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678Y1 - 차량용 변속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변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678Y1
KR200483678Y1 KR2020150004115U KR20150004115U KR200483678Y1 KR 200483678 Y1 KR200483678 Y1 KR 200483678Y1 KR 2020150004115 U KR2020150004115 U KR 2020150004115U KR 20150004115 U KR20150004115 U KR 20150004115U KR 200483678 Y1 KR200483678 Y1 KR 2004836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connector
knob
connector housing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41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2224U (ko
Inventor
황윤제
강석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0022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2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6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67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78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elector lever, e.g. grip parts, mounting or manufactu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F16H59/105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consisting of electrical switches or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변속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노브; 상기 노브와 결합되는 로드; 상기 노브와 로드의 결합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노브에 설치되는 제1커넥터와, 상기 로드의 선단 측에 장착되는 제2커넥터; 상기 제2커넥터를 상기 로드의 선단 측에 장착시키는 커넥터 하우징 및; 상기 로드의 내부에 삽입되는 전도성 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변속 장치{Automotive transmission}
본 고안은 차량용 변속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용 변속기에서 변속 레버를 조립할 때 조립 공정을 단순화하여 작업 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변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변속기(Transmission)는 차량의 속도에 따라 엔진의 회전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기어비를 달리하도록 한 것으로서, 운전자는 변속기의 기어비를 바꾸기 위하여 변속기에 있는 변속 레버(Shift lever)를 조작하게 된다.
변속기의 변속 모드로는 운전자가 변속단을 바꿀 수 있는 수동 변속 모드와, 운전자가 주행 모드(D)를 선택 시에 속도에 따라 자동으로 변속단이 바뀌는 자동 변속 모드가 있다.
이와 함께, 하나의 변속기에서 수동 변속과 자동 변속을 수행할 수 있는 스포츠 모드형 변속기가 사용되고 있는데, 스포츠 모드형 변속기는 원칙적으로 자동 변속을 수행하면서, 운전자가 기어의 단수를 높이거나 낮추어서 수동 변속을 수행하거나 수동 변속을 하는 변속기 옆에 자동 변속을 할 수 있는 변속기를 구비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차량용 변속기는 변속 잠금 기능이라 불리우는 시프트 락(Shift Lock)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시프트 락 기능은 급발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개발된 기능으로서, 기본적으로 변속 레버의 변속단이 "P"단 또는 "N"단인 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을 밟지 않으면 변속 레버가 다른 위치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는 1차 시프트 락 기능과, 차량이 일정 속도 이상으로 전방 주행 시에 "R"단으로 변속 레버가 이동되지 않도록 하는 2차 시프트 락 기능이 있다.
그리고, 운전자의 오동작을 가장 완벽하게 방지하기 위하여 모든 변속단에 대하여 시프트 락이 가능한 풀 시프트 락(Full Shift Lock) 기능을 구현하기도 한다.
따라서, 운전자가 변속 레버를 이용하여 변속단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시프트 락 기능을 해제하는 것이 요구되며, 일반적으로 변속 레버의 일단에 설치되어 손잡이 역할을 하는 노브(Knob)에 시프트 락 기능을 해제하기 위한 해제 버튼이 설치된다.
운전자가 노브를 움직이게 되면, 변속 레버가 일방향으로 이동되어 변속단을 선택하게 되는데, 운전자는 노브에 설치된 해제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노브를 움직이게 된다. 이때 운전자가 해제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시프트 락 기능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해제 버튼의 조작 여부에 따르는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구조가 요구된다.
이에 따라, 해제 버튼의 조작 여부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기 위하여 노브와 변속 레버의 로드를 연결할 때 노브와 로드에 각각 형성된 커넥터를 서로 연결하여 전기적 신호 전달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 경우 노브와 로드의 기구적 결합 공정과, 전기적 연결을 위한 커넥터 연결 공정이 필요하게 되는 등 그 조립 공정이 추가됨에 따라 전체적인 작업 시간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노브와 로드를 연결할 때 상호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커넥터들을 연결하는 과정에서 정전기 발생에 따라 인쇄회로기판의 손상이 발생될 우려가 있고, 특히 커넥터들의 오조립과 그에 따른 파손의 우려가 큰 문제점도 있었다.
일본공개특허 제1999-254564호 한국실용신안등록 제0462141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노브와 로드의 결합을 통한 변속 레버의 조립 공정 시에, 기구적 결합과 더불어 별도의 추가 공정 없이 노브와 로드에 각각 형성된 커넥터의 연결단자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인 변속 레버의 조립 및 분해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는 차량용 변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노브와 로드를 원 터치(One Touch) 조립에 의해 상호 기구적, 전기적 결합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역시 전체적인 변속 레버의 조립 및 분해 공정을 간소화 할 수 있는 차량용 변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노브 측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로드 측 전도성 부재를 플렉시블 타입으로 구성하고, 이 플렉시블 타입의 전도성 부재가 로드의 내부에 관통되어 삽입된 상태로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플렉시블한 전도성 부재를 보호함과 아울러 내부의 공간활용도를 향상시켜서 결국 변속 레버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변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는, 노브; 상기 노브와 결합되는 로드; 상기 노브와 로드의 결합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노브에 설치되는 제1커넥터와, 상기 로드의 선단 측에 장착되는 제2커넥터; 상기 제2커넥터를 상기 로드의 선단 측에 장착시키는 커넥터 하우징 및; 상기 로드의 내부에 삽입되는 전도성 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도성 부재는 플렉시블한 재질의 기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드는 중공부를 갖는 환봉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노브에는, 탄성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로드에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 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노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노브에는, 상기 로드가 삽입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 내측에는 가이드 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로드에는 상기 가이드 리브가 삽입되는 가이드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또 한편,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제2커넥터가 삽입되는 가이드홈과; 상기 로드에 대하여 착탈되는 체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 외면에는 돌출된 위치결정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로드의 선단에는 상기 위치 결정 돌기가 삽입되는 위치 결정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커넥터의 외면에는 상기 가이드 홈에 대응하는 가이드 레일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커넥터 하우징 상단에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노브의 기판 일측에는 가이드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부재에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 상단의 경사면과 밀착된 상태로 미끄러지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의 의하면, 노브와 로드의 결합을 통한 변속 레버의 조립 공정 시에, 기구적 결합과 더불어 별도의 추가 공정 없이 노브와 로드에 각각 형성된 커넥터의 연결단자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전체적인 변속 레버의 조립 및 분해 공정이 간소화 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노브와 로드가 원 터치 조립에 의해 상호 기구적, 전기적 결합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역시 전체적인 변속 레버의 조립 및 분해 공정이 간소화 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노브 측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로드 측 전도성 부재가 플렉시블 타입으로 구성되고, 이 플렉시블 타입의 전도성 부재가 로드의 내부에 관통되어 삽입된 상태로 위치됨으로써, 플렉시블 타입의 전도성 부재가 보호됨과 아울러 내부의 공간활용도가 향상되어 결국 변속 레버의 조립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제공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에서 노브와 로드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에 적용되는 커넥터 하우징의 사시도 및 배면 사시도.
도 3은 로드에 삽입되어 위치되는 제2커넥터와 커넥터 하우징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에 적용되는 로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로드와, 커넥터 하우징 및 제2커넥터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7은 노브와 로드가 결합된 상태에서 탄성부재에 의해 상호 상하 결속이 유지되는 구성을 나타낸 횡 단면도.
도 8은 노브와 로드가 결합된 상태에서 탄성부재에 의해 상호 상하 결속이 유지되는 구성을 나타낸 종 단면도.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를 첨부된 예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에서 노브와 로드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100)는, 운전자가 변속 레버(100)를 움직일 수 있도록 손잡이 역할을 하는 노브(200)와, 이 노브(200)와 기구적 및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로드(4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가 노브(200)를 한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움직이면, 로드(400)가 일방향으로 연동되어 운전자가 원하는 변속단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노브(200)에는 변속 레버(100)의 이동을 차단하는 시프트 록 기능을 해제할 수 있는 해제 버튼(미도시됨)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해제 버튼은 운전자가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시프트 록 기능에 의해 변속 레버(100)가 이동되는 것이 차단되고, 운전자가 누른 상태에서는 시프트 록 기능이 해제되어 변속 레버(100)가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해제 버튼은 모든 변속단에 사용될 수도 있고, 일부 변속단에 대해서만 사용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시프트 록 기능의 해제를 위하여 노브(200)에 해제 버튼이 형성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술한 다양한 변속 모드들을 지원하는 경우에는 변속 모드의 변경을 위한 버튼 등과 같이 용도 및 필요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버튼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해제 버튼은 운전자가 의도하지 않은 변속단 선택이 이루어지는 것을 사전에 방지함으로써 변속 레버(100)의 오조작으로 인한 차량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이나 급발진 사고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변속 레버(100)는 노브(200)와 로드(400) 사이에 해제 버튼의 조작 여부에 따른 신호를 전달하기 위하여 전기적인 연결 구조가 요구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변속 레버(100)는 노브(200) 및 로드(400)의 결합 시에, 별도의 조립 공정 없이 전기적 신호 전달이 가능하도록 노브(200) 및 로드(400)의 일측에 형성되어 노브(200)와 로드(400) 결합 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커넥터(204,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복수의 커넥터를 각각 제1커넥터(204) 및 제2커넥터(300)라 칭하기로 하며, 제1커넥터(204)는 노브(200)에 형성되고, 제2커넥터(300)는 로드(400)에 형성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제1커넥터(204)는 노브(200) 일 측에 형성되고, 제2커넥터(300)는 로드(400)에 형성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며, 별도로 구성되어 노브(200) 및 로드(400)에 각각 결합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제1커넥터(204) 및 제2커넥터(300)가 해제 버튼의 조작 신호를 전달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노브(200)에 형성되는 버튼의 종류에 따라 해당하는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노브(200)의 안쪽에는 해제 버튼의 누름 작용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인쇄회로기판(202)이 마련되고, 이 인쇄회로기판(202)의 일 측에는 제1커넥터(204)가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커넥터(204)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 핀이 마련될 수 있고, 이 제1커넥터(204)의 일 측에는 로드(400) 측 제2커넥터(300)와 결합 시 원활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재(206)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부재(206)의 하면 측에는 경사면(208)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대해서는 후에 상술하기로 한다.
또한, 노브(200)에는 로드(400) 측 제2커넥터(300)와 더불어 로드(400)의 선단 일부가 삽입되어 수용되기 위한 수용홈(230)이 형성되고, 이 수용홈(230)을 이루는 내측 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리브(210)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리브(210)는,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수용홈(230) 안쪽으로 일정 두께만큼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노브(200)의 수용홈(230)에는 수평방향을 유지하며 일정 크기의 탄성을 갖는 탄성부재(220)가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220)는 대략 ?ㄷ?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어느 일 단은 노브(200)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단(222)을 이루고, 타 단은 노브(200)의 수용홈(230)에 위치되어 탄성을 발휘하는 결합단(224)을 이룰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100)에 적용되는 커넥터 하우징의 사시도 및 배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로드에 삽입되어 위치되는 제2커넥터와 커넥터 하우징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커넥터(300)는 로드(400)의 선단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일정 길이를 갖는 플렉시블 타입(Flexible type)의 전도성 부재(310)와 연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전도성 부재(310)는 전도성을 갖는 얇은 박막의 금속재로 이루어진 기판일 수 있고, 전선 등의 와이어일 수도 있으며, 이러한 전도성 부재(310)의 일단이 제2커넥터(300)의 일면에 대하여 납땜(Soldering)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전도성 부재에서 제2커넥터(300)와 고정되는 일단의 타단에는 제2커넥터(300)와 전도성 부재(310)를 통해 전달되는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 또는 계기판 등으로 전달하도록 하는 제3커넥터(320)가 마련될 수 있다.
참고로, 본 고안의 실시 예를 뒷받침하는 도면에서 전도성 부재(310)의 타단 측이 여러 단으로 절곡된 형태인 것을 일 예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형태일 뿐이며, 직선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2커넥터(300)는 로드(400)의 선단에 직접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으나, 도 2a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커넥터 하우징(500)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커넥터 하우징(500)은 제2커넥터(300)가 슬라이드식으로 착탈 되는 몸체와, 이 몸체의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로드(400)에 대하여 착탈 되는 체결구(5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몸체는 일정 크기의 인입 공간부(516)를 형성하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제1측벽부(510)와, 이 제1측벽부(510)로부터 하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인입 공간부(516)와 연통되는 인입홈(522)이 형성되도록 역시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제2측벽부(520)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제1측벽부(510) 사이에 형성되는 인입 공간부(516)에는 제2커넥터(300)가 슬라이드식으로 끼워져 위치하게 되고, 제2측벽부(520) 사이에 형성되는 인입홈(522)에는 제2커넥터(300)와 연결되는 플렉시블 타입의 전도성 부재(310)가 슬라이드식으로 끼워져 위치하게 될 수 있다.
제1측벽부(510) 사이의 인입 공간부(516)는 상면 및 하면이 개방되고, 그 둘레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 면이 개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1측벽부(510)는 인입 공간부(516)를 사이에 두고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지지부(510a)와, 제2지지부(510b)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지지부(510a)와 제2지지부(510b)는 인입 공간부(516)를 사이에 두고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형성됨에 따라 소정의 탄성을 갖게 되며, 이에 따라 제2커넥터(300)와 설계공차를 갖더라도 제2커넥터(300)가 인입 공간부(516)에 삽입되어 장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2측벽부(520) 사이의 인입홈(522)는 인입 공간부(516)와 연통되도록 상면이 개방되고, 그 둘레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 면이 개방되며, 플렉시블 타입의 전도성 부재(310)가 통과되도록 하면이 개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몸체를 이루는 제1측벽부(510)와 제2측벽부(520)는 일체형을 이루기 위하여 제1측벽부(510)의 전면 또는 후면 중, 어느 하나의 면이 개방되지 않고 서로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제2측벽부(520)의 전면 또는 후면 중 어느 하나의 면이 개방되지 않고 서로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인입 공간부(516)를 형성하는 제1측벽부(510)의 경우 상면과 전면 및 후면이 모두 개방되어 서로 연결되지 않은 구조인 것을 일 예로 도시하고 있고, 제2측벽부(520)의 경우 상면과 전면 및 하면이 개방되고 후면이 서로 연결된 구조(도 2b 참조)인 것을 일 예로 도시하고 있으나, 제1측벽부(510)와 제2측벽부(520)들 중, 어느 하나의 측벽부가 서로 연결되어 일체형을 이루는 것이라면 어떠한 연결 구조라도 무방하다.
또한, 몸체의 제2측벽부(520)는 로드(400)의 중공부(402)에 삽입이 이루어지는 구조로 형성되고, 제1측벽부(510)은 로드(400)의 중공부(402)에 삽입되지 않고 로드(400)의 선단에 노출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체결구(530)는 제2측벽부(520)의 하면으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양쪽에 나란하게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끝단에는 서로 대향되도록 외향으로 연장 형성된 결합돌기(532)가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체결구(530)는 일정한 자체탄성을 갖기 위하여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된 것이 적용될 수 있다.
인입 공간부(516)를 형성하는 제1측벽부(510)의 내면에는 서로 나란하게 일정 깊이만큼 안쪽으로 패인 가이드 홈(512)이 수평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2커넥터(300)의 양 측면에는 인입 공간부(516)의 가이드 홈(512)에 대응하도록 바깥쪽 방향으로 돌출된 가이드 레일(30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의 제1측벽부(510) 상부 쪽에는 경사면(514)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사면(514)은 상기 노브(200)의 가이드부재(206)에 형성된 경사면(208)과 밀착된 상태를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노브(200)의 가이드부재(206)는, 그 경사면(208)이 제1측벽부(510)의 경사면(514)을 따라 슬라이드가 이루어짐으로써, 노브(200) 측 제1커넥터(204)와 로드(400) 측 제2커넥터(300)가 수직방향으로 커넥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안내 하는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몸체의 제2측벽부(520)의 외면에는 커넥터 하우징(500)이 로드(400)의 선단에 대하여 정방향으로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안내 하기 위한 위치 결정 돌기(524)가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에 적용되는 로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400)는 내부에 빈 중공부(402)를 갖는 환봉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선단에는 커넥터 하우징(500) 및 노브(200)와 각각 결합되기 위한 구조들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드(400)의 선단쪽 둘레 면에는 양쪽으로 서로 대향되게 가이드 슬릿(404)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 슬릿(404)과 직각을 이루는 둘레 면에는 양쪽으로 서로 대향되게 위치 결정 홈(406)이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본 고안의 실시 예를 뒷받침 하는 도면에서 가이드 슬릿(404) 및 위치 결정 홈(406)이 서로 대향되게 양쪽으로 형성되어 한 쌍을 이루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하나씩만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가이드 슬릿(404)은 노브(200)의 가이드 리브(210)와 대응되게 형성되고, 위치 결정 홈(406)은 커넥터 하우징(500)의 위치 결정 돌기(524)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로드(400)의 둘레 면 일측에는 노브(200)의 수용홈(230)에 설치된 탄성부재(220)가 탄성적으로 인입되어 위치되기 위한 일정 깊이의 노치 홈(410)이 형성될 수 있고, 커넥터 하우징(500)에서 체결구(530)의 결합돌기(532)가 탄성적으로 인입되어 위치되는 결합공(40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차량용 변속 레버(100)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단에 제3커넥터(320)가 설치된 플렉시블 타입의 전도성 부재(310)를 마련하여 그 일단을 제2커넥터(300)와 고정 결합시키고, 제2커넥터(300)를 커넥터 하우징(500)과 결합시킨다.
즉, 제2커넥터(300)는 커넥터 하우징(500)의 인입 공간부(516)를 향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키면서 삽입시킨다. 이때, 플렉시블 타입 전도성 부재(310)의 선단은 커넥터 하우징(500)의 인입홈(522)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면서 동시에 삽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인입 공간부(516)를 형성하는 제1측벽부(510)의 양쪽 내면에는 가이드 홈(512)이 형성되고, 제2커넥터(300)의 양쪽 외면에는 가이드 홈(512)에 대응하는 가이드 레일(30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2커넥터(300)의 가이드 레일(302)이 제1측벽부(510)의 가이드 홈(512)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면서 삽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제2커넥터(300)가 인입 공간부(516)에 위치하고, 플렉시블 타입 전도성 부재(310)의 선단 일부가 인입홈(522)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2커넥터(300)는 가이드 레일(302)이 제2측벽부(520)의 가이드 홈(512)에 의해 단속됨으로써, 제2커넥터(300)는 수직방향 즉, Z축 방향으로의 유동이 제한되게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500)에 대하여 제2커넥터(300) 및 플렉시블 기판(310)을 조립한 후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500)을 로드(400)에 대하여 결합시키는 조립 공정을 수행한다.
즉, 플렉시블 타입 전도성 부재(310)의 타단을 로드(400)의 선단 쪽으로부터 삽입시켜 중공부(402)를 통과시킴으로써, 플렉시블 타입 전도성 부재(310)의 후단은 로드(400)의 타단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따라서, 플렉시블 타입 전도성 부재(310)는 타단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대부분의 부위가 로드(400)의 중공부(402) 내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플렉시블 타입 전도성 부재(310)가 다른 부품들과 마찰에 따른 간섭이 발생되지 않아 보호될 수 있고, 또한 그로 인해 변속 레버(100)에서 플렉시블 타입 전도성 부재(310)가 위치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공간의 효율성이 향상되어 결국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플렉시블 타입 전도성 부재(3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도성을 가지고 일정 범위 내에서 자유 변형이 가능한 플렉시블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그 타단이 비록 여러 단으로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지더라도 로드(400)의 중공부(402)를 통과하는데 별 다른 지장을 받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500)에 제2커넥터(300)가 조립되고 플렉시블 타입 전도성 부재(310)가 로드(400)의 중공부(402)를 통과한 상태에서, 커넥터 하우징(500)을 로드(400)의 선단에 대하여 결합시키면 된다.
커넥터 하우징(500)을 로드(400)의 선단에 대하여 결합시키는 조립 공정은, 커넥터 하우징(500)의 체결구(530)를 로드(400)의 선단 측으로부터 중공부(402) 안쪽으로 밀어 넣음으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체결구(530)를 로드(400)의 중공부(402) 안쪽으로 밀어 넣는 경우, 체결구(530)는 자체 탄성에 의해 수축된 상태로 밀려 들어가게 된다.
이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500)의 체결구(530)를 로드(400)의 선단 측으로부터 중공부(402) 안쪽으로 밀어 넣음에 따라 체결구(530)의 끝단에 연장 형성된 결합돌기(532)들은 로드(400)의 내면을 타고 미끄러지면서 안쪽으로 밀려 들어가게 되고, 계속해서 밀려 들어가다가 결합돌기(532)가 로드(400)의 결합공(408)에 다다르게 되면 체결구(530)가 자체 탄성에 의해 벌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결합돌기(532)가 로드(400)의 결합공(408) 안쪽으로 인입되어 걸림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커넥터 하우징(500)은 로드(400)에 대하여 큰 외력을 가하지 않는 한 더 이상안쪽으로 밀려 들어가지 않고 또한 위쪽으로 들어 올려지지 않게 됨으로써, 상호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커넥터 하우징(500)의 몸체에서 제2측벽부(520)의 외측으로는 위치 결정 돌기(524)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위치 결정 돌기(524)가 로드(400)의 위치 결정 홈(406)과 동일 수직 선상에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커넥터 하우징(500)을 로드(400)의 중공부(402)에 삽입하도록 한다.
예컨대, 커넥터 하우징(500)에서 체결구(530)가 한 쌍으로 마련되어 모두 2개가 구비되고, 로드(400)의 결합공(408) 또한 체결구(530)의 결합돌기(532)와 대응되도록 2개가 구비됨으로써, 체결구(530)의 결합돌기(532)와 로드(400)의 결합공(408)이 동일 선상에 위치되지 않을 경우, 그 조립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의 경우, 작업자가 커넥터 하우징(500)의 체결구(530)를 로드(400)의 중공부(402)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좌우로 돌리거나 위아래로 움직이면서 체결구(530)의 결합돌기(532)를 로드(400)의 결합공(408)에 맞추어야 함으로써, 그 작업이 번거로울 수도 있게 된다.
그러나,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커넥터 하우징(500)에 형성되는 위치 결정 돌기(524)와, 로드(400)의 선단 둘레에 형성되는 위치 결정 홈(406)에 의해 상기와 같은 번거로움 없이 한 번에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커넥터 하우징(500)의 위치 결정 돌기(524)와, 로드(400)의 위치 결정 홈(406)을 동일 수직 선상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커넥터 하우징(500)의 체결구(530)를 로드(400)의 중공부(402) 안쪽으로 밀어 넣게 되면, 커넥터 하우징(500)의 위치 결정 돌기(524)가 로드(400)의 위치 결정 홈(406)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체결구(530)의 결합돌기(532) 또한 로드(400)의 결합공(408)과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상호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커넥터 하우징(500)의 위치 결정 돌기(524)와, 로드(400)의 위치 결정 홈(406)이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 하지 않게 되면, 위치 결정 돌기(524)의 간섭으로 인하여 커넥터 하우징(500)의 제2측벽부(520) 및 체결구(530)가 로드(400)의 중공부(402) 안쪽으로 밀려 들어가지 않게 됨으로써, 오조립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플렉시블 타입 전도성 부재(310)가 결합된 제2커넥터(300)를 커넥터 하우징(500)에 조립하고, 커넥터 하우징(500)을 로드(400)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로드(400)는 베이스 플레이트(미도시됨)에 장착 고정시킨다.
이때, 로드(400)의 중공부(402)에 내재되는 플렉시블 타입 전도성 부재(310)에서, 그 타단에 설치되는 제3커넥터(320)는 다른 커넥터와 연결하여 플렉시블 타입 전도성 부재(310)를 통해 전달되는 전기적 신호가 제어부 또는 계기판 등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로드(400)가 베이스 기판에 조립이 완성된 상태에서, 로드(400)의 선단 즉, 커넥터 하우징(500)에 의해 감싸지도록 설치된 제2커넥터(300)에는 노브(200)에 설치된 제1커넥터(204)가 연결되도록 노브(200)를 결합시키면 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브(200)의 가이드 리브(210)를 로드(400)의 가이드 슬릿(404)과 동일 수직 선상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노브(200)의 수용홈(230)에 로드(400)의 선단 일부가 인입되도록 아래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노브(200)에 설치된 탄성부재(220)의 결합단(224)이 자체 탄성에 의해 확장된 상태로 로드(400)의 외면을 타고 미끄러지게 되고, 탄성부재(220)가 계속해서 미끄러지면서 그 결합단(224)이 로드(400)의 노치 홈(410)에 다다르게 되면 자체 탄성에 의해 결합단(224)이 오므려지면서 로드(400)의 노치 홈(410)에 인입된 상태를 이루면서 원 터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노브(200)는 로드(400)에 대하여 상하 이동 즉, Z축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고정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와 동시에, 노브(200)의 기판에 형성된 제1커넥터(204)는 커넥터 하우징(500)에 의해 결합된 제2커넥터(300)와 연결됨으로써, 노브(200)의 인쇄회로기판(202)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는 제1커넥터(204)와 제2커넥터(300) 및 플렉시블 타입 전도성 부재(310)를 통해 제3커넥터(320)로 전달될 수 있고, 제3커넥터(320)는 다른 연결 단자 등과의 연결에 의해 제어부 또는 계기판 등으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노브(200)의 인쇄회로기판(202)에 설치된 제1커넥터(204)와 커넥터 하우징(500)에 의해 로드(400)의 선단에 설치된 제2커넥터(300)는, 노브(200)의 제1커넥터(204) 일측에 설치된 가이드부재(206)에 의해 동일 수직선상을 이루도록 안내되어 그 커넥팅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즉, 노브(200)의 제1커넥터(204) 일측에 설치된 가이드부재(206)의 경사면(208)이, 커넥터 하우징(500)의 제1측벽부(510)에 형성된 경사면(514)을 타고 미끄러지면서 제1커넥터(204)가 제2커넥터(300)와 동일 수직 선상에 위치되도록 안내함으로써, 제1커텍터와 제2커넥터(300)는 별다른 위치 조정 없이 동일 수직 선상에 위치되어 보다 용이하게 연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노브(200)의 수용홈(230)을 이루는 내측 둘레 면에는 가이드 리브(210)가 형성되고, 로드(400)의 선단 측 둘레 면에는 가이드 리브(210)에 대응되는 가이드 슬릿(404)이 형성되어 있는바, 가이드 리브(210)와 가이드 슬릿(404)의 맞춤에 따라 노브(200)가 로드(400)에 대하여 동일 수직 선상을 이룬 상태에서 하향 이동되어 조립이 이루어지기도 함으로써, 제1커넥터(204)와 제2커넥터(300)의 연결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기도 한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변속 레버 200 : 노브
204 : 제1커넥터 206 : 가이드부재
208 : 경사면 210 : 가이드 리브
220 : 탄성부재 224 : 체결단
230 : 수용홈 300 : 제2커넥터
302 : 가이드 레일 310 : 플렉시블 타입 전도성 부재
400 : 로드 402 : 중공부
404 : 가이드 슬릿 406 : 위치 결정 홈
408 : 결합공 410 : 노치 홈
500 : 커넥터 하우징 510 : 제1측벽부
512 : 가이드 홈 514 : 경사면
516 : 인입 공간부 520 : 제2측벽부
522 : 인입홈 530 : 체결구
532 : 결합돌기

Claims (10)

  1. 노브; 상기 노브와 결합되는 로드; 상기 노브와 로드의 결합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노브에 설치되는 제1커넥터와, 상기 로드의 선단 측에 장착되는 제2커넥터; 상기 제2커넥터를 상기 로드의 선단 측에 장착시키는 커넥터 하우징 및; 상기 로드의 내부에 삽입되는 전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제2커넥터가 삽입되기 위한 인입 공간부를 사이에 두고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탄성을 갖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2커넥터의 일면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커넥터의 타면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로 구성되는 제1측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인입 공간부로 삽입될 때,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와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차량용 변속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부재는 플렉시블한 재질의 기판인 차량용 변속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중공부를 갖는 환봉 형태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변속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에는,
    탄성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로드에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 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노치 홈이 형성된 차량용 변속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에는,
    상기 로드가 삽입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 내측에는 가이드 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로드에는 상기 가이드 리브가 삽입되는 가이드 슬릿이 형성된 차량용 변속 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제2커넥터가 삽입되는 가이드홈과;
    상기 로드에 대하여 착탈되는 체결구를 포함하는 차량용 변속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 외면에는 돌출된 위치결정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로드의 선단에는 상기 위치 결정 돌기가 삽입되는 위치 결정 홈이 형성된 차량용 변속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넥터의 외면에는 상기 가이드 홈에 대응하는 가이드 레일이 형성된 차량용 변속 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 상단에는 경사면이 형성된 차량용 변속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의 기판 일측에는 가이드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부재에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 상단의 경사면과 밀착된 상태로 미끄러지는 경사면이 형성된 차량용 변속 장치.
KR2020150004115U 2014-12-18 2015-06-22 차량용 변속 장치 KR20048367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575,605 2014-12-18
US14/575,605 US9726275B2 (en) 2014-12-18 2014-12-18 Shift lever of automotive transmiss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224U KR20160002224U (ko) 2016-06-28
KR200483678Y1 true KR200483678Y1 (ko) 2017-06-12

Family

ID=54524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4115U KR200483678Y1 (ko) 2014-12-18 2015-06-22 차량용 변속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726275B2 (ko)
KR (1) KR200483678Y1 (ko)
CN (1) CN204784646U (ko)
DE (1) DE1020152008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212774A1 (de) * 2014-07-02 2016-01-07 Zf Friedrichshafen Ag Gangwahlschalthebelvorrichtung und Gangwahlschalthebelanordnung für ein Fahrzeug sowie Verfahren zum Befestigen einer Gangwahlschalthebelvorrichtung
USD820747S1 (en) * 2016-10-27 2018-06-19 Universite Paris-Sud Shaft with a control lever for a self-balancing personal transporter
KR200493788Y1 (ko) * 2016-12-29 2021-06-04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변속 장치
CN107989990B (zh) * 2017-11-24 2020-02-07 浙江方向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换挡手柄及其组装方法
KR102032991B1 (ko) * 2018-04-05 2019-10-16 동서콘트롤(주) 차량용 레버
KR102554940B1 (ko) * 2018-04-12 2023-07-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변속레버의 도난방지 장치
US10982754B2 (en) * 2018-04-23 2021-04-20 Ficosa International (Taicang) Co. Ltd. Vehicle gear shift module
JP7476455B2 (ja) * 2018-11-09 2024-05-01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シフト装置
CN110274012A (zh) * 2019-06-28 2019-09-24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电子换挡器
CN110553029B (zh) * 2019-08-21 2021-10-08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电子换挡器及电动车
CN110905999A (zh) * 2019-12-20 2020-03-24 张永祥 一种球头与换挡机构连接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07721A1 (fr) 1993-07-16 1995-01-20 Bourbon Automobile Sa Levier de boîte de vitesse pour véhicule automobile, équipé d'au moins un dispositif électrique.
KR100628626B1 (ko) * 2005-09-22 2006-09-26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수동모드 겸용 자동변속 레버의 노브 결합구조
KR101384534B1 (ko) * 2013-05-07 2014-04-11 에스엘 주식회사 기어노브의 장착구조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61407B2 (ja) 1998-03-13 2004-09-02 昭和飛行機工業株式会社 カーボンハニカム構造体の製造法
JP3916885B2 (ja) 2001-06-01 2007-05-23 富士機工株式会社 シフトノブ装着構造
JP3843785B2 (ja) 2001-08-28 2006-11-08 日本電気株式会社 指紋認証装置
US20100013621A1 (en) * 2008-07-15 2010-01-21 Kazyaka Thomas V Illuminated Gear Selection Indicator
JP4924740B2 (ja) 2010-05-31 2012-04-2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シフトレバー装置のコネクタ構造
JP5385866B2 (ja) * 2010-06-30 2014-01-08 富士機工株式会社 車両用シフトレバー装置のシフトノブ装着構造
KR101339157B1 (ko) * 2012-05-11 2013-12-09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변속기의 변속 레버
KR101382291B1 (ko) 2012-09-12 2014-04-08 현대자동차(주) 변속조작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07721A1 (fr) 1993-07-16 1995-01-20 Bourbon Automobile Sa Levier de boîte de vitesse pour véhicule automobile, équipé d'au moins un dispositif électrique.
KR100628626B1 (ko) * 2005-09-22 2006-09-26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수동모드 겸용 자동변속 레버의 노브 결합구조
KR101384534B1 (ko) * 2013-05-07 2014-04-11 에스엘 주식회사 기어노브의 장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726275B2 (en) 2017-08-08
US20160178051A1 (en) 2016-06-23
DE102015200819A1 (de) 2016-06-23
KR20160002224U (ko) 2016-06-28
CN204784646U (zh) 2015-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3678Y1 (ko) 차량용 변속 장치
KR101730893B1 (ko) 차량용 변속 레버
US9032829B2 (en) Button structure of shift knob
US20170114892A1 (en) Shift lever device
JP6267494B2 (ja) シフトレバー装置
JP4832317B2 (ja) 複合操作型入力装置
JP2010073642A (ja) 複合操作型入力装置
JPH06185610A (ja) 自動変速機用シフトロック装置
JP4575849B2 (ja) シフトスイッチ
JPH07317890A (ja) シフトロックユニット
EP1909158B1 (en) Actuating element
JP3902436B2 (ja) 車載用ステアリングスイッチ
JP4969343B2 (ja) 車両用変速操作装置
JP2009218064A (ja) スライド操作型電気部品
US20060032723A1 (en) BTSI with lead frame switch
KR100422520B1 (ko) 원터치 식으로 결합되는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인디케이터어셈블리
KR102043986B1 (ko) 핫멜트 고정용 커넥터
KR200460898Y1 (ko) 윈도우 록 스위치 유니트
KR101126484B1 (ko) 스위치 장치
KR20100134239A (ko) 스위치 장치
KR200465487Y1 (ko) 푸시 스위치 유니트
JP2003197067A (ja) スライド型電気部品
JP2009259660A (ja) スイッチユニット
JP4115251B2 (ja) 車載用ステアリングスイッチ
KR200156871Y1 (ko) 전자제품의 스위치조작노브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