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5069B1 -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 - Google Patents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5069B1
KR102075069B1 KR1020190059376A KR20190059376A KR102075069B1 KR 102075069 B1 KR102075069 B1 KR 102075069B1 KR 1020190059376 A KR1020190059376 A KR 1020190059376A KR 20190059376 A KR20190059376 A KR 20190059376A KR 102075069 B1 KR102075069 B1 KR 1020750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upling
cooking
lid
stirring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9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경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램프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램프쿡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램프쿡
Priority to KR1020190059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50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5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5069B1/ko
Priority to PCT/KR2020/006572 priority patent/WO202023592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 A47J36/165Stirring devices operatively connected to cooking vessels when being removably inserted in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top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top side
    • A47J2043/04454Apparatus of counter top type
    • A47J2043/04481Apparatus of counter top type with a mixing unit pivotable on the support

Abstract

본 발명은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식재료를 볶거나 끓일 때 교반날개를 매개로 저어줄 수 있도록 하여 식재료가 타는 현상을 방지하여 조리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이고, 개선된 새로운 구조로 인해 뚜껑 없이도 사용 가능하여 조리자의 흥미와 재미를 배가시키도록 한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각종 식재료를 볶거나 끓일 때 교반날개를 매개로 저어줄 수 있도록 하여 식재료가 타는 현상을 방지하여 조리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이고, 용기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부재에 회전부재를 회전시킬 모터를 구비하는 개선된 새로운 구조로 인해 뚜껑 없이도 사용 가능하여 조리자의 흥미와 재미를 배가시키도록 한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A cooking vessel having a stirring function}
본 발명은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식재료를 볶거나 끓일 때 교반날개를 매개로 저어줄 수 있도록 하여 식재료가 타는 현상을 방지하여 조리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이고, 개선된 새로운 구조로 인해 뚜껑 없이도 사용 가능하여 조리자의 흥미와 재미를 배가시키도록 한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식자재를 조리하여 음식을 만들기 위해서는 프라이팬, 냄비 등과 같은 조리기구가 사용되며, 조리되는 음식물이 타지 않도록 하면서도 고르게 익히기 위해서는 부수적인 주걱, 젓개 등이 사용된다. 이러한 조리기구로는 직화로 조리되는 타입 혹은 전기를 이용한 타입 등이 포함된다.
이렇듯, 조리되는 음식 중 계속해서 저어주지 않게 되면 용기 바닥에 눌어붙는 음식물을 조리할 경우 조리자는 이를 계속해서 주시하면서 젓개와 같은 보조도구를 이용해서 저어주어야 됨으로 번거로움이 있음은 당연하고, 육체적인 피로도도 상당히 높아지는 단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고자, 대한민국특허등록번호 제10-1964554호(2019.04.01. 공고)의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용기용 뚜껑 및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486475호가 제안되어 있다. 이 공보를 참조로 하면, 뚜껑에 작동수단이 구비되고, 용기 내에는 교반날개를 가지는 회전축이 구비되어 있어 작동수단의 동력으로 상기 회전축이 회전되면서 식재료를 교반시킴으로써 조리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있으나, 상기 작동수단이 뚜껑에 장착됨에 따라 뚜껑을 열어 놓고는 작동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이렇게 되면 교반되면서 조리되는 상태를 육안으로 직접 확인하기에 무리가 있었고, 교반되면서 음식물을 섭취하기에는 더 무리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각종 식재료를 볶거나 끓일 때 교반날개를 매개로 저어줄 수 있도록 하여 식재료가 타는 현상을 방지하여 조리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이고, 개선된 새로운 구조로 인해 뚜껑 없이도 사용 가능하여 조리자의 흥미와 재미를 배가시키도록 한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조리될 식재료가 수용되는 상부로 개방된 조리공간이 형성된 용기; 상기 용기의 일측에 구비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해 하부에 결합부재가 구비된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의 상단에서 상기 용기의 중심부를 향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부재로 이루어지는 프레임부재; 상기 프레임부재의 수평부재에 구비되어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 및 상기 용기 내부에 구비되어서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축 결합되어 회전 작동되면서 용기 내부로 투입되는 식재료를 교반시키는 교반날개를 구비한 회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의 결합공에는 레일홈이 다수 형성되고, 이 결합부에 결합되는 수직부재의 결합부에는 상기 레일홈을 따라 결합되는 레일돌기를 형성하여 결합 후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용기의 바닥면 중앙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하면에는 결합홈이 형성되어서 상기 회전부재가 결합홈을 매개로 상기 돌출부에 끼움 장착됨으로써 흔들림 없는 안정적인 회전을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돌출부의 상측에는 외향된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결합홈 내부에는 상기 플랜지에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된 패킹부가 구비되어서 끼움 장착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돌출부에서 무단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레임부재의 수직부재는 상하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구성되고, 수평부재는 좌우 방향으로 폭 조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직부재는 회전 작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프레임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모터는 수평부재 내부에 내장된 타입 혹은 분리 가능한 타입 중 선택된 어느 하나 타입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바람직하게 상기 용기의 조리공간을 폐쇄하기 위한 뚜껑을 추가로 더 포함하되, 상기 뚜껑에는 중심부에서 일측 방향으로 절개된 절개공이 형성되어 뚜껑을 덮을 때 상기 회전부재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부재의 상단에는 뚜껑이 결합될 때 상하면을 지지하기 위한 제1,2지지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각종 식재료를 볶거나 끓일 때 교반날개를 매개로 저어줄 수 있도록 하여 식재료가 타는 현상을 방지하여 조리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이고, 용기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부재에 회전부재를 회전시킬 모터를 구비하는 개선된 새로운 구조로 인해 뚜껑 없이도 사용 가능하여 조리자의 흥미와 재미를 배가시키도록 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내부를 보인 종단면도.
도 3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를 보인 사시도.
도 4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뚜껑을 보인 평면도.
도 5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부 및 프레임부재를 보인 사시도이고, "나"는 프레임부재의 내부를 보인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부 및 프레임부재의 결합관계를 보인 사시도.
도 7의 "가" 내지 "다"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부를 보인 평면도.
도 8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모터를 보인 사시도이고, "나"는 종단면도이며, "다"는 모터의 장착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9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재를 보인 사시도이고, "나"는 종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재의 장착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1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의 사용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의 사용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일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10)는 크게, 용기(100), 결합부(200), 프레임부재(300), 모터(400) 및 회전부재(500)를 포함하고, 뚜껑(6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용기(100)는 조리될 식재료가 수용되는 상부로 개방된 조리공간(110)이 형성되어 있고, 용기(100)를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측면에 손잡이(120)가 구비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결합부(200)는 상기 용기(100)의 일측에 구비되는데, 이 결합부(200)는 별도로 제작되어서 용기(100)의 일측에 설치되는 타입 혹은 용기(100)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타입 중 어느 하나의 타입으로 구비될 수 있음은 너무나 자명하다.
다음으로, 상기 프레임부재(300)는 상기 결합부(2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부재(310) 및 상기 수직부재(310)의 상단에서 용기(100)의 중심부를 향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부재(320)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모터(400)는 상기 프레임부재(300)의 수평부재(320)에 구비되어서 회전력을 발생하기 위한 것으로, 회전축(410)이 용기(100)의 중심을 향해 하향 돌출되어져 있으며, 이 모터(400)는 상기 수평부재(320) 내부에 내장된 타입 혹은 분리 가능한 타입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타입으로 구비될 수 있음은 너무나 자명하나, 분리 가능한 타입이 사용상 편의성이 우수하므로 본원에서는 분리 가능한 타입을 예시로 도시하고 있다.
다음으로, 상기 회전부재(500)는 상기 용기(100) 내부에 구비되어서 상기 모터(400)의 회전축(410)에 축 결합되어 회전 작동되면서 용기(100) 내부로 투입되는 식재료를 교반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뚜껑(600)은 상기 용기(100)의 상면에 안치됨으로써 개방된 조리공간(110)을 밀폐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일측에는 손잡이부(610)가 구비되어 있고, 부분적으로 투명하게 형성하여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고려해볼만 하다.
이제, 하기에서는 상기에서 간략하게 살펴본 구성요소들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내부를 보인 종단면도이며, 도 3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뚜껑을 보인 평면도이다.
먼저, 도 2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용기(100)는 식재료가 수용되는 상부로 개방된 조리공간(110)이 형성되어 있고, 손잡이(120)가 측면에 구비되어 있는 널리 공지된 타입이다. 이때, 상기 용기(100)의 바닥면 중앙에는 돌출부(130)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돌출부(130) 상단에는 외향된 플랜지(13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용기(100)의 측면 하측에는 조리시 발생되는 기름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공(140)이 형성되며, 상기 배출공(140)을 막음하기 위한 마개(142)도 구비된다. 이때, 상기 배출공(140)의 끝단에는 하향 연장된 연장부(144)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배출되는 기름기의 수직 낙하를 유도함으로써 용기(100) 바닥면을 타고 흘러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도 3의 "가"를 참조로 하면, 용기(100')의 다른 형태를 도시하고 있는데, 손잡이가 길게 형성된 편수 타입이며, "나"는 용기(100")의 또 다른 형태를 도시하고 있는데, 고기를 구워서 먹는 불판타입이다. 이렇듯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용기(100)는 어떤 타입이던 조리공간(110)이 형성된 것이면 그 형태를 구분하지 않고 모두 적용 가능함을 인지해야 된다.
여기서, 도 4의 "가"를 참조로 하면, 상기 용기(100)의 조리공간(110)을 폐쇄하기 위한 뚜껑(600)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뚜껑(600)은 용기(100)의 상면에 안착되어 개방된 조리공간(110)을 폐쇄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일측에는 뚜껑(600)을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610)가 구비되며, 중앙에는 일측 방향으로 절개된 절개공(620)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뚜껑(600)을 덮을 때 전술한 회전부재(500)를 수용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이의 사용 상태는 하기에서 다시 살펴보기로 한다.
계속해서, "나"를 참조로 하면, 뚜껑(600)의 절개공(620) 양 측에는 실리콘과 같은 연질의 소재로 된 패드(630)가 겹쳐지듯이 구비되어서 회전부재(500)가 수용될 때에는 갈라지나 회전부재(500)가 중앙에 위치하게 되면 갈라진 패드(630)가 복원되어져 절개공(620)을 폐쇄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도 5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부 및 프레임부재를 보인 사시도이고, "나"는 프레임부재의 내부를 보인 종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부 및 프레임부재의 결합관계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7의 "가" 내지 "다"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부를 보인 평면도이다.
먼저, 도 5의 "가" 및 "나"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결합부(200)는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용기(100)의 일측에 부착될 수도 있고, 용기(100)를 형성할 때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이러한 결합부(200)는 상부로 개방된 결합공(210)이 형성되고, 결합공(210) 내벽에는 길이 방향으로 레일홈(220)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레일홈(220)은 90도 간격으로 4군데에 형성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한편, 도 7의 "가" 및 "다"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200)의 결합공(210)은 평면상 사각형, 삼각형 및 ㄷ자 형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음을 인지해야 된다.
다음으로, 프레임부재(300)는 상기 결합부(200)의 결합공(210)으로 결합될 결합부재(314)가 하면에 형성된 수직부재(310) 및 상기 수직부재(310)의 상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부재(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314)에는 상기 레일홈(220)으로 삽입될 레일돌기(316)를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수직부재(310)를 제1수직부재(312a)와 상기 제1수직부재(312a)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제2수직부재(312b)로 구성하여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수평부재(320)를 제1수평부재(322a)와 상기 제1수평부재(322a)에 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제2수평부재(322b)로 구성하여 폭 조절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수평부재(320)의 폭 조절은 용기(100)의 크기에 따라 폭 조절하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하나의 프레임부재(300)가 다른 사이즈를 가지는 용기(100)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수직부재(310) 및 수평부재(320)의 길이 조절 및 고정은 간단하게는 파선으로 도시된 고정노브(340a,340b)를 각각 구비하여 길이 조절한 후 고정노브(340a,340b)를 회전시켜 조절된 상태를 고정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등산스틱의 길이 조절 방식을 적용할 수도 있는 등 공지된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음은 너무나 자명하다.
한편, 상기 수평부재(320) 바람직하게는, 제2수평부재(322b)는 후술할 모터(400)를 분리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해 상부로 개방된 장착실(33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장착실(330)에는 모터(400)의 회전축(410)이 하향 돌출되기 위한 돌출공(33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공(332)의 중심과 여기서는 미도시 하고 있는 용기(100)의 중심이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됨은 당연하다. 상기 돌출공(332)에는 패킹(334)을 구비하여 장착될 모터(400) 쪽으로는 열기나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러한, 장착실(330)은 후술할 모터(400)를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이며, 모터(400)가 수평부재(320)에 내장된 타입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불필요할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에서는 두 가지 타입 중 어느 하나의 타입이 적용될 수 있으나, 모터(400)를 분리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세척에서 더 유리하게 구성하기 위해 상기 장착실(33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프레임부재(300)는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직부재(310)의 하면에 구비된 결합부재(314)를 매개로 결합부(200) 내부로 끼움 장착되는데, 결합부재(314)에 형성된 레일돌기(316)가 결합부(200)의 내벽에 형성된 레일홈(220)으로 삽입됨으로써 결합 후에는 무단으로 회전되거나 흔들림이 발생되지 않을 것은 자명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재(300)를 파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방향을 돌려서 삽입할 수도 있는데, 상기 레일홈(220)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4군데 형성되어 있으므로 필요시 프레임부재(300)의 결합 방향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재(300)의 결합 방향을 선택할 수 있다는 것은 용기(100)의 중심부를 향해 설치할 수도 있고, 사용이 필요 없을 때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위치시켜 용기(100)에 저장된 음식물을 꺼내는 등의 행위시 간섭을 받지 않도록 위치할 수 있음을 말하는 것이다.
도 8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모터를 보인 사시도이고, "나"는 종단면도이며, "다"는 모터의 장착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8의 "가" 및 "나"를 참조로 하면, 모터(400)가 하우징(420) 내부에 구비되어 있으며, 회전축(410)은 하향 돌출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420)의 일측에는 상기 모터(400)의 작동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430)가 구비되어 있으며, 작동제어를 위한 작동스위치(440)가 마련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전원공급부(430)는 충전식 혹은 교체식 건전지를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가장바람직하나, 전기선을 통해서 전원을 공급하는 방식도 가능함은 당연하다. 교체식 건전지로 사용되는 경우 하우징(420)에 개폐식 덮개를 구비하여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렇게 하우징(420)에 설치된 본 발명의 모터(400)는 "다"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평부재(320)에 형성된 장착실(330)에 끼움 장착되며, 모터(400)의 회전축(410)은 수평부재(320)의 장착실(330)에 형성된 돌출공(332)을 통해 하향 돌출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모터(400)가 수평부재(320)에 직접 내장되는 경우에는 상기 하우징(420)은 불필요하다.
도 9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재를 보인 사시도이고, "나"는 종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재의 장착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먼저, 도 9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회전부재(500)는 식재료를 저어주기 위한 교반날개(510)가 일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에는 전술한 모터(400)의 회전축(410)에 축 결합될 축공(520)이 형성되어 있고, 하면에는 전술한 용기(100)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돌출부(130)에 결합될 결합홈(530)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결합홈(530)에는 상기 돌출부(130)의 플랜지(132)에 걸려 무단으로 회전부재(50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걸림턱(542)이 형성된 패킹부(540)가 구비되어 있다. 이 패킹부(540)는 반복된 회전 작동에 의해 돌출부(130)의 마모 및 코팅 벗겨짐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하기도 한다.
한편, 상기 회전부재(500)의 상단에는 제1 및 제2지지턱(550a,550b)이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뚜껑(600)의 상/하면을 지지하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계속해서, 도 10을 참조로 하면, 상기 회전부재(500)는 하면에 형성된 결합홈(530)을 매개로 파선으로 도시된 용기(100)의 바닥면에 형성된 돌출부(130)에 끼움 장착되어지며, 결합홈(530) 내부에 구비된 패킹부(540)의 걸림턱(542)이 돌출부(130)의 플랜지(132)에 걸림으로써 결합된 역방향으로 무단분리 되지 않도록 장착된다. 그리고, 상면에 형성된 축공(520)으로는 여기서는 미도시 하고 있으나 모터(400)의 회전축(410)이 축 결합될 것이고, 파선으로 도시된 뚜껑(600)의 절개공(620)으로 회전부재(500)가 수용될 때 제1 및 제2지지턱(550a,550b)이 뚜껑(600)의 상하면을 지지함으로써 안정적인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은 물론이고 뚜껑(600)의 처짐을 방지하기도 할 것이다.
도 11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의 사용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의 사용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먼저, 도 11의 "가"를 참조로 하면, 용기(100) 내의 조리공간(110)에 회전부재(500)를 구비 즉, 용기(100)의 바닥면에 형성된 돌출부(130)에 회전부재(500)의 하면에 형성된 결합홈(530)을 매개로 장착해 놓고, 용기(100) 일측에 구비된 결합부(200)에 모터(400)가 구비된 프레임부재(300)를 장착하되, 수평부재(320)가 용기(100)의 중심부를 향하도록 장착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조리공간(110)으로 조리할 식재료를 투입한 뒤 "나"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터(400)가 구비된 프레임부재(300)의 수직부재(310)를 하향시키게 되면 모터(400)의 회전축(410)이 회전부재(500)의 상면에 형성된 축공(520)에 축 결합된다.
한편, 상기 수직부재(310)를 상승시키게 되면 회전부재(500)와 자연스럽게 축 분리된다. 즉, 프레임부재(300)의 높이를 높이거나 프레임부재(300)를 결합부(200)에서 분리하게 되면 회전부재(500)는 축 분리되면서 용기(100) 내에 위치하고 있음을 의미하게 된다. 이렇게 모터(400)의 회전축(410)과 회전부재(500)를 축 분리 가능하게 구성하면 세척과 같은 유지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부재(500)와 모터(400)가 축 분리되더라도 회전부재(500)는 용기(100) 바닥에 형성된 돌출부(130)에 끼움 장착된 상태이므로 쓰러지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축(410)은 6각 이상의 다각봉 타입으로 형성하고, 이에 축 결합될 축공(520)은 회전축(410)에 대응되는 각을 가진 다각홈으로 구성하여 축 결합시 정확하게 위치를 일치시키지 않더라도 회전축(410)이 회전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축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장 좋다.
계속해서, 미도시 하고 있으나 하이라이트, 인덕션 및 가스레인지와 같은 가열기구로 용기(100)를 가열하면서 모터(400)를 작동시키면 회전부재(500)가 회전 작동되면서 식재료를 교반시킴으로써 음식물이 눌러 붙거나 타지 않도록 조리하게 된다. 이러한 조리과정에서 본원은 종래와 달리 뚜껑(600) 없이도 식재료를 교반시키면서 조리를 할 수 있는 점에서 큰 장점이 있다.
이때, 용기(100)의 개방된 조리공간(110)을 폐쇄하고자 할 때에는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600)을 덮을 수 있는데, 앞서 전술한 바와 같이 뚜껑(600)에 형성된 절개공(620)이 회전부재(500)를 수용함에 따라 회전 작동에 간섭하지 않으면서 조리공간(110)을 폐쇄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만약, 고기류를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기름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서는 배출공(140)을 막음하고 있는 마개(142)를 분리하게 되면 쉽게 배출시킬 수 있는데, 상기 배출공(140)의 끝단에 하향 연장된 연장부(144)가 형성되어 있어 수직 낙하를 유도함에 따라 기름이 용기본체(100) 바닥면을 타고 화염쪽으로 흘러가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세척이 필요한 경우, 모터(400)가 구비된 프레임부재(300)는 용기(100)에서 완전히 분리할 수 있어 세척과 보관이 용이함은 당연할 것이다.
한편, 도 1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불판 타입의 용기(100")가 사용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는데, 작동 방법 및 사용 방법은 동일하나, 다만 불판 타입의 용기에서는 조리공간(110)에서는 메인요리를 하면서도 주변에서는 부재료를 동시에 조리할 수도 있는 장점도 있다.
결국, 본원의 프레임부재(300)는 용기(100)에서 분리 가능한 구성이므로 유지관리에서 탁월한 장점이 있고, 특히 프레임부재(300)를 회전시킬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며, 또한 프레임부재(300)는 높낮이 조절 및 폭 조절이 가능하므로 용기(100)의 사이즈에 맞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처가 폭넓은 장점이 있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 : 본 발명의 조리기구 100 : 용기
110 : 조리공간 120 : 손잡이
130 : 돌출부 132 : 플랜지
140 : 배출공 142 : 마개
144 : 연장부 200 : 결합부
210 : 결합공 220 : 레일홈
300 : 프레임부재 310 : 수직부재
312a : 제1수직부재 312b : 제2수직부재
320 : 수평부재 322a : 제1수평부재
322b : 제2수평부재 330 : 장착실
332 : 돌출공 334 : 패킹
340a,340b : 고정노브 400 : 모터
410 : 회전축 420 : 하우징
430 : 전원공급부 440 : 작동스위치
500 : 회전부재 510 : 교반날개
520 : 축공 530 : 결합홈
540 : 패킹부 542 : 걸림턱
550a : 제1지지턱 550b : 제2지지턱
600 : 뚜껑 610 : 손잡이부
620 : 절개공 630 : 패드

Claims (9)

  1. 조리될 식재료가 수용되는 상부로 개방된 조리공간이 형성된 용기;
    상기 용기의 일측에 구비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해 하부에 결합부재가 구비된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의 상단에서 상기 용기의 중심부를 향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부재로 이루어지는 프레임부재;
    상기 프레임부재의 수평부재에 구비되어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 및
    상기 용기 내부에 구비되어서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축 결합되어 회전 작동되면서 용기 내부로 투입되는 식재료를 교반시키는 교반날개를 구비한 회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의 결합공에는 레일홈이 다수 형성되고, 이 결합부에 결합되는 수직부재의 결합부에는 상기 레일홈을 따라 결합되는 레일돌기를 형성하여 결합 후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바닥면 중앙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하면에는 결합홈이 형성되어서 상기 회전부재가 결합홈을 매개로 상기 돌출부에 끼움 장착됨으로써 흔들림 없는 안정적인 회전을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상측에는 외향된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결합홈 내부에는 상기 플랜지에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된 패킹부가 구비되어서 끼움 장착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돌출부에서 무단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재의 수직부재는 상하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구성되고, 수평부재는 좌우 방향으로 폭 조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재는 회전 작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프레임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수평부재 내부에 내장된 타입 혹은 분리 가능한 타입 중 선택된 어느 하나 타입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조리공간을 폐쇄하기 위한 뚜껑을 추가로 더 포함하되,
    상기 뚜껑에는 중심부에서 일측 방향으로 절개된 절개공이 형성되어 뚜껑을 덮을 때 상기 회전부재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의 상단에는 뚜껑이 결합될 때 상하면을 지지하기 위한 제1,2지지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
KR1020190059376A 2019-05-21 2019-05-21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 KR1020750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376A KR102075069B1 (ko) 2019-05-21 2019-05-21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
PCT/KR2020/006572 WO2020235925A1 (ko) 2019-05-21 2020-05-20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376A KR102075069B1 (ko) 2019-05-21 2019-05-21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5069B1 true KR102075069B1 (ko) 2020-02-07

Family

ID=69570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9376A KR102075069B1 (ko) 2019-05-21 2019-05-21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75069B1 (ko)
WO (1) WO2020235925A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35925A1 (ko) * 2019-05-21 2020-11-26 (주)홍산경금속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
KR102243026B1 (ko) * 2020-08-24 2021-04-20 서경찬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
KR102243023B1 (ko) * 2020-08-12 2021-04-20 서경찬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
KR102249510B1 (ko) * 2020-12-18 2021-05-07 주식회사 램프쿡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
KR102249508B1 (ko) * 2020-12-18 2021-05-07 주식회사 램프쿡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
KR102310942B1 (ko) * 2021-03-30 2021-10-07 박정원 회전식 조리기
KR102331192B1 (ko) * 2020-08-18 2021-11-24 서경찬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
KR20220099158A (ko) * 2021-01-04 2022-07-13 양안모 다지기용 가열용기
KR102494166B1 (ko) * 2022-08-17 2023-01-31 (주)케이투시스템이엔지 음식물 자동 교반기
KR102521982B1 (ko) * 2022-11-15 2023-04-18 박정원 교반날개가 설치된 조리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12905A (ja) * 2007-03-08 2008-09-18 Yayoi Chemical Industry Co Ltd 混合装置用撹拌具及びその製造法
KR20090007077A (ko) * 2007-07-13 2009-01-16 윤정모 음식물 조리용 교반기
JP2009512480A (ja) * 2005-10-19 2009-03-26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食品,特に氷片を粉砕するための器具
KR101480761B1 (ko) * 2014-04-09 2015-01-09 홍성훈 국솥 교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16208A (en) * 1995-03-27 1996-05-14 Givant; Madeline F. Adjustable pot stirrer
KR102075069B1 (ko) * 2019-05-21 2020-02-07 주식회사 램프쿡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12480A (ja) * 2005-10-19 2009-03-26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食品,特に氷片を粉砕するための器具
JP2008212905A (ja) * 2007-03-08 2008-09-18 Yayoi Chemical Industry Co Ltd 混合装置用撹拌具及びその製造法
KR20090007077A (ko) * 2007-07-13 2009-01-16 윤정모 음식물 조리용 교반기
KR101480761B1 (ko) * 2014-04-09 2015-01-09 홍성훈 국솥 교반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35925A1 (ko) * 2019-05-21 2020-11-26 (주)홍산경금속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
KR102243023B1 (ko) * 2020-08-12 2021-04-20 서경찬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
KR102331192B1 (ko) * 2020-08-18 2021-11-24 서경찬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
KR102243026B1 (ko) * 2020-08-24 2021-04-20 서경찬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
KR102249510B1 (ko) * 2020-12-18 2021-05-07 주식회사 램프쿡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
KR102249508B1 (ko) * 2020-12-18 2021-05-07 주식회사 램프쿡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
KR20220099158A (ko) * 2021-01-04 2022-07-13 양안모 다지기용 가열용기
KR102458705B1 (ko) 2021-01-04 2022-10-25 양안모 다지기용 가열용기
KR102310942B1 (ko) * 2021-03-30 2021-10-07 박정원 회전식 조리기
KR102494166B1 (ko) * 2022-08-17 2023-01-31 (주)케이투시스템이엔지 음식물 자동 교반기
KR102521982B1 (ko) * 2022-11-15 2023-04-18 박정원 교반날개가 설치된 조리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35925A1 (ko) 2020-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5069B1 (ko)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
KR101964554B1 (ko)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용기용 뚜껑
KR101971833B1 (ko)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용기용 뚜껑
US20180255971A1 (en) Air Fryer
US20170231430A1 (en) Air Fryer
US9609975B2 (en) Device for stirring and cooking food
KR101003235B1 (ko) 조리용 쿠커
US20110126719A1 (en) Device for Preparing and Cooking Food and Associated Household Electrical Appliance
KR20150052545A (ko) 교반기능을 구비한 전열식 조리기구
AU2013231203B2 (en) Cooking appliance
KR101303685B1 (ko) 열풍 가열식 로스터
KR20200022895A (ko)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용기용 뚜껑
KR200460018Y1 (ko) 다목적 조리기
KR102020609B1 (ko) 교반장치를 포함한 조리용기
KR102243026B1 (ko)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
KR102130727B1 (ko) 자동 회전 조리 용기
KR102243023B1 (ko)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
KR102249510B1 (ko)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
US20190069353A1 (en) Dimpled Wok
KR100441544B1 (ko) 다용도 찜 구이용 조리기
JP2008054893A (ja) 陶器製調理具
KR20060095245A (ko) 곡물 볶음 냄비
KR102481776B1 (ko) 두 가지 종류의 조리가 가능한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
KR101786969B1 (ko) 프라이팬 겸용 석쇠
KR100857176B1 (ko) 조리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