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5797B1 - 단자 장치 - Google Patents

단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5797B1
KR101535797B1 KR1020130164481A KR20130164481A KR101535797B1 KR 101535797 B1 KR101535797 B1 KR 101535797B1 KR 1020130164481 A KR1020130164481 A KR 1020130164481A KR 20130164481 A KR20130164481 A KR 20130164481A KR 101535797 B1 KR101535797 B1 KR 1015357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external terminal
substrate
external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4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5983A (ko
Inventor
조희철
Original Assignee
조희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희철 filed Critical 조희철
Priority to KR1020130164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5797B1/ko
Priority to JP2015555117A priority patent/JP2016509742A/ja
Priority to CN201480000770.4A priority patent/CN105144489A/zh
Priority to US14/380,479 priority patent/US20160301783A1/en
Priority to CA2860255A priority patent/CA2860255A1/en
Priority to EP14750676.0A priority patent/EP2915216A4/en
Priority to PCT/KR2014/007741 priority patent/WO2015099260A1/en
Publication of KR20150075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5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5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57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7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단자 장치는 제1 단자, 상기 제1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단자가 설치된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자는 서로 접촉되는 제1 외부 단자와 제2 외부 단자의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1 외부 단자 및 상기 제2 외부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Description

단자 장치{TERMINAL DEVICE}
본 발명은 이미 사용중인 단자를 이용하여 사용 가능한 별도 단자를 제공하는 단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의 보급이 활발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다양한 스마트폰 주변 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일부의 주변 장치는 스마트폰 또는 배터리와의 전기적 연결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스마트폰에서 제공하는 단자를 이용하고 있는데, 이에 따라 다양한 제약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의 단자에 주변 장치를 연결할 경우 스마트폰과 함께 제공된 충전기로 스마트폰을 충전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스마트폰의 단자가 통신 단자와 충전 단자의 기능을 겸하기 때문이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07426호에는 스마트폰을 급속 충전하는 기술이 개시되고 있으나, 스마트폰에서 제공하는 단자를 그대로 이용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07426호
본 발명은 이미 사용중인 단자를 이용하여 사용 가능한 별도 단자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단자 장치는 제1 단자, 상기 제1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단자가 설치된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자는 서로 접촉되는 제1 외부 단자와 제2 외부 단자의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1 외부 단자 및 상기 제2 외부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자 장치는 서로 접촉되는 2개의 외부 단자의 사이에 개재되는 제1 단자, 제1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단자를 포함함으로써, 사용 가능한 단자가 없는 상태에서도 사용 가능한 단자(제2 단자)를 추가로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서로 접촉되는 2개의 외부 단자를 갖는 스마트폰 등 각종 단말기에 추가 단자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의 추가 단자는 단말기와 외부 배터리의 연결, 단말기와 외부 통신 장치의 연결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단자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단자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단자 장치가 설치된 단말기(1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가이드부가 마련된 단자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다른 가이드부가 마련된 단자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은 제2 가이드의 부착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단자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단자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단자 장치는 제1 단자(110) 및 제2 단자(120)가 설치된 기판(1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자(110)는 서로 접촉되는 제1 외부 단자(11)와 제2 외부 단자(21)의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스마트폰과 같이 휴대성을 갖는 단말기(10)는 단말기(10)에 장착되는 배터리(20)로 구동된다. 배터리(20)와 통신하고 배터리(20)의 전력을 제공받기 위해 단말기(10)에는 단말기 단자가 제1 외부 단자(11)로 마련된다. 이에 대응하여 배터리(20)에는 배터리 단자가 제2 외부 단자(21)로 마련된다. 제1 외부 단자(11)와 제2 외부 단자(21)는 서로 대응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양자간의 접촉으로 해당 제1 외부 단자(11)와 제2 단자(120)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외부 단자(11)와 제2 외부 단자(21)의 접촉이 이루어지면 해당 단자들은 다른 기기와의 연결이 거의 불가능하다.
그런데, 제1 외부 단자(11)와 제2 외부 단자(21)의 사이에 개재되는 제1 단자(110)에 의하면 제1 외부 단자(11) 및 제2 외부 단자(21)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른 기기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된다.
단말기(10)에 배터리(20)를 장착한 상태에서 제1 외부 단자(11)와 제2 외부 단자(21) 사이의 간격은 매우 좁을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20)의 장착을 제한하지 않으면서도 신뢰성 있게 제1 외부 단자(11)와 제2 외부 단자(21) 사이에 개재되기 위해 제1 단자(110)는 얇은 박막형태인 것이 좋다. 이를 위해 제1 단자(110)는 필름형 단자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단자(110)의 개입으로 제1 외부 단자(11)와 제2 외부 단자(21) 간의 전기적 연결이 단절되지 않도록 제1 단자(110)는 제1 외부 단자(11) 및 제2 외부 단자(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예로 제1 단자(110)는 전기 전도성 재질의 긴 판일 수 있으며, 일면은 제1 외부 단자(11)에 접촉되고 타면은 제2 외부 단자(21)에 접촉될 수 있다.
제1 단자(110)는 제1 외부 단자(11)와 제2 외부 단자(21)의 사이에 개재되므로 제1 단자(110)에는 외부 기기의 단자가 직접 연결되기 어렵다. 따라서, 제1 단자(110)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제2 단자(120)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단자(120)는 제1 단자(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단자(120)는 외부 기기의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와 같이 단말기(10)에는 배터리(20)를 덮는 백 커버(12)가 마련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단자 장치가 설치된 단말기(1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제2 단자(120)는 백 커버(12)에 마련된 커버 단자(13)에 접촉될 수 있다. 백 커버(12)에는 솔라 셀, 보조 배터리, 부가 통신 장치 등이 마련될 수 있으며, 해당 장치는 커버 단자(13) 및 제2 단자(120)를 통해 배터리(20) 또는 단말기(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단자(110)와 제2 단자(120)는 서로 이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단자(110)와 제2 단자(1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패턴(131)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의 연결 패턴(131)은 제1 단자(110)와 제2 단자(120)를 연결하는 기판(130)에 설치될 수 있다.
기판(130)에 의해 제1 단자(110), 제2 단자(120), 연결 패턴(131)이 지지되므로 사용자는 기판(130)을 보관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단자 장치 전체를 보관할 수 있다. 따라서, 기판(130)에 의하면 단자 장치의 보관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기판(130)은 연결 패턴(131)과 대비하여 높은 강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단자(110)와 제2 단자(120) 중 어느 하나의 위치가 결정되면 기판(130)에 의해 다른 하나의 위치가 가이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자(110)가 제1 외부 단자(11)에 고정되면 제2 단자(120)는 커버 단자(13)의 위치에 자연스럽게 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단자(120)가 커버 단자(13)의 위치에 고정되면 제1 단자(110)는 제1 단자(110)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이를 위해서는 제1 외부 단자(11)와 커버 단자(13)의 접촉 위치를 고려하여 기판(130)의 형상 및 크기를 설정해야 할 것이다.
기판(130)에 의하면 어느 한 단자만 초기 설계 위치에 배치되면 나머지 단자도 자연스럽게 초기 설계 위치에 배치되므로 설치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여기에 더하여 기판(130)이 플렉시블 재질의 필름형 기판이면 설치 편의성은 더욱 증대될 것이다. 참고로, 제1 단자는 기판의 단부에 마련되거나 기판의 양면에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기판은 단말기 또는 배터리에 부착될 수 있다.
기판(130)은 판 형태일 수 있다. 판 형태의 기판(130)이 xy 평면에 놓여지고 어느 한 단자가 xy 평면에 놓여지면 다른 단자는 x축 자유도 및 y축 자유도가 거의 없다. 다만 기판(130)이 플렉시블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 다른 단자는 z축 자유도는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기판(130)의 일단부터 타단까지 점진적으로 단말기(10)에 접촉시킬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면 양면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단말기(10)에 기판(130)을 용이하게 부착시킬 수 있다.
한편, 이미 접촉된 상태의 제1 외부 단자(11)와 제2 외부 단자(21)의 사이로 제1 단자(110)를 끼워넣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제1 외부 단자(11)와 제2 외부 단자(21)의 접촉 전에 제1 외부 단자(11) 상에 제1 단자(110)의 일면을 위치시키는 것이 좋을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제1 외부 단자(11)와 접촉을 시도하는 제2 외부 단자(21)는 자연스럽게 제1 단자(110)의 타면에 접촉될 수 있다.
제1 단자(110)는 제1 외부 단자(11)와 제2 외부 단자(21)의 사이에 착탈되고, 제2 단자(120)는 제1 외부 단자(11)가 마련된 단말기(1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단자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에는 제1 단자(110)가 제1 외부 단자(11)와 제2 외부 단자(21)의 사이에 위치한 상태(장착 상태)가 개시되고, 도 3에는 제1 단자(110)가 제1 외부 단자(11)와 제2 외부 단자(21)의 사이로부터 벗어난 상태(이탈 상태)가 개시된다.
제1 단자(110)의 착탈을 위해 기판(130)은 제1 단자(110)로부터 제2 단자(120)까지의 설정 위치 P에서 회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단자(120)가 단말기(10)에 고정된 상태라면 설정 위치 P를 축으로 하여 제1 단자(110)가 회동된다. 따라서, 제1 단자(110)가 제1 외부 단자(11)에 접촉하도록 기판(130)을 회동시키면 도 2와 같이 제1 외부 단자(11)와 제2 외부 단자(21)의 사이에 제1 단자(110)가 위치하는 상태가 된다. 제1 단자(110)가 제1 외부 단자(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기판(130)을 회동시키면 도 3과 같이 제1 단자(110)는 제1 외부 단자(11)와 제2 외부 단자(21)의 사이에 위치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회동의 중심이 되는 설정 위치 P가 마련되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1 단자(110)의 적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기판(130)에서 설정 위치 P로부터 제2 단자(120)까지의 구간과 제2 단자(120)는 제1 외부 단자(11)가 마련된 단말기(10)에 고정될 수 있다. 기판(130)/제2 단자(120)와 단말기(10)의 고정에는 접착제 또는 양면테이프가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설정 위치 P는 단말기(10)에 마련된 배터리(20)의 수용 공간(19)의 단부 부근에 마련되는 것이 좋다. 이에 따르면 설정 위치 P를 중심으로 한 회동이 단말기(10)에 의해 간섭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단자 장치에 의하면 이미 활용 중인 상태의 외부 단자들을 이용하여 활용 가능한 제2 단자(120)가 추가로 제공된다. 위에서는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10)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단자 장치는 제1 단자(110)가 개재될 수 있을 정도로 서로 접촉된 외부 단자가 마련된 다양한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단자 장치에는 설치의 편의, 단말기(10) 보호, 외부 기기와의 신뢰성 있는 연결을 위해 가이드 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하나의 외부 단자에는 복수의 접촉 핀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는 제1 외부 단자(11)에 4개의 접촉 핀이 마련되고 있다. 각각의 접촉 핀은 서로 다른 정보를 전달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일예로 4개의 접촉 핀은 각각 (+) 전원, (-) 전원, 데이터의 통로, 별도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 null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접촉 핀이 서로 합선되거나 다른 통로에 연결된다면 단말기(10)나 배터리(20)가 파손될 수 있다. 또는 제2 단자(120)에 연결되는 외부 기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제1 단자에 의한 제1 외부 단자와 제2 외부 단자의 접촉 불량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제1 단자(110)가 정확하게 제1 외부 단자(11)와 제2 외부 단자(21)의 사이에 얼라인되어야 한다. 즉, 제1 단자(110)가 접촉 핀에 정확하게 접촉되도록, 단말기(10)에 단자 장치를 신중하게 붙여야 한다. 이에 따르면 설치가 불편할 수 있다.
가이드 수단에 따르면 용이하면서도 정확한 위치에 제1 단자(110)를 위치시킬 수 있다. 가이드 수단은 제1 단자(110) 또는 제2 단자(120)의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
도 5는 가이드부가 마련된 단자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단자 장치는 제1 단자(110)에 의한 제1 외부 단자(11)와 제2 외부 단자(21)의 접촉 불량을 방지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는 제2 단자(120)의 설치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 제2 단자(120)의 설치 위치가 가이드되면 기판(130)에 의해 제1 단자(110)의 개재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가이드부는 단말기(10)에서 제2 단자(120)의 고정 위치를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는 기판(130)으로부터 단말기(10)의 식별선(17)까지 확장되는 확장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의 확장부(170)는 제2 단자(120) 또는 제2 단자(120)가 마련된 기판(13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식별선(17)은 단말기(10)에서 제2 단자(120)가 고정되는 면에 형성된 선, 돌기, 홈, 테두리 등 사용자가 식별 가능한 선 또는 사물일 수 있다.
도면에는 식별선(17)으로서 제2 단자(120)가 고정되는 면에 'L'자로 형성된 선(17)이 이용되고 있다. 확장부(170)는 식별선(17) 'L'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확장부(170)가 식별선(17) 'L'에 얼라인되도록 하여 제2 단자(120)를 단말기(10)에 붙이는 것으로 정확하게 제2 단자(120)를 설치할 수 있다. 즉, 확장부(170)는 단말기(10)에 마련된 식별선(17)을 이용하여 제2 단자(120)를 얼라인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식별자로서 제2 단자(120)가 고정되는 면에 돌출된 카메라 모듈(18)이 개시되고 있다. 확장부(170)에는 카메라 모듈(18)에 끼워지는 식별부(171)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의 식별부(171)는 카메라 모듈(18)이 끼워지는 홈 또는 홀일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식별부(171)가 카메라 모듈(18)에 끼워진 상태에서 단말기(10)에 제2 단자(120)를 붙이는 것으로 정확하게 제2 단자(120)를 설치할 수 있다.
이상의 제1 가이드에 의하면 단자 장치를 간편하면서도 정확하게 얼라인시켜 단말기(10)에 부착시킬 수 있다.
도 6은 다른 가이드부가 마련된 단자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의 가이드부는 단말기에서 제1 단자의 개재 위치를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가이드(150)에는 제1 외부 단자(11) 또는 제2 외부 단자(12)에 끼워지는 끼임부(151)가 마련될 수 있다.
끼임부(151)는 제1 외부 단자(11)를 구성하는 접촉 핀의 크기 및 간격에 맞게 형성된 홈 또는 홀일 수 있다. 제2 가이드(150)는 제1 단자(110) 또는 기판(130)에 부착되고, 개재 위치의 가이드 후에는 제1 단자(110) 또는 기판(130)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제2 가이드(150)는 전체적으로 기판(130)의 배면에 붙어 있는 판 형상의 이면지일 수 있다. 이면지는 기판(130)으로부터 제1 단자(110)의 위치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면지에서 제1 단자(110)에 대면하는 부위에 끼임부(151)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1 단자(110)로부터 분리되는 끼임부(151)를 제1 외부 단자(11)에 끼울 수 있다.
제1 외부 단자(11)와 제2 외부 단자(21)의 신뢰성 있는 접촉을 위해 제1 외부 단자(11)는 접촉 핀과 같은 돌출된 탄성체를 가질 수 있다. 이때의 접촉 핀은 단말기 몸체로부터 돌출되며 제2 외부 단자에 접촉될 수 있다. 단말기 몸체로부터 돌출된 접촉 핀은 끼임부(151)에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다. 끼임부(151)에 접촉 핀이 끼워진 상태에서 제1 단자(110)로부터 제2 단자(120)를 향하는 방향으로 기판(130)을 잡아당기고 제1 외부 단자(11)가 마련된 단말기(10)에 기판(1300을 부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면지를 기판(130)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이면지지가 제거되면 제1 단자(110)는 제1 외부 단자(11)의 위치에 얼라인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기판(130)은 단말기에 부착될 수 있으며, 기판(130)의 부착면에는 접촉 핀에 끼워지는 제2 가이드(150)가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제2 가이드(150)는 기판(130)이 단말기(10)에 부착된 후 기판(130)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제2 가이드(150)의 신뢰성 있는 기능을 위해 기판의 부착면은 도 7과 같을 수 있다.
도 7은 제2 가이드(150)의 부착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살펴보면, 단말기(10)에 부착되는 기판(130)의 부착면에서 제1 단자(110) 쪽에 제2 가이드(150)가 부착되어 있으며, 제2 단자(120) 쪽으로 접착제(133)가 도포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제2 가이드(150)의 끼임부(151)를 제1 외부 단자(110)에 끼운 상태로 기판(130)을 단말기(10)에 부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기판(130)이 단말기 부착된 후 기판(130)으로부터 제2 가이드(150)를 제거하면 된다.
한편, 이면지의 단부에는 배터리(20)의 수용 공간(19)의 단부 턱에 걸리는 스토퍼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의 스토퍼는 기판(130)이 제1 방향으로 연장될 때, 수용 공간(19)의 단부 턱에 걸리도록 수용 공간(19)의 바닥을 향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스토퍼는 앞에서 살펴본 설정 위치 P에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스토퍼가 수용 공간(19)의 단부 턱에 걸릴 때까지 잡아당기면 제1 방향으로 제1 단자는 적정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스토퍼에서 제1 외부 단자(11)에 대면하는 면에 홀 또는 홈이 형성되면 스토퍼의 좌우 위치를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단자(110) 역시 제1 외부 단자 상에 올바르게 위치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단자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제1 외부 단자(11)에는 단말기 몸체로부터 돌출되며 제2 외부 단자(12)에 접촉되는 접촉 핀이 복수로 마련될 수 잇다.
이때, 기판(130)에는 복수의 접촉 핀 중 일부에 끼워지는 가이드 홈(135)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자(110)에 솔라 패널 또는 보조 배터리가 연결되는 경우 데이터 통로가 되는 접촉 핀은 이용할 필요가 없다. 이와 반대로, 제1 단자(110)를 통해 단말기(10)와 통신하는 수단이 마련된 경우 전력 단자가 되는 접촉 핀을 이용할 필요가 없다.
기판(130)에는 제1 외부 단자(11)와 제2 외부 단자(12)의 사이에 개재되는 개재부(139)가 마련될 수 있다. 전력 단자가 되는 접촉 핀만 이용한다면 개재부(139)에는 전력 단자를 제외한 나머지 단자 중 적어도 하나에 끼워지는 가이드 홈(135)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개재부(139)에는 전력 단자에 접촉되는 제1 단자(110)도 마련될 수 있다.
도 8을 살펴보면, 제1 외부 단자(11)로 접촉 핀 ①, ②, ③, ④이 단말기에 형성되고 있다. 이 중 접촉 핀 ①과 ③이 전력 단자인 경우 개재부(139)에서 가이드 홈(135)은 전력 단자와 상관없는 접촉 핀 ②와 ④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개재부(139)에서 접촉 핀 ①과 ③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1 단자(1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접촉 핀 ②와 ④가 가이드 홈(135)에 끼워지도록 기판(130)을 단말기(10)에 부착하면 자연스럽게 접촉 핀 ①과 ③은 제1 단자(110)에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앞에서 설명된 별도의 이면지를 이용하지 않고 기판(130)에 제2 가이드(150)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외부 단자(11)는 단말기(10)에 형성된 수용 공간(19), 즉 배터리 홈의 특정 측벽에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개재부(139)는 특정 측벽의 단부 ⓐ까지 연장될 수 있다.
개재부(139)에 단부 ⓐ까지 연장되는 연장부(137)가 형성되면, 연장부(137)를 특정 측벽의 단부에 밀착시켜 설치하는 것으로 개재부(139)의 개재 위치가 얼라인될 수 있다. 개재부(139)에 제1 단자(110)가 마련된다면 개재부(139)의 얼라인에 따라 제1 단자(110) 역시 자연스럽게 제1 외부 단자(11)에 얼라인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단말기 11...제1 외부 단자
12...백 커버 13...커버 단자
17...식별선 18...카메라 모듈
19...수용 공간 20...배터리
21...제2 외부 단자 110...제1 단자
120...제2 단자 130...기판
131...연결 패턴 133...접착제
135...가이드 홈 137...연장부
139...개재부 150...제1 가이드
151...끼임부 170...확장부
171...식별부 210...수용부
310...배터리부

Claims (11)

  1. 제1 단자, 상기 제1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단자가 설치된 기판; 및
    상기 제1 단자에 의한 상기 제1 외부 단자와 상기 제2 외부 단자의 접촉 불량을 방지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자는 서로 접촉되는 제1 외부 단자와 제2 외부 단자의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1 외부 단자 및 상기 제2 외부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2 단자의 설치 위치를 가이드하고,
    상기 제2 단자의 설치 위치가 가이드되면 상기 기판에 의해 상기 제1 단자의 개재 위치가 결정되는 단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플렉시블 재질의 필름형 기판이고,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기판의 단부에 마련되거나 상기 기판의 양면에 마련되는 단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 단자는 배터리로 구동되는 단말기에 마련되고,
    상기 제2 외부 단자는 상기 배터리에 마련되며,
    상기 기판은 상기 단말기 또는 상기 배터리에 부착되는 단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 단자는 배터리로 구동되는 단말기에 마련되고,
    상기 제2 외부 단자는 상기 배터리에 마련되며,
    상기 단말기에는 상기 배터리를 덮는 백 커버가 마련되고,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백 커버에 마련된 커버 단자에 접촉되는 단자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 단자는 단말기에 마련되고,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단말기에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제2 단자의 고정 위치를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이드는 상기 기판으로부터 상기 단말기의 식별선까지 확장되는 확장부를 포함하는 단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 단자는 배터리로 구동되는 단말기에 마련되고,
    상기 제2 외부 단자는 상기 배터리에 마련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제1 단자의 개재 위치를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가이드는 상기 제1 외부 단자 또는 상기 제2 외부 단자에 끼워지는 단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 단자는 배터리로 구동되는 단말기에 마련되고,
    상기 제1 외부 단자에는 상기 단말기 몸체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제2 외부 단자에 접촉되는 접촉 핀이 마련되며,
    상기 기판은 상기 단말기에 부착되고,
    상기 기판의 부착면에는 상기 접촉 핀에 끼워지는 제2 가이드가 부착되며,
    상기 제2 가이드는 상기 기판이 상기 단말기에 부착된 후 상기 기판으로부터 제거되는 단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 단자는 배터리로 구동되는 단말기에 마련되고,
    상기 제1 외부 단자에는 상기 단말기 몸체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제2 외부 단자에 접촉되는 복수의 접촉 핀이 마련되며,
    상기 기판에는 상기 복수의 접촉 핀 중 일부에 끼워지는 가이드 홈이 마련되는 단자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 단자에는 전력 단자가 포함된 복수의 단자가 마련되고,
    상기 기판은 상기 제1 외부 단자와 상기 제2 외부 단자의 사이에 개재되는 개재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재부에는 상기 전력 단자를 제외한 나머지 단자 중 적어도 하나에 끼워지는 가이드 홈 및 상기 전력 단자에 접촉되는 상기 제1 단자가 마련되는 단자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 단자는 단말기에 형성된 배터리 홈의 특정 측벽에 마련되고,
    상기 기판은 상기 제1 외부 단자와 상기 제2 외부 단자의 사이에 개재되는 개재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재부는 상기 특정 측벽의 단부까지 연장되며,
    상기 개재부를 상기 특정 측벽의 단부에 밀착시켜 설치하는 것으로 상기 개재부의 개재 위치가 얼라인되는 단자 장치.
KR1020130164481A 2013-12-26 2013-12-26 단자 장치 KR1015357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4481A KR101535797B1 (ko) 2013-12-26 2013-12-26 단자 장치
JP2015555117A JP2016509742A (ja) 2013-12-26 2014-08-20 端子装置
CN201480000770.4A CN105144489A (zh) 2013-12-26 2014-08-20 端子装置
US14/380,479 US20160301783A1 (en) 2013-12-26 2014-08-20 Terminal device
CA2860255A CA2860255A1 (en) 2013-12-26 2014-08-20 Terminal device
EP14750676.0A EP2915216A4 (en) 2013-12-26 2014-08-20 TERMINAL DEVICE
PCT/KR2014/007741 WO2015099260A1 (en) 2013-12-26 2014-08-20 Terminal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4481A KR101535797B1 (ko) 2013-12-26 2013-12-26 단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5983A KR20150075983A (ko) 2015-07-06
KR101535797B1 true KR101535797B1 (ko) 2015-07-09

Family

ID=53479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4481A KR101535797B1 (ko) 2013-12-26 2013-12-26 단자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60301783A1 (ko)
EP (1) EP2915216A4 (ko)
JP (1) JP2016509742A (ko)
KR (1) KR101535797B1 (ko)
CN (1) CN105144489A (ko)
CA (1) CA2860255A1 (ko)
WO (1) WO20150992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11645A (zh) * 2016-12-26 2017-05-24 池州信安信息技术有限公司 Sim卡连接器
CN106785537A (zh) * 2016-12-26 2017-05-31 池州信安信息技术有限公司 Sim卡插座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2916B2 (ja) 1998-06-23 2001-06-04 富士インジェクタ株式会社 冷暖房装置における作動媒体の流路切換装置
KR20130004179U (ko) * 2011-12-29 2013-07-09 정재호 휴대폰 배터리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폰
KR101317866B1 (ko) * 2012-06-22 2013-10-16 조희철 휴대 장치
US20130288531A1 (en) * 2012-04-30 2013-10-3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5719A (ja) * 1997-12-25 1999-07-09 Rohm Co Ltd 電気部品の保護ケース、および充電池パック
JP5342299B2 (ja) * 2009-03-30 2013-11-13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アセンブリ
CN102136645B (zh) * 2010-12-31 2013-10-23 深圳市众明半导体照明有限公司 一种连接器
CN102394409B (zh) * 2011-07-15 2013-10-02 华为技术有限公司 电连接器及电连接器组合
CN102437450B (zh) * 2011-08-23 2014-04-30 华为技术有限公司 连接器、配合间隙自识别及调节系统、可靠性自识别系统
JP3172916U (ja) * 2011-10-28 2012-01-12 弘樹 山崎 照明器具
KR101321785B1 (ko) * 2011-12-21 2013-10-28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슬라이드 타입 커넥터
KR20130107426A (ko) 2012-03-22 2013-10-02 노은실 스마트폰케이스의 급속충전이 가능한 충전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2916B2 (ja) 1998-06-23 2001-06-04 富士インジェクタ株式会社 冷暖房装置における作動媒体の流路切換装置
KR20130004179U (ko) * 2011-12-29 2013-07-09 정재호 휴대폰 배터리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폰
US20130288531A1 (en) * 2012-04-30 2013-10-3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KR101317866B1 (ko) * 2012-06-22 2013-10-16 조희철 휴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301783A1 (en) 2016-10-13
CN105144489A (zh) 2015-12-09
JP2016509742A (ja) 2016-03-31
KR20150075983A (ko) 2015-07-06
EP2915216A1 (en) 2015-09-09
CA2860255A1 (en) 2015-06-26
WO2015099260A1 (en) 2015-07-02
EP2915216A4 (en) 2016-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2855B1 (ko) 휴대용 충전 케이스 모듈
KR20130004127A (ko) 휴대용 전자 기기용 도크
US8512048B2 (en) Expansion device connectable to electronic device
KR101535797B1 (ko) 단자 장치
US11695183B2 (en) Battery pack
CN107871154B (zh) 无人飞行器
KR101505113B1 (ko) 단자 장치
US2015010281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Batteries Of Different Thicknesses, And Electronic Device
CN219801292U (zh) 一种连接头、可拆式接头及数据线
US7695317B2 (en) Electrical connector
JP6602428B1 (ja) 電子機器
US8531339B2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CN112578860A (zh) 一种电子设备
US20110045876A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rotatable case
CN210515316U (zh) 指纹模组和电子设备
CN210608620U (zh) 一种充电卡座及其充电系统
CN215181656U (zh) 带有可拆卸式模块化摄像头的电脑
CN210780165U (zh) 移动电源
US11803713B2 (en) Charging terminal
CN209540366U (zh) 电子设备安装组件
US20240180306A1 (en) Protective case with removable functional modules
CN215301215U (zh) 卡托、卡托组件及电子设备
CN217590341U (zh) 电容笔无线充电器
CN211019510U (zh) 一种电子设备组件及电子设备
JP2007026920A (ja) 赤外線通信端末用ホル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