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9116B1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9116B1
KR101749116B1 KR1020150064914A KR20150064914A KR101749116B1 KR 101749116 B1 KR101749116 B1 KR 101749116B1 KR 1020150064914 A KR1020150064914 A KR 1020150064914A KR 20150064914 A KR20150064914 A KR 20150064914A KR 101749116 B1 KR101749116 B1 KR 101749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cavity
module
charcoal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4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1813A (ko
Inventor
이상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64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9116B1/ko
Priority to US14/995,304 priority patent/US10364990B2/en
Priority to DE102016108299.6A priority patent/DE102016108299A1/de
Publication of KR20160131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1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9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9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F24C7/046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24C7/067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6Protective guards, e.g. for preventing access to heated par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68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 plates or analogous hot-plates
    • H05B3/74Non-metallic plates, e.g. vitroceramic, ceramic or glassceramic hobs, also including power or control circuits
    • H05B3/744Lamps as heat source, i.e. heating elements with protective gas envelope, e.g. halogen 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8Arrangement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king compartments, e.g. for warming or for storing utensils or fuel containers; Arrangement of additional heating or cooking apparatus, e.g. gr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차콜 히터를 사용한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브로일 히터로서 차콜 히터를 적용한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조리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 내측 상부에 구비되며, 봉지부가 상기 캐비티를 관통하여 상기 캐비티 외부에 위치되는 차콜 히터 모듈; 그리고 상기 캐비티 외부에서 상기 차콜 히터 모듈을 상기 캐비티에 고정시키는 모듈 브라켓을 포함하는 조리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리기기{cooking appliance}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차콜 히터를 사용한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브로일 히터로서 차콜 히터를 적용한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가열하여 조리하는 가전제품이라 할 수 있다. 요리를 수용하여 요리가 수행되는 공간을 오븐(oven), 캐비티(cavity) 또는 챔버(chamber)라 하며, 이러한 요리 공간을 갖는 조리기기를 흔히 오븐 또는 레인지(range)라 부른다.
상기 캐비티는, 부품 측면에서 조리기기의 골격을 이루는 구성으로, 히터를 사용하여 음식물을 가열시키는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철판을 통해 제작되며, 이 경우 청소 용이를 위해 법랑 코팅이 적용됨이 일반적이다.
상기 요리 공간 내의 음식물을 가열하는 히터는 일반적으로 시스(sheathed) 히터를 사용하며, 차콜(charcoal) 히터, 할로겐 히터, 세라믹 히터 그리고 복사 히터 등도 사용된다. 즉,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에는 여러 종류가 있으며, 조리기기에 따라서 이러한 히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히터는 다양한 용도에 사용될 수 있다. 브로일(broil) 히터는 직화열이나 복사열을 이용한 그릴(gril) 용도에 사용되는 히터이며, 베이크(bake) 히터는 캐비티 하부에 위치하여 캐비티 전체를 가열시켜 주는 용도에 사용되는 히터이다. 컨벡션(convection) 히터는 팬과 함께 캐비티 내부에 열풍을 발생시켜 요리의 균일성을 높이는 히터이며, 웜(warm) 히터는 접시를 데우거나 이미 완성된 요리를 따뜻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저출력 히터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용도에 필요에 따라서 상기 시스 히터, 차콜 히터, 할로겐 히터 그리고 세라믹 히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조리기기로서 두 개의 캐비티를 갖는 더블레인지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더블레인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일반적으로, 조리기기는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10)을 포함하며,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캐비티(50, 55)가 구비된다. 상기 캐비티는 하나 구비될 수도 있으며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은 사이드 패널(11)과 리어 패널(1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10) 또는 캐비티(50, 55)에는 도어(40, 45)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40, 45)을 통해서 상기 캐비티(50, 55) 내부의 조리 공간을 개폐할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는 핸들(41, 46)을 잡고 도어(40, 45)를 열거나 닫을 수 있다.
상기 조리기기는 상기 캐비티(50, 55)뿐만 아니라 쿡탑(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쿡탑(20)은 상기 조리기기(1)의 상면에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쿡탑(20)은 냄비(pot)이나 팬(pan)과 같은 용기를 통해 조리가 수행되는 공간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쿡탑(20)은 조리기기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조리기기는 컨트롤패널(3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컨트롤패널(30)을 통하여 조리기기를 조작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컨트롤패널(30)을 통해서 조리기기의 작동 상태를 파악할 수도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30)의 후방에는 컨트롤패널 커버(31)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리어 패널(12)과 컨트롤 패널 커버(31)가 상기 조리기기의 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최근에는 열을 발생시키는 응답이 빠르고 열과 함께 빛을 내는 시각적 효과를 가지는 차콜 히터를 조리기기에 적용한 예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차콜 히터는 유리관을 사용하기 때문에 조리기기에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많다. 왜냐하면 제조 과정이나 제품 사용 과정에서 유리관이 손상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는 차콜 히터를 브로일 히터로 적용하는 경우에 더욱 두드러지게 된다. 왜냐하면, 용기를 캐비티 내에 넣거나 뺄 때 용기와 차콜 히터가 충돌하여 차콜 히터가 손상될 수 있기 때문이다. 차콜 히터의 유리관 손상은 단순한 차콜 히터의 손상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상해 및 음식물에 이물질이 섞이는 문제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제품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차콜 히터와 유사하게 유리관을 포함하는 할로겐 히터에도 이러한 문제가 동일하게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콜 히터나 할로겐 히터를 브로일 히터로 적용함에 있어서 제조가 용이하고 안전성이 증진된 조리기기를 제공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차콜 히터나 할로겐 히터를 하나의 모듈(차콜 히터 모듈)로 제작하여 안전성 및 제조 편이성을 증진된 조리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상기 차콜 히터 모듈이 캐비티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상기 차콜 히터가 손상되지 않도록 상기 차콜 히터와 다른 구성들 사이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상기 차콜 히터 모듈 내에서 상기 차콜 히터를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상기 차콜 히터 모듈의 하우징을 상기 캐비티 내부에 고정하는 모듈 브라켓을 통하여 별도의 고정부재를 배제하고도 상기 차콜 히터를 고정할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차콜 히터 모듈, 캐비티 그리고 모듈 브라켓의 얼라인을 용이하게 하여 상기 차콜 히터 모듈을 상기 캐비티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차콜 히터와 할로겐 히터에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모듈 구조를 갖는 조리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조리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 내측 상부에 구비되며, 봉지부가 상기 캐비티를 관통하여 상기 캐비티 외부에 위치되는 차콜 히터 모듈; 그리고 상기 캐비티 외부에서 상기 차콜 히터 모듈을 상기 캐비티에 고정시키는 모듈 브라켓을 포함하는 조리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콜 히터 모듈은 할로겐 히터 모듈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차콜 히터 모듈은 열과 빛을 음식물로 제공하는 브로일 히터임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캐비티 내측 상부에서 외부 충격에 의해서 상기 차콜 히터 모듈이 상기 캐비티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야 한다. 아울러, 상기 차콜 히터 모듈을 상기 캐비티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어야 한다.
상기 차콜 히터 모듈은 내부에 차콜 히터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상기 캐비티 그리고 상기 모듈 브라켓 각각에는 서로 대응되는 체결홀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체결홀들은 얼라인이 이루어져 하나의 스크류가 얼라인된 체결홀들을 관통할 수 있다. 따라서, 스크류를 통해 상기 하우징, 캐비티 그리고 모듈 브라켓이 한번에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는 삽입 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캐비티와 상기 모듈 브라켓에는 상기 삽입 리브가 삽입되도록 서로 대응되는 삽입부가 각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삽입 리브가 상기 캐비티의 삽입 리브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차콜 히터 모듈은 상기 캐비티에 가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삽입 리브는 상기 캐비티의 삽입부를 관통하게 된다. 상기 관통된 삽입 리브가 다시 관통될 수 있도록 상기 모듈 브라켓에도 삽입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삽입 리브가 상기 모듈 브라켓의 삽입부를 관통함으로써 상기 모듈 브라켓의 결합 위치가 가결정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삽입 리브가 상기 모듈 브라켓의 삽입부를 관통하게 되며, 상기 하우징, 캐비티 그리고 모듈 브라켓 각각에 형성되는 체결홀들이 쉽게 얼라인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캐비티의 모듈 안착부에 안착되는 상부 하우징; 그리고상기 상부 하우징 하부에서 상기 상부 하우징과 결합되며, 상기 캐비티 내부와 연통되는 복수 개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하부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하우징에 형성되는 관통홀은 빛과 열을 통과시키도록 형성된다고 할 수 있다. 즉, 하우징 내부의 차콜 히터에서 발생되는 빛과 열은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여 음식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차콜 히터는 U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차콜 히터가 형성하는 U자 형태의 경로 내측 영역에서 상기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이 서로 맞닿도록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하우징에는 상기 하부 하우징을 향하여 함몰된 함몰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 하우징에는 상기 상부 하우징을 향하여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와 돌출부는 서로 맞닿게 형성되며, 스크류를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함몰부와 돌출부는 차콜 히터의 내부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차콜 히터와 간섭되지 않는다. 특히 상기 상부 하우징은 빛과 열을 반사하는 리플렉터 기능을 수행하는데, 상기 함몰부를 통해 좌우 그리고 전방으로 빛과 열을 골고루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차콜 히터를 상기 하우징 내부 공간 상에 지지하는 히터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하우징에는 상기 히터 브라켓이 고정되는 브라켓 고정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차콜 히터는 상기 상부 하우징이나 하부 하우징과 접촉되지 않게 된다.
상기 히터 브라켓은, 베이스; 상기 차콜 히터가 매달리는 걸이부; 그리고 상기 베이스와 걸이부 사이에서 상기 걸이부를 상기 베이스로부터 이격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이부는 고리 형상으로 상기 차콜 히터가 빠지지 않도록 상기 차콜 히터의 외면 일부를 감싸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는 얇은 판 형태로 형성되므로 자체 탄성에 의해서 충격으로부터 상기 차콜 히터를 보호하게 된다.
상기 브라켓 고정부는 상기 베이스가 삽입되는 랜싱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랜싱부에 억지끼움되기 위한 비드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충격으로부터 상기 브라켓이 상기 브라켓 고정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차콜 히터 모듈은, 유리관; 상기 유리관의 내부에서 상기 유리관의 양단으로 연장되는 차콜 히터 코어; 상기 차콜 히터 코어의 양단에 전원 연결을 위해 구비되는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봉지부는 상기 유리관의 양단에서 상기 유리관 내부를 밀봉시키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봉지부는 세라믹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듈 브라켓에는 상기 봉지부가 고정되는 차콜 히터 고정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모듈 브라켓 자체에 상기 차콜 히터가 고정되는 고정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별도의 부재가 배재되어 상기 모듈 브라켓 자체에서 상기 차콜 히터가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 차콜 히터 고정부는 상기 모듈 브라켓의 일부분으로서 벤딩을 통해 상기 차콜 히터를 고정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봉지부를 감싸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벤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벤딩이 수행되는 부분에 슬릿이나 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릿을 통하여 벤딩되는 영역의 단면적을 줄여 작업자가 별도의 공구 없이도 쉽게 벤딩을 할 수 있다.
상기 유리관은 상기 캐비티와 모듈 브라켓과의 접촉이 배제되며, 상기 봉지부는 또한 상기 캐비티와의 접촉이 배제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조리기기나 히터 모듈에 진동이 가해질 때, 상기 유리관 등이 캐비티나 모듈 브라켓과 부딪혀 히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봉지부는 상기 차콜 히터 고정부에 의해서만 상기 모듈 브라켓에 지지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봉지부와 히터 고정부 사이에는 스펀지나 천 등이 개재될 수 있다. 이러한 스펀지나 천 등을 통해 봉지부와 히터 고정부 사이에 충격이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상기 모듈 브라켓에는 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차콜 히터 고정부의 말단에는 상기 슬릿에 삽입된 후 비틀림에 의해 상기 슬릿과의 각도가 변경되도록 구비되는 고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듈 브라켓은 상기 캐비티의 외면에 적어도 두개소에서 면접하기 위한 면접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즉, 복수 개의 면접부를 통해서 모듈 브라켓이 캐비티에 대한 정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최종 결합 전에 얼라인이 원활히 수행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콜 히터 그리고 상기 차콜 히터를 수용하며 상기 차콜 히터의 일부분이 전원 연결을 위하여 외부로 연장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차콜 히터 모듈; 조리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차콜 히터의 일부분이 내부에서 외부로 연장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된 캐비티; 그리고 상기 캐비티 외부에서 상기 캐비티 및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여 상기 하우징을 상기 캐비티에 고정하며, 상기 차콜 히터를 상기 캐비티 외부에서 고정하도록 구비되는 모듈 브라켓을 포함하는 조리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차콜 히터 모듈은 상기 캐비티 내부에 면접되도록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듈 브라켓은 상기 캐비티 외부에 면접되도록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차콜 히터 모듈, 상기 캐비티 그리고 상기 모듈 브라켓은 이들을 관통하는 스크류를 통해 서로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스크류 결합이 수행되기 위해서 상기 차콜 히터 모듈, 상기 캐비티 그리고 상기 모듈 브라켓은 정위치에 미리 얼라인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얼라인을 위하여 상기 차콜 히터 모듈에는 삽입 리브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차콜 히터를 수용하는 하우징에 이러한 삽입 리브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캐비티와 상기 모듈 브라켓에는 상기 삽입 리브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각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삽입 리브가 상기 캐비티와 모듈 브라켓 각각에 형성되는 삽입부들을 관통함으로써, 상기 히터 모듈, 상기 캐비티 그리고 모듈 브라켓의 얼라인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얼라인이 수행된 후 스크류를 통해 상기 히터 모듈, 캐비티 그리고 모듈 브라켓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차콜 히터 모듈은 상기 캐비티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차콜 히터는 브로일 히터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 상기 캐비티 그리고 상기 모듈 브라켓 각각에는 상기 차콜 히터의 외경보다 내경이 큰 히터 관통홀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차콜 히터는 상기 관통홀들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모듈 브라켓에 형성되는 차콜 히터 고정부를 통해 상기 모듈 브라켓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콜 히터와 상기 관통홀 사이의 간격은 밀봉재를 통해 메워짐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밀봉재는 상기 차콜 히터가 상기 관통홀 내에서 상기 캐비티 또는 모듈 브라켓과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관통홀을 통해 열과 가스가 캐비티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서 차콜 히터를 할로겐 히터로 용이하게 대체될 수 있다. 왜냐하면, 차콜 히터와 할로겐 히터의 외형적인 구조와 전기 공급 구조는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차콜 히터와 할로겐 히터는 모두 유리관을 포함하기 때문에, 유리관의 손상 방지 문제 또한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차콜 히터를 하나의 모듈(차콜 히터 모듈)로 제작하여 안전성 및 제조 편이성을 증진된 조리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상기 차콜 히터 모듈이 캐비티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상기 차콜 히터가 손상되지 않도록 상기 차콜 히터와 다른 구성들 사이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상기 차콜 히터 모듈 내에서 상기 차콜 히터를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상기 차콜 히터 모듈의 하우징을 상기 캐비티 내부에 고정하는 모듈 브라켓을 통하여 별도의 고정부재를 배제하고도 상기 차콜 히터를 고정할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차콜 히터 모듈, 캐비티 그리고 모듈 브라켓의 얼라인을 용이하게 하여 상기 차콜 히터 모듈을 상기 캐비티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조리기기 특히 오븐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콜 히터 모듈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차콜 히터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히터 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히터 브라켓이 브라켓 고정부에 고정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차콜 히터 모듈이 캐비티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부분 단면 사시도;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차콜 히터 모듈이 캐비티에 가조립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3에 도시된 차콜 히터 모듈이 캐비티에 가조립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차콜 히터가 모듈 브라켓에 고정되는 모습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11은 차콜 히터가 모듈 브라켓에 고정되기 전후 모습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콜 히터 모듈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차콜 히터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에는 차콜 히터 모듈이 뒤집힌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차콜 히터는 할로겐 히터로 대체될 수 있다. 왜냐하면, 차콜 히터와 할로겐 히터의 외형 및 전기 연결 구조는 매우 유사하기 때문이다.
상기 차콜 히터는 탄소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탄소 섬유에 전기를 공급하면 열과 빛을 방출하는 히터라 할 수 있다. 상기 빛은 적외선 영역의 빛이라 차콜 히터를 적외선 계열의 히터라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할로겐 히터 또한 적외선 계열의 히터라 할 수 있으며, 할로겐 열선에 전기를 공급하면 빛과 열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할로겐 열선은 탄소 섬유를 포함하는 차콜 히터 코어와 대응된다고 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 모듈(100)은 하우징(110, 1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 내부에 차콜 히터(130)가 수용되어 지지된다. 상기 차콜 히터(130)의 일부는 전원 연결을 위하여 상기 하우징(110, 120) 외부로 연장된다.
상기 하우징은 상부 하우징(110)과 하부 하우징(1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하우징(110)과 하부 하우징(120)이 서로 결합되어 내부에 상기 차콜 히터(130)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하우징(110)은 캐비티의 상면을 향하게 위치되며, 상기 하부 하우징(120)은 상기 상부 하우징(110) 하부에서 상기 캐비티의 하면을 향하게 위치된다. 상기 히터 모듈(100)은 캐비티 상부에 위치되어 캐비티 내부에 위치되는 음식물을 가열하게 조리하게 된다. 즉, 브로일 히터로서 캐비티 내부에 장착되게 된다.
상기 상부 하우징(110)은 빛과 열을 반사하여 상기 하부 하우징(120)을 통해 빛과 열이 원활이 음식물로 제공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 하우징(110)을 리플렉터라 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하우징(120)은 음식물과 마주보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즉, 차콜 히터에서 발생되는 열과 빛이 상기 하부 하우징(120)을 통과하여 상기 음식물로 제공되어야 한다. 즉, 음식물과 매우 가까운 위치에 상기 하부 하우징(120)이 위치되어 열과 빛을 통해서 음식물을 조리하게 된다.
상기 하부 하우징(120)에는 복수 개의 관통홀(123)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의 크기와 개수가 많을수록 열과 빛이 원활하게 음식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관통홀의 크기와 개수는 적절하게 형성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사용자의 손이나 용기가 상기 관통홀을 통하여 모듈 내부로 유입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관통홀(123)은 가로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장공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음식물이 유입되고 유출되는 방향에 수직한 방항으로의 길이가 긴 장공 형태임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서, 용기나 사용자의 손이 상기 하우징(110, 12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차콜 히터(130)는 "U"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콜 히터(130)는 유리관(140)을 포함하며, 상기 유리관(140) 내부에 위치하는 차콜 히터 코어(131)에서 빛과 열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리관(140)이 "U"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어(131)는 상기 유리관(140) 내부에서 상기 유리관(140)의 양단으로 더욱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코어(131)는 유리관(140) 외부에서 전원 연결을 위한 단자(160)와 연결된다.
상기 유리관(140)의 말단에는 봉지부(150)가 형성된다. 상기 봉지부(150)는 세라믹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유리관 말단을 마감하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즉, 상기 봉지부(150)를 통해서 상기 유리관(140) 내부가 밀봉될 수 있다.
상기 봉지부(150)는 매우 취약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즉, 충격이나 진동에 쉽게 손상될 수 있는 부분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봉지부(150)는 후술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용이하고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봉지부를 통해서 상기 차콜 히터(130)를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봉지부(150)는 상기 하우징(110, 120) 외부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봉지부(150)에서 더욱 연장된 부분에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단자(160)가 구비된다. 이러한 단자는 차콜 히터(130) 양단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단자(160)를 통해서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차콜 히터(130)에서 빛과 열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유리관(140)은 재질 특성상 진동과 충격에 매우 약하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110, 120) 내부에 고정시키기가 매우 어렵다. 따라서, 상기 유리관(140)을 통해서 차콜 히터(130)를 상기 하우징(110, 120) 내부에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히터 브라켓(180)이 구비되며 상기 히터 브라켓(180)을 통해 상기 차콜 히터(130)가 하우징(110, 120)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하우징(110)에는 상기 히터 브라켓(180)이 고정되는 브라켓 고정부(114)가 형성된다. 상기 브라켓 고정부(114)는 복수 개 형성되며, 따라서 복수 개의 지지점을 통해서 차콜 히터(130)가 하우징(110, 120)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U"자 형태의 차콜 히터의 경우, 좌우 그리고 좌우 부분이 서로 연결되는 곡선부에 상기 히터 브라켓(180)이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히터 브라켓(180)은 상기 차콜 히터(130)가 상기 하우징(110, 120) 내부의 공간에 떠있는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차콜 히터(130) 특히 상기 차콜 히터 코어(131)를 감싸는 유리관(140)이 직접적으로 상기 하우징(110, 120)과 접촉되지 않도록 지지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110, 120)이 진동하더라도 상기 하우징(110, 120)과 상기 차콜 히터(130), 특히 유리관(140)이 상기 하우징(110, 120)과 부딪히지 않게 된다.
상기 히터 브라켓(180)과 상기 브라켓 고정부(114)에 대한 상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차콜 히터(130)와 유리관(140)은 "U"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U"자 형태의 경로 상 내부 영역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 하우징(110)과 하부 하우징(120)을 결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하우징(110)에는 함몰부(11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하우징(120)에는 융기부(121)가 형성된다. 이러한 함몰부(111)와 융기부(121)는 서로를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함몰부(111)와 융기부(121)는 서로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함몰부(111)와 융기부(121)에는 서로 대응되는 결합홀(112, 125)이 형성될 수 있으며, 스크류를 통해서 상기 상부 하우징(110)과 하부 하우징(120)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와 융기부는 도 3에 도시된 차콜 히터 모듈(100)을 기준으로 명명한 것이다. 즉, 실제 차콜 히터 모듈(100)이 캐비티에 장착된 모습을 기준으로 명명한 것이다.
이러한 함몰부(111)와 융기부(121)는 상기 차콜 히터(130)의 경로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된다. 즉, "U"자 형태의 내부 영역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차콜 히터(130)가 상기 하우징(110, 120)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상부 하우징(110)과 하부 하우징(120) 사이의 결합이 외각뿐만 아니라 중심 부분에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 하우징(110)과 하부 하우징(120)을 서로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차콜 히터(130)의 경로에 대응되는 상기 하부 하우징(120)에는 함몰부(122)가 형성된다. 즉, 상기 차콜 히터(130)와의 간격이 커지는 방향으로 함몰부(122)가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하방으로 함몰되는 함몰부(122)가 형성된다. 이러한 함몰부(122)는 마찬가지로 "U"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히터 모듈(100)의 높이가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차콜 히터(130)와 하부 하우징(120) 사이에 충분한 간격을 형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브라켓(110)은 리플렉터로의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함몰부(111)는 차콜 히터(130)의 중심 영역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함몰부(111)로 인해서 열과 빛이 상기 차콜 히터(130)의 직하부뿐만 아니라 캐비티 내부의 좌우 및 전방에도 골고루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히터 모듈(100) 하부에 놓이는 음식물에 골고루 열과 빛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히터 모듈(100)은 캐비티(200, 도 8 참조)에 고정된다. 상기 히터 모듈(100)이 캐비티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히터 모듈(100)은 전방과 후방을 통해서 상기 캐비티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히터 모듈(100), 특히 하우징(110, 120)은 장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후 길이가 좌우 길이보다 길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히터 모듈(100)의 전방은 스크류를 통해서 캐비티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히터 모듈(100)의 전방에도 결합홀 또는 결합 슬롯(113, 124)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는 하부 하우징에 형성된 결합홀(124)와 상부 하우징에 형성된 결합 슬롯(113)이 일례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결합홀(124)과 결합 슬롯(113)은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스크류가 상기 결합홀(124)과 결합 슬롯(113)을 동시에 관통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히터 모듈(100)의 전방은 이러한 결합홀(124), 결합 슬롯(113) 그리고 스크류를 통해서 캐비티에 고정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결합홀이나 결합 슬롯에 대응되는 결합홀이 상기 캐비티에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은 결합홀(112, 125)을 통해 서로 결합된다. 따라서, 캐비티에 상기 히터 모듈(100)의 전방을 결합하기 위해서 어느 하나가 결합 슬롯을 가질 수 있다. 물론, 양자 모두 결합 슬롯을 갖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상부 하우징(110)의 후방에는 하우징(110, 120) 내부에 위치하는 차콜 히터(130)가 상기 하우징(110, 120) 외부로 연장되기 위한 통과부(116)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과부(116)의 크기는 상기 차콜 히터(130)와 유리관(140)의 크기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차콜 히터(130)와 유리관(140)이 상기 통과부(116)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면서 상기 통과부(116)를 통과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110, 120)이 진동하더라도 상기 통과부(116)와 상기 유리관(140)은 서로 간섭되지 않게 된다.
상기 히터 모듈(100)의 후방에서 상기 히터 모듈(100)을 캐비티에 고정시키기 위한 모듈 브라켓(170)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도 3에 도시된 차콜 히터 모듈(100)을 캐비티의 후방에 고정시키기 위한 모듈 브라켓(170)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듈 브라켓(170)은 상기 모듈(100)에 포함될 수도 있으며, 별도의 구성이라고 할 수도 있다.
상기 모듈 브라켓(170)은 상기 캐비티 외부에서 상기 히터 모듈(100)을 캐비티 내부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모듈 브라켓(170)은 캐비티 외부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히터 모듈(100)을 캐비티(200)에 고정시키는 구조 및 순서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캐비티(200)의 내부 상측에는 모듈 안착부(210)가 형성된다. 상기 모듈 안착부(210)는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 하우징(110)이 안착되는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상기 모듈 안착부(210)는 캐비티(200) 내부 공간의 상면 중 일부분일 수 있다.
상기 차콜 히터(13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차콜 히터(130)는 상기 캐비티(200) 외부까지 연장되어야 한다. 즉, 차콜 히터(130), 유리관(140)의 일부, 단자(160)는 상기 캐비티(200) 외부까지 연장되어야 한다. 즉, 캐비티(200) 내부에서 외부로 연장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캐비티(200)에는 히터 관통부(230)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캐비티(200)의 후방에 상기 히터 관통부(230)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상기 히터 관통부(230)의 크기는 상기 유리관(140)의 크기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상기 유리관(140)의 단면보다 상기 히터 관통부(230)의 단면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서 상기 관통부(230)와 유리관(140)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관통부(230)와 유리관(140) 사이의 간격은 밀봉재(미도시)를 통해 메워짐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밀봉재를 통해 캐비티(200) 내부의 열이나 가스가 상기 캐비티(200)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밀봉재를 통해 상기 유리관(140)이 상기 캐비티(200)에 밀봉이 유지된 상태에서 이격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히터 모듈(100)이 상기 캐비티(200)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히터 모듈(100)의 후방에는 플렌지부(119)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렌지부(119)는 상기 상부 하우징(119)의 후방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렌지부(119)는 상기 캐비티(200)에 면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캐비티(200)의 후방에는 상기 플렌지부(119)가 면접될 수 있도록 플렌지 안착부(220)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렌지부(119)와 플렌지 안착부(220)는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캐비티(200)의 상부에서 후방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7과 도 8은 상기 히터 모듈(100)을 캐비티(200)에 용이하게 고정시키기 위하여 캐비티(200)를 뒤집은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즉, 캐비티(200)의 상부가 하부가 되도록 뒤집은 상태에서 히터 모듈(100)을 고정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플렌지부(119)에 삽입 리브(118)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삽입 리브(118)가 관통되는 삽입부(221)가 상기 플렌지 안착부(220)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렌지 안착부(220)에 상기 유리관(140)이 관통되는 관통부(230)가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티(200)의 상하가 바뀌도록 뒤집힌 상태에서 상기 플렌지부(119)와 플렌지 안착부(220)는 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도시된 상태에서 히터 모듈(100)을 후방 하향 경사지게 위치시킨 후 상기 히터 모듈(100)의 후방을 상기 캐비티(200)에 가조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리관(140)과 삽입 리브(118)가 각각 관통부(230)와 삽입부(221)에 삽입시킨 후, 상기 모듈 전체가 수평이 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히터 모듈(100) 전체가 상기 플렌지 안착부(220)에 수직이 되도록 한 상태에서 1차 가조립한 후 히터 모듈(100) 전체가 수평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모듈 전방을 전술한 결합홀(124)과 결합 슬롯(113)을 통해서 캐비티(200)에 1차 가조립할 수 있다. 즉, 상기 히터 모듈(100)의 전방은 스크류를 통해 상기 캐비티(200)에 고정되고 후방은 상기 삽입 리브(118)가 상기 삽입부(221)에 관통되어 가고정된 상태가 된다.
상기 유리관(140)과 관통부(2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접촉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플렌지부(119)는 상기 플렌지 안착부(220)에 면접촉 상태이며, 상기 삽입 리브(118)가 상기 삽입부(221)에 삽입되어 걸린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후 상기 캐비티(200)를 다시 뒤집는 경우에도 상기 히터 모듈(100)이 상기 캐비티(200)에 고정되어 히터 모듈(100)이 하방으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도 9 및 도 10에는 히터 모듈(100)이 캐비티(200)에 가고정된 후 원래 위치로 캐비티(200)를 뒤집은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히터 모듈(100)이 캐비티(200)에 가고정된 후 상기 모듈(100)은 모듈 브라켓(170)을 통해 캐비티(200)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모듈 브라켓(170)을 통해 상기 히터 모듈(100)이 상기 캐비티에 최종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모듈 브라켓(170)은 상기 캐비티(200)의 외면 형상에 부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캐비티(200)의 외면에 복수 개소에 면접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10에는 모듈 브라켓(170)이 3면에 걸쳐 캐비티(200)의 외면에 면접하는 형상이 도시되어 있다. 즉, 상기 모듈 브라켓(170)은 상기 캐비티(200)의 외면에 복수 개의 개소에 면접하도록 절곡된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먼저, 상기 모듈 브라켓(170)은 상기 플렌지 안착부(220)에 면접하도록 형성된 제1면접부(173)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면접부(173)에는 관통홀(177)이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플렌지부(119)에도 관통홀(117)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플렌지 안착부(220)에도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세 개의 관통홀은 하나의 스크류가 관통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0에는 스크류가 4 개소 관통되는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스크류를 통해서 히터 모듈(100), 캐비티(200) 그리고 모듈 브라켓(170)이 한번에 결합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결합 개소는 복수 개 구비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이러한 결합홀들은 가조립 시 일렬로 맞출 필요가 있다. 즉, 가조립에 의해서 구조적 그리고 자동적으로 맞춰질 필요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히터 모듈(100)은 삽입 리브(118)가 상기 캐비티(200)의 삽입부(221)에 삽입된다. 그리고, 플렌지부(119)와 플렌지 안착부(220)의 형합되는 경사면 특징을 통해 히터 모듈(100)과 캐비티(200)의 관통홀들은 일렬로 정렬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모듈 브라켓(170)에도 삽입부(175)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삽입 리브(118)가 삽입되는 삽입부(175)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삽입 리브(118)는 상기 캐비티(200)의 삽입부(221)와 모듈 브라켓(170)의 삽입부(175)를 동시에 관통되도록 삽입된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모듈 브라켓(170)은 상기 캐비티(200)의 외면에 형합하여 면접된다.
따라서, 상기 삽입리브(118)가 상기 삽입부들(221, 175)에 연속적으로 삽입됨과 동시에 이들 세 개의 구성 각각의 관통홀들은 서로 일렬로 정렬되게 된다. 이를 통해서 매우 용이하게 상기 히터 모듈(100)을 캐비티(200)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1면접부(173)에는 관통홀(177)뿐만 아니라 차콜 히터 통과부(176)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콜 히터 통과부(176)의 크기는 마찬가지로 상기 유리관(140)과 간섭되지 않도록 큰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면접부(173)에서 절곡되는 제2면접부(174)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면접부(174)는 상기 캐비티(200)의 상면에 면접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1면접부(173)과 제2면접부(174)가 상기 캐비티(200) 외면에 면접함에 따라 상기 모듈 브라켓(170)이 상기 캐비티(200)에 보다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모듈 브라켓(170)을 통해 상기 히터 모듈(100)이 상기 캐비티(200)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음을 의미하게 된다.
상기 모듈 브라켓(170)은 하나의 판재가 절곡, 벤딩, 피어싱 그리고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금속 재질의 판재를 통해서 모듈 브라켓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차콜 히터는 상기 모듈 하우징(110, 120) 내에서 히터 브라켓(180)을 제외하는 모듈 하우징(110, 120), 캐비티(200) 그리고 모듈 브라켓(170)과 간섭되지 않는다. 즉, 상기 차콜 히터(130)는 상기 모듈 하우징, 캐비티 그리고 모듈 브라켓과 접촉되지 않은 상태로 캐비티 후방까지 연장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차콜 히터(130)의 봉지부(150)는 진동이나 충격에 매우 취약하다. 따라서, 상기 봉지부(150)를 이러한 진동이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모듈 브라켓(170)은 차콜 히터 고정부(172)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콜 히터 고정부(172)는 상기 봉지부(150)를 감싸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듈 브라켓(170)은 상기 봉지부(150)의 하부에 소정 간격을 갖는 플렌지부(17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렌지부(178)는 상기 캐비티(200)의 외면과 적어도 일부분 면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플렌지부(178)를 제3면접부라할 수도 있다.
상기 플렌지부(178)는 상기 제1면접부(173)의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렌지부(178)는 캐비티(200)의 상면과 나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플렌지부(178)는 상기 봉지부(150)에 간섭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렌지부(178)에는 절곡되어 상기 봉지부(150)를 감싸는 히터 고정부(17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콜 히터 고정부(172)는 플렌지부(178)에서 수직 상방으로 절곡되는 제1절곡부(a), 이후 수평으로 절곡되는 제2절곡부(b), 수직 하방으로 절곡되는 제3절곡부(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콜 히터 고정부(172)는 상기 봉지부(150)의 일측에부터 제1절곡부(a), 제2절곡부(b) 그리고 제3절곡부(c)를 거쳐서 상기 봉지부(150)를 둘러싸게 된다.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 고정부(172)는 상기 봉지부(150)를 사각형 형태로 감싸게 된다. 상기 절곡부들 중 일부는 미리 절곡될 수 있다. 즉, 기본적으로 절곡부 a와 c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절곡되어 있으며, 봉지부를 최종적으로 지지할 때, 절곡부 b가 작업자에 의해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절곡이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슬롯(172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롯(172a)에 의해서 상기 절곡부 b는 매우 용이하게 절곡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히터 고정부(172)가 상기 봉지부(150)를 감싸도록 절곡된 후 상기 히터 고정부(172)가 지속적으로 이러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히터 고정부(172)가 봉지부(150)를 감싼 형태가 유지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 히터 고정부(172)에는 후크(172c)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플렌지부(178)에는 후크홀(178a)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히터 고정부(172)가 상기 봉지부(150)를 모두 감싼 후에는 상기 후크(172c)가 상기 후크 홀(178a)에 삽입된 상태이다. 이후, 상기 후크(172c)를 비틀면 상기 후크(172c)는 상기 후크 홀(178a)에서 빠지지 않게 된다. 즉,히터 고정부(172)가 봉지부(150)를 감싼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후크(172c)를 용이하게 비틀기 위하여 슬롯(172b)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봉지부(150)는 상기 히터 고정부(172)에 모두 감싸인 형태로 상기 모듈 브라켓(170)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히터 고정부(172)에는 상기 봉지부의 외형에 형합되도록 굴곡부(172d)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굴곡부(172d)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서, 상기 봉지부가 보다 안전하고 용이하게 지지되어 보호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에 형성된 굴곡부를 히터 안착부 또는 봉지부 안착부라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히터 브라켓(180) 및 상기 히터 브라켓(180)이 고정되는 브라켓 고정부(114)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모습에서 상하가 반전된 모습으로 히터 브라켓(180)이 브라켓 고정부(114)에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히터 브라켓(180)은 상기 브라켓 고정부(114)에 고정되기 위한 베이스(181)를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 고정부(114)는 상부 하우징(110)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히터 브라켓(180)은 베이스(181)에서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하방 연장된 연장부(18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183)에는 걸이부(18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이부(182)는 호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걸이부(182) 내부에 유리관(140)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히터 브라켓(180)은 하나의 판재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걸이부(182)와 연장부(183)는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81)의 중심 부분에서 일부가 절개 및 절곡된 형태로 상기 연장부(183)와 걸이부(182)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베이스(181)가 상기 브라켓 고정부(114)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브라켓(180) 전체가 상기 상부 하우징(11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고정부(114)는 랜싱부(114a)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랜싱부(114a)의 전후에 슬롯(114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랜싱부(114a)는 하부로 소정 높이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랜싱부(114a)에 의해서 상하로 소정 간격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랜싱부(114a)에 상기 베이스(181)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81)에는 상기 랜싱부에 의한 상하 간격에 대응되는 비드(184)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비드(184)에 의해서 상기 베이스(181)가 상기 랜싱부(114a)에 억지끼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슬롯(114b)는 나란히 두 개 형성되며 전후로 형성된다. 이러한 슬롯들 사이에 상기 랜싱부(114a)가 소정 간격을 두고 함몰되어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181)는 일측의 슬롯으로부터 타측의 슬롯까지 삽입된다. 상기 베이스(181)의 전방에는 벤딩부(186)가 형성된다. 전방으로 갈수록(삽입 방향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벤딩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의 후방이 상부에 위치되도록 비스듬히 하여 상기 베이스(181)가 상기 랜싱부(114a)를 관통할 수 있다. 이러한 벤딩부(186)는 전방의 슬롯(114b)에 걸릴 때 슬라이딩을 용이하게 하여 상기 전방의 슬롯(114b)을 지나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181)의 삽입이 멈출 수 있다.
상기 베이스(181)의 삽입이 끝난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181)가 후방으로 이격되거나 측방으로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슬릿구조(114c)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릿구조(114c)는 상기 상부 하우징(110)의 일부가 절곡되어 하방으로 함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릿구조(114c)가 상기 베이스(181)의 외각에 맞닿게 되어 상기 베이스(181)가 상부 하우징(110)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81)에는 후크(18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크(185)는 삽입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베이스(181)의 후방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181)가 삽입될 때 상기 랜싱부(114a)와의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다. 물론, 탄성 변형으로 삽입이 더욱 용이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81)의 삽입이 종료되면 상기 후크(185)는 상기 랜싱부(114a)의 전방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랜싱부(114a)에서 상기 베이스가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브라켓(180)을 상기 상부 하우징(110)에서 분리시킬 때에는 반대로 브라켓 후방을 먼저 들어올린 후 후방으로 잡아당길 수 있다. 상기 랜싱부(114a)와 후크(185) 사이의 걸림이 해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81)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는 금속 판재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쉽게 베이스(181)가 상기 랜싱부(114a)에서 빠질 수 있다. 물론, 상기 벤딩부(186)에 의해서 상기 베이스(181)가 상기 전방의 슬롯(114b)을 타고 빠져 나올 수 있다.
한편, 상기 브라켓 고정부(114)는 판금을 통해서 상기 상부 하우징(11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스크류와 같은 고정수단이 배제되더라도 상기 브라켓(180)을 상기 상부 하우징(110)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100 : (차콜) 히터 모듈 110 : 상부 하우징
120 : 하부 하우징 130 : (차콜) 히터
140 : 유리관 150 : 봉지부
160 : 단자 170 : 모듈 브라켓
180 : 히터 브라켓 200 : 캐비티

Claims (20)

  1.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조리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 내측 상부에 구비되며, 히터 코어를 수용하는 유리관의 양단에 구비되어 유리관 내부를 밀봉하는 봉지부가 상기 캐비티를 관통하여 상기 캐비티 외부에 위치되는 히터 모듈; 그리고
    상기 캐비티 외부에서 상기 히터 모듈과 결합되고, 상기 히터 모듈을 상기 캐비티에 고정시키는 모듈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모듈 브라켓은 상기 히터 모듈이 장착되었을 때 모듈 브라켓의 상면에 안착되는 상기 봉지부를 벤딩에 의하여 감싸도록 구비되는 히터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 모듈은 내부에 상기 유리관을 포함하는 히터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상기 캐비티 그리고 상기 모듈 브라켓 각각에는 서로 대응되는 체결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삽입 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캐비티와 상기 모듈 브라켓에는 상기 삽입 리브가 삽입되도록 서로 대응되는 삽입부가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캐비티의 모듈 안착부에 안착되는 상부 하우징; 그리고
    상기 상부 하우징 하부에서 상기 상부 하우징과 결합되며, 상기 캐비티 내부와 연통되는 복수 개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하부 하우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관을 포함하는 히터는 U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히터가 형성하는 U자 형태의 경로 내측 영역에서 상기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이 서로 맞닿도록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를 상기 하우징 내부 공간 상에 지지하는 히터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하우징에는 상기 히터 브라켓이 고정되는 브라켓 고정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 브라켓은,
    베이스;
    상기 히터가 매달리는 걸이부; 그리고
    상기 베이스와 걸이부 사이에서 상기 걸이부를 상기 베이스로부터 이격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고정부는 상기 베이스가 삽입되는 랜싱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랜싱부에 억지끼움되기 위한 비드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 코어는 상기 유리관의 내부에서 상기 유리관의 양단으로 연장되고,
    상기 히터 모듈은 상기 히터 코어의 양단에 전원 연결을 위해 구비되는 단자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관은 상기 캐비티 및 모듈 브라켓과의 접촉이 배제되며, 상기 봉지부는 상기 캐비티와의 접촉이 배제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부는 상기 히터 고정부에 의해서만 상기 모듈 브라켓에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13. 삭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 고정부에는 벤딩 영역의 단면적을 감소시켜 벤딩이 용이하도록 형성되는 슬롯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브라켓에는 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히터 고정부의 말단에는 상기 슬릿에 삽입된 후 비틀림에 의해 상기 슬릿과의 각도가 변경되도록 구비되는 고정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1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브라켓은 상기 캐비티의 외면에 적어도 두개소에서 면접하기 위한 면접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17. 차콜 히터 그리고 상기 차콜 히터를 수용하며 상기 차콜 히터의 일부분이 전원 연결을 위하여 외부로 연장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차콜 히터 모듈;
    조리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차콜 히터의 일부분이 내부에서 외부로 연장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된 캐비티; 그리고
    상기 캐비티 외부에서 상기 캐비티 및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여 상기 하우징을 상기 캐비티에 고정하며, 상기 차콜 히터를 상기 캐비티 외부에서 고정하도록 구비되는 모듈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히터 모듈은 상기 차콜 히터를 내부에 수용하는 유리관과, 상기 유리관의 양단에 구비되어 유리관 내부를 밀봉하며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캐비티 외부에 위치되는 봉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모듈 브라켓은 상기 차콜 히터 모듈이 장착되었을 때 모듈 브라켓의 상면에 안착되는 상기 봉지부를 벤딩에 의하여 감싸도록 구비되는 히터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차콜 히터 모듈은 상기 캐비티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차콜 히터는 브로일 히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상기 캐비티 그리고 상기 모듈 브라켓 각각에는 상기 차콜 히터의 외경보다 내경이 큰 히터 관통홀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차콜 히터의 유리관은 상기 관통홀들을 순차적으로 관통하고, 상기 차콜 히터는 상기 봉지부가 상기 모듈 브라켓에 형성되는 히터 고정부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모듈 브라켓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삽입 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캐비티와 상기 모듈 브라켓 각각에는 상기 삽입 리브가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삽입부가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KR1020150064914A 2015-05-08 2015-05-08 조리기기 KR101749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4914A KR101749116B1 (ko) 2015-05-08 2015-05-08 조리기기
US14/995,304 US10364990B2 (en) 2015-05-08 2016-01-14 Cooking appliance
DE102016108299.6A DE102016108299A1 (de) 2015-05-08 2016-05-04 Kochgerä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4914A KR101749116B1 (ko) 2015-05-08 2015-05-08 조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1813A KR20160131813A (ko) 2016-11-16
KR101749116B1 true KR101749116B1 (ko) 2017-06-20

Family

ID=57179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4914A KR101749116B1 (ko) 2015-05-08 2015-05-08 조리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364990B2 (ko)
KR (1) KR101749116B1 (ko)
DE (1) DE1020161082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2636B1 (ko) * 2015-09-02 2017-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스켓이 구비된 조리기기
CN112930137A (zh) * 2018-09-25 2021-06-08 布瑞威利私人有限公司 烹饪器具
US11598529B2 (en) 2019-03-05 2023-03-07 Whirlpool Corporation Oven burner cover screen with improved mesh configuration
EP3998920A4 (en) 2019-07-15 2023-08-16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APPLIANCE AND COMPONENTS THEREOF
EP4004444A4 (en) * 2019-09-16 2023-04-19 Femas Metal San. Ve Tic. A.S. FURNACE WITH LOWER HEATING ELEMENT SUPPORT PLATE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94107A (en) * 1956-02-09 1959-07-07 Fredrick L Lefebvre Ignition proof heater
BE754391A (fr) 1969-08-06 1971-01-18 G J C Dev Ltd Perfectionnements relatifs aux elements chauffants electriques et aux appareils les utilisant
US3674982A (en) * 1970-11-09 1972-07-04 Rama Ind Heater Co Zone controlled cook oven
US3899655A (en) * 1974-01-09 1975-08-12 Electro Therm Oven, heating element and socket assembly
US3875371A (en) * 1974-01-09 1975-04-01 Baxter Laboratories Inc Electric heating element with a socket assembly
US4192991A (en) * 1978-04-07 1980-03-11 Klemm Richard O Oven for cooking meat roasts
DE3047112C2 (de) 1980-12-13 1982-12-02 G. Bauknecht Gmbh, 7000 Stuttgart Elektrischer Ofen mit einer Mikrowellenheizeinrichtung und weiteren elektrischen Heizeinrichtungen
US4358669A (en) * 1981-08-17 1982-11-09 Emerson Electric Co. Electric heating elements
US4629865A (en) * 1985-01-23 1986-12-16 Raytheon Company Electric oven with improved broiler
GB8530477D0 (en) * 1985-12-11 1986-01-22 Thorn Emi Appliances Microwave ovens
GB8922058D0 (en) * 1989-09-29 1989-11-15 T R H Jackson Ltd Electric heater
FR2671859B1 (fr) 1991-01-17 1999-01-22 Moulinex Sa Appareil de cuisson, par exemple four comportant un protecteur pour un element chauffant electrique.
US5272317A (en) * 1992-02-01 1993-12-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od support shelf comprising metal grill with heater
US5961866A (en) * 1996-03-27 1999-10-05 Alto-Shaam, Inc. Food heating unit
US6008478A (en) * 1996-12-05 1999-12-28 Whirlpool Corporation Heating element support system for oven
US6097003A (en) * 1998-01-09 2000-08-01 Emerson Electric Company Support bar attachment for an electric heater element
US6152030A (en) * 1999-02-19 2000-11-28 Fuqua; Rick Lee Curing apparatus for a multi-color screen printing system
US6104005A (en) * 1999-04-09 2000-08-15 Distinctive Appliances, Inc. Electric heating element for cooking oven
US6359262B1 (en) * 2000-10-26 2002-03-19 Emerson Electric Co. Support bracket for heater element in bake oven
US7015443B2 (en) * 2004-04-15 2006-03-21 Maytag Corp. Sheathed electric heating element support bracket for RF cooking applications
US7342203B2 (en) * 2004-09-23 2008-03-11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Oven chamber including shielding member
KR100688016B1 (ko) * 2005-12-02 2007-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히터유닛을 구비한 전기조리기
US7489858B2 (en) * 2006-09-11 2009-02-10 The Vollrath Company, L.L.C. Heater assembly
US7378617B1 (en) * 2006-12-11 2008-05-27 General Electric Company Heating systems and methods for a cooking appliance
KR20080073860A (ko) * 2007-02-07 2008-08-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 기기용 히터 서포터 및 이를 이용한 조리 기기
US8350192B2 (en) * 2008-07-18 2013-01-08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Dual fan convection performance divider
KR101681768B1 (ko) * 2008-09-05 2016-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컨벡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오븐
WO2010118107A2 (en) * 2009-04-07 2010-10-14 Suarez Corporation Industries Portable heater
DK2440094T3 (en) * 2009-06-12 2017-05-01 Burger King Corp Electric frying
KR101634809B1 (ko) 2009-12-31 2016-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KR101673595B1 (ko) 2010-02-01 2016-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오븐
KR101650576B1 (ko) 2010-02-01 2016-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오븐
KR101656526B1 (ko) 2010-02-01 2016-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오븐
US8344289B2 (en) * 2010-04-21 2013-01-01 Whirlpool Corporation Terminal block cooling apparatus for an electric cooking range
CA2816204C (en) * 2011-02-11 2015-06-02 Lg Electronics Inc. Electric oven and method of servicing the same
WO2012108570A1 (ko) * 2011-02-11 2012-08-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오븐
US9055613B2 (en) * 2011-06-23 2015-06-09 Nova Coil, Inc. Formable helical wire heating coil assembly
KR101222738B1 (ko) * 2011-07-21 2013-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오븐
EP2764295B1 (en) * 2011-10-06 2016-12-14 Arçelik Anonim Sirketi An oven with increased cooking efficiency
KR101577496B1 (ko) * 2013-04-30 2015-12-14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조리장치
KR101551856B1 (ko) 2013-12-04 2015-09-08 정석균 순환여과 양식 시스템
US9719629B2 (en) * 2014-04-08 2017-08-01 Plansee Se Supporting system for a heating element and heat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1813A (ko) 2016-11-16
DE102016108299A1 (de) 2016-11-10
US20160327276A1 (en) 2016-11-10
US10364990B2 (en) 2019-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9116B1 (ko) 조리기기
KR102642751B1 (ko) 조리기기
US8413647B2 (en) Cooker
US10288296B2 (en) Cooking appliance
US20120160228A1 (en) Cooking appliance
US20130334197A1 (en) Electric oven and method for servicing same
EP3282817B1 (en) Structure for covering connection line, electric cooking applian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assembling cap of electric cooking appliance
KR101692624B1 (ko) 가스 조리기기
KR101101487B1 (ko) 스팀조리기기
JP2011181323A (ja) 加熱調理器
KR101690323B1 (ko) 전기 오븐
KR100697417B1 (ko) 오븐캐비티 온도센서 장착구조
KR100688664B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백가드부 장착구조
KR101815777B1 (ko) 쿡탑 고정 구조물과,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및 그 제조방법
KR101121917B1 (ko) 전기오븐의 탑버너부
KR100697456B1 (ko) 오븐도어 구조
KR101756990B1 (ko) 히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0674720B1 (ko) 전기오븐 도어의 내부유리 장착구조
JP2023028543A (ja) 加熱調理器
KR101652115B1 (ko) 전기 오븐
KR100776437B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하부히터 체결구조
KR100700770B1 (ko) 전기오븐
KR20110089778A (ko) 전기 오븐
KR20110089779A (ko) 전기 오븐
KR20060082256A (ko) 전기오븐의 하부히터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