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4247B1 - 소스 교반 장치 - Google Patents

소스 교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4247B1
KR102444247B1 KR1020220079639A KR20220079639A KR102444247B1 KR 102444247 B1 KR102444247 B1 KR 102444247B1 KR 1020220079639 A KR1020220079639 A KR 1020220079639A KR 20220079639 A KR20220079639 A KR 20220079639A KR 102444247 B1 KR102444247 B1 KR 102444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rring
gas
sources
hole
inn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9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석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에스에프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에스에프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에스에프앤씨
Priority to KR1020220079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42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4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4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6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bottom sid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top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8Driving mechanisms
    • A47J43/087Driving mechanisms for machines with several driving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23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characterised by the orientation or disposition of the rotor axis
    • B01F27/232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characterised by the orientation or disposition of the rotor axis with two or more rotation axes
    • B01F27/2321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characterised by the orientation or disposition of the rotor axis with two or more rotation axes having different inclinations, e.g. non parall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06Mixing of food ingredi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Seeds, Soups, And Other Foods (AREA)

Abstract

복수의 소스들을 균일하게 섞어줄 수 있는 소스 교반 장치 개시한다.
소스 교반 장치는 복수의 소스를 교반하여 발효 소스를 제작하기 위한 소스 교반 장치로서, 복수의 소스를 내부로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을 가지는 몸체부, 몸체부에 설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내부공간에서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 교반부, 몸체부에 설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내부공간에서 상하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배치되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 교반부, 내부공간으로부터 복수의 소스를 흡인하여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경로를 형성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내부공간과 연통되고 몸체부의 하벽체에 형성되는 제3 교반부 및 제1 교반부 제2 교반부 및 제3 교반부에 각각 전자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 교반부, 제2 교반부 및 제3 교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동을 타이밍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소스 교반 장치{Apparatus for stirring sauce}
본 발명은 소스 교반 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내부에 수용된 복수의 소스들을 균일하게 혼합할 수 있는 소스 교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체 소스는, 소스 재료를 교반기에 투입하고, 교반기를 작동시켜 소스 재료들을 섞음으로써 제조된다. 가정용을 제외한 산업용 소스 교반 장치는 복수의 소스들을 인입받아, 복수의 소스를 섞어주는 장치일 수 있다.
종래의 교반장치는 복수의 블레이드가 회전하며 인입된 복수의 소스를 섞어주었다. 즉, 교반장치의 내부로 인입된 복수의 소스들을 블레이드를 통해 서로 혼합시키고, 복수의 소스가 혼합되며 생성되는 액체 소스를 배출구를 통해 배출하여 액체 소스를 제조하였다.
하지만, 종래의 소스 교반 장치는 내부에 인입된 소스를 원활하게 섞어주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즉, 인입된 소스의 점도가 각각 다르므로, 소스 교반 장치에서 블레이드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중심부의 소스들은 원활하게 섞이지만, 블레이드와 접촉하지 못하는 가장자리 부분의 소스들은 원활하게 섞이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복수의 소스를 교반하더라도, 사용자가 원하는 비율로 복수의 소스들을 섞어주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KR 10-2267071 B1
본 발명은 인입된 복수의 소스들을 균일하게 섞어줄 수 있는 소스 교반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소스들을 작업자가 원하는 비율로 혼합할 수 있는 소스 교반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스 교반 장치는 복수의 소스를 교반하여 발효 소스를 제작하기 위한 소스 교반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소스를 내부로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을 가지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내부공간에서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 교반부;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내부공간에서 상하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배치되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 교반부; 상기 내부공간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소스를 흡인하여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경로를 형성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몸체부의 하벽체에 형성되는 제3 교반부; 및 상기 제1 교반부, 상기 제2 교반부 및 상기 제3 교반부에 각각 전자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교반부, 상기 제2 교반부 및 상기 제3 교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동을 타이밍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3 교반부는, 상기 몸체부의 하벽체의 중앙영역에서 일측으로 치우쳐 상기 하벽체의 상면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1 교반구멍; 상기 몸체부의 측벽체와 연결되는 상기 몸체부의 하벽체의 최외각 영역에서 상기 하벽체의 상면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2 교반구멍; 및 상기 하벽체 내에서 상기 제1 교반구멍과 상기 제2 교반구멍을 서로 연통시키도록 형성되는 교반로; 및 상기 제1 교반구멍으로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 공급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교반구멍은, 상기 하벽체의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복수개로 형성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며, 상기 교반로는, 상기 복수개의 제2 교반구멍을 각각 상기 제1 교반구멍에 연통시키고, 상기 제2 교반구멍에서 상기 제1 교반구멍를 향하여 그 폭이 점점 감소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가스 공급기는, 복수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교반구멍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 교반구멍으로 공급되는 가스의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그 내경이 상기 제1 교반구멍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3 교반부는, 상기 몸체부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그 양측에 한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1 교반부는, 상기 몸체부의 하측에 결합되는 고정바디; 및 상기 고정바디에 상기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고정바디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을 중심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이동바디; 상기 이동바디의 상부에 고정되고, 그 측부에 복수의 함몰홈이 형성되는 제1 교반부재;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된 상기 복수의 소스를 교반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함몰홈에 분리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복수의 제1 윙바디; 상기 제1 교반부재의 상부에 고정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복수의 제1 윙바디와 이격 배치되는 제2 윙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교반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몸체부의 측벽체에서 경사지게 연장된 경사벽체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 교반부재; 상기 경사벽체에 설치되며, 상기 제2 교반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동력부재; 상기 동력부재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2 교반부재로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탱크; 상기 제2 교반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제2 교반부재를 기준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며, 상기 가스탱크로부터 가스를 공급받아 상기 내부공간으로 가스를 분사할 수 있도록 복수의 분사노즐을 구비하는 제3 윙바디; 상기 제2 교반부재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2 교반부재를 기준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며, 상기 제3 윙바디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며, 상기 가스탱크로부터 가스를 공급받아 상기 내부공간으로 가스를 분사할 수 있도록 복수의 분사노즐을 구비하는 제4 윙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윙바디 및 상기 제2 윙바디와 상기 제3 윙바디 및 상기 제4 윙바디가 각각 한 세트로 교대로 구동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바디와 상기 동력부재를 제어한다.
상기 고정바디는, 그 상부에 상기 이동바디가 결합되며, 상기 이동바디를 상기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구동실린더; 상기 구동실린더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상하방향을 회전 중심축으로 하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회전기어; 그 외주면에 기어이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실린더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회전기어에 치합되는 제2 회전기어; 및 상기 제2 회전기어에 동축상으로 결합되는 회전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윙바디는, 각각 상하방향으로 그 위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고, 그 외측 단부를 향하여 곡률을 가지며, 그 외측 단부를 향하여 두께가 얇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윙바디는, 그 외주면에 복수개의 산부와 골부가 교대로 배열되는 요철구조를 가지고, 상기 요철 구조는, 상기 제1 교반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상기 산부의 길이가 점점 길게 형성되며, 상기 가스탱크는, 가스가 저장되기 위한 공간을 가지는 가스 저장고; 상기 가스 저장고의 공간에 연통되고, 상기 제2 교반부재의 내부에 삽입되는 제1 배관; 상기 제1 배관에서 분기되고, 상기 제3 윙바디 및 상기 제4 윙바디의 내부에 삽입되는 제2 배관; 및 상기 제2 배관에서 분기되고, 각각이 상기 복수의 분사노즐에 연결되는 보굿의 제3 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배관 내지 상기 제3 배관은, 상기 가스가 상기 복수의 분사노즐로 공급되는 경로를 따라 그 내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교반부는, 상기 제1 윙바디를 상기 제1 교반부재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교반부재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 윙바디를 고정시킬 수 있는 조립부재; 상기 제1 윙바디의 일단에 설치되는 제1 교정부재; 및 상기 제1 윙바디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 설치되는 제2 교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립부재는, 상기 제1 교정부재가 이동하는 경로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1 교정부재와 결합 가능한 제1 연결체; 및 상기 제2 교정부재가 이동하는 경로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2 교정부재와 결합 가능한 제2 연결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체는, 상기 제1 교정부재 혹은 상기 제1 교정부재가 제1 윙바디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는 경로를 향하여 전후진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체가 전진하면 제1 교정부재에 연결되고, 후진하면 상기 제1 교정부재와 분리되며, 상기 제2 연결체는, 상기 제2 교정부재 혹은 상기 제2 교정부재가 제1 윙바디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는 경로를 향하여 전후진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연결체가 전진하면 제2 교정부재와 연결되고, 후진하면 제2 교정부재와 분리되며, 상기 제2 교반부는, 상기 교반부재, 상기 제3 윙바디 및 상기 제4 윙바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며,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된 복수의 소스에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초음파 발생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교반부와 상기 제3 교반부를 동시에 구동시키고, 상기 제2 교반부를 상기 제1 교반부와 상기 제3 교반부의 구동 종료 후 구동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입된 복수의 소스들을 모두 혼합시킬 수 있다. 이에, 소스 교반 장치 내부에서 혼합되지 않는 소스가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소스들을 혼합시키는 날개부재를 선택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이에, 날개부재가 파손되더라도 날개부재를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소스에 이물질이 포함될 경우, 초음파를 이용하여 내부의 이물질들을 플로팅시켜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스 교반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교반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교반부의 일예 및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윙바디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바디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교반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3 교반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스 교반 장치는 그 내부에 수용된 복수의 소스를 서로 혼합하는 장치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스 교반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교반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윙바디의 일예 및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윙바디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바디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교반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3 교반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하기에서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스 교반 장치(100)의 구조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스 교반 장치(100)는 복수의 소스(S)를 교반하여 발효 소스를 제작하기 위한 장치로서, 복수의 소스(S)를 내부로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111)을 가지는 몸체부(110), 몸체부(110)에 설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내부공간(111)에서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 교반부(120), 몸체부(110)에 설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내부공간(111)에서 상하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배치되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 교반부(130), 내부공간(111)으로부터 복수의 소스(S)를 흡인하여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경로를 형성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내부공간(111)과 연통되고 몸체부의 하벽체에 형성되는 제3 교반부(140) 및 제1 교반부(120)와 제2 교반부(130) 및 제3 교반부(140)에 각각 전자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 교반부(120)와 제2 교반부(130) 및 제3 교반부(1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타이밍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10)는 내부공간(111)을 형성하며, 내부로 복수의 소스(S)를 수용할 수 있다. 몸체부(110)는 바닥면을 형성하는 하벽체(112), 하벽체(112)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측벽체(113) 및 측벽체(113)에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벽체(11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10)는 하벽체(112)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보조바디몸체(1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바디몸체(116)에는 그 내부에 후술되는 고정바디(121)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10)의 측벽체(113)에는 복수의 소스(S)가 혼합되어 형성되는 발효 소스가 배출될 수 있는 배출노즐(115)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하벽체(112)에는 후술되는 제3 교반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교반부(120)는 몸체부(110)에 설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내부공간(111)에서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교반부(120)는 적어도 일부가 내부공간(111)에서 회전되며, 내부공간(111)에 수용된 복수의 소스(S)를 혼합시킬 수 있다. 제1 교반부(120)는 고정바디(121), 이동바디(122), 제1 교반부재(123), 제1 윙바디(124) 및 제2 윙바디(125)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바디(121)는 보조바디몸체(116)에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고정바디(121)는 그 내부에 이동바디(122)가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구동실린더(121a)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고정바디(121)는 구동실린더(121a)의 외주면을 따라 상하방향을 회전 중심축으로 하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회전기어(121b)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고정바디(121)는 구동실린더(121a)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그 외주면에 기어이를 형성하며 제1 회전기어(121b)에 치합되는 제2 회전기어(121c)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고정바디(121)는 제2 회전기어(121c)에 동축상으로 결합되는 회전모터(121d)를 구비할 수 있다.
이동바디(122)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바디(121)의 구동실린더(121a)에 결합될 수 있다. 이동바디(122)는 구동실린더(121a)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제1 회전기어(121b), 제2 회전기어(121c) 및 회전모터(121d)에 의해 자전할 수 있다.
제1 교반부재(123)가 이동바디(122)의 상부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교반부재(123)는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회전축일 수 있다. 제1 교반부재(123)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단부에 제2 윙바디(125)가 설치되고, 그 하단부가 구동실린더(121a)에 연결되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1 교반부재(123)의 둘레에는 제1 윙바디(124) 각각이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함몰홈(123a)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윙바디(124)의 일부분이 함몰홈(123a)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져 제1 교반부재(123)에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함몰홈(123a)은 방사형으로 배치될 수 있고, 제1 윙바디(124)도 각 함몰홈(123a)에 끼워져 방사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제1 윙바디(124) 중 어느 하나가 파손되면 파손된 제1 윙바디(124)만 분리하여 교체하거나 수리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제1 윙바디(124)는 그 단부를 향하여 폭이 감소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 3(b)를 참조하면, 제1 교반부(120)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제1 윙바디(124)는 제1 윙바디(124)는 평면상으로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윙바디(124)가 평면상으로 볼록하게 또는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1 윙바디(124)의 볼록한 부분 또는 오목한 부분이 복수의 소스를 밀어내면서 서로 혼합시키기 때문에, 복수의 소스를 더 효과적으로 혼합시킬 수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변형예에 따른 제1 교반부(120)는 제1 윙바디(124)를 제1 교반부재(123)에서 분리시키도록 제1 교반부재(123)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1 윙바디(124)를 고정시킬 수 있는 조립부재(1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교반부(120)는 제1 윙바디(124)의 일단에 설치되는 제1 교정부재(127), 및 제1 윙바디(124)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 설치되는 제2 교정부재(128)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조립부재(126)는, 제1 교정부재(127)가 이동하는 경로로 이동가능하고 제1 교정부재(127)와 결합 가능한 제1 연결체(126a), 및 제2 교정부재(128)가 이동하는 경로로 이동가능하고 제2 교정부재(128)와 결합 가능한 제2 연결체(126b)를 포함한다.
제1 연결체(126a)는 제1 교정부재(127) 또는 제1 교정부재(127)가 제1 윙바디(124)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는 경로를 향하여 전후진할 수 있으며, 제1 연결체(126a)가 전진하면 제1 교정부재(127)와 연결되고, 후진하면 제1 교정부재(127)와 분리될 수 있다. 제2 연결체(126b)는 제2 교정부재(128) 또는 제2 교정부재(128)가 제1 윙바디(124)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는 경로를 향하여 전후진할 수 있으며, 제2 연결체(126b)가 전진하면 제2 교정부재(128)와 연결되고, 후진하면 제2 교정부재(128)와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반작업업을 수행할 때는 제1 연결체(126a)와 제2 연결체(126b)를 후진시켜 제1 윙바디(124)의 회전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1 윙바디(124)를 교체하거나 수리할 때는 제1 연결체(126a)와 제2 연결체(126b)를 전진시켜 제1 교반부재(123)에서 제1 윙바디(124)를 분리할 수 있다.
제1 교정부재(127)는 제1 윙바디(124)의 끝단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교정부재(127)에는 제1 연결체(126a)의 돌출부가 삽입될 수 있는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1 연결체(126a)가 전진하면 제1 연결체(126a)의 돌출부가 제1 교정부재(127)의 결합홈에 삽입되어 끼움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교정부재(127)와 제1 연결체(126a)가 결합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제2 교정부재(128)는 제1 윙바디(124)의 일단과 타단 사이 또는 제1 윙바디(124)의 중심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교정부재(128)에는 제2 연결체(126b)의 돌출부가 삽입될 수 있는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2 연결체(126b)가 전진하면 제2 연결체(126b)의 돌출부가 제2 교정부재(128)의 결합홈에 삽입되어 끼움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제2 교정부재(128)와 제2 연결체(126b)가 결합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연결체(126a)와 제2 연결체(126b)는 제1 윙바디(124)들이 교반작업시 회전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경로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제1 연결체(126a)와 제2 연결체(126b)를 전진시킨 상태에서 제1 윙바디(124)들을 역회전시키면 제1 윙바디(124)에 설치된 제1 교정부재(127)의 결합홈에 제1 연결체(126a)가 자동으로 끼워지고, 제2 교정부재(128)의 결합홈에 제2 연결체(126b)가 자동으로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제1 교정부재(127)가 제1 연결체(126a)에 결합되고 제2 교정부재(128)가 제2 연결체(126b)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 교반부재(123)를 역회전시키면, 제1 교반부재(123)는 회전하고, 제1 윙바디(124)는 조립부재(126)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제1 교반부재(123)에 끼움결합되었던 제1 윙바디(124)가 제1 교반부재(123)에서 분리될 수 있다.
제1 교반부재(123)에서 분리된 제1 윙바디(124)를 조립부재(126)로 지지한 상태에서 제1 교반부재(123)를 정회전시키면, 제1 교반부재(123)가 회전하면서 제1 윙바디(124)가 제1 교반부재(123)에 끼워질 수 있다. 제1 윙바디(124)가 제1 교반부재(123)에 끼워져 회전하면, 제1 교정부재(127)의 결합홈에서 제1 연결체(126a)가 빠져 분리되고, 제2 교정부재(128)의 결합홈에서 제2 연결체(126b)가 빠져 자동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에, 제1 윙바디(124)를 제1 교반부재(123)에 용이하게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고, 제1 윙바디(124)를 수리하거나 교체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제2 윙바디(125)는 제1 교반부재(123)의 상부에 고정되고, 적어도 일부가 복수의 제1 윙바디(124)와 이격 배치되는 제2 윙바디(1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윙바디(125)는 회전축(125a) 및 블레이드(125b)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125a)은 제1 교반부재(123)의 상부에 고정되어 형성되며,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회전축(125a)은 실린더로 마련되어, 상하방향을 따라 신장수축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블레이드(125b)는 회전축(125a)의 상부에 고정될 수 있다. 블레이드(125b)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다각형, 원형, 타원형 등 다양한 형태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는 블레이드(125b)가 상광하협 형태의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블레이드(125b)에서 회전축(125a)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회전축(125a)의 회전방향을 따라 회전하여 복수의 소스와 접촉하는 면을 전면(前面)(125ba)이라 하고, 그 반대쪽 면을 후면(後面)(125bb)이라 한다. 그리고 블레이드(125b)에서 전면(125ba)과 후면(125bb)이 이어지는 상부측을 상부면이라 하고, 그 하부측을 하부면이라 한다.
블레이드(125b)의 전면(125ba)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요철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전면(125ba)은 복수의 소스를 교반할 때 복수의 소스와 접촉하여 복수의 소스를 회전축(125a)의 회전방향으로 밀어내는 것으로서, 전면(125ba)과 복수의 소스와의 접촉에 의해 복수의 소스가 교반된다. 이때, 전면(125ba)의 면적이 넓은 경우 복수의 소스와의 접촉면적이 증가하여 복수의 소스의 교반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요철구조는 블레이드(125b)의 전면(125ba)에 걸쳐 형성되어 전면(125ba)의 표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소스를 교반할 때 요철구조가 형성되어 전면(125ba)의 표면적이 증가된 블레이드(125b)는 복수의 소스를 모아서 밀어내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어 교반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요철구조는 복수 개의 골부(125bc)와 산부(125bd)가 반복해서 배열되어 형성되며, 골부(125bc)와 산부(125bd)는 회전축(125a)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 즉 전면(125ba)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벨로우즈 형상을 이룰 수 있다. 골부(125bc)와 산부(125bd)는 그 단면 형상이 첨부(添附)를 가지며 형성될 수도 있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곡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에는 블레이드(125b)를 상부측에서 보았을 때 전자의 경우에는 전면(125ba)이 톱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후자의 경우에는 전면(125ba)이 웨이브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요철구조를 형성하는 복수의 산부(125bd)는 높이가 동일할 수도 있지만,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블레이드(125b)에서 회전축(125a)에 인접한 내측보다 래들의 내벽에 인접하는 외측으로 갈수록 산부(125bd)의 높이가 증가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블레이드(125b)의 전면(125ba)에 형성되는 산부(125bd)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복수의 소스의 교반 시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은 산부(125bd)가 위치하는 영역에서 복수의 소스와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여 복수의 소스의 교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교반부(130)는 몸체부(110)에 설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내부공간(111)에서 상하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배치되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교반부(130)는 내부공간(111)의 상측 영역의 복수의 소스를 교반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교반부(130)는 제2 교반부재(131), 동력부재(132), 가스탱크(133), 제3 윙바디(134) 및 제4 윙바디(135)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제2 교반부(130)는 복수의 소스 내부의 이물질을 그 상부로 띄우기 위한 초음파 발생부재(1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교반부재(131)는 적어도 일부가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몸체부의 측벽체(113)에서 경사지게 연장된 경사벽체(114)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 수 있다.
동력부재(132)는 경사벽체(114)에 설치되며, 제2 교반부재(131)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가스탱크(133)는 동력부재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2 교반부재로 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 가스탱크(133)는 가스가 저장되는 가스 저장고(미도시), 제1 배관(133a), 복수의 밸브(133b), 제2 배관(133c) 및 제3 배관(133d)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배관(133a)은 제2 교반부재(131)의 내부에 설치되며, 가스탱크(133)에 연결될 수 있다. 밸브(133b)는 제1 배관(133a)에 설치될 수 있으며, 후술되는 제2 배관(133c)과 제1 배관(133a)이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배관(133c)은 후술되는 제3 윙바디(134) 및 제4 윙바디(135)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3 배관(133d)은 제2 배관(133c)과 복수의 노즐(134a,135a)을 연결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 배관(133a) 내지 제3 배관(133d)는 가스가 공급되는 방향(즉, 제1 배관(133a)에서 제2 배관(133c) 및 제3 배관(133d)을 향하는 방향)으로 그 내경이 점차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일반적으로, 공기는 압력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체는 통과하는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은 곳에서는 속도가 감속하고, 통과하는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좁은 곳에서는 속도가 증가한다. 압력과 속도 사이의 관계를 알려주는 베르누이 정리(Bernouli's law)를 통해 알 수 있듯, 유체의 속도가 증가하면 압력이 낮아지고, 반대로 속도가 증가하면 압력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즉, 내경의 길이가 길수록 통과하는 유체의 속도가 감소하고 내부 압력이 높을 수 있고, 내경의 길이가 짧을수록 통과하는 유체의 속도가 증가하고 내부 압력이 낮아질 수 있다.
이로부터, 제1 배관(133a)에서 제3 배관(133d)을 향하여 그 내경이 점점 짧게 형성되므로, 복수의 분사노즐(134a,135a)) 쪽으로(즉, 가스가 분사되는 방향으로) 압력을 점차적으로 낮게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복수의 분사노즐(134a,135a)에서 가스의 흐름이 가속화될 수 있고, 분사노즐(134a,135a)에서 분사되는 가스의 속도가 증가됨에 따라, 분사노즐(134a,135a)에서 더 강하게 가스를 분사할 수 있다. 따라서, 후술되는 제3 윙바디(134) 및 제4 윙바디(135)에서 가스의 분사 속도 및 세기가 증가함에 따라, 제2 교반부(130)가 내부공간(111)의 복수의 소스(S)를 더 효과적으로 교반할 수 있다.
제3 윙바디(134)는 제2 교반부재(131)에 결합되고, 제2 교반부재(131)를 기준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며, 가스탱크(133)로부터 가스를 공급받아 내부공간(111)으로 가스를 분사할 수 있도록 복수의 분사노즐(134a)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윙바디(134)는 예컨데, 4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제2 교반부재(131)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4 윙바디(135)는 제2 교반부재(131)의 단부에 결합되고, 제2 교반부재(131)를 기준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며, 제3 윙바디(134)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며, 가스탱크(133)로부터 가스를 공급받아 내부공간(111)으로 가스를 분사할 수 있도록 복수의 분사노즐(135a)을 구비할 수 있다. 예컨데, 제4 윙바디(135)는 4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제2 교반부재(131)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초음파 발생부재(136)는 제2 교반부재(131)의 단부에 설치되며, 내부공간(111)에 수용된 복수의 소스(S)에 초음파 진동력을 부여할 수 있다. 초음파 발생부재(136)가 제2 교반부(130)가 복수의 소스(S) 교반시 초음파를 발생시켜 강력한 에너지를 방출 및 그 충격파에 의해 복수의 소스에 함유된 미세한 이물질을 그 상면으로 플로팅시킬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몸체부(110) 상부의 개구를 통해 복수의 소스 상면에 플로팅된 이물질들을 제거할 수 있다.
제3 교반부(140)는 내부공간(111)으로부터, 복수의 소스(S)를 흡인하여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경로를 형성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내부공간(111)과 연통되고 몸체부(110)의 하벽체(112)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3 교반부(140)는 내부공간(111)의 가장자리부분의 복수의 소스(S)들이 교반되도록 할 수 있다. 제3 교반부(140)는 몸체부(110)의 하벽체(112)에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110)의 내부공간(111)의 하부 외측에서 복수의 소스(S)를 흡인하여 순환시키기 위한 경로를 형성하도록 제3 교반부(140)를 형성한다. 여기서, 몸체부(110)의 내부공간(111)의 하부 외측에서 흡인된 복수의 소스(S)는 제3 교반부(140)를 통과하여 내부공간(111)으로 방출되어 순환된다. 이와 같은 제3 교반부(140) 내에서의 복수의 소스(S)의 이동에 따라 몸체부(110)의 내부공간(111)에 수용된 복수의 소스(S)는 내부공간(111)의 가장자리 영역으로부터 흡인되어, 불활성 가스의 유량을 증가시키지 않고서도 용강의 정체 영역(P)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3 교반부(140)는 몸체부(110)의 내부공간(111)의 하부 외측에서 내부공간(111)으로부터 복수의 소스(S)를 흡인하여 순환시키는 경로를 형성한다. 여기서, 제3 교반부(140)는 내부공간(111)의 하부 외측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3 교반부(140)는 적어도 일부가 하벽체(112)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3 교반부(140)는 하벽체(112)를 관통하여 몸체부(110)의 하부로 연장되는 배관 등에 의하여 일부가 하벽체(112)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3 교반부(140)는 하벽체(112)의 중심 영역과 가장자리 영역에서 몸체부(110)의 내부공간(111)과 연통될 수 있다. 여기서, 중심 영역이라 함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몸체부(110)의 중심축으로부터 소정 길이의 반경 내의 영역을 의미하며, 가장자리 영역이라 함은 상기 중심 영역의 외측으로 몸체부(110)의 측벽체(113)까지의 반경 내의 영역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중심 영역은 몸체부(110)의 측벽체(113)들 사이의 중심부 영역일 수 있으며, 가장자리 영역은 중심 영역의 외측으로 몸체부(110)의 측벽체(113)에 인접한 영역일 수 있다. 이때, 중심 영역에 위치하는 내부공간(111)의 일부를 내부공간(111)의 중심 영역, 가장자리 영역에 위치하는 내부공간(111)의 일부를 내부공간(111)의 가장자리 영역으로 정의하고, 중심 영역에 위치하는 하벽체(112)의 일부를 하벽체(112)의 중심 영역, 가장자리 영역에 위치하는 하벽체(112)의 일부를 하벽체(112)의 가장자리 영역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제3 교반부(140)가 하벽체(112)의 중심 영역과 가장자리 영역에서 몸체부(110)의 내부공간(111)과 연통되기 위하여, 제3 교반부(140)는 상기 하벽체(112)의 중심 영역에서 상기 하벽체(112)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깊이로 함입되어 형성되는 제1 교반구멍(141), 하벽체(112)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상기 하벽체(112)의 하면으로부터 소정 깊이로 함입되어 형성되는 제2 교반구멍(142) 및 하벽체(112) 내에서 상기 제1 교반구멍(141)과 상기 제2 교반구멍(142)을 서로 연통시키는 교반로(14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교반구멍(141) 및 제2 교반구멍(142)은 하벽체(112)의 상면으로부터 하벽체(112)의 두께의 약 1/3의 이내의 깊이로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교반로(143)는 제1 교반구멍(141) 및 제2 교반구멍(142)의 하단에서 하벽체(112)의 두께의 약 1/3의 이내의 높이를 가지며 연장되어 제1 교반구멍(141) 및 제2 교반구멍(142)을 서로 연통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벽체(112)는 두께를 가지는 원판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소스(S)과 접촉하는 하벽체(112)의 일면은 하벽체(112)의 상면을 형성하고, 외부로 노출되는 하벽체(112)의 일면은 하벽체(112)의 하면을 형성한다. 이때, 제1 교반구멍(141)은 하벽체(112)의 중심 영역에서 하벽체(112)의 상면으로부터 하벽체(112)를 관통하지 않는 깊이로 하부로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교반구멍(141)은 중심축 상의 하벽체(112)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중심축을 중심으로 복수의 소스(S)를 대칭적으로 교반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스 공급기(144)는 제1 교반구멍(141)에 가스를 공급하는 바, 부력에 의하여 상승하는 가스에 의하여 제1 교반구멍(141) 내의 복수의 소스(S)는 내부공간(111)으로 방출되어 상승 기류를 형성한다.
제2 교반구멍(142)은 하벽체(112)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하벽체(112)의 상면으로부터 하벽체(112)를 관통하지 않는 깊이로 하부로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교반구멍(142)은 몸체부(110)의 측벽체(113)와 연결되는 하벽체(112)의 최외곽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소스(S)는 내부 공간의 가장자리 영역 하부에서 정체 영역을 형성하는 바, 복수의 소스(S)이 가장 약한 기류를 형성하는 하벽체(112)의 최외곽 영역에 제2 교반구멍(142)을 형성함으로써 정체 영역의 형성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제1 교반구멍(141) 내의 복수의 소스(S)이 내부공간(111)으로 방출되면 제2 교반구멍(142) 내의 복수의 소스(S)는 제1 교반구멍(141) 내에서 복수의 소스(S)이 유출된 공간을 채우기 위하여 교반로(143)를 경유하여 제1 교반구멍(141) 내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2 교반구멍(142) 내에서 복수의 소스(S)이 유출된 공간은 내부공간(111)의 가장자리 영역에 위치하는 복수의 소스(S)에 의하여 채워지게 되며, 이에 의하여 내부공간(111)의 가장자리 영역에 위치하는 복수의 소스(S)는 제2 교반구멍(142) 내로 흡인되어 하강 기류를 형성한다.
제2 교반구멍(142)은 하벽체(112)의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교반구멍(142)은 내부공간(111)의 가장자리 영역에 위치하는 복수의 소스(S)를 흡인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제2 교반구멍(142)를 복수 개로 형성함으로써 내부공간(111)의 가장자리 영역에 위치하는 복수의 소스(S)는 전체적으로 제3 교반부(140) 내로 흡인될 수 있게 된다. 이때, 복수 개의 제2 교반구멍(142)은 하벽체(112)의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위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 교반구멍(142)에 의하여 내부공간(111)의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위치하는 복수의 소스(S)는 각각의 제2 교반구멍(142)로 균일하게 흡인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2 교반구멍(142)이 하벽체(112)의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3개로 형성되는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제2 교반구멍(142)은 2개 또는 4개 이상의 다양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교반로(143)는 하벽체(112) 내에서 상기 제1 교반구멍(141)과 제2 교반구멍(142)을 서로 연통시킬 수 있다. 여기서, 교반로(143)는 상승 기류를 형성하는 제1 교반구멍(141)과 하강 기류를 형성하는 제2 교반구멍(142)을 연결하여 내부공간(111)과 함께 복수의 소스(S)를 순환시키기 위한 경로를 형성하게 된다. 교반로(143)는 제1 교반구멍(141) 및 제2 교반구멍(142)에서 복수의 소스(S)이 순환되지 않고 잔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벽체(112)의 내부에서 제1 교반구멍(141)의 하단부와 제2 교반구멍(142)의 하단부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교반구멍(142)이 하벽체(112)의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경우, 교반로(143)는 복수 개의 제2 교반구멍(142)의 하단부를 각각 제1 교반구멍(141)의 하단부에 연통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스 공급기(144)는 제3 교반부(140)에 질소 또는 아르곤 등의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도록 제3 교반부(140)의 적어도 일측에 설치된다. 여기서, 가스 공급기(144)는 하벽체(112)의 중심 영역에 형성되는 제1 교반구멍(141)에 가스를 공급할 수 있으며, 제3 교반부(140)가 하벽체(112) 내에 형성되는 경우, 가스 공급기(144)는 가스를 공급하는 단부가 상기 제1 교반구멍(141)에 노출되도록 하벽체(112) 내에 적어도 일부가 매립되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가스 공급기(144)는 제1 교반구멍(141)의 하부에서 하벽체(112)를 관통하는 다공성 플러그를 포함하거나, 제1 교반구멍(141)의 하부에서 하벽체(112)를 관통하여 제1 교반구멍(141)로 연장되는 관 형상의 노즐을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나, 제1 교반구멍(141)의 하부에 다공성 플러그를 배치하는 경우, 다공성 플러그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의 일부가 교반로(143)를 통하여 제2 교반구멍(142)로 공급됨으로써 역 방향의 기류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1 교반구멍(141)의 하부에 관 형상의 노즐이 배치되는 경우에도 동일하다. 또한, 이와 같은 역 방향의 기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1 교반구멍(141)의 하부에 배치되는 관 형상의 노즐을 교반로(143)의 상부로 연장하여 형성하는 경우 고온의 복수의 소스(S)에 의하여 노즐의 연장된 부분이 손상될 수 있게 된다. 이에, 가스 공급기(144)는 제1 교반구멍(141)의 측방에서 제1 교반구멍(141)에 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 즉, 가스 공급기(144)는 가스를 공급하는 단부, 예를 들어 가스 분사구가 제1 교반구멍(141)의 내벽에 형성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가스 공급기(144)는 용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스 분사구만이 제1 교반구멍(141)의 내벽으로 노출되도록 하벽체(112) 내에 적어도 일부가 매립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스 공급기(144)의 가스 분사구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스 공급기(144)의 가스를 공급하는 단부에는 복수 개의 노즐이 연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복수 개의 노즐에 각각 형성되는 가스 분사구는 제1 교반구멍(141)의 내벽에 방사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가스 분사구가 제1 교반구멍(141)의 일 내벽에서 형성되어 제1 교반구멍(141)의 측방에서 가스를 공급하는 경우, 제1 교반구멍(141) 내의 복수의 소스(S)는 가스가 공급되는 방향으로 치우쳐서 상승 기류를 형성하게 된다. 이에, 제1 교반구멍(141)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안정적인 상승 기류를 형성하기 위하여 가스 분사구는 제1 교반구멍(141)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가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제1 교반구멍(141)에 가스를 공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복수 개의 가스 분사구는 제1 교반구멍(141)의 둘레를 따라 동일한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3 교반부(140)는 몸체부(11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그 양측에 한쌍으로 마련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제어부(미도시)는 제1 교반부(120), 제2 교반부(130) 및 제3 교반부(140)에 각각 전자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 교반부(120), 제2 교반부(130) 및 제3 교반부(1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동을 타이밍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복수의 제1 윙바디(124), 복수의 제2 윙바디(125)와 제3 윙바디(134) 및 제4 윙바디(135)가 각각 한 세트로 교대로 구동될 수 있도록, 이동바디(122)와 동력부재(132)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제1 교반부(120)와 제3 교반부(140)를 동시에 구동시키고, 제2 교반부(130)를 제1 교반부(120)와 제3 교반부(140)의 구동 종료 후 구동시킬 수 있다.
하지만, 제어부는 내부공간(111)의 복수의 소스(S)가 서로 원활하게 혼합될 수 있도록, 제1 교반부(120) 내지 제3 교반부(140)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음이 자명하다.
이처럼, 인입된 복수의 소스들을 모두 혼합시킬 수 있다. 이에, 소스 교반 장치 내부에서 혼합되지 않는 소스가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소스들을 혼합시키는 날개부재를 선택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이에, 날개부재가 파손되더라도 날개부재를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소스에 이물질이 포함될 경우, 초음파를 이용하여 내부의 이물질들을 플로팅시켜 제거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소스 교반 장치 110: 몸체부
120: 제1 교반부 130: 제2 교반부
140: 제3 교반부 S: 복수의 소스

Claims (3)

  1. 복수의 소스를 교반하여 발효 소스를 제작하기 위한 소스 교반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소스를 내부로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을 가지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내부공간에서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 교반부;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내부공간에서 상하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배치되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 교반부;
    상기 내부공간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소스를 흡인하여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경로를 형성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내부공간으로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공급기를 구비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몸체부의 하벽체에 형성되는 제3 교반부; 및
    상기 제1 교반부, 상기 제2 교반부 및 상기 제3 교반부에 각각 전자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교반부, 상기 제2 교반부 및 상기 제3 교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동을 타이밍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소스 교반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 교반부는,
    상기 몸체부의 하벽체의 중앙영역에서 일측으로 치우쳐 상기 하벽체의 상면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되며, 상기 가스공급기에서 가스를 공급받는 제1 교반구멍;
    상기 몸체부의 측벽체와 연결되는 상기 몸체부의 하벽체의 최외각 영역에서 상기 하벽체의 상면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2 교반구멍;
    상기 하벽체 내에서 상기 제1 교반구멍과 상기 제2 교반구멍을 서로 연통시키도록 형성되는 교반로; 및
    상기 제2 교반구멍은, 상기 하벽체의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복수개로 형성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며,
    상기 교반로는, 상기 복수개의 제2 교반구멍을 각각 상기 제1 교반구멍에 연통시키고, 상기 제2 교반구멍에서 상기 제1 교반구멍를 향하여 그 폭이 점점 감소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가스 공급기는, 복수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교반구멍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 교반구멍으로 공급되는 가스의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그 내경이 상기 제1 교반구멍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소스 교반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3 교반부는, 상기 몸체부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그 양측에 한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1 교반부는,
    상기 몸체부의 하측에 결합되는 고정바디;
    상기 고정바디에 상기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고정바디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을 중심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이동바디;
    상기 이동바디의 상부에 고정되고, 그 측부에 복수의 함몰홈이 형성되는 제1 교반부재;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된 상기 복수의 소스를 교반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함몰홈에 분리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복수의 제1 윙바디; 및
    상기 제1 교반부재의 상부에 고정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복수의 제1 윙바디와 이격 배치되는 제2 윙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교반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몸체부의 측벽체에서 경사지게 연장된 경사벽체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 교반부재;
    상기 경사벽체에 설치되며, 상기 제2 교반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동력부재;
    상기 동력부재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2 교반부재로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탱크;
    상기 제2 교반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제2 교반부재를 기준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며, 상기 가스탱크로부터 가스를 공급받아 상기 내부공간으로 가스를 분사할 수 있도록 복수의 분사노즐을 구비하는 제3 윙바디; 및
    상기 제2 교반부재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2 교반부재를 기준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며, 상기 제3 윙바디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며, 상기 가스탱크로부터 가스를 공급받아 상기 내부공간으로 가스를 분사할 수 있도록 복수의 분사노즐을 구비하는 제4 윙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윙바디 및 상기 제2 윙바디와 상기 제3 윙바디 및 상기 제4 윙바디가 각각 한 세트로 교대로 구동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바디와 상기 동력부재를 제어하는 소스 교반 장치.

KR1020220079639A 2022-06-29 2022-06-29 소스 교반 장치 KR102444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9639A KR102444247B1 (ko) 2022-06-29 2022-06-29 소스 교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9639A KR102444247B1 (ko) 2022-06-29 2022-06-29 소스 교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4247B1 true KR102444247B1 (ko) 2022-09-16

Family

ID=83445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9639A KR102444247B1 (ko) 2022-06-29 2022-06-29 소스 교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424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475Y1 (ko) * 2017-08-14 2018-06-29 주식회사 케이엘인터내셔널 음식물 조리기구
JP2020081357A (ja) * 2018-11-26 2020-06-04 武士 ▲高▼橋 攪拌食器
KR102231776B1 (ko) * 2020-06-22 2021-03-24 신스타프리젠츠 주식회사 조리장치
KR102258928B1 (ko) * 2021-03-16 2021-06-02 신스타프리젠츠 주식회사 조리장치
KR102267071B1 (ko) 2021-02-22 2021-06-17 정진호 양념재료용 교반장치
KR102375796B1 (ko) * 2021-10-18 2022-03-17 홍혜정 편심 회전식 조리용 툴을 포함하는 자동조리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475Y1 (ko) * 2017-08-14 2018-06-29 주식회사 케이엘인터내셔널 음식물 조리기구
JP2020081357A (ja) * 2018-11-26 2020-06-04 武士 ▲高▼橋 攪拌食器
KR102231776B1 (ko) * 2020-06-22 2021-03-24 신스타프리젠츠 주식회사 조리장치
KR102267071B1 (ko) 2021-02-22 2021-06-17 정진호 양념재료용 교반장치
KR102258928B1 (ko) * 2021-03-16 2021-06-02 신스타프리젠츠 주식회사 조리장치
KR102375796B1 (ko) * 2021-10-18 2022-03-17 홍혜정 편심 회전식 조리용 툴을 포함하는 자동조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74738B (zh) 攪拌裝置及具備該裝置之吐出裝置暨吐出方法
KR100455952B1 (ko) 세로형 교반장치
JP5312641B1 (ja) 撹拌装置の循環機構
KR102444247B1 (ko) 소스 교반 장치
CN215196650U (zh) 一种COFs材料超声搅拌器
EP4062997A1 (en) Device for the gasification, pumping and mixing of fluids
CN218643156U (zh) 一种塑胶跑道的修复改造切除装置
JP2008063870A (ja) 掘削ヘッドおよび地盤改良装置
JP5302265B2 (ja) 攪拌用回転体および攪拌装置
KR20160077346A (ko)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제조 장치
JP2013063362A (ja) 攪拌槽
JP2022107704A (ja) 撹拌翼および撹拌装置
CN208694751U (zh) 一种转印纸胶料用制胶罐
JPH08120664A (ja) 地盤改良用撹拌翼及びこれを用いた地盤改良方法
JPS594006B2 (ja) 地盤改良方法
JP4902770B2 (ja) 攪拌用回転体および攪拌装置
KR20120134701A (ko) 연약지반 강화용 심층혼합처리 장치 및 공법
KR102666286B1 (ko) 교반기
CN217527379U (zh) 湿法混合制粒机花洒式加浆头
JP5385480B2 (ja) 攪拌用回転体および攪拌装置
CN220003642U (zh) 一种柔性显示用显影液配置装置
KR101511705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망간계 양극 활물질 제조 장치
CN218026044U (zh) 一种发酵反应罐
CN211274306U (zh) 一种生产水处理剂用v型混料机
CN106000181A (zh) 一种搅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