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428Y1 - 건전지용 단자조립체 - Google Patents

건전지용 단자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428Y1
KR200477428Y1 KR2020130006679U KR20130006679U KR200477428Y1 KR 200477428 Y1 KR200477428 Y1 KR 200477428Y1 KR 2020130006679 U KR2020130006679 U KR 2020130006679U KR 20130006679 U KR20130006679 U KR 20130006679U KR 200477428 Y1 KR200477428 Y1 KR 2004774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attery
flat
spring
central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66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0728U (ko
Inventor
백동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레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레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레보
Priority to KR20201300066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428Y1/ko
Publication of KR201500007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072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4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42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3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21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using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04Cells with aqueous electrolyte
    • H01M6/06Dry cells, i.e. cells wherein the electrolyte is rendered non-flui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 공정시 작업효율을 향상시켜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건전지용 단자조립체에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단자함의 내부에 한 쌍의 고정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슬릿에 단자체가 각각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건전지용 단자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단자체는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진 코일이 권취되어 일측으로 평평한 형태의 평단자부를 형성하고, 타측으로 일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의 스프링 단자부를 구성하고, 상기 평단자부와 상기 스프링 단자부의 사이에는 직선의 중앙 연결부가 형성되되, 상기 중앙 연결부는 상기 평단자부와 상기 스프링 단자부의 중심선에서 연장한 가상선 상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전지용 단자조립체{Terminal assembly for a battery}
본 고안은 건전지용 단자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조립 공정시 작업효율을 향상시켜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건전지용 단자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전자장비의 리모컨이나 전자식 도어락 등에는 통상 케이스 밑면으로 건전지 수납홈이 형성되고 있으며, 이 건전지 수납홈에는 건전지의 양극 및 음극과 접속되는 양극 평단자 및 음극 스프링 단자가 설치되어 있고 건전지 수납홈의 상단에 끼워져 결합되는 별도의 수납홈 커버가 마련된다.
이와 같은 건전지 홀더의 구조를 보면 본체 케이스의 건전지 수납홈에 건전지를 끼워 접속연결하되 건전지의 양극이 건전지 수납홈의 양극 평단자와 접속되고 건전지의 음극이 건전지 수납홈의 음극 스프링단자와 접속되도록 연결한 후 수납홈 커버를 끼워 조립하여 사용된다.
도 1은 종래의 건전지용 단자조립체를 보여주는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종래의 건전지용 단자가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건전지용 단자조립체(10)는 다수의 건전지 수용부(11; 도 1에서는 4개로 구성)가 형성되고, 양측에는 각각 제1 단자(20)와 제2 단자(30)가 각각 배치되어 이루어진다(즉 양극과 음극이 서로 교호적으로 배치된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단자들(20,30)은 각각 도전성 금속사(예를 들어, 철사)가 권취되어 평단자부(22,32)와 스프링 단자부(21,31)를 구성한다. 이때 이들 사이에는 연결부(25)가 일측으로 치우치면서 직선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평단자부(22,32)와 스프링 단자부(21,31)를 연결한다.
또한, 건전지 수용부(11)에는 평단자부(22)가 삽입되기 위한 제1 슬릿(12)과 스프링 단자부(21)가 삽입되는 제2 슬릿(14)이 형성되어 단자들(20,30)이 각각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단자들(20,30)은 건전지 수용부(11)의 양측에 음극과 양극이 대응되도록 평단자부(22,32; 건전지의 양극 접촉단자)와 스프링 단자부(21,31; 건전지의 음극단자)가 서로 교호적으로 배치된다.
그러나 종래의 구조는 건전지 수용부(11)에 배당된 음극과 양극에 따라 단자부들(20,30)을 배열하기 위해서는 해당 단자의 극성에 맞춰 별도로 단자를 2종으로 형성하거나, 도 2의 (a) 및 (b)와 같이 연결부(25,35)의 위치가 상부 또는 하부로 위치되도록 조립 공정시 이를 맞춰 장착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도 2의 (b)와 같이 왼쪽이 음극과 접촉하는 스프링 단자(31)가 위치되고 오른쪽에 평단자(32)가 위치되는 경우에는 연결부(35)는 상부측에 위치되어 고정턱(15)에 장착되어 이루어진다.
반면, 도 2의 (a)와 같이 극성이 반대일 경우 단자부(20)의 연결부(25)는 하방을 향하게 되므로, 이러한 위치에 따라 단자부(20,30)의 장착위치를 선별해야 하므로 조립공정이 번거롭고 이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져 공정효율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조립 공정시 작업효율을 향상시켜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건전지용 단자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실시 형태에 따르면, 단자함의 내부에 한 쌍의 고정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슬릿에 단자체가 각각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건전지용 단자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단자체는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진 코일이 권취되어 일측으로 평평한 형태의 평단자부를 형성하고, 타측으로 일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의 스프링 단자부를 구성하고, 상기 평단자부와 상기 스프링 단자부의 사이에는 직선의 중앙 연결부가 형성되되, 상기 중앙 연결부는 상기 평단자부와 상기 스프링 단자부의 중심선에서 연장한 가상선 상에 형성된 건전지용 단자조립체를 제공한다.
상기 단자함에는 상기 평단자부와 상기 스프링 단자부가 각각 삽입되기 충분한 너비로 상기 고정슬릿이 형성되고, 일측의 상기 고정슬릿과 타측의 상기 고정슬릿 사이에는 상기 단자체의 중앙 연결부가 삽입되어 상기 단자체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자함의 내측 벽에 형성된 상기 고정슬릿의 내부에는 단자체의 중앙 연결부의 인입 위치를 제한하기 위한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슬릿 사이에는 상기 평단자부 또는 상기 스프링 단자부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턱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단자체의 평단자부와 스프링 단자부 사이를 연결하는 중앙연결부가 단자체의 중심선 상에 위치됨으로써 단자체를 단자함에 장착할 경우 단자체의 앞뒤를 구분할 필요 없이 장착이 용이하여 조립 공정시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어 생산효율을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건전지용 단자조립체를 보여주는 전체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건전지용 단자가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전지용 단자조립체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전지용 단자조립체의 단자체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평면도, 및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전지용 단자조립체의 단자체의 설치상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아래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전지용 단자조립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전지용 단자조립체의 단자체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전지용 단자조립체의 단자체의 설치상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은 단자함(200)에 다수의 건전지 수납부(250)이 형성되고, 건전지 수납부(250)의 내부에는 한 쌍의 고정슬릿(220,240)이 형성되고, 고정슬릿(220,240)에 단자체(100)가 각각 장착되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단자체(100)는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진 코일이 권취되어 일측으로 평평한 형태의 평단자부(110)를 형성하고, 타측으로 일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의 스프링 단자부(120)를 구성한다.
또한 단자체(100)는 평단자부(110)와 스프링 단자부(120)의 사이에는 직선의 중앙 연결부(130)가 형성된다. 여기서 중앙 연결부(130)는 평단자부(110)와 스프링 단자부(120)의 중심선에서 연장한 가상선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중앙 연결부(130)는 평단자부(110)와 스프링 단자부(120)의 중심에서 연장되어 서로 직선으로 이어진 구성으로 제공된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단자함(200)에는 평단자부(110)와 스프링 단자부(120)가 각각 삽입되기 충분한 너비로 고정슬릿(220,240)이 형성되고, 일측의 고정슬릿(220)과 타측의 고정슬릿(240) 사이에는 단자체(100)의 중앙 연결부(130)가 삽입된 상태에서 단자체(1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턱(210)이 형성된다.
또한 단자함(200)의 내측 벽에 형성된 고정슬릿(220,240)의 내부에는 단자체(100)의 중앙 연결부(130)의 인입 위치를 제한하기 위한 단턱(225)이 형성된다.
아울러, 고정슬릿(220,240) 사이에는 평단자부(110) 또는 스프링 단자부(120)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턱(260,270)이 형성되어 단자체(100)의 고정시 장착위치를 안내 및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건전지용 단자조립체는 중앙 연결부(130)가 평단자부(110)와 스프링 단자부(120)의 중심선에서 연장된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단자체(100)의 고정시 고정자세가 바뀌지 않으므로 별도로 단자체(100)의 장착자세를 바꾸지 않아도 되며, 2개 이상의 단자체(100)를 구성하지 않고도 다양한 위치의 단자함(200)에 장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건전지용 단자조립체의 조립 공정시 공정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단자체 110: 평단자부
120: 스프링 단자부 130: 중앙 연결부
200: 단자함 210: 고정턱
220: 고정슬릿 225: 단턱
240: 고정슬릿 250: 수납부

Claims (4)

  1. 단자함(200)의 내부에 한 쌍의 고정슬릿(220,240)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슬릿(220,240)에 단자체(100)가 각각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건전지용 단자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단자체(100)는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진 코일이 권취되어, 일측으로 평평한 형태의 평단자부(110)를 형성하고, 타측으로 일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의 스프링 단자부(120)를 구성하며,
    상기 평단자부(110)와 상기 스프링 단자부(120)의 사이에는 직선의 중앙 연결부(130)가 형성되되,
    상기 중앙 연결부(130)는 상기 평단자부(110)와 상기 스프링 단자부(120)의 중심선에서 연장한 가상선 상에 형성되고,
    상기 단자함(200)에는 상기 평단자부(110)와 상기 스프링 단자부(120)가 각각 삽입되기 충분한 너비로 상기 고정슬릿(220,240)이 형성되고,
    일측의 상기 고정슬릿(220)과 타측의 상기 고정슬릿(240) 사이에는 상기 단자체(100)의 중앙 연결부(130)가 삽입되어 상기 단자체(1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턱(210)이 형성되며,
    상기 단자함(200)의 내측 벽에 형성된 상기 고정슬릿(220,240)의 내부에는 단자체(100)의 중앙 연결부(130)의 인입 위치를 제한하기 위한 단턱(22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용 단자조립체.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슬릿(220,240) 사이에는 상기 평단자부(110) 또는 상기 스프링 단자부(120)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턱(260,27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용 단자조립체.
KR2020130006679U 2013-08-12 2013-08-12 건전지용 단자조립체 KR2004774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6679U KR200477428Y1 (ko) 2013-08-12 2013-08-12 건전지용 단자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6679U KR200477428Y1 (ko) 2013-08-12 2013-08-12 건전지용 단자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728U KR20150000728U (ko) 2015-02-25
KR200477428Y1 true KR200477428Y1 (ko) 2015-06-09

Family

ID=52579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6679U KR200477428Y1 (ko) 2013-08-12 2013-08-12 건전지용 단자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42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0193A (ko) 2020-11-04 2022-05-11 우용성 더블형 단자 접속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비상용 랜턴
KR20220145177A (ko) 2021-04-21 2022-10-28 주식회사 오성전자 배터리 단자 접속 구조를 구비한 리모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9915A (ja) * 1995-05-29 1996-12-13 Sony Corp 電池ボックス
KR200282770Y1 (ko) * 2002-02-26 2002-07-23 (주)뉴로시스 건전지 수납장치의 전극 구조
JP3942321B2 (ja) * 1999-09-16 2007-07-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池接続端子の取付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9915A (ja) * 1995-05-29 1996-12-13 Sony Corp 電池ボックス
JP3942321B2 (ja) * 1999-09-16 2007-07-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池接続端子の取付装置
KR200282770Y1 (ko) * 2002-02-26 2002-07-23 (주)뉴로시스 건전지 수납장치의 전극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0193A (ko) 2020-11-04 2022-05-11 우용성 더블형 단자 접속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비상용 랜턴
KR20220145177A (ko) 2021-04-21 2022-10-28 주식회사 오성전자 배터리 단자 접속 구조를 구비한 리모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728U (ko) 2015-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80423B2 (en) Bus bar holder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US11205818B2 (en) Cover assembly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JP2000133228A (ja) ボタン形電池用の垂直配置支持装置
US7696660B2 (en) Stator for rotary electric machine
JP5672348B1 (ja) 配線モジュール
US8916286B2 (en) Battery pack
WO2017195546A1 (ja) 接続モジュール
JP2015138781A (ja) 二次電池パック
US20150382497A1 (en) Electronic component assembly structure and electronic component
JP6305731B2 (ja) ケースモールド型コンデンサ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40118759A (ko) 축전 장치
KR200477428Y1 (ko) 건전지용 단자조립체
JP2017120711A (ja) 配線モジュール
JP2019008889A (ja) 溶接構造
JP6044495B2 (ja) 配線モジュール
JP2014207821A (ja) 電子部品及び電子部品の組付構造
US9899156B2 (en) In-line reed relay and integrated circuit board
CN112075023A (zh) 噪声滤波器
JP2012155948A (ja) 組電池用バスバー及びバスバーモジュール
JP2018041633A (ja) 電池モジュール
JP2017097980A (ja) 配線モジュール
CN220587503U (zh) 固定结构及电子雾化器具
CN106033854B (zh) 电连接器
CN210200808U (zh) 一种电池盒
KR20130004179U (ko) 휴대폰 배터리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