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1776B1 - 조리장치 - Google Patents

조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1776B1
KR102231776B1 KR1020200075953A KR20200075953A KR102231776B1 KR 102231776 B1 KR102231776 B1 KR 102231776B1 KR 1020200075953 A KR1020200075953 A KR 1020200075953A KR 20200075953 A KR20200075953 A KR 20200075953A KR 102231776 B1 KR102231776 B1 KR 102231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housing
inner portion
present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5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록
나광균
Original Assignee
신스타프리젠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스타프리젠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스타프리젠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75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17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1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1776B1/ko
Priority to PCT/KR2021/005997 priority patent/WO2021261768A1/ko
Priority to US17/424,456 priority patent/US20220304510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dapted to high-frequency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6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bottom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 A47J36/165Stirring devices operatively connected to cooking vessels when being removably inserted in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2Time-controlled igniting mechanisms or alarm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7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rotating drums or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47J43/0722Mixing, whipping or cutting tools

Abstract

조리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조리장치는: 음식물이 내측에 담겨지며 가열이 이루어지는 내측부와, 내측부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외측부와,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내측부를 가열하는 가열부와, 가열부와 외측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하우징부와, 외측부와 하우징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내측부를 제1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구동부 및 하우징부의 외측에 위치하며 하우징부를 제2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리장치{COOKING DEVICE}
본 발명은 조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을 가열하며 볶는 조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육볶음, 주꾸미 볶음, 볶음밥 등과 같은 볶음 요리는 다양한 재료들을 혼합하여 프라이팬이나 솥 등의 조리용기에 넣고 일정 시간 동안 가열과 교반을 행하면서 적절히 볶아서 만드는 요리이다.
특히, 소, 돼지, 닭 등과 같은 육류 및 다양한 부산물뿐만 아니라, 주꾸미, 낚지, 오징어 등과 같은 각종 해산물을 이용한 볶음 요리를 맛있게 조리하게 위해서는 균일한 열을 음식물 재료에 골고루 가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요리사가 항상 조리대 앞에서 볶음 요리용 재료를 섞는 작업을 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요리사가 팬 손잡이를 잡고 작은 반경의 스냅으로 끌어당긴 후, 밀면서 상승시키면 팬 바닥면에 수용된 음식물 재료가 팬 내측둘레를 타고 짧게 상승한 후에 뒤집히면서 팬 바닥면에 다시 떨어지게 되고, 이와 마찬가지로 팬 손잡이를 잡고 작은 반경의 스냅으로 민 후, 끌어당기면서 상승시키면 팬 바닥면에 수용된 음식물 재료가 팬 둘레를 타고 짧게 상승한 후에 뒤집히면서 팬 바닥면에 떨어지게 되도록 하는 반복적인 동작을 통해서 볶음요리를 만들게 된다.
그런데 요리사가 팬을 사용하여 음식물 재료를 뒤집기 위해서는 손목의 스냅을 이용해야 하고, 이러한 수회에 걸친 반복적인 스냅동작으로 인해 손목 관절 또는 팔 관절에 무리가 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한명의 요리사가 하나의 요리밖에 조리할 수 없으므로, 많은 양의 요리 또는 다른 종류의 볶음 요리를 동시에 조리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30084호 (2019.11.21 공개, 발명의 명칭: 볶음 요리용 조리장치)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볶음 요리를 자동으로 조리할 수 있는 조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을 다양한 방식으로 혼합하여 볶을 수 있는 조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장치는, 음식물이 내측에 담겨지며 가열이 이루어지는 내측부와, 내측부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외측부와,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내측부를 가열하는 가열부와, 가열부와 외측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하우징부와, 외측부와 하우징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내측부를 제1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구동부 및 하우징부의 외측에 위치하며 하우징부를 제2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방향은 내측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1가상선을 중심으로 내측부가 회전되는 방향이며, 제2방향은 하우징부의 측면으로 연장된 제2가상선을 중심으로 하우징부가 회전되는 방향이다.
또한 본 발명은, 내측부의 내측에 고정되며 내측부와 함께 회전되며 음식물을 교반하는 제1교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교반부는 내측부의 내측으로 돌출되며, 내측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교반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며, 내측부의 베이스부재에 위치하고, 제1교반부와 함께 음식물을 교반하는 제2교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교반부는, 베이스부재의 상측에 위치하며 양측에 자극을 구비하는 코어부재 및 코어부재와 마주하는 하우징부의 내측에 고정되며 코어부재와 반대되는 자극을 구비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내측부가 회전될 때 코어부재의 회전은 고정부재에 의해 구속될 수 있다.
또한 가열부는, 외측부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인덕션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구동부는, 외측부와 마주하는 하우징부에 고정되며 전기에너지를 회전동력으로 변환시키는 제1모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모터부재의 출력축은 내측부의 회전중심에 연결되어 내측부를 제1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또한 제2구동부는, 하우징부와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며 전기에너지를 회전동력으로 변환시키는 제2모터부재 및 제2모터부재의 출력축과 하우징부를 연결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모터부재의 동력을 전달받는 하우징부는 제2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제2구동부는, 동력전달부에 고정되며 동력전달부와 함께 회전되는 피측정부재 및 피측정부재의 이동경로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비접촉식으로 피측정부재의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구동부는, 제2모터부재를 지지하는 내측지지부 및 내측지지부를 승하강 시키는 승하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승하강부는, 내측지지부의 하측에 위치하며 동력을 발생시키는 승하강몸체 및 승하강몸체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내측지지부에 연결되며 승하강몸체의 동작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로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구동부를 지지하는 몸체부와, 하우징부와 마주하는 몸체부의 상측에 오목한 형상의 홈부를 형성하는 집수부 및 몸체부에 설치되며 내측부 또는 하우징부를 향하여 물을 분사하는 분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측부를 향하여 연료가스를 공급하는 직화관로 및 직화관로에 연결되며 연료가스의 이동을 제어하는 밸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장치는, 제1구동부와 제2구동부에 의해 내측부의 회전과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가열부와 직화부에 의해 음식물의 가열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음식물의 조리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제1교반부와 제2교반부에 의해 음식물의 혼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제2구동부에 의해 내측부의 기울기가 조절되므로, 음식물을 다양한 방식으로 혼합하여 볶을 수 있으므로 다양한 기호의 음식을 만들 수 있다.
또한 분사부에 의해 내측부의 세척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내측부의 세척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교반부와 제2교반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부와 외측부와 하우징부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구동부의 외측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구동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케이스가 상하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부가 상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부를 세척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측부가 타원형으로 이루어져서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측부에 복수의 돌출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교반부(60)와 제2교반부(70)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는, 내측부(10)와 외측부(20)와 하우징부(25)와 제1구동부(30)와 제2구동부(40)와 제1교반부(60)와 제2교반부(70)와 가열부(80)와 받침부(90)와 직화부(100)를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부(10)와 외측부(20)와 하우징부(25)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부(10)는 음식물(300)이 내측에 담겨지며, 외부 열원에 의해 가열이 이루어지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부(10)는 상측이 개구되며, 내측에는 음식물(300)이 담겨진다. 또한 내측부(10)의 바닥은 원판 형상의 베이스부재(11)가 위치한다.
외측부(20)는 내측부(10)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또한 외측부(20)는 내측부(10)의 하측에 위치하며, 외측부(20)의 내경은 내측부(10)의 외경보다 크다. 외측부(20)도 상측이 개구된 형상이다. 본 발명에 의한 볶음통은 이중으로 이루어지며, 외측부(20)의 재질은 강화플라스틱을 사용하며, 내측부(10)의 재질은 SUS430 강자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외측부(20)의 둘레를 따라 설치된 인덕션코일에 의해 내측부(10)가 가열된다.
하우징부(25)는 가열부(80)와 외측부(20)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25)는, 하우징몸체(26)와 하우징커버(27)와 고정지지부(28)를 포함한다. 하우징몸체(26)는 외측부(20)를 감싸는 형상이며, 상측과 하측이 개구된 형상이다.
하우징커버(27)는 하우징몸체(26)의 하측을 커버하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하우징커버(27)는 상측을 향하여 오목한 형상으로 설치되며, 하우징몸체(26)의 하측에 고정된다.
고정지지부(28)는 하우징부(25)와 하우징커버(27)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1구동부(30)가 고정지지부(28)에 장착된다. 하우징커버(27)의 상측에 위치하는 고정지지부(28)는 하우징몸체(26)의 하측에 고정된다. ,
제1구동부(30)는 외측부(20)와 하우징부(25)의 사이에 위치하며, 내측부(10)를 제1방향(A1)으로 회전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구동부(30)는 외측부(20)와 마주하는 하우징부(25)에 고정되며 전기에너지를 회전동력으로 변환시키는 제1모터부재(31)와, 제1모터부재(31)에서 돌출되어 내측부(10)의 베이스부재(11)에 고정되는 출력축(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모터부재(31)의 출력축(32)은 내측부(10)의 회전중심에 연결되어 내측부(10)를 제1방향(A1)으로 회전시킨다. 고정지지부(28)의 하측에 제1모터부재(31)가 고정되며, 출력축(32)은 고정지지부(28)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베이스부재(11)의 하측에 고정된다. 따라서 출력축(32)의 회전에 의해 내측부(10)가 회전된다. 내측부(10)와 출력축(32)의 연결은 끼움식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볼트나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구동부(40)의 외측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구동부(40)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케이스(50)가 상하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구동부(40)는 하우징부(25)의 외측에 위치하며, 하우징부(25)를 제2방향(A2)으로 회전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구동부(40)는, 제2모터부재(41), 출력축(42), 동력전달부(43), 피측정부재(44), 센서부재(45), 내측지지부(46), 승하강부(47), 구동케이스(50)를 포함할 수 있다.
내측부(10)의 기울기는 스텝핑 모터를 사용하는 제2모터부재(41)에 의해 기울기를 제어할 수 있다. 조리장치(1)의 시스템 기동시, 내측부(10)가 수직방향을 향하여 설치되도록 제2구동부(40)가 동작된다. 스테핑 모터인 제2모터부재(41)가 동작되어 하우징부(25)의 기울기를 조절하므로, 하우징부(25)의 내측에 위치한 내측부(10)와 외측부(20)도 하우징부(25)와 함께 회전을 한다.
제2모터부재(41)는 하우징부(25)와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며, 전기에너지를 회전동력으로 변환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모터부재(41)는 회전각도를 제어할 수 있는 스테핑 모터가 사용되며, 이 외에도 서버모터가 제2모터부재(41)로 사용될 수도 있다.
동력전달부(43)는 제2모터부재(41)의 출력축(42)과 하우징부(25)를 연결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43)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일측은 하우징부(25)의 외측에 고정되며 타측은 제2모터부재(41)의 출력축(42)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2모터부재(41)의 동력을 전달받는 하우징부(25)는 제2방향(A2)으로 회전될 수 있다.
피측정부재(44)는 동력전달부(43)에 고정되며, 동력전달부(43)와 함께 회전되는 금속 조각이다. 그리고 센서부재(45)는 피측정부재(44)의 이동경로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비접촉식으로 피측정부재(44)의 이동을 감지한다.
볶음통에 해당하는 내측부(10)가 하우징부(25)와 함께 회전하며, 하우징부(25)는 동력전달부(43)와 함께 회전한다. 그리고 동력전달부(43)에 설치된 피측정부재(44)도 동력전달부(43)와 함께 회전하므로, 내측부(10)와 피측정부재(44)는 함께 회전을 한다. 내측부(10)가 초기화 위치인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며, 내측부(10)의 입구가 상측을 향하여 설치된 상태에서, 피측정부재(44)는 센서부재(45)와 마주하는 위치에 있다. 따라서 센서부재(45)가 피측정부재(44)를 감지하여 내측부(10)가 정지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내측지지부(46)는 제2모터부재(41)를 지지하며, 제2모터부재(41)와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내측지지부(46)는 제2모터부재(41)의 하측에 위치하며, 내측지지부(46)의 상측에 제2모터부재(41)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승하강부(47)는 내측지지부(46)를 승하강 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부(47)는, 내측지지부(46)의 하측에 위치하며 동력을 발생시키는 승하강몸체(48) 및 승하강몸체(48)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내측지지부(46)에 연결되며 승하강몸체(48)의 동작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로드부재(49)를 포함할 수 있다.
승하강몸체(48)는 유압이나 공압을 공급받아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동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는 승하강몸체(48)의 내측에 모터가 설치되며, 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복수의 기어에 의해 로드부재(49)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로드부재(49)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봉 형상이며, 로드부재(49)의 상측은 내측지지부(46)에 연결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1방향(A1)은 내측부(10)의 길이방향(D)으로 연장된 제1가상선(L1)을 중심으로 내측부(10)가 회전되는 방향이며, 제2방향(A2)은 하우징부(25)의 측면으로 연장된 제2가상선(L2)을 중심으로 하우징부(25)가 회전되는 방향이다. 제1방향(A1)을 따라 내측부(10)가 회전하며 내측부(10)의 내측에 있는 음식물(300)을 회전시킨다. 또한 제2방향(A2)을 따라 내측부(10)의 기울기 각도가 조절되므로 다양한 방식으로 음식물(300)을 볶을 수 있다. 또한 제2방향(A2)으로 회전되는 내측부(10)가 뒤집어 진 상태에서 내측부(10)의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내측부(10)에 있는 음식물(300)이 다른 용기에 담겨질 수도 있다.
제1교반부(60)는 내측부(10)의 내측에 고정되며, 내측부(10)와 함께 회전되며 음식물(300)을 교반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제1교반부(60)는 내측부(10)의 내측으로 돌출되며, 내측부(10)의 길이방향(D)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교반부(60)는, 내측부(10)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61)과, 고정브라켓(61)에서 연장되며 내측부(10)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직선부(62) 및 직선부(62)에서 연장되어 곡면을 형성하는 곡선부(63)를 포함한다. 음식물(300)과 접하는 곡선부(63)가 오목하게 형성되므로 내측부(10)에 담겨진 음식물(300)을 용이하게 교반시킬 수 있다.
제2교반부(70)는 제1교반부(60)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며, 내측부(10)의 베이스부재(11)에 위치한다. 그리고 제2교반부(70)는 제1교반부(60)와 함께 음식물(300)을 교반한다. 제2교반부(70)는 외측부(20)와 함께 회전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교반부(70)는, 베이스부재(11)의 상측에 위치하며 양측에 자극을 구비하는 코어부재(71) 및 코어부재(71)와 마주하는 하우징부(25)의 내측에 고정되며 코어부재(71)와 반대되는 자극을 구비하는 고정부재(7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내측부(10)가 회전될 때 코어부재(71)의 회전은 고정부재(72)에 의해 구속될 수 있다.
그리고 자석을 사용하는 코어부재(71)가 내측부(10)의 베이스부재(11)에 접한 상태에서 회전이 구속된 상태를 유지하며, 음식물(300) 배출 시에도 막대 형상의 코어부재(71)가 내측부(10)의 외측으로 이동됨이 차단된다. 만약 코어부재(71)의 고정력이 약할 경우, 별도의 전자석을 추가로 설치할 수도 있다.
고정부재(72)는 영구자석을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전자석을 사용할 수도 있다. 코어부재(71)는 자력에 의해 부착된다. 외측부(20)의 내측에 고정되는 고정부재(72)는 코어부재(71)의 극성과 반대되는 자극을 갖는다. 따라서 내측부(10)의 내측에 위치하는 코어부재(71)는 고정부재(72)의 자성에 의해 일정한 방향으로 고정된다.
내측부(10)가 회전하게 되면, 내측부(10)의 내부에 있는 음식물(300)은 회전을 하고, 마그네틱바인 코어부재(71)는 고정되어 있으므로, 코어부재(71)가 음식물(300)을 골고루 섞어주게 된다.
코어부재(71)와 고정부재(72)에 사용되는 자석은 네오디움 자석이나 사마륨코발트, 알리코 자석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솔레노이드 전자석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제1교반부(60)와 제2교반부(70)를 사용하므로 음식물(300)의 혼합이 신속하고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교반부(60)와 제2교반부(70)에 의한 이중 동작으로 음식물(300)이 교반된다. 또한 제1교반부(60)와 제2교반부(70)가 내측부(10)에 각각 1개씩 설치됨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1교반부(60)가 내측부(10)에 복수로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2교반부(70)도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될 수 있으며, 내측부(10)에 복수로 설치될 수도 있다.
가열부(80)는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내측부(10)를 가열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부(80)는 외측부(20)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인덕션와이어(81)를 포함할 수 있다. 인덕션와이어(81)가 동작되면, 자기유도에 의해 발생된 에디 커런트에 의하여 내측부(10)가 가열되어 음식물(300)을 가열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9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90)는 제2구동부(40)를 지지하며 하우징부(25)의 하측에 위치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90)는, 제2구동부(40)를 지지하는 몸체부(91)와, 하우징부(25)와 마주하는 몸체부(91)의 상측에 오목한 형상의 홈부를 형성하는 집수부(92) 및 몸체부(91)에 설치되며 내측부(10) 또는 하우징부(25)를 향하여 물을 분사하는 분사부(93)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91)는 하우징부(25)의 하측에 위치하며, 제2구동부(40)의 하측에 몸체부(91)에 연결된다. 집수부(92)는 가운데를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되며, 집수부(92)의 가운데에는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부(94)가 설치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화부(1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화부(100)는 내측부(10)의 내측에 있는 음식물(300)을 화염에 의해 가열하기 위한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화부(100)는, 내측부(10)를 향하여 연료가스와 공기를 공급하는 직화관로(101) 및 직화관로(101)에 연결되며 연료가스와 공기의 이동을 제어하는 밸브부(102)를 포함할 수 있다.
직화관로(101)는 연료가 되는 가스를 이동시키는 가스이동관(105)과, 송풍기에 의하여 압축된 공기를 이동시키는 공기이동관(106)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에에 의한 직화관로(101)는, 공기를 이동시키는 관 안에 가스를 이동시키는 관이 포함되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직화부(100)와 관련된 전장부품은 직화베이스부(104)의 내측에 위치하며, 직화베이스부(104)의 상측으로 연장된 직화관로(101)를 따라 연료가스와 공기가 이동된다. 직화관로(101)에 설치되는 밸브부(102)에 의해 연료가스와 공기의 이동이 제어되며, 직화관로(101)의 단부에 설치된 노즐부(103)를 통해 화염이 분사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의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부(10)에 음식물(300)이 담겨진 상태에서, 제1구동부(30)가 동작되어 내측부(10)를 회전시킨다. 내축부와 함께 제1교반부(60)가 회전되며, 제2교반부(70)의 코어부재(71)는 회전이 구속된 상태이므로, 제1교반부(60)와 제2교반부(70)에 의해 음식물(300)의 교반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직화 요리가 필요할 경우, 노즐부(103)를 통해 화염이 발생되어 내측부(10)에 있는 음식물(300)을 가열한다.
음식물(300)의 조리가 완료된 후 제2모터부재(41)가 동작되어 하우징부(25)를 회전시키므로, 내측부(10)의 기울기 각도가 변하면서 다른 용기로 음식물(300)을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부(10)가 상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부(10)의 입구가 상측을 향한 상태에서, 승하강부(47)의 로드부재(49)가 상측으로 이동하면, 로드부재(49)와 함께 내측지지부(46)가 상측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동력전달부(43)와 하우징부(25)도 상측으로 이동이 이루어진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부(10)를 세척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모터부재(41)가 동작되어 내측부(10)의 입구가 하측을 향한 상태에서, 승하강부(47)가 동작되어 로드부재(49)가 하측으로 이동하므로 내측부(10)도 하측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분사부(93)에서 분사된 물이 내측부(10)에 남아 있던 잔유물을 세척한 후 아래로 이동한다. 집수부(92)를 따라 이동된 세척수는 배수부(94)를 통해 몸체부(91)의 외측으로 이동한다.
내측부(10)의 온도가 높게 유지되며, 분사부(93)에서 분사되는 물의 압력을 조절하면 내측부(10)에 부착된 내용물이나 기름이 제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내측부(200)가 타원형으로 설치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측부(200)가 타원형으로 이루어져서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내측부(200)의 횡단면은 타원형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내측부(20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고 가정할 경우, 좌측에 있는 내용물의 높이가 우측에 있는 내용물 보다 상대적으로 낮아서, 우측에 있는 내용물이 좌측으로 흘러 내리면서 섞이게 된다. 즉 바닥면적이 넓은 부분에서 좁은 부분으로 회전할 때 높은 부분에 있는 내용물이 좌측으로 흘러 내리면서 내측부(200)의 내면과 접촉한다. 따라서 내측부(200)가 회전됨에 따라 음식물(300)이 내측부(200)의 가장 밑부분에 위치하게 되므로 음식물(300)의 혼합이 보다 잘 이루어질 수 있다.
내측부(200)의 단면이 원형인 경우, 하측에 위치한 음식물(300)은 계속 내측부(200)의 내면과 접촉되어 혼합이 잘 되지 않고, 제1교반부(60)와 제2교반부(70)에 의해서만 혼합된다.
따라서 내측부(200)의 단면이 타원형인 경우, 원형 대비 음식물(300)의 혼합이 잘 이루어 질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측부에 복수의 돌출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부(10)의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부(400)가 복수로 설치될 수 있다. 돌출부(400)는 내측부(10)에 있는 음식물의 혼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내측부(10)와 함께 회전되는 돌출부(400)가 복수로 구비되므로, 별도의 교반날개나, 제1,2 교반부(60,70)가 없어도 음식물을 잘 섞어줄 수 있다.
돌출부(400)는 내측부(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내측부(10)를 생산할 때 내측부(10)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400)를 같이 형성한다. 또한 돌출부(400)는 음식물 혼합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복수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돌출부(400)가 내측부(10)와 함께 회전될 때 내측부(10)의 과도한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돌출부(400)의 설치위치와 형상은 내측부(10)의 무게중심과 회전중심을 고려하여 설치된다. 본 발명에 의한 돌출부(400)는 내측부(10)의 둘레를 따라 복수로 설치된다. 또한 복수의 돌출부(400)는 설정된 각도로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400)가 2개만 설치되는 경우, 각 돌출부(400)는 180도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3개의 돌출부(400)가 설치되는 경우, 120도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돌출부(400)의 설치숫자를 A라 할 때, 360도 나누기 A는 설정된 각도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별도로 제작된 돌출부(400)가 내측부(10)에 결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돌출부(400)와 내측부(10)의 사이에는 틈새가 없으므로 청소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1구동부(30)와 제2구동부(40)에 의해 내측부(10,200)의 회전과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가열부(80)와 직화부(100)에 의해 음식물(300)의 가열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음식물(300)의 조리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제1교반부(60)와 제2교반부(70)에 의해 음식물(300)의 혼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제2구동부(40)에 의해 내측부(10,200)의 기울기가 조절되므로, 음식물(300)을 다양한 방식으로 혼합하여 볶을 수 있으므로 다양한 기호의 음식을 만들 수 있다. 또한 분사부(93)에 의해 내측부(10,200)의 세척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내측부(10)의 세척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 조리장치
10,200: 내측부 11: 베이스부재
20: 외측부
25: 하우징부 26: 하우징몸체 27: 하우징커버 28: 고정지지부
30: 제1구동부 31: 제1모터부재 32: 출력축
40: 제2구동부 41: 제2모터부재 42: 출력축 43: 동력전달부 44: 피측정부재 45: 센서부재 46: 내측지지부 47: 승하강부 48: 승하강몸체 49: 로드부재 50: 구동케이스
60: 제1교반부 61: 고정브라켓 62: 직선부 63: 곡선부
70: 제2교반부 71: 코어부재 72: 고정부재
80: 가열부 81: 인덕션와이어
90: 받침부 91: 몸체부 92: 집수부 93: 분사부 94: 배수부
100: 직화부 101: 직화관로 102: 밸브부 103: 노즐부 104: 직화베이스부
300: 음식물
400: 돌출부
D: 길이방향 상하방향
A1: 제1방향 L1: 제1가상선
A2: 제2방향 L2: 제2가상선

Claims (16)

  1. 음식물이 내측에 담겨지며, 가열이 이루어지는 내측부;
    상기 내측부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외측부;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내측부를 가열하는 가열부;
    상기 가열부와 상기 외측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하우징부;
    상기 외측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내측부를 제1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구동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하우징부를 제2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하우징부와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며, 전기에너지를 회전동력으로 변환시키는 제2모터부재;
    상기 제2모터부재의 출력축과 상기 하우징부를 연결하는 동력전달부;
    상기 제2모터부재를 지지하는 내측지지부; 및
    상기 내측지지부를 승하강 시키는 승하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모터부재의 동력을 전달받는 상기 하우징부는 제2방향으로 회전되는 조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1방향은 상기 내측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1가상선을 중심으로 상기 내측부가 회전되는 방향이며,
    제2방향은 상기 하우징부의 측면으로 연장된 제2가상선을 중심으로 상기 하우징부가 회전되는 방향인 조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부의 내측에 고정되며, 상기 내측부와 함께 회전되며 음식물을 교반하는 제1교반부;를 더 포함하는 조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교반부는, 상기 내측부의 내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내측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조리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교반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내측부의 베이스부재에 위치하고, 상기 제1교반부와 함께 음식물을 교반하는 제2교반부;를 더 포함하는 조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교반부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측에 위치하며, 양측에 자극을 구비하는 코어부재; 및
    상기 코어부재와 마주하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에 고정되며, 상기 코어부재와 반대되는 자극을 구비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부가 회전될 때 상기 코어부재의 회전은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구속되는 조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외측부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인덕션와이어;를 포함하는 조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부는, 상기 외측부와 마주하는 상기 하우징부에 고정되며, 전기에너지를 회전동력으로 변환시키는 제1모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모터부재의 출력축은 상기 내측부의 회전중심에 연결되어 상기 내측부를 제1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조리장치.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동력전달부에 고정되며 상기 동력전달부와 함께 회전되는 피측정부재; 및
    상기 피측정부재의 이동경로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비접촉식으로 상기 피측정부재의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부재;를 더 포함하는 조리장치.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부는, 상기 내측지지부의 하측에 위치하며, 동력을 발생시키는 승하강몸체; 및
    상기 승하강몸체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내측지지부에 연결되며, 상기 승하강몸체의 동작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로드부재;를 포함하는 조리장치.
  13. 음식물이 내측에 담겨지며, 가열이 이루어지는 내측부;
    상기 내측부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외측부;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내측부를 가열하는 가열부;
    상기 가열부와 상기 외측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하우징부;
    상기 외측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내측부를 제1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구동부;
    상기 하우징부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하우징부를 제2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구동부;
    상기 제2구동부를 지지하는 몸체부;
    상기 하우징부와 마주하는 상기 몸체부의 상측에 오목한 형상의 홈부를 형성하는 집수부; 및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내측부 또는 상기 하우징부를 향하여 물을 분사하는 분사부;를 더 포함하는 조리장치.
  14. 제1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부를 향하여 연료가스와 공기를 공급하는 직화관로; 및
    상기 직화관로에 연결되며 연료가스와 공기의 이동을 제어하는 밸브부;를 더 포함하는 조리장치.
  15. 제1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부의 내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내측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내측부의 둘레를 따라 복수로 구비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조리장치.
  16. 제1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부는 횡단면 형상이 타원형으로 이루어지는 조리장치.
KR1020200075953A 2020-06-22 2020-06-22 조리장치 KR102231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5953A KR102231776B1 (ko) 2020-06-22 2020-06-22 조리장치
PCT/KR2021/005997 WO2021261768A1 (ko) 2020-06-22 2021-05-13 조리장치
US17/424,456 US20220304510A1 (en) 2020-06-22 2021-05-13 Cook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5953A KR102231776B1 (ko) 2020-06-22 2020-06-22 조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1776B1 true KR102231776B1 (ko) 2021-03-24

Family

ID=75257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5953A KR102231776B1 (ko) 2020-06-22 2020-06-22 조리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304510A1 (ko)
KR (1) KR102231776B1 (ko)
WO (1) WO2021261768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61768A1 (ko) * 2020-06-22 2021-12-30 신스타프리젠츠 주식회사 조리장치
KR102444247B1 (ko) * 2022-06-29 2022-09-16 주식회사 비에스에프앤씨 소스 교반 장치
KR102497230B1 (ko) * 2021-10-14 2023-02-08 경일주방주식회사 조리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3014A (ja) * 2003-02-17 2004-09-02 Samson Co Ltd 回転釜及び回転制御方法
JP2006061183A (ja) * 2004-08-24 2006-03-09 Nakai Kikai Kogyo Kk 各種食材の万能攪拌装置
US20060112838A1 (en) * 2004-11-26 2006-06-01 Herbst Walter B Electric skillet with magnetic self-reversing stirrer that is removable
KR101674670B1 (ko) * 2015-07-10 2016-11-22 (주)케이투시스템이엔지 볶음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235B1 (ko) * 2010-10-12 2010-12-21 박진수 조리용 쿠커
KR102231776B1 (ko) * 2020-06-22 2021-03-24 신스타프리젠츠 주식회사 조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3014A (ja) * 2003-02-17 2004-09-02 Samson Co Ltd 回転釜及び回転制御方法
JP2006061183A (ja) * 2004-08-24 2006-03-09 Nakai Kikai Kogyo Kk 各種食材の万能攪拌装置
US20060112838A1 (en) * 2004-11-26 2006-06-01 Herbst Walter B Electric skillet with magnetic self-reversing stirrer that is removable
KR101674670B1 (ko) * 2015-07-10 2016-11-22 (주)케이투시스템이엔지 볶음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61768A1 (ko) * 2020-06-22 2021-12-30 신스타프리젠츠 주식회사 조리장치
KR102497230B1 (ko) * 2021-10-14 2023-02-08 경일주방주식회사 조리 장치
KR102444247B1 (ko) * 2022-06-29 2022-09-16 주식회사 비에스에프앤씨 소스 교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61768A1 (ko) 2021-12-30
US20220304510A1 (en) 2022-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1776B1 (ko) 조리장치
AU2018373696B2 (en) Controlled heat management for food processor
AU636412B2 (en) Cooking device
JP7364562B2 (ja) 食品処理のための調整された熱発生
KR102258928B1 (ko) 조리장치
CA2015199C (en) Automatic food cooking device
JP5677286B2 (ja) ボトル加温及び混合装置
US20180055271A1 (en) Sous-vide cooking chamber
AU618401B2 (en) Cooking system
KR101935922B1 (ko) 자동 조리 장치
KR102258933B1 (ko) 조리장치
KR20230111998A (ko) 조리장치
CN209391674U (zh) 一种液体加热容器
KR19980015002A (ko) 전자유도가열튀김기의 균일튀김장치
CN2410958Y (zh) 自动烹制菜肴的设备
KR102061039B1 (ko) 주방 조리장치
KR20220153466A (ko) 조리장치
CN214284451U (zh) 一种内置蒸汽炒铲的炒菜机器人
CN1111011C (zh) 自动烹制菜肴的设备和方法
JPH11243890A (ja) 麺類等の茹で装置
JP6991301B1 (ja) 液体撹拌機
KR101968145B1 (ko) 볶음용 조리 기구
EP0592451A4 (en) Automatic food cooking device
CN115734729A (zh) 食品容器
WO200813033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oaching whole carcass of fow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