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4979B1 - 볶음곡물 냉각장치 - Google Patents
볶음곡물 냉각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44979B1 KR101344979B1 KR1020130111525A KR20130111525A KR101344979B1 KR 101344979 B1 KR101344979 B1 KR 101344979B1 KR 1020130111525 A KR1020130111525 A KR 1020130111525A KR 20130111525 A KR20130111525 A KR 20130111525A KR 101344979 B1 KR101344979 B1 KR 10134497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asted
- grains
- cooling
- unit
- pip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25B43/003—Filt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11—Reducing heat transf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볶음곡물 냉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깨 등을 포함하는 곡물을 사용하여 기름을 추출하기 전에 고온 상태로 볶아진 곡물을 일정온도로 냉각하기 위한 볶음곡물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볶음곡물 냉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깨 등을 포함하는 곡물을 사용하여 기름을 추출하기 전에 고온 상태로 볶아진 곡물을 일정온도로 냉각하기 위한 볶음곡물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깨 등을 포함하는 곡물은 기름을 추출하여 요리 등에 넣어 먹는다.
이와 같은 곡물은 작은 알갱이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고온으로 볶음된 상태의 곡물을 냉각하지 않으면 다수의 작은 알갱이들에 축열된 열에 의해 온도가 일정시간 유지되면서 곡물이 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67881호에는 볶음곡물의 냉각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볶음곡물의 냉각방법은 방열판을 이용하여 볶음곡물을 냉각하기 때문에 그 방열판과 접촉되지 않는 곡물의 빠른 냉각을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깨 등을 포함하는 곡물을 사용하여 기름을 추출하기 전에 고온 상태로 볶아진 곡물을 일정온도로 냉각하기 위한 볶음곡물 냉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볶음곡물을 공급받아 그 볶음곡물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장치로서, 상기 볶음곡물이 유입되는 유입부; 상기 유입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볶음곡물이 수용되며, 그 볶음곡물이 냉각되는 한편, 상기 볶음곡물과 그 볶음곡물에서 이탈되는 이물질이 분리 배출되는 냉각부; 상기 냉각부에서 배출되는 상기 이물질이 집진되는 집진부; 및 상기 볶음곡물을 상기 유입부로부터 상기 냉각부 방향으로 흡인하는 흡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볶음곡물 냉각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유입부는, 양단부를 가지며, 그 양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볶음곡물이 일단부로 유입되어 타단부 방향으로 이동되는 유도관; 상기 유도관을 통과하는 상기 볶음곡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유입된 상기 볶음곡물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호퍼; 및 상기 유도관의 양단부 사이에 위치되고, 개폐에 따라 외부로부터 상기 호퍼로 공급되는 상기 볶음곡물의 양을 조절하며, 개폐레버를 구비하는 조절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단부에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상기 냉각부가 연결되며, 양단부 사이에 상기 유입부가 단수 또는 복수 연결되는 이송관; 상기 냉각부와 상기 집진부를 연결하는 이물질배출관; 상기 흡인부와 상기 집진부를 연결하는 공기배출관; 및 상기 공기유입구에 결합되는 여과망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이송관, 상기 이물질배출관 및 상기 공기배출관은, 상호 연통되며, 상기 흡인부의 구동에 따라 상기 공기유입구로 흡인되는 공기는, 상기 이송관, 상기 냉각부, 상기 이물질배출관, 상기 집진부 및 상기 공기배출관으로 순차적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유입부는, 상기 조절밸브의 개폐에 따라 연동되어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개폐수단은, 일단부가 상기 조절레버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하방항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코드; 및 상기 지지코드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조절레버의 회전에 따라 승,하강되며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유입부는, 상기 조절밸브의 개폐에 따라 상기 흡인부가 연동되어 구동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냉각부는, 냉각탱크; 상기 냉각탱크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유입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볶음곡물이 수용되고, 상기 이물질이 통과되는 망체; 양단부를 가지며, 상단부가 개구되어 상기 냉각탱크와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그 양단부 사이에 상기 이물질배출관이 연결되며, 상기 이물질이 배출되는 연결관; 양단부를 가지며, 일단부가 상기 망체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연결관의 타단부를 관통하며, 상기 볶음곡물이 배출되는 토출관; 및 상기 토출관에 연결되는 개폐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냉각부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볶음곡물을 일정온도로 유지하기 위한 온도유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온도유지부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냉각부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볶음곡물이 안착되는 바스켓; 일단부는 상기 바스켓을 관통하여 연결되고, 타단부는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케이싱의 외측에 위치되는 공급관; 상기 공급관에 연결되며, 개폐에 따라 그 공급관으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볶음곡물의 양을 조절하는 공급조절밸브; 및 상기 바스켓의 하부에 위치되며,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그 바스켓에 수용되는 상기 볶음곡물로 열을 전달하는 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온 상태로 볶아진 곡물의 열기를 흡인함으로써 그 볶음곡물의 온도를 일정온도로 냉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볶음곡물의 열기 흡인시, 그 볶음곡물에 포함된 껍질 등의 이물질을 집진할 수 있음으로써 청결한 상태의 볶음곡물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볶음곡물 냉각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볶음곡물 냉각장치에서 유입부를 나타낸 사시도 및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볶음곡물 냉각장치에서 냉각부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볶음곡물 냉각장치에서 온도유지부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볶음곡물 냉각장치에서 유입부를 나타낸 사시도 및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볶음곡물 냉각장치에서 냉각부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볶음곡물 냉각장치에서 온도유지부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볶음곡물 냉각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서 유입부를 나타낸 사시도 및 종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서 냉각부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온도유지부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볶음곡물 냉각장치(1)는 외부로부터 볶음곡물을 공급받아 그 볶음곡물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장치로서, 상기 볶음곡물이 유입되는 유입부(10), 상기 유입부(10)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볶음곡물이 냉각되는 동시에 그 볶음곡물로부터 이탈되는 이물질이 배출되는 냉각부(20), 상기 냉각부(20)로부터 상기 이물질이 집진되는 집진부(30) 및 상기 볶음곡물을 상기 유입부(10)로부터 상기 냉각부(20) 방향으로 흡인하는 흡입부(40)를 포함한다.
상기 볶음곡물은 압착에 의해 기름을 추출할 수 있는 깨로 이해될 수 있으며, 그 볶음곡물은 작은 알갱이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본 발명에서 지칭하는 볶음곡물은 다수의 알갱이로 이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볶음곡물은 외부의 다른 곡물 볶음장치(100)로부터 고온 상태로 가열 볶음된다. 이때의 상기 볶음곡물의 온도는 190도 내지 200도에 이른다.
이와 같은 볶음곡물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작은 알갱이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고온으로 볶음된 상태를 일정 온도 이하로 냉각하지 않으면 다수의 작은 알갱이들에 축열된 열에 의해 그 볶음곡물의 온도가 일정시간 유지되면서 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볶음곡물 냉각장치(1)는 상기 곡물 볶음장치(100)로부터 상기 볶음곡물을 공급받아 그 온도를 일정온도 예를 들면, 140도 내지 150도로 냉각한다. 상기 볶음곡물의 일정온도는 상기 볶음곡물이 쉽게 타지 않는 것은 물론, 기름의 추출이 가장 잘 이루어지는 적정온도 상태로 이해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유입부(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볶음곡물이 유입되는 유입구(11a)와 유입된 상기 볶음곡물이 배출되는 배출구(11b)가 형성되는 호퍼(11), 양단부를 가지며, 그 양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일단부로 상기 볶음곡물이 공급되어 타단부에 위치되는 상기 호퍼(11)로 배출되는 유도관(12) 및 상기 유도관(12)의 양단부 사이에 위치되며 개폐에 따라 상기 호퍼(11)로 공급되는 상기 볶음곡물의 양을 조절하는 조절밸브(13)를 포함한다.
상기 유도관(12)은 양단부가 개구되며, 일단부는 상기 곡물 볶음장치(100)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호퍼(11)의 상측에 위치된다.
상기 유입부(10)는 상기 호퍼(11)의 상부를 덮는 뚜껑(14)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유도관(12)은 타단부가 상기 뚜껑(14)를 관통하여 그 호퍼(11)의 내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뚜껑(14)에는 손잡이(14a)가 구비되며, 상기 유도관(12)이 통과되도록 외주면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통공(14b)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뚜껑(14)은 상기 통공(14b)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호퍼(11)의 상부를 미끄러지면서 개구된 그 호퍼(11)의 상부를 개폐한다.
상기 조절밸브(13)는 조절레버(13a)를 갖는 일반적인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도관(12)의 양단부 사이에 위치되어 그 양단부 사이를 개폐한다. 즉, 상기 조절밸브(13)는 상기 조절레버(13a)의 회전에 따라 유도관(12)의 양단부 사이를 개폐하여 상기 호퍼(11)와 상기 곡물 볶음장치(100)가 상호 연통되도록 하거나, 차단한다. 상기 조절밸브(13)의 차단에 의해 상기 곡물 볶음장치(100)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볶음곡물은 상기 호퍼(11)로의 공급이 정지되며, 그 조절밸브(13)의 개방에 의해 상기 곡물 볶음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볶음곡물이 상기 호퍼(11)로 공급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유입부(10)는 상기 조절밸브(13)의 개폐에 따라 연동되어 상기 배출구(11a)를 개폐하는 개폐수단(15)을 더 포함한다.
상기 개폐수단(15)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상기 조절레버(13a)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하방항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코드(16) 및 상기 지지코드(16)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조절레버(14)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어 상기 배출구(11a)를 개폐하는 개폐추(1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코드(16)는 일반적인 형태의 와이어로 이해될 수 있으며, 상기 개폐추(17)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금속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추(17)는 직경이 상기 배출구(11a)를 이루는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하중에 의해 상기 호퍼(11)의 하측에 위치되면서 그 배출구(11a)를 밀폐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유입부(10)는 상기 조절밸브(13)의 개폐에 따라 상기 흡인부(40)가 연동되어 구동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스위치(18)를 더 포함한다.
상기 흡인부(4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일반적인 형태의 흡인팬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제어스위치(18)는 일반적인 형태의 리미트스위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조절레버(13a)의 개폐동작에 연동되어 온/오프되면서 상기 흡인부(40)의 구동을 제어한다. 상기 볶음곡물 냉각장치(1)는 상기 제어스위치(18)의 온/오프에 따라 상기 흡인부(4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흡인부(40)는 구동에 따라 상기 유입부(10)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볶음곡물을 상기 냉각부(20)로 이송하는 한편, 그 볶음곡물이 가지는 고온의 열기를 흡인하여 외부로 배출하면서 상기 볶음곡물의 온도를 냉각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볶음곡물 냉각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입부(10)와 상기 냉각부(20)를 연결하며, 상기 배출구(11a)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볶음곡물이 상기 냉각부(20)로 이송되도록 하는 이송관(60), 상기 냉각부(20)와 상기 집진부(30)를 연결하는 이물질배출관(70) 및 상기 흡인부(40)와 상기 집진부(30)를 연결하는 공기배출관(8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관(60)은 일단부에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61)가 형성되며, 타단부는 상기 냉각부(20)에 연결된다. 상기 공기유입구(61)에는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여과망(62)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송관(60), 상기 이물질배출관(70) 및 상기 공기배출관(80)은 상호 연통되며, 상기 흡인부(40)의 구동에 따라 상기 이송관(60)으로부터 흡인되는 공기가 상기 냉각부(20), 상기 이물질배출관(70), 상기 집진부(30) 및 상기 공기배출관(80)으로 순차적으로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유입부(10)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볶음곡물은 상기 흡인부(40)에 의해 흡인되는 공기와 함께 이동되면서 상기 냉각부(20)로 이송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공기배출관(80)을 흐르는 공기는 상기 흡인부(4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연결부(10)는 상기 이송관(60)의 양단부 사이에 단수가 연결되어도 무방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가 연결되어도 무방하다. 이때에는, 복수의 상기 연결부(10)는 복수의 상기 곡물 볶음장치(100)로부터 각각 상기 볶음곡물을 공급받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각각 구비되는 상기 제어스위치(18)가 상기 제어부(50)에 연결되면서 복수의 제어스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온 상태에 따라 그 제어부(50)가 상기 흡인부(40)를 구동시키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반대로, 복수의 상기 제어스위치(18)가 모두 오프된 상태에서는 상기 흡인부(40)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하는 것은 물론이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볶음곡물 냉각장치(1)는 상기 조절레버(13a)가 상기 조절밸브(13)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 그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개폐추(17)가 승강되면서 상기 배출구(11a)가 개방되고,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제어스위치(18)의 온 상태에 따라 상기 흡인부(40)가 구동되도록 한다.
상기 흡인부(40)의 구동에 따라 상기 배출구(11a)로 배출되는 상기 볶음곡물이 상기 이송관(60)의 내부로 흡인되는 공기에 의해 상기 냉각부(20)로 이송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 조절레버(13a)가 상기 조절밸브(13)를 차단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 그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개폐추(17)가 하강되면서 개방된 상기 배출구(11a)를 차단하고, 상기 제어스위치(18)는 오프 상태가 된다.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제어스위치(18)의 오프 상태에 따라 상기 흡인부(40)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상기 볶음곡물은 상기 조절레버(13a)의 조절에 따라 상기 곡물 볶음장치(100)로부터 상기 호퍼(11)로 공급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배출구(11a)를 통해 상기 냉각부(20)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각부(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탱크(21), 상기 냉각탱크(21)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유입부(10)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볶음곡물이 수용되는 망체(22), 일단부는 상기 냉각탱크(21)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망체(22)를 통과하는 이물질이 배출되고, 상기 이물질배출관(70)이 연결되는 연결관(23)을 포함한다.
상기 망체(22)는 다수의 구멍(22a)이 형성되는 일반적인 형태를 이루며, 하부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내경이 커지는 원뿔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수의 구멍(22a)은 각각 상기 볶음곡물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의해 상기 볶음곡물이 통과되지 못하고 걸러지는 한편, 그 볶음곡물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이물질 예를 들면, 상기 볶음곡물로부터 이탈되는 껍질 등의 분진은 통과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상기 볶음곡물 냉각장치(1)는 상기 흡인부(40)의 구동에 따라 공기와 함께 흡인되는 상기 볶음곡물이 상기 망체(22)에 수용된다.
상기 망체(22)에 수용되는 상기 볶음곡물은 상기 흡인부(40)에 의해 열기가 흡인되면서 냉각되는 동시에 그 볶음곡물로부터 이탈되는 이물질은 상기 망체(22)를 통과하여 상기 집진부(30)로 이동된다.
상기 집진부(30)는 내부가 빈 원통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에 상기 이물질배출관(70)이 연결되고, 외주면에 상기 공기배출관(80)이 연결되며 하부가 개구되는 사이클론(31) 및 개구된 상기 케이싱(31)의 하부에 연결되며 그 싸이클론(31)으로부터 배출되는 이물질이 집진되는 집진탱크(32)를 포함한다.
상기 이물질배출관(70)에서 배출되는 이물질은 상기 싸이클론(31)의 내부로 유입되어 선회하강되면서 상기 집진탱크(32)로 낙하되어 집진된다.
그리고, 상기 싸이클론(31)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공기배출관(80)을 통해 상기 흡인부(40)로 유도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냉각부(20)는 일단부가 상기 망체(22)의 하부를 관통하여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연결관(23)을 통과하며 그 망체로부터 일정온도로 냉각된 상기 볶음곡물이 배출되는 토출관(24), 상기 토출관(24)에 연결되는 개폐밸브(25) 및 상기 망체(22)에 수용되는 상기 볶음곡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감지센서(26)는 상기 망체(22)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볶음곡물이 냉각되어 일정온도에 이른 상태를 감지하며, 그 감지에 따라 상기 개폐밸브(25)가 개방되도록 한다.
상기 개폐밸브(25)는 상기 온도감지센서(26)의 온도감지에 따라 자동은 물론, 수동동작에 의해 개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볶음곡물 냉각장치(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각부(20)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볶음곡물을 일정온도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온도유지부(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유지부(90)는 상기 냉각부(20)의 하부에 위치되는 케이싱(91), 상기 케이싱(91)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냉각부(20)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볶음곡물이 안착되는 바스켓(92), 일단부는 상기 바스켓(92)을 관통하여 연결되고 타단부는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케이싱(91)의 외측에 위치되는 공급관(93), 상기 공급관(93)에 연결되는 공급조절밸브(94) 및 상기 바스켓(92)의 하부에 위치되며 그 바스켓(92)에 수용되는 상기 볶음곡물로 열을 전달하는 히터(95)를 포함한다.
상기 바스켓(92)은 하부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를 이루며, 상기 공급조절밸브(94)는 상기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개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히터(95)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열을 방출하는 일반적인 형태를 이루며, 상기 바스켓(92)에 수용되는 상기 볶음곡물이 일정온도 즉, 150도 내지 160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상기 볶음곡물이 150도 내지 160도를 유지할 때 기름의 추출이 가장 잘 이루어지기 때문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공급조절밸브(94)의 하부에는 상기 온도유지부(90)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볶음곡물의 일정량을 측정하기 위한 저울(9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저울(96)에서 측정되는 일정량에 따라 상기 공급조절밸브(94)를 개폐하여 그 볶음곡물의 적정량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저울(96)에서 측정되는 상기 볶음곡물의 질량이 6kg일 때, 상기 공급조절밸브(94)가 닫히도록 하고, 그 이하일 때는 개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상기 볶음곡물 냉각장치(1)는 상기 볶음곡물을 일정한 양으로 반복 공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볶음곡물 냉각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볶음곡물 냉각장치 10 : 유입부
11 : 호퍼 12 : 유도관
13 : 조절밸브 13a : 조절레버
15 : 개폐수단 16 : 지지코드
17 : 개폐추 18 : 제어스위치
20 : 냉각부 21 : 냉각탱크
22 : 망체 23 : 연결관
24 : 토출관 25 : 개폐밸브
26 : 온도감지센서 30 : 집진부
31 : 싸이클론 32 : 집진탱크
40 : 흡인부 50 : 제어부
60 : 이송관 62 : 여과망
70 : 이물질배출관 80 : 공기배출관
90 : 온도유지부 91 : 케이싱
92 : 바스켓 93 : 공급관
94 : 공급조절밸브 95 : 히터
96 : 저울 100 : 곡물 볶음장치
1 : 볶음곡물 냉각장치 10 : 유입부
11 : 호퍼 12 : 유도관
13 : 조절밸브 13a : 조절레버
15 : 개폐수단 16 : 지지코드
17 : 개폐추 18 : 제어스위치
20 : 냉각부 21 : 냉각탱크
22 : 망체 23 : 연결관
24 : 토출관 25 : 개폐밸브
26 : 온도감지센서 30 : 집진부
31 : 싸이클론 32 : 집진탱크
40 : 흡인부 50 : 제어부
60 : 이송관 62 : 여과망
70 : 이물질배출관 80 : 공기배출관
90 : 온도유지부 91 : 케이싱
92 : 바스켓 93 : 공급관
94 : 공급조절밸브 95 : 히터
96 : 저울 100 : 곡물 볶음장치
Claims (7)
- 외부로부터 볶음곡물을 공급받아 그 볶음곡물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장치로서,
상기 볶음곡물이 유입되는 유입부;
상기 유입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볶음곡물이 수용되며, 그 볶음곡물이 냉각되는 한편, 상기 볶음곡물과 그 볶음곡물에서 이탈되는 이물질이 분리 배출되는 냉각부;
상기 냉각부에서 배출되는 상기 이물질이 집진되는 집진부; 및
상기 볶음곡물을 상기 유입부로부터 상기 냉각부 방향으로 흡인하는 흡인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입부는,
양단부를 가지며, 그 양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볶음곡물이 일단부로 유입되어 타단부 방향으로 이동되는 유도관;
상기 유도관을 통과하는 상기 볶음곡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유입된 상기 볶음곡물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호퍼; 및
상기 유도관의 양단부 사이에 위치되고, 개폐에 따라 외부로부터 상기 호퍼로 공급되는 상기 볶음곡물의 양을 조절하며, 조절레버를 구비하는 조절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볶음곡물 냉각장치.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일단부에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상기 냉각부가 연결되며, 양단부 사이에 상기 유입부가 단수 또는 복수 연결되는 이송관;
상기 냉각부와 상기 집진부를 연결하는 이물질배출관;
상기 흡인부와 상기 집진부를 연결하는 공기배출관; 및
상기 공기유입구에 결합되는 여과망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이송관, 상기 이물질배출관 및 상기 공기배출관은,
상호 연통되며,
상기 흡인부의 구동에 따라 상기 공기유입구로 흡인되는 공기는,
상기 이송관, 상기 냉각부, 상기 이물질배출관, 상기 집진부 및 상기 공기배출관으로 순차적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볶음곡물 냉각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는,
상기 조절밸브의 개폐에 따라 연동되어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개폐수단은,
일단부가 상기 조절레버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하방항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코드; 및
상기 지지코드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조절레버의 회전에 따라 승,하강되며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볶음곡물 냉각장치.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는,
상기 조절밸브의 개폐에 따라 상기 흡인부가 연동되어 구동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볶음곡물 냉각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냉각탱크;
상기 냉각탱크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유입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볶음곡물이 수용되고, 상기 이물질이 통과되는 망체;
양단부를 가지며, 상단부가 개구되어 상기 냉각탱크와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그 양단부 사이에 상기 이물질배출관이 연결되며, 상기 이물질이 배출되는 연결관;
양단부를 가지며, 일단부가 상기 망체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연결관의 타단부를 관통하며, 상기 볶음곡물이 배출되는 토출관; 및
상기 토출관에 연결되는 개폐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볶음곡물 냉각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볶음곡물을 일정온도로 유지하기 위한 온도유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온도유지부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냉각부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볶음곡물이 안착되는 바스켓;
일단부는 상기 바스켓을 관통하여 연결되고, 타단부는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케이싱의 외측에 위치되는 공급관;
상기 공급관에 연결되며, 개폐에 따라 그 공급관으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볶음곡물의 양을 조절하는 공급조절밸브; 및
상기 바스켓의 하부에 위치되며,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그 바스켓에 수용되는 상기 볶음곡물로 열을 전달하는 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볶음곡물 냉각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11525A KR101344979B1 (ko) | 2013-09-17 | 2013-09-17 | 볶음곡물 냉각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11525A KR101344979B1 (ko) | 2013-09-17 | 2013-09-17 | 볶음곡물 냉각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10134A KR20130110134A (ko) | 2013-10-08 |
KR101344979B1 true KR101344979B1 (ko) | 2013-12-24 |
Family
ID=49632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11525A KR101344979B1 (ko) | 2013-09-17 | 2013-09-17 | 볶음곡물 냉각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44979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05629A (ko) * | 2014-07-07 | 2016-01-15 | 황인숙 | 기름 제조장치 |
KR101910046B1 (ko) * | 2017-05-24 | 2018-10-22 | 씨케이코퍼레이션즈 주식회사 | 커피원두 로스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커피원두 로스팅 방법 |
KR20200095784A (ko) | 2019-02-01 | 2020-08-11 | 강두석 | 볶음곡물 냉각장치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017323A (ja) * | 2000-07-03 | 2002-01-22 | Chibori Napori Kk | 焙煎豆類の強制冷却方法 |
-
2013
- 2013-09-17 KR KR1020130111525A patent/KR10134497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017323A (ja) * | 2000-07-03 | 2002-01-22 | Chibori Napori Kk | 焙煎豆類の強制冷却方法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05629A (ko) * | 2014-07-07 | 2016-01-15 | 황인숙 | 기름 제조장치 |
KR101656563B1 (ko) * | 2014-07-07 | 2016-09-22 | 황인숙 | 기름 제조장치 |
KR101910046B1 (ko) * | 2017-05-24 | 2018-10-22 | 씨케이코퍼레이션즈 주식회사 | 커피원두 로스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커피원두 로스팅 방법 |
KR20200095784A (ko) | 2019-02-01 | 2020-08-11 | 강두석 | 볶음곡물 냉각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10134A (ko) | 2013-10-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609097A (en) | Coffee bean roaster with visual display column | |
FI76679B (fi) | Anordning foer rostning av speciellt smao maengder groena kaffeboenor. | |
KR101073072B1 (ko) | 커피 로스터 | |
JP6611787B2 (ja) | 抽出飲料を調製する装置および方法 | |
KR101310811B1 (ko) | 로스터 | |
CN206056194U (zh) | 循环增香型茶叶烘干机 | |
KR101344979B1 (ko) | 볶음곡물 냉각장치 | |
CN109310237A (zh) | 基于空气的炊具 | |
KR100968771B1 (ko) | 곡물볶음기 | |
JPS63287472A (ja) | コーヒーロースター | |
US20160016181A1 (en) | Bean roaster with controllable fluid loft and electrostatic collector | |
US2105778A (en) | Automatic roaster | |
CA3146124A1 (en) | Fluid bed coffee roasting system | |
CN207084071U (zh) | 瓜籽处理系统 | |
KR20210031345A (ko) | 구운소금 제조장치 | |
US412388A (en) | hungerford | |
CN215603061U (zh) | 一种咖啡豆烘焙装置 | |
KR20170101461A (ko) | 열풍 김구이기 | |
TWM465019U (zh) | 咖啡豆烘焙機 | |
EP2386232B1 (en) | Electric automatic machine for roasting chestnuts | |
KR101363013B1 (ko) | 열풍식 커피생두 샘플 로스팅 장치 | |
TWM577246U (zh) | Vertical hot air baking bean device | |
CN107683913A (zh) | 一种茶叶萎凋槽 | |
KR101621508B1 (ko) | 열풍을 이용한 곡물 볶음장치 및 방법 | |
RU2536133C1 (ru) | Установка для термической обработки сыпучих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