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1592U - 동박용 수납장치 - Google Patents

동박용 수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1592U
KR20210001592U KR2020200000005U KR20200000005U KR20210001592U KR 20210001592 U KR20210001592 U KR 20210001592U KR 2020200000005 U KR2020200000005 U KR 2020200000005U KR 20200000005 U KR20200000005 U KR 20200000005U KR 20210001592 U KR20210001592 U KR 2021000159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support
copper foil
damper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00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인수
윤민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넥실리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넥실리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넥실리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2000000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1592U/ko
Publication of KR202100015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59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6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web or tape-like material
    • B65D85/671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web or tape-like material wound in flat spiral form
    • B65D85/6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web or tape-like material wound in flat spiral form on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1Metal or alloys, e.g. alloy coat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코어에 권취된 동박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이 형성된 수납본체; 상기 수납본체의 일측에 결합된 제1지지부; 상기 수납본체의 타측에 결합된 제2지지부; 및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에 지지됨과 아울러 상기 코어에 형성된 삽입공에 삽입된 휨방지부를 포함하는 동박용 수납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동박용 수납장치{Apparatus for Containing Copper Foil}
본 고안은 이차전지용 음극, 연성인쇄회로기판 등을 제조하는데 이용되는 동박을 수납하기 위한 동박용 수납장치에 관한 것이다.
동박(銅箔)은 이차전지용 음극, 연성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등 다양한 제품을 제조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동박은 양극과 음극 사이에 전해액을 공급한 뒤 전류를 흐르게 하는 전기도금(電氣鍍金) 방식을 통해 제조된다. 이와 같이 전기도금 방식을 통해 동박을 제조함에 있어서, 전해동박 제조장치가 이용된다.
전해동박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동박은, 코어(Core)에 권취된 상태로 고객에게 운송된다. 예컨대, 코어에 권취된 동박은 자동차, 선박, 철도차량, 비행기 등과 같은 운송수단에 실려서 운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운송과정에서 동박용 수납장치는 코어에 권취된 동박을 수납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는 동박의 양측으로 돌출된 코어를 지지함으로서, 코어에 권취된 동박을 수납한다.
여기서, 종래 기술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는 운송수단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 흔들림 등과 같은 외력이 코어로 전달되고 코어를 통해 동박으로 전달되도록 구현된다. 이 경우, 코어에 전달되는 외력은 코어의 휨(Bending)을 유발한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는 운송과정에서 코어가 휨에 따라 동박이 함께 휘어지도록 구현되므로, 동박에 대한 불량을 야기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운송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 흔들림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동박의 불량률을 낮출 수 있는 동박용 수납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하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는 코어에 권취된 동박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이 형성된 수납본체; 상기 수납본체의 일측에 결합된 제1지지부; 상기 수납본체의 타측에 결합된 제2지지부; 및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에 지지됨과 아울러 상기 코어에 형성된 삽입공에 삽입된 휨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휨방지부는 상기 코어가 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삽입공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코어의 내면에 접촉되어서 상기 코어에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코어가 휨에 따라 동박이 함께 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력을 구현함으로써, 운송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동박에 대한 불량률을 낮출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I-I 선을 기준으로 하는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에 있어서 제1지지부와 제3지지부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에 있어서 제2지지부와 제4지지부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에 있어서 댐퍼부재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에 있어서 댐퍼부재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에 있어서 댐퍼부재가 코어와 방지본체 사이에 배치된 것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에 있어서 댐퍼부재가 코어와 방지본체 사이에 배치된 것을 나타낸 개략적인 정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에 있어서 댐퍼부재의 변형된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정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에 있어서 제1측벽홈과 제1측벽면을 갖는 제1측벽부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에 있어서 제2측벽홈과 제2측벽면을 갖는 제2측벽부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1)는 코어(Core)(100)에 권취된 동박(銅箔)(200)을 수납하는 것이다. 상기 동박(200)은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1)에 수납된 채로 자동차, 선박, 철도차량, 비행기 등과 같은 운송수단에 실려서 고객에게 운송될 수 있다. 상기 동박(200)은 이차전지용 음극, 연성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등을 제조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1)는 상기 코어(100)에 권취된 동박(200)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21)이 형성된 수납본체(2), 상기 수납본체(2)의 일측에 결합된 제1지지부(3), 상기 수납본체(2)의 타측에 결합된 제2지지부(4), 및 상기 제1지지부(3)와 상기 제2지지부(4)에 지지됨과 아울러 상기 코어(100)에 형성된 삽입공(101)에 삽입된 휨방지부(5)를 포함한다.
상기 휨방지부(5)는 상기 삽입공(101)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코어(100)의 내면(100a)에 접촉되어서 상기 코어(100)에 지지력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1)는 상기 동박(200)을 운송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진동, 흔들림 등과 같은 외력이 상기 코어(100)로 전달됨에 따라 상기 코어(100)가 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1)는 상기 코어(100)가 휨에 따라 동박(200)이 함께 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력을 구현함으로써, 운송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동박(200)에 대한 불량률을 낮출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1)는 운송이 완료된 동박(200)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동박(200)에 대한 운송작업의 안정성과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수납본체(2), 상기 제1지지부(3), 상기 제2지지부(4), 및 상기 휨방지부(5)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수납본체(2)는 상기 코어(100)에 권취된 동박(200)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21)이 마련된 것이다. 상기 수납본체(2)는 상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방된 상측은 상기 수납공간(21)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코어(100)에 권취된 동박(200)은 상기 수납본체(2)의 개방된 상측을 통해 상기 수납공간(21)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수납본체(2)에 수납될 수 있다. 상기 코어(100)에 권취된 동박(200)이 상기 수납본체(2)에 수납되면, 상기 수납본체(2)에는 커버부(1A)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1A)는 상기 수납본체(2)의 개방된 상측을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1A)는 전체적으로 직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납본체(2)는 전체적으로 상측이 개방된 직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코어(100)에 권취된 동박(200)을 수납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제1지지부(3)는 상기 수납본체(2)의 일측에 결합된다. 상기 제1지지부(3)는 상기 휨방지부(5)의 일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수납본체(2)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3)는 상기 수납본체(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3)가 상기 수납본체(2)에 결합되면, 상기 제1지지부(3)는 상기 수납공간(21)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제1지지부(3)는 제1지지홈(31), 및 제1지지면(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홈(31)은 상기 휨방지부(5)가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제1지지홈(31)에 의해 상기 제1지지부(3)는 상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휨방지부(5)는 상기 제1지지부(3)의 개방된 상측을 통해 상기 제1지지홈(31)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홈(31)은 전체적으로 반원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휨방지부(5)가 삽입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지지홈(31)은 상기 휨방지부(5)의 일측 일부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면(32)은 상기 제1지지홈(31)에 삽입된 휨방지부(5)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면(32)은 상기 제1지지홈(31)에 삽입된 휨방지부(5)의 일측 일부와 대응되는 형태를 갖도록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1)는 상기 동박(200)을 운송하는 과정에서 외력이 발생되더라도 상기 제1지지면(32)이 휨방지부(5)를 지지하는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면(32)은 상기 제1지지홈(31) 쪽을 향하는 상기 제1지지부(3)의 면(面)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제2지지부(4)는 상기 수납본체(2)의 타측에 결합된다. 상기 제2지지부(4)는 상기 휨방지부(5)의 타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수납본체(2)의 타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4)는 상기 수납본체(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4)가 상기 수납본체(2)에 결합되면, 상기 제2지지부(4)는 상기 수납공간(21)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제2지지부(4)는 제2지지홈(41), 및 제2지지면(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홈(41)은 상기 휨방지부(5)가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제2지지홈(41)에 의해 상기 제2지지부(4)는 상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휨방지부(5)는 상기 제2지지부(4)의 개방된 상측을 통해 상기 제2지지홈(41)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홈(41)은 전체적으로 반원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휨방지부(5)가 삽입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지지홈(41)은 상기 휨방지부(5)의 타측 일부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면(42)은 상기 제2지지홈(41)에 삽입된 휨방지부(5)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면(42)은 상기 제2지지홈(41)에 삽입된 휨방지부(5)의 타측 일부와 대응되는 형태를 갖도록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1)는 상기 동박(200)을 운송하는 과정에서 외력이 발생되더라도 상기 제2지지면(42)이 휨방지부(5)의 타측을 지지하는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면(42)은 상기 제2지지홈(41) 쪽을 향하는 상기 제2지지부(4)의 면(面)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휨방지부(5)는 상기 코어(100)에 형성된 삽입공(101)에 삽입된다. 상기 삽입공(101)은 상기 코어(100)의 일측에서 상기 코어(100)의 타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공(101)은 전체적으로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휨방지부(5)는 상기 삽입공(101)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코어(100)의 내면(100a)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휨방지부(5)는 상기 코어(100)의 내면(100a)에 접촉됨에 따라 상기 코어(100)가 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코어(100)에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코어(100)의 내면(100a)은 상기 삽입공(101) 쪽을 향하는 상기 코어(100)의 일면(一面)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코어(100)의 타면(他面)에는 상기 동박(200)이 권취될 수 있다.
상기 휨방지부(5)는 상기 제1지지부(3)와 상기 제2지지부(4)에 지지된다. 상기 휨방지부(5)는 일측이 상기 제1지지부(3)에 지지됨과 아울러 타측이 상기 제2지지부(4)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휨방지부(5)는 상기 제1지지부(3)와 상기 제2지지부(4)에 지지됨에 따라 상기 코어(100)에 제공하는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 및 도 7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휨방지부(5)는 방지본체(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지본체(51)는 상기 삽입공(101)에 삽입된다. 상기 방지본체(51)는 상기 코어(100)가 연장된 방향인 길이방향(X축 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길이방향(X축 방향)은 상기 수납본체(2)에서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방향과 동일한 방향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방지본체(51)는 상기 삽입공(101)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지본체(51)는 전체적으로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삽입공(101)에 삽입될 수 있는 한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방지본체(51)는 상기 삽입공(101)과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1)는 상기 삽입공(101)에 삽입된 방지본체(51)와 상기 코어(100) 사이의 간극(Gap)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1)는 운송과정에서 외력이 발생되더라도 상기 코어(100)의 상기 휨방지부(5)에 대한 움직임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코어(100)에 가해지는 충격 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방지본체(51)는 상기 삽입공(101)과 동일한 직경(Diameter)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지본체(51)는 상기 삽입공(101)에 비해 더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방지본체(51)는 상기 길이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코어(100)에 비해 더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방지본체(51)는 상기 코어(100)의 중간부분, 상기 코어(100)의 일측, 및 상기 코어(100)의 타측 각각을 지지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1)는 상기 코어(100)를 지지하는 지지범위를 확장시킴으로써, 상기 코어(100)가 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코어(100)의 중간부분은 상기 코어(100)의 일측과 상기 코어(100)의 타측 각각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동일한 지점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어(100)의 일측은, 상기 수납본체(2)에서 상기 제1지지부(3)를 향하는 상기 코어(100)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기 코어(100)의 타측은, 상기 수납본체(2)에서 상기 제2지지부(4)를 향하는 상기 코어(100)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기 방지본체(51)는 상기 코어(100)에 비해 더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방지본체(51)의 일측과 타측 각각은 상기 코어(100)의 일측과 타측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방지본체(51)의 일측은 상기 제1지지부(3)에 지지되고, 상기 방지본체(51)의 타측은 상기 제2지지부(4)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방지본체(51)의 일측은, 상기 코어(100)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어서 상기 제1지지홈(31)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제1지지면(32)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방지본체(51)의 타측은, 상기 코어(100)의 타측으로부터 돌출되어서 상기 제2지지홈(41)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제2지지면(42)에 지지될 수 있다.
도 1, 도 5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휨방지부(5)는 댐퍼부재(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댐퍼부재(52)는 상기 방지본체(51)와 상기 코어(1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댐퍼부재(52)는 상기 방지본체(51)와 상기 코어(100) 사이에 배치되어서 상기 코어(100)의 내면(100a) 및 상기 방지본체(51)의 외면(51a)에 각각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댐퍼부재(52)는 상기 휨방지부(5)를 통해 상기 코어(100)에 전달되는 진동, 흔들림 등을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1)는 진동, 흔들림 등이 상기 코어(100)에 전달되는 세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1)는 운송과정에서 발생되는 진동, 흔들림 등으로 인해 상기 동박(200)에 발생하는 불량률을 낮출 수 있다.
상기 댐퍼부재(52)는 상기 방지본체(5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댐퍼부재(52)는 양면테이프 등과 같은 접착부재(미도시)를 통해 상기 방지본체(5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댐퍼부재(52)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방향(Y축 방향)을 따라 직선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댐퍼부재(52)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어(100)의 내면(100a)에 접촉되면 상기 코어(100)의 내면(100a)의 곡률을 따라 휘여져서 곡선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상기 댐퍼부재(52)는 상기 코어(100)의 내면(100a)에 접촉됨에 따라 곡면을 갖도록 탄성변형(Elastic Deformation)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댐퍼부재(52)는 고무, 우레탄(Urethane)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폭방향(Y축 방향)은 상기 길이방향(X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댐퍼부재(52)는 상기 길이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코어(100)와 동일한 길이를 갖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댐퍼부재(52)는 상기 코어(100) 내면(100a)의 전면(全面)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댐퍼부재(52)는 상기 길이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코어(100)에 비해 더 긴 길이를 갖게 형성되거나, 상기 길이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코어(100)에 비해 더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댐퍼부재(52)는 상기 코어(100)와 상기 방지본체(51) 사이에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댐퍼부재(52)들은 상기 코어(100)의 내면(100a)의 서로 다른 부분에 접촉되도록, 상기 길이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1)는 복수개의 댐퍼부재(52)를 통해 상기 코어(100)를 지지하는 지지범위를 증대시킬 수 있는 한편, 상기 휨방지부(5)가 상기 코어(100)의 내면(100a)에 접촉되는 접촉면적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댐퍼부재(52)들 각각에 대한 탄성변형이 더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1)는 상기 코어(100)에 전달되는 외력의 세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댐퍼부재(52)들은 상기 길이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코어(100)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댐퍼부재(52)들은 상기 길이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코어(100)로부터 이격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1)는 진동, 흔들림 등을 흡수하는데 필요한 댐퍼부재(52)의 개수 또는 댐퍼부재(52)의 영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댐퍼부재(52)는 댐퍼본체(521), 및 복수개의 댐퍼돌기(5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댐퍼본체(521)는 상기 방지본체(51)에 결합된다. 상기 댐퍼본체(521)는 상기 방지본체(51)의 외면(51a)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댐퍼본체(521)는 상기 접착부재를 통해 상기 방지본체(51)의 외면(51a)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댐퍼본체(521)는 전체적으로 직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댐퍼돌기(522)들은 상기 댐퍼본체(521)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것이다. 상기 댐퍼돌기(522)들은 상기 댐퍼본체(52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서 상기 코어(100)의 내면(100a)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댐퍼돌기(522)들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댐퍼돌기(522)들은 상기 코어(100)의 내면(100a)의 서로 다른 부분에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1)는 상기 댐퍼돌기(522)들을 통해 상기 댐퍼부재(52)가 상기 코어(100)의 내면(100a)에 접촉되는 접촉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1)는 상기 댐퍼돌기(522)들 각각에 대한 탄성변형이 더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코어(100)에 전달되는 외력의 세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댐퍼돌기(522)들은 전체적으로 직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코어(100)에 전달되는 외력의 세기를 감소시킬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댐퍼부재(52)들은 상기 코어(100)를 향할수록 크기가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댐퍼돌기(522)들에서 상기 코어(100)의 내면(100a)에 접촉되는 부분은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될수 있다.
상기 댐퍼돌기(522)들은 폭방향(Y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댐퍼돌기(522)들은 각각 상기 폭방향(Y축 방향)으로의 길이에 비해 상기 길이방향(X축 방향)으로의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댐퍼돌기(522)들은 상기 폭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댐퍼돌기(522)들은 상기 폭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중간지점(CP)으로부터 바깥쪽에 배치된 것일수록 더 짧은 길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중간지점(CP)은 상기 폭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댐퍼본체(521)의 양단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동일한 지점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폭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중간지점(CP)으로부터 바깥쪽을 향할수록 상기 댐퍼부재(52)들 간의 간격이 증가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댐퍼돌기(522)들은 각각 상기 길이방향(X축 방향)으로의 길이에 비해 상기 폭방향(Y축 방향)으로의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어서 상기 길이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댐퍼부재(52)는 복수개의 댐퍼홈(5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댐퍼홈(523)들은 상기 댐퍼본체(521)의 저면에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댐퍼홈(523)들 각각은 상기 폭방향(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 직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댐퍼홈(523)들은 상기 길이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댐퍼홈(523)들을 통해, 상기 댐퍼부재(52)가 상기 방지본체(51)에 접촉되는 접촉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1)에 있어서 상기 댐퍼부재(52)에 대한 변형된 실시예를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상기 댐퍼부재(52)에 대한 변형된 실시예는 앞서 서술한 댐퍼부재(52)와 대략적으로 일치되게 구현되므로,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상기 댐퍼부재(52)는 상기 방지본체(51)의 외면(51a)을 둘러싸도록 상기 방지본체(51)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1)는 상기 휨방지부(5)를 통해 상기 코어(100)에 전달되는 진동, 흔들림 등을 흡수하는 흡수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1)는 진동, 흔들림 등이 상기 코어(100)에 전달되는 세기를 더욱더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댐퍼부재(52)는 전체적으로 원형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댐퍼부재(52)는 상기 방지본체(51)에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댐퍼부재(52)는 억지 끼워맞춤(interference fit)을 통해 상기 방지본체(51)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댐퍼부재(52)는 상기 코어(100)의 내면(100a)에 접촉됨에 따라 변형되도록 탄성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댐퍼부재(52)는 고무, 우레탄(Urethane)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댐퍼부재(52)는 상기 길이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코어(100)와 동일한 길이를 갖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댐퍼부재(52)는 상기 코어(100) 내면(100a)의 전면(全面)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댐퍼부재(52)는 상기 길이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코어(100)에 비해 더 긴 길이를 갖게 형성되거나, 상기 길이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코어(100)에 비해 더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댐퍼부재(52)는 상기 코어(100)와 상기 방지본체(51) 사이에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댐퍼부재(52)들은 상기 코어(100)의 내면(100a)의 서로 다른 부분에 접촉되도록, 상기 길이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댐퍼부재(52)들은 상기 길이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코어(100)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댐퍼부재(52)들은 상기 길이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코어(100)으로부터 이격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댐퍼본체(521)는 상기 방지본체(51)에 결합된다. 상기 댐퍼본체(521)는 상기 방지본체(51)의 외면(51a)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댐퍼본체(521)는 상기 접착부재를 통해 상기 방지본체(51)의 외면(51a)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댐퍼본체(521)는 전체적으로 원형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댐퍼돌기(522)들은 상기 댐퍼본체(521)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댐퍼돌기(522)들은 상기 댐퍼본체(52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서 상기 코어(100)의 내면(100a)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댐퍼돌기(522)들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댐퍼돌기(522)들은 상기 코어(100)의 내면(100a)의 서로 다른 부분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댐퍼돌기(522)들은 원형을 이루며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댐퍼돌기(522)들은 전체적으로 직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코어(100)에 전달되는 외력의 세기를 감소시킬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댐퍼부재(52)들은 상기 코어(100)를 향할수록 크기가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댐퍼돌기(522)들에서 상기 코어(100)의 내면(100a)에 접촉되는 부분은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될수 있다.
상기 댐퍼홈(523)들은 상기 댐퍼본체(521)의 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댐퍼홈(523)들 각각은 전체적으로 원형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댐퍼홈(523)들은 상기 길이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댐퍼홈(523)들을 통해, 상기 댐퍼부재(52)가 상기 방지본체(51)에 접촉되는 접촉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1)는 제3지지부(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지지부(6)는 상기 코어(100)의 일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수납본체(2)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제3지지부(6)는 상기 수납본체(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3지지부(6)가 상기 수납본체(2)에 결합되면, 상기 제3지지부(6)는 상기 수납공간(21)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지지부(6)는 상기 제1지지부(3)로부터 상기 제2지지부(4) 쪽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지지부(6)는 상기 코어(100)가 삽입되는 제3지지홈(6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지지홈(61)에 의해 상기 제3지지부(6)는 상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코어(100)는 상기 제3지지부(6)의 개방된 상측을 통해 상기 제3지지홈(61)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3지지홈(61)은 전체적으로 반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코어(100)가 삽입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3지지홈(61)은 상기 제1지지홈(31)에 비해 더 큰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지지부(6)는 제3지지면(6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지지면(62)은 상기 제3지지홈(61)에 삽입된 코어(10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3지지면(62)은 상기 제3지지홈(61) 쪽을 향하는 상기 제3지지부(6)의 면(面)일 수 있다. 상기 제3지지면(62)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지지면(62)은 상기 제1지지면(32)에 비해 더 큰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1)는 제4지지부(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지지부(7)는 상기 코어(100)의 타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수납본체(2)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제4지지부(7)는 상기 수납본체(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4지지부(7)가 상기 수납본체(2)에 결합되면, 상기 제4지지부(7)는 상기 수납공간(21)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4지지부(7)는 상기 제2지지부(4)로부터 상기 제1지지부(3) 쪽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4지지부(7) 및 상기 제3지지부(6)는 상기 길이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지지부(3)와 상기 제2지지부(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4지지부(7)는 상기 코어(100)가 삽입되는 제4지지홈(7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지지홈(71)에 의해 상기 제4지지부(7)는 상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코어(100)는 상기 제4지지부(7)의 개방된 상측을 통해 상기 제4지지홈(71)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4지지홈(71)은 전체적으로 반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코어(100)가 삽입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4지지홈(71)은 상기 제2지지홈(41)에 비해 더 큰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4지지부(7)는 제4지지면(7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지지면(72)은 상기 제4지지홈(71)에 삽입된 코어(10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4지지면(72)은 상기 제4지지홈(71) 쪽을 향하는 상기 제4지지부(7)의 면(面)일 수 있다. 상기 제4지지면(72)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4지지면(72)은 상기 제2지지면(42)에 비해 더 큰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4지지면(72), 상기 제3지지면(62), 상기 제2지지면(42), 및 상기 제1지지면(32)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지지면에는 상기 댐퍼부재(52)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1)는 상기 지지부들(3, 4, 6, 7)을 통해 상기 휨방지부(5) 또는 상기 코어(100)에 전달되는 외력의 세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댐퍼부재(52)는 상기 제4지지면(72), 상기 제3지지면(62), 상기 제2지지면(42), 및 상기 제1지지면(32)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지지면의 전면(全面)을 덮도록 상기 지지부들(7, 6, 4, 3)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10을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1)는 제1측벽부(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측벽부(8)는 상기 수납본체(2)의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측벽부(8)는 상기 수납본체(2)의 일측에 결합되면, 상기 수납본체(2)의 일측을 폐쇄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측벽부(8)는 상기 수납공간(21)에 수납된 상기 코어(100)의 일측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측벽부(8)는 제1측벽부재(8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측벽부재(81)는 제1측벽본체(80)로부터 상기 휨방지부(5) 쪽으로 돌출된 것이다. 상기 제1측벽본체(80)는 상기 제1측벽부(8)의 본체로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제1측벽본체(80)는 전체적으로 사각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측벽부(8)가 상기 수납본체(2)의 일측에 결합되면, 상기 제1측벽부재(81)는 상기 휨방지부(5)의 일측에 대해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휨방지부(5)의 일측은 상기 제1측벽부재(81)와 상기 제1지지부(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1)는 상기 휨방지부(5)의 일측에 대한 지지력을 강화할 수 있다. 상기 제1측벽부재(81)는 상기 제1측벽본체(8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측벽부재(81)는 상기 제1측벽본체(8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제1측벽부(8)는 상기 휨방지부(5)의 일측이 삽입되는 제1측벽홈(8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측벽홈(82)은 상기 제1측벽부재(81)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측벽홈(82)에 의해 상기 제1측벽부재(81)는 하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휨방지부(5)의 일측은 상기 제1측벽부재(81)의 개방된 하측을 통해 상기 제1측벽홈(82)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측벽홈(82)은 전체적으로 반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휨방지부(5)의 일측이 삽입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측벽홈(82)은 상기 휨방지부(5)의 일측 일부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제1측벽부(8)는 제1측벽면(8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측벽면(83)은 상기 제1측벽부재(81)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측벽면(83)은 상기 제1측벽홈(82)에 삽입된 휨방지부(5)의 일측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측벽면(83)은 상기 제1측벽홈(82)을 향하는 상기 제1측벽부재(81)의 면(面)일 수 있다. 상기 제1측벽면(83)은 상기 제1측벽홈(82)에 삽입된 휨방지부(5)를 하측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측벽면(83)은 상기 제1측벽홈(82)에 삽입된 휨방지부(5)의 일측 일부와 대응되는 형태를 갖도록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1측벽부(8)는 제1돌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재는 상기 제1측벽본체(80)로부터 상기 코어(100) 쪽으로 돌출된 것이다. 상기 제1측벽부(8)가 상기 수납본체(2)의 일측에 결합되면, 상기 제1돌출부재는 상기 코어(100)에 대해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코어(100)의 일측은 상기 제1돌출부재와 상기 제3지지부(6)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1)는 상기 코어(100)의 일측에 대한 지지력을 강화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재는 상기 제1측벽본체(8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재는 상기 제1측벽부재(81)에 결합될 수도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1측벽부(8)는 상기 코어(100)의 일측이 삽입되는 제1코어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코어홈은 상기 제1돌출부재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코어홈에 의해 상기 제1돌출부재는 하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코어(100)의 일측은 상기 제1돌출부재의 개방된 하측을 통해 상기 제1코어홈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코어홈은 전체적으로 반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코어(100)의 일측이 삽입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코어홈은 상기 코어(100)의 일측 일부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1측벽부(8)는 제1돌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면은 상기 제1코어홈에 삽입된 코어(100)의 일측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면은 상기 제1코어홈을 향하는 상기 제1돌출부재의 면(面)일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면은 상기 제1코어홈에 삽입된 코어(100)를 하측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면은 상기 제1코어홈에 삽입된 코어(100)의 일측 일부와 대응되는 형태를 갖도록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11을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1)는 제2측벽부(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측벽부(9)는 상기 수납본체(2)의 타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측벽부(9)는 상기 수납본체(2)의 타측에 결합되면, 상기 수납본체(2)의 타측을 폐쇄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측벽부(9)는 상기 수납공간(21)에 수납된 상기 코어(100)의 타측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측벽부(9)는 제2측벽부재(9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측벽부재(91)는 제2측벽본체(90)로부터 상기 휨방지부(5) 쪽으로 돌출된 것이다. 상기 제2측벽본체(90)는 상기 제2측벽부(9)의 본체로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제2측벽본체(90)는 전체적으로 사각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측벽부(9)가 상기 수납본체(2)의 타측에 결합되면, 상기 제2측벽부재(91)는 상기 휨방지부(5)의 타측에 대해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휨방지부(5)의 타측은 상기 제2측벽부재(91)와 상기 제2지지부(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1)는 상기 휨방지부(5)의 타측에 대한 지지력을 강화할 수 있다. 상기 제2측벽부재(91)는 상기 제2측벽본체(9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측벽부재(91)는 상기 제2측벽본체(9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제2측벽부(9)는 상기 휨방지부(5)의 타측이 삽입되는 제2측벽홈(9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측벽홈(92)은 상기 제2측벽부재(91)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측벽홈(92)에 의해 상기 제2측벽부재(91)는 하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휨방지부(5)의 타측은 상기 제2측벽부재(91)의 개방된 하측을 통해 상기 제2측벽홈(92)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2측벽홈(92)은 전체적으로 반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휨방지부(5)의 타측이 삽입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측벽홈(92)은 상기 휨방지부(5)의 타측 일부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제2측벽부(9)는 제2측벽면(9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측벽면(93)은 상기 제2측벽부재(91)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측벽면(93)은 상기 제2측벽홈(92)에 삽입된 휨방지부(5)의 타측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2측벽면(93)은 상기 제2측벽홈(92)을 향하는 상기 제2측벽부재(91)의 면(面)일 수 있다. 상기 제2측벽면(93)은 상기 제2측벽홈(92)에 삽입된 휨방지부(5)를 하측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2측벽면(93)은 상기 제2측벽홈(92)에 삽입된 휨방지부(5)의 타측 일부와 대응되는 형태를 갖도록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2측벽부(9)는 제2돌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돌출부재는 상기 제2측벽본체(90)로부터 상기 코어(100) 쪽으로 돌출된 것이다. 상기 제2측벽부(9)가 상기 수납본체(2)의 타측에 결합되면, 상기 제2돌출부재는 상기 코어(100)에 대해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코어(100)의 타측은 상기 제2돌출부재와 상기 제4지지부(7)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1)는 상기 코어(100)의 타측에 대한 지지력을 강화할 수 있다. 상기 제2돌출부재는 상기 제2측벽본체(9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돌출부재는 상기 제2측벽부재(91)에 결합될 수도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2측벽부(9)는 상기 코어(100)의 타측이 삽입되는 제2코어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코어홈은 상기 제2돌출부재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코어홈에 의해 상기 제2돌출부재는 하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코어(100)의 타측은 상기 제2돌출부재의 개방된 하측을 통해 상기 제2코어홈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2코어홈은 전체적으로 반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코어(100)의 타측이 삽입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코어홈은 상기 코어(100)의 타측 일부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2측벽부(9)는 제2돌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돌출면은 상기 제2코어홈에 삽입된 코어(100)의 타측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2돌출면은 상기 제2코어홈을 향하는 상기 제2돌출부재의 면(面)일 수 있다. 상기 제2돌출면은 상기 제2코어홈에 삽입된 코어(100)를 하측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2돌출면은 상기 제2코어홈에 삽입된 코어(100)의 타측 일부와 대응되는 형태를 갖도록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2돌출면, 상기 제1돌출면, 상기 제2측벽면(93), 및 상기 제1측벽면(83)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에는 상기 댐퍼부재(52)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동박용 수납장치(1)는 상기 측벽부들(8, 9)을 통해 상기 휨방지부(5) 또는 상기 코어(100)에 전달되는 외력의 세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댐퍼부재(52)는 상기 제2돌출면, 상기 제1돌출면, 상기 제2측벽면(93), 및 상기 제1측벽면(83)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의 전면(全面)을 덮도록 상기 측벽부들(8, 9)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동박용 수납장치 2 : 수납본체
3 : 제1지지부 4 : 제2지지부
5 : 휨방지부 6 : 제3지지부
7 : 제4지지부 8 : 제1측벽부
9 : 제2측벽부 51 : 방지본체
52 :댐퍼부재 521 : 댐퍼본체
522 : 댐퍼돌기

Claims (14)

  1. 코어(Core)(100)에 권취된 동박(200)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21)이 형성된 수납본체(2);
    상기 수납본체(2)의 일측에 결합된 제1지지부(3);
    상기 수납본체(2)의 타측에 결합된 제2지지부(4); 및
    상기 제1지지부(3)와 상기 제2지지부(4)에 지지됨과 아울러 상기 코어(100)에 형성된 삽입공(101)에 삽입된 휨방지부(5)를 포함하고,
    상기 휨방지부(5)는 상기 코어(100)가 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삽입공(101)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코어(100)의 내면(100a)에 접촉되어서 상기 코어(100)에 지지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용 수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휨방지부(5)는 상기 코어(100)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서 상기 삽입공(101)에 삽입된 방지본체(51)를 포함하고,
    상기 방지본체(51)는 상기 코어(100)의 중간부분, 상기 코어(100)의 일측, 및 상기 코어(100)의 타측 각각을 지지하도록 상기 코어(100)에 비해 더 긴 길이를 갖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용 수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휨방지부(5)는 상기 코어(100)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서 상기 삽입공(101)에 삽입된 방지본체(51)를 포함하고,
    상기 방지본체(51)의 일측과 타측 각각은 상기 코어(100)의 일측과 타측 각각으로부터 돌출되어서 상기 제1지지부(3)와 상기 제2지지부(4)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용 수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휨방지부(5)는 상기 삽입공(101)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서 상기 삽입공(101)에 삽입된 방지본체(51)를 포함하고,
    상기 방지본체(51)는 상기 삽입공(101)과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용 수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휨방지부(5)는 상기 코어(100)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서 상기 삽입공(101)에 삽입된 방지본체(51), 및 상기 방지본체(51)와 상기 코어(100) 사이에 배치된 댐퍼부재(52)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부재(52)는 상기 삽입공(101)을 향하는 코어(100)의 내면(100a) 및 상기 방지본체(51)의 외면(51a) 각각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용 수납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부재(52)는 상기 코어(100)의 내면(100a)에 접촉됨에 따라 곡면을 갖도록 탄성변형(Elastic Deformation)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용 수납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부재(52)는 상기 방지본체(51)의 외면(51a)을 둘러싸도록 상기 방지본체(51)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용 수납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100)와 상기 방지본체(51) 사이에는 상기 댐퍼부재(52)가 복수개 배치되고,
    상기 댐퍼부재(52)들은 상기 코어(100)의 내면(100a)의 서로 다른 부분에 접촉되도록, 상기 코어(100)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용 수납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100)와 상기 방지본체(51) 사이에는 상기 댐퍼부재(52)가 복수개 배치되고,
    상기 댐퍼부재(52)들은 상기 코어(100)가 연장된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코어(100)와 중첩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용 수납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부재(52)는 상기 방지본체(51)에 결합된 댐퍼본체(521), 및 상기 댐퍼본체(521)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댐퍼돌기(522)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돌기(522)들은 상기 코어(100)의 내면(100a)에 서로 다른 부분에 접촉되도록, 상기 코어(100)가 연장된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용 수납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돌기(522)들은 상기 코어(100)의 내면(100a)에 접촉되는 면적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코어(100)를 향할수록 크기가 감소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용 수납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3)는 상기 휨방지부(5)가 삽입되는 제1지지홈(31), 및 상기 제1지지홈(31)에 삽입된 상기 휨방지부(5)를 지지하는 제1지지면(32)을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면(32)은 상기 제1지지홈(31)에 삽입된 휨방지부(5)의 일부와 대응되는 형태를 갖도록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용 수납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3)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되 상기 코어(100)의 일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수납본체(2)에 결합된 제3지지부(6); 및
    상기 제2지지부(4)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되 상기 코어(100)의 타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수납본체(2)에 결합된 제4지지부(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용 수납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본체(2)의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제1측벽부(8)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측벽부(8)는 제1측벽본체(80)로부터 돌출된 제1측벽부재(81)를 포함하되, 상기 수납본체(2)의 일측에 결합되면 상기 휨방지부(5)의 일측이 상기 제1측벽부재(81)와 상기 제1지지부(3)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수납본체(2)의 일측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용 수납장치.
KR2020200000005U 2020-01-02 2020-01-02 동박용 수납장치 KR2021000159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005U KR20210001592U (ko) 2020-01-02 2020-01-02 동박용 수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005U KR20210001592U (ko) 2020-01-02 2020-01-02 동박용 수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592U true KR20210001592U (ko) 2021-07-12

Family

ID=76861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0005U KR20210001592U (ko) 2020-01-02 2020-01-02 동박용 수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1592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287299A1 (en) Battery module
EP3889072A1 (en) Storage device for copper foil
US20170200924A1 (en) Battery module mounting tray
JP6146093B2 (ja) 蓄電装置
WO2019163864A1 (ja) 組電池
US20230123936A1 (en) Electrical connection box
KR20210001592U (ko) 동박용 수납장치
WO2014162963A1 (ja) 電池モジュール
KR20220152168A (ko) 동박용 수납장치
KR20210001593U (ko) 동박용 수납장치
KR20220153508A (ko) 동박용 수납장치
JP2017161812A (ja) 画像形成装置
US20220304158A1 (en) Hybrid circuit board and battery pack having same
US11081869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KR101839402B1 (ko) 텐션 댐핑부가 형성되어 있는 셀 수납부를 포함하는 전지팩용 팩 케이스
KR20230001064U (ko) 동박용 수납장치
KR200477428Y1 (ko) 건전지용 단자조립체
JP2001035459A (ja) 電池ケース
KR102630760B1 (ko) 동박용 수납장치
JP7404767B2 (ja) 蓄電装置
CN219418097U (zh) 一种u型交叉式安装的电脑机箱结构
JP4537236B2 (ja) 電子部品収容用トレー
CN213816291U (zh) 一种电池箱体及其模组支撑梁
CN201112684Y (zh) 电连接器
US20240178497A1 (en) Battery pack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