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9319A - 전지 트레이 및 전지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전지 트레이 및 전지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9319A
KR20140029319A KR1020130103752A KR20130103752A KR20140029319A KR 20140029319 A KR20140029319 A KR 20140029319A KR 1020130103752 A KR1020130103752 A KR 1020130103752A KR 20130103752 A KR20130103752 A KR 20130103752A KR 20140029319 A KR20140029319 A KR 201400293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view
hole
plan
battery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3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8394B1 (ko
Inventor
유타카 나카가와
가즈키 후지모리
다쿠야 기하라
겐지 나카니시
Original Assignee
히다치 막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막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막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29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9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8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8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치수가 다른 다품종의 전지를 수납할 수 있는 전지 트레이를 제공한다.
전지 트레이(1)는, 전지(9)를 수납하는 전지 트레이이며, 평면시에서 상기 전지(9)와 2점 이상에서 접하는 제 1 규제부(111a)를 포함하는 제 1 부재와, 평면시에서 상기 전지(9)와 2점 이상에서 접하는 제 2 규제부(121a)를 포함하는 제 2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부재와 상기 제 2 부재의 간격을 바꿈으로써, 치수가 다른 다품종의 상기 전지를 수납한다.

Description

전지 트레이 및 전지의 제조 방법{A BATTERY TRA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BATTERY}
본 발명은, 전지 트레이(tray) 및 전지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전지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전지를 수납하기 위해 이용되는 전지 트레이 및 당해 전지 트레이를 이용한 전지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지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다수의 전지를 취급하기 위해 전지 트레이가 이용된다. 전지 트레이는, 전지의 운반이나 보관에 이용되나, 전지를 수납한 채, 제조 공정이 진행되는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지의 화성(충전) 공정에서는, 전지의 상하 단자에 전극을 밀어 세워서 충전한다. 다수의 전지를 전지 트레이에 수납한 채 화성 공정을 행할 경우, 각각의 전지의 상하 단자와 전극을 접촉시키기 위해 위치 규제가 필요하다. 그 때문에, 외형 치수가 다른 다품종의 전지를 제조하는 경우, 전지의 품종마다 전용의 전지 트레이가 필요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전지의 품종마다 전지 트레이를 바꿀 필요가 생겨, 공정 관리가 번잡해진다.
일본 공개특허 특개2008-133046호 공보(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 특개2009-218077호 공보(특허문헌 2) 및 일본 공개특허 특개2011-148523호 공보(특허문헌 3)에는, 하나의 트레이로 두께가 다른 다품종 전지를 수납 가능한 전지 트레이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 특개2008-133046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 특개2009-218077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 특개2011-148523호 공보
상기 특허문헌 1∼3에 개시된 전지 트레이는, 폭이 일정하고, 두께가 다른 다품종의 전지를 수납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 박형(薄型)의 휴대기기의 보급에 의해, 두께는 거의 일정하며, 폭이 다른 다품종의 전지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상기 특허문헌 1∼3에는, 폭이 다른 다품종의 전지를 수납하는 전지 트레이에 대해서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치수가 다른 다품종의 전지를 수납할 수 있는 전지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 및 당해 전지 트레이를 이용한 전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에 개시하는 전지 트레이는, 전지를 수납하는 전지 트레이이며, 평면시(平面視)에서 상기 전지와 2점 이상에서 접하는 제 1 규제부를 포함하는 제 1 부재와, 평면시에서 상기 전지와 2점 이상에서 접하는 제 2 규제부를 포함하는 제 2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부재와 상기 제 2 부재의 간격을 바꿈으로써, 치수가 다른 다품종의 상기 전지를 수납한다.
여기에 개시하는 전지의 제조 방법은, 상기의 전지 트레이를 이용하여, 상기 전지를 충전하는 공정 및/또는 상기 전지에 전해액을 주액(注液)하는 공정을 구비한다.
상기의 전지 트레이의 구성에 의하면, 전지는, 제 1 규제부 및 제 2 규제부와 평면시에서 전지와 4점 이상에서 접한다. 이것에 의해, 전지를 안정적으로 수납할 수 있다. 제 1 부재와 제 2 부재의 간격을 바꿈으로써, 치수가 다른 다품종 전지를 수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지 트레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제 1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제 1 부재의 관통 구멍의 하나를 뽑아내어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제 2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제 2 부재의 관통 구멍의 하나를 뽑아내어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제 3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 1 부재의 관통 구멍, 제 2 부재의 관통 구멍 및 개구부를 겹쳐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기준선(CL)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전지 트레이에 수납되는 전지의 개략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전지 트레이에 전지를 수납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4는, 화성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3의 경우와 동일한 폭(L), 두께(t)의 전지를, 전지 트레이에 수납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6은, 도 13의 경우와는 다른 폭(L1)을 가지는 전지를, 전지 트레이에 수납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13의 경우와는 다른 두께(t1)를 가지는 전지를, 전지 트레이에 수납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8은, 제 1 부재 및 제 2 부재의 구성을 간략화하여 모식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9는, 위치 조정에 이용하는 조제용 지그(jig)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8의 A-A선 및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18의 A-A선 및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치수가 다른 조정용 지그를 사용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관통 구멍 및 개구부의 바리에이션(variation) 중 하나이다.
도 23은, 관통 구멍 및 개구부의 바리에이션 중 하나이다.
도 24는, 관통 구멍 및 개구부의 바리에이션 중 하나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지 트레이의 구성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6은, 도 25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지 트레이의 구성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변형례에 관련된 전지 트레이의 구성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9는, 전지 트레이에 전지를 수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0은, 도 29의 경우와 다른 높이(h1)를 가지는 전지를, 전지 트레이에 수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다른 변형례에 관련된 전지 트레이의 구성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2는, 전지 트레이에 전지를 수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3은, 도 22의 경우와 다른 높이(h2)를 가지는 전지를, 전지 트레이에 수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지 트레이의 구성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지 트레이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지 트레이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지 트레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지 트레이의 평면도이다.
도 39는, 도 38의 A-A선에 따라 전지 트레이를 절단한 도면이다.
도 40은, 도 38의 B-B선에 따라 전지 트레이를 절단한 도면이다.
도 41은, 전지 트레이에 전지를 수납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2는, 도 4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3은, 도 41의 경우와는 다른 폭(L1)을 가지는 전지를, 전지 트레이에 수납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4는, 도 41의 경우와는 다른 두께(t1)를 가지는 전지를, 전지 트레이(5)에 수납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5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지 트레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6은, 도 45의 A-A선에 따라 전지 트레이를 절단한 도면이다.
도 47은, 도 45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전지 트레이에 전지를 수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8은, 전지 트레이에 도 45의 경우와는 다른 높이(h1)를 가지는 전지를 수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9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지 트레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전지 트레이를 y방향의 중앙에서 절단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0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지 트레이의 구성으로부터, 제 1 바닥부 부재 및 제 2 바닥부 부재를 뽑아내어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1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지 트레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2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지 트레이의 평면도이다.
도 53은, 도 5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4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지 트레이에 전지를 수납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5는, 도 54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6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지 트레이의 구성으로부터, 하나의 전지의 근방을 뽑아내어 나타낸 도면이다.
도 57은, 도 56의 경우와는 다른 폭(L1)을 가지는 전지를, 전지 트레이에 수납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8은, 도 56의 경우와는 다른 두께(t1)를 가지는 전지를, 전지 트레이에 수납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9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지 트레이에 조정용 지그를 배치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0은, 도 59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1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의 변형례에 관련된 전지 트레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2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련된 전지의 제조 방법의 개략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 중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또한, 설명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이하에서 참조하는 도면에 있어서는, 구성이 간략화 또는 모식화되어 나타내어지거나, 일부의 구성 부재가 생략되어 있기도 하다. 또한, 각 도면에 나타내어진 구성 부재 간의 치수비는, 반드시 실제의 치수비를 나타낸 것은 아니다.
[제 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지 트레이(1)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전지 트레이(1)는, 제 1 부재(11), 제 2 부재(12), 제 3 부재(13), 제 4 부재(14) 및 제 5 부재(15)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부재(11)는, 개략 판 형상이며,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 관통 구멍(111)을 복수 포함하고 있다. 제 2 부재(12)도 마찬가지로, 개략 판 형상이며,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 관통 구멍(121)을 복수 포함하고 있다.
제 3 부재(13)는, 개략 직방체이며, 개구부(131)를 다수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개구부(131)는 제 3 부재(13)를 관통하고 있다.
제 1 부재(11), 제 2 부재(12) 및 제 3 부재(13)는, 관통 구멍(111), 관통 구멍(121) 및 개구부(131)가 부분적으로 겹쳐지도록 조립된다. 상세한 것은 후술하나, 제 1 부재(11) 및 제 2 부재(12)는, 예를 들면 나사 등에 의해 제 3 부재(13)에 고정된다.
제 4 부재(14)는, 시트 형상이며, 관통 구멍(141)을 다수 포함하고 있다.
제 5 부재(15)는, 판 형상의 바닥면의 주연(周緣)에 주벽(155)이 형성된 형상을 가진다. 제 5 부재(15)는, 바닥면을 관통하는 관통 구멍(151)을 다수 포함하고 있다.
제 5 부재는, 주벽(155)으로 둘러쌓인 공간에, 제 3 부재(13) 및 제 4 부재(14)가 감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제 3 부재(13), 제 4 부재(14) 및 제 5 부재(15)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정확히 규제할 수 있다. 관통 구멍(141)과 관통 구멍(151)은, 평면시에서 중심이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관통 구멍(141)과 관통 구멍(151)은, 그 중심이, 평면시에서 개구부(131)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1 부재(11), 제 2 부재(12), 제 3 부재(13) 및 제 5 부재(15)의 재료 및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은 예를 들면, 수지의 성형품이다.
제 4 부재(14)는, 제 1 부재(11), 제 2 부재(12), 제 3 부재(13) 및 제 5 부재(15)보다 난연성이 우수한 재료로 형성된다. 제 4 부재(14)는, 예를 들면 금속판, 유리 섬유의 시트 등이다. 전지 트레이(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개구부(131)에 전지를 수납하여 사용된다. 제 4 부재(14)는, 전지가 과가열되어 용융하는 이상 사태가 발생하였을 때에, 설비 기기의 손상을 막을 목적으로 배치된다.
제 4 부재(14)는, 제 5 부재(15)의 하측에 배치되어도 된다. 또한, 전지 트레이(1)의 사용 목적에 따라서는, 제 4 부재(14)는 없어도 된다. 이들의 경우, 전지 트레이(1)는, 제 3 부재(13)와 제 5 부재(15)가 일체적으로 형성된 것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도 2는, 제 1 부재(11)의 평면도이다. 제 1 부재(11)는, 복수의 관통 구멍(111)과, 복수의 위치 결정용 구멍(112)과, 복수의 고정용 구멍(113)을 포함하고 있다. 위치 결정용 구멍(112) 및 고정용 구멍(113)도, 관통 구멍이다.
관통 구멍(111)은, 평면 내의 일방향인 방향(DR)을 따라 연장된 형상을 가지고 있다. 위치 결정용 구멍(112) 및 고정용 구멍(113)도, 같은 방향(DR)을 따라 연장된 형상을 가지고 있다.
도 3은, 관통 구멍(111)의 하나를 뽑아내어 나타낸 평면도이다. 관통 구멍(111)은, 방향(DR)의 일방측의 내주면에 배치된 규제부(111a)를 포함하고 있다.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관통 구멍(111)의 규제부(111a)가 배치되어 있는 측의 내주면의 단부에는, 테이퍼(111b)가 형성되어 있다.
도 5는, 제 2 부재(12)의 평면도이다. 제 2 부재(12)도, 제 1 부재(11)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관통 구멍(121)과, 복수의 위치 결정용 구멍(122)과, 복수의 고정용 구멍(123)을 포함하고 있다. 위치 결정용 구멍(122) 및 고정용 구멍(123)도, 관통 구멍이다.
관통 구멍(121)은, 관통 구멍(111)과 같은 방향(DR)을 따라 연장된 형상을 가지고 있다. 위치 결정용 구멍(122) 및 고정용 구멍(123)도, 같은 방향(DR)을 따라 연장된 형상을 가지고 있다.
도 6은, 관통 구멍(121)의 하나를 뽑아내어 나타낸 평면도이다. 관통 구멍(121)은, 방향(DR)의 타방측, 즉, 관통 구멍(111)의 경우와는 반대측의 내주면에 배치된 규제부(121a)를 포함하고 있다.
도 7은, 도 6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관통 구멍(121)의, 규제부(121a)가 배치되어 있는 측의 내주면의 단부에는, 테이퍼(121b)가 형성되어 있다.
도 8은, 제 3 부재(13)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제 3 부재(13)는, 복수의 개구부(131)와, 복수의 위치 결정용 구멍(132)과, 복수의 고정용 구멍(133)을 포함하고 있다. 개구부(131), 위치 결정용 구멍(132) 및 고정용 구멍(133)은, 관통 구멍이다. 다만, 위치 결정용 구멍(132)은, 관통 구멍이 아니어도 된다.
개구부(131)는, 관통 구멍(111)과 같은 방향(DR)을 따라 연장된 형상을 가지고 있다. 한편, 위치 결정용 구멍(132) 및 고정용 구멍(133)은, 원형이다. 위치 결정용 구멍(132)의 구경(口徑)은, 위치 결정용 구멍(112 및 122)의 구경보다 작다. 마찬가지로, 고정용 구멍(133)의 구경은, 고정용 구멍(113 및 123)의 구경보다 작다.
도 10은, 관통 구멍(111 및 121) 및 개구부(131)를 겹쳐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통 구멍(111)과 관통 구멍(121)은, 평면시에서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배치된다. 또한, 관통 구멍(111)과 관통 구멍(121)의 중복 부분은, 평면시에서 개구부(131)와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규제부(111a)와 규제부(121a)는, 평면시에서 점(CO)을 중심으로 하여 점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점(CO)은 평면시에서의 규제부(111a)와 규제부(121a)의 대칭 중심이다. 또한, 점(CO)은, 평면시에서 개구부(131)의 중심과 일치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또한, 규제부(111a)는, 점(CO)을 통해 방향(DR)과 평행한 기준선(CL)에 대하여 대칭으로 형성된 형상을 가진다. 규제부(121a)도 마찬가지로, 기준선(CL)에 대하여 대칭으로 형성된 형상을 가진다.
도 11은, 도 10의 기준선(CL)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관통 구멍(141)과 관통 구멍(151)은, 그 중심이, 평면시에서 개구부(131)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관통 구멍(111 및 121), 개구부(131) 및 관통 구멍(141 및 151)에 의해 구성되는 일련의 구멍이, 전지 트레이(1)를 관통하고 있다.
다음으로, 전지 트레이(1)의 사용 방법을 설명한다.
도 12는, 전지 트레이(1)에 수납되는 전지(9)의 개략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전지(9)는,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 한 쌍의 주면(91)과, 한 쌍의 측면(92)과, 상면(93)과, 바닥면(94)을 구비하고 있다. 상면(93)에는, 상부 단자(95)가 형성되고, 바닥면(94)에는 하부 단자(96)가 형성되어 있다.
전지(9)는, 주면(91)끼리 간의 거리에 비해 측면(92)끼리 간의 거리가 긴 편평(偏平) 형상이다. 이하, 상면(93) 및 바닥면(94)에 평행하고, 또한, 주면(91)에 평행한 방향을, 전지(9)의 폭 방향이라고 부르며 참조한다. 또한, 이 방향의 치수를 전지(9)의 폭(L)이라고 부르며 참조한다. 마찬가지로, 주면(91)과 수직인 방향을 전지(9)의 두께 방향이라고 부르고, 이 방향의 치수를 전지(9)의 두께(t)라고 부르며 참조한다.
도 12의 전지(9)의 측면(92)은, 반원통 형상이다. 그러나, 전지 트레이(1)를 수용할 수 있는 전지는, 이와 같은 형상의 전지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지(9)는, 관통 구멍(111)과 관통 구멍(121)의 중복 부분으로부터 개구부(131)에 삽입되어, 전지 트레이(1)에 수납된다. 이 때, 관통 구멍(111)에 형성된 테이퍼(111b) 및 관통 구멍(121)에 형성된 테이퍼(121b)에 의해, 미묘한 위치의 벗어남이 수정되어, 전지(9)를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다.
도 13은, 전지 트레이(1)에 전지(9)를 수납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3에서는, 보기 쉽게 하기 위해, 전지(9)에 해칭(hatching)을 붙여 나타내고 있다. 후술하는 도 15, 도 16, 도 17, 도 22, 도 23, 도 24, 도 41, 도 43, 도 44, 도 54, 도 56, 도 57 및 도 58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통 구멍(111)과 관통 구멍(121)의 중복 부분은, 평면시에서 전지(9)와 4점에서 접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관통 구멍(111)은, 규제부(111a)에 있어서 전지(9)와 점 P1 및 점 P2에서 접하고 있다. 관통 구멍(121)은, 규제부(121a)에 있어서 전지(9)와 점 P3 및 점 P4에서 접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전지(9)의 평면 내에서의 이동이 규제되기 때문에, 전지(9)를 안정적으로 수납할 수 있다.
즉, 점 P1은 전지(9)의 폭 방향의 일방측 및 두께 방향의 일방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고, 점 P2는 전지(9)의 폭 방향의 일방측 및 두께 방향의 타방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고 있다. 점 P3은 전지(9)의 폭 방향의 타방측 및 두께 방향의 타방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고, 점 P4는 전지(9)의 폭 방향의 타방측 및 두께 방향의 일방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전지(9)는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의 어느 쪽으로도 이동할 수 없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규제부(111a)와 규제부(121a)는, 평면시에서 점(CO)을 중심으로 하여 점대칭으로 배치되어 있고, 전지(9)의 평면 형상은 대칭이기 때문에, 점(CO)으로부터 점 P1∼점 P4로의 거리는 모두 같아진다. 이 구성에 의하면, 평면시에서 점(CO)과 전지(9)의 중심을 일치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또한, 규제부(111a 및 121a)는, 평면시에서 각각 기준선(CL)에 대칭으로 형성된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점 P1로부터 기준선(CL)으로의 거리와, 점 P2로부터 기준선(CL)으로의 거리가 일치한다. 마찬가지로, 점 P3으로부터 기준선(CL)으로의 거리와, 점 P4로부터 기준선(CL)으로의 거리가 일치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전지(9)의 폭 방향과, 기준선(CL)의 방향(방향(DR))을 일치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4를 참조하여, 화성 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도 13의 기준선(CL)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성 공정에서는 설비 기기로부터 전극(901 및 902)이, 전지 트레이(1)에 수납된 전지(9)의 상하로부터 가까워진다. 전극(902)은, 관통 구멍(141 및 151)을 통하여 전지(9)의 하부 단자(96)에 접한다. 전극(901)은, 전지(9)의 상부 단자(95)에 접한다. 도 1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지(9)는 상방(上方)으로 들어 올려져, 이 상태로 충전된다. 충전이 종료하면, 전극(901) 및 전극(902)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고, 전지(9)는 다시 전지 트레이(1)에 수납된다.
전지 트레이(1)는, 제 1 부재(11) 및 제 2 부재(12)를 슬라이드 시켜 규제부(111a)와 규제부(121a)의 간격을 변화시킴으로써, 임의의 치수의 전지(9)를 수납할 수 있다. 도 15∼도 17은, 서로 치수가 다른 전지를, 전지 트레이(1)에 수납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또한, 도 15∼도 17에서는, 비교하기 쉽도록, 기준선(CL)을 수평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15는, 도 13의 경우와 같은 폭(L), 두께(t)의 전지(9)를, 전지 트레이(1)에 수납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관통 구멍(111)과 관통 구멍(121)의 중복 부분은, 전지(9)와 평면시에서 4점(P1∼P4)에서 접하고 있다. 이 때의 제 1 규제부(111a)와 제 2 규제부(121a)의 간격을 S1이라고 한다.
도 16은, 전지(9)와는 다른 폭 L1(L1<L)을 가지는 전지(9A)를, 전지 트레이(1)에 수납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 경우도, 규제부(111a)와 규제부(121a)의 간격을 방향(DR)을 따라 바꿈으로써, 관통 구멍(111)과 관통 구멍(121)의 중복 부분이, 전지(9)와 평면시에서 4점(P5∼P8)에서 접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규제부(111a)와 제 2 규제부(121a)의 간격은 S2(S2<S1)가 된다.
도 17은, 전지(9)와는 다른 폭 t1(t1>t)을 가지는 전지(9B)를, 전지 트레이(1)에 수납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 경우, 규제부(111a)와 규제부(121a)의 간격을 방향(DR)을 따라 바꿈으로써, 관통 구멍(111)과 관통 구멍(121)의 중복 부분이, 전지(9)와 평면시에서 4점(P9∼P12)에서 접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규제부(111a)와 제 2 규제부(121a)의 간격은 S3(S3>S1)가 된다.
어느 경우에도, 평면시에서, 점(CO)과, 전지(9)(9A 또는 9B)의 중심이 일치하고 있다. 따라서, 평면시에서 점(CO)과 관통 구멍(141 및 151)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각 부재를 배치하면, 임의의 치수의 전지(9)에 대하여, 도 14에서 설명한 화성 공정을 행할 수 있다.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관통 구멍(141 및 151)의 중심은, 평면시에서 개구부(131)의 중심과 일치하고 있다. 따라서, 평면시에서 점(CO)과 개구부(131)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제 1 부재(11) 및 제 2 부재(12)를 제 3 부재(13)에 고정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이와 같은 위치 조정 방법 및 고정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18은, 제 1 부재(11) 및 제 2 부재(12)의 구성을 간략화하여 모식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8에서는, 도면을 보기 쉽게 하기 위해, 제 2 부재(12)를 일점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18은, 제 1 부재(11)와 제 2 부재(12)를, 방향(DR)을 따라 서로 거리(△)만큼 어긋나게 하여 배치하고 있다.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위치 결정용 구멍(112 및 122)은, 방향(DR)을 따라 연장된 형상을 가지고 있다. 그 때문에, 위치 결정용 구멍(112)과 위치 결정용 구멍(122)의 중복 부분의 폭(w1)은, 거리(△)에 따르지 않고 일정하다. 마찬가지로, 고정용 구멍(113)과 고정용 구멍(123)의 중복 부분의 폭(w2)도, 거리(△)에 따르지 않고 일정하다. 한편, 위치 결정용 구멍(112)과 위치 결정용 구멍(122)의 중복 부분의 방향(DR)에 따른 길이(g)는, 거리(△)에 따라 변화한다.
도 19는, 위치 조정에 이용하는 조제용 지그(99)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조제용 지그(99)는, 동(胴)부(991)와 축부(992)를 구비하고 있다. 동부(991)는, 위치 결정용 구멍(112)과 위치 결정용 구멍(122)의 중복 부분에 감합하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즉, 방향(DR)과 평행한 치수가 g이며, 이것과 수직인 방향의 치수가 w1이다. 축부(992)는 선단에 테이퍼가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제 3 부재(13)의 위치 결정용 구멍(132)과 감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동부(991)와 축부(992)는, 중심축이 일치하고 있다.
도 20은, 도 18의 A-A선 및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먼저, 조정용 지그(99)의 축부(992)를 위치 결정용 구멍(132)에 끼워 넣는다. 이 상태에서, 제 1 부재(11)와 제 2 부재(12)를, 방향(DR)을 따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킨다. 그리고, 위치 결정용 구멍(112)의 내주면 및 위치 결정용 구멍(122)의 내주면을 조정용 지그(99)의 동부(991)에 접촉시킨다.
또한, 복수의 위치 결정용 구멍(112, 122, 및 132)에 조정용 지그(99)를 끼워 넣음으로써, 변형을 없앨 수 있다.
이 방법에 의하면, 제 1 부재(11)와 제 2 부재(12)를, 제 3 부재(13)의 위치 결정용 구멍(132)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방향(DR)을 따라 서로 반대 방향으로 등거리만큼 이동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평면시에서 점(CO)과 개구부(131)의 중심이 일치한 상태를 유지한 채, 규제부(111a)와 규제부(121a)의 간격을 소정의 값으로 할 수 있다.
도 21은, 도 18의 A-A선 및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치수가 다른 조정용 지그(99A)를 사용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조제용 지그(99A)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동부(991)의 방향(DR)과 평행한 방향의 치수가 조정용 지그(99)와 달리, g1이다. 조제용 지그(99A)를 사용함으로써, 평면시에서 점(CO)과 개구부(131)의 중심이 일치한 상태를 유지한 채, 규제부(111a)와 규제부(121a)의 간격을 도 20의 경우와는 다른 소정의 값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지(9)의 품종에 따라 조정용 지그(99)를 준비해 두면, 품종마다 위치 조정을, 간이하면서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제 1 부재(11), 제 2 부재(12) 및 제 3 부재(13)의 고정은, 예를 들면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체결 부재(97)와 나사(98)를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체결 부재(97)는, 헤드부(971)와 축부(972)를 구비하고 있다. 축부(972)는, 제 3 부재(13)의 고정용 구멍(133)에 감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축부(972)의 선단에는 나사 구멍(972a)이 형성되어 있어, 나사(98)를 체결할 수 있다. 체결 부재(97)의 헤드부(971)의 직경은 고정용 구멍(133)의 구경보다 크고, 나사(98)의 헤드부(981)의 직경은 고정용 구멍(113)의 폭(w2)(도 18)보다 크다. 따라서, 사이에 제 1 부재(11), 제 2 부재(12) 및 제 3 부재(13)를 사이에 두고, 체결 부재(97)와 나사(98)를 체결하면, 체결 부재(97)의 헤드부(971)와 나사(98)의 헤드부(981)에 의해, 이들의 부재를 협지(挾持)할 수 있다. 또한, 체결 부재(97)의 헤드부(971)가 돌출하지 않도록, 고정용 구멍(133)의 주변에는 홈(133a)이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나사(98)의 헤드부(981)가 돌출하지 않도록, 고정용 구멍(113)의 주변에는 홈(113a)이 형성되어 있다. 홈(113a)의 폭은, 고정용 구멍(113)의 직경보다 크다.
이상,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지 트레이(1)의 구성 및 사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전지 트레이(1)의 구성에 의하면, 간이한 조정에 의해, 다품종 전지를 수납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품종마다 전지 트레이를 준비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높이 치수(도 12에서, 상면(93)과 바닥면(94) 간의 거리)가 크게 다른 품종의 전지에 대해서는, 제 3 부재(13)만을 교환함으로써 대응이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관통 구멍(141 및 151)의 중심을, 평면시에서 개구부(131)의 중심과 일치시키고 있다. 그 때문에, 평면시에서 점(CO)이 개구부(131)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제 1 부재(11) 및 제 2 부재(12)를 제 3 부재(13)에 고정한다. 그러나, 관통 구멍(141 및 151)의 중심은, 평면시에서, 개구부(131)의 중심에 없어도 되고, 개구부(131)의 내측의 임의의 점이 있으면 된다. 이 경우, 제 1 부재(11) 및 제 2 부재(12)는, 평면시에서 점(CO)이, 이 임의의 점과 일치하도록 제 3 부재(13)에 고정되면 된다.
제 1 부재(11)와 제 2 부재(12)는, 서로 대칭인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도 2와 도 5를 비교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부재(11)를 평면시에서 180 °회전시키면, 제 2 부재(12)의 형상과 일치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 1 부재(11)와 제 2 부재(12)를, 동일한 금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의 변형례]
관통 구멍(111 및 121)은, 여러 가지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전지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관통 구멍(111)과 관통 구멍(121)의 중복 부분이, 평면시에서 전지와 4점 이상으로 접하면 된다. 이하, 도 22∼도 24를 참조하여, 제 1의 실시형태의 변형례를 설명한다.
도 22는, 관통 구멍(111 및 121)과 개구부(131)의 바리에이션 중 하나인 관통 구멍(111A 및 121A)과 개구부(131A)를 겹쳐 나타낸 평면도이다. 전지 트레이(1)에서는, 관통 구멍(111 및 121)을 전지(9)의 폭 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접촉시킴에 비해, 이 예에서는, 관통 구멍(111A 및 121A)을 전지(9)의 두께 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접촉시킨다. 이 경우도, 관통 구멍(111A 및 121A)의 중복 부분은, 평면시에서 전지(9)와 4점(P13∼P16)에서 접하고 있다.
도 23은, 관통 구멍(111 및 121)과 개구부(131)의 바리에이션 중 하나인 관통 구멍(111B 및 121B)과 개구부(131B)를 겹쳐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 예에서는, 관통 구멍(111B 및 121B)을, 전지(9)의 폭 방향과 두께 방향의 양쪽으로 슬라이드시켜, 전지(9)에 접촉시킨다. 이 경우도, 관통 구멍(111B 및 121B)의 중복 부분은, 평면시에서 전지(9)와 4점(P17∼P20)에서 접하고 있다. 또한, 이 예에서는, 전지(9)의 주면(91)과, 관통 구멍(11B 및 121B)의 내주면이 일부 평행하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관통 구멍(111B 및 121B)의 중복 부분은, 평면시에서 전지(9)와 선형상으로 접하고 있다. 이와 같이, 관통 구멍(111B 및 121B)의 중복 부분이, 평면시에서 전지와 선형상으로 접하는 태양이어도 된다.
도 24는, 관통 구멍(111 및 121) 및 개구부(131)의 바리에이션 중 하나인 관통 구멍(111C 및 121C) 및 개구부(131C)를 겹쳐 나타낸 평면도이다. 관통 구멍(111C 및 121C) 및 개구부(131C)는, 편평 형상의 전지(9) 대신, 원통 형상의 전지(9C)를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도, 관통 구멍(111C 및 121C)의 중복 부분은, 평면시에서 전지(9C)와 4점(P21∼P24)에서 접하고 있다.
또한, 어느 쪽의 예에 있어서도, 관통 구멍(111 및 121)의 전지(9)와 접하는 내주면은 평면이 아니어도 되고, 곡면이어도 된다.
[제 2 실시형태]
도 2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지 트레이(2)의 구성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전지 트레이(2)는, 전지 트레이(1)의 제 1 부재(11) 및 제 2 부재(12) 대신, 제 1 부재(21) 및 제 2 부재(22)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부재(21)는, 제 1 부재(11)의 구성에 부가하여, 돌기부(115)를 더 포함하고 있다. 돌기부(115)는, 규제부(111a)에 연속하여 형성되며, 관통 구멍(121)을 향하여 돌출하고 있다. 제 2 부재(22)는, 제 2 부재(12)의 구성에 부가하여, 돌기부(125)를 더 포함하고 있다. 돌기부(125)는, 규제부(121a)에 연속하여 형성되며, 관통 구멍(111)을 향하여 돌출하고 있다. 제 2 부재(22)에서는, 제 2 부재(12)의 테이퍼(121b) 대신, 돌기부(125)의 단부에 테이퍼(125b)가 형성되어 있다.
도 26은, 도 25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26과 도 11을 비교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돌기부(115 및 125)에 의해, 제 1 부재(21)와 제 2 부재(22)에 의한 단차(段差)를 없앨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전지(9)의 바닥면이 이 단차에 맞는 것이 없어져, 전지(9)를 보다 원활하게 수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제 1 부재(21)와 제 2 부재(22)는, 서로 대칭인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부재(21)와 제 2 부재(22)를, 동일한 금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도 2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지 트레이(3)의 구성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전지 트레이(3)는, 전지 트레이(1)의 제 3 부재(13) 대신, 제 3 부재(33)를 구비하고 있다.
제 3 부재(33)는, 제 3 부재(13)의 구성에 부가하여, 바닥면부(135)를 더 포함하고 있다. 바닥면부(135)에는, 관통 구멍(141 및 151)과 연속하는 관통 구멍(135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바닥면부(135)는, 도 26의 단면에 있어서, 개구부(131)의 중심측을 향하여 두께가 얇아져 있다. 즉, 바닥면부(135)는 경사면이다.
전지(9)는 관통 구멍(111)과 관통 구멍(121)의 중복 부분에 의해 규제되어 있기 때문에, 전지(9)의 폭이 개구부(131)의 폭에 비해 작을 경우, 또는, 전지(9)의 높이 치수가 클 경우, 전지(9)의 바닥부 근방이 안정적이지 않은 경우가 있다. 본 실시형태의 구성에 의하면, 전지(9)의 바닥면 근방이 바닥면부(135)에 의해 끼워져 있다. 이것에 의해, 전지(9)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바닥면부(135)를 경사시키는 방향은, 전지(9)의 폭 방향이어도 되고, 두께 방향이어도 된다. 또한, 바닥면부(135)는, 곡면이어도 된다.
[제 3 실시형태의 변형례 1]
도 28은, 제 3 실시형태의 변형례에 관련된 전지 트레이(3A)의 구성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전지 트레이(3A)는, 제 3 부재(33) 대신, 제 3 부재(13)와, 제 3 부재(13)와는 독립한 제 1 바닥부 부재(31) 및 제 2 바닥부 부재(32)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바닥부 부재(31) 및 제 2 바닥부 부재(32)는, 제 3 부재(13)의 개구부(131)의 내부에,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제 1 바닥부 부재(31) 및 제 2 바닥부 부재(32)는, 제 1 바닥부 부재(31)와 제 2 바닥부 부재(32)가 대향하는 방향에 있어서, 외측을 향하여 직선 형상으로 높이가 높아져 있다. 제 1 바닥부 부재(31) 및 제 2 바닥부 부재(32)는, 제 1 바닥부 부재(31)와 제 2 바닥부 부재(32)의 대향(對向)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바닥부 부재(31)와 제 2 바닥부 부재(32)를 대향시키는 방향은, 전지(9)의 폭 방향이어도 되고, 전지(9)의 두께 방향이어도 된다. 또한, 제 1 바닥부 부재(31) 및 제 2 바닥부 부재(32)의 경사면은, 곡면이어도 된다.
전지 트레이(3A)에 의해서도, 전지 트레이(3)와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즉, 전지(9)의 바닥면 근방이 제 1 바닥부 부재(31) 및 제 2 바닥부 부재(32)에 의해 끼워져 있음으로써, 전지(9)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전지 트레이(3A)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도 29는, 전지 트레이(3A)에 전지(9)를 수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여기에서, 전지(9)의 높이(z방향의 치수)를 h라고 하고, 전지(9)의 상면이 제 1 부재(1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는 량을 △h라고 한다.
도 30은, 전지(9)와 다른 높이 h1(h1<h)을 가지는 전지(9D)를, 전지 트레이(3A)에 수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바닥부 부재(31)와 제 2 바닥부 부재(32)의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돌출량(△h)을 도 29의 경우와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변형례에 의하면, 높이 방향의 치수가 다른 전지를 수납하더라도, 전지(9)의 기준면으로부터의 돌출량(예를 들면, 도 29 및 도 30의 △h)을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의 변형례 2]
도 31은, 제 3 실시형태의 다른 변형례에 관련된 전지 트레이(3B)의 구성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전지 트레이(3B)는, 제 1 바닥부 부재(31) 및 제 2 바닥부 부재(32) 대신, 높이 조정 부재(35)를 구비하고 있다.
높이 조정 부재(35)는, 제 1 부재(11) 및 제 2 부재(12)의 주연부의 외측과, 제 3 부재(13)의 주연부의 내측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높이 조정 부재(35)는, 전지 트레이(3B)의 외측을 향하여 높이가 높아져 있다. 제 2 부재(12)는, 제 2 부재(12)의 바닥면이 높이 조정 부재(35)의 경사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32는, 전지 트레이(3B)에 전지(9)를 수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전지 트레이(3A)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전지(9)의 높이를 h라고 하고, 전지(9)의 상면이 제 1 부재(1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는 량을 △h1이라고 한다.
도 33은, 전지(9)와 다른 높이 h2(h2>h)를 가지는 전지(9E)를, 전지 트레이(3A)에 수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높이 조정 부재(35)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돌출량(△h1)을 도 32의 경우와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변형례에 의해서도, 높이 방향의 치수가 다른 전지를 수납하더라도, 전지(9)의 기준면으로부터의 돌출량(예를 들면, 도 32 및 도 33의 △h1)을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
도 3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지 트레이(4)의 구성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전지 트레이(4)는, 전지 트레이(1)의 제 1 부재(11) 대신 제 1 부재(41)를, 제 2 부재(12) 대신 제 2 부재(42)를, 제 3 부재(13) 대신 제 3 부재(43)를 구비하고 있다. 전지 트레이(4)는, 이들에 부가하여, 스프링(451 및 452)을 더 구비하고 있다.
제 1 부재(41)는, 제 1 부재(11)의 구성에, 경사면(410)을 부가한 것이다. 제 2 부재(42)는, 제 2 부재(12)의 구성에, 경사면(420)을 부가한 것이다. 제 3 부재(43)는, 제 3 부재(13)의 구성에, 경사면(430a 및 430b)을 부가한 것이다.
경사면(430a 및 430b)은, 제 3 부재(43)의 주연부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430a 및 430b)은, 제 3 부재(43)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높이가 높아져 있다.
경사면(410)은, 경사면(430a)과 평행하게, 제 1 부재(41)의 바닥면의 일방측(규제부(111a)가 형성되어 있는 측과 반대측)에 형성되어 있다. 제 1 부재(41)는, 경사면(410)에 의해, 제 3 부재(43)의 경사면(430a)의 위를 슬라이드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프링(451)은, 제 1 부재(41)와 제 3 부재(43)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스프링(451)은, 제 1 부재(41)를, 방향(DR)의 일방측(규제부(111a)가 형성되어 있는 측과 반대측)에 압출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경사면(420)은, 경사면(430b)과 평행하게, 제 2 부재(42)의 바닥면의 일방측(규제부(121a)가 형성되어 있는 측과 반대측)에 형성되어 있다. 제 2 부재(42)는, 경사면(420)에 의해, 제 3 부재(43)의 경사면(430b) 위를 슬라이드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프링(452)은, 제 2 부재(42)와 제 3 부재(43)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스프링(452)은, 제 2 부재(42)를, 방향(DR)의 타방측(규제부(121a)가 형성되어 있는 측과 반대측)에 압출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35 및 도 36을 참조하여, 전지 트레이(4)의 사용방법을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규제부(111a)와 규제부(121a)의 중심으로부터 규제부(111a)로 향하는 방향을 방향(DR)의 마이너스측, 규제부(121a)로 향하는 방향을 방향(DR)의 플러스(plus)측이라고 부르며 참조한다.
먼저, 도 3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비 기기 실린더(903)에 의해, 제 1 부재(41) 및 제 2 부재(42)를 아래 방향으로 내리누른다. 이것에 의해, 제 1 부재(41)는, 사면(斜面)(430a)을 슬라이드하여 방향(DR)의 마이너스측으로 이동한다. 또한, 제 2 부재(42)는, 사면(430b)을 슬라이드하여 방향(DR)의 플러스측으로 이동한다.
이 때, 규제부(111a)와 규제부(121a)의 간격은 가장 넓은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관통 구멍(111)과 관통 구멍(121)의 중복 부분으로부터 전지(9)를 삽입한다. 이 때, 전지(9)의 중심과, 관통 구멍(141 및 151)의 중심은, 평면시에서 일치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전지(9)를 삽입한 후, 도 3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린더(903)를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 스프링(451)의 작용에 의해, 제 1 부재(41)는 방향(DR)의 플러스측으로 이동한다. 또한, 스프링(452)의 작용에 의해, 제 2 부재(42)는 방향(DR)의 마이너스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제 1 부재(41)의 규제부(111a)는 전지(9)와 당접하고, 제 2 부재(42)의 규제부(121a)는 전지(9)와 당접한다. 스프링(451)으로부터의 힘과 스프링(452)으로부터의 힘이 균형잡힌 지점에서, 제 1 부재(41) 및 제 2 부재(42)는 정지한다.
규제부(111a) 및 규제부(121a)가, 관통 구멍(141 및 151)의 중심에 비해 서로 대칭이면, 전지(9)의 중심과, 관통 구멍(141 및 151)의 중심을, 평면시에서 일치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부재(41) 및 제 2 부재(42)를, 미리 제 3 부재에 고정해 둘 필요가 없어, 품종마다의 조제가 불필요해진다. 또한, 전지(9)를 삽입할 때에, 전지(9)의 위치가 벗어나도, 자동으로 수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정비 기기 실린더(903)에 의해 자동화된 공정을 설명하였으나, 수작업에 의해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5 실시형태]
도 3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지 트레이(5)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전지 트레이(5)는, 제 1 부재(51)와, 제 2 부재(52)와, 제 3 부재(53)를 구비하고 있다.
제 3 부재(53)는, 개구부(531)를 구비하고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 3 부재(53)는, 개구부(531)에 전지를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1 부재(51) 및 제 2 부재(52)는, 제 3 부재(53)의 개구부(531)의 상측에,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부재(51)와 제 2 부재(52)는, 평면시에서 겹치지 않는다. 제 1 부재(51)와 제 3 부재(53)는, 나사(591) 및 너트(592)에 의해 고정된다. 마찬가지로, 제 2 부재(52)와 제 3 부재(53)는, 나사(591) 및 너트(592)에 의해 고정된다.
도 38은, 전지 트레이(5)의 평면도이다. 도 39는, 도 38의 A-A선을 따라 전지 트레이(5)를 절단한 도면이다. 제 1 부재(51)는, 제 1 부재(51)를 z방향으로 관통하는 고정용 구멍(513)을 구비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부재(52)는, 제 2부재(52)를 z방향으로 관통하는 고정용 구멍(523)을 구비하고 있다. 도 3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용 구멍(513 및 523)에는, 나사(591)의 헤드부가 돌출하지 않도록 홈 가공이 되어 있다.
제 3 부재(53)는, x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된 고정용 구멍(533)을 구비하고 있다. 고정용 구멍(533)의 y방향의 폭은, 나사(591)의 직경보다 크고, 너트(592)의 직경보다 작다. 고정용 구멍(513 및 533)에 나사(591)를 삽입하고, 나사(591)와 너트(592)를 체결함으로써, 제 1 부재(51)를 제 3 부재(53)에 고정할 수 있다. 제 2 부재(52)도, 동일하게 하여 제 3 부재(53)에 고정할 수 있다.
고정용 구멍(533)은 x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상을 하고 있기 때문에, 제 1 부재(51) 및 제 2 부재(52)를, x방향의 위치를 바꾸어 고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부재(51)와 제 2 부재(52)의 간격(S4)을,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
도 40은, 도 38의 B-B선을 따라 전지 트레이(5)를 절단한 도면이다. 제 1 부재(51)는, 전지 트레이(1)의 제 1 부재(11)와 마찬가지로, 규제부(511a) 및 테이퍼(511b)를 구비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부재(52)는, 규제부(521a) 및 테이퍼(521b)를 구비하고 있다.
제 3 부재(53)는, 개구부(531)를 구비하고 있다. 개구부(531)의 x방향 중앙부근에는, 바닥면부(535)가 형성되어 있다. 바닥면부(535)는, y방향 외측을 향하여 높이가 높아지는 경사면이다. 바닥면부(535) 이외의 장소에서는, 개구부(531)는, 제 3 부재(53)를 z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도 41은, 폭(L), 두께(t)의 전지(9)를 전지 트레이(5)에 수납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전지(9)는, 규제부(511a)와 규제부(521a)의 사이에서, 개구부(531)에 삽입된다. 이 때, 테이퍼(511b 및 521b)에 의해, 삽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규제부(511a)는, 전지(9)와 점 P31 및 점 P32의 2점에서 접하고 있다. 또한, 규제부(521a)는, 전지(9)와 점 P33 및 점 P34의 2점에서 접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전지(9)의 평면 내에서의 이동이 규제되기 때문에, 전지(9)를 안정적으로 수납할 수 있다.
또한, 이 때의 제 1 부재(51)와 제 2 부재(52)의 간격을 S4라고 한다.
도 42는, 도 4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전지(9)는, 바닥면부(535)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바닥면부(535)는, y방향 외측을 향하여 높이가 높아지는 경사면이다. 전지(9)가 바닥면부(535)의 경사면을 미끄러짐으로써, 전지(9)가 y방향에 있어서 센터링된다. 또한, 전지(9)가 개구부(531)의 y방향의 중심에 배치된 후에는, 전지(9)는, 바닥면부(535)에 끼워져 있음으로써 보다 안정적이다.
전지 트레이(5)도, 전지 트레이(1)와 마찬가지로, 제 1 부재(51) 및 제 2 부재(52)를 x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규제부(511a)와 규제부(521a)의 간격을 바꿈으로써, 임의의 치수의 전지(9)를 수납할 수 있다. 도 43 및 도 44는, 도 41의 경우와 각각 치수가 다른 전지를, 전지 트레이(5)에 수납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3은, 전지(9)와는 다른 폭 L1(L1<L)을 가지는 전지(9A)를, 전지 트레이(5)에 수납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 경우에도, 규제부(511a)는, 전지(9)와 점 P35 및 점 P36의 2점에서 접하고, 규제부(521a)는, 전지(9)와 점 P37 및 점 P38의 2점에서 접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부재(51)와 제 2 부재(52)의 간격은 S5(S5<S4)가 된다.
도 44는, 전지(9)와는 다른 두께 t1(t1>t)을 가지는 전지(9B)를, 전지 트레이(5)에 수납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 경우에도, 규제부(511a)는, 전지(9)와 점 P39 및 점 P40의 2점에서 접하고, 규제부(521a)는, 전지(9)와 점 P41 및 점 P42의 2점에서 접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부재(51)와 제 2 부재(52)의 간격은 S6(S6>S4)가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규제부(511a)와 규제부(521a)는, 제 3 부재(53)의 중심에 대하여 평면시에서 대칭인 형상을 가지고 있다. 또한, 도 41, 도 43 및 도 44에서는, 모두 제 1 부재(51) 및 제 2 부재(52)를, 제 3 부재(53)의 중심에 대하여 평면시에서 대칭으로 배치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전지(9)의 중심과, 제 3 부재(53)의 중심을, 평면시에서 일치시킬 수 있다.
그러나, 제 1 부재(51)와 제 2 부재(52)는,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면, 제 1 부재(51) 및 제 2 부재(52)의 일방을 고정하고, 타방만을 움직임으로써, 제 1 부재(51)와 제 2 부재(52)의 간격을 조정해도 된다. 또한, 규제부(511a)와 규제부(521a)는, 서로 비대칭인 형상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제 6 실시형태]
도 45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지 트레이(6)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전지 트레이(6)는, 전지 트레이(5)의 제 3 부재(53) 대신, 제 3 부재(63)를 구비하고 있다. 전지 트레이(6)는 또한, 제 1 바닥부 부재(61) 및 제 2 바닥부 부재(62)를 구비하고 있다.
도 46은, 도 45의 A-A선을 따라 전지 트레이(6)를 절단한 도면이다. 제 3 부재(63)는, 제 3 부재(53)의 구성으로부터, 바닥면부(535)를 삭제한 것이다. 제 3 부재(63)의 개구부(631)는, 제 3 부재(63)를 z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제 1 바닥부 부재(61) 및 제 2 바닥부 부재(62)는, 제 3 부재(63)의 개구부(631)에,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제 1 바닥부 부재(61) 및 제 2 바닥부 부재(62)는 각각, 개구부(631)의 내벽면을 따라, x방향으로 슬라이드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1 바닥부 부재(61) 및 제 2 바닥부 부재(62)는, 제 1 바닥부 부재(61)와 제 2 바닥부 부재(62)가 대향하는 방향에 있어서, 중심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높이가 높아져 있다. 즉, 제 1 바닥부 부재(61)는, 개구부(631)의 중심으로부터 x방향 외측을 향하여 높이가 높아지는 경사면(610)을 구비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바닥부 부재(62)는, 개구부(631)의 중심으로부터 x방향 외측을 향하여 높이가 높아지는 경사면(620)을 구비하고 있다.
도 47은, 도 45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며, 전지 트레이(6)에 전지(9)를 수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지(9)는, 경사면(610) 및 경사면(620)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여기에서, 전지(9)의 높이를 h라고 하고, 제 1 부재(51) 및 제 2 부재(52)의 상면으로부터의 전지(9)의 돌출량을 △h2라고 한다. 또한, 제 1 바닥부 부재(61)와 제 2 바닥부 부재(62)의 간격을 S7이라고 한다.
도 48은, 전지 트레이(6)에, 전지(9)와는 다른 높이 h1(h1<h)을 가지는 전지(9D)를 수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바닥부 부재(61)와 제 2 바닥부 부재(62)의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돌출량(△h2)을 도 47의 경우와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바닥부 부재(61)와 제 2 바닥부 부재(62)의 간격은 S8(S8<S7)이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높이 방향의 치수가 다른 전지를 수납하더라도, 전지(9)의 기준면으로부터의 돌출량(예를 들면, 도 47 및 도 48의 △h2)을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도 46∼도 48에서는, 경사면(610 및 620)은 평면이다. 그러나, 경사면(610 및 620)은, 개구부(631)의 중심으로부터 x방향 외측을 향하여 높이가 높아져 있으면 되고, 곡면이어도 된다.
[제 7 실시형태]
도 49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지 트레이(7)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전지 트레이(7)를 y방향의 중앙에서 절단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전지 트레이(7)는, 전지 트레이(6)의 제 1 바닥부 부재(61) 대신 제 1 바닥부 부재(71)를, 제 2 바닥부 부재(62) 대신 제 2 바닥부 부재(72)를 구비하고 있다.
도 50은, 전지 트레이(7)의 구성으로부터, 제 1 바닥부 부재(71) 및 제 2 바닥부 부재(72)를 뽑아내어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 1 바닥부 부재(71)는, 경사면(710)을 구비한다. 경사면(710)은, 제 1 바닥부 부재(61)의 경사면(610)과 마찬가지로, 개구부(631)의 중심으로부터 x방향 외측을 향하여 높이가 높아져 있다. 경사면(710)은 또한, 제 1 바닥부 부재(61)의 중심으로부터 y방향 외측을 향하여 높이가 높아져 있다. 즉, 경사면(710)은, x방향 외측을 향하여 높이가 높아져 있음과 함께, y방향 외측을 향하여 높이가 높아져 있다.
제 2 바닥부 부재(72)도 마찬가지로, x방향 외측을 향하여 높이가 높아짐과 함께, y방향 외측을 향하여 높이가 높아지는 경사면(720)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전지(9)가 경사면(710 및 720)을 미끄러짐으로써, 전지(9)가 x방향 및 y방향에 있어서 센터링된다. 또한, 전지(9)가 제 1 바닥부 부재(71) 및 제 2 바닥부 부재(72)의 y방향의 중심에 배치된 후에는, 전지(9)는, 경사면(710 및 720)에 끼워져 있음으로써 보다 안정적이다.
[제 8 실시형태]
도 51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지 트레이(8)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전지 트레이(8)는, 제 1 부재(81)와, 제 2 부재(82)와, 제 3 부재(83)를 구비하고 있다.
제 3 부재(83)는, 상부가 개구한 상자형 형상을 가진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 3 부재(83)는, 이 개구한 부분에 전지를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1 부재(81) 및 제 2 부재(82)는, 제 3 부재(83)의 이 개구 부분의 내부에,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부재(81)와 제 2 부재(82)는, 평면시에서 겹치지 않는다. 제 1 부재(81)와 제 3 부재(83)는, 나사(891) 및 너트(892)에 의해 고정된다. 마찬가지로, 제 2 부재(82)와 제 3 부재(83)는, 나사(891) 및 너트(892)에 의해 고정된다.
도 52는, 전지 트레이(8)의 평면도이다. 도 53은, 도 5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제 1 부재(81)는, 제 1 부재(81)를 z방향으로 관통하는 고정용 구멍(813)을 구비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부재(82)는, 제 2 부재(82)를 z방향으로 관통하는 고정용 구멍(823)을 구비하고 있다. 도 5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용 구멍(813 및 823)에는, 나사(891)의 헤드부가 돌출하지 않도록 홈 가공이 되어 있다.
제 3 부재(83)는, y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된 고정용 구멍(833)을 구비하고 있다. 고정용 구멍(833)의 x방향의 폭은, 나사(891)의 직경보다 크고, 너트(892)의 직경보다 작다. 고정용 구멍(813 및 833)에 나사(891)를 삽입하고, 나사(891)와 너트(892)를 체결함으로써, 제 1 부재(81)와 제 3 부재(83)를 고정할 수 있다. 제 2 부재(82)와 제 3 부재(83)도 동일하게 하여 고정할 수 있다.
고정용 구멍(833)은 y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상을 하고 있기 때문에, 제 1 부재(81) 및 제 2 부재(82)를, y방향의 위치를 바꾸어 고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부재(81)와 제 2 부재(82)의 간격(S9)을,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
도 54는, 전지 트레이(8)에 전지(9)를 수납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지 트레이(8)는, 복수(도 54의 예에서는 8개)의 전지(9)를 수납할 수 있다.
도 55는, 도 54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3 부재(83)는, 복수의 바닥면부(835)를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바닥면부(835)의 각각은, 바닥면부(835)의 중심으로부터 x방향의 외측을 향함에 따라 높이가 높아지는 경사면이다. 전지(9)가 바닥면부(835)의 경사면을 미끄러짐으로써, 전지(9)가 x방향에 있어서 센터링된다. 또한, 전지(9)가 바닥면부(835)의 x방향의 중심에 배치된 후에는, 전지(9)는, 바닥면부(835)에 끼워져 있음으로써 보다 안정적이다.
또한, 제 3 부재(83)에는, 후술하는 위치 결정용 지그를 삽입하기 위한 위치 결정용 구멍(834)이 형성되어 있다.
도 56은, 전지 트레이(8)의 구성으로부터, 하나의 전지(9)의 근방을 뽑아내어 나타낸 도면이다. 제 1 부재(81)는, 전지 트레이(1)의 제 1 부재(11)와 마찬가지로, 규제부(811a) 및 테이퍼(811b)를 구비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부재(82)는, 규제부(821a) 및 테이퍼(821b)를 구비하고 있다.
테이퍼(811b 및 821b)에 의해, 전지(9)를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다.
전지 트레이(8)도, 전지 트레이(1)와 마찬가지로, 제 1 부재(81) 및 제 2 부재(82)를 y방향으로 슬라이드 시켜 규제부(811a)와 규제부(821a)의 간격을 바꿈으로써, 임의의 치수의 전지(9)를 수납할 수 있다. 도 56, 도 57 및 도 58은, 서로 치수가 다른 전지를, 전지 트레이(8)에 수납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6은, 폭(L), 두께(t)의 전지(9)를, 전지 트레이(8)에 수납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규제부(811a)는, 전지(9)와 점 P43 및 점 P44의 2점에서 접하고, 규제부(821a)는, 전지(9)와 점 P45 및 점 P46의 2점에서 접하고 있다. 이 때의 제 1 부재(81)와 제 2 부재(82)의 간격을 S9라고 한다.
도 57은, 전지(9)와는 다른 폭 L1(L1<L)을 가지는 전지(9A)를, 전지 트레이(9)에 수납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 경우에도, 규제부(811a)는, 전지(9)와 점 P47 및 점 P48의 2점에서 접하고, 규제부(821a)는, 전지(9)와 점 P49 및 점 P50의 2점에서 접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부재(81)와 제 2 부재(82)의 간격은 S10(S10<S9)이 된다.
도 58은, 전지(9)와는 다른 두께 t1(t1>t)을 가지는 전지(9B)를, 전지 트레이(8)에 수납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 경우에도, 규제부(811a)는, 전지(9)와 점 P51 및 점 P52의 2점에서 접하고, 규제부(821a)는, 전지(9)와 점 P53 및 점 P54의 2점에서 접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부재(81)와 제 2 부재(82)의 간격은 S11(S11>S9)이 된다.
제 1 부재(81) 및 제 2 부재(82)의 위치 조정은,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은, 조정용 지그(88)를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도 59는, 전지 트레이(8)에 조정용 지그(88)를 배치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9에서는, 조정용 지그(88)에 해칭을 붙여 나타내고 있다. 도 60은, 도 59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조제용 지그(88)는, 본체부(881)와, 접속부(882)와, 접속부(882)에 형성된 2개의 돌기부(883)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부(881)의 평면 형상은, 전지 트레이(8)에 수납하는 전지(9)의 평면 형상과 개략 동일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먼저, 2개의 돌기부(883)를, 제 3 부재(83)의 인접하는 2개의 위치 결정용 구멍(834)에 끼워 넣는다. 이것에 의해, 조정용 지그(88)를, 제 3 부재(83)에, 위치 규제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규제부(811a)를 본체부(881)에 당접시킨 상태에서, 제 1 부재(81)를 제 3 부재(83)에 고정한다. 마찬가지로, 규제부(821a)를 본체부(881)에 당접시킨 상태에서, 제 2 부재(82)를 제 3 부재(83)에 고정한다. 제 1 부재(81) 및 제 2 부재(82)를 제 3 부재(83)에 고정한 후, 조정용 지그(88)를 철거한다.
이와 같이, 전지(9)의 품종에 따라 조정용 지그(881)를 준비해 두면, 품종마다의 위치 조정을, 간이하면서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제 1 부재(81)와 제 2 부재(82)는, 제 3 부재(83)의 중심에 대하여 대칭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제 1 부재(81)와 제 2 부재(82)는,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면, 제 1 부재(81) 및 제 2 부재(82)의 일방을 고정하고, 타방만을 움직임으로써, 제 1 부재(81)와 제 2 부재(82)의 간격을 조정해도 된다. 또한, 규제부(811a)와 규제부(821a)는, 서로 비대칭인 형상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제 8 실시형태의 변형례]
도 61은, 제 8 실시형태의 변형례에 관련된 전지 트레이(8A)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전지 트레이(8A)는, 전지 트레이(8)의 구성에 부가하여, 높이 조정 부재(87)를 더 구비하고 있다.
높이 조정 부재(87)는, 제 1 부재(81)와 제 3 부재(83)의 사이 및 제 2 부재(82)와 제 3 부재(83)의 사이에 배치된다. 높이 조정 부재(87)는, y방향에 있어서, 제 3 부재(83)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높이가 높아져 있다. 제 1 부재(81)는, 제 1 부재(81)의 바닥면이 높이 조정 부재(87)의 경사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부재(82)는, 제 2 부재(82)의 바닥면이 높이 조정 부재(87)의 경사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변형례에 의하면, 높이 조정 부재(87)의 y방향의 위치를 바꿈으로써, 제 1 부재(81) 및 제 2 부재(82)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전지 트레이(3B)와 마찬가지로, 제 1 부재(81) 및 제 2 부재(82)의 상면으로부터 전지(9)의 상면이 돌출하는 량을 조정할 수 있다.
[전지의 제조 방법]
이하, 전지의 제조 방법의 개략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지 트레이는, 하기의 각 공정 간에 있어서의, 전지의 반송 및 보관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지를 전지 트레이에 수납한 채로, 하기의 각 공정을 실시할 수도 있다. 이 때, 공정마다 다른 전지 트레이로 옮겨도 되고, 하나의 전지 트레이에 수납한 상태에서 복수의 공정을 실시해도 된다.
도 62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련된 전지의 제조 방법의 개략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먼저, 발전 요소를 외장체가 되는 통체(缶體)에 삽입한다(단계 S1). 발전 요소는 예를 들면, 시트 형상의 양극과 음극을, 세퍼레이터를 개재하여 적층시킨 전극 적층체이다. 또는 발전 요소는, 띠 형상의 양극과 음극을, 세퍼레이터를 개재하여 겹쳐서 권회시킨 전극 권회체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양극, 음극 및 세퍼레이터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통체의 덮개를 용접하여, 전지를 시일한다(단계 S2). 계속하여, 통체의 주액구로부터 전해액을 주액한다(단계 S3). 그 후, 전해액을 발전 요소에 충분히 침투시키기 위해 에이징을 행한다(단계 S4).
에이징 후, 예비 충전을 행한다(단계 S5). 예비 충전은, 예를 들면 최대 용량의 20% 정도의 용량이 되도록 충전한다. 예비 충전을 한 뒤, 다시 에이징을 행한다(단계 S6). 그 후, 방전을 행하여, 필요에 따라 통체 내에 발생한 분해 가스를 방출한다. 마지막으로, 최대 용량까지 충전을 행한다(단계 S7).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련된 전지의 제조 방법의 개략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지 트레이는, 상기의 공정 중, 주액 공정(단계 S3), 예비 충전 공정(단계 S5) 및/또는 충전 공정(단계 S7)에 있어서, 특히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지 트레이는,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치수가 다른 다품종의 전지를, 기준점에 대해 위치 규제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주액 공정에서는, 설비 기기의 주액 노즐의 위치와 전지의 주액구의 위치를 일치시킬 수 있다. 또한, (예비)충전 공정에서는, 설비 기기의 충전용 전극과, 전지의 전극의 위치를 일치시킬 수 있다.
[그 밖의 실시형태]
이상, 본 발명에 대한 실시형태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의 각 실시형태에만 한정되지 않고,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의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예시한 바와 같이, 전지 트레이는, 제 1 부재에 형성된 제 1 규제부와, 제 2 부재에 형성된 제 2 규제부에 의해, 전지를 규제한다. 제 1 규제부는 평면시에 있어서 전지와 2점 이상에서 접하고, 제 2 규제부는 평면시에 있어서 전지와 2점 이상에서 접한다. 이것에 의해, 전지를 안정적으로 수납할 수 있다. 제 1 부재와 제 2 부재의 상대적인 배치를 변경함으로써, 치수가 다른 다품종의 전지를 수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련된 전지 트레이는, 적어도 이하의 구성을 구비하고 있으면 된다. 전지 트레이는, 전지를 수납하는 전지 트레이이며, 평면시에서 전지와 2점 이상에서 접하는 제 1 규제부를 포함하는 제 1 부재와, 평면시에서 전지와 2점 이상에서 접하는 제 2 규제부를 포함하는 제 2 부재를 구비하고, 제 1 부재와 제 2 부재의 간격을 바꿈으로써, 치수가 다른 다품종의 상기 전지를 수납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규제부와 제 2 규제부는, 평면시에서 점대칭으로 배치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 1 규제부와 제 2 형성부와 중심과, 전지의 중심을 일치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규제부는, 평면시에서 상기 제 1 규제부와 상기 제 2 규제부의 대칭 중심을 통과하는 기준선에 대칭으로 형성된 형상을 가지며, 제 2 규제부는, 평면시에서 기준선에 대칭으로 형성된 형상을 가진다. 이 구성에 의하면, 편평 형상의 전지에 있어서, 기준선과, 전지의 폭 방향 또는 두께 방향을 일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련된 전지 트레이는, 제 1 관통 구멍을 포함하는 제 1 부재와, 제 2 관통 구멍을 포함하고, 제 1 관통 구멍과 제 2 관통 구멍이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배치되는 제 2 부재를 구비한다. 제 1 관통 구멍과 제 2 관통 구멍의 중복 부분은, 평면시에서 전지와 4점 이상에서 접한다. 환언하면, 제 1 규제부 및 제 2 규제부는, 제 1 관통 구멍과 제 2 관통 구멍의 중복 부분에 면하여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련된 전지 트레이는, 제 1 부재와 제 2 부재가, 평면시에서 겹치지 않고, 제 1 규제부와 제 2 규제부가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은, 전지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전지를 수납하기 위해 이용되는 전지트레이 및 전지의 제조 방법으로서 산업상의 이용이 가능하다.
1, 2, 3, 4, 5, 6, 7, 8: 전지 트레이
11, 21, 41, 51, 81: 제 1 부재
12, 22, 42, 52, 82: 제 2 부재
13, 33, 43, 53, 63, 83: 제 3 부재
14: 제 4 부재
15: 제 5 부재
31, 61, 71: 제 1 바닥부 부재
32, 62, 72: 제 2 바닥부 부재
111, 121: 관통 구멍
111a, 121a: 규제부
131, 531: 개구부
112, 122, 132: 위치 결정용 구멍
113, 123, 133, 513, 523 ,533, 813, 823, 833: 고정용 구멍
9: 전지

Claims (11)

  1. 전지를 수납하는 전지 트레이에 있어서,
    평면시에서 상기 전지와 2점 이상에서 접하는 제 1 규제부를 포함하는 제 1 부재와,
    평면시에서 상기 전지와 2점 이상에서 접하는 제 2 규제부를 포함하는 제 2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부재와 상기 제 2 부재의 간격을 바꿈으로써, 치수가 다른 다품종의 상기 전지를 수납하는 전지 트레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규제부와 상기 제 2 규제부는, 평면시에서 점대칭으로 배치되는 전지 트레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규제부는, 평면시에서 상기 제 1 규제부와 상기 제 2 규제부의 대칭 중심을 통과하는 기준선에 대칭으로 형성된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 2 규제부는, 평면시에서 상기 기준선에 대칭으로 형성된 형상을 가지는 전지 트레이.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는, 제 1 관통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부재는, 제 2 관통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재와 상기 제 2 부재는, 상기 제 1 관통 구멍과 상기 제 2 관통 구멍이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 1 규제부 및 상기 제 2 규제부는, 상기 제 1 관통 구멍과 상기 제 2관통 구멍의 중복 부분에 면하여 배치되는 전지 트레이.
  5. 제 4항에 있어서,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관통 구멍, 상기 제 2 관통 구멍 및 상기 개구부가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배치되는 제 3 부재를 더 구비하는 전지 트레이.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 및 상기 제 2 부재는, 평면시에서 상기 전지의 중심과 상기 개구부 내의 임의인 점인 기준점이 일치하도록 상기 제 3 부재에 고정되는 전지 트레이.
  7. 제 4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는, 제 1 위치 결정용 구멍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부재는, 제 2 위치 결정용 구멍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 부재는, 상기 제 1 위치 결정용 구멍 및 상기 제 2 위치 결정용 구멍과 부분적으로 겹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위치 결정용 구멍 및 상기 제 2 위치 결정용 구멍보다 구경이 작은 제 3 위치 결정용 구멍을 더 포함하는 전지 트레이.
  8. 제 4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는, 상기 제 1 규제부와 연속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 2 관통 구멍을 향하여 돌출한 돌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부재는, 상기 제 2 규제부와 연속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 1 관통 구멍을 향하여 돌출한 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전지 트레이.
  9.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와 상기 제 2 부재는, 평면시에서 겹치지 않고, 상기 제 1 규제부와 상기 제 2 규제부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전지 트레이.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의 바닥부에 접하는 제 1 바닥부 부재와,
    상기 제 1 바닥부 부재와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전지의 바닥부에 접하는 제 2 바닥부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 1 바닥부 부재 및 상기 제 2 바닥부 부재는, 상기 제 1 바닥부 부재와 상기 제 2 바닥부 부재가 대향하는 방향에 있어서, 외측을 향하여 높이가 높아지며,
    상기 제 1 바닥부 부재와 상기 제 2 바닥부 부재의 간격을 바꿈으로써, 상기 전지의 높이 방향의 위치를 조정하는 전지 트레이.
  11. 제 1항 내지 제 10항에 기재된 전지 트레이를 이용하여, 상기 전지를 충전하는 공정 및/또는 상기 전지에 전해액을 주액(注液)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전지의 제조 방법.
KR1020130103752A 2012-08-31 2013-08-30 전지 트레이 및 전지의 제조 방법 KR1020883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91191 2012-08-31
JPJP-P-2012-191191 2012-08-31
JPJP-P-2012-252326 2012-11-16
JP2012252326A JP6042705B2 (ja) 2012-08-31 2012-11-16 電池トレイおよび電池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9319A true KR20140029319A (ko) 2014-03-10
KR102088394B1 KR102088394B1 (ko) 2020-03-12

Family

ID=50617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3752A KR102088394B1 (ko) 2012-08-31 2013-08-30 전지 트레이 및 전지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042705B2 (ko)
KR (1) KR102088394B1 (ko)
MY (1) MY16781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8698A (ko) * 2017-07-17 2019-01-25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셀 공용 트레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81153B2 (ja) * 2015-05-29 2020-04-15 マクセル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電池の製造方法
KR102087752B1 (ko) * 2016-09-05 2020-03-12 주식회사 엘지화학 트레이
CN115489844B (zh) * 2022-09-28 2023-09-05 珠海泰坦新动力电子有限公司 一种换型方法以及电池托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5390A (ja) * 2001-08-02 2003-02-14 Sony Corp 電池収納トレイ
JP2004172023A (ja) * 2002-11-21 2004-06-17 Fujitsu General Ltd 電池ケース
KR20080036528A (ko) * 2006-10-23 2008-04-28 히다치 막셀 가부시키가이샤 전지 트레이 및 이 전지 트레이를 이용한 전지의 제조방법
JP2009218077A (ja) 2008-03-10 2009-09-24 Hitachi Maxell Ltd 電池トレイ
JP2011148523A (ja) 2010-01-21 2011-08-04 Hitachi Maxell Ltd 電池トレイ
KR20110134260A (ko) * 2010-06-07 2011-12-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수납 트레이
KR101101062B1 (ko) * 2010-08-19 2011-12-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충방전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38456A (ja) * 1981-08-31 1983-03-05 Sony Corp 電池収納装置
JP2944030B2 (ja) * 1995-09-13 1999-08-30 アスカ電子株式会社 電池ホルダ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5390A (ja) * 2001-08-02 2003-02-14 Sony Corp 電池収納トレイ
JP2004172023A (ja) * 2002-11-21 2004-06-17 Fujitsu General Ltd 電池ケース
KR20080036528A (ko) * 2006-10-23 2008-04-28 히다치 막셀 가부시키가이샤 전지 트레이 및 이 전지 트레이를 이용한 전지의 제조방법
JP2008133046A (ja) 2006-10-23 2008-06-12 Hitachi Maxell Ltd 電池トレイ
JP2009218077A (ja) 2008-03-10 2009-09-24 Hitachi Maxell Ltd 電池トレイ
JP2011148523A (ja) 2010-01-21 2011-08-04 Hitachi Maxell Ltd 電池トレイ
KR20110134260A (ko) * 2010-06-07 2011-12-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수납 트레이
KR101101062B1 (ko) * 2010-08-19 2011-12-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충방전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8698A (ko) * 2017-07-17 2019-01-25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셀 공용 트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061940A (ja) 2014-04-10
JP6042705B2 (ja) 2016-12-14
MY167818A (en) 2018-09-26
KR102088394B1 (ko) 2020-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29319A (ko) 전지 트레이 및 전지의 제조 방법
US9694449B2 (en) Welding jig for secondary battery
US20160006006A1 (en) Battery module
EP2772959A2 (en) Pack case for battery
US9425446B2 (en) Assembled battery
JP5268241B2 (ja) パック電池とその製造方法
KR101528006B1 (ko) 이차전지 셀의 이송 캐리어
US11677117B2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module manufacturing method
KR20130014487A (ko) 전지 조립 장치 및 전지 조립체의 제조 방법
US20140017540A1 (en) Battery assembly
KR20160002834U (ko) 전지 수용 케이스 및 전지 수용 어셈블리
WO2019208218A1 (ja) 電池パック
TWM413222U (en) Battery assembly
JP2014235935A (ja) 電池トレイ用フタ、フタ付き電池トレイ、および電池の製造方法
CN111712940B (zh) 电池模块
US20220200106A1 (en) Electrode Assembly Having Depression Portion Formed In Electrode Tab, Guide Member Configured To Stack The Same, And Stacked Type Battery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200130530A (ko) 배터리 운반용 랙
JP2012074162A (ja) 電池パック及び該電池パックを備えた電動工具
EP4123774A1 (en)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WO2013140800A1 (ja) 電源装置及び位置決めトレイ
US11127981B2 (en) Battery cell including battery case having protrusion corresponding to stepped electrode assembly
CN113508490B (zh) 端板的固定结构及电池装置
KR101528004B1 (ko) 이차전지용 절연부재 공급 장치
JP5620682B2 (ja) 密閉形鉛蓄電池
KR20210033806A (ko) 납축전지의 격리판 두께 변동이 가능한 두께 변동 격리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