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9633Y1 - 파워 서플라이용 접속단자함 - Google Patents

파워 서플라이용 접속단자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9633Y1
KR200229633Y1 KR2020010004674U KR20010004674U KR200229633Y1 KR 200229633 Y1 KR200229633 Y1 KR 200229633Y1 KR 2020010004674 U KR2020010004674 U KR 2020010004674U KR 20010004674 U KR20010004674 U KR 20010004674U KR 200229633 Y1 KR200229633 Y1 KR 2002296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terminal
terminal box
power supply
supply hous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46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동협
Original Assignee
정동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동협 filed Critical 정동협
Priority to KR20200100046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96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96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9633Y1/ko

Links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외부 또는 내부 전원으로부터 전기장치 내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파워 서플라이 내에 장착되어 입출력단의 역할을 수행하는 접속단자함에 관한 것이며, 본 고안에 따라서, 상기 접속단자함의 전면 벽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접속단자와; 내부에 소정의 회로가 형성된 회로물이 설치될 수 있는 중공부와; 상기 접속단자함을 상기 파워 서플라이 하우징 내에 장착시키기 위하여 상기 접속단자함의 양쪽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서플라이용 접속단자함이 제공된다.
그러므로, 도선을 연결시키기 위해 납땜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없으며, 접속단자함의 접속단자에 상응하는 단자를 결합시키는 것만으로 전원연결작업을 완료할 수 있으므로, 작업이 간단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작업성 및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동시에,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를 얻는다.

Description

파워 서플라이용 접속단자함{Connecting terminal box for power supply}
본 고안은 외부 또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기장치 내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파워 서플라이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파워 서플라이 내에 장착되어 출력단의 단자 또는 입력단의 단자 역할을 수행하는 접속단자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전제품, 사무기기, 산업제품 및 설비 등으로 공급되는 상용전기는 그대로 사용되기도 하고, 사용 용도에 따라서는 교류전압을 직류로 정류하여 저전압, 고전압으로 변환시키며, 각각의 전기장치 내에는 해당 전기장치에 가장 적합한 전압을 가지도록 하는 변압장치를 구비한 파워 서플라이가 내장되어 있다.
파워 서플라이로부터 전기장치 내부의 각종 구성요소로 전기를 전달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주로 납땜에 의해 접속되는 도선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납땜작업이 추가되어 제품의 생산 공정이 복잡하고 번거로웠으며, 작업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어 생산성의 저하요인이 되었다.
또한, 납땜 상태가 양호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접촉불량이 발생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납땜식 도선 결합구조를 배제하는 것이 가능하여, 제품의 조립작업이 보다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접촉불량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파워 서플라이용 접속단자함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접속단자함을 갖춘 파워 서플라이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파워 서플라이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파워 서플라이의 단면도,
도 4a 내지 4c는 본 고안에 따른 접속단자함을 파워 서플라이 내에 장착시키기 위한 고정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가 벽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인쇄회로기판을 내부에 구비하고 있는 파워 서플라이 하우징 내에 장착되는 접속단자함으로써, 상기 접속단자함의 전면 벽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접속단자와; 내부에 소정의 회로가 형성된 회로물이 설치될 수 있는 중공부와; 상기 접속단자함을 상기 파워 서플라이 하우징 내에 장착시키기 위하여 상기 접속단자함의 양쪽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서플라이용 접속단자함이 제공된다.
여기에서, 상기 접속단자는, 상기 접속단자함의 전면에 돌출 형성된 돌출벽부 내의 오목부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파워 서플라이 하우징의 전방벽부 내면에 맞닿는 전방 지지부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에 맞닿는 하방 지지부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속단자함의 지지부에는 체결부재가 결합될 수 있는 홈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파워 서플라이 하우징 및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홈부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결합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체결부재를 상기 홈부를 통하여 상기 결합구멍 내로 삽입 체결함으로써, 나사결합방식에 의해 상기 접속단자함이 상기 파워 서플라이 하우징에 장착된다.
한편, 상기 접속단자함의 지지부에는 관통구멍 및 결합돌기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파워 서플라이 하우징 및 인쇄회로기판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관통구멍 및 결합돌기 중 나머지 하나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결합돌기를 상기 관통구멍 내로 삽입시킴으로써, 상기 관통구멍과 상기 결합돌기의 스냅 끼워맞춤에 의해 상기 접속단자함이 상기 파워 서플라이 하우징에 장착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파워 서플라이용 접속단자함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워 서플라이용 접속단자함(3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11)와 하부 케이스(15)로 이루어진 파워 서플라이의 하우징(10) 내에 구비된다. 상기 파워 서플라이의 하우징(10) 내에는 본 고안에 따른 접속단자함(30) 이외에도 각종 전기소자가 장착된 인쇄회로기판(20) 등이 설치되어 파워 서플라이로서의 소정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11)와 하부 케이스(15)는 작은 나사못(19) 등으로 체결되어 하우징(10)을 이루며, 상기 상부 케이스(11)의 양쪽 측벽부(12, 13)에는 공기의 순환을 위한 환기구멍(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15)의 전방벽부(16)에는 본 고안의 접속단자함(30)이 설치되는 한 쌍의 원형 개구부(16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케이스의 후방벽부(17)에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기 위한 입력선용 개구(17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기장치로 공급되는 전력은, 입력선용 개구(17a)를 통하여 뻗어있는 입력선(도시생략)에 의해 파워 서플라이의 하우징(10) 내로 공급되며, 계속해서 내장된 인쇄회로기판(20)의 소정의 회로를 거쳐 본 고안의 접속단자함(30)을 통하여 하우징(10)의 외부, 즉 해당 전기장치의 내외부로 전달된다.
여기에서, 상기 하우징(10)은 전방벽부(16)에 본 고안에 따른 접속단자함(30)이 설치되는 한 쌍의 원형 개구부(16a)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이 개구부의 위치, 형상 및 개수는 본 명세서에 설명한 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접속단자함(30)을 설치할 수 있다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속단자함(30)은 내부에 중공부(31)를 가지고 있으며 플라스틱 또는 에폭시 등 유사한 재료에 의해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갖추도록 성형된다. 또한, 전면에는 한 쌍의 접속단자(32)가 설치되어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이 개방되어 있다.
상기 접속단자함(30)의 중공부(31)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배압회로나 노이즈 필터, 어댑터 역할을 수행하는 회로물 등을 내장시킨 후 에폭시 수지 등을 이용하여 함침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접속단자함(30)의 전면에는 한 쌍의 원형으로 돌출된 돌출벽부(3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벽부(33) 내에는 대략 직사각형의 오목부(34)가 형성된다. 상기 오목부(34) 내에는 각각 한 개씩의 접속단자(32)가 설치되며, 이 접속단자(32)는 금속 도전재로서 별개로 제조된 후 접속단자함의 성형시 일체로 성형되며, 상기 접속단자함(30)의 전면 벽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접속단자함(30) 내로 연장되는 접속단자(32)의 끝부(32a)에는 접속단자함(30) 내에 구비된 소정의 회로(도시생략)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접속단자함을 갖춘 파워 서플라이가 내장된 전기제품을 조립할 때, 작업자는 상기 접속단자에, 상기 접속단자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춘 단자(도시생략)를 결합시키는 것만으로 해당 전기제품의 전원연결작업을 완료할 수 있기 때문에, 전기제품의 조립작업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접속단자함(30)의 양쪽 전방 하측 모서리 주위에는 상기 접속단자함(30)을 파워 서플라이 하우징 내에 장착시키기 위한 지지부(35)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단자함(30)의 양쪽 측면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있는 상기 지지부(35)는, 상기 하우징 전방벽부(16)의 내면에 맞닿는 전방 지지부(36)와, 상기 인쇄회로기판(20)의 상면에 맞닿는 하방 지지부(37)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35)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 지지부(36)와 하방 지지부(37)가 일체로 연속되도록 구성하여도 좋고, 일체로 형성되지 않아도 좋다.
도 4a 내지 4c에는 본 고안에 따른 접속단자함을 파워 서플라이 하우징 내에 장착하기 위한 결합구조의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4a에는 나사결합방식의 결합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b 및 도 4c에는 스냅 끼워맞춤 방식의 결합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결합방식의 결합구조를 갖춘 접속단자함(30)의 상기 전방 지지부(36) 및 하방 지지부(37) 각각에는, 체결부재(39)가 결합될 수 있는 홈부(36a, 37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파워 서플라이 하우징 및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각각의 홈부(36a, 37a)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결합구멍(18a, 21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홈부(36, 37a)를 통하여 나사 등의 체결부재(39)를 상기 결합구멍(18a, 21a) 내로 삽입시켜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접속단자함(30)을 상기 파워 서플라이 하우징 내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냅 끼워맞춤 방식의 결합구조를 갖춘 접속단자함(40)의 상기 전방 지지부(46) 및 하방 지지부(47) 각각에는 관통구멍(46a, 47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파워 서플라이 하우징 및 인쇄회로기판의 각각의 관통구멍(46a, 47a)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탄성체인 결합돌기(18b, 21b)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결합돌기(18b, 21b)를 상기 관통구멍(46a, 47a) 내로 삽입시킴으로써 상기 접속단자함(40)을 상기 파워 서플라이 하우징 내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4c에 도시된 스냅 끼워맞춤 방식의 결합구조는, 접속단자함(50)에 결합돌기(56a, 57a)가 형성되고 상기 파워 서플라이 하우징 및 인쇄회로기판에 관통구멍(18c, 21c)이 형성된 것이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전방 지지부와 하방 지지부 중 어느 하나에는 관통구멍을 형성하고, 나머지 하나에는 결합돌기를 형성하여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접속단자를 구비한 접속단자함을 파워 서플라이 하우징에 설치함으로써 전기장치의 내부 또는 외부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도선을 연결시키기 위해 납땜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없으며, 접속단자함의 접속단자에 상응하는 단자를 결합시키는 것만으로 전원연결작업을 완료할 수 있으므로, 작업이 간단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작업성 및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를 얻는다.

Claims (4)

  1.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가 벽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인쇄회로기판을 내부에 구비하고 있는 파워 서플라이 하우징 내에 장착되는 접속단자함으로써,
    상기 접속단자함은,
    상기 접속단자함의 전면 벽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접속단자와;
    내부에 소정의 회로가 형성된 회로물이 설치될 수 있는 중공부와;
    상기 접속단자함을 상기 파워 서플라이 하우징 내에 장착시키기 위하여 상기 접속단자함의 양쪽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서플라이용 접속단자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는, 상기 접속단자함의 전면에 돌출 형성된 돌출벽부 내의 오목부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파워 서플라이 하우징의 전방벽부 내면에 맞닿는 전방 지지부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에 맞닿는 하방 지지부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서플라이용 접속단자함.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함의 지지부에는 체결부재가 결합될 수 있는 홈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파워 서플라이 하우징 및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홈부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결합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체결부재를 상기 홈부를 통하여 상기 결합구멍 내로 삽입 체결함으로써, 상기 접속단자함은 나사결합방식에 의해 상기 파워 서플라이 하우징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서플라이용 접속단자함.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함의 지지부에는 관통구멍 및 결합돌기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파워 서플라이 하우징 및 인쇄회로기판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관통구멍 및 결합돌기 중 나머지 하나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결합돌기를 상기 관통구멍 내로 삽입시킴으로써, 상기 접속단자함은 상기 관통구멍과 상기 결합돌기의 스냅 끼워맞춤에 의해 상기 파워 서플라이 하우징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서플라이용 접속단자함.
KR2020010004674U 2001-02-22 2001-02-22 파워 서플라이용 접속단자함 KR2002296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4674U KR200229633Y1 (ko) 2001-02-22 2001-02-22 파워 서플라이용 접속단자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4674U KR200229633Y1 (ko) 2001-02-22 2001-02-22 파워 서플라이용 접속단자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9633Y1 true KR200229633Y1 (ko) 2001-07-19

Family

ID=73063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4674U KR200229633Y1 (ko) 2001-02-22 2001-02-22 파워 서플라이용 접속단자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963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78790B2 (en) Combined frequency converter and electric motor having converter housing connected to motor housing via adapter
US9276350B1 (en) Waterproof electric plug with transformer
KR200229633Y1 (ko) 파워 서플라이용 접속단자함
EP3413403B1 (en) Adapter housing with socket for mounting a power supply waterproofly to an appliance
JP2019204577A (ja) コネクタ
KR100766996B1 (ko) 차량용 퓨즈 및 릴레이 박스
KR20070040998A (ko) 컨넥터
KR20040003411A (ko) 전기 접속기용 커넥터
CN110040081A (zh) 用于车辆电气控制器的电源输入结构及车辆电气控制器
KR200409756Y1 (ko) 전기 커넥터
CN217882076U (zh) 一种导线插接端子
GB2064230A (en) Electric motor construction
KR100791499B1 (ko) 커넥터의 단자 연결장치
KR200166375Y1 (ko) 전원아답타
CN113950166B (zh) 无线传输终端及移动终端设备
KR200259756Y1 (ko) 전기 콘넥터
KR200488571Y1 (ko) 멀티탭
JPH0214152Y2 (ko)
CN207587982U (zh) 一种插接连线的挂壁式变送器
KR200370569Y1 (ko) 단락스위치가 구비되는 멀티 콘센트
US6653559B2 (en) Complex-shaped terminal board, in particular for high-current applications
CN117239495A (zh) 一种轨道插座及轨道插座的配电系统
CN110768475A (zh) 电机及具有其的洗碗机
KR100541425B1 (ko) 콘넥터장치
KR200404084Y1 (ko) 교육용 리드선의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2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