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1113B1 - 모바일 기기의 외부 인터페이스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모바일 기기의 외부 인터페이스 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1113B1
KR101581113B1 KR1020140038138A KR20140038138A KR101581113B1 KR 101581113 B1 KR101581113 B1 KR 101581113B1 KR 1020140038138 A KR1020140038138 A KR 1020140038138A KR 20140038138 A KR20140038138 A KR 20140038138A KR 101581113 B1 KR101581113 B1 KR 101581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mobile device
usb
external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8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3729A (ko
Inventor
이건일
Original Assignee
이건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건일 filed Critical 이건일
Priority to KR1020140038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1113B1/ko
Publication of KR20150113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3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1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11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의 외부 인터페이스를 보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모바일 기기 연결용 커넥터를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제1체결부와, USB 커넥터를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제2체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체결부와 제2체결부는 별도의 본체부에 형성되거나 케이스 자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체결부와 제2체결부에는 USB 저장장치를 구비한 USB 인터페이스 장치가 탈부착되며, USB OTG(On The Go) 기술을 통해 USB 저장장치가 바로 인식된다. 모바일 기기의 외부 커넥터 연결잭에 장착하여 사용할 USB 저장장치를 분실이나 파손의 염려없이 편리하게 휴대하고 사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모바일 기기의 외부 인터페이스 보조 장치{ Apparatus for Assisting External Interface of Mobile Device }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의 외부 인터페이스를 보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컴퓨터 등의 모바일 기기를 이용할 때 외부 USB 저장장치를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컴퓨터 등 모바일 기기의 보급이 크게 확산되고 있으며, 화면 크기가 커지고 중앙처리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의 성능이 높아짐에 따라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이용도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모바일 기기는 저장용량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저장공간(메모리)을 추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유저들은 SD 메모리 카드 등을 모바일 기기에 장착하여 별도의 저장공간을 확보하고 있다.
하지만 별도의 어댑터나 메모리 리더 등의 장치가 필요하고, SD 메모리 카드를 모바일 기기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모바일 기기의 커버를 열고 닫아야 하는 등의 작업이 필요하여 번거롭고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모바일 기기의 저장공간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해주는 USB 저장장치를 더욱 손쉽게 사용하고 보관할 수 있도록 해 주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외부 인터페이스 보조 장치에 관한 일 실시예는, 제1커넥터(모바일 기기의 외부 커넥터 연결잭에 연결되는 커넥터)를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제1체결부; 일정 형상의 제2커넥터를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제2체결부; 상기 제1체결부와 제2체결부가 형성된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를 모바일 기기 또는 모바일 기기의 케이스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부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외부 인터페이스 보조 장치에 관한 다른 실시예는, 제1커넥터(모바일 기기의 외부 커넥터 연결잭에 연결되는 커넥터)를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제1체결부; 일정 형상의 제2커넥터를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제2체결부; 모바일 기기의 외부 커넥터 연결잭에 연결되는 제3커넥터; 및 상기 제1체결부, 제2체결부, 제3커넥터가 형성되어 있는 모바일 기기의 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체결부와 제3커넥터는 상기 케이스에 구비된 신호선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각 실시예의 제2체결부는 USB 포트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외부 인터페이스 보조 장치에 관한 또 다른 실시예는, USB 포트가 구비되어 있는 모바일 기기의 외장형 배터리; 및 상기 외장형 배터리를 모바일 기기 또는 모바일 기기의 케이스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부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USB 포트의 전원 단자로 상기 외장형 배터리의 전원이 공급된다.
상기 각 실시예의 외부 인터페이스 보조 장치는 USB 인터페이스 장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USB 인터페이스 장치는, 모바일 기기의 외부 커넥터 연결잭에 연결될 수 있는 제1커넥터; 일정 형상의 제2커넥터; 상기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를 연결하는 연결선; 및 상기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연결선을 통해 연결되는 USB 저장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2커넥터는 USB 포트에 연결되는 USB 커넥터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외부 인터페이스 보조 장치에 관한 또 다른 실시예는, 모바일 기기의 외부 커넥터 연결잭에 연결되는 제3커넥터; USB 저장장치를 탈부착할 수 있는 수납부; 및 상기 제3커넥터와 수납부가 형성된 모바일 기기의 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3커넥터와 상기 수납부의 USB 접속단자는 상기 케이스에 구비된 신호선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외부 인터페이스 보조 장치에 관한 또 다른 실시예는, 모바일 기기의 외부 커넥터 연결잭에 연결되는 제3커넥터; 외부 커넥터가 연결되는 제4커넥터; USB 저장장치를 탈부착할 수 있는 수납부; 및 상기 제3커넥터와, 상기 제4커넥터와, 상기 수납부가 형성된 모바일 기기의 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4커넥터와 상기 수납부의 USB 접속단자는 상기 케이스에 구비된 신호선을 통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제4커넥터의 각 단자는 그에 대응하는 상기 제3커넥터의 각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수납부는 상기 케이스의 후면에 수용 홈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바일 기기에 사용할 USB 저장장치를 분실이나 파손의 염려없이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다.
USB OTG(On The Go) 기술을 통해 USB 인터페이스 장치의 USB 저장장치를 바로 사용할 수 있고, USB 인터페이스 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외부 인터페이스 보조 장치에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외장형 배터리를 사용하는 실시예에서는 USB 저장장치의 연결과 함께 전원도 공급할 수 있어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외부 인터페이스 보조 장치와 USB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일 실시예,
도 2는 마이크로 5핀 커넥터와 USB 저장장치의 연결관계를 보인 예,
도 3은 모바일 기기에 사용되는 모습을 보인 예,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외부 인터페이스 보조 장치에 관한 다른 실시예,
도 5는 모바일 기기의 케이스에 관한 또 다른 실시예,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외부 인터페이스 보조 장치에 관한 또 다른 실시예,
도 8과 도 9는 USB 저장장치를 별도로 수납할 수 있는 외부 인터페이스 보조 장치에 관한 실시예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b를 참조하자면, USB 인터페이스 장치(21)는 모바일 기기의 외부 커넥터 연결잭에 연결될 수 있는 제1커넥터(21-1), 제2커넥터(21-2), USB(Universal Serial Bus) 저장장치(21-3), 연결선(21-4)으로 이루어진다.
제1커넥터(21-1)는 모바일 기기의 외부 커넥터 연결잭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커넥터(21-1)는 도 2에 도시된 예와 같이 Vcc, D-, D+, IO, GND의 5개 단자를 갖는 마이크로 5핀 커넥터일 수 있다.
USB 저장장치(21-3)는 모바일 기기가 USB 저장장치(21-3)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1커넥터(21-1)의 각 단자와 연결된다.
예컨대 제1커넥터(21-1)가 마이크로 5핀 커넥터인 경우 USB 저장장치(21-3)의 Vcc, D-, D+ 단자는 각각 그에 대응하는 마이크로 5핀 커넥터의 Vcc, D-, D+ 단자에 연결되고, USB 저장장치(21-3)의 GND 단자는 마이크로 5핀 커넥터의 IO와 GND 단자에 공통 연결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제2커넥터(21-2)는 단순히 USB 인터페이스 장치(21)를 모바일 기기의 외부 인터페이스 보조 장치(11)에 수납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고, 타 장치의 USB 포트에 연결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 제2커넥터(21-2)는 단지 수납용으로 사용되므로, 임의의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지만, 후자의 경우 제2커넥터(21-2)는 USB 포트에 연결되는 USB 커넥터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연결선(21-4)은 제1커넥터(21-1)와 제2커넥터(21-2)의 사이를 연결하며, USB 신호선을 포함할 수 있다.
USB 저장장치(21-3)는 제1커넥터(21-1)와 제2커넥터(21-2)의 사이에 어디든지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USB 저장장치(21-3)는 도 1b에 도시된 예와는 다르게 제2커넥터(21-2) 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연결선(21-4)이 커넥터와 연결되는 말단 부위는 지지력의 강화나 보호 등을 위하여 일정 부재(21-5)로 감쌀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외부 인터페이스 보조 장치(11)에 관한 일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본체부(11-1)에는 제1체결부(11-2)와 제2체결부(11-3)가 형성된다.
제1체결부(11-2)와 제2체결부(11-3)에는 각각 USB 인터페이스 장치(21)의 제1커넥터(21-1)와 제2커넥터(21-2)가 탈부착된다.
예컨대 제1체결부(11-2)에는 마이크로 5핀 커넥터(21-1: 제1커넥터)가 탈부착 되고, 제2체결부(11-3)에는 USB 커넥터(21-2: 제2커넥터)가 탈부착 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는 제1체결부(11-2)와 제2체결부(11-3)가 홈의 형태로 구성되고, 제1커넥터(21-1)와 제2커넥터(21-2)가 돌출된 형태로 도시되어 있지만, 제1체결부(11-2)와 제1커넥터(21-1), 제2체결부(11-3)와 제2커넥터(21-2)는 서로 탈부착 될 수 있도록 다양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예로서 제2커넥터(21-2)가 홈 형태의 USB 포트로 구성되고, 제2체결부(11-3)가 돌출된 형태의 USB 커넥터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체부(11-1)는 얼마든지 다양한 형태와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부착부(11-4)를 통해 모바일 기기 또는 모바일 기기의 케이스에 부착된다. 부착부(11-4)는 본체부(11-1)가 모바일 기기 또는 모바일 기기의 케이스에 탈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부착부(11-4)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본체부(11-1)의 하단에 구비되는 접착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또 다른 예로서 자석을 이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얇은 철판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모바일 기기나 모바일 기기의 케이스에 부착하도록 하고, 본체부(11-1)의 하단에 부착부(11-4)로서의 자석을 구비하도록 하면, 본체부(11-1)를 탈부착 시킬 수 있다.
도 3은 외부 인터페이스 보조 장치(11)와 USB 인터페이스 장치(21)가 모바일 기기(110)에 사용되는 모습의 예를 보인 것이다.
도 3a를 참조하자면, 외부 인터페이스 보조 장치(11)가 모바일 기기(110)의 후면에 부착되어 있고, USB 인터페이스 장치(21)의 제1커넥터(21-1)는 모바일 기기의 외부 커넥터 연결잭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2커넥터(21-2)는 외부 인터페이스 보조 장치(11)의 제2체결부(11-3)에 수납되어 있다.
외부 인터페이스 보조 장치(11)는 모바일 기기(110)의 케이스에 부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USB 인터페이스 장치(21)에 구비된 마이크로 5핀 커넥터(21-1: 제1커넥터)를 모바일 기기(110)에 연결하면, USB OTG(On The Go) 기술을 통해 USB 저장장치(21-3)가 바로 인식되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사용이 끝나거나 또는 모바일 기기(110)의 외부 커넥터 연결잭에 별도의 충전기를 연결해야 할 때는 도 3b에 보인 예와 같이 마이크로 5핀 커넥터를 외부 인터페이스 보조 장치(11)의 제1체결부(11-2)에 수납시켜 보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외부 인터페이스 보조 장치(41)에 관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모바일 기기의 케이스(111)에 제1체결부(11-2), 제2체결부(11-3), 및 제3커넥터(111-1)가 형성된다.
제1체결부(11-2)와 제2체결부(11-3)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와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
제3커넥터(111-1)는 케이스(111)에 장착되는 모바일 기기의 외부 커넥터 연결잭과 연결된다. 이때 제1체결부(11-2)와 제3커넥터(111-1)는 케이스(111)에 구비된 신호선(111-2)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그러므로 케이스(111)에 모바일 기기가 장착되어 제3커넥터(111-1)가 해당 모바일 기기의 외부 커넥터 연결잭에 연결되고, USB 인터페이스 장치(21)의 제1커넥터(21-1)가 제1체결부(11-2)에 연결되면, 제1커넥터(21-1)는 모바일 기기의 외부 커넥터 연결잭에 연결된 것과 마찬가지가 되고, 모바일 기기는 USB 저장장치(21-3)를 인식하게 된다.
케이스(111)의 하단 좌측 모서리의 볼록한 부분에 제1체결부(11-2)와 제2체결부(11-3)가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제1체결부(11-2)와 제2체결부(11-3)는 케이스(111)의 임의 위치에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유저는 도 4b에 도시된 예와 같이 케이스(111)의 제2체결부(11-3)에 USB 인터페이스 장치(21)의 제2커넥터(21-2)를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다.
케이스(111)는 얼마든지 다양한 형태와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3커넥터(111-1)는 모바일 기기의 외부 커넥터 연결잭의 위치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11)를 탄력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하면, 모바일 기기의 외부 커넥터 연결잭에 제3커넥터(111-1)를 맞추어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예와 같이 케이스(111)를 상단 부분의 측면이 없는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유저는 모바일 기기를 케이스(111)에 슬라이딩 시키면서 장착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모바일 기기의 외부 커넥터 연결잭에 제3커넥터(111-1)를 맞출 수 있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외부 인터페이스 보조 장치(61)에 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모바일 기기의 외장형 배터리(130)와 부착부(1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외장형 배터리(130)에는 USB 포트(130-1)가 구비되어 있으며, USB 포트(130-1)의 전원 단자로 외장형 배터리(130)의 전원이 공급된다.
도 6에는 USB 인터페이스 장치(21)의 제2커넥터(21-2)가 USB 커넥터의 형태로 구성된 예가 나타나 있다.
USB 저장장치(21-3)가 제2커넥터(21-2) 측에 구비된 예가 나타나 있지만, USB 저장장치(21-3)는 제1커넥터(21-1) 측에 구비될 수도 있다.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USB 인터페이스 장치(21)의 제2커넥터(21-2)를 외장형 배터리(130)의 USB 포트(130-1)에 연결하고, 제1커넥터(21-1)를 모바일 단말의 외부 커넥터 연결잭(110-5)에 연결하면, 외장형 배터리(130)의 전원 단자가 제2커넥터(21-2)의 전원 단자에 접속하고, 이 전원 단자는 연결선(21-4)을 통해 제1커넥터(21-1)의 전원단자에 연결된다.
그러므로, 모바일 기기(110)는 USB 인터페이스 장치(21)의 USB 저장장치(21-3)를 인식함과 아울러 외장형 배터리(130)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을 수 있다.
부착부(132)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부착부(132)는 외장형 배터리(130)의 하부면에 도포되는 접착제를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자석을 이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얇은 철판(133)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모바일 기기(110)나 케이스에 부착하도록 하고, 외장형 배터리(130)의 하부면에 자석(132)을 구비하도록 하여, 외장형 배터리(130)를 탈부착 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7b는 외장형 배터리(130)가 부착부(132)를 통해 모바일 기기(110)의 후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USB 인터페이스 장치(21)의 제1커넥터(21-1)와 제2커넥터(21-2)를 통해 모바일 기기(110)와 서로 연결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USB 저장장치(21-3)의 사용과 전원 공급을 모두 할 수 있어 모바일 기기(110)를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8은 USB 저장장치를 별도로 수납할 수 있는 외부 인터페이스 보조 장치(81)에 관한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모바일 기기의 케이스(181)에 제3커넥터(181-1)와 수납부(181-4)가 형성된다.
제3커넥터(181-1)는 케이스(181)에 장착되는 모바일 기기의 외부 커넥터 연결잭에 연결된다.
케이스(181)는 얼마든지 다양한 형태와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3커넥터(181-1)는 모바일 기기의 외부 커넥터 연결잭의 위치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수납부(181-4)는 USB 저장장치를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다양한 위치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8b에는 수납부(181-4)가 케이스(181)의 후면에 수용 홈의 형태로 형성된 예가 나타나 있다.
유저는 USB 저장장치(80)를 수용 홈에 장착하여 사용한다.
수납부(181-4)에는 USB 저장장치(80)가 장착되었을 때 USB 저장장치(80)의 각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USB 접속단자(181-3)가 형성되어 있으며, USB 접속단자(181-3)와 제3커넥터(181-1)는 케이스(181)에 구비된 신호선(181-2)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신호선(181-2)은 다양한 방법으로 케이스(181)에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케이스(181)의 내부에 회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81)에 모바일 기기가 장착된 상태에서 수납부(181-4)에 USB 저장장치(80)를 장착하면, 모바일 기기는 USB 저장장치(80)를 인식하게 된다.
도 9는 USB 저장장치를 별도로 수납할 수 있는 외부 인터페이스 보조 장치(91)의 또 다른 실시예를 단면도로 보인 것이다.
수납부(181-4)가 케이스(181)의 후면에 형성된 예가 나타나 있고, 수납부(181-4)에는 USB 저장장치(80)가 장착된다.
케이스(181)에 제4커넥터(181-5)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4커넥터(181-5)가 수납부(181-4)의 USB 접속단자(181-3)와 신호선(181-2)을 통해 연결된다.
제3커넥터(181-1)와 제4커넥터(181-5)의 각 대응하는 단자는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러므로, 제3커넥터(181-1)에 모바일 기기의 외부 커넥터 연결잭이 연결되면, 모바일 기기는 수납부(181-4)에 장착된 USB 저장장치(80)를 인식한다.
제3커넥터(181-1)와 제4커넥터(181-5)는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4커넥터(181-5)는 케이스(181)의 외부를 향하며, 모바일 기기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개인용 컴퓨터(PC) 등 타 장치는 제4커넥터(181-5)를 통해 USB 저장장치(80)와 연결될 수 있다.
제3커넥터(181-1)와 제4커넥터(181-5)는 반드시 같은 타입일 필요는 없으며, 서로 다른 타입일 경우 각 단자를 적절히 연결하여 서로 다른 타입의 커넥터를 연결하는 젠더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물론이다.
11, 41, 61, 81, 91: 외부 인터페이스 보조 장치
11-1: 본체부 11-2: 제1체결부
11-3: 제2체결부 11-4: 부착부
21: USB 인터페이스 장치 21-1: 제1커넥터
21-2: 제2커넥터 21-3, 80: USB 저장장치
21-4: 연결선 110: 모바일 기기
110-5: 모바일 기기의 커넥터 111, 181: 케이스
111-1, 181-1: 제3커넥터 111-2, 181-2: 신호선
130: 외장형 배터리 130-1: USB 포트
132: 부착부 133: 철판
181-3: USB 접속단자 181-4: 수납부
181-5: 제4커넥터

Claims (9)

  1. 외부 인터페이스 보조 장치; 및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 보조 장치에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한 USB 인터페이스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USB 인터페이스 장치는,
    모바일 기기의 외부 커넥터에 연결되는 제1커넥터;
    일정 형상의 제2커넥터;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를 연결하는 연결선; 및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연결선을 통해 연결되는 USB 저장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 보조장치는,
    상기 제1커넥터를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제1체결부;
    상기 제2커넥터를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제2체결부;
    상기 제1체결부와 상기 제2체결부가 형성된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를 상기 모바일 기기 또는 상기 모바일 기기의 케이스에 접착제 또는 자석을 이용하여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부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커넥터는 USB 포트에 연결되는 USB 커넥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의 외부 인터페이스 보조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체결부는 USB 포트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의 외부 인터페이스 보조 장치
  4. USB 포트가 구비되어 있는 모바일 기기의 외장형 배터리;
    상기 외장형 배터리를 모바일 기기 또는 모바일 기기의 케이스에 접착제 또는 자석을 이용하여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부착부; 및
    상기 외장형 배터리에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한 USB 인터페이스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USB 인터페이스 장치는,
    상기 모바일 기기의 외부 커넥터 연결잭에 연결되는 제1 커넥터;
    상기 외장형 배터리에 연결되는 제2 커넥터;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를 연결하는 연결선; 및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연결선을 통해 연결되는 USB 저장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USB 포트의 전원 단자로 상기 외장형 배터리의 전원이 공급되며,
    상기 제2커넥터는 상기 USB 포트에 연결되는 USB 커넥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의 외부 인터페이스 보조 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40038138A 2014-03-31 2014-03-31 모바일 기기의 외부 인터페이스 보조 장치 KR101581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8138A KR101581113B1 (ko) 2014-03-31 2014-03-31 모바일 기기의 외부 인터페이스 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8138A KR101581113B1 (ko) 2014-03-31 2014-03-31 모바일 기기의 외부 인터페이스 보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3729A KR20150113729A (ko) 2015-10-08
KR101581113B1 true KR101581113B1 (ko) 2015-12-30

Family

ID=54346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8138A KR101581113B1 (ko) 2014-03-31 2014-03-31 모바일 기기의 외부 인터페이스 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11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8616B1 (ko) * 2015-12-17 2017-04-19 정병우 모바일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기능 확장장치
WO2019017704A1 (ko) * 2017-07-19 2019-01-24 정병우 모바일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기능 확장용 어댑터
KR200497166Y1 (ko) * 2018-07-03 2023-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속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보조 전원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4856B1 (ko) 2010-10-05 2011-02-18 이호경 휴대용 입출력 케이블 유닛
KR200464283Y1 (ko) 2012-09-19 2012-12-21 최민석 휴대폰 케이스용 손가락 거치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8132A (ko) * 2011-07-12 2013-01-22 하동호 스마트폰 케이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4856B1 (ko) 2010-10-05 2011-02-18 이호경 휴대용 입출력 케이블 유닛
KR200464283Y1 (ko) 2012-09-19 2012-12-21 최민석 휴대폰 케이스용 손가락 거치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3729A (ko) 2015-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66498B (zh) 可攜帶充電轉換接頭並支持二維條形碼識別的移動電源
US20160049816A1 (en) Portable memory power bank
US9601887B2 (en) Switching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KR101668461B1 (ko) 전자기기의 인터페이스용 디바이스
KR101581113B1 (ko) 모바일 기기의 외부 인터페이스 보조 장치
WO2017028620A1 (zh) Usb/otg可切换可吸附多功能扩展器
US20130187607A1 (en) Charging device used in handheld devices
US9965664B2 (en) Mobile data collector with keyboard
US9935391B2 (en) Wire adapter assembly
CN204858128U (zh) 一种多功能数据线
US20120071086A1 (en) Electronic equipment with separable communications elements and electronic system having the same
KR20150069659A (ko) 유에스비 연결 장치
KR101516321B1 (ko) 스마트폰용 전원공급장치
CN203166240U (zh) Usb传输线
CN201185522Y (zh) 可携式电子设备的壳体及其与电子卡的配置结构
US8029304B1 (en) Portable storage device
CN105530559A (zh) 蓝牙耳机
CN205725889U (zh) 手机扩容壳
KR101435284B1 (ko) 외장 메모리를 포함하는 단말기 보조 장치
JP3201362U (ja) プラグ電気コネクタ及びケーブルアセンブリ
TWI538327B (zh) 充電轉接頭及電子裝置的充電方法
KR20140106246A (ko) 보조기억장치가 포함된 휴대단말기 충전장치
CN205051759U (zh) 热插拔外部设备及支持热插拔外部设备的移动终端
KR101578304B1 (ko) 휴대 단말용 케이스
KR100712260B1 (ko) 휴대폰과 통신 가능한 액세서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3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3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2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2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12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1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