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7496B1 - 조리장치 - Google Patents

조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7496B1
KR101577496B1 KR1020130047943A KR20130047943A KR101577496B1 KR 101577496 B1 KR101577496 B1 KR 101577496B1 KR 1020130047943 A KR1020130047943 A KR 1020130047943A KR 20130047943 A KR20130047943 A KR 20130047943A KR 101577496 B1 KR101577496 B1 KR 101577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hot air
opening
closing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7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9535A (ko
Inventor
김한주
Original Assignee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47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7496B1/ko
Priority to US14/085,743 priority patent/US9341382B2/en
Priority to EP13194012.4A priority patent/EP2799779B1/en
Priority to JP2013243113A priority patent/JP5723953B2/ja
Priority to CN201310618164.6A priority patent/CN104138194A/zh
Publication of KR20140129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95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7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7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 F24C15/32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C15/325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electrically-heat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5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ve energy, irradiation, electrical means or magnetic fields, e.g. oven cooking or roasting using radiant dry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6Shelves, racks or trays inside ovens; Suppor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 F24C15/32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가 조리실을 이루는 캐비티부와, 캐비티부에 설치되고, 캐비티부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도어부와, 캐비티부의 상방, 후방, 하방 중 적어도 어느 한 곳 이상에 배치되고, 조리실에 공급되는 열풍을 생성하는 히터부와, 열풍이 유입되는 입구부를 갖는 하우징부와, 하우징부에 안착되고 열풍에 의해 조리되는 조리대상물이 놓이는 받침부를 구비하고, 조리실에 안치되는 조리용기와, 조리용기에 놓인 조리대상물과 접촉되어 조리대상물을 섞는 교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리장치{COOKING APPARATUS}
본 발명은 조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조리와 더불어 열풍을 이용하여 튀김조리를 할 수 있는 조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튀김은 생선이나 고기, 채소 따위의 다양한 재료에 밀가루나 튀김가루 등을 묻혀서 기름에 튀기는 방법으로 조리된다.
튀김조리에 사용되는 기름은 산화가 빨리 되기 때문에 기름을 새 것으로 자주 교환해야 하며, 튀김조리에 사용된 기름의 보관과 재사용에 어려움이 있어서 조리비용이 상승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995-0044155호(1998.09.25 공개, 발명의 명칭: 연속자동 식품 튀김기)에 개시되어 있다.
기름을 이용하여 조리대상물을 튀기는 경우에 기름이 고온으로 가열되므로 기름에 의한 화상 등의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존재한다. 또한 해동된 조리대상물을 튀기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동과 튀김조리가 각각 다른 조리장치에서 진행되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튀김조리는 조리대상물의 내부보다는 외부에 더 많은 열을 가하게 되므로 조리대상물의 내부와 외부가 고르게 익지 않는 상황이 종종 발생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리대상물이 보유하고 있는 지방 성분을 이용하여 튀김조리를 수행하므로 고온의 기름에 의한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조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리대상물의 해동과 튀김조리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조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튀김조리 시 조리대상물의 내부와 외부를 고르게 익힐 수 있는 조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장치는: 내부가 조리실을 이루는 캐비티부; 상기 캐비티부에 설치되고, 상기 캐비티부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도어부; 상기 캐비티부의 상방, 후방, 하방 중 적어도 어느 한 곳 이상에 배치되고, 상기 조리실에 공급되는 열풍을 생성하는 히터부; 열풍이 유입되는 입구부를 갖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에 안착되고 열풍에 의해 조리되는 조리대상물이 놓이는 받침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리실에 안치되는 조리용기; 및 상기 조리용기에 놓인 조리대상물과 접촉되어 조리대상물을 섞는 교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교반부는, 상기 캐비티부의 측벽판에 걸림 고정되고, 상기 조리실을 가로지르는 교반몸체; 및 상기 교반몸체의 둘레면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조리대상물과 접촉되는 접촉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판은 외측 단부에 복수 개의 절개판부를 구비할 수 있다.
서로 마주보는 상기 측벽판 각각에는 상기 교반몸체가 끼워지는 몸체지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교반부는, 상기 캐비티부의 측벽판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조리실을 가로지르는 교반몸체; 상기 교반몸체의 둘레면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조리대상물과 접촉되는 접촉판; 및 상기 교반몸체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교반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판은 상기 교반몸체에 복수 개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접촉판은 외측 단부에 복수 개의 절개판부를 구비할 수 있다.
서로 마주보는 상기 측벽판 각각에는 상기 교반몸체를 지지하는 몸체지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반조리와 더불어 튀김조리를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조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리대상물이 보유하고 있는 지방 성분을 이용하여 튀김조리를 수행하므로 고온의 기름에 의한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기름의 미사용에 따른 조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리대상물의 해동과 튀김조리를 하나의 조리장치에서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이크로웨이브와 열풍을 이용하여 튀김조리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튀김조리 시 조리대상물의 내부와 외부를 고르게 익힐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입개폐부를 통해 조리실 내부로 공급되는 열풍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어 조리모드에 따른 최적의 조리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순환덕트부를 통해 조리실의 외부로 배출되는 고온의 공기를 다시 조리실 내부로 순환시킬 수 있어 열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덕트개폐부를 통해 고온의 공기가 조리실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열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리용기의 하우징부의 내측으로 유입된 열풍이 나선형으로 회전하면서 조리대상물을 가열하므로 열풍과 조리대상물이 접하는 시간이 증대되어 조리시간의 단축 및 조리성능의 향상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리대상물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곡면부가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조리대상물과 받침부 사이의 접촉면적이 감소되므로 열풍과 조리대상물이 접하는 접촉면적이 증대되어 조리시간의 단축 및 조리성능의 향상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히터부에서 토출된 열풍 가운데 하우징측면부로 이동하는 열풍은 하우징측면부의 곡면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입구부로 유입되므로 열풍의 손실을 줄여 조리시간의 단축 및 조리성능의 향상을 이룰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에서 도어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에서 도어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에서 캐비티부와 캐비넷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에서 캐비티부와 컨벡션히터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에서 컨벡션히터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에서 캐비티부와 상부히터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에서 상부히터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에서 하부히터부가 하벽판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에서 하부히터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에서 순환덕트부의 내부 유로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에서 순환덕트부의 내부 유로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에서 후벽판의 유입홀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에서 후벽판의 유입홀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에서 후벽판의 유입홀부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제어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반부가 조리실에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반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교반부가 조리실에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교반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용 조리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용 조리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용 조리용기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용 조리용기의 하우징본체와 받침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용 조리용기에서 받침부의 후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용 조리용기에서 다리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용 조리용기에 제1실시예의 교반부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용 조리용기에 제2실시예의 교반부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용 조리용기에서 하우징본체의 변형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용 조리용기에서 하우징본체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용 조리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용 조리용기에서 하우징본체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용 조리용기에 제1실시예의 교반부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용 조리용기에 제2실시예의 교반부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에서 배기홀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에서 배기홀부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제어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리장치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에서 도어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에서 도어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에서 캐비티부와 캐비넷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에서 캐비티부와 컨벡션히터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에서 컨벡션히터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에서 캐비티부와 상부히터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에서 상부히터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에서 하부히터부가 하벽판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에서 하부히터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에서 순환덕트부의 내부 유로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에서 순환덕트부의 내부 유로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에서 후벽판의 유입홀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에서 후벽판의 유입홀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배면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에서 후벽판의 유입홀부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제어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 도 6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는 캐비티부(100), 도어부(200), 캐비넷부(205), 컨벡션히터부(300), 제어부(500), 상부히터부(600), 하부히터부(8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캐비티부(cavity, 100)는 내부가 조리실(C)을 이룬다. 따라서 조리대상물(60)은 캐비티부(100)의 개방부를 통해 조리실(C)에 입출되고, 조리실(C)에 놓여진 상태에서 조리된다.
캐비티부(100)는 좌측면을 이루는 좌측벽판(110), 하면을 이루는 하벽판(120), 우측면을 이루는 우측벽판(130), 상면을 이루는 상벽판(140), 전면을 이루는 전벽판(150), 후면을 이루는 후벽판(16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좌측벽판(110)과 하벽판(120), 그리고 우측벽판(130)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므로, 별개로 형성된 후 나사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일체화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좌측벽판(110)에는 배기홀부(111)가 구비될 수 있다. 배기홀부(111)를 통해 조리실(C) 내부의 공기는 조리실(C)의 외부로 배출된다.
배기홀부(111)를 통한 공기의 배출로 인해, 일반조리 시에 조리실(C) 내부의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과, 조리실(C) 내부가 스팀이나 연기 등으로 가득하게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처럼 배기홀부(111)에 의해 조리장치는 일반조리 시에 조리운전을 안정하게 행할 수 있다.
도 2,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하벽판(120)의 하방에는 조리장치의 하면을 이루는 베이스부(215)가 배치된다. 베이스부(215)는 체결부재 등에 의해 하벽판(1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하벽판(120)과 베이스부(215)의 사이 공간에는 회전판구동부(미도시)가 배치된다. 회전판구동부는 하벽판(120)을 관통하여 하벽판(120)의 상방에 배치되는 회전판(270)과 축결합된다. 따라서 회전판구동부에서의 동력 제공에 의해 회전판(270)의 회전 작동이 진행된다.
회전판(270)은 그 위에 조리용기(1,2)가 놓여질 수 있도록 평평한 원형의 판재로 이루어진다.
우측벽판(130)에는 흡기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흡기구를 통해 조리실(C) 외부의 공기가 조리실(C)의 내부로 유입된다. 흡기구를 통한 공기의 유입으로 인해, 일반조리 시에 조리실(C) 내부의 공기는 배기홀부(111)를 통해 조리실(C)의 외부로 보다 원활하게 배출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벽판(140)은 좌측벽판(110)과 우측벽판(130)에 나사와 같은 체결부재 등에 의해 결합된다. 상벽판(140)에는 상부히터홀부(141)가 구비될 수 있다. 상부히터홀부(141)는 상벽판(140)의 상방에 상부히터(710)가 배치될 때 상부히터(710)에서 생성되는 열을 조리실(C)로 공급하는 경로를 이룬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히터홀부(141)는 복수 개의 구멍이 조밀하게 대략 등간격으로 배열되면서 이루어진다.
도 2,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전벽판(150)은 좌측벽판(110), 하벽판(120), 우측벽판(130) 및 상벽판(140)의 전단부와 결합된다. 전벽판(150)에는 조리실(C)과 연통되는 전벽홀부(151)가 구비된다.
전벽판(150)에는 컨트롤패널부(210)가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컨트롤패널부(210)는 전벽판(150)의 우측부에 배치되고, 그 좌측에는 전벽홀부(151)를 개폐하는 도어부(200)가 배치된다.
컨트롤패널부(210)는 전원스위치를 포함하여 조리장치의 각종 조리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컨트롤버튼이 배열된다. 컨트롤버튼을 누르게 되면 선택 신호가 제어부(500)에 전달되어 선택된 조리기능이 수행된다.
도 4,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후벽판(160)에는 조리실(C)로 공기를 공급하는 유입홀부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유입홀부는 후벽판(160)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유입홀부(161)와, 후벽판(160)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유입홀부(162)를 포함한다.
상부유입홀부(161)와 하부유입홀부(162)는 상부유입홀부(161)와 하부유입홀부(162)의 사이에 위치하는 배출홀부(165)를 중심으로 대략 대칭되게 배치된다. 따라서 상부유입홀부(161)와 하부유입홀부(162)는 배출홀부(165)에 의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유입홀부는 후벽판(160)의 좌측부에 형성되는 좌측부유입홀부(163)와, 후벽판(160)의 우측부에 형성되는 우측부유입홀부(1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좌측부유입홀부(163)와 우측부유입홀부(164)는 배출홀부(165)를 중심으로 대략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컨벡션히터부(300)에 의해 생성되는 열풍은 유입홀부, 즉 상부유입홀부(161)와 하부유입홀부(162)와 좌측부유입홀부(163), 그리고 우측부유입홀부(164)를 통해 조리실(C)로 유입된다.
상부유입홀부(161)는 후벽판(160)의 상부에 복수 개의 구멍이 수평방향으로 조밀하게 대략 등간격으로 형성되면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컨벡션히터부(300)에서 생성되는 열풍은 상부유입홀부(161) 상에서 특정 방향성을 가지지 않은 채 조리실(C)로 고르게 유입될 수 있다.
하부유입홀부(162)는 후벽판(160)의 하부에 복수 개의 구멍이 수평방향으로 조밀하게 대략 등간격으로 형성되면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컨벡션히터부(300)에서 생성되는 열풍은 하부유입홀부(162) 상에서 특정 방향성을 가지지 않은 채 조리실(C)로 고르게 유입될 수 있다.
좌측부유입홀부(163)는 후벽판(160)의 좌측부에 복수 개의 구멍이 수직방향으로 조밀하게 대략 등간격으로 형성되면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컨벡션히터부(300)에서 생성되는 열풍은 좌측부유입홀부(163) 상에서 특정 방향성을 가지지 않은 채 조리실(C)로 고르게 유입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우측부유입홀부(164)도 후벽판(160)의 우측부에 복수 개의 구멍이 수직방향으로 조밀하게 대략 등간격으로 형성되면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컨벡션히터부(300)에서 생성되는 열풍은 우측부유입홀부(164) 상에서 특정 방향성을 가지지 않은 채 조리실(C)로 고르게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상부유입홀부(161)와 하부유입홀부(162), 그리고 좌측부유입홀부(163)와 우측부유입홀부(164)가 배출홀부(165)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배치되므로, 컨벡션팬(320)에 의해 유발되는 열풍의 흐름이 후벽판(160)의 형상 및 배치에 의해 방해받지 않게 된다.
후벽판(160)에는 배출홀부(165)가 중앙부에 구비된다. 따라서 배출홀부(165)를 중심으로 상측에는 상부유입홀부(161)가 배치되고, 좌측에는 좌측부유입홀부(163)가 배치되고, 하측에는 하부유입홀부(163)가 배치되고, 우측에는 우측부유입홀부(164)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배출홀부(165)의 후방에는 컨벡션팬(320)이 배치된다. 배출홀부(165)가 형성되는 후벽판(160) 부위는 다른 후벽판(160) 부위에 비해 조리실(C)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컨벡션팬(320)의 전방 배치가 가능하므로 조리장치의 전후 길이를 줄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도어부(200)는 캐비티부(100)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도어부(200)는 전벽판(150)에 힌지 결합되는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다.
도어부(200)는 캐비티부(100)의 개방부, 즉 전벽판(150)의 전벽홀부(151)를 개방하거나 폐쇄한다. 도어부(200)의 개방 시에는 조리용기(1,2)의 출입이 가능하고, 도어부(200)의 폐쇄 시에는 조리대상물의 조리를 수행할 수 있다.
캐비넷부(205)는 조리장치의 상면과 양측면을 이루면서 전벽판(150)과 후벽판(160)과 함께 캐비티부(100)와 전장실(E)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한다. 조리장치의 하면은 베이스부(215)로 이루어진다. 베이스부(215)는 하벽판(120)과 결합되고, 캐비넷부(205)의 하단부와 맞닿으면서 조리장치의 하면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한다.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컨벡션히터부(300)는 후벽판(160)에 설치되고, 유입홀부를 통해 조리실(C)에 공급되는 열이 생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컨벡션히터부(300)는 컨벡션히터(310), 컨벡션팬(320), 컨벡션모터(330) 및 컨벡션히터커버(3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컨벡션히터부(300)는 컨벡션절연커버(350)와 냉각팬(3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컨벡션히터(310)는 후벽판(160)의 후방에 배치되고, 열원으로서 열을 생성한다. 컨벡션히터(310)에서 생성되는 열에 의해 컨벡션히터(310)의 주위, 특히 컨벡션히터커버(340) 내부의 공기는 가열되고, 이후 컨벡션팬(320)의 작동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열풍으로 조리실(C)에 공급된다. 본 실시예에서 컨벡션히터(310)는 컨벡션팬(32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상측과 하측에 한 쌍이 배치된다.
컨벡션팬(320)은 후벽판(160)의 후방에 배치된다. 컨벡션팬(320)은 컨벡션모터(330)에서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어 컨벡션히터(310)에 의해 가열된 컨벡션히터커버(340) 내부의 공기를 조리실(C)에 공급한다.
가열된 공기, 즉 열풍은 후벽판(160)의 유입홀부를 통해 조리실(C)에 공급된다. 조리실(C) 내부의 공기는 배출홀부(165)를 통해 컨벡션히터커버(340) 내부로 안내되어 컨벡션히터(310)에 의해 가열된 후 다시 유입홀부를 통해 조리실(C)에 공급된다.
컨벡션모터(330)는 컨벡션팬(320), 그리고 컨벡션냉각팬(360)과 결합되어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원이다. 컨벡션모터(330)와 컨벡션히터(310)의 사이에는 컨벡션히터커버(340)와 컨벡션절연커버(350)가 배치된다.
이로써 컨벡션히터(310)에서 생성되는 열이 컨벡션모터(330)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때 컨벡션모터(330)의 동력전달축은 컨벡션히터커버(340)와 컨벡션절연커버(350)를 관통하여 컨벡션팬(320)과 결합된다.
컨벡션히터커버(340)는 컨벡션히터(310)와 컨벡션팬(320)을 둘러싸도록 후벽판(160)에 나사와 같은 체결부재 등에 의해 장착된다. 컨벡션히터커버(340)에는 컨벡션히터(310)가 장착되는 컨벡션히터장착홀부(341)가 구비될 수 있다.
컨벡션히터커버(340)는 후벽판(160)과의 사이에 소정 크기의 공간을 형성한다. 따라서 컨벡션히터(310)의 작동에 의해 컨벡션히터커버(340)로 구획되는 공간 내의 공기는 가열될 수 있다.
컨벡션절연커버(350)는 컨벡션히터커버(340)를 둘러싼 채 후벽판(160)에 나사와 같은 체결부재 등에 의해 결합된다. 컨벡션히터커버(340)와 컨벡션절연커버(350)는 나사와 같은 체결부재 등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컨벡션절연커버(350)는 절연 재질, 즉 절연성이 우수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컨벡션히터(310)에서 발생되는 열이 컨벡션절연커버(350)의 외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컨벡션냉각팬(360)은 컨벡션모터(330)와 결합된다. 따라서 컨벡션모터(330)의 작동 시 컨벡션냉각팬(360)이 연동하여 회전되므로, 컨벡션모터(330)에서 생성되는 자체 열을 컨벡션냉각팬(360)으로 냉각할 수 있다. 컨벡션냉각팬(360)에 의해 컨벡션모터(330)와 접한 외부 공기는 백커버(220)에 형성되는 홀부를 통해 다시 외부로 배출된다.
컨벡션모터(330)는 전방에 컨벡션절연커버(350)가 배치되고, 후방에 컨벡션냉각팬(360)이 설치됨에 따라, 컨벡션히터(310)에서 생성되는 열이나 자체 열에 의해 열화 손상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컨벡션모터(330) 하나로 컨벡션팬(320)과 컨벡션냉각팬(360)의 회전을 동시에 이룰 수 있으므로, 조리장치의 전후 길이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컨벡션히터부(300)는 백커버(220)에 의해 둘러싸인다. 백커버(220)는 최후방에 배치되는 컨벡션모터(330)와 컨벡션냉각팬(360)을 포함한 컨벡션히터부(300) 전체를 둘러싸면서 후벽판(160)에 나사와 같은 체결부재 등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컨벡션히터부(300)에 의하면, 컨벡션히터커버(340) 내부에서 가열된 공기가 조리실(C)에 바로 공급되므로, 조리대상물과 고온 공기의 직접 접촉에 의해 조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조리성능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부히터부(700)는 상벽판(140)에 설치되고, 상부히터(710)와 상부히터커버(7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부히터부(700)는 상부절연커버(730)와 상부팬(740) 및 상부모터(7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히터(710)는 상벽판(140)의 상방에 배치되고, 열원으로서 열을 생성한다. 상부히터(710)에서 생성되는 열에 의해 상부히터(710)의 주위, 특히 상부히터커버(720) 내부의 공기는 가열되고, 이후 상부팬(740)의 작동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상부히터홀부(141)를 통해 열풍으로 조리실(C)에 공급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히터(710)는 상부팬(74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이 배치된다.
상부히터커버(720)는 상부히터(710)와 상부팬(740)을 둘러싸도록 상벽판(140)에 나사와 같은 체결부재 등에 의해 장착된다. 상부히터(710)는 상부히터장착부(721)를 통해 상부히터커버(720)에 장착될 수 있다.
상부히터커버(720)는 상벽판(140)과의 사이에 소정 크기의 공간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부히터(710)의 작동에 의해 상부히터커버(720)로 구획되는 공간 내의 공기는 가열될 수 있다.
상부절연커버(730)는 상부히터(710)와 상부히터커버(720)의 사이에서 상부히터(710)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상부절연커버(730)는 나사와 같은 체결부재 등에 의해 상부히터커버(720)에 결합된다.
상부절연커버(730)는 절연 재질, 즉 절연성이 우수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부히터(710)에서 발생되는 열이 상부절연커버(730)의 외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부팬(740)은 상벽판(140)의 상방에 배치된다. 상부팬(740)은 상부모터(750)에서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어 상부히터(710)에 의해 가열된 상부히터커버(720) 내부의 공기를 조리실(C)에 공급한다. 가열된 공기, 즉 열풍은 상벽판(140)의 상부히터홀부(141)를 통해 조리실(C)에 공급된다.
상부모터(750)는 상부팬(740)과 결합되어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원이다. 상부모터(750)와 상부히터(710)의 사이에는 상부절연커버(730)와 상부히터커버(720)가 배치된다.
이로써 상부히터(710)에서 생성되는 열이 상부모터(750)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때 상부모터(750)의 동력전달축은 상부절연커버(730)와 상부히터커버(720)를 관통하여 상부팬(740)과 결합된다.
한편, 상부히터부(700)에는 상부모터(750)를 냉각시키기 위한 상부냉각팬(미도시)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부냉각팬은 상부모터(750)의 작동 시 연동되어 회전되도록 상부모터(750)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부히터부(700)는 캐비넷부(205)에 의해 둘러싸이면서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전장실(E)에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생성하는 마그네트론(240)과, 마그네트론(240)에 고전압을 공급하는 고압트랜스(245), 전장실(E) 내부의 각종 전장부품을 냉각하는 쿨링팬부(250)가 설치된다.
도 5,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하부히터부(800)는 하벽판(120)에 설치되고, 하부히터(810)와 하부히터커버(8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하부히터부(800)는 하부절연커버(830)와 하부팬(840) 및 하부모터(8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부히터(810)는 하벽판(120)의 하방에 배치되고, 열원으로서 열을 생성한다. 하부히터(810)에서 생성되는 열에 의해 하부히터(810)의 주위, 특히 하부히터커버(820) 내부의 공기는 가열되고, 이후 하부팬(840)의 작동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하부히터홀부(121)를 통해 열풍으로 조리실(C)에 공급된다. 본 실시예에서 하부히터(810)는 하부팬(84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이 배치된다.
하부히터커버(820)는 하부히터(810)와 하부팬(840)을 둘러싸도록 하벽판(120)에 나사와 같은 체결부재 등에 의해 장착된다. 하부히터(810)는 하부히터장착부(821)를 통해 하부히터커버(820)에 장착될 수 있다.
하부히터커버(820)는 하벽판(120)과의 사이에 소정 크기의 공간을 형성한다. 따라서 하부히터(810)의 작동에 의해 하부히터커버(820)로 구획되는 공간 내의 공기는 가열될 수 있다.
하부절연커버(830)는 하부히터(810)와 하부히터커버(820)의 사이에서 하부히터(810)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하부절연커버(830)는 나사와 같은 체결부재 등에 의해 하부히터커버(820)에 결합된다.
하부절연커버(830)는 절연 재질, 즉 절연성이 우수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하부히터(810)에서 발생되는 열이 하부절연커버(830)의 외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하부팬(840)은 하벽판(120)의 하방에 배치된다. 하부팬(840)은 하부모터(850)에서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어 하부히터(810)에 의해 가열된 하부히터커버(820) 내부의 공기를 조리실(C)에 공급한다. 가열된 공기, 즉 열풍은 하벽판(120)의 하부히터홀부(121)를 통해 조리실(C)에 공급된다.
하부모터(850)는 하부팬(840)과 결합되어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원이다. 하부모터(850)와 하부히터(810)의 사이에는 하부절연커버(830)와 하부히터커버(820)가 배치된다.
이로써 하부히터(810)에서 생성되는 열이 하부모터(850)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때 하부모터(850)의 동력전달축은 하부절연커버(830)와 하부히터커버(820)를 관통하여 하부팬(840)과 결합된다.
한편, 하부히터부(800)에는 하부모터(850)를 냉각시키기 위한 하부냉각팬(미도시)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하부냉각팬은 하부모터(850)의 작동 시 연동되어 회전되도록 하부모터(850)에 축결합될 수 있다. 하부히터부(800)는 베이스부(215)에 의해 둘러싸이면서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된다.
도 4, 도 14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는 유입개페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입개폐부(400)는 유입홀부를 개폐하여 조리실(C)로 공급되는 열의 양을 조절한다. 본 실시예에서 유입개폐부(400)는 상부개폐부(4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유입개폐부(400)는 측부유입홀부(163,164)가 추가로 구비되는 경우에 측부개폐부(420,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개폐부(410)는 상부유입홀부(161)를 개폐한다. 상부개폐부(410)는 상부유입홀부(161)를 조리모드에 따라 개방하거나 폐쇄하게 된다. 일반조리 시에 상부개폐부(410)는 상부유입홀부(161)를 개방하여 상부유입홀부(161)를 통해서도 컨벡션히터부(300)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조리실(C)로 유입되도록 한다. 반대로 튀김조리 시에 상부개폐부(410)는 상부유입홀부(161)를 폐쇄하여 반대편인 하부유입홀부(162)를 통해서만 가열된 공기가 조리실(C)로 유입되도록 한다.
여기서 튀김조리는 조리대상물이 보유하고 있는 지방 성분을 이용하여 조리대상물을 튀기는 것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히터부(300, 700)를 작동시킨 상태에서 조리대상물을 공기튀김 전용인 조리용기(1,2,3,4)에 넣은 상태에서 조리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의 튀김조리는 공기튀김조리를 일컫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상부개폐부(410)는 상부레일부(411)와 상부개폐문(412)을 포함한다. 상부레일부(411)는 후벽판(160)의 후면에 설치되고, 상부유입홀부(161)의 상방과 하방에 각각 한 쌍이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상부개폐문(412)은 한 쌍의 상부레일부(411)에 의해 좌우 슬라이드 이동이 안내되도록 상부레일부(411)에 안착된다.
상부레일부(411)와 상부개폐문(412)은 컨벡션히터부(300)에서 생성되는 열풍에 의해 열화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내열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부개폐문(412)에는 상부개폐손잡이(412a)가 형성될 수 있다. 상부개폐손잡이(412a)에 대응되도록 후벽판(160)에는 상부장홀부(161a)가 형성될 수 있다.
상부개폐손잡이(412a)는 상부개폐문(412)의 전면에서 상부장홀부(161a)를 관통하도록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사용자는 후벽판(160)을 관통하여 조리실(C) 내부로 돌출되는 상부개폐손잡이(412a)를 좌우로 이동시킴으로써 상부개폐문(412)을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다. 상부개폐손잡이(412a)의 좌우 이동은 상부장홀부(161a)가 안내한다. 따라서 상부장홀부(161a)는 상부개폐손잡이(412a)의 좌우 이동폭에 대응되는 좌우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부개폐손잡이(412a)와 상부장홀부(161a)를 추가로 구비함에 의해 사용자는 상부개폐문(412)을 이용하여 조리모드에 따라 수동으로 상부유입홀부(161)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상부개폐부(410)는 상부개폐구동부(4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개폐구동부(413)는 상부개폐문(412)과 연결되어 상부개폐문(412)의 좌우 슬라이드 이동을 자동방식으로 구현한다. 즉, 상부개폐구동부(413)는 컨트롤패널부(210)를 통한 조리모드의 선택 시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해 상부개폐문(412)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상부유입홀부(161)를 개방하거나 폐쇄한다.
상부개폐구동부(413)로는 통상의 모터나 실린더 장치 등 상부개폐문(412)의 좌우 슬라이드 이동을 자동으로 구현할 수 있는 구동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개폐문(412)과 상부개폐구동부(413)는 좌우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라 할 것이므로, 상부개폐홀부(161)를 조리모드에 따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면 다른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측부개폐부(420,430)는 측부유입홀부(163,164)를 개폐하며, 좌측부개폐부(420)와 우측부개폐부(430)로 나눌 수 있다.
먼저 좌측부개폐부(420)는 좌측부유입홀부(163)를 개폐한다. 좌측부개폐부(420)는 좌측부유입홀부(163)를 조리모드에 따라 개방하거나 폐쇄하게 된다. 일반조리 시에 좌측부개폐부(420)는 좌측부유입홀부(163)를 개방하여 좌측부유입홀부(163)를 통해서도 컨벡션히터부(300)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조리실(C)로 유입되도록 한다. 반대로 튀김조리 시에 좌측부개폐부(420)는 좌측부유입홀부(163)를 폐쇄하여 하부유입홀부(162)를 통해서만 가열된 공기가 조리실(C)로 유입되도록 한다.
좌측부개폐부(420)는 좌측부레일부(421)와 좌측부개폐문(422)을 포함한다. 좌측부레일부(421)는 후벽판(160)의 후면에 설치되고, 좌측부유입홀부(163)의 상방과 하방에 각각 한 쌍이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좌측부개폐문(422)은 한 쌍의 좌측부레일부(421)에 의해 좌우 슬라이드 이동이 안내되도록 좌측부레일부(421)에 안착된다.
좌측부레일부(421)와 좌측부개폐문(422)은 컨벡션히터부(300)에서 생성되는 열풍에 의해 열화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내열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좌측부개폐문(422)에는 좌측부개폐손잡이(422a)가 형성될 수 있다. 좌측부개폐손잡이(422a)에 대응되도록 후벽판(160)에는 좌측부장홀부(163a)가 형성될 수 있다.
좌측부개폐손잡이(422a)는 좌측부개폐문(422)의 전면에서 좌측부장홀부(163a)를 관통하도록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사용자는 후벽판(160)을 관통하여 조리실(C) 내부로 돌출되는 좌측부개폐손잡이(422a)를 좌우로 이동시킴으로써 좌측부개폐문(422)을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다. 좌측부개폐손잡이(422a)의 좌우 이동은 좌측부장홀부(163a)가 안내한다. 따라서 좌측부장홀부(163a)는 좌측부개폐손잡이(422a)의 좌우 이동폭에 대응되는 좌우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좌측부개폐손잡이(422a)와 좌측부장홀부(163a)를 추가로 구비함에 의해 사용자는 좌측부개폐문(422)을 이용하여 조리모드에 따라 수동으로 좌측부유입홀부(163)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좌측부개폐부(420)는 좌측부개폐구동부(4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좌측부개폐구동부(423)는 좌측부개폐문(422)과 연결되어 좌측부개폐문(422)의 좌우 슬라이드 이동을 자동방식으로 구현한다. 즉, 좌측부개폐구동부(423)는 컨트롤패널부(210)를 통한 조리모드의 선택 시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해 좌측부개폐문(422)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좌측부유입홀부(163)를 개방하거나 폐쇄한다.
좌측부개폐구동부(423)로는 통상의 모터나 실린더 장치 등 좌측부개폐문(422)의 좌우 슬라이드 이동을 자동으로 구현할 수 있는 구동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우측부개폐부(430)는 우측부유입홀부(164)를 개폐한다. 우측부개폐부(430)는 우측부유입홀부(164)를 조리모드에 따라 개방하거나 폐쇄하게 된다. 일반조리 시에 우측부개폐부(430)는 우측부유입홀부(164)를 개방하여 우측부유입홀부(164)를 통해서도 컨벡션히터부(300)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조리실(C)로 유입되도록 한다. 반대로 튀김조리 시에 우측부개폐부(430)는 우측부유입홀부(164)를 폐쇄하여 하부유입홀부(162)를 통해서만 가열된 공기가 조리실(C)로 유입되도록 한다.
우측부개폐부(430)는 우측부레일부(431)와 우측부개폐문(432)을 포함한다. 우측부레일부(431)는 후벽판(160)의 후면에 설치되고, 우측부유입홀부(164)의 상방과 하방에 각각 한 쌍이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우측부개폐문(432)은 한 쌍의 우측부레일부(431)에 의해 좌우 슬라이드 이동이 안내되도록 우측부레일부(431)에 안착된다.
우측부레일부(431)와 우측부개폐문(432)은 컨벡션히터부(300)에서 생성되는 열풍에 의해 열화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내열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우측부개폐문(432)에는 우측부개폐손잡이(432a)가 형성될 수 있다. 우측부개폐손잡이(432a)에 대응되도록 후벽판(160)에는 우측부장홀부(164a)가 형성될 수 있다.
우측부개폐손잡이(432a)는 우측부개폐문(432)의 전면에서 우측부장홀부(164a)를 관통하도록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사용자는 후벽판(160)을 관통하여 조리실(C) 내부로 돌출되는 우측부개폐손잡이(432a)를 좌우로 이동시킴으로써 우측부개폐문(432)을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다. 우측부개폐손잡이(432a)의 좌우 이동은 우측부장홀부(164a)가 안내한다. 따라서 우측부장홀부(164a)는 우측부개폐손잡이(432a)의 좌우 이동폭에 대응되는 좌우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우측부개폐손잡이(432a)와 우측부장홀부(164a)를 추가로 구비함에 의해 사용자는 우측부개폐문(432)을 이용하여 조리모드에 따라 수동으로 우측부유입홀부(164)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우측부개폐부(430)는 우측부개폐구동부(4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우측부개폐구동부(433)는 우측부개폐문(432)과 연결되어 우측부개폐문(432)의 좌우 슬라이드 이동을 자동방식으로 구현한다. 즉, 우측부개폐구동부(433)는 컨트롤패널부(210)를 통한 조리모드의 선택 시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해 우측부개폐문(432)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우측부유입홀부(164)를 개방하거나 폐쇄한다.
우측부개폐구동부(433)로는 통상의 모터나 실린더 장치 등 우측부개폐문(432)의 좌우 슬라이드 이동을 자동으로 구현할 수 있는 구동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제어부(500)는 튀김조리 시에는 상부개폐부(410)와 측부개폐부(420,430)를 각각 작동시켜 상부유입홀부(161)와 측부유입홀부(163,164)가 각각 폐쇄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컨벡션히터부(300)에서 생성되는 열풍은 하부유입홀부(162)만을 통해 조리실(C)에 공급된다. 즉, 튀김조리 시에 열풍은 하부유입홀부(162)를 통해서만 집중적으로 조리실(C)에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일반조리 시에는 제어부(500)는 상부유입홀부(161)와 측부유입홀부(163,164)가 모두 개방되도록 상부개폐부(410)와 측부개폐부(420,430)를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컨벡션히터부(300)에서 생성되는 열풍은 상부유입홀부(161)와 하부유입홀부(162) 그리고, 측부유입홀부(163,164)를 통해 조리실(C)에 공급된다. 즉, 열풍은 상하좌우 여러 방향으로 고르게 조리실(C)에 공급된다.
도 12, 도 13 및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는 순환덕트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순환덕트부(600)는 좌측벽판(110)의 배기홀부(111)와 연결되고, 배기홀부(111)를 통해 조리실(C)의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다시 조리실(C)의 내부로 안내한다.
순환덕트부(600)는 순환덕트(610)와 덕트개폐부(620)를 포함한다. 순환덕트(610)는 내부 유로(612)를 갖도록 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좌측벽판(110)의 외면, 즉 조리실(C)의 외부에서 좌측벽판(110)에 장착된다.
순환덕트(610)는 일단부가 배기홀부(111)와 연결되고, 타단부가 흡기홀부(112)와 연결된다. 따라서 배기홀부(111)로 배출되는 공기는 순환덕트(610)의 내부 유로(612)를 따라 흡기홀부(112)로 안내될 수 있다.
순환덕트(610)에는 배출구(611)가 구비된다. 배출구(611)는 배기홀부(111)와 인접한 순환덕트(610)의 일측에 형성된다. 따라서 배기홀부(111)로 배출되는 공기는 배출구(611)를 통해 순환덕트(6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기홀부(111)를 통해 조리실(C) 내부의 공기가 순환덕트(610)로 유입될 때, 공기는 순환덕트(610)의 내부 유로(612)에 의해 다시 조리실(C)로 안내되거나 배출구(611)에 의해 순환덕트(6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의 흐름은 순환덕트(610)에 설치되는 덕트개폐부(620)를 통해 좌우된다.
덕트개폐부(620)는 순환덕트(610)의 내부 유로(612)를 개폐하도록 순환덕트(610)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덕트개폐부(620)는 순환덕트(610)에 힌지 결합되고, 순환덕트(610)의 외부에 설치되는 덕트구동부(630)와 결합된다. 따라서 덕트구동부(630)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면서 순환덕트(610)의 내부 유로(612)를 개방하거나 폐쇄한다. 또한 덕트개폐부(620)는 배출구(611)를 개폐할 수 있도록 배출구(611)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덕트개폐부(620)가 순환덕트(610)의 내부 유로(612)를 개방하는 경우에 배출구(611)를 폐쇄하도록 작동된다. 즉, 덕트개폐부(620)의 작동만으로 내부 유로(612)의 개방과 배출구(611)의 폐쇄가 동시에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배기홀부(111)를 통해 조리실(C) 내부의 공기가 순환덕트(610)로 유입될 때, 공기는 자연스레 내부 유로(612)를 통해 조리실(C)로 다시 공급된다.
제어부(500)는 튀김조리 시에 순환덕트(610)의 내부 유로(612)가 개방되도록 덕트개폐부(620)를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배기홀부(111)를 통해 조리실(C)의 외부로 배출된 공기는 다시 흡기홀부(112)를 통해 조리실(C)의 내부로 유입되므로, 조리실(C) 내부의 공기가 배출됨에 따른 열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배기홀부(111)와 흡기홀부(112) 중 어느 하나는 측벽판(110)의 상부에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측벽판(11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배기홀부(111)는 측벽판(110)의 상부에 형성되고, 흡기홀부(112)는 측벽판(110)의 하부에 형성된다. 상부의 배기홀부(111)를 통해 조리실(C)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고, 하부의 흡기홀부(112)를 통해 공기가 다시 조리실(C) 내부로 유입되므로, 배기홀부(111)와 흡기홀부(112)를 통한 공기의 출입만으로 조리실(C) 내부의 공기 순환, 특히 상하 순환 효율이 향상된다. 따라서 조리실(C) 내에서 공기 순환이 활발히 이루어짐에 따라 조리대상물의 조리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조리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배기홀부(111)와 흡기홀부(112) 중 어느 하나는 측벽판(110)의 전방부에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측벽판(110)의 후방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배기홀부(111)는 측벽판(110)의 후방부에 형성되고, 흡기홀부(112)는 측벽판(110)의 전방부에 형성된다. 후방부의 배기홀부(111)를 통해 조리실(C)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고, 전방부의 흡기홀부(112)를 통해 공기가 다시 조리실(C) 내부로 유입되므로, 배기홀부(111)와 흡기홀부(112)를 통한 공기의 출입만으로 조리실(C) 내부의 공기 순환, 특히 전후 순환 효율이 향상된다. 따라서 조리실(C) 내에서 공기 순환이 활발히 이루어짐에 따라 조리대상물의 조리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조리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덕트개폐부(620)가 순환덕트(610)의 내부 유로(612)를 폐쇄하게 되면 배출구(611)를 개방하도록 작동된다. 즉, 덕트개폐부(620)의 작동만으로 내부 유로(612)의 폐쇄와 배출구(611)의 개방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배기홀부(111)를 통해 조리실(C) 내부의 공기가 순환덕트(610)로 유입될 때, 공기는 자연스레 배출구(611)를 통해서 순환덕트(610)의 외부로 배출된다.
제어부(500)는 일반조리 시에 순환덕트(610)의 내부 유로(612)가 폐쇄되도록, 즉 배출구(611)가 개방되도록 덕트개폐부(620)를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배기홀부(111)를 통해 조리실(C)의 외부로 배출된 공기는 배출구(611)를 거쳐 순환덕트(61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처럼 배기홀부(111)와 배출구(611)에 의한 조리실(C) 내부의 공기 배출로 인해, 일반조리 시에 조리실(C) 내부의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과, 조리실(C) 내부가 스팀이나 연기 등으로 가득하게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는 유입개폐부(400)와 순환덕트부(600)를 동시에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 유입개폐부(400)를 생략한 채 순환덕트부(600)만 포함할 수도 있다.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에 의하면 일반조리와 더불어 튀김조리, 즉 공기튀김조리를 하나의 조리장치에 의해 모두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에 의하면 별도로 조리대상물에 기름을 공급할 필요 없이 조리대상물이 보유하고 있는 지방 성분을 이용하여 튀김조리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고온의 기름에 의한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기름의 미사용에 따른 조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에 의하면 마이크로웨이브를 통해 조리대상물의 해동조리를 수행한 후 조리대상물의 옮김 없이 히터부를 통해 튀김조리를 곧바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에 의하면 마이크로웨이브를 통해 조리대상물을 가조리한 후 히터부의 열풍을 통해 본조리인 튀김조리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조리대상물의 내외부의 고른 익힘과 바삭한 식감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반부가 조리실에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반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8 내지 19를 참조하면, 교반부(900)는 조리용기(1,2)에 놓인 조리대상물(60)과 접촉되어 조리대상물(60)을 섞는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반부(900)는 교반몸체(910)와 접촉판(920)을 포함한다.
교반부(900)는 조리실(C) 내부의 고온 환경에서 사용되는 것이므로 충분한 내열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교반부(900)는 조리대상물(60)과 직접 맞닿으므로 인체에 유해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교반몸체(910)는 캐비티부(100)의 측벽판(110,130)에 걸림 고정되면서 조리실(C)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된다. 교반몸체(910)는 조리실(C)의 좌우폭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고, 각진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교반몸체(910)는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접촉판(920)은 교반몸체(910)의 둘레면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조리대상물(60)은 교반몸체(910)와는 접촉되지 않은 채 접촉판(920)과만 접촉될 수 있다(도 28, 도 34 참조).
접촉판(920)은 탄성을 갖는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조리대상물(60)과 접촉판(920)이 접촉하게 되면 접촉판(920)의 형상이 허용 범위 내에서 변형되므로, 조리대상물(60)과의 접촉에 의해 조리대상물(60)을 섞는 동안 조리대상물(60)의 외형이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접촉판(920)은 외측 단부, 즉 조리대상물(60)과 접촉이 되는 부분에 복수 개의 절개판부(921)를 구비한다. 접촉판(920)의 외측 단부가 복수 개의 절개판부(921)로 구분됨에 따라 각각의 절개판부(921)는 조리대상물(60)과의 접촉시 개별적인 형상의 변형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접촉판(920)은 절개판부(921)를 통해 각각의 지점에서 맞닿는 조리대상물(60)의 크기나 형상에 맞춰 그에 상응하는 외력으로 조리대상물(60)을 섞을 수 있게 된다.
서로 마주보는 측벽판(110, 130), 구체적으로 좌측벽판(110)의 내면과, 좌측벽판(110)과 마주보는 우측벽판(130)의 내면에는 교반몸체(910)가 끼워지면서 걸림 고정되는 몸체지지부(930,935)가 각각 구비된다.
몸체지지부(930,935)는 교반몸체(910)를 지지함은 물론, 끼워진 교반몸체(910)가 조리대상물(60)과의 접촉 시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몸체지지부(930,935)는 각진 형상의 교반몸체(91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몸체지지부(930,935)는 교반몸체(910)의 저면을 지지하는 저면지지판(931,936)과, 교반몸체(910)의 측면을 지지하여 교반몸체(910)의 회전을 방지하는 측면지지판(932,937)을 포함한다. 저면지지판(931,936)은 교반몸체(910)의 저면과 동일한 폭을 가지고, 측면지지판(932,937)은 저면지지판(931,936)의 양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교반부가 조리실에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교반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0 내지 21을 참조하면, 교반부(950)는 조리용기(1,2)에 놓인 조리대상물(60)과 접촉되어 조리대상물(60)을 섞는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교반부(950)는 교반몸체(960)와 접촉판(970) 및 교반구동부(990)를 포함한다.
교반부(950)는 조리실(C) 내부의 고온 환경에서 사용되는 것이므로 충분한 내열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교반부(950)는 조리대상물(60)과 직접 맞닿으므로 인체에 유해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교반몸체(960)는 조리실(C)을 가로지르도록 캐비티부(100)의 측벽판(110,1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교반몸체(960)는 조리실(C)의 좌우폭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진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교반몸체(960)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접촉판(970)은 교반몸체(960)의 둘레면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조리대상물(60)은 교반몸체(960)와는 접촉되지 않은 채 접촉판(970)과만 접촉될 수 있다(도 29, 도 35 참조).
접촉판(970)은 교반몸체(960)의 둘레면에 복수 개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교반몸체(960)는 교반구동부(990)에서 제공되는 회전 동력에 의해 회전되므로, 접촉판(970)이 복수 개가 구비되면 교반몸체(960)의 1회전 동안 복수 회에 걸쳐 조리대상물(60)을 섞을 수 있다.
접촉판(970)은 탄성을 갖는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조리대상물(60)과 접촉판(970)이 접촉하게 되면 접촉판(970)의 형상이 허용 범위 내에서 변형되므로, 조리대상물(60)과의 접촉에 의해 조리대상물(60)을 섞는 동안 조리대상물(60)의 외형이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접촉판(970)은 외측 단부, 즉 조리대상물(60)과 접촉이 되는 부분에 복수 개의 절개판부(971)를 구비한다. 접촉판(970)의 외측 단부가 복수 개의 절개판부(971)로 구분됨에 따라 각각의 절개판부(971)는 조리대상물(60)과의 접촉시 개별적인 형상의 변형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접촉판(970)은 절개판부(971)를 통해 각각의 지점에서 맞닿는 조리대상물(60)의 크기나 형상에 맞춰 그에 상응하는 외력으로 조리대상물(60)을 섞을 수 있게 된다.
서로 마주보는 측벽판(110, 130), 구체적으로 좌측벽판(110)의 내면과, 좌측벽판(110)과 마주보는 우측벽판(130)의 내면에는 교반몸체(960)를 지지하는 몸체지지부(980,985)가 각각 구비된다.
몸체지지부(980,985)는 교반몸체(960)를 지지함은 물론, 교반몸체(96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원기둥의 교반몸체(96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교반구동부(990)는 좌측벽판(110)을 관통하여 캐비티부(100)의 외부로 노출되는 교반몸체(960)와 결합되어 교반몸체(60)에 회전 동력을 제공한다. 교반구동부(990)의 작동은 제어부(500)를 통해 제어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용 조리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용 조리용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용 조리용기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용 조리용기의 하우징본체와 받침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용 조리용기에서 받침부의 후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용 조리용기에서 다리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용 조리용기에 제1실시예의 교반부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용 조리용기에 제2실시예의 교반부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용 조리용기에서 하우징본체의 변형예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용 조리용기에서 하우징본체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2, 도 23 및 도 2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용 조리용기(1)는, 열풍(70)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입구부(14)를 구비하는 하우징부(5)와, 하우징부(5)에 안착되고 열풍(70)에 의해 조리되는 조리대상물(60)이 놓여지는 받침부(30)를 포함한다.
받침부(30)의 상측에는 조리대상물(60)이 놓여지고, 받침부(30)의 하측에는 하우징부(5)가 설치된다. 받침부(30)를 지지하는 하우징부(5)에는 입구부(14)가 구비되므로, 입구부(14)를 통해 하우징부(5)의 내측으로 열풍(70)이 유입된다.
하우징부(5)는 입구부(14)를 통해 외부에서 공급된 열풍(70)이 받침부(30)에 놓여있는 조리대상물(60)을 가열하기 위한 공기 유로를 형성하기 위한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4 내지 도 26, 도 2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5)는 입구부(14)가 하측에 구비되고 상측은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우징본체(10)와, 하우징본체(10)를 지지하는 다리부(40)를 포함한다.
하우징본체(10)의 하측으로 연장된 다리부(40)는 조리장치의 회전판(270)이나 하부에 접한다.
하우징본체(10)의 하측에 입구부(14)가 구비되고, 조리용기(1)의 측방향에서 공급된 열풍(70)은 하우징본체(10)의 하측으로 유입되어 하우징본체(10)의 상측으로 이동된다.
하우징본체(10)가 다리부(40)에 의해 지지되어 하우징본체(10)의 하측에 공간이 형성되므로, 하우징본체(10)의 하측을 통하여 하우징본체(10)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공기의 흐름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본체(10)는 하우징측면부(12), 입구부(14), 하우징저면부(15), 하우징내측부(16), 유입공간부(17) 및 가이드돌기(18)를 포함한다.
하우징측면부(12)는 받침부(30)의 테두리를 지지하며 하측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하우징본체(10)의 측면을 형성하는 하우징측면부(12)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우징측면부(12)의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여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하우징측면부(12)는 하우징본체(10)의 내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면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하우징측면부(12)를 향하여 측방향에서 불어오는 열풍(70)을 하우징측면부(12)의 하측으로 안내하여 조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즉, 하우징본체(10)의 측방향에서 공급되는 열풍(70)이 하우징본체(10)의 하측에 구비된 입구부(14)를 통해 하우징본체(10)의 내측으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우징측면부(12)의 형상이 곡면 형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입구부(14)로 이동되는 열풍(70)의 양이 증가하여 열풍(70)의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하우징측면부(12)의 하측에 연결된 하우징저면부(15)는, 하우징측면부(12)의 하측에서 하우징측면부(12)의 내측으로 연장된다.
하우징측면부(12)의 하측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하우징저면부(15)는 환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우징저면부(15)의 하측에 다리부(40)가 고정된다.
다리부(40)가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하우징저면부(15)에 접하여 설치되므로, 다리부(40)와 하우징저면부(15)의 접촉면적이 증대되어 다리부(40)의 고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저면부(15)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하우징내측부(16)는 열풍(70)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입구부(14)에 연결된다.
하우징내측부(16)의 내측에는 입구부(14)와 연통되는 유입공간부(17)가 구비되며, 유입공간부(17)와 마주하는 하우징내측부(16)는 볼록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입구부(14)의 하측에 유입공간부(17)가 위치하며, 유입공간부(17)와 마주하는 하우징내측부(16)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하우징내측부(16)를 따라 상측의 입구부(14)로 이동되는 열풍(70)의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내측부(16)는 상측이 좁아지는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하우징내측부(16)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되는 열풍(70)이 입구부(14)를 통해 하우징본체(10)의 내측으로 이동되는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제1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본체(10)의 상측은 하우징본체(10)의 측방향에서 열풍(70)이 토출되는 하부유입홀부(162)와 같거나 높은 위치에 설치되므로, 하우징본체(10)의 하측을 통해 하우징본체(10)의 내측으로 열풍(70)이 용이하게 공급될 수 있다.
하부유입홀부(162)의 상측에 위치한 구멍의 높이는 하우징본체(10)의 상측 높이보다 같거나 낮은 위치에 설치된다. 하부유입홀부(162)의 높이가 하우징본체(10)보다 낮은 경우에는 하우징본체(10)의 하부를 통하여 입구부(14)의 하측으로 열풍(70)이 이동된다.
입구부(14)의 하측으로 이동하는 열풍(70)은 주변의 다른 공기보다 뜨거우므로 위로 상승하려 하는 성질이 있다. 따라서 컨벡션히터부(300)에서 토출된 관성에 의해 입구부(14)의 하측으로 이동된 열풍(70)은 상측으로 부상하려는 성질에 의해 입구부(14)의 상측으로 이동되어 조리대상물(60)을 가열한다.
입구부(14)를 통하여 상측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비스듬하게 상향 직진하는 열풍(70)은 하우징내측부(16)의 곡면에 접하면서 입구부(14)를 향한 상측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하우징본체(10)의 하측으로 공급되는 열풍(70)의 대부분은 입구부(14)를 통해 상측으로 이동된다.
하부유입홀부(162)의 상측에 구비된 구멍의 높이가 하우징본체(10)의 상측과 비교하여 같거나 낮은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하우징본체(10)의 측면에 구비된 곡면을 따라 열풍(70)의 하측 이동이 안내된다.
즉, 하부유입홀부(162)에서 수평방향으로 공급되는 열풍(70)의 일부는 하우징본체(10)의 하측을 통해 입구부(14)로 이동되며, 나머지 열풍(70)은 하우징측면부(12)의 곡면을 따라 하우징측면부(12)의 하측으로 이동된 후, 하우징측면부(12)의 하측을 통해 입구부(14)로 유입되는 열풍(70)에 합류하여 입구부(14)로 이동된다.
하우징본체(10)는 철판이나 알루미늄에 테프론을 코팅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스테인레스를 사용할 수도 있다.
하우징본체(10)의 내측에 상부히터부(700)의 복사열 또는 대류열이 전달되면, 하우징본체(10)의 내측에서 반사된 복사열 또는 대류열은 하우징본체(10)의 상측으로 이동되므로,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부히터부(700)에서 제공된 열의 상측 반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하우징측면부(12)와 하우징저면부(15)와 하우징내측부(16)의 형상은 "U"자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하는 복사열을 다시 하우징본체(10)의 상측으로 반사한다.
하우징본체(10)의 변형예가 도시된 도 30과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내측부(16)에 별도의 가이드돌기(18)가 추가되어 열풍(70)의 회전을 안내할 수 있다.
유입공간부(17)와 마주하는 하우징내측부(16)의 측면에 나선 형상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돌기(18)는 유입공간부(17)를 통해 입구부(14)로 이동되는 열풍(70)이 회전되도록 안내한다.
유입공간부(17)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 설치된 가이드돌기(18)는, 하우징내측부(16)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된다.
하우징내측부(16)의 내측으로 돌출된 가이드돌기(18)는 일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하우징내측부(16)를 통과하는 열풍(70)은 가이드돌기(18)에 의해 가이드되어 회오리바람을 형성한다.
회오리바람을 형성하는 열풍(70)이 하우징본체(10)를 통해 받침부(30)로 이동되면, 받침부(30)에 놓인 조리대상물(60)과 열풍(70)의 접하는 시간과 면적이 증대되어 조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24 내지 도 27을 참조하면, 하우징부(5)의 상측에 놓여지는 받침부(30)는 복수 개의 연통공을 구비하며 열풍(70)에 의해 조리되는 조리대상물(60)이 놓여지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른 받침부(30)는 받침몸체부(31)와 커버부(39)를 포함한다.
받침몸체부(31)는 열풍(70)이 이동되는 연통공이 복수 개 구비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으며, 커버부(39)도 받침몸체부(31)의 외측 테두리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받침몸체부(31)는 받침테두리부(32)와 받침중앙부(33)와 제1지지부(34)와 제2지지부(36)를 포함한다.
받침테두리부(32)는 환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받침테두리부(32)의 외측에 커버부(39)가 위치하며 받침테두리부(32)의 내측에 받침중앙부(33)와 제1지지부(34)와 제2지지부(36)가 위치한다.
커버부(39)의 내측에 위치하는 받침테두리부(32)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알루미늄을 포함한다.
받침중앙부(33)는 받침테두리부(32)의 가운데에 위치하며, 받침중앙부(33)와 받침테두리부(32)는 서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다.
받침중앙부(33)에서 연장된 제1지지부(34)와 제2지지부(36)는 받침테두리부(32)에 연결되며, 제1지지부(34)와 제2지지부(36)는 나선 형상으로 휘어져서 설치되므로 받침부(30)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하는 열풍(70)의 회전을 안내한다.
제1지지부(34)는, 열풍(70)이 통과하는 제1연결공(35)을 구비하며 받침중앙부(33)에서 받침테두리부(32)를 향하여 나선 형상으로 연장된다.
제1지지부(34)는 받침중앙부(33)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 설치되며, 제1지지부(34)와 이웃한 제1지지부(34)의 사이에 제2지지부(36)가 위치한다.
제2지지부(36)는 열풍(70)이 통과하는 제2연결공(37)이 복수개 구비되며, 제1지지부(34)와 함께 나선 형상으로 휘어져서 설치된다.
제2지지부(36)의 폭은 제1지지부(34)의 폭보다 2배 이상 넓게 형성되며, 제2지지부(36)의 상측에서 조리대상물(60)의 조리가 주로 이루어진다.
제2지지부(36)는 제1지지부(34)보다 하측으로 더 돌출되므로, 받침부(30)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하는 열풍(70)은 제1지지부(34)의 하측을 따라 회전하며 회오리 바람을 형성한다.
하우징부(5)의 가이드돌기(18)를 통과하며 형성된 회오리바람의 방향과, 제1지지부(34)의 하측을 통과하며 형성된 회오리바람의 방향은 동일하므로, 열풍(70)이 하우징부(5)의 내측에 회오리를 형성하며 조리대상물(60)과 접하는 시간이 증대한다.
제1지지부(34)에 형성된 제1연결공(35)과 제2지지부(36)에 형성된 제2연결공(37)은 원주 방향으로 설치된다.
받침중앙부(33)를 중심으로 원호를 형성하며 제1연결공(35)과 제2연결공(37)이 설치되며, 받침중앙부(33)와 받침테두리부(32)의 사이에 복수 개의 제1연결공(35)과 제2연결공(37)이 설치된다.
제2지지부(36)는, 받침중앙부(33)를 중심으로 원호 형상으로 설치되며, 상측을 향하여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곡면부(38)를 포함한다.
지지곡면부(38)는 상측을 향하여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지지곡면부(38)의 하측은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지지곡면부(38)의 상측에 올려진 조리대상물(60)에서 흘러나온 유체는 지지곡면부(38)를 따라 하측으로 낙하되므로 제2지지부(36)의 표면의 청소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지지곡면부(38)의 하측으로 공급된 열풍(70)이 지지곡면부(38)의 오목한 홈에 머무르게 되므로, 열풍(70)과 지지곡면부(38)가 접하는 시간이 증대되어 지지곡면부(38)의 가열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므로, 조리대상물(60)의 조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받침테두리부(32)에 결합되는 커버부(39)는 고무나 실리콘을 포함하여 성형되므로, 전자레인지의 내측에 설치된 받침부(30)의 테두리에서 발생할 수 있는 스파크를 방지할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른 받침부(30)는, 알루미늄에 테프론을 코팅하여 사용한다.
알루미늄은 열전도도가 높으므로 조리대상물(60)의 가열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테프론은 음식이 받침부(30)에 들러붙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부(39)는 실리콘을 사용하므로, 알루미늄으로 된 받침부(30)와 철판으로 이루어진 받침부(30)의 사이에 설치되어 스파크의 발생을 방지한다.
도 24 내지 도 28을 참조하면, 다리부(40)는, 하우징부(5)의 외측에 고정되는 와이어 형상의 다리프레임(42)과, 다리프레임(42)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다리커버(45)를 포함한다.
다리프레임(42)은 철골구조로 이루어지며, 다리프레임(42)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다리커버(45)는 실리콘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제1실시예에 따른 다리프레임(42)은, 하우징부(5)의 하측에 고정되는 고정부(43)와, 고정부(43)의 양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44)를 포함한다.
하우징부(5)의 하측에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연장부(44)에 다리커버(45)가 결합되므로, 연장부(44)의 외측에 다리커버(45)가 고정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리커버(45)는, 연장부(44)가 삽입되는 장착홈(47)을 구비하는 커버몸체(46)와, 고정부(43)를 감싸는 형상으로 홈을 형성하며 커버몸체(46)에 연결되는 차폐홈부(48)를 포함한다.
장착홈(47)은 커버몸체(46)의 내측을 연장되며, 고정부(43)의 굽어진 형상을 따라 홈을 형성하는 차폐홈부(48)는 커버몸체(46)의 일측에 연결된다.
연장부(44)가 장착홈(47)으로 삽입되며, 고정부(43)가 차폐홈부(48)의 내측에 위치하므로, 다리프레임(42)은 다리커버(45)에 의해 차폐되어 스파크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3 및 도 29를 참조하면, 조리용기(1)는 조리장치의 회전판(270)에 올려져서 회전되므로, 조리대상물(60)을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다.
조리장치는 컨벡션히터부(300), 상부히터부(700) 그리고 하부히터부(800)를 통해 복사열과 대류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할 수 있다. 특히 각 히터부(300, 700, 800)는 가열된 공기를 송풍하는 팬도 구비되어 있으므로 열풍(70)을 원활하게 조리용기(1)에 공급할 수 있다.
상부히터부(700)에서 발생된 열풍은 조리용기(1)의 상측으로 공급되며, 컨벡션히터부(300)에서 발생된 열풍(70)은 조리용기(1)의 하측으로 이동되어 하우징부(5)의 내측으로 이동되고, 하부히터부(800)에서 발생된 열풍은 조리용기(1)의 하측을 통해 하우징부(5)의 내측으로 이동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용 조리용기(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조리장치의 내측에 조리용기(1)를 장착한 후 컨벡션히터부(300), 상부히터부(700), 하부히터부(800)를 동작시킨다.
상부히터부(700)가 동작되면 받침부(30)를 향한 하측으로 열이 전달된다. 조리대상물(60)을 가열하고 받침부(30)의 하측으로 이동된 열은 하우징본체(10)의 내측에서 반사된 후 다시 상측으로 이동된다. 하우징본체(10)에서 반사된 열풍은 받침부(30)의 하측으로 전달되어 조리대상물(60)을 2차 가열하므로 조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컨벡션히터부(300)에서 발생된 열풍(70)은 하우징본체(10)의 측방향으로 이동되거나, 하우징본체(10)의 하측으로 이동된다. 하우징측면부(12)를 따라 하우징본체(10)의 하측으로 안내된 열풍(70)은 하우징내측부(16)의 유입공간부(17)로 이동된다. 마찬가지로 하부히터부(800)에서 발생된 열풍은 하우징본체(10)의 하측으로 안내되어 유입공간부(17)로 이동된다.
하우징내측부(16)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되는 열풍(70)은, 하우징내측부(16)의 내측으로 돌출된 가이드돌기(18)에 의해 안내되어 회전하면서 회오리를 형성한다.
하우징본체(10)의 내측으로 유입된 열풍(70)은 받침부(30)의 하측에 형성된 제1지지부(34)의 하측을 따라 다시 회전하면서 회오리를 형성하므로, 열풍(70)에 의해 받침몸체부(31)와 조리대상물(60)이 접하는 시간이 증대되어 열효율이 향상되며, 조리대상물(60)의 조리시간도 단축된다.
또한 받침부(30)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되는 열풍(70)은 제2지지부(36)에 구비된 지지곡면부(38)의 하측에 머무르면서 열풍(70)과 받침몸체부(31)가 접하는 시간이 증대되어 받침몸체부(31)의 가열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용 조리용기를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인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용 조리용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용 조리용기에서 하우징본체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용 조리용기에 제1실시예의 교반부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용 조리용기에 제2실시예의 교반부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2 내지 도 3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5)는 하우징본체(20)와 다리부(40)를 포함한다.
하우징본체(20)의 내측으로 열풍(70)을 공급하는 입구부(24)는 하우징본체(20)의 측면을 따라 구비된다. 하우징본체(20)의 상측은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우징본체(20)의 하측은 다리부(40)에 의해 지지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본체(20)는, 하우징측면부(22)와 하우징저면부(25)와 내측가이드(26)를 포함한다.
하우징본체(20)의 측면을 형성하는 하우징측면부(22)는, 받침부(30)의 테두리를 지지하며 하측으로 연장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하우징측면부(22)의 둘레를 따라 설치된 입구부(24)는 하우징측면부(22)의 내측으로 열풍(70)이 이동되는 통로를 형성한다.
입구부(24)는 수평방향으로 장공을 형성하며, 이러한 입구부(24)가 하우징측면부(22)를 따라 복수 개 설치된다.
하우징측면부(22)의 하측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하우징저면부(25)는 하우징본체(20)의 저면을 형성한다.
입구부(24)의 상측은 하우징본체(20)의 측방향에서 열풍(70)이 토출되는 하부유입홀부(162)와 같거나 낮은 위치에 설치되므로, 열풍(70)이 입구부(24)의 내측으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
하부유입홀부(162)를 통해 수평방향으로 공급되는 열풍(70)의 일부는 하우징본체(20)의 측면에 형성된 입구부(24)를 통해 하우징본체(20)의 내측으로 이동되며, 입구부(24)의 상측으로 이동하는 열풍(70)은 하우징측면부(12)의 곡면을 따라 하우징측면부(12)의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입구부(24)의 내측으로 유입되므로, 열풍(70)에 의한 조리대상물(60)의 가열시간이 단축된다.
하우징측면부(22)의 내측에 연결된 내측가이드(26)는 하우징측면부(22)의 내측으로 연장되며, 입구부(24)를 통해 유입되는 열풍(70)의 이동을 안내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내측가이드(26)는, 입구부(24)의 일측에서 하우징측면부(22)의 내측을 향하여 수평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입구부(24)의 내측으로 유입된 열풍(70)은 내측가이드(26)에 의해 안내되어 회오리바람을 형성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열풍(70)과 조리대상물(60)과의 접촉면적과 접촉시간이 증대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용 조리용기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컨벡션히터부(300)에서 발생된 열풍(70)은 하우징본체(20)의 측방향으로 이동되며, 하우징측면부(22)의 곡면을 따라 이동되는 열풍(70)은 입구부(24)를 통해 하우징본체(20)의 내측으로 이동된다.
입구부(24)를 통해 하우징본체(20)의 내측으로 이동되는 열풍(70)은 내측가이드(26)에 의해 이동이 안내되면서 하우징본체(20)의 내측에서 회전된다.
하우징본체(20)의 내측에서 회오리를 형성하는 열풍(70)은 받침부(30)의 하측에 형성된 제1지지부(34)의 하측을 따라 다시 회전하면서 회오리를 형성하므로, 열풍(70)에 의해 받침몸체부(31)와 조리대상물(60)이 접하는 시간이 증대되어 열효율이 향상되며, 조리대상물(60)의 조리시간도 단축된다.
또한 받침부(30)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되는 열풍(70)은 제2지지부(36)에 구비된 지지곡면부(38)의 하측에 머무르면서 열풍(70)과 받침몸체부(31)가 접하는 시간이 증대되어 받침몸체부(31)의 가열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히터부(700)와 하부히터부(800)에서 발생된 열은 제1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리대상물(60)을 가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1,2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용 조리용기(1,2)는, 열풍(70)을 이용하여 받침부(30)에 올려진 조리대상물(60)을 가열시켜 튀김조리를 하므로, 기름 사용에 의한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조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부(5)의 내측으로 유입된 열풍(70)이 나선형으로 회전하면서 조리대상물(60)을 가열하므로, 열풍(70)과 조리대상물(60)이 접하는 시간이 증대되어 조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조리대상물(60)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곡면부(38)가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조리대상물(60)과 받침부(30) 사이의 접촉면적이 감소되므로, 열풍(70)과 조리대상물(60)이 접하는 접촉면적이 증대되어 조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인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에서 배기홀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에서 배기홀부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제어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 내지 도 6, 도 36 내지 도 3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는 캐비티부(100), 도어부(200), 캐비넷부(205), 컨벡션히터부(300), 유입개폐부(400), 제어부(500)를 포함한 상태에서, 순환덕트부(600) 대신에 배기개폐부(6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기개폐부(650)는 배기홀부(111)를 개폐한다. 배기개폐부(650)는 배기홀부(111)를 조리모드에 따라 개방하거나 폐쇄하게 된다.
일반조리 시에 배기개폐부(650)는 배기홀부(111)를 개방함에 따라, 조리실(C) 내부의 공기는 조리실(C)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로써, 일반조리 시에 조리실(C) 내부의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과, 조리실(C) 내부가 스팀이나 연기 등으로 가득하게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반대로 튀김조리 시에 배기개폐부(650)는 배기홀부(111)를 폐쇄하여 조리실(C) 내부의 공기가 배출됨에 따른 열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배기개폐부(650)는 배기레일부(651)와 배기개폐문(652)을 포함한다. 배기레일부(651)는 좌측벽판(120)의 외면에 설치되고, 배기홀부(111)의 상방과 하방에 각각 한 쌍이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배기개폐문(652)은 한 쌍의 배기레일부(651)에 의해 좌우 슬라이드 이동이 안내되도록 배기레일부(651)에 안착된다.
배기레일부(651)와 배기개폐문(652)은 조리실(C) 내부의 고온 공기에 의해 열화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내열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배기개폐문(652)에는 배기개폐손잡이(652a)가 형성될 수 있다. 배기개폐손잡이(652a)에 대응되도록 좌측벽판(120)에는 배기개폐장홀부(111a)가 형성될 수 있다.
배기개폐손잡이(652a)는 배기개폐문(652)의 내측면에서 배기개폐장홀부(111a)를 관통하도록 조리실(C)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사용자는 좌측벽판(120)을 관통하여 조리실(C) 내부로 돌출되는 배기개폐손잡이(652a)를 좌우로 이동시킴으로써 배기개폐문(652)을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다. 배기개폐손잡이(652a)의 좌우 이동은 배기개폐장홀부(111a)가 안내한다. 따라서 배기개폐장홀부(111a)는 배기개폐손잡이(652a)의 좌우 이동폭에 대응되는 좌우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배기개폐손잡이(652a)와 배기개폐장홀부(111a)를 추가로 구비함에 의해 사용자는 배기개폐문(652)을 이용하여 조리모드에 따라 수동으로 배기홀부(111)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배기개폐부(650)는 배기개폐구동부(6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기개폐구동부(653)는 배기개폐문(652)과 연결되어 배기개폐문(652)의 좌우 슬라이드 이동을 자동방식으로 구현한다. 즉, 배기개폐구동부(653)는 컨트롤패널부(210)를 통한 조리모드의 선택 시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해 배기개폐문(652)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배기홀부(111)를 개방하거나 폐쇄한다.
배기개폐구동부(653)로는 통상의 모터나 실린더 장치 등 배기개폐문(652)의 좌우 슬라이드 이동을 자동으로 구현할 수 있는 구동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 : 조리실 E : 전장실
100 : 캐비티부 110 : 좌측벽판
111 : 배기홀부 112 : 흡기홀부
120 : 하벽판 130 : 우측벽판
140 : 상벽판 141 : 상부히터홀부
150 : 전벽판 151 : 전벽홀부
160 : 후벽판 161 : 상부유입홀부
162 : 하부유입홀부 163 : 좌측부유입홀부
164 : 우측부유입홀부 165 : 배출홀부
200 : 도어부 205 : 캐비넷부
210 : 컨트롤패널부 215 : 베이스부
220 : 백커버부 270 : 회전판
300 : 컨벡션히터부 310 : 컨벡션히터
320 : 컨벡션팬 330 : 컨벡션모터
340 : 컨벡션히터커버 341 : 컨벡션히터장착홀부
350 : 컨벡션절연커버 360 : 컨벡션냉각팬
400 : 유입개폐부 410 : 상부개폐부
411 : 상부레일부 412 : 상부개폐문
413 : 상부개폐구동부 420 : 좌측부개폐부
421 : 좌측부레일부 422 : 좌측부개폐문
423 : 좌측부개폐구동부 430 : 우측부개폐부
431 : 우측부레일부 432 : 우측부개폐문
433 : 우측부개폐구동부 500 : 제어부
600 : 순환덕트부 610 : 순환덕트
611 : 통과홀부 620 : 덕트개폐부
630 : 덕트구동부 650 : 배기개폐부
651 : 배기레일부 652 : 배기개폐문
700 : 상부히터부 710 : 상부히터
720 : 상부히터커버 730 : 상부절연커버
740 : 상부팬 750 : 상부모터
800 : 하부히터부 810 : 하부히터
820 : 하부히터커버 830 : 하부절연커버
840 : 하부팬 850 : 하부모터

Claims (8)

  1. 내부가 조리실을 이루는 캐비티부;
    상기 캐비티부에 설치되고, 상기 캐비티부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도어부;
    상기 캐비티부의 상방, 후방, 하방 중 적어도 어느 한 곳 이상에 배치되고, 상기 조리실에 공급되는 열풍을 생성하는 히터부;
    열풍이 유입되는 입구부를 갖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에 안착되고 열풍에 의해 조리되는 조리대상물이 놓이는 받침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리실에 안치되는 조리용기; 및
    상기 조리용기에 놓인 조리대상물과 접촉되어 조리대상물을 섞는 교반부를 포함하고,
    상기 교반부는, 상기 캐비티부의 측벽판에 걸림 고정되고, 상기 조리실을 가로지르는 교반몸체; 및
    상기 교반몸체의 둘레면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조리대상물과 접촉되는 접촉판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판은 탄성을 갖는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외측 단부에 복수 개의 절개판부를 구비하며, 각각의 상기 절개판부는 조리대상물과의 접촉시 개별적으로 형상의 탄성 변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서로 마주보는 상기 측벽판 각각에는 상기 교반몸체가 끼워지는 몸체지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장치.
  5. 내부가 조리실을 이루는 캐비티부;
    상기 캐비티부에 설치되고, 상기 캐비티부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도어부;
    상기 캐비티부의 상방, 후방, 하방 중 적어도 어느 한 곳 이상에 배치되고, 상기 조리실에 공급되는 열풍을 생성하는 히터부;
    열풍이 유입되는 입구부를 갖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에 안착되고 열풍에 의해 조리되는 조리대상물이 놓이는 받침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리실에 안치되는 조리용기; 및
    상기 조리용기에 놓인 조리대상물과 접촉되어 조리대상물을 섞는 교반부를 포함하고,
    상기 교반부는, 상기 캐비티부의 측벽판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조리실을 가로지르는 교반몸체;
    상기 교반몸체의 둘레면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조리대상물과 접촉되는 접촉판; 및
    상기 교반몸체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교반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판은 탄성을 갖는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외측 단부에 복수 개의 절개판부를 구비하며, 각각의 상기 절개판부는 조리대상물과의 접촉시 개별적으로 형상의 탄성 변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판은 상기 교반몸체에 복수 개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장치.
  7. 삭제
  8. 제5항에 있어서,
    서로 마주보는 상기 측벽판 각각에는 상기 교반몸체를 지지하는 몸체지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장치.
KR1020130047943A 2013-04-30 2013-04-30 조리장치 KR101577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7943A KR101577496B1 (ko) 2013-04-30 2013-04-30 조리장치
US14/085,743 US9341382B2 (en) 2013-04-30 2013-11-20 Cooking apparatus
EP13194012.4A EP2799779B1 (en) 2013-04-30 2013-11-22 Cooking apparatus
JP2013243113A JP5723953B2 (ja) 2013-04-30 2013-11-25 調理装置
CN201310618164.6A CN104138194A (zh) 2013-04-30 2013-11-27 烹饪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7943A KR101577496B1 (ko) 2013-04-30 2013-04-30 조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9535A KR20140129535A (ko) 2014-11-07
KR101577496B1 true KR101577496B1 (ko) 2015-12-14

Family

ID=49683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7943A KR101577496B1 (ko) 2013-04-30 2013-04-30 조리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341382B2 (ko)
EP (1) EP2799779B1 (ko)
JP (1) JP5723953B2 (ko)
KR (1) KR101577496B1 (ko)
CN (1) CN10413819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97615A1 (en) * 2014-06-25 2015-12-30 Nestec S.A. A food or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US20160116171A1 (en) * 2014-10-22 2016-04-28 General Electric Company Oven airflow control
US10602869B2 (en) 2014-11-28 2020-03-31 Kitchen Mate Inc. Apparatus for automatic meal preparation
KR101646399B1 (ko) * 2014-12-05 2016-08-05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후드 겸용 전자렌지 및 이의 사용 방법
CN104739230A (zh) * 2015-02-05 2015-07-01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内胆加热型蒸箱
KR101749116B1 (ko) * 2015-05-08 2017-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US10337745B2 (en) 2015-06-08 2019-07-02 Alto-Shaam, Inc. Convection oven
US9677774B2 (en) 2015-06-08 2017-06-13 Alto-Shaam, Inc. Multi-zone oven with variable cavity sizes
US10088172B2 (en) 2016-07-29 2018-10-02 Alto-Shaam, Inc. Oven using structured air
US9879865B2 (en) 2015-06-08 2018-01-30 Alto-Shaam, Inc. Cooking oven
US10890336B2 (en) 2015-06-08 2021-01-12 Alto-Shaam, Inc.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multizone oven
US10893765B2 (en) 2015-06-26 2021-01-19 Kitchen Mate Inc. System and method of an attachable spice dispensing device for an automatic meal preparation apparatus
CN108778074B (zh) * 2016-03-09 2022-06-24 皇家飞利浦有限公司 空气炸锅及空气炸锅的清洁方法
CN110169717A (zh) 2017-08-09 2019-08-27 沙克忍者运营有限责任公司 烹饪系统
USD914447S1 (en) 2018-06-19 2021-03-30 Sharkninja Operating Llc Air diffuser
USD934027S1 (en) 2018-08-09 2021-10-26 Sharkninja Operating Llc Reversible cooking rack
USD883014S1 (en) 2018-08-09 2020-05-05 Sharkninja Operating Llc Food preparation device
USD883015S1 (en) 2018-08-09 2020-05-05 Sharkninja Operating Llc Food preparation device and parts thereof
USD903413S1 (en) 2018-08-09 2020-12-01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basket
EP3931493A1 (en) 2019-02-25 2022-01-05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system with guard
US20190254476A1 (en) 2019-02-25 2019-08-22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USD982375S1 (en) 2019-06-06 2023-04-04 Sharkninja Operating Llc Food preparation device
USD918654S1 (en) 2019-06-06 2021-05-11 Sharkninja Operating Llc Grill plate
US11678765B2 (en) 2020-03-30 2023-06-20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USD974100S1 (en) 2020-12-29 2023-01-03 Conair Llc Microwave air fryer combination
DE102022205602A1 (de) 2022-06-01 2023-12-07 BSH Hausgeräte GmbH Gargeräteeinsatz und System aus Gargerät und Gargeräteeinsatz
US11882961B1 (en) 2023-01-18 2024-01-30 Sharkninja Operating Llc Cover plate for cooking devic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34332A (ja) * 2005-02-28 2006-09-07 Yukio Hirose 攪拌機能付き電子レンジ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98437A (en) * 1956-06-06 1959-08-04 Gen Electric Combination electric cooking appliance
US2885951A (en) * 1957-10-08 1959-05-12 Whirlpool Co Rotisserie with automatic basting mechanism
US3169753A (en) * 1962-03-26 1965-02-16 Wegh Sigmond Electric household bread and butter and pastry machine
FR2581305B1 (fr) * 1985-05-03 1990-05-18 Moulinex Sa Porte-roti pour rotissoire
FR2600756B1 (fr) * 1986-06-27 1990-05-11 Jovanovic Dragomir Appareil de cuisson a vapeur avec tournebroche
US4904834A (en) * 1987-10-16 1990-02-27 Raytheon Company Mixing attachment for microwave oven turntables
KR970006784Y1 (ko) * 1991-07-03 1997-07-03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렌지의 조리보조장치
JP3730728B2 (ja) * 1996-11-14 2006-01-05 日清フーズ株式会社 麺用ミキサの駆動方法
KR200141789Y1 (ko) 1996-12-26 1999-06-01 한동선 연속자동 식품 튀김기
US6029563A (en) * 1998-09-18 2000-02-29 Sanyo Electric Co., Ltd. Cooking machine
US20040251250A1 (en) * 2003-06-10 2004-12-16 Haedrich Michael Steven Microwave oven mixing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4627745B2 (ja) * 2006-06-07 2011-02-09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加熱調理器
KR20090000348U (ko) * 2007-07-09 2009-01-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렌지
EP2147601A1 (en) * 2008-07-24 2010-01-27 Fagor, S. Coop. Tool for making bread for a household oven
US9402505B2 (en) * 2009-12-15 2016-08-02 Whirlpoo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rotisserie oven
JP2011179792A (ja) * 2010-03-03 2011-09-15 Sanyo Electric Co Ltd 加熱調理器
JP2012237539A (ja) * 2011-05-11 2012-12-06 Amity Energy Solution 株式会社 攪拌装置
US20120305549A1 (en) * 2011-06-03 2012-12-06 Wylie Phillip K Microwave Oven Food Stirring Assembl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34332A (ja) * 2005-02-28 2006-09-07 Yukio Hirose 攪拌機能付き電子レン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219187A (ja) 2014-11-20
US9341382B2 (en) 2016-05-17
EP2799779B1 (en) 2017-11-15
US20140322417A1 (en) 2014-10-30
EP2799779A2 (en) 2014-11-05
CN104138194A (zh) 2014-11-12
KR20140129535A (ko) 2014-11-07
EP2799779A3 (en) 2015-12-23
JP5723953B2 (ja) 2015-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7496B1 (ko) 조리장치
KR101520611B1 (ko) 조리장치
KR101520612B1 (ko) 조리장치
KR101513456B1 (ko) 조리장치
KR101577497B1 (ko) 조리장치
KR101586532B1 (ko) 조리장치
KR101485918B1 (ko)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
KR102138631B1 (ko) 공기 유동을 갖는 전기 조리 기구
KR100438301B1 (ko) 계란구이장치가 구비된 전자레인지
KR101175734B1 (ko) 오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