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9510B1 -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 - Google Patents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9510B1
KR102249510B1 KR1020200178457A KR20200178457A KR102249510B1 KR 102249510 B1 KR102249510 B1 KR 102249510B1 KR 1020200178457 A KR1020200178457 A KR 1020200178457A KR 20200178457 A KR20200178457 A KR 20200178457A KR 102249510 B1 KR102249510 B1 KR 102249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container
cooking
stirring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8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경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램프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램프쿡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램프쿡
Priority to KR1020200178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95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9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9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top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8Driving mechanisms
    • A47J43/082Driving mechanism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upper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top side
    • A47J2043/04454Apparatus of counter top type
    • A47J2043/04481Apparatus of counter top type with a mixing unit pivotable on the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식재료를 볶거나 끓일 때 교반날개를 매개로 저어둘 수 있도록 하여 식재료가 타는 현상을 방지함과 더불어 고르게 익을 수 있도록 하여 조리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이고 개선된 구조로 인해 조리 전 및 조리 과정에서도 손쉽게 용기를 파지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킨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각종 식재료를 볶거나 끓일 때 교반날개를 매개로 저어둘 수 있도록 하여 식재료가 타는 현상을 방지함과 더불어 고르게 익을 수 있도록 하여 조리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이고 제1손잡이에 파지부를 구성하는 개선된 구조로 인해 조리전은 물론이고 조리 과정에서도 손쉽게 용기를 파지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킨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A cooking vessel having a stirring function}
본 발명은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식재료를 볶거나 끓일 때 교반날개를 매개로 저어둘 수 있도록 하여 식재료가 타는 현상을 방지함과 더불어 고르게 익을 수 있도록 하여 조리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이고 개선된 구조로 인해 조리 전 및 조리 과정에서도 손쉽게 용기를 파지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킨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식자재를 조리하여 음식을 만들기 위해서는 프라이팬, 냄비 등과 같은 조리기구가 사용되며, 조리되는 음식물이 타지 않도록 하면서도 고르게 익히기 위해서는 부수적인 주걱, 젓개 등이 사용된다. 이러한 조리기구로는 직화로 조리되는 타입 혹은 전기를 이용한 타입 등이 포함된다.
이렇듯, 조리되는 음식 중 계속해서 저어주지 않게 되면 용기 바닥에 눌어붙는 음식물을 조리할 경우 조리자는 이를 계속해서 주시하면서 젓개와 같은 보조도구를 이용해서 저어주어야 됨으로 번거로움이 있음은 당연하고, 육체적인 피로도도 상당히 높아지는 단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고자, 대한민국특허등록번호 제10-1964554호(2019.04.01. 공고)의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용기용 뚜껑 및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486475호가 제안되어 있다. 이 공보를 참조로 하면, 뚜껑에 작동수단이 구비되고, 용기 내에는 교반날개를 가지는 회전축이 구비되어 있어 작동수단의 동력으로 상기 회전축이 회전되면서 식재료를 교반시킴으로써 조리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있으나, 상기 작동수단이 뚜껑에 장착됨에 따라 뚜껑을 열어 놓고는 작동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이렇게 되면 교반되면서 조리되는 상태를 육안으로 직접 확인하기에 무리가 있었고, 교반되면서 음식물을 섭취하기에는 더 무리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각종 식재료를 볶거나 끓일 때 교반날개를 매개로 저어둘 수 있도록 하여 식재료가 타는 현상을 방지함과 더불어 고르게 익을 수 있도록 하여 조리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이고 개선된 구조로 인해 조리 전 및 조리 과정에서도 손쉽게 용기를 파지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킨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조리될 식재료가 투입되도록 상부로 개방된 조리공간이 형성되고, 상부 일측에는 상기 조리공간 중심을 향해 회전 작동되며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가 구비된 용기; 상기 손잡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으로, 하향 돌출되는 회전축을 구비한 회전모터가 내장되어 있는 작동부재; 및 상기 용기 내부에 구비되어서 상기 회전모터의 회전축에 축 결합되어 회전 작동되면서 용기 내부로 투입되는 식재료를 교반시키는 교반날개를 구비한 회전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손잡이는 상기 용기의 일측에 고정 부착되는 제1손잡이; 및 상기 제1손잡이에 지지축을 매개로 축 결합되어 상기 용기의 조리공간 중심을 향해 회전 작동되며 상기 작동부재를 장착하도록 하는 제2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제2손잡이가 조리공간 중심을 향해 회전되더라도 상기 제1손잡이의 후측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용기의 바닥면 중앙에는 돌출된 돌출봉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하면에는 상기 돌출봉으로 끼움 결합되어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회전되기 위해 결합홈이 형성되되, 상기 결합홈에는 마모 및 코팅 벗겨짐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착탈식 패킹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용기의 상면에는 음식물을 따르기 용이하도록 오목한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각종 식재료를 볶거나 끓일 때 교반날개를 매개로 저어둘 수 있도록 하여 식재료가 타는 현상을 방지함과 더불어 고르게 익을 수 있도록 하여 조리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이고 제1손잡이에 파지부를 구성하는 개선된 구조로 인해 조리전은 물론이고 조리 과정에서도 손쉽게 용기를 파지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킨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를 보인 종단면도이고, "나"는 평면도.
도 3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작동부재를 보인 종단면도이고, "나"는 결합 관계를 보인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재를 보인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의 사용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일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는 크게 용기(100), 작동부재(200) 및 회전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용기(100)는 조리될 식재료가 수용되는 상부로 개방된 조리공간(110)이 형성되며, 적어도 상부 일측에는 용기를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120)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손잡이(120)는 양 측에 형성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작동부재(200)는 상기 손잡이(120)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동력을 발생하기 위해 구비된다.
상기 회전부재(300)는 상기 용기(100) 내부에 구비되어서 상기 작동부재(200)에 축 결합되어 회전 작동되면서 용기(100) 내부로 투입되는 식재료를 교반시키는 교반날개(310)를 구비한다.
이제, 하기에서는 상기에서 간략하게 살펴본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의 상세한 구성 및 결합관계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2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로 하면, 용기(100)는 조리될 식재료가 수용되는 상부로 개방된 조리공간(110)이 형성되며, 상부 일측에는 손잡이(120)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손잡이(120)는 상기 조리공간(110)의 중심을 향해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가"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120)는 용기(100)에 고정 부착되는 제1손잡이(122) 및 상기 제1손잡이(122)에 지지축(124a)을 매개로 축 결합되어 상기 용기(100)의 조리공간(110) 중심을 향해 회전 작동되어지되, 끝부분에 장착부(126)가 형성된 제2손잡이(1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2손잡이(124)는 "나"와 같이 용기(100)의 중심으로 회전 작동되는데, 어느 방향으로 회전 작동되던지 상관없으며, 용기(100) 중심에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었을 때에는 제1손잡이(122)와 함께 일반적인 손잡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2손잡이(124)의 지지축(124a)을 축 결합하기 위해 제1손잡이(122)에 축공(122a)이 형성됨은 당연하고, 그 사이에 스프링(s)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2손잡이(124)는 단순히 회전만 되도록 구성하는 것 보다, 제2손잡이(124)를 파지하고 상승시켰을 때 회전 가능하고, 놓게 되면 스프링(s)의 탄성력에 의해 하향되면서 상기 제1손잡이(122)에 형성된 키홈(122b)에 제2손잡이(124)의 키(124b)가 결합되도록 하여 무단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는 무단 회전을 방지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측면도 있지만 후술할 작동부재(200)가 제2손잡이(124)에 장착되고, 회전부재(300)와 축 결합이 이루어졌을 때에는 제2손잡이(124)를 상승시키면 작동부재(200)와 회전부재(300)가 자연스럽게 축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유도한 측면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손잡이(124)가 용기(100) 중심을 향해 회전되었을 때에도 용기(100)를 파지하기 쉽도록 하기 위해 제1손잡이(122)의 후측에는 파지부(123)가 구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제2손잡이(124)가 용기(100) 중심 반대편으로 회전되었을 때에는 제1손잡이(122)의 파지부(123)에 안치 결합됨으로써 하나의 손잡이 역할을 수행하게 되고, 회전되더라도 제1손잡이(122)의 파지부(123)가 계속해서 손잡이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용기(100)를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큰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장착부(126)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술할 작동부재(200)를 안정적으로 안치하기 위한 상부로 개방된 안치홈(127)이 형성되고, 안치홈(127)에는 관통공(128)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부(126)는 후술하겠지만 안치홈(127) 타입 뿐만 아니라 작동부재(200)를 장착할 수 있는 형태이면 어떤 방식이던 만족한다. 나아가 상기 장착부(126)는 제2손잡이(124)에 일체 혹은 분리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100)의 바닥면 중앙에는 돌출봉(130)이 형성되며, 일측에는 조리시 발생되는 기름기와 같은 유분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공(140)이 형성되고, 이 배출공(140)을 밀폐할 수 있는 마개(150)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의 상면에는 여기서는 미도시 하고 있으나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목한 가이드홈(170)이 형성됨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일종의 물코 역할로써 음식물을 따르기 편리하도록 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용기(100)의 바닥면 가장자리에는 파선으로 도시하고 있는 돌출부(160)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런 경우에는 교반되는 식재료가 쉽게 뒤집혀 질 수 있어 유리하다. 이러한 용기(100)는 그 깊이 정도에 따라 깊이가 낮으면 프라이팬이라 불리는 형태가 될 수 있고, 그 형상에 따라 고기를 굽는 불판 타입의 형태가 될 수 있으며, 본원에서는 이 형태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식재료를 조리할 수 있는 조리공간(110)이 형성된 것이면 어떤 형태라도 상관없다.
도 3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작동부재를 보인 종단면도이고, "나"는 결합 관계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먼저, 도 3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작동부재(200)는 모터케이스(210), 상기 모터케이스(210) 내부에 구비되며 하향 연장된 회전축(222)을 구비한 회전모터(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부에는 상기 회전모터(220)의 작동을 인가할 작동스위치(224)가 마련되며, 미도시 하고 있으나 일측에는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공급부 및 기판이 구비되는 것은 당연하다.
이러한 작동부재(200)는 손잡이(120)의 제2손잡이(124)가 절곡되었을 때 그 상면에 형성된 장착부(126)의 안치홈(127)에 안정적으로 장착되며, 회전축(222)은 안치홈(127)에 형성된 관통공(128)을 통해 하향 돌출되어, 후술할 회전부재(300)와 축 결합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재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회전부재(300)는 상기 용기(100) 내에 구비되어서, 회전 작동에 의해 투입된 식재료를 교반하기 위해 교반날개(310)를 구비하고 있다. 상면에는 회전모터(220)의 회전축(222)과 축 결합되기 위한 축공(320)이 형성되고, 하면에는 상기 돌출봉(130)에 끼움 장착되어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인 회전을 위해 결합홈(330)이 형성되며, 이 결합홈(330)에는 마모 방지 및 코팅 벗겨짐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패킹(34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패킹(340)은 착탈식으로 구현되어 세척이 편리하도록 하는 것이 더 좋다. 이때, 패킹(340)을 착탈식으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제, 하기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의 사용 상태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의 사용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면을 참고로 하면, 미도시된 가열기구에 용기(100)를 올려놓고 용기(100)의 조리공간(110)에 식재료를 투입하고, 손잡이(120)의 제2손잡이(124)를 조리공간(110) 중심을 향해 회전시킨 뒤 상기 제2손잡이(124)의 장착부(126)에 작동부재(200)를 장착하게 되면 회전모터(220)의 회전축(222)과 용기(100)에 구비된 회전부재(300)는 축 결합이 이루어진다. 계속해서 작동부재(200) 상면에 구비된 작동스위치(224)를 누르게 되면 회전모터(220)의 회전축(222)이 회전되면서 이에 축 결합된 회전부재(300)를 회전시킴에 따라 교반날개(310)가 식재료를 교반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음식물이 타거나 눌러 붙지 않도록 조리할 수 있게 되는 등 편리한 조리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한편, 종래와 달리 뚜껑 없이도 식재료를 교반시키면서 조리를 할 수 있어 조리과정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고, 개방되어 있는 조리공간(110)을 통해 교반중에도 음식물을 직접 섭취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작동부재(200)를 설치하고자 하는 별도의 장착수단 없이도 손잡이(120)를 통해 쉽게 장착할 수 있어 구조적으로 간단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2손잡이(124)를 상승시켜 작동부재(200)와 회전부재(300)를 축 분리시킨 뒤 반대로 회전시키게 되면 제1손잡이(122)와 함께 일반적인 손잡이와 같이 사용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제2손잡이(124)가 용기(100) 중심으로 회전된 상태에서도 제1손잡이(122)에 파지부(123)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용기(100)를 파지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작동부재(200)를 상측으로 들어 올리게 되면 회전부재(300)와 축 분리가 이루어짐에 따라 식재료 교반 과정에서 음식물이 묻은 회전부재(300)는 용기(100) 내에 그대로 남아 있게 됨에 따라 음식물이 주변을 지저분하게 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또한, 고기를 굽는 조리를 하는 경우에는 배출공(140)을 막음하고 있는 마개(150)를 분리하게 되면 조리과정에서 기름성분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어 유리한 장점이 있다.
이렇듯, 용기(100)를 운반할 때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120)를 회전 작동되는 형태로 구현하여 손잡이(120)를 용기(100) 운반할 때 사용되도록 함과 동시에 작동부재(200)를 설치할 수 있는 지지대 역할을 부가하는 새로운 구조로 인해 사용이 편리하고, 제2손잡이(124)가 회전되었을 때에도 제1손잡이(122)에 구비된 파지부(123)를 통해 용기(100)를 쉽게 파지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0 : 용기 110 : 조리공간
120 : 손잡이 122 : 제1손잡이
122a : 축공 122b : 키홈
123 : 파지부 124 : 제2손잡이
124a : 지지축 124b : 키
126 : 장착부 127 : 안치홈
128 : 관통공 130 : 돌출봉
140 : 배출공 150 : 마개
160 : 돌출부 s : 스프링
200 : 작동부재 210 : 모터케이스
220 : 회전모터 222 : 회전축
224 : 작동스위치 300 : 회전부재
310 : 교반날개 320 : 축공
330 : 결합홈 340 : 패킹

Claims (3)

  1. 조리될 식재료가 투입되도록 상부로 개방된 조리공간이 형성되고, 상부 일측에는 상기 조리공간 중심을 향해 회전 작동되며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가 구비된 용기;
    상기 손잡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으로, 하향 돌출되는 회전축을 구비한 회전모터가 내장되어 있는 작동부재; 및
    상기 용기 내부에 구비되어서 상기 회전모터의 회전축에 축 결합되어 회전 작동되면서 용기 내부로 투입되는 식재료를 교반시키는 교반날개를 구비한 회전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손잡이는
    상기 용기의 일측에 고정 부착되는 제1손잡이; 및
    상기 제1손잡이에 지지축을 매개로 축 결합되어 상기 용기의 조리공간 중심을 향해 회전 작동되며 상기 작동부재를 장착하도록 하는 제2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제2손잡이가 조리공간 중심을 향해 회전되더라도 상기 제1손잡이의 후측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바닥면 중앙에는 돌출된 돌출봉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하면에는 상기 돌출봉으로 끼움 결합되어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회전되기 위해 결합홈이 형성되되, 상기 결합홈에는 마모 및 코팅 벗겨짐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착탈식 패킹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상면에는 음식물을 따르기 용이하도록 오목한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
KR1020200178457A 2020-12-18 2020-12-18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 KR102249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8457A KR102249510B1 (ko) 2020-12-18 2020-12-18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8457A KR102249510B1 (ko) 2020-12-18 2020-12-18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9510B1 true KR102249510B1 (ko) 2021-05-07

Family

ID=75916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8457A KR102249510B1 (ko) 2020-12-18 2020-12-18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95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8386A (ko) 2021-12-24 2023-07-04 김도영 자동회전조리뚜껑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5069B1 (ko) * 2019-05-21 2020-02-07 주식회사 램프쿡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5069B1 (ko) * 2019-05-21 2020-02-07 주식회사 램프쿡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8386A (ko) 2021-12-24 2023-07-04 김도영 자동회전조리뚜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1833B1 (ko)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용기용 뚜껑
KR102075069B1 (ko)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
KR102149183B1 (ko)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용기
KR101964554B1 (ko)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용기용 뚜껑
KR101003235B1 (ko) 조리용 쿠커
US6026735A (en) Self stirring cooking assembly
KR102243026B1 (ko)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
KR20200022895A (ko)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용기용 뚜껑
KR102249510B1 (ko)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
JPWO2012081598A1 (ja) 加熱調理器および炊飯器
US20120174800A1 (en) Independent stirring cooking receptacle
CN206365807U (zh) 一种烹饪搅拌耙及具有其的烹饪机
KR102243023B1 (ko)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
KR102130727B1 (ko) 자동 회전 조리 용기
KR102020609B1 (ko) 교반장치를 포함한 조리용기
KR102310942B1 (ko) 회전식 조리기
KR102249508B1 (ko)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
KR102331192B1 (ko)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
KR200383133Y1 (ko) 덮개형 주걱
KR102481776B1 (ko) 두 가지 종류의 조리가 가능한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
CN107802184A (zh) 一种烹饪搅拌耙及具有其的烹饪机
KR20230168724A (ko)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
KR102110348B1 (ko) 회전식 조리기
KR100230992B1 (ko) 전기죽솥
KR200463539Y1 (ko) 가정용 자동 교반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