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3133Y1 - 덮개형 주걱 - Google Patents

덮개형 주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3133Y1
KR200383133Y1 KR20-2005-0004313U KR20050004313U KR200383133Y1 KR 200383133 Y1 KR200383133 Y1 KR 200383133Y1 KR 20050004313 U KR20050004313 U KR 20050004313U KR 200383133 Y1 KR200383133 Y1 KR 2003831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cover plate
screw rod
cook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43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섭
Original Assignee
이창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섭 filed Critical 이창섭
Priority to KR20-2005-00043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31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31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31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 A47J36/165Stirring devices operatively connected to cooking vessels when being removably inserted in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8Other culinary hand implements, e.g. spatulas, pincers, forks or like food holders, ladles, skimming ladles, cooking spoons; Spoon-holders attached to cooking pots
    • A47J43/288Spatulas; Scrapers; Multi-purpose hand imp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토리묵, 죽, 잼, 스프, 소스등과 같이 조리중 저어주어야 하는 음식물을 조리할 때 냄비, 또는 찜 용기내의 음식물이 조리과정에서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안전하게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한 덮개형 주걱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하부에 나사봉(20)이 일체형으로 구성된 손잡이(10)와; 중앙에 결합부재(50)가 결합되고 이 결합부재(50)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결합공(52)내에는 나사봉(20)이 삽입되며 투명의 유리재질이면서 원판형태로 구성된 투명덮개판(30)과; 상기 투명덮개판(30)의 외주둘레에 방사형태로 각각 힌지 결합되어진 가변덮개판(40)과; 상기 나사봉(20)의 하단으로부터 결합되면서 그 하단에는 음식물을 저어주기 위한 교반날개(62)가 각각 부착되어진 다수개의 연결대(6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 이는 음식물의 조리시 상기 가변덮개판(40)을 통하여 조리용기의 상부를 덮어준 상태에서 나사봉(20)과 일체형으로 연결된 손잡이(10)를 회전시키게 되면 그 하단의 교반날개(62)가 회전/작동되면서 조리되는 음식물이 외부로 튀지 않은 상태가 조리가 가능하여 매우 안전하면서 열 손실을 최소화 한 상태로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덮개형 주걱{A COVER TYPE BIG FLAT}
본 고안은 덮개형 주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토리묵, 죽, 잼, 스프, 소스등과 같은 음식물을 조리할 때 냄비, 또는 찜용기내의 음식물이 조리과정에서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안전하게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한 덮개형 주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토리묵, 죽, 잼, 스프, 소스등과 같은 음식물은 그 조리과정이 지속적으로 서서히 가열하면서 해당 음식물이 일정한 점도가 될 때까지 수분을 증발시켜야 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할 경우 조리과정에서 음식물이 조리용기의 바닥면에 눌러 붙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주걱등을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조리중인 음식물을 서서히 저어주어야 하는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그러나 위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조리용기의 뚜껑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그 작업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조리과정에서 가열된 음식물이 사람의 손이나 얼굴등에 튈 가능성이 있어 상당한 조심성이 요구되며, 특히 조리중 뚜껑을 개방시켜야 하기 때문에 그 열손실이 매우 큰 단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도토리묵, 죽, 잼, 스프, 소스등과 같은 음식물을 조리할 때 냄비, 또는 찜용기내의 음식물이 조리과정에서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안전하게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한 덮개형 주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덮개형 주걱은, 하부에 나사봉이 일체형으로 구성된 손잡이와; 중앙에 결합부재가 결합되고 이 결합부재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결합공내에는 나사봉이 삽입되며 투명의 유리재질이면서 원판형태로 구성된 투명덮개판과; 상기 투명덮개판의 외주둘레에 방사형태로 각각 힌지 결합되어진 가변덮개판과; 상기 나사봉의 하단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그 하단에는 음식물을 저어주기 위한 교반날개가 각각 부착되어진 다수개의 연결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덮개형 주걱의 구체적인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덮개형 주걱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덮개형 주걱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하부에 나사봉(20)이 일체형으로 구성된 손잡이(10)와; 중앙에 결합부재(50)가 결합되고 이 결합부재(50)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결합공(52)내에는 나사봉(20)이 삽입되며 투명의 유리재질이면서 원판형태로 구성된 투명덮개판(30)과; 상기 투명덮개판(30)의 외주둘레에 방사형태로 각각 힌지 결합되어진 가변덮개판(40)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나사봉(20)의 하단으로부터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면서 그 하단에는 음식물을 저어주기 위한 교반날개(62)가 각각 부착되어진 다수개의 연결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10)의 하단에 일체형으로 구성된 나사봉(20)에는 너트(22)가 결합되어 있어 이 너트(22)에 의해 투명덮개판(30)에 대한 나사봉(20)의 결합위치를 조리용구의 사이즈(교반날개(62)의 바닥이 조리용기의 바닥면에 근접되는 위치가 바람직 함)에 맞게 간편하게 조절시킬 수가 있으며, 상기 나사봉(20)의 하단에 결합되어진 연결대(60)는 고정수단(54)에 의해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어진 구조이다.
아울러, 상기 투명덮개판(30)의 외주둘레에 부착되어진 각각의 가변덮개판(40)은 그 표면에 다수개의 통공(42)이 형성되어 조리중 발생하는 증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였고, 또한 상기 각각의 가변덮개판(40)은 첨부된 도면의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단이 경첩모양의 힌지부(44)로 구성되어 상기 투명덮개판(30)의 저면 외부둘레에 연결핀(46)을 매개로 상하로 절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진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진 본 고안은 도토리묵, 죽, 잼, 스프, 소스등과 같은 음식물을 조리할 때 매우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가 있게 된다.
즉 사용시에는, 첨부된 도면의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적으로 조리용기인 냄비(70)의 뚜껑을 개방시키고 그 내부에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80)을 채워 넣은 다음 개방되어진 냄비(70)의 상부를 상기 가변덮개판(40)을 이용하게 덮어두게 된다.
이때, 본 고안은 상기 가변덮개판(40)의 구조가 상기 투명덮개판(30)의 저면 외주둘레를 따라 원주둘레가 확대 또는 축소될 수 있도록 접이식으로 구성됨으로서 사용하고자 하는 조리용구의 사이즈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으며, 아울러 본 고안은 상기 나사봉(20)에 결합되어진 너트(22)를 통하여 결합부재(50)에 대한 나사봉(20)의 결합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음식물의 조리시 사용되는 요리용기의 사이즈에 맞게 조리용기의 바닥면과 교반날개(62)의 바닥면과의 이격거리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가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조리용기인 냄비(70)에 상기 가변덮개판(40)이 밀착되면 이 상태에서 음식물을 조리하게 되는바, 본 고안은 음식물이 서서히 가열되어지면 투명덮개판(30)의 상부로 노출된 손잡이(10)를 서서히 회전시킨다.
상기 손잡이(10)가 회전하게 됨에 따라 그 하부에 연결된 나사봉(20)을 매개로 각각의 연결대(60)가 축 회전하게 되면서 그 하부에 소정의 배치간격을 두고 구성되어진 각각의 교반날개(62)가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각각의 교반날개(62)가 조리용기의 상부가 밀폐된 상태에서도 음식물을 효과적으로 저어줄 수 있게 되어 조리과정에서 조리용기의 뚜껑을 개방시키지 않고도 조리가 가능하므로 음식물이 외부로 튀지 않고 또한, 조리되는 음식물이 달라붙지도 않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투명덮개판(30)을 통하여 내부의 조리상태를 육안으로 쉽게 관찰할 수 있어 조리상태에 따라 손잡이(10)의 회전속도를 적절하게 조절시킬 수가 있는 것이며, 특히 조리과정에서 발생된 증기는 상기 각 가변덮개판(40)에 상에 형성되어진 다수개의 통공(42)을 통하여 적절하게 외부로 방출되므로 수시로 뚜껑을 열고 닫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되지 아니하고 그 조리과정에서의 열 손실을 최소화 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그 사용후에는 각각의 부품을 용이하게 분해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대(60)는 나사봉(20)으로부터 간편하게 해체시킬 수 있는데, 이는 나사봉(20)과 연결대(60)의 취부수단인 고정수단(54)을 해체하여 상기 나사봉(20)으로부터 연결대(60)를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고, 아울러 상기 연결대(60)가 나사봉(20)으로 부터 해제되어지면 상기 나사봉(20)을 결합부재(50)의 결합공(52)으로 부터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게 되므로 결국, 본 고안은 덮개판으로 부터 나사봉(20)을 분리해 내어 음식물의 조리후에 용이하게 세척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각각의 교반날개(62) 끝에 용기바닥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볼)을 부착할 수도 있고, 또한 상기 각각의 교반날개(62)가 연결대(6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여 음식물의 교반 효율을 증대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하면, 음식물의 조리시 상기 가변덮개판(40)에 의해 조리용기의 상부를 덮어준 상태에서 나사봉(20)과 일체형으로 연결된 손잡이(10)를 회전시키면 그 하단의 교반날개(62)가 회전 작동되면서 조리되는 음식물이 외부로 튀지 않게 되므로, 특히 도토리묵, 죽, 잼, 스프, 소스등과 같이 조리과정에서 주걱으로 지속적으로 저어주어야 하는 음식물을 조리할 때 매우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덮개형 주걱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덮개형 주걱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손잡이 20:나사봉
22:너트 30:투명덮개판
32:연결부 40:가변덮개판
42:통공 44:힌지부
46:연결핀 50:결합부재
52:결합공 54:고정수단
60:연결대 62:교반날개
70:냄비 80:음식물
100:덮개형 주걱

Claims (1)

  1. 하부에 나사봉(20)이 일체형으로 구성된 손잡이(10)와; 중앙에 결합부재(50)가 결합되고 이 결합부재(50)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결합공(52)내에는 나사봉(20)이 삽입되며 투명의 유리재질이면서 원판형태로 구성된 투명덮개판(30)과; 상기 투명덮개판(30)의 외주둘레에 방사형태로 각각 힌지 결합되어진 가변덮개판(40)과; 상기 나사봉(20)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면서 그 하단에는 음식물을 저어주기 위한 교반날개(62)가 각각 부착되어진 다수개의 연결대(6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형 주걱.
KR20-2005-0004313U 2005-02-17 2005-02-17 덮개형 주걱 KR2003831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313U KR200383133Y1 (ko) 2005-02-17 2005-02-17 덮개형 주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313U KR200383133Y1 (ko) 2005-02-17 2005-02-17 덮개형 주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3133Y1 true KR200383133Y1 (ko) 2005-04-29

Family

ID=43684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4313U KR200383133Y1 (ko) 2005-02-17 2005-02-17 덮개형 주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313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836Y1 (ko) * 2007-09-18 2009-12-04 남기인 조리용기 덮개
CN109452837A (zh) * 2017-09-06 2019-03-12 石家庄亿思特进出口贸易有限公司 一种分体可拆卸旋转搅拌式料理锅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836Y1 (ko) * 2007-09-18 2009-12-04 남기인 조리용기 덮개
CN109452837A (zh) * 2017-09-06 2019-03-12 石家庄亿思特进出口贸易有限公司 一种分体可拆卸旋转搅拌式料理锅
CN109452837B (zh) * 2017-09-06 2020-06-26 石家庄亿思特进出口贸易有限公司 一种分体可拆卸旋转搅拌式料理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1833B1 (ko)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용기용 뚜껑
KR101964554B1 (ko)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용기용 뚜껑
US11666178B2 (en) Grease strainer for cooking apparatus
US20060219100A1 (en) Self stirring, heating and cooking assembly having interchangeable stirring devices
AU2008309157A1 (en) Multi-functional pot
KR102419964B1 (ko) 전자동 입체 교반 시스템이 구비된 반구형 조리기구
KR200383133Y1 (ko) 덮개형 주걱
KR102243026B1 (ko)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
EP1152679B1 (en) Pot having a lid
KR102243023B1 (ko)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
KR200350556Y1 (ko) 냄비 뚜껑 거치대
GB2230409A (en) Food stirrer for microwave oven
KR102249510B1 (ko)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
KR102331192B1 (ko)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
US20170303743A1 (en) Cooking apparatus with strainer
CN210169780U (zh) 一种盖体组件和烹饪器具
KR102249508B1 (ko)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
KR102481776B1 (ko) 두 가지 종류의 조리가 가능한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
US20160324192A1 (en) Cable drive manual popcorn popper
KR102521982B1 (ko) 교반날개가 설치된 조리용기
JP2002058592A (ja) 調理容器
KR100230992B1 (ko) 전기죽솥
KR102420713B1 (ko) 스마트 조리도구
CN217659206U (zh) 一种炒菜机
CN107126101B (zh) 一种半旋锅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