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8647B1 - 교반수단이 설치된 조리용기 - Google Patents

교반수단이 설치된 조리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8647B1
KR102198647B1 KR1020200070901A KR20200070901A KR102198647B1 KR 102198647 B1 KR102198647 B1 KR 102198647B1 KR 1020200070901 A KR1020200070901 A KR 1020200070901A KR 20200070901 A KR20200070901 A KR 20200070901A KR 102198647 B1 KR102198647 B1 KR 102198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rring
container body
rotating
stirring memb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0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원
박보현
Original Assignee
박정원
박보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원, 박보현 filed Critical 박정원
Priority to KR1020200070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86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8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8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top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8Driv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top side
    • A47J2043/04409Apparatus of hand held type
    • A47J2043/04436Apparatus of hand held type attachable to the bow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반수단이 설치된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식재료를 수용하는 바닥판 및 둘레벽을 갖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를 이격상태로 둘러싸는 하우징부재와,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에서 둘레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식재료를 뒤집어 주거나 저어주는 교반부재와, 상기 하우징부재에 지지되어 상기 교반부재를 회전시켜 주는 회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열식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교반수단이 설치된 조리용기{Cooking pan with stirring means}
본 발명은 교반수단이 설치된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식재료를 수용하는 바닥판 및 둘레벽을 갖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를 이격 상태로 둘러싸는 하우징부재와,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에서 둘레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식재료를 뒤집어 주거나 저어주는 교반부재와, 상기 하우징부재에 지지되어 상기 교반부재를 회전시켜 주는 회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열식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재료를 가열하여 음식을 만들어 내는 가열식 조리용기로는 냄비 형상이나 프라이팬 형상의 용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냄비 형상의 조리용기는 식재료를 끓이거나 삶는 용도로 사용하기에 편리하고, 프라이팬 형상의 조리용기는 식재료를 볶거나 굽는 용도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그리고 이러한 조리용기는 필요에 따라 뚜껑이 있는 유개형(有蓋型)일 수도 있고, 뚜껑이 없는 무개형(無蓋型)일 수도 있다.
이러한 가열식 조리용기를 이용하여 음식을 요리할 경우, 용기 바닥에 식재료가 눌어붙거나 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식재료를 계속 저어주거나 뒤집어줄 필요가 있다. 그래서 종래에도 자동으로 식재료를 저어주는 교반장치가 설치된 조리용기들이 개발되어 있다.
예컨대 특허 제10-1033706호(2011년 04월 29일)에는, 음식 재료가 수납되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뚜껑과, 상기 본체 또는 뚜껑에 설치되는 열전모듈과, 상기 뚜껑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열전모듈과 전기적으로 통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 내에서 회전하는 교반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동 교반용기가 소개되어 있다.
또한, 특허 제10-2020609호(2019년 09월 04일)에는, 용기 상면을 덮는 뚜껑과, 상기 뚜껑의 상면에 고정되는 외부하우징 및 내부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속에 내장된 동력원과, 상기 동력원에 의해 회전하는 동력축을 갖는 동력수단과, 상기 뚜껑 하단에서 상기 동력축에 의해 회전하는 교반날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교반장치를 포함한 조리용기가 소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에 소개되어 있는 교반장치가 설치된 조리용기들은, 상기 교반장치가 용기 뚜껑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뚜껑이 없는 조리용기에는 적용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자는 특허 제10-2030985호(2019년 10월 04일)에서, 뚜껑이 없는 조리용기 내부의 식재료를 용이하게 뒤집을 수 있는 회전식 구이기를 제안한 바 있다.
상기 회전식 구이기는 첨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식재료를 올려놓고 굽는 구이판(10)과, 상기 구이판(10)을 받쳐주는 베이스부재(20)와, 상기 베이스부재(20)에 설치되어 상기 구이판(10)을 회전시켜 주는 회전수단(30)과, 상기 베이스부재(20)의 테두리부(22)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구이판(10) 위에 놓여 있는 식재료를 뒤집어 주는 저항거치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저항거치대(40)는, 상기 구이판(10)의 중앙에 배치되는 센터지지부(41)와, 상기 센터지지부(41)에서 방사형(放射形) 또는 일자형(一字形)으로 확장되어 상기 구이판(10) 위에 놓인 식재료와 접촉하는 다수개의 확장날개부(42)와, 상기 확장날개부(42)의 단부에서 각각 상기 베이스부재(20)의 테두리부(22)에 지지되는 말단지지부(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첨부 도 1에서 기타 미설명 도면 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특허 제10-1033706호(2011년 04월 29일) 특허 제10-2020609호(2019년 09월 04일) 특허 제10-2030985호(2019년 10월 04일)
본 발명의 목적은 뚜껑의 유무와 상관없이 조리용기 내부의 식재료를 자동으로 저어주거나 뒤집어주는 교반장치가 설치된 조리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식재료를 저어주거나 뒤집어 주는 교반장치가 설치된 가열식 조리용기에 있어서, 자석의 자력(磁力)을 이용하여 상기 교반장치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조리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교반수단을 갖는 조리용기는, 식재료를 수용하는 바닥판 및 둘레벽을 갖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를 이격상태로 둘러싸는 하우징부재와; 상기 용기본체 내부에서 둘레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식재료를 뒤집어 주거나 저어주는 교반부재와; 상기 하우징부재에 지지되어 상기 교반부재를 회전시켜 주는 회전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교반부재는, 상기 용기본체의 바닥판 중앙에 배치되는 센터부와; 상기 센터부에서 방사형(放射形) 또는 일자형(一字形)으로 확장되어 상기 식재료와 접촉하는 교반팔과; 상기 교반팔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단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수단은,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기어와; 상기 용기본체와 하우징부재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단부와 간섭하여 상기 교반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링과; 상기 회전링에 둘레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구동기어에 치합(齒合)하는 나사트랙;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링은, 상기 용기본체의 테두리와 상기 하우징부재의 테두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교반부재의 회전단부는 상기 용기본체의 테두리 위로 확장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링에는 상기 회전단부가 밀착되는 자석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링은, 상기 용기본체의 테두리와 상기 하우징부재의 테두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교반부재의 회전단부는 상기 용기본체의 테두리 위로 확장되어 상기 회전링에 일체로 결합되거나 걸림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링은, 상기 용기본체의 둘레벽과 상기 하우징부재의 둘레벽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교반부재의 회전단부는 상기 용기본체의 둘레벽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링에는 상기 둘레벽을 사이에 두고 자력(磁力)에 의해서 상기 회전단부와 대치하는 자석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교반수단을 갖는 조리용기는, 상기 교반부재를 회전시켜 주는 회전수단이 상기 하우징부재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뚜껑이 없는 무개형(無蓋型) 조리용기에도 자동 교반장치를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는, 상기 회전수단의 자력(磁力)에 의해서 교반부재가 회전하기 때문에 상기 교반부재의 회전을 저지하는 비정상적인 외력이 발생할 경우, 상기 회전수단의 자력이 단절되고 교반부재가 일시적으로 회전을 중단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 과정에서 고장이나 장애가 발생할 가능성이 적고,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회전식 구이기를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의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상기 도 2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상기 도 2의 결합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의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상기 도 6의 분리 사시도,
도 9는 상기 도 6의 결합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한 것이므로 이들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도면에서 서로 다른 실시예에 속하는 구성요소라도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편의상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한다.
먼저 첨부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교반수단을 갖는 조리용기를 나타낸 것으로, 식재료를 수용하는 용기본체(10)와, 상기 용기본체(10)를 둘러싸는 하우징부재(20), 상기 용기본체(10)에 수용되어 있는 식재료를 뒤집어 주거나 저어주는 교반부재(30), 상기 하우징부재(20)에 지지되어 상기 교반부재(30)를 회전시켜 주는 회전수단(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용기본체(10)는 통상적인 조리용기와 마찬가지로 식재료를 수용하는 내부공간을 갖는다. 상기 내부공간은 바닥판(11)과 그 주변에서 비스듬히 상향 절곡된 둘레벽(12)에 의해 둘러싸여 있으며, 상기 둘레벽(12)의 상단에는 수평방향으로 테두리(13)가 확장되어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용기본체(10)의 형상은 통상적인 조리용기로서 회전 가능한 형상이라면 어떤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예컨대 첨부 도면과 같은 냄비 형상일 수도 있고, 구이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프라이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냄비 형상은 식재료를 삶거나 끓이는 용도로 사용하기에 편리하고, 프라이팬 형상은 식재료를 볶거나 굽는 용도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다음으로 상기 하우징부재(20)는 상기 용기본체(10)를 이격 상태로 둘러싸는 것으로, 용기본체(10)의 둘레벽(12)과 테두리(13)에 각각 대응하는 둘레벽(22)과 테두리(23)를 갖는다. 상기 하우징부재(20)는 상기 용기본체(10)의 저면을 받쳐주는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고, 상기 용기본체(10)에 지지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첨부 도면은 상기 하우징부재(20)가 용기본체(10)의 저면을 받쳐주는 구조로 이루어진 경우를 예시한 것으로, 숯불이나 가스버너 및 전열기와 같은 열원(熱源)에서 제공되는 열을 용기본체(10)의 저면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중앙홀(2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용기본체(10)에서 흘러내리는 기름이나 국물을 받쳐주는 기름받이홈(도면부호 없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부재(20)가 용기본체(10)에 지지된 구조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중앙홀(21)이 필요 없고, 용기본체(10)의 둘레벽(12)과 테두리(13)에 대응하는 둘레벽(22)과 테두리(13) 만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양쪽 둘레벽(12,22) 사이 또는 양쪽 테두리(13,23) 사이에는 용기본체(10)와 하우징부재(20)를 서로 한몸으로 연결하여 지지해주는 연결부재(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음)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교반부재(30)는 용기본체(1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용기본체(10)의 바닥판(11) 및 둘레벽(12)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용기본체(10) 내부에서 둘레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그 내부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식재료와 접촉하여 이들을 골고루 뒤집어 주거나 저어주는 기능을 한다.
상기 교반부재(30)는 센터부(31)와 교반팔(32) 및 회전단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센터부(31)는 용기본체(10)의 바닥판(11)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교반팔(32)은 상기 센터부(31)에서 바퀴살처럼 방사형(放射形)으로 확장되거나, 날개처럼 일자형(一字形)으로 확장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단부(33)는 상기 교반팔(32)의 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교반팔(32)과 회전단부(33)는 2~4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교반부재(30)의 센터부(31)에는 추가적으로 보조날개(34)가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보조날개(34)는 날개받침대(35)에 의해서 상기 센터부(31)로부터 소정 간격만큼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래서 예컨대 죽이나 묵 등과 같은 페이스트(paste) 상태의 식재료를 끓일 때 상기 교반팔(32)은 식재료의 하층부를 저어주고, 상기 보조날개(34)는 식재료의 상층부를 저어주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회전수단(40)은 상기 하우징부재(20)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교반부재(30)를 용기본체(10) 내부에서 둘레방향으로 회전시켜 주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회전수단(40)은 하우징부재(20)의 둘레벽(22)에 설치된 구동모터(41)와, 상기 구동모터(41)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기어(4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수단(40)은, 상기 용기본체(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링(43)과, 상기 회전링(43)에 둘레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는 나사트랙(4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링(43)은 상기 교반부재(30)의 회전단부(33)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간섭하여 상기 교반부재(30)를 회전시키는 기능을 하고, 상기 나사트랙(44)은 상기 구동기어(42)와 치합(齒合)하여 상기 회전링(43)을 회전시키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링(43)은 상기 용기본체(10)의 테두리(13)와 상기 하우징부재(20)의 테두리(23)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교반부재(30)의 회전단부(33)는 상기 용기본체(10)의 테두리(13) 위로 확장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링(43)에는 상기 회전단부(33)가 밀착되는 자석(45)이 설치되어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래서 상기 회전링(43)이 회전하면, 상기 자석(45)의 인력에 의해서 상기 회전단부(33)도 자석(45)을 따라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부재(20)에는 상기 회전링(43)이 소음 없이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링(43)의 저면을 받쳐주는 아이들 롤러(idle roller) 또는 베어링을 적소에 설치할 수도 있다. 단, 첨부 도면에서 상기 아이들 롤러나 베어링은 표시하지 않았다.
상기 교반부재(30)의 회전단부(33)는 상기 자석(45)에 의해서 강하게 자화(磁化)되는 강자성체(Ferromagnetic substance) 또는 상기 자석(45)과 S극 및 N극이 반대로 배치된 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강자성체로는 예컨대 철이나, 코발트, 니켈, 또는 이들의 합금을 사용할 수 있고, 이중에서 철(鐵)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 상기 용기본체(10)와 하우징부재(20)는 상기 자석(45)에 의해 자화되지 않는 비자성체(Nonmagnetic substance)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비자성체로는 알루미늄이나 황동, 구리, 아연 등의 비철금속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중에서 알루미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링(43)에 자석(45)을 설치하는 대신에 상기 교반부재(30)의 회전단부(33)가 결합나사 등에 의해서 상기 회전링(43)에 일체로 직접 결합되거나 걸림 결합되는 구조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회전링(43)은 상기 용기본체(10)의 테두리(1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전단부(33)와 회전링(43)의 결합구조는, 상기 회전링(43)이 회전할 때 상기 회전단부(33)도 함께 회전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떤 구조로 결합되어도 좋다.
본 발명의 조리용기에서는, 상기 교반부재(30)가 회전하면, 용기본체(10)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식재료들이 교반팔(32)에 걸려 뒤집어지거나, 상기 교반팔(32)을 타고 넘어가면서 뒤집어지게 된다. 그래서 상기 교반팔(32)이 회전할 때 식재료, 예컨대 콩이나 멸치 등이 바닥판(11)의 가장자리로 밀려나지 않도록 상기 교반팔(32)은 중간 부위가 완만하게 들어간 만곡(彎曲)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식재료가 접촉하는 만곡부 전면은 상기 식재료가 용이하게 타고 넘어갈 수 있도록 경사면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10)의 둘레벽(12) 내면에는 상기 교반팔(32)에 의해서 밖으로 밀려나온 식재료들을 뒤집어 주는 경사턱(1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턱(14)은 교반팔(32)의 회전방향을 따라 오르막 경사를 갖도록 둘레벽(12) 내면에 돌출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교반팔(32)이 회전할 때 바닥판(11)의 가장자리로 밀려나온 식재료가 상기 경사턱(14)을 타고 올라가다가 다시 바닥판(11)으로 떨어지면서 뒤집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10)의 바닥판(11)에는 동심원 상에서 반지름이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고랑과 이랑을 형성하도록 다수개의 고리형 돌출환턱(15)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교반부재(30)의 교반팔(32)에는 상기 돌출환턱(15) 사이로 각각 삽입되는 대수개의 걸림돌기(36)가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환턱(15)에 의해서 예컨대 육류와 같은 식재료를 요리할 때 용기본체(10)의 바닥판(11)에 식재료가 눌어붙지 않고, 나아가 고기 기름이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첨부 도면에서는 상기 용기본체(10)와 하우징부재(20)가 서로 분리되어 있는 구조를 예시하였으나, 상기 용기본체(10)와 하우징부재(20)는 한 몸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하우징부재(20)는 중앙홀(21)이 없이 둘레벽(22)과 테두리(23) 만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둘레벽(22)과 테두리(23)가 용기본체(10)의 둘레벽(12)과 테두리(13)에 연결부재(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음)에 의해 서로 일체로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첨부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용기본체(10)와 하우징부재(20)의 구조는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회전수단(40a)의 회전링(43a)이 상기 용기본체(10)의 둘레벽(12)과 상기 하우징부재(20)의 둘레벽(12)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교반부재(30a)의 회전단부(33a)는 용기본체(10)의 둘레벽(12)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즉 상기 교반부재(30a)의 회전단부(33a)는 용기본체(10)의 둘레벽(12)을 사이에 두고 상기 회전링(43a)에 부착되어 있는 자석(45)들과 자력(磁力)에 의해서 서로 대치하고 있다. 그래서, 상기 회전링(43a)이 회전하면, 상기 자석(45)의 자력에 의해서 상기 회전단부(33a)가 회전하고 되고, 따라서 상기 교반부재(30a)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용기본체(10)의 바닥판(11) 중앙에는 상기 교반부재(30a)의 센터부(31)를 회전 가능하게 받쳐주는 받침봉(16)이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봉(16)은 교반부재(30a)가 보다 용이하게 회전하도록 상기 교반부재(30a)를 용기본체(10)의 바닥판(11) 및 둘레벽(12)으로부터 이격시켜 주는 기능을 한다. 첨부 도 5 내지 도 9에서 미설명 도면부호에 대한 설명은 첨부 도 2 내지 도 5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리용기는, 회전수단(40,40a)의 구동기어(42)가 회전하면, 상기 구동기어(42)에 치합(齒合)되어 있는 나사트랙(44)에 의해서 회전링(43,43a)이 회전하게 되고, 또한 상기 회전링(43,43a)을 따라 교반부재(30,30a)의 회전단부(33,33a)가 회전하면서 결과적으로 교반부재(30,30a) 전체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링(43,43a)이 자석(45)의 자력으로 상기 회전단부(33,33a)를 회전시키는 경우, 예컨대 상기 교반부재(30,30a)에 식자재가 끼이는 등 자석(45)의 인력을 초과하는 비정상적인 외력이 발생하면, 상기 회전단부(33,33a)와 자석(45)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다가 자석(45)의 인력이 일시적으로 단절되면서, 상기 교반부재(30,30a)는 회전하지 않고 회전링(43,43a)만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링(43,43a)의 자석(45)들 중에서 그 다음 자석(45)이 회전단부(33,33a)가 있는 위치에 도착하면, 그 자석(45)의 인력에 의해서 교반부재(30,30a)가 다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자력을 이용하여 교반부재(30,30a)를 회전시키면, 상기 교반부재(30,30a)에 대하여 비정상적인 저항력이 발생하더라도 고장이나 장애를 일으킬 가능성이 거의 없다는 장점이 있다.
(10) 용기본체 (11) 바닥판
(12) 둘레벽 (13) 테두리
(14) 경사턱 (15) 돌출환턱
(16) 받침봉
(20) 하우징부재 (21) 중앙홀
(22) 둘레벽 (23) 테두리
(30,30a) 교반부재 (31) 센터부
(32) 교반팔 (33,33a) 회전단부
(34) 보조날개 (35) 날개받침대
(36) 걸림돌기
(40,40a) 회전수단 (41) 구동모터
(42) 구동기어 (43,43a) 회전링
(44) 나사트랙 (45) 자석

Claims (12)

  1. 식재료를 수용하는 바닥판과 둘레벽을 갖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를 이격상태로 둘러싸고 있는 하우징부재와;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에서 둘레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식재료를 뒤집어 주거나 저어주는 교반부재와; 상기 하우징부재에 지지되어 상기 교반부재를 회전시켜 주는 회전수단; 를 포함하고,
    상기 교반부재는, 상기 용기본체의 바닥판 중앙에 배치되는 센터부와; 상기 센터부에서 방사형(放射形) 또는 일자형(一字形)으로 확장되어 상기 식재료와 접촉하는 교반팔과; 상기 교반팔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단부; 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수단은,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교반부재의 회전단부와 간섭하여 상기 교반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링과; 상기 회전링에 둘레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구동기어에 치합(齒合)하는 나사트랙;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수단을 갖는 조리용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링은, 상기 용기본체의 테두리와 상기 하우징부재의 테두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교반부재의 회전단부는 상기 용기본체의 테두리 위로 확장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링에는 상기 회전단부가 밀착되는 자석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수단을 갖는 조리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링은, 상기 용기본체의 둘레벽과 상기 하우징부재의 둘레벽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교반부재의 회전단부는 상기 용기본체의 둘레벽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링에는 상기 둘레벽을 사이에 두고 자력(磁力)에 의해서 상기 회전단부와 서로 대치하는 자석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수단을 갖는 조리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바닥판 중앙에는 상기 교반부재의 센터부를 회전 가능하게 받쳐주는 받침봉이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수단을 갖는 조리용기.
  7.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재의 회전단부는 강자성체(Ferromagnetic substance) 또는 자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용기본체 및 하우징부재는 비자성체(Nonmagnetic substance)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수단을 갖는 조리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링은 상기 용기본체의 테두리에 배치되고, 상기 교반부재의 회전단부는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 테두리 위로 확장되어 상기 회전링에 일체로 결합되거나 걸림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수단을 갖는 조리용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재의 센터부에는 보조날개와 날개받침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수단을 갖는 조리용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바닥판에는 동심원 상에서 반지름이 순차적으로 증가하도록 배치된 다수개의 고리형 돌출환턱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교반부재의 교반팔에는 상기 돌출환턱 사이로 각각 삽입되는 대수개의 걸림돌기가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수단을 갖는 조리용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둘레벽 내면에는 상기 교반부재의 회전방향을 따라 오르막 경사를 갖도록 돌출된 경사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수단을 갖는 조리용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와 상기 하우징부재는 서로 한 몸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수단을 갖는 조리용기.
KR1020200070901A 2020-06-11 2020-06-11 교반수단이 설치된 조리용기 KR102198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901A KR102198647B1 (ko) 2020-06-11 2020-06-11 교반수단이 설치된 조리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901A KR102198647B1 (ko) 2020-06-11 2020-06-11 교반수단이 설치된 조리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8647B1 true KR102198647B1 (ko) 2021-01-05

Family

ID=74140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0901A KR102198647B1 (ko) 2020-06-11 2020-06-11 교반수단이 설치된 조리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864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235B1 (ko) * 2010-10-12 2010-12-21 박진수 조리용 쿠커
KR101033706B1 (ko) 2010-08-23 2011-05-09 이세영 자동 교반 용기
WO2016185680A1 (ja) * 2015-05-15 2016-11-2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撹拌調理器および羽根体付き容器
KR102020609B1 (ko) 2017-10-25 2019-09-16 (주)에이치디앤텍 교반장치를 포함한 조리용기
KR102030985B1 (ko) 2019-02-21 2019-11-27 박정원 회전식 구이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706B1 (ko) 2010-08-23 2011-05-09 이세영 자동 교반 용기
KR101003235B1 (ko) * 2010-10-12 2010-12-21 박진수 조리용 쿠커
WO2016185680A1 (ja) * 2015-05-15 2016-11-2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撹拌調理器および羽根体付き容器
KR102020609B1 (ko) 2017-10-25 2019-09-16 (주)에이치디앤텍 교반장치를 포함한 조리용기
KR102030985B1 (ko) 2019-02-21 2019-11-27 박정원 회전식 구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13774A (en) Cooking pot enclosing rotatable spherical chamber
US10542842B2 (en) Food cooking appliance comprising a stirring blade
US4372199A (en) Rotary skewer cooker
US4417506A (en) Home cooking appliance
CA2363329C (en) Rotatable cooking apparatus
US4366750A (en) Rotary skewer cooker
US2007000673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n with central stirring device
FR2514110A1 (fr) Appareil pour faire cuire ou chauffer des aliments
KR102030985B1 (ko) 회전식 구이기
US3009410A (en) Broiler for shish kebab
CN213551282U (zh) 锅盖组件及烹饪器具
KR102198647B1 (ko) 교반수단이 설치된 조리용기
KR102310942B1 (ko) 회전식 조리기
FR2807307A1 (fr) Systeme d'accessoires pour une rotissoire
KR102324072B1 (ko) 자력을 이용한 회전식 조리용기
EP3834675A1 (fr) Appareil de cuisson électrique pour cuire des aliments comprenant une pale de brassage
CN111568253A (zh) 一种炒菜机
CN113197232B (zh) 具有油循环精制功能及油炸油分离功能的油炸装置
CN216797367U (zh) 搅拌组件及具有其的烹饪器具
JP2004261254A (ja) 加熱調理器
CN216822914U (zh) 搅拌组件及具有其的烹饪器具
CN216569606U (zh) 一种自动循环烧烤架
JPH09173216A (ja) 食品炒め調理機
KR102521982B1 (ko) 교반날개가 설치된 조리용기
CN212650729U (zh) 一种嵌入式旋转烤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