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172Y1 - 동박용 수납장치 - Google Patents

동박용 수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172Y1
KR200497172Y1 KR2020200002386U KR20200002386U KR200497172Y1 KR 200497172 Y1 KR200497172 Y1 KR 200497172Y1 KR 2020200002386 U KR2020200002386 U KR 2020200002386U KR 20200002386 U KR20200002386 U KR 20200002386U KR 200497172 Y1 KR200497172 Y1 KR 2004971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support
coupled
core
copper f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23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1105U (ko
Inventor
김영태
정인수
김승민
양영규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넥실리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넥실리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넥실리스 주식회사
Priority to JP2021538014A priority Critical patent/JP7235231B2/ja
Priority to EP20887330.7A priority patent/EP3889072A4/en
Priority to US17/419,159 priority patent/US20220106152A1/en
Priority to CN202080007558.6A priority patent/CN113286750B/zh
Priority to PCT/KR2020/015038 priority patent/WO2021096121A1/ko
Priority to TW109139735A priority patent/TWI775212B/zh
Publication of KR202100011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10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1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17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6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web or tape-like material
    • B65D85/671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web or tape-like material wound in flat spiral form
    • B65D85/6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web or tape-like material wound in flat spiral form on co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70Carriers or collectors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 H01M4/76Containers for holding the active material, e.g. tubes, caps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 B65D25/107Grooves, ribs, or the like, situated on opposed walls and between which the articles are loc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resilient suspens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57Arrangements of the frame or housing
    • B65H75/4471Housing enclosing the re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1Metal or alloys, e.g. alloy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30Supports; Subassemblies; Mounting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40Holders, supports for rolls
    • B65H2405/44Supports for storing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601/00Problem to be solved or advantage achieved
    • B65H2601/20Avoiding or preventing undesirable effects
    • B65H2601/25Damages to handl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65H2701/173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8Form of handled article or web
    • B65H2701/184Wound packages
    • B65H2701/1842Wound packages of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50Storage means for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 Cleaning And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s By Chemical Method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Cell Electrode Carriers And Collectors (AREA)
  • Packaging Of Machine Parts And Wound Produc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코어에 권취된 동박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이 마련된 수납본체; 상기 코어의 일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수납본체에 결합된 제1지지부; 상기 코어의 타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수납본체에 결합된 제2지지부;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코어의 일측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지지부에 결합된 제1댐퍼부; 및 상기 제2지지부와 상기 코어의 타측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2지지부에 결합된 제2댐퍼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댐퍼부는 상기 제1지지부에 결합된 제1댐퍼본체 및 상기 제1댐퍼본체로부터 돌출된 복수개의 제1댐퍼돌기를 포함하는 동박용 수납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동박용 수납장치{Apparatus for Containing Copper Foil}
본 고안은 이차전지용 음극, 연성인쇄회로기판 등을 제조하는데 이용되는 동박을 수납하기 위한 동박용 수납장치에 관한 것이다.
동박(銅箔)은 이차전지용 음극, 연성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등 다양한 제품을 제조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동박은 양극과 음극 사이에 전해액을 공급한 뒤 전류를 흐르게 하는 전기도금(電氣鍍金) 방식을 통해 제조된다. 이와 같이 전기도금 방식을 통해 동박을 제조함에 있어서, 전해동박 제조장치가 이용된다
전해동박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동박은, 코어(Core)에 권취된 상태로 고객에게 운송된다. 예컨대, 코어에 권취된 동박은 자동차, 선박, 철도차량, 비행기 등과 같은 운송수단에 실려서 운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운송과정에서 동박용 수납장치는 코어에 권취된 동박을 수납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는 동박의 양측으로 돌출된 코어를 지지함으로써, 코어에 권취된 동박을 수납하였다.
이에 따라, 운송수단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 흔들림 등이 동박용 수납장치를 통해 코어로 전달되고 코어로 통해 동박으로 전달되었다. 동박으로 전달된 진동, 흔들림 등은 동박에 울림 등을 발생시키므로, 운송과정에서 동박에 대한 불량을 야기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운송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 흔들림 등으로 인해 동박에 발생하는 불량률을 낮출 수 있는 동박용 수납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는 코어에 권취된 동박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이 마련된 수납본체; 상기 코어의 일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수납본체에 결합된 제1지지부; 상기 코어의 타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수납본체에 결합된 제2지지부;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코어의 일측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지지부에 결합된 제1댐퍼부; 및 상기 제2지지부와 상기 코어의 타측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2지지부에 결합된 제2댐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댐퍼부는 상기 제1지지부에 결합된 제1댐퍼본체 및 상기 제1댐퍼본체로부터 돌출된 복수개의 제1댐퍼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제1댐퍼부를 이용하여 수납본체와 제1지지부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 흔들림 등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운송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 흔들림 등이 코어에 전달되는 세기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진동, 흔들림 등으로 인해 동박에 발생하는 불량률을 낮출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운송이 완료된 동박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박에 대한 운송작업의 안정성과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I-I 선을 기준으로 하는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에 있어서 제1지지부와 제1댐퍼부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에 있어서 제1지지부의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에 있어서 도 2의 Ⅱ-Ⅱ 선을 기준으로 하는 제1지지부와 수납본체의 개략적인 분해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에 있어서 제2지지부와 제2댐퍼부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에 있어서 제2지지부의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에 있어서 도 2의 Ⅲ-Ⅲ 선을 기준으로 하는 제2지지부와 수납본체의 개략적인 분해 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에 있어서 제1댐퍼부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에 있어서 제1댐퍼부의 변형된 실시예를 도 11의 A 화살표 방향으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정면도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에 있어서 제1댐퍼부가 제1지지부에 결합된 모습을 도 11의 B 화살표 방향으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개념적인 측면도
도 14 내지 도 16은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에 있어서 제1댐퍼부가 제1지지부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정면도
도 17 내지 도 20은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에 있어서 제1댐퍼부가 제1지지부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
도 21 및 도 22는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에 있어서 제1지지댐퍼가 제1지지부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정면도
도 23 및 도 24는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에 있어서 제2지지댐퍼가 제2지지부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정면도
도 25는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에 있어서 제1측벽홈과 제1측벽면을 갖는 제1측벽부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26은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에 있어서 제1측벽댐퍼가 제1측벽부재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정면도
도 27은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에 있어서 제2측벽홈과 제2측벽면을 갖는 제2측벽부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28은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에 있어서 제2측벽댐퍼가 제2측벽부재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정면도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7 내지 도 20에서 해칭이 표시된 부분은 코어를 향하도록 배치된 면(面)을 나타낸 것이다. 도 21 및 도 22에는 구성 간의 구별을 위해 제1지지댐퍼에 해칭이 표시되어 있다. 도 23 및 도 24에는 구성 간의 구별을 위해 제2지지댐퍼에 해칭이 표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1)는 코어(Core)(100)에 권취된 동박(銅箔)(200)을 수납하는 것이다. 상기 동박(200)은 이차전지용 음극, 연성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등을 제조하는데 이용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1)는 수납본체(2), 제1지지부(3), 제2지지부(4), 제1댐퍼부(5), 및 제2댐퍼부(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수납본체(2)는 상기 코어(100)에 권취된 동박(200)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21)이 마련된 것이다. 상기 수납본체(2)는 상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방된 상측은 상기 수납공간(21)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코어(100)에 권취된 동박(200)은 상기 수납본체(2)의 개방된 상측을 통해 상기 수납공간(21)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수납본체(2)에 수납될 수 있다. 상기 코어(100)에 권취된 동박(200)이 상기 수납본체(2)에 수납되면, 상기 수납본체(2)에는 커버부(7)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7)는 상기 수납본체(2)의 개방된 상측을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수납본체(2)는 전체적으로 상측이 개방된 직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코어(100)에 권취된 동박(200)을 수납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제1지지부(3)는 상기 코어(100)의 일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수납본체(2)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제1지지부(3)는 상기 수납본체(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3)가 상기 수납본체(2)에 결합되면, 상기 제1지지부(3)는 상기 수납공간(21)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3)는 상기 코어(100)가 삽입되는 제1지지홈(3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홈(31)에 의해 상기 제1지지부(3)는 상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코어(100)는 상기 제1지지부(3)의 개방된 상측을 통해 상기 제1지지홈(31)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홈(31)은 전체적으로 반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코어(100)가 삽입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지지부(3)는 제1지지면(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면(32)은 상기 제1지지홈(31)에 삽입된 코어(10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면(32)은 상기 제1지지홈(31) 쪽을 향하는 상기 제1지지부(3)의 면(面)일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면(32)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제1지지부(3)는 제1삽입부재(3a), 및 제1감소홈(3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삽입부재(3a)는 상기 수납본체(2)에 삽입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삽입부재(3a) 및 상기 제1지지면(32)은 상기 제1지지부(3)에서 서로 반대쪽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면(32)이 상기 제1지지부(3)의 상부(上部)에 배치된 경우, 상기 제1삽입부재(3a)는 상기 제1지지부(3)의 하부(下部)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감소홈(3b)은 상기 제1삽입부재(3a)에 형성된 것이다. 상기 제1감소홈(3b)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1삽입부재(3a)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제1삽입부재(3a)에는 상기 제1감소홈(3b)이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감소홈들(3b, 3b')은 서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감소홈들(3b, 3b')의 사이에 상기 제1삽입부재(3a)가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3)가 상기 제1삽입부재(3a)와 상기 제1감소홈(3b)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수납본체(2)는 제1삽입홈(22, 도 6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3)가 상기 수납본체(2)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1삽입부재(3a)에서 상기 제1감소홈(3b)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상기 제1삽입홈(22)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지지부(3)는 상기 제1삽입부재(3a)와 상기 제1삽입홈(22) 간의 삽입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수납본체(2)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지지부(3)는 상기 코어(100)의 일측을 지지한 상태로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제1삽입홈(22)은 상기 수납본체(2)의 내부에서 바닥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 도 2,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제2지지부(4)는 상기 코어(100)의 타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수납본체(2)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제2지지부(4)는 상기 수납본체(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4)가 상기 수납본체(2)에 결합되면, 상기 제2지지부(4)는 상기 수납공간(21)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4)는 상기 코어(100)가 삽입되는 제2지지홈(4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홈(41)에 의해 상기 제2지지부(4)는 상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코어(100)는 상기 제2지지부(4)의 개방된 상측을 통해 상기 제2지지홈(41)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홈(41)은 전체적으로 반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코어(100)가 삽입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지지부(4)는 제2지지면(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면(42)은 상기 제2지지홈(41)에 삽입된 코어(10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면(42)은 상기 제2지지홈(41) 쪽을 향하는 상기 제2지지부(4)의 면(面)일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면(42)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도 2, 도 7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제2지지부(4)는 제2삽입부재(4a), 및 제2감소홈(4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삽입부재(4a)는 상기 수납본체(2)에 삽입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삽입부재(4a) 및 상기 제2지지면(42)은 상기 제2지지부(4)에서 서로 반대쪽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면(42)이 상기 제2지지부(4)의 상부(上部)에 배치된 경우, 상기 제2삽입부재(4a)는 상기 제2지지부(4)의 하부(下部)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감소홈(4b)은 상기 제2삽입부재(4a)에 형성된 것이다. 상기 제2감소홈(4b)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2삽입부재(4a)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제2삽입부재(4a)에는 상기 제2감소홈(4b)이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감소홈들(4b, 4b')은 서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감소홈들(4b, 4b')의 사이에 상기 제2삽입부재(4a)가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4)가 상기 제2삽입부재(4a)와 상기 제2감소홈(4b)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수납본체(2)는 제2삽입홈(23, 도 10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4)가 상기 수납본체(2)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2삽입부재(4a)에서 상기 제2감소홈(4b)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상기 제2삽입홈(23)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지지부(4)는 상기 제2삽입부재(4a)와 상기 제2삽입홈(23) 간의 삽입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수납본체(2)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지지부(4)는 상기 코어(100)의 타측을 지지한 상태로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제2삽입홈(23)은 상기 수납본체(2)의 내부에서 바닥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3을 참고하면, 상기 제1댐퍼부(5)는 상기 제1지지부(3)와 상기 코어(100)의 일측 사이에 배치된 것이다. 상기 제1댐퍼부(5)는 상기 제1지지부(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댐퍼부(5)는 부착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지지부(3)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제1댐퍼부(5)는 상기 제1지지면(3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댐퍼부(5)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면(32)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제1지지면(32)의 곡률을 따라 휘어져서 곡선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제1댐퍼부(5)는 탄성변형(Elastic Deformation)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댐퍼부(5)는 고무, 우레탄(Urethane)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어(100)에 권취된 동박(200)이 상기 수납공간(21)에 수납되면, 상기 제1댐퍼부(5)는 상기 코어(100)의 일측과 상기 제1지지면(32) 사이에서 상기 코어(100)의 일측에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동차, 선박, 철도차량, 비행기 등과 같은 운송수단에 의해 운송되는 과정에서 진동, 흔들림 등이 발생하면, 상기 제1댐퍼부(5)는 상기 수납본체(2)와 상기 제1지지부(3)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 흔들림 등을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댐퍼부(5)는 진동, 흔들림 등이 상기 코어(100)의 일측에 전달되는 세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1)는 운송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 흔들림 등으로 인해 상기 동박(200)에 발생하는 불량률을 낮출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1)는 운송이 완료된 동박(200)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동박(200)에 대한 운송작업의 안정성과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댐퍼부(5)는 제1댐퍼본체(51), 및 복수개의 제1댐퍼돌기(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댐퍼본체(51)는 상기 제1지지부(3)에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제1댐퍼본체(51)는 상기 제1지지면(3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댐퍼본체(51)는 부착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지지면(3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댐퍼본체(51)는 별도의 제1고정부재(미도시)를 통해 상기 제1지지면(3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재는 상기 제1댐퍼돌기(52)들의 사이에서 상기 제1댐퍼본체(51)와 상기 제1지지부(3)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댐퍼부(5)를 상기 제1지지부(3)에 고정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고정부재는 스테플러 심 등과 같이 상기 제1댐퍼본체(51)와 상기 제1지지부(3)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댐퍼돌기(52)들은 상기 제1댐퍼본체(51)로부터 돌출된 것이다. 상기 제1댐퍼돌기(52)들은 상기 제1댐퍼본체(51)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댐퍼돌기(52)들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댐퍼돌기(52)들은 상기 코어(100)의 일측에서 서로 다른 부분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1댐퍼돌기(52)들을 통해, 상기 제1댐퍼부(5)가 상기 코어(100)의 일측에 접촉되는 접촉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댐퍼돌기(52)들 각각에 대한 탄성변형이 더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댐퍼부(5)는 진동, 흔들림 등이 상기 코어(100)의 일측에 전달되는 세기를 더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현된다. 상기 제1댐퍼돌기(52)들은 전체적으로 직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진동, 흔들림 등이 상기 코어(100)의 일측에 전달되는 세기를 감소시킬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댐퍼돌기(52)들은 상기 제1댐퍼본체(51)의 상측으로 돌출될수록 크기가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댐퍼돌기(52)들에서 상기 코어(100)의 일측에 접촉되는 부분은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댐퍼돌기(52)들은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댐퍼돌기(52)들은 각각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의 길이에 비해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의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 및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은 하나의 평면 상에서 서로 수직한 축 방향이다. 상기 제1댐퍼부(5)가 상기 제1지지부(3)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동박(200)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상기 수납본체(2)에 수납될 수 있다.
상기 제1댐퍼돌기(52)들은 각각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댐퍼돌기(52)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중간지점(CP)으로부터 바깥쪽에 배치된 것일수록 더 짧은 길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중간지점(CP)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댐퍼본체(51)의 양단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로 이격된 지점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중간지점(CP)으로부터 바깥쪽을 향할수록 상기 제1댐퍼돌기(52)들 간의 간격이 증가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댐퍼부(5)는 복수개의 제1댐퍼홈(5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댐퍼부(5)는 상기 제1댐퍼홈(53)들이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상기 제1지지부(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댐퍼홈(53)들은 상기 제1댐퍼본체(51)의 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댐퍼홈(53)들은 각각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대해 평행한 직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댐퍼홈(53)들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댐퍼홈(53)들을 통해, 상기 제1댐퍼부(5)가 상기 제1지지부(3)에 접촉되는 접촉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댐퍼홈(53)들로 인해 상기 제1댐퍼본체(51)에 대한 탄성변형이 더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댐퍼부(5)는 진동, 흔들림 등이 상기 제1댐퍼본체(51)에서 상기 제1댐퍼돌기(52)들로 전달되는 세기를 감소시킴으로써, 진동, 흔들림 등이 상기 코어(100)의 일측에 전달되는 세기를 더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현된다. 상기 제1댐퍼홈(53)들은 각각 전체적으로 직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진동, 흔들림 등이 전달되는 세기를 감소시킬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댐퍼홈(53)들은 상기 제1댐퍼본체(51)의 상측으로 함몰될수록 크기가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댐퍼홈(53)이 형성된 상기 제1댐퍼본체(51)의 내벽은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댐퍼부(5)는 상기 제1지지면(32) 전면(全面)을 덮도록 상기 제1지지부(3)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댐퍼돌기(52)들은 상기 제1지지면(32)의 곡률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댐퍼부(5)는 상기 제1지지면(32)의 일부를 덮도록 상기 제1지지부(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코어(100)에 권취된 동박(200)이 상기 수납본체(2)에 수납되면, 상기 제1댐퍼부(5)는 상기 코어(100)의 일측에 대해 하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지지부(3)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1)는 상기 제1댐퍼부(5)를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1댐퍼부들(5, 5', 5")은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지지면(32)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5에는 상기 제1지지면(32)에 3개의 제1댐퍼부들(5, 5', 5")이 결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1지지면(32)에는 2개 또는 4개 이상의 제1댐퍼부(5)가 결합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1)가 상기 제1댐퍼부들(5, 5', 5")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코어(100)의 일측에 대해 하측에 제1댐퍼부(5)가 배치되고, 상기 제1축방향(X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댐퍼부(5)의 양측에 상기 제1댐퍼부들(5', 5")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댐퍼부(5', 5")들은 상기 코어(100)의 일측으로부터 양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댐퍼부(5', 5")들은 상기 코어(100)의 일측에 접촉될 수도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댐퍼부들(5, 5', 5")은 모두 상기 제1댐퍼돌기(52)들을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1)는 상기 제1댐퍼부(5)와 제1보조댐퍼(20)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1댐퍼부(5)가 상기 제1댐퍼돌기(52)들을 이용하여 상기 코어(100)의 일측에 부분적으로 접촉 가능하도록 구현됨과 달리, 상기 제1보조댐퍼(20)는 상기 코어(100)의 일측에 전면(全面)이 접촉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보조댐퍼(20)는 상기 제1댐퍼돌기(52)들이 없게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보조댐퍼(20)에서 상기 코어(100)의 일측에 접촉 가능한 면(面)은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보조댐퍼(20)가 상기 제1댐퍼부(5)에 비해 제조비용이 더 저렴하므로,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1)는 상기 제1보조댐퍼(20)와 상기 제1댐퍼부(5)의 조합을 통해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다. 상기 제1보조댐퍼(20)와 상기 제1댐퍼부(5)는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1)는 상기 제1보조댐퍼(20)를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댐퍼부(5)는 상기 코어(100)의 일측에 대해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보조댐퍼들(20, 20')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댐퍼부(5)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보조댐퍼들(20, 20')은 상기 코어(100)의 일측으로부터 양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보조댐퍼들(20, 20')은 상기 코어(100)의 일측에 접촉될 수도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댐퍼부(5)는 상기 제1지지면(32)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댐퍼부(5)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지지부(3)의 양단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로 이격된 중간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댐퍼부(5)의 양측에는 상기 제1보조댐퍼들(20, 2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보조댐퍼들(20, 20')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지지면(32)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댐퍼부(5)의 양측에 추가적으로 상기 제1댐퍼부들(5', 5")(도 15에 도시됨)이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댐퍼부(5)는 상기 제1지지면(32)에 비해 더 짧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댐퍼부(5)는 상기 제1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중간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댐퍼부(5)는 상기 제2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지지부(3)의 양단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댐퍼부(5)의 양측에는 상기 제1보조댐퍼들(20, 2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보조댐퍼들(20, 20')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지지면(32)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댐퍼부(5)의 양측에 추가적으로 상기 제1댐퍼부들(5', 5")(도 15에 도시됨)이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댐퍼부(5)는 상기 제1지지면(32)에 비해 더 짧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댐퍼부(5)는 상기 제1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중간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중간위치에는 복수개의 제1댐퍼부(5)들이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1댐퍼부(5)들은 상기 중간위치에서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댐퍼부(5)들의 양측에는 추가적으로 상기 제1댐퍼부들(5', 5")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댐퍼부들(5', 5")은 상기 제1댐퍼돌기들(52', 52")이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댐퍼부(5)들의 양측에는 상기 제1보조댐퍼들(20, 20')(도 18에 도시됨)이 배치될 수도 있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댐퍼부(5)는 상기 제1지지면(32)에 비해 더 짧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댐퍼부(5)는 상기 제1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중간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중간위치에는 복수개의 제1댐퍼부(5)들이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1댐퍼부(5)들은 상기 중간위치에서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댐퍼부(5)들은 상기 제1지지부(3)의 일단으로부터 서로 다른 거리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댐퍼부(5)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위치가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댐퍼부(5)들의 양측에는 상기 제1보조댐퍼들(20, 20')이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댐퍼부(5)들의 양측에는 추가적으로 상기 제1댐퍼부들(5', 5")(도 19에 도시됨)이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20을 참고하면, 상기 제2댐퍼부(6)는 상기 제2지지부(4)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제2댐퍼부(6)는 상기 제2지지부(4)에 결합되어서 상기 코어(100)의 타측을 지지하는 것 외에는 상기 제1댐퍼부(5)와 대략 일치하게 구현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1)는 제1측벽부(8), 및 제2측벽부(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측벽부(8)는 상기 수납본체(2)의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측벽부(8)는 상기 수납본체(2)의 일측에 결합되면, 상기 수납본체(2)의 일측을 폐쇄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측벽부(8)는 상기 수납공간(21)에 수납된 코어(100)의 일측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측벽부(8)는 제1측벽부재(8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측벽부재(81)는 상기 제1측벽부(8)로부터 돌출된 것이다. 상기 제1측벽부(8)가 상기 수납본체(2)의 일측에 결합되면, 상기 제1측벽부재(81)는 상기 코어(100)의 일측에 대해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코어(100)의 일측은 상기 제1측벽부재(81)와 상기 제1댐퍼부(5)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1)는 상기 코어(100)의 일측에 대한 지지력을 강화할 수 있다.
상기 제2측벽부(9)는 상기 수납본체(2)의 타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측벽부(9)는 상기 수납본체(2)의 타측에 결합되면, 상기 수납본체(2)의 타측을 폐쇄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측벽부(9)는 상기 수납공간(21)에 수납된 코어(100)의 타측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측벽부(9)는 제2측벽부재(9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측벽부재(91)는 상기 제2측벽부(9)로부터 돌출된 것이다. 상기 제2측벽부(9)가 상기 수납본체(2)의 타측에 결합되면, 상기 제2측벽부재(91)는 상기 코어(100)의 타측에 대해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코어(100)의 타측은 상기 제2측벽부재(91)와 상기 제2댐퍼부(6)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1)는 상기 코어(100)의 타측에 대한 지지력을 강화할 수 있다.
도 2, 도 21 및 도 22를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1)는 제1지지댐퍼(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댐퍼(30)는 상기 제1지지부(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3)가 상기 수납본체(2)에 결합되면, 상기 제1지지댐퍼(30)는 상기 제1지지부(3)와 상기 수납본체(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댐퍼(30)는 탄성변형(Elastic Deformation)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지지댐퍼(30)는 고무, 우레탄(Urethane)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댐퍼(30)는 상기 제1지지부(3)가 갖는 제1외측면(3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3)가 상기 수납본체(2)에 결합된 경우, 상기 제1외측면(33)은 상기 수납본체(2)를 향하는 면(面)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지지부(3)가 상기 수납본체(2)에 결합되면, 상기 제1지지댐퍼(30)는 상기 제1외측면(33)과 상기 수납본체(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지지댐퍼(30)는 상기 수납본체(2)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 흔들림 등을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지지댐퍼(30)는 진동, 흔들림 등이 상기 제1지지부(3)에 전달되는 세기를 감소시킴으로써, 진동, 흔들림 등이 상기 코어(100)의 일측에 전달되는 세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1)는 운송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 흔들림 등으로 인해 상기 동박(200)에 발생하는 불량률을 낮출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1)는 운송이 완료된 동박(200)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동박(200)에 대한 운송작업의 안정성과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댐퍼(30)는 제1지지본체(30a), 및 복수개의 제1지지돌기(3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본체(30a)는 상기 수납본체(2)를 향하도록 배치된 것이다. 상기 제1지지부(3)가 상기 수납본체(2)에 결합되면, 상기 제1지지본체(30a)는 상기 수납본체(2)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돌기(30b)들은 상기 제1지지본체(30a)로부터 돌출된 것이다. 상기 제1지지돌기(30b)들은 상기 제1지지본체(30a)로부터 상기 제1지지부(3) 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돌기(30b)들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지지돌기(30b)들은 상기 제1지지부(3)의 서로 다른 부분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돌기(30b)들을 통해, 상기 제1지지댐퍼(30)가 상기 제1지지부(3)에 접촉되는 접촉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지지돌기(30b)들 각각에 대한 탄성변형이 더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지지댐퍼(30)는 진동, 흔들림 등이 상기 제1지지부(3)에 전달되는 세기를 더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현된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댐퍼(30)는 상기 제1외측면(33) 전면(全面)을 덮도록 상기 제1지지부(3)에 결합될 수 있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댐퍼(30)는 상기 제1외측면(33)의 일부를 덮도록 상기 제1지지부(3)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1)는 상기 제1지지댐퍼(30)를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지지댐퍼들(30, 30', 30")은 상기 제1외측면(33)에서 서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1지지댐퍼(30)는 상기 제1지지돌기(30b)들 없이 상기 제1지지본체(30a)만을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1)는 상기 제1댐퍼부(5)와 상기 제1지지댐퍼(30) 모두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 도 23 및 도 24를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1)는 제2지지댐퍼(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댐퍼(40)는 상기 제2지지부(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4)가 상기 수납본체(2)에 결합되면, 상기 제2지지댐퍼(40)는 상기 제2지지부(4)와 상기 수납본체(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댐퍼(40)는 탄성변형(Elastic Deformation)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지지댐퍼(40)는 고무, 우레탄(Urethane)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댐퍼(40)는 상기 제2지지부(4)가 갖는 제2외측면(4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4)가 상기 수납본체(2)에 결합된 경우, 상기 제2외측면(43)은 상기 수납본체(2)를 향하는 면(面)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지지부(4)가 상기 수납본체(2)에 결합되면, 상기 제2지지댐퍼(40)는 상기 제2외측면(43)과 상기 수납본체(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지지댐퍼(40)는 상기 수납본체(2)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 흔들림 등을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지지댐퍼(40)는 진동, 흔들림 등이 상기 제2지지부(4)에 전달되는 세기를 감소시킴으로써, 진동, 흔들림 등이 상기 코어(100)의 일측에 전달되는 세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1)는 운송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 흔들림 등으로 인해 상기 동박(200)에 발생하는 불량률을 낮출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1)는 운송이 완료된 동박(200)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동박(200)에 대한 운송작업의 안정성과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댐퍼(40)는 제2지지본체(40a), 및 복수개의 제2지지돌기(4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본체(40a)는 상기 수납본체(2)를 향하도록 배치된 것이다. 상기 제2지지부(4)가 상기 수납본체(2)에 결합되면, 상기 제2지지본체(40a)는 상기 수납본체(2)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돌기(40b)들은 상기 제2지지본체(40a)로부터 돌출된 것이다. 상기 제2지지돌기(40b)들은 상기 제2지지본체(40a)로부터 상기 제2지지부(4) 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돌기(40b)들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지지돌기(40b)들은 상기 제2지지부(4)의 서로 다른 부분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돌기(40b)들을 통해, 상기 제2지지댐퍼(40)가 상기 제2지지부(4)에 접촉되는 접촉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지지돌기(40b)들 각각에 대한 탄성변형이 더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지지댐퍼(40)는 진동, 흔들림 등이 상기 제2지지부(4)에 전달되는 세기를 더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현된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지지댐퍼(40)는 상기 제2외측면(43) 전면(全面)을 덮도록 상기 제2지지부(4)에 결합될 수 있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지지댐퍼(40)는 상기 제2외측면(43)의 일부를 덮도록 상기 제2지지부(4)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1)는 상기 제2지지댐퍼(40)를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지지댐퍼들(40, 40', 40")은 상기 제2외측면(43)에서 서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2지지댐퍼(40)는 상기 제2지지돌기(40b)들 없이 상기 제2지지본체(40a)만을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1)는 상기 제2댐퍼부(6)와 상기 제2지지댐퍼(40) 모두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5 및 도 26을 참고하면, 상기 제1측벽부(8)는 상기 코어(100)가 삽입되는 제1측벽홈(8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측벽홈(82)은 상기 제1측벽부재(81)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측벽홈(82)에 의해 상기 제1측벽부재(81)는 하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코어(100)의 일측은 상기 제1측벽부재(81)의 개방된 하측을 통해 상기 제1측벽홈(82)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측벽홈(82)은 전체적으로 반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코어(100)가 삽입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측벽부(8)는 제1측벽면(8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측벽면(83)은 상기 제1측벽부재(81)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측벽면(83)은 상기 제1측벽홈(82)에 삽입된 코어(10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측벽면(83)은 상기 제1측벽홈(82) 쪽을 향하는 상기 제1측벽부재(81)의 면(面)일 수 있다. 상기 제1측벽면(83)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1)는 상기 제1측벽부(8)에 결합된 제1측벽댐퍼(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측벽댐퍼(80)는 상기 제1측벽부재(8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측벽부(8)가 상기 수납본체(2)에 결합되면, 상기 제1측벽댐퍼(80)는 상기 제1측벽부재(81)와 상기 코어(100)의 일측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측벽댐퍼(80)는 탄성변형(Elastic Deformation)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측벽댐퍼(80)는 고무, 우레탄(Urethane)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어(100)에 권취된 동박(200)이 상기 수납본체(2)에 수납된 후에 상기 제1측벽부(8)가 상기 수납본체(2)에 결합되면, 상기 제1측벽댐퍼(80)는 상기 코어(100)의 일측에 대해 상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측벽부재(8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측벽댐퍼(80)는 상기 제1측벽부(8)가 갖는 제1측벽면(83)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측벽부(8)가 상기 수납본체(2)에 결합되면, 상기 제1측벽댐퍼(80)는 상기 코어(100)의 일측에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측벽댐퍼(80)는 상기 수납본체(2)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 흔들림 등을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측벽댐퍼(80)는 진동, 흔들림 등이 상기 코어(100)의 일측에 전달되는 세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1)는 운송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 흔들림 등으로 인해 상기 동박(200)에 발생하는 불량률을 낮출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1)는 운송이 완료된 동박(200)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동박(200)에 대한 운송작업의 안정성과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측벽댐퍼(80)는 제1측벽본체(80a), 및 복수개의 제1측벽돌기(8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측벽본체(80a)는 상기 제1측벽부(8)에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제1측벽본체(80a)는 상기 제1측벽면(8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측벽본체(80a)는 부착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측벽면(8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측벽본체(80a)는 별도의 제1결합부재(미도시)를 통해 상기 제1측벽면(8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재는 상기 제1측벽돌기(80b)들의 사이에서 상기 제1측벽본체(80a)와 상기 제1측벽부재(81)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측벽댐퍼(80)를 상기 제1측벽부재(81)에 고정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결합부재는 스테플러 심 등과 같이 상기 제1측벽본체(80a)와 상기 제1측벽부재(81)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측벽돌기(80b)들은 상기 제1측벽본체(80a)로부터 돌출된 것이다. 상기 제1측벽돌기(80b)들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측벽돌기(80b)들은 상기 코어(100)의 일측에서 서로 다른 부분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1측벽돌기(80b)들을 통해, 상기 제1측벽댐퍼(80)가 상기 코어(100)의 일측에 접촉되는 접촉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측벽돌기(80b)들 각각에 대한 탄성변형이 더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측벽댐퍼(80)는 진동, 흔들림 등이 상기 코어(100)의 일측에 전달되는 세기를 더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현된다. 상기 제1측벽돌기(80b)들은 전체적으로 직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진동, 흔들림 등이 상기 코어(100)의 일측에 전달되는 세기를 감소시킬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측벽돌기(80b)들은 상기 제1측벽본체(80a)로부터 돌출될수록 크기가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측벽돌기(80b)들에서 상기 코어(100)의 일측에 접촉되는 부분은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측벽댐퍼(80)는 상기 제1측벽면(83) 전면(全面)을 덮도록 상기 제1측벽부재(81)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측벽돌기(80b)들은 상기 제1측벽면(83)의 곡률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1측벽댐퍼(80)는 상기 제1측벽면(83)의 일부를 덮도록 상기 제1측벽부재(81)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1)는 상기 제1측벽댐퍼(80)를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측벽댐퍼(80)들은 상기 제1측벽면(83)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20에 도시된 상기 제1댐퍼부(5)의 변형 실시예들은 상기 제1측벽댐퍼(80)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27 및 도 28을 참고하면, 상기 제2측벽부(9)는 상기 코어(100)가 삽입되는 제2측벽홈(9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측벽홈(92)은 상기 제2측벽부재(91)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측벽홈(92)에 의해 상기 제2측벽부재(91)는 하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코어(100)의 타측은 상기 제2측벽부재(91)의 개방된 하측을 통해 상기 제2측벽홈(92)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2측벽홈(92)은 전체적으로 반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코어(100)가 삽입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측벽부(9)는 제2측벽면(9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측벽면(93)은 상기 제2측벽부재(91)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측벽면(93)은 상기 제2측벽홈(92)에 삽입된 코어(10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2측벽면(93)은 상기 제2측벽홈(92) 쪽을 향하는 상기 제2측벽부재(91)의 면(面)일 수 있다. 상기 제2측벽면(93)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1)는 상기 제2측벽부(9)에 결합된 제2측벽댐퍼(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측벽댐퍼(90)는 상기 제2측벽부재(9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측벽부(9)가 상기 수납본체(2)에 결합되면, 상기 제2측벽댐퍼(90)는 상기 제2측벽부재(91)와 상기 코어(100)의 타측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측벽댐퍼(90)는 탄성변형(Elastic Deformation)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측벽댐퍼(90)는 고무, 우레탄(Urethane)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어(100)에 권취된 동박(200)이 상기 수납본체(2)에 수납된 후에 상기 제2측벽부(9)가 상기 수납본체(2)에 결합되면, 상기 제2측벽댐퍼(90)는 상기 코어(100)의 타측에 대해 상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2측벽부재(9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측벽댐퍼(90)는 상기 제2측벽부(9)가 갖는 제2측벽면(93)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측벽부(9)가 상기 수납본체(2)에 결합되면, 상기 제2측벽댐퍼(90)는 상기 코어(100)의 타측에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측벽댐퍼(90)는 상기 수납본체(2)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 흔들림 등을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측벽댐퍼(90)는 진동, 흔들림 등이 상기 코어(100)의 타측에 전달되는 세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1)는 운송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 흔들림 등으로 인해 상기 동박(200)에 발생하는 불량률을 낮출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1)는 운송이 완료된 동박(200)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동박(200)에 대한 운송작업의 안정성과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측벽댐퍼(90)는 제2측벽본체(90a), 및 복수개의 제2측벽돌기(9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측벽본체(90a)는 상기 제2측벽부(9)에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제2측벽본체(90a)는 상기 제2측벽면(9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측벽본체(90a)는 부착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2측벽면(9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측벽본체(90a)는 별도의 제2결합부재(미도시)를 통해 상기 제2측벽면(9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부재는 상기 제2측벽돌기(90b)들의 사이에서 상기 제2측벽본체(90a)와 상기 제2측벽부재(91)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2측벽댐퍼(90)를 상기 제2측벽부재(91)에 고정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결합부재는 스테플러 심 등과 같이 상기 제2측벽본체(90a)와 상기 제2측벽부재(91)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측벽돌기(90b)들은 상기 제2측벽본체(90a)로부터 돌출된 것이다. 상기 제2측벽돌기(90b)들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측벽돌기(90b)들은 상기 코어(100)의 타측에서 서로 다른 부분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2측벽돌기(90b)들을 통해, 상기 제2측벽댐퍼(90)가 상기 코어(100)의 타측에 접촉되는 접촉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측벽돌기(90b)들 각각에 대한 탄성변형이 더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측벽댐퍼(90)는 진동, 흔들림 등이 상기 코어(100)의 타측에 전달되는 세기를 더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현된다. 상기 제2측벽돌기(90b)들은 전체적으로 직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진동, 흔들림 등이 상기 코어(100)의 타측에 전달되는 세기를 감소시킬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측벽돌기(90b)들은 상기 제2측벽본체(90a)로부터 돌출될수록 크기가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측벽돌기(90b)들에서 상기 코어(100)의 타측에 접촉되는 부분은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측벽댐퍼(90)는 상기 제2측벽면(93) 전면(全面)을 덮도록 상기 제2측벽부재(91)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측벽돌기(90b)들은 상기 제2측벽면(93)의 곡률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2측벽댐퍼(90)는 상기 제2측벽면(93)의 일부를 덮도록 상기 제2측벽부재(91)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1)는 상기 제2측벽댐퍼(90)를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2측벽댐퍼(90)들은 상기 제2측벽면(93)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20에 도시된 상기 제1댐퍼부(5)의 변형 실시예들은 상기 제2측벽댐퍼(80)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동박용 수납장치 2 : 수납본체
3 : 제1지지부 4 : 제2지지부
5 : 제1댐퍼부 6 : 제2댐퍼부
7 : 커버부 8 : 제1측벽부
9 : 제2측벽부 100 : 코어
200 : 동박

Claims (12)

  1. 코어(Core)(100)에 권취된 동박(銅箔)(200)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21)이 마련된 수납본체(2);
    상기 코어(100)의 일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수납본체(2)에 결합된 제1지지부(3);
    상기 코어(100)의 타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수납본체(2)에 결합된 제2지지부(4);
    상기 제1지지부(3)와 상기 코어(100)의 일측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지지부(3)에 결합된 제1댐퍼부(5); 및
    상기 제2지지부(4)와 상기 코어(100)의 타측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2지지부(4)에 결합된 제2댐퍼부(6)를 포함하고,
    상기 제1댐퍼부(5)는 상기 제1지지부(3)에 결합된 제1댐퍼본체(51), 상기 제1댐퍼본체(51)로부터 돌출된 복수개의 제1댐퍼돌기(52), 및 상기 제1댐퍼본체(51)에 형성된 복수개의 제1댐퍼홈(53)을 포함하되, 상기 제1댐퍼홈(53)들이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상기 제1지지부(3)에 결합되고,
    상기 제1댐퍼홈(53)들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용 수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3)는
    상기 코어(100)가 삽입되는 제1지지홈(31), 및
    상기 제1지지홈(31)에 삽입된 코어(100)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지지면(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용 수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면(32)은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용 수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3)는 상기 수납본체(2)에 삽입되기 위한 제1삽입부재(3a), 및 상기 제1삽입부재(3a)에 형성된 제1감소홈(3b)을 포함하며,
    상기 수납본체(2)에는 상기 제1삽입부재(3a)에서 상기 제1감소홈(3b)을 제외한 부분이 삽입되기 위한 제1삽입홈(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용 수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댐퍼돌기(52)들은 상기 코어(100)의 일측에서 서로 다른 부분에 접촉되도록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용 수납장치.
  6. 삭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댐퍼부(5)는 상기 제1지지면(32)의 전면(全面)을 덮도록 상기 제1지지부(3)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용 수납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댐퍼부(5)는 상기 제1지지면(32)의 일부를 덮도록 상기 제1지지부(3)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용 수납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3)에는 상기 제1댐퍼부(5)가 복수개 결합되고,
    상기 제1댐퍼부(5)들은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지지면(32)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용 수납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3)에 결합되는 제1보조댐퍼(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댐퍼돌기(52)들은 상기 코어(100)의 일측에 부분적으로 접촉 가능하도록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1보조댐퍼(20)는 상기 코어(100)의 일측에 전면(全面)이 접촉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용 수납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3)와 상기 수납본체(2)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지지부(3)에 결합된 제1지지댐퍼(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댐퍼(30)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용 수납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본체(2)의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측벽부(8), 및 상기 제1측벽부(8)와 상기 코어(100)의 일측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측벽부(8)에 결합된 제1측벽댐퍼(80)를 포함하고,
    상기 제1측벽댐퍼(80)는 상기 제1측벽부(8)에 결합된 제1측벽본체(80a), 및 상기 제1측벽본체(80a)로부터 돌출된 복수개의 제1측벽돌기(80b)를 포함하며,
    상기 제1측벽돌기(80b)들은 상기 코어(100)의 일측에서 서로 다른 부분에 접촉되도록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용 수납장치.
KR2020200002386U 2019-11-13 2020-07-03 동박용 수납장치 KR2004971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538014A JP7235231B2 (ja) 2019-11-13 2020-10-30 銅箔用収納装置
EP20887330.7A EP3889072A4 (en) 2019-11-13 2020-10-30 STORAGE DEVICE FOR COPPER SHEET
US17/419,159 US20220106152A1 (en) 2019-11-13 2020-10-30 Apparatus for accommodating copper foil
CN202080007558.6A CN113286750B (zh) 2019-11-13 2020-10-30 铜箔用收纳装置
PCT/KR2020/015038 WO2021096121A1 (ko) 2019-11-13 2020-10-30 동박용 수납장치
TW109139735A TWI775212B (zh) 2019-11-13 2020-11-13 銅箔收納用裝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04544 2019-11-13
KR2020190004544 2019-11-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105U KR20210001105U (ko) 2021-05-24
KR200497172Y1 true KR200497172Y1 (ko) 2023-08-18

Family

ID=76145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2386U KR200497172Y1 (ko) 2019-11-13 2020-07-03 동박용 수납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106152A1 (ko)
EP (1) EP3889072A4 (ko)
JP (1) JP7235231B2 (ko)
KR (1) KR200497172Y1 (ko)
CN (1) CN113286750B (ko)
TW (1) TWI77521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71839B2 (ja) * 2020-01-31 2024-04-22 Jx金属株式会社 包装容器、包装方法及び金属箔の輸送方法
KR102630760B1 (ko) 2020-07-03 2024-01-26 에스케이넥실리스 주식회사 동박용 수납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5789A (ja) * 2000-12-28 2002-07-23 Nippon Zeon Co Ltd ロール製品用コンテナ
JP2006103780A (ja) 2004-10-08 2006-04-20 Nippon Zeon Co Ltd ロール製品用コンテナ
JP2013227071A (ja) * 2012-03-27 2013-11-07 Kyoraku Co Ltd ロール体用コンテナ
CN204384095U (zh) 2014-12-12 2015-06-10 日东电工株式会社 卷筒运输用箱
JP2015168484A (ja) * 2014-03-10 2015-09-28 ショット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Schott AG 包装ユニット
CN106428988A (zh) * 2016-11-11 2017-02-22 曾成富 用于定位电杆的支承座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9989U (ko) * 1985-07-22 1987-02-06
JP4753179B2 (ja) * 2003-09-11 2011-08-24 三甲株式会社 巻回物包装体、巻回物包装用端壁および巻回物包装体の組立方法
JP2006001637A (ja) * 2004-06-21 2006-01-05 Nippon Zeon Co Ltd ロール製品輸送用コンテナ
JP4735053B2 (ja) * 2005-05-27 2011-07-27 Jsr株式会社 当接板、それを備える梱包材及び梱包構造体
CN201296455Y (zh) * 2008-11-27 2009-08-26 联合铜箔(惠州)有限公司 卷状铜箔包装箱
CN201368168Y (zh) * 2009-01-19 2009-12-23 上海腾隆(集团)有限公司 隔振垫及隔振器
CN201437448U (zh) * 2009-06-08 2010-04-14 新疆众和股份有限公司 抽插式铝箔包装箱
JP5493174B2 (ja) * 2010-08-09 2014-05-14 日東電工株式会社 収容箱
JP2012106747A (ja) * 2010-11-15 2012-06-07 Asahi Glass Co Ltd ロール状物品の梱包容器
CN202790271U (zh) * 2012-07-18 2013-03-13 重庆松江管道设备厂 橡胶隔振垫
CN202765587U (zh) * 2012-09-13 2013-03-06 广东嘉元科技股份有限公司 电解铜箔包装运输箱
DE102013215654A1 (de) * 2013-08-08 2015-02-12 Schott Ag Verpackungseinheit für ein auf einen Wickelkern aufgerolltes Glas
JP6303470B2 (ja) * 2013-12-12 2018-04-04 日立化成株式会社 梱包装容器
CN203682229U (zh) * 2013-12-18 2014-07-02 苏州宇信特殊包装有限公司 一种电机包装箱
JP6547334B2 (ja) * 2015-03-04 2019-07-24 日本ゼオン株式会社 ロール製品用ラック
JP2016196323A (ja) * 2015-04-06 2016-11-2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電池用包材のフィルムロール梱包体
JP7440995B2 (ja) * 2017-11-02 2024-02-29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ロール包装体
CN109094938A (zh) * 2018-09-18 2018-12-28 美盈森集团股份有限公司 工业铝箔卷材纸木结合包装箱及其包装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5789A (ja) * 2000-12-28 2002-07-23 Nippon Zeon Co Ltd ロール製品用コンテナ
JP2006103780A (ja) 2004-10-08 2006-04-20 Nippon Zeon Co Ltd ロール製品用コンテナ
JP2013227071A (ja) * 2012-03-27 2013-11-07 Kyoraku Co Ltd ロール体用コンテナ
JP2015168484A (ja) * 2014-03-10 2015-09-28 ショット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Schott AG 包装ユニット
CN204384095U (zh) 2014-12-12 2015-06-10 日东电工株式会社 卷筒运输用箱
CN106428988A (zh) * 2016-11-11 2017-02-22 曾成富 用于定位电杆的支承座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235231B2 (ja) 2023-03-08
EP3889072A1 (en) 2021-10-06
US20220106152A1 (en) 2022-04-07
CN113286750B (zh) 2023-08-18
KR20210001105U (ko) 2021-05-24
TWI775212B (zh) 2022-08-21
CN113286750A (zh) 2021-08-20
TW202120393A (zh) 2021-06-01
JP2022517064A (ja) 2022-03-04
EP3889072A4 (en) 2022-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7172Y1 (ko) 동박용 수납장치
EP0559573B2 (en) Battery pack
US20120321927A1 (en) Battery case for vehicle
US20090226804A1 (en) Package structure of electric storage cells
JP2010146879A (ja) 電動工具のバッテリパック
US11973244B2 (en) Battery module having guide for restricting movement of busbar frame, and battery pack and vehicle comprising same
US20170331084A1 (en) Battery assembly for medical instrument and medical instrument unit
KR102018692B1 (ko) 이차 전지 및 이차 전지 제조 방법
JPH11297366A (ja) バッテリーパック、バッテリーチャージャーおよびバッテリーパックを使用する電子機器
KR102655101B1 (ko) 배터리 셀의 전극리드 절단장치
EP3905367A1 (en) Battery box and battery module
KR20210001593U (ko) 동박용 수납장치
KR20220153508A (ko) 동박용 수납장치
KR20220152168A (ko) 동박용 수납장치
KR20210001592U (ko) 동박용 수납장치
KR20130084447A (ko) 컨테이너선용 래싱브리지
JP2002231320A (ja) 電池用トレイ
US11616275B2 (en) Connecting assembly, battery module, battery pack,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KR20230001064U (ko) 동박용 수납장치
US10790494B2 (en) Battery wiring module including a terminal accommodation portion
EP4155232A1 (en) Storage device for copper foil
CN110098048A (zh) 电容器模块
JP2021034171A (ja) 蓄電装置
KR20230000633U (ko) 동박용 수납장치
JP7404767B2 (ja) 蓄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