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5113B1 - 단자 장치 - Google Patents
단자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05113B1 KR101505113B1 KR1020130160139A KR20130160139A KR101505113B1 KR 101505113 B1 KR101505113 B1 KR 101505113B1 KR 1020130160139 A KR1020130160139 A KR 1020130160139A KR 20130160139 A KR20130160139 A KR 20130160139A KR 101505113 B1 KR101505113 B1 KR 10150511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external
- battery
- substrate
- external termin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01—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arrangement of the conductive inter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ing lo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Landscapes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단자 장치는 서로 접촉되는 제1 외부 단자와 제2 외부 단자의 사이에 개재되는 제1 단자 및 상기 제1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외부 단자와 상기 제2 외부 단자의 사이에 개재된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제1 외부 단자 및 상기 제2 외부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미 사용중인 단자를 이용하여 사용 가능한 별도 단자를 제공하는 단자 장치 및 배터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의 보급이 활발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다양한 스마트폰 주변 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일부의 주변 장치는 스마트폰 또는 배터리와의 전기적 연결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스마트폰에서 제공하는 단자를 이용하고 있는데, 이에 따라 다양한 제약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의 단자에 주변 장치를 연결할 경우 스마트폰과 함께 제공된 충전기로 스마트폰을 충전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스마트폰의 단자가 통신 단자와 충전 단자의 기능을 겸하기 때문이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07426호에는 스마트폰을 급속 충전하는 기술이 개시되고 있으나, 스마트폰에서 제공하는 단자를 그대로 이용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미 사용중인 단자를 이용하여 사용 가능한 별도 단자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단자 장치는 서로 접촉되는 제1 외부 단자와 제2 외부 단자의 사이에 개재되는 제1 단자 및 상기 제1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외부 단자와 상기 제2 외부 단자의 사이에 개재된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제1 외부 단자 및 상기 제2 외부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자 장치는 배터리 단자가 형성된 배터리의 단부가 끼워지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에 마련된 제1 단자 및 제2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배터리 단자에 접촉되고,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제1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터리 장치는 단말기의 단말기 단자에 접촉되는 제1 단자가 마련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고 상기 제1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터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는 상기 제1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단자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자 장치는 서로 접촉되는 2개의 외부 단자의 사이에 개재되는 제1 단자, 제1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단자를 포함함으로써, 사용 가능한 단자가 없는 상태에서도 사용 가능한 단자를 추가로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서로 접촉되는 2개의 외부 단자를 갖는 스마트폰 등 각종 단말기에 추가 단자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의 추가 단자는 단말기와 외부 배터리의 연결, 단말기와 외부 통신 장치의 연결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단자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단자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단자 장치가 설치된 단말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가이드가 마련된 단자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가이드가 마련된 다른 단자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단자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단자 장치가 끼워진 배터리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배터리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단자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단자 장치가 설치된 단말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가이드가 마련된 단자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가이드가 마련된 다른 단자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단자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단자 장치가 끼워진 배터리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배터리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단자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단자 장치는 제1 단자(110) 및 제2 단자(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자(110)는 서로 접촉되는 제1 외부 단자(11)와 제2 외부 단자(21)의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스마트폰과 같이 휴대성을 갖는 단말기(10)는 단말기(10)에 장착되는 배터리(20)로 구동된다. 배터리(20)와 통신하고 배터리(20)의 전력을 제공받기 위해 단말기(10)에는 단말기 단자가 제1 외부 단자(11)로 마련된다. 이에 대응하여 배터리(20)에는 배터리 단자가 제2 외부 단자(21)로 마련된다. 제1 외부 단자(11)와 제2 외부 단자(21)는 서로 대응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양자간의 접촉으로 해당 제1 외부 단자(11)와 제2 단자(120)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외부 단자(11)와 제2 외부 단자(21)의 접촉이 이루어지면 해당 단자들은 다른 기기와의 연결이 거의 불가능하다.
그런데, 제1 외부 단자(11)와 제2 외부 단자(21)의 사이에 개재되는 제1 단자(110)에 의하면 제1 외부 단자(11) 및 제2 외부 단자(21)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른 기기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된다.
단말기(10)에 배터리(20)를 장착한 상태에서 제1 외부 단자(11)와 제2 외부 단자(21) 사이의 간격은 매우 좁을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20)의 장착을 제한하지 않으면서도 신뢰성 있게 제1 외부 단자(11)와 제2 외부 단자(21) 사이에 개재되기 위해 제1 단자(110)는 얇은 박막형태인 것이 좋다. 이를 위해 제1 단자(110)는 필름형 단자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단자(110)의 개입으로 제1 외부 단자(11)와 제2 외부 단자(21) 간의 전기적 연결이 단절되지 않도록 제1 단자(110)는 제1 외부 단자(11) 및 제2 외부 단자(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예로 제1 단자(110)는 전기 전도성 재질의 긴 판일 수 있으며, 일면은 제1 외부 단자(11)에 접촉되고 타면은 제2 외부 단자(21)에 접촉될 수 있다.
제1 단자(110)는 제1 외부 단자(11)와 제2 외부 단자(21)의 사이에 개재되므로 제1 단자(110)에는 외부 기기의 단자가 직접 연결되기 어렵다. 따라서, 제1 단자(110)에 이격된 위치에 제2 단자(120)를 마련할 수 있다.
제2 단자(120)는 제1 단자(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단자(120)는 외부 기기의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와 같이 단말기(10)에는 배터리(20)를 덮는 백 커버(12)가 마련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단자 장치가 설치된 단말기(1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제2 단자(120)는 백 커버(12)에 마련된 커버 단자(13)에 접촉될 수 있다. 백 커버(12)에는 솔라 셀, 보조 배터리, 부가 통신 장치 등이 마련될 수 있으며, 해당 장치는 커버 단자(13) 및 제2 단자(120)를 통해 배터리(20) 또는 단말기(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단자(110)와 제2 단자(120)는 서로 이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단자(110)와 제2 단자(1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패턴(131)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의 연결 패턴(131)은 제1 단자(110)와 제2 단자(120)를 연결하는 기판(130)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단자(110)와 제2 단자(120) 역시 해당 기판(130)에 연결 패턴(131)과 함께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기판(130)에 의해 제1 단자(110), 제2 단자(120), 연결 패턴(131)이 지지되므로 사용자는 기판(130)을 보관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단자 장치 전체를 보관할 수 있다. 따라서, 기판(130)에 의하면 단자 장치의 보관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기판(130)은 연결 패턴(131)과 대비하여 높은 강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단자(110)와 제2 단자(120) 중 어느 하나의 위치가 결정되면 기판(130)에 의해 다른 하나의 위치가 가이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자(110)가 제1 외부 단자(11)에 고정되면 제2 단자(120)는 커버 단자(13)의 위치에 자연스럽게 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단자(120)가 커버 단자(13)의 위치에 고정되면 제1 단자(110)는 제1 단자(110)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이를 위해서는 제1 외부 단자(11)와 커버 단자(13)의 접촉 위치를 고려하여 기판(130)의 형상 및 크기를 형성해야 할 것이다.
기판(130)에 의하면 어느 한 단자만 초기 설계 위치에 배치되면 나머지 단자도 자연스럽게 초기 설계 위치에 배치되므로 설치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여기에 더하여 기판(130)을 플렉시블 재질로 구성한다면 설치 편의성은 더욱 증대될 것이다.
기판(130)은 판 형태일 수 있다. 판 형태의 기판(130)이 xy 평면에 놓여지고 어느 한 단자가 xy 평면에 놓여지면 다른 단자는 x축 자유도 및 y축 자유도가 거의 없다. 다만 기판(130)이 플렉시블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 다른 단자는 z축 자유도는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기판(130)의 일단부터 타단까지 점진적으로 단말기(10)에 접촉시킬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면 양면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단말기(10)에 기판(130)을 용이하게 부착시킬 수 있다.
한편, 이미 접촉된 상태의 제1 외부 단자(11)와 제2 외부 단자(21)의 사이로 제1 단자(110)를 끼워넣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제1 외부 단자(11)와 제2 외부 단자(21)의 접촉 전에 제1 외부 단자(11) 상에 제1 단자(110)의 일면을 위치시키는 것이 좋을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제1 외부 단자(11)와 접촉을 시도하는 제2 외부 단자(21)는 자연스럽게 제1 단자(110)의 타면에 접촉될 수 있다.
제1 단자(110)는 제1 외부 단자(11)와 제2 외부 단자(21)의 사이에 착탈되고, 제2 단자(120)는 제1 외부 단자(11)가 마련된 단말기(1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단자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에는 제1 단자(110)가 제1 외부 단자(11)와 제2 외부 단자(21)의 사이에 위치한 상태(장착 상태)가 개시되고, 도 3에는 제1 단자(110)가 제1 외부 단자(11)와 제2 외부 단자(21)의 사이로부터 벗어난 상태(이탈 상태)가 개시된다.
제1 단자(110)의 착탈을 위해 기판(130)은 제1 단자(110)로부터 제2 단자(120)까지의 설정 위치 P에서 회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단자(120)가 단말기(10)에 고정된 상태라면 설정 위치 P를 축으로 하여 제1 단자(110)가 회동된다. 따라서, 제1 단자(110)가 제1 외부 단자(11)에 접촉하도록 기판(130)을 회동시키면 도 2와 같이 제1 외부 단자(11)와 제2 외부 단자(21)의 사이에 제1 단자(110)가 위치하는 상태가 된다. 제1 단자(110)가 제1 외부 단자(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기판(130)을 회동시키면 도 3과 같이 제1 단자(110)는 제1 외부 단자(11)와 제2 외부 단자(21)의 사이에 위치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회동의 중심이 되는 설정 위치 P가 마련되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1 단자(110)의 적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기판(130)에서 설정 위치 P로부터 제2 단자(120)까지의 구간과 제2 단자(120)는 제1 외부 단자(11)가 마련된 단말기(10)에 고정될 수 있다. 기판(130)/제2 단자(120)와 단말기(10)의 고정에는 접착제 또는 양면테이프가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설정 위치 P는 단말기(10)에 마련된 배터리(20)의 수용 공간(19)의 단부 부근에 마련되는 것이 좋다. 이에 따르면 설정 위치 P를 중심으로 한 회동이 단말기(10)에 의해 간섭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단자 장치에 의하면 이미 활용 중인 상태의 외부 단자들을 이용하여 활용 가능한 제2 단자(120)가 추가로 제공된다. 위에서는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10)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단자 장치는 제1 단자(110)가 개재될 수 있을 정도로 서로 접촉된 외부 단자가 마련된 다양한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단자 장치에는 설치의 편의, 단말기(10) 보호, 외부 기기와의 신뢰성 있는 연결을 위해 가이드 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하나의 외부 단자에는 복수의 접촉 핀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는 제1 외부 단자(11)에 3개의 접촉 핀이 마련되고 있다. 각각의 접촉 핀은 서로 다른 정보를 전달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일예로 3개의 접촉 핀은 각각 (+) 전원, (-) 전원, 데이터의 통로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접촉 핀이 서로 합선되거나 다른 통로에 연결된다면 단말기(10)나 배터리(20)가 파손될 수 있다. 또는 제2 단자(120)에 연결되는 외부 기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제1 단자(110)가 정확하게 제1 외부 단자(11)와 제2 외부 단자(21)에 개재되어야 한다. 즉, 제1 단자(110)가 접촉 핀에 정확하게 접촉되도록, 단말기(10)에 단자 장치를 신중하게 붙여야 한다. 이에 따르면 설치가 불편할 수 있다.
가이드 수단에 따르면 용이하면서도 정확한 위치에 제1 단자(110)를 위치시킬 수 있다. 가이드 수단은 제1 단자(110) 또는 제2 단자(120)의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
도 5는 가이드가 마련된 단자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단자 장치는 제1 단자(110)의 개재 위치를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150)에는 제1 외부 단자(11)에 끼워지는 끼임부(151)가 마련될 수 있다.
끼임부(151)는 제1 외부 단자(11)를 구성하는 접촉 핀의 크기 및 간격에 맞게 형성된 홈 또는 홀일 수 있다. 제1 가이드(150)는 제1 단자(110) 또는 기판(130)에 부착되고, 개재 위치의 가이드 후에는 제1 단자(110) 또는 기판(130)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제1 가이드(150)는 전체적으로 단자 장치의 배면에 붙어 있는 판 형상의 이면지일 수 있다. 이면지는 기판(130)으로부터 제1 단자(110)의 위치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면지에서 제1 단자(110)에 대면하는 부위에 끼임부(15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면지에서 끼임부(151)가 형성된 부분은 제1 단자(110)에 붙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1 단자(110)로부터 분리되는 끼임부(151)를 제1 외부 단자(11)에 끼울 수 있다.
제1 외부 단자(11)와 제2 외부 단자(21)의 신뢰성 있는 접촉을 위해 제1 외부 단자(11)는 접촉 핀과 같은 돌출된 탄성체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외부 단자(11)의 접촉 핀을 끼임부(151)에 용이하게 끼울 수 있다. 끼임부(151)에 제1 외부 단자(11)가 끼워진 상태에서 제2 단자(120)를 잡아당기고 제1 외부 단자(11)가 마련된 단말기(10)에 부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면지를 기판(130)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이면지가 떼어진 기판(130)을 단말기(10)에 붙이면 자연스럽게 제1 단자(110)는 제1 외부 단자(11)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이면지의 단부에는 배터리(20)의 수용 공간(19)의 단부 턱에 걸리는 스토퍼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의 스토퍼는 기판(130)이 제1 방향으로 연장될 때, 수용 공간(19)의 단부 턱에 걸리도록 수용 공간(19)의 바닥을 향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스토퍼는 앞에서 살펴본 설정 위치 P에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스토퍼가 수용 공간(19)의 단부 턱에 걸릴 때까지 잡아당기면 제1 방향으로 제1 단자는 적정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스토퍼에서 제1 외부 단자(11)에 대면하는 면에 홀 또는 홈이 형성되면 스토퍼의 좌우 위치를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단자(110) 역시 제1 외부 단자 상에 올바르게 위치하게 된다.
도 6은 가이드가 마련된 다른 단자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단자 장치는 단말기(10)에 고정되는 제2 단자(120)의 고정 위치를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가이드에는 제2 단자(120)로부터 단말기(10)의 식별선(17)까지 확장되는 확장부(17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의 확장부(170)는 제2 단자(120) 또는 제2 단자(120)가 마련된 기판(13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식별선(17)은 단말기(10)에서 제2 단자(120)가 고정되는 면에 형성된 선, 돌기, 홈, 테두리 등 사용자가 식별 가능한 선 또는 사물일 수 있다.
도면에는 식별선(17)으로서 제2 단자(120)가 고정되는 면에 'L'자로 형성된 선(17)이 이용되고 있다. 확장부(170)는 식별선(17) 'L'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확장부(170)가 식별선(17) 'L'에 얼라인되도록 하여 제2 단자(120)를 단말기(10)에 붙이는 것으로 정확하게 제2 단자(120)를 설치할 수 있다. 즉, 확장부(170)는 단말기(10)에 마련된 식별선(17)을 이용하여 제2 단자(120)를 얼라인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식별자로서 제2 단자(120)가 고정되는 면에 돌출된 카메라 모듈(18)이 개시되고 있다. 확장부(170)에는 카메라 모듈(18)에 끼워지는 식별부(171)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의 식별부(171)는 카메라 모듈(18)이 끼워지는 홈 또는 홀일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식별부(171)가 카메라 모듈(18)에 끼워진 상태에서 단말기(10)에 제2 단자(120)를 붙이는 것으로 정확하게 제2 단자(120)를 설치할 수 있다.
이상의 제1 가이드(150) 및 제2 가이드에 의하면 단자 장치를 간편하면서도 정확하게 단말기(10)에 부착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단자(110)를 보다 용이하게 설치하는 방안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단자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단자 장치가 끼워진 배터리(2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단자 장치는 배터리 단자가 형성된 배터리(20)의 단부가 끼워지는 수용부(210), 수용부(210)에 마련된 제1 단자(110) 및 제2 단자(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단자(110)는 배터리 단자에 접촉되고, 제2 단자(120)는 제1 단자(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수용부(210)는 배터리(20)에 장착되면 배터리(20)와 함께 단말기(10)에 마련된 배터리(20) 수용 공간(19)에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수용부(210)는 얇은 박막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수용부(210)는 소위 담배갑에서 담배갑을 감싸는 비닐 주머니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210)는 제2 외부 단자(21)에 해당하는 배터리 단자가 형성된 배터리(20)의 단부에 끼워진다. 이때, 제2 외부 단자(21)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1 단자(110)가 마련되면 자연스럽게 제1 단자(110)와 제2 외부 단자(21)가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수용부(210)가 끼워진 배터리(20)를 단말기(10)에 장착하면 단말기(10)의 제1 외부 단자(11)는 제1 단자(110)와 접촉하게 된다. 수용부(210)는 제1 단자(110)와 제2 단자(120)를 연결하는 기판(130)을 겸할 수 있다.
배터리(20)는 단말기(10)에 장착시 제1 면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때, 수용부(210)는 제1 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으며, 제2 단자(120)는 수용부(210)에서 제1 면을 덮는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2 단자(120)는 외부로 노출되고 백 커버(12) 등에 마련된 커버 단자(13)에 연결될 수 있다.
수용부(210)에 의하면 단말기(10)에 제2 단자(120)를 부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보다 용이하게 제1 단자(110)를 제1 외부 단자(11)와 제2 외부 단자(21)의 사이에 개재시킬 수 있다. 하지만 수용부(210)를 배터리(20)에 끼워야하는 어느 정도의 수고는 감수해야 한다. 사용자의 수고를 최소화시키기 위해 제1 단자(110)와 제2 단자(120)를 배터리(20)에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배터리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배터리 장치는 단말기(10)의 단말기 단자에 접촉되는 제1 단자(110)가 마련된 케이스 및 케이스에 수용되고 제1 단자(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터리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의 외면에는 제1 단자(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단자(120)가 마련될 수 있다.
케이스는 배터리(20)의 외형을 형성하며, 제1 단자(110) 및 제2 단자(120)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적으로 제1 단자(110)는 앞에서 살펴본 제2 외부 단자(21)와 유사하다. 그러나, 내부적으로 제1 단자(110)는 케이스 내부에 수용된 배터리부(310)의 제2 외부 단자(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단자이다. 그리고, 케이스의 외면에 설치된 제2 단자(120)는 제1 단자(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으로 배터리 케이스 내부에 앞에서 살펴본 단자 장치가 수용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외부적으로 제1 단자(110)와 제2 단자(120)가 마련된 배터리 장치가 제공된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단자 장치를 단말기(10)나 배터리(20)에 부가하는 수고 없이 활용 가능한 여분의 제2 단자(120)를 확보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단말기 11...제1 외부 단자
12...백 커버 13...커버 단자
17...식별선 18...카메라 모듈
19...수용 공간 20...배터리
21...제2 외부 단자 110...제1 단자
120...제2 단자 130...기판
131...연결 패턴 150...제1 가이드
151...끼임부 170...확장부
171...식별부 210...수용부
310...배터리부
12...백 커버 13...커버 단자
17...식별선 18...카메라 모듈
19...수용 공간 20...배터리
21...제2 외부 단자 110...제1 단자
120...제2 단자 130...기판
131...연결 패턴 150...제1 가이드
151...끼임부 170...확장부
171...식별부 210...수용부
310...배터리부
Claims (11)
- 서로 접촉되는 제1 외부 단자와 제2 외부 단자의 사이에 개재되는 제1 단자;
상기 제1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단자;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를 연결하는 기판; 및
상기 제1 단자의 개재 위치를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이드는 상기 제1 단자 또는 상기 기판에 부착되고, 상기 개재 위치의 가이드 후에는 상기 제1 단자 또는 상기 기판으로부터 이탈되는 단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 단자는 배터리로 구동되는 단말기에 마련되고,
상기 제2 외부 단자는 상기 배터리에 마련되며,
상기 단말기에는 상기 배터리를 덮는 백 커버가 마련되고,
상기 제1 단자는 필름형 단자이며,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백 커버에 마련된 커버 단자에 접촉되는 단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제1 외부 단자와 상기 제2 외부 단자의 사이에 착탈되고,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제1 외부 단자가 마련된 단말기에 고정되는 단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 중 하나의 위치가 결정되면 상기 기판에 의해 다른 하나의 위치가 가이드되는 단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제1 단자로부터 상기 제2 단자까지의 설정 위치에서 회동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기판에서 상기 설정 위치로부터 상기 제2 단자까지의 구간과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제1 외부 단자가 마련된 단말기에 고정되는 단자 장치.
- 삭제
- 삭제
- 서로 접촉되는 제1 외부 단자와 제2 외부 단자의 사이에 개재되는 제1 단자;
상기 제1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단자; 및
단말기에서 상기 제2 단자의 고정 위치를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외부 단자는 단말기에 마련되며,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단말기에 고정되고,
상기 제2 가이드에는 상기 제2 단자로부터 상기 단말기의 식별선까지 확장되는 확장부가 마련되는 단자 장치.
- 삭제
- 배터리 단자가 형성된 배터리의 단부가 끼워지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에 마련된 제1 단자 및 제2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배터리 단자에 접촉되고,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제1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배터리는 단말기에 장착시 제1 면이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1 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으며,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수용부에서 상기 제1 면을 덮는 부위에 형성되는 단자 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60139A KR101505113B1 (ko) | 2013-12-20 | 2013-12-20 | 단자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60139A KR101505113B1 (ko) | 2013-12-20 | 2013-12-20 | 단자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05113B1 true KR101505113B1 (ko) | 2015-03-30 |
Family
ID=53028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60139A KR101505113B1 (ko) | 2013-12-20 | 2013-12-20 | 단자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05113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72916U (ja) * | 2011-10-28 | 2012-01-12 | 弘樹 山崎 | 照明器具 |
KR20130004179U (ko) * | 2011-12-29 | 2013-07-09 | 정재호 | 휴대폰 배터리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폰 |
-
2013
- 2013-12-20 KR KR1020130160139A patent/KR10150511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72916U (ja) * | 2011-10-28 | 2012-01-12 | 弘樹 山崎 | 照明器具 |
KR20130004179U (ko) * | 2011-12-29 | 2013-07-09 | 정재호 | 휴대폰 배터리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22855B1 (ko) | 휴대용 충전 케이스 모듈 | |
KR101405788B1 (ko) | 휴대용 전자 기기용 도크 | |
JP5805705B2 (ja) | 複数の電池の極性保護 | |
KR102567412B1 (ko) | 복수의 레이어를 포함하는 차폐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하는 전자 장치 | |
US20090079392A1 (en) | Portable power supply module with winding unit | |
US20170346321A1 (en) | Disposable Charger for a Mobile Electronic Device | |
KR20020024785A (ko) | 안테나를 내장한 집적 회로 카드를 장착할 수 있는 전자장치 | |
KR101535797B1 (ko) | 단자 장치 | |
KR20210086092A (ko) | 배터리 팩 | |
KR101505113B1 (ko) | 단자 장치 | |
JP6602428B1 (ja) | 電子機器 | |
US11522382B1 (en) | Wireless mobile battery | |
KR101581113B1 (ko) | 모바일 기기의 외부 인터페이스 보조 장치 | |
JP2008288151A (ja) | 防水端子構造 | |
TW201316153A (zh) | 電子設備之收納箱 | |
CN103424703A (zh) | 一种识别不同厚度电池的装置及其方法 | |
US9965664B2 (en) | Mobile data collector with keyboard | |
CN101753645B (zh) | 电子装置 | |
KR20100094176A (ko) | 카드 배터리 및 카드 배터리의 커넥터 | |
KR20210041985A (ko) | 복수 개의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KR20210011762A (ko) | 플렉서블 배터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US20240180306A1 (en) | Protective case with removable functional modules | |
CN212752344U (zh) | 一种应用于电子设备的保护壳组件 | |
CN203071598U (zh) | 一种便携式移动电源 | |
CN210515316U (zh) | 指纹模组和电子设备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