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9939B1 - 고효율 인덕션 국솥 - Google Patents

고효율 인덕션 국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9939B1
KR101929939B1 KR1020180036396A KR20180036396A KR101929939B1 KR 101929939 B1 KR101929939 B1 KR 101929939B1 KR 1020180036396 A KR1020180036396 A KR 1020180036396A KR 20180036396 A KR20180036396 A KR 20180036396A KR 101929939 B1 KR101929939 B1 KR 101929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uction coil
heating body
housing
air
suction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6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년가
Original Assignee
정년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년가 filed Critical 정년가
Priority to KR1020180036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99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9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9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27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for wok pans and wok pans supports for induction cooking plat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45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45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 H05B6/1263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using coil cooling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고효율 인덕션 국솥에 관한 것으로, 복수 개의 배기구와 흡기구가 형성된 하우징, 흡기구와 기밀 결합되는 흡기덕트, 교류 자기장을 생성하는 유도코일, 교류 자기장을 열로 변환하는 가열체, 가열체의 열이 유도코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열재, 및 유도코일의 아래공간에 외부 공기를 공급하는 흡입팬을 포함하고, 흡입팬에 의해 유도코일의 아래공간으로 유입된 공기가 가열체의 외면과 하우징의 내면 사이의 틈을 통과하여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과정에서, 유도코일의 아래공간과 가열체의 외면과 하우징의 내면 사이의 틈 간의 크기 차이로 인해 유도코일을 스쳐 지나는 공기의 유속이 증가하게 된다.

Description

고효율 인덕션 국솥{High efficient induction soup kettle}
유도코일에 의해 발생된 고주파 유도 자기장을 이용하여 전기유도물질로 제조된 가열체를 가열하는 인덕션 국솥에 관한 것이다.
학교 식당, 병원 식당, 군부대 식당 등과 같이 많은 사람들이 식사를 제공하는 식당 주방에서는 대량으로 국을 조리하거나 끓일 때, 대형 국솥을 사용한다. 종래에는 증기를 이용한 증기형 국솥, 가스 버너를 이용한 가스식 국솥, 전열기를 이용한 전열식 국솥이 많이 사용되었다. 최근 유도 가열(Induction Heating) 방식으로 음식을 가열하고 조리하는 인덕션 레인지가 상용화됨에 따라, 유도 가열 방식이 적용된 국솥 본체(1) 또한 제조되고 있으며, 대형 식당의 주방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유도 가열 방식은 유도코일에 고주파 전류를 공급하여 자기장을 발생시킨다. 코일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은 코일 위에 위치된 가열체에서 와전류(Eddy Current)가 유도되고, 와전류는 가열체의 저항에 의하여 열로 변환된다. 유도 가열 방식은 종래의 가스 방식, 전기 발열 방식와 비교하여 높은 에너지효율을 가지고 있으며, 화재위험성이 거의 없고,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와 같은 유해가스를 발생시키지 않기 때문에 고효율 친환경 조리기구로서 각광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유도 가열 방식이 적용된 국솥은 조리용 재료가 담기는 반구형의 가열체, 가열체 아래에 배치되고 교류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유도코일, 및 유도코일에 고주파 전류를 공급하는 제너레이터로 구성된다. 인덕션 국솥이 작동되면, 제너레이터는 유도코일에 고주파 전류를 공급하고, 유도코일은 가열체에 교류 자기장을 발생시켜 가열체를 서서히 가열한다. 가열체에서 발생된 열기로 인하여 인덕션 국솥의 내부 온도가 점차 높아지게 된다. 인덕션 국솥의 내부 온도가 높아지게 되면, 인덕션 국솥 내부의 유도코일이 과열되게 된다. 유도코일이 과열되게 되면 유도코일의 성능이 저하되어 가열체가 충분히 가열되지 않아 에너지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유도코일이 인덕션 국솥 내부의 과열로 인하여 손상될 수 있으며, 나아가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인덕션 국솥의 내부 온도의 상승은 유도코일의 성능에도 영향을 미친다. 일반적으로 유도코일은 높은 전도성을 갖는 구리선으로 제작되고, 구리와 같은 전도체는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저항이 높아진다. 즉, 유도코일의 온도가 높아지게 되면, 유도코일의 자체 저항이 증가하게 되고, 유도코일의 저항이 증가함에 따라 유도코일에 흐르는 전류가 감소하게 된다. 유도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가 약해지므로, 유도코일에 의해 생성되는 유도 자기장 역시 약해진다. 이에 따라, 인덕션 국솥의 내부 온도가 높아질수록 유도코일에 의해 생성되는 자기장이 약해지므로, 인덕션 국솥의 에너지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7-0085398호 “인덕션 회전식 국솥”은 설치 및 조작이 용이한 국솥을 제공하기 위하여 국솥의 하부를 라운드지게 형성하고 코일을 배치하였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열을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국솥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인덕션 회전식 국솥은 유도 가열에 의해 국솥 몸통이 가열되어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유도코일도 가열되어 온도가 상승하게 되고, 이러한 유도코일의 온도 상승으로 인해 인덕션 레인지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인덕션 국솥의 내부에 설치된 유도코일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도코일과 가열체 사이에 단열재가 삽입되고 유도코일 주변의 열기를 효율적으로 배기하는 구조를 갖는 인덕션 국솥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던셕 국솥은, “U”자형 횡단면의 용기 형태로, 상측에 복수 개의 배기구가 형성되고 바닥에 흡기구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일단 측이 상기 흡기구와 기밀 결합되는 흡기덕트; 반원형 횡단면의 용기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흡기구의 위에 이격되어 설치되어 교류 자기장을 생성하는 유도코일; 상기 하우징의 내면과의 틈이 상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가 되도록 반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 위에 포개어져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면에 기밀 결합되고 상기 유도코일 위에 설치되어 상기 유도코일에 의해 생성된 교류 자기장을 열로 변환하는 가열체; 반원형 횡단면의 용기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유도코일과 상기 가열체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가열체의 열이 상기 유도코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열재; 상기 흡기덕트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흡기덕트의 타단 측을 통해 외부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상기 흡기구를 통하여 상기 유도코일의 아래 공간으로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흡입팬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흡입팬(에 의해 상기 유도코일의 아래 공간으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가열체와 상기 하우징 사이의 틈을 통과하고 상기 복수의 배기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가열체의 외면과 상기 하우징의 내면 사이의 틈이 상측으로 갈수록 좁아짐에 따라 상기 하우징의 흡기구을 통하여 유입된 공기가 상기 가열체의 외면과 상기 하우징의 내면 사이의 틈을 통과하여 상기 하우징의 상측의 복수 개의 배기구로부터 배출되는 과정에서 공기의 유속이 상측으로 갈수록 증가하게 되고, 상기 가열체의 외면과 상기 하우징의 내면 사이의 틈을 통과하여 상기 하우징의 상측의 복수 개의 배기구로부터 배출되는 과정에서 공기의 유속이 상측으로 갈수록 증가함에 따라 상기 유도코일의 하면을 스쳐 지나는 공기의 유속이 상기 유도코일의 하면 상측으로 갈수록 증가하게 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흡입팬은 상기 흡기덕트의 타단 측에 설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흡입팬에 의해 외부로부터 공기가 상기 유도코일의 아래 공간으로 유입되어 상기 복수 개의 배기구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유도코일의 아래 공간과 상기 가열체와 상기 하우징 사이의 틈의 크기 차이에 비례하여 상기 유도코일을 스쳐 지나는 공기의 유속이 증가하게 된다.
상기 가열체와 상기 유도코일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흡입팬에 의해 흡입된 외부 공기가 상기 가열체와 상기 유도코일 사이의 간극으로 유입되고 상기 유도코일의 아래 공간에 유입된 공기와 함께 상기 복수 개의 배기구를 통하여 배출된다.
상기 유도코일은 소용돌이 형태로 감긴 구리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흡입팬은 상기 유도코일의 중심의 아래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소용돌이 형태로 감긴 구리선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흡입팬과 상기 구리선 사이의 거리에 비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국솥은, 갈고리형 복수 개의 다리가 방사형으로 배열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다리에 상기 유도코일의 구리선이 고정되는 고정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다리 각각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구리선은 상기 복수 개의 돌기 사이의 틈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틀에 고정되고, 상기 소용돌이 형태로 감긴 구리선에서 서로 이웃하는 구리선 부분은 상기 복수 개의 돌기의 두께만큼 이격되고 상기 복수 개의 돌기의 두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흡입팬과 각 돌기 사이의 거리에 비례함으로써, 상기 서로 이웃하는 구리선 부분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흡입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넓어지고, 상기 가열체의 외면과 상기 하우징의 내면 사이의 틈을 통과하여 상기 하우징의 상측의 복수 개의 배기구로부터 배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서로 이웃하는 구리선 부분 사이의 틈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흡입팬에 의해 유입된 공기가 흐른다.
상기 복수 개의 돌기는 상기 복수 개의 돌기의 높이가 상기 구리선의 지름보다 높도록 형성되어, 상기 유도코일과 상기 가열체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흡입팬에 의해 흡입된 외부 공기가 상기 가열체와 상기 유도코일 사이의 간극으로 유입되고 상기 유도코일의 아래 공간에 유입된 공기와 함께 상기 복수 개의 배기구를 통하여 배출된다.
인덕션 국솥의 흡기덕트와 흡기구를 통하여 인덕션 국솥의 내부로 외부의 차가운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흡입팬에 의해 유도코일의 아래 공간으로 흐르고, 유도코일의 아래 공간을 흐르는 공기는 하우징의 내면과 가열체의 외면 사이의 틈을 통하여 하우징 상측으로 흐르고 하우징 상측에 형성된 배기구를 통해 인덕션 국솥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배출 과정에서 유도코일의 아래 공간의 크기와 하우징의 내면과 가열체의 외면 사이의 틈의 크기 차이로 인하여, 하우징의 내면과 가열체의 외면 사이의 틈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이 빨라지게 됨으로써, 인덕션 국솥의 내부가 빠르게 냉각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국솥은 별도의 냉각장치의 추가없이 인덕션 국솥의 내부 구조 변경만으로 인덕션 국솥의 내부에 설치된 유도코일을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인덕션 국솥의 가열체와 유도코일 사이에 단열재를 삽입함으로써 가열체의 열이 하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고 가열체에 의해 발생된 열이 가열체 상에 담긴 음식 재료에 집중시킬 수 있다. 가열체와 유도코일 사이에 삽입된 단열재는 가열체의 열로 인한 인덕션 국솥의 내부 온도의 상승을 방지하여 유도코일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도코일의 과열로 인해 유도코일의 저항이 상승되고 유도코일에 의해 생성되는 자기장의 세기가 약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유도코일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의 약화를 방지하여 인덕션 국솥의 열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국솥은 하우징의 효율적인 공냉 구조, 가열체와 유도코일 사이의 단열재 삽입 등을 통해 유도코일을 냉각시키는 것에 더하여 유도코일로의 열 전달을 차단함으로써 인덕션 국솥이 항상 고효율로 동작될 수 있는 최적의 유도코일의 온도 조건을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인덕션 국솥의 효율이 저하되지 않는 고효율 인덕션 국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국솥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인덕션 국솥의 우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인덕션 국솥의 좌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인덕션 국솥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인덕션 국솥의 분해도이다.
도 6a은 도 4에 도시된 유도코일의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4에 도시된 유도코일의 상면도이다.
도 6c는 도 6a에 도시된 고정틀 다리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인덕션 국솥 내부의 공기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대형음식점, 호텔 등과 같이 동시에 많은 손님이 방문하는 식당의 주방은 한 번에 많은 양의 음식을 조리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따라, 강한 화력을 갖고 한 번에 많은 양의 음식을 조리할 수 있는 조리용 장치가 필수적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동시에 많은 양의 음식을 조리하기 위하여 대형 국솥을 유도코일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으로 가열하는 인덕션 국솥에 관한 것으로서, 이하에서는 이러한 장치를 간략하게 “인덕션 국솥”이라고 호칭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국솥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인덕션 국솥의 우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인덕션 국솥의 좌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인덕션 국솥의 종단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국솥은 음식 재료가 조리되는 국솥 본체(1), 국솥 본체(1)의 덮개(2), 조리시 국솥 본체(1)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컨트롤박스(3), 국솥 본체(1)을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4), 국솥 본체(1)을 기울이기 위한 회전축(5), 및 국솥 본체(1)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정발(6)로 구성된다. 상기된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내식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 소재로 제작된다. 이하에서 상기된 바와 같은 구성요소를 설명하거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상기된 주요 구성요소 외에 다른 구성요소가 등장할 수 있다.
국솥 본체(1)는 액상 재료를 주재료로 하는 음식 재료가 담기도록 용기 형태를 갖는다. 국솥 본체(1)는 컨트롤박스(3)의 전면에 부착된 온도조절기에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온도에 따라 가열된다. 이와 같이 가열된 국솥 본체(1)는 국솥 본체(1)에 담긴 음식 재료를 가열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국 또는 다른 음식을 조리하거나 데울 수 있다. 국솥 본체(1)의 상세한 구조와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국솥 본체(1)의 덮개(2)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가열체(14)의 개방된 원형 상면을 덮는다. 덮개(2)는 2개의 반원판으로 구성되고, 각각의 반원판은 힌지 결합된다. 덮개(2)는 2개의 반원판이 전부 개방될 수 있으며, 2개의 반원판 사이에 결합된 힌지에 의해 덮개(2)의 절반만 개방될 수도 있다. 덮개(2)의 측면에는 덮개손잡이(21)가 부착되어 있다. 사용자는 덮개손잡이(21)의 조작을 통해 편리하게 덮개(2)를 열거나 닫을 수 있다.
컨트롤박스(3)는 국솥 본체(1)의 유도코일(13)에 공급되는 전류의 세기를 조절하여 국솥 본체(1)의 온도를 조절하며, 국솥 본체(1)의 측면에 설치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컨트롤박스(3)는 국솥 본체(1)의 좌측에 설치된다. 컨트롤박스(3)의 전면 상측에는 국솥 본체(1)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조절기가 전면 상측에 배치되어 있고, 그 내부에는 유도코일(13)에 고주파 교류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제너레이터(31)가 설치되어 있다.
제너레이터(31)는 국솥 본체(1) 내부에 설치된 유도코일(13)에 고주파 전류를 공급한다. 제너레이터(31)는 예를 들어 20-100 kHz의 고주파 전류를 유도코일(13)에 인가하여 유도코일(13) 위에 강력한 고주파 교류 자기장을 발생시킨다. 제너레이터(31)는 컨트롤박스(3)의 전면에 부착된 온도조절기에 입력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유도코일(13)에 공급되는 고주파 전류의 주파수를 조절하여 가열체(14)의 온도를 조절한다. 또한, 제너레이터(31)는 흡입팬(16)에도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국솥 본체(1)을 지지하기 위하여 2개의 다리를 가진 프레임(4)이 국솥 본체(1)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설치된다. 국솥 본체(1)는 좌우 프레임(4)에 회전 결합된 회전축(5)을 이용하여 좌우 프레임(4)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국솥 본체(1)의 하우징(11)의 상부의 양 측면에는 회전축(5)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회전축(5)가 국솥 본체(1)의 회전축(5)이 좌우 프레임(4)에 회전 결합됨으로써 국솥 본체(1)는 위아래로 회전할 수 있다. 국솥 본체(1)의 우측에 설치된 프레임(4)에는 핸들(41)이 구비된다. 핸들(41)은 회전축(5)와 기어 결합하여 사용자가 핸들(41)을 돌리면 회전축(5)이 회전되면서 국솥 본체(1)가 상하로 회전하게 된다. 국솥 본체(1)이 위 또는 아래로 회전하게 되면서 국솥 본체(1)에 담긴 국 등과 같은 음식물이 쏟아질 수 있다.
좌우 프레임(4)의 네 개의 다리에는 각 다리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네 개의 조정발(6)이 부착되어 있다. 사용자는 각 조정발(6)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국솥 본체(1)가 바닥면 상에 수평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수도관(7)은 국솥 본체(1)의 측면에 설치되어, 국솥 본체(1)에 조리용 물 또는 세척용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인덕션 국솥의 분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국솥 본체(1)는 하우징(11), 흡기덕트(12), 유도코일(13), 가열체(14), 단열재(15), 및 흡입팬(16)로 구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 흡기덕트(12), 유도코일(13), 가열체(14), 단열재(15), 및 흡입팬(16)의 중심이 동일선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하우징(11)은 “U”자형 횡단면의 용기 형태로 형성되고, 용기의 상측에 국솥 본체(1)의 내부 공기를 배출하는 복수 개의 배기구(111)가 형성되어 있고, 용기의 바닥에는 국솥 본체(1)의 외부 공기를 흡기하는 흡기구(112)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1)의 상면은 원형으로 개방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의 개방된 상면은 반원형 횡단면의 용기 형태를 가진 가열체(14)에 의해 덮여 있고, 바닥면에는 흡기덕트(12)가 결합되어 있다. 하우징(11)의 내부에는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유도코일(13), 하우징(11)의 내부로 외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흡입팬(16)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의 상측 외면에는 복수 개의 배기구(111)로 국물이 흘러들어 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막(18)이 형성되어 있다. 국솥 본체(1)에 담긴 국이 끓으면서 국솥 본체(1)에 담긴 국물이 끓어 넘칠 수 있다. 국물이 끓어 넘치면서 하우징(11)의 상측에 형성된 복수 개의 배기구(111)를 통해서 국솥 본체(1)의 내부로 흘러들어 갈 수 있다. 국물과 음식물이 국솥 본체(1)로 유입되는 경우, 국솥 본체(1)의 내부에 설치된 유도코일(13), 흡입팬(16)에 국물 또는 음식물이 묻게 된다.
국솥 본체(1)의 내부로 음식물이 유입되면 위생상은 좋지 않으며, 국솥 본체(1)의 내부 열기로 인하여 내부에 눌러붙은 음식물에 불이 붙어 화재가 발생할 위험성이 있다. 또한, 흡입팬(16)에 음식물이 눌러 붙게 되는 경우, 흡입팬(16)의 성능이 저하되어 국솥 본체(1) 내부를 냉각시킬 수 없게 된다. 국솥 본체(1)의 내부 열기가 높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유도코일(13)의 성능 또한 저하되어 인덕션 국솥의 에너지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는 복수 개의 배기구(111) 위에 형성된 차단막(18)에 의해 복수 개의 배기구(111)를 통하여 국솥 본체(1) 내부로 음식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흡기덕트(12)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하우징(11)의 흡기구(112)와 기밀 결합된다. 흡기덕트(12)는 하우징(11)의 흡기구(112)와 결합되어 국솥 본체(1)의 외부 공기가 국솥 본체(1)의 내부로 흐르는 통로로서 역할을 한다. 흡기덕트(12)의 일단은 국솥 본체(1)의 흡기구(112)와 결합되고, 흡기덕트(12)의 타단은 개방되어 있다. 흡기덕트(12)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흡입팬(16)이 설치되어, 흡기덕트(12)를 통해 국솥 본체(1)의 내부로 외부 공기가 흡입된다. 흡기덕트(12)의 개방된 타단에는 먼지와 오물을 여과하기 위한 필터(17)이 결합될 수 있다.
유도코일(13)은 반원형 횡단면의 용기 형태로 형성되고, 유도코일(13)에 고주파 교류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교류 자기장을 생성하고, 하우징(11)의 바닥면 위에 이격되어 배치된다. 유도코일(13)은 높은 전도성을 갖는 구리선으로 제조된다. 유도코일(13)에 고주파 교류 전류가 인가되면, 유도코일(13)의 구리선에 흐르는 교류 전류에 의하여 교류 자기장이 생성된다. 자기장을 형성하는 자속은 흐르는 전류에 수직한 방향을 가지므로, 유도코일(13)의 위 또는 아래가 유도코일(13)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의 영향을 받는다. 본 실시예에서, 유도코일(13)의 위에 배치된 가열체(14)는 유도코일(13)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의 영향을 받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도코일(13)은 소용돌이 형태로 감긴 하나의 구리선(131)으로 형성된다. 구리선(131)은 소용돌이의 중심에서는 촘촘하게 감기고,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성기게 감겨있다. 다시 말해, 소용돌이 형태로 감긴 구리선(131)에서 구리선(131)과 바로 다음에 감긴 구리선(131) 사이의 간격은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벌어진다. 유도코일(13)은 복수 개의 다리를 갖는 고정틀(132)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유도코일(13)과 유도코일(13)이 고정되는 고정틀(132)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가열체(14)는 하우징(11)의 내면과의 틈이 상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가 되도록 반원형 횡단면의 용기 형태로 형성되고 하우징(11)의 위에 포개어져 결합됨으로써 하우징(11)의 개방된 상면을 폐쇄시킨다. 가열체(14)는 유도코일(13) 위에 설치되어 유도코일(13)에 의해 생성된 교류 자기장을 열로 변환한다. 가열체(14)는 유도코일(13)에 의해 가열되고, 이와 같이 가열된 가열체(14)에 의해 국솥 본체(1)에 투입된 음식 재료가 끓게 된다. 가열체(14)는 유도코일(13) 위에 설치됨으로써 유도코일(13)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의 영역 내에 위치하게 된다. 유도코일(13)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에 의하여 가열체(14)에서의 자속이 변화하게 되고, 이에 따라 가열체(14) 상에서 기전력이 발생한다. 이러한 기전력에 의하여 가열체(14) 상에서 소용돌이 모양의 와전류(eddy current)가 발생되고 가열체(14)를 흐르게 된다. 가열체(14)에서 흐르는 와전류는 가열체(14)의 자체 저항에 의해 열로 변환되고, 이 열에 의하여 가열체(14)가 가열된다. 이에 따라, 가열체(14)는 기전력과 와전류가 발생될 수 있도록 도체로 제조되어야 하며, 일반적으로 가열체(14)는 철 성분을 함유하는 금속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열체(14)는 유도코일(13)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흡입팬(16)에 의해 유도코일(13)의 아래 공간으로 유입된 외부의 차가운 공기 중 일부가 가열체(14)와 유도코일(13) 사이의 간극으로 유입되고 가열체(14)와 유도코일(13) 사이의 간극에 흐를 수 있다. 가열체(14)와 유도코일(13) 사이의 간극에 체류하는 뜨거운 공기가 가열체(14)의 외면과 하우징(11)의 내면 사이의 틈을 통하여 흐르는 공기와 함께 복수 개의 배기구(111)를 통하여 국솥 본체(1)의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국솥 본체(1)의 내부 온도 상승을 억제하고 유도코일(13)의 과열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국솥 본체(1)는 “U” 자형 횡단면의 용기 형태의 하우징(11)에 반원형 횡단면의 용기 형태의 가열체(14)가 포개지는 구조로 형성된다. 용기 형태로 형성된 하우징(11)과 가열체(14) 각각의 용기 깊이와 곡률의 차이로 인하여 하우징(11)의 내면과 가열체(14)의 외면 사이에 내부 공간, 즉 공기가 흐를 수 있는 틈이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11)의 내면과 가열체(14)의 외면 사이의 틈은 하우징(11)의 바닥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좁아진다. 국솥 본체(1)의 내부를 순환하는 공기, 즉 유도코일(13)의 아래 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는 하우징(11)의 내면과 가열체(14)의 외면 사이의 틈을 통하여 하우징(11)의 상측에 형성된 복수 개의 배기구(111)로 흐르게 된다. 하우징(11)의 내면과 가열체(14)의 외면 사이의 틈은 유도코일(13)의 아래 공간 근처에서 복수 개의 배기구(111) 근처로 갈수록 점점 좁아진다.
공기가 어떤 관의 내부를 통과하여 흐를 때, 그 관의 직경이 달라지면 그 크기 차이에 따라 공기의 유속이 달라지는 벤츄리 효과(venturi effect)가 발생된다. 벤츄리 효과란 어떤 통로 내에서 흐르는 유체가 통로가 좁아지는 부분을 통과할 때에 유체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감소하고 유속이 더 빨라지는 현상을 말한다. 이러한 벤츄리 효과에 따라, 넓은 공간을 흐르는 공기가 좁은 공간으로 진행하게 되면 압력이 낮아지고 유속이 증가하게 된다. 즉, 유도코일(13)의 아래 공간에서 흐르는 공기가 하우징(11)의 내면과 가열체(14)의 외면 사이의 틈을 통과하여 흐를 때, 유도코일(13)의 아래 공간의 크기와 하우징(11)의 내면과 가열체(14)의 외면 사이의 틈의 크기 차이로 인하여 유속이 빨라진다.
또한, 하우징(11)의 내면과 가열체(14)의 외면 사이의 틈은 하우징(11)의 상측에 가까워질수록, 즉 복수 개의 배기구(111)에 가까워질수록 틈의 크기가 좁아짐으로써 공기의 유속은 더 증가하게 된다. 하우징(11)의 내면과 가열체(14)의 외면 사이의 틈을 지나는 공기의 유속이 증가함에 따라, 유도코일(13)을 스쳐 지나는 공기의 유속 역시 함께 증가하게 되어 유도코일(13) 주변의 뜨거운 공기가 빠르게 국솥 본체(1)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도코일(13)의 아래 공간과 하우징(11)의 내면과 가열체(14)의 외면 사이의 틈의 크기 차이와 하우징(11)의 내면과 가열체(14)의 외면 사이의 틈을 지나는 공기의 유속은 서로 비례한다. 유도코일(13)의 아래 공간과 하우징(11)의 내면과 가열체(14)의 외면 사이의 틈의 크기 차이가 커지면 커질수록 하우징(11)의 내면과 가열체(14)의 외면 사이의 틈을 지나는 공기의 유속이 증가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국솥은 국솥 본체(1)의 내부 온도를 낮추기 위하여 별도의 냉각 장치를 추가하거나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지 않고도 국솥 본체(1)의 하우징(11)과 가열체(14)의 형태를 변경하여 국솥 본체(1)의 내부 구조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하우징 내부의 효율적인 냉각이 가능하게 된다.
단열재(15)는 반원형 횡단면의 용기 형태로 제조되고, 유도코일(13)과 가열체(14) 사이에 삽입되어 가열체(14)에 의해 생성된 열이 유도코일(13)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열체(14)는 유도코일(13)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의 영역 내에 존재해야하기 때문에 가열체(14)와 유도코일(13)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가열체(14)에 의해 발생된 열은 유도코일(13)로 바로 전달되어 유도코일(13)의 온도가 서서히 높아지고, 유도코일(13)이 과열될 수 있다. 유도코일(13)의 과열은 인덕션 국솥의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으며, 유도코일(13) 자체의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열체(14)와 유도코일(13) 사이에 단열재(15)를 삽입하여, 유도코일(13) 및 국솥 본체(1)의 하우징(11) 내부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15)로는 1300 ℃의 온도를 견딜 수 있는 세라믹 단열재가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섬유 타입의 단열재는 통기성을 갖기 때문에 하우징(11)의 외부로부터 유입된 차가운 공기가 단열재를 통해 가열체(14)로 전달되어 가열체(14)의 온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세라믹 단열재는 섬유 타입의 단열재와 달리 통기성을 갖지 않기 때문에 하우징(11)의 외부로부터 유입된 차가운 공기는 세라믹 단열재를 통과할 수 없어 인덕션 레인지의 열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의 인덕션 국솥에 사용된 단열재(15)는 리지드(rigid) 타입의 세라믹 몰드 단열재일 수 있다.
특히, 단열재(15)는 가열체(14)의 열이 유도코일(13) 쪽을 향하는 방향, 즉 하측 방향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가열체(14)의 열이 가열체(14) 상에 놓여진 음식물 등과 같은 가열 대상물에 집중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단열재(15)는 흡입팬(16)로부터 공급되는 차가운 외부 공기가 가열체(14)에 도달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레인지의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무엇보다도, 단열재(15)는 가열체(14)부터 전달되는 열로 인한 유도코일(13)의 온도 상승을 차단함으로써 유도코일(13)의 온도 상승에 따른 자기장 약화로 인한 인덕션 국솥의 열효율 저하, 즉 전기에너지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열재(15)는 가열체(14) 열을 가열 대상물에 집중시키고, 가열체(14) 측으로의 냉기 전달을 차단하고, 유도코일(13)의 온도 상승을 차단함으로써 인덕션 국솥의 열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흡입팬(16)은 흡기덕트(12)의 내부에 설치되어 흡기덕트(12)의 타단 측을 통해 국솥 본체(1)의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국솥 본체(1)의 내부로 유입시키고 유도코일(13)의 아래 공간으로 공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국솥 본체(1)의 크기에 따라 흡기덕트(12) 내부에 하나의 흡입팬(16)이 설치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흡입팬(16)이 유도코일(13)의 중심 아래에 이격되어 배치된다. 흡입팬(16)은 흡기덕트(12)를 통하여 국솥 본체(1) 내부로 차가운 공기를 흡입하여 유도코일(13)의 아래 공간으로 흐르게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유도코일(13)의 아래 공간의 크기를 가능한 크게 확보하기 위하여, 흡입팬(16)은 흡기덕트(12)의 타단 측에 설치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흡기덕트(12)의 일단 측은 하우징(11)의 흡기구(112)와 기밀 결합되어 있고, 흡기덕트(12) 내에 흡입팬(16)이 설치된다. 이때, 흡입팬(16)이 흡기덕트(12)의 타단 측에 설치됨으로써, 유도코일(13)의 아래 공간이 흡기덕트(12)의 타단 측까지 확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도코일(13)의 아래 공간과 하우징(11)의 내면과 가열체(14)의 외면 사이의 틈의 크기 차이가 더욱 증가하게 된다.
흡입팬(16)에 의해 국솥 본체(1)의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도코일(13)의 아래 공간으로 유입되고 하우징(11)의 내면과 가열체(14)의 외면 사이의 틈을 통해서 배출되는 과정에서 유도코일(13)의 아래 공간과 하우징(11)의 내면과 가열체(14)의 외면 사이의 틈 사이의 크기 차이에 비례하여 국솥 본체(1) 내부를 흐르는 공기의 유속이 증가하므로, 유도코일(13)을 스쳐 지나는 공기의 유속도 함께 증가하게 된다. 다시 말해, 흡입팬(16)을 흡기덕트(12)의 타단 측에 설치하여 유도코일(13)의 아래 공간이 확장될수록 국솥 본체(1) 내부를 흐를 공기의 유속이 빨라지게 되고 국솥 본체(1)의 내부 열기를 빠르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실시예의 국솥 본체(1)에서 흡입팬(16)의 중심과 소용돌이 형태로 감긴 유도코일(13)의 중심이 동일선 상에 위치되도록 흡입팬(16)과 유도코일(13)이 배치된다. 유도코일(13)의 중심은 흡입팬(16)과 가깝게 위치하고, 유도코일(13)의 가장자리는 흡입팬(16)과 멀게 위치된다. 흡입팬(16)에 의해 국솥 본체(1)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의 차가운 공기는 흡입팬(16) 근처에서는 외부 온도와 비슷하게 차가운 특성을 보이나, 유도코일(13)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즉 흡입팬(16)과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점차적으로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유도코일(13)의 가장자리는 단열재(15)에 의해 가려지지 않은 가열체(14)의 노출면에 접해 있기 때문에 가열체(14)의 열에 의해 가열되어 급격하게 온도가 상승하며, 결과적으로 유도코일(13)의 가장자리의 구리선(131)이 과열될 수 있다.
또한, 국솥 본체(1)의 가열체(14)가 가열될수록 국솥 본체(1)의 내부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서, 국솥 본체(1) 내부의 공기가 가열된다. 국솥 본체(1) 내부의 가열된 따뜻한 공기는 차가운 공기에 비하여 가벼워지고 하우징(11)의 상측으로 상승하게 된다. 반원형 횡단면의 용기 형태로 형성된 유도코일(13)의 구조에 따라 유도코일(13)의 가장자리가 유도코일(13)의 중심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므로, 유도코일(13)의 가장자리의 구리선(131) 주위로 따뜻한 공기가 흐르게 된다. 유도코일(13)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구리선(131)은 유도코일(13)의 중심에 위치한 구리선(131)보다 더 높은 온도로 가열되고, 유도코일(13)의 가장자리가 유도코일(13)의 중심에 비하여 냉각효율이 떨어진다. 유도코일(13)의 가장자리의 구리선(131)이 가열되고 구리선(131)의 저항이 증가됨에 따라, 유도코일(13)에 흐르는 전류가 약해지고 국솥 본체(1)의 에너지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유도코일(13)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도 6a은 도 4에 도시된 유도코일의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4에 도시된 유도코일(13)의 상면도이다. 도 6a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코일(13)은 소용돌이 형태로 감긴 하나의 구리선(131)으로 형성되고, 소용돌이 형태로 감긴 구리선(131)에서 구리선(131)과 바로 다음에 감긴 구리선(131) 사이의 간격은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구리선(131) 사이의 간격이 벌어진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흡입팬(16)과 가깝게 위치된 유도코일(13)의 구리선(131)에 비하여 흡입팬(16)과 멀리 위치된 유도코일(13)의 구리선(131)은 냉각효율이 떨어진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의 유도코일(13)은 흡입팬(16)과 가까운 유도코일 부분에서는 구리선(131)이 촘촘하게 감겨 있고 흡입팬(16)부터 멀리 떨어진 유도코일 부분에서는 구리선(131)이 성기게 감겨있다. 다시 말해, 유도코일(13)을 형성하는 소용돌이 형태로 감긴 구리선(131)에서 구리선(131) 사이의 간격이 유도코일(13)의 중심에서는 좁고 유도코일(13)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넓어진다. 소용돌이 형태로 감긴 유도코일(13)에서 구리선(131) 사이의 간격은 흡입팬(16)과 구리선(131) 사이의 거리에 비례하여 벌어진다. 흡입팬(16)과 구리선(131)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냉각효율이 떨어지므로 구리선(131) 사이의 간격을 넓게 형성함으로써 구리선(131) 사이에 뜨거운 공기가 오래 머물지 않고, 하우징(11)의 내면과 가열체(14)의 외면 사이의 틈을 지나는 공기와 함께 국솥 본체(1)의 외부로 빠르게 배출될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유도코일(13)의 가장자리에서 구리선(131)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c는 도 6a에 도시된 유도코일(13)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6a, 6b, 및 6c를 참조하면, 유도코일(13)을 형성하는 구리선(131)은 고정틀(132)에 부착되어 고정된다. 고정틀(132)은 갈고리 형태의 복수 개의 다리가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고정틀(132)은 실리콘, 베이클라이트 등과 같이 열경화성 절연체로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틀(132)은 12개의 다리가 방사형으로 배치된다. 방사형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다리의 사이로 공기가 자유롭게 흐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흡입팬(16)에 의해 흡입된 외부 공기가 복수 개의 다리 사이를 통하여 유도코일(13) 주변을 스쳐 흐른다.
도 6c를 참조하면, 복수 개의 다리 각각에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 개의 돌기(133)가 형성되어 있다.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돌기(133) 사이의 틈에 구리선(131)이 삽입되는 방식으로 구리선(131)이 고정틀(132)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돌기(133)의 두께가 소용돌이 형태로 감긴 구리선(131) 사이의 간격이 된다. 구리선(131)이 복수 개의 돌기(133) 사이의 틈에 삽입되어 소용돌이 형태로 감김으로써 소용돌이 형태에서 서로 이웃하는 구리선 부분은 복수 개의 돌기(133)의 두께만큼 이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소용돌이 형태로 감긴 구리선(131) 중 서로 이웃하는 구리선 부분 사이의 간격은 흡입팬(16)과 구리선(131) 사이의 거리에 비례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복수 개의 돌기(133)의 두께는 흡입팬(16)과 각 돌기(133) 사이의 거리에 비례한다. 즉, 소용돌이 형태로 감긴 구리선(131)에서 서로 이웃하는 구리선 부분은 복수 개의 돌기(133)의 두께만큼 이격되고 복수 개의 돌기(133)의 두께는 흡입팬(16)과 각 돌기(133) 사이의 거리에 비례하고, 이에 따라 서로 이웃하는 구리선 부분 사이의 간격은 흡입팬(16)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넓어진다. 가열체(14)의 외면과 하우징(11)의 내면 사이의 틈을 통과하여 하우징(11)의 상측의 복수 개의 배기구(111)로부터 배출되는 과정에서 서로 이웃하는 구리선 부분 사이의 틈으로 흡입팬(16)에 의해 유입된 공기는 가열체(14)의 외면과 하우징(11)의 내면 사이의 틈을 흐르는 공기와 함께 국솥 본체(1)의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복수 개의 다리 각각에 형성된 돌기는 유도코일(13)의 구리선(131)의 지름보다 높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유도코일(13)과 가열체(14) 사이에 공기가 흐를 수 있는 간극을 형성한다. 흡입팬(16)에 의해 유도코일(13)의 아래 공간으로 유입된 외부의 차가운 공기 중 일부가 가열체(14)와 유도코일(13) 사이의 간극으로 유입되고 가열체(14)와 유도코일(13) 사이의 간극을 통해 흐를 수 있다. 가열체(14)와 유도코일(13) 사이의 간극에 체류하는 뜨거운 공기는 가열체(14)의 외면과 하우징(11)의 내면 사이의 틈을 통하여 흐르는 공기와 함께 복수 개의 배기구(111)를 통하여 국솥 본체(1)의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국솥 본체(1)의 내부 온도 상승을 억제하고 유도코일(13)의 과열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인덕션 국솥 내부의 공기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6을 참조하면, 흡기덕트(12)의 내부에 설치된 흡입팬(16)이 작동되면서 국솥 본체(1)의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국솥 본체(1)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시킨다. 국솥 본체(1)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는 흡입팬(16)에 의해 유도코일(13)의 아래 공간으로 모이게 되고, 유도코일(13)을 스쳐 지난다. 인덕션 국솥이 작동되기 시작하면, 가열체(14)의 열기에 의해 유도코일(13)의 아래 공간에 모인 공기의 온도가 점점 높아지게 되고, 뜨거워진 공기는 하우징(11)의 상측으로 상승한다. 유도코일(13)의 아래 공간의 가열된 공기는 가열체(14)의 외면과 하우징(11)의 내면 사이의 틈을 통하여 하우징(11)의 상측에 형성된 복수 개의 배기구(111)를 향해 상승된다.
가열체(14)의 외면과 하우징(11)의 내면 사이의 틈을 흐르는 공기는 유도코일(13)의 아래 공간의 크기와 가열체(14)의 외면과 하우징(11)의 내면 사이의 틈의 크기 차이로 인하여, 유속이 빨라지게 된다. 또한, 가열체(14)의 외면과 하우징(11)의 내면 사이의 틈이 하우징(11)의 상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기 때문에, 가열체(14)의 외면과 하우징(11)의 내면 사이의 틈을 흐르는 공기의 유속은 점점 더 빨라진다. 가열체(14)의 외면과 하우징(11)의 내면 사이의 틈 사이로 흐르는 공기는 하우징(11)의 상측에 형성된 복수 개의 배기구(111)를 통해 국솥 본체(1)의 외부로 배출된다. 본 실시예는 상술한 구성에 의해 외부로부터 차가운 공기를 국솥 본체(1) 내부의 유도코일(13) 주변으로 유입시키고, 가열체(14)에 의해 가열된 뜨거운 공기를 외부로 빠르게 배출함으로써 국솥 본체(1)의 내부 온도의 상승과 유도코일(13)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국솥은 여러 개의 냉각용 팬을 설치하지 않고도 하우징(11), 가열체(14), 단열재(15), 유도코일(13)의 구조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국솥 본체(1)의 내부를 빠르게 냉각시켜, 유도코일(13)의 과열을 방지함으로써, 저렴한 비용으로 에너지 소비의 증가 없이 유도코일(13)이 과열됨으로 인해 발생하는 인덕션 국솥의 가열 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덕션 국솥을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인덕션 국솥의 효율이 저하되지 않는 고효율 인덕션 국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국솥 본체 2: 덮개
3: 컨트롤박스 4: 프레임
5: 회전축 6: 조정발
7: 수도관
11: 하우징 12: 흡기덕트
13: 유도코일 14: 가열체
15: 단열재 16: 흡입팬
17: 필터 18: 차단막
31: 제너레이터 32: 온도 조절기
41: 핸들
111: 배기구 112: 흡기구
131: 구리선 132: 고정틀
133: 돌기

Claims (6)

  1. “U”자형 횡단면의 용기 형태로, 상측에 복수 개의 배기구(111)가 형성되고 바닥에 흡기구(112)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11);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일단 측이 상기 흡기구(112)와 기밀 결합되는 흡기덕트(12);
    반원형 횡단면의 용기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1)의 흡기구(112)의 위에 이격되어 설치되어 교류 자기장을 생성하는 유도코일(13);
    상기 하우징(11)의 내면과의 틈이 상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가 되도록 반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1) 위에 포개어져 상기 하우징(11)의 개방된 상면에 기밀 결합되고 상기 유도코일(13) 위에 설치되어 상기 유도코일(13)에 의해 생성된 교류 자기장을 열로 변환하는 가열체(14);
    반원형 횡단면의 용기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유도코일(13)과 상기 가열체(14)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가열체(14)의 열이 상기 유도코일(13)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열재(15); 및
    상기 흡기덕트(12)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흡기덕트(12)의 타단 측을 통해 외부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상기 흡기구(112)를 통하여 상기 유도코일(13)의 아래 공간으로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흡입팬(16)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흡입팬(16)에 의해 상기 유도코일(13)의 아래 공간으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가열체(14)와 상기 하우징(11) 사이의 틈을 통과하고 상기 복수의 배기구(11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가열체(14)의 외면과 상기 하우징(11)의 내면 사이의 틈이 상측으로 갈수록 좁아짐에 따라 상기 하우징(11)의 흡기구(112)을 통하여 유입된 공기가 상기 가열체(14)의 외면과 상기 하우징(11)의 내면 사이의 틈을 통과하여 상기 하우징(11)의 상측의 복수 개의 배기구(111)로부터 배출되는 과정에서 공기의 유속이 상측으로 갈수록 증가하게 되고,
    상기 가열체(14)의 외면과 상기 하우징(11)의 내면 사이의 틈을 통과하여 상기 하우징(11)의 상측의 복수 개의 배기구(111)로부터 배출되는 과정에서 공기의 유속이 상측으로 갈수록 증가함에 따라 상기 유도코일(13)의 하면을 스쳐 지나는 공기의 유속이 상기 유도코일(13)의 하면 상측으로 갈수록 증가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흡입팬(16)은 상기 흡기덕트(12)의 타단 측에 설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흡입팬(16)에 의해 외부로부터 공기가 상기 유도코일(13)의 아래 공간으로 유입되어 상기 복수 개의 배기구(111)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유도코일(13)의 아래 공간과 상기 가열체(14)와 상기 하우징(11) 사이의 틈의 크기 차이에 비례하여 상기 유도코일(13)을 스쳐 지나는 공기의 유속이 증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국솥.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체(14)와 상기 유도코일(13)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흡입팬(16)에 의해 흡입된 외부 공기가 상기 가열체(14)와 상기 유도코일(13) 사이의 간극으로 유입되고 상기 유도코일(13)의 아래 공간에 유입된 공기와 함께 상기 복수 개의 배기구(111)를 통하여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국솥.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코일(13)은 소용돌이 형태로 감긴 구리선(131)으로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흡입팬(16)은 상기 유도코일(13)의 중심의 아래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소용돌이 형태로 감긴 구리선(131)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흡입팬(16)과 상기 구리선(131) 사이의 거리에 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국솥.
  5. 제 4 항에 있어서,
    갈고리형 복수 개의 다리가 방사형으로 배열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다리에 상기 유도코일(13)의 구리선(131)이 고정되는 고정틀(132)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다리 각각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돌기(133)를 포함하고,
    상기 구리선(131)은 상기 복수 개의 돌기(133) 사이의 틈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틀(132)에 고정되고,
    상기 소용돌이 형태로 감긴 구리선(131)에서 서로 이웃하는 구리선 부분은 상기 복수 개의 돌기(133)의 두께만큼 이격되고 상기 복수 개의 돌기(133)의 두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흡입팬(16)과 각 돌기(133) 사이의 거리에 비례함으로써, 상기 서로 이웃하는 구리선 부분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흡입팬(16)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넓어지고,
    상기 가열체(14)의 외면과 상기 하우징(11)의 내면 사이의 틈을 통과하여 상기 하우징(11)의 상측의 복수 개의 배기구(111)로부터 배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서로 이웃하는 구리선 부분 사이의 틈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흡입팬(16)에 의해 유입된 공기가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국솥.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돌기(133)는 상기 복수 개의 돌기(133)의 높이가 상기 구리선(131)의 지름보다 높도록 형성되어, 상기 유도코일(13)과 상기 가열체(14)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흡입팬(16)에 의해 흡입된 외부 공기가 상기 가열체(14)와 상기 유도코일(13) 사이의 간극으로 유입되고 상기 유도코일(13)의 아래 공간에 유입된 공기와 함께 상기 복수 개의 배기구(111)를 통하여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국솥.
KR1020180036396A 2018-03-29 2018-03-29 고효율 인덕션 국솥 KR101929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396A KR101929939B1 (ko) 2018-03-29 2018-03-29 고효율 인덕션 국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396A KR101929939B1 (ko) 2018-03-29 2018-03-29 고효율 인덕션 국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9939B1 true KR101929939B1 (ko) 2018-12-17

Family

ID=65007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6396A KR101929939B1 (ko) 2018-03-29 2018-03-29 고효율 인덕션 국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993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8349B1 (ko) * 2020-04-29 2020-06-30 주식회사 신성하인스 인덕션 회전 국솥
KR102134226B1 (ko) * 2020-04-29 2020-07-15 주식회사 신성하인스 인덕션 회전 볶음솥
KR102244888B1 (ko) 2021-03-02 2021-04-27 주식회사 신성하인스 공기 필터가 장착된 회전솥
KR102459117B1 (ko) * 2022-05-16 2022-10-27 (주)한신기업 바닥과 중간에 온도센서가 설치된 코일형 다용도 국솥
KR102646752B1 (ko) * 2023-06-19 2024-03-12 화신주방산업(주) 유도가열장치를 갖는 조리용 솥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7918B1 (ko) * 2015-10-28 2016-07-13 김학규 인덕션 레인지 및 인덕션 레인지 유니트
KR101707185B1 (ko) * 2016-02-29 2017-02-15 김학규 인덕션용 회전 솥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7918B1 (ko) * 2015-10-28 2016-07-13 김학규 인덕션 레인지 및 인덕션 레인지 유니트
KR101707185B1 (ko) * 2016-02-29 2017-02-15 김학규 인덕션용 회전 솥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8349B1 (ko) * 2020-04-29 2020-06-30 주식회사 신성하인스 인덕션 회전 국솥
KR102134226B1 (ko) * 2020-04-29 2020-07-15 주식회사 신성하인스 인덕션 회전 볶음솥
KR102244888B1 (ko) 2021-03-02 2021-04-27 주식회사 신성하인스 공기 필터가 장착된 회전솥
KR102459117B1 (ko) * 2022-05-16 2022-10-27 (주)한신기업 바닥과 중간에 온도센서가 설치된 코일형 다용도 국솥
KR102646752B1 (ko) * 2023-06-19 2024-03-12 화신주방산업(주) 유도가열장치를 갖는 조리용 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9939B1 (ko) 고효율 인덕션 국솥
US20100116820A1 (en) Induction electrical appliance
KR101235163B1 (ko) 전자유도가열방식을 이용한 회전형 국솥
KR20100057588A (ko) 급전 장치
JPH05326126A (ja) 電磁誘導加熱調理器
JP5854890B2 (ja) 家電機器の電力制御システム
JP2006230517A (ja) システムキッチン
JP4887085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2011155022A (ja) 誘導加熱調理器
JP2010108796A (ja) 誘導加熱調理器
US6504136B2 (en) Liquid heating apparatus with an inductively heated impeller
JP5846935B2 (ja) 誘導加熱調理器及び家電機器の電力制御システム
KR200457969Y1 (ko) 가열기를 구비한 회전테이블용 식탁
KR101926636B1 (ko) 다중 조리영역 및 냉각팬이 구비된 유도가열 조리 장치
KR102047289B1 (ko) 고효율 인덕션 레인지
JPH05317164A (ja) 炊飯器
CN112220337A (zh) 一种电饭煲
KR101664341B1 (ko) 전자유도가열 튀김기
JP2016146235A (ja) 誘導加熱調理器
JP3840778B2 (ja) 誘導加熱調理器用の調理容器
JP7378206B2 (ja) 炊飯器
JP5751712B2 (ja) 電磁調理器とこれに用いる電磁誘導装置及び金属製発熱媒体
JP3985711B2 (ja) 炊飯器
JP2002058600A (ja) 電気調理器
JP2006230515A (ja) システムキッチ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