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4897A - 조리장치 - Google Patents

조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4897A
KR20230174897A KR1020220076087A KR20220076087A KR20230174897A KR 20230174897 A KR20230174897 A KR 20230174897A KR 1020220076087 A KR1020220076087 A KR 1020220076087A KR 20220076087 A KR20220076087 A KR 20220076087A KR 20230174897 A KR20230174897 A KR 202301748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pot
pot
handle
outside
cook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6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득원
전재흥
김태호
이종학
오민규
김현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76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4897A/ko
Publication of KR20230174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48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47J43/0722Mixing, whipping or cut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27Mixing bow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8Driving mechanisms
    • A47J43/085Driving mechanism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측에 음식물이 담겨지는 내솥과, 내솥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측이 개구되는 외솥과, 외솥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상측이 개구되는 케이스부 및 내솥과 외솥의 사이에 위치하며 케이스부에 걸려서 회전이 구속되며 내솥과 함께 외솥의 외측으로 이동되고 내솥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손잡이를 구비하는 핸들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리장치{COOKING APPARATUS}
본 발명은 외솥의 내측에 있는 내솥을 편리하게 꺼낼 수 있으며, 내솥의 회전시 발생되는 마찰을 저감시킬 수 있는 조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자동으로 조리하는 장치는, 음식물을 담는 솥을 구비한다. 솥은 가열장치에 의해 가열이 이루어지므로, 솥의 내측에 있는 음식물은 열원에 의해 가열되면서 조리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솥은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되며, 별도의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을 하므로, 솥의 내측에 있는 음식물도 회전되며 가열이 이루어진다.
종래에는 음식물을 조리하는 솥이 조리장치에서 분리되지 않으므로 솥에 담긴 음식물을 덜어내는 작업에 어려움이 발생한다.
또한 조리장치에서 솥을 들어올리기 위해서 솥의 외측으로 돌출된 손잡이를 설치할 경우, 솥이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손잡이가 다른 부품과 간섭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4-267519호(2004.09.30 공개, 발명의 명칭: 회전식 전자 유도 가열장치)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을 조리하는 내솥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조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솥의 회전시 발생되는 마찰을 저감시킬 수 있는 조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솥과 핸들부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조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리장치는, 외솥의 내측에 장착된 내솥을 외솥의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내솥의 외측에 설치된 핸들부가 내솥과 함께 외솥의 외측으로 이동하므로, 내솥을 외솥의 외측으로 편리하게 꺼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솥의 회전시 발생되는 마찰이 저감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회전이 구속된 핸들부가 내솥의 외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핸들부에 구비된 회전롤러와 외측링이 내솥에 접하며 회전하므로 내솥의 회전시 발생되는 마찰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솥과 핸들부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핸들부의 상측으로 내솥을 이동시키는 작업만으로 내솥과 핸들부가 분리되므로 내솥에서 핸들부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는 내솥과 외솥과 핸들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는, 리프터와 가열부와 케이스부와 제1구동부와 베이스부와 제2구동부와 커버부와 연결힌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는, 내측에 음식물이 담겨지는 내솥과, 내솥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측이 개구되는 외솥과, 외솥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상측이 개구되는 케이스부 및 내솥과 외솥의 사이에 위치하며 케이스부에 걸려서 회전이 구속되며 내솥과 함께 외솥의 외측으로 이동되고 내솥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손잡이를 구비하는 핸들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는, 내측에 음식물이 담겨지는 내솥과, 내솥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측이 개구되는 외솥과, 외솥의 외측에 고정되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내솥을 가열하는 가열부와, 외솥과 가열부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상측이 개구되는 케이스부와, 내솥과 외솥의 사이에 위치하며 케이스부에 걸려서 회전이 구속되며 내솥과 함께 외솥의 외측으로 이동되고 내솥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손잡이를 구비하는 핸들부와, 케이스부의 내측에 고정되며 외솥의 하부를 관통하여 내솥에 연결되고 회전동력을 발생시켜 내솥을 회전시키는 제1구동부 및 케이스부의 개구된 입구부를 개폐하는 커버부를 포함한다.
또한 핸들부는 핸들몸체와 손잡이와 마찰저감부를 포함한다.
핸들몸체는 내솥몸체의 외측 둘레를 따라 연장되며, 걸림돌기에 걸려서 내솥몸체와 함께 상측으로 이동한다.
손잡이는 핸들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케이스부에 구비된 핸들장착홈에 걸린다.
마찰저감부는 핸들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핸들몸체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내솥몸체의 외측에 접하며 회전을 한다. 또한 마찰저감부는, 핸들몸체에 구비된 롤러가이드홀에 삽입되며 핸들몸체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회전롤러 및 회전롤러의 회전중심을 관통한 후 핸들몸체에 고정되는 회전지지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장치는, 내솥의 외측에 설치된 핸들부가 내솥과 함께 외솥의 외측으로 이동하므로 내솥을 편리하게 꺼낼 수 있으며, 내솥과 핸들부의 세척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핸들부에 구비된 회전롤러와 외측링이 내솥에 접하며 회전하므로 내솥의 회전시 발생되는 마찰이 저감되어 작동소음이 감소되며 내솥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핸들부의 상측으로 내솥을 이동시키는 작업만으로 내솥과 핸들부가 분리되므로 핸들부의 교체 및 유지보수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솥과 핸들부가 케이스부의 상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솥이 핸들부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솥이 핸들부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저감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저감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부가 기울어진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부가 기울어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솥(10)과 핸들부(400)가 케이스부(50)의 상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솥(10)이 핸들부(400)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는 내솥(10)과 외솥(30)과 케이스부(50)와 핸들부(400)를 포함한다. 또한 조리장치(1)는 리프터(20)와 가열부(40)와 제1구동부(60)와 베이스부(70)와 제2구동부(80)와 커버부(100)와 연결힌지부(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리장치(1)는, 냄비와 팬의 기능을 모두 가지고 있는 조리 기기이다. 조리장치(1)는 음식물(300)을 보다 고르게 익혀 주기 위해서 열원의 전도와 더불어 공기 대류 순환 구조를 이용하여 음식물(300)을 가열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조리장치(1)는, 내솥(10)이 외솥(30)에서 분리되며, 내솥(10)에 리프터(20)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내솥(10)이 외솥(30)에서 분리되므로 내솥(10)의 세척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는, 회전과 가열은 물론 필요시 모터제어를 통해 끓이기, 볶기, 웍질 등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커버부(100)와 케이스부(50)와 베이스부(70)의 외측은 원형의 곡면을 형성한다. 커버부(100)의 외경보다 케이스부(50)의 외경이 크며, 케이스부(50)의 외경보다 베이스부(70)의 외경이 크게 형성된다. 조리장치(1)의 외경은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여 점차로 커지므로 조리장치(1)의 무게중심이 아래에 위치하여 조리장치(1)의 넘어지는 현상을 방지한다.
조리장치(1)의 외형은 전체적으로 곡면을 구비한 형상이며, 원형, 원통형, 타원형, 구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조리장치(1)가 동작 할때 내솥(10)은 회전하게 되며, 내솥(10)의 외측으로 돌출된 핸들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내솥(10)의 외측에 있는 외솥(30)이나 케이스부(50)에 핸들이 접하며 내솥(10)의 회전이 구속된다. 따라서 내솥(10)에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며 내솥(10)의 회전을 구속하지 않는 핸들부(400)가 설치된다.
핸들부(400)는 손잡이(420)를 구비하며 내솥(10)의 외측에 위치한다. 내솥(10)의 외측에 설치된 핸들부(400)가 내솥(10)과 함께 외솥(30)의 외측으로 이동하므로, 내솥(10)을 외솥(30)의 외측으로 편리하게 꺼낼 수 있다.
또한 핸들부(400)의 상측으로 내솥(10)을 이동시키는 작업만으로 내솥(10)과 핸들부(400)가 분리되므로 핸들부(400)의 교체 및 유지보수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내솥(10)의 외측 둘레에는 핸들부(400)에 구비된 마찰저감부(430)의 일부가 삽입되기 위한 걸림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핸들부(400)의 마찰저감부(430)가 내솥(10)의 외측에 걸리므로, 외솥(30)에서 내솥(10)을 꺼내어 식탁에 올려 놓았을 때 내솥(10)에서 핸들부(400)가 떨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내솥(10)은 내측에 음식물(300)을 담은 상태에서 회전하기 위해 원통형으로 이루어진다. 내솥(10)은 음식물(300)이 담겨지는 내측공간을 구비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솥(10)은 상측이 개구된 솥 형상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솥(10)이 핸들부(400)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의 단면도이다.
도 4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솥(10)은 내솥몸체(11)와 걸림돌기(17)를 포함한다.
내솥몸체(11)는 핸들부(400)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솥 형상이다. 내솥몸체(11)는 상측이 개구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내솥몸체(11)의 내측에는 음식물(300)을 담기 위한 내측공간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솥몸체(11)는 바닥면(12)과 내솥 측면(16)을 포함한다.
내솥 측면(16)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이며, 내솥 측면(16)의 하측에 바닥면(12)이 연결된다. 내솥 측면(16)은 하측면의 테두리에서 상측으로 연장된다. 내솥 측면(16)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리프터(20)가 설치된다.
바닥면(12)은 내솥 측면(16)의 하측을 차폐하며 제1구동부(60)에 연결된다. 내솥(10)의 바닥을 형성하는 하측면에는 후술할 제1구동부(60)의 커넥터(63)와 결합되기 위한 체결홈부(14)가 구비될 수 있다. 체결홈부(14)는 커넥터(63)가 삽입되어 걸릴 수 있도록 내솥(10)의 하측을 향하여 오목한 홈 형상을 형성한다.
그리고 공기순환부(160)가 동작될 때, 공기순환부(160)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해 공기순환부(160)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이동경로에 위치한 내솥 측면(16)도 가열부(40)에 의해 가열된다.
내솥(10)은 외솥(30)에서 분리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세척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며, 음식을 옮겨 담는 작업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국과 같은 요리를 할 경우에는 제2구동부(80)는 동작하지 않고 제1구동부(60)만 동작하여 내솥(10)을 회전시킨다. 내솥(10)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내솥(10)을 가열하는 가열부(40)만 동작하여 내솥(10)에 담긴 음식물(300)을 조리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기순환부(160)가 동작되어 내솥(10)의 내측을 순환하는 열풍으로도 내솥(10)에 담긴 음식물(300)을 가열할 수 있다.
내솥(10)은 제2구동부(80)의 동작으로 조리장치(1)의 전방을 향하여 회전하여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걸림돌기(17)는 내솥몸체(11)의 상측에서 내솥몸체(11)의 외측으로 굽어져서 핸들부(400)의 상측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돌기(17)는 링 형상으로 연장되며, 내솥몸체(11)의 상단에서 내솥몸체(11)의 외측으로 굽어진다. 걸림돌기(17)의 외경은 핸들부(400)의 내경보다 크므로, 핸들부(400)가 걸림돌기(17)에 걸려서 내솥(10)의 상측으로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내솥(10)과 함께 회전하는 리프터(20)는, 내솥(10)에 있는 음식물(300)을 혼합하거나 뒤집기 위한 기능을 한다. 리프터(20)는 내솥(1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거나 내솥(10)에 고정될 수 있다. 리프터(20)는 내솥(10)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내솥(10)에 담겨진 음식물(300)을 이동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터(2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J"자 형상이며, 내솥(10)에 끼움식으로 고정된다. 판 형상의 리프터(20)는 내솥(10)의 내측면을 따라 굽어진 형상으로 설치된다. 리프터(20)는 내솥(10)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이므로, 내솥(10)과 함께 리프터(20)가 회전하면서 내솥(10)에 있는 음식물(300)을 이동시킨다.
핸들부(400)는 내솥(10)과 외솥(30)의 사이에 위치하며, 케이스부(50)에 걸려서 회전이 구속된다. 또한 핸들부(400)는 내솥(10)과 함께 외솥(30)의 외측으로 이동되고, 내솥(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손잡이(420)를 구비한다. 핸들부(400)는 외솥(30)의 내측에 있는 내솥(10)을 외솥(30)의 상측으로 들어올리기 쉽게 하기 위해 손잡이(420)를 구비한다. 그리고 제1구동부(60)에 의해 회전하는 내솥(10)의 회전을 방재하지 않도록 핸들부(400)는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고, 내솥(10)만 핸들부(400)의 내측에서 회전을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부(400)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부(4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와 도 6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부(400)는, 핸들몸체(410)와 손잡이(420)와 마찰저감부(430)를 포함한다.
핸들몸체(410)는 내솥몸체(11)의 외측 둘레를 따라 연장되며, 걸림돌기(17)에 걸려서 내솥몸체(11)와 함께 상측으로 이동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몸체(410)는 링 형상으로 연장되며, 상측과 하측이 개구된 형상이다.
그리고 핸들몸체(410)의 내경보다 걸림돌기(17)의 외경이 크다. 따라서 핸들몸체(410)가 내솥몸체(11)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할 때 걸림돌기(17)에 걸려서 내솥몸체(11)의 상측으로 이동할 수 없다.
핸들몸체(410)의 내측면에는 마찰저감부(430)가 설치되기 위한 오목한 홈 형상의 롤러가이드홀(412)이 복수로 구비된다. 롤러가이드홀(412)은 마참저감부의 숫자와 같은 수로 형성된다. 롤러가이드홀(412)의 내측에 회전롤러(440)와 외측링(460)이 설치되며, 롤러가이드홀(412)과 연통되는 구멍이 롤러가이드홀(412)의 하측이나 상측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설치된다.
회전지지축(450)이 롤러가이드홀(412)과 연통된 구멍을 통해 롤러가이드홀(412)의 내측으로 설치된다.
손잡이(420)는 핸들몸체(4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케이스부(50)에 구비된 핸들장착홈(53)에 걸린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420)는 핸들몸체(410)의 상측에서 핸들몸체(410)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420)는 핸들몸체(410)의 상측에 2개가 설치되며, 이러한 2개의 손잡이(420)는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서 핸들몸체(410)에 연결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저감부(430)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저감부(430)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저감부(430)는 핸들몸체(4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핸들몸체(410)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내솥몸체(11)의 외측에 접하며 회전을 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저감부(430)는 회전롤러(440)와 회전지지축(450)과 외측링(460)을 포함한다.
회전롤러(440)는 핸들몸체(410)에 구비된 롤러가이드홀(412)에 삽입되며, 핸들몸체(410)의 내측으로 일부가 돌출된다. 회전롤러(440)는 롤러 형상이며, 롤러가이드홀(41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회전롤러(440)의 일부는 롤러가이드홀(412)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회전하므로, 핸들몸체(410)의 내측에 위치한 내솥(10)측면에 회전롤러(440)가 접할 수 있다.
회전지지축(450)은 회전롤러(440)의 회전중심을 관통한 후 핸들몸체(410)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지지축(450)은 볼트 형상이며, 핸들몸체(410)의 하측에서 상측을 향하여 이동되어 체결된다.
회전지지축(450)은 롤러가이드홀(412)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되어 핸들몸체(410)에 고정된다. 또한 회전지지축(450)은 회전롤러(440)의 중앙을 관통하는 형상으로 설치되므로, 회전롤러(440)는 회전지지축(450)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외측링(460)은 회전롤러(440)의 외측 둘레에 구비된 안착홈부(442)에 장착되는 링 형상이며, 탄성재질로 이루어진다. 외측링(460)의 일부가 안착홈부(442)에 삽입되므로 회전롤러(440)의 외측에 외측링(460)이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회전롤러(440)가 내솥(10)에 접하며 회전할 수 있으며, 회전롤러(440)의 외측에 설치된 외측링(460)이 내솥(10)이 접하며 회전할 수 있다.
회전롤러(440)는 핸들몸체(410)의 내측 둘레를 따라 복수 개 설치되며, 복수 개의 회전롤러(440)는 같은 간격으로 이격 설치된다. 회전롤러(440)는 복수로 설치되며, 3개 또는 4개의 회전롤러(440)가 핸들몸체(410)에 설치될 수 있다. 만약 회전롤러(440)가 3개로 설치되는 경우, 내솥(10)이 전방으로 기울어지는 동작을 고려하여 핸들부(400)의 전방 설치와 후방 설치를 구분하여 설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롤러(440)는 120° 간격을 이루며 핸들몸체(410)의 내측 둘레를 따라 3개가 설치된다. 만약 본 발명에 의한 회전롤러(440)는 4개인 경우에는 90° 간격으로 설치된다.
회전이 구속된 핸들부(400)가 내솥(10)의 외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핸들부(400)에 구비된 회전롤러(440)와 외측링(460)이 내솥(10)에 접하며 회전하므로 내솥(10)의 회전시 발생되는 마찰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내솥(10)의 외측에 설치된 핸들부(400)가 내솥(10)과 함께 외솥(30)의 외측으로 이동하므로 내솥(10)을 편리하게 꺼낼 수 있으며, 내솥(10)과 핸들부(400)의 세척을 간편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핸들부(400)에 구비된 회전롤러(440)와 외측링(460)이 내솥(10)에 접하며 회전하므로 내솥(10)의 회전시 발생되는 마찰이 저감되어 작동소음이 감소되며 내솥(1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내솥(10)의 외측에는 회전롤러(440)와 외측링(460)이 삽입되기 위한 홈부가 원주 방향으로 설치되므로, 핸들부(400)와 함께 내솥(10)을 이동시킨 후 핸들부(400)에서 손을 놓아도 핸들부(400)가 하측으로 낙하됨을 방지할 수 있다.
내솥(10)을 지지하는 외솥(30)은 내솥(10)의 외측에 위치한다. 외솥(30)은 내솥(1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솥(10)과 함께 상측이 개구된다. 외솥(30)은 케이스부(50)의 내측에 고정되며, 외솥(30)의 측면에는 가열부(40)가 설치되고, 외솥(30)의 하측 중앙에는 제1구동부(60)가 설치된다.
가열부(40)는 외솥(30)에 고정되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내솥(10)을 전자기 유도 가열 방식으로 가열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부(40)는 코일로 구성된다.
가열부(40)의 코일은 외솥(30)의 외측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외솥(30)과 내솥(10) 사이에도 코일이 설치될 수도 있다. 코일이 직접 가열되어 내솥(10)으로 열을 전달하는 방식으로도 내솥(10)을 가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은 자기장을 발생시켜 유도 가열 방식으로 내솥(10)을 가열한다. 가열부(40)가 자기유도 가열방식으로 내솥(10)을 발열시키므로 빠른 음식물(300)의 조리가 가능하다. 가열부(40)는 내솥 측면(16)에 배치되어 넓은 면적에서 발열을 유도하며, 자기 유도 방식으로 가열 속도를 높여서 음식물(300)의 레시피에 맞게 온도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가열부(40)의 동작에 의해 인덕션 히팅과 열풍을 이용한 자동 조리 기구의 가열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는, 회전하는 내솥(10)을 빠르고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는 인덕션 가열 방식의 코일을 내솥(10)의 외측에 배치한다.
도 3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부(50)는 외솥(30)과 가열부(40)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상측이 개구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케이스부(50)는 베이스부(70)의 상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케이스부(50)의 내측에 가열부(40)와 외솥(30)이 고정된 상태로 설치된다.
케이스부(50)는 단일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복수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부(50)는 몸체케이스(51)와 하부케이스(57)와 외측기어(58)를 포함한다.
몸체케이스(51)는 가열부(40)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몸체케이스(51)의 상측은 개구되어 있으며, 상측에서 하측으로 향할수록 점차로 외경이 커지거나 동일한 외경을 갖는 기둥 형상이다.
몸체케이스(51)의 상측에 위치한 커버부(100)는 연결힌지부(200)에 연결된다. 따라서 케이스부(50)는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케이스부(50)의 입구부(52)를 개폐한다. 몸체케이스(51)의 하부에는 하부케이스(57)가 연결된다. 몸체케이스(51)의 상측과 하측은 개구된 형상이다.
하부케이스(57)는 베이스부(70)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된 반구 형상의 곡면을 형성한다. 하부케이스(57)는 몸체케이스(51)의 하측을 막으며, 베이스부(70)를 향한 하측을 향하여 볼록한 형상의 곡면을 형성한다.
케이스부(50)를 포함한 조리장치(1)의 외형이 전체적으로 곡면을 형성하므로, 유아를 포함한 노약자가 실수로 조리장치(1)에 걸려 넘어지는 경우에도, 안전사고의 발생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외측기어(58)는 베이스부(70)와 마주하는 하부케이스(57)의 외측면에 설치되며, 제2구동부(80)에 구비된 기어에 맞물리는 치형을 형성한다. 제2구동부(80)의 회전동력이 케이스부(50)의 하측에 구비된 외측기어(58)로 전달되어 케이스부(50)를 회전시키므로, 음식물(300)을 담는 내솥(10)의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다. 외측기어(58)는 하부케이스(57)의 하부에 형성되며, 케이스부(50)는 외측기어(58)가 형성된 길이 만큼 이동한다.
제1구동부(60)는 케이스부(50)의 내측에 고정되며, 외솥(30)의 하부를 관통하여 내솥(10)에 연결되고, 회전동력을 발생시켜 내솥(10)을 회전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제1구동부(60)는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내솥(10)을 회전시키는 회전동력을 발생시킨다.
스텝모터를 사용하는 제1구동부(60)의 동작으로 내솥(10)을 설정된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시계방향 회전과 반시계 방향 회전을 교대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구동부(60)는, 제1구동몸체(61)와 제1구동축(62)을 포함한다. 또한 제1구동부(60)는 내솥(10)과 연결되기 위해 커넥터(63)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1구동몸체(61)는 외솥(30)의 하측에 위치하며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이다. 제1구동몸체(61)는 외솥(30)의 중앙 하부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구동몸체(61)는 하부케이스(57)와 외솥(30)의 사이에 위치하며, 하부케이스(57)의 상측면에 고정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제1구동몸체(61)는 서보모터가 사용될 수도 있다.
제1구동축(62)은 제1구동몸체(61)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제1구동몸체(61)의 동작에 의해 제1구동축(62)은 회전한다. 제1구동축(62)은 제1구동몸체(61)의 상측으로 돌출되며, 외솥(30)의 중앙 하부를 관통하며 외솥(30)의 상측으로 돌출된다.
커넥터(63)는 외솥(30)을 관통하는 제1구동축(62)에 결합되며, 내솥(10)의 바닥면(12)에 형성된 체결홈부(14)에 삽입되어 걸리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커넥터(63)의 하부는 제1구동축(62)이 삽입되어 걸리는 홈부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63)는 십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솥(10)의 하부에 구비된 십자 형상의 체결홈부(14)에 커넥터(63)가 삽입되므로, 내솥(10)과 커넥터(63)의 회전이 동기화된다.
베이스부(70)는 케이스부(50)의 하측에 위치하며, 케이스부(50)의 기울어지는 동작을 안내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70)는, 베이스커버(71)와 베이스몸체(75)와 지지롤러(77)를 포함한다.
베이스커버(71)는 케이스부(50)의 하측에 위치하며, 케이스부(50)를 향하여 오목한 홈 형상을 형성한다. 베이스커버(71)는 상측을 향하여 오목한 반구 형상의 홈을 형성한다. 베이스커버(71)의 곡률과 하부케이스(57)의 곡률은 서로 같거나, 설정된 범위 내에서 같다. 따라서 케이스부(50)의 하측이 베이스부(70)의 상측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커버(71)는 이동안내홈부(72)를 포함한다.
베이스커버(71)의 중앙에는 이동안내홈부(72)가 구비된다. 이동안내홈부(72)는 케이스부(50)의 하측으로 돌출된 외측기어(58)가 삽입되기 위한 띠 형상의 홈부를 형성한다.
이동안내홈부(72)는 베이스커버(71)의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여 오목한 형상의 홈부를 형성한다. 이동안내홈부(72)는 케이스부(50)가 회전되는 방향을 향하여 연장된다.
베이스커버(71)에는 지지롤러(77)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지지롤러(77)의 일부는 이동안내홈부(72)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케이스부(50)의 하부에 접한다. 케이스부(50)가 베이스부(70)의 상측에서 기울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을 할 때, 지지롤러(77)가 하부케이스(57)에 접하며 회전하므로 케이스부(50)의 회전 동작이 안정적으로 안내될 수 있다.
제2구동부(80)는 베이스부(70)의 내측에 설치되며, 회전동력을 발생시켜 케이스부(50)를 이동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구동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구동부(80)는 제2구동몸체(81)와 회전기어(83)를 포함한다.
제2구동몸체(81)는 모터를 사용하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회전동력을 공급한다. 제2구동몸체(81)는 베이스부(70)의 내측에 고정된다. 베이스커버(71)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2구동몸체(81)는 회전동력을 공급한다. 제2구동몸체(81)는 스텝모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제어부의 제어로 동작된다.
제2구동몸체(81)에서 돌출된 제2출력축(82)은 제2구동몸체(81)의 동작에 의해 회전되며, 회전기어(83)는 제2구동몸체(81)에 구비된 제2출력축(82)에 연결된다. 회전기어(83)는 원형기어이며, 제2출력축(82)과 함께 회전한다.
회전기어(83)의 일부는 베이스부(70)의 상측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회전기어(83)가 회전하면 케이스부(50)에 구비된 외측기어(58)가 이동하므로 케이스부(5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2구동부(80)의 회전동력이 케이스부(50)의 하측에 구비된 외측기어(58)로 전달되어 케이스부(50)를 회전시키므로, 음식물(300)을 담는 내솥(10)의 기울기가 조정될 수 있다. 제2구동부(80)가 동작되어 내솥(10)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볶음 요리를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요리를 할 수 있어서 소비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는, 제1구동부(60)가 동작되어 내솥(10)을 회전시키는 모드로 음식물(300)의 조리가 이루어지며, 제2구동부(80)의 동작으로 내솥(10)을 기울이거나 웍(Wok)을 이용한 요리와 같은 모션을 구현하여 다양한 조리모드로 음식물(300)을 조리할 수 있다.
커버부(100)는 케이스부(50)의 개구된 입구부(52)를 개폐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100)는 원판 형상이며, 커버부(100)의 내측에는 공기순환부(160)가 설치된다. 커버부(100)는 케이스부(50)의 상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거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솥(10)의 상측을 개폐한다.
커버부(100)는 단일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복수의 부재가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100)는, 커버몸체(110)와 공기순환부(160)를 포함한다. 또한 커버부(100)는 조작패널(150)과 조명부(170)와 조리확인부(18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몸체(110)는 내솥(10)의 상측에 위치하며 공기순환부(160)가 설치되기 위한 내측공간을 구비한다. 커버몸체(110)의 상측에는 조작패널(150)이 설치되며,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버튼이 설치된다. 또한 조작패널(150)에는 조리상태 등을 확인하기 위한 디스플레이가 설치될 수 있다.
공기순환부(160)는 커버몸체(110)의 내측에 설치되며, 내솥(10)에 있는 공기를 흡입한 후 다시 내솥(10)의 내측으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부(160)는 팬모터(161)와 송풍팬(162)과 덕트부(163)를 포함한다.
덕트부(163)는 커버몸체(110)의 내측에 장착되며, 커버몸체(110)의 상측으로 이동된 공기를 커버몸체(110)의 하측으로 안내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팬모터(161)는 덕트부(163)에 고정되며 회전동력을 발생시킨다. 송풍팬(162)은 덕트부(163)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팬모터(161)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부(160)는 조명부(170)와 조리확인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명부(170)는 커버몸체(110)에 설치되며, 내솥(10)의 내측을 향하여 빛을 조사한다.
조리확인부(180)는 커버몸체(110)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공간을 구비하며 내솥(10)에 담긴 음식물(300)의 조리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커버부(100)를 상측에서 보면 원판 형상이며, 커버부(100)의 절반에는 공기순환부(160)가 설치되며, 커버부(100)의 다른 절반은 조리확인부(180)가 설치된다.
조리확인부(180)는 내솥(10)의 내측을 관찰할 수 있는 투명창이 구비되므로, 커버부(100)에 구비된 조리확인부(180)를 통해 내솥(10)의 조리상태를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갖는 커버부(100)는 연결힌지부(200)에 연결된다. 연결힌지부(200)의 일측은 커버부(100)에 고정되며 연결힌지부(200)의 타측은 케이스부(5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커버부(100)는 연결힌지부(200)를 중심으로 회전을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의 정면도이다.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부(50)가 상하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에서는 내솥(10)도 상하 방향으로 세워진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부(50)가 기울어진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부(50)가 기울어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구동부(80)가 동작되어 회전기어(83)가 회전하면, 회전기어(83)에 맞물려 있는 외측기어(58)가 이동하면서 케이스부(50)가 기울어진다. 케이스부(50)가 기울어지면 케이스부(50)의 내측에 위치한 내솥(10)도 기울어지면서 내솥(10)에 담긴 음식물(300)도 내솥 측면(16)에 접하는 면적이 증가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커버부(100)를 열고 내솥(10)의 상측을 개방한 후 내솥(10)에 음식물(300)을 넣고 커버부(100)를 닫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는, 가열부(40)가 내솥(10)을 가열하는 유도 가열로 음식물(300)을 조리하는 방법과, 공기순환부(160)의 동작에 의해 대류열로 음식물(300)을 조리하는 방법을 모두 사용하거나 어느 하나만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양한 열원을 구비한 조리장치(1)를 개별적으로 구입하는 것 대비 기기 구입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국과 같은 요리를 할 경우에는 제2구동부(80)는 동작하지 않고 제1구동부(60)만 동작하여 내솥(10)을 회전시킨다. 내솥(10)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내솥(10)을 가열하는 가열부(40)만 동작하여 내솥(10)에 담긴 음식물(300)을 조리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기순환부(160)가 동작되어 내솥(10)의 내측을 순환하는 열풍으로도 내솥(10)에 담긴 음식물(300)을 가열할 수 있다.
내솥(10)이 세워진 상태에서 회전할 때는 3개의 마찰저감부(430)가 내솥(10)을 균일하게 지지한다. 그리고 내솥(10)이 눕혀지거나 경사지게 설치된 경우에는 내솥(10)의 하부를 지지하는 2개의 마찰저감부(430)의 회전롤러(440)와 외측링(460)에 의해 내솥(10)이 지지된다.
공기순환부(160)의 동작을 설명하면, 팬모듈이 동작되어 내솥(10)에 있는 공기를 팬모듈의 내측으로 흡입한다. 팬모듈로 흡입된 공기는 덕트부(163)로 이동된 후 내솥(10)의 내측면을 향하여 토출되어 가열된 후 내솥(10)의 내측으로 이동되어 음식물(300)을 가열한다. 그리고 다시 내솥(10)의 상측으로 이동된 공기는 팬모듈로 다시 흡입되는 동작을 반복한다.
공기순환부(160)의 동작으로 내솥(10)과 커버부(100)의 내측을 순환하는 공기의 흐름이 형성된다.
한편 제2구동부(80)의 동작으로 음식물(300)의 조리 과정에 따라 솥의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1개의 조리장치(1)에서 국과 볶음 요리 등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300)의 조리가 가능하여 조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소비자의 만족도도 향상시킬 수 있다.
내솥(10)과 케이스부(50)는 세워진 상태에서 조리장치(1)의 전방을 향하여 기울어진 형상으로 회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솥(10)과 케이스부(50)는 세워진 상태에서 조리장치(1)의 후방을 향하여 회전하지는 않는다.
내솥(10)을 웍과 같은 모션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는 웍을 돌리는 모션을 구현할 수 있으며, 내솥(10)의 기울기도 조절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조리모드로 음식물(300)을 조리할 수 있어서 소비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는, 모바일 기기와 연동을 통하여 레시피를 바코드, QR코드 등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인식 코드가 없을 시, 사용자가 레시피를 지정 할 수 있도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음식물(300)의 조리가 완료되면, 커버부(100)를 열고 핸들부(400)를 상측으로 들어올리는 동작에 의해 핸들부(400)와 함께 내솥(10)이 상측으로 이동한다. 내솥(10)을 지정된 장소에 내려 놓은 후 내솥(10)에 있는 음식물(300)을 꺼내는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핸들부(400)는 자중에 의해 내솥(10)의 하측으로 이동하거나 외력이 가해지는 동작에 의해 내솥(10)의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핸들부(400)와 분리된 내솥(10)의 세척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 조리장치
10: 내솥
11: 내솥몸체 12: 바닥면 14: 체결홈부 16: 내솥 측면
17: 걸림돌기
20: 리프터
30: 외솥
40: 가열부
50: 케이스부 51: 몸체케이스 52: 입구부 53: 핸들장착홈
57: 하부케이스 58: 외측기어
60: 제1구동부 61: 제1구동몸체 62: 제1구동축 63: 커넥터
70: 베이스부 71: 베이스커버 72: 이동안내홈부 75: 베이스몸체 77: 지지롤러
80: 제2구동부 81: 제2구동몸체 82: 제2출력축 83: 회전기어
100: 커버부 110: 커버몸체 150: 조작패널 160: 공기순환부 161: 팬모터 162: 송풍팬 163: 덕트부 170: 조명부 180: 조리확인부
200: 연결힌지부
300: 음식물
400: 핸들부
410: 핸들몸체 412: 롤러가이드홀
420: 손잡이
430: 마찰저감부 440: 회전롤러 442: 안착홈부 450: 회전지지축 460: 외측링

Claims (20)

  1. 내측에 음식물이 담겨지는 내솥;
    상기 내솥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측이 개구되는 외솥;
    상기 외솥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상측이 개구되는 케이스부; 및
    상기 내솥과 상기 외솥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케이스부에 걸려서 회전이 구속되며, 상기 내솥과 함께 상기 외솥의 외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내솥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손잡이를 구비하는 핸들부;를 포함하는 조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솥은, 상기 핸들부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솥 형상의 내솥몸체; 및
    상기 내솥몸체의 상측에서 상기 내솥몸체의 외측으로 굽어져서 상기 핸들부의 상측에 위치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조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상기 내솥몸체의 외측 둘레를 따라 연장되며, 상기 걸림돌기에 걸려서 상기 내솥몸체와 함께 상측으로 이동하는 핸들몸체; 및
    상기 핸들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케이스부에 구비된 핸들장착홈에 걸리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조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상기 핸들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핸들몸체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내솥몸체의 외측에 접하며 회전을 하는 마찰저감부;를 더 포함하는 조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저감부는, 상기 핸들몸체에 구비된 롤러가이드홀에 삽입되며, 상기 핸들몸체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회전롤러;
    상기 회전롤러의 회전중심을 관통한 후 상기 핸들몸체에 고정되는 회전지지축;을 포함하는 조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롤러는 상기 핸들몸체의 내측 둘레를 따라 복수 개 설치되며, 복수 개의 상기 회전롤러는 같은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는 조리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롤러는 상기 핸들몸체의 내측 둘레를 따라 120° 간격으로 설치되는 조리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저감부는, 상기 회전롤러의 외측 둘레에 구비된 안착홈부에 장착되는 링 형상이며,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외측링;을 더 포함하는 조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솥의 외측에 고정되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상기 내솥을 가열하는 가열부; 및
    상기 케이스부의 내측에 고정되며, 상기 외솥의 하부를 관통하여 상기 내솥에 연결되고, 회전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내솥을 회전시키는 제1구동부;를 포함하는 조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외솥의 외측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코일을 포함하며, 자기장에 의해 발생하는 유도전류를 열원으로 이용하는 인덕션 방식의 히터로 동작되는 조리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부는, 상기 외솥의 하측에 위치하며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제1구동몸체;
    상기 제1구동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회전하는 제1구동축; 및
    상기 외솥을 관통하는 상기 제1구동축에 결합되며, 상기 내솥의 바닥면에 형성된 체결홈부에 삽입되어 걸리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조리장치.
  12. 내측에 음식물이 담겨지는 내솥;
    상기 내솥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측이 개구되는 외솥;
    상기 외솥의 외측에 고정되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상기 내솥을 가열하는 가열부;
    상기 외솥과 상기 가열부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상측이 개구되는 케이스부;
    상기 내솥과 상기 외솥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케이스부에 걸려서 회전이 구속되며, 상기 내솥과 함께 상기 외솥의 외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내솥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손잡이를 구비하는 핸들부;
    상기 케이스부의 내측에 고정되며, 상기 외솥의 하부를 관통하여 상기 내솥에 연결되고, 회전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내솥을 회전시키는 제1구동부; 및
    상기 케이스부의 개구된 입구부를 개폐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조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의 하측에 위치하며, 케이스부의 기울어지는 동작을 안내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에 설치되며, 회전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케이스부를 이동시키는 제2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조리장치.
  14.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에 고정되며,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제2구동몸체; 및
    상기 제2구동몸체에 구비된 제2출력축에 연결되어 상기 제2출력축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케이스부에 구비된 외측기어에 맞물려서 상기 케이스부를 회전시키는 회전기어;를 포함하는 조리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내솥은, 상기 핸들부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솥 형상의 내솥몸체; 및
    상기 내솥몸체의 상측에서 상기 내솥몸체의 외측으로 굽어져서 상기 핸들부의 상측에 위치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조리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상기 내솥몸체의 외측 둘레를 따라 연장되며, 상기 걸림돌기에 걸려서 상기 내솥몸체와 함께 상측으로 이동하는 핸들몸체; 및
    상기 핸들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케이스부에 구비된 핸들장착홈에 걸리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조리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상기 핸들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핸들몸체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내솥몸체의 외측에 접하며 회전을 하는 마찰저감부;를 더 포함하는 조리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저감부는, 상기 핸들몸체에 구비된 롤러가이드홀에 삽입되며, 상기 핸들몸체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회전롤러;
    상기 회전롤러의 외측 둘레에 구비된 안착홈부에 장착되는 링 형상이며,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외측링; 및
    상기 회전롤러의 회전중심을 관통한 후 상기 핸들몸체에 고정되는 회전지지축;을 포함하는 조리장치.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외솥의 외측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코일을 포함하며, 자기장에 의해 발생하는 유도전류를 열원으로 이용하는 인덕션 방식의 히터로 동작되는 조리장치.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부는, 상기 외솥의 하측에 위치하며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제1구동몸체;
    상기 제1구동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회전하는 제1구동축; 및
    상기 외솥을 관통하는 상기 제1구동축에 결합되며, 상기 내솥의 바닥면에 형성된 체결홈부에 삽입되어 걸리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조리장치.
KR1020220076087A 2022-06-22 2022-06-22 조리장치 KR202301748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6087A KR20230174897A (ko) 2022-06-22 2022-06-22 조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6087A KR20230174897A (ko) 2022-06-22 2022-06-22 조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4897A true KR20230174897A (ko) 2023-12-29

Family

ID=89334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6087A KR20230174897A (ko) 2022-06-22 2022-06-22 조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7489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99779B1 (en) Cooking apparatus
US10405696B2 (en) Cooking apparatus
EP2799781B1 (en) Cooking apparatus
EP2799780A2 (en) Cooking apparatus
EP2799777A2 (en) Cooking apparatus
CN115813223A (zh) 比萨饼烹饪用具
CN213371512U (zh) 烹饪器具
KR20230174897A (ko) 조리장치
KR20230174898A (ko) 조리장치
KR20220153475A (ko) 조리장치
CN112493831B (zh) 一种饭煲
KR20230174896A (ko) 조리장치
JP2012125467A (ja) 炊飯器
KR20170109198A (ko) 개폐형 스팀 가열부를 가지는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
KR20170109194A (ko)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
KR20170109199A (ko) 개폐형 인덕션 가열부를 가지는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
CN217137650U (zh) 一种用于煎烤食物的多功能烹饪器具
CN213962936U (zh) 微波翻炒装置及自动炒菜机
CN214548976U (zh) 一种加热效率好的升降式烤炸一体食物处理机
CN218588842U (zh) 具有空炸功能的多功能料理机
CN214231017U (zh) 一种加热效率好的机头旋转式烤炸一体食物处理机
CN218105555U (zh) 烹饪器具
CN218128173U (zh) 烹饪设备
CN215993696U (zh) 上盖及具有其的烹饪器具
CN216984593U (zh) 一种具有煎烤功能的空气炸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