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9534A -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 - Google Patents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9534A
KR20140129534A KR1020130047942A KR20130047942A KR20140129534A KR 20140129534 A KR20140129534 A KR 20140129534A KR 1020130047942 A KR1020130047942 A KR 1020130047942A KR 20130047942 A KR20130047942 A KR 20130047942A KR 20140129534 A KR20140129534 A KR 201401295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hot air
main body
support
housing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7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5918B1 (ko
Inventor
김한주
Original Assignee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47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5918B1/ko
Priority to US14/086,740 priority patent/US9055842B2/en
Priority to EP13194104.9A priority patent/EP2798984B1/en
Priority to JP2013243112A priority patent/JP5797250B2/ja
Priority to CN201711268611.4A priority patent/CN108078414A/zh
Priority to CN201711269610.1A priority patent/CN108041998A/zh
Priority to CN201310637675.2A priority patent/CN104223972B/zh
Publication of KR20140129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9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5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5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4Support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27Cooking- or baking-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microwave oven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6Shelves, racks or trays inside ovens; Suppor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Cookers (AREA)

Abstract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는: 열풍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입구부를 구비하는 하우징부 및 하우징부에 놓여지며 열풍에 의해 조리되는 조리대상물이 놓여지는 받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COOKING CONTAINER FOR ELECTRONIC COOKER}
본 발명은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열풍을 이용하여 튀김요리를 할 수 있는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튀김은 생선이나 고기, 야채 따위의 다양한 재료에 밀가루나 튀김가루 등을 묻혀서 기름에 튀기는 방법으로 조리된다.
튀김요리에 사용되는 기름은 산화가 빨리 되기 때문에 기름을 새것으로 자주 교환해야 하며, 튀김요리에 사용된 기름의 보관과 재사용에 어려움이 있어서 조리비용이 상승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995-0044155호(1998.09.25 공개, 발명의 명칭: 연속자동 식품 튀김기)에 개시되어 있다.
기름을 이용하여 조리대상물을 튀기는 경우에 기름이 고온으로 가열되므로 기름에 의한 화상 등의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존재한다. 또한 해동된 조리대상물을 튀기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동과 튀김조리가 각각 다른 조리장치에서 진행되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튀김조리는 조리대상물의 내부보다는 외부에 더 많은 열을 가하게 되므로 조리대상물의 내부와 외부가 고르게 익지 않는 상황이 종종 발생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리대상물이 보유하고 있는 지방 성분을 이용하여 튀김조리를 수행하므로 고온의 기름에 의한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튀김조리 시 조리대상물의 내부와 외부를 고르게 익힐 수 있는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는: 열풍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입구부를 구비하는 하우징부 및 하우징부에 놓여지며 열풍에 의해 조리되는 조리대상물이 놓여지는 받침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받침부를 덮어서 열풍의 이동을 차단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우징부는, 입구부가 하측에 구비되며 상측은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우징본체 및 하우징본체를 지지하는 다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우징본체는, 받침부의 테두리를 지지하며 하측으로 연장되는 하우징측면부와, 하우징측면부의 하측에서 하우징측면부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하우징저면부 및 하우징저면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입구부에 연결되는 하우징내측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우징측면부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우징본체의 내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우징본체의 상측은, 하우징본체의 측방향에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부와 같거나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우징저면부는 환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우징저면부에 다리부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우징내측부의 내측에는 입구부와 연통되는 유입공간부가 구비되며, 유입공간부와 마주하는 하우징내측부는 볼록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우징본체는, 유입공간부와 마주하는 하우징내측부의 측면에 나선 형상으로 돌출되어 열풍의 회전을 안내하는 가이드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우징부는, 입구부가 측면을 따라 구비되며 상측은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우징본체 및 하우징본체의 하측을 지지하는 다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우징본체는, 받침부의 테두리를 지지하며 입구부가 둘레를 따라 복수 개 설치되는 하우징측면부 및 하우징측면부의 하측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하우징저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입구부의 상측은, 하우징본체의 측방향에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부와 같거나 낮은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우징본체는, 하우징측면부의 내측으로 연장되며 입구부를 통해 유입되는 열풍의 이동을 안내하는 내측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측가이드는, 입구부의 일측에서 하우징측면부의 내측을 향하여 수평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받침부는, 열풍이 이동되는 연통공이 복수 개 구비되는 받침몸체부 및 받침몸체부의 외측 테두리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받침몸체부는, 커버부재의 내측에 위치하며 환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받침테두리부와, 받침테두리부의 가운데에 위치하는 받침중앙부와, 열풍이 통과하는 제1연결공을 구비하며 받침중앙부에서 받침테두리부를 향하여 나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제1지지부 및 제1지지부와 이웃한 제1지지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열풍이 통과하는 제2연결공이 복수개 구비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지지부는 제1지지부보다 하측으로 더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지지부는, 받침중앙부를 중심으로 원호 형상으로 설치되며, 상측을 향하여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곡면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덮개부는, 받침부의 상측을 차폐하는 돔 형상의 덮개몸체 및 덮개몸체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손잡이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덮개몸체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받침부의 테두리에 접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리부는, 하우징부의 외측에 고정되는 와이어 형상의 다리프레임 및 다리프레임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다리커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리프레임은, 하우징부의 하측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및 고정부재의 양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리커버는, 연장부재가 삽입되는 장착홈을 구비하는 커버몸체 및 고정부재를 감싸는 형상으로 홈을 형성하며 커버몸체에 연결되는 차폐홈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반조리와 더불어 튀김조리를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리대상물이 보유하고 있는 지방 성분을 이용하여 튀김조리를 수행하므로 고온의 기름에 의한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기름의 미사용에 따른 조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본체의 내측으로 유입된 열풍이 나선형으로 회전하면서 조리대상물을 가열하므로 열풍과 조리대상물이 접하는 시간이 증대되어 조리시간의 단축 및 조리성능의 향상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리대상물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곡면부재가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조리대상물과 받침부 사이의 접촉면적이 감소되므로 열풍과 조리대상물이 접하는 접촉면적이 증대되어 조리시간의 단축 및 조리성능의 향상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열풍공급부에서 토출된 열풍 가운데 하우징측면부로 이동하는 열풍은 하우징측면부의 곡면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입구부로 유입되므로 열풍의 손실을 줄여 조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본체의 내측에서 받침부를 통해 상측으로 이동된 열풍이 덮개부의 내측에 머무르는 시간이 증가하므로, 조리대상물의 가열시간이 단축되어 조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본체와 받침부를 분해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받침부의 후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리커버에서 다리프레임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가 전자조리기구의 내측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본체의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본체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본체의 내측으로 내측가이드가 연장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가 전자조리기구의 내측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본체와 받침부와 덮개부를 분해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가 전자조리기구의 내측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본체의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가 전자조리기구의 내측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의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열풍 발생용 전자레인지에 설치된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본체와 받침부를 분해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받침부의 후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리커버에서 다리프레임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가 전자조리기구의 내측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본체의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본체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1)는, 열풍(70)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입구부(14)를 구비하는 하우징부(5)와, 하우징부(5)에 놓여지며 열풍(70)에 의해 조리되는 조리대상물(60)이 놓여지는 받침부(30)를 포함한다.
받침부(30)의 상측에 조리대상물(60)이 놓여지며, 받침부(30)의 하측에 하우징부(5)가 설치된다. 받침부(30)를 지지하는 하우징부(5)는 열풍(70)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입구부(14)가 구비되므로, 입구부(14)를 통해 하우징부(5)의 내측으로 열풍(70)이 유입된다.
하우징부(5)는, 입구부(14)를 통해 외부에서 공급된 열풍(70)이 받침부(30)에 놓여있는 조리대상물(60)을 가열하기 위한 공기 유로를 형성하기 위한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5)는, 입구부(14)가 하측에 구비되며 상측은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우징본체(10)와, 하우징본체(10)를 지지하는 다리부(40)를 포함한다.
하우징본체(10)의 하측으로 연장된 다리부(40)가 전자조리기구(50)의 턴테이블이나 하부에 접하여 설치된다.
하우징본체(10)의 하측에 입구부(14)가 구비되며,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1)의 측방향에서 공급된 열풍(70)은 하우징본체(10)의 하측으로 유입되어 하우징본체(10)의 상측으로 이동된다.
하우징본체(10)가 다리부(40)에 의해 지지되어 하우징본체(10)의 하측에 공간이 형성되므로, 하우징본체(10)의 하측을 통하여 하우징본체(10)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공기의 흐름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본체(10)는, 하우징측면부(12)와 입구부(14)와 하우징저면부(15)와 하우징내측부(16)와 유입공간부(17)와 가이드돌기(18)를 포함한다.
하우징측면부(12)는, 받침부(30)의 테두리를 지지하며 하측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하우징본체(10)의 측면을 형성하는 하우징측면부(12)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우징측면부(12)의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여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하우징측면부(12)는 하우징본체(10)의 내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면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하우징측면부(12)를 향하여 측방향에서 불어오는 열풍(70)을 하우징측면부(12)의 하측으로 안내하여 조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즉, 하우징본체(10)의 측방향에서 공급되는 열풍(70)이 하우징본체(10)의 하측에 구비된 입구부(14)를 통해 하우징본체(10)의 내측으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우징측면부(12)의 형상이 곡면 형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입구부(14)로 이동되는 열풍(70)의 양이 증가하여 열풍(70)의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하우징측면부(12)의 하측에 연결된 하우징저면부(15)는, 하우징측면부(12)의 하측에서 하우징측면부(12)의 내측으로 연장된다.
하우징측면부(12)의 하측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하우징저면부(15)는 환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우징저면부(15)의 하측에 다리부(40)가 고정된다.
다리부(40)가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하우징저면부(15)에 접하여 설치되므로, 다리부(40)와 하우징저면부(15)의 접촉면적이 증대되어 다리부(40)의 고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저면부(15)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하우징내측부(16)는 열풍(70)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입구부(14)에 연결된다.
하우징내측부(16)의 내측에는 입구부(14)와 연통되는 유입공간부(17)가 구비되며, 유입공간부(17)와 마주하는 하우징내측부(16)는 볼록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입구부(14)의 하측에 유입공간부(17)가 위치하며, 유입공간부(17)와 마주하는 하우징내측부(16)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하우징내측부(16)를 따라 상측의 입구부(14)로 이동되는 열풍(70)의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내측부(16)는 상측이 좁아지는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하우징내측부(16)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되는 열풍(70)이 입구부(14)를 통해 하우징본체(10)의 내측으로 이동되는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제1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본체(10)의 상측은, 하우징본체(10)의 측방향에서 열풍(70)을 공급하는 열풍공급부(54)와 같거나 높은 위치에 설치되므로, 하우징본체(10)의 하측을 통해 하우징본체(10)의 내측으로 열풍(70)이 용이하게 공급될 수 있다.
열풍(70)의 토출이 이루어지는 구멍을 복수 개 구비하는 열풍공급부(54)는, 전자조리기구(50)의 내측 하부에 설치된다.
열풍공급부(54)의 구멍은 전자조리기구(50)의 내측과 연통되며, 이러한 구멍은 복수 개의 열을 형성하며 전자조리기구(50)의 내측 하부에 가로 방향으로 설치된다.
열풍공급부(54)의 상측에 위치한 구멍의 높이는, 하우징본체(10)의 상측 높이보다 같거나 낮은 위치에 설치된다.
열풍공급부(54)의 높이가 하우징본체(10)보다 낮은 경우에는, 하우징본체(10)의 하부를 통하여 입구부(14)의 하측으로 열풍(70)이 이동된다.
입구부(14)의 하측으로 이동하는 열풍(70)은, 주변의 다른 공기보다 뜨거우므로 위로 상승하려 하는 성질이 있다. 따라서 열풍공급부(54)에서 토출된 관성에 의해 입구부(14)의 하측으로 이동된 열풍(70)은, 상측으로 부상하려는 성질에 의해 입구부(14)의 상측으로 이동되어 조리대상물(60)을 가열한다.
입구부(14)를 통하여 상측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비스듬하게 상향 직진하는 열풍(70)은 하우징내측부(16)의 곡면에 접하면서 입구부(14)를 향한 상측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하우징본체(10)의 하측으로 공급되는 열풍(70)의 대부분은 입구부(14)를 통해 상측으로 이동된다.
열풍공급부(54)의 상측에 구비된 구멍의 높이가 하우징본체(10)의 상측과 비교하여 같거나 낮은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하우징본체(10)의 측면에 구비된 곡면을 따라 열풍(70)의 하측 이동이 안내된다.
즉, 열풍공급부(54)에서 수평방향으로 공급되는 열풍(70)의 일부는 하우징본체(10)의 하측을 통해 입구부(14)로 이동되며, 나머지 열풍(70)은 하우징측면부(12)의 곡면을 따라 하우징측면부(12)의 하측으로 이동된 후, 하우징측면부(12)의 하측을 통해 입구부(14)로 유입되는 열풍(70)에 합류하여 입구부(14)로 이동된다.
하우징본체(10)는 철판이나 알루미늄에 테프론을 코팅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스테인레스를 사용할 수도 있다.
하우징본체(10)의 내측에 상부히터부(52)의 복사열이 전달되면, 하우징본체(10)의 내측에서 반사된 복사열은 하우징본체(10)의 상측으로 이동되므로,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복사열의 상측 반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하우징측면부(12)와 하우징저면부(15)와 하우징내측부(16)의 형상은 "U"자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하는 복사열을 다시 하우징본체(10)의 상측으로 반사한다.
하우징본체(10)의 변형예가 도시된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내측부(16)에 별도의 가이드돌기(18)가 추가되어 열풍(70)의 회전을 안내할 수 있다.
유입공간부(17)와 마주하는 하우징내측부(16)의 측면에 나선 형상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돌기(18)는 유입공간부(17)를 통해 입구부(14)로 이동되는 열풍(70)이 회전되도록 안내한다.
유입공간부(17)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 설치된 가이드돌기(18)는, 하우징내측부(16)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된다.
하우징내측부(16)의 내측으로 돌출된 가이드돌기(18)는 일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하우징내측부(16)를 통과하는 열풍(70)은 가이드돌기(18)에 의해 가이드되어 회오리바람을 형성한다.
회오리바람을 형성하는 열풍(70)이 하우징본체(10)를 통해 받침부(30)로 이동되면, 받침부(30)에 놓인 조리대상물(60)과 열풍(70)의 접하는 시간과 면적이 증대되어 조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부(5)의 상측에 놓여지는 받침부(30)는, 복수 개의 연통공을 구비하며 열풍(70)에 의해 조리되는 조리대상물(60)이 놓여지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른 받침부(30)는 받침몸체부(31)와 커버부재(39)를 포함한다.
받침몸체부(31)는 열풍(70)이 이동되는 연통공이 복수 개 구비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으며, 커버부재(39)도 받침몸체부(31)의 외측 테두리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른 받침몸체부(31)는, 받침테두리부(32)와 받침중앙부(33)와 제1지지부(34)와 제2지지부(36)를 포함한다.
받침테두리부(32)는 환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받침테두리부(32)의 외측에 커버부재(39)가 위치하며 받침테두리부(32)의 내측에 받침중앙부(33)와 제1지지부(34)와 제2지지부(36)가 위치한다.
커버부재(39)의 내측에 위치하는 받침테두리부(32)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알루미늄을 포함한다.
받침중앙부(33)는 받침테두리부(32)의 가운데에 위치하며, 받침중앙부(33)와 받침테두리부(32)는 서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다.
받침중앙부(33)에서 연장된 제1지지부(34)와 제2지지부(36)는 받침테두리부(32)에 연결되며, 제1지지부(34)와 제2지지부(36)는 나선 형상으로 휘어져서 설치되므로 받침부(30)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하는 열풍(70)의 회전을 안내한다.
제1지지부(34)는, 열풍(70)이 통과하는 제1연결공(35)을 구비하며 받침중앙부(33)에서 받침테두리부(32)를 향하여 나선 형상으로 연장된다.
제1지지부(34)는 받침중앙부(33)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 설치되며, 제1지지부(34)와 이웃한 제1지지부(34)의 사이에 제2지지부(36)가 위치한다.
제2지지부(36)는 열풍(70)이 통과하는 제2연결공(37)이 복수개 구비되며, 제1지지부(34)와 함께 나선 형상으로 휘어져서 설치된다.
제2지지부(36)의 폭은 제1지지부(34)의 폭보다 2배 이상 넓게 형성되며, 제2지지부(36)의 상측에서 조리대상물(60)의 조리가 주로 이루어진다.
제2지지부(36)는 제1지지부(34)보다 하측으로 더 돌출되므로, 받침부(30)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하는 열풍(70)은 제1지지부(34)의 하측을 따라 회전하며 회오리 바람을 형성한다.
하우징부(5)의 가이드돌기(18)를 통과하며 형성된 회오리바람의 방향과, 제1지지부(34)의 하측을 통과하며 형성된 회오리바람의 방향은 동일하므로, 열풍(70)이 하우징부(5)의 내측에 회오리를 형성하며 조리대상물(60)과 접하는 시간이 증대한다.
제1지지부(34)에 형성된 제1연결공(35)과 제2지지부(36)에 형성된 제2연결공(37)은 원주 방향으로 설치된다.
받침중앙부(33)를 중심으로 원호를 형성하며 제1연결공(35)과 제2연결공(37)이 설치되며, 받침중앙부(33)와 받침테두리부(32)의 사이에 복수 개의 제1연결공(35)과 제2연결공(37)이 설치된다.
제2지지부(36)는, 받침중앙부(33)를 중심으로 원호 형상으로 설치되며, 상측을 향하여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곡면부재(38)를 포함한다.
지지곡면부재(38)는 상측을 향하여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지지곡면부재(38)의 하측은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지지곡면부재(38)의 상측에 올려진 조리대상물(60)에서 흘러나온 유체는 지지곡면부재(38)를 따라 하측으로 낙하되므로 제2지지부(36)의 표면의 청소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지지곡면부재(38)의 하측으로 공급된 열풍(70)이 지지곡면부재(38)의 오목한 홈에 머무르게 되므로, 열풍(70)과 지지곡면부재(38)가 접하는 시간이 증대되어 지지곡면부재(38)의 가열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므로, 조리대상물(60)의 조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받침테두리부(32)에 결합되는 커버부재(39)는 고무나 실리콘을 포함하여 성형되므로, 전자레인지의 내측에 설치된 받침부(30)의 테두리에서 발생할 수 있는 스파크를 방지할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른 받침부(30)는, 알루미늄에 테프론을 코팅하여 사용한다.
알루미늄은 열전도도가 높으므로 조리대상물(60)의 가열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테프론은 음식이 받침부(30)에 들러붙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부재(39)는 실리콘을 사용하므로, 알루미늄으로 된 받침부(30)와 철판으로 이루어진 받침부(30)의 사이에 설치되어 스파크의 발생을 방지한다.
도 2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부(40)는, 하우징부(5)의 외측에 고정되는 와이어 형상의 다리프레임(42)과, 다리프레임(42)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다리커버(45)를 포함한다.
다리프레임(42)은 철골구조로 이루어지며, 다리프레임(42)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다리커버(45)는 실리콘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제1실시예에 따른 다리프레임(42)은, 하우징부(5)의 하측에 고정되는 고정부재(43)와, 고정부재(43)의 양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재(44)를 포함한다.
하우징부(5)의 하측에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연장부재(44)에 다리커버(45)가 결합되므로, 연장부재(44)의 외측에 다리커버(45)가 고정된다.
제1실시예에 따른 다리커버(45)는, 연장부재(44)가 삽입되는 장착홈(47)을 구비하는 커버몸체(46)와, 고정부재(43)를 감싸는 형상으로 홈을 형성하며 커버몸체(46)에 연결되는 차폐홈부(48)를 포함한다.
장착홈(47)은 커버몸체(46)의 내측을 연장되며, 고정부재(43)의 굽어진 형상을 따라 홈을 형성하는 차폐홈부(48)는 커버몸체(46)의 일측에 연결된다.
연장부재(44)가 장착홈(47)으로 삽입되며, 고정부재(43)가 차폐홈부(48)의 내측에 위치하므로, 다리프레임(42)은 다리커버(45)에 의해 차폐되어 스파크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1)는 전자조리기구(50)의 트레이에 올려져서 회전되므로, 조리대상물(60)을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다.
전자조리기구(50)는 상부히터부(52)와 열풍공급부(54)를 포함하며, 상부히터부(52)에서는 복사열이 공급되며 열풍공급부(54)에서는 열풍(70)이 공급된다.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1)는 전자조리기구(50)의 트레이에 설치되며,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1)의 상측에 상부히터부(52)가 설치되며,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1)의 후측에 열풍공급부(54)가 설치된다.
상부히터부(52)에서 발생된 복사열은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1)의 상측으로 공급되며, 열풍공급부(54)에서 발생된 열풍(70)은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1)의 하측으로 이동되어 하우징부(5)의 내측으로 이동된다.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조리기구(50)는, 상부히터부(52)와 열풍공급부(54)를 구비한 컨벡션 전자레인지가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전자조리기구(50)의 내측에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1)를 장착한 후, 상부히터부(52)와 열풍공급부(54)를 동작시킨다.
열선을 포함한 히터의 동작으로 상부히터부(52)가 동작되면, 받침부(30)를 향한 하측으로 복사열이 전달된다.
조리대상물(60)을 가열하고 받침부(30)의 하측으로 이동된 복사열은 하우징본체(10)의 내측에서 반사된 후 다시 상측으로 이동된다.
하우징본체(10)에서 반사된 복사열은 받침부(30)의 하측으로 전달되어 조리대상물(60)을 2차 가열하므로 조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열풍공급부(54)에서 발생된 열풍(70)은 하우징본체(10)의 측방향으로 이동되거나, 하우징본체(10)의 하측으로 이동된다.
하우징측면부(12)를 따라 하우징본체(10)의 하측으로 안내된 열풍(70)은 하우징내측부(16)의 유입공간부(17)로 이동된다.
하우징내측부(16)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되는 열풍(70)은, 하우징내측부(16)의 내측으로 돌출된 가이드돌기(18)에 의해 안내되어 회전하면서 회오리를 형성한다.
하우징본체(10)의 내측으로 유입된 열풍(70)은 받침부(30)의 하측에 형성된 제1지지부(34)의 하측을 따라 다시 회전하면서 회오리를 형성하므로, 열풍(70)에 의해 받침몸체부(31)와 조리대상물(60)이 접하는 시간이 증대되어 열효율이 향상되며, 조리대상물(60)의 조리시간도 단축된다.
또한 받침부(30)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되는 열풍(70)은 제2지지부(36)에 구비된 지지곡면부재(38)의 하측에 머무르면서 열풍(70)과 받침몸체부(31)가 접하는 시간이 증대되어 받침몸체부(31)의 가열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를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인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본체의 내측으로 내측가이드가 연장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가 전자조리기구의 내측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5)는 하우징본체(20)와 다리부(40)를 포함한다.
하우징본체(20)의 내측으로 열풍(70)을 공급하는 입구부(24)는 하우징본체(20)의 측면을 따라 구비된다. 하우징본체(20)의 상측은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우징본체(20)의 하측은 다리부(40)에 의해 지지된다.
제2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본체(20)는, 하우징측면부(22)와 하우징저면부(25)와 내측가이드(26)를 포함한다.
하우징본체(20)의 측면을 형성하는 하우징측면부(22)는, 받침부(30)의 테두리를 지지하며 하측으로 연장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하우징측면부(22)의 둘레를 따라 설치된 입구부(24)는 하우징측면부(22)의 내측으로 열풍(70)이 이동되는 통로를 형성한다.
입구부(24)는 수평방향으로 장공을 형성하며, 이러한 입구부(24)가 하우징측면부(22)를 따라 복수 개 설치된다.
하우징측면부(22)의 하측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하우징저면부(25)는 하우징본체(20)의 저면을 형성한다.
입구부(24)의 상측은, 하우징본체(20)의 측방향에서 열풍(70)을 공급하는 열풍공급부(54)와 같거나 낮은 위치에 설치되므로, 열풍(70)이 입구부(24)의 내측으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
열풍공급부(54)에서 수평방향으로 공급되는 열풍(70)의 일부는 하우징본체(20)의 측면에 형성된 입구부(24)를 통해 하우징본체(20)의 내측으로 이동되며, 입구부(24)의 상측으로 이동하는 열풍(70)은 하우징측면부(12)의 곡면을 따라 하우징측면부(12)의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입구부(24)의 내측으로 유입되므로, 열풍(70)에 의한 조리대상물(60)의 가열시간이 단축된다.
하우징측면부(22)의 내측에 연결된 내측가이드(26)는, 하우징측면부(22)의 내측으로 연장되며, 입구부(24)를 통해 유입되는 열풍(70)의 이동을 안내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른 내측가이드(26)는, 입구부(24)의 일측에서 하우징측면부(22)의 내측을 향하여 수평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입구부(24)의 내측으로 유입된 열풍(70)은 내측가이드(26)에 의해 안내되어 회오리바람을 형성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열풍(70)과 조리대상물(60)과의 접촉면적과 접촉시간이 증대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2)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열풍공급부(54)에서 발생된 열풍(70)은 하우징본체(20)의 측방향으로 이동되며, 하우징측면부(22)의 곡면을 따라 이동되는 열풍(70)은 입구부(24)를 통해 하우징본체(20)의 내측으로 이동된다.
입구부(24)를 통해 하우징본체(20)의 내측으로 이동되는 열풍(70)은 내측가이드(26)에 의해 이동이 안내되면서 하우징본체(20)의 내측에서 회전된다.
하우징본체(20)의 내측에서 회오리를 형성하는 열풍(70)은 받침부(30)의 하측에 형성된 제1지지부(34)의 하측을 따라 다시 회전하면서 회오리를 형성하므로, 열풍(70)에 의해 받침몸체부(31)와 조리대상물(60)이 접하는 시간이 증대되어 열효율이 향상되며, 조리대상물(60)의 조리시간도 단축된다.
또한 받침부(30)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되는 열풍(70)은 제2지지부(36)에 구비된 지지곡면부재(38)의 하측에 머무르면서 열풍(70)과 받침몸체부(31)가 접하는 시간이 증대되어 받침몸체부(31)의 가열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히터부(52)에서 발생된 복사열은 제1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리대상물(60)을 가열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를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인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본체와 받침부와 덮개부를 분해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가 전자조리기구의 내측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1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본체의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3과 도 14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3)는, 열풍(70)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입구부(14)를 구비하는 하우징부(5)와, 하우징부(5)에 놓여지며 열풍(70)에 의해 조리되는 조리대상물(60)이 놓여지는 받침부(30)와, 받침부(30)를 덮어서 열풍(70)의 이동을 차단하는 덮개부(80)를 포함한다.
받침부(30)의 상측에 조리대상물(60)이 놓여지며, 받침부(30)의 하측에 하우징부(5)가 설치된다. 받침부(30)를 지지하는 하우징부(5)는 열풍(70)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입구부(14)가 구비되므로, 입구부(14)를 통해 하우징부(5)의 내측으로 열풍(70)이 유입된다.
하우징부(5)는, 입구부(14)를 통해 외부에서 공급된 열풍(70)이 받침부(30)에 놓여있는 조리대상물(60)을 가열하기 위한 공기 유로를 형성하기 위한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5)는, 입구부(14)가 하측에 구비되며 상측은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우징본체(10)와, 하우징본체(10)를 지지하는 다리부(40)를 포함한다.
하우징본체(10)의 하측으로 연장된 다리부(40)가 전자조리기구(50)의 턴테이블이나 하부에 접하여 설치된다.
하우징본체(10)의 하측에 입구부(14)가 구비되며,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3)의 측방향에서 공급된 열풍(70)은 하우징본체(10)의 하측으로 유입되어 하우징본체(10)의 상측으로 이동된다.
하우징본체(10)가 다리부(40)에 의해 지지되어 하우징본체(10)의 하측에 공간이 형성되므로, 하우징본체(10)의 하측을 통하여 하우징본체(10)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공기의 흐름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본체(10)는, 하우징측면부(12)와 입구부(14)와 하우징저면부(15)와 하우징내측부(16)와 유입공간부(17)와 가이드돌기(18)를 포함한다.
하우징측면부(12)는, 받침부(30)의 테두리를 지지하며 하측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하우징본체(10)의 측면을 형성하는 하우징측면부(12)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우징측면부(12)의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여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하우징측면부(12)는 하우징본체(10)의 내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면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하우징측면부(12)를 향하여 측방향에서 불어오는 열풍(70)을 하우징측면부(12)의 하측으로 안내하여 조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즉, 하우징본체(10)의 측방향에서 공급되는 열풍(70)이 하우징본체(10)의 하측에 구비된 입구부(14)를 통해 하우징본체(10)의 내측으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우징측면부(12)의 형상이 곡면 형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입구부(14)로 이동되는 열풍(70)의 양이 증가하여 열풍(70)의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하우징측면부(12)의 하측에 연결된 하우징저면부(15)는, 하우징측면부(12)의 하측에서 하우징측면부(12)의 내측으로 연장된다.
하우징측면부(12)의 하측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하우징저면부(15)는 환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우징저면부(15)의 하측에 다리부(40)가 고정된다.
다리부(40)가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하우징저면부(15)에 접하여 설치되므로, 다리부(40)와 하우징저면부(15)의 접촉면적이 증대되어 다리부(40)의 고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저면부(15)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하우징내측부(16)는 열풍(70)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입구부(14)에 연결된다.
하우징내측부(16)의 내측에는 입구부(14)와 연통되는 유입공간부(17)가 구비되며, 유입공간부(17)와 마주하는 하우징내측부(16)는 볼록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입구부(14)의 하측에 유입공간부(17)가 위치하며, 유입공간부(17)와 마주하는 하우징내측부(16)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하우징내측부(16)를 따라 상측의 입구부(14)로 이동되는 열풍(70)의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내측부(16)는 상측이 좁아지는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하우징내측부(16)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되는 열풍(70)이 입구부(14)를 통해 하우징본체(10)의 내측으로 이동되는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제3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본체(10)의 상측은, 하우징본체(10)의 측방향에서 열풍(70)을 공급하는 열풍공급부(54)와 같거나 높은 위치에 설치되므로, 하우징본체(10)의 하측을 통해 하우징본체(10)의 내측으로 열풍(70)이 용이하게 공급될 수 있다.
열풍(70)의 토출이 이루어지는 구멍을 복수 개 구비하는 열풍공급부(54)는, 전자조리기구(50)의 내측 하부에 설치된다.
열풍공급부(54)의 구멍은 전자조리기구(50)의 내측과 연통되며, 이러한 구멍은 복수 개의 열을 형성하며 전자조리기구(50)의 내측 하부에 가로 방향으로 설치된다.
열풍공급부(54)의 상측에 위치한 구멍의 높이는, 하우징본체(10)의 상측 높이보다 같거나 낮은 위치에 설치된다.
열풍공급부(54)의 높이가 하우징본체(10)보다 낮은 경우에는, 하우징본체(10)의 하부를 통하여 입구부(14)의 하측으로 열풍(70)이 이동된다.
입구부(14)의 하측으로 이동하는 열풍(70)은, 주변의 다른 공기보다 뜨거우므로 위로 상승하려 하는 성질이 있다. 따라서 열풍공급부(54)에서 토출된 관성에 의해 입구부(14)의 하측으로 이동된 열풍(70)은, 상측으로 부상하려는 성질에 의해 입구부(14)의 상측으로 이동되어 조리대상물(60)을 가열한다.
입구부(14)를 통하여 상측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비스듬하게 상향 직진하는 열풍(70)은 하우징내측부(16)의 곡면에 접하면서 입구부(14)를 향한 상측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하우징본체(10)의 하측으로 공급되는 열풍(70)의 대부분은 입구부(14)를 통해 상측으로 이동된다.
하우징본체(10)는 철판이나 알루미늄에 테프론을 코팅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스테인레스를 사용할 수도 있다.
하우징측면부(12)와 하우징저면부(15)와 하우징내측부(16)의 형상은 "U"자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하우징본체(10)의 내측을 회전하며 상측으로 이동하는 열풍(70)의 회전을 안내한다.
하우징본체(10)의 변형예가 도시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내측부(16)에 별도의 가이드돌기(18)가 추가되어 열풍(70)의 회전을 안내할 수 있다.
유입공간부(17)와 마주하는 하우징내측부(16)의 측면에 나선 형상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돌기(18)는 유입공간부(17)를 통해 입구부(14)로 이동되는 열풍(70)이 회전되도록 안내한다.
유입공간부(17)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 설치된 가이드돌기(18)는, 하우징내측부(16)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된다.
하우징내측부(16)의 내측으로 돌출된 가이드돌기(18)는 일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하우징내측부(16)를 통과하는 열풍(70)은 가이드돌기(18)에 의해 가이드되어 회오리바람을 형성한다.
회오리바람을 형성하는 열풍(70)이 하우징본체(10)를 통해 받침부(30)로 이동되면, 받침부(30)에 놓인 조리대상물(60)과 열풍(70)의 접하는 시간과 면적이 증대되어 조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부(5)의 상측에 놓여지는 받침부(30)는, 복수 개의 연통공을 구비하며 열풍(70)에 의해 조리되는 조리대상물(60)이 놓여지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실시예에 따른 받침부(30)는 받침몸체부(31)와 커버부재(39)를 포함한다.
받침몸체부(31)는 열풍(70)이 이동되는 연통공이 복수 개 구비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으며, 커버부재(39)도 받침몸체부(31)의 외측 테두리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제3실시예에 따른 받침몸체부(31)는, 받침테두리부(32)와 받침중앙부(33)와 제1지지부(34)와 제2지지부(36)를 포함한다.
받침테두리부(32)는 환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받침테두리부(32)의 외측에 커버부재(39)가 위치하며 받침테두리부(32)의 내측에 받침중앙부(33)와 제1지지부(34)와 제2지지부(36)가 위치한다.
커버부재(39)의 내측에 위치하는 받침테두리부(32)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알루미늄을 포함한다.
받침중앙부(33)는 받침테두리부(32)의 가운데에 위치하며, 받침중앙부(33)와 받침테두리부(32)는 서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다.
받침중앙부(33)에서 연장된 제1지지부(34)와 제2지지부(36)는 받침테두리부(32)에 연결되며, 제1지지부(34)와 제2지지부(36)는 나선 형상으로 휘어져서 설치되므로 받침부(30)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하는 열풍(70)의 회전을 안내한다.
제1지지부(34)는, 열풍(70)이 통과하는 제1연결공(35)을 구비하며 받침중앙부(33)에서 받침테두리부(32)를 향하여 나선 형상으로 연장된다.
제1지지부(34)는 받침중앙부(33)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 설치되며, 제1지지부(34)와 이웃한 제1지지부(34)의 사이에 제2지지부(36)가 위치한다.
제2지지부(36)는 열풍(70)이 통과하는 제2연결공(37)이 복수개 구비되며, 제1지지부(34)와 함께 나선 형상으로 휘어져서 설치된다.
제2지지부(36)의 폭은 제1지지부(34)의 폭보다 2배 이상 넓게 형성되며, 제2지지부(36)의 상측에서 조리대상물(60)의 조리가 주로 이루어진다.
제2지지부(36)는 제1지지부(34)보다 하측으로 더 돌출되므로, 받침부(30)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하는 열풍(70)은 제1지지부(34)의 하측을 따라 회전하며 회오리 바람을 형성한다.
하우징부(5)의 가이드돌기(18)를 통과하며 형성된 회오리바람의 방향과, 제1지지부(34)의 하측을 통과하며 형성된 회오리바람의 방향은 동일하므로, 열풍(70)이 하우징부(5)의 내측에 회오리를 형성하며 조리대상물(60)과 접하는 시간이 증대한다.
제1지지부(34)에 형성된 제1연결공(35)과 제2지지부(36)에 형성된 제2연결공(37)은 원주 방향으로 설치된다.
받침중앙부(33)를 중심으로 원호를 형성하며 제1연결공(35)과 제2연결공(37)이 설치되며, 받침중앙부(33)와 받침테두리부(32)의 사이에 복수 개의 제1연결공(35)과 제2연결공(37)이 설치된다.
제2지지부(36)는, 받침중앙부(33)를 중심으로 원호 형상으로 설치되며, 상측을 향하여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곡면부재(38)를 포함한다.
지지곡면부재(38)는 상측을 향하여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지지곡면부재(38)의 하측은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지지곡면부재(38)의 상측에 올려진 조리대상물(60)에서 흘러나온 유체는 지지곡면부재(38)를 따라 하측으로 낙하되므로 제2지지부(36)의 표면의 청소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지지곡면부재(38)의 하측으로 공급된 열풍(70)이 지지곡면부재(38)의 오목한 홈에 머무르게 되므로, 열풍(70)과 지지곡면부재(38)가 접하는 시간이 증대되어 지지곡면부재(38)의 가열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므로, 조리대상물(60)의 조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받침테두리부(32)에 결합되는 커버부재(39)는 고무나 실리콘을 포함하여 성형되므로, 전자레인지의 내측에 설치된 받침부(30)의 테두리에서 발생할 수 있는 스파크를 방지할 수 있다.
제3실시예에 따른 받침부(30)는, 알루미늄에 테프론을 코팅하여 사용한다.
알루미늄은 열전도도가 높으므로 조리대상물(60)의 가열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테프론은 음식이 받침부(30)에 들러붙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부재(39)는 실리콘을 사용하므로, 알루미늄으로 된 받침부(30)와 철판으로 이루어진 받침부(30)의 사이에 설치되어 스파크의 발생을 방지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부(40)는, 하우징부(5)의 외측에 고정되는 와이어 형상의 다리프레임(42)과, 다리프레임(42)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다리커버(45)를 포함한다.
다리프레임(42)은 철골구조로 이루어지며, 다리프레임(42)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다리커버(45)는 실리콘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제3실시예에 따른 다리프레임(42)은, 하우징부(5)의 하측에 고정되는 고정부재(43)와, 고정부재(43)의 양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재(44)를 포함한다.
하우징부(5)의 하측에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연장부재(44)에 다리커버(45)가 결합되므로, 연장부재(44)의 외측에 다리커버(45)가 고정된다.
도 14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3)는 전자조리기구(50)의 트레이에 올려져서 회전되므로, 조리대상물(60)을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다.
전자조리기구(50)는 열풍(70)을 공급하는 열풍공급부(54)를 포함한다.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3)는 전자조리기구(50)의 트레이에 설치되며,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3)의 후측에 열풍공급부(54)가 설치된다.
열풍공급부(54)에서 발생된 열풍(70)은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3)의 하측으로 이동되어 하우징부(5)의 내측으로 이동된다.
제3실시예에 따른 전자조리기구(50)는 열풍공급부(54)를 구비한 컨벡션 전자레인지가 사용된다.
받침부(30)의 상측을 덮는 덮개부(80)는, 받침부(80)의 상측으로 이동되는 열풍(70)의 이동을 차단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부(80)는, 받침부(30)의 상측을 차폐하는 돔 형상의 덮개몸체(82)와, 덮개몸체(82)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손잡이부재(86)를 포함한다.
덮개몸체(82)는 돔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받침부(30)를 덮어서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3)의 외측으로 이동하는 열풍(70)의 이동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덮개몸체(82)의 내측에 열풍(70)이 머무를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므로 조리대상물(60)의 가열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덮개몸체(82)의 하측에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받침부(60)의 테두리에 접하는 접합부재(84)가 구비되므로 열풍(70)의 이동을 차단할 수 있다.
접합부재(84)는 덮개몸체(82)의 하측에서 외측을 향하여 돌출된 형상으로 설치되며, 접합부재(84)의 하측은 받침부(60)의 커버부재(39)에 접하여 설치되므로 기밀성을 향상시킨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3)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전자조리기구(50)의 내측에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3)를 장착한 후, 열풍공급부(54)를 동작시킨다.
열풍공급부(54)에서 발생된 열풍(70)은 하우징본체(10)의 측방향으로 이동되거나, 하우징본체(10)의 하측으로 이동된다.
하우징측면부(12)를 따라 하우징본체(10)의 하측으로 안내된 열풍(70)은 하우징내측부(16)의 유입공간부(17)로 이동된다.
하우징내측부(16)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되는 열풍(70)은, 하우징내측부(16)의 내측으로 돌출된 가이드돌기(18)에 의해 안내되어 회전하면서 회오리를 형성한다.
하우징본체(10)의 내측으로 유입된 열풍(70)은 받침부(30)의 하측에 형성된 제1지지부(34)의 하측을 따라 다시 회전하면서 회오리를 형성하므로, 열풍(70)에 의해 받침몸체부(31)와 조리대상물(60)이 접하는 시간이 증대되어 열효율이 향상되며, 조리대상물(60)의 조리시간도 단축된다.
또한 받침부(30)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되는 열풍(70)은 제2지지부(36)에 구비된 지지곡면부재(38)의 하측에 머무르면서 열풍(70)과 받침몸체부(31)가 접하는 시간이 증대되어 받침몸체부(31)의 가열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조리대상물(60)을 가열하고 받침부(30)의 상측으로 이동된 열풍(70)은 덮개부(80)의 내측에 반사된 후, 다시 덮개부(80)의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조리대상물(60)을 2차 가열하므로 조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조리대상물(60)을 가열하며 상측으로 이동된 열풍(70)이 덮개부(80)의 내측에 머무르면서 덮개부(80)의 내측 온도를 높이므로, 덮개부(80)의 하측에 있는 조리대상물(60)의 조리시간이 단축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를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인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2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가 전자조리기구의 내측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4)는, 열풍(70)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입구부(14)가 측면에 구비하는 하우징부(5)와, 하우징부(5)에 놓여지며 열풍(70)에 의해 조리되는 조리대상물(60)이 놓여지는 받침부(30)와, 받침부(30)를 덮어서 열풍(70)의 이동을 차단하는 덮개부(80)를 포함한다.
하우징부(5)는 하우징본체(20)와 다리부(40)를 포함하며, 하우징본체(20)의 내측으로 열풍(70)을 공급하는 입구부(24)는 하우징본체(20)의 측면을 따라 구비된다. 하우징본체(20)의 상측은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우징본체(20)의 하측은 다리부(40)에 의해 지지된다.
제4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본체(20)는, 하우징측면부(22)와 하우징저면부(25)와 내측가이드(26)를 포함한다.
하우징본체(20)의 측면을 형성하는 하우징측면부(22)는, 받침부(30)의 테두리를 지지하며 하측으로 연장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하우징측면부(22)의 둘레를 따라 설치된 입구부(24)는 하우징측면부(22)의 내측으로 열풍(70)이 이동되는 통로를 형성한다.
입구부(24)는 수평방향으로 장공을 형성하며, 이러한 입구부(24)가 하우징측면부(22)를 따라 복수 개 설치된다.
하우징측면부(22)의 하측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하우징저면부(25)는 하우징본체(20)의 저면을 형성한다.
입구부(24)의 상측은, 하우징본체(20)의 측방향에서 열풍(70)을 공급하는 열풍공급부(54)와 같거나 낮은 위치에 설치되므로, 열풍(70)이 입구부(24)의 내측으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
열풍공급부(54)에서 수평방향으로 공급되는 열풍(70)의 일부는 하우징본체(20)의 측면에 형성된 입구부(24)를 통해 하우징본체(20)의 내측으로 이동되며, 입구부(24)의 상측으로 이동하는 열풍(70)은 하우징측면부(12)의 곡면을 따라 하우징측면부(12)의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입구부(24)의 내측으로 유입되므로, 열풍(70)에 의한 조리대상물(60)의 가열시간이 단축된다.
하우징측면부(22)의 내측에 연결된 내측가이드(26)는, 하우징측면부(22)의 내측으로 연장되며, 입구부(24)를 통해 유입되는 열풍(70)의 이동을 안내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4실시예에 따른 내측가이드(26)는, 입구부(24)의 일측에서 하우징측면부(22)의 내측을 향하여 수평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입구부(24)의 내측으로 유입된 열풍(70)은 내측가이드(26)에 의해 안내되어 회오리바람을 형성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열풍(70)과 조리대상물(60)과의 접촉면적과 접촉시간이 증대된다.
덮개몸체(82)는 돔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받침부(30)를 덮어서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4)의 외측으로 이동하는 열풍(70)의 이동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덮개몸체(82)의 내측에 열풍(70)이 머무를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므로 조리대상물(60)의 가열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덮개몸체(82)의 하측에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받침부(60)의 테두리에 접하는 접합부재(84)가 구비되므로 열풍(70)의 이동을 차단할 수 있다.
접합부재(84)는 덮개몸체(82)의 하측에서 외측을 향하여 돌출된 형상으로 설치되며, 접합부재(84)의 하측은 받침부(60)의 커버부재(39)에 접하여 설치되므로 기밀성을 향상시킨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4)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열풍공급부(54)에서 발생된 열풍(70)은 하우징본체(20)의 측방향으로 이동되며, 하우징측면부(22)의 곡면을 따라 이동되는 열풍(70)은 입구부(24)를 통해 하우징본체(20)의 내측으로 이동된다.
입구부(24)를 통해 하우징본체(20)의 내측으로 이동되는 열풍(70)은 내측가이드(26)에 의해 이동이 안내되면서 하우징본체(20)의 내측에서 회전된다.
하우징본체(20)의 내측에서 회오리를 형성하는 열풍(70)은 받침부(30)의 하측에 형성된 제1지지부(34)의 하측을 따라 다시 회전하면서 회오리를 형성하므로, 열풍(70)에 의해 받침몸체부(31)와 조리대상물(60)이 접하는 시간이 증대되어 열효율이 향상되며, 조리대상물(60)의 조리시간도 단축된다.
또한 받침부(30)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되는 열풍(70)은 제2지지부(36)에 구비된 지지곡면부재(38)의 하측에 머무르면서 열풍(70)과 받침몸체부(31)가 접하는 시간이 증대되어 받침몸체부(31)의 가열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조리대상물(60)을 가열하고 받침부(30)의 상측으로 이동된 열풍(70)은 덮개부(80)의 내측에 반사된 후, 다시 덮개부(80)의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조리대상물(60)을 2차 가열하므로 조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조리대상물(60)을 가열하며 상측으로 이동된 열풍(70)이 덮개부(80)의 내측에 머무르면서 덮개부(80)의 내측 온도를 높이므로, 덮개부(80)의 하측에 있는 조리대상물(60)의 조리시간이 단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1,2,3,4실시예에 따른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1,2,3,4)는, 열풍(70)을 이용하여 받침부(30)에 올려진 조리대상물(60)을 가열시켜 튀김요리를 하므로, 기름 사용에 의한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조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부(5)의 내측으로 유입된 열풍(70)이 나선형으로 회전하면서 조리대상물(60)을 가열하므로, 열풍(70)과 조리대상물(60)이 접하는 시간이 증대되어 조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조리대상물(60)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곡면부재(38)가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조리대상물(60)과 받침부(30) 사이의 접촉면적이 감소되므로, 열풍(70)과 조리대상물(60)이 접하는 접촉면적이 증대되어 조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하우징본체(10,20)의 내측에서 받침부(30)를 통해 상측으로 이동된 열풍이 덮개부(80)의 내측에 머무르는 시간이 증가하므로, 조리대상물(60)의 가열시간이 단축되어 조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열풍 발생용 전자레인지에 설치된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열풍을 공급하는 다른 종류의 조리기기에도 본 발명에 의한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2,3,4: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 5: 하우징부
10, 20: 하우징본체 12, 22: 하우징측면부
14, 24: 입구부 15,25: 하우징저면부
16: 하우징내측부 17: 유입공간부
18: 가이드돌기 26: 내측가이드
30: 받침부 31: 받침몸체부
32: 받침테두리부 33: 받침중앙부
34: 제1지지부 35: 제1연결공
36: 제2지지부 37: 제2연결공
38: 지지곡면부재 39: 커버부재
40: 다리부 42: 다리프레임
43: 고정부재 44: 연장부재
45: 다리커버 46: 커버몸체
47: 장착홈 48: 차폐홈부
50: 전자조리기구 52: 상부히터부
54: 열풍공급부 60: 조리대상물
70: 열풍 80: 덮개부
82: 덮개몸체 84: 접합부재
86: 손잡이부재

Claims (23)

  1. 열풍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입구부를 구비하는 하우징부; 및
    상기 하우징부에 놓여지며, 열풍에 의해 조리되는 조리대상물이 놓여지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를 덮어서 열풍의 이동을 차단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입구부가 하측에 구비되며, 상측은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우징본체; 및
    상기 하우징본체를 지지하는 다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본체는, 상기 받침부의 테두리를 지지하며 하측으로 연장되는 하우징측면부;
    상기 하우징측면부의 하측에서 상기 하우징측면부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하우징저면부; 및
    상기 하우징저면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입구부에 연결되는 하우징내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측면부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본체의 내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본체의 상측은, 상기 하우징본체의 측방향에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부와 같거나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저면부는 환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저면부에 상기 다리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내측부의 내측에는 상기 입구부와 연통되는 유입공간부가 구비되며,
    상기 유입공간부와 마주하는 상기 하우징내측부는 볼록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본체는, 상기 유입공간부와 마주하는 상기 하우징내측부의 측면에 나선 형상으로 돌출되어 열풍의 회전을 안내하는 가이드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입구부가 측면을 따라 구비되며, 상측은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우징본체; 및
    상기 하우징본체의 하측을 지지하는 다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본체는, 상기 받침부의 테두리를 지지하며 상기 입구부가 둘레를 따라 복수 개 설치되는 하우징측면부; 및
    상기 하우징측면부의 하측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하우징저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부의 상측은, 상기 하우징본체의 측방향에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부와 같거나 낮은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본체는, 상기 하우징측면부의 내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입구부를 통해 유입되는 열풍의 이동을 안내하는 내측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가이드는, 상기 입구부의 일측에서 상기 하우징측면부의 내측을 향하여 수평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
  1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열풍이 이동되는 연통공이 복수 개 구비되는 받침몸체부; 및
    상기 받침몸체부의 외측 테두리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몸체부는, 상기 커버부재의 내측에 위치하며, 환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받침테두리부;
    상기 받침테두리부의 가운데에 위치하는 받침중앙부;
    열풍이 통과하는 제1연결공을 구비하며, 상기 받침중앙부에서 상기 받침테두리부를 향하여 나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제1지지부; 및
    상기 제1지지부와 이웃한 상기 제1지지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열풍이 통과하는 제2연결공이 복수개 구비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제1지지부보다 하측으로 더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받침중앙부를 중심으로 원호 형상으로 설치되며, 상측을 향하여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곡면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
  1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받침부의 상측을 차폐하는 돔 형상의 덮개몸체; 및
    상기 덮개몸체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손잡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몸체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받침부의 테두리에 접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
  2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외측에 고정되는 와이어 형상의 다리프레임; 및
    상기 다리프레임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다리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프레임은, 상기 하우징부의 하측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의 양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커버는, 상기 연장부재가 삽입되는 장착홈을 구비하는 커버몸체; 및
    상기 고정부재를 감싸는 형상으로 홈을 형성하며 상기 커버몸체에 연결되는 차폐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
KR1020130047942A 2013-04-30 2013-04-30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 KR101485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7942A KR101485918B1 (ko) 2013-04-30 2013-04-30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
US14/086,740 US9055842B2 (en) 2013-04-30 2013-11-21 Cooking container for electronic oven
EP13194104.9A EP2798984B1 (en) 2013-04-30 2013-11-22 Cooking container
JP2013243112A JP5797250B2 (ja) 2013-04-30 2013-11-25 電子調理器具用調理容器
CN201711268611.4A CN108078414A (zh) 2013-04-30 2013-11-27 烹饪容器
CN201711269610.1A CN108041998A (zh) 2013-04-30 2013-11-27 烹饪容器
CN201310637675.2A CN104223972B (zh) 2013-04-30 2013-11-27 烹饪容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7942A KR101485918B1 (ko) 2013-04-30 2013-04-30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9534A true KR20140129534A (ko) 2014-11-07
KR101485918B1 KR101485918B1 (ko) 2015-01-26

Family

ID=49683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7942A KR101485918B1 (ko) 2013-04-30 2013-04-30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055842B2 (ko)
EP (1) EP2798984B1 (ko)
JP (1) JP5797250B2 (ko)
KR (1) KR101485918B1 (ko)
CN (3) CN104223972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07162A (zh) * 2016-06-14 2017-08-04 张毅蔚 用气流烤炉
EP3985311A1 (en) 2020-10-19 2022-04-20 LG Electronics Inc. Cooking applian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30680S1 (en) * 2013-10-31 2015-06-02 Cheep Monkey Companies, Inc. Cooker
USD766648S1 (en) * 2014-11-07 2016-09-20 Kittrich Corporation Disposable foil pan
JP1557838S (ko) * 2015-08-24 2016-09-05
JP1557837S (ko) * 2015-08-24 2016-09-05
JP1557840S (ko) * 2016-02-17 2016-09-05
USD795003S1 (en) * 2016-02-17 2017-08-22 Jin Hee Lee Cooking pan for use in heating cookers
USD795634S1 (en) * 2016-02-17 2017-08-29 Jin Hee Lee Cooking pan for use in heating cookers
USD764868S1 (en) * 2016-03-11 2016-08-30 Robert S. Krolick Pizza grill baker
US20170332840A1 (en) * 2016-05-19 2017-11-23 Leopard Industries, Inc. Cooktop Insert
CN106211403A (zh) * 2016-08-05 2016-12-07 中山市通威电器有限公司 一种3d立体加热线圈盘
CN107355983A (zh) * 2017-07-21 2017-11-17 深圳市康宝耐电子科技有限公司 风热型保温加热底座
GB2569095B (en) * 2017-10-16 2020-06-17 Wilkinson China Ltd Heatproof carrier for food preparation and method
KR102169597B1 (ko) * 2020-01-15 2020-10-23 주식회사 신성실리콘 에어 프라이어용 용기
US20210388995A1 (en) * 2020-06-11 2021-12-16 Ovention,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okware having heat conductive elements, and an oven utilizing the cookware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56238A (en) * 1921-01-08 1923-05-22 Ivancic Alma Baking device
US3439603A (en) * 1966-06-22 1969-04-22 Robert L Reames Cooking utensil
US4197611A (en) * 1978-09-14 1980-04-15 Lincoln Manufacturing Company, Inc. Hand grip for cooking utensil handle
US4384513A (en) * 1981-05-07 1983-05-24 Pierick Richard L Apparatus for preparing pizza in a baking oven
US4728762A (en) * 1984-03-22 1988-03-01 Howard Roth Microwave heating apparatus and method
JPH034184Y2 (ko) * 1985-05-30 1991-02-04
KR900701208A (ko) * 1988-07-06 1990-12-01 원본미기재 열기 조리장치
US4979440A (en) * 1989-03-30 1990-12-25 Latour Joseph L BBQ grill insert
FR2667496B2 (fr) * 1990-03-30 1994-08-26 Seb Sa Recipient de cuisson a fond indeformable a la chaleur.
US5357850A (en) * 1990-03-30 1994-10-25 Seb S.A. Cooking vessel having a base which is non-deformable under the action of heat
GB2261360A (en) * 1991-10-05 1993-05-19 Waying Hhs Taiwan Ltd A cooking device provided with a draining means
US5503063A (en) * 1994-02-03 1996-04-02 Ekco Housewares, Inc. Pizza crisper
US5365833A (en) * 1994-03-08 1994-11-22 Chen Ming Jing Pizza baking pan
JPH10137111A (ja) * 1996-11-11 1998-05-26 Yoshino:Kk 加熱調理器
KR200141789Y1 (ko) 1996-12-26 1999-06-01 한동선 연속자동 식품 튀김기
US6198076B1 (en) * 1999-11-17 2001-03-06 National Presto Industries, Inc. Convection oven
CN2421915Y (zh) * 2000-03-20 2001-03-07 中国太平洋贸易有限公司 具蒸笼的椭圆形电饭煲
US6196115B1 (en) * 2000-08-03 2001-03-06 Mindy Tsao Structure of a multi-function cooking utensil
AT409582B (de) * 2000-08-09 2002-09-25 Holl Josef Heissluftdeckel
US6360654B1 (en) * 2001-02-16 2002-03-26 Randall Cornfield Multi-purpose cookware
US6782801B1 (en) * 2003-11-10 2004-08-31 Jose Correa Stove top barbecue
JP5132214B2 (ja) * 2007-07-23 2013-01-30 ユーアイシー株式会社 ピザ焼き容器とその容器を用いたピザを焼く方法
JP5183574B2 (ja) * 2008-06-09 2013-04-17 俊奎 朴 簡便調理器
KR100907608B1 (ko) * 2008-06-09 2009-07-14 박준규 간편 조리기
KR101032528B1 (ko) * 2009-06-08 2011-05-04 푸드인 주식회사 직화 가열용 조리기구
KR20110004463U (ko) * 2009-10-29 2011-05-06 박용윤 직화형 조리기구
KR101147407B1 (ko) * 2010-03-29 2012-05-22 김정애 다용도 조리기
JP5630762B2 (ja) * 2010-05-21 2014-11-26 リンナイ株式会社 調理容器およびその蓋
CN201709286U (zh) * 2010-06-24 2011-01-19 宁波时代铝箔制品有限公司 铝箔烤盘
CN102657483B (zh) * 2012-04-18 2015-01-07 吴雪红 一种烧烤锅
CN202636700U (zh) * 2012-05-31 2013-01-02 吕挺 吸热式油炸篮
CN202775936U (zh) * 2012-07-25 2013-03-13 林武洲 一种改进型多功能无油旋风电烤炉
CN203262129U (zh) * 2013-01-17 2013-11-06 温岭市安派燃气设备有限公司 一种两侧加热式电烤炉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07162A (zh) * 2016-06-14 2017-08-04 张毅蔚 用气流烤炉
EP3985311A1 (en) 2020-10-19 2022-04-20 LG Electronics Inc. Cooking appliance
US11940156B2 (en) 2020-10-19 2024-03-26 Lg Electronics Inc. Cooking appli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078414A (zh) 2018-05-29
CN104223972B (zh) 2018-01-09
JP5797250B2 (ja) 2015-10-21
JP2014217737A (ja) 2014-11-20
EP2798984A1 (en) 2014-11-05
CN104223972A (zh) 2014-12-24
US9055842B2 (en) 2015-06-16
US20140319151A1 (en) 2014-10-30
CN108041998A (zh) 2018-05-18
EP2798984B1 (en) 2017-06-28
KR101485918B1 (ko) 2015-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5918B1 (ko)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
KR101520611B1 (ko) 조리장치
KR101577496B1 (ko) 조리장치
KR101513456B1 (ko) 조리장치
KR101520612B1 (ko) 조리장치
KR101577497B1 (ko) 조리장치
KR101586532B1 (ko) 조리장치
EP1913853B1 (en) Apparatus for cooking food products in a quick manner on both sides thereof
CN104274065A (zh) 多功能炊具
KR20120005391U (ko) 이물질 배출 구조를 구비한 구이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