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3235B1 - 조리용 쿠커 - Google Patents

조리용 쿠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3235B1
KR101003235B1 KR1020100099430A KR20100099430A KR101003235B1 KR 101003235 B1 KR101003235 B1 KR 101003235B1 KR 1020100099430 A KR1020100099430 A KR 1020100099430A KR 20100099430 A KR20100099430 A KR 20100099430A KR 101003235 B1 KR101003235 B1 KR 1010032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heater
outer container
container
coo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9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수
Original Assignee
박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수 filed Critical 박진수
Priority to KR1020100099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32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3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32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 A47J36/165Stirring devices operatively connected to cooking vessels when being removably inserted in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2Time-controlled igniting mechanisms or alarm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용 쿠커에 관한 것으로서, 식재료가 담기는 조리용기로부터는 받침부 내의 히터판 가열로서 조리용기를 가열함과 동시에 제1교반부재 및 제2교반부재를 통해 식재료를 고르게 저어 식자재를 고르게 볶아주거나 저어주는 효과와 더불어 상부에 마련된 히터부재를 통해 전달되는 열을 이용하여 신속하게 조리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식자재를 영양소 파괴되지 않으면서도 빠른 조리를 할 수 있는 것으로, 국, 찜, 죽, 탕, 볶음 요리 등이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서 교반부재의 구동을 제어하여 정지시킨 상태에서 튀김, 제빵 등 다양한 요리를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조리용 쿠커{Cooker}
본 발명은 조리용 쿠커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다양한 음식의 조리 기능과 함께 식재의 영양소가 파괴되지 않는 범위 내에 조리가 신속히 이루어지도록 하며, 조리과정에 따른 냄새 제거의 효과와 함께 수증기로 인해 본체의 내부바닥에 고이는 물을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조리용 쿠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재료를 조리하여 다양한 음식을 만들기 위해서는 팬, 냄비 등과 같은 용기가 사용되며, 부수적으로 주걱이나 젓개 등이 이용되고 있다.
통상적인 조리용 용기는 렌지나 직화로 조리되거나, 혹은 전기를 이용한 가열판(히터)를 이용하여 음식을 조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끓임, 찜, 소테가열(sauteing), 프라이 가열(frying), 냄비찜 가열(casseroling), 구움(baking) 또는 볶음(roasting) 등을 하기 위한 유리그릇 또는 질그릇 등의 조리용 용기 혹은 전력을 이용한 전기 쿠커 등이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전기 밥솥의 경우, 주식인 밥을 짓거나 그외 다용도로서 죽, 국, 찜 등을 다양한 음식을 만들어 낼 수 있도록 되어있다.
대부분은 전기를 이용한 쿠커는 전기에 의해 발열되는 히터를 열원으로 이용하여 음식을 가열하는 것으로서, 히터가 구비된 본체에는 다양한 형태의 팬이 결합되어 음식의 조리방법에 따라 팬을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각은 식재료를 조리용기에 넣고 조리함에 있어, 재료를 고르게 익히기 위해 주걱 등의 주방용품을 사용하여 식재료가 서로 엉겨 붙거나 타지 않도록 저어서 볶아 주어야만 한다.
이외에도 죽 요리 또한 계속 저어주어 조리용기의 바닥에 조리음식이 눌러 붙거나 타지 않도록 조리용기를 주시하여 음식을 조리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는 계속 조리자가 조리 용기를 떠나 있지 않고 계속 저어주어야 함으로 번거로움이 있고, 이 때문에 한가지 음식 조리에 집중을 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가령, 보리, 옥수수, 각종 견과류 등의 곡물 볶음시 발생하는 탄화에 의해 발생하는 연기는 조리 용기의 덮개를 열어놓고 볶기 때문에 주방 실내에 퍼져 기타 사물에 냄새가 스며드는 단점이 있고, 조리자가 일일이 식재료를 저어주는 상태가 균일하지 못한 이유에서 일부는 고르게 익지 않거나 혹은 일부가 타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의 대략적인 조리는 시간이 오래 걸리고 조리자가 직접 조리가 이루어질 때까지 연속으로 저어주어야 하기 때문에 불편함이 따르며, 음식조리에 대한 냄새 특히 탄화되어 발생하는 냄새 제거도 간단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으며, 중요하게는 다양한 조리를 행하기 위해서는 조리용기 별로 조리를 해야 하기 때문에 요리에 관심을 가진 이들은 조리용기를 각각 구입하여 사용으로 인한 많은 조리용구를 포함한 조리용기의 보관에도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단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다양한 음식의 조리 기능과 함께 식재의 영양소가 파괴되지 않는 범위 내에 조리가 신속히 이루어지도록 하며, 조리과정에 따른 냄새 제거의 효과와 함께 수증기로 인해 본체의 내부바닥에 고이는 물을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조리용 쿠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받침부의 내부에 히터판이 구비된 외장용기와; 상기 외장용기의 일측으로부터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외장용기의 상부를 개폐하며, 상부에는 내측에서 외부로 수증기의 배출 및 조리냄새를 여과시키는 필터를 수용하는 밴트 홀 커버가 부가 설치된 용기덮개와; 상기 외장용기 내부의 히터판 상부에 안치되는 조리용기와; 상기 외장용기의 외측으로부터 설치되어 히터판의 가열온도 및 작동시간을 세팅하여 제어하는 콘트롤조작부와; 상기 받침부의 후방에 마련되어 전원코드를 통해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접속부를 포함하는 조리용 쿠커에 있어서,
상기 히터판은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되, 관통공이 형성된 히터판의 하부에 회전축상에 회전걸이구가 구비된 구동모터가 안치되어 상기 받침부를 이루고,
상기 조리용기는 내측둘레에 식재료 혼합에 도움을 주는 간섭돌부가 형성되고, 중앙바닥에는 회전구동축이 누수방지되는 구조로 회전가능하게 관통 설치되는 한편, 상기 회전구동축의 하부에는 상기 구동모터측 회전걸이구와 접속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회전편이 연결설치되며, 상기 회전구동축의 상부에는 상부에 결합돌부가 더 형성되고 하부에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일측으로부터는 식재료를 일방향으로 휘저어주기 위한 날개편이 일체로 마련된 제1교반부재가 설치되며, 조리용기의 상부 일측에는 외장용기의 내측에서 외부로 위치하는 손잡이가 부착되어 구성되며,
상기 용기덮개는 내부가 들여다보일 수 있는 투시창이 마련되고, 그 중앙에 마련된 벤트 홀 커버의 하부에는 조리용기의 내부를 상부에서 하향으로 가열함과 동시에 조리 냄새를 연소하는 히터부재가 더 설치되고,
상기 외장용기의 바닥면에는 외장용기와 조리용기 사이를 통해 외장용기의 바닥으로 유입될 수 있는 물 배출을 위한 배출공이 관통 형성되는 한편, 상기 배출공은 상기 받침부 전면으로부터 마련되는 안내공과 연통되고, 상기 안내공에는 배출되는 물을 받아 외부로 처리하기 위한 물받이 그릇이 서랍식으로 탈착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교반부재의 상부측 결합돌부에는 조리용기에 담기는 식재료의 양에 따라 제1교반부재와 동일하게 하부에 결합홈을 갖고, 일측에 날개편이 형성된 제2교반부재가 결합되어 교반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히터부재는 석영관으로 된 원형의 히터와, 하부가 개방된 형태로 개방된 부위를 제외한 측면과 상부는 열차단효과를 갖는 재질로 코팅처리되고 내부에 상기 히터를 수용하도록 된 히터케이싱과, 다수개의 열방출공이 형성되어 상기 히터케이싱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케이스덮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리용기로부터 연결 설치되는 손잡이에는 호형의 단차턱이 형성되어 외장용기의 상단에 안치되는 한편, 상기 용기덮개의 하부 가장자리에는 상기 손잡이의 단차턱을 지지하는 요홈이 원주상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 쿠커는 식재료가 담기는 조리용기로부터는 받침부 내의 히터판 가열로서 조리용기를 가열함과 동시에 제1교반부재 및 제2교반부재를 통해 식재료를 고르게 저어 식자재를 고르게 볶아주거나 저어주는 효과와 더불어 상부에 마련된 히터부재를 통해 전달되는 열을 이용하여 신속하게 조리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식자재를 영양소 파괴되지 않으면서도 빠른 조리를 할 수 있는 것으로, 국, 찜, 죽, 탕, 볶음 요리 등이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서 교반부재의 구동을 제어하여 정지시킨 상태에서 튀김, 제빵 등 다양한 요리를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인 쿠커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쿠커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쿠커를 도시한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쿠커를 절개하여 도시한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쿠커의 조리 용기를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받침부의 전면부에 설치된 물받이 그릇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에서의 물받이 그릇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측단면도,
도 8은 도 4에서의 용기덮개의 상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확대단면도,
도 9는 도 8에서의 상부측에 마련된 히터부재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가 외장용기에 안치되는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받침부(111)의 내부에 히터판(112)이 구비된 외장용기(110)와; 상기 외장용기(110)의 일측으로부터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외장용기의 상부를 개폐하며, 상부에는 내측에서 외부로 수증기의 배출 및 조리냄새를 여과시키는 필터(F)를 수용하는 밴트 홀 커버(121)가 부가 설치된 용기덮개(120)와; 상기 외장용기(110) 내부의 히터판(112) 상부에 안치되는 조리용기(130)와; 상기 외장용기(110)의 외측으로부터 설치되어 히터판(112)의 가열온도 및 작동시간을 세팅하여 제어하는 콘트롤조작부(140)와; 상기 받침부(111)의 후방에 마련되어 전원코드를 통해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접속부(150)를 포함하는 조리용 쿠커(100)에 있어서,
상기 히터판(112)은 중앙에 관통공(112a)이 형성되되, 관통공(112a)이 형성된 히터판의 하부에는 회전축(113a)상에 회전걸이구(113)가 구비된 구동모터(114)가 안치되어 상기 받침부(111)를 구성한다.
상기 조리용기(130)는 내측둘레에 식재료 혼합에 도움을 주는 간섭돌부(131)가 형성되고, 중앙바닥에는 회전구동축(132)이 누수방지되는 구조로 회전가능하게 관통 설치되는 한편, 상기 회전구동축(132)의 하부에는 상기 구동모터(114)측 회전걸이구(113)와 접속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회전편(133)이 연결설치되며, 상기 회전구동축(132)의 상부에는 상부에 결합돌부(134a)가 더 형성되고 하부에는 결합홈(134b)이 형성되며, 일측으로부터는 식재료를 일방향으로 휘저어주기 위한 날개편(134c)이 일체로 마련된 제1교반부재(134)가 설치되며, 조리용기(130)의 상부 일측에는 외장용기(110)의 내측에서 외부로 위치하는 손잡이(136)가 부착되어 구성된다.
상기 용기덮개(120)는 내부가 들여다보일 수 있는 투시창(122)이 마련되고, 그 중앙에 마련된 벤트 홀 커버(121)의 하부에는 조리용기(130)의 내부를 상부에서 하향으로 가열함과 동시에 조리 냄새를 연소하는 히터부재(123)가 더 설치된다.
상기 외장용기(110)의 바닥면에는 외장용기와 조리용기 사이를 통해 외장용기의 바닥으로 유입될 수 있는 물 배출을 위한 배출공(111a)이 관통 형성되는 한편, 상기 배출공(111a)은 상기 받침부(111) 전면으로부터 마련되는 안내공(111b)과 연통되고, 상기 안내공(111b)에는 배출되는 물을 받아 외부로 처리하기 위한 물받이 그릇(115)이 서랍식으로 탈착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제1교반부재(134)의 상부측 결합돌부(134a)에는 조리용기(130)에 담기는 식재료의 양에 따라 제1교반부재(134)와 동일하게 하부에 결합홈(135a)을 갖고 일측에 날개편(135b)이 형성된 제2교반부재(135)가 결합되어 교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히터부재(123)는 석영관으로 된 원형의 히터(123-1)와, 하부가 개방된 형태로 개방된 부위를 제외한 측면과 상부는 열차단효과를 갖는 재질로 코팅처리되고 내부에 상기 히터를 수용하도록 된 히터케이싱(123-2)과, 다수개의 열방출공(123a)이 형성되어 상기 히터케이싱(123-2)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케이스덮개(123-3)로 구성된다.
상기 조리용기(130)로부터 연결 설치되는 손잡이(136)에는 호형의 단차턱(136a)이 형성되어 외장용기(110)의 상단에 안치되는 한편, 상기 용기덮개(120)의 하부 가장자리에는 상기 손잡이(136)의 단차턱(136a)을 지지하는 요홈(124)이 원주상에 형성된다.
이는 상기 용기덮개(120)의 요홈(124)에 일치되기 용이하도록 외장용기의 외측에 마련되는 지지케이스(면부호는 생략함)에는 상기 조리용기의 손잡이를 항상 일정한 위치에 표시하여 용기덮개를 덮어 요홈(124)이 상기 단차턱(136a)부분을 고정하도록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조리용 쿠커의 사용상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조리하고자 하는 식재료는 외장용기(110)의 받침부(111) 측 히터판(112)에 안치된 조리용기(130) 내에 넣고, 기타 부식재료 등을 넣어 준 다음, 용기덮개(120)를 외장용기(110)의 상부로부터 덮어준 상태에서 콘트롤 조작부(140)를 통해 해당 조리 음식에 맞는 조리시간, 온도 등을 세팅하여 조리하도록 한다.
이때 쿠커(100)의 전원접속부(150)를 통한 전원코드는 콘센트에 연결된 상태이다.
상기 히터판(112)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112a) 내부에 위치한 구동모터(114)측 회전축(113a)상의 회전걸이구(113)는 상기 조리용기(130)의 회전구동축(132)의 하부에 설치된 회전편(133)이 걸려 회전시켜 줌으로써, 상기 회전구동축(132)을 회전시켜 준다.
상기 회전구동축(132)은 일반적으로 식재료를 젖지 않아도 되는 조리일 경우에는 상기 구동모터(114)를 구동하지 않고 정지상태에서 상기 히터판(123)의 가열과 용기덮개(120)의 상부에 마련된 히터부재(123)의 가열로서 조리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회전구동축(132)의 회전에 따라 이에 결합된 제1교반부재(134) 또한 동시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조리용기(130) 내에 담긴 식재료를 날개편(134c)으로서 휘저어 주면서 식재료를 믹싱시킨다.
상기 날개편(134c)의 하단부는 조리용기(130)의 바닥 상면에 근접하여 식재료를 일방향으로 몰아줌과 동시에 굴려주면서 믹싱시켜 주면서 상기 히터판(112)을 통해 조리용기(130)에 점차 전달된 열을 이용하여 식재료들을 익혀준다.
상기와 같이 날개편(134c)이 회전되는 가운데, 조리용기(130)의 내측둘레에 외측에서 내측으로 함몰되어 돌출된 간섭돌부(131)는 유동되는 식재료를 간섭시켜 뒤집어주는 효과를 가지게 하여 식재료의 믹싱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고, 고르게 익힐 수 있도록 해준다.
상기와 같이 식재료가 제1교반부재(134)로 하여금 믹싱되는 조건에서 조리 선택에 따라 용기덮개(120)의 상부 내측 중앙에 마련된 히터부재(123)를 통해 더욱 빠른 시간 내에 조리가 가능해진다.
이는 히터부재(123)를 구성하는 히터(123-1)는 히터 케이싱(123-2) 내에 안치되어 있고, 케이스덮개(123-3)에 마련된 다수개의 열방출공(123a)을 통해 열은 하부 즉, 조리용기(130)를 향해 열을 조사한다.
상기 히터(123-1)로부터 발열은 조리용기 내부로 발산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조리용기(130)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익어가는 식재료에 비해 신속하게 식재료를 익혀줄 수 있으며, 이는 고화력을 이용한 순간 열발생으로 식재료의 영양을 파괴하지 않고 조리하는 방식과 동일한 수준으로 조리를 하여 식재료 특유의 풍미를 더해줄 수 있게 한다.
상기 제1교반부재(134)의 작용은 조리용기에 있어, 비교적 많지않은 양의 식재료를 조리할 때 유용하고, 제1교반부재(134)의 상부측 결합돌부(134a)에 제2교반부재(135)를 추가 장착함으로써, 많은 양의 식재료를 효율적으로 믹싱시키면서 익힐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조리는 재료의 양에 따라 시간 세팅에 따라 자동으로 조리가 가능하다.
또한 조리시에는 외장용기(110)의 상부에 덮여진 용기덮개(120)의 투시창(122)을 보고 식재료의 조리 정도를 가늠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조리시 발생되는 수증기 및 연기는 용기덮개(120)의 상부측 벤트 홀 커버(121)에 마련된 필터(F)를 통해 여과되어 외부에서는 조리냄새를 거의 잡아주기 때문에 쾌적한 조리가 이루어지며, 상기 용기덮개(120)의 하부에 마련된 히터부재(123)는 히터(123-1)의 발열에 의한 식재료를 익혀주기도 하지만, 조리용기의 상부로 상승되는 연기를 다시 한번 연소시켜 상기 필터(F)를 통해 여과되도록 함으로써, 가령 식재료가 탄화로 발생하는 연기의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이 조리되는 과정에서 용기덮개(120)의 상부에 맺히는 수증기는 물방울로 맺혀 있다가 일부는 외장용기(110)와 조리용기(130)의 사이의 공간 즉, 받침부(111)의 내측으로 떨어지게 되는데, 이는 상기 받침부(111)의 전면으로부터 출몰가능하게 구비된 서랍형식의 물받이 그릇(115)을 통해 소정의 물을 배출 받아 외부로 처리할 수 있다.
상기 받침부(111)의 전면 중앙에 형성된 안내공(111b)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된 물받이 그릇(115)은 상기 받침부(111)의 내측 히터판(112)이 설치된 하부측 바닥면 상의 배출공을 통해 소정의 물이 위치된 물받이 그릇에 수집되어 외부로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나의 쿠커로서 보관이 쉽고, 다양한 식자재를 조리할 수 있어 많은 조리용기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하부 바닥면측과 상부측 히터의 가열로서 보다 신속한 조리가 가능하고, 조리자가 일일이 식재료를 저어주지 않아도 자동으로 완성되는 요리를 즐길 수 있게 된다.
100: 쿠커 110: 외장용기
111: 받침부 111a: 배출공
112: 히터판 113: 회전걸이구
114: 구동모터 115: 물받이 그릇
120: 용기덮개 121: 벤트 홀 커버
122: 투시창 123: 히터부재
130: 조리용기 131: 간섭돌부
132: 회전구동축 133: 회전편
134: 제1교반부재 135: 제2교반부재
140: 콘트롤조작부 150: 전원접속부

Claims (4)

  1. 받침부(111)의 내부에 히터판(112)이 구비된 외장용기(110)와; 상기 외장용기(110)의 일측으로부터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외장용기의 상부를 개폐하며, 상부에는 내측에서 외부로 수증기의 배출 및 조리냄새를 여과시키는 필터(F)를 수용하는 밴트 홀 커버(121)가 부가 설치된 용기덮개(120)와; 상기 외장용기(110) 내부의 히터판(112) 상부에 안치되는 조리용기(130)와; 상기 외장용기(110)의 외측으로부터 설치되어 히터판(112)의 가열온도 및 작동시간을 세팅하여 제어하는 콘트롤조작부(140)와; 상기 받침부(111)의 후방에 마련되어 전원코드를 통해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접속부(150)를 포함하는 조리용 쿠커(100)에 있어서,
    상기 히터판(112)은 중앙에 관통공(112a)이 형성되되, 관통공(112a)이 형성된 히터판의 하부에는 회전축(113a)상에 회전걸이구(113)가 구비된 구동모터(114)가 안치되어 상기 받침부(111)를 이루고,
    상기 조리용기(130)는 내측둘레에 식재료 혼합에 도움을 주는 간섭돌부(131)가 형성되고, 중앙바닥에는 회전구동축(132)이 누수방지되는 구조로 회전가능하게 관통 설치되는 한편, 상기 회전구동축(132)의 하부에는 상기 구동모터(114)측 회전걸이구(113)와 접속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회전편(133)이 연결설치되며, 상기 회전구동축(132)의 상부에는 상부에 결합돌부(134a)가 더 형성되고 하부에는 결합홈(134b)이 형성되며, 일측으로부터는 식재료를 일방향으로 휘저어주기 위한 날개편(134c)이 일체로 마련된 제1교반부재(134)가 설치되며, 조리용기(130)의 상부 일측에는 외장용기(110)의 내측에서 외부로 위치하는 손잡이(136)가 부착되어 구성되며,
    상기 용기덮개(120)는 내부가 들여다보일 수 있는 투시창(122)이 마련되고, 그 중앙에 마련된 벤트 홀 커버(121)의 하부에는 조리용기(130)의 내부를 상부에서 하향으로 가열함과 동시에 조리 냄새를 연소하는 히터부재(123)가 더 설치되고,
    상기 외장용기(110)의 바닥면에는 외장용기와 조리용기 사이를 통해 외장용기의 바닥으로 유입될 수 있는 물 배출을 위한 배출공(111a)이 관통 형성되는 한편, 상기 배출공(111a)은 상기 받침부(111) 전면으로부터 마련되는 안내공(111b)과 연통되고, 상기 안내공(111b)에는 배출되는 물을 받아 외부로 처리하기 위한 물받이 그릇(115)이 서랍식으로 탈착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쿠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교반부재(134)의 상부측 결합돌부(134a)에는 조리용기(130)에 담기는 식재료의 양에 따라 제1교반부재(134)와 동일하게 하부에 결합홈(135a)을 갖고 일측에 날개편(135b)이 형성된 제2교반부재(135)가 결합되어 교반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쿠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부재(123)는 석영관으로 된 원형의 히터(123-1)와, 하부가 개방된 형태로 개방된 부위를 제외한 측면과 상부는 열차단 효과를 갖는 재질로 코팅처리되고 내부에 상기 히터를 수용하도록 된 히터케이싱(123-2)과, 다수개의 열방출공(123a)이 형성되어 상기 히터케이싱(123-2)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케이스덮개(123-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쿠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기(130)로부터 연결 설치되는 손잡이(136)에는 호형의 단차턱(136a)이 형성되어 외장용기(110)의 상단에 안치되는 한편, 상기 용기덮개(120)의 하부 가장자리에는 상기 손잡이(136)의 단차턱(136a)을 지지하는 요홈(124)이 원주상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쿠커.
KR1020100099430A 2010-10-12 2010-10-12 조리용 쿠커 KR1010032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9430A KR101003235B1 (ko) 2010-10-12 2010-10-12 조리용 쿠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9430A KR101003235B1 (ko) 2010-10-12 2010-10-12 조리용 쿠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3235B1 true KR101003235B1 (ko) 2010-12-21

Family

ID=43513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9430A KR101003235B1 (ko) 2010-10-12 2010-10-12 조리용 쿠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3235B1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1184B1 (ko) 2011-07-27 2013-03-13 주식회사 리홈 저온 가열 조리기
KR101279200B1 (ko) * 2011-10-27 2013-06-26 이성 음식 조리 또는 보온 뚜껑
US20130167737A1 (en) * 2010-07-16 2013-07-04 Silit-Werke Gmbh & Co., Kg Steam Cooker
KR101408896B1 (ko) 2013-05-29 2014-06-17 (주)현대가전업 찜기
KR101523557B1 (ko) * 2013-12-19 2015-05-28 이병희 볶음 겸용 요리기
EP2887843A4 (en) * 2012-08-22 2016-05-11 Jong Yon Jo CYLINDRICAL COOKER
CN107569111A (zh) * 2016-07-04 2018-01-12 飞利浦(嘉兴)健康科技有限公司 烹饪器具及其制造方法
KR101932858B1 (ko) * 2017-09-06 2018-12-26 이승태 조리용기 덮개
WO2020213894A1 (ko) * 2019-04-19 2020-10-22 (주)홍산경금속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용기
KR102198647B1 (ko) * 2020-06-11 2021-01-05 박정원 교반수단이 설치된 조리용기
KR102324072B1 (ko) * 2020-06-11 2021-11-11 박정원 자력을 이용한 회전식 조리용기
WO2021261768A1 (ko) * 2020-06-22 2021-12-30 신스타프리젠츠 주식회사 조리장치
WO2022042225A1 (zh) * 2020-08-24 2022-03-03 上海爱餐机器人(集团)有限公司 一种炒锅装置
KR20220030074A (ko) * 2020-09-02 2022-03-10 제이씨텍(주) 교반 기능을 구비한 조리용 냄비
KR20230051645A (ko) * 2021-10-10 2023-04-18 류운형 냄새 및 연기 방지 기능이 구비된 음식물 조리용기 뚜껑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10518A (en) 1979-02-19 1980-08-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Smoking cooking instrument
JP2000093318A (ja) 1998-09-18 2000-04-04 Sanyo Electric Co Ltd 調理器
KR200444687Y1 (ko) 2007-07-13 2009-05-28 김우주 가정용 전열 조리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10518A (en) 1979-02-19 1980-08-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Smoking cooking instrument
JP2000093318A (ja) 1998-09-18 2000-04-04 Sanyo Electric Co Ltd 調理器
KR200444687Y1 (ko) 2007-07-13 2009-05-28 김우주 가정용 전열 조리기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67737A1 (en) * 2010-07-16 2013-07-04 Silit-Werke Gmbh & Co., Kg Steam Cooker
US9675197B2 (en) * 2010-07-16 2017-06-13 Silit-Werke Gmbh & Co. Kg Steam cooker
KR101241184B1 (ko) 2011-07-27 2013-03-13 주식회사 리홈 저온 가열 조리기
KR101279200B1 (ko) * 2011-10-27 2013-06-26 이성 음식 조리 또는 보온 뚜껑
EP2887843A4 (en) * 2012-08-22 2016-05-11 Jong Yon Jo CYLINDRICAL COOKER
KR101408896B1 (ko) 2013-05-29 2014-06-17 (주)현대가전업 찜기
KR101523557B1 (ko) * 2013-12-19 2015-05-28 이병희 볶음 겸용 요리기
CN107569111A (zh) * 2016-07-04 2018-01-12 飞利浦(嘉兴)健康科技有限公司 烹饪器具及其制造方法
KR101932858B1 (ko) * 2017-09-06 2018-12-26 이승태 조리용기 덮개
CN113710129A (zh) * 2019-04-19 2021-11-26 弘产轻金属股份有限公司 具备搅拌功能的烹饪容器
WO2020213894A1 (ko) * 2019-04-19 2020-10-22 (주)홍산경금속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용기
KR102198647B1 (ko) * 2020-06-11 2021-01-05 박정원 교반수단이 설치된 조리용기
KR102324072B1 (ko) * 2020-06-11 2021-11-11 박정원 자력을 이용한 회전식 조리용기
WO2021261768A1 (ko) * 2020-06-22 2021-12-30 신스타프리젠츠 주식회사 조리장치
WO2022042225A1 (zh) * 2020-08-24 2022-03-03 上海爱餐机器人(集团)有限公司 一种炒锅装置
KR20220030074A (ko) * 2020-09-02 2022-03-10 제이씨텍(주) 교반 기능을 구비한 조리용 냄비
WO2022050509A1 (ko) * 2020-09-02 2022-03-10 제이씨텍(주) 교반 기능을 구비한 조리용 냄비
KR102440633B1 (ko) * 2020-09-02 2022-09-06 제이씨텍(주) 교반 기능을 구비한 조리용 냄비
KR20230051645A (ko) * 2021-10-10 2023-04-18 류운형 냄새 및 연기 방지 기능이 구비된 음식물 조리용기 뚜껑
KR102590144B1 (ko) * 2021-10-10 2023-10-17 류운형 냄새 및 연기 방지 기능이 구비된 음식물 조리용기 뚜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3235B1 (ko) 조리용 쿠커
US6289793B1 (en) Cooking appliance
US20160309956A1 (en) Counter top cooking appliance
KR102075069B1 (ko)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
AU2011278149B2 (en) Cooking appliance having two areas
JPH03139316A (ja) 料理道具
US20040055474A1 (en) Multifunctional combined apparatus for food preparation
KR20150052545A (ko) 교반기능을 구비한 전열식 조리기구
CN207640235U (zh) 一种带储油槽的空气炸锅
US20100307347A1 (en) Multi-functional pot
US11992152B2 (en) Rotisserie grill
JP6145105B2 (ja) 食品の調理
CN205018913U (zh) 面食机
US20120174800A1 (en) Independent stirring cooking receptacle
JP2008110188A (ja) 卓上型回転式自動調理釜
KR20120121497A (ko) 찜 구이용 조리기
KR200451873Y1 (ko) 고기구이 겸용 황토가마 조리기
US20140290499A1 (en) Preparing foodstuff
KR20110083255A (ko) 다기능 구이기
JP2016168154A (ja) ドラム式調理器
KR20060095245A (ko) 곡물 볶음 냄비
KR960002976Y1 (ko) 다목적 조리기구
CN107041676B (zh) 加热皿及烹饪器具
KR102481776B1 (ko) 두 가지 종류의 조리가 가능한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
KR101523557B1 (ko) 볶음 겸용 요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