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2770Y1 - 건전지 수납장치의 전극 구조 - Google Patents

건전지 수납장치의 전극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2770Y1
KR200282770Y1 KR2020020005673U KR20020005673U KR200282770Y1 KR 200282770 Y1 KR200282770 Y1 KR 200282770Y1 KR 2020020005673 U KR2020020005673 U KR 2020020005673U KR 20020005673 U KR20020005673 U KR 20020005673U KR 200282770 Y1 KR200282770 Y1 KR 2002827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battery
accommodating
electrode structure
electro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56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석근
Original Assignee
(주)뉴로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뉴로시스 filed Critical (주)뉴로시스
Priority to KR20200200056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27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27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2770Y1/ko

Links

Landscapes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평면 와이어 전극 및 스프링 전극을 용이하게 삽입 고정할 수 있고, 금형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건전지 수납장치의 전극 구조가 개시된다. 본 고안에 따른 전극 구조는 전지의 극성 단자와 연결되는 평면 또는 스프링 형상의 전극, 전극의 형상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 공간이 형성된 수용 부재 및 전극을 고정하기 위해 수용 공간의 내면을 따라 전극의 전후면에 엇갈리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플랜지를 구비한다. 수용 공간이 전극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복수개의 플랜지가 전극의 전후면에서 엇갈리게 지지하기 때문에 전극이 안착되며 이탈되지 않는다. 또한, 엇갈리게 형성된 복수개의 플랜지는 상호 겹치지 않기 때문에 금형 제작을 용이하게 한다.

Description

건전지 수납장치의 전극 구조{ELECTRODE STRUCTURE FOR A DRY CELL CONTAINER}
본 고안은 건전지를 수납하는 수납장치에 사용되는 전극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전극을 간단하게 삽입하여 안정하게 수용할 수 있으며 금형 제작이 용이한 건전지 수납장치의 전극 구조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전기 또는 전자 장치의 경우 전원으로 건전지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러한 장치들은 건전지를 수납하기 위해서 건전지 수납부를 구비한다. 하지만, 휴대용 장치에서 건전지가 차지하는 부피 및 무게는 상당하기 때문에, 휴대용 장치를 소형화하거나 경량화하기 위해서라도 건전지 수납부의 구조를 개선하려는 여러 시도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건전지 수납부의 구조 개선은 건전지의 배치 및 전극 구조를 변경에 의해 가능해진다.
도 1a 및 도 1b는 2개의 건전지를 직렬로 연결하기 위한 종래의 전극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1a는 외부의 전기장치와 연결되는 전극 구조를 도시한 것이며, 도 1b는 건전지를 직렬로 연결하기 위한 전극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종래의 전극 구조(10)는 평면의 와이어 전극(20) 및 스프링 전극(25), 전극(20,25)을 수용하는 제1 수용 부재(12), 제1 수용 부재(12)에 형성되어 전극(20,25)을 양측에 전극이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는 고정부재(14)를 형성한다. 고정부재(14)는 '??'자 형상의 홈을 형성하며 상기 홈에 전극(20,25)이 물림으로 해서 전극(20,25)이 수용 부재(12)에 고정된다. 도 1a의 전극(20,25)은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연결 와이어를 통해 외부의 전기장치로 전원을 공급한다.
도 1b를 참조하면, 폐쇄적인 구조를 갖는 종래의 전극 구조(30)가 도시되며, 상기 폐쇄적인 전극 구조(30)는 평면의 와이어 전극(40)과 스프링 전극(42)이 연결된 연결 전극(44), 연결 전극(44)을 수용하는 제2 수용 부재(32) 및 평면 와이어 전극(40)과 스프링 전극(42)의 일측을 각각 고정하는 고정 부재(34)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부재(34)는 '??'자 형상의 홈을 형성하며, 상기 홈에 와이어 전극(40) 및 스프링 전극(42)을 물림으로써 연결 전극(44)을 수용 부재(32)에 고정시킨다.
도 1a 및 도 1b의 전극 구조(10,30)가 한 쌍을 이루어 건전지 수납부의 전극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2개의 건전지를 수용할 수 있으며, 평면 와이어 전극(20, 40)에 건전지의 양극이 접하게 되고 스프링 전극(25,42)에 건전지의 음극이 접하게 됨으로써 2개의 건전지가 직렬로 연결된다.
도 1c는 종래의 다른 전극 구조(50)의 사시도이다. 도 1c의 전극 구조는 판 스프링을 이용한 구조로서 도 1b의 전극 구조(30)와 같이 건전지를 직렬로 연결하게 된다. 도 1c의 전극 구조(50)는 전극(60), 수용 부재(52) 및 고정 부재(54)를 포함한다. 판 상의 전극(60)은 상호 교차하는 판 스프링 전극을 형성하며, 판 스프링 전극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2개의 건전지를 직렬로 연결하게 되고 건전지에 탄성력을 부여하여 건전지를 수납부에 안정되게 고정하게 된다.
도 1a 내지 도 1c의 종래의 전극 구조(10,30,50)를 참조하면, 전극(20,25,44,60)이 수용 부재(12,32,52)에 고정되기 위해서 고정부재를 형성하고, 고정부재가 형성한 홈에 전극(20,25,44,60)을 밀어 넣어 전극(20,25,44,60)을 삽입 및 고정한다. 고정된 전극(20,25,44,60)은 고정 부재(14,34,54)에 물림으로써 고정되거나, 일측이 막힌 고정 부재에 걸림으로써 수용 부재(12,32,52)에 고정된다.
하지만, 이렇게 밀어 넣기에 의해서 고정되는 종래의 전극 구조는 계속되는 사용에 의해서 전극의 중심 위치가 변할 수 있으며 건전지 수납부로부터 이탈될 수도 있다. 특히, 건전지를 자주 교체하거나 자주 착탈하는 경우, 이러한 작업에 의해서 전극의 중심 위치가 흔들리거나 이탈되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전극 위치의 변화는 건전지의 접촉을 불안정하게 하여 장치의 고장 또는 전원의 불안정한 차단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불안정한 접속은 불필요한 저항을 형성하게 되어 전기 장치의 비효율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전극의 위치가 쉽게 변하거나 이탈되지 않는 전극 구조가 필요하며, 이러한 전극 구조의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하다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요건을 만족하는 전극 구조는 전기 장치의 건전지 수납부와 일체를 이루며 형성될 수 있으며, 별도의 수용 부재를 형성하고 그 수용 부재가 건전지 수납부에 장착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전극이 건전지 수납부 또는 전극 수용 부재에 구속되어 전극의 중심 위치가 변하기 않고, 전극 자체가 이탈되지 않는 건전지 수납장치의 전극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전극 구조를 제작함에 있어 전극 구조의 금형 제작 이 용이하여 대량생산에 용이한 전극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전극 또는 수용 부재의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한 전극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는 2개의 건전지를 직렬로 연결하기 위한 종래의 전극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용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수용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단면 A-A'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극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극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극 구조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극 구조의 배면도이다
도 9는 제3 실시예의 전극 구조와 제4 실시예의 전극 구조가 한 쌍을 이루어 리모콘의 건전지 수납부에 장착되는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제5 실시예에 따른 전극 구조(600)의 평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전극 구조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제6 실시예에 따른 전극 구조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전극 구조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제5 실시예 및 제6 실시예의 전극 구조가 한 쌍을 이루어 건전지 수납부에 장착되는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 전극 구조 120, 220 : 수용 부재
160, 260 : 제1 플랜지 165, 265 : 제2 플랜지
170, 270 : 가이드 홈 180, 280 : 전극
300, 400 : 전극 구조 320, 420 : 수용 부재
340, 360, 440, 460 : 제1 플랜지 345, 365, 445, 465 : 제2 플랜지
380, 390, 480, 490 : 전극 385, 395, 485, 495 : 연결 와이어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극 구조는 평면의 전극 또는 스프링 형상의 전극, 전극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된 수용 공간이 형성된 수용 부재 및 전극을 고정하기 위하여 수용 공간의 내면을 따라 전극의 전후면에 엇갈리게 형성되는 플랜지 구조를 구비한다.
전극은 평면의 원형 구조 또는 평면의 원형에서 연장되는 나선형 구조를 가짐으로써 건전지의 양극에 접속되거나, 스프링 구조를 가짐으로써 건전지의 음극에 접속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극은 탄성을 갖는 도체 와이어로 구성된다.
평면의 원형 와이어 전극 또는 스프링 형상의 전극의 외면에 외력을 가하여 임시적으로 형상을 변형하고, 변형된 전극을 플랜지 구조의 사이에 삽입하여 수용공간에 전극을 수용하게 된다.
수용 부재는 수용 공간 및 플랜지 구조를 형성하며, 이들을 이용해 전극을 수용하게 된다. 수용 부재는 1개의 전극을 수용하여 1개의 건전지만 사용하는 수납장치에 장착될 수 있으며, 2이상의 전극을 수용하여 2이상의 건전지를 사용하는 수납장치에 장착될 수도 있다. 또는 1개의 전극을 갖는 전극 구조가 이웃하는 다른 전극 구조들과 상호 연결되거나 외부의 장치와 연결됨으로써 2이상의 전극을 포함하는 전극 구조를 이루며 확장될 수 있다.
수용 부재는 건전지 수납부와는 별도로 제작되어 건전지 수납부에 따로 장착될 수 있지만, 건전지 수납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전기장치 또는 수납부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구조를 설명함에 있어서, 전극 및 수용 공간을 포함하는 수용 부재를 판 형상에 대응하여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전기장치 또는 수납부와 일체를 이루어 수용 공간 및 플랜지 구조를 형성할 때도 본 고안의 수용 부재에 포함된다.
수용 부재에는 전극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된다. 종래의 전극 구조는 평면 또는 스프링 형상의 전극이 일 측면이 개방되어 양측에 배치된 홈에 삽입되는 구조를 갖지만, 본 고안의 전극 구조에서의 전극은 수용 공간에 거의 수직한 방향으로 삽입되며, 수용 공간이 삽입되는 전극의 외면에 대응하여 콤팩트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전극의 상하좌우의 이동이 수용 공간의 의해서 안정적으로 구속된다.
또한, 전극을 축방향, 즉 전후 방향으로 고정하기 위하여 수용 공간에 플랜지 구조가 형성된다. 플랜지 구조는 복수개의 플랜지를 포함하며, 복수개의 플랜지가 전극의 전후면에 엇갈리게 배치되어 전극을 전후 방향에 대해 고정시킨다.
복수개의 플랜지가 상호 엇갈리게 배치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전극 구조를 제작하기 위한 사출 성형이 매우 용이해진다. 왜냐하면, 전후 플랜지 간에 서로 겹치는 부분이 있는 경우 그 플랜지 사이의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복잡한 금형을 제작해야 하며, 이러한 별도 작업에 대한 요구는 전체적인 생산 단가를 높이는 원인이 된다. 하지만, 서로 겹치는 부분이 없다면 플랜지 사이를 성형하기 위한 별도의 작업이 생략되기 때문에 용이하게 전극 구조를 제작할 수 있다.
전극 구조는 전극, 수용 부재 및 플랜지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전극은 다른 전극 구조 또는 전기장치와 연결된다. 따라서, 2개 이상의 전극구조가 상호 연결되어 건전지를 직렬로 연결되게 하는 연결 전극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전기 장치와 연결되어 전원 공급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고안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용 부재(120)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수용 부재(120)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단면 A-A'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수용 부재(120)에는 전극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140)이 형성되어 있으며, 수용 공간(140)의 앞쪽 내면에는 2개의 제1 플랜지(160)가 마주보며 형성되며, 뒤쪽 내면에는 2개의 제2 플랜지(165)가 마주보며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플랜지(160) 및 제2 플랜지(165)의 개수를 2개로 한정하고 있지만, 본 고안에서의 플랜지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1개 또는 3개 이상의 플랜지를 형성할 수도 있다. 다만, 전극 구조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고 금형 제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1 및 제2 플랜지(160,165)의 개수를 2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의 정면도에서와 같이, 제1 및 제2 플랜지(160,165)는 상호 엇갈리게 형성되어 있어 제1 및 제2 플랜지(160,165)가 상호 겹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제1 플랜지(160)가 제2 플랜지(165)의 일부와 겹치면 전극을 장착하는데 무리는 없지만, 수용 부재(120)를 사출 성형하여 제작하는 경우 제1 및 제2 플랜지(160,165)의 겹치는 부분에 의해서 전극 구조의 제작이 어려워지고 생산비용을 현저하게 높아진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전극을 안정되게 고정하는 동시에제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플랜지(160,165)를 상호 겹치지 않게 전극의 전후면에 엇갈리게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 부재(120)의 후면으로부터 전극이 인접하여 장착되며, 전극 및 전극에 연결된 와이어를 안착시키기 위한 가이드 홈(170)이 수용 부재(120)의 후면에 형성된다. 가이드 홈(170)에 전극 및 전극에 연결된 와이어가 수용됨으로써 전극의 회전 이동 또한 구속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극 구조(100)의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극 구조(100)는 수용 부재(120), 수용 공간, 플랜지(160,165) 및 전극(180)을 포함한다. 수용 부재, 수용 공간 및 플랜지(160,165)는 이미 도 2 내지 도 4를 통해 설명되었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전극(180)이 수용 공간(140) 및 플랜지(160,165) 사이에 안착되면서, 전극 구조(100)가 완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전극(180)은 평면의 원형 와이어 및 그 중심을 가로지르는 와이어로 구성되며, 가이드 홈(170)에 수용되는 연결 와이어부(185)로 이어진다. 이 전극(180)은 건전지의 양극에 접속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연결 와이어부(185)는 다른 전극 구조의 연결 와이어부 연결되어 건전지를 상호 연결하거나 외부의 전기장치와 연결되어 전기장치에 전원을 공급한다.
실시예 2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극 구조(200)의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극 구조(200)는 스프링 전극(280), 수용 부재(220), 수용 공간, 플랜지(260), 가이드 홈(270) 및 연결 와이어부(285)를 포함한다. 스프링 전극(280)을 제외한 다른 구성 요소는 제1 실시예의 수용 부재(120), 수용 공간(140), 플랜지(160,165) 및 가이드 홈(17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스프링 전극(280)은 수용 부재(220)의 후면에서 삽입되어 전면으로 노출된다. 스프링 전극(220)에서 가장 큰 지름을 갖는 밑면이 원형의 수용 공간에 위치되고, 밑면의 전후에 배치된 플랜지(160)에 의해서 전후방향으로 구속된다. 연결 와이어부(285)가 가이드 홈(270)을 따라 배치되면서 스프링 전극(280)은 수용 공간 내에서 회전하기 않고 안정하게 고정된다.
실시예 3
도 7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극 구조(300)의 정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전극 구조(300)는 제1 원형 전극(380) 및 제1 스프링 전극(390)을 포함하며, 제1 원형 전극(380)은 직렬로 연결된 건전지의 양극과 연결되고 제1 스프링 전극(390)은 다른 건전지의 음극과 연결되어 외부의 전기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전극 구조(300)는 2개의 건전지를 수납하는 건전지 수납부에 장착되어 연결 와이어부(385,395)를 통해 외부의 전기장치와 연결된다.
수용 부재(320)에는 제1 원형 전극(380) 및 제1 스프링 전극(390)의 형상에대응하여 형성된 원형의 홀이 수용 공간을 형성한다. 각 수용 공간에 제1 원형 전극(380) 및 제1 스프링 전극(390)이 배치되고, 제1 원형 전극(380) 및 제1 스프링 전극(390)의 전후면에 제1 플랜지(340,360) 및 제2 플랜지(345,365)가 각각 형성되어 전극(380,390)을 고정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용 부재(320), 수용 공간, 전극(380,390) 및 플랜지(340,345,360,365)는 제1 및 제2 실시예에 설명된 구성 요소와 실질적으로 구성 및 기능이 극히 유사하기 때문에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4
도 8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극 구조(400)의 배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4 실시예에 따른 전극 구조(400)는 제2 스프링 전극(480) 및 제2 원형 전극(490)을 포함하며, 제2 스프링 전극(480)은 직렬로 연결되어 건전지의 음극과 연결되고 제2 원형 전극(490)은 다른 건전지의 양극과 연결되어 양 건전지를 직렬로 연결한다.
수용 부재(420)에는 제2 스프링 전극(480) 및 제2 원형 전극(490)의 형상에 대응하여 원형의 홀이 형성되고, 이 원형의 홀에 의해 수용 공간이 형성된다. 수용 공간에 제2 스프링 전극(480) 및 제2 원형 전극(490)이 배치되고, 제2 스프링 전극(480) 및 제2 원형 전극(490)의 전후면에 제1 플랜지(440,460) 및 제2 플랜지(445,465)가 각각 형성된다.
제2 스프링 전극(480)과 제2 원형 전극(490)의 사이는 연결 와이어(485)에의해 연결되어 연결 와이어부를 형성하고, 연결 와이어(485)는 가이드 홈(470)에 의해 수용되고 고정된다. 가이드 홈(470)에 연결 와이어(485)가 수용됨으로써 제2 스프링 전극(480)과 제2 원형 전극(49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동시에, 양 전극(480,490)이 수용 공간에서 헛돌지 않고 안정하게 고정된다.
즉, 수용 공간의 내벽이 전극(480,490)의 둘레를 감싸기 때문에 전극(480,490)의 상하좌우 이동을 구속하고, 전후에 엇갈리게 형성된 플랜지(440,445,460,465)가 전극의 전후 이동이 구속하고, 연결 와이어(485)가 가이드 홈(470)에 수용됨으로써 전극(480,490)의 회전을 구속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극(480,490)은 수용 부재(420)에 고정되어 안정적으로 사용된다. 한편, 전극(480,490)을 수용 부재(420)에 밀어 넣거나 일부 압축하여 쉽게 삽입 및 분리할 수 있어 전극 구조(400)의 조립 및 분해 또한 매우 간단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용 부재(420), 수용 공간, 전극(480,490), 플랜지(440,445,460,465)는 제1 및 제2 실시예에 설명된 구성 요소와 실질적으로 구성 및 기능이 극히 유사하기 때문에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걸림홈을 형성하여 건전지 수납부에 장착될 수 있는 걸림 부재(475)가 수용 부재(420)의 배면에 형성된다. 걸림 부재(475)가 건전지 수납부에 걸림으로써 전극 구조(400)가 건전지 수납부에 고정된다.
도 9는 제3 실시예의 전극 구조(300)와 제4 실시예의 전극 구조(400)가 한 쌍을 이루어 리모콘의 건전지 수납부(520)에 장착되는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리모콘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 실시예의 전극 구조(300)와 2개의 건전지(540)를 직렬로 배열하는 제4 실시예의 전극 구조(400)를 건전지 수납부(520)에 장착함으로써 건전지(540)를 직렬로 수납한다.
전극 구조(400)의 배면에 형성된 걸림 부재(475)가 건전지 수납부(520)의 벽면에 걸림으로써 수납부(520)에 고정된다. 제3 실시예의 전극 구조(300)의 배면에도 걸림 부재(도시되지 않음)를 형성될 수 있으며, 걸림 부재에 의해서 수납부(520)에 고정된다.
실시예 5
도 10은 제5 실시예에 따른 전극 구조(600)의 평면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전극 구조(600)의 측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5 실시예에 따른 전극 구조(600)는 제1 원형 전극(620), 제2 스프링 전극(630), 제3 원형 전극(640), 수용 부재(610), 수용 공간, 플랜지 구조, 가이드 홈 및 걸림 부재(67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극 구조(600)는 3개의 건전지를 직렬로 연결하는 건전지 수납부에 사용되는 일측 전극 구조로서, 3개의 건전지 중 2개의 건전지의 양극과 연결되며 1개의 건전지의 음극과 연결된다. 제1 원형 전극(620)은 외부의 전기 장치와 연결되고, 제2 스프링 전극(630)과 제3 원형 전극(640)은 서로 연결 와이어로 연결되고 각각 건전지의 음극과 양극에 연결되면서 건전지를 직렬로 연결한다. 제1 원형 전극(620)과 연결된 와이어(625)를 통해서 외부의 전기장치와 연결된다.
전극(620,630,640) 모두 수용 부재(610)에 형성된 수용 공간에 수용되며, 플랜지가 상호 엇갈리게 형성된 플랜지 구조에 의해서 수용 공간에 고정된다.
전극 구조(600)의 저면에는 걸림홈을 형성하는 걸림 부재(670)가 형성되어 있어, 전기장치의 건전지 수납부에 고정되는 것을 보조한다. 3개의 전극을 포함하는 수용 부재(610)를 제작하기 위해서 사출 성형이 일반적이며, 수용 부재(610)에 형성된 플랜지 구조가 상호 엇갈려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출 성형이 용이하다.
실시예 6
도 12는 제6 실시예에 따른 전극 구조(700)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12의 전극 구조(700)의 측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제6 실시예에 따른 전극 구조(700)는 제1 스프링 전극(720), 제2 원형 전극(730), 제3 스프링 전극(740), 수용 부재(710), 수용 공간, 플랜지 구조, 가이드 홈 및 걸림 부재(77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극 구조(700)는 3개의 건전지를 직렬로 연결하는 건전지 수납부에 사용되는 전극 구조로서, 제5 실시예의 전극 구조(600)와 한 쌍을 이루어 3개의 건전지를 직렬로 연결하는 건전지 수납부에 장착된다. 건전지 수납부에 장착되는 건전지 중 2개의 건전지의 음극과 연결되며 다른 1개의 건전지의 양극과 연결된다.
도 14는 제5 실시예 및 제6 실시예의 전극 구조가 한 쌍을 이루어 건전지 수납부에 장착되는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의 전기장치는 휴대용 휴대폰충전기로서 장치의 하우징(810)에 건전지 수납부(820)가 형성되고, 연결 와이어(625,725)가 각각 휴대폰의 인터페이스부와 연결되는 커넥터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전기장치에 전원을 공급한다.
걸림 부재(670,770)가 하우징(810) 또는 건전지 수납부(820)에 형성된 고정판에 장착되면서 전극 구조(600,700)가 고정된다.
제1 스프링 전극(720)이 제2 원형 전극(730)과 연결되고, 제3 스프링 전극(740)은 외부의 전기 장치와 연결된다. 제3 스프링 전극(740)은 연결 와이어(725)를 통해서 외부의 전기장치와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수용 부재(710), 수용 공간, 플랜지 구조 및 가이드 홈의 구조는 제1 내지 제5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수용 부재에 수용되는 전극이 수용 공간, 전후로 배치되는 플랜지 구조 및 가이드 홈에 의해서 안정되게 안착됨으로써 전극의 중심 위치가 변하지 않고 이탈될 염려도 없다.
전극을 도체 와이어로 사용하는 경우 일시적인 가압에 의해 외형의 변형이 용이하게 되고, 간단한 변형에 의해서 전극을 수용 부재에 용이하게 삽입 및 분리할 수 있다.
플랜지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복수개의 플랜지를 엇갈리게 배치하기 때문에,전극을 유효하게 구속할 수 있는 동시에 금형을 통한 사출 성형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전극 구조의 성형 및 조립이 용이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부품의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1)

  1. 건전지 수납장치에 장착되어 건전지와 외부의 전기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건전지와 건전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극 구조에 있어서,
    평면 또는 스프링 형상의 적어도 하나의 전극;
    상기 전극을 수용하는 수용 부재;
    상기 전극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수용 부재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수용 공간; 및
    상기 수용 부재에 수용된 상기 전극 일부분의 전후면에 배치되도록 상기 수용 공간에 형성되는 플랜지 구조를 구비하는 건전지 수납장치의 전극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구조는 상기 전극의 전후면에 엇갈리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 수납장치의 전극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의 전후면에 각각 2개의 플랜지가 대향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 수납장치의 전극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도체의 와이어로 이루어지고 일부가 연장되어 외부의 전기장치 또는 다른 전극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 수납장치의 전극 구조.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부재에 걸림홈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 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 수납장치의 전극 구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부재는 'ㄱ'자 형상으로 일측이 상기 수용 부재에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 수납장치의 전극 구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이상의 전극을 상호 연결하거나 상기 전극과 외부의 전기장치를 연결하는 연결 와이어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 수납장치의 전극 구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부재의 일면에는 상기 연결 와이어를 수용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 수납장치의 전극 구조.
  10. 건전지 수납장치에 장착되어 건전지와 외부의 전기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건전지와 건전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극 구조에 있어서,
    평면 또는 스프링 형상의 제1 전극;
    평면 또는 스프링 형상의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을 수용하는 수용 부재;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의 형상에 각각 대응하여 상기 수용 부재에 형성된 수용 공간; 및
    상기 수용 부재에 수용된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일부분의 전후면에 배치되도록 상기 수용 공간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를 포함하는 플랜지 구조를 구비하는 건전지 수납장치의 전극 구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은 상기 수용 부재에 형성된 홀이며, 상기 플랜지는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의 전후면에 엇갈리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 수납장치의 전극 구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각각에 연결된 연결 와이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 와이어를 수용하는 가이드 홈이 상기 수용 부재의 일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 수납장치의 전극 구조.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을 연결하는 연결 와이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 와이어를 수용하는 가이드 홈이 상기 수용 부재의 일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 수납장치의 전극 구조.
  14. 제 10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은 원형의 홀이며,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의 전후면에 각각 2개의 플랜지가 대향하여 상기 홀의 내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 수납장치의 전극 구조.
  15. 제 10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이 평면 전극이고, 상기 제2 전극이 스프링 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 수납장치의 전극 구조.
  16. 건전지 수납장치에 장착되어 건전지와 외부의 전기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건전지와 건전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극 구조에 있어서,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전극;
    외부의 전기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 전극;
    상기 제1 내지 제3 전극을 수용하는 수용 부재;
    상기 제1 내지 제3 전극의 형상에 각각 대응하여 상기 수용 부재에 형성된 수용 공간; 및
    상기 수용 부재에 수용된 상기 제1 내지 제3 전극 일부분의 전후면에 배치되도록 상기 수용 공간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를 포함하는 플랜지 구조를 구비하는 건전지 수납장치의 전극 구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은 상기 수용 부재에 형성된 홀이며, 상기 플랜지는 상기 제1 내지 제3 전극의 전후면에 엇갈리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 수납장치의 전극 구조.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및 제3 전극은 평면의 와이어 전극이고, 상기 제2 전극은 스프링 전극이며,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이 연결 와이어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 수납장치의 전극 구조.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및 제3 전극은 스프링 전극이고, 상기 제2 전극은 평면의 와이어 전극이며,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이 연결 와이어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 수납장치의 전극 구조.
  20. 제 18 항 또는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은 원형의 홀이며, 상기 제1 내지 제3 전극의 전후면에 각각 2개의 플랜지가 대향하여 상기 홀의 내면에 형성되며, 상기 연결 와이어는 상기 수용 부재의 일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 수납장치의 전극 구조.
  21. 제 18 항 또는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부재에 걸림홈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 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 수납장치의 전극 구조.
KR2020020005673U 2002-02-26 2002-02-26 건전지 수납장치의 전극 구조 KR2002827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5673U KR200282770Y1 (ko) 2002-02-26 2002-02-26 건전지 수납장치의 전극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5673U KR200282770Y1 (ko) 2002-02-26 2002-02-26 건전지 수납장치의 전극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2770Y1 true KR200282770Y1 (ko) 2002-07-23

Family

ID=73118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5673U KR200282770Y1 (ko) 2002-02-26 2002-02-26 건전지 수납장치의 전극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277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428Y1 (ko) * 2013-08-12 2015-06-09 주식회사 아이레보 건전지용 단자조립체
KR101925853B1 (ko) * 2017-07-04 2018-12-06 리모트솔루션주식회사 배터리 스프링 접촉 방식을 적용한 리모콘
KR20190048358A (ko) * 2017-10-31 2019-05-09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건전지 케이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428Y1 (ko) * 2013-08-12 2015-06-09 주식회사 아이레보 건전지용 단자조립체
KR101925853B1 (ko) * 2017-07-04 2018-12-06 리모트솔루션주식회사 배터리 스프링 접촉 방식을 적용한 리모콘
KR20190048358A (ko) * 2017-10-31 2019-05-09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건전지 케이스
KR102032270B1 (ko) * 2017-10-31 2019-10-15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건전지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26936B2 (en) Battery pack case
EP1333511B1 (en) Power source apparatus
US10376804B2 (en) Magnetic positioning light-emitting toy block
US7922525B2 (en) USB electrical connector
US7538516B2 (en) Separable connecting member for secondary battery module and method of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battery module by leveling voltage
KR100905391B1 (ko) 이차전지 모듈의 단자 연결부재
KR20080027505A (ko) 전지셀들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접속부재
JP5319165B2 (ja) 電池パック及び電池ケース
JP2003217710A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2012164598A (ja) バスバモジュール及び電源装置
KR101077874B1 (ko) 조립방식의 전기적 접속부재 및 이를 포함하고 있는이차전지 팩
WO2013124966A1 (ja) バスバモジュール及び電源装置
WO2022183874A1 (zh) 电池与用电设备
JP2006324350A (ja) 蓄電ユニット
KR200282770Y1 (ko) 건전지 수납장치의 전극 구조
US20060210871A1 (en) Short-circuit free battery receptacle
US5800212A (en) Plug-in type light bulb
CN218828159U (zh) 插座及连接器
JP2000149896A (ja) 異種乾電池収納ケース
US20220209334A1 (en) Battery module assembly
CN113675928A (zh) 移动电源
CN220856835U (zh) 插接结构、连接装置及电池模组
JP4075832B2 (ja) テーブルタップ
JP2021501965A (ja) 拡張型コネクタ組立体
CN211701579U (zh) 一种便于装配的便携式充电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