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5425B1 - 눌음방지 및 작업 효율을 높인 회전식 솥 - Google Patents

눌음방지 및 작업 효율을 높인 회전식 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5425B1
KR101535425B1 KR1020140018341A KR20140018341A KR101535425B1 KR 101535425 B1 KR101535425 B1 KR 101535425B1 KR 1020140018341 A KR1020140018341 A KR 1020140018341A KR 20140018341 A KR20140018341 A KR 20140018341A KR 101535425 B1 KR101535425 B1 KR 101535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
pot body
rotary
rotation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8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현태
양희승
Original Assignee
오현태
양희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현태, 양희승 filed Critical 오현태
Priority to KR1020140018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54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5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54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 A47J27/02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with enlarged bott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눌음방지부가 덮개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솥 본체의 바닥벽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조리 작업이 간편해지고, 사고위험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눌음방지부가 솥 본체의 바닥면뿐만 아니라 내측면까지 긁어내도록 구성되어 눌음방지 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고, 조리 시 국물 및 육수 등의 물을 간단하고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으며, 덮개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솥 본체에 결합 및 분리되도록 구성되어 작업효율을 더욱 개선할 수 있고, 가열부에 의하여 가열되는 오일이 음식물이 수용되는 솥 본체의 내부 공간의 외측에 둘러싸듯이 형성됨으로써 열효율을 현저히 높일 수 있는 눌음방지 및 작업 효율을 높인 회전식 솥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눌음방지 및 작업 효율을 높인 회전식 솥{rotary type kettle for enhancing scorching prevention and working efficiency}
본 발명은 눌음방지 및 작업 효율을 높인 회전식 솥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로는 눌음방지부가 솥의 바닥면뿐만 아니라 내측면까지 긁어내도록 구성되어 눌음을 효율적으로 방지함과 동시에 눌음방지부가 솥의 바닥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작업 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고, 솥을 직접적으로 가열하지 않고 솥의 외측에 형성되는 오일을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가열함으로써 열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눌음을 더욱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회전식 솥에 관한 것이다.
대형 건물, 관공서, 군부대, 학교 등의 구내식당에서는 정해진 시간 내에 대량의 요리를 조리하기 위해 대용량 솥이 널리 사용되고 있고, 이러한 대용량 솥은 사고위험이 높으며, 조리 작업이 번거롭기 때문에 안전하면서도 간단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회전식 솥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종래의 회전식 솥은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되는 솥 본체와, 솥 본체를 지지하는 프레임부와, 솥 본체의 상부 개구부에 설치되는 덮개와, 솥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솥 본체의 하부면을 가열시키는 가열부와, 솥 본체를 회전시켜 기울이기 위한 회전수단들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종래의 회전식 솥은 솥 본체가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조리가 완성되면 솥 본체를 회전시켜 음식물을 타 수납용기에 용이하게 토출시킬 수 있어 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장점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에는 국이나 죽, 카레, 찌개 등과 같이 건더기를 장시간동안 국물에 우려내는 음식이 많이 있고, 이러한 음식들은 조리 시 건더기가 국물의 하부로 가라앉은 후 솥의 바닥에 눌러 붙게 되는 눌음 현상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작업자는 지속적 또는 일시적으로 국자 및 주걱 등을 이용하여 국물을 저어주어야 한다. 특히 종래의 회전식 솥은 대용량 조리를 위한 것이기 때문에 대량의 건더기가 유입되어 건더기의 누름 현상이 더욱 심하게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인력소모를 유발함과 동시에 음식물을 저어주기 위해서는 덮개를 개방한 상태를 형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열효율이 떨어져 요리의 질이 떨어지게 되고, 안전상 위험이 높으며, 작업자가 국자 및 주걱 등을 큰 부피를 갖는 솥의 바닥면까지 지속적으로 저어주어야 하기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여 눌음 현상을 확실하게 방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대용량 솥의 내부에 회전하는 날개부를 설치하여 눌음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식 솥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국내등록실용 제20-0094373호(고안의 명칭 : 죽솥)에 개시된 죽솥은 뚜껑부의 중앙에 설치되는 모터와, 모터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어 솥을 저어주는 회전날개부를 포함함으로써 음식물의 눌음 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뚜껑부가 닫힌 상태에서 회전날개부가 동작하기 때문에 열손실을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 죽솥은 회전날개부가 뚜껑부에 결합되기 때문에 완성된 요리를 덜어내기 위해 뚜껑부를 개방할 때 뚜껑부에 결합된 회전날개부도 뚜겅과 함게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회전날개부에 잔재하는 음식물이 이동 중에 하부로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죽솥은 조리 시 발생한 열에 의하여 회전날개부도 가열되기 때문에 뚜껑을 개방할 때 회전날개부에 의한 사고의 위험성이 높아 작업의 불편함을 유발하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상기 죽솥은 솥을 기울이기 위한 회전수단에 대한 구성이 전혀 기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인력을 통해 솥을 기울여야 하고, 이에 따라 인력소모 및 안선상 위험률이 높은 단점을 갖는다.
또한 상기 죽솥은 하부에 설치된 열생성부로부터 전달받은 열에 의해서만 가열되는 구조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하부면은 뜨거운 상태를 유지하나, 하부면에 비해 측벽, 상세하게로는 측벽의 상부를 향할수록 온도가 떨어지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국물음식, 삶은 음식 등이 많은 우리나라의 특성 상 조리 중간에 가열된 물을 덜어내는 조리방식이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으나, 상기 죽솥은 조리 중간에 가열된 물을 덜어내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솥을 기울여서 물을 빼낼 경우 안전상 위험이 매우 높을 뿐만 아니라 건더기가 물과 함께 배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445008호(고안의 명칭 : 눌음 방지장치를 갖는 조리용 솥)에는 조리용 솥은 눌음 방지장치를 구비하되 눌음 방지장치가 솥의 상부에 고정된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도록 탈부착되어 솥을 저어주는 스크레이퍼부를 포함함으로써 다른 조리를 하거나 요리를 덜어낼 때 스크레이퍼부를 탈착시켜 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 조리용 솥은 전술하였던 바와 같이 요리를 덜어내기 위해 스크레이퍼부를 탈착시킬 때 스크레이퍼부의 외면에 남아있는 음식물이 하부로 떨어져 위생효율이 떨어지며, 안전사고를 유발하고, 측벽이 하부에 비해 상부가 온도가 떨어지며, 별도로 국물만 빼내기 어려운 문제점을 여전히 해결하지 못하는 한계를 갖는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솥 본체의 내면을 긁어내어 음식물의 눌음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눌음방지부가 솥 본체의 바닥벽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종래에 눌음방지부가 덮개에 설치되어 조리 작업을 번거롭게 하며, 사고위험이 높은 문제점을 획기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회전식 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눌음방지부가 솥 본체의 내측면을 긁어내는 수직날개와, 솥 본체의 바닥면을 긁어내는 수평날개를 포함함으로써 눌음현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회전식 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덮개에 토출홈이, 솥 본체에 상기 토출홈에 연설되는 토출부가 형성되어 조리 시 국물, 육수 등의 물만을 별도로 간단하게 배출함으로써 작업효율을 현저히 높일 수 있는 회전식 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덮개의 절곡부에 가이드 돌출부가 형성되고, 솥 본체의 상면에 내측면에 가이드홈을 갖는 돌출부가 형성됨으로써 덮개가 솥 본체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 및 분리되어 작업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는 회전식 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솥 본체의 바닥벽 및 측벽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는 제1 수용공간에 오일이 유입되되 바닥벽의 제1 수용공간에 가열부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됨으로써 가열부에 의하여 솥 본체가 직접적으로 가열되지 않기 때문에 눌음 현상을 더욱 방지할 수 있으며, 오일에 의하여 솥 본체의 측벽 및 바닥벽이 균일하게 가열됨으로써 열효율이 우수한 회전식 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눌음방지부가 눌음방지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눌음방지부 회전축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작업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는 회전식 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결합부재가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도록 솥 본체의 결합공에 설치되도록 하되 내부 구성수단들의 형상 및 구조를 변형하여 솥 본체 내부의 수분이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눌음방지부가 솥 바닥의 바닥면에 결합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수분누설의 문제점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회전식 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해결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조리 시 음식물의 눌음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식 솥(1)에 있어서: 일부가 개구되어 내부에 조리 대상이 수용되며, 하부벽인 바닥벽(311)에 결합공이 형성되는 솥 본체(31); 상기 솥 본체(31)를 가열시키는 가열부(8); 상기 바닥벽(311)의 결합공에 회전 가능하도록 수직 설치되는 눌음방지부 회전축(13); 상기 솥 본체(31)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눌음방지부 회전축(13)을 회전시키는 회전부(7); 상기 눌음방지부 회전축(13)에 결합되는 회전봉(61)과, 상기 회전봉(61)의 일측에 결합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절첩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상기 회전봉(61)의 회전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며 단부가 상기 솥 본체(31)의 내면에 접촉되는 날개로 이루어지는 눌음방지부(6)를 포함하고, 상기 눌음방지부(6)는 상기 회전봉(61)과, 길이를 갖는 복수개의 판재들로 이루어져 일측이 상기 회전봉(61)의 일측에 결합되며, 타측에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의 수직바가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1 프레임(63)과, 길이를 갖는 복수개의 판재들로 이루어져 일측이 상기 제1 프레임에 대향되도록 상기 회전봉(61)에 결합되며, 타측에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의 수평바가 수평하게 설치되는 제2 프레임(65)과, 상기 수직바에 절첩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상기 회전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수직날개(67)와, 상기 수평바에 절첩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상기 회전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수평날개(69)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수평날개(69)는 상기 솥 본체(31)의 바닥벽(311)의 내면인 바닥면에 접촉되고, 상기 수직날개(67)는 상기 솥 본체(31)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눌음방지부 회전축(13)은 봉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솥 본체(31)의 바닥면의 상부로 돌출된 외주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착돌출부(131)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봉(61)은 상기 솥 본체(31)에 대접되는 하단부에 인접한 외주면에 외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형성되어 하단부까지 연결되는 안착홈(613)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됨으로써 상기 안착돌출부(131)가 상기 안착홈(613)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봉(61)이 상기 눌음방지부 회전축(13)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눌음방지부 회전축(13)은 상기 안착돌출부(131) 보다 하향된 위치의 외주면에 외주면으로부터 원기둥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원형돌출부(133)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봉(61)은 하단면에 하단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원 형상의 형성되는 삽입홈(612)을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눌음방지부 회전축(13)의 상부가 상기 회전봉(61)의 상기 삽입홈(612)으로 삽입되며, 상기 회전봉(61)의 하단부가 상기 눌음방지부 회전축(13)의 상기 원형돌출부(133)에 대접되어 상기 회전봉(61)이 상기 눌음방지부 회전축(13)에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회전식 솥(1)은 상기 회전봉(61)보다 큰 길이를 갖는 축으로 이루어지되 일단부에 인접한 외주면에 나사산을 갖으며, 타단부에 손잡이가 형성되는 체결부(69)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봉(61)은 길이방향으로 중앙에 상기 체결부(69)가 관통되는 관통공(611)이 형성되고, 상기 눌음방지부 회전축(13)은 상단면에 상단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형성되어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69)의 나사산에 체결되는 체결공(135)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회전식 솥(1)은 상기 눌음방지부 회전축(13)이 삽입되는 상기 솥 본체(31)의 결합공에 결합되는 결합부재(5)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5)는 중공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에 결합되는 끼움부(50); 중공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끼움부에 결합되되 일측이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보스(51); 상기 보스(51) 내부에 설치되며, 내측으로 상기 눌음방지부 회전축(13)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부싱(53)을 포함하고, 상기 보스(51)는 일단부에서 타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외주면에 외경이 작아지는 단턱(513)이 형성되어 상기 단턱(513)이 상기 끼움부(50)의 상단면에 대접되어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솥 본체(31)는 바닥벽(311) 및 측벽(313)의 내부 공간에 서로 연결되게 형성되는 제1 수용공간(75)과, 일단부가 상기 측벽에, 타단부가 상기 제1 수용공간(75)에 형성되어 상기 가열부(8)가 설치되는 삽입부(81)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용공간(75)에는 오일이 유입되어 유입된 오일이 상기 가열부(8)에 의하여 가열됨에 따라 상기 솥 본체(31)가 가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삽입부(81)는 평면상으로 바라보았을 때 상기 바닥벽(311)의 중앙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측벽(313)의 두께(L)는 19 ~ 26mm 이고, 상기 삽입부(81)는 상기 솥 본체(31)의 바닥면에 인접한 단부에서 상기 바닥면까지의 거리(L')가 상기 측벽의 두께(L) 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솥 본체(31)는 바닥벽(311) 및 측벽(313)의 내부 공간에 서로 연결되되 상기 제1 수용공간(75)의 외측에 형성되는 제2 수용공간(77)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수용공간(77)에는 단열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회전식 솥(1)은 상기 솥 본체(31)의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덮개(33)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덮개(33)는 원 형상의 판재인 원판부(331)와, 상기 원판부(331)의 테두리로부터 수직 절곡되어 상기 솥 본체(31)의 개구부로 삽입되는 절곡부(333)와, 상기 절곡부(333)의 외면에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되 외면을 따라 연장되는 막대 형상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돌출부(334)를 포함하고, 상기 솥 본체(31)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테두리인 상면에 상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318)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318)는 개구부를 향하는 일측면에 일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형성되어 일측면을 따라 연결되는 가이드홈(320)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덮개(33)는 상기 가이드 돌출부(334)가 상기 가이드홈(320)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되어 상기 솥 본체(31)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해결 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눌음방지부가 덮개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솥 본체의 바닥벽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조리 작업이 간편해지고, 사고위험을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눌음방지부가 솥 본체의 바닥면뿐만 아니라 내측면까지 긁어내도록 구성되어 눌음방지 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조리 시 국물 및 육수 등의 물을 간단하고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덮개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솥 본체에 결합 및 분리되도록 구성되어 작업효율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가열부에 의하여 가열되는 오일이 음식물이 수용되는 솥 본체의 내부 공간의 외측에 둘러싸듯이 형성됨으로써 열효율을 현저히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솥 본체의 하부벽 및 측벽의 내부에 제1, 제2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제1 수용공간에 오일이, 제2 수용공간에 단열재가 설치됨으로써 미관효율이 우수함과 동시에 설계구조가 간단해지고, 가열된 솥에 의한 안전사고를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눌음방지부가 간단한 방법으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요리 종류 및 조리 목적에 따라 눌음방지부를 선택적으로 설치 및 제거하여 작업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눌음방지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눌음방지부 회전축이 결합부재를 통해 솥 본체의 바닥벽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부재에 의해 수분이 외측으로 누설되지 않게 됨으로써 수분 누설로 인한 장비 고장을 절감할 수 있으며, 의도하고자 했던 음식을 조리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회전식 솥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몸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솥 본체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솥 본체의 상면에 형성되는 돌출부를 나타내는 확대사시도이다.
도 7은 덮개의 절곡부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2의 결합부재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도 2의 눌음방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눌음방지부가 결합부재에 부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회전식 솥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정단면도이다.
도 1 내지 3의 회전식 솥(1)은 프레임부(2)와, 내부에 조리대상인 음식물 및 물이 수용되며 양측부가 제1, 제2 솥 회전축(11), (11')들 각각에 결합되어 프레임부(2)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몸체부(3)와, 프레임부(2)의 제1 하우징(21)에 설치되어 제1 솥 회전축(11)을 회전시키는 제1 회전부(4)와, 몸체부(3)의 솥 본체(31)의 바닥벽(311)의 결합공(315)에 설치되어 눌음방지부 회전축(13)이 내부로 관통되는 결합부재(5)와, 눌음방지부 회전축(13)의 일단부(이하 상단부라고 함)에 탈부착되며 솥 본체(31) 내부에서 회전되어 솥 본체(31)의 내측면 및 바닥면을 긁어내는 눌음방지부(6)와, 몸체부(3)의 하부에 설치되어 눌음방지부 회전축(13) 및 눌음방지부(6)를 회전시키는 제2 회전부(7)와, 프레임부(2)의 제1 하우징(21)의 상부에 설치되어 관리자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으며 입력된 명령데이터에 따라 제1 회전부(4), 제2 회전부(7), 후술되는 도 5의 가열부(8) 및 온도센서(S)들을 제어함과 동시에 이들로부터 수신 받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패널에 전시하는 조작패널(9)로 이루어진다.
이때 도 1 내지 3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회전식 솥(1)은 몸체부(3)의 측벽 및 바닥벽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가열부(8)와, 몸체부(3)의 솥 본체(31)의 일측에 설치되는 온도센서(S)를 포함한다.
프레임부(2)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함체로 형성되어 내부 공간에 제1 회전부(4)가 설치되는 하우징(21)과, 하우징(21)에 이격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는 사각형상의 판재인 수직프레임(23)과, 사각형상의 판재로 형성되어 양단부가 하우징(21) 및 수직프레임(23) 각각에 결합되는 수평프레임(25)과, 수직프레임(23) 및 하우징(21)의 하부에 설치되는 캐스터(27)와, 하우징(21)의 전면에 설치되는 조작레버(29)로 이루어진다. 이때 조작레버(29)는 정방향 및 역방향의 조작에 따라 제1 솥 회전축(11)을 제어함으로써 몸체부(3)의 솥 본체(31)는 선택적으로 자동식 또는 수동식으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하우징(21)의 상면에는 지지봉(91)이 설치되고, 지지봉(91)의 단부에는 조작패널(9)이 설치된다.
조작패널(9)은 관리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수단(미도시)과,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받은 명령데이터에 따라 제1 회전부(4), 제2 회전부(7), 오일 유입부(316) 및 오일배출부(316'), 온도센서(S) 및 가열부(8)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와, 각종 센서 및 타이머로부터 입력받은 측정값을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한다. 이때 조작패널(9)은 PLC 및 각종 산업기기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조작패널(9)의 형상 및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된 다양한 형상 및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21)은 수직프레임(23)을 향하는 일측면에 제1 솥 회전축(11)이 베어링 결합된다. 이때 제1 솥 회전축(11)은 일단부가 제1 회전부(4)에, 타단부가 솥 본체(31)에 결합됨으로써 제1 회전부(4)의 모터(41)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어 솥 본체(31)를 회전시킨다.
수직프레임(23)은 두께 및 면적을 갖는 판재로 형성되며, 하우징(21)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설치된다.
또한 수직프레임(23)은 상면에 제2 솥 회전축(11´)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베어링부(211)가 설치되어 솥 본체(3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즉 제1 회전부(4)의 모터(41)에 의해 발생한 회전력은 제1 솥 회전축(11) -> 솥 본체(31) -> 제2 솥 회전축(11´)으로 전달되어 솥 본체(31)가 회전하게 된다.
캐스터(27)는 하우징(21)의 하면 및 수직프레임(23)의 하면들 각각에 한 쌍으로 형성되어 회전식 솥(1)을 이동시킴으로써 대용량 음식을 조리하는 작업 공간의 특성을 감안하여 작업의 편리성을 높인다.
수평프레임(25)은 사각형상의 판재로 형성되며, 일단부가 수직프레임(23)에, 타단부가 하우징(21)에 결합되어 지면에 평행하게 설치된다.
또한 수평프레임(25)은 솥 본체(31)의 하부에, 솥 본체(31)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된다. 즉 수평 프레임(25)는 솥 본체(31)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2 회전부(7)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설치된다.
도 4는 도 1의 몸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솥 본체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몸체부(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구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솥 본체(31)와, 솥 본체(31)의 상부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덮개(33)와, 솥 본체(31)의 바닥벽(311) 및 측벽(313)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단열재(35)와, 단열재(35) 보다 내측에 설치되는 가열부(8)로 이루어진다.
솥 본체(31)는 상부가 개구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 바닥면(312)의 중앙에 결합공(315)이 형성되고, 결합공(315)에는 후술되는 도 8의 결합부재(5)가 설치된다. 이때 눌음방지부 회전축(13)은 결합부재(5)에 삽입 장착되어 상단부가 솥 본체(31)의 바닥벽(311)의 상부로 돌출되고, 바닥벽(311)으로부터 돌출된 눌음방지부 회전축(13)의 상부에는 후술되는 도 9와 10의 눌음방지부(6)가 탈부착됨으로써 눌음방지부 회전축(13)의 회전에 따라 눌음방지부(6)가 솥 본체(31) 내부에서 회전되어 조리 시 솥 본체(31)의 내측면 및 바닥면에 음식물이 눌어붙는 눌음현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솥 본체(31)가 상부가 개구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솥 본체(31)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바닥면이 반구 형상을 형성하거나 또는 다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솥 본체(31)는 개구부에 대향되는 바닥벽(311) 및 측벽(313) 내부에 서로 연결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바닥벽(311) 및 측벽(313)의 내부 공간(70)에는 가이드판(71)이 이격되게 설치됨으로써 바닥벽(311) 및 측벽(313)의 내부 공간(7)은 가이드판(71)에 의해 2개의 공간들로 분류된다. 이하, 내측에서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2개의 공간들을 제1 수용공간(75), 제2 수용공간(77)이라고 하기로 한다.
또한 솥 본체(31)의 제1 수용공간(75)에는 오일 유입부(316)를 통해 오일이 유입된다.
또한 바닥벽(311)의 제1 수용공간(75)에는 가열부(8)가 삽입되는 삽입부(81)가 형성되고, 삽입부(81)는 일단부가 바닥벽(311)의 결합공(315)에 인접하게, 타단부가 제2 수용공간(77)의 외측면에 연결되게 형성된다.
또한 삽입부(81)는 평면상으로 바라보았을 때 원의 바닥면(312)의 중앙을 향하여 방사상으로 복수개가 형성되고, 삽입부(81)들 각각에는 가열부(8)가 삽입됨으로써 소망의 가열온도에 따라 작업자가 선택적으로 가열부(8)의 개수를 설치 및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삽입부(81)는 바닥벽(11)의 상면(바닥면)(312)을 향하는 단부에서 바닥면(312)까지의 거리(L')가 측벽(313)에 형성되는 제1 수용공간(75)의 두께(L) 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측벽(313)의 제1 수용공간(75)의 두께는 19 ~ 26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가열부(8)는 솥 본체(31)의 바닥벽(311)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만약 가열부(8)와 바닥면(312)까지의 거리가 19 mm 미만이면 가열부(8)에 의해 발생한 열이 직접적으로 바닥면(312)을 가열하여 가열부(8)의 직상부의 바닥면(312)에 위치한 음식물이 바닥면(312)에 눌어붙게 된다.
또한 솥 본체(31)의 측벽(31)의 외면 일측에는 외부로부터 오일(oil)이 유입되는 오일 유입부(316)가 설치되고, 오일 유입부(316)는 외측면을 관통하여 단부가 제1 수용공간(75)에 연결되어 제1 수용공간(75)에 오일이 유입된다. 이때 제1 수용공간(75)에 유입된 오일은 가열부(8)에 의하여 가열되고, 이에 따라 솥 본체(31)의 바닥면(312) 및 내측면(314)이 균일하게 가열됨으로써 열효율을 현저히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손 본체(31)의 바닥벽(311)에는 일단부가 제1 수용공간(75)에, 타단부가 바닥벽(311)의 하면에 연결되는 오일 배출부(316')가 설치된다.
또한 솥 본체(31)의 제2 수용공간(77)에는 단열재(35)가 설치되고, 단열재(35)로는 통상의 코르크, 면(綿), 펠트, 탄화코르크, 거품고무, 석면(石綿), 유리솜, 석영솜, 규조토(硅藻土), 탄산마그네슘 분말, 마그네시아 분말, 규산칼슘, 펄라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세하게로 유리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가열부(8)에 의하여 음식물이 직접적으로 가열되는 것이 아니라 가열부(8)에 의하여 가열된 오일에 의하여 솥 본체의 내측면 및 바닥면이 균일하게 가열되도록 함으로써 열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눌음을 더욱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솥 본체(31)는 제2 수용공간(77), 즉 솥 본체(31)의 측벽(313) 및 바닥벽(311)의 내부 공간들 중 외면에 인접한 지점에 단열재(35)가 설치됨으로써 종래에 조리 시 가열된 솥에 의해 작업자가 화상을 당하거나 작업이 번거롭게 이루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함과 동시에 열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6은 도 4의 솥 본체의 상면에 형성되는 돌출부를 나타내는 확대사시도이다.
솥 본체(3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상면(317)에 상면(317)으로부터 돌출되어 원호를 따라 연결되는 길이를 갖는 돌출부(318)가 형성되고, 돌출부(318)는 평면상에서 바라보았을 때 원의 중앙을 향하는 내측면(319)에 내측면(319)으로부터 가이드홈(320)이 원호를 따라 형성된다. 이때 가이드홈(320)에는 후술되는 도 7의 덮개(33)의 가이드 돌출부(334)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됨으로써 덮개(33)가 솥 본체(31)에 결합된다.
또한 솥 본체(31)는 상면의 일측에 토출부(321)가 형성되고, 상기 토출부(321)는 판재로 형성되어 솥 본체의 상면에 연설되는 제1 판부(322)와, 제1 판부(322)의 양측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측판부(323), (323)들로 이루어진다. 즉 솥 본체(31)는 조리가 완성된 음식물을 타 수납용기로 덜어낼 때 제1 회전부(4)에 의해 솥 본체(31)가 기울어지면 토출부(321)를 통해 음식물이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솥 본체(31)는 대향되는 측벽(313)의 양측부에 솥 회전축(11), (11´)들이 각각 결합된다. 이때 일측 솥 회전축(11)은 모터(41) 또는 조작레버(29)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되기 때문에 솥 본체(31)는 솥 회전축(11)과 같이 회전되어 타 수납용기로 음식물 및 물을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솥 본체(31)는 바닥벽(311)에 중앙에 눌음방지부 회전축(13)이 설치되는 결합공(315)이 형성된다. 이때 결합공(315)에는 결합부재(5)가 설치되고, 눌음방지부 회전축(13)이 결합부재(5)에 삽입되어 솥 본체(31)의 바닥벽(311)의 결합공(315)에 결합되어 솥 본체(31)의 내부로 눌음방지부 회전축(13)의 일단부가 돌출되고, 돌출된 눌음방지부 회전축(13)의 단부에 눌음방지부(6)가 결합됨으로써 눌음방지부(6)는 모터(71)의 회전에 따라 솥 본체(31) 내부에서 회전하여 솥 본체(31)의 내측면 및 바닥면에 음식물이 눌어붙지 않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솥 본체(31)의 바닥벽(311) 및 측벽(313)의 내면을 긁어주는 눌음방지부(6)가 덮개(33)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솥 본체(31)의 바닥벽(311)에 설치되기 때문에 종래에 눌음방지부가 덮개에 설치되어 조리 작업이 번거로우며 사고위험이 높은 문제점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바닥벽(311)에 눌음방지부(6)를 설치하여 작업 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였으나, 결합공(315) 및 결합부재(5)가 결합되는 공간의 틈 사이와, 결합부재(5) 및 결합부재(5)가 결합되는 공간의 틈 사이로 음식물 및 수분이 누설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고,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결합부재(5)의 형상을 변형하여 결합부재(5)가 눌음방지부(6)를 회전시키는 눌음방지부 회전축(13)을 결합시키는 기능뿐만 아니라 수분 누설이 되지 않도록 하는 패킹 기능까지 부가하였다.
도 4의 덮개(33)는 일면에 손잡이(332)가 형성되는 원 형상의 판재인 원판부(331)와, 원판부(331)의 외주연으로부터 수직 절곡되는 절곡부(333)로 이루어져 솥 본체(31)의 개구부를 개폐시킨다.
또한 절곡부(333)는 외경이 솥 본체(31)의 내경보다 동일한 크기로 형성됨으로써 절곡부(333)가 솥 본체(31)의 개구부에 삽입된다.
도 7은 덮개의 절곡부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덮개(3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부(333)의 외면에 외면으로부터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으로 돌출되는 가이드 돌출부(334)가 형성된다.
즉 덮개(33)를 솥 본체(31)의 개구부에 올려놓으면 가이드 돌출부(334)가 솥 본체의 상면에 걸리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덮개(33)를 회전시키면 가이드 돌출부(334)가 솥 본체(31)의 가이드홈(320)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됨으로써 덮개(33)가 솥 본체(31)에 결합하게 된다.
또한 절곡부(33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양면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토출홈(335)들이 형성되고, 토출홈(335)들은 밀폐 시 본체(31)의 토출부(321)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위치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회전식 솥(1)은 솥 회전축(11), (11´)에 의해 회전되되 덮개(33)에 토출홈(335)들이 형성됨으로써 토출홈(335)에 의해 건더기는 그대로 남기고, 국물만 별도로 외부로 덜어낼 수 있게 된다.
제1 회전부(4)는 일측 솥 회전축(11)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41), 중계풀리(43) 및 기어(45) 등으로 이루어지고, 모터, 풀리들 및 기어를 이용하여 모터의 회전에 따라 회전축이 회전되는 구성은 각종 기계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제1 회전부(4)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제1 회전부(4)는 모터(41)의 회전에 따라 일측 솥 회전축(11)을 회전시키고, 일측 솥 회전축(11)의 회전력은 솥 본체(31) -> 타측 솥 회전축(11´)으로 전달됨에 따라 작업 용도에 따라 솥 본체(31)를 작업에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제2 회전부(7)는 눌음방지부 회전축(13)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71), 풀리(73) 및 감속기(75) 등으로 이루어진다.
도 8은 도 2의 결합부재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재(5)는 솥 본체(31)의 바닥벽(311)의 결합공(315)에 설치되며, 내부로 눌음방지부 회전축(13)이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때 눌음방지부 회전축(13)은 솥 본체(31)의 내부로 돌출된 일단부가 눌음방지부(6)에 결합됨으로써 눌음방지부(6)가 솥 본체(31) 내부에서 회전하게 된다.
눌음방지부 회전축(13)은 길이를 갖는 봉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부가 솥 본체(31)의 내부로 노출되어 눌음방지부(6)에 탈부착되며, 타단부는 솥 본체(31)의 외부로 노출되어 제2 회전부(7)의 감속기(75)에 결합됨으로써 모터(71)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어 눌음방지부(6)를 회전시킨다.
또한 눌음방지부 회전축(13)은 상단부에 인접한 지점의 외주면에,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봉 형상의 안착돌출부(131)들이 서로 대향되게 설치된다. 이때 안착돌출부(131)들은 길이를 갖는 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후술되는 눌음방지부(6)의 안착홈(613)들 각각으로 삽입됨으로써 눌음방지부(6)는 회전 시 안착홈(613)이 안착돌출부(131)들에 의해 지지되어 이탈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눌음방지부 회전축(13)은 길이를 갖는 봉 형상으로 형성되되 안착돌출부(131)들 보다 하향된 외주면에 외주면으로부터 원기둥 형상으로 돌출되는 원형돌출부(133)가 형성된다. 이때 원형돌출부(133)는 솥 본체(31)의 내부로 돌출된 눌음방지부 회전축(13)의 단부를 향하는 일면이 눌음방지부(6)의 하단면에 대접되어 눌음방지부(6)를 지지하고, 일면에 대향되는 타면이 후술되는 결합부재(5)의 부싱에 대접된다.
또한 눌음방지부 회전축(13)은 솥 본체(31)의 내부로 돌출된 단면에 단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체결공(135)이 형성되고, 체결공(135)은 나사산을 형성하여 후술되는 도 11의 체결부(69)가 체결된다.
또한 눌음방지부 회전축(13)은 원형돌출부(133) 및 하단부 사이에 단턱(137)이 형성되어 단턱(137)에 의해 외주면의 직경이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이때 눌음방지부 회전축(13)은 단턱(137)에 의해 눌음방지부 회전축(13) 및 결합부재(5)가 결합되는 공간의 틈 사이로 유입되는 수분의 누설방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결합부재(5)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솥 본체(31)의 결합공(315)에 결합되는 끼움부(50)와, 중공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끼움부(50)에 삽입되는 보스(51)와, 보스(51) 내부로 삽입된 눌음방지부 회전축(13)이 회전되도록 보스(51)의 상하부 내측에 설치되는 부싱(53), (53')들과, 상부 부싱(53)의 하부에 설치되는 그랜드 패킹부재(54)로 이루어진다.
끼움부(50)는 두께를 갖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용접 등을 통해 외주면이 솥 본체(31)의 결합공(315)을 형성하는 내측면에 결합된다.
보스(51)는 중공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로 눌음방지부 회전축(13)이 삽입되어 내면이 눌음방지부 회전축(13)의 외면 일측에 대접된다.
또한 보스(51)는 끼움부(50)로 삽입되어 외주면이 끼움부(50)의 내주면에 용접 결합된다. 이때 보스(51)는 일단부가 솥 본체(31)의 내부로 돌출되며, 타단부가 솥 본체(31)의 하부로 돌출된다.
또한 보스(51)는 외주면에 직경이 증가하는 단턱(513)이 형성되며, 단턱(513)이 끼움부(50)의 단면에 대접됨으로써 결합부재(5)가 끼움부(50)에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한다. 이때 보스(51)의 단턱(513) 및 끼움부(50) 사이에는 링 형상의 링 패킹부재(59)가 설치되어 링 패킹부재(59)에 의해 보스(51) 및 끼움부(50) 사이의 틈으로 음식물 및 수분이 누설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보스(51)는 내주면에 내경이 작아지는 단턱(511)이 형성됨으로써 보스(51) 및 상부 부싱(53)의 틈 사이로 유입되는 수분 누설을 이중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보스(51)의 단턱(511)에는 그랜드 패킹부재(54)가 설치된다.
또한 보스(51)는 단턱(511) 및 하단부 사이의 내주면에 내경이 증가하는 단턱(55)이 형성되고, 단턱(55) 및 눌음방지부 회전축(13) 사이에는 하부 부싱(53')이 설치된다. 이때 보스(51)는 단턱(55)이 눌음방지부 회전축(13)의 단턱(137)에 연설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보스(51)의 내주면 및 눌음방지부 회전축(13)의 외주면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소정의 공간에는 링 패킹부재(137)가 설치된다.
상부 부싱(53)은 중공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보스(51)의 상부 내측에 삽입 설치되며, 내부로 눌음방지부 회전축(13)이 삽입되어 눌음방지부 회전축(13)이 회전 가능한 상태로 결합부재(5)에 결합된다.
또한 상부 부싱(53)은 일단부에 인접한 외주면에 외주면으로부터 원형상으로 돌출되는 지지돌출부(531)가 형성되고, 지지돌출부(531)는 보스(51)의 상단면에 대접된다.
하부 부싱(53')은 상부 부싱(53)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지지돌출부(531')가 보스(51)의 하단면에 대접된다.
도 9는 도 2의 눌음방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측면도이고, 도 11은 도 9의 눌음방지부가 결합부재에 부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와 10의 눌음방지부(6)는 눌음방지부 회전축(13)에 결합되어 솥 본체(31) 내부에서 회전되며, 회전운동 시 수직날개(67) 및 수평날개(69)가 솥 본체(31)의 내측면 및 바닥면을 긁어주어 음식물이 솥 본체(31)에 눌어붙는 눌음현상이 방지되도록 한다.
또한 눌음방지부(6)는 내부에 중공을 갖는 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부가 눌음방지부 회전축(13)에 결합되는 회전봉(61)과, 회전봉(61)의 외주면에 대향되게 설치되는 제1, 제2 프레임부(63), (65)들과, 제1 프레임부(63)에 설치되어 솥 본체(31)의 내측면을 긁어내는 수직날개(67)와, 제2 프레임부(65)에 설치되어 솥 본체의 바닥면(312)을 긁어내는 수평날개(69)로 이루어진다.
회전봉(61)은 내부에 도 12의 체결부(69)가 관통되는 관통공(611)을 갖는 봉으로 형성되며, 눌음방지부 회전축(13)에 대접되는 하단면에 하단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원형상의 삽입홈(612)이 형성된다. 이때 삽입홈(612)은 일단부가 회전봉(61)의 하단면에, 타단부가 관통공(611)에 연결되며, 관통공(611) 보다 큰 내경으로 형성되어 내부로 눌음방지부 회전축(13)의 상부가 삽입된다.
또한 회전봉(61)은 하단부에 인접한 외측면에 안착홈(613)들이 대향되게 형성되고, 안착홈(613)들은 일단부가 회전봉(61)의 외측면에, 타단부가 회전봉(61)의 내측면에 연결되되 회전봉(61)의 하단부까지 연장되어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U'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눌음방지부(6)는 눌음방지부 회전축(13) 결합 시 회전봉(61)의 삽입홈(612)으로 눌음방지부 회전축(13)의 상부가 삽입되며, 안착홈(613)들로 눌음방지부 회전축(13)의 안착돌출부(131)들이 삽입되며, 회전봉(61)의 단면이 눌음방지부 회전축(13)의 원형돌출부(133)의 일면에 대접됨으로써 눌음방지부(6)가 눌음방지부 회전축(13)에 간단하면서 견고하게 탈부착하게 된다.
또한 회전봉(61)의 관통공(611)으로 관통된 체결부(69)의 단부는 눌음방지부 회전축(13)의 체결공(135)에 나사산 체결됨으로써 눌음방지부(6)가 결합부재에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게 된다.
제1 프레임부(63)는 일측에 수직날개(67)가 결합되며, 회전봉(61)의 외주면에 설치된다. 이때 제1 프레임부(63)에 결합된 수직날개(67)는 회전봉(61)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어 솥 본체(31)의 내측면을 긁어낸다.
또한 제1 프레임부(63)는 회전봉(61)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수평으로 설치되는 제1, 제2 수평판(631), (632)들과, 일단부가 제1 수평판(631)에 연설되어 단부를 향할수록 상향하는 제1 경사판(633)과, 일단부가 제2 수평판(632)에 연설되어 단부를 향할수록 하향하는 제2 경사판(634)과, 일단부가 제1 경사판(633)에 연설되어 수평하게 설치되는 제1 지지판(635)과, 일단부가 제2 경사판(634)에 연설되어 수평하게 설치되는 제2 지지판(636)과, 제1 지지판(635) 및 제2 지지판(636) 사이에 설치되는 수직바(637)로 이루어진다. 이때 수직바(637)에는 수직날개(67)가 절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즉 제1 지지판(635) 및 제2 지지판(636)들은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수직날개(67)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이때 제1 지지판(635) 및 제2 지지판(636)의 이격거리는 회전봉(61)의 길이보다 길게, 상세하게로는 제1 지지판(635)은 회전봉(61)의 상단부와 동일하게, 제2 지지판(636)은 회전봉(61)의 하단부보다 하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수직날개(67)는 길이를 갖는 판재로 형성되며, 수직바(637)에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되 회전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또한 수직날개(67)는 경사진 단부가 솥 본체(31)의 내측면에 접촉되며, 회전 시 솥 본체(31)의 내측면을 미끄러지듯이 긁어냄으로써 조리 시 솥 본체(31)의 내측면에 음식물이 눌어붙지 않게 된다.
제2 프레임부(65)는 일측에 수평날개(69)가 결합되며, 제1 프레임부(63)에 대향되게 회전봉(61)의 외주면에 설치된다. 이때 제2 프레임부(65)에 결합된 수평날개(69)는 회전봉(61)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어 솥 본체(31)의 바닥면을 긁어낸다.
또한 제2 프레임부(65)는 회전봉(61)의 외주면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제3 수평판(651)과, 회전봉(61)의 외주면에 제3 수평판(651) 보다 하부에 설치되며 제3 수평판(651) 보다 현저히 짧은 길이를 갖는 제4 수평판(653)과, 제3 수평판(651)의 단부에 수직 절곡되는 제3 수직판(655)과, 제4 수평판(653)의 단부에 수직 절곡되는 제4 수직판(657)과, 제3 수직판(655) 및 제4 수직판(657) 사이에 설치되는 수평바(659)로 이루어진다. 이때 수평바(659)에는 수평날개(69)가 절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또한 제3 수직판(655) 및 제4 수직판(657)들은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수평날개(69)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이때 제3 수직판(655) 및 제4 수직판(657)의 이격거리는 솥 본체(31)의 바닥면(312)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수평날개(69)는 길이를 갖는 판재로 형성되며, 수평바(659)에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되 회전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또한 수평날개(69)는 경사진 단부가 솥 본체(31)의 바닥면에 접촉되며, 회전 시 솥 본체(31)의 바닥면을 미끄러지듯이 긁어냄으로써 조리 시 솥 본체(31)의 내측면에 음식물이 눌어붙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눌음방지부(6)가 결합부재(5)에 결합되는 과정을 도 1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눌음방지부(6)는 회전봉(61)의 삽입홈(612)으로 눌음방지부 회전축(13)의 상부가, 회전봉(61)의 안착삽입홈(613)들로 눌음방지부 회전축(13)의 안착돌출부(131)들 각각이 삽입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체결부(69)를 눌음방지부(6)의 회전봉(61)의 관통공(611)으로 관통하면 체결부(69)의 하부가 눌음방지부 회전축(13)의 체결공(135)에 나사산 체결됨으로써 눌음방지부(6)가 눌음방지부 회전축(13)에 간단하게 부착하게 된다.
또한 눌음방지부(6)의 분리는 부착 방법의 역순의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도 9 내지 11 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수평날개(69) 및 수직날개(67)가 수평바(659) 및 수직바(637)에 절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수평날개(69) 및 수직날개(67)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상 및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1:회전식 솥 2:프레임부 3:몸체부
4:제1 회전부 5:결합부재 6:눌음방지부
7:제2 회전부 8:가열부 9:조작패널
11:제1 솥 회전축 11':제2 솥 회전축 13: 눌음방지부 회전축
21:하우징 23:수직프레임 25:수평프레임
27:캐스터 29:조작레버 31:솥 본체
33:덮개

Claims (12)

  1. 조리 시 음식물의 눌음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식 솥(1)에 있어서:
    일부가 개구되어 내부에 조리 대상이 수용되며, 하부벽인 바닥벽(311)에 결합공이 형성되는 솥 본체(31);
    상기 솥 본체(31)를 가열시키는 가열부(8);
    상기 바닥벽(311)의 결합공에 회전 가능하도록 수직 설치되는 눌음방지부 회전축(13);
    상기 솥 본체(31)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눌음방지부 회전축(13)을 회전시키는 회전부(7);
    상기 눌음방지부 회전축(13)에 결합되는 회전봉(61)과, 상기 회전봉(61)의 일측에 결합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절첩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상기 회전봉(61)의 회전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며 단부가 상기 솥 본체(31)의 내면에 접촉되는 날개로 이루어지는 눌음방지부(6)를 포함하고,
    상기 눌음방지부(6)는 상기 회전봉(61)과, 길이를 갖는 복수개의 판재들로 이루어져 일측이 상기 회전봉(61)의 일측에 결합되며, 타측에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의 수직바가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1 프레임(63)과, 길이를 갖는 복수개의 판재들로 이루어져 일측이 상기 제1 프레임에 대향되도록 상기 회전봉(61)에 결합되며, 타측에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의 수평바가 수평하게 설치되는 제2 프레임(65)과, 상기 수직바에 절첩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상기 회전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수직날개(67)와, 상기 수평바에 절첩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상기 회전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수평날개(6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솥(1).
  2. 청구항 제1에 있어서, 상기 수평날개(69)는 상기 솥 본체(31)의 바닥벽(311)의 내면인 바닥면에 접촉되고, 상기 수직날개(67)는 상기 솥 본체(31)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솥(1).
  3. 삭제
  4. 청구항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눌음방지부 회전축(13)은
    봉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솥 본체(31)의 바닥면의 상부로 돌출된 외주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착돌출부(131)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봉(61)은 상기 솥 본체(31)에 대접되는 하단부에 인접한 외주면에 외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형성되어 하단부까지 연결되는 안착홈(613)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됨으로써 상기 안착돌출부(131)가 상기 안착홈(613)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봉(61)이 상기 눌음방지부 회전축(13)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솥(1).
  5. 청구항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눌음방지부 회전축(13)은 상기 안착돌출부(131) 보다 하향된 위치의 외주면에 외주면으로부터 원기둥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원형돌출부(133)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봉(61)은 하단면에 하단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원 형상의 형성되는 삽입홈(612)을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눌음방지부 회전축(13)의 상부가 상기 회전봉(61)의 상기 삽입홈(612)으로 삽입되며, 상기 회전봉(61)의 하단부가 상기 눌음방지부 회전축(13)의 상기 원형돌출부(133)에 대접되어 상기 회전봉(61)이 상기 눌음방지부 회전축(13)에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솥(1).
  6. 청구항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식 솥(1)은 상기 회전봉(61)보다 큰 길이를 갖는 축으로 이루어지되 일단부에 인접한 외주면에 나사산을 갖으며, 타단부에 손잡이가 형성되는 체결부(69)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봉(61)은 길이방향으로 중앙에 상기 체결부(69)가 관통되는 관통공(611)이 형성되고, 상기 눌음방지부 회전축(13)은 상단면에 상단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형성되어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69)의 나사산에 체결되는 체결공(13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솥(1).
  7. 청구항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식 솥(1)은 상기 눌음방지부 회전축(13)이 삽입되는 상기 솥 본체(31)의 결합공에 결합되는 결합부재(5)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5)는
    중공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에 결합되는 끼움부(50);
    중공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끼움부에 결합되되 일측이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보스(51);
    상기 보스(51) 내부에 설치되며, 내측으로 상기 눌음방지부 회전축(13)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부싱(53)을 포함하고,
    상기 보스(51)는 일단부에서 타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외주면에 외경이 작아지는 단턱(513)이 형성되어 상기 단턱(513)이 상기 끼움부(50)의 상단면에 대접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솥(1).
  8. 청구항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솥 본체(31)는 바닥벽(311) 및 측벽(313)의 내부 공간에 서로 연결되게 형성되는 제1 수용공간(75)과, 일단부가 상기 측벽에, 타단부가 상기 제1 수용공간(75)에 형성되어 상기 가열부(8)가 설치되는 삽입부(81)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용공간(75)에는 오일이 유입되어 유입된 오일이 상기 가열부(8)에 의하여 가열됨에 따라 상기 솥 본체(31)가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솥(1).
  9. 청구항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81)는 평면상으로 바라보았을 때 상기 바닥벽(311)의 중앙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솥(1).
  10. 청구항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313)의 두께(L)는 19 ~ 26mm 이고, 상기 삽입부(81)는 상기 솥 본체(31)의 바닥면에 인접한 단부에서 상기 바닥면까지의 거리(L')가 상기 측벽의 두께(L) 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솥(1).
  11. 청구항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솥 본체(31)는 바닥벽(311) 및 측벽(313)의 내부 공간에 서로 연결되되 상기 제1 수용공간(75)의 외측에 형성되는 제2 수용공간(77)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수용공간(77)에는 단열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솥(1).
  12. 청구항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식 솥(1)은 상기 솥 본체(31)의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덮개(33)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덮개(33)는 원 형상의 판재인 원판부(331)와, 상기 원판부(331)의 테두리로부터 수직 절곡되어 상기 솥 본체(31)의 개구부로 삽입되는 절곡부(333)와, 상기 절곡부(333)의 외면에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되 외면을 따라 연장되는 막대 형상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돌출부(334)를 포함하고,
    상기 솥 본체(31)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테두리인 상면에 상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318)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318)는 개구부를 향하는 일측면에 일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형성되어 일측면을 따라 연결되는 가이드홈(320)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덮개(33)는 상기 가이드 돌출부(334)가 상기 가이드홈(320)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되어 상기 솥 본체(31)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솥(1).
KR1020140018341A 2014-02-18 2014-02-18 눌음방지 및 작업 효율을 높인 회전식 솥 KR101535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8341A KR101535425B1 (ko) 2014-02-18 2014-02-18 눌음방지 및 작업 효율을 높인 회전식 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8341A KR101535425B1 (ko) 2014-02-18 2014-02-18 눌음방지 및 작업 효율을 높인 회전식 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5425B1 true KR101535425B1 (ko) 2015-07-24

Family

ID=53875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8341A KR101535425B1 (ko) 2014-02-18 2014-02-18 눌음방지 및 작업 효율을 높인 회전식 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5425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805Y1 (ko) 2015-11-10 2016-07-07 이순우 대용량 조리용 솥
CN109938384A (zh) * 2019-04-26 2019-06-28 上海炫未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珍珠烹煮清洗机
KR102134226B1 (ko) * 2020-04-29 2020-07-15 주식회사 신성하인스 인덕션 회전 볶음솥
KR102492636B1 (ko) * 2022-06-29 2023-01-27 화신주방산업(주) 조리용 솥의 누름방지장치
KR102558288B1 (ko) * 2023-05-30 2023-07-24 주식회사 선경인케이 음식물을 균일하게 교반가능한 교반모듈을 갖는 조리용 솥 장치
KR102582011B1 (ko) * 2023-06-22 2023-09-22 주식회사 선경인케이 다가지형 스크래퍼를 이용하는 음식물 고착 방지 교반솥
KR20230136567A (ko) * 2022-03-18 2023-09-26 화신주방산업(주) 눌음방지장치를 갖는 조리용 솥
KR102646747B1 (ko) * 2023-08-18 2024-03-12 화신주방산업(주) 눌음방지장치를 갖는 조리용 솥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61937U (ja) * 1984-04-04 1985-10-28 山下 正明 栗焼釜装置
JPH06284965A (ja) * 1993-03-31 1994-10-11 Kiriyama Kogyo Kk 煮炊釜に於ける攪拌装置
JPH0731539A (ja) * 1993-07-19 1995-02-03 Kiriyama Kogyo Kk 煮炊釜の加熱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61937U (ja) * 1984-04-04 1985-10-28 山下 正明 栗焼釜装置
JPH06284965A (ja) * 1993-03-31 1994-10-11 Kiriyama Kogyo Kk 煮炊釜に於ける攪拌装置
JPH0731539A (ja) * 1993-07-19 1995-02-03 Kiriyama Kogyo Kk 煮炊釜の加熱装置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805Y1 (ko) 2015-11-10 2016-07-07 이순우 대용량 조리용 솥
CN109938384A (zh) * 2019-04-26 2019-06-28 上海炫未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珍珠烹煮清洗机
KR102134226B1 (ko) * 2020-04-29 2020-07-15 주식회사 신성하인스 인덕션 회전 볶음솥
KR20230136567A (ko) * 2022-03-18 2023-09-26 화신주방산업(주) 눌음방지장치를 갖는 조리용 솥
KR20230136568A (ko) * 2022-03-18 2023-09-26 화신주방산업(주) 눌음방지 장치를 갖는 조리용 솥
KR102608187B1 (ko) * 2022-03-18 2023-11-30 화신주방산업 주식회사 눌음방지장치를 갖는 조리용 솥
KR102646736B1 (ko) * 2022-03-18 2024-03-12 화신주방산업(주) 눌음방지 장치를 갖는 조리용 솥
KR102492636B1 (ko) * 2022-06-29 2023-01-27 화신주방산업(주) 조리용 솥의 누름방지장치
KR102558288B1 (ko) * 2023-05-30 2023-07-24 주식회사 선경인케이 음식물을 균일하게 교반가능한 교반모듈을 갖는 조리용 솥 장치
KR102582011B1 (ko) * 2023-06-22 2023-09-22 주식회사 선경인케이 다가지형 스크래퍼를 이용하는 음식물 고착 방지 교반솥
KR102646747B1 (ko) * 2023-08-18 2024-03-12 화신주방산업(주) 눌음방지장치를 갖는 조리용 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5425B1 (ko) 눌음방지 및 작업 효율을 높인 회전식 솥
JP6794125B2 (ja) 食品を加えるための筒を装備した蓋を備える調理機器
US8993025B2 (en) Fryer and procedure for cooking in a small volume of oil
KR101131761B1 (ko) 회전국솥의 교반장치
KR200466194Y1 (ko) 다편축 교반 조리 장치
US8847131B2 (en) Microwave oven with rotary cooking apparatus
EP2807960B1 (en) Cooking pot having rotating and rolling basket
KR102149183B1 (ko)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용기
CA2946658C (en) An apparatus for cooking at least one egg with an eggshell as well as such a method
WO2015161041A1 (en) Grill having multi-piece drip pan
US4835369A (en) Jacketed kettle with agitator
KR20090007077A (ko) 음식물 조리용 교반기
CN105795883A (zh) 一种炒菜机的炒菜方法
KR200445008Y1 (ko) 눌음 방지장치를 갖는 조리용 솥
KR101480764B1 (ko) 국솥 혼합장치
KR101439991B1 (ko) 죽 자동 조리장치
KR200385035Y1 (ko) 자장 조리장치
KR102427609B1 (ko) 회전식 인덕션솥 요리기구
JP5651574B2 (ja) 加熱調理器
JP4504124B2 (ja) 傾斜状態で攪拌調理を行う攪拌装置及び攪拌調理方法
JP7277907B2 (ja) スープ調理器
KR102521982B1 (ko) 교반날개가 설치된 조리용기
CN105105622A (zh) 一种新型的多功能零食锅
KR101754832B1 (ko) 대형 국솥용 거름장치
KR20150039035A (ko) 차 덖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