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475Y1 - 음식물 조리기구 - Google Patents

음식물 조리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475Y1
KR200486475Y1 KR2020170004303U KR20170004303U KR200486475Y1 KR 200486475 Y1 KR200486475 Y1 KR 200486475Y1 KR 2020170004303 U KR2020170004303 U KR 2020170004303U KR 20170004303 U KR20170004303 U KR 20170004303U KR 200486475 Y1 KR200486475 Y1 KR 2004864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frame
cooking
cooking vessel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43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인
이우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엘인터내셔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엘인터내셔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엘인터내셔널
Priority to KR20201700043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4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4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47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47J43/0722Mixing, whipping or cut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8Driving mechanisms
    • A47J43/085Driving mechanism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09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f the stirrers with respect to the receptacle
    • B01F27/09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f the stirrers with respect to the receptacle with elements co-operating with receptacle wall or bottom, e.g. for scraping the receptacle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09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f the stirrers with respect to the receptacle
    • B01F27/092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f the stirrers with respect to the receptacle occupying substantially the whole interior space of the receptacle
    • B01F7/00208
    • B01F7/0021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본 조리용기에 장착되어 죽이나 스프와 같은 음식물을 일정하고 지속적으로 저어주는 음식물 조리기구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길이 방향 양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을 축으로 양 단부의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면서 상기 조리용기의 상부 플랜지에 장착되는 한 쌍의 장착 클립;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유닛, 사용자 조작을 위한 조작유닛, 상기 조작유닛의 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 및 상기 모터유닛에 연결되면서 조리용기 내부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포함하고, 하우징을 매개로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구동체; 일단부가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조리용기의 벽면으로 연장되는 제1 연결부와, 상기 제1 연결부의 타단부에 연결되면서 상기 조리용기의 벽면을 따라 하측으로 연장되는 수직 날개부로 이루어지는 제1 교반날개; 및 일단부가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조리용기의 바닥면으로 연장되는 제2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의 타단부에 연결되면서 상기 조리용기의 바닥면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는 수평 날개부로 이루어지는 제2 교반날개;를 포함하여, 상기 구동체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제1 교반날개 및 상기 제2 교반날개가 상기 회전축을 축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식물 조리기구{Food cooking apparatus}
본 고안은 음식물 조리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리용기에 장착되어 죽이나 스프와 같은 음식물을 일정하고 지속적으로 저어주는 음식물 조리기구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용기나 기구는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고 있으며, 각각의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 특성에 맞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일반적으로 음식물 조리용기는 내용물, 즉,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용기와, 용기에 담긴 음식물에 외부로부터 이물질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뚜껑과, 용기의 안전하고 신속·용이한 취급 및 운반을 위한 손잡이부로 이루어진다.
한편, 죽, 스프, 카레, 소스 등과 같은 음식물은 조리 과정에서 음식물이 용기에 눌어붙거나 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저어 주어야 하므로, 별도로 음식물을 저어 줄 수 있는 보조 도구로서 수저, 주걱 또는 국자 등이 사용된다. 상기 보조 도구들은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 내내 사용자가 직접 저어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상기와 같은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국내등록특허 10-0503442호에는 '회전날개가 구비된 음식물 조리용기'가 소개되어 있고, 국내등록특허 10-0802517호에는 '액상음식물 조리장치'가 소개되어 있다. 상기 선행문헌들의 음식물 조리기구는 구동부가 뚜껑에 구비되고, 뚜껑이 음식물 용기를 덮은 상태에서 회전축을 매개로 구동부에 연결된 날개가 자동으로 회전되면서 음식물의 교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종래의 음식물 조리기구는 전동방식으로 음식물을 자동으로 저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음식물 조리시 사용자에 의한 수작업이 요구되지 않아 음식물 조리가 편리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나타낸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음식물 조리기구는 뚜껑에 장착되어 해당 뚜껑의 음식물 용기와 함께 사용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즉, 상기 음식물 조리기구는 특정 용기 및 뚜껑에 대해서만 사용 가능하고, 다른 종류의 조리 용기 즉, 크기를 달리하는 다른 조리 용기에는 다양하게 적용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 10-0503442호(2005.07.15.등록, 회전날개가 구비된 음식물 조리용기) 국내등록특허 10-0802517호(2008.02.01.등록, 액상음식물 조리장치)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다양한 크기의 음식물 조리용기에 장착되어 죽이나 스프와 같은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자동으로 저어 줄 수 있는 음식물 조리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뚜껑을 대신하여 음식물 조리용기에 장착되어 음식물 조리를 보조하기 위한 음식물 조리기구에 있어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길이 방향 양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을 축으로 양 단부의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면서 상기 조리용기의 상부 플랜지에 장착되는 한 쌍의 장착 클립;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유닛, 사용자 조작을 위한 조작유닛, 상기 조작유닛의 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 및 상기 모터유닛에 연결되면서 조리용기 내부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포함하고, 하우징을 매개로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구동체; 일단부가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조리용기의 벽면으로 연장되는 제1 연결부와, 상기 제1 연결부의 타단부에 연결되면서 상기 조리용기의 벽면을 따라 하측으로 연장되는 수직 날개부로 이루어지는 제1 교반날개; 및 일단부가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조리용기의 바닥면으로 연장되는 제2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의 타단부에 연결되면서 상기 조리용기의 바닥면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는 수평 날개부로 이루어지는 제2 교반날개;를 포함하여, 상기 구동체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제1 교반날개 및 상기 제2 교반날개가 상기 회전축을 축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연결부 또는 제2 연결부는 상기 회전축에 대하여 각각 외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 날개부는 하측 단부가 상측 단부에 앞서는 경사를 갖고, 상기 수평 날개부는 상측 날이 하측 날에 뒤서는 경사를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음식물 조리기구는 다양한 종류나 크기의 음식물 조리용기에 적용되어 조리를 보조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조리기구가 장착된 음식물 조리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조리기구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도 2의 음식물 조리기구를 나타낸 분해도,
도 4는 도 2의 주요부인 제1 교반날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2의 주요부인 제2 교반날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2의 주요부인 장착 클립의 길이 가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2의 주요부인 제1,2 교반날개의 길이 가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고안과 본 고안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조리기구가 장착된 음식물 조리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조리기구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음식물 조리기구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음식물 조리기구(10)는 음식물이 수용되는 용기의 상부 개구부에 장착되어 죽, 스프, 카레, 소스 등과 같은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자동으로 저어 주는 보조 도구이다. 즉, 본 고안의 음식물 조리기구(10)는 뚜껑을 대신하여 용기(20)의 개구부에 장착되며, 용기(20)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이 타거나 눌어붙지 않도록 지속적으로 저어 주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한 음식물 조리도구(10)는 프레임(100)과, 프레임의 양 측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장착 클립(200)과, 프레임의 상측에 마련되는 구동체(300)와, 구동체에 결합되는 제1,2 교반날개(400,500)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00)은 구동체(300)를 결합시키고, 한 쌍의 장착 클립(200)을 연결시키는 구성으로, 음식물 조리기구의 지지체 기능을 한다. 이러한 프레임(100)은 소정의 직경과 길이를 갖는 바(bar) 형상을 이룰 수 있고, 내열성이 우수한 수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00)은 중앙 영역에 구동체(300)가 결합되는 결합리브(110)를 제공하고, 결합리브(110)의 중앙에는 구동체(300)의 회전축(350)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 클립(200)은 프레임(100)의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음식물 조리기구(10)를 용기(20)에 장착 및 고정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장착 클립(200)은 프레임(100)에 연결되는 고정편(210)과, 상기 고정편(210)에 체결되어 힌지 회동하는 힌지편(220)과, 상기 고정편(210)과 힌지편(220)을 결합시키는 결합핀(230), 및 힌지편(220)을 회동시키는 탄성 스프링(도 4의 240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편(220)은 결합핀(230)을 회동 중심축으로 하여 회동하며, 집게 구조로 용기(20) 상단부의 플랜지에 결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장착 클립(200)을 조작하여 음식물 조리기구(10)를 뚜껑을 대체하여 용기(20)에 장착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체(3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1 교반날개(400) 및 제2 교반날개(500)를 회전시켜 음식물을 저을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유닛(320)과, 모터유닛(32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330)과, 사용자 조작을 위한 조작유닛(340)과,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회전축(350)을 포함한다. 상기 모터유닛(320)과 제어유닛(330)은 하우징(310)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조작유닛(340)은 일부가 하우징(310) 표면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되 손잡이부(311) 일 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하다. 상기 조작유닛(340)은 온오프와, 상기 제1,2 교반날개(400,500)의 회전속도, 회전시간 등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고, 상기 제어유닛(330)은 상기 조작유닛(340)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유닛(320)의 구동을 제어한다.
상기 회전축(350)은 상기 모터유닛(320)의 구동력으로 회전하면서 제1,2 교반날개(400,500)를 회전시키는 구성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바 형상을 이룬다. 회전축(350)의 상단부는 프레임(100)의 관통홀을 관통하면서 모터유닛(320)에 체결되고, 하단부에는 용기(20)의 내부공간으로 돌출되면서 제1,2 교반날개(400,5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돌기(35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10)은 하단부에 상기 프레임(100)의 결합리브(110)에 대응하는 결합 플랜지(312)를 구비하여 구동체(300)를 프레임(100)에 결합시킨다. 또한, 상기 하우징(310)은 사용자가 쉽게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311)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손잡이부(311)는 하우징(31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하우징(310)과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교반날개(400)는 용기 내에 수용되는 음식물을 젓는 구성으로, 특히, 음식물이 용기의 벽면에 눌어붙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한 제1 교반날개(400)는 회전축(350)에 결합되는 제1 연결부(410)와, 제1 연결부(410)의 단부에 마련되는 수직 날개부(420)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연결부(410)는 일측 단부가 회전축(350)의 결합돌기(351)에 결합되면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타측 단부에 수직 날개부(420)를 형성한다. 상기 수직 날개부(420)는 제1 연결부(410)의 타측 단부에서 수직 방향 하측으로 연장되어 용기의 측벽면을 따라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 교반날개(500)는 용기 내에 수용되는 음식물을 젓는 구성으로, 특히, 음식물이 용기의 바닥면에 눌어붙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한 제2 교반날개(500)는 회전축(350)에 결합되는 제2 연결부(510)와, 제2 연결부(510)의 단부에 마련되는 수평 날개부(520)로 구성된다. 상기 제2 연결부(510)는 상측 단부가 회전축(350)의 결합돌기(351)에 결합되면서 하측의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하측 단부에 수평 날개부(520)를 형성한다. 상기 수평 날개부(520)는 제2 연결부(510)의 하측 단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용기의 바닥면을 따라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도 4 및 도 5는 도 2의 주요부인 제1 교반날개와 제2 교반날개를 각각 나타낸 사시도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제1 교반날개(400)는 회전축(350)을 지지축으로 하여 제1 연결부(410)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수직 날개부(420)가 제1 연결부(410)의 단부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때, 수직 날개부(420)은 외측 날(421)이 용기의 수직 벽면에 거의 일치하도록 연장되고, 수직 날개부(420)의 하측 단부(422)는 제1 연결부(410)에 연결된 상측 단부(423)보다 회전 방향으로 앞서는(leading) 경사를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1 교반날개(400)의 상기 수직 날개부(420)는 음식물이 용기의 벽면에 눌어붙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용기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음식물이 상하 방향으로도 교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제2 교반날개(500)는 회전축(350)을 지지축으로 하여 제2 연결부(510)가 하측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수평 날개부(520)가 제2 연결부(510)의 단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때, 수평 날개부(520)는 하측 날(521)이 용기의 수평 바닥면에 거의 일치하도록 연장되고, 수평 날개부(520)의 상측 날(522)은 하측 날(521)보다 회전 방향으로 뒤서는(lagging) 경사를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2 교반발개(500)의 수평 날개부(520)는 음식물이 용기의 바닥면에 눌어붙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음식물이 상하 방향으로도 교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제1,2 교반날개(400,500)는 동시에 회전하면서 음식물을 교반한다. 특히 수직 날개부(420)는 용기의 측면을 긁듯이 회전하고, 수평 날개부(520)는 용기의 바닥면을 긁듯이 회전하여 음식물이 용기 벽면과 바닥면에 눌어붙는 것을 방지하면서 동시에 음식물이 더욱 잘 섞일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도 2의 주요부인 장착 클립의 길이 가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2의 주요부인 제1,2 교반날개의 길이 가변 구조를 나타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먼저, 도 6은 참조하면, 장착 클립(200)은 프레임(100)의 양 단부에 결합되어 음식물 조리기구(10)를 용기(20)에 장착시키면서 사용자가 쉽게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 기능을 한다. 이러한 장착 클립(200)은 체결 바(250)를 매개로 프레임(100)에 체결되며, 상기 체결 바(250)는 프레임(100)의 체결 홀(120)에 삽입되면서 장착 클립(200)을 프레임(100)에 결합시킨다. 또한, 상기 체결 바(250)는 프레임(100)의 체결 홀(120) 내에서 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길이 단위로 삽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장착 클립(200)이 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프레임(100)에 결합시킨다. 이때, 프레임(100) 또는 장착 클립(200)에는 체결 바(250)의 체결 위치(즉, 장착 클립의 위치)를 고정 또는 해제하기 위한 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조리용기는 한 쌍의 장착 클립(200)에 대한 위치 선택으로 프레임(100)의 길이 방향 폭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크기의 직경을 갖는 용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제1 교반발개(400)는 수직 날개부(420)가 수평 방향의 제1 연결부(410)를 매개로 회전축(350)에 결합되고, 제2 교반날개(500)는 수평 날개부(520)가 수직 방향의 제2 연결부(510)를 매개로 회전축(350)에 결합된다. 이때, 제1 연결부(410) 및 제2 연결부(510)는 회전축(350)의 결합돌기(351)에 대하여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구조를 이룬다. 일 예로, 제1 연결부(410) 및 제2 연결부(51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체결 핀(411,511)을 매개로 각각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결합돌기(351)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수직 날개부(420)와 수평 날개부(520)는 회전축(350)에 대하여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간격 조절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크기의 직경과 깊이를 갖는 용기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있어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 프레임
110 : 결합리브 120 : 체결 홀
200 : 장착 클립
210 : 고정편 220 : 힌지편
230 : 결합핀 240 : 탄성 스프링
250 : 체결 바
300 : 구동체
310 : 하우징 320 : 모터유닛
330 : 제어유닛 340 : 조작유닛
350 : 회전축
400 : 제1 교반날개
410 : 제1 연결부 420 : 수직 날개부
500 : 제2 교반발개
510 : 제2 연결부 520 : 수평 날개부

Claims (3)

  1. 뚜껑을 대신하여 음식물 조리용기에 장착되어 음식물 조리를 보조하기 위한 음식물 조리기구에 있어서,
    조리용기의 상부 개구부를 횡단하는 길이 방향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길이 방향 양 단부에 결합되고, 체결 바를 매개로 상기 프레임의 체결 홀에 삽입 및 인출되면서 상기 프레임을 축으로 길이 방향의 양 단부로 신축 가능하며, 집게 구조로 상기 프레임을 상기 조리용기의 상부 플랜지에 장착 및 고정시키는 한 쌍의 장착 클립;
    상기 프레임의 중앙 상부에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어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유닛,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마련되어 사용자 조작을 위한 조작유닛, 상기 조작유닛의 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 상기 모터유닛에 연결되면서 조리용기 내부로 연장되는 회전축 및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구동체;
    일단부가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조리용기의 벽면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연장되는 제1 연결부와, 상기 제1 연결부의 타단부에 연결되면서 외측 날이 상기 조리용기의 수직 벽면에 일치하도록 수직 벽면을 따라 하측으로 연장되는 수직 날개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 날개부는 하측 단부가 상기 제1 연결부에 연결된 상측 단부보다 회전 방향으로 앞서는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는 제1 교반날개; 및
    일단부가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조리용기의 바닥면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연장되는 제2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의 타단부에 연결되면서 하측 날이 상기 조리용기의 바닥면에 일치하도록 바닥면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는 수평 날개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 날개부의 상측 날은 하측 날보다 회전 방향으로 뒤서는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는 제2 교반날개;를 포함하여,
    상기 구동체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제1 교반날개 및 상기 제2 교반날개가 상기 회전축을 축으로 동시에 회전하면서 각각 조리용기의 벽면 및 바닥면의 음식물을 교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조리기구.
  2. 삭제
  3. 삭제
KR2020170004303U 2017-08-14 2017-08-14 음식물 조리기구 KR2004864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303U KR200486475Y1 (ko) 2017-08-14 2017-08-14 음식물 조리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303U KR200486475Y1 (ko) 2017-08-14 2017-08-14 음식물 조리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6475Y1 true KR200486475Y1 (ko) 2018-06-29

Family

ID=62749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4303U KR200486475Y1 (ko) 2017-08-14 2017-08-14 음식물 조리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475Y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8656B1 (ko) * 2019-05-03 2020-01-08 김영희 경사바닥체 일체형 경사진 볶음기
KR102130727B1 (ko) * 2020-03-30 2020-07-06 주식회사 에스티 자동 회전 조리 용기
KR102193411B1 (ko) * 2019-07-31 2020-12-21 김영희 기름배출이 가능한 경사진 볶음기
CN112401632A (zh) * 2020-10-30 2021-02-26 添可智能科技有限公司 锅铲组件及其控制方法
KR102234272B1 (ko) * 2021-01-29 2021-03-31 주식회사 키친엑스 자동 음식 조리기
KR102243023B1 (ko) * 2020-08-12 2021-04-20 서경찬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
KR102299129B1 (ko) 2021-03-11 2021-09-13 주식회사 아리푸드 음식물 교반 장치
KR102420713B1 (ko) * 2021-02-08 2022-07-1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 조리도구
KR102444247B1 (ko) * 2022-06-29 2022-09-16 주식회사 비에스에프앤씨 소스 교반 장치
KR20230098386A (ko) 2021-12-24 2023-07-04 김도영 자동회전조리뚜껑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02639B1 (en) * 1995-06-07 2003-05-07 WONG, Don Man Stirrer assembly for automated cooking machine
KR200365275Y1 (ko) * 2004-08-02 2004-10-20 차찬열 잼 제조공정에서 편리하게 사용가능한 교반 장치
KR100503442B1 (ko) 2003-06-27 2005-07-22 장익진 회전날개가 구비된 음식물 조리용기
KR100802517B1 (ko) 2006-11-28 2008-02-13 양건태 액상음식물 조리장치
JP3157779U (ja) * 2009-11-13 2010-03-04 富士元工業株式会社 撹拌装置
JP2016030015A (ja) * 2014-07-28 2016-03-07 株式会社カジワラ 攪拌装置及び攪拌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02639B1 (en) * 1995-06-07 2003-05-07 WONG, Don Man Stirrer assembly for automated cooking machine
KR100503442B1 (ko) 2003-06-27 2005-07-22 장익진 회전날개가 구비된 음식물 조리용기
KR200365275Y1 (ko) * 2004-08-02 2004-10-20 차찬열 잼 제조공정에서 편리하게 사용가능한 교반 장치
KR100802517B1 (ko) 2006-11-28 2008-02-13 양건태 액상음식물 조리장치
JP3157779U (ja) * 2009-11-13 2010-03-04 富士元工業株式会社 撹拌装置
JP2016030015A (ja) * 2014-07-28 2016-03-07 株式会社カジワラ 攪拌装置及び攪拌方法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8656B1 (ko) * 2019-05-03 2020-01-08 김영희 경사바닥체 일체형 경사진 볶음기
WO2020226242A1 (ko) * 2019-05-03 2020-11-12 김영희 경사바닥 일체형 경사진 볶음기
KR102193411B1 (ko) * 2019-07-31 2020-12-21 김영희 기름배출이 가능한 경사진 볶음기
KR102130727B1 (ko) * 2020-03-30 2020-07-06 주식회사 에스티 자동 회전 조리 용기
KR102243023B1 (ko) * 2020-08-12 2021-04-20 서경찬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
CN112401632A (zh) * 2020-10-30 2021-02-26 添可智能科技有限公司 锅铲组件及其控制方法
CN112401632B (zh) * 2020-10-30 2023-09-15 添可智能科技有限公司 锅铲组件及其控制方法
KR102234272B1 (ko) * 2021-01-29 2021-03-31 주식회사 키친엑스 자동 음식 조리기
KR102420713B1 (ko) * 2021-02-08 2022-07-1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 조리도구
KR102299129B1 (ko) 2021-03-11 2021-09-13 주식회사 아리푸드 음식물 교반 장치
KR20230098386A (ko) 2021-12-24 2023-07-04 김도영 자동회전조리뚜껑
KR102444247B1 (ko) * 2022-06-29 2022-09-16 주식회사 비에스에프앤씨 소스 교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6475Y1 (ko) 음식물 조리기구
US5533805A (en) Free-standing stirrer appliance
KR101971833B1 (ko)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용기용 뚜껑
US6026735A (en) Self stirring cooking assembly
EP3626337B1 (en) Detachable rib and stir tool for a mixing bowl
KR101131761B1 (ko) 회전국솥의 교반장치
KR200450932Y1 (ko) 다편축 교반 조리장치
JP2008534215A (ja) 交換可能な撹拌装置を有する自己撹拌・加熱・調理組立体
JPH01131823A (ja) 食物混合方法及び装置
GB2322271A (en) Food stirrer for microwave oven
KR101480764B1 (ko) 국솥 혼합장치
KR102243026B1 (ko)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
JP6889465B2 (ja) ミキサー
JP6515390B2 (ja) ミキサーヘッド
CA2924179C (en) Food preparation device with stirring system
KR100648522B1 (ko) 음식 조리용 교반장치
CN210169696U (zh) 一种炒菜器具及集成自动炒菜灶
KR100503442B1 (ko) 회전날개가 구비된 음식물 조리용기
JPH10179427A (ja) 電動調理器
KR200463539Y1 (ko) 가정용 자동 교반 용기
CN210330369U (zh) 带有旋转功能的手持支座式搅拌器
CN217795687U (zh) 一种食品加工器
CN107550333B (zh) 一种多用途打蛋机
KR200379411Y1 (ko) 음식 조리용 교반장치
KR200497839Y1 (ko) 편의성이 개선된 전동식 거품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