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3466A - 조리장치 - Google Patents

조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3466A
KR20220153466A KR1020210189465A KR20210189465A KR20220153466A KR 20220153466 A KR20220153466 A KR 20220153466A KR 1020210189465 A KR1020210189465 A KR 1020210189465A KR 20210189465 A KR20210189465 A KR 20210189465A KR 20220153466 A KR20220153466 A KR 202201534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pot
unit
pot
duc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9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웅
이득원
최동준
조연아
김현기
오민규
황성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20153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34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2Control mechanisms for pressure-coo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dapted to high-frequency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29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 A47J37/0641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air fry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64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8Driving mechanis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측이 개구된 형상의 내솥과, 내솥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측이 개구되는 외솥과, 외솥에 고정되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내솥을 전자기 유도 가열 방식으로 가열하는 가열부 및 내솥의 상측에 위치하며 내솥에 있는 공기를 흡입하여 내솥의 내측으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열풍공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리장치{COOKING APPARATUS}
본 발명은 공기 대류를 이용한 가열과 유도 가열로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는 조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자동으로 조리하는 장치는, 음식물을 담는 솥을 구비한다. 솥은 가열장치에 의해 가열이 이루어지므로, 솥의 내측에 있는 음식물은 열원에 의해 가열되면서 조리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솥은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되며, 별도의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을 하므로, 솥의 내측에 있는 음식물도 회전되며 가열이 이루어진다.
종래에는 음식물을 조리하는 솥은 유도 가열 방식으로만 가열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튀김요리와 같이 열풍을 이용한 요리를 만들 수 없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단일 열원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가열하므로 음식물의 조리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조리장치의 주요 부품의 분해가 어려운 구조를 가지므로 청소 및 유지보수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4-267519호(2004.09.30 공개, 발명의 명칭: 회전식 전자 유도 가열장치)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도 가열 방식과 함께 열풍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는 조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열원으로 음식물을 조리하여 음식물의 조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조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리장치의 주요 부품의 분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조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리장치는, 전자기 유도 가열 방식과 열풍 가열 방식을 사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코일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을 이용해 내솥을 가열하는 유도전류를 열원으로 음식물을 조리하는 가열방식과, 열풍공급부와 가열부의 동작으로 발생된 열풍으로 음식물을 조리하는 가열방식으로 음식물을 조리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열풍공급부가 설치된 제2지지커버가 커버부에서 분리됨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제2지지커버가 제1지지커버에서 분리 가능하며, 제2지지커버에 열풍공급부가 설치되어 열풍공급부의 청소가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덕트부가 제1덕트와 제2덕트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지지커버가 커버몸체에서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는, 상측이 개구된 형상의 내솥과, 내솥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측이 개구되는 외솥과, 외솥에 고정되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내솥을 전자기 유도 가열 방식으로 가열하는 가열부 및 내솥의 상측에 위치하며 내솥에 있는 공기를 흡입하여 내솥의 내측으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열풍공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는, 상측이 개구된 형상의 내솥과, 내솥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측이 개구되는 외솥과, 외솥에 고정되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내솥을 전자기 유도 가열 방식으로 가열하는 가열부와, 외솥과 가열부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상측이 개구되는 케이스부와, 케이스부의 하측에 위치하며 케이스부의 기울어지는 동작을 안내하는 베이스부 및 베이스부의 내측에 설치되며 회전동력을 발생시켜 케이스부를 눕히거나 세우기 위한 동력을 공급하는 제2구동부를 포함한다.
또한 열풍공급부는, 내솥의 상측에 위치하며 팬을 회전시켜 내솥의 내측에 있는 공기를 흡입하는 팬모듈 및 팬모듈에 연결되며 팬모듈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내솥의 내측으로 안내하는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덕트부를 포함한다.
또한 덕트부는, 일측은 팬모듈에 연결되며 타측은 내솥을 향하여 연장되고 하측이 개구된 제1덕트 및 제1덕트의 하측에 결합되며 제1덕트와 함께 공기가 이동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제2덕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장치는, 유도 가열 방식과 대류열 가열 방식을 모두 사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여 음식물의 조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기 유도 가열 방식으로 내솥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으며, 열풍을 발생시켜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의 조리가 가능하여 소비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열풍공급부가 설치된 제2지지커버가 커버부에서 분리되므로, 열풍공급부의 청소 및 유지보수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지지커버가 커버몸체에서 분리되므로, 제1지지커버를 포함한 열풍공급부의 청소 및 유지보수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덕트부가 제1덕트와 제2덕트로 분리되므로 덕트부의 내측 청소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에서 내솥과 커버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풍공급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풍공급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지지커버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지지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부가 제2회전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부가 제2회전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부가 제2회전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는, 커버부(100)와 케이스부(50)와 베이스부(70)가 조리장치(1)의 외형을 형성한다. 커버부(100)의 하측에 케이스부(50)가 위치하며, 케이스부(50)의 하측에 베이스부(70)가 위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는, 냄비와 팬의 기능을 모두 가지고 있는 조리 기기이다. 조리장치(1)는 음식물(120)을 보다 고르게 익혀 주기 위해서 열원의 전도와 더불어 공기 대류 순환 구조를 이용하여 음식물(120)을 가열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조리장치(1)는, 음식물(120) 조리 후 조리 기기 내 발생된 오염물을 세척하기 위한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회전과 가열은 물론 필요시 모터제어를 통해 끓이기 볶기 웍헤이(웍질) 기능 구현이 가능하다. 이러한 기능에 의하여 중국요리 즉 볶음 기능을 원할하게 수행할 수 있다.
커버부(100)와 케이스부(50)와 베이스부(70)의 외측은 원형의 곡면을 형성한다. 커버부(100)의 외경보다 케이스부(50)의 외경이 크며, 케이스부(50)의 외경보다 베이스부(70)의 외경이 크게 형성된다. 조리장치(1)의 외경은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여 점차로 커지므로 조리장치(1)의 무게중심이 아래에 위치하여 조리장치(1)의 넘어지는 현상을 방지한다.
조리장치(1)의 외형은 전체적으로 곡면을 구비한 형상이며, 원형, 원통형,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조리장치(1)는 대략 원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측은 커버부(100)가 설치되어 원형의 평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조리장치(1)의 외측은 곡면을 구비하므로, 미려한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의 부분 단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의 단면도이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부(50)의 내측에 가열부(40)와 외솥(30)과 내솥(10)이 위치하며, 내솥(10)의 상측에는 커버부(100)와 열풍공급부(110)가 설치된다.
가열부(40)는 인덕션 방식으로 내솥(10)을 가열한다. 또한 가열부(40)에 의해 가열된 내솥(10)의 열기에 의해 열풍공급부(110)에서 배출된 공기의 가열이 이루어진다.
가열부(40)는 전자기 유도를 이용해 인덕션 전용 용기인 내솥(10)으로 전기에너지를 전달하고, 내솥(10)에 구비된 저항이 열선처럼 뜨거워지는 원리로 음식물(120)을 가열한다. 본 발명에 의한 가열부(40)가 내솥(10)을 가열하는 방식을 유도가열이라 한다.
전자기 유도 방식으로 가열부(40)가 동작되어 코일(41)에 전류가 흐르면, 코일(41) 주변에 자기장이 형성된다. 자기장이 전용 용기인 내솥(10)에 구비된 금속에 영향을 주게 되어 내솥(10)에 전류가 흐르게 된다.
내솥(10)에 흐르는 전류는 금속의 저항을 만나 열로 바뀌며 내솥(10)을 가열한다. 내솥(10)에 전달되는 자기장이 지속적으로 바뀌어야 내솥(10)의 가열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코일(41)에 공급되는 전기는 고주파의 전류가 이용된다.
내솥(10)이 어떤 금속으로 만들어졌냐에 따라 자기장의 영향을 받는 정도와 저항의 크기가 달라진다. 전용 용기인 내솥(10)은 자기장의 영향을 받아 가열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철 합금과 스테인리스로 만들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솥(10)은, STS300 계열과 AL10계열과 STS400계열 중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합금으로 이루어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에서 내솥(10)과 커버부(100)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는, 커버부(100)와 내솥(10)과 외솥(30)과 가열부(40)와 케이스부(50)와 커버부(100)와 열풍공급부(110)를 포함한다. 또한 조리장치(1)는, 리프터(20)와 제1구동부(60)와 제2구동부(90)와 베이스부(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케이스부(50)의 내측에 외솥(30)이 고정되며, 외솥(30)의 내측에 내솥(1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내솥(10)과 외솥(3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내솥(10)과 외솥(30)이 밀착된 상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외솥(30)의 하부에 설치된 제1구동부(60)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내솥(10)이 회전한다. 내솥(10)의 상측은 커버부(100)에 의해 개폐된다. 음식물(120) 조리시 음식물(120)이 신속하게 잘 섞일 수 있도록 내솥(10)의 내부에는 리프터(20)가 설치된다. 리프터(20)는 내솥(10)에 내측에 고정되며, 내솥(10)과 함께 회전한다.
케이스부(50)와 내솥(10)과 외솥(30)의 상측 입구는 개구된 형상이며, 케이스부(50)의 입구는 커버부(100)에 의해 개폐된다. 외솥(30)의 내측에 내솥(10)이 위치하며, 내솥(10)의 개구된 상측에 커버부(100)가 위치한다.
조리장치(1)의 외솥(30)에 가열장치인 가열부(40)가 설치된다. 가열부(40)는 인덕션 방식으로 동작되며, 가열부(40)에 구비된 코일(41)은 외솥(30)의 외측 둘레를 따라 설치된다. 가열부(40)는 전원의 인가에 의해 동작되어 내솥(10)을 가열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솥(30)의 재질은, 내열성이 있는 강화플라스틱이나 합성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솥(10)의 재질은 SUS430과 같은 강자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리장치(1)는 2개의 동력장치를 구비하며, 음식물(120)의 종류에 따라 모터를 이용하여 최적의 조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는, 제1구동부(60)와 제2구동부(90)를 포함한다.
제1구동부(60)는 외솥(30)의 하단 중심부에 설치되며, 제1구동부(60)에 구비된 모터를 이용해 내솥(10)을 360도 회전시킬 수 있다. 제1구동부(60)는 내솥(1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제2구동부(90)에 구비된 모터는 외솥(30)과 내솥(10)을 기울이는 기능을 한다. 제어부는 제1구동부(60)와 제2구동부(90)의 동작을 제어하여 음식물(120)에 적합한 조리 동작을 제공한다. 제어부는 케이스부(50)의 내측이나 베이스부(70)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제2구동부(90)의 동작으로 외솥(30)이나 내솥(10)이 수직 가상선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기울어지는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제1구동부(60)의 동작에 의해 내솥(10)이 제1구동부(60)의 제1구동축(62)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어부는 제1구동부(60)와 제2구동부(90)의 동작을 제어하여 내솥(10)의 이동을 다양하게 조합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는 다양한 조리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조리장치(1)를 포함한 전자기기에 제어부가 설치되는 구성은 공지된 구성이므로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커버부(100)에는 내솥(10)의 내측에 있는 내부 공기를 순환 시킬 수 있는 열풍공급부(110)가 구비된다. 열풍공급부(110)에는 회전하는 팬을 구비한 팬모듈(111)이 설치된다. 열풍공급부(110)를 통해 내솥(10)의 내측으로 이동되는 공기는 내솥(10)을 가열하는 가열부(40)에 의해 온도가 상승한다.
열풍공급부(110)의 동작으로 내솥(10)에 구비된 음식물(120)을 조리하기 위한 열풍이 발생한다. 따라서 가열부(40)에 의해 내솥(10)이 직접 가열되는 방식과, 열풍에 의해 음식물(120)이 가열되는 방식으로 음식물(120)의 조리 시간이 단축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조리장치(1)는 사용자가 원하는 음식의 레피시에 따라 음식물(120)을 조리할 수 있다.
커버부(100)는 케이스부(5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음식물(120)의 조리 전후에 커버부(100)를 케이스부(50)에서 분리하여 내솥(10)에 음식물(120)을 넣거나 꺼낼 수 있다.
내솥(10)은 음식물(120)이 담겨지는 내측공간을 구비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솥(10)은 상측이 개구된 솥 형상이다.
내솥(10)의 하측면(13)에는 후술할 제1구동부(60)의 커넥터(63)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홈부가 구비될 수 있다. 결합홈부는 커넥터(63)가 삽입되어 걸릴 수 있도록 내솥(10)의 하측을 향하여 오목한 홈 형상을 형성한다.
내솥(10)의 하측면(13)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중앙돌기(14)의 하측에 결합홈부가 구비된다. 중앙돌기(14)는 반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결합홈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중앙돌기(14)의 외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내솥(10)의 내측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리프터(20)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홈부는 십자 형상이며, 중앙돌기(14)의 형상도 십자형상을 구비하거나, 하측면(13)의 상측을 향하여 반구 형상의 곡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내솥(10)에서 하측면(13)의 상측으로 돌출된 원형 파이프 형상의 내솥 측면(16)은 제1측면(17)과 제2측면(18)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제1측면(17)의 하측에 제2측면(18)이 위치한다. 제2측면(18)은 하측면(13)의 테두리와 연결된다.
제1측면(17)은 내솥 측면(16)의 상측을 형성하며, 제2측면(18)은 제1측면(17) 하측에 위치한 내솥 측면(16)의 중앙과 하부를 형성한다. 내솥(10)에 음식물(120)이 담겨질 때 제1측면(17)만 가열하여 음식물(120)을 가열한다.
그리고 열풍공급부(110)가 동작될 때, 열풍공급부(110)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해 제2측면(18)도 가열부(40)에 의해 가열된다.
제1측면(17)의 외측에 제1코일(42)이 설치되며, 제2측면(18)의 외측에 제2코일(43)이 설치된다. 제1측면(17)과 제2측면(18)의 경계는 제1코일(42)과 제2코일(43) 사이의 공간을 기준으로 정한다.
내솥(10)을 지지하는 외솥(30)은 내솥(10)의 외측에 위치한다. 외솥(30)은 내솥(1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솥(10)과 함께 상측이 개구된다.
외솥(30)은 케이스부(50)의 내측에 고정되며, 외솥(30)의 측면에는 가열부(40)가 설치되고, 외솥(30)의 하측 중앙에는 제1구동부(60)가 설치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100)와 열풍공급부(110)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100)에서 열풍공급부(110)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100)는 케이스부(50)의 개구된 입구부(52)를 개폐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100)는 원판 형상이며, 커버부(100)의 내측에는 열풍공급부(110)가 설치된다. 커버부(100)는 케이스부(50)의 상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솥(10)의 상측을 개폐한다.
커버부(100)는 단일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복수의 부재가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100)는, 커버몸체(101)와 제1지지커버(102)와 제2지지커버(103)와 흡입그릴(104)과 토출그릴(105)을 포함한다.
커버몸체(101)는 내솥(10)을 향한 하측이 개구되어 있으며, 팬모듈(111)과 덕트부(115)가 위치하는 내측공간을 구비한다. 커버몸체(101)는 하측이 개구되고 상측과 측면 둘레는 막혀 있는 형상이다. 커버몸체(101)의 내측에 열풍공급부(110)를 구성하는 팬모듈(111)과 덕트부(115)가 설치된다.
제1지지커버(102)는 링 형상으로 연장된 판이며, 커버몸체(101)의 하측에 결합된다. 제1지지커버(102)의 외경은 커버몸체(101)의 내경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다. 제1지지커버(102)는 커버몸체(101)의 하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열풍공급부(110)의 유지보수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지지커버(102)는 커버몸체(101)의 하측 둘레를 따라 원주 방향으로 설치되고, 내측에는 장착홀부(106)를 구비한다. 장착홀부(106)는 제2지지커버(103)가 설치되기 위한 원형의 구멍 형상이다.
제1지지커버(102)는 자력에 의해 커버몸체(101)의 하측에 고정될 수 있다. 제1지지커버(102)와 커버몸체(10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자석이 설치되어 자력에 의해 고정된다. 제1지지커버(102)가 커버몸체(101)에서 분리되므로, 제1지지커버(102)를 포함한 열풍공급부(110)의 청소 및 유지보수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몸체(101)의 하측에 자석이 설치되며, 제1지지커버(102)의 상측에는 커버몸체(101)에 설치된 자석과 다른 극성을 갖는 자석이 설치될 수 있다.
제1지지커버(102)는 중앙에 구멍인 장착홀부(106)가 구비되며, 장착홀부(106)에 위치한 제2지지커버(103)는 제1지지커버(102)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지지커버(102)의 상측면을 따라 복수의 자력결합부(107)가 설치된다. 자력결합부(107)에는 복수의 자석이 설치되며, 커버몸체(101)에 구비된 자석에 결합된다.
제1지지커버(102)와 제2지지커버(103)는 자력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자력보다 더 큰 외력에 의해 제2지지커버(103)는 제1지지커버(102)에서 분리된다. 열풍공급부(110)가 설치된 제2지지커버(103)가 커버부(100)에서 분리되므로, 열풍공급부(110)의 청소 및 유지보수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커버몸체(101)의 하측에 제1지지커버(102)가 끼움식 결합이나 볼트 등에 의한 체결식 결합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제1지지커버(102)와 제2지지커버(103)도 끼움식 결합이나 볼트 등에 의한 체결식 결합으로 고정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지지커버(103)를 도시한 저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지지커버(103)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지지커버(103)의 상측에는 팬모듈(111)과 덕트부(115)가 설치된다. 제2지지커버(103)는 원판 형상이며, 제2지지커버(103)의 둘레를 따라 단차결합편(108)이 구비된다. 단차결합편(108)은 제2지지커버(103)의 몸체 보다 얇은 두께를 구비하며, 제1지지커버(102)에 접한 상태로 고정된다. 단차결합편(108)의 내측에 자석이 구비될 수 있으며, 단차결합편(108)은 자력에 의해 제1지지커버(102)에 결합될 수 있다. 또는 끼움식 결합에 의해 단차결합편(108)이 제1지지커버(102)에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제2지지커버(103)에 흡입그릴(104)과 토출그릴(105)이 설치된다. 흡입그릴(104)과 토출그릴(105)은 공기가 이동되기 위한 복수의 홀부를 구비한다. 흡입그릴(104)의 상측에는 팬모듈(111)이 설치되며, 토출그릴(105)의 상측에는 덕트부(115)의 출구가 위치한다.
흡입그릴(104)은 팬모듈(111)과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내솥(10)에 있는 공기가 팬모듈(111)로 이동되는 통로를 형성한다. 따라서 덕트부(115)를 통해 토출그릴(105)로 이동되는 공기는 안내그릴(109)을 통과하며 내솥(10)의 제1측면(17)을 향한 방향으로 이동되어 내솥(10)과 열교환을 하며 온도가 상승한다.
토출그릴(105)은 덕트부(115)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덕트부(115)에서 상기 내솥(10)을 향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이동을 안내한다. 토출그릴(105)은 공기가 토출되는 구멍을 가로지르는 복수의 안내그릴(109)이 설치된다. 안내그릴(109)은 판 형상이며, 내솥(10)의 제1측면(17)을 향한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다.
제2지지커버(103)에서 흡입그릴(104)은 토출그릴(105)의 반대 위치에 설치된다. 따라서 내솥(10)을 열풍으로 가열하는 공기의 흐름은, 흡입그릴(104)을 통해 열풍공급부(110)를 통과한 후 토출그릴(105)을 통해 내솥(10)의 내측으로 다시 공급되는 열대류 흐름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흡입그릴(104)은 내솥(10)이 기울어지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에 설치되므로, 내솥(10)에 있는 음식물(120)이 흡입그릴(104)로 유입됨을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솥(10)이 전방을 향한 방향으로만 기울어지는 경우, 흡입그릴(104)은 후방을 향한 방향으로 설치되므로, 전방을 향하여 기울어진 내솥(10)의 내용물이 흡입그릴(104)로 유입됨을 차단한다.
열풍공급부(110)는 커버부(100)의 내측에 설치된다. 또한 열풍공급부(110)는, 내솥(10)의 상측에 위치하며, 내솥(10)에 있는 공기를 흡입하여 내솥(10)의 내측으로 공기를 배출시킨다. 열풍공급부(110)는 열풍으로 음식물(120)을 조리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풍공급부(110)는 팬모듈(111)과 덕트부(115)를 포함한다.
팬모듈(111)은 내솥(10)의 상측에 위치하며, 팬을 회전시켜 내솥(10)의 내측에 있는 공기를 흡입한다. 팬모듈(111)의 내측에는 모터와 회전되는 팬이 구비되며, 팬의 회전으로 공기의 이동이 이루어진다.
팬모듈(111)은 커버부(100)의 흡입그릴(104) 상측에 설치되며, 흡입그릴(104)을 통해 내솥(10)의 공기를 흡입한다.
덕트부(115)는 팬모듈(111)에 연결되며, 팬모듈(111)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내솥(10)의 내측으로 안내하는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덕트부(115)는 공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관로 형상이며, 덕트부(115)의 일측은 팬모듈(111)에 연결되며 덕트부(115)의 타측은 커버부(100)의 토출그릴(105)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부(115)는 제1덕트(116)와 제2덕트(117)를 포함한다. 제1덕트(116)는 덕트부(115)의 상부를 형성하며, 제2덕트(117)는 제1덕트(116)의 하측에 결합되며 덕트부(115)의 하부를 형성한다.
제1덕트(116)와 제2덕트(117)가 결합되어 덕트부(115)를 형성한다. 제1덕트(116)는 하측이 개구된 형상이며, 제2덕트(117)는 상측이 개구된 형상이다. 제1덕트(116)와 제2덕트(117)는 끼움식으로 결합되거나 용접이나 볼트 결합 등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제1덕트(116)의 일측은 팬모듈(111)에 연결되며 타측은 내솥(10)을 향하여 연장된다. 제1덕트(116)의 타측은 하향 경사지게 관로를 형성한다.
제2덕트(117)는 제1덕트(116)의 하측에 결합되며, 제1덕트(116)와 함께 공기가 이동되는 통로를 형성한다. 제2덕트(117)의 일측은 팬모듈(111)에 연결되며 제2덕트(117)의 타측은 내솥(10)을 향하여 연장된다. 제2덕트(117)의 타측은 하향 경사지게 관로를 형성한다. 덕트부(115)가 제1덕트(116)와 제2덕트(117)로 분리되므로 덕트부(115)의 내측 청소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제1덕트(116)와 제2덕트(117)의 타측이 제1측벽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관로를 형성하므로, 덕트부(115)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제1측벽을 향한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출된다.
따라서 덕트부(115)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제1코일(42)의 작동으로 가열된 제1측벽에 접하며 온도가 상승된 후 내솥(10)의 하측을 향하여 이동하므로 열풍에 의해 음식물(120)이 조리된다.
내솥(10)을 향한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해 덕트부(115)의 타측은 하향 경사진 방향으로 설치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덕트부(115)의 형상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그리고 덕트부(115)와 마주하는 토출그릴(105)도 내솥(10)을 향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토출그릴(105)과 토출그릴(105)을 차례로 통과한 공기는 가열된 내솥(10)에 접하며 가열된 후 내솥(10)의 내측면을 따라 내솥(10)의 하측으로 이동된다.
가열부(40)가 내솥(10)을 가열시켜 내솥(10)의 음식물(120)을 가열하는 복사열로 음식물(120)의 조리가 이루어지며, 열풍공급부(110)에서 나오는 공기가 가열된 내솥(10)에 접하며 온도가 상승된 후 음식물(120)을 가열하여 대류열로 음식물(120)의 조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는, 음식물(120)의 가열을 위하여 유도가열과 열풍을 이용하여 다양한 온도로 음식물(120)의 가열이 가능하다. 내솥(10)의 상부에 위치한 열풍공급부(110)의 작동에 의해 음식물(120)의 불필요한 수분을 제거함과 동시에 음식물(120)의 외부를 바삭하게 만들어 에어 프라이어와 같은 조리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부(40)는 외솥(30)에 고정되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내솥(10)을 전자기 유도 가열 방식으로 가열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부(40)는 장착브라켓(45)과 코일(41)을 포함한다.
코일(41)이 직접 외솥(30)의 외측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외솥(30)과 내솥(10) 사이에 코일(41)이 설치될 수도 있다. 코일(41)이 직접 가열되어 내솥(10)으로 열을 전달하는 방식으로도 내솥(10)을 가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41)은 자기장을 발생시켜 유도 가열 방식으로 내솥(10)을 가열한다. 외솥(30)의 외측에 장착브라켓(45)이 위치하며, 장착브라켓(45)의 외측에 코일(41)이 설치된다.
가열부(40)가 자기유도 가열방식으로 내솥(10)을 발열시키므로 빠른 음식물(120)의 조리가 가능하다. 가열부(40)는 내솥 측면(16)에 배치되어 넓은 면적에서 발열을 유도하며, 자기 유도 방식으로 가열 속도를 높여서 음식물(120)의 레시피에 맞게 온도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가열부(40)의 동작에 의해 인덕션 히팅과 열풍을 이용한 자동 조리 기구의 가열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는, 회전하는 내솥(10)을 빠르고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는 인덕션 가열 방식의 코일(41)을 내솥(10)의 외측에 배치한다. 그리고 가열부(40)는 열풍 생성 및 제어를 위해 인덕션 코일(41)을 분리하여 배치한다.
장착브라켓(45)은 외솥(30)의 외측에 고정되므로, 코일(41)로 전달된 전기가 외솥(30)으로 전달됨을 차단한다. 장착브라켓(45)은 2 종류의 코일(41)이 장착되기 위해 상하로 장착공간을 구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브라켓(45)은, 브라켓몸체(46)와 제1돌출부(47)와 제2돌출부(48)를 포함한다.
브라켓몸체(46)는 외솥(30)의 외측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외솥(30)의 외측에 고정된다. 외솥(30)의 외경은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여 점차로 작아지므로, 브라켓몸체(46)의 내경도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여 점차로 작아진다. 브라켓몸체(46)는 파이프 형상이며, 상측과 하측이 개구된 형상이다.
브라켓몸체(46)와 외솥(30)과 내솥(10)이 모두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여 내경이 점차로 좁아지는 형상이므로, 브라켓몸체(46)와 외솥(30)의 접촉면적이 증대되어 코일(41)에 의한 자기장 전달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외솥(30)의 내측에 있는 내솥(10)을 외솥(30)의 상측으로 꺼내는 동작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돌출부(47)는 브라켓몸체(46)의 상측에서 브라켓몸체(46)의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코일(41)의 이동을 구속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돌출부(47)는, 원형링 형상으로 설치되며, 브라켓몸체(46)의 상단에서 브라켓몸체(46)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제1돌출부(47)는 제1코일(42)의 상측에 위치하며, 제1코일(42)이 제1돌출부(47)를 넘어 제1돌출부(47)의 상측으로 이동함을 차단한다.
제2돌출부(48)는 제1돌출부(47)의 하측에 위치하며, 브라켓몸체(46)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코일(41)의 이동을 구속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돌출부(48)는, 제1돌출부(47)와 같이 원형링 형상으로 설치된다. 제2돌출부(48)는 제1코일(42)과 제2코일(43)의 사이에 위치하며, 브라켓몸체(46)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제1돌출부(47)와 제2돌출부(48)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제1코일(42)이 제2돌출부(48)에 걸려서 제2코일(43)에 접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1코일(42)의 상측은 제1돌출부(47)에 의해 이동이 구속되며, 제1코일(42)의 하측은 제2돌출부(48)에 의해 이동이 구속된다. 제2돌출부(48)는 제1코일(42)의 하측에 위치하며, 제1코일(42)이 제2돌출부(48)를 넘어 제2돌출부(48)의 하측으로 이동함을 차단한다.
브라켓몸체(46)와 제1돌출부(47)와 제2돌출부(48)의 재질은 페라이트를 포함한다. 또한 브라켓몸체(46)와 제1돌출부(47)와 제2돌출부(48)는 인서트 사출로 성형된다.
장착브라켓(45)은 페라이트로 이루어지며,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의 형상을 구비한다. 또한 장착브라켓(45)은 제1코일(42)과 제2코일(43) 사이의 간섭을 줄이며, 내솥(10)을 향한 방향으로 자기장이 형성되도록 자력의 방향을 제어한다.
장착브라켓(45)은 외솥(30)의 외측면을 감싸는 파이프 형상이며, 장착브라켓(45)의 내경은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여 점차적으로 작아진다.
장착브라켓(45)의 하측 장착공간에 권선된 코일(41)은 내솥(10)을 가열하기 위한 열원으로 사용되며, 장착브라켓(45)의 상측 장착공간에 권선된 코일(41)은 내솥(10)의 내측을 통과하는 열풍공급부(110)의 토출 공기를 가열하는 열원으로 사용된다.
장착브라켓(45)의 하측 장착공간은 제2돌출부(48)의 하측에 위치한 제2코일(43)이 설치되기 위한 공간이다. 그리고 장착브라켓(45)의 상측 장착공간은 제1돌출부(47)와 제2돌출부(48)의 사이에 위치한 공간으로, 제1코일(42)이 설치되기 위한 공간이다.
코일(41)은 장착브라켓(45)의 외측면에 설치되며, 자기장을 발생시켜 내솥(10)을 가열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41)은 제1코일(42)과 제2코일(43)을 포함한다.
제1코일(42)은 제1돌출부(47)와 제2돌출부(48)의 사이에 설치되며, 자기장을 이용하여 내솥(10)을 가열시킨다. 제1코일(42)은 열풍공급부(110)를 통해 하측으로 배출되는 공기와 접하는 내솥(10)을 가열시킨다.
제1코일(42)은 장착브라켓(45)의 상측 둘레를 전부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는 열풍공급부(110)에 구비된 덕트부(115)를 통해 내솥(10)의 하측으로 공기가 배출되는 방향에만 제1코일(42)이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코일(42)은 덕트부(115)의 하측으로 배출되는 공기와 접하거나 인접한 내솥(10)을 가열하기 위해, 내솥(10)의 전방(도 7기준 좌측)과 측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제1코일(42)이 설치된다. 제1코일(42)이 내솥(10)의 후방(도 7기준 우측)에 설치되지 않아도 되므로 제1코일(42)이 설치되는 면적이 감소되어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제1코일(42)은 열풍공급부(110)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해 사용되므로, 열풍공급부(110)를 향하여 공기가 흡입되는 내솥(10)의 후방에는 제1코일(42)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제2코일(43)은 제2돌출부(48)의 하측에 설치되며, 브라켓몸체(46)의 외측을 권선하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제1코일(42)과 마주하는 내솥(10)의 제1측면(17)은 제1코일(42)에 의해 가열된다. 제1코일(42)은 열풍 생성을 위한 내솥(10) 상측인 제1측면(17)을 가열한다. 덕트부(115)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제1측면(17)에 접하거나 제1측면(17)의 주변을 통과하며 가열된다.
케이스부(50)는 외솥(30)과 가열부(40)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상측이 개구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부(50)는 베이스부(7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케이스부(50)의 내측에 가열부(40)와 외솥(30)이 고정된 상태로 설치된다.
케이스부(50)는 단일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복수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부(50)는, 몸체케이스(51)와 하부케이스(53)와 외측기어(54)를 포함한다.
몸체케이스(51)는 가열부(40)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몸체케이스(51)의 상측은 개구되어 있으며, 상측에서 하측으로 향할 수록 점차로 외경이 커지는 기둥 형상이다.
몸체케이스(51)의 상측에는 커버부(100)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몸체케이스(51)의 하부에는 하부케이스(53)가 연결된다. 몸체케이스(51)의 상측과 하측은 개구된 형상이다.
하부케이스(53)는 베이스부(70)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된 반구 형상의 곡면을 형성한다. 하부케이스(53)는 몸체케이스(51)의 하측을 막으며, 베이스부(70)를 향하여 볼록한 형상 곡면을 형성한다.
외측기어(54)는 하부케이스(53)의 외측면에 설치되며, 제2구동부(90)에 구비된 기어에 맞물리는 치형이 형성된다. 외측기어(54)는 하부케이스(53)의 하측면(13)에 형성되며, 케이스부(50)가 회전되는 이동경로를 따라 외측기어(54)가 형성된다. 외측기어(54)는 곡선 형상을 따라 띠 형상으로 연장된다.
한편 케이스부(50) 또는 커버부(100)에는 내솥(10) 내부의 공기를 외측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홀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내솥(10)의 내측에 있는 공기의 온도가 올라가서 압력이 증가할 경우, 커버부(100)의 개방으로 내솥(10)에 있는 음식물(120)이 내솥(10)의 외측으로 급격히 이동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배기홀을 추가하여 내솥(10) 내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배기홀은 내솥(10) 내 수증기 배출에도 사용될 수 있다.
케이스부(50)를 포함한 조리장치(1)의 외형이 전체적으로 곡면을 형성하므로, 유아를 포함한 노약자가 실수로 조리장치(1)에 걸려 넘어지는 경우, 제품의 외형이 전체적으로 곡면을 형성하므로 안전사고의 발생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리프터(20)는 내솥(1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솥(10)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내솥(10)에 담겨진 음식물(120)을 이동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터(2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J"자 형상이며, 내솥(10)에 끼움식으로 고정된다.
판 형상의 리프터(20)는 내솥(10)의 내측면을 따라 굽어진 형상으로 설치된다. 리프터(20)는 내솥(10)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이므로, 내솥(10)과 함께 리프터(20)가 회전하면서 내솥(10)에 있는 음식물(120)을 이동시킨다.
제1구동부(60)는 케이스부(50)의 내측에 고정되며, 모터를 이용하여 회전동력을 발생시킨다. 또한 제1구동부(60)는 외솥(30)의 하부를 관통하여 내솥(10)에 연결되며,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내솥(10)을 회전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구동부(60)는, 제1구동몸체(61)와 제1구동축(62)을 포함한다. 또한 제1구동부(60)는 내솥(10)과 연결되기 위해 커넥터(63)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1구동몸체(61)는 외솥(30)의 하측에 위치하며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이다. 제1구동몸체(61)는 외솥(30)의 중앙 하부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구동몸체(61)는 하부케이스(53)와 외솥(30)의 사이에 위치하며, 하부케이스(53)의 상측면에 고정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제1구동몸체(61)는 서보모터가 사용될 수도 있다.
제1구동축(62)은 제1구동몸체(61)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제1구동몸체(61)의 동작에 의해 제1구동축(62)은 회전한다. 제1구동축(62)은 제1구동몸체(61)의 상측으로 돌출되며, 외솥(30)의 중앙 하부를 관통하며 외솥(30)의 상측으로 돌출된다.
커넥터(63)는 외솥(30)을 관통하는 제1구동축(62)에 결합되며, 내솥(10)의 바닥면에 형성된 체결홈부에 삽입되어 걸리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커넥터(63)의 하부는 제1구동축(62)이 삽입되어 걸리는 홈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커넥터(63)는 십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솥(10)의 하부에 구비된 결합홈부에 삽입되어 내솥(10)과 회전이 동기화된다.
베이스부(70)는 케이스부(50)의 하측에 위치하며, 케이스부(50)가 회전되어 기울어지는 동작을 안내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70)는 베이스커버(71)와 베이스몸체(75)를 포함한다.
베이스커버(71)는 하부케이스(53)의 하측에 위치하며, 하부케이스(53)를 향하여 오목한 홈 형상을 형성한다. 베이스커버(71)는 상측을 향하여 오목한 반구 형상의 홈을 형성한다. 베이스커버(71)의 곡률과 하부케이스(53)의 곡률은 서로 같거나, 설정된 범위 내에서 같다. 따라서 케이스부(50)의 하측이 베이스부(70)의 상측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베이스몸체(75)는 베이스커버(71)의 테두리에서 하측으로 연장된다. 베이스몸체(75)는 베이스부(70)의 몸체를 형성하며,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여 점차로 외경이 증가한다.
한편 베이스부(70)의 하측면(13)에는 미끄럼 방지형 고무패드가 설치될 수 있다. 조리장치(1)의 사용시 본래 사용하던 위치에서 조리장치(1)가 이탈됨을 방지하기 위해 미끄럼 방지형 고무패드가 설치된다. 미끄럼 방지형 고무패드는 고무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베이스부(70)의 하측면(13)에 고정된다.
제2구동부(90)는 베이스부(70)의 내측에 고정된다. 제2구동부(90)는 베이스부(70)의 내측에 설치되며, 회전동력을 발생시켜 케이스부(50)를 이동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구동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구동부(90)는 제2구동몸체(91)와 회전기어(93)를 포함한다.
제2구동몸체(91)는 모터를 사용하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회전동력을 공급한다. 제2구동몸체(91)는 베이스부(70)의 내측에 고정된다. 베이스커버(71)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2구동몸체(91)는 회전동력을 공급한다.
제2구동몸체(91)에서 돌출된 제2출력축(92)은 제2구동몸체(91)의 동작에 의해 회전되며, 회전기어(93)는 제2구동몸체(91)에 구비된 제2출력축(92)에 연결된다. 회전기어(93)는 원형기어이며, 제2출력축(92)과 함께 회전한다.
회전기어(93)의 일부는 베이스부(70)의 상측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회전기어(93)가 회전하면 케이스부(50)에 구비된 외측기어(54)가 이동하므로 케이스부(5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2구동부(90)의 회전동력이 케이스부(50)의 하측에 구비된 외측기어(54)로 전달되어 케이스부(50)를 회전시키므로, 음식물(120)을 담는 내솥(10)의 기울기가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는, 제1구동부(60)가 동작되어 내솥(10)을 회전시키는 모드로 음식물(120)의 조리가 이루어지며, 제2구동부(90)의 동작으로 내솥(10)을 기울이거나 웍(Wok)을 이용한 요리와 같은 모션을 구현하여 다양한 조리모드로 음식물(120)을 조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는, 회전과 가열은 물론 필요시 제1구동부(60)와 제2구동부(90)의 제어를 통해, 끓이기 볶기 웍 모션의 구현이 가능하다. 이러한 기능에 의하여 조리장치(1)는 볶음 기능을 원할하게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장치(1)는, 제1구동부(60)와 제2구동부(90)에 의해 내솥(10)의 회전과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인덕션 코일(41)을 사용한 가열부(40)에 의해 음식물(120)의 가열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음식물(120)의 조리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구동부(90)의 동작으로, 내솥(10)의 기울기를 수직에서 수평 방향을 향하여 기울어지게 변경할 수 있으며, 내솥(10)의 기울기에 따라 끓이기, 볶기, 굽기 등 다양한 요리의 제조가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9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솥(10)이 상하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커버부(100)를 이동시켜 내솥(10)의 상측을 개방시킨다.
커버부(100)를 열고 내솥(10)의 상측을 개방한 후 내솥(10)에 음식물(120)을 넣고 커버부(100)를 케이스부(50)에 결합시켜 내솥(10)의 상측을 닫는다. 조리장치(1)에 구비된 제어부에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는 음식물(120)의 조리순서에 맞게 가열부(40)와 열풍공급부(110)와 제1구동부(60)와 제2구동부(90)를 동작시킨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부(50)가 제2회전방향(D2)으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부(50)가 제2회전방향(D2)으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구동부(90)의 동작으로 음식물(120)의 조리 과정에 따라 솥의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다. 제1구동부(60)의 동작에 의해 내솥(10)을 회전시키며, 제2구동부(90)의 동작에 의해 내솥(10)이 전방으로 기울어지는 틸팅 동작을 한다.
내솥(10)의 틸팅 각도와 내솥(10)의 회전 방향과 속도는 제1구동부(60)와 제2구동부(90)의 제어에 의해 제어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1개의 조리장치(1)에서 국과 볶음 요리 등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120)의 조리가 가능하여 조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소비자의 만족도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구동부(90)의 동작으로 내솥(10)은 제2회전방향(D2)으로 회전한다. 내솥(10)이 조리장치(1)의 전방을 향하여 회전할 때 중심이 되는 축을 수평 기준축이라 할 때, 수평 기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방향을 제2회전방향(D2)으로 설정한다.
내솥(10)과 케이스부(50)는 외측기어(54)가 형성된 길이에 대응하여 제2회전방향(D2)으로 회전동작이 이루어진다. 내솥(10)과 케이스부(50)는 세워진 상태에서 조리장치(1)의 전방을 향하여 기울어진 형상으로 회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솥(10)과 케이스부(50)는 세워진 상태에서 조리장치(1)의 후방을 향하여 회전하지는 않는다.
제2구동부(90)가 정방향 회전과 역방향 회전을 출력하여 내솥(10)을 웍과 같은 모션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는 웍을 돌리는 모션을 구현할 수 있으며, 내솥(10)의 기울기도 조절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조리모드로 음식물(120)을 조리할 수 있어서 소비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부(50)가 제2회전방향(D2)으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1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솥(10)이 전방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내솥(10)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므로, 내솥(10)에 있는 음식물(120)의 혼합이 이루어지며 음식물(120)이 가열된다.
조리장치(1)는, 가열부(40)가 내솥(10)을 가열하는 복사열로 음식물(120)을 조리하는 방법과, 열풍공급부(110)의 동작에 의해 대류열로 음식물(120)을 조리하는 방법을 모두 사용하거나 어느 하나만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양한 열원을 구비한 조리장치(1)를 개별적으로 구입하는 것 대비 기기 구입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국과 같은 요리를 할 경우에는 제2구동부(90)는 동작하지 않고 제1구동부(60)만 동작하여 내솥(10)을 회전시킨다. 제1구동부(60)의 제1구동축(62)에서 연장된 가상선이 수직으로 세워진 내솥(10)의 중심을 관통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이러한 수직선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으로 회전하는 방향을 제1회전방향(D1)으로 정의한다. 내솥(10)은 제1구동부(60)의 동작으로 리프터(20)와 함께 제1회전방향(D1)으로 회전한다. 내솥(10)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내솥(10)을 가열하는 가열부(40)만 동작하여 내솥(10)에 담긴 음식물(120)을 조리할 수 있다. 그리고 열풍공급부(110)가 동작되어 내솥(10)의 내측을 순환하는 열풍으로도 내솥(10)에 담긴 음식물(120)을 가열할 수 있다.
열대류에 의해 음식물(120)을 가열하기 위해 열풍공급부(110)의 팬모듈(111)이 동작된다. 팬모듈(111)에 구비된 팬이 회전하며 흡입그릴(104)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덕트부(115)를 향한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한다.
흡입그릴(104) 및 팬모듈(111)의 위치는, 내솥(10)이 기울어지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에 위치한다. 내솥(10)이 기울어지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에 흡입그릴(104) 및 팬모듈(111)이 설치되므로, 내솥(10)에 담긴 음식물(120)이 흡입그릴(104) 및 팬모듈(111)로 유입됨을 차단할 수 있다.
열풍공급부(110)의 동작을 설명하면, 팬모듈(111)이 동작되어 내솥(10)에 있는 공기를 팬모듈(111)의 내측으로 흡입한다. 팬모듈(111)로 흡입된 공기는 덕트부(115)로 이동된 후 내솥(10)의 내측면을 향하여 토출되어 가열된 후 내솥(10)의 내측으로 이동되어 음식물(120)을 가열한다. 그리고 다시 내솥(10)의 상측으로 이동된 공기는 팬모듈(111)로 다시 흡입되는 동작을 반복한다.
덕트부(115)에서 토출된 공기는 가열된 내솥(10)과 접하며 열교환을 하므로 공기의 온도가 상승한다. 또는 내솥(10)의 가열로 내솥(10)의 주변에 있는 공기는 내솥(10)과 열교환을 하며 가열된 상태이며, 덕트부(115)에서 토출된 공기가 내솥(10)의 주변에 있는 공기와 열교환을 하며 가열된 후 내솥(10)의 하측으로 이동한다.
열풍공급부(110)의 동작으로 내솥(10)과 커버부(100)의 내측을 순환하는 공기의 흐름이 형성된다.
음식물(120) 조리 후 세척을 위해서, 커버부(100)를 케이스부(50)에서 분리한 후 내솥(10)을 케이스부(50)의 상부로 들어서 내솥(10)을 세척한다.
또한 커버부(100)에 구비된 제1지지커버(102)와 제2지지커버(103)는 자력에 의해 결합되므로, 커버몸체(101)에서 제1지지커버(102)와 제2지지커버(103)를 분리한 후 열풍공급부(110)를 청소할 수 있다.
또한 덕트부(115)도 제1덕트(116)와 제2덕트(117)로 분리되므로, 유증기 및 음식물(120)로 인해 덕트부(115)의 내측이 오염되거나 팬모듈(111)의 주변이 오염되어도 용이하게 세척 및 유지보수 작업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는, 모바일 기기와 연동을 통하여 레시피를 바코드, QR코드 등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인식 코드가 없을 시, 사용자가 레시피를 지정 할 수 있도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 조리장치
10: 내솥 13: 하측면 14: 중앙돌기 15: 결합홈부 16: 내솥 측면 17: 제1측면 18: 제2측면
20: 리프터
30: 외솥
40: 가열부 41: 코일 42: 제1코일 43: 제2코일 45: 장착브라켓 46: 브라켓몸체 47: 제1돌출부 48: 제2돌출부
50: 케이스부 51: 몸체케이스 52: 입구부 53: 하부케이스 54: 외측기어
60: 제1구동부 61: 제1구동몸체 62: 제1구동축 63: 커넥터
70: 베이스부 71: 베이스커버 75: 베이스몸체
90: 제2구동부 91: 제2구동몸체 92: 제2출력축 93: 회전기어
100: 커버부 101: 커버몸체 102: 제1지지커버 103: 제2지지커버 104: 흡입그릴 105: 토출그릴 106: 장착홀부 107: 자력결합부 108: 단차결합편 109: 안내그릴
110: 열풍공급부 111: 팬모듈 115: 덕트부 116: 제1덕트 117: 제2덕트
120: 음식물
D1: 제1회전방향
D2: 제2회전방향

Claims (20)

  1. 상측이 개구된 형상의 내솥;
    상기 내솥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측이 개구되는 외솥;
    상기 외솥에 고정되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상기 내솥을 전자기 유도 가열 방식으로 가열하는 가열부; 및
    상기 내솥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내솥에 있는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내솥의 내측으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열풍공급부;를 포함하는 조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외솥의 외측에 위치하는 장착브라켓; 및
    상기 장착브라켓의 외측면에 설치되며, 자기장을 발생시켜 상기 내솥을 가열시키는 코일;을 포함하는 조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브라켓은 페라이트를 포함하며, 인서트 사출 성형으로 제조되는 조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브라켓은 상기 외솥의 외측면을 감싸는 파이프 형상이며,
    상기 장착브라켓의 내경은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여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조리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상기 장착브라켓의 외측면 중 상측에 설치되는 제1코일; 및
    상기 제1코일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장착브라켓의 외측면에 권선되는 제2코일;을 포함하는 조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공급부는, 상기 내솥의 상측에 위치하며, 팬을 회전시켜 상기 내솥의 내측에 있는 공기를 흡입하는 팬모듈; 및
    상기 팬모듈에 연결되며, 상기 팬모듈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내솥의 내측으로 안내하는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덕트부;를 포함하는 조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부는, 일측은 상기 팬모듈에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내솥을 향하여 연장되고, 하측이 개구된 제1덕트; 및
    상기 제1덕트의 하측에 결합되며, 상기 제1덕트와 함께 공기가 이동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제2덕트;를 포함하는 조리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솥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내솥의 개구된 입구를 개폐하고, 상기 팬모듈과 상기 덕트부가 내측에 설치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조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내솥을 향한 하측이 개구되어 있으며, 상기 팬모듈과 상기 덕트부가 위치하는 내측공간을 구비하는 커버몸체;
    상기 커버몸체의 하측에 결합되며, 상기 커버몸체의 하측 둘레를 따라 원주 방향으로 설치되고, 내측에는 장착홀부를 구비하는 제1지지커버;
    상기 장착홀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지지커버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팬모듈과 상기 덕트부가 상측에 설치되는 제2지지커버;를 포함하는 조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커버는, 상기 팬모듈과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내솥에 있는 공기가 상기 팬모듈로 이동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흡입그릴; 및
    상기 덕트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덕트부에서 상기 내솥을 향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토출그릴;을 포함하는 조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커버에서 상기 흡입그릴은 상기 토출그릴의 반대 위치에 설치되는 조리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그릴은 상기 내솥이 기울어지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에 설치되는 조리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커버와 상기 제2지지커버는 자력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지는 조리장치.
  14. 상측이 개구된 형상의 내솥;
    상기 내솥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측이 개구되는 외솥;
    상기 외솥에 고정되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상기 내솥을 전자기 유도 가열 방식으로 가열하는 가열부;
    상기 외솥과 상기 가열부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상측이 개구되는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케이스부의 기울어지는 동작을 안내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에 설치되며, 회전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케이스부를 눕히거나 세우기 위한 동력을 공급하는 제2구동부;를 포함하는 조리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가열부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몸체케이스;
    상기 몸체케이스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부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된 반구 형상의 하부케이스; 및
    상기 하부케이스의 외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2구동부에 구비된 기어에 맞물리는 치형이 형성된 외측기어;를 포함하는 조리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에 고정되며,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제2구동몸체; 및
    상기 제2구동몸체에 구비된 제2출력축에 연결되어 상기 제2출력축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외측기어에 맞물려서 상기 케이스부를 회전시키는 회전기어;를 포함하는 조리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의 내측에 고정되며, 상기 외솥의 하부를 관통하여 상기 내솥에 연결되고, 회전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내솥을 회전시키는 제1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조리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부는, 상기 외솥의 하측에 위치하며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제1구동몸체;
    상기 제1구동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회전하는 제1구동축; 및
    상기 외솥을 관통하는 상기 제1구동축에 결합되며, 상기 내솥의 바닥면에 형성된 체결홈부에 삽입되어 걸리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조리장치.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내솥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내솥의 개구된 입구를 개폐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내솥에 있는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내솥의 내측으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열풍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조리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공급부는, 상기 커버부의 내측에 설치되며, 팬을 회전시켜 상기 내솥의 내측에 있는 공기를 흡입하는 팬모듈; 및
    상기 팬모듈에 연결되며, 상기 팬모듈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커버부의 하측으로 안내하는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덕트부;를 포함하는 조리장치.
KR1020210189465A 2021-05-11 2021-12-28 조리장치 KR202201534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61015 2021-05-11
KR20210061026 2021-05-11
KR20210060986 2021-05-11
KR1020210061026 2021-05-11
KR20210060985 2021-05-11
KR1020210061015 2021-05-11
KR1020210060986 2021-05-11
KR1020210060985 2021-05-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3466A true KR20220153466A (ko) 2022-11-18

Family

ID=84234535

Family Applications (1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0147A KR20220153461A (ko) 2021-05-11 2021-12-15 자동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0210180146A KR20220153460A (ko) 2021-05-11 2021-12-15 자동 조리 기기의 제어 장치
KR1020210184223A KR20220153463A (ko) 2021-05-11 2021-12-21 레시피 플랫폼과 연동하는 조리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0210184222A KR20220153462A (ko) 2021-05-11 2021-12-21 조리 기기에 연동하는 레시피 플랫폼 및 그 제어 방법
KR1020210188325A KR20220153464A (ko) 2021-05-11 2021-12-27 조리장치
KR1020210188326A KR20220153465A (ko) 2021-05-11 2021-12-27 조리장치
KR1020210189465A KR20220153466A (ko) 2021-05-11 2021-12-28 조리장치
KR1020220000939A KR20220153471A (ko) 2021-05-11 2022-01-04 리프터를 구비하는 조리장치
KR1020220004497A KR20220153474A (ko) 2021-05-11 2022-01-12 조리장치
KR1020220004496A KR20220153473A (ko) 2021-05-11 2022-01-12 리프터 모션 제어형 조리장치
KR1020220010352A KR20220153475A (ko) 2021-05-11 2022-01-25 조리장치
KR1020220016342A KR20220153478A (ko) 2021-05-11 2022-02-08 조리장치
KR1020220017885A KR20220153479A (ko) 2021-05-11 2022-02-11 조리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0147A KR20220153461A (ko) 2021-05-11 2021-12-15 자동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0210180146A KR20220153460A (ko) 2021-05-11 2021-12-15 자동 조리 기기의 제어 장치
KR1020210184223A KR20220153463A (ko) 2021-05-11 2021-12-21 레시피 플랫폼과 연동하는 조리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0210184222A KR20220153462A (ko) 2021-05-11 2021-12-21 조리 기기에 연동하는 레시피 플랫폼 및 그 제어 방법
KR1020210188325A KR20220153464A (ko) 2021-05-11 2021-12-27 조리장치
KR1020210188326A KR20220153465A (ko) 2021-05-11 2021-12-27 조리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0939A KR20220153471A (ko) 2021-05-11 2022-01-04 리프터를 구비하는 조리장치
KR1020220004497A KR20220153474A (ko) 2021-05-11 2022-01-12 조리장치
KR1020220004496A KR20220153473A (ko) 2021-05-11 2022-01-12 리프터 모션 제어형 조리장치
KR1020220010352A KR20220153475A (ko) 2021-05-11 2022-01-25 조리장치
KR1020220016342A KR20220153478A (ko) 2021-05-11 2022-02-08 조리장치
KR1020220017885A KR20220153479A (ko) 2021-05-11 2022-02-11 조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3) KR20220153461A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7519A (ja) 2003-03-10 2004-09-30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回転式電磁誘導加熱装置
JP6042190B2 (ja) 2012-11-30 2016-12-14 シャープ株式会社 加熱調理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3463A (ko) 2022-11-18
KR20220153478A (ko) 2022-11-18
KR20220153479A (ko) 2022-11-18
KR20220153465A (ko) 2022-11-18
KR20220153475A (ko) 2022-11-18
KR20220153474A (ko) 2022-11-18
KR20220153464A (ko) 2022-11-18
KR20220153460A (ko) 2022-11-18
KR20220153462A (ko) 2022-11-18
KR20220153461A (ko) 2022-11-18
KR20220153471A (ko) 2022-11-18
KR20220153473A (ko) 2022-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971513B (zh) 烹饪系统
KR101485918B1 (ko)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
EP2799778B1 (en) Cooking apparatus
EP2799780A2 (en) Cooking apparatus
CN115813223A (zh) 比萨饼烹饪用具
KR101929939B1 (ko) 고효율 인덕션 국솥
CN210185391U (zh) 一种烹调器具
KR102231776B1 (ko) 조리장치
CN213371512U (zh) 烹饪器具
JP2014094077A (ja) 電気炊飯器
JP3244471B2 (ja) 電気鍋
CN104930561B (zh) 均匀加热电磁炉
KR102258928B1 (ko) 조리장치
KR101196924B1 (ko) 다기능 조리기기
KR20220153466A (ko) 조리장치
CN215383345U (zh) 一种烹饪器具
JPH0984691A (ja) 炊飯釜
WO2016113164A1 (en) Apparatus for preparing food ingredients with improved air circulation of hot air
KR20230174897A (ko) 조리장치
KR20230174896A (ko) 조리장치
US20230119105A1 (en) Rotary roaster heated by induction heating method
CN112336210B (zh) 一种空气循环电烤炉
US20220418056A1 (en) Turntable system for hybrid cooking appliance with microwave and induction heating features
CN218128054U (zh) 烹饪器具
CN215777507U (zh) 锅体组件及具有其的烹饪器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