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805Y1 - 대용량 조리용 솥 - Google Patents

대용량 조리용 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805Y1
KR200480805Y1 KR2020150007287U KR20150007287U KR200480805Y1 KR 200480805 Y1 KR200480805 Y1 KR 200480805Y1 KR 2020150007287 U KR2020150007287 U KR 2020150007287U KR 20150007287 U KR20150007287 U KR 20150007287U KR 200480805 Y1 KR200480805 Y1 KR 2004808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
cooking
heat
cooking cavity
partition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72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남수
Original Assignee
이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순우 filed Critical 이순우
Priority to KR20201500072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8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8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80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56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titanium or zirconi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열을 전달받아 음식을 조리하는 대용량 조리용 솥에 있어서, 상기 대용량 조리용 솥에 에너지를 전달하는 에너지공급부, 상기 에너지공급부와 연결되어 전달받은 에너지를 변환하여 불꽃으로 발화시킴으로써 상기 대용량 조리용 솥에 직접적으로 열을 가하는 발화부, 음식이 담겨져 조리되며, 상기 발화부가 위치하는 일부에만 가해지는 열을 전체에 균일하게 전달하는 열전도성이 우수한 솥, 상기 솥이 거치되는 조리지지부, 상기 솥과 상기 조리지지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조리지지부와 상기 솥 사이를 단열하여 구획을 나눔으로써 상기 조리지지부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열격벽부 및 상기 조리지지부로부터 일측으로 이격설치되어, 상기 에너지공급부와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대용량 조리용 솥에 관한 것으로, 일부에서만 가열이 이루어져도 단시간 내에 솥에 온도가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으로 이루어진 열전도성이 우수한 솥을 포함하는 대용량 조리용 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대용량 조리용 솥 {Cooking pot of high capacity}
본 고안은 대용량 조리용 솥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열전도성이 우수한 솥을 포함함으로써 일부에만 가해지는 열을 단시간 내에 솥 전체에 균일하게 전달하여 조리시간이 단축되고, 발화부가 직하에 위치하는 부분의 음식물이 타는 것을 방지하는 대용량 조리용 솥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대용량 조리용 솥은 발화부가 솥의 아래에 있을 경우, 솥의 하부에만 열이 가해지면서 음식물을 조리하는 시간이 길어지고, 열이 가장 늦게 전달되는 솥의 윗부분의 음식물은 설익고 열이 가장 먼저 전달되는 솥의 아랫부분은 타서 솥에 눌어붙어버리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음식물이 닿지 않는 솥의 틀 둘레에도 열이 가해짐으로써 과열되어 틀 둘레가 타버리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용량 조리용 솥과 관련한 종래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35425호(2015.07.03. 등록, 눌음방지 및 작업 효율을 높인 회전식 솥)를 예로 들 수 있다.
해당 특허문헌에서는, "솥 본체의 내면을 긁어내어 음식물의 눌음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눌음방지부가 솥 본체의 바닥벽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종래에 눌음방지부가 덮개에 설치되어 조리 작업을 번거롭게 하며, 사고위험이 높은 문제점을 획기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회전식솥"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해당 특허문헌 등 종래의 대용량 조리용 솥은 솥 내에 누름이 발생하는 근본적인 원인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하지 못하였으며, 추가적인 구성에 의해 제조 시간이 길어지고, 구성품에 대한 비용 낭비 및 구조가 복잡함에 의한 이물질 세척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35425호(2015.07.03. 등록), 눌음방지 및 작업 효율을 높인 회전식 솥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일부에서만 가열이 이루어져도 단시간 내에 솥에 온도가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으로 이루어진 열전도성이 우수한 솥을 포함하는 대용량 조리용 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조리지지부의 가장자리 둘레를 열차단 코팅부로 코팅하여 열 전달이 불필요한 솥의 가장자리 부분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고, 온도 센서를 구성하여 튀김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대용량 조리용 솥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추가로, 본 고안은 제어부를 시간 설정에 따라 주입되는 단위시간당 열량을 자동으로 변경하도록 하여 음식이 과하게 조리되어 타거나 짜지는 것을 막을 수 있으며, 중간 중간 주입되는 열량을 낮춰 에너지가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는 대용량 조리용 솥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열을 전달받아 음식을 조리하는 대용량 조리용 솥에 있어서, 상기 대용량 조리용 솥에 에너지를 전달하는 에너지공급부, 상기 에너지공급부와 연결되어 전달받은 에너지를 변환하여 불꽃으로 발화시킴으로써 상기 대용량 조리용 솥에 직접적으로 열을 가하는 발화부, 음식이 담겨져 조리되며, 상기 발화부가 위치하는 일부에만 가해지는 열을 전체에 균일하게 전달하는 열전도성이 우수한 솥, 상기 솥이 거치되는 조리지지부, 상기 솥과 상기 조리지지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조리지지부와 상기 솥 사이를 단열하여 구획을 나눔으로써 상기 조리지지부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열격벽부 및 상기 조리지지부로부터 일측으로 이격설치되어, 상기 에너지공급부와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솥은, Cr 20~25 중량%, Ni 0.1~0.3 중량%, CN 0.1~1 중량%, Ti 0.1~0.5 중량%, Mn 0.1~0.5 중량%, Al 0.01~0.05 중량%, Si 0.1~0.3 중량%, P 0.01~0.03 중량%, C 0.001~0.1 중량%,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원소를 포함하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리지지부는, 상기 조리지지부의 내벽 가장자리 둘레에 위치하여, 상기 솥으로 가해지는 열이 상기 솥의 가장자리까지 전달되는 것을 막아 상기 솥의 가장자리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는 열차단 코팅부, 상기 조리지지부의 상기 열차단 코팅부 아래 통공형성되어, 상기 단열격벽부와 상기 조리지지부 사이에 형성되는 자연배기유로의 공기가 자연배기되는 아우터관통홀 및 상기 조리지지부 바닥 중심 통공의 둘레를 감싸 아래로 연장형성된 아우터격벽을 포함하며, 상기 단열격벽부는, 상기 조리지지부에 거치되었을 때, 상기 아우터관통홀과 접하는 부분에 통공 형성하여 상기 솥 내의 폐열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인너관통홀, 상기 단열격벽부 바닥 중심 통공의 둘레를 감싸 아래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아우터격벽내에 삽입되며, 상기 발화부가 위치하는 인너격벽 및 상기 단열격벽부의 가장자리 둘레에 위치하여, 상기 솥 내의 폐열을 상기 인너관통홀로 유도하는 유도턱을 포함한다.
이때, 일측이 상기 아우터관통홀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조리지지부 외부에 위치하여 상기 자연배기유로의 공기가 상기 조리지지부 외부로 자연배기되는 자연배출가이드 및 일측이 상기 인너관통홀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조리지지부 외부에 위치하여 상기 단열격벽부와 상기 솥 사이에 형성되는 직접가열유로의 폐열이 상기 조리지지부 외부로 배출되는 직접배출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아우터관통홀은 상기 인너관통홀보다 통공이 크게 형성되어, 상기 직접배출가이드가 상기 자연배출가이드에 삽입되어 위치함으로써 상기 직접배출가이드의 폐열 배출에 의해 상기 자연배출가이드의 공기 배기가 이루어져 상기 조리지지부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너지공급부를 통해 발화부에 단위시간당 제 1 열량을 상기 발화부에 에너지가 불꽃으로 변환되어 발화했을 때부터 상기 솥 내 음식물이 끓기 시작하는 제 1 설정시간까지 공급하는 제 1 단계, 상기 솥 내 음식물이 완전히 익는 제 2 설정시간까지 상기 단위시간당 제 1 열량보다 낮은 단위시간당 제 2 열량을 공급하는 제 2 단계, 상기 솥 내 음식물의 보온을 실시하기 위해 제 3 설정시간까지 상기 단위시간당 제 2 열량보다 낮은 단위시간당 제 3 열량을 공급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 2 단계에서 단위시간당 제 2 열량이 공급된 시간과 동일한 시간 간격으로 단위시간당 상기 제 2 열량을 공급하여 상기 솥 내 음식물을 끓는 상태로 유지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제어부를 통해 상기 에너지공급부의 상기 발화부로의 에너지 공급을 차단할 때까지 상기 제 3 단계와 상기 제 4 단계를 반복한다.
추가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부의 상면에 위치하여 구부러지는 연성부와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부를 포함하여, 상기 솥 내에 튀김작업을 위한 기름이 부어졌을 경우 기름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성부를 구부려 상기 센서부가 상기 솥 내의 기름에 담궈지면, 상기 온도 센서가 상기 제어부로 온도 정보를 전달하여, 상기 제어부에 설정된 온도보다 상기 솥 내의 기름 온도가 높을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에너지공급부를 통해 상기 발화부의 온도를 낮추며, 상기 제어부에 설정된 온도보다 상기 솥 내의 기름 온도가 낮을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에너지공급부를 통해 상기 발화부의 온도를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대용량 조리용 솥에 의하면,
첫째, 종래 주방용구 내지는 주방도구에 사용되던 스테인레스강의 열전도율이 100℃, 10 내지 16W/m·℃이었던 것에 비해 열전도율이 100℃, 20W/m·℃ 이상인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으로 형성된 솥을 포함하여, 일부에만 가열을 하여도 솥 전체가 고르게 열을 전달받음으로써 조리시간이 단축되고 가열되는 부분의 음식물이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조리지지부의 가장자리 둘레를 열차단 코팅부로 코팅하여 열이 불필요한 부분인 솥의 가장자리까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음식물이 닿지 않는 솥의 가장자리부분이 과열되어 타버리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셋째, 시간 설정에 따라 주입되는 단위시간당 열량을 자동으로 변경하도록 하여 음식이 과하게 조리되어 타거나 짜지는 것을 막을 수 있으며, 중간 중간 열량주입을 낮춰 에너지가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온도 센서 구부려지는 정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할 때와 아닐 때를 구분하여 센서부의 위치를 쉽게 바꿀 수 있으며, 센서부를 통한 온도측정에 의해 제어부에서 자동으로 솥의 온도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섯째, 단열격벽부가 솥과 조리지지부 사이를 단열하여 구획을 나눔으로써 조리지지부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섯째, 유도턱과 열차단 코팅부에 의해 솥의 가장자리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여 끓어넘침 현상이 방지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대용량 조리용 솥의 조리지지부에 단열격벽부를 거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A'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대용량 조리용 솥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에에 따른 에너지공급부의 제어부 설정에 따른 자동 에너지 공급량 조절기능의 작동 예시를 그래프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열을 전달받아 음식을 조리하는 대용량 조리용 솥은 에너지공급부(410), 발화부(420), 솥(300), 조리지지부(100), 단열격벽부(20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음식이 담겨져 조리되며, 발화부(420)가 위치하는 일부에만 가해지는 열을 전체에 균일하게 전달하는 열전도성이 우수한 솥(300)은 조리지지부(100)와 솥(300) 사이를 단열하여 구획을 나눔으로써 조리지지부(100)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열격벽부(200)를 사이에 두고 조리지지부(100)에 거치되며, 에너지공급부(410)는 에너지를 변환하여 불꽃으로 발화시킴으로써 솥(300)에 직접적으로 열을 가하는 발화부(420)에 연결되어 솥(300)에 에너지를 전달한다.
이때, 제어부(400)는 조리지지부(100)로부터 일측으로 이격설치되어, 에너지공급부(410)와 연결되며, 솥(300)은, Cr 20~25 중량%, Ni 0.1~0.3 중량%, CN 0.1~1 중량%, Ti 0.1~0.5 중량%, Mn 0.1~0.5 중량%, Al 0.01~0.05 중량%, Si 0.1~0.3 중량%, P 0.01~0.03 중량%, C 0.001~0.1 중량%,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원소를 포함하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 주방용구 내지는 주방도구에 사용되던 스테인레스강의 열전도율이 100℃, 10 내지 16W/m·℃이었던 것에 비해 열전도율이 100℃, 20W/m·℃ 이상인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으로 형성된 솥(300)을 포함하여, 일부에만 가열을 하여도 솥(300) 전체가 고르게 열을 전달받음으로써 조리시간이 단축되고 가열되는 부분의 음식물이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솥(300)을 스테인레스강으로 구성할 경우 발화부(420)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부분까지 열이 전달되는데 약 30~40분이 걸렸다고 했을 때, 솥(300)을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으로 구성한 본 고안의 대용향 조리용 솥은 약 10~20분이 소요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대용량 조리용 솥의 조리지지부(100)에 단열격벽부(200)를 거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A-A'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대용량 조리용 솥의 조리지지부(100)는 열차단 코팅부(140), 아우터관통홀(110) 및 아우터격벽(120)을 포함한다.
조리지지부(100)의 내벽 가장자리 둘레에 위치하여, 솥(300)으로 가해지는 열이 솥(300)의 가장자리까지 전달되는 것을 막아 솥(300)의 가장자리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는 열차단 코팅부(140)와 열차단 코팅부(140) 아래 통공형성되어, 단열격벽부(200)와 조리지지부(100) 사이에 형성되는 자연배기유로(10)의 공기(B)가 아우터관통홀(110)을 통해 자연배기된다.
이때, 조리지지부(100)의 가장자리 둘레를 열차단 코팅부(140)로 코팅하여 솥(300)의 가장자리의 온도를 낮춰줌으로써 음식이 닿지 않는 솥(300)의 가장자리가 과열되어 타버리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추가로, 아우터격벽(120)이 조리지지부(100) 바닥 중심 통공의 둘레를 감싸 아래로 연장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격벽부(200)는 인너관통홀(210), 인너격벽(220) 및 유도턱(240)을 포함한다.
인너관통홀(210)은 아우터관통홀(110)과 접하는 부분에 통공 형성하여 솥(300) 내의 폐열(A)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며, 인너격벽(220)은 단열격벽부(200) 바닥 중심 통공의 둘레를 감싸 아래로 연장형성되어 아우터격벽(120)내에 삽입되며, 발화부(420)가 위치하게 된다.
이때, 조리지지부(100)는 자연배출가이드(130)를 더 포함하며, 단열격벽부(200)는 직접배출가이드(230)를 더 포함한다.
자연배출가이드(130)는 일측이 아우터관통홀(110)에 연결되고 타측이 조리지지부(100) 외부에 위치하여 자연배기유로(10)의 공기(B)가 조리지지부(100) 외부로 자연배기되도록 하며, 직접배출가이드(230)는 일측이 인너관통홀(210)에 연결되고 타측이 조리지지부(100) 외부에 위치하여 단열격벽부(200)와 솥(300) 사이에 형성되는 직접가열유로(20)의 폐열(A)이 조리지지부(100)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여기서, 아우터관통홀(110)은 인너관통홀(210)보다 통공이 크게 형성되어, 직접배출가이드(230)가 자연배출가이드(130)에 삽입되어 위치함으로써 직접배출가이드(230)의 폐열(A) 배출에 의해 자연배출가이드(130)의 공기(B) 배기가 이루어져 조리지지부(100)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자연배기유로(10)의 공기(B)와 직접가열유로(20)의 폐열(A)과 각각 자연배출가이드(130)와 직접배출가이드(230)의 일측으로부터 배출되는 즉시 만나기 때문에 배출된 폐열(A)의 온도가 낮춰져 조리가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대용량 조리용 솥 주변 온도가 과하게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유도턱(240)은 단열격벽부(200)의 가장자리 둘레에 위치하여, 솥(300) 내의 폐열(A)을 인너관통홀(210)로 유도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대용량 조리용 솥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솥(300)의 가장자리에는 걸침턱(310)이 형성되어 조리지지부(100)의 가장자리에 걸쳐지게 되며, 걸침턱(310) 아래로는 열차단 코팅부(140)에서부터 단열격벽부(200)의 가장자리까지 밀착되게 삽입되며, 단열격벽부(200)의 가장자리 이후에는 단열격벽부(200)로부터 이격되도록 위치하게 된다.
이때, 솥(300)과 단열격벽부(200)가 유도턱(240)을 통해 맞닿는 부분을 중심으로 이격되면서 형성된 공간이 직접가열유로(20)가 되어 발화부(420)로부터 직접적으로 열이 전달됨과 동시에 폐열(A)이 생성되어 유도턱(240)에 의해 단열격벽부(200)의 가장자리와 밀착된 부분에 의해 바로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인너관통홀(210)을 통해 조리지지부(100) 외부로 배출된다.
폐열(A)이 직접가열유로(20)의 외부로 바로 배출되는 것이 아니라 유도턱(240)에 의해 막혀 인너관통홀(210)을 통해 우회되어 배출됨으로써 솥(300)의 가장자리가 폐열(A)에 의해 온도가 상승되는 것이 방지되어 열차단 코팅부(140)와 더불어 이중으로 솥(300)의 가장자리 과열을 막아 음식물의 끓어 넘침 현상을 방지하고 과열로 인해 타는 현상을 막을 수 있다.
폐열(A)의 흐름에 의해 자연히 자연배기유로(10)의 공기(B)가 흐르게 되어 폐열(A)이 흐르는 속도보다 상대적으로 느린 속도로 아우터관통홀(110)을 통해 자연배출가이드(130)로 이동하여 조리지지부(100) 외부로 배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400)는 제어부(400)의 상면에 위치하여 구부러지는 연성부(431)와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부(432)를 갖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여 솥(300) 내에 튀김작업을 위한 기름이 부어졌을 경우 기름의 온도를 측정한다.
이때, 연성부(431)를 구부려 센서부(432)가 솥(300) 내의 기름에 담궈지면, 온도 센서가 제어부(400)로 온도 정보를 전달하여, 제어부(400)에 설정된 온도보다 솥(300) 내의 기름 온도가 높을 경우 제어부(400)가 에너지공급부(410)를 통해 발화부(420)의 온도를 낮추며, 제어부(400)에 설정된 온도보다 솥(300) 내의 기름 온도가 낮을 경우 제어부(400)가 에너지공급부(410)를 통해 발화부(420)의 온도를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온도 센서 구부려지는 정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할 때와 아닐 때를 구분하여 센서부(432)의 위치를 쉽게 바꿀 수 있으며, 센서부(432)를 통한 온도측정에 의해 제어부(400)에서 자동으로 솥(300)의 온도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의 대용량 조리용 솥의 조리지지부(100)의 상부를 덮음으로써 솥(300) 내의 음식물을 외부로부터 차단하는 덮개는 제 1 부분(510a) 및 제 2 부분(510b)으로 형성되어 제 1 부분(510a) 및 제 2 부분(510b)은 서로 연결된 부분을 중심으로 접힌다.
이때, 덮개 지지부(520)는 제 1 부분(510a) 및 제 2 부분(510b)의 연결된 부분을 지지하여 0° 내지 90° 사이에서 회동하며, 덮개 조절용 손잡이(530)는 이러한 덮개 지지부(520)의 회동을 조절하며, 제 1 부분(510a)과 제 2 부분(510b)을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접히도록 형성하였기에 덮개 지지부(520)에 가해지는 힘이 분산되어 안정적으로 덮개를 지지할 수 있으며, 덮개 자체가 차지하는 공간이 적어진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에에 따른 에너지공급부(410)의 제어부(400) 설정에 따른 자동 에너지 공급량 조절기능의 작동 예시를 그래프로 나타낸 도면이다.
제어부(400)에 설정된 시간 및 단위시간당 열량에 따라 에너지공급부(410)는 아래의 단계를 통해 작동될 수 있다.
제 1 단계에서 에너지공급부(410)는 발화부(420)에 단위시간당 제 1 열량을 발화부(420)에 에너지가 불꽃으로 변환되어 발화했을 때부터 솥(300) 내 음식물이 끓기 시작하는 제 1 설정시간까지 공급한다.
제 2 단계에서 에너지공급부(410)는 솥(300) 내 음식물이 완전히 익는 제 2 설정시간까지 단위시간당 제 1 열량보다 낮은 단위시간당 제 2 열량을 공급하며, 제 3 단계에서는 솥(300) 내 음식물의 보온을 실시하기 위해 제 3 설정시간까지 단위시간당 제 2 열량보다 낮은 단위시간당 제 3 열량을 공급한다.
제 4 단계에서 에너지공급부(410)는 제 2 단계에서 단위시간당 제 2 열량이 공급된 시간과 동일한 시간 간격으로 단위시간당 제 2 열량을 공급하여 솥(300) 내 음식물을 끓는 상태로 유지하며, 이때, 사용자가 제어부(400)를 통해 에너지공급부(410)의 발화부(420)로의 에너지 공급을 차단할 때까지 에너지공급부(410)는 제 3 단계와 제 4 단계를 반복한다.
도시된 그래프를 예로 들면, 제 1 설정시간은 시간 2, 제 2 설정시간은 시간 6, 제 3 설정시간은 시간 9이며, 제 1 단계는 시간 0에서 시간 2 사이에 단위시간당 제 1 열량을 공급하고, 제 2 단계는 시간 2에서 시간 6 사이에 단위시간당 제 2 열량을 공급하며, 제 3 단계는 시간 6에서 시간 9 사이에 단위시간당 제 3 열량을 공급한다.
이때, 제 3 단계에서는 열량을 낮추게 되어 음식물의 온도가 내려간 상태에서 설정된 제 3 설정시간, 즉 시간 9가 되면 제 4 단계가 시작되어 단위시간당 제 2 열량이 공급된 시간과 동일한 시간만큼 단위시간당 제 2 열량이 공급되게 되어 음식물의 온도를 높여 음식물이 끓도록 하는 작업을 하게 되며, 사용자가 제어부(400)를 설정하여 에너지공급부(410)를 끄기 전까지는 제 3 단계와 제 4 단계가 반복된다.
이와 같이, 시간 설정에 따라 주입되는 단위시간당 열량을 자동으로 변경하도록 하여 음식이 과하게 조리되어 타거나 짜지는 것을 막을 수 있으며, 중간 중간 주입되는 열량을 낮춰 에너지가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자연배기유로 20...직접가열유로
100...조리지지부 110...아우터관통홀
120...아우터격벽 130...자연배출가이드
140...열차단 코팅부 200...단열격벽부
210...인너관통홀 220...인너격벽
230...직접배출가이드 240...유도턱
300...솥 310...걸침턱
400...제어부 410...에너지공급부
420...발화부 431...연성부
432...센서부 510a...제 1 부분
510b...제 2 부분 520...덮개 지지부
530...덮개 조절용 손잡이 A...직접가열유로의 폐열
B...자연배기유로의 공기

Claims (6)

  1. 열을 전달받아 음식을 조리하는 대용량 조리용 솥에 있어서,
    상기 대용량 조리용 솥에 에너지를 전달하는 에너지공급부(410);
    상기 에너지공급부(410)와 연결되어 전달받은 에너지를 변환하여 불꽃으로 발화시킴으로써 상기 대용량 조리용 솥에 직접적으로 열을 가하는 발화부(420);
    음식이 담겨져 조리되며, 상기 발화부(420)가 위치하는 일부에만 가해지는 열을 전체에 균일하게 전달하는 열전도성이 우수한 솥(300);
    상기 솥(300)이 거치되는 조리지지부(100);
    상기 솥(300)과 상기 조리지지부(10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조리지지부(100)와 상기 솥(300) 사이를 단열하여 구획을 나눔으로써 상기 조리지지부(100)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열격벽부(200); 및
    상기 조리지지부(100)로부터 일측으로 이격설치되어, 상기 에너지공급부(410)와 연결되는 제어부(400);를 포함하며,
    상기 조리지지부(100)는,
    상기 조리지지부(100)의 내벽 가장자리 둘레에 위치하여, 상기 솥(300)으로 가해지는 열이 상기 솥(300)의 가장자리까지 전달되는 것을 막아 상기 솥(300)의 가장자리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는 열차단 코팅부(140);
    상기 조리지지부(100)의 상기 열차단 코팅부(140) 아래 통공형성되어, 상기 단열격벽부(200)와 상기 조리지지부(100) 사이에 형성되는 자연배기유로(10)의 공기가 자연배기되는 아우터관통홀(110); 및
    상기 조리지지부(100) 바닥 중심 통공의 둘레를 감싸 아래로 연장형성된 아우터격벽(120);을 포함하며,
    상기 단열격벽부(200)는,
    상기 조리지지부(100)에 거치되었을 때, 상기 아우터관통홀(110)과 접하는 부분에 통공 형성하여 상기 솥(300) 내의 폐열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인너관통홀(210);
    상기 단열격벽부(200) 바닥 중심 통공의 둘레를 감싸 아래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아우터격벽(120)내에 삽입되며, 상기 발화부(420)가 위치하는 인너격벽(220); 및
    상기 단열격벽부(200)의 가장자리 둘레에 위치하여, 상기 솥(300) 내의 폐열을 상기 인너관통홀(210)로 유도하는 유도턱(240);을 포함하고,
    일측이 상기 아우터관통홀(110)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조리지지부(100) 외부에 위치하여 상기 자연배기유로(10)의 공기가 상기 조리지지부(100) 외부로 자연배기되는 자연배출가이드(130); 및
    일측이 상기 인너관통홀(210)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조리지지부(100) 외부에 위치하여 상기 단열격벽부(200)와 상기 솥(300) 사이에 형성되는 직접가열유로(20)의 폐열이 상기 조리지지부(100) 외부로 배출되는 직접배출가이드(2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아우터관통홀(110)은 상기 인너관통홀(210)보다 통공이 크게 형성되어, 상기 직접배출가이드(230)가 상기 자연배출가이드(130)에 삽입되어 위치함으로써 상기 직접배출가이드(230)의 폐열 배출에 의해 상기 자연배출가이드(130)의 공기 배기가 이루어져 상기 조리지지부(100)의 과열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조리용 솥.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솥(300)은,
    Cr 20~25 중량%, Ni 0.1~0.3 중량%, CN 0.1~1 중량%, Ti 0.1~0.5 중량%, Mn 0.1~0.5 중량%, Al 0.01~0.05 중량%, Si 0.1~0.3 중량%, P 0.01~0.03 중량%, C 0.001~0.1 중량%,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원소를 포함하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조리용 솥.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에너지공급부(410)를 통해 발화부(420)에 단위시간당 제 1 열량을 상기 발화부(420)에 에너지가 불꽃으로 변환되어 발화했을 때부터 상기 솥(300) 내 음식물이 끓기 시작하는 제 1 설정시간까지 공급하는 제 1 단계;
    상기 솥(300) 내 음식물이 완전히 익는 제 2 설정시간까지 상기 단위시간당 제 1 열량보다 낮은 단위시간당 제 2 열량을 공급하는 제 2 단계;
    상기 솥(300) 내 음식물의 보온을 실시하기 위해 제 3 설정시간까지 상기 단위시간당 제 2 열량보다 낮은 단위시간당 제 3 열량을 공급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 2 단계에서 단위시간당 제 2 열량이 공급된 시간과 동일한 시간 간격으로 단위시간당 상기 제 2 열량을 공급하여 상기 솥(300) 내 음식물을 끓는 상태로 유지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제어부(400)를 통해 상기 에너지공급부(410)의 상기 발화부(420)로의 에너지 공급을 차단할 때까지 상기 제 3 단계와 상기 제 4 단계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조리용 솥.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제어부(400)의 상면에 위치하여 구부러지는 연성부(431)와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부(432)를 포함하여, 상기 솥(300) 내에 튀김작업을 위한 기름이 부어졌을 경우 기름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성부(431)를 구부려 상기 센서부(432)가 상기 솥(300) 내의 기름에 담궈지면, 상기 온도 센서가 상기 제어부(400)로 온도 정보를 전달하여, 상기 제어부(400)에 설정된 온도보다 상기 솥(300) 내의 기름 온도가 높을 경우 상기 제어부(400)가 상기 에너지공급부(410)를 통해 상기 발화부(420)의 온도를 낮추며, 상기 제어부(400)에 설정된 온도보다 상기 솥(300) 내의 기름 온도가 낮을 경우 상기 제어부(400)가 상기 에너지공급부(410)를 통해 상기 발화부(420)의 온도를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조리용 솥.
KR2020150007287U 2015-11-10 2015-11-10 대용량 조리용 솥 KR2004808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287U KR200480805Y1 (ko) 2015-11-10 2015-11-10 대용량 조리용 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287U KR200480805Y1 (ko) 2015-11-10 2015-11-10 대용량 조리용 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805Y1 true KR200480805Y1 (ko) 2016-07-07

Family

ID=56499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7287U KR200480805Y1 (ko) 2015-11-10 2015-11-10 대용량 조리용 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80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6759B1 (ko) * 2018-08-01 2019-05-02 화신주방산업(주) 조리용 회전솥
CN114941112A (zh) * 2022-05-17 2022-08-26 江苏中色复合材料有限公司 一种适用于多热源的钢铝锅料及其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422A (ko) * 1998-06-24 2000-01-25 케나 죤 에이. 비점착성조리용기
KR101535425B1 (ko) 2014-02-18 2015-07-24 오현태 눌음방지 및 작업 효율을 높인 회전식 솥
KR101538792B1 (ko) * 2014-07-17 2015-07-29 리나스대성(주) 기능성 국솥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422A (ko) * 1998-06-24 2000-01-25 케나 죤 에이. 비점착성조리용기
KR101535425B1 (ko) 2014-02-18 2015-07-24 오현태 눌음방지 및 작업 효율을 높인 회전식 솥
KR101538792B1 (ko) * 2014-07-17 2015-07-29 리나스대성(주) 기능성 국솥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6759B1 (ko) * 2018-08-01 2019-05-02 화신주방산업(주) 조리용 회전솥
CN114941112A (zh) * 2022-05-17 2022-08-26 江苏中色复合材料有限公司 一种适用于多热源的钢铝锅料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0805Y1 (ko) 대용량 조리용 솥
CN103006047A (zh) 多功能一体锅
KR100928141B1 (ko) 가압식 고온 가열 조리기구
CN110857784B (zh) 一种防止炒菜热油迸溅智能方法
CN209733607U (zh) 烤盘组件和烹饪装置
KR20110000512U (ko) 직화형 후라이팬
CN215348463U (zh) 一种新型空气加热锅
CN105864764B (zh) 一种燃烧加热器具
JP4036265B2 (ja) 加熱調理器
KR20170138369A (ko) 조리 용기용 거치대
KR200278443Y1 (ko) 조리기구
JP3244134U (ja) 多目的電気調理鍋と蒸し器アセンブリ
KR20110029540A (ko) 탄소섬유발열체를 이용한 다목적 가열기
KR20080111758A (ko) 다공성 도기 화덕
CN215348326U (zh) 一种方便清洗的电炊具
KR102399849B1 (ko) 전기 조리장치
CN202589252U (zh) 多功能煮食锅
KR20170106092A (ko) 손잡이가 뜨겁게 가열되는 것이 방지되는 조리용기 어셈블리
KR200291034Y1 (ko) 복합 히터 내장형 가열기
KR20110065670A (ko) 열기 유도형 주방용기, 그 주방용기의 가이드 장치 및 받침장치
CN205410835U (zh) 一种改进的蒸锅
JP2001041460A (ja) ガス加熱調理器
CN207880874U (zh) 一种多功能壁炉
KR20100103910A (ko) 조리 기구
KR200490536Y1 (ko) 요리용 보조기구 및 보조기구가 활용된 이중냄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