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3479A - 조리장치 - Google Patents

조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3479A
KR20220153479A KR1020220017885A KR20220017885A KR20220153479A KR 20220153479 A KR20220153479 A KR 20220153479A KR 1020220017885 A KR1020220017885 A KR 1020220017885A KR 20220017885 A KR20220017885 A KR 20220017885A KR 20220153479 A KR20220153479 A KR 202201534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inner pot
unit
pot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7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연아
최동준
오민규
김현기
이득원
김대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20153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34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2Control mechanisms for pressure-coo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dapted to high-frequency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29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 A47J37/0641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air fry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64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8Driving mechanis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측이 개구된 형상의 내솥과, 내솥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측이 개구되는 외솥과, 내솥의 개구된 입구를 개폐하는 커버부와, 내솥에 있는 공기를 흡입하여 내솥의 내측으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열풍공급부와,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내솥의 측면을 가열하는 제1코일과, 제1코일과 함께 외솥의 외측에 권선되고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내솥을 가열하는 제2코일 및 열풍공급부와 제1코일과 제2코일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리장치{COOKING DEVICE}
본 발명은 음식물의 조리상태에 따라 전자 유도 가열용 열원과 대류 가열용 열원을 제어할 수 있는 조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자동으로 조리하는 장치는, 음식물을 담는 내솥을 구비한다. 내솥은 가열장치에 의해 가열이 이루어지므로, 내솥의 내측에 있는 음식물은 열원에 의해 가열되면서 조리가 이루어진다.
내솥의 외측에 외솥이 설치되며, 내솥과 외솥의 사이에는 인덕션 코일이 배치된다. 인덕션 코일은 전자 유도 가열방식을 이용하여 내솥을 가열하므로 조리가 이루어진다.
종래에는 음식물을 조리하는 솥은 전자 유도 가열 방식으로만 가열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튀김요리와 같이 열풍을 이용한 요리를 만들 수 없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종래에는 단일 열원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므로 음식물의 조리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종래에는 인덕션 코일이 내솥의 하단에 배치되어, 음식물 전체에 열이 전달 되는데 시간이 필요한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52004호 (2012.05.23 공개, 발명의 명칭: 전자유도가열방식을 이용한 회전형 국솥)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도 가열 방식의 열원과 열풍을 이용하는 가열 방식의 열원의 동작을 제어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는 조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 조리시 조리 온도를 조절하듯이 음식물의 가열 알고리즘을 각각의 조리별로 맞추어 제공할 수 있는 조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열원으로 음식물을 조리하여 음식물의 조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조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인덕션 코일이 내솥의 하단에 배치된 구조 대비 음식물의 가열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조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리장치는, 음식물의 조리상태에 따라 열원의 세기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가 유도 가열 방식의 열원으로 사용되는 제1코일과 제2코일의 동작을 제어하므로 가열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가열부의 코일은, 유도 가열 방식에 사용되는 코일과 열풍 가열 방식에 사용되는 코일로 구분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내솥의 상측을 가열하는 제2코일이 열풍을 만드는 기능을 하고, 내솥의 하측을 가열하는 제1코일이 내솥에 담긴 음식물을 조리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전자기 유도 가열 방식과 열풍 가열 방식을 사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코일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을 이용해 내솥을 가열하는 유도전류를 열원으로 음식물을 조리하는 가열방식과, 열풍공급부와 가열부의 동작으로 발생된 열풍으로 음식물을 조리하는 가열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솥의 외측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코일이 설치되어 코일을 가열하므로 내솥의 하측에 가열부가 설치된 구성 대비 내솥의 음식물을 신속하게 가열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는, 상측이 개구된 형상의 내솥과, 내솥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측이 개구되는 외솥과, 내솥의 상측에 위치하며 내솥의 개구된 입구를 개폐하는 커버부와, 커버부의 내측에 설치되며 내솥에 있는 공기를 흡입하여 내솥의 내측으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열풍공급부와, 외솥의 외측에 권선되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내솥의 측면을 가열하는 제1코일과, 제1코일의 상측에 위치하며 제1코일과 함께 외솥의 외측에 권선되고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내솥을 가열하는 제2코일 및 열풍공급부와 제1코일과 제2코일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는, 상측이 개구된 형상의 내솥과, 내솥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측이 개구되는 외솥과, 내솥의 상측에 위치하며 내솥의 개구된 입구를 개폐하는 커버부와, 커버부의 내측에 설치되며 내솥에 있는 공기를 흡입하여 내솥의 내측으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열풍공급부와, 외솥의 외측에 권선되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내솥의 측면을 가열하는 제1코일과, 제1코일의 상측에 위치하며 제1코일과 함께 외솥의 외측에 권선되고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내솥을 가열하는 제2코일과, 외솥과 제1코일과 제2코일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상측이 개구되는 케이스부와, 케이스부의 내측에 고정되며 외솥의 하부를 관통하여 내솥에 연결되고 회전동력을 발생시켜 내솥을 회전시키는 제1구동부와, 케이스부의 하측에 위치하며 케이스부의 기울어지는 동작을 안내하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의 내측에 설치되며 회전동력을 발생시켜 케이스부를 이동시키는 제2구동부 및 열풍공급부와 제1코일과 제2코일과 제1구동부와 제2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장치는, 음식물의 조리상태에 따라 열원의 세기와 열원의 종류가 자동으로 조절되므로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을 자동으로 조리하여 조리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제1코일과 제2코일과 팬모듈과 제1구동부와 제2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음식물의 조리 모드에 따라서 다양한 조리 모드를 제공하므로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도 가열 방식과 대류열 가열 방식을 모두 사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여 음식물의 조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기 유도 가열 방식으로 내솥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으며, 열풍을 발생시켜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의 조리가 가능하여 소비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가열부에 구비된 코일은, 열풍 공급용으로 사용되는 제2코일과, 내솥에 있는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1코일로 구분되어 동작되므로 전기료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가열부는 내솥의 측면을 가열하므로 내솥의 하측을 가열하는 방식 대비 가열이 이루어지는 면적이 증가하여 음식물의 가열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가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솥에서 내솥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풍공급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과 장착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조리모드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에서 새우볶음밥을 조리할 때 적용되는 모드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솥의 각도와 가열영역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에서 만두 튀김을 조리할 때 적용되는 모드를 표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의 가열부(40)를 도시한 사시도이ㅁ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는 회전형 자동 조리 기기이다. 조리장치(1)의 내측에 인덕션 히터용 열원 및 공기 대류에 의한 가열장치가 구비된다. 또한 조리장치(1)의 내측에는 제어부(150)가 설치되며, 이러한 제어부(150)는 단일로 이루어지거나 복수로 분리될 수도 있다.
음식물(160)을 프라이팬에서 볶는 경우, 프라이팬의 가열과 함께 음식물(160)을 저어주는 작업이 중요하다. 요리를 하는 사람이 직접 조리하는 음식물(160)을 저어주면서 공기의 순환을 형성하므로, 조리하는 음식물(160)이 가열되면서 공기와 접하는 면적이 증가하여 음식의 맛을 상승시킨다. 특히 볶음 요리시 수분과 유분이 음식물(160)에 적절하게 포함되어 있을 때 조리된 음식물(160)의 풍미를 높여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는, 음식물(160)이 담긴 내솥(10)을 가열하면서, 내솥(10)을 기울이거나 회전시키는 동작을 자동으로 한다. 또한 음식물(160)의 조리에 맞는 열원을 동작시켜 음식물(160)이 가열되는 정도를 조절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음식물(160)을 혼합할 때 온도에 따른 맛의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제어부(150)는 대류와 전도의 열원을 각각의 모드로 구분하여 조리 시간에 맞추어 가열 알고리즘을 각각의 조리 모드별로 제공한다. 사람이 직접 조리할 때 불 온도를 조절하듯이 가열 알고리즘을 각각의 조리별로 맞추어 제공한다.
조리장치(1)는 내솥(10)을 가열하기 위한 제1코일(42)과 제2코일(43)을 구비한다. 또한 열대류에 의해 음식물(160)을 가열하기 위해 팬모듈(141)이 커버부(130)의 내측에 설치된다. 제1구동부(70)에 의해 회전하는 내솥(10)의 측면에는 제1코일(42)과 제2코일(43)이 설치되므로, 회전하는 내솥(10)을 빠르고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는, 커버부(130)와 케이스부(50)와 베이스부(90)가 조리장치(1)의 외형을 형성한다. 커버부(130)의 하측에 케이스부(50)가 위치하며, 케이스부(50)의 하측에 베이스부(90)가 위치한다.
커버부(130)와 케이스부(50)와 베이스부(90)의 외측은 원형의 곡면을 형성한다. 커버부(130)의 외경보다 케이스부(50)의 외경이 크며, 케이스부(50)의 외경보다 베이스부(90)의 외경이 크게 형성된다.
조리장치(1)의 외형은 전체적으로 곡면을 구비한 형상이며, 원형, 원통형,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는, 상측에서 하측을 향할 수록 점차로 외경이 커지므로 조리장치(1)의 넘어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조리장치(1)의 조리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조리장치(1)는 대략 원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측은 커버부(130)가 설치되어 원형의 평면 형상이 위치한다. 이와 같이 조리장치(1)의 외측은 곡면을 구비하므로, 미려한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케이스부(50)의 내측에 가열부(40)가 설치되며, 가열부(40)의 상측에는 커버부(130)와 열풍공급부(140)가 설치된다. 가열부(40)는 인덕션 방식으로 내솥(10)을 가열한다. 또한 가열부(40)에 의해 가열된 내솥(10)에 의해 열풍공급부(140)에서 배출된 공기의 가열이 이루어진다.
가열부(40)는 전자기 유도를 이용해 인덕션 전용 용기인 내솥(10)으로 전기에너지를 전달하고, 내솥(10)의 저항이 열선처럼 뜨거워지는 원리로 음식물(160)을 가열한다. 가열부(40)가 내솥(10)을 가열하는 방식을 유도가열이라 한다.
전자기 유도 방식으로 가열부(40)가 동작되어 코일(41)에 전류가 흐르면, 코일(41) 주변에 자기장이 형성된다. 자기장이 전용 용기인 내솥(10)에 구비된 금속에 영향을 주게 되어 내솥(10)에 전류가 흐르게 된다.
내솥(10)에 흐르는 전류는 금속의 저항을 만나 열로 바뀌며 내솥(10)을 가열한다. 내솥(10)에 전달되는 자기장이 지속적으로 바뀌어야 전류가 원활히 발생하므로, 코일(41)에 공급되는 전기는 고주파의 전류가 이용된다.
내솥(10)이 어떤 금속으로 만들어졌냐에 따라 자기장의 영향을 받는 정도와 저항의 크기가 달라진다. 전용 용기인 내솥(10)은 자기장의 영향을 받아 가열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철 합금과 스테인리스로 만들어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솥(30)에서 내솥(10)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솥(10)은 음식물(160)이 담겨지는 내측공간을 구비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솥(10)은 상측이 개구된 솥 형상이다.
내솥(10)의 바닥면(13)에는 후술할 제1구동부(70)의 커넥터(73)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홈부가 구비될 수 있다. 결합홈부는 커넥터(73)가 삽입되어 걸릴 수 있도록 내솥(10)의 하측을 향하여 오목한 홈 형상을 구비한다.
내솥(10)의 바닥면(13)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중앙돌기(14)의 하측에 결합홈부가 구비된다. 중앙돌기(14)는 상측을 향항여 볼록한 반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장착홈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중앙돌기(14)의 외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내솥(10)의 내측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리프터(20)가 설치되어 음식물(160)을 용이하게 혼합한다.
내솥(10)에서 바닥면(13)의 상측으로 돌출된 원형 파이프 형상의 내솥 측면(16)은 제1측면(17)과 제2측면(18)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제1측면(17)의 하측에 제2측면(18)이 위치한다. 제2측면(18)은 바닥면(13)의 테두리와 연결된다.
제1측면(17)은 후술할 제2코일(43)과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제2측면(18)은 후술할 제1코일(42)과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따라서 제2코일(43)의 동작에 의해 제1측면(17)이 가열되며, 제1코일(42)의 동작에 의해 제2측면(18)이 가열된다.
제1측면(17)은 내솥 측면(16)의 상측을 형성하며, 제2측면(18)은 제1측면(17) 하측에 위치한 내솥 측면(16)의 중앙과 하부를 형성한다. 내솥(10)에 음식물(160)이 담겨질 때 음식물(160)과 접하고 있는 제2측면(18)만 가열하여 음식물(160)을 가열한다.
그리고 열풍공급부(140)가 동작될 때, 열풍공급부(140)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해 제1측면(17)도 가열부(40)에 의해 가열된다. 열풍공급부(140)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제1측면(17)에 접하거나 제1측면(17)의 주변을 통과하며 가열된다.
내솥(10)은 알루미늄과 스틸을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솥(10)은 STS300계열과 Al10계열과 STS400계열을 포함할 수 있다.
음식물(160) 조리시 음식물(160)이 신속하게 잘 섞일 수 있도록 내솥(10)의 내부에는 리프터(20)가 설치된다. 리프터(20)는 내솥(10)에 내측에 고정되며, 내솥(10)과 함께 회전한다.
내솥(10)을 지지하는 외솥(30)은 내솥(10)의 외측에 위치한다. 외솥(30)은 내솥(1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솥(10)과 함께 상측이 개구된다.
외솥(30)은 케이스부(50)의 내측에 고정되며, 외솥(30)의 측면에는 가열부(40)가 설치되고, 외솥(30)의 하측 중앙에는 제1구동부(70)가 설치된다. 외솥(30)은 가열부(40)에 의해 가열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솥(30)은 플라스틱 또는 합성수지를 재질로 한다. 또한 가열된 내솥(10)에 의해 변형되지 않도록 내열성을 갖는다.
국과 같은 요리를 할 경우에는 제2구동부(80)는 동작하지 않고 제1구동부(70)만 동작하여 내솥(10)을 회전시킨다. 내솥(10)의 중심을 관통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선이 있으며, 이러한 수직선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제1회전방향(D1)으로 정의한다. 내솥(10)은 제1구동부(70)의 동작으로 리프터(20)와 함께 제1회전방향(D1)으로 회전한다. 내솥(10)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내솥(10)을 가열하는 가열부(40)만 동작하여 내솥(10)에 담긴 음식물(160)을 조리할 수 있다. 그리고 열풍공급부(140)가 동작되어 내솥(10)의 내측을 순환하는 열풍으로도 내솥(10)에 담긴 음식물(160)을 가열할 수 있다.
제2구동부(80)의 동작으로 내솥(10)은 제2회전방향(D2)으로 회전한다. 내솥(10)이 조리장치(1)의 전방을 향하여 회전할 때 중심이 되는 축을 수평 기준축이라 할 때, 수평 기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방향을 제2회전방향(D2)으로 설정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풍공급부(140)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41)과 장착브라켓(45)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부(40)는 외솥(30)의 외측에 고정되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내솥(10)을 가열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부(40)는 장착브라켓(45)과 코일(41)을 포함한다.
가열부(40)의 코일(41)은 자기장을 형성하며, 코일(41)에 의한 자기장을 변화시켜 내솥(10)을 가열한다. 가열부(40)는 인덕션 방식으로 내솥(10)을 가열하기 위한 기술사상 안에서 내솥(10)과 외솥(30)의 사이에 설치되거나 외솥(30)의 외측에 설치될 수 있다.
가열부(40)의 코일(41)이 직접 외솥(30)의 외측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외솥(30)과 내솥(10) 사이에 코일(41)이 설치될 수도 있다. 코일(41)이 직접 가열되어 내솥(10)으로 열을 전달하는 방식으로도 내솥(10)을 가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41)은 자기장을 발생시켜 유도 가열 방식으로 내솥(10)을 가열한다. 외솥(30)의 외측에 장착브라켓(45)이 설치되고, 장착브라켓(45)의 외측에 코일(41)이 설치된다. 가열부(40)는 자기장에 의해 발생하는 유도전류를 열원으로 이용하는 인덕션 방식의 히터로 동작된다.
가열부(40)가 자기유도 가열방식으로 내솥(10)을 발열시키므로 빠른 음식물(160)의 조리가 가능하다. 가열부(40)는 내솥 측면(16)에 배치되어 넓은 면적에서 발열을 유도하며, 자기 유도 방식으로 가열 속도를 높여서 음식물(160)의 레시피에 맞게 온도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가열부(40)의 동작에 의해 인덕션 히팅과 열풍을 이용한 자동 조리 기구의 가열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는, 회전하는 내솥(10)을 빠르고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는 인덕션 가열 방식의 코일(41)을 내솥(10)의 외측에 배치한다. 그리고 가열부(40)는 열풍 생성 및 제어를 위해 인덕션 코일(41)을 분리하여 배치한다.
장착브라켓(45)은 외솥(30)의 외측에 고정되므로, 코일(41)로 전달된 전기가 외솥(30)으로 전달됨을 차단한다. 장착브라켓(45)은 2 종류의 코일(41)이 장착되기 위해 상하로 장착공간을 구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브라켓(45)은, 브라켓몸체(46)와 제1돌출부(47)와 제2돌출부(48)를 포함한다.
브라켓몸체(46)는 외솥(30)의 외측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외솥(30)의 외측에 고정된다. 외솥(30)의 외경은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여 점차로 작아지므로, 브라켓몸체(46)의 내경도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여 점차로 작아진다. 브라켓몸체(46)는 파이프 형상이며, 상측과 하측이 개구된 형상이다.
브라켓몸체(46)와 외솥(30)과 내솥(10)이 모두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여 내경이 점차로 좁아지는 형상이므로, 브라켓몸체(46)와 외솥(30)의 접촉면적이 증대되어 코일(41)에 의한 자기장 전달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외솥(30)의 내측에 있는 내솥(10)을 외솥(30)의 상측으로 꺼내는 동작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돌출부(47)는 브라켓몸체(46)의 상측에서 브라켓몸체(46)의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코일(41)의 이동을 구속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돌출부(47)는, 원형링 형상으로 설치되며, 브라켓몸체(46)의 상단에서 브라켓몸체(46)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제1돌출부(47)는 제2코일(43)의 상측에 위치하며, 제2코일(43)이 제1돌출부(47)를 넘어 제1돌출부(47)의 상측으로 이동함을 차단한다.
제2돌출부(48)는 제1돌출부(47)의 하측에 위치하며, 브라켓몸체(46)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코일(41)의 이동을 구속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돌출부(48)는, 제1돌출부(47)와 같이 원형링 형상으로 설치된다. 제2돌출부(48)는 제2코일(43)과 제1코일(42)의 사이에 위치하며, 브라켓몸체(46)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제1돌출부(47)와 제2돌출부(48)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제2코일(43)이 제2돌출부(48)에 걸려서 제1코일(42)에 접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2코일(43)의 상측은 제1돌출부(47)에 의해 이동이 구속되며, 제2코일(43)의 하측은 제2돌출부(48)에 의해 이동이 구속된다. 제2돌출부(48)는 제2코일(43)의 하측에 위치하며, 제2코일(43)이 제2돌출부(48)를 넘어 제2돌출부(48)의 하측으로 이동함을 차단한다.
브라켓몸체(46)와 제1돌출부(47)와 제2돌출부(48)의 재질은 페라이트를 포함한다. 또한 브라켓몸체(46)와 제1돌출부(47)와 제2돌출부(48)는 인서트 사출로 성형된다.
장착브라켓(45)은 페라이트로 이루어지며,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의 형상을 구비한다. 또한 장착브라켓(45)은 제2코일(43)과 제1코일(42) 사이의 간섭을 줄이며, 내솥(10)을 향한 방향으로 자기장이 형성되도록 자력의 방향을 제어한다.
페라이트(Ferrite)는 자석이라고 말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히 페라이트를 설명하면 산화철계의 자성체 세라믹이며, 자기특성에 따라 소프트 페라이트와 하드 페라이트로 나눌 수 있다.
소프트 페라이트의 장점은 금속에 비해 고주파역에서 와전류 손실이 적은 것이 장점이다. 그리고 하드 페라이트는 영구자석으로서 자계를 발생하는데 쓰이며 자기 이방성(Magnetic anisotropy)이 크고, 값이 싼 것이 장점이다.
이러한 페라이트를 인서트 사출로 성형하여 장착브라켓(45)을 성형하므로, 각 부품의 조립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장착브라켓(45)의 하측 장착공간에 권선된 코일(41)은 내솥(10)을 가열하기 위한 열원으로 사용되며, 장착브라켓(45)의 상측 장착공간에 권선된 코일(41)은 내솥(10)의 내측을 통과하는 열풍공급부(140)의 토출 공기를 가열하는 열원으로 사용된다.
장착브라켓(45)의 하측 장착공간은 제2돌출부(48)의 하측에 위치한 제1코일(42)이 설치되기 위한 공간이다. 그리고 장착브라켓(45)의 상측 장착공간은 제1돌출부(47)와 제2돌출부(48)의 사이에 위치한 공간으로, 제2코일(43)이 설치되기 위한 공간이다.
코일(41)은 장착브라켓(45)의 외측면에 설치되며, 자기장을 발생시켜 내솥(10)을 가열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41)은 제2코일(43)과 제1코일(42)을 포함한다.
제2코일(43)은 제1돌출부(47)와 제2돌출부(48)의 사이에 설치되며, 자기장을 이용하여 내솥(10)을 가열시킨다. 제2코일(43)은 열풍공급부(140)를 통해 하측으로 배출되는 공기와 접하는 내솥(10)을 가열시킨다.
제2코일(43)은 장착브라켓(45)의 상측 둘레를 전부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는 열풍공급부(140)에 구비된 덕트부(145)를 통해 내솥(10)의 하측으로 공기가 배출되는 방향에만 제2코일(43)이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코일(43)은 덕트부(145)의 하측으로 배출되는 공기와 접하거나 인접한 내솥(10)을 가열하기 위해, 내솥(10)의 전방(도 4기준 좌측)과 측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제2코일(43)이 설치된다. 제2코일(43)이 내솥(10)의 후방(도 4기준 우측)에 설치되지 않아도 되므로 제2코일(43)이 설치되는 면적이 감소되어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제2코일(43)은 열풍공급부(140)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해 사용되므로, 열풍공급부(140)를 향하여 공기가 흡입되는 내솥(10)의 후방에는 제2코일(43)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제1코일(42)은 제2돌출부(48)의 하측에 설치되며, 브라켓몸체(46)의 외측을 권선하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제2코일(43)과 마주하는 내솥(10)의 제1측면(17)은 제2코일(43)에 의해 가열된다. 제2코일(43)은 열풍 생성을 위한 내솥(10) 상측인 제1측면(17)을 가열한다. 덕트부(145)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제1측면(17)에 접하거나 제1측면(17)의 주변을 통과하며 가열된다.
제2코일(43)은 내솥(10)을 가열하여 음식물(160)을 조리하는 열을 발생시키며, 제1코일(42)은 열풍 생성과 관련하여 동작된다. 제1코일(42)은 커버부(130)에 구비된 열풍공급부(140)의 팬모듈(141)과 함께 제어되어 열풍을 생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41)은, 열풍 공급용으로 사용되는 제2코일(43)과, 내솥(10)에 있는 음식물(160)을 가열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1코일(42)로 구분되어 동작되므로 전기료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41)이 내솥(10)의 측면을 가열하므로, 내솥(10)의 하측을 가열하는 방식 대비 가열이 이루어지는 면적이 증가하여 음식물(160)의 가열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는, 음식물(160)을 조리하면서, 제1코일(42)은 동작하지 않고 제2코일(43)과 열풍공급부(140)만 동작되어 열풍 만을 사용하여 조리할 수 있다.
또는 제2코일(43)은 동작하지 않고 제1코일(42)만 동작되어 내솥(10) 가열에 의해 음식물(160)을 조리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2코일(43)과 제1코일(42)과 열풍공급부(140)가 동시에 동작되어 열풍과 내솥(10) 가열에 의해 음식물(160)을 조리할 수도 있다.
내솥(10)의 과열이 감지 되면, 제2코일(43)과 제1코일(42)의 작동을 멈추고 열풍공급부(140)의 팬모듈(141) 작동에 의한 냉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2코일(43)만 동작되는 경우, 내솥(10)의 상측을 형성하는 제1측면(17)은 제2코일(43)에 의해 가열되는 제2측면(18)을 통해서 열이 전달된다. 따라서 제2코일(43)만 동작될 때 제1측면(17)의 온도는 제2측면(18) 보다 낮다.
내솥(10)에 담긴 음식물(160)은 제2측면(18)과 마주하는 위치에 있으며, 제1측면(17)의 내측에는 음식물(160)이 위치하지 않는다. 만약 내솥(10)의 상측에 해당하는 제1측면(17)의 내측에 음식물(160)이 있으면 내솥(10)의 외측으로 음식물(160)이 흘러넘칠 수도 있다. 따라서 대체로 제1측면(17)의 내측에는 음식물(160)이 없고, 제2측면(18)의 내측에 음식물(160)이 있다.
제2코일(43)의 동작으로 제1측면(17)이 가열되면, 열풍공급부(140)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제1측면(17)의 내측에 접하거나 제1측면(17)의 가열로 온도가 상승한 제1측면(17) 주변의 공기와 열교환을 한다. 제1코일(42)은 제2코일(43)과 별도로 제어되며, 열풍공급부(140)의 팬모듈(141)의 동작에 맞추어 제어된다.
또한 제2코일(43)에서 발생된 자기장이 제1돌출부(47)에 의해 제1돌출부(47)의 상측으로 전파됨을 최소화하고, 내솥(10)을 향한 방향으로 자기장의 이동이 안내되어 전기 에너지의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제1코일(42)에서 발생된 자기장이 제2돌출부(48)에 의해 제2돌출부(48)의 상측으로 전파됨을 최소화하고, 내솥(10)을 향한 방향으로 자기장의 이동이 안내되어 전기 에너지의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팬모듈(141)과 제1코일(42)과 제2코일(43)의 동작을 제어하여 음식물(160)의 해동부터 조리까지 여러가지 모드로 온도조절이 가능하므로, 조리된 음식물(160)의 맛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부(50)는 외솥(30)과 제1코일(42)과 제2코일(43)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상측이 개구되어 입구부(52)를 구비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부(50)는 베이스부(9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케이스부(50)의 내측에 가열부(40)와 외솥(30)이 고정된 상태로 설치된다.
케이스부(50)는 단일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복수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부(50)는, 몸체케이스(51)와 하부케이스(53)와 돌출기어부(60)를 포함한다.
몸체케이스(51)는 제1코일(42)과 제2코일(43)을 포함한 가열부(40)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몸체케이스(51)의 상측은 개구되어 있으며, 상측에서 하측으로 향할 수록 점차로 외경이 커지는 기둥 형상이다.
몸체케이스(51)의 상측에는 커버부(130)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몸체케이스(51)의 하부에는 하부케이스(53)가 연결된다. 몸체케이스(51)의 상측과 하측은 개구된 형상이다.
하부케이스(53)는 베이스부(90)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된 반구 형상의 곡면을 형성한다. 하부케이스(53)는 몸체케이스(51)의 하측을 막으며, 베이스부(90)를 향하여 볼록한 형상 곡면을 형성한다.
돌출기어부(60)는 하부케이스(53)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하부케이스(53)의 외측을 따라 원호 형상으로 연장된다. 또한 돌출기어부(60)는 제2구동부(80)에 구비된 기어에 맞물리는 치형이 구비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기어부(60)는, 돌출몸체(62)와 외측기어(64)와 날개부재(68)를 포함한다.
돌출몸체(62)는 하부케이스(53)의 하측으로 돌출되며, 하부케이스(53)와 같은 곡면을 형성한다. 돌출몸체(62)는 원호 형상으로 연장된 띠 형상의 돌기 형상이다. 돌출몸체(62)는 하부케이스(53)의 곡률에 대응하는 곡률을 형성하며 하부케이스(53)의 하부로 돌출된다. 돌출몸체(62)가 설치되는 방향을 따라 케이스부(50)가 회전한다.
외측기어(64)는 돌출몸체(62)의 외측면에 설치되며, 제2구동부(80)에 구비된 기어에 맞물리는 치형이 형성된다. 제2구동부(80)의 회전동력이 케이스부(50)의 하측에 구비된 외측기어(64)로 전달되어 케이스부(50)를 회전시키므로, 음식물(160)을 담는 내솥(10)의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다.
외측기어(64)는 돌출몸체(62)의 외측면에 형성되며, 돌출몸체(62)의 폭방향(W) 중앙에 위치한다. 또한 외측기어(64)는 돌출몸체(62)를 따라 돌출몸체(6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케이스부(50)는 외측기어(64)가 형성된 길이 만큼 이동한다.
날개부재(68)는 돌출몸체(62)의 폭방향(W) 양측으로 돌출되며, 베이스부(90)에 구비된 제2안내롤러(126)의 하부를 지지한다. 날개부재(68)는 제2안내롤러(126)와 베이스부(90)에 구비된 고정레일(104)의 사이에 설치된다.
날개부재(68)는 내측브라켓(122)의 외측면과 같은 곡률을 가지며 곡면을 형성하는 판 형상이다. 날개부재(68)가 제2안내롤러(126)와 고정레일(104) 사이에 위치하며, 케이스부(50)와 함께 날개부재(68)가 회전하므로 케이스부(50)의 회전이 안정적으로 안내된다.
제2구동부(80)의 동작으로 내솥(10)과 함께 케이스부(50)를 경사지게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제1구동부(70)의 동작으로 내솥(10)을 시계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제1구동부(70)는 케이스부(50)의 내측에 고정되며, 모터를 이용하여 회전동력을 발생시킨다. 또한 제1구동부(70)는 외솥(30)의 하부를 관통하여 내솥(10)에 연결되며,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내솥(10)을 회전시키는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스텝모터를 사용하는 제1구동부(70)의 동작으로 내솥(10)을 설정된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시계방향 회전과 반시계 방향 회전을 교대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구동부(70)는, 제1구동몸체(71)와 제1구동축(72)을 포함한다. 또한 제1구동부(70)는 내솥(10)과 연결되기 위해 커넥터(73)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1구동몸체(71)는 외솥(30)의 하측에 위치하며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이다. 제1구동몸체(71)는 외솥(30)의 중앙 하부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구동몸체(71)는 하부케이스(53)와 외솥(30)의 사이에 위치하며, 하부케이스(53)의 상측면에 고정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제1구동몸체(71)는 서보모터가 사용될 수도 있다.
제1구동축(72)은 제1구동몸체(71)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제1구동몸체(71)의 동작에 의해 제1구동축(72)은 회전한다. 제1구동축(72)은 제1구동몸체(71)의 상측으로 돌출되며, 외솥(30)의 중앙 하부를 관통하며 외솥(30)의 상측으로 돌출된다.
커넥터(73)는 외솥(30)을 관통하는 제1구동축(72)에 결합되며, 내솥(10)의 바닥면(13)에 형성된 체결홈부(15)에 삽입되어 걸리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커넥터(73)의 하부는 제1구동축(72)이 삽입되어 걸리는 홈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커넥터(73)는 십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솥(10)의 하부에 구비된 십자 형상의 결합홈부에 삽입되어 내솥(10)과 회전이 동기화된다.
제2구동부(80)는 베이스부(90)의 내측에 설치되며, 회전동력을 발생시켜 케이스부(50)를 이동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구동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구동부(80)는 제2구동몸체(81)와 회전기어(83)를 포함한다.
제2구동몸체(81)는 모터를 사용하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회전동력을 공급한다. 제2구동몸체(81)는 베이스부(90)의 내측에 고정된다. 베이스커버(100)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2구동몸체(81)는 회전동력을 공급한다. 제2구동몸체(81)는 스텝모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제어부(150)의 제어로 동작된다.
제2구동몸체(81)에서 돌출된 제2출력축(82)은 제2구동몸체(81)의 동작에 의해 회전되며, 회전기어(83)는 제2구동몸체(81)에 구비된 제2출력축(82)에 연결된다. 회전기어(83)는 원형기어이며, 제2출력축(82)과 함께 회전한다.
회전기어(83)의 일부는 베이스부(90)의 상측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회전기어(83)가 회전하면 케이스부(50)에 구비된 외측기어(64)가 이동하므로 케이스부(5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2구동부(80)의 회전동력이 케이스부(50)의 하측에 구비된 외측기어(64)로 전달되어 케이스부(50)를 회전시키므로, 음식물(160)을 담는 내솥(10)의 기울기가 조정될 수 있다. 제2구동부(80)가 동작되어 내솥(10)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볶음 요리를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요리를 할 수 있어서 소비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는, 제1구동부(70)가 동작되어 내솥(10)을 회전시키는 모드로 음식물(160)의 조리가 이루어지며, 제2구동부(80)의 동작으로 내솥(10)을 기울이거나 웍(Wok)을 이용한 요리와 같은 모션을 구현하여 다양한 조리모드로 음식물(160)을 조리할 수 있다.
베이스부(90)는 케이스부(50)의 하측에 위치하며, 케이스부(50)의 기울어지는 동작을 안내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90)는, 베이스커버(100)와 베이스몸체(110)와 내측지지부(120)를 포함한다.
베이스커버(100)는 케이스부(50)의 하측에 위치하며, 케이스부(50)를 향하여 오목한 홈 형상을 형성한다. 베이스커버(100)는 상측을 향하여 오목한 반구 형상의 홈을 형성한다. 베이스커버(100)의 곡률과 하부케이스(53)의 곡률은 서로 같거나, 설정된 범위 내에서 같다. 따라서 케이스부(50)의 하측이 베이스부(90)의 상측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커버(100)는 이동안내홈부(102)와 고정레일(104)과 레일지지브라켓(106)을 포함한다.
베이스커버(100)의 중앙에는 이동안내홈부(102)가 구비된다. 이동안내홈부(102)는 케이스부(50)의 하측으로 돌출된 외측기어(64)와 날개부재(68)가 삽입되기 위한 띠 형상의 홈부를 형성한다.
이동안내홈부(102)는 베이스커버(100)의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여 오목한 형상의 홈부를 형성한다. 이동안내홈부(102)는 케이스부(50)가 회전되는 방향을 향하여 연장된다.
이동안내홈부(102)의 내측에는 고정레일(104)과 레일지지브라켓(106)이 설치된다. 고정레일(104)은 폭방향(W)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돌출몸체(62)의 외측면과 같은 곡률을 가지며 곡면을 형성한다. 또한 고정레일(104)은 날개부재(68)의 하부를 지지하며 날개부재(68)와 면접촉을 하므로 응력이 분산된다. 날개부재(68)는 고정레일(104)과 제1안내롤러(124)의 사이에 위치한다.
레일지지브라켓(106)은 고정레일(104)의 하부를 감싸며 베이스커버(100)에 고정된다. 레일지지브라켓(106)은 "ㄷ"자 형상의 단면을 구비하며 상측이 개구된 형상이다.레일지지브라켓(106)도 고정레일(104)과 같이 상측을 향하여 오목한 형상의 곡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레일지지브라켓(106)은 돌출몸체(62)의 하부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베이스몸체(110)는 베이스커버(100)의 테두리에서 하측으로 연장된다. 베이스몸체(110)는 베이스부(90)의 몸체를 형성하며,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여 점차로 외경이 증가한다. 베이스몸체(110)에 내측지지부(120)가 고정된다.
내측지지부(120)는 베이스커버(100)의 하측에 위치하며, 제2구동몸체(81)와 회전기어(83)를 지지한다. 또한 내측지지부(120)는 베이스커버(100)의 하측에 접하며 회전하는 롤러를 구비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지지부(120)는, 내측브라켓(122)과 제1안내롤러(124)와 제2안내롤러(126)를 포함한다.
내측브라켓(122)은 베이스몸체(110)에 고정되며, 제2구동몸체(81)와 회전기어(83)를 지지한다. 또한 내측브라켓(122)에 제1안내롤러(124)와 제2안내롤러(126)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안내롤러(124)는 내측브라켓(12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돌출몸체(62)에서 폭방향(W) 양측으로 돌출된 날개부재(68)의 상측에 위치한다. 제1안내롤러(124)와 고정레일(104) 사이에 케이스부(50)의 날개부재(68)가 위치하므로 케이스부(50)의 회전 동작이 안정적으로 안내될 수 있다.
제2안내롤러(126)는 내측브라켓(12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돌출몸체(62)의 하부면에 구비된 외측레일(66)에 삽입되어 돌출몸체(62)의 회전 이동을 안내한다. 제2안내롤러(126)가 케이스부(50)의 외측레일(66)에 걸리므로 케이스부(50)의 회전 동작이 안정적으로 안내될 수 있다.
커버부(130)는 케이스부(50)의 개구된 입구부(52)를 개폐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130)는 원판 형상이며, 커버부(130)의 내측에는 열풍공급부(140)가 설치된다. 커버부(130)는 케이스부(50)의 상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솥(10)의 상측을 개폐한다.
커버부(130)는 단일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복수의 부재가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130)는 흡입그릴(131)과 토출그릴(132)을 포함한다.
커버부(130)의 내측에 열풍공급부(140)가 설치되며, 열풍공급부(140)와 마주하는 커버부(130)의 하측면에는 흡입그릴(131)과 토출그릴(132)이 설치된다. 흡입그릴(131)과 토출그릴(132)은 공기가 이동되기 위한 복수의 홀부를 구비한다. 흡입그릴(131)의 상측에는 팬모듈(141)이 설치되며, 토출그릴(132)의 상측에는 덕트부(145)의 출구가 위치한다.
흡입그릴(131)은 팬모듈(141)과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내솥(10)에 있는 공기가 팬모듈(141)로 이동되는 통로를 형성한다. 따라서 덕트부(145)를 통해 토출그릴(132)로 이동되는 공기는 안내그릴을 통과하며 내솥 측면(16)을 향한 방향으로 이동되어 내솥(10)과 열교환을 하며 온도가 상승한다.
토출그릴(132)은 덕트부(145)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덕트부(145)에서 상기 내솥(10)을 향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이동을 안내한다. 토출그릴(132)은 공기가 토출되는 구멍을 가로지르는 복수의 안내그릴이 설치된다.
커버부(130)에서 흡입그릴(131)은 토출그릴(132)의 반대 위치에 설치된다. 따라서 내솥(10)을 열풍으로 가열하는 공기의 흐름은, 흡입그릴(131)을 통해 열풍공급부(140)를 통과한 후 토출그릴(132)을 통해 내솥(10)의 내측으로 다시 공급되는 열대류 흐름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흡입그릴(131)은 내솥(10)이 기울어지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에 설치되므로, 내솥(10)에 있는 음식물(160)이 흡입그릴(131)로 유입됨을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솥(10)이 전방을 향한 방향으로만 기울어지는 경우, 흡입그릴(131)은 후방을 향한 방향으로 설치되므로, 전방을 향하여 기울어진 내솥(10)의 내용물이 흡입그릴(131)로 유입됨을 차단한다.
열풍공급부(140)는 커버부(130)의 내측에 설치된다. 또한 열풍공급부(140)는, 내솥(10)의 상측에 위치하며, 내솥(10)에 있는 공기를 흡입하여 내솥(10)의 내측으로 공기를 배출시킨다. 열풍공급부(140)는 열풍으로 음식물(160)을 조리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풍공급부(140)는 팬모듈(141)과 덕트부(145)를 포함한다.
팬모듈(141)은 내솥(10)의 상측에 위치하며, 팬을 회전시켜 내솥(10)의 내측에 있는 공기를 흡입한다. 팬모듈(141)의 내측에는 모터와 회전되는 팬이 구비되며, 팬의 회전으로 공기의 이동이 이루어진다.
팬모듈(141)은 커버부(130)의 흡입그릴(131) 상측에 설치되며, 흡입그릴(131)을 통해 내솥(10)의 공기를 흡입한다.
덕트부(145)는 팬모듈(141)에 연결되며, 팬모듈(141)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내솥(10)의 내측으로 안내하는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덕트부(145)는 공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관로 형상이며, 덕트부(145)의 일측은 팬모듈(141)에 연결되며 덕트부(145)의 타측은 커버부(130)의 토출그릴(132)에 연결된다.
가열부(40)가 내솥(10)을 가열시켜 내솥(10)의 음식물(160)을 가열하는 복사열로 음식물(160)의 조리가 이루어지며, 열풍공급부(140)에서 나오는 공기가 가열된 내솥(10)에 접하며 온도가 상승된 후 음식물(160)을 가열하여 대류열로 음식물(160)의 조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는, 음식물(160)의 가열을 위하여 유도가열과 열풍을 이용하여 다양한 온도로 음식물(160)의 가열이 가능하다. 내솥(10)의 상부에 위치한 열풍공급부(140)의 작동에 의해 음식물(160)의 불필요한 수분을 제거함과 동시에 음식물(160)의 외부를 바삭하게 만들어 에어 프라이어와 같은 조리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가열부(40)가 내솥(10)을 가열시켜 내솥(10)의 음식물(160)을 가열하는 인덕션 가열 방식으로 음식물(160)의 조리가 이루어지며, 열풍공급부(140)에서 나오는 공기가 가열된 내솥(10)에 접하며 온도가 상승된 후 음식물(160)을 가열하여 대류열로 음식물(160)의 조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150)는 가열부(40)의 제1코일(42)과 제2코일(43) 및 열풍공급부(140)의 팬모듈(141)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제1구동부(70)와 제2구동부(80)의 동작을 제1코일(42)과 제2코일(43) 및 팬모듈(141)의 동작과 함께 제어한다. 음식물(160)의 조리 방식에 따라 열풍공급부(140)와 가열부(40)가 함께 동작되거나 각각 동작되어, 음식물(160) 조리시 전도열과 대류열을 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조리장치(1)에 전원이 인가되면, 제어부(150)에 구비된 전원컨버터 회로를 통해 교류 전원이 직류 전원으로 변환되어 조리장치(1)로 공급된다. 제어부(150)는 복수로 설치되며, 각 제어부(150) 마다 전장품들이 연결된다. 따라서 제어부(1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1코일(42)과 제2코일(43)과 팬모듈(141)과 제1구동부(70)와 제2구동부(80) 등이 동작된다.
제어부(150)로 입력된 음식물(160)의 요리 타입에 따라서 제1코일(42)과 제2코일(43)과 팬모듈(141)과 제1구동부(70)와 제2구동부(80)가 5가지 조리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의 조리모드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장치(1)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5개의 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조리 프로파일에 맞게 제1코일(42)과 제2코일(43)과 팬모듈(141)의 동작을 조합하여 5가지 모드로 열원을 조절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조리 프로파일에 맞게 제2코일(43)과 팬모듈(141)을 이용하여 대류 음식을 조리한다.
제어부(150)는 가열 모드 5 단계를 구현할 수 있으며, 조리 모드에 따라서 열 동작을 다르게 하여 조리 맛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제1코일(42)과 제2코일(43)과 팬모듈(141)과 제1구동부(70)와 제2구동부(80)의 동작을 제어하여, 음식물(160)의 조리 모드에 따라서 다양한 조리 모드를 제공하므로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리장치(1)는 음식물(160)의 조리상태에 따라 열원의 세기와 열원의 종류가 자동으로 조절되므로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160)을 자동으로 조리하여 조리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50)는, 제1모드와 제2모드와 제3모드와 제4모드와 제5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조리장치(1)를 동작시킨다.
제1모드는 팬모듈(141)만 동작되어 내솥(10)을 순환하는 공기 흐름을 형성한다. 제1모드 동작시에는 제1코일(42)과 제2코일(43)은 동작되지 않는다. 제1모드의 사용용도는 저온이나 상온에서 음식물(160)을 해동할 때 사용한다. 또한 제1조리모드는 조리하는 음식물(160)을 식히는 용도로 사용되거나 고온으로 가열된 음식물(160)의 온도를 낮추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제2모드는 팬모듈(141)과 제2코일(43)이 동작되어 내솥(10)을 순환하는 열풍을 형성한다. 제2모드 동작시에는 제2코일(43)은 동작되지 않는다. 제2모드의 사용용도는 중간온도로 에어프라이용 요리를 할 때 사용한다. 또는 제2모드는 음식물(160)을 해동할 때도 사용할 수 있다.
제3모드는 제1코일(42)이 동작되어 전자기 유도 가열 방식으로 내솥(10)을 가열한다. 제3모드 동작시에는 팬모듈(141)과 제2코일(43)이 동작되지 않는다. 제3모드의 사용용도는 중간온도에서 고온에서 조리되는 음식물(160)의 가열에 사용된다. 제3모드는 프라이팬이나 냄비에서 가열되는 음식물(160)의 조리에 사용된다.
제4모드는 팬모듈(141)과 제1코일(42)이 동작되므로 대류열 가열 방식과 전자기 유도 가열 방식으로 음식물(160)을 가열한다. 제4모드 동작시에는 제2코일(43)이 동작되지 않는다. 제4모드의 사용용도는 고온의 에어프라이용 요리를 하거나 고온의 냄비 요리를 할 때 사용한다.
제5모드는 팬모듈(141)과 제1코일(42)과 제2코일(43)이 동작되므로 대류열 가열 방식과 전자기 유도 가열 방식으로 음식물(160)을 가열한다. 제5모드 사용용도는 초 고온의 에어프라이용 요리를 하거나 초고온의 냄비 요리를 할 때 사용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에서 새우볶음밥을 조리할 때 적용되는 모드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장치(1)로 새우볶음밥을 조리할 때 가열되는 온도에 따라 모드가 변화된다.
새우볶음밥을 조리하기 시작할 때 내솥(10)의 기울기는 0°이며, 음성으로 조리 시작을 알리는 소리가 출력된다.
그리고 가열모드는 제2모드로 진행되며, 제2구동부(80)가 동작되어 내솥(10)의 기울기는 70°로 설정된다. 그리고 제1구동부(70)가 동작되어 내솥(10)을 정방향 회전과 역방향 회전을 하므로 내솥(10)에 있는 음식물(160)은 저온에서 요리된다. 내솥(10)에 있는 음식물(160)을 눌러 붙지 않게 살살 흔들면서 30초간 조리된다.
그리고 가열모드는 제2모드에서 제3모드로 진행되며, 내솥(10)의 기울기는 여전히 70°로 설정된다. 제3모드에서 내솥(10)에 있는 음식물(160)은 60초 동안 중불로 볶기나 튀기게 된다. 또한 제1구동부(70)가 동작되어 내솥(10)을 정방향 회전과 역방향 회전을 하므로 내솥(10)에 있는 음식물(160)의 외측에 기름이 잘 코팅되도록 고르게 섞어준다.
그리고 가열모드는 제3모드에서 제4모드로 진행되며, 내솥(10)의 기울기는 여전히 70°로 설정된다. 제4모드에서 내솥(10)에 있는 음식물(160)은 120초 동안 고온에서 가열된다. 또한 제1구동부(70)가 동작되어 내솥(10)을 정방향 회전과 역방향 회전을 하면서 웍질을 구현하므로 음식물(160)을 타지 않게 하면서도 음식물(160)을 고르게 익혀주는 동작을 한다.
그리고 가열모드는 제4모드에서 제5모드로 진행되며, 내솥(10)의 기울기는 여전히 70°로 설정된다. 제5모드에서 내솥(10)에 있는 음식물(160)은 60초 동안 초고온에서 가열된다. 또한 제1구동부(70)가 동작되어 웍질을 간헐적으로 하면서 음식물(160)을 살짝 태우듯 고소한 풍미를 제공한다.
그리고 가열모드는 제5모드에서 제1모드로 진행되며, 내솥(10)의 기울기는 0°로 설정된다. 제1모드에서 팬모듈(141)만 동작되면서 조리된 음식물(160)을 식히는 동작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제5모드는 30초 동안 진행된다. 제1모드에서 조리된 음식물(160)인 새우볶음밥을 꺼낼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솥(10)의 각도와 가열영역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에 적용되는 가열모드를 설명한다. 조리장치(1)에서는 제1볶음 모드와 제2볶음 모드와 굽기 모드와 튀김 모드와 에어프라이 모드와 끓이기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제2구동부(80)를 동작시켜 내솥(10)을 70° 기울인 상태에서, 제1코일(42)과 제2코일(43)과 제1구동부(70)를 동작시켜 제1볶음 모드를 구현한다. 제1코일(42)과 마주하는 내솥(10)의 제2측면(18)은 메인으로 200℃의 온도로 3분 가열되며, 제2코일(43)과 마주하는 내솥(10)의 제1측면(17)은 서브로 200℃의 온도로 3분 가열된다. 제1볶음 모드에서 팬모듈(141)은 동작되며 제1구동부(70)의 동작으로 내솥(10)은 회전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제2구동부(80)를 동작시켜 내솥(10)을 70° 기울인 상태에서, 제1코일(42)과 제2코일(43)과 제1구동부(70)와 열풍공급부(140)를 동작시켜 제2볶음 모드를 구현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제2구동부(80)를 동작시켜 내솥(10)을 70° 이상 기울인 상태에서, 제1코일(42)과 제2코일(43)과 열풍공급부(140)와 제1구동부(70)를 동작시켜 굽기 모드를 구현한다. 제1코일(42)과 마주하는 내솥(10)의 제2측면(18)은 메인으로 200℃의 온도로 3분 가열되며, 제2코일(43)과 마주하는 내솥(10)의 제1측면(17)은 서브로 200℃의 온도로 3분 가열된다. 굽기 모드에서 팬모듈(141)은 동작되며 제1구동부(70)의 동작으로 내솥(10)은 회전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제2구동부(80)를 동작시켜 내솥(10)을 70°로 기울인 상태에서, 제1코일(42)과 제1구동부(70)만 동작시켜 튀김 모드를 구현한다. 제1코일(42)과 마주하는 내솥(10)의 제2측면(18)은 메인으로 200℃의 온도로 3분 가열되며, 제1구동부(70)의 동작으로 내솥(10)은 회전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제2구동부(80)를 동작시켜 내솥(10)을 0°로 세운 상태에서, 제2코일(43)과 열풍공급부(140)와 제1구동부(70)를 동작시켜 에어프라이 모드를 구현한다. 제2코일(43)과 마주하는 내솥(10)의 제1측면(17)은 서브로 200℃의 온도로 3분 가열되며, 제1구동부(70)의 동작으로 내솥(10)은 회전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팬모듈(141)을 가동시켜 열풍으로 음식물(160)을 가열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제2구동부(80)를 동작시켜 내솥(10)을 0°로 세운 상태에서, 제1코일(42)과 제1구동부(70)를 동작시켜 끓이기 모드를 구현한다. 제1코일(42)과 마주하는 내솥(10)의 제2측면(18)은 메인으로 200℃의 온도로 3분 가열되며, 제1구동부(70)의 동작으로 내솥(10)은 회전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에서 만두 튀김을 조리할 때 적용되는 모드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여 만두튀김을 만드는 조리상태를 설명한다. 우선 제2구동부(80)를 동작시켜 내솥(10)을 70°로 경사지게 눕힌 상태에서 회전모션은 볶기로 하며, 열원은 제4모드로 동작시킨다.
그리고 우선 제2구동부(80)를 동작시켜 내솥(10)을 0°로 세운 상태에서 회전모션은 굽기로 하며, 열원은 제2모드와 제5모드를 순차적으로 동작시킨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커버부(130)를 열고 내솥(10)의 상측을 개방한 후 내솥(10)에 음식물(160)을 넣고 커버부(130)를 베이스부(90)에 결합시켜 내솥(10)의 상측을 닫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는, 가열부(40)가 내솥(10)을 가열하는 유도 가열로 음식물(160)을 조리하는 방법과, 열풍공급부(140)의 동작에 의해 대류열로 음식물(160)을 조리하는 방법을 모두 사용하거나 어느 하나만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양한 열원을 구비한 조리장치(1)를 개별적으로 구입하는 것 대비 기기 구입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국과 같은 요리를 할 경우에는 제2구동부(80)는 동작하지 않고 제1구동부(70)만 동작하여 내솥(10)을 회전시킨다. 내솥(10)의 중심을 관통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선이 있으며, 이러한 수직선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제1회전방향(D1)으로 정의한다. 내솥(10)은 제1구동부(70)의 동작으로 리프터(20)와 함께 제1회전방향(D1)으로 회전한다. 내솥(10)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내솥(10)을 가열하는 가열부(40)만 동작하여 내솥(10)에 담긴 음식물(160)을 조리할 수 있다. 그리고 열풍공급부(140)가 동작되어 내솥(10)의 내측을 순환하는 열풍으로도 내솥(10)에 담긴 음식물(160)을 가열할 수 있다.
열풍공급부(140)의 동작을 설명하면, 팬모듈(141)이 동작되어 내솥(10)에 있는 공기를 팬모듈(141)의 내측으로 흡입한다. 팬모듈(141)로 흡입된 공기는 덕트부(145)로 이동된 후 내솥(10)의 내측면을 향하여 토출되어 가열된 후 내솥(10)의 내측으로 이동되어 음식물(160)을 가열한다. 그리고 다시 내솥(10)의 상측으로 이동된 공기는 팬모듈(141)로 다시 흡입되는 동작을 반복한다.
열풍공급부(140)의 동작으로 내솥(10)과 커버부(130)의 내측을 순환하는 공기의 흐름이 형성된다.
한편 제2구동부(80)의 동작으로 음식물(160)의 조리 과정에 따라 솥의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1개의 조리장치(1)에서 국과 볶음 요리 등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160)의 조리가 가능하여 조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소비자의 만족도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구동부(80)의 동작으로 내솥(10)은 제2회전방향(D2)으로 회전한다. 내솥(10)이 조리장치(1)의 전방을 향하여 회전할 때 중심이 되는 축을 수평 기준축이라 할 때, 수평 기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방향을 제2회전방향(D2)으로 설정한다.
내솥(10)과 케이스부(50)는 외측기어(64)가 형성된 길이에 대응하여 제2회전방향(D2)으로 회전동작이 이루어진다. 내솥(10)과 케이스부(50)는 세워진 상태에서 조리장치(1)의 전방을 향하여 기울어진 형상으로 회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솥(10)과 케이스부(50)는 세워진 상태에서 조리장치(1)의 후방을 향하여 회전하지는 않는다.
내솥(10)을 웍과 같은 모션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는 웍을 돌리는 모션을 구현할 수 있으며, 내솥(10)의 기울기도 조절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조리모드로 음식물(160)을 조리할 수 있어서 소비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는, 모바일 기기와 연동을 통하여 레시피를 바코드, QR코드 등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인식 코드가 없을 시, 사용자가 레시피를 지정 할 수 있도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 조리장치
10: 내솥 13: 바닥면 14: 중앙돌기 15: 체결홈부 16: 내솥 측면 17: 제1측면 18: 제2측면
20: 리프터
30: 외솥
40: 가열부
41: 코일 42: 제1코일 43: 제2코일
45: 장착브라켓 46: 브라켓몸체 47: 제1돌출부 48: 제2돌출부
50: 케이스부 51: 몸체케이스 52: 입구부 53: 하부케이스 60: 돌출기어부 62: 돌출몸체 64: 외측기어 68: 날개부재
70: 제1구동부 71: 제1구동몸체 72: 제1구동축 73: 커넥터
80: 제2구동부 81: 제2구동몸체 82: 제2출력축 83: 회전기어
90: 베이스부
100: 베이스커버 102: 이동안내홈부 104: 고정레일 106: 레일지지브라켓
110: 베이스몸체
120: 내측지지부 122: 내측브라켓 124: 제1안내롤러 126: 제2안내롤러
130: 커버부 131: 흡입그릴 132: 토출그릴
140: 열풍공급부 141: 팬모듈 145: 덕트부
150: 제어부
160: 음식물
W: 폭방향
D1: 제1회전방향
D2: 제2회전방향

Claims (20)

  1. 상측이 개구된 형상의 내솥;
    상기 내솥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측이 개구되는 외솥;
    상기 내솥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내솥의 개구된 입구를 개폐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내솥에 있는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내솥의 내측으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열풍공급부;
    상기 외솥의 외측에 권선되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상기 내솥의 측면을 가열하는 제1코일;
    상기 제1코일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코일과 함께 상기 외솥의 외측에 권선되고,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상기 내솥을 가열하는 제2코일; 및
    상기 열풍공급부와 상기 제1코일과 상기 제2코일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조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공급부는, 상기 커버부의 내측에 설치되며, 팬을 회전시켜 상기 내솥의 내측에 있는 공기를 흡입하는 팬모듈; 및
    상기 팬모듈에 연결되며, 상기 팬모듈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커버부의 하측으로 안내하는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덕트부;를 포함하는 조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팬모듈만 동작시키는 제1모드와, 상기 팬모듈과 상기 제2코일이 동작되는 제2모드와, 상기 제1코일이 동작되는 제3모드와, 상기 팬모듈과 상기 제1코일이 동작되는 제4모드와, 상기 팬모듈과 상기 제1코일과 상기 제2코일이 동작되는 제5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되는 조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솥과 상기 제1코일 및 상기 외솥과 상기 제2코일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코일과 상기 제2코일로 공급된 전기가 상기 외솥으로 전달됨을 차단하는 장착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조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브라켓은, 상기 외솥의 외측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솥의 외측에 고정되는 브라켓몸체;
    상기 브라켓몸체의 상측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코일의 이동을 구속하는 제1돌출부; 및
    상기 제1돌출부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브라켓몸체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코일과 상기 제2코일의 이동을 구속하는 제2돌출부;를 포함하는 조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코일과 마주하는 상기 내솥의 제1측면은 상기 제2코일에 의해 가열되며,
    상기 열풍공급부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제1측면에 접하거나 상기 제1측면의 주변을 통과하며 가열되는 조리장치.
  7. 상측이 개구된 형상의 내솥;
    상기 내솥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측이 개구되는 외솥;
    상기 내솥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내솥의 개구된 입구를 개폐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내솥에 있는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내솥의 내측으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열풍공급부;
    상기 외솥의 외측에 권선되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상기 내솥의 측면을 가열하는 제1코일;
    상기 제1코일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코일과 함께 상기 외솥의 외측에 권선되고,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상기 내솥을 가열하는 제2코일;
    상기 외솥과 상기 제1코일과 상기 제2코일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상측이 개구되는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의 내측에 고정되며, 상기 외솥의 하부를 관통하여 상기 내솥에 연결되고, 회전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내솥을 회전시키는 제1구동부;
    상기 케이스부의 하측에 위치하며, 케이스부의 기울어지는 동작을 안내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에 설치되며, 회전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케이스부를 이동시키는 제2구동부; 및
    상기 열풍공급부와 상기 제1코일과 상기 제2코일과 상기 제1구동부와 상기 제2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조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부는, 상기 외솥의 하측에 위치하며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제1구동몸체;
    상기 제1구동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회전하는 제1구동축; 및
    상기 외솥을 관통하는 상기 제1구동축에 결합되며, 상기 내솥의 바닥면에 형성된 체결홈부에 삽입되어 걸리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조리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제1코일과 상기 제2코일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몸체케이스;
    상기 몸체케이스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부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된 반구 형상의 하부케이스; 및
    상기 하부케이스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하부케이스의 외측을 따라 원호 형상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구동부에 구비된 기어에 맞물리는 치형이 구비되는 돌출기어부;를 포함하는 조리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에 고정되며,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제2구동몸체; 및
    상기 제2구동몸체에 구비된 제2출력축에 연결되어 상기 제2출력축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케이스부에 구비된 외측기어에 맞물려서 상기 케이스부를 회전시키는 회전기어;를 포함하는 조리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공급부는, 상기 커버부의 내측에 설치되며, 팬을 회전시켜 상기 내솥의 내측에 있는 공기를 흡입하는 팬모듈; 및
    상기 팬모듈에 연결되며, 상기 팬모듈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커버부의 하측으로 안내하는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덕트부;를 포함하는 조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팬모듈만 동작시키는 제1모드와, 상기 팬모듈과 상기 제2코일이 동작되는 제2모드와, 상기 제1코일이 동작되는 제3모드와, 상기 팬모듈과 상기 제1코일이 동작되는 제4모드와, 상기 팬모듈과 상기 제1코일과 상기 제2코일이 동작되는 제5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되는 조리장치.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솥과 상기 제1코일 및 상기 외솥과 상기 제2코일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코일과 상기 제2코일로 공급된 전기가 상기 외솥으로 전달됨을 차단하는 장착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조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브라켓은, 상기 외솥의 외측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솥의 외측에 고정되는 브라켓몸체;
    상기 브라켓몸체의 상측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코일의 이동을 구속하는 제1돌출부; 및
    상기 제1돌출부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브라켓몸체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코일과 상기 제2코일의 이동을 구속하는 제2돌출부;를 포함하는 조리장치.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구동부를 동작시켜 상기 내솥을 기울인 상태에서, 상기 제1코일과 상기 제2코일과 상기 제1구동부를 동작시켜 제1볶음 모드를 구현하는 조리장치.
  16.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구동부를 동작시켜 상기 내솥을 기울인 상태에서, 상기 제1코일과 상기 제2코일과 상기 제1구동부와 상기 열풍공급부를 동작시켜 제2볶음 모드를 구현하는 조리장치.
  17.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구동부를 동작시켜 상기 내솥을 눕힌 상태에서, 상기 제1코일과 상기 제2코일과 상기 제1구동부와 상기 열풍공급부를 동작시켜 굽기 모드를 구현하는 조리장치.
  1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구동부를 동작시켜 상기 내솥을 기울인 상태에서, 상기 제1코일과 상기 제1구동부를 동작시켜 튀김 모드를 구현하는 조리장치.
  1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솥을 세운 상태에서, 상기 제2코일과 상기 열풍공급부와 상기 제1구동부를 동작시켜 에어프라이 모드를 구현하는 조리장치.
  2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솥을 세운 상태에서, 상기 제1코일과 상기 제1구동부를 동작시켜 끓이기 모드를 구현하는 조리장치.
KR1020220017885A 2021-05-11 2022-02-11 조리장치 KR202201534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61015 2021-05-11
KR20210061026 2021-05-11
KR20210060986 2021-05-11
KR1020210061026 2021-05-11
KR20210060985 2021-05-11
KR1020210061015 2021-05-11
KR1020210060986 2021-05-11
KR1020210060985 2021-05-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3479A true KR20220153479A (ko) 2022-11-18

Family

ID=84234535

Family Applications (1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0147A KR20220153461A (ko) 2021-05-11 2021-12-15 자동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0210180146A KR20220153460A (ko) 2021-05-11 2021-12-15 자동 조리 기기의 제어 장치
KR1020210184223A KR20220153463A (ko) 2021-05-11 2021-12-21 레시피 플랫폼과 연동하는 조리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0210184222A KR20220153462A (ko) 2021-05-11 2021-12-21 조리 기기에 연동하는 레시피 플랫폼 및 그 제어 방법
KR1020210188325A KR20220153464A (ko) 2021-05-11 2021-12-27 조리장치
KR1020210188326A KR20220153465A (ko) 2021-05-11 2021-12-27 조리장치
KR1020210189465A KR20220153466A (ko) 2021-05-11 2021-12-28 조리장치
KR1020220000939A KR20220153471A (ko) 2021-05-11 2022-01-04 리프터를 구비하는 조리장치
KR1020220004497A KR20220153474A (ko) 2021-05-11 2022-01-12 조리장치
KR1020220004496A KR20220153473A (ko) 2021-05-11 2022-01-12 리프터 모션 제어형 조리장치
KR1020220010352A KR20220153475A (ko) 2021-05-11 2022-01-25 조리장치
KR1020220016342A KR20220153478A (ko) 2021-05-11 2022-02-08 조리장치
KR1020220017885A KR20220153479A (ko) 2021-05-11 2022-02-11 조리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0147A KR20220153461A (ko) 2021-05-11 2021-12-15 자동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0210180146A KR20220153460A (ko) 2021-05-11 2021-12-15 자동 조리 기기의 제어 장치
KR1020210184223A KR20220153463A (ko) 2021-05-11 2021-12-21 레시피 플랫폼과 연동하는 조리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0210184222A KR20220153462A (ko) 2021-05-11 2021-12-21 조리 기기에 연동하는 레시피 플랫폼 및 그 제어 방법
KR1020210188325A KR20220153464A (ko) 2021-05-11 2021-12-27 조리장치
KR1020210188326A KR20220153465A (ko) 2021-05-11 2021-12-27 조리장치
KR1020210189465A KR20220153466A (ko) 2021-05-11 2021-12-28 조리장치
KR1020220000939A KR20220153471A (ko) 2021-05-11 2022-01-04 리프터를 구비하는 조리장치
KR1020220004497A KR20220153474A (ko) 2021-05-11 2022-01-12 조리장치
KR1020220004496A KR20220153473A (ko) 2021-05-11 2022-01-12 리프터 모션 제어형 조리장치
KR1020220010352A KR20220153475A (ko) 2021-05-11 2022-01-25 조리장치
KR1020220016342A KR20220153478A (ko) 2021-05-11 2022-02-08 조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3) KR20220153461A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7519A (ja) 2003-03-10 2004-09-30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回転式電磁誘導加熱装置
JP6042190B2 (ja) 2012-11-30 2016-12-14 シャープ株式会社 加熱調理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3463A (ko) 2022-11-18
KR20220153478A (ko) 2022-11-18
KR20220153465A (ko) 2022-11-18
KR20220153475A (ko) 2022-11-18
KR20220153474A (ko) 2022-11-18
KR20220153464A (ko) 2022-11-18
KR20220153466A (ko) 2022-11-18
KR20220153460A (ko) 2022-11-18
KR20220153462A (ko) 2022-11-18
KR20220153461A (ko) 2022-11-18
KR20220153471A (ko) 2022-11-18
KR20220153473A (ko) 2022-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8216E1 (en) Automatic cooker
CN112971513B (zh) 烹饪系统
CN110996668B (zh) 比萨饼烹饪用具
KR102138631B1 (ko) 공기 유동을 갖는 전기 조리 기구
US10405696B2 (en) Cooking apparatus
US7468495B2 (en) Multi-mode convection oven with flow control baffles
EP2799779B1 (en) Cooking apparatus
US9629499B2 (en) Convection cooking apparatus
EP2799777A2 (en) Cooking apparatus
JP2008027601A (ja) 誘導加熱調理器
KR20140129534A (ko)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
JP2011155022A (ja) 誘導加熱調理器
KR20220153479A (ko) 조리장치
EP2881669B1 (en) Heating cooker
JP2012112572A (ja) 加熱調理器
KR101664341B1 (ko) 전자유도가열 튀김기
US20220418056A1 (en) Turntable system for hybrid cooking appliance with microwave and induction heating features
US20230119105A1 (en) Rotary roaster heated by induction heating method
KR101664342B1 (ko) 가정용 전자유도가열 튀김기
KR200496000Y1 (ko) 독립적으로 온도제어가 가능한 이중 열선을 갖는 조리 기기
JP5805287B1 (ja) 加熱調理器
JPH08306484A (ja) 加熱調理器
KR200157113Y1 (ko) 전자렌지용 그릴 석쇠
JPH1089700A (ja) 厨房設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