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4832B1 - 대형 국솥용 거름장치 - Google Patents

대형 국솥용 거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4832B1
KR101754832B1 KR1020160054737A KR20160054737A KR101754832B1 KR 101754832 B1 KR101754832 B1 KR 101754832B1 KR 1020160054737 A KR1020160054737 A KR 1020160054737A KR 20160054737 A KR20160054737 A KR 20160054737A KR 101754832 B1 KR101754832 B1 KR 101754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er
filtering
main body
guide member
p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4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향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케이
Priority to KR1020160054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48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4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4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 A47J36/20Perforated bases or perforated containers to be placed inside a cooking utensil ; Draining baskets, inserts with separation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 A47J36/18Boilers or utensils with sieves inserted therein, e.g. potato-cook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대형 국솥용 거름장치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대형 국솥용 거름장치은, 한쪽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프레임에 설치된 국솥 본체와, 상기 국솥 본체를 소정의 각도로 기울여 내용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각도조절장치를 구비한 대형 국솥에 있어서, 상기 국솥 본체를 기울여 조리된 음식물을 외부로 배출할 때 배출되는 음식물이 흩어지지 않고 한곳으로 배출 안내하도록 상기 국솥 본체의 외주면 상단에 구비되는 안내부재; 및 국물을 통과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거름공들이 천공되고, 상기 안내부재가 구비된 영역의 가장자리 쪽에서 상기 국솥 본체의 공간 쪽으로 확장되는 거름부가 형성되며, 상기 가장자리 상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안내부재에 결합되는 거름부재를 포함하는 거름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국솥 본체가 기울어졌을 때 상기 국솥 본체 내부의 국물은 상기 거름공을 통과하여 상기 안내부재로 배출되고, 건더기는 상기 거름부재에 걸리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대형 국솥의 국솥 본체에 안내부재가 마련되고, 이 안내부재에 거름부재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대형 국솥의 국솥 본체를 기울여 국물을 따를 때 건더기가 거름부재에 걸리게 되므로 건더기가 국물과 같이 유출되지 않게 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대형 국솥용 거름장치{FILTER APPARATUS FOR LARGE SIZE SOUP COOKER}
본 발명은 대형 국솥용 거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업소에서 사용하는 대형 국솥을 각도조절장치로 기울여 건더기를 제외한 국물을 따라낼 때 건더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대형 국솥용 거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체(물, 국물, 육수 등)를 수용하는 용기에서 건더기를 제외한 액체을 따라 낼 때 다양한 구조의 체망이 사용된다. 즉, 용기에 수용된 건더기와 액체를 체망에 부어 액체는 제거하고 건더기를 얻는 것이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냄비의 뚜껑에 배출공이 구비되거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거름방을 냄비의 입구 한쪽에 부착시킨 후 손으로 거름망을 취부한 상태로 건더기는 남기고 물만 따라 버리고 있었던 것이다.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2010-2324호(공개일 : 2010.03.05)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냄비의 유출구(1) 쪽에 거름망(2)을 설치함으로써, 냄비로 면과 건더기를 삶은 후 물을 버리는 과정에서 면과 건더기가 거름망에 걸리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냄비에서 물을 따라 낼 때 면과 건더기가 물과 함께 버려지지 않도록 체를 받쳐야 하는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엇다.
한편, 대형 급식소, 업소 등에서 사용되는 대형 국솥은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429044호(공고일 : 2006.10.17)에 개시된 바와 같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국솥 본체(120)가 각도조절기에 의해 프레임(110)에 설치된 것으로, 음식을 대량으로 조리한 후 각도조절 손잡이(141)를 조작하여 국솥 본체(120)를 한쪽으로 기울여 조리가 완료된 음식을 다른 용기로 옮기는 작업을 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대형 국솥을 이용하여 국수를 삶거나, 기타 야채를 데치거나, 옥수수 등을 삶는 조리, 뼈국물을 우려내는 조리를 하는 경우에, 건더기(내용물)는 남기고 국물은 버리거나, 국물만 추출해야 하는 경우에는, 조리사가 대형 거름망을 이용하여 건더기를 건져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특히 국물을 버려야 하는 경우에는, 각도조절 손잡이를 조작하여 국솥 본체를 기울인 후 국물을 쏟아 버리는 작업을 하고 있었고, 이때 국물과 함께 건더기가 유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대형 국솥을 기울여 건더기는 남기고 국물(또는 삶은 물)만을 버리거나 국물만을 추출해야 하는 경우에, 대형 국솥에 거름망이 구비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국물과 같이 건더기가 유출되는 현상이 발생됨으로써, 1인의 조리사는 거름망을 대형 국솥에 받쳐 건더기가 국물과 같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다른 1인은 대형 국솥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 손잡이를 조작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0-2324호(공개일 : 2010.03.05) .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429044호(공고일 : 2006.10.17)
본 발명의 목적은, 대형 국솥을 기울여 국물을 따를 때 건더기가 국물과 같이 유출되지 않고 안전하고 용이하게 국물만 따를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대형 국솥용 거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외부솥과 내부솥이 연결링에 의해 결합되고, 한쪽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프레임에 설치된 국솥 본체와, 상기 국솥 본체를 소정의 각도로 기울여 내용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각도조절장치를 구비한 대형 국솥을 포함하고, 상기 국솥 본체를 기울여 조리된 음식물을 외부로 배출할 때 배출되는 음식물이 흩어지지 않고 한곳으로 배출 안내하도록 상기 연결링의 외주면 상단에 구비되는 안내부재; 및 국물을 통과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거름공들이 천공되고, 상기 안내부재가 구비된 영역의 가장자리 쪽에서 상기 국솥 본체의 공간 쪽으로 확장되는 거름부가 형성되며, 상기 내부솥의 가장자리 상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안내부재에 결합되는 거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국솥 본체가 기울어졌을 때 상기 국솥 본체 내부의 국물은 상기 거름부재의 거름공을 통과하여 상기 안내부재로 배출되고, 건더기는 상기 거름부재에 걸리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국솥용 거름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국솥 본체의 기울어짐으로 배출되는 내용물을 모으기 위한 격벽이 양단에 각각 형성되되, 상기 격벽은, 상기 가장자리 쪽에서 멀어질수록 각 끝단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격벽에는 결합공이나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각 상기 격벽에 대응되는 상기 거름부재의 양단에는 저면이 상기 국솥 본체의 내부솥 가장자리 상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결합공에 끼워지거나 결합돌기에 걸리기 위한 결합단이 각각 형성되거나, 상기 결합돌기가 끼워지기 위한 걸림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거름공은, 장공형태로 형성되거나 원형으로 형성되거나, 메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거름부재의 상면 양쪽에는 손잡이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거름부재의 결합단 또는 걸림공이 형성된 양쪽의 각 단부에는, 상기 결합단이 상기 결합공에 끼워지거나,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걸림공에 끼워질 때 상기 격벽에 밀착되어 위한 밀착단이 각각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국솥 본체를 이루는 외부솥의 외주면에 결합수단으로 결합되거나, 상기 외부솥과 내부솥을 연결하는 연결링의 상단부에서 연장 절곡되어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연결링의 상단부에 결합수단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거름부의 단부에는, 상기 국솥 본체가 기울어질 때 국물과 함께 상기 거름부의 저면 쪽으로 이동하는 건더기를 미리 거르기 위한 막음부가 다수개의 초기 거름공들을 구비하여 상기 국솥 본체의 내주면 또는 바닥 쪽을 향하도록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대형 국솥의 국솥 본체에 안내부재가 마련되고, 이 안내부재에 거름부재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대형 국솥의 국솥 본체를 기울여 국물을 따를 때 건더기가 거름부재에 걸리게 되므로 건더기가 국물과 같이 유출되지 않게 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을 도시한 사진으로, 조리용기에 거름망이 결합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 사진이다.
도 3은 종래기술을 도시한 도면으로 거름망이 구비된 조리용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종래기술에 의한 업소용 대형 국솥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대형 국솥용 거름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대형 국솥용 거름장치를 도시한 결합상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5에 도시된 거름부재와 안내부재의 다른 결합구조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대형 국솥용 거름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5에 도시된 안내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5에 도시된 거름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대형 국솥용 거름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대형 국솥용 거름장치를 도시한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A-A선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도 6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형 국솥용 거름장치(30)은, 국솥 본체(22)를 소정의 각도로 기울여 국물과 건더기 함께 포함된 음식물에서 국물만 제거하거나, 음식물을 삶은 후 삶은 물을 버리는 등의 작업을 할 때, 국솥 본체(22)에는 건더기만 남기도록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대형 국솥(20)의 국솥 본체(22)를 기울여 음식물을 배출할 때 음식물이 한곳으로 모이도록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재(32)와, 안내부재(32)에 결합되어 국솥 본체(22)를 기울여 국물만 배출하고 건더기는 걸리도록 거름공(36A)들이 천공된 거름부재(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업소용으로 사용되는 대형 국솥(20)은 외부솥(22A)과 내부솥(22B)이 연결링(22C)에 의해 결합된 구조의 국솥 본체(22)와, 국솥 본체(22)를 회전 지지는 프레임(24)과, 프레임(24)에 설치되어 국솥 본체(22)를 소정 각도로 회전시켜 기울어지도록 하기 위한 각도조절장치(26)를 포함한다. 그리고, 프레임(24)에는 국솥 본체(22)의 상부를 개폐하기 위한 뚜껑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각도조절장치(26)는 핸들로 회전축과 연결된 기어박스를 구동시켜 국솥 본체(22)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전동모터로 회전축과 연결된 기어박스를 구동시켜 용기(22) 본체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거름장치(30)는, 업소에서 사용되는 대형 국솥(20)의 국솥 본체(22)에서 조리된 음식물에서 국물만을 추출하거나, 국물이나 음식물을 삶은 물 등을 버릴 경우에, 건더기가 국솥 본체(22)로부터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국솥 본체(22)에 구비되는 안내부재(32)와, 이 안내부재(32)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국솥 본체(22)가 기울어질 때 국물만 통과시키고 건더기는 거르도록 된 거름부재(36)로 구성된다.
안내부재(32)는,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국솥 본체(22)의 연결링(22C)의 외주면 상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연결링(22C)에 용접되어 결합되거나 리벳팅되어 결합되거나 볼트에 의해 체결되어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안내부재(32)의 일단이 연결링(22C)의 일부를 감싸면서 용접되어 결합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부재(32)가 연결링(22C)과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연결링(22C) 일부가 연장 절곡되어 안내부재(32)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안내부재(32)는, 연결링(22C)을 구비하지 않고 외부솥(22A)과 내부솥(22B) 만으로 구성되는 국솥 본체(22)에 적용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서 안내부재((32)는 용접에 의해 외부솥(22A)의 외측면 상부쪽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안내부재(32)는, 국솥 본체(22)를 기울여 조리된 음식물을 외부로 배출할 때 배출되는 음식물이 흩어지지 않고 한곳으로 배출 안내하도록 양쪽 변이 일부분이 상향 수직으로 절곡되어 양쪽에 각각 격벽(32A)이 형성된다. 이 격벽(32A)들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솥(22A)에 결합된 단부에서 반대쪽으로 갈수록 점자 줄어드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국솥 본체(22)의 기울어짐으로 배출되는 내용물이 모아져 배출되도록 각 격벽(32A)은, 연결링(22C)에 결합되는 안내부재 가장자리(32B) 쪽에서 멀어질수록 각 끝단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다.
전술한 양쪽의 격벽(32A)에는 결합공(32C)이 형성된다. 이 결합공(32C)에는 거름부재(36)가 안내부재(32)에 결합될 때 거름부재(36)의 결합단(36A)이 끼워져 걸리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안내부재(32)는 양쪽의 격벽(32A) 사이에 국물이 안내될 수 있는 통로(32E)가 형선된다.
거름부재(36)는, 안내부재(32)에 결합되어 국솥 본체(22)가 기울어졌을 때 국솥 본체(22) 내부의 국물은 통과시키고 건더기는 거르기 위한 것으로, 국물을 통과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거름공(36B)들이 천공되고, 국솥 본체(22)를 기준으로 안내부재(32)가 구비된 영역의 가장자리(22D) 쪽에서 국솥 본체(22)의 내부 공간 쪽으로 확장되는 형상의 거름부(36C)가 형성된다. 이러한 거름부재(36)는, 안내부재(32) 쪽을 향하는 부위는 좁고 내부솥(22B)의 내부쪽을 향하는 부위는 넓은 형상을 갖는다. 이는 국솥 본체(22)가 원형을 이루므로 내부솥(22B)의 일부를 막아 국물만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안내부재(32)와 거름부재(36)가 결합될 때 결합단(36A)이 결합공(32C)에 끼워져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의 격벽(32A) 내측면에 걸림돌기(32D)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이 걸림돌기(32D)에는 각 걸림돌기(32D)에 대응되는 위치의 거름부재(36) 양쪽 단부가 걸리거나, 거름부재(36)의 결합단(36A)이 걸린다. 즉, 결합단(36A)이 걸림돌기(32D)와 안내부재(32)의 바닥 사이로 삽입되어 걸림돌기(32D)에 걸림으로써 결합단(36A)이 상향으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결합돌기가 각 격벽(32A)에 형성되고 걸림공이 거름부재(36)에 형성되어 결합돌기가 걸림공에 끼워져 상호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거름부재(36)의 결합단(36A)이 형성된 양쪽의 각 단부에는, 결합단(36A)이 결합공(32C)에 끼워질 때 격벽(32A)의 내측면에 각각 밀착되기 위한 밀착단(36E)이 각각 절곡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밀착단(36E)은 각 결합단(36A)이 결합공(32C)에 삽입되어 걸린 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되도록 각 격벽(32A)에 밀착되는 것이다.
거름부(36C)에 형성되는 거름공(36B)은 장공형태로 형성되거나 원형공 형성될 수 있으며, 메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거름공(36B)의 형상은 어느 한 형상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국물을 통과시킬 수 있는 형상이면 만족한다.
한편, 거름부재(36)의 상면 양쪽, 즉 거름부(36C)의 상면 양쪽에는 거름부재(36)를 취부하여 안내부재(32)에 결합하거나, 결합된 거름부재(36)를 안내부재(32)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손잡이(36D)가 각각 구비된다. 이러한 손잡이(36D)는 별도로 제작되어 거름부재(36)에 결합될 수도 있고, 거름부재(36)의 일부를 절곡하여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거름부재(36)의 거름부(36C)가 평편하게 형성됨으로써 내부솥(22B)의 내측을 향하는 거름부(36C)의 단부가 상,하부로 유동될 수 있으므로, 이 거름부(36C)의 단부를 하향으로 절곡하여 보강단(36H)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보강단(36H)의 길이는 대략 1mm - 20mm 정도의 길이로 절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보강단(36H)이 형성됨으로써 거름부(36C)의 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대형 국솥용 거름장치(20)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국솥 본체(22)가 수평상태를 유지하고, 내부솥(22B)에서 음식물을 삶은 후 삶은 물을 버려야 하는 경우에, 국솥 본체(22)의 외주면에 구비된 안내부재(32)에 거름부재(36)를 결합한다.
즉, 안내부재(32)의 각 격벽(32A)에 형성된 결합공에 거름부재(36)의 결합단(36A)들을 끼워 거름부재(36)를 안내부재(32)에 결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결합단(36A)이 결합공(32C)에 삽입될 때, 거름부재(36)의 저면은 내부솥(22B)의 가장자리(22D) 상면에 밀착된 상태가 된다. 이는 가장자리(22D) 상면과 거름부재(36) 저면 사이로 음식물의 건더기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안내부재(32)에 거름부재(36)가 장착되면, 각도조절장치(26)를 조작하여 국솥 본체(22)를 소정각도로 기울인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국솥 본체(22)를 안내부재(32)가 구비된 방향으로 기울인다.
국솥 본체(22)를 안내부재(32)가 구비된 방향으로 기울이게 되면, 내부솥(22B)에 수용되었던 삶은 물(또는 국물)은 거름부재(36)에 형성된 거름공(36B)를 통과하여 안내부재(32)로 배출된 후 안내부재(32)에 의해 한 곳으로 모인 상태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음식 재료를 삶은 물이 거름공(36B)을 통과할 때 건더기는 거름부(36C)에 의해 걸러지게 된다.
따라서 국솥 본체(22)를 기울여 국물이나 삶은 물을 따르더라도 건더기가 국물이나 삶은 물과 함께 유출되지 않게 되고, 이러한 작용에 의해 대형 국솥(20)으로 음식물 조리를 위한 전처리 작업, 예를 들면 삶거나 익히는 등의 조리 후에 국물을 버리는 작업을 1인의 조리사가 충분히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건더기를 거르기 위한 거름부재(36)를 안내부재(32)에 안정되게 결합시킬 수 있음으로써 조리사에게 조리의 안전성과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2는 도 5에 도시된 거름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름부재(36)는, 거름부(36C)의 단부에 국솥 본체(22)가 기울어질 때 국물과 함께 거름부(36C)의 저면 쪽으로 이동하는 건더기를 미리 거르기 위한 막음부(36F)가 다수개의 초기 거름공(36G)들을 구비하여 국솥 본체(22)의 내부솥(22B) 내주면 또는 바닥 쪽을 향하도록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이때, 막음부(36F)는 그 단부가 내부솥(22B)의 내측면에 닿거나 근접하도록 연장되어 절곡될 수 있다. 이는 막음부(36F)의 단부와 내부솥(22B)의 내측면 사이로 건더기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막음부(36F)는 거름부(36C)와 직각을 유지하거, 거름부(36C)의 저면 쪽으로 더 기울어지도록 절곡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는 건더기가 막음부(36F)에 걸린 후 거름부(36C)의 상면쪽으로 쉽게 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거름부재(36)의 거름부(36C)에 건더기를 미리 거르기 위한 막음부(36F)가 구비됨으로써, 막음부(36F)와 거름부(36C)의 저면 및 내부솥(22B)의 내측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국물의 배출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국솥(20)의 국솥 본체(22)에 안내부재(32)가 구비되고 이 안내부재(32)에 거름공(36B)들을 구비한 거름부재(36)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대형 국솥(20)에서 국물을 버리거나 국물만을 회수하기 위하여 국솥(20)을 기울이더라도 건더기가 거름부재(36)에 걸러짐으로써 국물을 버리거나 국물만 회수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신속하며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20 : 대형 국솥 22 : 국솥 본체
22A : 외부솥 22B : 내부솥
22C : 연결링 22D : 가장자리
24 : 프레임
26 : 각도조절장치 30 : 거름장치
32 : 안내부재 32A : 격벽
32B : 안내부재 가장자리 32C : 결합공
32D : 결합돌기 36 : 거름부재
36A : 결합단 36B : 거름공
36C : 거름부 36D : 손잡이
36E : 밀착단 36F : 막음부
36G : 초기 거름공

Claims (7)

  1. 외부솥과 내부솥이 연결링에 의해 결합되고, 한쪽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프레임에 설치된 국솥 본체와, 상기 국솥 본체를 소정의 각도로 기울여 내용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각도조절장치를 구비한 대형 국솥을 포함하고,
    상기 국솥 본체를 기울여 조리된 음식물을 외부로 배출할 때 배출되는 음식물이 흩어지지 않고 한곳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연결링의 외주면 상단에 구비되는 안내부재;
    국물을 통과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거름공들이 천공되고, 상기 안내부재가 구비된 영역의 가장자리 쪽에서 상기 국솥 본체의 내부공간 쪽으로 확장되는 거름부가 형성되며, 상기 내부솥의 가장자리 상면과의 사이로 음식물의 건더기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저면이 상기 내부솥의 가장자리 상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안내부재에 결합되는 거름부재; 및
    상기 거름부재를 상기 안내부재에 결합하거나 분리할 때 취부하도록 상기 거름부재의 상면 양쪽에 각각 구비되는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국솥 본체의 기울어짐으로 배출되는 내용물을 모으기 위한 격벽이 양단에 각각 형성되되, 상기 격벽은, 상기 가장자리 쪽에서 멀어질수록 각 끝단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격벽에는 결합공이 형성되며,
    각 상기 격벽에 대응되는 상기 거름부재의 양단에는 저면이 상기 국솥 본체의 내부솥 가장자리 상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결합공에 끼워지기 위한 결합단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거름부재의 결합단이 형성된 양쪽의 각 단부에는, 상기 결합단이 상기 결합공에 끼워질 때 상기 결합단이 결합공에 삽입된 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되도록 격벽에 밀착되기 위한 밀착단이 각각 절곡되며,
    상기 거름부의 단부에는, 상기 내부솥의 내측을 향하는 상기 거름부의 단부를 하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거름부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단이 형성되거나, 상기 국솥 본체가 기울어질 때 국물과 함께 상기 거름부의 저면 쪽으로 이동하는 건더기를 미리 거르기 위한 다수개의 초기 거름공들을 구비하여 상기 국솥 본체의 내주면 또는 바닥 쪽을 향하도록 절곡되어 막음부가 형성되고,
    상기 국솥 본체가 기울어졌을 때 상기 국솥 본체 내부의 국물은 상기 거름부재의 거름공을 통과하여 상기 안내부재로 배출되고, 건더기는 상기 거름부재에 걸리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국솥용 거름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공은,
    장공형태로 형성되거나 원형으로 형성되거나, 메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국솥용 거름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국솥 본체를 이루는 외부솥의 외주면에 결합수단으로 결합되거나,
    상기 외부솥과 내부솥을 연결하는 연결링의 상단부에서 연장 절곡되어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연결링의 상단부에 결합수단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국솥용 거름장치.
  7. 삭제
KR1020160054737A 2016-05-03 2016-05-03 대형 국솥용 거름장치 KR101754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4737A KR101754832B1 (ko) 2016-05-03 2016-05-03 대형 국솥용 거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4737A KR101754832B1 (ko) 2016-05-03 2016-05-03 대형 국솥용 거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4832B1 true KR101754832B1 (ko) 2017-07-06

Family

ID=59353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4737A KR101754832B1 (ko) 2016-05-03 2016-05-03 대형 국솥용 거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483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9244A (ja) 1999-07-14 2001-02-06 Fuji Engineering Kk 米洗い器具
KR200341712Y1 (ko) * 2003-11-25 2004-02-14 주식회사 대성종합주방 국솥용 뚜껑
CN105167661A (zh) 2015-08-07 2015-12-23 谢长青 一种新型洗菜盆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9244A (ja) 1999-07-14 2001-02-06 Fuji Engineering Kk 米洗い器具
KR200341712Y1 (ko) * 2003-11-25 2004-02-14 주식회사 대성종합주방 국솥용 뚜껑
CN105167661A (zh) 2015-08-07 2015-12-23 谢长青 一种新型洗菜盆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99758B2 (en) Modular sieve and juicing apparatus
EP2979595B1 (en) Frying device
US3477361A (en) Deep fat fryer filtering system
JP2012532653A (ja) キッチン用品
CN106175477B (zh) 无油空气炸锅
US20160066743A1 (en) Cooking Pot with Straining Lid and Spoon Support
EP2702911A1 (en) Funnel-shaped roasting pan
CN107080453A (zh) 一种智能烹饪机
EP3127458B1 (en) Electric grill appliance
KR101754832B1 (ko) 대형 국솥용 거름장치
US20220304503A1 (en) Handling device for fried food
US20170105566A1 (en) Automatic cooking device
JP2002541890A (ja) 自動調理装置
KR101468474B1 (ko) 교반용 솥장치
KR101822579B1 (ko) 튀김기의 찌꺼기 제거장치
US1091636A (en) Combination-cooker.
CN214595487U (zh) 盖板结构、盖体组件及烹饪器具
KR200451270Y1 (ko) 조리용기용 뚜껑
CN217510307U (zh) 一种锅盖及锅具
CN208693013U (zh) 一种炒菜机机壳及炒菜机
KR200361890Y1 (ko) 조림 및 볶음기계
EP1978848B1 (fr) Ensemble pour la cuisson a la vapeur, comportant des paniers de cuisson juxtaposes
JPH11216063A (ja) 調理装置
CN114652160A (zh) 盖板结构、盖体组件及烹饪器具
US1599887A (en) Sink str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