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8692B1 - 이차 전지 및 이차 전지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이차 전지 및 이차 전지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8692B1
KR102018692B1 KR1020130071846A KR20130071846A KR102018692B1 KR 102018692 B1 KR102018692 B1 KR 102018692B1 KR 1020130071846 A KR1020130071846 A KR 1020130071846A KR 20130071846 A KR20130071846 A KR 20130071846A KR 102018692 B1 KR102018692 B1 KR 1020186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protrusion
electrode assembly
groove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1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4003A (ko
Inventor
이상주
윤희상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40004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40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8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86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9Processes for forming or storing electrodes in the battery contai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3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prismatic or rectangul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01M50/1245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external coating on the ca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08Electric battery cell mak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홈부 및 돌기부가 형성되는 외측면을 포함하는 파우치 형태의 케이스, 케이스에 수용되는 전극 조립체 및 외측면에 형성된 홈부 및 돌기부와 결합되어 케이스의 외측면의 홈부 및 돌기부의 모양을 유지시키는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차 전지 및 이차 전지 제조 방법{RECHARGEABLE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차 전지 및 이차 전지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부 지지구조를 갖는 이차 전지 및 이차 전지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차 전지(rechargeable battery)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 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 가능한 전지이다. 저용량의 이차 전지는 휴대폰이나 노트북 컴퓨터 및 캠코더와 같이 휴대 가능한 소형 전자기기에 사용되고, 대용량 전지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의 모터 구동용 전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차 전지는 주로 양극 활물질로 리튬계 산화물, 음극 활물질로는 탄소재를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는, 전해질의 종류에 따라 액체 전해질 전지와, 고분자 전해질 전지로 분류되며,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전지를 리튬 이온 전지라 하고, 고분자 전해질을 사용하는 전지를 리튬 폴리머 전지라고 한다.
이러한 이차 전지는 파우치 타입의 케이스와 케이스 내에 삽입되며 양극과 음극 및 양극과 음극 사이에 배치된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전극 어셈블리를 갖는다.
이차 전지의 낙하 시에 케이스의 하부와 전극 어셈블리 사이의 공간으로 전극들이 유동하여 양극과 음극 사이에 단락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스에 안정적으로 접합할 수 있는 보호회로모듈을 갖는 이차 전지 및 이차 전지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차 전지는 홈부 및 돌기부가 형성되는 외측면을 포함하는 파우치 형태의 케이스, 케이스에 수용되는 전극 조립체 및 외측면에 형성된 홈부 및 돌기부와 결합되어 케이스의 외측면의 홈부 및 돌기부의 모양을 유지시키는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홈부 및 돌출부는 외측면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내측면과 전극 조립체 사이의 공간이 줄어들도록 공간과 마주보는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가압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의 외측면은 홈부가 형성되는 굴곡되는 필름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돌기부는 홈부의 주위를 따라 케이스의 외측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는 케이스의 외측면의 모서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홈부는 케이스의 외측면의 중앙 부분에서 외곽 부분을 향하여 가압되어 형성되는 평평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돌기부는 케이스의 홈부의 평평한 부분에 인접하게 형성되어 외측면의 외곽 부분을 이룰 수 있다.
또한, 홈부 및 지지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는 접착층이 형성되고 완충부재 및 돌기부에 접착되는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는 상기 완충부재 및 상기 돌기부에 직접 접착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의 외측면과 지지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마감 테이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마감 테이프는 홈부 및 돌기부를 덮고 외측면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케이스의 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마감 테이프는 돌기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쌀 수 있다.
또한, 전극 조립체는 홈부 및 돌출부가 형성된 외측면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제조 방법은 전극 조립체를 파우치 형태의 케이스에 수용하는 단계, 전극 조립체가 수용된 케이스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케이스의 외측면에 홈부를 형성하여 케이스의 외측면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내측면과 전극 조립체 사이의 공간을 줄이는 단계 및 케이스의 외측면의 가압된 부분에 지지부재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케이스의 굴곡으로 형성된 돌기부와 돌기부의 내측에 형성되는 평평한 부분을 포함하는 홈부가 형성되므로 전극 어셈블리의 유동으로 인한 내부단락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아래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일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일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1)는 전극 어셈블리(10)와 전극 어셈블리(10)가 내장되는 케이스(25), 케이스(25)의 상부에 결합된 보호회로모듈(30)과 케이스(25)의 하부에 결합된 지지부재(42)를 포함한다.
전극 어셈블리(10)는 양극(11), 음극(12), 및 양극(11)과 음극(12) 사이에 개재된 세퍼레이터(13)가 권취되거나 양극과 음극이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적층 형성된다. 양극(11)에는 각각 양극 단자(21)가 결합되고, 음극(12)에는 음극 단자(22)가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1)는 리튬 전지또는 리튬 폴리머 전지 중 하나일수 있다.
케이스(25)는 유연성을 갖는 파우치 형태로 이루어지며, 케이스(25)는 합성수지재의 필름 또는 합성수지재의 필름 내에 금속박막이 삽입된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케이스(25)에는 라벨 및 금속재 덮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형태의 케이스(25)의 모양은 전극 조립체(10)의 형태와 상응하는 모양으로 변형될 수 있다.
전극 조립체(10)가 케이스(25) 케이스(25)에 수용된 후 케이스(25)의 내측벽과 전극 조립체(10) 사이에 전극 조립체(10)에 의해 채워 지지 않는 공간이 이 발생될 수 있다.
여기서, 케이스(25)의 내측벽과 전극 조립체(10) 사이에 전극 조립체(10)에 의해 채워 지지 않는 공간은 전극 조립체(10)와 케이스(25)의 바닥 사이의 공간일 수 있다.
보호회로모듈(30)은 케이스(25)의 상부에 설치되며, 양극 단자(21) 및 음극 단자(22)와 결합된다. 보호회로모듈(30)은 전지의 충방전 및 작동을 제어하는 보호소자가 설치된 회로기판을 갖는다. 또한 보호회로모듈(30)에는 외부 단자(31)가 설치된다.
여기서, 외부 단자(31)는 보호회로모듈(30)의 측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지지부재(42)는 케이스(25)의 보호회로모듈(30)이 설치된 부분의 반대쪽에 위치한 외측면(이하 '하면' 이라 함)에 보호회로모듈(30)이 설치된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전극 조립체(10)는 지지부재(42) 및 보호회로모듈(30) 사이에위치되도록 케이스(25)에 수용될 수 있다.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아래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케이스(25)의 하면에는 돌기부(25a) 및 홈부(25b)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홈부(25b) 및 돌출부(25a)는 하면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내측면과 전극 조립체(10) 사이의 공간이 줄어들도록 공간과 마주보는 하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가압하여 형성된다.
홈부(25b)는 돌기부(25a)의 내측에 위치하고 돌기부(25a)는 홈부(25b)의 주위를 따라 케이스(25)의 하부에서 돌출되어 케이스(25)의 하면의 모서리를 따라 이어져 형성된다.
돌기부(25a)는 케이스(25)의 하면 3방향 모서리에서 돌출 형성되며, 케이스(25)의 하면 일측 모서리에는 돌기가 형성되지 아니한 개구(25c)가 형성된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돌기부(25a)는 홈부(25b)의 외곽의 모서리 부분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어 홈부의 외곽 일부분을 둘러쌀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홈부(25b)에는 돌기부(25a)가 연장되지 않는 부분에 형성되는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돌기부(25a)는 케이스(25)의 하부에 위치하는 필름재가 굴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케이스(25)의 하부에는 케이스(25)의 형성과정에서 볼록하게 돌출된 잉여 부분이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잉여 부분은 평평한 파우치를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하는 과정에서 파우치 케이스의 특성상 필수적으로 형성된다. 잉여 부분이 존재하면 잉여부분이 형성하는 공간으로 전극 어셈블리(10)가 유동하여 내부 단락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 같이 이러한 잉여 부분이 형성된 바닥의 중심을 눌러서 펴고 3방향 모서리에 돌출된 돌기부(25a)를 형성하면, 돌기부(25a)의 내측에는 케이스(25)의 하면의 중앙 부분에서 외곽 부분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평평한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홈부(25b)가 형성된다.
따라서, 돌기부(25a)는 케이스(25)의 홈부(25b)의 평평한 부분에 인접하게 위치하여 케이스(25)의 하면의 외곽 부분을 이룰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홈부(25b)가 돌출부(25a) 보다 전극 조립체(10)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홈부(25b)의 평평한 부분에는 완충부재(41)가 삽입 설치된다.
여기서, 완충부재(41)의 모양은 홈부(25b)의 모양과 상응하는 모양으로 이루어져, 완충부재(41)의 적어도 일 측면 이상이 돌기부(25a)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완충부재(41)는 케이스(25)의 하면 길이방향(도 3에서 y축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된 길쭉한 판상으로 이루어진다. 완충부재(41)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폴리머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완충부재(41)는 일면에 접착층이 형성된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완충부재(41)는 케이스(25)에 안정적으로 부착되어 케이스(25)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한편, 완충부재(41)의 하부 및 돌기부(25a)에는 지지부재(42)가 부착직접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42)는 일면에 접착층이 형성되어 완충부재(41) ? 돌기부(25a)에 접착되는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42)는 완충부재(41)의 하면에 부착되어 케이스(25)의 형상을 유지시키며, 케이스(25) 내에 설치된 전극 어셈블리(10)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42)는 하면에 형성된 돌기부(25a) 및 홈부(25b)에 결합되어 케이스(25)의 하면의 돌기부(25a) 및 홈부(25b)의 모양을 유지시킬 수 있다.
결국, 본실시예 따른 지지부재(42)는 케이스(25)의 하면의 모양이 변하지 않도록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와 같이 홈부(25b)에 완충부재(41)를 설치하고, 지지부재(42)를 설치하면, 케이스(25)의 하부에 형성된 잉여 부분으로 인하여 전극 어셈블리(10)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극 어셈블리(10)의 유동으로 인한 내부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완충부재(41)가 설치되므로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2)는 전극 어셈블리와 전극 어셈블리가 수용되는 케이스(60), 케이스(60)의 상부에 결합된 보호회로모듈과 케이스(60)의 하부에 결합된 지지부재(6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2)는 케이스(60)의 하부에 설치된 지지구조를 제외하고는 상기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동일한 구조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케이스(60)는 유연성을 갖는 파우치 형태로 이루어지며, 합성수지재의 필름 또는 합성수지재의 필름 내에 금속박막이 삽입된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홈부(60b) 및 돌출부(60a)는 하면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내측면과 전극 조립체(10) 사이의 공간이 줄어들도록 공간과 마주보는 하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가압하여 형성된다.
케이스(60)의 하면에는 돌기부(60a)와 돌기부(60a)의 내측에 위치한 홈부(60b)가 형성된다. 돌기부(60a)는 케이스(60)에서 하부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며, 케이스(60)의 하부 모서리를 따라 이어져 형성된다. 돌기부(60a)는 케이스(60) 하면의 3방향 모서리에서 돌출 형성되며, 케이스(60) 하면의 일측 모서리에는 돌기가 형성되지 아니한 개구부가 형성된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돌기부(60a)는 홈부(60b)의 외곽의 모서리 부분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어 홈부의 외곽 일부분을 둘러쌀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홈부(60b)에는 돌기부(60a)가 연장되지 않는 부분에 형성되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60a)는 케이스(60)의 하면에 위치하는 필름재를 굴곡하여 형성한다. 잉여 부분이 형성된 바닥의 중심을 눌러서 펴면 3방향 모서리에 돌출된 돌기부(60a)를 형성할 수 있으며, 돌기부(60a)의 내측에는 케이스(60)의 하면의 중앙 부분에서 외곽 부분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평평한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홈부(60b)가 형성된다.
여기서, 완충부재(61)의 모양은 홈부(60b)의 모양과 상응하는 모양으로 이루어져, 완충부재(61)의 적어도 일 측면 이상이 돌기부(60a)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홈부(60b)의 평평한 부분에는 완충부재(61)가 삽입 설치되는 바, 완충부재(61)는 케이스(60)의 길이방향(도 4에서 y축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된 길쭉한 판상으로 이루어진다. 완충부재(61)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폴리머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완충부재(61)는 일면에 접착층이 형성된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완충부재(61)는 케이스에 안정적으로 부착되어 케이스(60)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한편, 완충부재(61)의 하부에는 케이스(60)의 양쪽 측면과 하면을 감싸는 마감 테이프(63)가 부착된다. 마감 테이프(63)는 완충부재(61)의 중앙부분을 부분적으로 감싸면서 케이스(60)의 양쪽 측면에 부착되어 완충부재(61)를 안정적으로 고정한다.
마감 테이프(63)의 하부에는 지지부재(62)가 설치되는 바, 지지부재(62)는 일면에 접착층이 형성된 테이프로 이루어진다. 지지부재(62)는 마감 테이프(63) 및 완충부재(61)의 하면에 부착되어 케이스(60)의 형상을 유지시키며, 케이스(60) 내에 설치된 전극 어셈블리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마감 테이프(63)는 완충부재(61)의 중앙 부분과 지지부재(62)의 중앙부분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62)는 하면에 형성된 돌기부(60a) 및 홈부(60b)에 결합되어 케이스(60)의 하면의 돌기부(60a) 및 홈부(60b)의 모양을 유지시킬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62)는 마감 테이프(63)를 사이에 두지 않고 완충부재(61)와 직접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일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3)는 전극 어셈블리와 전극 어셈블리가 내장되는 케이스(70), 케이스(70)의 상부에 결합된 보호회로모듈과 케이스(70)의 하부에 결합된 지지부재(7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3)는 케이스(70)의 하부에 설치된 지지구조를 제외하고는 상기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동일한 구조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케이스(70)는 유연성을 갖는 파우치 형태로 이루어지며, 합성수지재의 필름 또는 합성수지재의 필름 내에 금속박막이 삽입된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홈부(70b) 및 돌출부(70a)는 하면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내측면과 전극 조립체(10) 사이의 공간이 줄어들도록 공간과 마주보는 하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가압하여 형성된다.
케이스(70)의 하면에는 돌기부와 돌기부의 내측에 위치하고케이스(70)의 하면의 중앙 부분에서 외곽 부분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평평한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홈부(70b)가 형성된다. 돌기부는 케이스(70)에서 하면에서 굴곡되어 접혀 형성된 제1 돌기부(70a)와 제1 돌기부(70a)의 길이방향 양쪽 단부에서 이어져 형성되며 하부를 향하여 돌출된 제2 돌기부(70d)를 포함한다.
케이스(70)의 하면은 대략 사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제1 돌기부(70a)는 케이스(70)의 하면에서 길이방향(y축방향) 모서리에 형성되며, 제2 돌기부(70d)는 케이스(70)의 하면에서 폭방향(x축방향) 모서리에 형성된다. 그리고 케이스(70)의 하면 일측 모서리에는 돌기가 형성되지 개구(70c)가 형성된다.
제1 돌기부(70a)와 제2 돌기부(70d)는 케이스(70)의 하부에 위치하는 필름재를 굴곡하여 형성된다. 케이스(70)의 하부에 위치하는 잉여부분을 하면의 폭방향으로 밀어서 접으면 일측 모서리에 돌출된 부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돌출된 부분을 접으면 제1 돌기부(70a)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돌기부(70a)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잉여부분을 하면의 양쪽 길이방향으로 밀면 제1 돌기부(70a)의 양쪽 측단에 연결되어 돌출된 제2 돌기부(70d)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돌기부들의 내측에는 케이스(70)의 하면의 중앙 부분에서 외곽 부분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평평한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홈부(70b)가 형성되며, 제1 돌기부(70a)가 형성된 상태에서 케이스(70)의 양쪽 측면과 하면을 감싸는 마감 테이프(73)가 부착된다. 마감 테이프(73)는 제1 돌기부(70a)를 부분적으로 감싸면서 케이스(70)의 양쪽 측면에 부착되어 제1 돌기부(70a)가 굽혀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한다.
마감 테이프(73)의 하부에는 지지부재(72)가 설치되는 바, 지지부재(72)는 일면에 접착층이 형성된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72)는 마감 테이프(73) 및 케이스(70)의 하면에 부착되어 케이스(70)의 형상을 유지시키며, 케이스(80) 내에 설치된 전극 어셈블리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와 같이 접어진 제1 돌기부(70a)가 형성되고, 이에 마감 테이프(73)가 설치되면, 제1 돌기부(70a)가 잉여 공간을 제거하여 전극 어셈블리의 유동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일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4)는 전극 어셈블리와 전극 어셈블리가 내장되는 케이스(80), 케이스(80)의 상부에 결합된 보호회로모듈과 케이스(80)의 하부에 결합된 지지부재(8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4)는 케이스(80)의 하부에 설치된 지지구조를 제외하고는 상기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동일한 구조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케이스(80)는 유연성을 갖는 파우치 형태로 이루어지며, 합성수지재의 필름 또는 합성수지재의 필름 내에 금속박막이 삽입된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케이스(80)의 하면에는 돌기부(80a)와 돌기부(80a)의 내측에 위치하고 케이스(80)의 하면의 중앙 부분에서 외곽 부분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평평한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홈부(80b)가 형성된다. 돌기부(80a)는 케이스(80)에서 하부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며, 케이스(80)의 하부 모서리를 따라 이어져 형성된다. 돌기부(80a)는 케이스(80)의 3방향 모서리에서 돌출 형성되며, 케이스(80)의 하면 일측 모서리에는 돌기가 형성되지 아니한 개구(80c)가 형성된다.
돌기부(80a)는 케이스(80)의 하부에 위치하는 필름재를 굴곡하여 형성한다. 잉여 부분이 형성된 바닥의 중심을 눌러서 펴면 3방향 모서리에 돌출된 돌기부(80a)를 형성할 수 있으며, 돌기부(80a)의 내측에는 홈부(80b)가 형성된다.
돌기부(80a)가 형성된 상태에서 케이스(80)의 양쪽 측면과 하면을 감싸는 마감 테이프(83)가 부착된다. 마감 테이프(83)는 돌기부(80a)를 부분적으로 감싸면서 케이스(80)의 양쪽 측면에 부착되어 돌기부(80a)의 형태를 유지시킨다.
마감 테이프(83)의 하부에는 지지부재(82)가 설치되는 바, 지지부재(82)는 일면에 접착층이 형성된 테이프로 이루어진다. 지지부재(82)는 마감 테이프(83) 및 케이스(80)의 하면에 부착되어 케이스(80)의 형상을 유지시키며, 케이스(80) 내에 설치된 전극 어셈블리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1, 102, 103, 104: 이차 전지 10: 전극 어셈블리
11: 양극 12: 음극
13: 세퍼레이터 21: 양극 단자
22: 음극 단자 25, 60, 70, 80: 케이스
25a, 60a, 70a, 80a: 돌기부 25b, 60b, 70b, 80b: 홈부
25c, 70c, 80c: 개구 30: 보호회로모듈
31: 외부 단자 41, 61: 완충부재
42, 62, 72, 82: 지지부재 63, 73, 83: 마감 테이프
70a: 제1 돌기부 70d: 제2 돌기부

Claims (15)

  1. 외측면 중 하면에 홈부 및 돌기부가 형성되는 파우치 형태의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는 전극 조립체; 및
    상기 하면에 형성된 상기 홈부 및 상기 돌기부와 결합되어 상기 하면의 상기 홈부 및 상기 돌기부의 모양을 유지시키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면은 반대쪽의 내측면이 상기 전극 조립체의 바닥면을 마주보고,
    상기 홈부 및 상기 돌기부는 상기 전극 조립체의 상기 바닥면과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이차 전지.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 및 상기 돌기부는 상기 하면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상기 내측면과 상기 전극 조립체의 상기 바닥면 사이의 공간이 줄어들도록 상기 공간과 마주보는 상기 하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가압하여 형성되는 이차 전지.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기 하면은 상기 홈부가 형성되는 굴곡되는 필름 재로 이루어진 이차 전지.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홈부의 주위를 따라 상기 케이스의 상기 하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이차 전지.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케이스의 상기 하면의 모서리를 따라 형성되는 이차 전지.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상기 케이스의 상기 하면의 중앙 부분에서 외곽 부분을 향하여 가압되어 형성되는 평평한 부분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케이스의 상기 홈부의 상기 평평한 부분에 인접하게 형성되어 상기 하면의 상기 외곽 부분을 이루는 이차 전지.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 및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는 이차 전지.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접착층이 형성되고 완충부재 및 돌기부에 접착되는 테이프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완충부재 및 상기 돌기부에 직접 접착되는 이차 전지.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기 하면과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마감 테이프를 더 포함하는 이차 전지.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 테이프는 상기 홈부 및 상기 돌기부를 덮고 상기 하면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 부착되는 이차 전지.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 테이프는 상기 돌기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는 이차 전지.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조립체는 상기 홈부 및 상기 돌기부가 형성된 상기 하면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이차 전지.
  15. 전극 조립체를 파우치 형태의 케이스에 수용하는 단계;
    상기 전극 조립체가 수용된 상기 케이스의 외측면 중 하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가압하여 상기 케이스의 상기 하면에 홈부 및 돌기부를 형성하여 상기 케이스의 상기 하면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내측면과 상기 전극 조립체의 바닥면 사이의 공간을 줄이는 단계; 및
    상기 케이스의 상기 하면의 가압된 부분에 지지부재를 결합하여 상기 홈부 및 상기 돌기부가 상기 전극 조립체의 상기 바닥면과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KR1020130071846A 2012-06-25 2013-06-21 이차 전지 및 이차 전지 제조 방법 KR1020186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663869P 2012-06-25 2012-06-25
US61/663,869 2012-06-25
US13/670,582 US9431636B2 (en) 2012-06-25 2012-11-07 Rechargeable battery
US13/670,582 2012-11-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003A KR20140004003A (ko) 2014-01-10
KR102018692B1 true KR102018692B1 (ko) 2019-09-06

Family

ID=47257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1846A KR102018692B1 (ko) 2012-06-25 2013-06-21 이차 전지 및 이차 전지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431636B2 (ko)
EP (1) EP2680337B1 (ko)
KR (1) KR102018692B1 (ko)
CN (1) CN10351555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687777S1 (en) * 2012-05-24 2013-08-13 Sony Corporation Rechargeable battery
KR102222113B1 (ko) * 2014-07-14 2021-03-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가요성 이차 전지
KR102246995B1 (ko) 2014-10-24 2021-04-29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외부 지지체가 장착된 전극 조립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TWI721188B (zh) * 2016-07-06 2021-03-11 日商藤森工業股份有限公司 電池外裝體、電池組及電池裝置
KR102119183B1 (ko) * 2016-08-18 2020-06-04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CN111684617B (zh) * 2018-04-12 2023-08-18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电池
DE102019112219A1 (de) * 2019-05-10 2020-11-12 Johnson Controls Autobatterie Gmbh & Co. Kgaa Batteriegehäuse und Batterie mit einem solch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9785B1 (ko) * 2005-12-29 2008-06-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및 그 형성 방법
KR100947972B1 (ko) * 2007-12-14 2010-03-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US20100297494A1 (en) * 2009-05-21 2010-11-25 Chin-Ming Chen Battery modul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61542B2 (ja) 2005-09-02 2010-10-13 ソニー株式会社 二次電池
KR100709881B1 (ko) 2005-09-28 2007-04-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731437B1 (ko) * 2005-11-29 2007-06-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
KR100788553B1 (ko) 2006-02-27 2007-12-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전지용 캔 및 이를 이용한 리튬 이차전지
KR101318569B1 (ko) 2006-08-17 2013-10-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1030856B1 (ko) * 2008-12-16 2011-04-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DE102009037726A1 (de) 2009-08-17 2011-02-24 Li-Tec Battery Gmbh Galvanische Zelle mit Rahmen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S8883343B2 (en) 2010-01-25 2014-11-1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xtended range electric vehicle battery cell packaging for pouch desig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9785B1 (ko) * 2005-12-29 2008-06-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및 그 형성 방법
KR100947972B1 (ko) * 2007-12-14 2010-03-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US20100297494A1 (en) * 2009-05-21 2010-11-25 Chin-Ming Chen Battery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80337A1 (en) 2014-01-01
US20130344380A1 (en) 2013-12-26
EP2680337B1 (en) 2017-06-07
CN103515555A (zh) 2014-01-15
CN103515555B (zh) 2018-04-24
US9431636B2 (en) 2016-08-30
KR20140004003A (ko) 2014-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8692B1 (ko) 이차 전지 및 이차 전지 제조 방법
KR101040875B1 (ko) 이차전지
KR101182283B1 (ko) 이차전지
KR101572836B1 (ko) 단차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셀
KR101094024B1 (ko) 이차전지
KR100913836B1 (ko) 향상된 안전성의 파우치형 이차전지
US10490781B2 (en) Rechargeable battery having corner folding portion
CN107546343B (zh) 二次电池
EP2634831B1 (en)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CN104241560A (zh) 可再充电电池
KR102534101B1 (ko) 이차 전지
KR20140100032A (ko) 단차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셀
US9196894B2 (en) Rechargeable battery pack
KR102483883B1 (ko) 이차 전지
JP3579618B2 (ja) 電池パック
US20160036015A1 (en) Rechargeable battery having edge bonding portion
KR100731436B1 (ko)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
KR102505609B1 (ko) 전지 팩
CN104425774B (zh) 袋型可再充电电池
US11024929B2 (en) Battery pack including release cover
KR20230036393A (ko) 이차 전지 모듈
KR101846486B1 (ko) 일체형 양극리드 및 음극리드를 포함하는 전지셀
KR20220060567A (ko) 패키지 구조 및 상기 패키지 구조에 적용되는 셀
US20230216157A1 (en) Secondary battery
US9123933B2 (en) Rechargeable battery p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