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9640U - 다편축 교반 조리장치 - Google Patents

다편축 교반 조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9640U
KR20090009640U KR2020080003695U KR20080003695U KR20090009640U KR 20090009640 U KR20090009640 U KR 20090009640U KR 2020080003695 U KR2020080003695 U KR 2020080003695U KR 20080003695 U KR20080003695 U KR 20080003695U KR 20090009640 U KR20090009640 U KR 2009000964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pot
coupled
gear
stir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36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0932Y1 (ko
Inventor
김승렬
Original Assignee
김승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렬 filed Critical 김승렬
Priority to KR20200800036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0932Y1/ko
Publication of KR200900096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96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09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093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 A47J27/02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with enlarged botto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8Driving mechanisms
    • A47J43/082Driving mechanism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upper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cessories For Mixers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편축 교반 조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ㄱ'자 모양으로 형성된 상부거치대의 하단을 지지베이스의 상부에 결합하고, 상기 상부거치대의 선단부 하측에 고정커버를 결합하며, 상부거치대의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축을 상기 고정커버의 중앙에 끼워 베어링 결합하고, 상기 구동축의 하단에 회전받침부를 결합하며, 상기 회전받침부의 저면에는 서로 마주하도록 제 1 축봉과 제 2 축봉을 결합하고, 상기 제 1 축봉의 하단에 한쌍의 제 1 교반날개를 결합하면서 상기 제 2 축봉의 하단에 제 2 교반날개를 결합하되,
내주면상에 기어가 형성된 고정기어를 상기 고정커버의 저면부에 고정 결합하고, 상기 고정기어에 내접되게 내접기어를 설치하며, 상기 내접기어의 기어축을 제 1 축봉과 연결하여 회전받침부의 회전에 의해 제 1 교반날개가 회전 및 자전하면서 솥의 중심부를 젓어주고 제 2 교반날개가 솥의 외곽부를 젓어줄 수 있도록 구성하므로서, 대형 솥을 이용한 음식물 조리시 제 1 교반날개가 솥의 중앙부를 회전 및 자전하면서 서서히 젓어 주고 제 2 교반날개가 솥의 외곽부를 회전하면서 젓어줌에 따라 음식물이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다편축 교반 조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솥, 가열수단, 교반날개, 상부거치대, 고정커버, 회전받침부,

Description

다편축 교반 조리장치{Large size cooker}
본 고안은 다편축 교반 조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대형 솥을 이용한 음식물 조리시 제 1 교반날개가 솥의 중앙부를 회전 및 자전하면서 서서히 젓어 주고 제 2 교반날개가 솥의 외곽부를 회전하면서 젓어줌에 따라 음식물이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다편축 교반 조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대형 요식업소 또는 음식 조달업체와 같이 한번에 많은 양의 음식을 준비해야 하는 곳에서는 대형솥을 이용한 다편축 교반 조리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다편축 교반 조리장치는 버너에 의해 가열되는 솥으로 이루어진 것이 대부분이어서 다편축 교반 조리장치를 이용하여 죽과 같이 사용자가 장시간 젓어주어야 하는 음식물을 조리할때 필히 사용자가 솥에 붙어 서서 지속적으로 음식물을 젓어주어야 하므로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대형 솥의 중앙부를 젓어주는 제 1 교반날개와 솥의 외곽부를 젓어주는 제 2 교반날개를 구성하되, 상기 제 1 교반날개가 솥의 중심으로 부터 일정거리 편심되게 설치되도록 하면서 제 1 교반날개가 회전 및 자전하면서 솥의 중앙부분을 젓어주도록 구성하므로서, 대형 솥을 이용한 음식물 조리시 제 1 교반날개가 솥의 중앙부를 회전 및 자전하면서 서서히 젓어 주고 제 2 교반날개가 솥의 외곽부를 회전하면서 젓어줌에 따라 음식물이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다편축 교반 조리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일측에 지지대가 입설되고, 타측에 지지베이스가 입설된 받침대를 구비하고, 하부에 가열수단이 구비된 솥을 상기 지지대와 지지베이스의 사이에 설치한 것을 포함하는 다편축 교반 조리장치에 있어서,
'ㄱ'자 모양으로 형성된 상부거치대의 하단을 상기 지지베이스의 상부에 결합하고, 상기 상부거치대의 선단부 하측에 고정커버를 결합하며, 상부거치대의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축을 상기 고정커버의 중앙에 끼워 베어링 결합하고, 상기 구동축의 하단에 회전받침부를 결합하며, 상기 회전받침부의 저면에는 서로 마주하도록 제 1 축봉과 제 2 축봉을 결합하고, 상기 제 1 축봉의 하단에 한쌍의 제 1 교반날개를 결합하면서 상기 제 2 축봉의 하단에 제 2 교반날개의 결합하되,
내주면상에 기어가 형성된 고정기어를 상기 고정커버의 저면부에 고정 결합하고, 상기 고정기어에 내접되게 내접기어를 설치하며, 상기 내접기어의 기어축을 제 1 축봉과 연결하여 회전받침부의 회전에 의해 제 1 교반날개가 회전 및 자전하면서 솥의 중심부를 젓어주고 제 2 교반날개가 회전하면서 솥의 외곽부를 젓어줄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대형 솥을 이용한 음식물 조리시 제 1 교반날개가 솥의 중앙부를 회전 및 자전하면서 서서히 젓어 주고 제 2 교반날개가 솥의 외곽부를 회전하면서 젓어줌에 따라 음식물이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음식물 조리시 일일이 사용자가 조리장치 옆에서 관리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6 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부호 1 은 받침대를 나타내고, 상기 받침대(1)의 일측에는 지지대(2)가 입설되고, 받침대(1)의 타측에는 지지베이스(3)가 입설된다.
양측면부로 횡축(5)이 형성되고, 하측에는 버너와 같은 가열수단(6)이 설치 된 대형 솥(4)을 구비하고, 상기 솥(4)의 횡축(5)을 상기 지지대(2)와 지지베이스(3)에 베어링으로서 결합하며, 상기 지지베이스(3)에는 상기 솥(4)을 일정각도 기울여주기 위한 솥핸들(7)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지지베이스(3)의 상부에 작동핸들(12)이 외부에 노출되게 설치된 지지구동부(10)를 결합하는데, 상기 지지구동부(10)의 내부에는 작동핸들(12) 조작시 연동되어 회전하는 워엄기어(11)가 내설된다.
상기 지지구동부(10)의 상측으로 'ㄱ'자 모양으로 형성된 상부거치대(20)를 결합하는데, 이 결합을 위하여 상기 상부거치대(20)의 하단에 결합부(21)를 형성하고, 이 결합부(21)를 힌지축(22)으로서 지지구동부(10)의 상부에 회동작동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결합부(21)의 하측에는 상기 워엄기어(11)에 맞물리는 작동기어(23)를 형성한다.
이에따라, 사용자가 작동핸들(12)을 정역회전시킴에 따라 지지구동부(10) 내부에 내설된 워엄기어(11)가 회전하므로서, 상기 워엄기어(11)와 맞물려있는 작동기어(23)가 회전하면서 상부거치대(20)를 도 5 와 같이 젖혀지도록 하거나 도 1 과 같이 하강하도록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상부거치대(20)의 선단부 하측에 도 3 과 같이 고정커버(31)를 결합하여 고정시키고, 상부거치대(20)의 일측에는 후설하는 제 1 및 제 2 교반날개(39)(41)를 회전작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26)를 설치한다.
상기 고정커버(31)의 중앙으로는 구동모터(26)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축(24)을 끼워 베어링(32) 결합하고, 상기 구동축(24)의 하단에 회전받침 부(30)를 볼트로서 결합하한다.
이때, 상기 구동축(24)의 상부에 제 1 스프로켓(25)을 결합하고, 상기 구동모터(26)의 축에 제 2 스프로켓(27)을 결합하는데, 상기 제 1 및 제 2 스프로켓(25)(27)은 상부거치대(2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스프로켓(25)(27)을 체인으로 연결하여 구동모터(26)의 회전동력이 구동축(24)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커버(31)의 저면부에는 내주면상에 기어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기어(33)를 볼트로서 결합하여 고정시킨다.
한편, 상기 회전받침부(30)의 하측으로 제 1 축봉(36)과 제 2 축봉(40)을 결합하는데, 상기 고정기어(33)의 내주면에 형성된 기어에 맞물리도록 내접기어(34)를 설치하고, 내접기어(34)의 중심에 기어축(35)을 끼워 이 기어축(35)의 하단이 회전받침부(30)를 관통하여 회전받침부(30)의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하며, 상기 기어축(35)의 하측으로 별도의 연결봉(37)을 이용하여 제 1 축봉(36)을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제 1 축봉(36)은 솥(4)의 중심으로 부터 일정거리 편심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제 1 축봉(36)의 하부 끝단에 한쌍의 결합편(38)을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면서 일정각도 비틀어지게 핀 결합하고, 상기 한쌍의 결합편(38)에 각각 제 1 교반날개(39)를 설치한다.
이때, 상기 제 1 축봉(36)을 원형단면을 가지면서 그 상부가 연결봉(37)에 의해 기어축(35)과 연결되는 상부축봉(361)과 중공형 원형관으로 이루어진 하부 텐 션관(364)으로 분리구성하고, 상부축봉(361)이 하부 텐션관(364) 내부로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하되, 상부축봉(361)의 하부에 4각 또는 6각 또는 8각 형태의 각봉(362)을 연장형성하고, 하부 텐션관(364)의 하단 내부에는 상기 각봉(362)과 동일한 형상의 끼움홀이 구비된 끼움부(365)를 형성하여 각봉(362)이 끼움부(365)의 끼움홀에 끼워지도록 하므로서 상부축봉(361)의 회전력이 각봉(362)과 끼움부(365)를 통해 하부 텐션관(364)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축봉(361)의 하단부 외주면상에 돌부(363)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돌부(363)와 끼움부(365) 사이에 스프링(366)을 개재시킴으로서, 제 1 교반날개(39)가 솥(4)의 바닥면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할때 바닥면에 이물질이 존재할 경우 상기 하부텐션관(364)이 스프링(366)의 탄성을 이기고 상승하게되어 제 1 교반날개(39)가 이물질을 타고 넘어갈 수 있게되어 이물질이 존재하더라도 제 1 교반날개(39)가 지속적으로 회전작동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에따라, 구동모터(26)의 구동에 의해 회전받침부(30)가 회전하게되면, 상기 회전받침부(30)와 함께 제 1 축봉(36)이 선회하게 되므로 한쌍의 제 1 교반날개(39)가 솥(4)의 중심부를 선회하게 되는 것이며, 이와동시에 내접기어(34)가 고정기어(33)의 내주면에 형성된 기어에 맞물린 상태로 선회하게 되므로 상기 내접기어(34)의 회전이 기어축(35)과 제 1 축봉(36)을 통해 제 1 교반날개(39)에 그대로 전달되므로 한쌍의 제 1 교반날개(39)는 제 1 축봉(36)의 선회방향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자전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 1 교반날개(39)는 솥(4)의 중앙부분을 선회하면서 스스로 자전 하여 솥(4)의 중앙부 음식물을 젖어주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 2 축봉(40)은 제 1 축봉(36)에 대향하도록 회전받침부(30)의 하측에 결합하는데, 상기 제 2 축봉(40)은 그 중간부를 2단 절곡시킨 후 그 끝단에 제 2 교반날개(41)를 일정각도 경사지게 결합하여 제 2 교반날개(41)가 선회하면서 솥(4)의 외곽부분을 젖어주도록 한다.
상기 제 1 교반날개(39)와 제 2 교반날개(41)는 내열, 내마모성이 우수한 수지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교반날개(39)(41)의 하단은 솥(4)의 바닥면이 밀착될 수 있도록 유선형으로 형성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 와 같이 솥(4) 바닥면에 제 1 및 제 2 교반날개(39)(41)가 접촉된 상태에서 솥(4)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조리하고, 조리시 구동모터(26)를 작동시키게되면,
구동모터(26)의 회전동력이 체인(28)에 의해 구동축(24)으로 전달되어 회전받침부(30)가 서서히 회전하게된다.
이에따라, 상기 회전받침부(30)의 저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되게 설치된 제 1 및 제 2 축봉(36)(40)이 회전받침부(30)와 함께 회전하게되고, 이에의해 제 1 교반날개(39)는 솥(4)의 중앙부분에서 작은반경을 가지면서 선회하고, 제 2 교반날개(41)는 솥(4)의 외곽부분에서 큰 반격을 가지면서 선회하면서 음식물을 젓어주게되는 것이며,
이때, 상기 제 1 교반날개(39)는 고정커버(31)에 고정설치된 고정기어(33)의 내주면을 따라 맞물린 상태로 회전하는 내접기어(34)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 1 축봉(36)의 선회방향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자전하면서 음식물을 젓어주는 것이다.
상기 설명과 같은 제 1 및 제 2 교반날개(39)(41)의 동작에 의해 대형 솥(4)에 죽과 같은 음식을 조리할때 사용자가 음식물을 일일이 젓어주지 않아도되고, 또한 교반날개(39)(41)가 솥(4)의 중심부 및 외곽을 골고루 젓어주게되므로 음식물이 솥(4)의 바닥에 눌러붙는 현상이 전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다편축 교반 조리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다편축 교반 조리장치를 보인 정면도.
도 3 은 본 고안 다편축 교반 조리장치의 내부를 보인 도면.
도 4 는 본 고안에 적용된 고정기어와 내접기어의 설치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5 는 본 고안에 적용된 상부거치대가 젖혀진 상태를 보인 도면.
도 6 은 본 고안에 적용된 제 1 및 제 2 교반날개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 은 본 고안에 적용된 제 1 축봉을 상세히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받침대, 2: 지지대,
3: 지지베이스, 4: 솥,
6: 가열수단, 10: 지지구동부,
20: 상부거치대, 21: 결합부,
23: 작동기어, 24: 구동축,
30: 회전받침부, 31: 고정커버,
33: 고정기어, 34: 내접기어,
36: 제 1 축봉, 39: 제 1 교반날개,
40: 제 2 축봉, 41: 제 2 교반날개,
361: 상부축봉, 364: 하부 텐션관,

Claims (4)

  1. 일측에 지지대가 입설되고, 타측에 지지베이스가 입설된 받침대를 구비하고, 하부에 가열수단이 구비된 솥을 상기 지지대와 지지베이스의 사이에 설치한 것을 포함하는 다편축 교반 조리장치에 있어서,
    'ㄱ'자 모양으로 형성된 상부거치대의 하단을 상기 지지베이스의 상부에 결합하고, 상기 상부거치대의 선단부 하측에 고정커버를 결합하며, 상부거치대의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축을 상기 고정커버의 중앙에 끼워 베어링 결합하고, 상기 구동축의 하단에 회전받침부를 결합하며, 상기 회전받침부의 저면에는 서로 마주하도록 제 1 축봉과 제 2 축봉을 결합하고, 상기 제 1 축봉의 하단에 한쌍의 제 1 교반날개를 결합하면서 상기 제 2 축봉의 하단에 제 2 교반날개를 결합하되,
    내주면상에 기어가 형성된 고정기어를 상기 고정커버의 저면부에 고정 결합하고, 상기 고정기어에 내접되게 내접기어를 설치하며, 상기 내접기어의 기어축을 제 1 축봉과 연결하여 회전받침부의 회전에 의해 제 1 교반날개가 회전 및 자전하면서 솥의 중심부를 젓어주고 제 2 교반날개가 회전하면서 솥의 외곽부를 젓어줄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편축 교반 조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베이스의 상부에는 상부거치대를 들어올려주기 위한 작동핸들이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작동핸들의 회전시 연동하는 워엄기어가 내장되어 있는 지지구동부를 설치하며,
    상기 지지구동부의 상부에 힌지축에 의해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를 상부거치대의 하단에 형성하고, 상기 결합부의 하단에 워엄기어에 맞물리도록 작동기어를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편축 교반 조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교반날개는 솥의 바닥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유선형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편축 교반 조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축봉을 원형단면을 갖는 상부축봉과 중공형 원형관으로 이루어진 하부 텐션관으로 분리구성하고, 상부축봉이 하부 텐션관 내부로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하되, 상부축봉의 하부에 각봉을 연장형성하고, 하부 텐션관의 하단 내부에는 상기 각봉이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부를 형성하며, 상기 상부축봉의 하단부 외주면상에 돌부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돌부와 끼움부 사이에 스프링을 개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편축 교반 조리장치.
KR2020080003695U 2008-03-21 2008-03-21 다편축 교반 조리장치 KR2004509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3695U KR200450932Y1 (ko) 2008-03-21 2008-03-21 다편축 교반 조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3695U KR200450932Y1 (ko) 2008-03-21 2008-03-21 다편축 교반 조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640U true KR20090009640U (ko) 2009-09-24
KR200450932Y1 KR200450932Y1 (ko) 2010-11-11

Family

ID=41532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3695U KR200450932Y1 (ko) 2008-03-21 2008-03-21 다편축 교반 조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0932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474B1 (ko) * 2013-10-04 2014-12-30 디텍코리아 ㈜ 교반용 솥장치
CN107149904A (zh) * 2017-05-22 2017-09-12 柳州智赢食品有限公司 拌酱机
CN107174110A (zh) * 2016-03-09 2017-09-19 金再垣 煮粥机
CN109567558A (zh) * 2018-12-03 2019-04-05 广州富港万嘉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滚筒式烹饪器
WO2022039528A1 (ko) * 2020-08-20 2022-02-24 (주)디포인덕션 전자동 입체 교반 시스템이 구비된 반구형 조리기구
CN114271520A (zh) * 2021-11-26 2022-04-05 重庆芭蕉人食品有限公司 火锅料炒制硅胶刀具
CN114588036A (zh) * 2022-03-28 2022-06-07 南京中医药大学 一种中药的防粘壁糊底的煎煮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0927B1 (ko) * 2019-06-18 2021-02-02 류태문 볶음 조리 장치
KR200495216Y1 (ko) * 2020-10-29 2022-04-01 김애숙 닭발 조리장치
KR102573132B1 (ko) * 2022-12-27 2023-09-01 주식회사 에코위더스 볶음 조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5035Y1 (ko) * 2005-02-28 2005-05-24 문인술 자장 조리장치
KR100802517B1 (ko) * 2006-11-28 2008-02-13 양건태 액상음식물 조리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474B1 (ko) * 2013-10-04 2014-12-30 디텍코리아 ㈜ 교반용 솥장치
CN107174110A (zh) * 2016-03-09 2017-09-19 金再垣 煮粥机
CN107149904A (zh) * 2017-05-22 2017-09-12 柳州智赢食品有限公司 拌酱机
CN109567558A (zh) * 2018-12-03 2019-04-05 广州富港万嘉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滚筒式烹饪器
WO2022039528A1 (ko) * 2020-08-20 2022-02-24 (주)디포인덕션 전자동 입체 교반 시스템이 구비된 반구형 조리기구
KR20220022963A (ko) * 2020-08-20 2022-03-02 (주)디포인덕션 전자동 입체 교반 시스템이 구비된 반구형 조리기구
CN114271520A (zh) * 2021-11-26 2022-04-05 重庆芭蕉人食品有限公司 火锅料炒制硅胶刀具
CN114588036A (zh) * 2022-03-28 2022-06-07 南京中医药大学 一种中药的防粘壁糊底的煎煮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0932Y1 (ko) 2010-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0932Y1 (ko) 다편축 교반 조리장치
KR200466194Y1 (ko) 다편축 교반 조리 장치
KR101131761B1 (ko) 회전국솥의 교반장치
KR200486475Y1 (ko) 음식물 조리기구
US8993025B2 (en) Fryer and procedure for cooking in a small volume of oil
JP4729529B2 (ja) 食材煮練り攪拌機の加熱源制御装置
CN204378846U (zh) 烹饪装置
JP2013106632A (ja) 攪拌調理機
JP2000107031A (ja) 攪拌機
JP2014097087A (ja) 電気炊飯器
KR101480764B1 (ko) 국솥 혼합장치
CN107668225A (zh) 一种茶叶杀青装置
JP3166999U (ja) 撹拌機用撹拌棒
CN107174110B (zh) 煮粥机
JP5739999B2 (ja) 加熱調理器
KR200470130Y1 (ko) 직립형으로 이동가능한 교반기
JP5456101B2 (ja) 炊飯器
CN202086314U (zh) 一种智能烤炒炉的搅拌装置
KR100648522B1 (ko) 음식 조리용 교반장치
CN201533782U (zh) 搅拌式食品烘烤机
KR20070122112A (ko) 곡물볶음장치
KR100934232B1 (ko) 양념 치킨 조리기
CN216166933U (zh) 一种用于自动炒菜机的搅拌装置
JP2005318983A (ja) 攪拌機
KR200436844Y1 (ko) 강정 교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1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