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4222B1 - 배터리 누액 방지 구조를 구비한 리모컨 - Google Patents

배터리 누액 방지 구조를 구비한 리모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4222B1
KR102294222B1 KR1020200044265A KR20200044265A KR102294222B1 KR 102294222 B1 KR102294222 B1 KR 102294222B1 KR 1020200044265 A KR1020200044265 A KR 1020200044265A KR 20200044265 A KR20200044265 A KR 20200044265A KR 102294222 B1 KR102294222 B1 KR 102294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battery holder
bottom case
contact
remot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4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준호
오진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성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성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성전자
Priority to KR1020200044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42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4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4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8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ortable, e.g. battery operated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누액 방지 구조를 구비한 리모컨은 바텀케이스에 형성된 장착홀에 삽입되고, 내부에 배터리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배터리홀더, 배터리홀더의 단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고정부, 고정부와 배터리홀더의 단부 사이에 형성된 슬릿에 장착되는 단자부, 및 장착홀을 구획하는 바텀케이스의 내측면을 따라 바텀케이스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스커트부를 포함하고, 스커트부의 내측면은 배터리홀더의 외측면과 맞닿아 고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배터리 누액 방지 구조를 구비한 리모컨{REMOTE CONTROLLER WITH BATTERY LEAKAGE PREVENTION STRUCTURE}
본 발명은 리모컨(Remote Controller)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리모컨의 배터리에서 발생될 수 있는 배터리 누액을 방지하고 강성이 개선된 배터리 누액 방지 구조를 구비한 리모컨에 관한 것이다.
TV, 에어컨, 오디오기기, 선풍기 등의 전자제품에는 일정 거리에서 무선으로 조종할 수 있는 장치로서 리모컨(Remote Controller)이 제공된다. 리모컨은 사용자가 직접 전자제품에 접근하지 않더라도, 해당 전자제품의 온/오프, 동작 모드 변경 등을 원거리에서 제어할 수 있으므로 전자제품의 사용상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컨을 구성하는 바텀케이스(C)에는 배터리가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는 공간부(S)가 마련된다. 그리고 공간부(S)를 구획하는 바텀케이스(C)의 일측 및 타측에는 배터리 양극 또는 음극과 접촉되는 금속단자(T1, T2)가 장착된다.
여기서, 금속단자(T1, T2)는 바텀케이스(C)의 바닥면에 형성된 개구부(H)를 통하여 바텀케이스(C)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장착될 수 있다.
즉,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하여, 금속단자(T1, T2)는 개구부(H)를 통해 바텀케이스(C)의 내측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바텀케이스(C)의 일측 및 타측에 장착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한편, 리모컨을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배터리에서 누액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배터리에서 누출된 누액이 개구부(H)를 통해 PCB기판에 유입되어 PCB기판을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배터리 누액 과정에서 누전이 발생되어 리모컨 내부 구성요소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심각하게는 화재 및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 10-048923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터리가 수용된 배터리홀더를 통해 배터리에서 발생된 누액이 PCB기판에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배터리 누액 방지 구조를 구비한 리모컨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단자부를 배터리홀더에 장착시키는 고정부를 통해 바텀케이스에 개구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생략하여, 작업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배터리 누액 방지 구조를 구비한 리모컨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탄성을 가지는 걸림부를 통해 배터리홀더가 장착홀에 유연하게 삽입되어 삽입의 용이성이 높은 배터리 누액 방지 구조를 구비한 리모컨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누액 방지 구조를 구비한 리모컨은 바텀케이스에 형성된 장착홀에 삽입되고, 내부에 배터리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배터리홀더, 배터리홀더의 단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고정부, 고정부와 배터리홀더의 단부 사이에 형성된 슬릿에 장착되는 단자부, 및 장착홀을 구획하는 바텀케이스의 내측면을 따라 바텀케이스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스커트부를 포함하고, 스커트부의 내측면은 배터리홀더의 외측면과 맞닿아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단자부는, 고정부의 내측면에 위치하는 삽입면, 삽입면과 연결되고 고정부의 상측면을 감싸며 고정부의 외측면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벤딩 연장되는 벤딩면 및 벤딩면과 연결되고 PCB기판과 맞닿는 접촉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접촉면은, 벤딩면의 단부에서 고정부의 하측면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고정부는, 고정부의 외면에 위치하고, 고정부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 및 돌출부의 상면에서 돌출된 끼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면은, 벤딩면의 단부에서 돌출부의 상면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돌출부의 측면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벤딩 연장되고, PCB기판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벤딩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텀케이스는, 바텀케이스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고 접촉면의 상부와 맞닿는 누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스커트부는, 스커트부의 단부에서 스커트부가 돌출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장착홀과 대향하는 위치로 연장되는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스커트부는, 일방향으로 오목한 한 쌍의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는, 한 쌍의 홈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걸림부는, 배터리홀더가 장착홀에 삽입될 경우, 배터리홀더의 하측면과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누액 방지 구조를 구비한 리모컨은 배터리에서 발생되는 누액이 PCB기판에 유입되어 리모컨 내부 구성요소에 악영향을 미치는 상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누액 방지 구조를 구비한 리모컨은 배터리홀더와 바텀케이스 사이의 견고한 체결력을 가질 수 있고, 배터리홀더와 바텀케이스 간의 유동을 줄여 조립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바텀케이스에 개구부를 형성하여 단자부를 바텀케이스의 내부에 위치시키는 공정을 생략하여 작업 효율을 높이고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누액 방지 구조를 구비한 리모컨의 일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누액 방지 구조를 구비한 리모컨의 배터리홀더, 고정부 및 단자부의 일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누액 방지 구조를 구비한 리모컨의 일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누액 방지 구조를 구비한 리모컨의 일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누액 방지 구조를 구비한 리모컨의 배터리홀더, 고정부 및 단자부의 일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누액 방지 구조를 구비한 리모컨의 일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종래의 리모컨의 바텀케이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누액 방지 구조를 구비한 리모컨이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누액 방지 구조를 구비한 리모컨의 일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누액 방지 구조를 구비한 리모컨의 배터리홀더, 고정부 및 단자부의 일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누액 방지 구조를 구비한 리모컨의 일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누액 방지 구조를 구비한 리모컨의 일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누액 방지 구조를 구비한 리모컨의 배터리홀더, 고정부 및 단자부의 일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누액 방지 구조를 구비한 리모컨의 일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누액 방지 구조를 구비한 리모컨(1)은 배터리홀더(10), 고정부(20), 분리형단자부(30) 및 바텀케이스(40)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홀더(10)는 수용 공간(11)을 포함하고, 수용 공간(11)에 건전지 등의 배터리(14)를 수용할 수 있다. 고정부(20)는 배터리홀더(10)의 단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고정부(20)는 슬릿(21)을 포함할 수 있다.
분리형단자부(30)는 슬릿(21)에 장착될 수 있다. 분리형단자부(30)는 전도성을 가지며, 배터리(14)의 양극 및 음극과 상호 접속될 수 있다. 분리형단자부(30)는 배터리(14)로부터 공급된 전류를 PCB기판(51)에 전달할 수 있다.
배터리홀더(10)는 배터리(14)를 수용하고, 고정부(20)를 통해 분리형단자부(30)가 장착된 상태에서 바텀케이스(40)와 한번에 결합할 수 있다.
종래에는 단자를 바텀케이스에 고정시키기 위해 바텀케이스에 개구부를 형성하는 공정 및 개구부를 통해 단자를 바텀케이스의 내측으로 위치시켜 납땜을 하는 공정 등의 복잡한 작업을 수행한다.
반면에, 배터리 누액 방지 구조를 구비한 리모컨(1)은 배터리홀더(10)에 분리형단자부(30)를 장착한 상태에서 바텀케이스(40)와 한번에 결합될 수 있으므로, 작업 시간을 줄이고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배터리 누액 방지 구조를 구비한 리모컨(1)은 바텀케이스에 개구부가 형성되지 않으며, 배터리홀더(10)가 배터리(14)의 외면을 감싸며 위치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14)에서 발생될 수 있는 누액이 PCB기판(51)에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바텀케이스(40)는 리모컨(1)의 하부 영역을 형성하는 구조물일 수 있다. 바텀케이스(40)는 리모컨(1)의 상부 영역을 형성하는 탑케이스(50)와 결합될 수 있다. 탑케이스(50)는 버튼, 터치패드 등의 리모컨(1)의 신호를 조작하는 조작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바텀케이스(40)와 탑케이스(50)의 사이에는 PCB기판(51)이 마련될 수 있다.
바텀케이스(40)는 스커트부(41), 장착홀(42), 걸림부(43), 홈부(44) 및 리브부(47)를 포함할 수 있다. 스커트부(41)는 장착홀(42)을 구획하는 바텀케이스(40)의 내측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스커트부(41)는 바텀케이스(40)의 내측으로 z축 방향을 따라 돌출될 수 있다. 배터리홀더(10)가 장착홀(42)에 삽입될 경우, 스커트부(41)의 내측면은 배터리홀더(10)의 외측면과 맞닿아 고정될 수 있다.
장착홀(42)은 바텀케이스(40)를 관통할 수 있다. 장착홀(42)은 y축 방향으로 길게 뻗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바텀케이스(40)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배터리홀더(10)와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걸림부(43) 스커트부(41)의 단부에서 스커트부(41)가 돌출된 방향과 교차하는 x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장착홀(42)과 대향하는 위치로 연장될 수 있다. 걸림부(43)는 한 쌍으로, 상호 마주보며 위치할 수 있다. 배터리홀더(10)가 장착홀(42)에 삽입되면, 걸림부(43)는 배터리홀더(10)의 하측면과 맞닿아 배터리홀더(10)의 z축 방향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홈부(44)는 스커트부(41)에서 z축 방향으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홈부(44)는 한 쌍일 수 있다. 걸림부(43)는 한 쌍의 홈부(44)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홈부(44)는 걸림부(43)의 양단에 위치하면서 걸림부(43)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이에, 장착홀(42)에 배터리홀더(10)를 삽입할 경우, 걸림부(43)와 배터리홀더(10) 간의 간섭이 발생할지라도, 걸림부(43)가 탄성을 가지며 유연하게 움직일 수 있으므로 장착홀(42)에 배터리홀더(10)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리브부(47)는 장착홀(42)을 구획하는 바텀케이스(40)의 외주면을 따라 장착홀(42)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배터리홀더(10)가 장착홀(42)에 삽입되면, 리브부(47)는 배터리홀더(10)의 상측면과 맞닿아 배터리홀더(10)의 z축 방향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배터리홀더(10)는 하측면이 걸림부(43)와 맞닿고, 상측면이 리브부(47)와 맞닿아, 장착홀(42)에 삽입된 상태에서 바텀케이스(4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므로, 조립 품질을 높일 수 있다.
커버(60)는 배터리홀더(10)가 바텀케이스(40)에 삽입된 상태에서 배터리홀더(10)의 상부를 덮을 수 있다. 커버(60)는 제1 결합체(61) 및 제2 결합체(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체(61)는 커버(60)의 일측 단부에서 z축 방향으로 길게 돌출되고, 상측에는 y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y축 방향을 따라 유동이 가능한 고리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체(61)는 바텀케이스(40)에 형성된 제1 결합홈(45)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결합체(61)의 고리를 이용하여 커버(60)를 바텀케이스(40)에서 탈부착 시킬 수 있다. 제2 결합체(62)는 커버(60)의 타측 단부에서 y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결합체(62)는 제2 결합홈(46)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통하여 배터리홀더(10), 고정부(20) 및 분리형단자부(30)의 구조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홀더(10)는 수용 공간(11), 분할부(12) 및 안착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홀더(10)는 y축 방향으로 길게 뻗는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배터리홀더(10)는 배터리(14)(도 1에 도시, 이하 동일)가 고정되는 수용 공간(11)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홀더(10)는 배터리(14)의 하측면과 양측면을 둘러싸며 위치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14)에서 누액이 발생하더라도, 누액이 PCB기판(51)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분할부(12)는 y축으로 뻗으며 배터리홀더(10)의 내부를 분할하는 격벽일 수 있다. 분할부(12)는 배터리홀더(10)의 내부의 하부면에서 z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수용 공간(11)에 하나 이상의 배터리(14)가 수용될 경우, 분할부(12)는 배터리들(14) 사이에 형성되어 x축 방향에 대한 배터리들(14)의 유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안착부(13)는 x축으로 뻗으며 배터리가 안착되는 격벽일 수 있다. 안착부(13)는 배터리홀더(10)의 내부의 하부면에서 z축 방향을 따라 원호(Circular Arc)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안착부(13)의 일측은 배터리홀더(10)의 내측면과 연결되고 타측은 분할부(12)와 연결될 수 있다. 안착부(13)는 한 쌍 이상으로, 분할부(12)를 기준으로 대칭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13)가 대칭으로 배터리홀더(10)에 형성될 경우, 리브의 기능을 가질 수 있으므로 배터리홀더(10)의 강성이 높아질 수 있다.
수용 공간(11)에 수용된 배터리(14)가 건전지일 경우, 건전지의 원통형 외면이 안착부(13)의 원호 형상과 맞닿을 수 있으므로, 건전지와 안착부(13) 사이의 밀착성을 높여 고정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안착부(13)는 배터리홀더(10) 내부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으며, 배터리홀더(10)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외력을 흡수하여 건전지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고정부(20)는 배터리홀더(10)의 단부에서 y축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고정부(20)는 분리형단자부(30)를 배터리홀더(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부(20)는 한 쌍으로, 각각 배터리홀더(10)의 일측과 타측 단부에서 배터리홀더(10)의 외측 방향을 따라 돌출될 수 있다. 고정부(20)는 슬릿(21), 돌출부(24) 및 끼움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슬릿(21)은 고정부의 일측에 위치하고, z축 방향으로 오목한 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슬릿(21)은 고정부(20)와 배터리홀더(1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슬릿(21)에는 분리형단자부(30)가 삽입될 수 있다. 슬릿(21)이 x축과 동일선상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경우, 슬릿들(21a, 21b) 사이에는 연통부(22)가 형성될 수 있다. 연통부(22)는 z축 방향으로 오목한 홈 형상을 가지며, 슬릿들(21a, 21b)을 상호 연통할 수 있다.
돌출부(24)는 고정부(20)의 외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돌출부(24)는 한 쌍으로, 고정부(20)의 외측면에서 y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끼움부(25)는 돌출부(24)의 상면에 위치할 수 있다. 끼움부(25)는 돌출부(24)의 상면에서 z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끼움부(25)는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끼움부(25)에는 융착홀(38)이 삽입될 수 있다.
일체형단자부(70)는 평단자(71)와 스프링단자(72)를 포함할 수 있다. 평단자(71)는 일측면이 평평한 형태로, 배터리(14)의 양극과 접속될 수 있다. 스프링단자(72)는 일측면에서 나선형 형태로 돌출된 형태로, 배터리(14)의 음극과 접속될 수 있다.
평단자(71)와 스프링단자(72)는 전도성을 가지는 연결부(33)를 통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평단자(71)와 스프링단자(72)는 각각 슬릿(21a, 21b)에 삽입되고, 연결부(33)는 연통부(22)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연통부(22)는 걸림턱(미도시)을 포함하여 연결부(33)를 고정부(20)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형단자부(30)는 삽입면(34), 벤딩면(35) 및 접촉면(39)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면(34)은 평단자(31) 또는 스프링단자(32)의 일측과 연결될 수 있다. 삽입면(34)은 슬릿(21)에 삽입되고 고정부(20)의 내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벤딩면(35)은 삽입면(34)과 연결되고, 고정부(20)의 상측면을 감싸며 고정부(20)의 외측면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벤딩되며 연장될 수 있다.
접촉면(39)은 벤딩면(35)의 단부에서 돌출부(24)의 상면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돌출부(24)의 측면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벤딩 연장되고, PCB기판(51)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벤딩 연장될 수 있다. 접촉면(39)은 벤딩 부위가 1개 이상인 계단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접촉면(39)의 최하단면은 PCB기판(51)과 맞닿을 수 있다.
접촉면(39)은 컨택부(37) 및 융착홀(38)을 포함할 수 있다. 컨택부(37)는 접촉면(39)의 PCB기판(51)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벤딩 연장된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컨택부(37)는 PCB기판(51)과 연결될 수 있다. 컨택부(37)는 PCB기판(51)과 0.1mm 내지 0.3mm로 오버랩 되면서 배터리(14)로부터 공급된 전류를 PCB기판(51)에 전달할 수 있다.
융착홀(38)은 접촉면(39)의 돌출부(24)의 상면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면에 형성되고, 접촉면(39)을 z축 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다. 융착홀(38)에는 돌출부(24)의 상면에 형성된 끼움부(25)가 삽입될 수 있다. 접촉면(39)은 융착홀(38)에 끼움 고정될 수 있으며, 접촉면(39)은 융착홀(38)에 끼움부(25)가 삽입된 상태에서 초음파 융착에 의해 돌출부(24)와 결합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텀케이스(40)는 홀딩부(48) 및 누름부(49)를 포함할 수 있다. 홀딩부(48)는 바텀케이스(40)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홀딩부(48)는 고정부(20)의 상면 및 측면에 대향하며 위치하는 기역(ㄱ)자 형상일 수 있다. 누름부(49)는 바텀케이스(40)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누름부(49)는 접촉면(39)의 상부와 맞닿으며 위치할 수 있다.
분리형단자부(30)가 배터리홀더(10)에 장착된 상태에서 바텀케이스(40)와 결합할 경우, 홀딩부(48)는 고정부(20)의 상부 및 측부에 위치하며, 고정부(20)가 유동하지 않도록 홀딩 할 수 있다. 이에, 배터리홀더(10) 및 고정부(20)의 리모컨(1)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으며 기계적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누름부(49)는 접촉면(39)의 상부를 누르면서 컨택부(37)가 PCB기판(51)과 연결된 상태를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컨택부(37)가 배터리(14)로부터 공급된 전류를 PCB기판(51)에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도 5및 도 6에서는 접촉면(36)을 제외하고는 도 2의 분리형단자부(30)와 유사하므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면(36)은 벤딩면(35)의 단부와 연결되고, 고정부(20)의 하측면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접촉면(36)은 PCB기판(51)과 맞닿을 수 있다. 접촉면(36)은 컨택부(37) 및 융착홀(38)을 포함할 수 있다.
컨택부(37)는 PCB기판(51)과 0.1mm 내지 0.3mm로 오버랩 되면서 배터리(14)로부터 공급된 전류를 PCB기판(51)에 전달할 수 있다. 융착홀(38)은 접촉면(36)을 z축 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다. 융착홀(38)에는 고정부(20)의 하면에 형성된 융착부(23)가 삽입될 수 있다. 접촉면(36)은 융착홀(38)에 융착부(23)가 삽입된 상태에서 초음파 융착에 의해 고정부(20)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분리형단자부(30)는 삽입면(34), 벤딩면(35) 및 접촉면(36)을 통해 고정부(20)의 네 면(내측면, 상측면, 외측면, 하측면)을 둘러싸면서 고정부(2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배터리홀더 11: 수용 공간
12: 분할부 13: 안착부
14: 배터리 20: 고정부
21: 슬릿 22: 연통부
23: 융착부 24. 돌출부
25. 끼움부 30: 단자부
31: 평단자 32: 스프링단자
33: 연결부 34: 삽입면
35: 벤딩면 36: 접촉면
37: 컨택부 38: 융착홀
40: 바텀케이스 41: 스커트부
42: 장착홀 43: 걸림부
44: 홈부 45, 46: 결합홈
47. 리브부 48. 홀딩부
49. 누름부 50: 탑케이스
51: PCB기판 52: 조작부
60: 커버 61, 62: 결합체

Claims (10)

  1. 바텀케이스에 형성된 장착홀에 삽입되고, 내부에 배터리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배터리홀더,
    상기 배터리홀더의 단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와 상기 배터리홀더의 단부 사이에 형성된 슬릿에 장착되는 분리형단자부, 및
    상기 장착홀을 구획하는 상기 바텀케이스의 내측면을 따라 상기 바텀케이스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스커트부
    를 포함하고,
    상기 스커트부의 내측면은 상기 배터리홀더의 외측면과 맞닿아 고정되고,
    상기 분리형단자부는, 상기 고정부의 내측면에 위치하는 삽입면, 상기 삽입면과 연결되고 상기 고정부의 상측면을 감싸며 상기 고정부의 외측면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벤딩 연장되는 벤딩면 및 상기 벤딩면과 연결되고 PCB기판과 맞닿는 접촉면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부의 외면에 위치하고, 상기 고정부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의 상면에서 돌출된 끼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면은, 상기 벤딩면의 단부에서 상기 돌출부의 상면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돌출부의 측면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벤딩 연장되고, 상기 PCB기판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벤딩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누액 방지 구조를 구비한 리모컨.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은, 상기 벤딩면의 단부에서 상기 고정부의 하측면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액 방지 구조를 구비한 리모컨.
  4. 삭제
  5. 삭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케이스는, 상기 바텀케이스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접촉면의 상부와 맞닿는 누름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누액 방지 구조를 구비한 리모컨.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부는, 상기 스커트부의 단부에서 상기 스커트부가 돌출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장착홀과 대향하는 위치로 연장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누액 방지 구조를 구비한 리모컨.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부는, 일방향으로 오목한 한 쌍의 홈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누액 방지 구조를 구비한 리모컨.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한 쌍의 홈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누액 방지 구조를 구비한 리모컨.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배터리홀더가 상기 장착홀에 삽입될 경우, 상기 배터리홀더의 하측면과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누액 방지 구조를 구비한 리모컨.
KR1020200044265A 2020-04-10 2020-04-10 배터리 누액 방지 구조를 구비한 리모컨 KR102294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4265A KR102294222B1 (ko) 2020-04-10 2020-04-10 배터리 누액 방지 구조를 구비한 리모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4265A KR102294222B1 (ko) 2020-04-10 2020-04-10 배터리 누액 방지 구조를 구비한 리모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4222B1 true KR102294222B1 (ko) 2021-08-26

Family

ID=77465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4265A KR102294222B1 (ko) 2020-04-10 2020-04-10 배터리 누액 방지 구조를 구비한 리모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422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5723Y1 (ko) * 1987-09-03 1990-06-28 주식회사 금성사 사출금형의 2단 취출장치
JPH10106522A (ja) * 1996-09-30 1998-04-24 Nec Corp 電池保持機構
KR100489235B1 (ko) 2000-11-02 2005-05-17 주식회사 포스코 연속주조기의 전자기제동장치
JP2018042169A (ja) * 2016-09-09 2018-03-15 日本精機株式会社 遠隔操作装置
JP2019220272A (ja) * 2018-06-15 2019-12-26 古河ユニック株式会社 電池収容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5723Y1 (ko) * 1987-09-03 1990-06-28 주식회사 금성사 사출금형의 2단 취출장치
JPH10106522A (ja) * 1996-09-30 1998-04-24 Nec Corp 電池保持機構
KR100489235B1 (ko) 2000-11-02 2005-05-17 주식회사 포스코 연속주조기의 전자기제동장치
JP2018042169A (ja) * 2016-09-09 2018-03-15 日本精機株式会社 遠隔操作装置
JP2019220272A (ja) * 2018-06-15 2019-12-26 古河ユニック株式会社 電池収容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362451B (zh) 具有双向插接功能的插座连接器
US5645451A (en) Waterproof tap for a connector
KR20160025446A (ko) 전기 커넥터 조립체
US10136539B2 (en) Electronic component assembly structure and electronic component
JP3914361B2 (ja) ヒュージブルリンクと外部端子の接続構造
WO2018155182A1 (ja) 蓄電ユニット
JP2015072797A (ja) コネクタ
KR102294222B1 (ko) 배터리 누액 방지 구조를 구비한 리모컨
CN113555705B (zh) 电源供应器
JP2020077629A (ja) 多機能高圧コネクタ及び電池製品
JP2004342581A (ja) 電気コネクタ
CN217089624U (zh) 一种电子雾化器
US9225098B2 (en) Splice box
JP2015088233A (ja) コネクタ
KR20220145177A (ko) 배터리 단자 접속 구조를 구비한 리모컨
CN215183646U (zh) 一种开关结构
CN217985369U (zh) 一种电连接件、耳机及耳机组件
CN212365485U (zh) 蜂鸣器机构
US20230125535A1 (en) Wireless charger with magnetic locating function
US20240049785A1 (en) Battery module and atomizer
WO2023026679A1 (ja) コネクタ
WO2022249558A1 (ja) 自動車用制御装置
KR200277850Y1 (ko) 씨알티 소켓
JPH11346085A (ja) 電子機器に対するフェライトコアの配置構造
KR200229633Y1 (ko) 파워 서플라이용 접속단자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