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839Y1 - 편의성이 개선된 전동식 거품기 - Google Patents

편의성이 개선된 전동식 거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839Y1
KR200497839Y1 KR2020230002247U KR20230002247U KR200497839Y1 KR 200497839 Y1 KR200497839 Y1 KR 200497839Y1 KR 2020230002247 U KR2020230002247 U KR 2020230002247U KR 20230002247 U KR20230002247 U KR 20230002247U KR 200497839 Y1 KR200497839 Y1 KR 2004978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member
wire
wires
foam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300022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진
김규철
Original Assignee
김명진
김규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진, 김규철 filed Critical 김명진
Priority to KR20202300022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8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8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8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10Egg-whisks; Cream-beaters, i.e. hand implements or hand-driven devices
    • A47J43/1087Whisks or similar tools comprising mixing wires
    • A47J43/1093Whisks or similar tools comprising mixing wires the wires being of the closed-loop type mounted at the end of a shaf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top side
    • A47J2043/04409Apparatus of hand held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202/00Devices having temperature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동식 거품기에 있어서, 모터가 내장설치되어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로 거품기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손잡이(10)와, 상기 손잡이(10)와 연결설치되어 내장설치된 모터에 의해 회전되면서 내용물을 교반시켜 거품이 발생되도록 하는 거품체(20)와, 회전부(14)에 연결설치되어 거품체(20)가 회전되도록 하는 결합부재(30)와, 상기 결합부재(30)에 고정설치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아 하부에 고정설치된 거품체(20)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축(40)과, 회전축(40)과 고정설치되어 회전축(40)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면서 내용물이 교반되어 거품이 발생될 수 있도록 다수의 철사(26)가 서로 교차되어 고정설치되는 철사고정부(50)로 구성되어 전동식 거품기의 다양한 편의기능이 제공됨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내용물을 교반하여 거품이 발생되도록 작동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편의성이 개선된 전동식 거품기{ELECTRIC FOAMER WITH IMPROVED CONVENIENCE}
본 고안은 사용하기 편하도록 기능이 개선된 전동식 거품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조리할 때에 계란이나 밀가루를 교반하여 희석시키거나 반죽하는데 거품기가 널리 사용된다.
거품기는 다수개의 와이어로 이루어진 교반체의 양 단부를 모아서 손잡이에 인셔트시켜 결합한 구성을 가진다. 이때, 와이어는 중간부가 원형으로 절곡될 수 도 있고, 와이어 자체가 직선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대부분의 교반체는 중간부가 원형으로 절곡된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거품기는 사용자가 손잡이를 취부 한 후 용기에 수용된 계란이나 밀가루 등을 교반체로 휘저어 교반하고, 이 과정으로 내용물이 교반될 수 있으며, 내용물의 농도에 따라 반죽이 이루어지거나 거품이 발생될 수도 있다.
종래의 거품기는 단순이 내용물을 교반하는 기능만으로 구성되어 편의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으며, 이를 개선한 전동식 교반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268047호, '거품기'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편의성이 개선된 전동식 거품기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에 따른 본 고안은 전동식 거품기에 있어서, 모터가 내장설치되어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로 거품기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손잡이(10)와, 상기 손잡이(10)와 연결설치되어 내장설치된 모터에 의해 회전되면서 내용물을 교반시켜 거품이 발생되도록 하는 거품체(20)와, 손잡이(10)의 하부에 설치된 회전부(14)에 연결설치되어 거품체(20)가 회전되도록 하는 결합부재(30)와, 상기 결합부재(30)에 고정설치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아 하부에 고정설치된 거품체(20)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축(40)과, 회전축(40)과 고정설치되어 회전축(40)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면서 내용물이 교반되어 거품이 발생될 수 있도록 다수의 철사(26)가 서로 교차되어 고정설치되는 철사고정부(50)로 구성되며, 상기 손잡이(10)는 사용자가 잡은 상태로 사용하는 것임에 따라 사용시 손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주름부(11)가 형성되고, 손잡이(10)의 상부에는 거품체(20)에 의해 교반되는 내용물의 온도를 확인하기 위한 온도표시부(13)가 설치되며, 다수의 철사(26)가 모여지는 하부에는 설치된 철사(26)가 내용물 교반시 벌어지지 않도록 하여 교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철사(26)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22)가 설치되고, 철사고정부(50)에 끼워진 다수의 철사(26)에는 철사고정부(50)에 끼워진 다수의 철사(26)가 흔들리지 않고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다수의 철사(26)가 연결되도록 하는 고정링(23)이 설치되며, 거품체(20)의 회전에 의한 교반시 교반효율을 높이기 위해 개별 철사(26)에는 지지부재(24)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재(24)에는 거품체(20)의 회전시 교반효과가 증대되도록 하는 교반날개(25)가 설치되며, 상기 회전부(14)는, 회전부(14)에 연결설치되는 결합부재(30)의 끼움위치가 자동으로 맞춰질 수 있도록 하면서 회전부(14)의 회전력이 결합부재(30)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끼움턱(15)과, 상기 끼움턱(15)에서 전방으로 돌출형성되어 결합부재(30)가 끼워진 상태로 회전하게 되는 스핀들(16)과, 회전축(40)이 결합부재(30)를 관통하여 끼워지는 회전축끼움홀(18)이 구성되며, 상기 결합부재(30)는, 회전부(14)에 형성된 끼움턱(15)에 맞춤하여 끼워져 결합부재(30)의 결합위치가 자동으로 마춰지게 되는 결합홈(34)과, 회전부(14)와의 결합시 스핀들(16)이 끼워져 회전부(14)와 결합부재(30)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스핀들끼움홀(33)이 구성되며, 스핀들(16)에는 고정핀(32)이 체결되기 위한 끼움구멍(17)이 형성되고 결합부재(30)에도 끼움구멍(31)이 형성되며, 결합부재(30)가 회전부(14)에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핀(32)을 체결하여 결합부재(30)와 회전부(14)를 관통하도록 설치됨으로써 회전부(14)와 결합부재(30)가 고정되며, 상기 회전축(40)에는 결합부재(30)와 스핀들(16)에 끼워지는 깊이가 조절되게 함으로써 결합부재(30)에 설치된 회전축(40)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다수의 길이조절구멍(41)이 형성되며, 상기 철사고정부(50)는, 내측에 하부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는 형태의 수용부(54)가 형성되고, 수용부(54)의 가장자리에는 다수의 철사(26)가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기 위한 철사삽입홈(52)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54)에는 철사삽입홈(53)에 철사(26)가 끼워진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압입하여 철사(26)가 꽉끼이도록 하는 끼움부재(51)가 설치되며, 철사고정부(50)에 끼워진 끼움부재(51)가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역할을 하기 위해 철사고정부(50)의 일측에 띠 형상의 누름홈(55)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고안은 전동식 거품기의 다양한 편의기능이 제공됨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내용물을 교반하여 거품이 발생되도록 작동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식 거품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식 거품기의 분리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식 거품기의 연결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
도 4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식 거품기의 거품체 빠짐방지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거품체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식 거품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이의 분해도이다.
본 고안의 전동식 거품기는 모터가 내장설치되어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로 거품기르르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손잡이(10)와, 상기 손잡이(10)와 연결설치되어 내장설치된 모터에 의해 회전되면서 내용물을 교반시켜 거품이 발생되도록 하는 거품체(20)로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10)는 사용자가 잡은 상태로 사용하는 것임에 따라 사용시 손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주름부(11)가 형성되며, 손잡이(10)를 잡은 상태로 모터의 작동을 ON/OFF 시키기 위한 작동버튼(12)이 설치된다.
손잡이(10)의 상부에는 거품체(20)에 의해 교반되는 내용물의 온도를 확인하기 위한 온도표시부(13)가 설치되며, 거품체(20)의 하단부에 설치된 온도센서(21)에 의해 측정된 교반물의 온도가 실시간으로 표시되어 사용자가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손잡이(10)의 하부에는 연결설치된 거품체(2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부(14)가 설치되며, 모터에 의한 회전력을 전달하여 거품체(20)가 회전되면서 내용물이 교반되는 것이다.
상기 회전부(14)에 거품체(20)가 설치되는 구성을 설명하면, 회전부(14)에 연결설치되어 거품체(20)가 회전되도록 하는 결합부재(30)와, 상기 결합부재(30)에 고정설치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아 하부에 고정설치된 거품체(20)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축(40)과, 회전축(40)과 고정설치되어 회전축(40)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면서 내용물이 교반되어 거품이 발생될 수 있도록 다수의 철사(26)가 서로 교차되어 고정설치되는 철사고정부(50)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부재(30)는 손잡이(10)와 거품체(20)가 연결설치되도록 하여 손잡이(10)에 내장설치된 모터의 회전력이 거품체(20)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회전축(40)은 결합부재(30)에 의해 회전부(14)와 연결설치되며, 모터의 회전력이 결합부재(30)를 통해 회전축(40)에 전달됨으로써 회전축(40)의 하부에 고정설치된 철사고정부(50)를 회전시켜 다수 설치된 철사(26)가 회전되면서 내용물이 교반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다수 설치된 철사(26)는 지그재그 형태로 설치되며, 다수의 철사(26)가 모여지는 하부에는 설치된 철사(26)가 내용물 교반시 벌어지지 않도록 하여 교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철사(26)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22)가 설치될 수 있다.
다수의 철사(26)가 설치된 상태에서 고정되지 않으면 내용물의 교반시 철사(26)가 서로 벌어지거나 흔들릴 수 있들려 한쪽으로 쏠릴 수 있어 교반이 잘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즉, 다수 설치된 철사(26)가 지그재그 형태로 설치된 상태에서 위치가 고정되어어 고르게 교반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며, 이를 위해 본 고안에서는 다수의 철사(26)가 서로 교차되는 하부 지점에 고정부재(22)가 설치됨으로써 다수의 철사(26)를 묶어주는 기능을 함으로써 철사(26)가 벌어지거나 한쪽으로 쏠리지 않아 교반이 잘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고정부재(22)는 다수의 철사(26)가 서로 교차되는 위치가 묶여지도록 하여 고정시키게 되며, 다수의 철사(26)가 서로 벌어지지 않고 묶여져 일측이 고정됨으로써 일체화되어 회전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회전부(14)와 결합부재(30)가 연결설치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전동식 거품기는 모터가 설치된 손잡이(10)와, 내용물을 교반하는 거품체(20)가 분리가능하도록 회전부(14)와 결합부재(30)가 설치됨으로써 전동식 거품기의 세척시 거품체(20)만 분리하여 세척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 회전부(14)는, 회전부(14)에 연결설치되는 결합부재(30)의 끼움위치가 자동으로 맞춰질 수 있도록 하면서 회전부(14)의 회전력이 결합부재(30)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끼움턱(15)과, 상기 끼움턱(15)에서 전방으로 돌출형성되어 결합부재(30)가 끼워진 상태로 회전하게 되는 스핀들(16)이 구성된다.
상기 결합부재(30)는, 회전부(14)에 형성된 끼움턱(15)에 맞춤하여 끼워져 결합부재(30)의 결합위치가 자동으로 마춰지게 되는 결합홈(34)과, 회전부(14)와의 결합시 스핀들(16)이 끼워져 회전부(14)와 결합부재(30)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스핀들끼움홀(33)이 구성된다.
회전부(14)와 결합부재(30)의 결합시 끼움턱(15)에 결합홈(34)이 맞춤하여 끼워짐으로써 회전부(14)의 회전시 끼움턱(15)과 걸림홈이 걸림역할을 하게 되어 회전력이 전달될 수 있으며, 결합부재(30)를 회전부(14)에 끼우는 과정에서 결합홈(34)에 끼움턱(15)이 끼워지도록 결합하면 자동으로 결합부재(30)의 위치가 결정되어 결합이 용이해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끼움턱(15)과 결합홀은 자력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며, 끼움턱(15)과 결합홈(34)에 자석의 인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자석이 배치되게 함으로써 결합부재(30)의 끼움결합시 용이하게 이루이질 수 있도록 한다.
결합부재(30)의 결합홈(34)이 끼움턱(15)에 끼워지면서 결합되면 스핀들(16)은 자연스럽게 스핀들끼움홀(33)에 끼워지면서 회전부(14)와 결합부재(30)의 결합이 완료되며, 결합된 회전부(14)와 결합부재(30)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핀(32)을 체결하게 된다.
스핀들(16)에는 고정핀(32)이 체결되기 위한 끼움구멍(17)이 형성되고 결합부재(30)에도 끼움구멍(31)이 형성되며, 결합부재(30)가 회전부(14)에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핀(32)을 체결하여 결합부재(30)와 회전부(14)를 관통하도록 설치됨으로써 회전부(14)와 결합부재(30)가 분리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결합부재(30)에는 스핀들끼움홀(33)을 통해 끼워져 스핀들(16)에 형성된 회전축(40)끼움홀(18)까지 회전축(40)이 끼워져 설치되며, 회전축(40)에는 결합부재(30)와 스핀들(16)에 끼워지는 깊이가 조절되게 함으로써 결합부재(30)에 설치된 회전축(40)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다수의 길이조절구멍(41)이 형성된다.
회전부(14)와 결합부재(30)를 고정핀(32)에 의해 고정시키는 과정에서 결합부재(30)에 끼워진 회전축(40)의 길이조절구멍(41)에도 고정핀(32)이 관통하여 끼워지게 되며, 그에 따라 회전축(40), 결합부재(30), 회전축(40)이 하나의 고정핀(32)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회전축(40)은 끼워지는 깊이에 따라 길이조절구멍(41)의 위치를 달리함으로써 전체적으로 거품체(20)의 길이조절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즉, 회전축(40)에 다수 형성된 길이조절구멍(41)에 고정핀(32)이 끼워지는 위치가 조절되게 함으로써 내용물에 따라 거품체(20)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철사고정부(50)에 철사(26)가 설치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철사고정부(50)는 다수의 철사(26)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교반물의 교반 후 세척이 용이한 것이다.
이때, 거품체(20)의 세척시 손잡이(10)로부터 분리가 가능함에 따라 거품체(20)를 분리하여 세척하게 되며, 철사(26)까지 모두 분리됨에 따라 세척이 깨끗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철사고정부(50)의 구성을 보면, 내측에 수용부(54)가 형성되고, 수용부(54)의 가장자리에는 다수의 철사(26)가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기 위한 철사삽입홈(52)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54)에는 철사삽입홈(53)에 철사(26)가 끼워진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압입하여 철사(26)가 꽉끼이도록 하는 끼움부재(51)가 설치된다.
철사고정부(50)에 형성된 수용부(54)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철사삽입홈(52)에 철사(26)가 위치한 상태에서 상부에서 끼움부재(51)가 끼워지면서 철사(26)가 수용부(54)의 내측 벽면 사이에 끼이면서 빠지지 않고 고정되며, 이때 끼움부재(51)에도 철사고정부(50)의 철사삽입홈(52)과 동일한 위치에 철사삽입홈(53)이 형성될 수 있다.
끼움부재(51)의 끼움시 끼움부재(51)와 철사고정부(50)에 형성된 철사삽입홈(52)(53)에 철사(26)가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억지끼움형태로 끼워짐으로써 철사(26)가 빠지지 않게 된다.
또한, 수용부(54)는 하부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되고, 수용부(54)에 끼워지는 끼움부재(51) 역시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어 수용부(54)에 끼움부재(51)가 끼워지게 되면 철사(26)가 더욱 강하게 밀착되어 고정됨으로써 철사(26)가 쉽게 철사고정부(50)에서 쉽게 빠지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철사(26)의 세척시에는 수용부(54)에 끼워진 끼움부재(51)를 별도의 기구에 의해 빼내면 철사(26)를 밀어내는 힘에 해제되면서 철사(26)가 자연스럽게 분리됨에 따라 세척시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철사고정부(50)에 끼워진 다수의 철사(26) 하부에는 철사고정부(50)에 끼워진 다수의 철사(26)가 흔들리지 않고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다수의 철사(26)가 연결되도록 하는 고정링(23)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링(23)은 다수의 철사(26)가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링형상으로 철사(26)들이 고정되며, 다수의 철사(26)가 고정링(23)에 의해 묶여지는 형태로 고정됨으로써 내용물의 교반이 철사(26)가 개별적으로 흔들리지 않게 되어 교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철사고정부(50)에 끼워진 끼움부재(51)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철사고정부(50)의 일측에 띠 형상의 누름홈(55)이 형성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앞서 설명하였으며, 철사(26)를 분리하기 위해 끼움부재(51)를 끼우거나 분리가능하도록 구성하였으며, 내용물의 교반시 끼움부재(51)가 빠질 우려가 있음에 따라 이를 방지하기 위해 철사고정부(50)와 끼움부재(51)에는 끼움부재(51)가 철사고정부(50)에서 빠지지 않도록 걸림역할을 하여는 누름홈(55)이 형성된다.
철사고정부(50)에 끼움부재(51)가 끼워진 후 누름홈(55)에 의해 걸림으로써 끼움부재(51)가 쉽게 빠지지 않게 되며, 원형의 띠 형상으로 철사고정부(50)에 누름홈(55)이 형성됨으로써 누름홈(55)이 형성된 위치 내부의 끼움부재(51)는 좀더 강하게 눌려져 빠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거품체(20)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거품체(20)의 회전에 의한 교반시 교반효율을 높이기 위해 개별 철사(26)에는 지지부재(24)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재(24)에는 거품체(20)의 회전시 교반효과가 증대되도록 하는 교반날개(25)가 설치된다.
상기 지지부재(24)는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내용물에 따라 지지부재(24)를 개별 철사(26)에 설치하여 교반날개(25)에 의해 교반이 좀 더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넓은 면적을 갖는 교반날개(25)가 회전됨으로써 내용물의 교반 효과가 증대될 수 있으며, 내용물에 따라 모터의 부하가 발생되는 경우에는 지지부재(24)를 제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본 고안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 및 그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10)-- 손잡이 (11)-- 주름부
(12)-- 작동버튼 (13)-- 온도표시부
(14)-- 회전부 (15)-- 끼움턱
(16)-- 스핀들 (17)-- 끼움구멍
(18)-- 회전축끼움홀
(20)-- 거품체 (21)-- 온도센서
(22)-- 고정부재 (23)-- 고정링
(24)-- 지지부재 (25)-- 교반날재
(26)-- 철사
(30)-- 결합부재 (31)-- 끼움구멍
(32)-- 고정핀 (33)-- 스핀들끼움홈
(34)-- 결합홈
(40)-- 회전축 (41)-- 길이조절구멍
(50)-- 철사고정부 (51)-- 끼움부재
(52)(53)-- 철사삽입홈 (54)-- 수용부
(55)-- 누름홈

Claims (3)

  1. 전동식 거품기에 있어서,
    모터가 내장설치되어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로 거품기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손잡이(10)와,
    상기 손잡이(10)와 연결설치되어 내장설치된 모터에 의해 회전되면서 내용물을 교반시켜 거품이 발생되도록 하는 거품체(20)와,
    손잡이(10)의 하부에 설치된 회전부(14)에 연결설치되어 거품체(20)가 회전되도록 하는 결합부재(30)와,
    상기 결합부재(30)에 고정설치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아 하부에 고정설치된 거품체(20)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축(40)과,
    회전축(40)과 고정설치되어 회전축(40)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면서 내용물이 교반되어 거품이 발생될 수 있도록 다수의 철사(26)가 서로 교차되어 고정설치되는 철사고정부(50)로 구성되며,
    상기 손잡이(10)는 사용자가 잡은 상태로 사용하는 것임에 따라 사용시 손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주름부(11)가 형성되고, 손잡이(10)의 상부에는 거품체(20)에 의해 교반되는 내용물의 온도를 확인하기 위한 온도표시부(13)가 설치되며,
    다수의 철사(26)가 모여지는 하부에는 설치된 철사(26)가 내용물 교반시 벌어지지 않도록 하여 교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철사(26)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22)가 설치되고, 철사고정부(50)에 끼워진 다수의 철사(26)에는 철사고정부(50)에 끼워진 다수의 철사(26)가 흔들리지 않고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다수의 철사(26)가 연결되도록 하는 고정링(23)이 설치되며, 거품체(20)의 회전에 의한 교반시 교반효율을 높이기 위해 개별 철사(26)에는 지지부재(24)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재(24)에는 거품체(20)의 회전시 교반효과가 증대되도록 하는 교반날개(25)가 설치되며,
    상기 회전부(14)는, 회전부(14)에 연결설치되는 결합부재(30)의 끼움위치가 자동으로 맞춰질 수 있도록 하면서 회전부(14)의 회전력이 결합부재(30)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끼움턱(15)과, 상기 끼움턱(15)에서 전방으로 돌출형성되어 결합부재(30)가 끼워진 상태로 회전하게 되는 스핀들(16)과, 회전축(40)이 결합부재(30)를 관통하여 끼워지는 회전축끼움홀(18)이 구성되며,
    상기 결합부재(30)는, 회전부(14)에 형성된 끼움턱(15)에 맞춤하여 끼워져 결합부재(30)의 결합위치가 자동으로 마춰지게 되는 결합홈(34)과, 회전부(14)와의 결합시 스핀들(16)이 끼워져 회전부(14)와 결합부재(30)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스핀들끼움홀(33)이 구성되며,
    스핀들(16)에는 고정핀(32)이 체결되기 위한 끼움구멍(17)이 형성되고 결합부재(30)에도 끼움구멍(31)이 형성되며, 결합부재(30)가 회전부(14)에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핀(32)을 체결하여 결합부재(30)와 회전부(14)를 관통하도록 설치됨으로써 회전부(14)와 결합부재(30)가 고정되며,
    상기 회전축(40)에는 결합부재(30)와 스핀들(16)에 끼워지는 깊이가 조절되게 함으로써 결합부재(30)에 설치된 회전축(40)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다수의 길이조절구멍(41)이 형성되며,
    상기 철사고정부(50)는, 내측에 하부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는 형태의 수용부(54)가 형성되고, 수용부(54)의 가장자리에는 다수의 철사(26)가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기 위한 철사삽입홈(52)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54)에는 철사삽입홈(53)에 철사(26)가 끼워진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압입하여 철사(26)가 꽉끼이도록 하는 끼움부재(51)가 설치되며, 철사고정부(50)에 끼워진 끼움부재(51)가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역할을 하기 위해 철사고정부(50)의 일측에 띠 형상의 누름홈(55)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편의성이 개선된 전동식 거품기
  2. 삭제
  3. 삭제
KR2020230002247U 2023-11-03 2023-11-03 편의성이 개선된 전동식 거품기 KR2004978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30002247U KR200497839Y1 (ko) 2023-11-03 2023-11-03 편의성이 개선된 전동식 거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30002247U KR200497839Y1 (ko) 2023-11-03 2023-11-03 편의성이 개선된 전동식 거품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7839Y1 true KR200497839Y1 (ko) 2024-03-13

Family

ID=90248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30002247U KR200497839Y1 (ko) 2023-11-03 2023-11-03 편의성이 개선된 전동식 거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839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8047Y1 (ko) 2001-11-28 2002-03-15 한성균 거품기
CN206852530U (zh) * 2017-01-24 2018-01-09 黄河水利职业技术学院 一种新型打蛋器
KR20180126994A (ko) * 2017-05-19 2018-11-28 안소연 재료의 온도를 측정하는 거품기
CN115986869A (zh) * 2022-12-13 2023-04-18 浙江百力科技有限公司 厨房手持装置、配件及其使用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8047Y1 (ko) 2001-11-28 2002-03-15 한성균 거품기
CN206852530U (zh) * 2017-01-24 2018-01-09 黄河水利职业技术学院 一种新型打蛋器
KR20180126994A (ko) * 2017-05-19 2018-11-28 안소연 재료의 온도를 측정하는 거품기
CN115986869A (zh) * 2022-12-13 2023-04-18 浙江百力科技有限公司 厨房手持装置、配件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79944B2 (ja) ミキサー装置および方法
JP2012531245A (ja) フードプロセッサ用の汎用ブレードおよびアクセサリ
KR101836790B1 (ko) 재료를 반죽 덩어리로 반죽하기 위한 반죽 장치 및 반죽 공구
EP3164039B1 (en) Household appliance mixing arrangement
CN213371548U (zh) 电动手持搅拌机
JPS6218166B2 (ko)
KR200497839Y1 (ko) 편의성이 개선된 전동식 거품기
US20150223640A1 (en) Whisk with Improved Aeration
JP4183605B2 (ja) ハンドミキサーのアタッチメント
CN210330378U (zh) 搅拌附件以及包括其的烹饪制备的家电设备
JP2013515549A (ja) 攪拌器組立体および攪拌器組立体を持つ台所用品
JP2004267134A (ja) 酢合わせ装置及び舎利切り部材
JP3139114U (ja) ケーキ生地用の撹拌羽根
JP2008259947A (ja) 食品用粉体混合ミキサー
US2014010497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out and agitating blender ingredients
EP0685196A1 (en) Improved manual beater mixer
JP2002238779A (ja) 泡立て器
KR101167275B1 (ko) 수평 탈착 구조를 갖는 착즙기용 반죽용기
US4598874A (en) Sifting device
CN210019066U (zh) 一种搅拌组件及搅拌机
JP2000245631A (ja) 食品攪拌装置
JP2618197B2 (ja) 攪拌装置
US2701132A (en) Stirrer
JP2001017331A (ja) 攪拌装置
CN210330369U (zh) 带有旋转功能的手持支座式搅拌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