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5177A - 배터리 단자 접속 구조를 구비한 리모컨 - Google Patents

배터리 단자 접속 구조를 구비한 리모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5177A
KR20220145177A KR1020210051916A KR20210051916A KR20220145177A KR 20220145177 A KR20220145177 A KR 20220145177A KR 1020210051916 A KR1020210051916 A KR 1020210051916A KR 20210051916 A KR20210051916 A KR 20210051916A KR 20220145177 A KR20220145177 A KR 202201451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ontact
terminal
remote control
connection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1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4039B1 (ko
Inventor
서준호
이용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성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성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성전자
Priority to KR1020210051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4039B1/ko
Publication of KR20220145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51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4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4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3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7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s, computers, hand tools or pacemak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8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incorporated circuit board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단자 접속 구조를 구비한 리모컨은 바텀케이스에 위치하고, 내부에 배터리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배터리홀더, 배터리홀더의 일측 단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제1 격벽부, 및 제1 격벽부와 배터리홀더의 단부 사이에 형성된 제1 슬릿에 장착되는 제1 단자부를 포함하고, 제1 단자부는, 배터리의 극과 맞닿는 전극부, 전극부와 연결되고 제1 슬릿의 내측 둘레를 따라 벤딩 연장되는 벤딩부, 벤딩부와 연결되고 제1 격벽부에 형성된 홈부에 위치하는 연결부, 연결부에서 연장되고 PCB기판과 맞닿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단자 접속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터리 단자 접속 구조를 구비한 리모컨{REMOTE CONTROLLER WITH BATTERY TERMIANL CONNECTION STRUCTURE}
본 발명은 리모컨(Remote Controller)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리모컨의 조립만으로 배터리 단자를 PCB기판에 효율적으로 접속시켜 생산성이 개선된 배터리 단자 접속 구조를 구비한 리모컨에 관한 것이다.
TV, 에어컨, 오디오기기, 선풍기 등의 전자제품에는 일정 거리에서 무선으로 조종할 수 있는 장치로서 리모컨(Remote Controller)이 제공된다. 리모컨은 사용자가 직접 전자제품에 접근하지 않더라도, 해당 전자제품의 온/오프, 동작 모드 변경 등을 원거리에서 제어할 수 있으므로 전자제품의 사용상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리모컨은 케이스 밑면에 건전지 수납 공간을 포함하고, 건전지 수납 공간에는 건전지의 양극과 음극이 접속되는 단자들이 설치된다. 양극과 음극 단자들은 PCB기판과 납땜을 통해서 접촉되는데, 납땜 공정시 자동화 라인이 아닌 사람의 수작업에 의해 납땜 공정이 진행되어 시간이 많이 걸릴 뿐만 아니라 제조 단가가 올라갈 수 있고, 제품 품질이 고르지 않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건전지용 단자 조립함을 이용하여 장착하는 방식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단자 조립체와 연결된 연결구가 단자 조립체의 외부로 연장된 상태에서 PCB기판에 밀착되어야 하므로 결합핀, 나사 등을 이용하여 연결구를 고정시키는 수작업 공정이 추가되고, 연결구의 고정력이 떨어질 경우, PCB기판에 전류를 원활하게 공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실용 제20-047742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리모컨 건전지의 양극과 음극이 접속되는 단자들을 PCB기판에 고정시키기 위한 납땜 등의 수작업 공정을 생략하여, 작업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배터리 단자 접속 구조를 구비한 리모컨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건전지의 단자들과 연결된 접촉부와 PCB기판 사이의 접촉 면적을 넓혀 안정적으로 PCB기판에 전류를 공급하여 제품의 품질을 높일 수 있는 배터리 단자 접속 구조를 구비한 리모컨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건전지의 단자를 고정하기 위한 추가적인 구조를 생략하여, 리모컨의 전체적인 구조에 대한 제약이 없고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한 배터리 단자 접속 구조를 구비한 리모컨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단자 접속 구조를 구비한 리모컨은 바텀케이스에 위치하고, 내부에 배터리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배터리홀더, 배터리홀더의 일측 단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제1 격벽부, 및 제1 격벽부와 배터리홀더의 단부 사이에 형성된 제1 슬릿에 장착되는 제1 단자부를 포함하고, 제1 단자부는, 배터리의 극과 맞닿는 전극부, 전극부와 연결되고 제1 슬릿의 내측 둘레를 따라 벤딩 연장되는 벤딩부, 벤딩부와 연결되고 제1 격벽부에 형성된 홈부에 위치하는 연결부, 연결부에서 연장되고 배터리에서 공급된 전류를 PCB기판에 전달하는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극부와 접촉부는 상호 직교하며 위치할 수 있다. 접촉부는, 일측으로 돌출된 나선형 형상일 수 있다. 접촉부와 대향하며 위치하고, 접촉부를 PCB기판에 압착하는 누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누름부는 원통형 형상을 가지고, 접촉부의 내측원과 맞닿을 수 있다.
배터리홀더의 타측 단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제2 격벽부, 제2 격벽부와 배터리홀더의 단부 사이에 형성된 제2 슬릿에 장착되고 제1 단자부와 대향하며 위치하는 제2 단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단자부는, 배터리의 양극과 맞닿는 양극부, 배터리의 음극과 맞닿는 음극부, 제2 슬릿의 내측 둘레를 따라 벤딩 연장되고 양극부와 음극부를 상호 연결하는 이음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단자 접속 구조를 구비한 리모컨.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단자 접속 구조를 구비한 리모컨은 단자부 구조를 이용하여 리모컨의 조립만으로 건전지의 양극과 음극이 접속되는 단자들을 PCB기판과 접속시켜 작업의 효율을 높이고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또한, 단자부와 PCB기판 사이의 접촉 면적을 넓혀 리모컨 건전지로부터 공급된 전류를 PCB기판에 안정적으로 전달하여 제품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건전지에 단자를 고정하기 위한 구조를 생략하여 리모컨 형상에 제약을 줄일 수 있고, 리모컨의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단자 접속 구조를 구비한 리모컨의 일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단자 접속 구조를 구비한 리모컨의 바텀케이스의 일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단자 접속 구조를 구비한 리모컨의 제1 단자부의 일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단자 접속 구조를 구비한 리모컨의 제1 단자부 장착의 일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단자 접속 구조를 구비한 리모컨의 단면의 일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단자 접속 구조를 구비한 리모컨의 제2 단자부의 일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단자 접속 구조를 구비한 리모컨의 제2 단자부 장착의 일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단자 접속 구조를 구비한 리모컨이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단자 접속 구조를 구비한 리모컨의 일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단자 접속 구조를 구비한 리모컨의 바텀케이스의 일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단자 접속 구조를 구비한 리모컨의 제1 단자부의 일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단자 접속 구조를 구비한 리모컨의 제1 단자부 장착의 일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단자 접속 구조를 구비한 리모컨의 단면의 일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단자 접속 구조를 구비한 리모컨의 제2 단자부의 일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단자 접속 구조를 구비한 리모컨의 제2 단자부 장착의 일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단자 접속 구조를 구비한 리모컨(1)은 전면에 탑케이스(70) 및 후면에 커버(90)를 장착한 바텀케이스(60)가 상호 조립되면서 외형이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배터리홀더(10), 격벽부(20, 22), 단자부(30, 40), 누름부(50) 및 PCB기판(80)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홀더(10)는 바텀케이스(60)에 형성되고, 건전지 등의 배터리(12)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11)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홀더(10)는 y축 방향으로 길게 뻗는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배터리홀더(10)에는 y축으로 뻗으며 배터리홀더(10)의 내부를 분할하는 분할부(13)가 형성될 수 있다. 분할부(13)는 수용 공간(11)에 하나 이상의 배터리(12)가 수용될 경우, x축 방향에 대한 배터리들(12)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탑케이스(70)는 리모컨(1)의 상부 영역, 즉, 전면을 형성하는 구조물로, 리모컨(1)의 신호를 조작하는 버튼, 터치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바텀케이스(60)는 리모컨(1)의 하부 영역, 즉, 후면을 형성하는 구조물로, 배터리(12)가 수용되는 배터리홀더(10)가 형성될 수 있다.
배터리(12)에서 공급된 전류는 단자(30, 40)들을 통해 탑케이스(70)와 바텀케이스(60) 사이에 위치하는 PCB기판(80)에 전달될 수 있다. 커버(90)는 배터리홀더(10)에 배터리(12)가 수용된 상태에서 배터리홀더(10)를 덮으며 바텀케이스(60)에 탈부착 될 수 있다.
제1 격벽부(20)는 배터리홀더(10)의 일측 단부에서 배터리홀더(10)의 외측 방향을 따라 돌출되고, 제2 격벽부(22)는 배터리홀더(10)의 타측 단부에서 배터리홀더(10)의 외측 방향을 따라 돌출될 수 있다. 제1 격벽부(20)와 제2 격벽부(22)는 상호 대향하며 위치할 수 있다. 제1 격벽부(20)와 배터리홀더(10) 사이에는 제1 슬릿(2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격벽부(22)와 배터리홀더(10) 사이에는 제2 슬릿(23)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단자부(30)는 제1 슬릿(21)에 장착되고, 제2 단자부(40)는 제2 슬릿(23)에 장착될 수 있다. 제1 단자부(30)와 제2 단자부(40)는 전도성을 가지며 배터리(12)의 양극 및 음극과 상호 접속될 수 있다.
제1 단자부(30)가 제1 슬릿(21)에 장착된 상태에서 바텀케이스(60)와 탑케이스(70)가 조립될 경우, 제1 단자부(30)는 PCB기판(80)과 맞닿으며 배터리(12)에서 공급된 전류를 PCB기판(80)에 전달할 수 있다.
종래에는 단자를 PCB기판에 고정시키기 위해 납땜하거나, 나사 등의 추가적인 고정구를 이용하는 복잡한 수작업을 수행한다.
반면에, 배터리 단자 접속 구조를 구비한 리모컨(1)은 배터리홀더(10)에 제1 단자부(30)를 장착한 상태에서 바텀케이스(60)와 탑케이스(70)의 조립만으로도 제1 단자부(30)를 PCB기판(80)과 접속시킬 수 있어 작업의 효율을 높이고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6를 통하여 제1 단자부(30)의 구조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자부(30)는 전극부(31), 벤딩부(32), 연결부(33) 및 접촉부(34)를 포함할 수 있다. 전극부(31)는 양극부(31a)와 음극부(31b)로 구성될 수 있다. 양극부(31a)는 나선형 형상을 가지며 일측면이 평평한 형태로, 배터리(12)의 양극과 접속될 수 있으며, 음극부(31b)는 나선형 형상을 가지며 일측면에서 돌출된 형태로, 배터리(12)의 음극과 접속될 수 있다. 전극부(31)는 수용 공간(11)을 향한 방향으로 xz면에 위치할 수 있다.
전극부(31)가 양극부(31a)와 음극부(31b)로 구성되면 벤딩부(32), 연결부(33) 및 접촉부(34)는 각각 양극부(31a)와 음극부(31b)에서 연장될 수 있다. 벤딩부(32), 연결부(33) 및 접촉부(34)는 한 쌍으로, 각각 상호 z축 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벤딩부(32)는 양극부(31a) 또는 음극부(31b)의 일측과 연결되어 제1 슬릿(21)의 내측 둘레를 따라 벤딩 연장될 수 있다. 벤딩부(32)는 양극부(31a) 또는 음극부(31b)의 나선형의 가장 바깥쪽의 외측원인 최외곽원을 둘러싸며 위치할 수 있다. 벤딩부(32)는 제1 슬릿(21)에 삽입되고 수용 공간(11)을 향한 방향으로 xz면에 위치할 수 있다.
벤딩부(32)는 양극부(31a) 또는 음극부(31b)의 단부에서 z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x축 방향으로 벤딩 연장되고, 다시 z축 방향으로 벤딩 연장되고, x축 방향으로 벤딩 연장되어 전체적으로 사각형 형태일 수 있다. 벤딩부(32)는 사각형 형태를 이루는 네 개의 선분과 하나의 꼭짓점이 생략된 세 개의 꼭짓점으로 이루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사각형의 의미는 수학적으로 완전한 의미의 사각형이 아니라 전체적으로 볼 때 일견하여 사각형으로 인식될 수 있음을 의미하며, 본원 발명에서는 모두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연결부(33)는 벤딩부(32)와 연결되어 y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격벽홈(24)에 삽입될 수 있다. 연결부(33)의 일측은 벤딩부(32)와 연결되고 타측은 접촉부(34)와 연결될 수 있다.
접촉부(34)는 탄성을 가지며, PCB기판(80)을 향한 방향으로 돌출된 나선형 형상일 수 있다. 접촉부(34)는 가장 외측의 최외곽원에서 가장 내측의 최내곽원으로 갈수록 PCB기판(80)과의 이격거리가 작아지는 형상일 수 있다. 접촉부(34)는 전극부(31)와 상호 직교하는 xy면에 위치하고, 바텀케이스(60)와 탑케이스(70)가 조립되면, PCB기판(80)과 맞닿을 수 있다.
제1 격벽부(20)는 배터리홀더(10)의 일측 단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격벽부(20)의 측면 양단부는 배터리홀더(10)와 연결되고, 제1 격벽부(20)와 배터리홀더(10) 사이에는 제1 슬릿(2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슬릿(21)은 z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 슬릿(slit) 형상을 가지며 구획부(25)를 중심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구획부(25)를 중심으로 대칭되는 한 쌍의 제1 슬릿(21)에는 각각 양극부(31a)와 음극부(31b)가 삽입되어 수용 공간(11)을 향한 방향으로 위치하면서 배터리(12)의 양극 및 음극에 접속될 수 있다.
벤딩부(32)는 제1 슬릿(21)에 삽입되어 제1 슬릿(21)의 내측 둘레를 따라 위치하면서 제1 슬릿(21)의 좌측면, 하부면, 우측면, 상부면과 모두 맞닿으며 걸림 고정될 수 있으므로, y축 방향에 대한 제1 단자부(30)의 이동을 방지하면서 제1 슬릿(21)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제1 격벽부(20)의 상부에는 z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 홈 형상의 격벽홈(24)이 형성될 수 있다. 격벽홈(24)에는 연결부(33)가 삽입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격벽홈(24)은 연결부(33)의 x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단자부(30)는 제1 슬릿(21)에 의해 y축 방향에 대한 이동이 제한되고, 격벽홈(24)에 의해 x축 방향에 대한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바텀케이스(60)와 탑케이스(70)가 조립될 경우, 제1 단자부(30)는 PCB기판(80)과 맞닿으며 z축 방향에 대한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즉, 제1 단자부(30)는 모든 방향에 대한 이동이 제한되어 바텀케이스(6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므로, 리모컨(1)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제1 단자부(30)의 위치가 변하지 않아 배터리(12)에서 공급된 전류를 PCB기판(80)에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제품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누름부(50)는 배터리홀더(10)의 외측에서 접촉부(34)와 대향하며 위치할 수 있다. 누름부(50)는 리브부(51)를 통해 제1 격벽부(20)와 연결될 수 있다. 리브부(51)의 일측은 제1 격벽부(20)와 연결되고, 타측은 누름부(50)와 연결될 수 있다. 리브부(51)는 하나 이상으로 누름부(50)의 측면에 형성되어 누름부(50)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텀케이스(60)와 탑케이스(70)가 조립될 경우, 누름부(50)는 접촉부(34)를 PCB기판(80)을 향해 압착하여 배터리(12)에서 공급된 전류를 PCB기판(80)에 전달할 수 있다.
누름부(50)는 원통형 형상을 가지며 접촉부(34)의 가장 내측의 최내곽원과 맞닿을 수 있다. 누름부(50)의 지름(d1)은 접촉부(34)의 최내곽원의 지름(d2)과 같거나 클 수 있다. 누름부(50)의 지름(d1)은 접촉부(34)의 가장 외측의 최외곽원의 지름(d3)보다 작을 수 있다.
접촉부(34)의 최내곽원은 PCB기판(80)과 가장 가깝게 위치하고 이 상태에서 누름부(50)가 접촉부(34)의 최내곽원을 압착하면 접촉부(34)의 탄성에 의해 나머지 나선형원들도 함께 압착될 수 있다. 접촉부(34)가 누름부(50)에 의해 압착되면, 접촉부(34)와 PCB기판(80)사이에 컨택부(35)가 형성될 수 있다. 컨택부(35)는 PCB기판(80)과 0.1mm 내지 0.3mm로 오버랩 되면서 배터리(12)로부터 공급된 전류를 PCB기판(80)에 전달할 수 있다.
컨택부(35)는 접촉부(34)의 나선형 형상에 따라 동심원 형상으로 PCB기판(80)과 컨택될 수 있으므로, 접촉부(34)와 PCB기판(80) 사이의 접촉 면적이 커져 배터리(12)로부터 공급된 전류를 PCB기판(80)에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배터리 단자 접속 구조를 구비한 리모컨(1)은 배터리홀더(10)에 제1 단자부(30)를 장착한 상태에서 바텀케이스(60)와 탑케이스(70)의 조립만으로도 접촉부(34)를 PCB기판(80)과 접속시킬 수 있으므로 종래의 단자들을 PCB기판에 고정시키기 위한 납땜 등의 수작업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을 증가시키고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또한, 단자들을 고정하기 위한 홀 등의 추가적인 구조를 생략하여, 리모컨의 전체적인 구조에 대한 제약을 줄이고 리모컨의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통하여 제2 단자부(40)의 구조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단자부(40)는 전극부(41), 지지부(42) 및 이음부(43)를 포함할 수 있다. 전극부(41)는 양극부(41a)와 음극부(41b)로 구성될 수 있다. 양극부(41a)는 나선형 형상을 가지며 일측면이 평평한 형태로, 배터리(12)의 양극과 접속될 수 있으며, 음극부(41b)는 나선형 형상을 가지며 일측면에서 돌출된 형태로, 배터리(12)의 음극과 접속될 수 있다. 전극부(41)는 수용 공간(11)을 향한 방향으로 xz면에 위치할 수 있다.
지지부(42)는 양극부(41a)와 음극부(41b)에서 z축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지지부(42)는 한 쌍으로, 양극부(41a)와 음극부(41b)의 일측과 각각 연결되어 제2 슬릿(23)의 내측 둘레를 따라 벤딩 연장될 수 있다. 지지부(42)는 양극부(41a) 와 음극부(41b)의 나선형의 최외곽원의 측면과 대향하며 위치할 수 있다. 지지부(42)는 제2 슬릿(23)의 측면과 맞닿을 수 있다.
지지부(42)는 양극부(41a)와 음극부(41b)의 단부에서 z축 방향으로 뻗으며 x축 방향으로 벤딩 연장되는 형태일 수 있다. 한 쌍의 지지부(42)는 이음부(43)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제2 격벽부(22)는 배터리홀더(10)의 타측 단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격벽부(22)의 측면 단부는 배터리홀더(10)와 연결되고, 제2 격벽부(22)와 배터리홀더(10) 사이에는 제2 슬릿(23)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슬릿(23)은 z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 슬릿(slit) 형상을 가지며 구획부(25)를 중심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구획부(25)를 중심으로 대칭되는 한 쌍의 제2 슬릿(23)에는 각각 양극부(41a)와 음극부(41b)가 삽입되어 수용 공간(11)을 향한 방향으로 위치하면서 배터리(12)의 양극 및 음극에 접속될 수 있다.
지지부(42)는 양극부(41a) 또는 음극부(41b)에서 연장되어 제2 슬릿(23)의 측면과 상부면에 대향하며 위치하고, 지지부(42)에서 연장된 이음부(43)는 제2 슬릿(23)의 상부면에 대향하며 위치할 수 있다.
지지부(42)는 제2 슬릿(23)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 슬릿(23)의 내측 둘레를 따라 위치하므로 y축 방향에 대한 제2 단자부(40)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배터리홀더
11: 수용 공간
12. 배터리
13. 분할부
20: 제1 격벽부
21: 제1 슬릿
22: 제2 격벽부
23: 제2 슬릿
24: 격벽홈
25. 구획부
30: 제1 단자부
31: 전극부
32: 벤딩부
33: 연결부
34: 접촉부
35: 컨택부
40: 제2 단자부
41: 전극부
42: 지지부
43: 이음부
50: 누름부
51: 리브부
60: 바텀케이스
70: 탑케이스
80: PCB기판
90: 커버

Claims (7)

  1. 바텀케이스에 위치하고, 내부에 배터리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배터리홀더,
    상기 배터리홀더의 일측 단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제1 격벽부, 및
    상기 제1 격벽부와 상기 배터리홀더의 단부 사이에 형성된 제1 슬릿에 장착되는 제1 단자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자부는,
    배터리의 극과 맞닿는 전극부,
    상기 전극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슬릿의 내측 둘레를 따라 벤딩 연장되는 벤딩부,
    상기 벤딩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격벽부에 형성된 홈부에 위치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배터리에서 공급된 전류를 PCB기판에 전달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단자 접속 구조를 구비한 리모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와 상기 접촉부는 상호 직교하며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단자 접속 구조를 구비한 리모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일측으로 돌출된 나선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단자 접속 구조를 구비한 리모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와 대향하며 위치하고, 상기 접촉부를 상기 PCB기판에 압착하는 누름부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단자 접속 구조를 구비한 리모컨.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는 원통형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접촉부의 내측원과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단자 접속 구조를 구비한 리모컨.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홀더의 타측 단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제2 격벽부, 상기 제2 격벽부와 상기 배터리홀더의 단부 사이에 형성된 제2 슬릿에 장착되고 상기 제1 단자부와 대향하며 위치하는 제2 단자부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단자 접속 구조를 구비한 리모컨.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자부는, 상기 배터리의 양극과 맞닿는 양극부, 상기 배터리의 음극과 맞닿는 음극부, 상기 제2 슬릿의 내측 둘레를 따라 벤딩 연장되고 상기 양극부와 상기 음극부를 상호 연결하는 이음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단자 접속 구조를 구비한 리모컨.
KR1020210051916A 2021-04-21 2021-04-21 배터리 단자 접속 구조를 구비한 리모컨 KR102534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916A KR102534039B1 (ko) 2021-04-21 2021-04-21 배터리 단자 접속 구조를 구비한 리모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916A KR102534039B1 (ko) 2021-04-21 2021-04-21 배터리 단자 접속 구조를 구비한 리모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5177A true KR20220145177A (ko) 2022-10-28
KR102534039B1 KR102534039B1 (ko) 2023-05-18

Family

ID=83835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1916A KR102534039B1 (ko) 2021-04-21 2021-04-21 배터리 단자 접속 구조를 구비한 리모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403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6454A (ja) * 1996-05-14 1997-11-28 Nec Shizuoka Ltd 小型電子機器の電池用端子とその保持構造
JPH1145692A (ja) * 1997-07-29 1999-02-16 Oki Electric Ind Co Ltd 携帯型電子機器における給電端子
KR200477428Y1 (ko) 2013-08-12 2015-06-09 주식회사 아이레보 건전지용 단자조립체
KR20150065299A (ko) * 2013-12-05 2015-06-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모듈
KR101925853B1 (ko) * 2017-07-04 2018-12-06 리모트솔루션주식회사 배터리 스프링 접촉 방식을 적용한 리모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6454A (ja) * 1996-05-14 1997-11-28 Nec Shizuoka Ltd 小型電子機器の電池用端子とその保持構造
JPH1145692A (ja) * 1997-07-29 1999-02-16 Oki Electric Ind Co Ltd 携帯型電子機器における給電端子
KR200477428Y1 (ko) 2013-08-12 2015-06-09 주식회사 아이레보 건전지용 단자조립체
KR20150065299A (ko) * 2013-12-05 2015-06-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모듈
KR101925853B1 (ko) * 2017-07-04 2018-12-06 리모트솔루션주식회사 배터리 스프링 접촉 방식을 적용한 리모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4039B1 (ko) 2023-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362451B (zh) 具有双向插接功能的插座连接器
WO2011064639A1 (en) Screw terminal and receptacle including same
US20180366889A1 (en) Charging connector
JP3914361B2 (ja) ヒュージブルリンクと外部端子の接続構造
WO2011064640A1 (en) Plug-pin receiving member and receptacle including same
US20170085036A1 (en) Electrical receptacle connector
US10153604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n insulating body integral with a housing
KR20220145177A (ko) 배터리 단자 접속 구조를 구비한 리모컨
US11489296B2 (en) Power supply
TW201826652A (zh) 配線器具
US11121483B2 (en) Terminal holder, wire harness, and fixing structure
JP2019204577A (ja) コネクタ
TWI672870B (zh) 配線器具
CN209169550U (zh) 电源插座和电子装置
KR102294222B1 (ko) 배터리 누액 방지 구조를 구비한 리모컨
JP2019128977A (ja) 電気コネクタ
US20240063595A1 (en) Power supply module and ac adapter
CN215771371U (zh) 电池包和电子设备
CN217825019U (zh) 信号转换装置
CN219761686U (zh) 电器元件装配模组和充电设备
US20230125535A1 (en) Wireless charger with magnetic locating function
CN113950166B (zh) 无线传输终端及移动终端设备
CN212225065U (zh) 智能门系统
CN216436053U (zh) 一种电池与潜望镜探头一体化装配结构
CN219998088U (zh) 用于开关装置的联接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