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6880A - 곡물볶음장치 - Google Patents

곡물볶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6880A
KR20190086880A KR1020180004958A KR20180004958A KR20190086880A KR 20190086880 A KR20190086880 A KR 20190086880A KR 1020180004958 A KR1020180004958 A KR 1020180004958A KR 20180004958 A KR20180004958 A KR 20180004958A KR 20190086880 A KR20190086880 A KR 201900868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real
grain
humidity
receiving container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4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선식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태백농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태백농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태백농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4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86880A/ko
Publication of KR20190086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68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A23N12/12Auxiliary devices for roasting machin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2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곡물볶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세척된 대량의 곡물을 보다 신속하고 간편하게 볶을 수 있는 곡물볶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볶음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쇄된 통의 형태로 형성되며, 내부에 곡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가지는 곡물수용통, 상기 곡물수용통의 상부를 개폐할 수 있는 커버판, 상기 곡물수용통의 내부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 센서, 상기 곡물수용통 내부에 곡물을 나선방향을 회전 시키는 회전날개, 곡물수용통 상부의 둘레에 부착된 연결구조물로 연결된 상부지지대 및 상부지지대의 상부에 설치되고 사용자에 의해 건조 정도가 설정되며, 상기 습도 센서에 연결되어 상기 습도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습도 정보에 따라 상기 설정된 습도 이하가 될 때까지 상기 곡물수용통의 회전날개를 구동시키는 습도조절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곡물볶음장치{GRAIN ROASTER}
본 개시는, 곡물볶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세척된 대량의 곡물을 보다 신속하고 간편하게 볶을 수 있는 곡물볶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곡물을 높은 온도에서 볶으면 벤조피렌(benzo(a)pyrene, B(a)P) 성분이 생성되는데, 벤조피렌(benzo(a)pyrene, B(a)P)은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 화합물(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의 일종으로, PAHs 화합물은 60 여년 전에 이미 돌연변이를 일으키는 발암 물질로 밝혀졌다. 벤조피렌은 PAHs 화합물 중 대표적으로 발암성이 강한 물질로서 여러 종의 동물 실험에서 피부암, 폐암 및 기관지암을 일으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유럽에서는 식용유에 대하여 2.0 ppb이하, 중국에서는 10 ppb이하로 관리되고 있고, WHO(국제보건기구) 및 LARC(국제암연구소)에서는 발암물질(1A)로 분류되어 있다.
발암물질인 벤조피렌의 생성을 저감시킬 수 있는 볶음 깨의 제조방법으로서, 깨의 볶음 과정에서의 온도 및 시간 조건을 조절하는 것이 알려져 있어, 볶는 온도를 낮춰서 볶은 깨를 이용하여 짠 참기름, 들기름 등이 고급 웰빙 식품으로 인식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깨나 콩과 같은 곡물을 볶음 장치를 통해 볶기 전에 곡물을 세척하는 단계를 거치는데, 세척 후 건조되지 않은 상태에서, 즉 곡물 내에 남아있는 수분이 많은 상태에서 볶음 장치를 통해 볶게 되면 수분이 증발하면서 곡물 겉 표면 온도가 볶음 장치에서 설정한 온도 보다 현저히 높아지는데 이는 설정된 온도 보다 높은 온도로 깨를 볶게 되는 문제점을 야기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84907호 한국등록특허 제10-1674670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곡물을 볶을 때 설정한 온도로 균일하게 곡물을 볶을 수 있는 곡물볶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곡물을 신속하게 적절하게 건조시킨 후 균일한 온도로 곡물을 볶을 수 있는 편리한 곡물볶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볶음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쇄된 통의 형태로 형성되며, 내부에 곡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가지는 곡물수용통, 상기 곡물수용통의 상부를 개폐할 수 있는 커버판, 상기 곡물수용통의 내부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 센서, 상기 곡물수용통 내부에 곡물을 나선방향을 회전 시키는 회전날개, 곡물수용통 상부의 둘레에 부착된 연결구조물로 연결된 상부지지대 및 상부지지대의 상부에 설치되고 사용자에 의해 건조 정도가 설정되며, 상기 습도 센서에 연결되어 상기 습도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습도 정보에 따라 상기 설정된 습도 이하가 될 때까지 상기 곡물수용통의 회전날개를 구동시키는 습도조절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곡물수용통의 커버판의 내측 상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메시망, 상기 곡물수용통의 하부에 설치되는 에어주입관, 상기 곡물수용통의 상면을 관통하는 배출관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에어주입관으로 공기를 주입하는 송풍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곡물수용통의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 및 곡물을 볶아지게 하는, 상기 곡물수용통에 설치된 열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볶음장치는, 세척한 곡물을 신속하고 적절하게 건조시킨 후 설정한 온도로 균일하게 곡물을 볶아, 사용 및 작동상의 편의성과 정밀성을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볶음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볶음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여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각 구성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도시된 것이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형상 및 크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형되어 구현될 수 있으며,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볶음장치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볶음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볶음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볶음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볶음장치(10)는, 하우징(200), 상기 하우징(200)의 상부에 위치되는 곡물수용통(100), 상기 곡물수용통(100)의 상부에 위치되는 상부지지대(300)를 포함한다.
곡물수용통(100)에는 곡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곡물수용통(100)은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쇄된 통과 같은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곡물수용통(100)의 상부는 커버판(12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커버판(120)의 내측 상부에는 커버판(120)과 수평하게 설치되는 메시망(110)이 구비될 수 있다. 후술할 송풍기(210)에 의해 곡물수용통(100)으로 외부 공기가 유입될 때, 메시망(110)에 의해 곡물의 이탈은 방지되고 공기만 배출관(16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하우징(200)의 내부에는 송풍기(210)가 설치될 수 있다. 송풍기(210)는 외부 공기를 곡물수용통(100)으로 유입시킬 수 있다. 송풍기(210)와 곡물수용통(100)은 에어주입관(13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에어주입관(130)은 곡물수용통(100)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송풍기(210)에 의해 외부 공기는 곡물수용통(100)의 유입되고, 유입된 외부 공기는 곡물수용통(100) 내부에 수용된 곡물을 통과하면서 곡물을 건조시킬 수 있다.
곡물수용통(100)에는 일측에는 배출관(160)이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배출관(160)은 곡물수용통(10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송풍기(210)에 의해 곡물수용통(100)으로 유입된 공기는 곡물수용통(100) 내부에서 소용돌이치면서 상승하여 배출관(16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곡물수용통(100) 내부에 수용된 곡물로부터 증발된 수분을 함유한 공기는 배출관(16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배출관(160)은 곡물수용통(100)의 커버판(120)에 구비되는 메시망(110)에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될 수 있다. 배출관(160)은 상부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곡물수용통(100)에는 회전날개(180)가 구비될 수 있다. 회전날개(180)는 곡물수용통(100) 내에서 회전하면서 곡물수용통(100)에 수용된 곡물을 나선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곡물은 회전날개(180)에 의해 회전하면서 송풍기(210)에 의해 유입된 바람에 의해 골고루 건조될 수 있다. 한편, 회전날개(180)는 하우징(200)에 구비되는 구동모터(미도시)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상부지지대(300)는 곡물수용통(100)의 상부에 부착된 연결구조물(310)에 의해 연결된다. 상부지지대(300)의 상부에는 습도조절기(400)가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습도조절기(400)를 조작하여 곡물의 건조 정도를 설정할 수 있다. 곡물의 건조 정도는, 곡물을 볶기 전에 곡물이 충분히 말려진 상태일 때의 곡물수용통(100)의 습도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곡물의 건조 정도는 이러한 곡물수용통(100) 내부의 습도를 입력함으로써 설정될 수 있다.
습도조절기(400)에 의해 곡물의 건조 정도가 설정되면, 설정된 습도 이하가 될 때까지 곡물수용통(100) 내의 회전날개(180)가 회전한다. 이때 송풍기(210)가 동작되고 곡물수용통(100) 내부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다. 송풍기(210)에 의해 외부 공기가 유입됨으로써, 곡물수용통(100) 내의 곡물이 더욱 빠르게 건조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곡물수용통(100) 내부의 회전날개(180)만 회전하거나, 송풍기(210)만 동작되거나, 회전날개(180)와 송풍기(210)가 모두 동작될 수도 있다. 그러나 곡물이 신속하게 건조되기 위해서는 송풍기(210)와 회전날개(180)가 모두 동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곡물수용통(100)에는 내부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140)가 위치된다. 습도센서(140)는 곡물수용통(100) 내부의 습도를 감지하여 제어부(미도시)로 그 정보를 전송하고, 제어부는 감지된 습도가 사용자에 의해 기설정된 습도 이하가 될 때까지 회전날개(180)를 회전시키거나 송풍기(210)를 동작시킬 수 있다.
곡물수용통(100)의 하부에는 열선(170)이 설치될 수 있다. 열선(170)은 하우징(200)에 위치되는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동작될 수 있다. 곡물수용통(100)의 곡물이 기설정된 습도 이하가 되면, 열선(170)이 동작되어 곡물을 볶을 수 있다. 이때 회전날개(180)가 회전하면서 곡물을 뒤섞을 수 있다. 이로써 곡물이 골고루 볶아질 수 있다.
곡물수용통(100)에는 곡물수용통(100)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1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에는 곡물수용통(100)에 수용된 곡물이 볶아지는 온도가 기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온도센서(150)는 곡물수용통(100)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전송하고, 제어부는 전송받은 정보에 따라 곡물수용통(100) 내부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열선(170)의 동작을 중지시킬 수 있다. 또한 곡물수용통(100) 내부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열선(170)을 다시 동작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열선(170)의 동작이 제어됨으로써 곡물수용통(100) 내부의 곡물이 균일한 온도에서 볶아질 수 있다.
한편, 곡물이 볶아지는 온도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는 습도조절기(400)를 조작하여 온도를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볶을 곡물의 종류 또는 용도에 따라 온도를 다르게 설정하여, 상황에 따라 최적의 온도에서 볶아지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온도센서(150)에 의해 곡물수용통(100) 내부의 온도가 감지되어 열선(170)의 동작이 제어됨으로써 곡물이 일정한 온도에서 볶아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곡물볶음장치(10)에 의하면, 곡물이 충분히 건조된 상태에서 볶아지므로, 세척된 곡물의 겉면에 남아 있는 수분에 의해 설정된 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곡물이 볶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곡물이 높은 온도에서 볶아질 때 발생할 수 있는 벤조피렌과 같은 유해성분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어, 볶은 곡물을 건강하게 즐길 수 있다.
또한, 곡물수용통(100) 내부의 온도와 습도가 감지되어 곡물의 건조 정도 및 볶는 온도의 제어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사용자는 세척된 곡물을 간편하게 볶을 수 있다.
또한 송풍기(210) 또는 회전날개(180)에 의해 세척된 곡물이 신속하게 건조될 수 있어 건조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을 통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곡물볶음장치 100: 곡물수용통
110: 메시망 120: 커버판
130: 에어유입관 140: 습도센서
150: 온도센서 160: 배출관
170: 열선 180: 회전날개
200: 하우징 300: 상부지지대
400: 습도조절기

Claims (3)

  1. 하우징(200);
    상기 하우징(200)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쇄된 통의 형태로 형성되며, 내부에 곡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가지는 곡물수용통(100);
    상기 곡물수용통(100)의 상부를 개폐할 수 있는 커버판(120);
    상기 곡물수용통(100)의 내부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 센서(140);
    상기 곡물수용통(100) 내부에 곡물을 나선방향을 회전 시키는 회전날개(180);
    곡물수용통(100) 상부의 둘레에 부착된 연결구조물(310)로 연결된 상부지지대(300); 및
    상부지지대(300)의 상부에 설치되고 사용자에 의해 건조 정도가 설정되며, 상기 습도 센서(140)에 연결되어 상기 습도 센서(140)로부터 입력되는 습도 정보에 따라 상기 설정된 습도 이하가 될 때까지 상기 곡물수용통(100)의 회전날개를 구동시키는 습도조절기(4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볶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수용통(100)의 커버판(120)의 내측 상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메시망(110);
    상기 곡물수용통(100)의 하부에 설치되는 에어주입관(130);
    상기 곡물수용통(100)의 상면을 관통하는 배출관(160); 및
    상기 하우징(200)의 내부에 설치되고,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에어주입관(130)으로 공기를 주입하는 송풍기(21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볶음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수용통(100)의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150); 및
    곡물을 볶아지게 하는, 상기 곡물수용통(100)에 설치된 열선(170);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볶음장치.
KR1020180004958A 2018-01-15 2018-01-15 곡물볶음장치 KR201900868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958A KR20190086880A (ko) 2018-01-15 2018-01-15 곡물볶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958A KR20190086880A (ko) 2018-01-15 2018-01-15 곡물볶음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4829A Division KR102174365B1 (ko) 2019-10-28 2019-10-28 곡물볶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6880A true KR20190086880A (ko) 2019-07-24

Family

ID=67481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4958A KR20190086880A (ko) 2018-01-15 2018-01-15 곡물볶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8688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97135A (zh) * 2020-08-24 2021-01-08 祁雷 一种国土空间规划用地理信息采集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4670B1 (ko) 2015-07-10 2016-11-22 (주)케이투시스템이엔지 볶음장치
KR101784907B1 (ko) 2016-05-18 2017-10-12 (주) 내츄럴웰테크 곡물 볶음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4670B1 (ko) 2015-07-10 2016-11-22 (주)케이투시스템이엔지 볶음장치
KR101784907B1 (ko) 2016-05-18 2017-10-12 (주) 내츄럴웰테크 곡물 볶음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97135A (zh) * 2020-08-24 2021-01-08 祁雷 一种国土空间规划用地理信息采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20236A (en) Corn popper
US10448663B2 (en) Coffee roaster
KR20160135385A (ko) 회전식 곡물 건조 및 볶음 장치
KR20120007899U (ko) 고둥의 껍질 절단 장치
KR101415781B1 (ko) 로스팅 장치
CN106052339A (zh) 一种小型谷物烘干机
CN207280118U (zh) 一种稻谷烘干设备
KR20190086880A (ko) 곡물볶음장치
KR20210112916A (ko) 열풍을 이용한 커피 원두의 로스팅 장치
KR102155985B1 (ko) 커피 로스팅 머신
KR102174365B1 (ko) 곡물볶음장치
KR101784907B1 (ko) 곡물 볶음장치
CN106174644A (zh) 智能的烘干设备
US3359644A (en) Rotary food dehydrating apparatus with tiltable tray means
KR101344979B1 (ko) 볶음곡물 냉각장치
JP6142952B1 (ja) 焙煎装置
KR200408836Y1 (ko) 회전식 곡물 볶음장치
KR101770896B1 (ko) 열풍 교반식 수직형 로스팅 룸 구조
KR101445983B1 (ko) 커피원두 볶음장치
KR101555346B1 (ko) 현미가공식품의 제조방법
KR101854990B1 (ko) 커피 로스팅 냉각장치 및 냉각장치가 구비된 커피 로스팅 시스템
CN109310138B (zh) 生豆烘焙装置
CN215740525U (zh) 一种自控温鼓式炒药机
US2045211A (en) Combined coffee roaster and grinder
KR101523557B1 (ko) 볶음 겸용 요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