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8016B1 - 히터유닛을 구비한 전기조리기 - Google Patents

히터유닛을 구비한 전기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8016B1
KR100688016B1 KR1020050116818A KR20050116818A KR100688016B1 KR 100688016 B1 KR100688016 B1 KR 100688016B1 KR 1020050116818 A KR1020050116818 A KR 1020050116818A KR 20050116818 A KR20050116818 A KR 20050116818A KR 100688016 B1 KR100688016 B1 KR 100688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heating unit
unit
hot wire
induction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6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승희
류종관
김의성
오두용
박병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6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8016B1/ko
Priority to US11/426,024 priority patent/US7385162B2/en
Priority to AU2006202773A priority patent/AU2006202773B2/en
Priority to CNA2006101058452A priority patent/CN1976552A/zh
Priority to EP06016247A priority patent/EP1793652A3/en
Priority to ZA200609722A priority patent/ZA200609722B/xx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8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80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45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 H05B6/1263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using coil cool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F24C7/046Rang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68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 plates or analogous hot-plates
    • H05B3/74Non-metallic plates, e.g. vitroceramic, ceramic or glassceramic hobs, also including power or control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히터유닛을 구비한 전기조리기에 관한 것으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 마련되는 가열플레이트와; 상기 가열플레이트의 하부에 마련되며, 전원인가에 의해 발열되는 열선히팅부와; 상기 열선히팅부와 인접하도록 상기 가열플레이트의 하부에 마련되며, 유도가열에 의해 작동되는 유도가열히팅부와; 상기 열선히팅부 및 상기 유도가열히팅부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부와; 상기 열선히팅부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열선히팅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열선히팅부는 상기 유도가열히팅부가 위치할 수 있도록 중공부가 형성된 반사플레이트와, 상기 반사플레이트 상에 마련된 열선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반사플레이트를 지지하는 탄성체로 구성됨으로써, 전기조리기 히터유닛의 가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조리용기에 구애받지 않고 음식물을 간편하게 조리할 수 있는 전기조리기를 제공할 수 있다.
열선히팅부, 유도가열히팅부, 연결부, 케이싱, 가열플레이트

Description

히터유닛을 구비한 전기조리기 {ELECTRIC COOKER EQUIPPED WITH HEATER UNI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히터유닛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히터유닛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히터유닛을 구비한 전기조리기의 제1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히터유닛을 구비한 전기조리기의 제2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히터유닛을 구비한 전기조리기의 제2실시예에서 히터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히터유닛을 구비한 전기조리기의 제2실시예에서 히터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열선히팅부 22 : 반사플레이트
23 : 중공부 24 : 열선히터
30 : 유도가열히팅부 32 : 베이스플레이트
33 : 제1절연테이프 34 : 페라이트코어
35 : 제2절연테이프 36 : 유도가열코일
40 : 연결부 50 : 케이싱
60 : 가열플레이트 70 : 지지부재
72 : 제1지지부재 74 : 제2지지부재
본 발명은 히터유닛을 구비한 전기조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히터유닛의 발열효율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조리용기의 재질에 따라 열원을 선택적으로 채택할 수 있는 히터유닛을 구비한 전기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기는 가스나 전기 등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간편하게 조리하기 위한 것이며, 전기의 인가에 의해 동작되는 전기조리기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홉(Hob) 또는 쿡탑(Cook Top) 등과 같은 전기조리기의 주요 열원으로 사용되는 고출력 및 고효율의 유도가열(Induction Heating)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유도가열 방식의 전기조리기는 가열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한 유도가열코일에 고주파 전류를 흘리면 고주파 자속이 생성되고, 이 고주파 자속의 전자유도작용에 의해 가열플레이트 상부에 위치한 조리용기에 와전류(Eddy Current)가 발생된다.
이에 따라, 조리용기의 저항성분에 의한 주울열이 발생되어 조리용기가 뜨거워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전기조리기는 다른 종류의 히터에 비해 가열효율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철 성분을 함유한 자성의 조리용기만 가열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에 들어, 조리용기의 제약성을 극복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그 결과로 철을 포함한 자성의 조리용기 뿐 아니라 동, 알루미늄 등을 포함한 비자성의 조리용기 및 저저항율을 갖는 비자성의 조리용기도 가열할 수 있는 유도가열 전기조리기가 개발되었다.
다만, 비자성의 조리용기는 자성의 조리용기에 비해 투자율이 작기 때문에 자성의 조리용기와 동일한 가열효율을 얻기 위해서는 전기조리기의 동작주파수를 증가시키거나, 유도가열코일의 턴수 및 전류를 크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의 전기조리기는 비자성의 조리용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 및 인버터 구조가 상대적으로 복잡할 뿐 아니라 그에 따른 경제적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비자성의 조리용기에 대한 가열효율이 자성의 조리용기에 비해 현저하게 낮다는 단점이 있다.
예컨대, 비자성의 조리용기에 대한 가열효율은 복사에너지를 내는 히터로 구성된 전기조리기의 가열 효율보다도 낮다.
또한, 자성/비자성의 금속 조리용기에는 사용할 수 있지만, 세라믹이나 유리와 재질로 이루어진 비자성의 조리용기에는 사용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가열효율을 상대적으로 향상시킴과 아울러 자성/비자성의 조리용기에 모두 사용할 수 있는 히터유닛을 구비한 전기조리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 마련되는 가열플레이트와; 상기 가열플레이트의 하부에 마련되며, 전원인가에 의해 발열되는 열선히팅부와; 상기 열선히팅부와 인접하도록 상기 가열플레이트의 하부에 마련되며, 유도가열에 의해 작동되는 유도가열히팅부와; 상기 열선히팅부 및 상기 유도가열히팅부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부와; 상기 열선히팅부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열선히팅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열선히팅부는 상기 유도가열히팅부가 위치할 수 있도록 중공부가 형성된 반사플레이트와, 상기 반사플레이트 상에 마련된 열선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반사플레이트를 지지하는 탄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유닛을 구비한 전기조리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히터유닛을 구비한 전기조리기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 마련되는 가열플레이트; 상기 가열플레이트의 하부에 마련되며, 전원인가에 의해 발열되는 열선히팅부; 상기 열선히팅부와 인접하도록 상기 가열플레이트의 하부에 마련되며, 유도가열에 의해 작동되는 유도가열히팅부; 상기 열선히팅부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열선히팅부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재; 상기 유도가열히 팅부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유도가열히팅부를 지지하는 제2지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데 그 특징이 있다.
상기 열선히팅부는 상기 유도가열히팅부의 외측을 둘러싸고 이격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선히팅부는, 상기 유도가열히팅부가 위치할 수 있도록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는 반사플레이트; 상기 반사플레이트 상에 마련되는 열선히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도가열히팅부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부에 부착되는 제1절연테이프; 상기 제1절연테이프 상부에 마련되는 페라이트코어; 상기 페라이트코어의 상부에 마련되는 제2절연테이프; 상기 제2절연테이프 상에 부착되는 유도가열코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2지지부재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지지부재는 상기 반사플레이트를 탄력적으로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제2지지부재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히터유닛은 열선히팅부(20); 열선히팅부(20)와 인접하게 마련되는 유도가열히팅부(30); 열선히팅부(20) 및 유도가열히팅부(30)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열선히팅부(20)는 유도가열히팅부(30)의 외측을 둘러싸고 이격 설치되며, 열선히팅부(20) 및 유도가열히팅부(30)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공간에는 연결부(40)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열선히팅부(20) 및 유도가열히팅부(30)가 서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즉, 열선히팅부(20) 및 유도가열히팅부(30)가 일체형 구조를 가진다.
열선히팅부(20)는 중공부(23)가 형성되어 있는 원판형의 반사플레이트(22); 반사플레이트(22) 상에 마련되며, 양단에 단자부(25)가 형성되어 있는 열선히터(24)를 포함한다. 반사플레이트(22)는 열선히터(24)의 열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반사플레이트(22)에는 열선히터(24)의 단자부(25)가 관통 결합되는 히터관통홀(21a,21b)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공부(23)에는 유도가열히팅부(30)가 위치한다. 반사플레이트(22)의 구조 및 재질 등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열선히터(24)는 단자부(25)의 전원인가에 의해 발열되며, 링 구조를 가진다.
열선히터(24)로는 탄소발열체 이용하여 발열효율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카본 히터(Carbon Heater)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 라디안트 히터(Radiant Heater)를 비롯한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것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유도가열히팅부(30)는 유도가열 방식에 의해 작동된다. 유도가열은 유도가열코일로부터 변환되는 전기적 에너지에 의해 금속적인 부분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방 법이며, 유도가열은 공지된 기술의 일부이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유도가열히팅부(30)는 코일이 원형플레이트 형상으로 감겨져 있는 구조를 지니고 있으며, 통상적으로 워크코일(work coil) 또는 워킹코일(working coil)이라고도 한다.
연결부(40)는 바아(Bar) 형상을 가지며, 열선히팅부(20) 및 유도가열히팅부(30)의 연결상태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일정의 간격으로 3개 설치된다.
연결부(40)의 형상 및 크기, 설치개수 및 설치위치는 적절하게 조절 가능하며, 그 재질 또한 내구성 및 내강도성이 우수한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것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열선히팅부(20) 및 유도가열히팅부(30)의 배치구조는 필요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에서는 열선히팅부(20)가 유도가열히팅부(30)의 외측을 둘러싸고 이격 설치되어 있는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반대로 유도가열히팅부(30)가 열선히팅부(20) 외측을 둘러싸고 이격 설치되도록 배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열선히팅부(20)는 비자성체 또는 자성체를 둘 다 가열시킬 수 있으며, 유도가열히팅부(30)는 자성체만을 가열시킬 수 있다. 자성체를 가열시킬 경우에는 열선히팅부(20)보다 유도가열히팅부(30)의 가열효율이 상대적으로 우수하다.
그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히터유닛은 피가열물이 담긴 조리용기의 재질에 구애를 받지 않으면서 가열효율을 상대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제1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히터유닛은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조리기는 케이싱(50); 케이싱(50)의 상부에 마련되는 가열플레이트(60); 가열플레이트(60)의 하부에 마련되는 열선히팅부(20); 열선히팅부(20)와 인접하도록 가열플레이트(60)의 하부에 마련되는 유도가열히팅부(30); 열선히팅부(20) 및 유도가열히팅부(30)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부(40); 열선히팅부(20)의 하부에 마련되어, 열선히팅부(2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케이싱(50)의 내부에는 인버터부(80) 및 유도가열히팅부(30)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팬(90)이 마련되어 있다.
케이싱(50)의 내부는 열선히팅부(20)에서 발생되는 열로 인해 그 내부온도가 증가되고, 이는 열선히팅부(20)와 인접하게 위치하는 유도가열히팅부(30)의 온도를 급격히 상승시키게 된다. 그러나 유도가열히팅부(30)는 그 내열능력에 한계가 있으므로 냉각팬(90)을 통해 케이싱(50)의 내부온도를 적절하게 유지시켜 주어야 한다.
가열플레이트(60)는 일정의 크기 및 두께를 가지고 조리용기(99)를 지지하면서 가열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열선히팅부(20) 및/또는 유도가열히팅부(30)에 의해 가열된다.
특히, 유도가열히팅부(30)에 의해 가열플레이트(60)를 가열할 경우에는, 가 열플레이트(60)의 하부에 위치한 유도가열히팅부(30)에 고주파 전류를 흘리면 고주파 자속이 생성되고, 이러한 고주파 자속이 전자유도작용에 의해 가열플레이트(60)의 상부에 와전류(Eddy current)를 발생시킴에 따라 조리용기(99)의 저항성분에 의한 주울열이 발생되어 조리용기(99)가 가열된다.
이 때, 조리용기(99)가 자성체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음은 물론이다.
열선히팅부(20)는 유도가열히팅부(30)의 외측을 둘러싸고 이격 설치되며, 열선히팅부(20) 및 유도가열히팅부(30)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공간에는 연결부(40)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열선히팅부(20) 및 유도가열히팅부(30)가 서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즉, 열선히팅부(20) 및 유도가열히팅부(30)가 일체형 구조를 가진다.
열선히팅부(20)는 중공부(23)가 형성되어 있는 원판형의 반사플레이트(22); 반사플레이트(22) 상에 마련되며, 양단에 단자부(25)가 형성되어 있는 열선히터(24)를 포함한다. 반사플레이트(22)는 열선히터(24)의 발열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반사플레이트(22)에는 열선히터(24)의 단자부(25)가 관통 결합되는 히터관통홀(21a,21b)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공부(23)에는 유도가열히팅부(30)가 위치한다. 반사플레이트(22)의 구조 및 재질 등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열선히터(24)는 단자부(25)의 전원인가에 의해 발열되며, 링 구조를 가진다.
열선히터(24)로는 탄소발열체 이용하여 발열효율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카본 히터(Carbon Heater)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 라디안트 히터(Radiant Heater)를 비롯한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것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유도가열히팅부(30)는 유도가열 방식에 의해 작동된다. 유도가열은 유도가열코일로부터 변환되는 전기적 에너지에 의해 금속적인 부분의 온도를 올리는 방법이며, 유도가열은 공지된 기술의 일부이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연결부(40)는 바아(Bar) 형상을 가지며, 열선히팅부(20) 및 유도가열히팅부(30)의 연결상태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일정의 간격으로 3개 설치된다.
연결부(40)의 형상 및 크기, 설치개수 및 설치위치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며, 그 재질 또한 내구성 및 내강도성이 우수한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열선히팅부(20) 및 유도가열히팅부(30)의 배치구조는 필요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에서는 열선히팅부(20)가 유도가열히팅부(30)의 외측을 둘러싸고 이격 설치되어 있는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으나, 반대로 유도가열히팅부(30)가 열선히팅부(20) 외측을 둘러싸고 이격 설치되도록 배치할 수도 있다.
지지부재(70)는 탄성체로 이루어져, 반사플레이트(22)를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지지부재(70)는 스프링을 비롯한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탄성체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전기조리기는 유도가열히팅부(30)에 흐르는 공진전류를 검 출하여 가열플레이트(60) 상부의 조리용기(99)가 자성체인지 비자성체인지 판단하여, 그 종류에 따라 열선히팅부(20) 및 유도가열히팅부(30)를 적절히 온/오프시키면 된다. 예컨데, 자성의 조리용기에는 열선히팅부(20) 및 유도가열히팅부(30)를 동시에 구동하고, 비자성의 조리용기에는 열선히팅부(20) 만을 구동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제2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조리기는 케이싱(50); 케이싱(50)의 상부에 마련되는 가열플레이트(60); 가열플레이트(60)의 하부에 마련되는 열선히팅부(20); 열선히팅부(20)와 인접하도록 가열플레이트(60)의 하부에 마련되는 유도가열히팅부(30); 열선히팅부(20)의 하부에 마련되어, 열선히팅부(20)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재(72); 유도가열히팅부(30)의 하부에 마련되어, 유도가열히팅부(30)를 지지하는 제2지지부재(7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케이싱(50)의 내부에는 인버터부(80) 및 유도가열히팅부(30)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팬(90)이 마련되어 있다.
케이싱(50)의 내부는 열선히팅부(20)에서 발생되는 열로 인해 그 내부온도가 증가되고, 이는 열선히팅부(20)와 인접하게 위치하는 유도가열히팅부(30)의 온도를 급격히 상승시키게 된다. 그러나 유도가열히팅부(30)는 그 내열능력에 한계가 있으므로 냉각팬(90)을 통해 케이싱(50)의 내부온도를 적절하게 유지시켜 주어야 한다.
가열플레이트(60)는 일정의 크기 및 두께를 가지고 조리용기(99)를 지지하면 서 가열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열선히팅부(20) 및/또는 유도가열히팅부(30)에 의해 가열된다.
특히, 유도가열히팅부(30)에 의해 가열플레이트(60)를 가열할 경우에는, 가열플레이트(60)의 하부에 위치한 유도가열히팅부(30)에 고주파 전류를 흘리면 고주파 자속이 생성되고, 이러한 고주파 자속이 전자유도작용에 의해 가열플레이트(60)의 상부에 와전류(Eddy current)를 발생시킴에 따라 조리용기(99)의 저항성분에 의한 주울열이 발생되어 조리용기(99)가 가열된다.
이 때, 조리용기(99)가 자성체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음은 물론이다.
열선히팅부(20)는 유도가열히팅부(30)의 외측을 둘러싸고 이격 설치된다. 즉, 열선히팅부(20) 및 유도가열히팅부(30)는 서로 분리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열선히팅부(20)는 중공부(23)가 형성되어 있는 원판형의 반사플레이트(22); 반사플레이트(22) 상에 마련되며, 양단에 단자부(25)가 형성되어 있는 열선히터(24)를 포함한다. 반사플레이트(22)는 열선히터(24)의 발열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반사플레이트(22)에는 열선히터(24)의 단자부(25)가 관통 결합되는 히터관통홀(21a,21b)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공부(23)에는 유도가열히팅부(30)가 위치한다. 반사플레이트(22)의 구조 및 재질 등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열선히터(24)는 단자부(25)의 전원인가에 의해 발열되며, 링 구조를 가진다.
열선히터(24)로는 탄소발열체 이용하여 발열효율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카본 히터(Carbon Heater)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 라디안트히터(Radiant Heater)를 비롯한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것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유도가열히팅부(30)는 유도가열 방식에 의해 작동된다. 유도가열은 유도가열코일로부터 변환되는 전기적 에너지에 의해 금속적인 부분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방법이며, 유도가열방식은 공지된 기술의 일부이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유도가열히팅부(30)는 베이스플레이트(32); 베이스플레이트(32) 상부에 부착되는 제1절연테이프(33); 제1절연테이프(33) 상부에 마련되는 페라이트코어(34); 페라이트코어(34)의 상부에 마련되는 제2절연테이프(35); 제2절연테이프(35) 상에 부착되는 유도가열코일(36)을 포함한다.
베이스플레이트(32)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며, 페라이트코어(34)는 유도가열코일(36)로부터 전달되는 자기력이 하부로 유동되는 것을 차폐하여 자속의 패스(Pass) 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유도가열코일(36)은 통상적으로 워크코일 도는 워킹코일이라고도 한다.
제1절연테이프(33) 및 제2절연테이프(35)는 페라이트코어(34)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열선히팅부(20) 및 유도가열히팅부(30)의 배치구조는 필요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에서는 열선히팅부(20)가 유도가열히팅부(30)의 외측을 둘러싸고 이격 설치되어 있으나, 반대로 유도가열히팅부(30)가 열선히팅부(20) 외측을 둘러싸고 이격 설치되도록 배치할 수도 있다.
제1,2지지부재(72,74)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며, 제1지지부재(72)는 반사플레이트(22)를 탄력적으로 지지함과 아울러 제2지지부재(74)는 베이스플레이트(32)를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제1,2지지부재(72,74)는 스프링을 비롯한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탄성체를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리용기의 재질에 따라 열선히팅부 및 유도가열히팅부를 적절히 사용함으로 인해, 히터유닛의 가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조리용기에 구애받지 않고 음식물을 간편하게 조리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전기조리기의 기능성 및 사용성을 상대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히터유닛이 일체형 구조를 가짐으로써 생산성은 물론이고 설치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케이싱와;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 마련되는 가열플레이트와;
    상기 가열플레이트의 하부에 마련되며, 전원인가에 의해 발열되는 열선히팅부와;
    상기 열선히팅부와 인접하도록 상기 가열플레이트의 하부에 마련되며, 유도가열에 의해 작동되는 유도가열히팅부와;
    상기 열선히팅부 및 상기 유도가열히팅부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부와;
    상기 열선히팅부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열선히팅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열선히팅부는 상기 유도가열히팅부가 위치할 수 있도록 중공부가 형성된 반사플레이트와, 상기 반사플레이트 상에 마련된 열선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반사플레이트를 지지하는 탄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유닛을 구비한 전기조리기.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 마련되는 가열플레이트;
    상기 가열플레이트의 하부에 마련되며, 전원인가에 의해 발열되는 열선히팅부;
    상기 열선히팅부와 인접하도록 상기 가열플레이트의 하부에 마련되며, 유도가열에 의해 작동되는 유도가열히팅부;
    상기 열선히팅부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열선히팅부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재;
    상기 유도가열히팅부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유도가열히팅부를 지지하는 제2지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히터유닛을 구비한 전기조리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열선히팅부는 상기 유도가열히팅부의 외측을 둘러싸고 이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유닛을 구비한 전기조리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열선히팅부는,
    상기 유도가열히팅부가 위치할 수 있도록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는 반사플레이트; 상기 반사플레이트 상에 마련되는 열선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유닛을 구비한 전기조리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가열히팅부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부에 부착되는 제1절연테이프; 상기 제1절연테이프 상부에 마련되는 페라이트코어; 상기 페라이트코어의 상부에 마련되는 제2절연테이프; 상기 제2절연테이프 상에 부착되는 유도가열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유닛을 구비한 전기조리기.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지지부재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지지부재는 상기 반사플레이트를 탄력적으로 지지하고, 상기 제2지지부재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유닛을 구비한 전기조리기.
KR1020050116818A 2005-12-02 2005-12-02 히터유닛을 구비한 전기조리기 KR1006880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6818A KR100688016B1 (ko) 2005-12-02 2005-12-02 히터유닛을 구비한 전기조리기
US11/426,024 US7385162B2 (en) 2005-12-02 2006-06-23 Heater unit and electric cooker equipped therewith
AU2006202773A AU2006202773B2 (en) 2005-12-02 2006-06-30 Heater unit and electric cooker equipped therewith
CNA2006101058452A CN1976552A (zh) 2005-12-02 2006-07-13 加热器装置及装备有该加热器装置的电炊具
EP06016247A EP1793652A3 (en) 2005-12-02 2006-08-03 Heater unit and electric cooker equipped therewith
ZA200609722A ZA200609722B (en) 2005-12-02 2006-11-22 Heater unit and electric cooker equipped therewit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6818A KR100688016B1 (ko) 2005-12-02 2005-12-02 히터유닛을 구비한 전기조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8016B1 true KR100688016B1 (ko) 2007-02-27

Family

ID=37807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6818A KR100688016B1 (ko) 2005-12-02 2005-12-02 히터유닛을 구비한 전기조리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385162B2 (ko)
EP (1) EP1793652A3 (ko)
KR (1) KR100688016B1 (ko)
CN (1) CN1976552A (ko)
AU (1) AU2006202773B2 (ko)
ZA (1) ZA20060972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1602B1 (ko) 2013-05-09 2013-11-21 아카바 주식회사 전기조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894B1 (ko) * 2008-03-17 2014-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히터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홉
KR101450896B1 (ko) * 2008-03-17 2014-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히터서포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홉
KR101681768B1 (ko) * 2008-09-05 2016-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컨벡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오븐
CN103292369B (zh) * 2012-02-22 2016-04-27 深圳市鑫汇科股份有限公司 超薄电磁炉及其壳体
CN103462480B (zh) * 2012-12-27 2015-12-09 漳州灿坤实业有限公司 一种烹饪装置
KR101749116B1 (ko) * 2015-05-08 2017-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CN106247415A (zh) * 2016-08-26 2016-12-21 沈炜 带led装饰灯的电磁炉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6050A (ko) * 2003-12-09 2005-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복합조리기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15579A (en) * 1948-10-27 1950-07-18 Westinghouse Electric Corp Heating apparatus
EP0056974B1 (en) * 1981-01-23 1985-06-19 Kabushiki Kaisha Toshiba Composite cooking apparatus
KR900008073B1 (ko) * 1985-12-07 1990-10-31 스미도모덴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코일 및 그 제조방법
GB2223093A (en) 1988-09-22 1990-03-28 Superluck Electrics Corp Cookers
US5136142A (en) * 1991-01-15 1992-08-04 Logan Eugene T Retractable burner for an electric range having a removable burner element
DE4208249A1 (de) * 1992-03-14 1993-09-16 Ego Elektro Blanc & Fischer Induktive kochstellenbeheizung und verfahren zu ihrem betrieb
DE19500448A1 (de) 1995-01-10 1996-07-11 Ego Elektro Blanc & Fischer Heizeinheit
JP3799143B2 (ja) * 1997-09-05 2006-07-19 株式会社東芝 誘導加熱調理器
DE19827298C1 (de) * 1998-06-19 1999-09-16 Aeg Hausgeraete Gmbh Kochstelle mit einer Induktionskochzone
JP4133408B2 (ja) 2003-02-14 2008-08-13 株式会社東芝 誘導加熱調理器
KR20040096230A (ko) * 2003-05-07 2004-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복합 조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50052082A (en) 2003-11-29 2005-06-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 composite cook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6050A (ko) * 2003-12-09 2005-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복합조리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50056050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1602B1 (ko) 2013-05-09 2013-11-21 아카바 주식회사 전기조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76552A (zh) 2007-06-06
AU2006202773B2 (en) 2008-07-10
EP1793652A3 (en) 2007-12-05
US7385162B2 (en) 2008-06-10
EP1793652A2 (en) 2007-06-06
ZA200609722B (en) 2007-12-27
US20070125766A1 (en) 2007-06-07
AU2006202773A1 (en) 2007-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8016B1 (ko) 히터유닛을 구비한 전기조리기
KR102633797B1 (ko) 사용 편의성이 개선된 유도 가열 방식의 쿡탑
EP2048914B1 (en) A cooking device having an induction heating element
US20090084777A1 (en) Cooking device having an induction heating element
KR101307594B1 (ko) 유도가열 히터가 구비된 전기 조리기기
JP2006194539A (ja) 加熱調理器
EP4344350A2 (en) Induction heating type cooktop for heating various objects
JP2008293888A (ja) 誘導加熱調理器
JP2006066258A (ja) 加熱調理器
JP4846340B2 (ja) 加熱調理器
JP3888290B2 (ja) 誘導加熱装置
JP2009123603A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2633700B1 (ko) 사용 편의성이 개선된 유도 가열 방식의 쿡탑
EP3890440B1 (en) Induction heating type cooktop for heating object by induction heating of thin film
JP4843460B2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0528299B1 (ko) 복합조리기
KR102633707B1 (ko) 사용 편의성이 개선된 유도 가열 방식의 쿡탑
CN116235632A (zh) 感应加热式灶具
JP4528824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4970092B2 (ja) 誘導加熱調理器
KR20230106844A (ko) 유도 가열 방식의 쿡탑
KR20230139627A (ko) 유도 가열 방식의 쿡탑
KR20230139625A (ko) 유도 가열 방식의 쿡탑
KR20120124612A (ko) 전기 호브
KR20230171105A (ko) 유도 가열 방식의 쿡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