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8474B1 - 교반용 솥장치 - Google Patents

교반용 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8474B1
KR101468474B1 KR1020130118404A KR20130118404A KR101468474B1 KR 101468474 B1 KR101468474 B1 KR 101468474B1 KR 1020130118404 A KR1020130118404 A KR 1020130118404A KR 20130118404 A KR20130118404 A KR 20130118404A KR 101468474 B1 KR101468474 B1 KR 101468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ry shaft
stirring
cooking pot
rotation
p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8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현덕
정석철
Original Assignee
디텍코리아 ㈜
임현덕
정석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텍코리아 ㈜, 임현덕, 정석철 filed Critical 디텍코리아 ㈜
Priority to KR1020130118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84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8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84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 A47J36/165Stirring devices operatively connected to cooking vessels when being removably inserted in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4Supports for cooking-vessels

Abstract

교반용 솥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교반용 솥장치는,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조리솥 및 조리솥에 고정결합되어 가로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회전축을 포함하는 솥뭉치; 조리솥 내부에서 회전하며 음식물을 교반하는 교반날개, 교반날개 위쪽에서 고정결합되어 세로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회전축, 제2 회전축에 결합되어 제2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구동부에 고정결합되어 가로방향으로 형성되는 제3 회전축을 포함하는 교반뭉치; 및 제1 회전축의 회전과 제3 회전축의 회전을 매개하는 매개체를 포함하고, 제1 회전축을 기준으로 조리솥이 회전할 때, 교반날개, 제2 회전축 및 구동부는 제3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회전축의 회전과 함께 제3 회전축이 회전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조리솥을 기울일 때 교반날개가 조리솥 밖으로 연동하여 회전하게 되어 조리가 완료된 음식물을 덜어내는 과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또한 제1 회전축의 회전이 기준회전값을 초과하는 경사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고 이에 따라 구동부의 구동이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음식물을 덜어낼 때 교반날개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교반용 솥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교반용 솥장치{CALDRON APPARATUS}
본 발명은 교반용 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용된 음식물을 교반하고 솥을 기울여 내부의 음식물을 덜어낼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교반용 솥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형 음식점, 호텔을 포함하여 학교, 병원과 같이 단체급식이 필요하거나 많은 양의 음식을 한꺼번에 제공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대용량의 음식 조리에 적합한 대형 조리기구가 사용된다.
예컨대, 이러한 대형 조리기구 중, 탕 또는 볶음 등을 조리하는데 사용되는 장치는, 솥 형태의 본체와 본체의 하부에서 열원을 고급하여 버너를 포함하며, 일부의 장치의 경우 본체를 덮는 뚜껑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와 같은 장치는, 본체의 측부에 회전축 및 작동핸들을 구비하도록 하고 있으며, 작동핸들을 이용하여 본체를 회전축을 기준으로 기울여 본체 내부의 음식을 쉽게 덜어낼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0860149호는 "자동 육류볶음장치"를 개시하며, 구체적으로 지면에 지지되는 바닥부와 이 바닥부에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세워진 한 쌍의 지지부로 이루어진 지지틀과; 상부가 개방되며 하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곡선형 단면으로 이루어져 지지틀에 장착되는 본체, 본체의 상측 개구부를 덮는 덮개로 이루어진 볶음솥과; 볶음솥의 본체에 담긴 곱창을 골고루 섞는 교반부와; 볶음솥의 본체에 열을 가하여 볶음솥의 본체에 담긴 곱창을 삶는 가열부와; 그리고 가열부를 포함하고, 교반부는 볶음솥의 본체의 곡면을 따라 곡선형으로 형성되며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하여 육류를 섞는 교반봉을 포함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에 의할 때 초벌 과정을 작업인부가 필요없이도 설정된 시간에 따라 무인자동화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기재하고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0-1131761호는 "회전국솥의 교반장치"를 개시하며, 구체적으로 국솥 본체의 내통과 외통 사이의 화염가열공간에 화염이 전달되어 내통을 가열하고 배기가스는 외통의 상부 일측벽에 형성된 배기구멍을 통해 배기가스가 배출되며 국솥 본체의 상부 입구를 뒤집듯이 하부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회전국솥으로 이루어지되 국솥본체의 측부에 위치한 고정프레임에 회전축부를 구비하고 그 회전축부에 장방형으로 형성된 작동대의 일측단부를 고정설치하여 상하회전부재에 의해 작동대의 길이방향 선단부가 상하회전되게 한 구성과, 작동대의 선단부에 직교로 하향설치되어 회전작동부재에 의해 회동되게 한 교반축봉과, 교반축봉의 하단부에 교반날개가 상하좌우로 유동되게 장착되도록 하고 있으며, 이에 의할 때 국솥 본체를 회전수단에 의해 하부로 회전시켜 조리된 많은 량의 음식물을 한꺼번에 비울 수 있도록 되어 있는 회전 국솥에 담겨지는 조리 음식물이 타지 않고 골고루 조리될 수 있음을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등록특허 제10-0860149호 및 한국등록특허 제10-1131761호에 개시되는 장치는, 음식의 조리가 완료된 후 솥의 내부에서 음식을 덜어내는 과정에서 교반을 위한 수단(교반봉 또는 교반날개)이 먼저 솥 내부에서 이탈되도록 한 후, 솥을 회전시키도록 하고 있는데, 교반을 위한 수단과 솥의 회전이 개별적인 과정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작동과정이 번거롭고 신속한 조리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이와 같은 대형의 장치의 경우에는 각 수단 또한 대형으로 이루어져 이동을 위한 시간이 더욱 지연될 수 있는데, 각 이동 단계가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음식을 제공하기까지의 시간이 더욱 지체되게 된다.
또한, 대형의 조리장치인 만큼 안전장치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
(0001)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860149호(공고일: 2008.09.24) (0002)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131761호(공고일: 2012.04.05.)
본 발명의 목적은, 솥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을 교반하는 수단이 구비된 장치에서 솥을 기울여 내부의 음식물을 덜어내는 과정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교반날개의 의도하지 않은 회전이 방지되며 솥의 안정된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는 교반용 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조리솥 및 상기 조리솥에 고정결합되어 가로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회전축을 포함하는 솥뭉치; 상기 조리솥 내부에서 회전하며 음식물을 교반하는 교반날개, 상기 교반날개 위쪽에서 고정결합되어 세로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회전축, 상기 제2 회전축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2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에 고정결합되어 가로방향으로 형성되는 제3 회전축을 포함하는 교반뭉치; 및 상기 제1 회전축의 회전과 상기 제3 회전축의 회전을 매개하는 매개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조리솥이 회전할 때, 상기 교반날개, 제2 회전축 및 구동부는 상기 제3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용 솥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회전축의 회전과 상기 제3 회전축의 회전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매개체는, 상기 제1 회전축에 고정결합되는 솥기어; 상기 제3 회전축에 고정결합되는 교반기어; 상기 솥기어 및 교반기어와 이격되어 회전하도록 이루어지는 보조기어; 및 상기 교반기어 및 보조기어를 감싸며 상기 교반기어 및 보조기어와 각각 맞물리는 연결체인을 포함하고, 상기 솥기어는 상기 연결체인의 바깥쪽에서 맞물리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반날개가 이루는 면은 상기 조리솥의 내주면과 경사지고, 상기 교반날개의 하측 단부는 상기 조리솥의 내주면과 밀착되거나 이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교반날개의 바깥쪽 단부에는, 음식물이 상기 조리솥의 원심방향으로 밀려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절곡형성된 가이드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교반용 솥장치는, 상기 제1 회전축의 회전이 기준회전값을 초과하는 경사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에 의해 상기 경사상태가 감지될 때 상기 구동부의 작동이 차단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1 회전축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돌출편; 및 상기 제1 회전축의 회전이 기준회전값을 초과하기 전까지 상기 돌출편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교반용 솥장치는, 상기 조리솥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조리솥을 가열하는 버너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감지부에 의해 상기 경사상태가 감지될 때 상기 버너의 작동이 차단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교반용 솥장치는, 상기 솥뭉치 일측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조리솥의 중앙 쪽으로 연장된 지지로드; 및 상기 지지로드에 고정결합되어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리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분리판은 상기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의 접선과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교반용 솥장치는, 상기 제1 회전축 및 제2 회전축을 지지하는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회전축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4 회전축 및 상기 제4 회전축에 고정결합된 핸들을 포함하는 손잡이뭉치를 포함하되, 상기 손잡이뭉치는 상기 지지체 상에서 회전이 차단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뭉치의 회전 차단은, 상기 조리솥이 수평방향으로 놓인 경우 또는 경사방향으로 놓인 경우에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4 회전축에는 관통형성된 제1 멈춤공이 구비되고, 상기 제4 회전축과 인접하여 상기 지지체 일측에 고정형성되고, 관통형성된 제2 멈춤공이 구비된 멈춤판; 및 상기 제1 멈춤공 및 제2 멈춤공에 삽입되는 멈춤핀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교반용 솥장치에서, 상기 제4 회전축은 일정 각도범위 내에서만 회전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고, 이때 상기 제1 회전축과 제4 회전축이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서로 연결하는 기어는, 상기 제4 회전축이 일정 각도범위 내에서만 회전되도록 이(齒)가 불연속적이거나 막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교반용 솥장치는,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조리솥 및 상기 조리솥에 고정결합되어 가로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회전축을 포함하는 솥뭉치 및 상기 조리솥 내부에서 회전하며 음식물을 교반하는 교반날개, 상기 교반날개 위쪽에서 고정결합되어 세로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회전축, 상기 제2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제2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교반뭉치를 포함하며, 상기 교반날개의 하측 단부는, 상기 조리솥의 내주면과 밀착되어, 상기 제2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조리솥에 붙은 음식물을 떼어내고, 상기 교반날개가 이루는 면은, 상기 조리솥의 내주면과 경사지도록 구현되어 상기 음식물을 상기 교반날개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넘길 수 있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교반용 솥장치는, 상기 솥뭉치 일측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조리솥의 중앙 쪽으로 연장된 지지로드 및 상기 지지로드에 고정결합되어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리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반날개의 바깥쪽 단부에는, 음식물이 상기 조리솥의 원심방향으로 밀려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절곡형성된 가이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회전축의 회전과 함께 제3 회전축이 회전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조리솥을 기울일 때 교반날개가 조리솥 밖으로 연동하여 회전하게 되어 사용자의 한 번의 조작(핸들의 회전)으로 인해 조리솥이 기울어짐과 동시에 교반날개 역시 조리솥 밖으로 빼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조리가 완료된 음식물을 덜어내는 과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회전축의 회전이 기준회전값을 초과하는 경사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고 이에 따라 구동부의 구동이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음식물을 덜어낼 때 교반날개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교반용 솥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볶음 요리의 경우, 조리솥에 눌러 붙은 음식물을 긁어내면서 교반될 수 있으며, 음식물이 교반날개에 의해 외부로 튀어 나가는 것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용 솥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교반용 솥장치에서 조리솥 부분을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교반용 솥장치에서 매개체 부분을 도시한 좌측면도,
도 4(a)는 도 1에 도시된 교반용 솥장치에서 지지체 부분을 도시한 우측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제1 회전축과 제4 회전축의 다른 연결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반용 솥장치에서 솥뭉치와 교반뭉치의 작동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용 솥장치(1)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교반용 솥장치(1)에서 조리솥(21) 부분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교반용 솥장치(1)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교반용 솥장치(1)를 기준으로 방향을 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교반용 솥장치(1)는 많은 양의 음식을 한꺼번에 조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탕, 국과 같음 음식을 조리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볶음밥과 같이, 조리과정에서 반복적인 교반이 요구되는 음식의 조리에 적합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반용 솥장치(1)는, 지지체(10), 솥뭉치(20), 버너(30), 교반뭉치(40), 매개체(50) 및 손잡이뭉치(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지지체(10)는 본 발명에 따른 교반용 솥장치(1)에서 전체적인 틀을 이루며, 지면위에 놓여 각 구성을 지지한다.
솥뭉치(20)는 음식의 조리를 위한 직접적인 수단이며, 조리솥(21)과 제1 회전축(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조리솥(21)은 상측에서 볼 때 오목하게 형성되며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조리솥(21)은 이중벽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음식이 수용되는 내솥(21a)과 내솥(21a)을 감싸는 외솥(21b)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회전축(22)은 조리솥(21)의 좌우 양쪽에서 바깥쪽에서 고정결합되어 가로방향으로 형성되며, 조리솥(21)의 안정된 지지를 위하여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회전축(22)은 지지체(10) 상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지지체(10)를 기준으로 조리솥(21)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버너(30)는 조리솥(21)의 하측에 형성되어 조리솥(21)을 가열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조리솥(21)의 가열을 위한 열원은, 가스, 전기, 숯 등 여러 수단이 사용될 수 있으나, 사용 편의를 위하여 가스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버너(30)는, 솥뭉치(20)와 분리되어 조리솥(21)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고, 또는 이와 달리 솥뭉치(2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즉, 후자의 경우, 버너(30)는 내솥(21a)과 외솥(21b)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외솥(21b)에는 버너(30)의 원활한 작동을 위하여 다수의 관통공(21c)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반뭉치(40)는 조리솥(21) 내부의 음식물을 교반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며, 교반날개(41), 제2 회전축(42), 구동부(43) 및 제3 회전축(4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교반날개(41)는 조리솥(21)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음식물을 교반하는데 사용되는 것이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 또는 그 이상으로 구분된 날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때 각 교반날개(41)는 조리솥(21) 내부에서 서로 대칭된 형태로 형성된다. 교반날개(41)는 조리솥(21)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이에 따라 전체적으로 굽은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교반날개(41)가 이루는 면은, 조리솥(21)의 내주면(내솥(21a)의 내주면)이 이루는 곡면의 법선방향과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며, 특히 교반날개(41)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상단이 뒤쪽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조리솥(21) 내부에서 교반날개(41)가 회전할 때, 조리솥(21) 내부의 음식물이 교반날개(41)를 타고 자연스럽게 넘어가면서 교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교반날개(41)의 하측 단부는 조리솥(21)의 내주면(내솥(21a)의 내주면)에 근접하거나 밀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교반날개(41)의 단부(하측 단부)가 조리솥(21)의 내주면과 이격되는 경우(도 2의 (a) 경우)에는 탕, 국과 같은 통상의 음식을 조리하는데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고, 교반날개(41)의 단부가 조리솥(21)의 내주면과 밀착되는 경우(도 2의 (b) 경우)에는 볶음요리, 특히 볶음밥과 같은 음식을 조리하는데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볶음요리를 위해 상기 교반날개(41)의 하측 단부가 상기 조리솥(21)에 밀착된 경우에는, 상기 하측 단부의 곡률반경이 상기 조리솥(21)의 내주면의 곡률반경과 동일 또는 실질적으로 매우 유사하게 구현됨으로써, 상기 조리솥(21)의 내주면에 눌러 붙은 음식물을 긁어 내면서도 조리솥(21)내부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교반날개(41)의 바깥쪽 단부에는 절곡형성된 가이드부(41a)가 구비되며, 이러한 가이드부(41a)는 음식물이 조리솥(21)의 원심방향으로 밀려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볶음밥과 같은 음식의 조리시, 교반날개(41)가 조리솥(21) 내부에서 회전함에 있어서, 교반날개(41)에 의해 가압되는 볶음밥의 일부가 조리솥(21)의 원심방향으로 밀려 튕겨져나갈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교반날개(41)의 가이드부(41a)에 의하여 이를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제2 회전축(42)은 교반날개(41)의 중심(조리솥(21)의 중심)에서 위쪽으로 고정결합되어 세로방향으로 형성된다. 제2 회전축(42)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교반용 솥장치(1)는, 음식물의 보다 효과적인 교반을 위하여 지지로드(23)와 분리판(24)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지지로드(23)는 솥뭉치(20)의 일측에 고정결합되는데, 특히 조리솥(21)의 상단 테두리 일측에 고정결합되어 조리솥(21)의 중앙 쪽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지지로드(23)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리판(24)은 지지로드(23)에 고정결합되어 아래쪽으로 연장되고, 제2 회전축(42)을 중심으로 하는 원의 접선과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되어, 분리판(24)을 거치는 음식물이 자연스럽게 분리되도록 한다. 분리판(24)은 지지로드(23) 상에서 다수 개로 구비되며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분리판(24)의 하단은 교반날개(41)와 닿지않을 정도록 조리솥(21)의 내측면 상측으로 이격되며, 교반날개(41)의 회전시 서로 간섭이 없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교반용 솥장치(1)에서는, 교반날개(41)와 별도로 분리판(24)이 구비되도록 함으로써,서로 뭉칠 수 있는 음식을 효과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으며, 특히 볶음밥과 같은 음식의 교반에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게 된다.
구동부(43)는 제2 회전축(42)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제2 회전축(42)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지만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을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는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구동부(43)는 제2 회전축(42) 및 제2 회전축(42)에 고정결합된 교반날개(41)를 회전시키도록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이를 위하여, 구동부(43) 내부에는 구동모터(43a) 및 일련의 감속기어(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아울러 구동부(43) 일측에는 구동모터(43a)의 작동여부, 제2 회전축(42)의 회전속도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45)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회전축(44)은 구동부(43)의 좌우 양쪽에서 바깥쪽에서 고정결합되어 가로방향으로 형성되며, 구동부(43)를 포함한 교반뭉치(40)의 안정된 지지를 위하여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회전축(44)은 지지체(10) 상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지지체(10)를 기준으로 교반뭉치(40)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제3 회전축(44)은 제1 회전축(22)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반용 솥장치(1)에서, 솥뭉치(20) 및 교반뭉치(40)는 각각 지지체(10) 상에서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솥뭉치(20)와 교반뭉치(40)의 회전은 서로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고, 매개체(50)에 의하여 서로 연동하여 이루어진다.
즉, 제1 회전축(22)을 기준으로 조리솥(21)이 회전할 때, 교반날개(41), 제2 회전축(42) 및 구동부(43)가 제3 회전축(44)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매개체(50)는 제1 회전축(22)의 회전과 제3 회전축(44)의 회전을 매개한다.
그리고 이때, 제1 회전축(22)의 회전과 제3 회전축(44)의 회전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뭉치(60)는 지지체(10)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 회전축(22)과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손잡이뭉치(60)를 회전하는 경우, 제1 회전축(22)이 회전하면서 조리솥(21)이 기울어지게 된다.
이하에서는 매개체(50)에 대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교반용 솥장치(1)에서 매개체(50) 부분을 도시한 좌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교반용 솥장치(1)에서, 매개체(50)는 솥기어(51), 교반기어(52), 보조기어(53) 및 연결체인(5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솥기어(51)는 제1 회전축(22) 단부에 고정결합되며, 제1 회전축(22)과 함께 회전한다.
교반기어(52)는 제3 회전축(44) 단부에 고정결합되며, 제3 회전축(44)과 함께 회전한다. 교반기어(52)는 지지체(10) 상에서 솥기어(51)와 같은 쪽에 형성되며, 즉 솥기어(51)가 지지체(10)의 왼쪽에 형성되는 경우 교반기어(52)도 지지체(10)의 왼쪽에 형성된다.
보조기어(53)는 솥기어(51) 및 교반기어(52)와 이격되어, 지지체(10) 상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보조기어(53) 또한 지지체(10) 상에서 솥기어(51) 및 교반기어(52)와 같은 쪽에 형성되고, 보조기어(53)의 회전축은 솥기어(51) 및 교반기어(52)와 평행하게 이루어진다.
연결체인(54)은 교반기어(52) 및 보조기어(53)와 맞물리는 형태로 결합되며, 특히 교반기어(52) 및 보조기어(53)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된다. 연결체인(54)은, 통상의 금속성 체인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태로 연결체인(54)이 교반기어(52) 및 보조기어(53)와 결합됨으로써, 교반기어(52)와 보조기어(53)는 서로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이때 솥기어(51)는 연결체인(54)의 바깥쪽에서 연결체인(54)과 맞물리도록 체결된다. 이에 따라 교반기어(52)와 솥기어(51)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예컨대, 솥기어(5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교반기어(52)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교반용 솥장치(1)에서는, 손잡이뭉치(60)를 회전하는 경우 제1 회전축(22)이 회전하면서 조리솥(21)이 함께 기울어지게 되고, 또한 제1 회전축(22)의 회전과 제3 회전축(44)의 회전을 매개하는 매개체(50)에 의하여 교반뭉치(40)가 아울러 회전하면서 조리솥(21) 내부에서 교반날개(41)가 빠져나오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교반용 솥장치(1)는, 감지부(7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감지부(70)는 제1 회전축(22)의 회전 정도를 감지하거나 제1 회전축(22)의 회전이 일정한 범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지부(70)는 제1 회전축(22)의 회전이 기준회전값을 초과하는 경사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경사상태는, 음식의 조리가 완료되어 조리솥(21) 내부에서 음식을 덜어낼 필요가 있어 조리솥(21)을 기울인 상태, 또는 음식의 조리 과정에 있어서 조리솥(21)이 필요 이상으로 기울어진 상태일 수 있다. 기준회전값은, 조리솥(21)의 상단이 수평을 이루는 각도를 기준으로 15ㅀ~90ㅀ기울어진 각도 범위 내의 임의의 각도로 정하여질 수 있고, 이러한 기준회전값을 초과하는 경우 경사상태가 된다.
이를 위하여 감지부(70)는 돌출편(71) 및 접촉편(72)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돌출편(71)은 제1 회전축(22)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1 회전축(22)과 함께 회전하도록 이루어지며, 제1 회전축(22) 상에 고정될 수 있다. 돌출편(7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된 금속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접촉편(72)은 제1 회전축(22)의 회전이 기준회전값을 초과하기 전까지 돌출편(71)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접촉편(72)은 지지체(10) 상에 고정되어 탄성변형 가능하게 이루어지며, 제1 회전축(22)을 기준으로 돌출편(71)이 회전함에 있어서 탄성변형 되면서 일정한 범위에서 돌출편(71)과 접촉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교반용 솥장치(1)에서는, 감지부(70)에 의해 경사상태가 감지될 때(돌출편(71)과 접촉편(72)의 접촉이 해제될 때) 버너(30)와 구동부(43)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작동이 차단될 수 있다.
돌출편(71)과 접촉편(72) 간의 접촉 및 해제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의 A지점에 돌출편(71)이 위치하는 경우 돌출편(71)과 접촉편(72)은 서로 접촉하게 된다. 이때, 돌출편(71)이 접촉편(72)을 가압하면서 접촉편(72)은 탄성변형된 상태일 수 있다. 돌출편(71)이 제1 회전축(22)을 기준으로 회전함에 있어서 돌출편(71)과 접촉편(72) 간의 거리는 멀어지게 되고 접촉편(72)의 탄성변형 정도는 약해진다.
돌출편(71)이 제1 회전축(22)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더욱 회전하여 돌출편(71)이 B지점에 위치하는 경우 돌출편(71)과 접촉편(72)은 서로 분리된다.(이때, 제1 회전축(22)의 회전이 기준회전값을 초과하는 경사상태가 됨)
돌출편(71)과 접촉편(72)이 분리되면서 양자가 접촉하고 있을 때와 다른 신호를 교반뭉치(40)의 구동부(43) 또는/및 버너(30)에 전달하며 버너(30)와 구동부(43)의 작동이 정지되도록 한다.(버너(30)와 구동부(43)의 작동 차단을 위한 별도의 제어장치가 구비됨은 물론이다.) 즉, 조리솥(21)이 기준회전값을 초과하여 기울어진 경우 교반날개(41)의 지속적인 회전 또는 버너(30)의 작동은 위험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교반용 솥장치(1)에서는 이러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조리솥(21)의 회전 정도에 따라 교반날개(41) 및 버너(30)의 작동이 자동으로 차단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도 4(a)는 도 1에 도시된 교반용 솥장치(1)에서 지지체(10) 부분을 도시한 우측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제1 회전축(22)과 제4 회전축(62)의 다른 연결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뭉치(60)는 제4 회전축(62) 및 핸들(61)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4 회전축(62)은 지지체(10) 일측에 결합되어 제1 회전축(22)과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이루어지며, 이러한 제4 회전축(62)은 사용의 편의를 위하여 제1 회전축(22)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4 회전축(62)과 제1 회전축(22)간의 결합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웜(63)과 웜기어(64)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핸들(61)은 제4 회전축(62) 앞쪽에 고정결합되며 사용자가 파지하여 제4 회전축(62)을 회전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즉, 핸들(61)을 회전시킴으로써, 조리솥(21)을 앞쪽으로 기울이거나 조리솥(21)이 수평으로 놓이도록 다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교반용 솥장치(1)는, 이러한 손잡이뭉치(60)의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손잡이뭉치(60)의 회전을 차단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반용 솥장치(1)는, 멈춤판(11) 및 멈춤핀(12)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손잡이뭉치(60)의 회전 저지를 위하여 제4 회전축(62)에는 관통형성된 제1 멈춤공(62a)이 구비된다.
멈춤판(11)은 편평한 판 형태로 형성되고, 제4 회전축(62)과 인접하여 지지체(10) 일측에 고정형성되며, 일측에 관통형성된 제2 멈춤공(11a)이 구비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멈춤판(11)이 제4 회전축(62) 상측에 위치하는 경우, 제2 멈춤공(11a)은 상하방향으로 관통된다.
멈춤핀(12)은 제1 멈춤공(62a) 및 제2 멈춤공(11a)에 삽입되며, 멈춤판(11)을 기준으로 제4 회전축(62)이 회전할 수 없도록 한다. 즉, 손잡이뭉치(60)의 회전을 차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교반용 솥장치(1)에서, 이러한 손잡이뭉치(60)의 회전 차단은, 조리솥(21)이 수평방향으로 놓인 경우에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경사방향으로 놓은 경우에 이루어질 수 있다. 조리솥(21)이 수평방향으로 놓인 경우 및 경사방향으로 놓은 경우 각각의 회전 차단을 위하여, 제1 멈춤공(62a)은 제4 회전축(62)의 원주 방향을 따라 2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교반용 솥장치(1)에서, 제1 회전축(22) 및 제4 회전축(62)은 일정 각도범위 내에서만 회전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제1 회전축(22)과 제4 회전축(62)이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서로 연결하는 기어(63, 64)는, 이(齒)가 불연속적이거나 이(齒)의 일부가 막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손잡이뭉치(60)의 회전은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만 이루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를 위하여 웜기어(64)를 이루는 이빨의 일부가 막혀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도 4(b) 참조)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교반용 솥장치(1)에서는, 핸들(61)을 반대쪽으로 돌려 조리솥(21)이 반대쪽(뒤쪽)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핸들(61)을 무리하게 돌려 제4 회전축(62)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1 회전축(22)이 회전함에 따라 조리솥(21)이 과하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조리솥(21)으로부터 음식물을 덜어내는데 필요한 각도 범위를 넘어 제1 회전축(22)이 무리하게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올바른 방향 및 안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제1 회전축(22) 및 조리솥(21)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반용 솥장치(1)에서 솥뭉치(20)와 교반뭉치(40)의 작동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반용 솥장치(1)의 작동관계를 간단히 설명한다.
조리솥(21) 내부에서 음식의 조리가 이루어지는 경우,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솥뭉치(20)는 수평방향으로 놓이고 제2 회전축(42)은 수직한 상태에서 구동부(43)에 의해 구동하면서 교반날개(41)가 회전하게 된다. 교반날개(41)의 회전에 따라 조리솥(21) 내부의 음식물은 회전할 수 있으며, 이때 분리판(24)에 의하여 음식물이 서로 뭉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 멈춤핀(12)은 제1 멈춤공(62a) 및 제2 멈춤공(11a)에 삽입되어 조리솥(21)이 불필요하게 회전하거나 흔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음식의 조리가 완료된 경우, 사용자는 손잡이뭉치(60)의 핸들(61)을 회전시켜 제4 회전축(62)을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축(22)이 회전하면서 솥뭉치(20)가 앞쪽의 아래쪽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그리고 이때, 매개체(50)의 연동작용에 의하여 교반뭉치(40)가 함께 회전하며, 교반날개(41) 및 제2 회전축(42)은 앞쪽의 위쪽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조리솥(21) 내부에서 빠져나온다.
한편, 이 경우 사용자가 교반뭉치(40)의 구동부(43)의 작동을 미리 정지시키지 않거나 버너(30)를 오프(off)하지 않은 경우에도, 감지부(70)에 의해 경사상태가 감지됨으로써 버너(30)와 구동부(43)의 작동은 정지되게 된다.
아울러 이 경우, 멈춤핀(12)은 제1 멈춤공(62a) 및 제2 멈춤공(11a)에 삽입되어 조리솥(21)이 경사진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며, 조리솥(21) 내부에서 음식물을 용이하게 덜어낼 수 있도록 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교반용 솥장치 10 : 지지체
11 : 멈춤판 11a : 제2 멈춤공
12 : 멈춤핀 20 : 솥뭉치
21 : 조리솥 21a : 내솥
21b : 외솥 21c : 관통공
22 : 제1 회전축 23 : 지지로드
24 : 분리판 30 : 버너
40 : 교반뭉치 41 : 교반날개
41a : 가이드부
42 : 제2 회전축 43 : 구동부
43a : 구동모터 44 : 제3 회전축
45 : 제어장치
50 : 매개체 51 : 솥기어
52 : 교반기어 53 : 보조기어
54 : 연결체인 60 : 손잡이뭉치
61 : 핸들 62 : 제4 회전축
62a : 제1 멈춤공
63 : 웜 64 : 웜기어
70 : 감지부
71 : 돌출편 72 : 접촉편

Claims (18)

  1.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조리솥 및 상기 조리솥에 고정결합되어 가로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회전축을 포함하는 솥뭉치;
    상기 조리솥 내부에서 회전하며 음식물을 교반하는 교반날개, 상기 교반날개 위쪽에서 고정결합되어 세로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회전축, 상기 제2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제2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에 고정결합되어 가로방향으로 형성되는 제3 회전축을 포함하는 교반뭉치; 및
    상기 제1 회전축의 회전과 상기 제3 회전축의 회전을 매개하는 매개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조리솥이 회전할 때, 상기 교반날개, 제2 회전축 및 구동부는 상기 제3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용 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축의 회전과 상기 제3 회전축의 회전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용 솥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매개체는,
    상기 제1 회전축에 고정결합되는 솥기어;
    상기 제3 회전축에 고정결합되는 교반기어;
    상기 솥기어 및 교반기어와 이격되어 회전하도록 이루어지는 보조기어; 및
    상기 교반기어 및 보조기어를 감싸며 상기 교반기어 및 보조기어와 각각 맞물리는 연결체인을 포함하고,
    상기 솥기어는 상기 연결체인의 바깥쪽에서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용 솥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날개가 이루는 면은 상기 조리솥의 내주면과 경사지고,
    상기 교반날개의 하측 단부는 상기 조리솥의 내주면과 밀착되거나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용 솥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날개의 바깥쪽 단부에는, 음식물이 상기 조리솥의 원심방향으로 밀려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절곡형성된 가이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용 솥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축의 회전이 기준회전값을 초과하는 경사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에 의해 상기 경사상태가 감지될 때 상기 구동부의 작동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용 솥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1 회전축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돌출편; 및
    상기 제1 회전축의 회전이 기준회전값을 초과하기 전까지 상기 돌출편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용 솥장치.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솥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조리솥을 가열하는 버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용 솥장치.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솥뭉치 일측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조리솥의 중앙 쪽으로 연장된 지지로드; 및
    상기 지지로드에 고정결합되어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리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용 솥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은 상기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의 접선과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용 솥장치.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축 및 제2 회전축을 지지하는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회전축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4 회전축 및 상기 제4 회전축에 고정결합된 핸들을 포함하는 손잡이뭉치를 포함하되,
    상기 손잡이뭉치는 상기 지지체 상에서 회전이 차단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용 솥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뭉치의 회전 차단은, 상기 조리솥이 수평방향으로 놓인 경우 또는 경사방향으로 놓인 경우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용 솥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회전축에는 관통형성된 제1 멈춤공이 구비되고,
    상기 제4 회전축과 인접하여 상기 지지체 일측에 고정형성되고, 관통형성된 제2 멈춤공이 구비된 멈춤판; 및
    상기 제1 멈춤공 및 제2 멈춤공에 삽입되는 멈춤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용 솥장치.
  1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축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4 회전축 및 상기 제4 회전축에 고정결합된 핸들을 포함하는 손잡이뭉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4 회전축은 일정 각도범위 내에서만 회전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용 솥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축과 제4 회전축이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서로 연결하는 기어는, 상기 제4 회전축이 일정 각도범위 내에서만 회전되도록 이(齒)가 불연속적이거나 막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용 솥장치.
  16.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조리솥 및 상기 조리솥에 고정결합되어 가로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회전축을 포함하는 솥뭉치; 및
    상기 조리솥 내부에서 회전하며 음식물을 교반하는 교반날개, 상기 교반날개 위쪽에서 고정결합되어 세로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회전축, 상기 제2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제2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교반뭉치를 포함하며,
    상기 교반날개의 하측 단부는, 상기 조리솥의 내주면과 밀착되어, 상기 제2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조리솥에 붙은 음식물을 떼어내고,
    상기 교반날개가 이루는 면은, 상기 조리솥의 내주면과 경사지도록 구현되어 상기 음식물이 상기 교반날개를 타고 넘어갈 수 있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교반날개의 바깥쪽 단부에는, 음식물이 상기 조리솥의 원심방향으로 밀려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절곡형성된 가이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용 솥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솥뭉치 일측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조리솥의 중앙 쪽으로 연장된 지지로드; 및
    상기 지지로드에 고정결합되어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리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용 솥장치.
  18. 삭제
KR1020130118404A 2013-10-04 2013-10-04 교반용 솥장치 KR101468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8404A KR101468474B1 (ko) 2013-10-04 2013-10-04 교반용 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8404A KR101468474B1 (ko) 2013-10-04 2013-10-04 교반용 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8474B1 true KR101468474B1 (ko) 2014-12-30

Family

ID=52677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8404A KR101468474B1 (ko) 2013-10-04 2013-10-04 교반용 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847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7960B1 (ko) * 2021-03-22 2021-06-21 오후석 쌀 세척 및 스팀 조리기
KR20220012710A (ko) * 2020-07-23 2022-02-04 김석환 수제비누 제조장치
KR102533925B1 (ko) 2022-10-31 2023-05-17 구영훈 젤리 제조용 교반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0419A (ja) * 2004-06-17 2006-01-05 Shinagawa Kogyosho:Kk 食品の製造装置
KR100805800B1 (ko) * 2008-01-09 2008-02-21 주식회사 경한 조리기장치
KR20090009640U (ko) * 2008-03-21 2009-09-24 김승렬 다편축 교반 조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0419A (ja) * 2004-06-17 2006-01-05 Shinagawa Kogyosho:Kk 食品の製造装置
KR100805800B1 (ko) * 2008-01-09 2008-02-21 주식회사 경한 조리기장치
KR20090009640U (ko) * 2008-03-21 2009-09-24 김승렬 다편축 교반 조리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2710A (ko) * 2020-07-23 2022-02-04 김석환 수제비누 제조장치
KR102372272B1 (ko) * 2020-07-23 2022-03-08 김석환 수제비누 제조장치
KR102267960B1 (ko) * 2021-03-22 2021-06-21 오후석 쌀 세척 및 스팀 조리기
KR102533925B1 (ko) 2022-10-31 2023-05-17 구영훈 젤리 제조용 교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61332A1 (en) Multi-cook and food processing prep product
USRE48216E1 (en) Automatic cooker
US20220354303A1 (en) Cooking apparatus
US10485060B2 (en) Food processing apparatus
US8707862B1 (en)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CN102551518B (zh) 多功能早餐机
EP3379985B1 (en) Stirring tool
US20100107893A1 (en) Food processor arrangements
US20080264927A1 (en) Cooking range having a motorized stove base
CN111050608A (zh) 具备搅拌功能的烹饪锅盖
JP2017538508A (ja) 無煙エアブレード鍋
CN104703515A (zh) 圆筒式炊具
KR20150052545A (ko) 교반기능을 구비한 전열식 조리기구
EP2755532B1 (en) Food heating apparatus
KR101468474B1 (ko) 교반용 솥장치
WO2006007767A1 (fr) Machine pour petit dejeuner combinee multifonction
JP6145105B2 (ja) 食品の調理
US7026591B2 (en) Device and procedure for cooking a food product with microwaves
US20140290499A1 (en) Preparing foodstuff
KR200361890Y1 (ko) 조림 및 볶음기계
KR101523557B1 (ko) 볶음 겸용 요리기
CN214284457U (zh) 锅盖及炒菜机
CN208625287U (zh) 新型手动搅拌锅
CN209863321U (zh) 一种炒菜机及其弹出装置
KR100556614B1 (ko) 전자렌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