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4179U - 휴대폰 배터리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폰 - Google Patents

휴대폰 배터리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4179U
KR20130004179U KR2020110011707U KR20110011707U KR20130004179U KR 20130004179 U KR20130004179 U KR 20130004179U KR 2020110011707 U KR2020110011707 U KR 2020110011707U KR 20110011707 U KR20110011707 U KR 20110011707U KR 20130004179 U KR20130004179 U KR 2013000417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mobile phone
main housing
housing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17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호
Original Assignee
정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호 filed Critical 정재호
Priority to KR20201100117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4179U/ko
Publication of KR201300041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417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3Arrangements for mounting batteries or battery charg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 배터리에 관한 것으로, 메인하우징(11)의 내부에 배터리셀(15)이 삽입되고, 메인하우징(11)의 개구부(13)에 전면하우징(41)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셀(15)과 전면하우징(41) 사이에는 회로기판(20)이 구비되고, 상기 회로기판(20)에는 메인하우징(11)의 상면과 저면 및 상기 전면하우징(4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접속단자(30)가 설치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배터리의 3면에 단자가 형성되므로 다수개의 배터리를 적층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배터리의 교체 없이 장시간 휴대폰을 사용할 수 있고, 배터리의 분실을 최소화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휴대폰 배터리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폰{A cellular phone battery and a cellula phone including the same}
본 고안은 휴대폰 배터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개 적층하여 사용이 가능한 휴대폰 배터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휴대폰은 통화기능 이외에도 인터넷 브라우징, 음악, 게임 또는 동영상 재생 등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게 되었다. 영화감상이나 인터넷 브라우징 기능 등이 동시에 이루어질 경우 전력소모가 상당하지만, 현재 판매되고 있는 휴대폰의 경우 1개의 배터리만을 결합하여 사용하므로, 연속 사용시간이 짧고 배터리가 방전되면 충전된 다른 배터리로 교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휴대폰 제조사에서는 대용량 배터리를 별도로 제공하고 있는데, 대용량 배터리는 에너지 효율이 낮을 뿐만 아니라 비교적 가격이 높고 사용자가 별도로 휴대하고 다녀야 하므로 효용성이 높지 않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개의 배터리를 적층하여 사용할 있도록 규격화된 배터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일면이 개방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 수납공간을 가지는 메인하우징; 상기 메인하우징과 결합하여 상기 개구부를 차폐하는 전면하우징; 상기 메인하우징의 수납공간에 삽입되는 배터리셀; 상기 배터리셀과 전면하우징 사이에 설치되는 회로기판; 그리고 상기 회로기판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하우징의 상면과 저면 및 상기 전면하우징의 전면을 통해 외부에 노출되는 접속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접속단자는 세개의 납작한 핀단자로 구성되고, 상기 핀단자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양단부에서 직교하게 연장되는 상면부 및 저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회로기판에는 상기 핀단자의 상면부가 관통하는 상부관통공과 상기 핀단자의 저면부가 관통하는 하부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메인하우징의 상면과 저면 및 상기 전면하우징에는 상기 접속단자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슬릿이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핀단자의 상면부 및 저면부는 상기 전면부 보다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고, 상기 메인하우징의 두께와 같거나 그보다 두껍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배터리안착부가 형성되는 휴대폰 본체와; 상기 배터리안착부를 차폐하는 배터리커버를 포함하는 휴대폰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안착부에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휴대폰 배터리를 적어도 2개 이상 적층된 상태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단자가 배터리의 3면으로 노출되도록 구성하여 다수개의 배터리를 적층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하나의 휴대폰에 2개 이상의 배터리를 동시에 장착함으로써 배터리의 교체없이 장시간 휴대폰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휴대폰에 2개 이상의 배터리를 함께 장착할 수 있어, 배터리의 분실 우려가 적고, 여분의 배터리를 찾는 번거로움이 해소된다.
도 1은 본 발명 휴대폰 배터리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휴대폰 배터리를 상부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휴대폰 배터리를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휴대폰 배터리가 장착된 휴대폰을 보인 분해사시도.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 휴대폰 배터리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 휴대폰 배터리를 위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 3에는 휴대폰 배터리를 아래에서 바라본 모습이 각각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폰 배터리(10)는 휴대폰의 배면에 장착되어 휴대폰의 구동을 위한 전력을 제공하는 부품으로,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휴대폰 배터리(10)는 대략 납작한 직육면체 형상이다. 상기 휴대폰 배터리(10)는 크게 서로 결합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메인하우징(11)과 전면하우징(41), 상기 메인하우징(11) 내부에 구비되는 배터리셀(15)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메인하우징(11)은 내부에 수납공간(12)을 가지며, 상기 수납공간(12)을 전방으로 개구시키는 개구부(13)도 가진다. 상기 개구부(13)를 통해서 상기 배터리셀(15)이 수납공간(12)으로 들어갈 수 있다.
상기 전면하우징(41)은 상기 메인하우징(11)의 개구부(13)에 결합되어 상기 수납공간(12)을 차폐하는 것으로, 상기 메인하우징(11)과 함께 휴대폰 배터리(10)의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메인하우징(11)과 전면하우징(41)은 절연물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셀(15)과 전면하우징(41) 사이에는 각종 회로가 형성되어 있는 회로기판(20)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회로기판(20)에는 휴대폰 본체(100)(도4참고)와 배터리(1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접속단자(30)가 실장된다. 상기 접속단자(30)는 +극, -극, GND를 구성하는 세 개의 납작한 핀단자(31)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핀단자(31)는 대략 'ㄷ'자 형상이며, 전면부(33)와 상기 전면부(33)의 양단에서 직교하게 연장되는 상면부(34) 및 저면부(35)를 포함한다. 도 1과 같이, 상기 핀단자(31)의 전면부(33)는 상기 회로기판(20)의 일면에 안착되고, 상기 핀단자(31)의 상면부(34)와 저면부(35)는 상기 회로기판(20)에 형성되는 상부관통공(22)과 하부관통공(24)을 관통한다.
그리고 상기 핀단자(31)는 상기 메인하우징(11)의 상면과 저면 그리고 상기 전면하우징(41)에 형성된 슬릿(44, 46, 42)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즉, 상기 핀단자(31)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해 상기 전면하우징(41)의 정면에 슬릿(42)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하우징(41)과 상기 메인하우징(11)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핀단자(31)의 상면부(34)와 저면부(35)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슬릿(44, 46)이 상기 메인하우징(11)과 전면하우징(41)에 각각 형성된다.
한편, 도 1과 같이 상기 핀단자(31)의 상면부(34)와 저면부(35)는 상기 전면부(33) 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핀단자(31)의 상면부(34) 및 저면부(35)의 두께는 상기 메인하우징(11)의 상면과 저면의 두께와 같거나 그보다 두껍다. 이는 상기 핀단자(31)의 상면부(34)와 저면부(35)가 상기 메인하우징(11)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기 위한 것인데, 도 4와 같이 휴대폰 배터리 두 개가 적층되었을 때 상하부의 핀단자가 서로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 실시예와 같은 휴대폰 배터리(10)는 도 2 및 3과 같이, 세 개의 핀단자(31)로 구성되는 접속단자(30)가 배터리(10)의 상면과 정면 그리고 저면에 각각 노출된다. 여기에서 핀단자(31)에서 배터리(10)의 정면으로 노출되는 부분은 휴대폰 본체(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이 되고, 상면과 저면으로 노출되는 부분은 여러개의 배터리(10)를 적층시켰을 때 이들 배터리(1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다수개의 배터리(10)를 적층시킬 때 상기 배터리(10)들 사이의 결합위치를 안내하기 위해서, 도 2와 3과 같이 배터리(10)의 상면과 저면에 서로 형합되는 가이드돌기(57)와 가이드홈(59)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메인하우징(11)의 상면에 가이드돌기(57)가 형성되고, 메인하우징(11)의 저면에 가이드홈(59)이 형성되는데, 가이드돌기(57)와 가이드홈(59)의 위치를 반대로 할 수도 있고, 가이드돌기(57)와 가이드홈(59)의 개수를 다양하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 휴대폰 배터리의 작용과 사용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휴대폰 본체(100)의 뒤쪽에 형성된 배터리안착부(120)에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10) 두개를 적층한 상태에서 안착시킨다. 이때, 두 개의 배터리(10)는 가이드돌기(57)가 가이드홈(59)에 삽입된 상태로 결합되므로 배터리(10)들 사이의 수평방향으로의 상대이동이 방지된다. 즉, 가이드돌기(57)와 가이드홈(59)에 의해 배터리들 사이에 밀림현상이 방지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배터리안착부(120)를 차폐하는 배터리커버(300)를 상기 휴대폰 본체(100)에 결합시키면 휴대폰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전면하우징(41)을 통해 노출되는 핀단자(31)는 휴대폰 본체(100)와의 전기적인 접속을 가능하게 하며, 상기 메인하우징(11)의 상면과 저면을 통해 노출된 핀단자(31)는 적층된 배터리 사이의 통전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핀단자(31)가 배터리(10)의 상면과 저면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적층된 두 개의 배터리(10)의 통전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이 3면으로 노출된 단자를 가지는 배터리를 규격화하여, 하나의 휴대폰에 2개 이상의 배터리를 동시에 장착함으로써 배터리의 교체없이 장시간 휴대폰을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N개의 배터리를 장착할 경우, 1개의 배터리에서 소모되는 전류가 1/N 줄어들고, 배터리 내부의 화학반응이 느려지면 자체 발열도 감소되어 N배 이상(일반적으로 N*1.2배 이상)의 시간을 사용할 수 있어 에너지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폰에 2개 이상의 배터리가 함께 장착되므로 배터리의 분실 우려가 적고, 여분의 배터리를 찾는 번거로움이 어느 정도 해소된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휴대폰 배터리 11: 메인하우징
12: 수납공간 13: 개구부
15: 배터리셀 20: 회로기판
22: 상부관통공 24: 하부관통공
30: 접속단자 31: 핀단자
33: 전면부 34: 상면부
35: 저면부 41: 전면하우징
42, 44, 46: 슬릿 57: 가이드돌기
59: 가이드홈 100: 휴대폰 본체
120: 배터리안착부 300 : 배터리커버

Claims (5)

  1. 일면이 개방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 수납공간을 가지는 메인하우징;
    상기 메인하우징과 결합하여 상기 개구부를 차폐하는 전면하우징;
    상기 메인하우징의 수납공간에 삽입되는 배터리셀;
    상기 배터리셀과 전면하우징 사이에 설치되는 회로기판; 그리고
    상기 회로기판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하우징의 상면과 저면 및 상기 전면하우징의 전면을 통해 외부에 노출되는 접속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폰 배터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는 세개의 납작한 핀단자로 구성되고,
    상기 핀단자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양단부에서 직교하게 연장되는 상면부 및 저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배터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에는 상기 핀단자의 상면부가 관통하는 상부관통공과 상기 핀단자의 저면부가 관통하는 하부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메인하우징의 상면과 저면 및 상기 전면하우징에는 상기 접속단자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슬릿이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배터리.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핀단자의 상면부 및 저면부는 상기 전면부 보다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고, 상기 메인하우징의 두께와 같거나 그보다 두껍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배터리.
  5. 배터리안착부가 형성되는 휴대폰 본체와;
    상기 배터리안착부를 차폐하는 배터리커버를 포함하는 휴대폰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안착부에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휴대폰 배터리를 적어도 2개 이상 적층된 상태로 더 포함하는 휴대폰.
KR2020110011707U 2011-12-29 2011-12-29 휴대폰 배터리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폰 KR2013000417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707U KR20130004179U (ko) 2011-12-29 2011-12-29 휴대폰 배터리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707U KR20130004179U (ko) 2011-12-29 2011-12-29 휴대폰 배터리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179U true KR20130004179U (ko) 2013-07-09

Family

ID=53683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1707U KR20130004179U (ko) 2011-12-29 2011-12-29 휴대폰 배터리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4179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5113B1 (ko) * 2013-12-20 2015-03-30 조희철 단자 장치
WO2015099260A1 (en) * 2013-12-26 2015-07-02 Hee-Chul Jo Terminal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5113B1 (ko) * 2013-12-20 2015-03-30 조희철 단자 장치
WO2015099260A1 (en) * 2013-12-26 2015-07-02 Hee-Chul Jo Terminal device
KR101535797B1 (ko) * 2013-12-26 2015-07-09 조희철 단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92667B1 (en) Card connector
KR102087601B1 (ko) 스위칭 구조를 갖는 배터리 팩
JP5518432B2 (ja) 円筒形電池を内蔵可能な携帯式電源装置
KR101088215B1 (ko) 하우징 일체형 컨텍터
JP2009131089A (ja) 電源コネクタを備える携帯式電源
US8851907B2 (en) Contact node of portable terminal
KR20140094020A (ko) 전기 커넥터 및 그 전기 커넥터를 포함하는 배터리
KR101474486B1 (ko) 배터리용 커넥터
JP2013140686A (ja) 電源装置
US8685551B2 (en) Battery pack
WO2024067504A1 (zh) 连接器及电子设备
CN101110849B (zh) 移动电话
KR20130004179U (ko) 휴대폰 배터리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폰
KR20010092656A (ko) 전지를 내장한 휴대전기기기
US7527528B2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assembly
KR20050054800A (ko) 휴대폰 및 모바일기기용 2차 전지 배터리 팩
CN101140981B (zh) 电池组
RU2406223C2 (ru) Мобильный телефон
US8303346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support for an optoelectronic module
US7379761B2 (en) Power connection structure of mobile terminal
US20110034074A1 (en) Battery connector
JP2002247775A (ja) 充電用置き台
JP3169366U (ja) 電気コネクタ
KR200342933Y1 (ko) 휴대폰 및 모바일기기용 2차 전지 배터리 팩
JP2008300334A (ja) 電池パ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