에 남긴 채, 전달 유닛을 교환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변기 시트, 변기 덮개의 자중 토크의 대소에 대응하여 구성부품의 공통화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 제어 유닛이 상기 축체를 회전운동 구동하는 동력원을 갖는 개폐 제어 유닛이라면, 변기 시트 또는 변기 덮개의 개폐 조작을 자동화 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부담을 없앨 수 있다. 또, 상기 개폐 제어 유닛이, 상기 전달 유닛의 회전축의 상기 변기 시트 또는 변기 덮개의 폐지 방향의 회전운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 댐퍼 유닛이라면, 사용후 인력에 의지하지 않고 변기 시트 또는 변기 덮개를 천천히 닫을 수 있으므로 소음발생, 구성부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개폐 제어 유닛과 상기 전달 유닛을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끼워 맞춤 수단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결합 수단을 설치함으로써, 개폐 제어 유닛에 대한 전달 유닛의 착탈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연결 상태도 안정한다.
상기 결합 수단으로서는, 상기 개폐 제어 유닛 또는 상기 전달 유닛 중 어느 한쪽에 돌출부를 설치하고, 다른 쪽에 상기 돌출부를 협지(挾持)하는 협지부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돌출부를 협지부에 삽입, 이탈시키는 간단한 조작으로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양자의 착탈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돌출부의 일부에 상기 돌출부를 상기 협지부의 끼워 맞춤 위치로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 면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이드 면을 설치하면, 특히, 돌출부를 가이드 면에 미끄럼 접촉시키면서 협지부의 소정의 위치에 원활하게 유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연결 작업성이 대폭 향상되어 확실한 연결 상태가 얻어진다.
한편, 상기 개폐 제어 유닛의 축체와, 상기 전달 유닛의 회전축과의 연결 수단으로서, 상기 축체 또는 상기 회전축 중 어느 한쪽의 축 단면에 돌출부를 설치하고, 다른 쪽의 축 단면에 상기 돌출부를 걸어 맞출 수 있는 절결부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연결 수단을 설치하면, 한쪽의 축 단면의 돌출부를 다른 쪽의 축 단면의 절결부에 끼워 맞추어지게 하는 간단한 조작으로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양자의 착탈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절결부의 일부에 상기 돌출부를 상기 절결부의 걸어 맞춤 위치로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 면을 설치하면, 상기와 같이 한쪽의 축 단면의 돌출부를 가이드 면에 미끄럼 접촉시키면서 다른 쪽의 축 단면의 절결부의 소정의 위치에 원활하게 유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연결 작업성이 향상되어 확실한 연결상태가 얻어진다.
또한, 상기 개폐 제어 유닛의 축체와 상기 전달 유닛의 회전축과의 연결에 의해 상기 전달 유닛의 회전축에 가압력을 생기게 하는 가압력 발생 기구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개폐 제어 유닛의 축체에 전달 유닛의 회전축을 연결시킴으로써 즉시 전달 유닛의 회전축에 가압력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변기 시트 또는 변기 덮개의 도복 방지 기능이 향상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전달 유닛은, 변기 본체 또는 변기 시트의 기단부에 간접적으로 고정된 개폐 제어 유닛의 축체와의 연결 수단을 갖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이 회전운동 가능하게 넣어진 수납통과, 상기 수납통 내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축을 일정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변기 시트 또는 변기 덮개의 개폐 동작을 담당하는 개폐 제어 유닛과, 변기 시트 또는 변기 덮개를 조합시켜서 개폐 장치를 구성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변기 시트 또는 변기 덮개의 개폐장치를 구성한 경우, 변기 시트 또는 변기 덮개를 기립 자세로 안정 유지할 수 있어, 변기 시트, 변기 덮개의 자중 토크의 대소에 대응하여 구성부품의 공통화도 도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회전운동 축을 가압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회전운동축의 회전개시 위치를 정하는 스토퍼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당해 전달 유닛을, 개폐 제어 유닛 및 변기 시트 또는 변기 덮개와 조합시켜서 개폐 장치를 구성하는 경우, 개폐 제어 유닛의 축체에 전달 유닛의 회전축을 연결시켰을 때에 즉시 전달 유닛의 회전축에 가압력을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변기 시트 또는 변기 덮개의 도복방지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전달 유닛의 수납통 내에 비틀림 스프링을 복수 배치하면, 비틀림 스프링의 선택에 의해 가압력을 변화시킬 수도 있기 때문에, 변기 시트 또는 변기 덮개의 자중 토크의 다양성에 적확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또, 비틀림 스프링 및 이것을 지탱하는 지지 부재에 생기는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기 때문에, 비틀림 스프링 및 지지 부재의 내구성도 향상된다.
또, 상기 수납통 내에 상기 회전축과 동축 상에 배치된 중간 회전축을 설치하고, 한쪽 단부가 상기 수납통에 걸어지고 다른 쪽 단부가 상기 중간 회전축에 걸어진 비틀림 스프링과, 한쪽 단부가 상기 중간 회전축에 걸어지고 다른 쪽 단부가 상기 회전축에 걸어진 비틀림 스프링을 설치한 구조로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스프링 배치용 스페이스를 충분하게 확보할 수 없는 경우라도, 수납통 내에서 비틀림 스프링의 권수를 늘릴 수 있기 때문에 스프링 정수가 비교적 작은스프링의 사용이 가능하게 되어, 비틀림 스프링 토크 변화를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변기 시트 또는 변기 덮개의 개폐 동작이 원활하게 되어 불완전 폐지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통 내에의 침수를 방지하기 위한 방수 수단을 설치하면, 수납통에 내장된 비틀림 스프링 등의 금속부품의 발청 및 부식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신뢰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도 1∼도 22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온수세정 변기 시트 장치(1)는 당해 장치(1)를 구성하는 수납 케이스(2)를 변기 본체(30)의 배면 측의 림 상면(30a)에 고정함으로써 변기 본체(30)에 부착되어 있다. 이 수납 케이스(2)에는 변기 시트(3) 및 변기 덮개(4)가 각각의 기단부(3ℓ, 3r, 4ℓ, 4r)를 중심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변기 시트(3) 및 변기 덮개(4)는 후술하는 기구에 의해 그 기단부(3ℓ, 3r, 4ℓ, 4r)가 수납 케이스(2)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기 덮개(4) 및 변기 시트(3)를 개방 상태(기립 상태)로 하면, 변기 시트(3)의 좌측의 기단부(3r)와 수납 케이스(2)와의 사이에 제 1 걸어맞춤 부재(32)의 레버부(36) 및 코드(71)가 육안 확인되고, 변기 시트(3)의 우측의 기단부(3ℓ)와 수납 케이스(2) 사이에 로크부(62)의 레버부(65)가 육안 확인된다.
여기에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의 레버부(36, 65)를 각각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방으로 이동시키면, 제 1 걸어맞춤 부재(32)의 개구부 및제 2 걸어맞춤 부재(33)의 개구부를 각각 개방 상태로 할 수 있다.
다음에,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기 시트(3) 및 변기 덮개(4)의 좌우의 기단부(3ℓ, 4ℓ, 3r, 4r) 부근을 좌우의 손으로 각각 쥐고, 그대로 수납 케이스(2)의 상방으로 들어올리면, 좌측의 기단부(3ℓ, 4ℓ)와 함께 제 1 걸어맞춤 부재(32)가 제 1 회전운동축(16)으로부터 이탈되고, 우측의 기단부(3r, 4r)와 함께 제 2 걸어맞춤 부재(33) 및 덮개용 전달 유닛(10)이 제 2 회전운동축(17)으로부터 이탈된다. 이것에 의해,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납 케이스(2)의 좌측부분에는 제 1 회전운동축(16), 캡(45) 및 코드(71)가 표시되고, 변기 시트(3) 및 변기 덮개(4)의 우측의 기단부(3ℓ, 4ℓ)에서는 덮개용 전달 유닛(10) 및 제 2 걸어맞춤 부재(33)가 육안 확인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또,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납 케이스(2)의 우측부분에는 수납 케이스(2)내에 배치된 제 2 개폐 제어 유닛(15)의 돌출부(15a) 및 회전운동축(17)이 나타내어져 있다.
그리고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기 시트(3) 우측 기단부(3ℓ)의 절결부(55)로부터 노출된 덮개용 전달 유닛(10)의 리브(54)를 사용하여, 덮개용 전달 유닛(10)을 변기 시트(3)의 우측의 기단부(3ℓ)의 축심방향의 중앙부에 슬라이딩시키고, 덮개용 전달 유닛(10)의 출력축(49)의 선단부를, 후술하는 도 15에 도시하는 변기 덮개(4)의 우측의 기단부(4ℓ)의 칼라부(29)로부터 뽑아낼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변기 덮개(4)의 우측의 기단부(4ℓ)에 설치된 끼워맞춤부(27)(도 15 참조)로부터, 변기 시트(3)의 우측의 기단부(3ℓ)에 설치된 삽입부(25)(도 8 참조)를 떼내고, 계속하여, 변기 덮개(4) 좌측 기단부(4r)에 설치된 끼워맞춤부(26)(도 14 참조)로부터, 변기 시트(3)의 좌측의 기단부(3r)에 설치된 끼워넣음부(24)(도 12 참조)를 빼내면,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납 케이스(2)로부터 이탈시킨 상태에 있는 변기 시트(3)와 변기 덮개(4)를 분리할 수 있다.
도 10,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기 시트(3)의 좌측의 기단부(3r)에는, 그 형상이 실질적으로 C형상으로 된 제 1 변기 덮개용 회전축이 되는 끼워넣음부(24)가 설치되고, 도 12,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기 시트(3)의 우측의 기단부(3ℓ)에는, 그 형상이 실질적으로 원형으로 된 제 2 변기 덮개용 회전축이 되는 삽입부(25)가 설치되고, 후술하는 빠짐방지부(56)의 돌출부(58)가 끼워지는 오목부(60) 및 고정 구멍(61a)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들 끼워넣음부(24, 25)는 각각 변기 시트(3)의 기단부(3ℓ, 3r)의 축심방향의 외측에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기 덮개(4)의 좌측의 기단부(4r)에는 그 형상이 실질적으로 C형상으로 된 소정의 깊이를 갖는 끼워맞춤부(26)가 설치되고,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기 덮개(4) 우측 기단부(4ℓ)에는, 그 외각 형상이 반원형으로 된 소정의 깊이를 갖춘 끼워맞춤부(27)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들 끼워맞춤부(26, 27)는 각각 변기 덮개(4)의 기단부(4ℓ, 4r)의 축심방향 내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들 끼워맞춤부(26, 27)의 깊이는, 변기 시트(3)의 기단부(3ℓ, 3r)의 각 끼워넣음부(24, 25)를 그 축심을 동일하게 하는 변기 덮개(4)의 각 기단부(4ℓ, 4r)의 내측에 있는 각 끼워맞춤부(26, 27)에, 각각 회전운동 가능하게 끼워 넣어배치한 경우, 그 위치에 벗어남이 발생하지 않는 깊이이면 문제없다.
이 변기 덮개(4)의 좌측의 끼워맞춤부(26)중에는 실질적으로 U자 형상으로 개구한 칼라부(28)가, 그 개구위치를 끼워맞춤부(26)의 개구위치에 맞추어 고정되고, 제 1 회전운동축(16)의 선단부와 걸어 맞춤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우측의 끼워맞춤부(27)내에는, 실질적으로 원형으로 개구한 칼라부(29)가 고정되고, 변기 덮개(4)에 대해 제 2 회전운동축(17)의 회전이 전달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변기 덮개(4)의 좌측의 끼워맞춤부(26)에 변기 시트(3)의 좌측의 끼워넣음부(24)를 배치한 후, 변기 덮개(4)의 우측의 끼워맞춤부(27)에 변기 시트(3)의 우측의 삽입부(25)를 배치하고, 회전운동 자유롭게 고정함으로써, 변기 덮개(4)와 변기 시트(3)를 일체로 할 수 있고, 게다가 변기 시트(4) 및 변기 덮개(3)는 각각 개별적으로 회전운동 할 수 있다. 또한, 좌측의 끼워넣음부(24) 및 끼워맞춤부(26)의 각 개구 위치는, 변기 덮개(4)와 변기 시트(3)를 포갠 경우에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이 개구위치로부터 제 1 회전운동축(16)에 변기 덮개(4) 및 변기 시트(3)를 일체로 착탈할 수 있다.
한편, 도 12에서 도시한 변기 시트(3)의 우측의 기단부(3ℓ)에는,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변기 시트(3)의 기단부(3ℓ)에 걸어 맞추어서 변기 시트(3)를 개방측(기립 방향)으로 가압하는 시트용 전달 유닛(9)을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하기 위해서, 회전운동 블록 삽입부(3a)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 16은 도 1에서의 화살표 P로 나타내는 부분의 수직단면도이고, 도 17은 시트용 전달 유닛 부근을 도시하는 분해 단면도이다. 도 16,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개폐 장치(31)는 기단부(3ℓ, 4ℓ)를 중심으로 각각 회전운동해서 기복하는 변기 시트(3), 변기 덮개(4)의 회전운동 중심선(C)상에 배치된 회전운동축(17)을 갖고 변기 본체(30)에 간접적으로 고정된 개폐 제어 유닛(15)과, 이 회전운동 중심선(C)상에 배치되고 한쪽 단부가 개폐 제어 유닛(15)의 회전운동축(17)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동시에 타단부가 변기 시트(3)의 기단부(3ℓ)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출력축(12) 및 출력축(12)을 변기 시트(3)의 개방 방향으로 가압하는 비틀림 스프링(13)이 내장된 시트용 전달 유닛(9)을 구비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수납 케이스(2)는 변기 본체(30)의 배면 측의 림 상면(30a)에 고정됨으로써 변기 본체(30)에 부착되고, 이 수납 케이스(2)내에 개폐 제어 유닛(15)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개폐 제어 유닛(5)은 수납 케이스(2)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변기 본체(30)에 고정되어 있다.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납 케이스(2)로부터 돌출한 개폐 제어 유닛(15)의 회전운동축(17) 및 돌출부(15a)에 시트용 전달 유닛(9)의 기단부분이 연결되고, 이 시트용 전달 유닛(9)의 출력축(12)에는 변기 시트(3)의 기단부(3ℓ)가 고정되는 동시에, 변기 덮개(4)의 기단부(4ℓ)가 회전운동 가능하게 축지지 되어 있다.
개폐 제어 유닛(15)은 변기 시트(3)의 개폐 또는 개방 중 어느 한쪽을 전동에 의해 행하는 감속기부착 모터를 구비한 것, 또는 변기 시트(3)가 개방 상태로부터 폐지 상태로 회전운동하는 속도를 완만한 속도로 제동하는 소프트 폐지 기구(댐퍼 기구의 일례)를 구비한 것이라도 좋고, 감속기부착 모터와 소프트 폐지 기구를 조합시킨 것이라도 좋다. 이 감속기부착 모터는 구동 모터(예를 들면 DC 브러시 모터, AC 모터, 스테핑 모터 등), 전달 기어, 유성기어 기구, 토크 리미터 기구, 각도 검지 센서 등을 갖는 것이다.
개폐 제어 유닛(15)은, 케이스(22)로부터 돌출한 회전운동축(17)을 가지고, 케이스(22)내에는, DC 브러시 모터인 구동 모터(16)와, 구동 모터(16)의 회전력을 순차적으로 감속하여 전해 가는 전달 기어(18) 및 유성기어 기구(19)와, 구동 모터(16)에 과부하가 가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한 토크리미터 기구(20)와, 회전운동축(17)의 회전각도를 검지하기 위한 각도 검지 센서(21)를 구비하고 있다.
개폐 제어 유닛(15)에서는, 구동 모터(16)의 회전이 전달 기어(18)에 의해 감속되고, 그 회전력은 최종단의 유성기어 기구(19)에 전달되고, 토크리미터 기구(20)를 통하여 회전운동축(17)에 전달된다. 그리고 개폐 제어 유닛(15) 회전운동축(17)의 회전력이 시트용 전달 유닛(9)의 출력축(12)에 전달된 후, 변기 시트(3)의 기단부(3ℓ)에 전달되고, 변기 시트(3)가 기단부(3ℓ)를 중심으로 회전운동 기복함으로써 변기 본체(30)의 림 상면(30a)을 개폐한다. 이러한 과정에서는, 시트용 전달 유닛(5)에 내장된 비틀림 스프링(13)의 비틀림력에 의해 변기 시트(3)는 항상 개방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개폐 제어 유닛(15)에서는, 자석과 홀 IC로 구성된 각도 검지 센서(21)에 의해 회전운동(17)의 회전각도를 검지함으로써 변기 시트(3)의 개폐 각도를 검지하고, 이 검지신호로 구동 모터(16)의 회전을 피드백 제어함으로써 변기 시트(3)의완만한 개폐 동작을 실현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 방향의 검출은 회전운동축(17)에 설치된 다극 착자된 자석과 홀 IC 이외에, 슬릿과 포토임플랜터에 의한 2상 출력의 엔코더로 해도 좋고, 포텐셔미터에 의한 각도정보로부터 회전 방향을 판단해도 좋다. 또, 소프트 폐지 기구는 오일의 점성을 이용한 것으로, 밸브의 작용에 의해 댐퍼력을 발휘시키는 것이다.
여기에서, 도 17, 도 18을 참조하여 시트용 전달 유닛(9)의 구조, 기능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7은 시트용 전달 유닛 부근의 분해 단면도이고, 도 18은 시트용 전달 유닛 부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트용 전달 유닛(9)은, 기능 부품이 넣어진 수납통(11)과, 수납통(11)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출력축(12)과, 수납통(11)내에서 회전축(12)을 포위하도록 배치된 비틀림 스프링(13)(코일스프링)과, 수납통(11)의 개구부분을 폐쇄하는 수납 덮개(14)로 구성되어 있다.
비틀림 스프링(13)은 변기 시트(3)를 개방 방향으로 가압하는 상태에서, 일단부가 수납통(11) 내에 설치된 부착 구멍(11a)에 삽입함으로써 수납통(11)에 걸어지고, 그 타단부를 출력축(12)의 외주면에 개설된 부착 구멍(12e)에 삽입함으로써 회전축(12)에 고정되어 있다. 수납통(11)과 출력축(12)과의 슬라이딩부 및 출력축(12)과 수납 덮개(14)와의 슬라이딩부에는 각각 O링(53)이 배치되고, 수납통(11)과 출력축(12)으로 형성되는 공간 내에 수분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비틀림 스프링(13)에 의한 가압력은 변기 시트(3)가 폐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힘으로 되어 있다.
또, 시트용 전달 유닛(9)의 수납통(11)의 주위에는 리브(54)가 설치되고, 도 8,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시트용 전달 유닛(9)이 회전운동 자유롭게 끼워 넣는 변기 시트(3)의 우측의 기단부(3ℓ)의 일부에는 절결부(55)가 설치되고, 절결부(55)로부터 리브(54)가 항상 노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시트용 전달 유닛(9)의 출력축(12)의 좌측(개폐 제어 유닛(15)과의 연결 부분)에는, 도 1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구부가 폭을 확장한 U자 형상의 절결부(12b)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순서에 따라 개폐 제어 유닛(15)의 회전운동축(17)에 대해 상방으로부터 끼워 넣어 걸어맞춤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출력축(12)은 개폐 제어 유닛(15)의 회전운동축(17)에 대해 회전 불능으로 고정된다.
한편, 출력축(12)의 우측(변기 시트(3)와의 연결 부분)은 수납 덮개(14)로부터 돌출해 있고, 기부가 단면 원형이고 앞부분이 단면 세레이션 형상으로 되어 있다. 단면 세레이션 형상은 외경형상을 원형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이 앞부분, 변기 덮개(4)의 기단부(4ℓ)의 칼라부(29)에 회전운동 자유롭게 끼워진다. 세레이션 형상의 톱니 수를 일부 다른 형상 혹은 일부 톱니수의 폭을 넓힘으로써 후술하는 빠짐방지부(56)를 끼울 때의 위치 결정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도 1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빠짐방지부(56)는 그 형상이 실질적으로 L자 형상으로 되어 있고, 시트용 전달 유닛(9)을 재치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는 가이드로 구성되어 있다. 이 빠짐방지부(56)의 일편부에는, 시트용 전달 유닛(9)의 출력축(12)과 결합하는 관통 구멍(57)이 설치되고, 그 외측 주변부에는 변기 시트(3)와 걸어 맞추기 위한 8개의 돌출부(58)가 동일한 각도로 설치되어 있다.
관통 구멍(57)은 끼워지는 출력축(12)의 앞부분과 마찬가지로 단면 세레이션 형상이고, 위치 결정을 위해 세레이션 형상의 톱니 수를 일부 다른 형상 혹은 일부 톱니수의 폭을 넓히고 있다. 또, 타편부의 중앙부에는 시트용 전달 유닛(9)을 변기 시트(3)의 기단부(3ℓ)의 축심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킨 경우에, 리브(54)와 접촉 가능한 스토퍼부(59)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변기 시트(3)의 우측의 기단부(3ℓ)의 내측 측벽에는 빠짐방지부(56)의 돌출부(58)가 각각 끼워지는 오목부(60)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변기 시트(3)의 우측의 기단부(3ℓ)에 시트용 전달 유닛(9)을 고정하는 수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걸어 맞춤 부재(33)를 시트용 전달 유닛(9)의 외통부(11a)에 끼워 넣는다. 외통부(11a)는 걸어 맞춤 부재(33)의 링부(33a)보다 약간 큰 내경으로 하고 있으므로, 링부(33a)가 외통부(11a)를 올라앉고, 가는 직경부(11b)까지 끼워지면, 시트용 전달 유닛(9)과 걸어 맞춤 부재(33)는 일체화되고, 걸어 맞춤 부재(33)는 그 링부(33a)와 외통부(11a)에 의해 축심방향의 빠짐이 규제된다.
다음에 빠짐방지부(56)의 관통 구멍(57)에 시트용 전달 유닛(9)의 출력축(12)을 걸어맞춤시키고, 빠짐방지부(56)의 돌출부(58)를 변기 시트(3)의 우측의 기단부(3ℓ)에 설치된 오목부(60)에 끼워 넣는다. 그리고 빠짐방지부(56)의 골자편에 설치된 고정 구멍(61)과, 기단부(3ℓ)에 설치된 고정 구멍(61a)을 일치시키고, 이것들의 구멍을 연통하는 셀프 태핑 나사로 체결함으로써 변기 시트(3)의 우측의 기단부(3ℓ)의 내측에 시트용 전달 유닛(9)이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시트용 전달유닛(9)을 변기 시트(3)의 기단부(3ℓ)의 축심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변기 시트(3)의 우측의 기단부(3ℓ)로부터의 시트용 전달 유닛(9)의 탈락이 방지된다.
또한, 빠짐방지부(56)는 변기 시트(3)의 기단부(3ℓ)에 고정되기 전은 외측으로 탄성변형 가능하기 때문에, 시트용 전달 유닛(9)은 빠짐방지부(56)로부터 착탈 가능하지만, 변기 시트(3)의 기단부(3ℓ)에 고정된 후는, 변기 시트(3)의 기단부(3ℓ)에 의해 외측으로의 변형이 구속되기 때문에, 시트용 전달 유닛(9)은 스러스트 방향의 빠짐이 규제된다. 또, 빠짐방지부(56)와 외통부(11a)와의 클리어런스가 작아 외통부(11a)를 타고 넘을 정도까지 걸어 맞춤 부재(33)를 변형할 수 없으므로, 걸어 맞춤 부재(33)도 마찬가지로 축심방향의 빠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시트용 전달 유닛(9)을 개폐 제어 유닛(5)과 변기 시트(3)의 기단부(3ℓ) 사이에 개재시킴으로써, 시트용 전달 유닛(9)에 내장된 비틀림 스프링(13)에 의해 회전축(12)을 통하여 변기 시트(3)는 개방 방향으로 가압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남자가 소변을 볼 때에 변기 시트(3) 및 변기 덮개(4)를 기립시켰을 때, 그 기립 자세에서 변기 시트(3) 및 변기 덮개(4)를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소변을 보는 중에 변기 시트(3)나 변기 덮개(4)가 본의 아니게 도복하는 일이 없다. 또한, 변기 시트(3)를 폐지 상태까지 도복시켰을 때는, 변기 시트(3)의 자중 토크 쪽이 비틀림 스프링(13)에 의한 가압력보다도 크게 되기 때문에 변기 시트(3)가 변기 본체(30)로부터 들뜨는 일은 없다.
도 19는 변기 시트 자중 토크가 상이한 2종류의 변기 시트 장치(제품 A 및 제품 B)에서의 「변기 시트 회전운동 각도」와 「변기 시트 자중 토크」와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고, 도 20은 제품 A, B에서의 각각의 「변기 시트 회전운동 각도」와 시트용 전달 유닛의 「스프링 토크」와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고, 도 21은 제품 A, B 각각의 「변기 시트 회전운동 각도」와, 변기 시트 자중 토크와 시트용 전달 유닛의 스프링 토크와의 「합성 토크」와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품 A의 「변기 시트 자중 토크」는 「변기 시트 회전운동 각도」의 전체 범위에서 제품 B의 「변기 시트 자중 토크」보다 크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품 A, B에서,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토크 특성이 상이한 비틀림 스프링을 내장한 시트용 전달 유닛을 사용하여 각각의 변기 시트를 개방 방향으로 가압하는 토크를 부여하면,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품 A, B에서의 「합성 토크」(변기 시트 자중 토크와 시트용 전달 유닛의 스프링 토크의 합성 토크)를 거의 동등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토크 특성이 상이한 비틀림 스프링을 내장한 복수종류의 시트용 전달 유닛을 미리 준비해 두고, 여러 상품 변형에 있어서의 변기 시트 자중 토크의 차이에 따라서, 이들 시트용 전달 유닛 군으로부터 적절한 것을 선택하여 탑재하면, 여러 상품마다 변기 시트 자중 토크가 상이해도, 「변기 시트 자중 토크」와 시트용 전달 유닛의 「스프링 토크」와의 「합성 토크」를 거의 동등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변기 시트의 종류에 따라 그 자중 토크가 상이해도, 각각의 변기 시트에 적합한 토크 특성의 비틀림 스프링을 내장한 시트용 전달 유닛을 선택하여 사용함으로써, 「변기 시트 자중 토크」와 시트용 전달 유닛의 「스프링 토크」와의 「합성 토크」를 거의 동등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개폐 장치(31)를 구성하는 개폐 제어 유닛(5) 또는 댐퍼 장치는 1종류로 대응 가능하게 되어, 구성부품의 공통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시트용 전달 유닛(9)에 내장된 비틀림 스프링(13)의 토크 특성은, 비틀림 스프링(13)의 선 직경, 중심 직경, 권수 등을 바꾸어서 스프링 정수를 조절함으로써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복수 종류의 시트용 전달 유닛을 준비하는 것은 비교적 용이하다.
예를 들면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형상이나 치수가 다른 4종류의 변기 시트(변기 덮개)가 있는 경우, 각각의 변기 시트(변기 덮개)마다 상이한 자중 토크에 따라 4종류의 전달 유닛 ①∼④를 준비해 두면, 1종류의 개폐 제어 유닛(또는 댐퍼 유닛)과 4종류의 전달 유닛 ①∼④와의 조합에 의해 4종류의 개폐 장치를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4종류의 변기 시트(변기 덮개)가 있어도 1종류의 개폐 제어 유닛(또는 댐퍼 유닛)으로 대응할 수 있다. 즉, 개폐 제어 유닛(또는 댐퍼 유닛)의 공통화를 도모할 수 있어, 개폐 장치의 제조 코스트 및 관리 코스트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시트용 전달 유닛(9)을, 변기 시트(3)의 기단부(3ℓ)의 회전운동 블록 삽입부(3a)에 삽입한 구조로 하고 있기 때문에, 시트용 전달 유닛(9)을 배치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개폐 제어 유닛(5)의 내부 등에 설치할 필요가 없어, 온수세정 변기 시트 장치(1)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도 16에서는, 변기 시트(3)에만 시트용 전달 유닛(9)을 배치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변기 덮개(4)측에 덮개용 전달 유닛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변기 시트(3)의 좌측의 기단부(3r)내의 스페이스에 덮개용 전달 유닛을 수납한다.
다음에 도 2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인 전달 유닛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전술한 시트용 전달 유닛(9)의 구성 부분과 동일한 기능, 효과를 발휘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본 실시예의 시트용 전달 유닛(29)은 수납통(11)과, 회전축(12)과, 비틀림 스프링(13a)과, 비틀림 스프링(13b)과, 수납 덮개(14)로 구성되어 있다. 비틀림 스프링(13a)은 그 일단을 부착 구멍(11c)에 삽입함으로써 수납통(11)에 고정되고, 그 타단을 부착 구멍(12e)에 삽입함으로써 회전축(12)에 고정되어 있다. 또, 비틀림 스프링(13b)은 그 일단을 부착 구멍(11d)에 삽입함으로써 수납통(11)에 고정되고, 그 타단을 부착 구멍(12d)에 삽입함으로써 회전축(12)에 고정되어 있다.
시트용 전달 유닛(29)에서는, 수납통(11)내에 배치된 복수의 비틀림 스프링(13a, 13b)의 각각의 일단을 회전축(12)에 걸고, 타단을 수납통(11)에 걸고 있기 때문에, 변기 시트 개방 방향으로 회전축(12)을 가압하는 비틀림 토크의 크기는 시트용 전달 유닛(9)의 경우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따라서, 시트용 전달 유닛(29)은, 전술한 변기 시트(3)보다도 자중 토크가 큰 변기 시트의 개폐 기구의 구성부품으로서 적합하다.
이와 같이, 시트용 전달 유닛에 내장되는 비틀림 스프링의 개수를 변화시킴으로써 여러 상품 변형에 있어서의 변기 시트 또는 변기 덮개의 자중 토크 특성에 맞추어 대응 가능하게 된다. 또, 시트용 전달 유닛(29)은 복수의 비틀림 스프링(13a, 13b)을 내장하고 있기 때문에, 1개의 비틀림 스프링에 대한 부담을 저감할 수 있고, 또한, 비틀림 스프링(13a, 13b)의 양 단부의 고정 개소도 복수로 나누어져 있으므로, 발생하는 응력을 부착 구멍(11c, 11d, 12c, 12d)에 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수납통(11), 회전축(12)의 재질의 수지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제조 코스트의 저감 및 경량화를 촉진할 수 있다.
다음에 도 2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인 전달 유닛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전술한 시트용 전달 유닛(9)의 구성 부분과 동일한 기능, 효과를 발휘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시트용 전달 유닛(39)은 수납통(11)과, 회전축(12)과, 비틀림 스프링(13c, 13d)과, 중간 회전축(23)과, 수납 덮개(14)로 구성되어 있다. 비틀림 스프링(13c)은 그 일단을 부착 구멍(11c)에 삽입함으로써 수납통(11)에 고정되고, 그 타단을 부착 구멍(23a)에 삽입함으로써 중간회전축(23)에 고정되어 있다. 또, 비틀림 스프링(13d)은 그 일단을 부착 구멍(23b)에 삽입함으로써 중간 회전축(23)에 고정되고, 그 타단을 부착 구멍(12f)에 삽입함으로써 회전축(12)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비틀림 스프링(13c, 13d)중 일방의 비틀림 스프링(13d)의 일단을 회전축(12)에 걸고, 타단을 중간회전축(23)에 거는 동시에, 타방의 비틀림스프링(13c)의 일단을 중간회전축(23)에 걸고, 타단을 수납통(11)에 걸었으므로, 비틀림 스프링을 수용하는 스페이스가 충분히 없는 경우에도 중간 회전축(23)에 의해 복수의 비틀림 스프링을 연결함으로써 비교적 강한 토션력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여러 상품 변형에서의 변기 시트 또는 변기 덮개의 자중 토크 특성에 맞추어서 변기 시트 또는 변기 덮개를 개방 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비틀림 스프링의 토크 설정을 적확하게 행할 수 있다.
또, 도 23, 도 2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납통(11)이나 수납 덮개(14)와 회전축(12)과의 미끄럼접촉 부분에 O링(27a, 27b)을 설치함으로써, 전달 유닛(9)의 내부에 물이나 세제 등이 진입하는 일이 없어진다. 따라서, 변기 시트(3) 또는 변기 덮개(4)를 뜯지 않고 그대로 세척하여 비틀림 스프링(13)이 부식되는 일이 없어 신뢰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한, 변기 시트(3)의 기단부(3ℓ)의 회전운동 블록 삽입부(3a)의 스페이스를 충분하게 확보할 수 없는 경우에도, 수납통(11)의 내부에서 비틀림 스프링의 권수를 늘릴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스프링 정수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여, 변기 시트 회전운동 각도의 범위 내에서의 비틀림 스프링 토크의 변화를 작게 할 수가 있기 때문에, 변기 시트의 개폐 동작이 원활하게 되어, 불완전 폐지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모두 수납 케이스(2)내에 개폐 제어 유닛으로 하여 개폐 제어 유닛(5)을 배치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는데, 이 개폐 제어 유닛(5) 대신에 변기 시트(3)의 폐지 동작을 완화하는 기능을 갖는 댐퍼 유닛(소위 완화 폐지기구)을 개폐 제어 유닛으로서 배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전달 유닛(9)을 사용함으로써 치수나 형상이 상이한 복수종류의 변기 시트, 변기 덮개에 대해, 개폐 제어 유닛을 공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부품의 공통화를 도모할 수 있다.
다음에, 도 25, 도 26을 참조하여 개폐 제어 유닛(5) 대신에 댐퍼 유닛을 배치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댐퍼 유닛(49)에서는 회전축(12)의 외주에 180도 간격으로 2개 날개(12w)를 설치하고, 수납통(24)의 내주면에 180도 간격으로 2개의 구획 벽(26)을 설치하고 있다. 또, 수납통(24)내에는 실리콘 오일 등의 점성 오일이 충전되어 있다. 이 댐퍼 유닛(49)의 날개(12w)는 화살표 R 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오일 수납실(24a)내의 오일이 날개(12w)와 수납통(24)의 내주면과의 간극으로부터 오일 수납실(24b)내에 원활하게 이동하고, 화살표 L 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오일 수납실(24b)로부터 오일 수납실(24a)에의 이동이 서서히 행해지는 형상으로 하고 있다.
다음에 전술한 제 1 실시형태에서, 도 2∼도 4에 도시하는 순서를 거쳐서 수납 케이스(2)로부터 이탈시킨 변기 시트(3) 및 변기 덮개(4)의 기단부(3ℓ, 4ℓ, 3r, 4r)를 다시 수납 케이스(2)에 원래대로 부착시키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변기 덮개(4)의 좌측의 기단부(4r)에 설치된 끼워맞춤부(26)에 변기 시트(3)의 좌측의 기단부(3r)에 설치된 끼워넣기부(27)를 끼워 넣은 후, 변기 덮개(4)의 우측의 기단부(4ℓ)에 설치된 끼워맞춤부(27)에, 변기 시트(3)의 우측의 기단부(3ℓ)에 설치된 삽입부(25)를 끼워 넣는다. 이것에 의해, 변기 덮개(4)의 기단부(4ℓ, 4r)와, 변기 시트(3)의 기단부(3ℓ, 3r)와의 축심을 동일하게 할 수 있으므로, 절결부(55)로부터 노출한 걸어 맞춤 부재(33)의 리브(54)를 사용하여, 걸어 맞춤 부재(33)를 빠짐방지부(56)를 따라 변기 시트(3)의 기단부(3ℓ)의 축심방향 단부로 슬라이딩시켜, 시트용 전달 유닛(9)의 출력축(12)의 선단부를 변기 덮개(4)의 칼라부(29)에 끼워 넣고, 변기 덮개(4)와 변기 시트(3)를 개별적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일체화한다.
그리고 변기 덮개(4) 및 변기 시트(3)를 포갠 상태에서 수납 케이스(2)의 상방으로부터 내려가고, 제 1 회전운동축(16), 제 2 회전운동축(17)에 각각 걸어 맞춤 부재(32, 33)의 각 개구부(30, 31)를 끼워 넣는다. 이때, 제 1 걸어 맞춤 부재(32)는 회전운동 자유롭기 때문에 회전운동축(16)에 끼워 넣을 때에, 제 1 걸어 맞춤 부재(32)의 본체(34)의 경사부(34b)에서 회전운동축(16)에 유인하면서 축심에 끼워 넣을 수 있다.
다음에 도 27∼도 30을 참조하여, 변기 시트(3) 및 변기 덮개(4)의 기단부(3ℓ, 4ℓ)를 수납 케이스(2)에 원래대로 부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트용 전달 유닛(9)에서는, 한 쌍의 협지(挾持)부(11x)의 가이드면(11g)은 서로 평행을 이루도록 대향 배치되어 있는데, 전달 유닛(9)을 수납 케이스(2)로부터 이탈시킨 상태에서는, 이들 가이드면(11g)의 평행 방향과, 회전축(12)의 절결(12b)의 길이방향(12ℓ)과는 평행을 이루지 않고, 서로 25도∼35도 정도 벗어난 상태로 되어 있다. 이것은 수납 케이스(2)로부터 전달 유닛(9)을 이탈시킨 상태에서도, 수납통(11)에 내장된 비틀림 스프링에 의해 회전축(12)에 가압되어 있는 비틀림 토크를 일정 이상 유지하기 위해서다.
따라서 도 29,도 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폐 제어 유닛의 회전운동축(17)의 선단부(17a)에 출력축(12)의 절결부(12b)를 결합시켜서 양자를 연결하면, 가이드면(11g)의 평행 방향과, 출력축(12)의 절결부(12b)의 길이방향(12ℓ)은 서로 평행 상태가 되고, 이것에 의해, 회전축(12)에 가압되어 있는 비틀림 토크가 변기 시트(3)의 기단부(3ℓ)에 가해져 변기 시트(3)는 개방 방향으로 가압된다.
먼저, 도 2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록 해제 상태로 한 시트용 전달 유닛(9)을 그 걸어 맞춤 부재(33)의 절결부(33b)를 밑으로 향하고, 수납 케이스(2)로부터 돌출한 돌출부(15a) 및 회전운동축(17)의 선단부(17a)를 향하여 서서히 밀어내려 가면, 도 2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방의 끼워넣기부(11x)의 하단부가 돌출부(15a)의 가이드 사면(15b)에 맞닿는다.
이대로, 기단부(3ℓ, 4ℓ) 부분을 하방으로 밀어내려 가면, 상기 끼워넣기부(11x)는 가이드 사면(15b)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해 가고, 이것에 의해 끼워넣기부(11x)는 도 28(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하므로, 도 28(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끼워넣기부(11x)의 가이드면(11g)의 평행 방향과 돌출부(15a)의 방향이 일치하여 돌출부(15a)가 한 쌍의 끼워넣기부(11x) 사이에 끼워 넣어져 가고, 최종적으로는 도 28(e)에 도시하는 상태가 되어, 끼워넣기부(11x)가 고정 돌기(22a)를 끼워 넣은 상태로 되어서 수납통(11)이 수납 케이스(2)에 고정되는 동시에, 회전운동축(17)의 선단부(17a)와 출력축(12)의 절결부(12b)와의 연결도 완료된다.
이때, 회전운동축(17)의 선단부(17a)는 출력축(12)의 절결부(12b)의 개구부분에 폭 확장된 형상으로 가이드면(12g)에 의해 유도되므로, 선단부(17a)를 절결부(12b)내에 확실하게 집어넣어지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수순을 취함으로써,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기 시트(3) 및 변기 덮개(4)의 기단부(3ℓ, 4ℓ)는 시트용 전달 유닛(9)을 통하여, 개폐 제어 유닛의 돌출부(15a) 및 회전운동축(17)에 연결된다. 이후, 걸어 맞춤 부재(33)의 레버부(65)를 손가락으로 조작하여 걸어 맞춤 부재(33) 전체를 변기 덮개 폐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걸어 맞춤 부재(33)의 절결부(33b)가 배면 측으로 이동하여 록 상태가 되기 때문에, 시트용 전달 유닛(9)은 수납 케이스(2)의 돌출부(15a)로부터 상방으로 이탈 불능이 되어 부착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전달 유닛(9)을 통하여 변기 시트(3) 및 변기 덮개(4)가 수납 케이스(2)에 완전하게 연결되면, 변기 시트(3)는 개방 방향으로 가압된 상태로 되기 때문에, 남자가 소변을 볼 때에 변기 시트(3) 및 변기 덮개(4)를 기립시켜도, 본의 아니게 변기 시트(3)나 변기 덮개(4)가 도복해 오는 일이 없다.
또, 걸어 맞춤 부재(33)가 수납 케이스(2)에 대한 록 수단이기 때문에, 청소 등의 경우는 걸어 맞춤 부재(33)의 레버부(65)를 회전시켜서 록 해제 상태로 하여, 상기와 반대의 수순을 취하면, 변기 시트(3) 및 변기 덮개(4)를 수납 케이스(2)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청소 작업이 매우 하기 쉬워져, 작업성이 향상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변기 시트 또는 변기 덮개의 개폐 장치 및 개폐 장치의 전달 유닛은 양식 변기에 장비되는 온수 세정 변기 시트 장치나 난방 변기 시트 장치 등에서의 변기 시트 또는 변기 덮개의 개폐 기구로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0)

  1. 기단부를 중심으로 회전운동해서 기복하는 변기 시트 또는 변기 덮개의 회전운동 중심선상에 배치된 축체를 가지고 변기 본체 또는 변기 시트의 기단부에 간접적으로 고정된 개폐 제어 유닛과, 상기 회전운동 중심선상에 배치되어 상기 개폐 제어 유닛의 축체에 연결된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을 상기 변기 시트 또는 변기 덮개의 개방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갖는 전달 유닛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시트 또는 변기 덮개의 개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제어 유닛을 상기 변기 본체에 간접적으로 고정하고, 상기 전달 유닛의 회전축의 한쪽 단부를 상기 개폐 제어 유닛의 축체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시트 또는 변기 덮개의 개폐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제어 유닛과 상기 전달 유닛을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끼워 맞춤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시트 또는 변기 덮개의 개폐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워 맞춤 수단으로서 상기 개폐 제어 유닛 또는 상기 전달 유닛 중 어느 한쪽에 돌출부를 설치하고, 다른 쪽에 상기 돌출부를 협지하는 협지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시트 또는 변기 덮개의 개폐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일부에, 상기 돌출부를 상기 협지부의 끼워 맞춤 위치에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 면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시트 또는 변기 덮개의 개폐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제어 유닛의 축체와, 상기 전달 유닛의 회전축과의 연결 수단으로서, 상기 축체 또는 상기 회전축 중 어느 한쪽의 축단면에 돌출부를 설치하고, 다른 쪽의 축단면에 상기 돌출부가 끼워 맞춤 가능한 절결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시트 또는 변기 덮개의 개폐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의 일부에, 상기 돌출부를 상기 절결부의 끼워 맞춤 위치에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 면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시트 또는 변기 덮개의 개폐 구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제어 유닛의 축체와 상기 전달 유닛의 회전축과의 연결에 의해 상기 전달 유닛의 회전축에 가압력을 발생시키는 가압력 발생 기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시트 또는 변기 덮개의 개폐 장치.
  9. 변기 본체 또는 변기 시트의 기단부에 간접적으로 고정된 개폐 제어 유닛의 축체와의 연결 수단을 갖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이 회전운동 가능하게 넣어진 수납통과, 상기 수납통 내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축을 일정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달 유닛.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운동축을 가압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회전운동축의 회전 개시 위치를 정하는 스토퍼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달 유닛.
KR1020047017644A 2002-05-31 2003-05-29 변기 시트 또는 변기 덮개의 개폐 장치 및 개폐 장치의전달 유닛 KR1009857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60666 2002-05-31
JP2002160666 2002-05-31
JPJP-P-2002-00322991 2002-11-06
JP2002322991 2002-11-06
PCT/JP2003/006760 WO2003101269A1 (fr) 2002-05-31 2003-05-29 Dispositif d'ouverture ou fermeture d'abattant ou de couvercle de wc et unite de transmission pour ce dispositi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7371A true KR20050007371A (ko) 2005-01-17
KR100985765B1 KR100985765B1 (ko) 2010-10-06

Family

ID=29714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7644A KR100985765B1 (ko) 2002-05-31 2003-05-29 변기 시트 또는 변기 덮개의 개폐 장치 및 개폐 장치의전달 유닛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386895B2 (ko)
KR (1) KR100985765B1 (ko)
CN (1) CN100345510C (ko)
AU (1) AU2003241908A1 (ko)
WO (1) WO2003101269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7392B1 (ko) * 2004-02-04 2006-11-23 니혼 덴산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변좌 승강 장치
KR101053150B1 (ko) * 2009-03-19 2011-08-02 김기성 좌변기 받침대 개폐장치
KR101249461B1 (ko) * 2010-07-23 2013-04-03 윤성현 변기커버 개폐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06832A1 (en) * 2003-05-14 2005-01-13 Kazuki Hoshi Torque limiter and automatic open close unit for toilet seat and seat cover using the same
JP2007268099A (ja) * 2006-03-31 2007-10-18 Toto Ltd 便座・便蓋用自動開閉装置
US20080052811A1 (en) * 2006-09-03 2008-03-06 Smart Seat Industries Ltd Toilet seat assembly with motorized deployment mechanism
KR100789513B1 (ko) * 2006-10-09 2007-12-28 삼성전기주식회사 전동개폐식 양변기 및 그 개폐방법
CN101496702B (zh) * 2008-01-30 2011-03-30 德昌电机(深圳)有限公司 自动翻盖装置及具有所述自动翻盖装置的组合
JP6737599B2 (ja) * 2016-01-15 2020-08-12 株式会社Lixil 便座便蓋装置
DK179102B1 (en) * 2016-05-04 2017-10-30 Pressalit As Hinge arrangement for toilet seat and/or cover
CN106166038A (zh) * 2016-06-28 2016-11-30 周海能 一种马桶盖及具有该马桶盖的马桶
CN111918589B (zh) * 2018-03-27 2022-05-10 骊住株式会社 座便装置
US11241128B2 (en) * 2018-12-14 2022-02-08 Sloan Valve Company Toilet assembly
JP7320367B2 (ja) * 2019-03-28 2023-08-03 ニデック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開閉部材駆動装置
US20200390300A1 (en) * 2019-06-17 2020-12-17 Medic, Inc. Foot Support for a Toilet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8910A (ja) * 1984-03-08 1985-09-26 Canon Inc 光結合器
JPS6295698A (ja) 1985-10-22 1987-05-02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交通標識の自動識別装置
JPH0319838Y2 (ko) 1985-12-06 1991-04-26
US4914757A (en) * 1989-01-06 1990-04-10 Johnson Oriz W Automatic toilet lid/seat control device
CN2091636U (zh) * 1991-03-30 1992-01-01 汤坤明 自动开合坐便器盖
CN2101456U (zh) * 1991-07-11 1992-04-15 李栋 坐便器盖及座圈脚踏启闭装置
JP3722836B2 (ja) 1993-12-27 2005-11-30 東陶機器株式会社 便器載置板の支持構造
JP3431788B2 (ja) * 1997-01-24 2003-07-28 株式会社三協精機製作所 便座および便蓋のダンパユニット
US5996132A (en) * 1997-01-24 1999-12-07 Katoh Electrical Machinery Co., Ltd. Compound torque hinge
US7150049B1 (en) * 2002-03-18 2006-12-19 Fitch Julian M Automatic toilet seat clos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7392B1 (ko) * 2004-02-04 2006-11-23 니혼 덴산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변좌 승강 장치
KR101053150B1 (ko) * 2009-03-19 2011-08-02 김기성 좌변기 받침대 개폐장치
KR101249461B1 (ko) * 2010-07-23 2013-04-03 윤성현 변기커버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172384A1 (en) 2005-08-11
CN1655712A (zh) 2005-08-17
WO2003101269A1 (fr) 2003-12-11
AU2003241908A1 (en) 2003-12-19
KR100985765B1 (ko) 2010-10-06
CN100345510C (zh) 2007-10-31
US7386895B2 (en) 2008-06-17
AU2003241908A8 (en) 2003-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5765B1 (ko) 변기 시트 또는 변기 덮개의 개폐 장치 및 개폐 장치의전달 유닛
EP1058522B1 (en) Torque indicator ratchet wrench for dentistry
JP5852337B2 (ja) テールゲートアウトサイドハンドルアセンブリ
US5199310A (en) Driving device for cable type window regulator
US6749142B2 (en) Apparatus for winding sheet-like element
US20090106886A1 (en) Automatic hinge module and apparatus having the same for opening and closing toilet bowl
KR20050016164A (ko) 기어드 모터
JP4637608B2 (ja) 開閉部材のモータ式自動開閉装置
KR20180004912A (ko) 발판 언라킹 구조를 포함하는 도어
JP4293987B2 (ja) 便座又は便蓋の開閉装置及び開閉装置の伝達ユニット
JP4017952B2 (ja) トイレ装置における開閉部材の着脱構造
JP6897995B2 (ja) スイッチ装置
JP3294789B2 (ja) 手動操作機構付きアクチュエータ
US6669134B2 (en) Take up guide tensioning system
US4957130A (en) Cleaning apparatus for contact lenses
JP3912081B2 (ja) 便座・便蓋閉止装置
JP2005282034A (ja) 自動開閉ユニット
KR102356893B1 (ko) 가전제품 오토오픈 도어락 장치
JPH0739470A (ja) 便器の便座と便蓋の自動開閉装置
JP2004089420A (ja) 収納具
JP3393629B2 (ja) コイン払出装置
CN212690992U (zh) 阀芯驱动装置
US20200370622A1 (en) Driving apparatus
KR101148370B1 (ko) 일방향 회전 감속기
JP4991219B2 (ja) 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