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3508A - 동박용 수납장치 - Google Patents

동박용 수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3508A
KR20220153508A KR1020220056564A KR20220056564A KR20220153508A KR 20220153508 A KR20220153508 A KR 20220153508A KR 1020220056564 A KR1020220056564 A KR 1020220056564A KR 20220056564 A KR20220056564 A KR 20220056564A KR 20220153508 A KR20220153508 A KR 202201535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copper foil
coupled
support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6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동환
윤민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넥실리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넥실리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넥실리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20153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35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nnular articles
    • B65D85/0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nnular articles for coils of wire, rope or ho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6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web or tape-like material
    • B65D85/671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web or tape-like material wound in flat spiral form
    • B65D85/6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web or tape-like material wound in flat spiral form on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25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25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2581/051Details of packaging elements for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2581/057Edge protectors adapted to protect the circular edge of rolls of material, e.g. coils of sheet met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어(Core)에 권취된 동박(銅箔)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이 마련된 수납본체; 상기 코어의 일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수납본체에 결합된 제1지지부; 상기 코어의 타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수납본체에 결합된 제2지지부; 및 탄성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 댐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수납본체에 삽입되기 위한 제1삽입부재 및 상기 제1삽입부재에 형성된 제1감소홈을 포함하며, 상기 댐퍼부는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수납본체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감소홈에 삽입되는 제1삽입댐퍼를 포함하는 동박용 수납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동박용 수납장치{Apparatus for Containing Copper Foil}
본 발명은 이차전지용 음극, 연성인쇄회로기판 등을 제조하는데 이용되는 동박을 수납하기 위한 동박용 수납장치에 관한 것이다.
동박(銅箔)은 이차전지용 음극, 연성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등 다양한 제품을 제조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동박은 양극과 음극 사이에 전해액을 공급한 뒤 전류를 흐르게 하는 전기도금(電氣鍍金) 방식을 통해 제조된다. 이와 같이 전기도금 방식을 통해 동박을 제조함에 있어서, 전해동박 제조장치가 이용된다
전해동박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동박은, 코어(Core)에 권취된 상태로 고객에게 운송된다. 예컨대, 코어에 권취된 동박은 자동차, 선박, 철도차량, 비행기 등과 같은 운송수단에 실려서 운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운송과정에서 동박용 수납장치는 코어에 권취된 동박을 수납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는 동박의 양측으로 돌출된 코어를 지지함으로써, 코어에 권취된 동박을 수납하였다.
이에 따라, 운송수단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 흔들림, 충격 등이 동박용 수납장치를 통해 코어로 전달되고 코어를 통해 동박으로 전달되었다. 동박으로 전달된 진동, 흔들림, 충격 등은 코어에 권취된 동박에 변형을 유발하여, 운송과정에서 동박에 대한 불량을 야기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운송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 흔들림, 충격 등으로 인해 동박에 발생하는 불량률을 낮출 수 있는 동박용 수납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는 코어(Core)에 권취된 동박(銅箔)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이 마련된 수납본체; 상기 코어의 일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수납본체에 결합된 제1지지부; 상기 코어의 타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수납본체에 결합된 제2지지부; 및 탄성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 댐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수납본체에 삽입되기 위한 제1삽입부재, 및 상기 제1삽입부재에 형성된 제1감소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댐퍼부는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수납본체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감소홈에 삽입되는 제1삽입댐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취급, 운송 중 외부에서 주로 중력방향으로 발생하는 진동, 흔들림, 충격 등이 수납공간 내의 동박으로 전달되는 경로 상에 탄성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 탄성부가 배치되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진동, 흔들림, 충격 등이 코어에 전달되는 세기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진동, 흔들림, 충격 등으로 인해 동박에 발생하는 불량률을 낮출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취급, 운송이 완료된 동박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박에 대한 취급작업과 운송작업의 안정성과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I-I 선을 기준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에 있어서 댐퍼부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에 있어서 댐퍼부의 변형된 실시예를 도 4의 A 화살표 방향으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에 있어서 도 2의 Ⅱ-Ⅱ 선을 기준으로 하는 제1지지부, 제1삽입댐퍼, 및 수납본체의 개략적인 분해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에 있어서 도 3의 Ⅲ-Ⅲ 선을 기준으로 하는 제1지지부, 제1삽입댐퍼, 및 수납본체의 개략적인 분해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에 있어서 바닥댐퍼가 받침부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에 있어서 바닥댐퍼가 받침부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저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에 있어서 받침댐퍼가 받침부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에 있어서 받침댐퍼가 수납본체를 받치도록 수납본체의 저면에 결합된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12 내지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에 있어서 분할댐퍼에 관한 실시예들을 나타낸 개략적인 정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8 내지 도 21에는 구성 간의 구별을 위해 댐퍼부에 해칭이 표시되어 있다. 도 8, 도 10, 및 도 11에서 서로 평행한 두 개의 곡선은 생략선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1)는 코어(Core)(100)에 권취된 동박(銅箔)(200)을 수납하는 것이다. 상기 동박(200)은 이차전지용 음극, 연성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등을 제조하는데 이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1)는 수납본체(2), 제1지지부(3), 및 제2지지부(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수납본체(2)는 상기 코어(100)에 권취된 동박(200)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21)이 마련된 것이다. 상기 수납본체(2)는 상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방된 상측은 상기 수납공간(21)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코어(100)에 권취된 동박(200)은 상기 수납본체(2)의 개방된 상측을 통해 상기 수납공간(21)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수납본체(2)에 수납될 수 있다.
상기 수납본체(2)에 상기 코어(100)에 권취된 동박(200)이 수납되면, 상기 수납본체(2)에는 커버부(6)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6)는 상기 수납본체(2)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수납공간(21)을 폐쇄시킬 수 있다.
상기 수납본체(2)는 전체적으로 상측이 개방된 직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코어(100)에 권취된 동박(200)을 수납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커버부(6)는 상기 수납본체(2)의 형태에 따라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본체(2)가 전체적으로 상측이 개방된 직방체 형태로 형성된 경우, 상기 커버부(6)는 전체적으로 사각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본체(2)가 전체적으로 사각판형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커버부(6)는 전체적으로 하측이 개방된 직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본체(2)에는 제1측벽부(7), 및 제2측벽부(8)가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측벽부(7)는 상기 수납본체(2)의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제1측벽부(7)는 상기 수납본체(2)의 일측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수납본체(2)의 일측을 폐쇄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측벽부(7)는 상기 수납공간(21)에 수납된 코어(100)의 일측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코어(100)의 일측은 상기 동박(200)으로부터 일측으로 돌출된 상기 코어(100)의 부분이다. 상기 제1측벽부(7)는 상기 커버부(6)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측벽부(7)와 상기 커버부(6)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측벽부(7)는 제1측벽부재(7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측벽부재(71)는 상기 제1측벽부(7)로부터 돌출된 것이다. 상기 제1측벽부(7)가 상기 수납본체(2)의 일측에 결합되면, 상기 제1측벽부재(71)는 상기 코어(100)의 일측에 대해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코어(100)의 일측은 상기 제1측벽부재(71)와 상기 제1지지부(3)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1)는 상기 코어(100)의 일측에 대한 지지력을 강화할 수 있다.
상기 제2측벽부(8)는 상기 수납본체(2)의 타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제2측벽부(8)는 상기 수납본체(2)의 타측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수납본체(2)의 타측을 폐쇄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측벽부(8)는 상기 수납공간(21)에 수납된 코어(100)의 타측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코어(100)의 타측은 상기 동박(200)으로부터 타측으로 돌출된 상기 코어(100)의 부분이다. 상기 제2측벽부(8)는 상기 커버부(6)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측벽부(8)와 상기 커버부(6)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측벽부(8)는 제2측벽부재(8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측벽부재(81)는 상기 제2측벽부(8)로부터 돌출된 것이다. 상기 제2측벽부(8)가 상기 수납본체(2)의 타측에 결합되면, 상기 제2측벽부재(81)는 상기 코어(100)의 타측에 대해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코어(100)의 타측은 상기 제2측벽부재(81)와 상기 제2지지부(4)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1)는 상기 코어(100)의 타측에 대한 지지력을 강화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제1지지부(3)는 상기 코어(100)의 일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수납본체(2)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제1지지부(3)는 상기 수납본체(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3)가 상기 수납본체(2)에 결합되면, 상기 제1지지부(3)는 상기 수납공간(21)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3)는 상기 코어(100)의 일측이 삽입되는 제1지지홈(3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홈(31)에 의해 상기 제1지지부(3)는 상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코어(100)의 일측은 상기 제1지지부(3)의 개방된 상측을 통해 상기 제1지지홈(31)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홈(31)은 전체적으로 반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코어(100)의 일측이 삽입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제2지지부(4)는 상기 코어(100)의 타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수납본체(2)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제2지지부(4)는 상기 수납본체(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4)가 상기 수납본체(2)에 결합되면, 상기 제2지지부(4)는 상기 수납공간(21)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4)는 상기 코어(100)의 타측이 삽입되는 제2지지홈(4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홈(41)에 의해 상기 제2지지부(4)는 상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코어(100)의 타측은 상기 제2지지부(4)의 개방된 상측을 통해 상기 제2지지홈(41)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홈(41)은 전체적으로 반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코어(100)의 타측이 삽입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1)는 진동, 흔들림, 충격 등이 상기 코어(100)와 상기 코어(100)에 권취된 동박(200)에 전달되는 세기를 감소시키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1)는 댐퍼부(5, 도 4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댐퍼부(5)는 탄성변형(Elastic Deformation)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동, 흔들림, 충격 등이 발생되면, 상기 댐퍼부(5)는 탄성변형을 통해 진동, 흔들림, 충격 등이 상기 코어(100)와 상기 코어(100)에 권취된 동박(200)에 전달되는 세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댐퍼부(5)는 고무, 우레탄(Urethane)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댐퍼부(5)는 직선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소정의 곡률을 따라 휘어져서 곡선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댐퍼부(5)는 댐퍼본체(5a), 및 복수개의 댐퍼돌기(5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댐퍼본체(5a)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 것이다. 상기 댐퍼본체(5a)는 상기 댐퍼부(5)의 전체적인 외관을 이룰 수 있다. 상기 댐퍼본체(5a)는 탄성변형을 통해 진동, 흔들림, 충격 등을 흡수하는 흡수기능을 갖춤과 아울러 상기 댐퍼돌기(5b)들을 지지하는 지지기능을 갖출 수 있다.
상기 댐퍼돌기(5b)들은 상기 댐퍼본체(5a)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된 것이다. 상기 댐퍼돌기(5b)들은 상기 댐퍼본체(5a)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댐퍼돌기(5b)들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댐퍼돌기(5b)들 각각에 대한 탄성변형이 더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댐퍼부(5)는 진동, 흔들림, 충격 등이 상기 코어(100)에 전달되는 세기를 더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현된다. 상기 댐퍼돌기(5b)들은 전체적으로 직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진동, 흔들림, 충격 등이 상기 코어(100)에 전달되는 세기를 감소시킬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댐퍼돌기(5b)들은 상기 댐퍼본체(5a)의 상측으로 돌출될수록 크기가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댐퍼돌기(5b)들은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댐퍼돌기(5b)들은 각각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의 길이에 비해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의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 및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은 하나의 평면 상에서 서로 수직한 축 방향이다. 이 경우,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은 상기 코어(100)에 권취된 동박(200)이 상기 수납본체(2)에 수납되었을 때 상기 동박(200)이 배치되는 방향에 대해 평행한 축 방향일 수 있다.
상기 댐퍼돌기(5b)들은 각각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댐퍼돌기(5b)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중간지점(CP)으로부터 바깥쪽에 배치된 것일수록 더 긴 길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중간지점(CP)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댐퍼본체(5a)의 양단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로 이격된 지점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중간지점(CP)으로부터 바깥쪽을 향할수록 상기 댐퍼돌기(5b)들 간의 간격이 증가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댐퍼부(5)는 복수개의 댐퍼홈(5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댐퍼홈(5c)들은 상기 댐퍼본체(5a)의 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댐퍼홈(5c)들은 상기 댐퍼본체(5a)의 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댐퍼홈(5c)들은 각각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대해 평행한 직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댐퍼홈(5c)들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댐퍼홈(5c)들로 인해, 상기 댐퍼본체(5a)의 탄성변형이 더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댐퍼부(5)는 진동, 흔들림, 충격 등이 상기 댐퍼본체(5a)에서 상기 댐퍼돌기(5b)들로 전달되는 세기를 감소시킴으로써, 진동, 흔들림, 충격 등이 상기 코어(100)에 전달되는 세기를 더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현된다. 상기 댐퍼홈(5c)들은 각각 전체적으로 직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진동, 흔들림, 충격 등이 전달되는 세기를 감소시킬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댐퍼홈(5c)들은 상기 댐퍼본체(5a)의 상측 쪽으로 연장될수록 크기가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댐퍼홈(5c)이 형성된 상기 댐퍼본체(5a)의 내벽은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댐퍼부(5)는 제1삽입댐퍼(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삽입댐퍼(51)는 상기 제1지지부(3)와 상기 수납본체(2)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삽입댐퍼(51)는 탄성병형을 이용하여 상기 수납본체(2)를 통해 가해지는 진동, 흔들림, 충격 등이 상기 제1지지부(3)로 전달되는 세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1)는 상기 제1삽입댐퍼(51)를 이용하여 상기 수납본체(2)를 통해 가해지는 진동, 흔들림, 충격 등으로 인해 상기 동박(200)에 발생하는 불량률을 낮출 수 있으므로, 취급과 운송이 완료된 동박(200)의 품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제1삽입댐퍼(51)는 상기 댐퍼본체(5a), 상기 댐퍼돌기(5b), 및 상기 댐퍼홈(5c)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삽입댐퍼(51)의 댐퍼돌기(5b)가 상기 제1지지부(3)에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1삽입댐퍼(51)의 댐퍼돌기(5b)가 상기 수납본체(2)에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삽입댐퍼(51)가 구비된 경우, 상기 제1지지부(3)는 제1삽입부재(32), 및 제1감소홈(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삽입부재(32)는 상기 수납본체(2)에 삽입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삽입부재(32)는 상기 제1지지부(3)의 하부(下部)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감소홈(33)은 상기 제1삽입부재(32)에 형성된 것이다. 상기 제1감소홈(33)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1삽입부재(32)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제1삽입부재(32)에는 상기 제1감소홈(33)이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감소홈들(33, 33')은 서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감소홈들(33, 33')의 사이에 상기 제1삽입부재(3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3)가 상기 제1삽입부재(32)와 상기 제1감소홈(33)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수납본체(2)는 제1삽입홈(22, 도 6와 도 7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3)가 상기 수납본체(2)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1삽입부재(32)에서 상기 제1감소홈(33)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상기 제1삽입홈(22)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지지부(3)는 상기 제1삽입부재(32)와 상기 제1삽입홈(22) 간의 삽입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수납본체(2)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지지부(3)는 상기 코어(100)의 일측을 지지한 상태로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제1삽입댐퍼(51)는 상기 제1감소홈(33)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지지부(3)와 상기 수납본체(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1)는 상기 제1삽입댐퍼(51)의 탄성변형을 이용하여 상기 수납본체(2)를 통해 가해지는 진동, 흔들림, 충격 등이 상기 동박(200)으로 전달되는 세기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수납본체(2)에 대한 상기 제1지지부(3)의 견고한 결합을 이용하여 상기 제1지지부(3) 자체의 진동, 흔들림 등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1)는 상기 동박(200)에 발생하는 불량률을 더 낮출 수 있으므로, 취급과 운송이 완료된 동박(200)의 품질을 더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제1삽입댐퍼(51)는 상기 제1삽입홈(22)의 외부에서 상기 제1지지부(3)와 상기 수납본체(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삽입홈(22)은 상기 수납본체(2)에 형성된 홈(Groove)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삽입부재(32)는 상기 제1삽입홈(22)에 삽입되어서 상기 수납본체(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삽입홈(22)은 상기 수납본체(2)에 결합된 보강부재(23)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삽입부재(32)는 상기 제1삽입홈(22)에 삽입되어서 상기 보강부재(2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1삽입부재(32)가 상기 제1삽입홈(22)에 삽입되면, 상기 보강부재(23)는 상기 제1감소홈(33)에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삽입댐퍼(51)는 상기 제1지지부(3)와 상기 보강부재(23)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감소홈(33)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1)는 상기 제1삽입댐퍼(51)를 이용하여 상기 보강부재(23)를 통해 가해지는 진동, 흔들림, 충격 등으로 인해 상기 동박(200)에 발생하는 불량률을 낮출 수 있으므로, 취급, 운송이 완료된 동박(200)의 품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23)는 상기 수납본체(2)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수납본체(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23)는 상기 수납공간(21)을 향하는 상기 수납본체(2)의 내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23)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보강부재(23)는 상기 제1지지부(3)와 상기 제2지지부(4) 모두를 지지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댐퍼부(5)는 상기 제1삽입댐퍼(51)를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삽입댐퍼들(51, 51')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삽입댐퍼들(51, 51')의 사이에는 상기 제1삽입홈(22)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삽입댐퍼들(51, 51')은 상기 제1감소홈들(33, 33') 각각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지지부(3)와 상기 수납본체(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1)는 상기 제1삽입부재(32)를 기준으로 하는 상기 제1지지부(3)의 양측이 상기 제1삽입댐퍼들(51, 51')에 의해 균일하게 지지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삽입댐퍼(51)가 복수개 구비된 경우, 상기 수납본체(2)에는 상기 보강부재(23)가 복수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들(23, 23')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삽입홈(22)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보강부재들(23, 23')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들(23, 23') 각각의 상면에는 상기 제1삽입댐퍼(51)가 배치될 수 있다. 도 6과 도 7에는 상기 댐퍼부(5)가 2개의 제1삽입댐퍼들(51, 51')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댐퍼부(5)는 3개 이상의 제1삽입댐퍼(51)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삽입댐퍼(51), 상기 보강부재(23), 및 상기 제1감소홈(33)은 서로 동일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1)는 상기 제2지지부(4)가 상기 수납본체(2)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2지지부(4)는 제2삽입부재, 및 제2감소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납본체(2)에는 제2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납본체(2)에는 제2보강부재가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지지부(4)와 상기 수납본체(2)의 사이에는 상기 댐퍼부(5)가 갖는 제2삽입댐퍼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삽입부재, 상기 제2감소홈, 상기 제2삽입홈, 제2보강부재, 및 상기 제2삽입댐퍼는 상술한 상기 제1삽입부재(32), 상기 제1감소홈(33), 상기 제1삽입홈(22), 및 상기 제1삽입댐퍼(51) 각각과 대략 일치하게 구현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댐퍼부(5)는 바닥댐퍼(52, 도 8과 도 9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댐퍼(52)는 상기 받침부(24)에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받침부(24)는 상기 수납본체(2)의 저면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수납본체(2)가 작업장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경우, 상기 받침부(24)는 상기 바닥면을 이용하여 지지력을 갖춤으로써, 상기 수납본체(2)와 상기 수납본체(2)에 수납된 코어(100)에 권취된 동박(200)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받침부(24)의 일면이 상기 수납본체(2)의 저면에 결합된 경우, 상기 바닥댐퍼(52)는 상기 받침부(24)의 타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수납본체(2)가 작업장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경우, 상기 바닥댐퍼(52)는 상기 받침부(24)와 상기 바닥면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닥댐퍼(52)는 탄성변형을 이용하여 상기 바닥면을 통해 가해지는 진동, 흔들림, 충격 등이 상기 받침부(24)로 전달되는 세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1)는 상기 바닥댐퍼(52)를 이용하여 상기 바닥면을 통해 가해지는 진동, 흔들림, 충격 등으로 인해 상기 동박(200)에 발생하는 불량률을 낮출 수 있으므로, 취급과 운송이 완료된 동박(200)의 품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상기 바닥댐퍼(52)는 상기 댐퍼본체(5a), 상기 댐퍼돌기(5b), 및 상기 댐퍼홈(5c)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바닥댐퍼(52)의 댐퍼돌기(5b)가 상기 받침부(24)에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바닥댐퍼(52)의 댐퍼돌기(5b)가 상기 바닥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바닥댐퍼(52)는 상기 받침부(24)의 저면의 전면(全面)을 덮도록 상기 받침부(24)에 결합될 수도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댐퍼(52)는 상기 받침부(24)의 저면의 일부를 덮도록 상기 받침부(24)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받침부(24)의 저면에는 상기 바닥댐퍼(52)가 복수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바닥댐퍼(52)들은 상기 받침부(24)의 저면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납본체(2)의 저면에는 상기 받침부(24)가 복수개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받침부들(24, 24', 24")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받침부들(24, 24', 24")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받침부들(24, 24', 24")은 각각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길이에 비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들(24, 24', 24")이 서로 이격됨에 따라 형성된 공간들은, 본 발명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1)를 운반하기 위한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되는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수납본체(2)의 저면에 상기 받침부(24)가 복수개 결합된 경우, 상기 댐퍼부(5)는 상기 바닥댐퍼(52)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댐퍼들(52, 52', 52")은 상기 받침부들(24, 24', 24")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1)는 상기 바닥댐퍼들(52, 52', 52")을 이용하여 바닥을 통해 가해지는 진동, 흔들림, 충격 등이 전달되는 세기를 더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댐퍼부(5)는 받침댐퍼(53, 도 10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댐퍼(53)는 상기 받침부(24)와 상기 수납본체(2)의 사이에 배치된 것이다. 상기 받침댐퍼(53)는 탄성변형을 이용하여 상기 받침부(24)를 통해 가해지는 진동, 흔들림, 충격 등이 상기 수납본체(2)로 전달되는 세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1)는 상기 받침댐퍼(53)를 이용하여 상기 받침부(24)를 통해 가해지는 진동, 흔들림, 충격 등으로 인해 상기 동박(200)에 발생하는 불량률을 낮출 수 있으므로, 취급과 운송이 완료된 동박(200)의 품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상기 받침댐퍼(53)는 상기 댐퍼본체(5a), 상기 댐퍼돌기(5b), 및 상기 댐퍼홈(5c)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받침댐퍼(53)의 댐퍼돌기(5b)가 상기 수납본체(2)에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받침댐퍼(53)의 댐퍼돌기(5b)가 상기 받침부(24)에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받침댐퍼(53)는 상기 받침부(24)의 상면의 전면(全面)을 덮도록 상기 받침부(24)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받침댐퍼(53)는 상기 받침부(24)의 상면의 일부를 덮도록 상기 받침부(24)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받침부(24)의 상면에는 상기 받침댐퍼(53)가 복수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받침댐퍼(53)들은 상기 받침부(24)의 상면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납본체(2)의 저면에 상기 받침부(24)가 복수개 결합된 경우, 상기 댐퍼부(5)는 상기 받침댐퍼(53)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댐퍼들(53, 53', 53")은 상기 받침부들(24, 24', 24")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1)는 상기 받침댐퍼들(53, 53', 53")을 이용하여 상기 받침부(24)를 통해 가해지는 진동, 흔들림, 충격 등이 상기 수납본체(2)로 전달되는 세기를 더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1)는 상기 받침댐퍼(53)가 상기 수납본체(2)의 저면에서 상기 수납본체(2)를 받치도록 상기 수납본체(2)의 저면에 결합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받침댐퍼(53)가 상기 받침부(24)로도 기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수납본체(2)가 작업장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경우, 상기 받침댐퍼(53)는 상기 수납본체(2)를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받침기능을 갖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바닥면을 통해 가해지는 진동, 흔들림, 충격 등이 상기 수납본체(2)로 전달되는 세기를 감소시키는 저감기능을 갖출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1)는 상기 받침댐퍼(53)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댐퍼들(53, 53', 53")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수납본체(2)의 저면에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1)는 상기 받침댐퍼(53)와 상기 받침부(24)가 혼합된 구조로 구현됨으로써, 상기 받침댐퍼(53)와 상기 받침부(24)가 상기 수납본체(2)를 작업장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받침기능을 갖추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 도 12 내지 도 16을 참고하면, 상기 댐퍼부(5)는 분할댐퍼(54)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분할댐퍼(54)는 진동, 흔들림, 충격 등이 상기 코어(100)로 전달되는 세기를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분할댐퍼(54)는 상기 댐퍼본체(5a), 상기 댐퍼돌기(5b), 및 상기 댐퍼홈(5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할댐퍼(54)는 상기 댐퍼돌기(5b)와 상기 댐퍼홈(5c) 없이 상기 댐퍼본체(5a)만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분할댐퍼(54)는 상기 제1지지부(3)와 상기 제2지지부(4)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분할댐퍼(54)가 상기 제1지지부(3)에 결합된 경우, 상기 분할댐퍼(54)는 진동, 흔들림, 충격 등이 상기 제1지지부(3)에서 상기 코어(100)의 일측으로 전달되는 세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분할댐퍼(54)가 상기 제2지지부(4)에 결합된 경우, 상기 분할댐퍼(54)는 진동, 흔들림, 충격 등이 상기 제2지지부(4)에서 상기 코어(100)의 타측으로 전달되는 세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분할댐퍼(54)가 상기 제1지지부(3)에 결합된 실시예를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다. 이로부터 상기 분할댐퍼(54)가 상기 제2지지부(4)에 결합된 실시예를 도출하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상기 분할댐퍼(54)가 상기 제1지지부(3)에 결합된 경우, 상기 제1지지부(3)는 제1하부본체(3a), 및 복수개의 제1상부본체들(3b, 3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하부본체(3a)는 상기 제1지지부(3)의 하부(下部)를 이루는 것이다. 상기 제1하부본체(3a)는 상기 수납공간(21)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납본체(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하부본체(3a)는 상기 코어(100)의 하측에서 상기 코어(100)를 지지하는 지지력을 갖출 수 있다. 상기 분할댐퍼(54)는 상기 제1하부본체(3a)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분할댐퍼(54)는 상기 제1하부본체(3a)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분할댐퍼(54)는 상기 코어(100)에 접촉되어서 상기 코어(100)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1)는 상기 분할댐퍼(54)를 이용하여 진동, 흔들림, 충격 등이 상기 제1하부본체(3a)에서 상기 코어(100)로 전달되는 세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분할댐퍼(54)는 상기 제1하부본체(3a)의 상면의 전면(全面)을 덮도록 상기 제1하부본체(3a)에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분할댐퍼(54)는 상기 제1하부본체(3a)의 상면의 일부를 덮도록 상기 제1하부본체(3a)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하부본체(3a)에는 상기 분할댐퍼(54)가 복수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분할댐퍼(54)들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상부본체들(3b, 3b')은 상기 제1하부본체(3a)의 상측에 배치된 것이다. 상기 제1상부본체들(3b, 3b')은 상기 분할댐퍼(54)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분할댐퍼(54)는 진동, 흔들림, 충격 등이 상기 제1하부본체(3a)에서 상기 제1상부본체들(3b, 3b')로 전달되는 세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상부본체들(3b, 3b')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분할댐퍼(54)는 상기 제1상부본체들(3b, 3b')의 사이에서 상기 코어(100)의 일측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1)는 상기 분할댐퍼(54)를 이용하여 진동, 흔들림, 충격 등이 상기 제1하부본체(3a)에서 상기 코어(100)로 전달되는 세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코어(100)의 일측이 상기 분할댐퍼(54)에 안착된 경우, 상기 제1상부본체들(3b, 3b')의 사이에는 상기 코어(100)의 일측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상부본체들(3b, 3b')의 사이에 상기 코어(100)의 일측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상부본체들(3b, 3b')은 상기 코어(100)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상부본체들(3b, 3b')은 상기 분할댐퍼(54)에 결합된 부분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될수록 크기가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상부본체들(3b, 3b')은 상측으로 연장될수록 서로 간에 이격된 간격이 증가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1)는 상기 코어(100)의 일측이 상기 제1상부본체들(3b, 3b')의 사이로 삽입되기 위한 입구면적의 크기를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1)는 상기 코어(100)의 일측을 상기 제1상부본체들(3b, 3b')의 사이에 삽입시키는 작업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코어(100)가 권취된 동박(200)을 상기 수납본체(2)에 수납시키는 작업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상부본체들(3b, 3b')은 각각 수직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삼각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방향(Z축 방향)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과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 각각에 대해 수직한 축 방향이다.
예컨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상부본체들(3b, 3b')은 각각 상기 수직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사다리꼴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상부본체들(3b, 3b')은 상기 분할댐퍼(55)에 지지된 코어(100)의 일측을 향하는 대향면들(31b, 31b')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과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상부본체들(3b, 3b')의 대향면들(31b, 31b')은 평평한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3과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상부본체들(3b, 3b')의 대향면들(31b, 31b')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상부본체들(3b, 3b')은 상기 분할댐퍼(54)에 결합된 부분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면서 균일한 크기로 유지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상부본체들(3b, 3b')은 상측으로 연장되면서 서로 간에 이격된 간격이 균일하게 유지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1)는 상기 제1상부본체들(3b, 3b')을 이용하여 상기 코어(100)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제한력을 더 강화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상부본체들(3b, 3b')은 각각 상기 수직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사각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상부본체들(3b, 3b')의 대향면들(31b, 31b')은 평평한 수직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 도 17 내지 도 21을 참고하면, 상기 댐퍼부(5)는 복수개의 보조댐퍼들(55, 5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댐퍼들(55, 55')은 진동, 흔들림, 충격 등이 상기 코어(100)로 전달되는 세기를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보조댐퍼들(55, 55')은 각각 상기 댐퍼본체(5a), 상기 댐퍼돌기(5b), 및 상기 댐퍼홈(5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댐퍼들(55, 55')은 각각 상기 댐퍼돌기(5b)와 상기 댐퍼홈(5c) 없이 상기 댐퍼본체(5a)만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보조댐퍼들(55, 55')은 상기 제1지지부(3)와 상기 제2지지부(4)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보조댐퍼들(55, 55')이 상기 제1지지부(3)에 결합된 경우, 상기 보조댐퍼들(55, 55')은 진동, 흔들림, 충격 등이 상기 제1지지부(3)에서 상기 코어(100)의 일측으로 전달되는 세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보조댐퍼들(55, 55')이 상기 제2지지부(4)에 결합된 경우, 상기 보조댐퍼들(55, 55')은 진동, 흔들림, 충격 등이 상기 제2지지부(4)에서 상기 코어(100)의 타측으로 전달되는 세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보조댐퍼들(55, 55')이 상기 제1지지부(3)에 결합된 실시예를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다. 이로부터 상기 보조댐퍼들(55, 55')이 상기 제2지지부(4)에 결합된 실시예를 도출하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상기 보조댐퍼들(55, 55')은 상기 제1상부본체들(3b, 3b')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보조댐퍼들(55, 55')은 상기 제1상부본체들(3b, 3b')의 대향면들(31b, 31b')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보조댐퍼들(55, 55')은 진동, 흔들림, 충격 등이 상기 제1상부본체들(3b, 3b')에서 상기 코어(100)의 일측으로 전달되는 세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어(100)가 상기 제1상부본체들(3b, 3b') 중에서 어느 하나가 위치한 쪽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보조댐퍼들(55, 55')은 상기 제1상부본체들(3b, 3b')과 상기 코어(100) 간에 발생하는 충격 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보조댐퍼들(55, 55')은 상기 제1상부본체들(3b, 3b')의 대향면들(31b, 31b')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7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상부본체들(3b, 3b')의 대향면들(31b, 31b')이 평평한 경사면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보조댐퍼들(55, 55')은 경사진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9과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상부본체들(3b, 3b')의 대향면들(31b, 31b')이 곡면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보조댐퍼들(55, 55')은 곡선을 이루는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상부본체들(3b, 3b')의 대향면들(31b, 31b')이 평평한 수직면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보조댐퍼들(55, 55')은 상기 수직방향(Z축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세워진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부(3)가 상기 제1하부본체(3a)와 상기 제1상부본체들(3b, 3b')을 포함하도록 형성된 경우, 상기 제1삽입부재(32)와 상기 제1감소홈들(33, 33')은 상기 제1하부본체(3a)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분할댐퍼(54)를 포함하는 실시예들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1)는 상기 수직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상기 제1상부본체들(3b, 3b') 각각의 단면 형태, 상기 제1상부본체들(3b, 3b')의 대향면들(31b, 31b') 각각의 형태, 상기 제1하부본체(3a)에 상기 제1삽입부재(32)와 상기 제1감소홈들(33, 33')이 형성되었는지 여부, 상기 보조댐퍼들(55, 55')의 구비 여부 등에 따라 다양한 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동박용 수납장치 2 : 수납본체
21 : 수납공간 22 : 제1삽입홈
23 : 보강부재 24 : 받침부
3 : 제1지지부 3a : 제1하부본체
3b, 3b' : 제1상부본체 31b, 31b': 대향면
31 : 제1지지홈 32 : 제1삽입부재
33, 33' : 제1감소홈 4 : 제2지지부
41 : 제2지지홈 5 : 댐퍼부
5a : 댐퍼본체 5b: 댐퍼돌기
5c : 댐퍼홈 51 : 제1삽입댐퍼
52 : 바닥댐퍼 53 : 받침댐퍼
54 : 분할댐퍼 55, 55' : 보조댐퍼
6 : 커버부 7 : 제1측벽부
71 : 제1측벽부재 8 : 제2측벽부
81 : 제2측벽부재 100 : 코어
200 : 동박

Claims (15)

  1. 코어(Core)(100)에 권취된 동박(銅箔)(200)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21)이 마련된 수납본체(2);
    상기 코어(100)의 일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수납본체(2)에 결합된 제1지지부(3);
    상기 코어(100)의 타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수납본체(2)에 결합된 제2지지부(4); 및
    탄성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 댐퍼부(5)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부(3)는 상기 수납본체(2)에 삽입되기 위한 제1삽입부재(32), 및 상기 제1삽입부재(32)에 형성된 제1감소홈(33)을 포함하고,
    상기 댐퍼부(5)는 상기 제1지지부(3)와 상기 수납본체(2)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감소홈(33)에 삽입되는 제1삽입댐퍼(5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용 수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본체(2)는 상기 제1삽입부재(32)에서 상기 제1감소홈(33)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삽입되는 제1삽입홈(22)을 포함하고,
    상기 제1삽입댐퍼(51)는 상기 제1삽입홈(22)의 외부에서 상기 제1지지부(3)와 상기 수납본체(2)의 사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용 수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본체(2)에는 상기 제1감소홈(33)에 삽입되기 위한 보강부재(23)가 결합되고,
    상기 제1삽입댐퍼(51)는 상기 제1지지부(3)와 상기 보강부재(23)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감소홈(33)에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용 수납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본체(2)에는 상기 보강부재(23)가 복수개 결합되고,
    상기 보강부재들(23, 23')은 제1축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1삽입홈(22)은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보강부재들(23, 23')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보강부재들(23, 23') 각각의 상면에는 상기 제1삽입댐퍼(51)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용 수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부(5)는 상기 수납본체(2)의 저면에 결합된 받침댐퍼(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용 수납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본체(2)의 저면에는 받침부(24)가 결합되고,
    상기 받침부(24)의 일면은 상기 수납본체(2)의 저면에 결합되며,
    상기 댐퍼부(5)는 상기 받침부(24)의 타면에 결합된 바닥댐퍼(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용 수납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3)는 상기 수납공간(21)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납본체(2)에 결합된 제1하부본체(3a), 및 상기 제1하부본체(3a)의 상측에 배치된 복수개의 제1상부본체들(3b, 3b')을 포함하고,
    상기 댐퍼부(5)는 상기 제1하부본체(3a)의 상면에 결합된 분할댐퍼(54)를 포함하며,
    상기 제1상부본체들(3b, 3b')은 상기 분할댐퍼(54)의 상면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용 수납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부본체들(3b, 3b')은 상기 분할댐퍼(54)에 지지된 코어(100)를 향하는 대향면들(31b, 31b')을 포함하고,
    상기 댐퍼부(5)는 상기 대향면들(31b, 31b') 각각에 결합된 복수개의 보조댐퍼들(55, 5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용 수납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댐퍼들(55, 55’)은 상기 제1상부본체들(3b, 3b')의 대향면들(31b, 31b')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용 수납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부본체들(3b, 3b')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분할댐퍼(54)는 상기 제1상부본체들(3b, 3b')의 사이에서 상기 코어(100)의 일측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용 수납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부본체들(3b, 3b')은 상기 분할댐퍼(54)에 결합된 부분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될수록 서로 간에 이격된 간격이 증가되도록 상측으로 연장될수록 크기가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용 수납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부본체들(3b, 3b')은 상기 분할댐퍼(54)에 지지된 코어(100)의 일측을 향하는 대향면들(31b, 31b')을 포함하고,
    상기 대향면들(31b, 31b')은 평평한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용 수납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부본체들(3b, 3b')은 상기 분할댐퍼(54)에 지지된 코어(100)의 일측을 향하는 대향면들(31b, 31b')을 포함하고,
    상기 대향면들(31b, 31b')은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용 수납장치.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부본체들(3b, 3b')은 상기 분할댐퍼(54)에 결합된 부분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면서 서로 간에 이격된 간격이 균일하게 유지되도록 상측으로 연장되면서 균일한 크기로 유지되는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용 수납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부(5)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 댐퍼본체(5a);
    상기 댐퍼본체(5a)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된 복수개의 댐퍼돌기(5b); 및
    상기 댐퍼본체(5a)의 타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댐퍼홈(5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용 수납장치.
KR1020220056564A 2021-05-11 2022-05-09 동박용 수납장치 KR202201535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60480 2021-05-11
KR1020210060480 2021-05-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3508A true KR20220153508A (ko) 2022-11-18

Family

ID=84234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6564A KR20220153508A (ko) 2021-05-11 2022-05-09 동박용 수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5350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67650A1 (en) Battery pack having expandable battery module structure
US20220106152A1 (en) Apparatus for accommodating copper foil
JP6487466B2 (ja) 電池トレイ
US20150353105A1 (en) Railcar bogie and railcar including same
US11862819B2 (en) Battery module
KR20220084517A (ko) 이차전지 제조용 이송시스템
KR20220153508A (ko) 동박용 수납장치
KR20220152168A (ko) 동박용 수납장치
JPWO2020066370A1 (ja) 把持機構、組立装置及び部品
US20230123936A1 (en) Electrical connection box
US20230307755A1 (en) Storage rack, energy storage frame, and energy storage battery cluster
KR20210001592U (ko) 동박용 수납장치
KR20140029319A (ko) 전지 트레이 및 전지의 제조 방법
KR20210001593U (ko) 동박용 수납장치
CN115764132A (zh) 储能集装箱
CN116981602A (zh) 用于支撑机动车辆电池充电器的支撑装置
KR20230001064U (ko) 동박용 수납장치
CN220065759U (zh) 一种可以使蓄电池极群边极板居中的固定盒
CN219990192U (zh) 一种件箱货台支撑装置
CN215187847U (zh) 一种控制器承载装置
CN213111051U (zh) 一种金属材料制造用材料运送装置
CN218334089U (zh) 一种换电站托盘
KR20190079160A (ko) 중량체가 구비된 산업용 전기차의 중대형 전지팩
CN214203879U (zh) 一种底板结构及电池箱体
CN220181366U (zh) 可拼接的塑胶卡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