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4670B1 - 볶음장치 - Google Patents

볶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4670B1
KR101674670B1 KR1020150098450A KR20150098450A KR101674670B1 KR 101674670 B1 KR101674670 B1 KR 101674670B1 KR 1020150098450 A KR1020150098450 A KR 1020150098450A KR 20150098450 A KR20150098450 A KR 20150098450A KR 101674670 B1 KR101674670 B1 KR 101674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eating cylinder
heating
magnetic force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8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국진
Original Assignee
(주)케이투시스템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투시스템이엔지 filed Critical (주)케이투시스템이엔지
Priority to KR1020150098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46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4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4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A23N12/083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with stirring, vibrating or grinding devices
    • B01F9/02
    • B01F9/08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볶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곡물을 볶거나 음식물을 조리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 가열통 내부에 교반날개를 탈부착 구조, 상기 가열통을 쉽게 탈부착 구조 및 가열통 내부로 보조화력의 설치구조가 개선된 볶음장치에 관한 것이며, 그 구조는 가열통 내부의 내주면에 길이방향으로 하나 이상이 설치되면서 하단 일측에 수평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밀착판이 형성된 수직형의 교반날개와, 상기 밀착판 저면의 일측면이 자력에 의해 밀착되도록 자력을 유지하면서 가열통의 상부 테두리 일면에 부착되는 자력발생부재와, 상기 가열통의 저면에 고정 설치되면서 상기 구동모터의 모터축 단부가 결속되도록 일측의 결속부 내측으로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모터축의 외주면에 돌출형성된 결속핀이 구속되도록 결속부 상단에서 삽입홈 내측으로 수직 절개된 인도홀과 상기 인도홀에 연계되어 결속부 외주면 양측으로 각각 수평 절개된 결속홀이 형성되고, 상기 결속부에 연계되어 가열통의 저면에 고정 부착되는 타측의 고정부로 구성되는 결합부재로 이루어지는 볶음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볶음장치{A roas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볶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곡물을 볶거나 음식물을 조리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 가열통 내부에 교반날개를 탈부착 구조, 상기 가열통을 쉽게 탈부착 구조 및 가열통 내부로 보조화력의 설치구조가 개선된 볶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볶음기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358249호에 제시한 바와 같은 가열방식으로 히터 타입과 버너 가열방식이 있고, 섞는 방법으로 날개를 이용하거나 볶음통을 자체를 돌려 내용물이 타지 않게 하는 방식이다. 위에 언급된 볶음기의 볶음통 내부에 교반날개가 설치되어 곡물 등이 골고루 교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교반날개는 볶음통 내부에 볼트/너트 등의 체결수단을 통해 고정되어 있거나 용접 등으로 볶음통과 일체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교반날개에 있어 볶음통 내부에 곡물 또는 음식물을 볶거나 조리시 선택되는 볶음 또는 조리시 교반날개를 선택하여 교체하여 사용하여야 하며, 반면 기존의 교반날개는 볶음통 내부에 고정되거나 일일이 체결수단을 해체하여 교반날개를 교체해야 하는 작업을 추가해야 한다.
그리고, 상기 교반날개를 해체하여 교반날개 없이 볶음통에 곡물 또는 음식물을 볶거나 조리시 체결수단에 의해 형성된 구멍 등으로 곡물 또는 음식물이 유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기존의 볶음통은 볶음통을 회전하는 모터에 고정되거나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볶음통을 세척 또는 교체시 번거러운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또한, 볶음통을 가열하는 가열원은 볶음통 외측 하부에 가열원 을 통해 볶음통 외부 하부를 가열하여 볶음통 내부의 곡물 또는 음식물을 볶거나 조리하는 데, 이때 상기 가열원을 통해 볶음통 내부로 열원이 전달시 볶음통을 가열하여 내부로 열이 전달되는 시간이 장시간 소요되어 불필요한 가열원의 열매체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하우징 상부에 위치한 가열통 내부에 설치된 교반날개가 손쉽게 탈부착 구조를 가져 조리하는 음식물에 따라 교반날개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며, 음식물을 조리 후 상기 가열통을 손쉽게 탈부착 구조를 가져 가열통의 세척이 용이하도록 하며, 상기 가열통 내부에 열원이 전달되도록 보조화력을 설치하여 조리 중 또는 조리 후 보조화력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내부에 일측이 개방되면서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며, 타측에 모터축이 연결되는 가열통과, 상기 가열통의 모터축에 연결되어 가열통을 회전하도록 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가열통의 모턱축을 통과하여 구속없이 결속되도록 결속공이 형성되는 판상의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면서 일측으로 연장되어 가열통의 양측부를 커버하는 한쌍의 제1커버판과, 상기 지지판 양측면의 각각 하단부에 힌지로 연결되어 지지판이 회전하도록 상면에 각각 브라켓이 형성되며, 상면 중앙에 가열통을 가열하도록 다수개의 제1가스분사노즐이 구비되며, 정면에 모터작동스위치, 가스작동스위치, 알람부 및 타이머가 구비되며, 일측면에 화력조절부가 구비되며, 후면에 제1가스분사노즐로 가스를 공급되도록 가스주입구가 구비되며, 내부에 정면에 구비된 모터작동스위치, 가스작동스위치, 알람부 및 타이머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한쌍의 제1커버판 하측을 서로 연결하여 상하로 회전하도록 하는 제2커버판으로 구성되는 볶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열통 내부의 내주면에 길이방향으로 하나 이상이 설치되면서 하단 일측에 수평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밀착판이 형성된 수직형의 교반날개와,
상기 밀착판 저면의 일측면이 자력에 의해 밀착되도록 자력을 유지하면서 가열통의 상부 테두리 일면에 부착되는 자력발생부재와,
상기 가열통의 저면에 고정 설치되면서 상기 구동모터의 모터축 단부가 결속되도록 일측의 결속부 내측으로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모터축의 외주면에 돌출형성된 결속핀이 구속되도록 결속부 상단에서 삽입홈 내측으로 수직 절개된 인도홀과 상기 인도홀에 연계되어 결속부 외주면 양측으로 각각 수평 절개된 결속홀이 형성되고, 상기 결속부에 연계되어 가열통의 저면에 고정 부착되는 타측의 고정부로 구성되는 결합부재로 이루어지는 볶음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자력발생부재 대신에 밀착판의 상면에 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에 결속되도록 걸림홀이 형성된 제1체결판과 상기 제1체결판 단부에 절곡 연장되어 가열통의 테두리에 밀착되는 제2체결판과 상기 제2체결판의 단부에 절곡 연장되어 테두리의 저면 단부에 압착 결합되도록 내측 일면에 결합돌기가 형성된 제3체결판으로 구성된 체결부재가 설치되는 볶음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가스주입구에 일단이 연결되어 가열통 내부로 연장되는 가스공급관이 형성되며, 상기 가스공급관 타단에 제2가스분사노즐이 구비되며, 상기 가스공급관의 길이방향으로 내속되도록 보호관으로 구성되는 보조화력부재가 설치되되, 상기 보호관이 후렉시블 튜브인 것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하우징 후면의 가스주입구가 설치된 일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면서 상단이 수평으로 절곡되는 거치대가 더 설치되는 볶음장치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인 볶음장치는 하우징 상부에 위치한 가열통 내부에 설치된 교반날개가 손쉽게 탈부착 구조를 가져 조리하는 음식물에 따라 교반날개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며, 음식물을 조리 후 상기 가열통을 손쉽게 탈부착 구조를 가져 가열통의 세척이 용이하도록 하며, 상기 가열통 내부에 열원이 전달되도록 보조화력을 설치하여 조리 중 또는 조리 후 보조화력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볶음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볶음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볶음장치에서 가열통-구동모터-지지판 조립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볶음장치에서 지지판-제1커버판-제2커버판 조립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볶음장치에서 하우징-지지판 조립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볶음장치에서 손잡이의 작동으로 가열통이 하향된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볶음장치에서 가열통 내부에 교반날개-자력발생부재 설치 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볶음장치에서 교반날개의 밀착판에 자력발생부재 설치조립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볶음장치에서 교반날개에 직접 자력발생부재가 부착된 구조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볶음장치에서 가열통 내부에 교반날개-체결부재 설치 구조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볶음장치에서 교반날개에 체결부재가 설치되는 조립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볶음장치에서 가열통-교반날개-체결부재 조립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볶음장치에서 교반날개의 양측 밀착판에 개별적인 체결부재(a)와 일체의 체결부재(b) 설치 구조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볶음장치에서 교반날개를 가열통에 너트와 나비너트로 체결되는 조립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볶음장치에서 가열통의 결합부재-모터축 체결 구조도(1).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볶음장치에서 결합부재-모터축 체결 구조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볶음장치에서 결합부재의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볶음장치에서 가열통의 결합부재-모터축 체결 구조도(2).
도 19는 도 18의 본 발명에 따른 볶음장치에서 결합부재 사시도(a)와 내부단면도(b).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볶음장치에서 자력을 가진 결합부재가 모터축에 결합되는 구조도(3).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볶음장치에서 가스주입구에 가스공급관-제2가스분사노즐로 구성되는 보조화력부재가 설치된 구조도.
도 22는 도 21의 본 발명에 따른 볶음장치에서 “A”부위의 확대 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볶음장치에서 하우징 상부에 거치대가 설치된 구조도.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볶음장치에서 하우징 상부에 브라켓-연결판-회전봉-회전체의 일체구조가 설치된 구조도.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볶음장치에서 브라켓-연결판-회전봉-회전체의 구조도(a)와 단면도(b).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볶음장치에서 제어부에 의한 각 구성요소 작동블럭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내부에 일측이 개방되면서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개방된 외주단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테두리가 형성된 가열통(100)과, 상기 가열통(100)의 외측 저면에 연결된 모터축(210)을 구동하여 가열통(100)을 회전하도록 하는 구동모터(200)와, 상기 가열통(100)의 모터축(210)을 통과하여 구속없이 결속되도록 결속공(310)이 형성되며, 상기 구동모터(200)가 후면에 고정되는 판상의 지지판(300)과, 상기 지지판(300)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면서 일측으로 연장되어 가열통(100)의 양측부를 커버하는 한쌍의 제1커버판(400a)과, 상기 지지판(400) 양측면의 각각 하단부에 힌지(511)로 연결되어 지지판(300)이 회전하도록 상면에 각각 브라켓(510)이 형성되며, 상면 중앙에 가열통(100)을 가열하도록 다수개의 제1가스분사노즐(520)이 구비되며, 정면에 모터작동스위치(530), 가스작동스위치(540), 알람부(550) 및 타이머(560)가 구비되며, 일측면에 화력조절부(570)가 구비되며, 후면에 제1가스분사노즐(520)로 가스를 공급되도록 가스주입구(580)가 구비되며, 내부에 정면에 구비된 모터작동스위치(530), 가스작동스위치(540), 알람부(550) 및 타이머(56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90)가 구비되는 하우징(500) 및, 상기 한쌍의 제1커버판(400a) 하측을 서로 연결하여 상하로 회전하도록 하는 제2커버판(400b)으로 구성되는 볶음장치(10)에 있어서,
상기 가열통(100) 내부의 내주면에 길이방향으로 하나 이상이 설치되면서 하단 일측에 수평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밀착판(610)이 형성된 수직형의 교반날개(600)와,
상기 밀착판(610) 저면의 일측면이 자력에 의해 밀착되도록 자력을 유지하면서 가열통(100)의 상부 테두리(110) 일면에 부착되는 자력발생부재(700a)와,
상기 가열통(100)의 저면에 고정 설치되면서 상기 구동모터(200)의 모터축(210) 단부가 결속되도록 일측의 결속부(121) 내측으로 삽입홈(123)이 형성되고, 상기 모터축(210)의 외주면에 돌출형성된 결속핀(211)이 구속되도록 결속부(121) 상단에서 삽입홈(123) 내측으로 수직 절개된 인도홀(124a)과 상기 인도홀(124a)에 연계되어 결속부(121) 외주면 양측으로 각각 수평 절개된 결속홀(125a)이 형성되고, 상기 결속부(121)에 연계되어 가열통(100)의 저면에 고정 부착되는 타측의 고정부(122)로 구성되는 결합부재(120)로 이루어지는 볶음장치(10)를 제공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가열통(100)은 원통형의 형상으로 내부에 공간을 가지면서 일측이 개방되며, 타측은 밀폐되어 타측 중앙에 모터축(110)이 연결되어 구비된다.
상기 가열통(100)의 타측 즉, 가열통의 외측 저면에 연결되는 모터축(210)에 연결되어 가열통(100)이 회전하도록 구동모터(200)가 구비된다.
상기 가열통(100)의 모터축(210)을 통과하여 구속없이 결속되도록 결속공(310)이 형성되는 판상의 지지판(300)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판(300)의 결속공(310)을 통해 모터축(210)이 삽입되어 모터축(210)의 회전으로 결속공(310)에 간섭없이 모터축(210)이 회전하도록 하며, 상기 지지판(300)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면서 일측으로 연장되어 가열통(100)의 양측부를 커버하는 한쌍의 제1커버판(400a)이 구비된다.
상기 가열통(100)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우징(500)은 상기 지지판(300)의 양측면 각각 하단부에 힌지(511)로 연결되도록 상기 지지판(300)의 양측면 하단부에 대응되도록 하우징(500) 상면에 이격된 한쌍의 브라켓(510)이 형성되며, 이때 상기 지지판(300)의 양측면 하단부가 상기 한쌍의 브라켓(510)에 제1커버판(400a) 중 일측 제1커버판(400a) 일측단에 손잡이(410)가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410)를 상하로 이동하면 한쌍의 제1커버판(400a)과 연결고정된 지지판(300)이 브라켓(510)에 의해 힌지(511)로 결속되어 상하로 회전하면서 동시에 지지판(300)의 후면에 고정된 구동모터(200) 및 구동모터(200)에 연결되면서 지지판(300)의 결속공(310)에 내속된 모터축(110)에 연결된 가열통(100)도 상하로 회전하게 된다.
이렇게 지지판(300)의 양측면 하단부에 각각 힌지(511)로 연결된 브라켓(510)에 의해 지지판(300)의 상하 이동으로 가열통(100) 내부에 내용물을 넣거나 빼낼 때 작업자가 쉽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더구나 가열통(100)의 상하 이동으로 하우징(500) 중앙에 구비된 제1가스분사노즐(520)의 가열을 통해 높낮이를 조절하여 가열통(100)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알맞게 볶거나 조리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하우징(500)의 상면 중앙에 가열통(100)을 가열하도록 다수개의 제1가스분사노즐(520)이 구비되며, 정면에 모터작동스위치(530), 가스작동스위치(540), 알람부(550) 및 타이머(560)가 구비되며, 일측면에 화력조절부(570)가 구비되며, 후면에 제1가스분사노즐(520)로 가스를 공급되도록 가스주입구(580)가 구비되며, 내부에 정면에 구비된 모터작동스위치(530), 가스작동스위치(540), 알람부(550) 및 타이머(56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90)가 구비된다.
먼저,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500)의 모터작동스위치(530)를 작동시켜 구동모터(200)를 구동하여 가열통(100)을 회전하도록 하며, 상기 가스작동스위치(540)를 작동시켜 제1가스분사노즐(520)을 통해 가스를 분사함과 동시에 가스작동스위치(540)에 연계되어 제1가스분사노즐(520)에 근접한 점화부(미도시)에 의해 스파크(불꽃)를 일으켜 제1가스분사노즐(520)에 가스점화가 발생하게 되며, 이때 화력조절부(570)를 통해 제1가스분사노즐(520)의 불꽃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1가스분사노즐(520)로 분사되는 가스량을 조절하도록 제공된다.
상기 가스의 유입경로를 살펴보면, 하우징(500)의 후면에 형성된 가스주입구(580)를 통해 가스를 연결하며, 상기 가스주입구(580)와 연결되는 이동관(581)이 하우징(500)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관(581)이 가스작동스위치(540)의 작동에 제어되는 솔밸브(541)를 통해 제1가스분사노즐(520)로 연결되어 형성되되, 상기 솔밸브(541)와 제1가스분사노즐(520) 사이를 연결하는 이동관(581) 일면에 화력조절부(570)가 구비되어 이동관(581) 내부에 이동되는 가스량을 조절하게 된다.
상기 제1가스분사노즐(520)의 점화로 타이머(560)를 설정하게 되며, 이때 타이머(560)에 의해 조정된 시간이 끝나면 동시에 자동으로 솔밸브(541)가 작동하여 가스의 흐름을 차단하여 제1가스분사노즐(520)을 통한 가열이 중단되게 되면서 알람부(550)에 소리 또는 점등이 발생되어 사용자에게 알려주게 된다.
이러한 모터작동스위치(530)에 의한 구동모터(200)의 작동, 가스작동스위치(540)에 의해 솔밸브(541)의 작동과 점화부(미도시)의 스파크 발생, 타이머(560)의 조절과 설정 시간 종결시 솔밸브(541)의 작동 및 알람부(5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90)가 하우징(500)의 내부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제1커버판(400a) 하측을 서로 연결하여 상하로 회전하도록 하는 제2커버판(400b)이 형성되어 가열통(100)에 제1가스분사노즐(520)을 통한 화력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볶음장치(10) 앞에 위치한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하게 된다.
상기 제2커버판(400b)이 상하로 회전하여 제2가스분사노즐(520)의 불꽃세기를 확인할 수 있으며. 그리고 가열통(100)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빼낼 때 상기 제2커버판(400b)을 상부로 이동시켜 가열통(100)이 하향으로 완전히 이동시키게 되거나 가열통(100)이 하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하향된 제2커버판(400b)이 그대로 이동되어 제2커버판(400b)이 하우징(500)의 정면에 위치하며, 또한 가열통(100)을 가열시 제2커버판(400b)을 하부로 이동시켜 제1가스분사노즐(520)을 통한 전달되는 화력을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도 7과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가열통(100) 내부의 내주면에 길이방향으로 하나 이상이 설치되면서 하단 일측에 수평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밀착판(610)이 형성된 수직형의 교반날개(600)에 있어, 상기 교반날개(600)는 가열통(100) 내부에 내주면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200)의 구동으로 가열통(100)이 회전하면서 상기 가열통(100) 내부에 수용된 곡물 또는 음식물이 골고루 섞여 교반되도록 교반날개(600)에 의해 수행하게 된다.
상기 교반날개(600)는 가열통(100)의 내주면에 면접된 하부로부터 상부로 수직으로 형성되며, 상기 교반날개(600)의 하단 일측 즉, 가열통(100)의 내주면 상부에 위치한 교반날개(600)의 하단부 일측에 수평으로 연장된 밀착판(610)이 형성되되, 상기 밀착판(610)의 일측단이 외측으로 더 연장되어 교반날개(600)의 하단부 외측으로 연장된 밀착판(61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교반날개(600)를 가열통(100) 내주면에 밀착 부착되도록 가열통(100) 상부의 테두리(110) 즉, 가열통(100) 상단부가 수평으로 절곡된 테두리(110)를 형성하여 상기 테두리(110)에 부착 고정되는 자력발생부재(700a)를 설치하게 되며, 상기 가열통(100)의 테두리(110)에 부착된 자력발생부재(700a)에 가열통(100) 내주면에 구비되는 교반날개(600)의 밀착판(610) 즉, 외측으로 더 연장된 밀착판(610)의 저면부가 부착되어 가열통(100) 내주면에 교반날개(600)가 밀착 고정되게 된다.
상기 자력발생부재(700a)는 자석 등과 같은 자력을 발생하여 가열통(100)의 테두리(110)에 견고히 부착되면서 교반날개(600)의 밀착판(610)을 부착하게 되며, 상기 자력발생부재(700a)는 일체가 자석 등과 같은 자력을 발생하거나 외부의 커버 내부에 자석 등과 같은 자력을 발생하는 것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교반날개(600)의 밀착판(610) 설치없이 자력발생부재(700b)가 교반날개(600)의 하부 내측에 설치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자력발생부재(700a)에 의해 부착되어 가열통(100) 내주면에 고정된 교반날개(600)는 곡물 또는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교반날개(600) 중 선택되는 곡물 또는 음식물에 맞는 교반날개(600)를 선택하여 쉽게 교체 또는 부착을 통해 교반날개(600)를 탈부착하여 볶거나 조리를 빠르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력발생부재(700a) 대신에 도 10 내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밀착판(610)의 상면에 돌출된 걸림턱(611)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611)에 결속되도록 걸림홀(711)이 형성된 제1체결판(710)과 상기 제1체결판(710) 단부에 절곡 연장되어 가열통(100)의 테두리(110)에 밀착되는 제2체결판(720)과 상기 제2체결판(720)의 단부에 절곡 연장되어 테두리(110)의 저면 단부에 압착 결합되도록 내측 일면에 결합돌기(731)가 형성된 제3체결판(730)으로 구성된 체결부재(700b)가 설치되는 볶음장치(10)를 제공한다.
상기 체결부재(700b)는 제1체결판(710), 제2체결판(720) 및 제3체결판(730)이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1체결판(710)의 일면에 관통형성된 걸림홀(711)에 상기 교반날개(600)의 밀착판(610) 일면에 “ㄱ”형태로 돌출형성된 걸림턱(611)이 내속 결속되어 교반날개(600)의 밀착판(610)을 제1체결판(710)에 의해 밀착 결속하게 되고, 상기 제1체결판(710)의 단부에 절곡 연장된 제2체결판(720) 저면이 가열통(100)의 테두리(110)에 밀착되되, 상기 제2체결판(720)의 폭은 가열통(100)의 테두리(110) 폭에 동일한 폭을 가지거나 가열통(100)의 테두리(110) 폭에 비해 큰 폭을 가진 제2체결판(720)이 형성되도록 하여 제2체결판(720) 저면 전체가 가열통(100)의 테두리(110)에 밀착하게 된다.
상기 제2체결판(720)의 단부에 절곡 연장되는 제3체결판(730) 저면에 테두리(110) 단부에 압착 결합되도록 결합돌기(731)가 형성되어 상기 밀착판(610)의 걸림턱(611)에 구속 밀착된 제1체결판(710)에 제2체결판(720)이 테두리(110)에 밀착되면서 제3체결판(730)의 결합돌기(731)를 태두리(110) 단부에 압박하면서 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체결부재(700b)를 통해 교반날개(600)가 가열통(100)의 내주면에 밀착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도 1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교반날개(600)의 하단 일측에 수평으로 연장된 밀착판(610)이 타측에도 동일한 밀착판(610)이 더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재(700b)를 교반날개(600)의 양측 밀착판(610)을 결합하여 가열통(100) 내주면에 긴밀히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1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교반날개(600) 양측에 형성된 밀착판(610) 각각의 걸림턱(611)에 결속되도록 제1체결판(710) 일면에 한쌍의 걸림홀(711)이 형성되는 일체의 체결부재(700b)가 구비되어 상기 교반날개(600) 양측의 밀착편(610) 걸림턱(611)을 동시에 결속하여 가열통(100)의 테두리(110)에 밀착되는 제2결속판(720)과 상기 테두리(110) 단부를 압박하여 결합시키는 결합돌기(731)가 형성된 제3체결판(730)으로 구성되는 일체의 체결부재(700b)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교반날개(600)의 밀착판(610)과 자력발생부재(700a) 대신에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교반날개(600)의 하단 일측단에서 수직으로 절곡 연장되어 일면에 관통된 제1볼트공(621)이 형성된 연장판(620)이 가열통(100)의 테두리(110) 일면에 형성된 제2볼트공(111)에 연통되도록 하며, 상기 제1, 2볼트공(621, 111)을 통해 볼트(20)를 삽입하되, 상기 볼트(20)의 머리부(21)가 테두리(110) 외측에 면접하면서 볼트(20)의 몸체부(22)를 통해 보조너트(30a)를 체결하여 상기 보조너트(30a)가 제1볼트공(621)과 제2볼트공(111) 사이에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연장판(620)의 제1볼트공(621)으로 돌출된 볼트(20)의 몸체부(22)에 나비너트(30b)를 체결하여 가열통(100) 내주면에 교반날개(600)가 밀착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가열통(100)을 구동모터(200)의 모터축(210)으로부터 탈부착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지게 된다.
도 15 내지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가열통(100)의 저면에 고정 설치되면서 상기 구동모터(200)의 모터축(210) 단부가 결속되도록 일측의 결속부(121) 내측으로 삽입홈(123)이 형성되고, 상기 모터축(210)의 외주면에 돌출형성된 결속핀(211)이 구속되도록 결속부(121) 단부에서 삽입홈(123) 내측으로 관통되어 수직 절개된 인도홀(124a)과 상기 인도홀(124a)에 연계되어 결속부(121) 외주면 양측으로 각각 삽입홈(123) 내측으로 관통되어 수평 절개된 결속홀(125a)이 형성되고, 상기 결속부(121)에 연계되어 가열통(100)의 저면에 고정 부착되는 타측의 고정부(122)로 구성되는 결합부재(120)를 설치하게 된다.
상기 결합부재(120)는 가열통(100)의 저면에 고정되는 고정부(122)와 상기 구동보터(200)의 모터축(210)에 결속되는 결속부(121)로 일체가 구성된다.
상기 결속부(121)는 상기 모터축(210) 단부의 소정의 길이가 삽입되도록 내측으로 오목형의 삽입홈(123)이 형성되며, 이때 상기 모터축(210)의 외주면 일면에 돌출 형성된 결속핀(211)이 상기 결속부(121) 상단에 삽입홈(123) 내측으로 관통 절개된 인도홀(124a)이 형성되며, 상기 인도홀(124a) 내측 단부에서 연계되어 결속부(121) 외주면 양측으로 각각 수평 절개되어 삽입홈(123) 내측으로 관통되는 결속홀(125a)이 형성된다.
즉, 상기 인도홀(124a)과 결속홀(125a)이 결속부9121)의 외주면에서 삽입홈(123)으로 관통형성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상기 모터축(210) 단부가 결속부(121)의 삽입홈(123)으로 삽입되면서 모터축(210) 외주면에 돌출형성된 결속핀(211)이 결속부 인도홀(124a)을 따라 결속되며, 이때 결속핀(211)이 인도홀(124a) 내측 단부에 도달되면 가열통(100)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인도홀(124a)과 연계된 결속홀(125a)에 결속핀(211)을 결속하여 가열통(100)이 모터축(210)에 결합되게 된다.
상기 구동모터(200)의 회전으로 모터축(210)이 회전하면서 회전방향 즉, 정방향 또는 역방향에 따라 인도홀(124a) 양측에 결속홀)125a)이 형성되어 선택된 모터축(210)의 회전으로 가열통(100)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모터축(210)으로부터 가열통(100)을 탈거시 가열통(100)을 회전시켜 결합부재(120)의 결속부(121) 결속홀(125a)에 결속된 모터축(210)의 결속핀(211)이 이동되면서 결속부(121) 인도홀(124a) 내측 단부에 결속핀(211)이 위치하면 가열통(100)을 빼내어 모터축(210)으로부터 이탈시켜 가열통(100)을 분리하게 된다.
또한, 도 18과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결속부(121) 내측에 형성된 삽입홈(123) 상단에서 내측의 소정의 길이로 인도홈(124b)을 형성하며, 상기 인도홈(124b) 내측 단부와 연계되어 양측으로 각각 수평으로 결속홈(125b)을 형성하여 상기 삽입홈(123) 내주면에 인도홈(124b)과 결속홈(125b)이 형성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123) 내주면에 형성된 인도홈(124b)과 결속홈(125b)에 모터축(210)의 결속핀(211)이 이동되는 원리는 상술한 인도홀(124a)과 결속홀(125a)에 모터축(210)의 결속핀(211)이 이동되는 원리와 동일하게 서술된다.
또한,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재(120)의 결속부(121)가 자력을 가져 상기 구동모터(200)의 모터축(210)이 상기 결속부(121)의 삽입홈(123)에 삽입되어 결속부(121)가 자력을 발생하여 상기 모터축(210)을 부착하게 된다.
또한, 상기 결속부(121)에 인도홀(124a)과 결속홀(125a)이 형성되지 않고, 상기 삽입홈(123)의 단면이 다각형을 가지면서 상기 삽입홈(123)의 단면 형상과 대응되는 모터축(210)의 단면도 다각형을 가지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또한, 도 21과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가스주입구(580)에 일단이 연결되어 가열통(100) 내부로 연장되는 가스공급관(810)이 형성되며, 상기 가스공급관(810) 타단에 제2가스분사노즐(820)이 구비되며, 상기 가스공급관(810)의 길이방향으로 내속되도록 보호관(830)으로 구성되는 보조화력부재(800)가 설치되되, 상기 보호관(830)이 후렉시블 튜브인 것을 제공한다.
상기 가스주입구(580)에 연결되는 가스공급관(810)과 상기 가스공급관(810) 길이방향으로 외부에 보호관(830)이 구비되면서 가스공급관(810) 단부에 제2가스분사노즐(820)이 가열통(100) 내부 또는 가열통(100) 외측에 위치하는 보조화력수단(800)은 가열통(100) 내부에 수용된 곡물 또는 음식물에 직접 열을 가하여 빠른 볶음과 조리를 수행하거나 가열통(100) 내부에 열을 가하여 곡물 또는 음식물을 익힐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가스공급관(810)은 통상의 가스배관을 사용하게 되며, 상기 가스공급관(810) 외부를 커버하는 보호관(830)은 후렉시블 튜브로서 휘거나 구부려서 그 위치에 고정될 수 있는 원리로 작용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가열통(100) 내부에 적정 위치에 제2가스분사노즐(820)이 위치하도록 보호관(830)을 이동시켜 고정되도록 하며, 사용 후 가열통(100) 외부로 이동시켜 고정되는 구조로 제공된다.
또한, 상기 가스주입구(580)에 연결되는 가스공급관(810) 일면에 모터팬(미도시)이 구비되어, 상기 가스주입구(580)를 통해 공급되는 가스에 상기 모터팬의 작동으로 공기가 유입되어 공기와 가스가 혼합된 가스가 상기 가스공급관(810)을 통해 공급되어 제2가스분사노즐(820)을 통해 배출되도록 제공되며, 상기 모터팬의 공기량 조절을 통해 상기 제2가스분사노즐(820)을 통해 배출되는 점화된 혼합가스의 화력을 조절하게 된다.
또한,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500) 후면의 가스주입구(580)가 설치된 일측 또는 하우징 상면 후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면서 상단이 수평으로 절곡되는 거치대(40)가 더 설치되는 볶음장치(10)를 제공한다.
상기 가열통(100) 내부로 이동된 또는 가열통(100) 외부로 이동된 보호관(830)에 내부에 수용된 가스공급관(810)을 상기 거치대(40)의 절곡된 상부에 안착시켜 더욱 안정된 구조를 가지도록 제공된다.
또한, 도 24와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한쌍의 제1커버판(400a)과 연결고정된 지지판(300)이 브라켓(510)에 의해 힌지(511)로 결속되어 상하로 회전하게 되는 데, 상기 지지판(300)이 좌우로도 회전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기술요소를 부가하여 설명한다.
상기 한쌍의 브라켓(510)에서 각각의 하단을 연결하여 브라켓(510)과 브라켓(51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판(512)과, 상기 연결판(512) 하면 중앙에 고정되어 수직으로 하향되는 회전봉(513)과 상기 회전봉(513)이 좌우로 회전하도록 회전봉(513) 하부 외주면을 내속하면서 내부에 회전유도부(515)가 구비되어 하우징(500)의 상부 후면에 고정되는 회전체(514)를 구성한다.
상기 회전체(514)는 하우징(500)의 상부 후면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체(514) 내부로 회전봉(513)의 하부가 내속되면서 내속된 회전봉(513) 외주면에 면접되면서 회전체(514) 내부에 회전유도부(515)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유도부(515)는 베어링 등과 같은 것으로 회전봉(513) 외주면을 면접하면서 회전봉(513)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유도부(515)가 구비된 회전체(514)와는 달리 좌우로 소정의 길이로 회전하면서 일정 길이의 회전마다 단속될 수 있는 구조가 추가되어 설계될 수 있음을 밝힌다.
이렇게 상기 회전체(514)를 기준으로 상기 회전체(514)에 연결된 회전봉(513)이 좌우의 소정의 길이로 회전하게 되며, 이때 회전봉(513)의 회전으로 회전봉(513) 상단이 연결 고정된 연결판(512)과 상기 연결판(512)의 양단에 각각 브라켓(510)으로 연결고정되어 회전봉(513)의 회전으로 연결판(512)과 브라켓(510) 일체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볶음장치는 다양하게 설계변경하여 제작할 수 있는 것으로 상시 실시예를 통하여 그 원리를 본 발명의 구성으로 한정하여 제작하되 그 원리를 통한 기구에 있어서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설계변경으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는 것을 밝힌다.
볶음장치 : 10, 가열통 : 100, 구동모터 : 200, 모터축 : 210, 지지판 : 300, 결속공 : 310, 제1커버판 : 400a, 제2커버판 : 400b, 손잡이 : 410, 하우징 : 500, 브라켓 : 510, 힌지 : 511, 연결판 : 512, 회전봉 : 513, 회전체 : 514, 회전유도부 : 515, 제1가스분사노즐 : 520, 모터작동스위치 : 530, 가스작동스위치 : 540, 솔밸브 : 541, 알람부 : 550, 타이머 : 560, 화력조절부 : 570, 가스주입구 : 580, 이동관 : 581, 제어부 : 590, 교반날개 : 600, 밀착판 : 610, 연장판 : 620, 자력발생부재 : 700a, 체결부재 : 700b, 제1체결판 : 710, 제2체결판 : 720, 제3체결판 : 730, 보조화력부재 : 800, 가스공급관 : 810, 제2가스분사노즐 : 820, 보호관 : 830

Claims (8)

  1. 내부에 일측이 개방되면서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개방된 외주단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테두리가 형성된 가열통(100)과, 상기 가열통(100)의 외측 저면에 연결된 모터축(210)을 구동하여 가열통(100)을 회전하도록 하는 구동모터(200)와, 상기 가열통(100)의 모터축(210)을 통과하여 구속없이 결속되도록 결속공(310)이 형성되며, 상기 구동모터(200)가 후면에 고정되는 판상의 지지판(300)과, 상기 지지판(300)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면서 일측으로 연장되어 가열통(100)의 양측부를 커버하는 한쌍의 제1커버판(400a)과, 상기 지지판(300) 양측면의 각각 하단부에 힌지(511)로 연결되어 지지판(300)이 회전하도록 상면에 각각 브라켓(510)이 형성되며, 상면 중앙에 가열통(100)을 가열하도록 다수개의 제1가스분사노즐(520)이 구비되며, 정면에 모터작동스위치(530), 가스작동스위치(540), 알람부(550) 및 타이머(560)가 구비되며, 일측면에 화력조절부(570)가 구비되며, 후면에 제1가스분사노즐(520)로 가스를 공급되도록 가스주입구(580)가 구비되며, 내부에 정면에 구비된 모터작동스위치(530), 가스작동스위치(540), 알람부(550) 및 타이머(56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90)가 구비되는 하우징(500) 및, 상기 한쌍의 제1커버판(400a) 하측을 서로 연결하여 상하로 회전하도록 하는 제2커버판(400b)으로 구성되는 볶음장치(10)에 있어서,
    상기 가열통(100) 내부의 내주면에 길이방향으로 하나 이상이 설치되면서 하단 일측에 수평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밀착판(610)이 형성된 수직형의 교반날개(600)와,
    상기 밀착판(610) 저면의 일측면이 자력에 의해 밀착되도록 자력을 유지하면서 가열통(100)의 상부 테두리(110) 일면에 부착되는 자력발생부재(700a)와,
    상기 가열통(100)의 저면에 고정 설치되면서 상기 구동모터(200)의 모터축(210) 단부가 결속되도록 일측의 결속부(121) 내측으로 삽입홈(123)이 형성되고, 상기 모터축(210)의 외주면에 돌출형성된 결속핀(211)이 구속되도록 결속부(121) 상단에서 삽입홈(123) 내측으로 수직 절개된 인도홀(124a)과 상기 인도홀(124a)에 연계되어 결속부(121) 외주면 양측으로 각각 수평 절개된 결속홀(125a)이 형성되고, 상기 결속부(121)에 연계되어 가열통(100)의 저면에 고정 부착되는 타측의 고정부(122)로 구성되는 결합부재(1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볶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120)의 결속부(121)가 자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볶음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발생부재(700a) 대신에 밀착판(610)의 상면에 돌출된 걸림턱(611)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611)에 결속되도록 걸림홀(711)이 형성된 제1체결판(710)과 상기 제1체결판(710) 단부에 절곡 연장되어 가열통(100)의 테두리(110)에 밀착되는 제2체결판(720)과 상기 제2체결판(720)의 단부에 절곡 연장되어 테두리(110)의 저면 단부에 압착 결합되도록 내측 일면에 결합돌기(731)가 형성된 제3체결판(730)으로 구성된 체결부재(700b)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볶음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날개(600)의 밀착판(610)과 자력발생부재(700a) 대신에 교반날개(600)의 하단 일측단에서 수직으로 절곡 연장되어 일면에 관통된 제1볼트공(621)이 형성된 연장판(620)이 가열통(100)의 테두리(110) 일면에 형성된 제2볼트공(111)에 연통되도록 하며, 상기 제1, 2볼트공(621, 111)을 통해 볼트(20)를 삽입하되, 상기 볼트(20)의 머리부(21)가 테두리(110) 외측에 면접하면서 볼트(20)의 몸체부(22)를 통해 보조너트(30a)를 체결하여 상기 보조너트(30a)가 제1볼트공(621)과 제2볼트공(111) 사이에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연장판(620)의 제1볼트공(621)으로 돌출된 볼트(20)의 몸체부(22)에 나비너트(30b)를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볶음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주입구(580)에 일단이 연결되어 가열통(100) 내부로 연장되는 가스공급관(810)이 형성되며, 상기 가스공급관(810) 타단에 제2가스분사노즐(820)이 구비되며, 상기 가스공급관(810)의 길이방향으로 내속되도록 보호관(830)으로 구성되는 보조화력부재(800)가 더 설치되되, 상기 보호관(830)이 후렉시블 튜브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볶음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주입구(580)에 연결되는 가스공급관(810) 일면에 모터팬이 구비되어 상기 가스공급관 내부로 가스와 공기가 혼합되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볶음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500) 후면의 가스주입구(580)가 설치된 일측 또는 하우징 상면 후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면서 상단이 수평으로 절곡되는 거치대(40)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볶음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브라켓(510)에서 각각의 하단을 연결하여 브라켓(510)과 브라켓(51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판(512)과, 상기 연결판(512) 하면 중앙에 고정되어 수직으로 하향되는 회전봉(513)과 상기 회전봉(513)이 좌우로 회전하도록 회전봉(513) 하부 외주면을 내속하면서 내부에 회전유도부(515)가 구비되어 하우징(500)의 상부 후면에 고정되는 회전체(51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볶음장치.
KR1020150098450A 2015-07-10 2015-07-10 볶음장치 KR101674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8450A KR101674670B1 (ko) 2015-07-10 2015-07-10 볶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8450A KR101674670B1 (ko) 2015-07-10 2015-07-10 볶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4670B1 true KR101674670B1 (ko) 2016-11-22

Family

ID=57540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8450A KR101674670B1 (ko) 2015-07-10 2015-07-10 볶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4670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6880A (ko) 2018-01-15 2019-07-24 농업회사법인 태백농업주식회사 곡물볶음장치
KR20190124196A (ko) 2019-10-28 2019-11-04 농업회사법인 태백농업주식회사 곡물볶음장치
KR102231776B1 (ko) * 2020-06-22 2021-03-24 신스타프리젠츠 주식회사 조리장치
KR102348647B1 (ko) 2020-11-19 2022-01-07 하복진 다용도 볶음장치
KR102446195B1 (ko) 2022-06-16 2022-09-23 주식회사 바이럴 볶음류용 자동 음식조리장치
KR102497230B1 (ko) 2021-10-14 2023-02-08 경일주방주식회사 조리 장치
KR102636820B1 (ko) * 2022-09-23 2024-02-15 주식회사 크레오코리아 자동 조리 장치
KR102636819B1 (ko) * 2022-09-23 2024-02-15 주식회사 크레오코리아 자동 조리 장치
KR20240062678A (ko) 2022-11-02 2024-05-09 하복진 개량형 다용도 볶음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4928U (ko) * 1998-04-23 1998-07-25 문대원 곡물볶음기용 전열장치
KR20010088457A (ko) * 2001-07-11 2001-09-28 지용 곡물볶음장치
KR200412443Y1 (ko) * 2005-11-09 2006-03-28 이도재 곡물 볶음장치
KR20070122112A (ko) * 2006-06-24 2007-12-28 (주)하라 곡물볶음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4928U (ko) * 1998-04-23 1998-07-25 문대원 곡물볶음기용 전열장치
KR20010088457A (ko) * 2001-07-11 2001-09-28 지용 곡물볶음장치
KR200412443Y1 (ko) * 2005-11-09 2006-03-28 이도재 곡물 볶음장치
KR20070122112A (ko) * 2006-06-24 2007-12-28 (주)하라 곡물볶음장치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6880A (ko) 2018-01-15 2019-07-24 농업회사법인 태백농업주식회사 곡물볶음장치
KR20190124196A (ko) 2019-10-28 2019-11-04 농업회사법인 태백농업주식회사 곡물볶음장치
KR102231776B1 (ko) * 2020-06-22 2021-03-24 신스타프리젠츠 주식회사 조리장치
WO2021261768A1 (ko) * 2020-06-22 2021-12-30 신스타프리젠츠 주식회사 조리장치
KR102348647B1 (ko) 2020-11-19 2022-01-07 하복진 다용도 볶음장치
KR102497230B1 (ko) 2021-10-14 2023-02-08 경일주방주식회사 조리 장치
KR20220135218A (ko) 2022-06-16 2022-10-06 주식회사 바이럴 다기능 음식물 조리장치
KR20220135219A (ko) 2022-06-16 2022-10-06 주식회사 바이럴 조리웍의 각도 조절되는 음식물 조리장치
KR20220139824A (ko) 2022-06-16 2022-10-17 주식회사 바이럴 직화를 이용하는 음식물 조리장치
KR102446195B1 (ko) 2022-06-16 2022-09-23 주식회사 바이럴 볶음류용 자동 음식조리장치
KR102636820B1 (ko) * 2022-09-23 2024-02-15 주식회사 크레오코리아 자동 조리 장치
KR102636819B1 (ko) * 2022-09-23 2024-02-15 주식회사 크레오코리아 자동 조리 장치
WO2024063237A1 (ko) * 2022-09-23 2024-03-28 주식회사 크레오코리아 자동 조리 장치
KR20240062678A (ko) 2022-11-02 2024-05-09 하복진 개량형 다용도 볶음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4670B1 (ko) 볶음장치
US9615694B2 (en) Heating cooker
JP4589825B2 (ja) 加熱調理装置
CN108201331B (zh) 一种具有炒菜装置的微波炉
KR101461402B1 (ko) 볶음기
JP2014094072A (ja) 電気炊飯器
KR101328507B1 (ko) 화력조절이 용이한 숯불구이장치
JP2015228951A (ja) 回転加熱型調理器
KR102143362B1 (ko) 불맛 발생용 토치가 설치된 음식물 볶음 장치
EP3256784B1 (en) Cooking apparatus
KR102497230B1 (ko) 조리 장치
KR101708649B1 (ko) 가스 오븐 레인지
CN211667863U (zh) 三维加热旋转炉
KR102030312B1 (ko) 회전식 오븐 구조를 갖는 조리기
CN209574435U (zh) 一种发热管与风扇可清洗的空气炸锅
JP6897316B2 (ja) 調理器
KR200205198Y1 (ko) 곡물 볶음기
JP5822907B2 (ja) 加熱調理器
CN217852409U (zh) 烹饪器具的锅盖组件和烹饪器具
KR101402953B1 (ko) 화력조절이 용이한 숯불구이장치
CN216702335U (zh) 空气炸锅
JP7475693B2 (ja) 自動調理装置
KR101175734B1 (ko) 오븐
CN220958554U (zh) 一种加热均匀的卡式炉
KR200152938Y1 (ko) 구이기의 하우징 착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